KR100664133B1 - 이동통신 단말기의 기능제한을 방지하는 스누즈 알람방법 - Google Patents

이동통신 단말기의 기능제한을 방지하는 스누즈 알람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64133B1
KR100664133B1 KR1020040063918A KR20040063918A KR100664133B1 KR 100664133 B1 KR100664133 B1 KR 100664133B1 KR 1020040063918 A KR1020040063918 A KR 1020040063918A KR 20040063918 A KR20040063918 A KR 20040063918A KR 100664133 B1 KR100664133 B1 KR 10066413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nooze
alarm
function
mobile communication
communication termi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6391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60015084A (ko
Inventor
김진욱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4006391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64133B1/ko
Publication of KR2006001508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1508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6413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6413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48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adapting the functionality of the device according to specific condi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247Telephone sets including user guidance or feature selection means facilitating their use
    • H04M1/2471Configurable and interactive telephone terminals with subscriber controlled features modifications, e.g. with ADSI capability [Analog Display Services Interface]
    • H04M1/2472Configurable and interactive telephone terminals with subscriber controlled features modifications, e.g. with ADSI capability [Analog Display Services Interface] with programmable function key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69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for operating the device by selecting functions from two or more displayed items, e.g. menus or ic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15/00Metering arrangements; Time controlling arrangements; Time indicating arrangements
    • H04M2215/81Notifying aspects, e.g. notifications or displays to the user

Abstract

본 발명은 이동통신 단말기의 기능제한을 방지하는 스누즈 알람방법에 관한 것으로, 종래에는 알람 스누즈 상태에서는 이를 표시하는 화면만을 볼 수 있고 다른 화면으로 전환하거나 이동통신 단말기에 내장되어 있는 여타의 기능을 수행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러한 문제점을 감안한 본 발명은 현재 시각이 설정된 알람시간으로 판단되면 이동통신 단말기의 알람기능이 동작하는 단계와, 상기 알람기능이 동작하는 동안 스누즈 기능이 선택되면, 스누즈 기능을 실행시켜 스누즈 상태 유지 시간 경과후에 재차 알람기능이 동작하는 단계와, 상기 스누즈 기능 실행중에 키입력이 감지되면 그에 따른 기능을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져 사용자의 편의성을 높이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이동통신 단말기의 기능제한을 방지하는 스누즈 알람방법{SNOOZE ALARM METHOD FOR PREVENTING FUNCTION RESTRICTION OF MOBILE COMMUNICATION DEVICE}
도 1은 종래 기술에 의한 스누즈 알람 상태를 보여주는 예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스누즈 알람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스누즈 알람 상태를 보여주는 예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이동통신 단말기의 기능제한을 방지하는 스누즈 알람방법을 보여주는 흐름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제어부 11 : 메모리
12 : 입력부 13 : 화면표시부
본 발명은 이동통신 단말기의 기능제한을 방지하는 스누즈 알람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알람 기능이 동작한 후 스누즈 알람이 동작할 때까지의 알람 스누즈 상태에 있어서 폰 네비게이션 기능을 사용할 수 있게 한 이동통신 단말기의 기능제한을 방지하는 스누즈 알람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동통신 단말기의 보급이 보편화 되면서 대부분의 현대인들은 외출 시에도 항상 휴대하여 시간과 장소를 불문하고 이동통신 서비스를 제공받고자 한다. 초기의 이동통신 산업은 음성통화 위주의 서비스를 제공하였으나, 점차 기술이 발달하고 수요가 증가함에 따라 각종 이동통신 서비스가 개발되고 있으며, 이에 맞춰 이동통신 단말기도 다양한 기능을 제공하도록 발전하고 있다.
따라서 현재 이동통신 단말기는 메모장 기능, 전화번호부 기능, 알람 기능, 게임 기능 등을 제공하고 있어, 사용자의 편의에 따라 다양한 용도로 사용할 수 있다.
이 때, 이동통신 단말기의 알람 기능을 활용하는데 있어서, 일반 시계의 알람 기능과 같이 한 번 알람이 울린 후 일정 시간이 지나 재차 알림이 울리도록 하는 스누즈(snooze) 기능이 포함되어 있어, 알람 시간을 달리 하는 여러 개의 알람을 설정하지 않고도 그와 같은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의한 스누즈 알람 상태를 보여주는 예시도로서,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설정해 놓은 알람 시간이 되어 알람이 작동하게 되면, 정해진 시간 후에 다시 울릴지 여부를 '스누즈' 버튼을 선택하여 결정할 수 있다.
스누즈 버튼이 선택되면 알람 스누즈 상태가 화면에 표시되고, 중간에 해제시키지 않으면 정해진 시간 후에 다시 알람이 작동된다. 알람 스누즈 상태가 유지되는 시간은 사용자가 미리 설정할 수 있으며, 알람 스누즈 동안에 이동통신 단말기의 다른 기능을 사용하기 위해서는 알람 스누즈 상태를 해제해야 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에 있어서, 알람 스누즈 상태에서는 이를 표시하는 화면만을 볼 수 있고 다른 화면으로 전환하거나 이동통신 단말기에 내장되어 있는 여타의 기능을 수행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다시 말해, 이동통신 단말기의 다른 기능을 사용하기 위해서는 스누즈 상태를 해제하거나 스누즈 시간이 경과하여 알람 기능이 동작한 후 이어야 하므로, 알람 스누즈 기능을 유지시키는 동안 이동통신 단말기의 사용에 제약이 따른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감안하여 창안한 것으로, 알람이 울리고 스누즈 기능키를 선택하면 알람 스누즈 상태를 유지하면서 폰 네비게이션이 가능하도록 한 이동통신 단말기의 기능제한을 방지하는 스누즈 알람방법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현재 시각이 설정된 알람시간으로 판단되면 이동통신 단말기의 알람기능이 동작하는 단계와,
상기 알람기능이 동작하는 동안 스누즈 기능이 선택되면, 스누즈 기능을 실행시켜 스누즈 상태 유지 시간 경과후에 재차 알람기능이 동작하는 단계와,
상기 스누즈 기능 실행중에 키입력이 감지되면 그에 따른 기능을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실시 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스누즈 알람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구성도로서, 이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동통신 단말기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10)와, 상기 제어부(10)와 연결되고, 그 주변의 각종의 구성요소와 제어부(10) 사이에 입출력되는 각종의 데이터가 저장된 메모리(11)와, 사용자가 다이얼링을 하거나 정보를 입력하기 위한 입력부(12)와, 이동통신 단말기의 상태를 사용자가 육안으로 식별할 수 있도록 표시하여 주는 화면표시부(13)로 구성된다.
상기 메모리(11)에는 알람 설정 여부와 알람이 설정된 경우의 알람 시간 및 알람 스누즈 상태 유지 시간에 대한 정보를 저장하고 있으며, 제어부(10)는 현재 시간이 알람 시간인지 판단하여 그러한 경우 알람 기능이 동작하도록 한다.
알람이 동작하는 경우 도 3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알람을 표시하는 이모티콘과 함께 알람이 울리는 현재 시간을 화면표시부(13)에 표시하며, 중지키를 선택하여 알람을 완전히 해제시키거나 또는 스누즈키를 선택하여 설정된 시간 이후에 다시 알람 기능이 동작하도록 할 수 있다.
이 때, 스누즈키를 선택하면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초기화면의 상태표시줄(indicator bar)에 스누즈 상태를 표시하며, 도 3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누즈 상태가 종료되어 다시 알람이 동작할 때까지의 알람 스누즈 상태에서도 사용자에 의해 입력부(12)를 통해 들어오는 명령에 해당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즉, 알람 스누즈 상태는 기존의 대기 상태와 동일하며, 단지 화면 일부분에 현재 스누즈 상태임을 알려주는 아이콘이 표시되는 것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이동통신 단말기의 기능제한을 방지하는 스누즈 알람방법을 보여주는 흐름도로서, 이를 참조하면 설정된 알람 시간이 되어 알람 기능이 동작하는 단계(S1)와, 알람 기능이 작동하는 동안에 알람 중지 기능 또는 스누즈 기능이 선택되는지 판단하는 단계(S2)와, 상기 스누즈 기능이 선택되면 초기화면의 일부에 스누즈 상태임을 표시하고, 알람 중지 기능이 선택되면 일반적인 초기화면을 표시하는 단계(S3, S4)와, 상기와 같은 상태에서 외부키가 입력되는지 판단하는 단계(S5)와, 외부키가 입력된 경우 그에 따른 기능을 수행하는 단계(S7)와, 외부키가 입력되지 않은 경우 현재 화면 상태를 유지하는 단계(S3, S4)로 이루어진다.
따라서 알람이 울릴 때 스누즈 기능키를 선택하게 되면, 제어부(10)는 사용자에게 스누즈 상태임을 알려주기 위한 아아콘을 화면 표시부(13)에 표시한다. 이때 제어부(10)는 스누즈 기능을 유지하게되고, 입력부(12)인 키패드의 키조작을 통해서 해당 기능을 수행할 수 있도록 제어한다. 여기서 상기 해당 기능은 이동통신 단말기마다 지원되는 기능들이 상이하므로, 이에 대한 기술은 생략하도록 한다.
즉, 사용자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모든 기능들을 제한 없이 사용할 수 있으며, 스누즈 시간이 지난 후에는 스누즈 알람이 동작하여 사용자에게 일정 시간이 경과되었음을 알려준다.
이상에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모닝콜 또는 알람을 설정한 후 설정 시간에 알람이 울려 스누즈 기능을 선택했을 때 알람 스누즈 상태를 유지하면서 이동통신 단말기의 모든 기능을 제한 없이 사용할 수 있도록 하여 사용자의 편의성을 높이는 효과가 있다.

Claims (2)

  1. 현재 시각이 설정된 알람시간으로 판단되면 이동통신 단말기의 알람기능이 동작하는 단계와,
    상기 알람기능이 동작하는 동안 스누즈 기능이 선택되면, 스누즈 기능을 실행시켜 스누즈 상태 유지 시간 경과후에 재차 알람기능이 동작하는 단계와,
    상기 스누즈 기능 실행중에 키입력이 감지되면 그에 따른 기능을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기능제한을 방지하는 스누즈 알림방법.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스누즈 기능이 선택되면, 스누즈 상태를 알리는 아이콘이 표시되는 초기화면 상태로 전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기능제한을 방지하는 스누즈 알림방법.
KR1020040063918A 2004-08-13 2004-08-13 이동통신 단말기의 기능제한을 방지하는 스누즈 알람방법 KR10066413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63918A KR100664133B1 (ko) 2004-08-13 2004-08-13 이동통신 단말기의 기능제한을 방지하는 스누즈 알람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63918A KR100664133B1 (ko) 2004-08-13 2004-08-13 이동통신 단말기의 기능제한을 방지하는 스누즈 알람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15084A KR20060015084A (ko) 2006-02-16
KR100664133B1 true KR100664133B1 (ko) 2007-01-04

Family

ID=3712394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63918A KR100664133B1 (ko) 2004-08-13 2004-08-13 이동통신 단말기의 기능제한을 방지하는 스누즈 알람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64133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15084A (ko) 2006-02-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050085215A1 (en) Method and related apparatus for emergency calling in a touch screen mobile phone from a touch screen and keypad lock active state
KR20090059278A (ko) 휴대 단말기 및 그의 알람 설정 방법
KR100310191B1 (ko) 휴대용단말기의분실/도난상태제어방법
KR100621852B1 (ko)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정보 막대 표시 방법
KR100664133B1 (ko) 이동통신 단말기의 기능제한을 방지하는 스누즈 알람방법
KR100408563B1 (ko) 휴대전화기에서 선택적 착신알림을 위한 방법 및 그방법을 채택한 휴대전화기
KR20050048162A (ko) 사생활 보호 기능을 갖는 이동통신 단말 및 이를 이용한착신 정보 관리 방법
KR100575791B1 (ko) 휴대 단말기의 알람시간 아이콘 표시방법
KR20010010168A (ko) 휴대폰 타이머 설정방법
KR101082569B1 (ko) 저전압 모드 전환 기능이 구비된 이동통신 단말기 및 그동작방법
KR100624799B1 (ko) 최소전력모드 구동기능이 구비된 이동통신 단말기 및 그동작방법
KR101155473B1 (ko) 배터리 잔량 확인 기능이 구비된 이동통신 단말기 및 그동작방법
KR100712926B1 (ko) 부가 서비스 관리 기능이 구비된 이동통신 단말기 및 그동작방법
KR100690829B1 (ko) 이동 단말기의 자립형 모드 제어 장치 및 그 방법
KR100679483B1 (ko) 휴대용 단말기의 타이머를 이용한 자동 설정 변경 방법
KR100617549B1 (ko) 인디케이터 설정 정보 표시 기능을 가지는 이동통신단말기 및 그 방법
JP2003234821A (ja) 携帯電子機器
KR100420943B1 (ko) 이동 단말기에서의 통화 자동 리마인더 방법
KR20060014288A (ko) 이동통신 단말기 및 그 전원절약방법
KR100452924B1 (ko) 공공성을 위한 이동 단말기 마취 방법
KR100630079B1 (ko) 진행성 알람 기능을 제공하는 이동 통신 단말기 및 방법
KR100595247B1 (ko) 이동 통신 단말기의 다중 알람 설정 방법
KR101001940B1 (ko) 정보입력 방법 및 장치
JPH0541734A (ja) 連絡スケジユール登録報知機能を有した電話機
KR20000011552U (ko) 진동 모드에서 전화벨 모드로 자동 전환 기능을 갖는 휴대통신기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128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122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124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124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124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124

Year of fee payment: 12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