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62100B1 - Mobile terminal and dangerous situation coping method performed by the mobile terminal - Google Patents

Mobile terminal and dangerous situation coping method performed by the mobile terminal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62100B1
KR100662100B1 KR1020040101107A KR20040101107A KR100662100B1 KR 100662100 B1 KR100662100 B1 KR 100662100B1 KR 1020040101107 A KR1020040101107 A KR 1020040101107A KR 20040101107 A KR20040101107 A KR 20040101107A KR 100662100 B1 KR100662100 B1 KR 10066210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mage
mobile communication
surveillance
reference image
communication termi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101107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060062310A (en
Inventor
윤홍민
Original Assignee
(주)케이티에프테크놀로지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케이티에프테크놀로지스 filed Critical (주)케이티에프테크놀로지스
Priority to KR102004010110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62100B1/en
Publication of KR2006006231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62310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6210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62100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03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 H04M1/72418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for supporting emergency service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5/00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 G08B25/01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ansmission medium
    • G08B25/10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ansmission medium using wireless transmission system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03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 H04M1/7243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with interactive means for internal management of messag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42/00Special services or facilities
    • H04M2242/04Special services or facilities for emergency applicatio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 Alarm Systems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이동 통신 단말기 및 이를 이용한 위급 상황 대처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감시 모드 동작 개시 명령이 입력되는 단계; 상기 카메라부를 통해 처음 입력되는 외부 영상을 기준 이미지로 생성하여 저장하는 단계; (a) 상기 카메라부를 통해 실시간 입력되는 외부 영상을 감시 이미지로 생성하는 단계; (b) 상기 기준 이미지와 감시 이미지가 일치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상기 기준 이미지와 상기 감시 이미지가 불일치하거나 감시 모드 해제 조건을 만족할 때까지 상기 단계 (a) 내지 단계 (b)를 반복하는 단계; 상기 기준 이미지와 상기 감시 이미지가 불일치하는 경우, 위급 상황 대처를 위해 미리 설정된 대응 동작을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거의 대부분의 사람들이 소지하는 이동 통신 단말기를 이용하여 소지자의 안전을 확보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a method for dealing with an emergency using the same.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the steps of inputting a monitor mode operation start command; Generating and storing an external image initially input through the camera unit as a reference image; (a) generating a surveillance image of an external image input in real time through the camera unit; (b) determining whether the reference image and the surveillance image match; Repeating the steps (a) to (b) until the reference image and the surveillance image are inconsistent or satisfy the surveillance mode release condition; If the reference image and the surveillance image are inconsistent, performing a preset corresponding operation to deal with an emergency situa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an advantage that can secure the safety of the holder by using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possessed by almost everyone.

침입, 방범, 카메라, 영상Intrusion, crime prevention, camera, visual

Description

이동 통신 단말기 및 이를 이용한 위급 상황 대처 방법{Mobile terminal and dangerous situation coping method performed by the mobile terminal} Mobile terminal and dangerous situation coping method performed by the mobile terminal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위급 상황 대처 방법을 수행하기 위한 이동 통신 단말기의 블록 구성도.1 is a block diagram of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for performing a method for dealing with an emergenc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 통신 단말기에서 수행되는 위급 상황 대처 방법을 나타낸 순서도.2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method for dealing with an emergency performed in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 통신 단말기의 거치 형태를 나타낸 도면.3 is a view showing a mounting form of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설정 동작 수행 과정을 구체적으로 나타낸 순서도.4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process of performing a setting operation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Description of the symbols for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s>

100 : 이동 통신 단말기 110 : 안테나부100: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10: antenna unit

115 : 송수신부 120 : 송수화부115: transceiver 120: handset

125 : 키입력부 130 : 표시부125: key input unit 130: display unit

135 : 저장부 140 : 전원 공급부135: storage 140: power supply

145 : 카메라부 150 : 위급 상황 판단부145: camera unit 150: emergency situation determination unit

155 : 설정 수행부 160 : 제어신호 발생부155: setting unit 160: control signal generator

165 : 제어부165: control unit

본 발명은 이동 통신 단말기 및 이를 이용한 위급 상황 대처 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구비된 카메라의 프리뷰 모드를 이용하여 침입자가 감지된 경우 신속한 대처가 가능하도록 하는 이동 통신 단말기 및 이를 이용한 위급 상황 대처 방법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an emergency response method using the same, and more particularly, to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an emergency response method using the same when an intruder is detected using the preview mode of the provided camera. will be.

최근 이동 통신 단말기는 현대인의 생활 필수품화되어 가고 있으며, 다양한 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복합 장치화되어 가고 있다. 즉, 이동 통신 단말기는 고유의 전화통화 기능, 단문 메시지 송수신 기능(예를 들어, 생활 정보, 단문 메시지 등) 외에 무선 인터넷 접속 기능을 더 구비하고 있으며, 최근 제조 판매되는 이동 통신 단말기는 디지털 카메라를 구비하여 원하는 피사체를 촬영하거나 동영상으로 저장하는 기능도 더 포함하고 있다.Recently,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s are becoming a necessity of modern people, and complex devices capable of performing various functions are becoming common. That is,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further includes a wireless Internet access function in addition to a unique telephone call function and a short message transmission / reception function (for example, life information and a short message). It also includes a function to shoot a desired subject or save as a video.

그러나, 이러한 이동 통신 단말기는 단지 소지자의 활용 편의성에 치중하여 개발되고 있으며, 당해 소지자를 보호하기 위한 용도로는 개발되고 있지 못한 문제점이 있었다. However, such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has been developed with a focus on convenience of the holder, and has not been developed for the purpose of protecting the holder.

다만, 최근 들어 위험 상황에 직면한 이동 통신 단말기 소지자가 미리 지정된 버튼을 누름으로써 현재 위치 정보, 현재 상황을 촬영한 사진 등을 보호자의 이동 통신 단말기로 전송하는 서비스(예를 들어, LG텔레콤의 알라딘 서비스)가 개발되어 제공되고는 있으나, 이는 위험 상황이 발생된 이후에만 가능한 조치이며 또한 오히려 위험 상황을 악화시킬 수도 있는 문제점이 있었다.However, a service that transmits the current location information, a picture of the current situation to the guardian's mobile terminal by pressing a predetermined button by a mobile terminal holder recently faced with a dangerous situation (for example, Aladdin of LG Telecom) Services have been developed and provided, but this is only possible after a dangerous situation has occurred, and also has a problem that may worsen the dangerous situation.

또한, 종래의 사용자 보호 서비스 방법은 사용자가 반드시 이동 통신 단말기를 소지한 상태에서만 수행될 수 있는 한계가 있었다.In addition, the conventional user protection service method has a limit that can be performed only in the state that the user possesses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따라서,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생활필수품화되어 거의 대부분의 사람들이 소지하는 이동 통신 단말기를 이용하여 소지자의 안전을 확보할 수 있는 이동 통신 단말기 및 이를 이용한 위급 상황 대처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Accordingly,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solving the above-mentioned problems is to provide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a method for dealing with an emergency using the same, which can ensure the safety of the holder by using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possessed by almost all people. To provide.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이동 통신 단말기가 구비된 카메라를 이용하여 외부 영상을 감시함으로써 능동적으로 위험 상황에 대처할 수 있어 소지자가 위험 상황에 직접 노출됨을 방지할 수 있는 이동 통신 단말기 및 이를 이용한 위급 상황 대처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It is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actively deal with a dangerous situation by monitoring an external image using a camera equipped with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so that a bearer can directly prevent exposure to a dangerous situation and cope with an emergency using the same. To provide a way.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위험 상황 발생시 실시간으로 이동 통신 단말기가 다양한 방범 대처 동작을 수행함으로써 신속한 위험 상황 해소가 가능한 이동 통신 단말기 및 이를 이용한 위급 상황 대처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It is still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capable of quickly resolving a dangerous situation by performing various crime prevention operations by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n real time when a dangerous situation occurs and an emergency response method using the same.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위험 상황 발생시 침입자 등으로부터 인명을 보호하기 위한 시스템을 별도로 구축할 필요가 없는 이동 통신 단말기 및 이를 이용한 위급 상황 대처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Still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a method for dealing with an emergency using the same, which do not need to separately establish a system for protecting human life from intruders and the like when a dangerous situation occurs.

상기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카메라부를 구비한 이동 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위급 상황 대처 방법에 있어서, 감시 모드 동작 개시 명령이 입력되는 단계; 상기 카메라부를 통해 처음 입력되는 외부 영상을 기준 이미지로 생성하여 저장하는 단계; (a) 상기 카메라부를 통해 실시간 입력되는 외부 영상을 감시 이미지로 생성하는 단계; (b) 상기 기준 이미지와 감시 이미지가 일치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상기 기준 이미지와 상기 감시 이미지가 불일치하거나 감시 모드 해제 조건을 만족할 때까지 상기 단계 (a) 내지 단계 (b)를 반복하는 단계; 상기 기준 이미지와 상기 감시 이미지가 불일치하는 경우, 위급 상황 대처를 위해 미리 설정된 대응 동작을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위급 상황 대처 방법이 제공되고, 당해 이동 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위급 상황 대처 방법의 수행을 가능하게 하는 이동 통신 단말기, 시스템 및 기록매체가 제공된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an emergency situation coping method using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having a camera unit, comprising the steps of: inputting a monitoring mode operation start command; Generating and storing an external image initially input through the camera unit as a reference image; (a) generating a surveillance image of an external image input in real time through the camera unit; (b) determining whether the reference image and the surveillance image match; Repeating the steps (a) to (b) until the reference image and the surveillance image are inconsistent or satisfy the surveillance mode release condition; When the reference image and the surveillance image is inconsistent, there is provided a method for dealing with an emergency using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the step of performing a pre-set corresponding operation for coping with an emergency. Provided are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 system, and a recording medium that enable the execution of an emergency response method.

상기 이동 통신 단말기는 충전기 또는 거치대와 결합되어 고정된 형태로 배치되고, 상기 기준 이미지 및 상기 감시 이미지는 상기 카메라부의 렌즈 각도에 상응하도록 입력되는 외부 영상을 이용하여 생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s disposed in a fixed form in combination with a charger or a cradle, and the reference image and the surveillance image are generated using an external image input corresponding to the lens angle of the camera unit.

상기 이동 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위급 상황 대처 방법의 단계 (b)는, 상기 기준 이미지와 상기 감시 이미지를 화소 단위로 비교하여 일치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및 불일치하는 하나 이상의 화소가 존재하는 경우, 미리 설정된 화소 범위를 만족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미리 설정된 화소 범위를 만족하는 경우, 상기 기준 이미지와 상기 감시 이미지가 불일치한 것으로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Step (b) of the emergency response method using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comparing the reference image and the surveillance image by the pixel unit to determine whether or not match; And when there is one or more mismatched pixels, determining whether the predetermined pixel range is satisfied. In this case, when the preset pixel range is satisfied, it is determined that the reference image and the surveillance image are inconsistent.

상기 이동 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위급 상황 대처 방법에서 상기 대응 동작은 안전 유지 시스템(예를 들어, 침입 해소 기관 또는 화재 진압 기관에 구비된 시스템)으로 미리 설정된 메시지 전송, 댁내 전화기로의 전화 통화 시도, 알람 동작을 수행하는 댁내 기기로 알람 제어 메시지 전송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the emergency response method using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the corresponding operation may be configured to transmit a preset message to a safety maintenance system (for example, a system provided in an intrusion elimination engine or a fire suppression engine), attempt a telephone call to a home telephone, and an alarm. It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t least one of the alarm control message transmission to the indoor device performing the operation.

상기 이동 통신 단말기는 상기 안전 유지 시스템으로 미리 설정된 메시지 전송하기 위하여, 상기 기준 이미지와 상기 감시 이미지를 화소 단위로 비교하여 일치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및 불일치하는 하나 이상의 화소가 존재하는 경우, 불일치하는 화소에 포함된 색상 정보가 미리 지정된 색상 정보와 일치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일치하는 경우, 미리 저장된 제1 메시지를 추출하고 이동 통신 시스템을 경유하여 화재 진압 기관으로 전송하는 단계; 및 일치하지 않는 경우, 미리 저장된 제2 메시지를 추출하고 이동 통신 시스템을 경유하여 침입 해소 기관으로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Determining, by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whether the reference image is matched with the surveillance image by a pixel unit to transmit a preset message to the safety maintenance system; And determining whether the color information included in the mismatched pixel matches the predetermined color information when at least one mismatched pixel exists. If there is a match, extracting the prestored first message and transmitting it to the fire suppression engine via the mobile communication system; And if it does not match, extracting the pre-stored second message and transmitting the extracted second message to the intrusion resolution organ via the mobile communication system.

상기 감시 모드 해제 조건은 미리 지정된 감시 모드의 동작 시간 조건, 감시 모드 해제 버튼의 입력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monitoring mode release condition may be at least one of an operation time condition of a predefined monitoring mode and an input of a monitoring mode release button.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위급 상황 대처 방법을 수행하는 이동 통신 단말기에 있어서, 감시 모드 동작 개시 명령을 입력받기 위한 입력부; 외부 영상을 기준 이미지 또는 감시 이미지로 생성하는 카메라부-여기서, 상기 카메라부를 통해 처음 입력된 외부 영상이 상기 기준 이미지로 생성되고, 이후의 외부 영상이 순차적인 상기 감시 이미지로 생성됨-; 상기 기준 이미지를 저장하는 저장부; 상기 기준 이미지와 상기 감시 이미지가 일치하는지 여부를 판단하여 판단 신호를 출력하는 위급 상황 판단부; 및 상기 위급 상황 판단부에 의해 상기 기준 이미지와 상기 감시 이미지가 불일치하는 것으로 판단된 경우, 위급 상황 대처를 위해 미리 설정된 대응 동작을 수행하는 설정 수행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급 상황 대처 방법을 수행하는 이동 통신 단말기가 제공된다.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for performing an emergency response method, comprising: an input unit for receiving an input of a monitoring mode operation start command; A camera unit generating an external image as a reference image or a surveillance image, wherein an external image first input through the camera unit is generated as the reference image, and a subsequent external image is generated as the sequential surveillance image; A storage unit which stores the reference image; An emergency situation determination unit determining whether the reference image and the surveillance image match and outputting a determination signal; And a setting execution unit configured to perform a preset response operation for coping with an emergency situation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reference image and the surveillance image are inconsistent by the emergency situation determination unit.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s provided.

상기 이동 통신 단말기는 충전기 또는 거치대와 결합되어 고정된 형태로 배치되고, 상기 카메라부는 렌즈 각도에 상응하도록 입력되는 외부 영상을 이용하여 상기 기준 이미지, 상기 감시 이미지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s fixedly coupled to the charger or the cradle, and the camera unit generates at least one of the reference image and the surveillance image by using an external image input to correspond to a lens angle. do.

상기 위급 상황 판단부는 상기 기준 이미지와 상기 감시 이미지를 화소 단위로 비교하여 일치하는지 여부를 판단하고, 불일치하는 하나 이상의 화소가 존재하면 미리 설정된 화소 범위를 만족하는지 여부를 판단하며, 미리 설정된 화소 범위를 만족하는 경우, 상기 기준 이미지와 상기 감시 이미지가 불일치한 것으로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emergency situation determination unit compares the reference image and the surveillance image on a pixel-by-pixel basis to determine whether they match, and, if there is one or more inconsistent pixels, determines whether a predetermined pixel range is satisfied, and determines a preset pixel range. If it is satisfied, it is determined that the reference image and the surveillance image is inconsistent.

상기 설정 수행부에 의해 수행되는 상기 대응 동작은 상기 대응 동작은 안전 유지 시스템으로 미리 설정된 메시지 전송, 댁내 전화기로의 전화 통화 시도, 알람 동작을 수행하는 댁내 기기로 알람 제어 메시지 전송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corresponding operation performed by the setting execution unit may include at least one of transmitting a preset message to a safety maintenance system, attempting a telephone call to a domestic telephone, and transmitting an alarm control message to an indoor device that performs an alarm operation. It is characterized by including.

상기 위급 상황 판단부에 의한 판단 정보가 불일치하는 화소에 미리 지정된 색상 정보가 포함된 경우 상기 설정 수행부는 미리 저장된 제1 메시지를 추출하고 이동 통신 시스템을 경유하여 화재 진압 기관으로 전송하고, 상기 위급 상황 판단부에 의한 판단 정보가 불일치하는 화소에 미리 지정된 색상 정보가 포함되지 않은 경우 상기 설정 수행부는 미리 저장된 제2 메시지를 추출하고 이동 통신 시스템을 경유하여 침입 해소 기관으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f the predetermined discrepancy information is included in the pixel inconsistent with the determination information by the emergency determination unit, the setting execution unit extracts a first message stored in advance and transmits it to a fire suppression engine via a mobile communication system. If the predetermined color information is not included in the pixel in which the determination information by the determination unit does not match, the setting execution unit extracts the second pre-stored message and transmits the second message to the intrusion elimination engine via the mobile communication system.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Hereinafter, exemplary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위급 상황 대처 방법을 수행하기 위한 이동 통신 단말기의 블록 구성도이다.1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for performing an emergency situation coping method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을 참조하면, 이동 통신 단말기(100)는 안테나부(110), 송수신부(115), 송수화부(120), 키입력부(125), 표시부(130), 저장부(135), 전원 공급부(140), 카메라부(145), 위급 상황 판단부(150), 설정 수행부(155), 제어신호 발생부(160) 및 제어부(165)를 포함한다. 도 1에 도시된 구성 요소들은 반드시 하드웨어 형태로 구현되어야 하는 것은 아니며, 일부 구성요소는 동일한 기능을 수행하도록 미리 설정 된 소프트웨어 프로그램의 형태(예를 들어, 위급 상황 판단부(150), 설정 수행부(155), 제어신호 발생부(160) 등)로도 구현될 수 있음은 자명하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이동 통신 단말기(100)는 휴대폰, 개인 휴대 단말기(PDA : Personal Digital Assistant) 등과 같이 통신 기능을 구비한 장치이면 아무런 제한없이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음은 자명하다.Referring to FIG. 1,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00 includes an antenna unit 110, a transceiver unit 115, a handset unit 120, a key input unit 125, a display unit 130, a storage unit 135, and a power supply unit. 140, a camera unit 145, an emergency situation determination unit 150, a setting execution unit 155, a control signal generator 160, and a controller 165. The components shown in FIG. 1 are not necessarily implemented in hardware, and some components may be in the form of a software program that is preset to perform the same function (for example, the emergency determination unit 150 and the setting execution unit). (155), the control signal generator 160, etc.) is apparent. In addition, it is apparent that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applied to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00 without any limitation as long as the device has a communication function such as a mobile phone or a personal digital assistant (PDA).

안테나부(110)는 송수신부(115)로부터 수신된 전송 신호(예를 들어, 사용자의 음성 데이터, 무선 인터넷 접속 요청 등), 설정 수행부(155)에 의해 전송 요청된 메시지(예를 들어, 단문 메시지)를 이동 통신 서비스 시스템(도시되지 않음)으로 전송하고, 이동 통신 서비스 시스템으로부터 무선 신호를 수신하여 송수신부(115)로 전달한다.The antenna unit 110 transmits a transmission signal (for example, a user's voice data, a wireless Internet connection request, etc.) received from the transceiver unit 115, a message requested for transmission by the setting execution unit 155 (for example, A short message) is transmitted to a mobile communication service system (not shown), and a wireless signal is received from the mobile communication service system and transmitted to the transceiver 115.

송수신부(115)는 안테나부(110)와 결합되어 이동 통신 서비스 시스템으로부터 무선 신호(예를 들어, 음성 데이터, 문자 메시지 등)를 수신하여 송수화부(120) 또는 저장부(135)로 전달하고, 송수화부(120)를 통해 입력된 음성 신호나 설정 수행부(155)에 의해 전송 요청된 메시지 등을 안테나부(110)를 통해 이동 통신 서비스 시스템으로 전송한다.Transceiver 115 is coupled to the antenna unit 110 receives a radio signal (for example, voice data, text messages, etc.) from the mobile communication service system and delivers to the handset 120 or storage 135 The voice signal input through the handset 120 and the message requested to be transmitted by the setting performing unit 155 are transmitted to the mobile communication service system through the antenna unit 110.

송수화부(120)는 스피커 및 마이크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스피커는 안테나부(110)를 통해 이동 통신 서비스 시스템으로부터 수신된 타 사용자의 음성 등을 출력하는 수단이고, 마이크는 이동 통신 단말기(100) 사용자의 음성을 입력받는 수단이다. 또한, 도 1에는 도시되지 않았으나 이동 통신 단말기(100)는 송수신부(115)를 통해 수신된 음성 신호를 처리하여 송수화부(120)를 통해 출력되도록 하고, 또 한 송수화부(120)를 통해 입력된 음성 신호를 처리하여 송수신부(115)로 전달하는 음성 처리부가 더 포함될 수 있다.The handset 120 includes a speaker and a microphone. The speaker is a means for outputting the voice of another user received from the mobile communication service system through the antenna unit 110, and the microphone is a means for receiving the voice of the user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00. In addition, although not shown in FIG. 1,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00 processes the voice signal received through the transceiver 115 to be output through the handset 120, and is also input through the handset 120. A voice processor for processing the received voice signal and transmitting the same to the transceiver 115 may be further included.

키입력부(125)는 복수의 키 버튼을 포함하여 구성되며, 감시 모드 진입 명령, 사용자로부터 위급 상황 발생시 대처를 위한 설정 정보 등을 입력받기 위한 수단이다. 이동 통신 단말기(100)의 동작을 수행하기 위한 키 입력부(125)의 기능은 종래의 일반적인 기능과 하기의 설명을 통해 충분히 이해할 수 있을 것이므로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The key input unit 125 is configured to include a plurality of key buttons and is a means for receiving a monitoring mode entry command, setting information for coping with an emergency in response to a user. Since the function of the key input unit 125 for performing the operation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00 will be fully understood through the following general functions and the following description, a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표시부(130)는 사용자의 키 입력에 상응하는 동작 상태, 카메라부(145)를 통해 입력되는 외부 영상 이미지 등을 표시하기 위한 수단이다. 표시부(130)는 예를 들어 액정 화면일 수 있다.The display unit 130 is a means for displaying an operation state corresponding to a user's key input, an external video image input through the camera unit 145, and the like. The display unit 130 may be, for example, a liquid crystal display.

저장부(135)는 이동 통신 단말기(100)의 운용 프로그램, 사용자에 의해 설정된 위급 상황 발생시 대처를 위한 설정 정보(예를 들어, 대처 동작 순서, 단문 메시지 전송을 위한 메시지 내용 및 수신처 전화번호, 능동적으로 전화 통화를 수행하기 위한 전화번호, 알람 동작을 수행할 수 있는 댁내 기기들로 전송하기 위한 알람 제어 메시지 생성 프로그램 등), 이동 통신 단말기(100)가 통신 서비스를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통신 관련 정보(예를 들어, 단말기 일련번호(ESN : Electronic Serial Number), 전화번호 등), 사용자 개인 정보(예를 들어, 전화번호부, 단문 메시지 송수신 데이터 등), 최근 통화기록(즉, 최근 발신 전화번호, 최근 수신 전화번호) 등을 저장한다. 저장부(135)는 저장되는 정보의 유형에 따라 복수의 저장부 또는 독립된 저장 영역들로 구성될 수 있다.The storage unit 135 may include an operation program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00 and setting information for coping with an emergency situation set by a user (for example, a coping operation sequence, a message content for transmitting a short message, a destination telephone number, and an active call). Phone number for making a phone call, an alarm control message generating program for transmitting to indoor devices capable of performing an alarm operation, etc.), and communication related information for allowing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00 to perform a communication service. (E.g., terminal serial number (ESN: Electronic Serial Number), phone number, etc.), user personal information (e.g. phone book, short message transmission data, etc.), recent call log (i.e., recent outgoing phone number, Recent incoming phone number). The storage unit 135 may be configured of a plurality of storage units or independent storage areas according to the type of information to be stored.

전원 공급부(140)는 이동 통신 단말기(100)의 동작이 가능하도록 전원을 공급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전원 공급부(155)는 예를 들어 배터리(Battery)와 접속하기 위한 접속 단자, 태양전지 등일 수 있다.The power supply unit 140 performs a function of supplying power to enable the operation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00. The power supply unit 155 may be, for example, a connection terminal for connecting to a battery, a solar cell, or the like.

카메라부(145)는 외부 영상을 입력받아 이미지를 생성하여 저장부(135)에 저장하는 수단이다. 예를 들어, 카메라부(145)는 렌즈, 이미지 센서, CDS/AGC(Correlated Double Sampling/Auto Gain Control), ADC(Analog to Digital Converter), DSP(Digital Signal Processor), 임시 메모리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이미지 센서는 렌즈를 통해 입력되는 외부 영상에 상응하는 광 신호를 전기적 신호(촬영 영상 신호)로 변환 출력하고, CDS/AGC는 이미지 센서에 의해 출력된 전기적 신호를 상관 더블 샘플링하고 이득 조절한다. ADC는 CDS/AGC에 의해 출력된 아날로그 신호를 디지털신호로 변환하여 출력한다. DSP는 디지털 변환된 신호를 영상 신호로 처리한다. 제어부(165)는 영상 신호를 임시 메모리에 저장하여 표시부(130)를 통해 표시되도록 하거나(즉, 사진 촬영 등의 경우의 프리뷰(Preview) 모드) 사용자로부터 영상 저장 명령이 입력되면 임시 메모리에 저장된 해당 영상 신호를 이미지로서 저장부(135)에 저장한다. 물론, 카메라부(145)의 구성이나 세부 기능은 다양하게 구현될 수 있다. 또한, 당해 이동 통신 단말기(100)가 감시 모드로 동작하는 경우 제어부(165)는 기준 이미지를 생성하여 저장부(135) 또는 임시 메모리에 저장한다. The camera unit 145 is a means for receiving an external image, generating an image, and storing the image in the storage unit 135. For example, the camera unit 145 may include a lens, an image sensor, a correlated double sampling / auto gain control (CDS / AGC), an analog to digital converter (ADC), a digital signal processor (DSP), a temporary memory, and the like. have. The image sensor converts and outputs an optical signal corresponding to an external image input through the lens to an electrical signal (photographed image signal), and the CDS / AGC correlates double-samples and gain-adjusts the electrical signal output by the image sensor. The ADC converts the analog signal output by the CDS / AGC into a digital signal and outputs it. The DSP processes the digitally converted signal into an image signal. The controller 165 stores the image signal in the temporary memory to be displayed through the display unit 130 (that is, in the preview mode in case of taking a picture) or when the image storage command is input from the user, the controller 165 stores the image signal in the temporary memory. The video signal is stored in the storage unit 135 as an image. Of course, the configuration or detailed functions of the camera unit 145 may be implemented in various ways. In addition, when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00 operates in the monitoring mode, the controller 165 generates a reference image and stores the reference image in the storage 135 or a temporary memory.

위급 상황 판단부(150)는 기준 이미지와 현재 카메라부(145)를 통해 입력되는 외부 영상의 일치 여부를 판단하여 불일치하는 경우 위급 상황(즉, 침입 상황 또는 재해 상황)으로 판단하고, 설정 수행 개시 신호(즉, 침입 대처 개시 신호 또는 재해 대처 개시 신호)를 생성하여 설정 수행부(155)로 전달한다.The emergency situation determination unit 150 determines whether the reference image matches the external image currently input through the camera unit 145 and determines that it is an emergency situation (that is, an intrusion situation or a disaster situation), and starts to perform setting. A signal (that is, an intrusion coping start signal or a disaster coping start signal) is generated and transmitted to the setting performing unit 155.

설정 수행부(155)는 위급 상황 판단부(150)로부터 설정 수행 개시 신호가 수신되면, 사용자가 위급 상황 발생시 대처를 위해 설정한 설정 정보를 수행한다. 설정 수행부(155)의 동작 과정은 이후 도 2 및 도 3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설정 수행부(155)는 제어부(165)에 포함될 수도 있다.When the setting execution start signal is received from the emergency determination unit 150, the setting execution unit 155 performs setting information set by the user for coping with an emergency situation. An operation process of the setting execution unit 155 will be described in detail later with reference to FIGS. 2 and 3. The setting execution unit 155 may be included in the control unit 165.

제어신호 발생부(160)는 위급 상황 판단부(150)에 의해 위급 상황으로 판단된 경우, 제어부(165) 또는 설정 수행부(155)의 제어에 의해 알람 개시 신호를 생성하고, 미리 저장된 설정 정보에 상응하여 알람(Alarm) 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댁내 기기로 알람 개시 신호를 전송한다. 알람 개시 신호는 이동 통신 단말기(100)에 구비된 근거리 무선 통신 기능을 이용하여 댁내 기기로 전송될 수 있다. 이때, 근거리 무선 통신 기능은 ad-hoc 네트워킹으로 주로 댁내의 기기간 직접 네트워킹하는 다이렉트 모드(Direct Mode)로서 동작할 수 있다. 이동 통신 단말기(100)로부터 알람 개시 신호를 수신한 댁내 기기는 미리 설정된 알람 동작(예를 들어, 사이렌, 경광 등)을 수행한다.When the control signal generator 160 determines the emergency situation by the emergency situation determination unit 150, the control signal generator 160 generates an alarm start signal under the control of the control unit 165 or the setting execution unit 155, and stores previously stored setting information. In response to the alarm (Alarm) function that transmits the alarm start signal to the indoor device that can perform the alarm function. The alarm start signal may be transmitted to an indoor device using a short range wireless communication function provided in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00. At this time, the short-range wireless communication function may operate as a direct mode (direct mode) for direct networking between devices in the home mainly through ad-hoc networking. The indoor device that receives the alarm start signal from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00 performs a preset alarm operation (eg, siren, warning, etc.).

제어부(165)는 본 발명에 따른 이동 통신 단말기가 위급 상황 대처 방법을 수행할 수 있도록 안테나부(110), 송수신부(115), 송수화부(120), 키입력부(125), 표시부(130), 저장부(135), 전원 공급부(140), 카메라부(145), 위급 상황 판단부(150), 설정 수행부(155), 제어신호 발생부(160)를 제어한다.The controller 165 is the antenna unit 110, the transceiver 115, the handset 120, the key input unit 125, the display unit 130 so that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perform the emergency response method The controller 135 controls the storage unit 135, the power supply unit 140, the camera unit 145, the emergency situation determination unit 150, the setting execution unit 155, and the control signal generator 160.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 통신 단말기에서 수행되는 위급 상황 대처 방법을 나타낸 순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 통신 단말기의 거치 형태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설정 동작 수행 과정을 구체적으로 나타낸 순서도이다.2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method for dealing with an emergency performed in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3 is a view showing a mounting form of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process of performing a setting operation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여 상응하는 조치를 능동적으로 수행하게 된다. 즉, 본 발명에 따른 위급 상황 대처 방법을 수행하는 이동 통신 단말기(100)는 사용자가 반드시 이동 통신 단말기(100)를 소지하여야 하는 제한이 없으므로 사용자의 수면, 외출 등의 경우 효과적으로 이용될 수 있다.The corresponding action is actively performed. That is,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00 performing the emergency response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effectively used when the user sleeps, goes out, etc., since the user does not necessarily have to carry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00.

다시 도 2를 참조하면, 감시 조건이 만족된 경우, 단계 215에서 위급 상황 판단부(150)는 감시 모드로 전환한 후 최초로 입력되는 외부 영상을 기준 이미지로서 생성하여 저장한다. 기준 이미지는 카메라부(145) 또는 위급 상황 판단부(150)에 포함된 임시 메모리나 저장부(135)에 저장될 수 있다. Referring back to FIG. 2, when the monitoring condition is satisfied, the emergency situation determination unit 150 converts to the monitoring mode in step 215 and generates and stores an external image first input as a reference image. The reference image may be stored in the temporary memory or the storage 135 included in the camera unit 145 or the emergency determination unit 150.

이어서, 단계 220에서 카메라부(145)는 실시간으로 입력되는 외부 영상을 감시 이미지로 임시 메모리에 저장한다. 카메라부(145)는 사용자에 의해 감시 모드 동작 개시 명령이 입력되면 프리뷰(Preview) 모드에서 동작한다. In operation 220, the camera unit 145 stores an external image input in real time as a surveillance image in a temporary memory. The camera unit 145 operates in the preview mode when a surveillance mode operation start command is input by the user.

단계 230에서 위급 상황 판단부(150)는 단계 215를 통해 저장된 기준 이미지와 단계 220을 통해 생성된 감시 이미지가 일치하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기준 이미지와 감시 이미지가 일치하는지 여부는 화소 단위로 순차적으로 비교 판단할 수 있으며, 미리 설정된 화소 범위(예를 들어, 화소 수량, 불일치하는 화소들의 면적) 이상 불일치하는 경우에만 양자가 불일치하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이는 예를 들어 침입자나 재해에 해당하지 않는 물체(예를 들어, 파리 등)가 외부 영상으로서 입력된 경우 오동작을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In step 230, the emergency determination unit 150 determines whether the reference image stored in step 215 and the surveillance image generated in step 220 match. Whether or not the reference image and the surveillance image are identical may be compared and judged sequentially in units of pixels, and it is determined that the two are inconsistent only when there is a mismatch over a preset pixel range (for example, the number of pixels and the area of the inconsistent pixels). can do. This is to prevent a malfunction, for example, when an intruder or an object that does not correspond to a disaster (for example, a fly, etc.) is input as an external image.

기준 이미지와 감시 이미지가 불일치하는 것으로 판단되면, 단계 240으로 진행하여 미리 설정된 설정 동작을 수행한다. 이하, 도 4를 참조하여 이동 통신 단말기(100)에서 위급 상황시 수행되는 설정 동작을 간략히 설명한다.If it is determined that the reference image and the surveillance image do not match, the flow proceeds to step 240 to perform a preset setting operation. Hereinafter, a setting operation performed in an emergency situation in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00 will be briefly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4.

도 4를 참조하면, 위급 상황 판단부(150)는 단계 410에서 기준 이미지와 감시 이미지를 화소 단위로 비교할 때, 감시 이미지에서 변경된 화소들이 특정 색상(예를 들어, 연기에 상응하는 흰색, 화염에 상응하는 붉은색) 정보를 많이 포함하고 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Referring to FIG. 4, when the emergency situation determination unit 150 compares the reference image and the surveillance image in units of pixels in step 410, the pixels changed in the surveillance image may be changed to a specific color (for example, white corresponding to smoke or flame). It is determined whether it contains a lot of corresponding red information.

특정 색상 정보를 많이 포함하고 있는 경우, 위급 상황 판단부(150)는 현재 발생한 위급 상황이 재해 상황인 것으로 인식하여 재해 대처 개시 신호를 생성하여 설정 수행부(155)로 전달한다. 설정 수행부(155)는 재해 대처 개시 신호에 상응하여 저장된 메시지(예를 들어, "서울 강남구 역삼1동 현대아파트 100동 101호 화재발생" 등), 수신처 전화번호(예를 들어, 119)를 저장부(135)에서 추출하여, 송신용 메시지를 생성하고, 생성된 송신용 메시지를 통신망을 통해 이동 통신 서비스 시스템으로 전송한다(단계 415). 이동 통신 서비스 시스템은 이동 통신 단말기(100)로부터 수신한 송신용 메시지를 수신처 전화번호에 상응하는 화재 진압 기관으로 전송한다.In the case of including a lot of specific color information, the emergency situation determination unit 150 recognizes that the current emergency situation is a disaster situation, generates a disaster response start signal, and transmits it to the setting execution unit 155. The setting execution unit 155 stores a message stored in correspondence with the disaster response start signal (for example, “100 fires in Hyundai apartment 100-101, Yeoksam 1-dong, Gangnam-gu, Seoul”), and a destination telephone number (for example, 119). Extracted from the storage unit 135 generates a message for transmission, and transmits the generated message for transmission to a mobile communication service system through a communication network (step 415). The mobile communication service system transmits the transmission message received from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00 to the fire suppression engine corresponding to the destination telephone number.

그러나, 특정 색상 정보가 많이 포함되지 않은 경우, 위급 상황 판단부(150)는 현재 발생한 위급 상황이 침입 상황인 것으로 인식하여 침입 대처 개시 신호를 생성하여 설정 수행부(155)로 전달한다. 설정 수행부(155)는 침입 대처 개시 신호에 상응하여 저장된 메시지(예를 들어, "서울 강남구 역삼1동 현대아파트 100동 101호 도둑침입" 등), 수신처 전화번호(예를 들어, 112)를 저장부(135)에서 추출하여, 송신용 메시지를 생성하고, 생성된 송신용 메시지를 통신망을 통해 이동 통신 서비스 시스템으로 전송한다(단계 420). 이동 통신 서비스 시스템은 이동 통신 단말기(100)로부터 수신한 송신용 메시지를 수신처 전화번호에 상응하는 침입 해소 기관(예를 들어, 경찰서, 경비업체 등)으로 전송한다.However, when a lot of specific color information is not included, the emergency situation determination unit 150 recognizes that the current emergency situation is an intrusion situation, generates an intrusion coping start signal, and transmits it to the setting execution unit 155. The setting execution unit 155 may store a message (eg, “Theft invasion of Hyundai apartment 100-101, Yeoksam 1-dong, Gangnam-gu, Seoul”, etc.) corresponding to the intrusion coping start signal, and a destination telephone number (eg, 112). The storage unit 135 extracts the message for generation, and transmits the generated transmission message to the mobile communication service system through the communication network (step 420). The mobile communication service system transmits a transmission message received from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00 to an intrusion elimination organization (for example, a police station, a security company, etc.) corresponding to the destination telephone number.

단계 415 및 단계 420에서 이용되는 메시지나 수신처 전화번호는 사용자에 의해 사전 저장될 수 있으며, 각 재해 상황에 상응하는 메시지나 전화번호를 입력하기 위한 메뉴 구성이나 데이터 저장 형태는 당업자가 용이하게 도출할 수 있을 것이므로 이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The message or destination telephone number used in steps 415 and 420 may be pre-stored by the user, and a menu configuration or data storage form for inputting a message or telephone number corresponding to each disaster situation may be easily derive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Since it will be able to be described, the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또한, 이동 통신 단말기(100)는 카메라부(145)를 통해 입력되어 임시 메모리나 저장부(135)에 저장된 감시 이미지가 기준 이미지와 불일치하는 경우 침입자 식별 등의 목적을 위해 해당 감시 이미지가 저장부(135)의 미리 설정된 저장 영역 내에 저장되도록 할 수도 있다. 그리고, 임시 메모리나 저장부(135)에 저장된 기준 이미지와 일치하는 감시 이미지들은 저장 용량의 확보 등을 위해 선입선출(FIFO) 방법 등을 이용하여 삭제할 수 있다.In addition, when the surveillance image input through the camera unit 145 and stored in the temporary memory or the storage unit 135 is inconsistent with the reference image, the surveillance image is stored for the purpose of identifying an intruder. It can also be stored in the preset storage area of (135). In addition, the surveillance images that match the reference image stored in the temporary memory or the storage unit 135 may be deleted using a first-in first-out (FIFO) method to secure a storage capacity.

이후, 단계 425에서 이동 통신 단말기(100)는 저장부(135)에 저장된 전화번호(즉, 댁내에 구비된 전화기의 전화번호)로 전화 통화를 시도한다. 물론, 당해 전화번호가 복수로 저장된 경우 이동 통신 단말기(100)는 저장된 전화번호들을 이용 하여 순차적으로 전화통화를 시도한다.Thereafter, in step 425,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00 attempts to make a phone call using a phone number stored in the storage unit 135 (that is, a phone number of a telephone provided in the home). Of course, when a plurality of phone numbers are stored,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00 attempts a phone call sequentially using the stored phone numbers.

또한, 이동 통신 단말기(100)는 단계 430에서 알람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댁내 기기들로 전송할 알람 제어 메시지를 생성하고, 근거리 무선 통신망을 통해 당해 알람 제어 메시지를 전송한다.In operation 430,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00 generates an alarm control message to be transmitted to indoor devices for performing the alarm function, and transmits the alarm control message through a local area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도 4에는 이동 통신 단말기(100)가 수행하는 설정 동작이 단문 메시지 전송, 전화 통화 시도 및 알람 제어 메시지 전송의 순으로 도시되었으나, 그 수행 순서는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을 뿐 아니라 새로운 설정 동작(예를 들어, 이동 통신 단말기(100) 자체의 알람음 송출)이 더 추가될 수 있음은 자명하다.In FIG. 4, the setting operation performed by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00 is illustrated in the order of a short message transmission, a telephone call attempt, and an alarm control message transmission. For example, the alarm sound transmission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00 itself may be further added.

또한, 사용자는 감시 모드로 동작하기 위한 시간 범위(예를 들어, 1시간 등)를 설정할 수 있으며, 감시 모드 동작 중에서 감시 모드 해제 기능(예를 들어, 미리 지정된 키 버튼의 입력)을 이용하여 감시 모드를 중지시킬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이동 통신 단말기(100)의 렌즈를 출입문쪽으로 향하게 한 후 감시 모드를 개시한 이후 감시 모드 동작 시간 내에 사용자가 출입문을 열고 집안 내부로 진입한 경우에도 이동 통신 단말기(100)는 위급 상황으로 인식할 수 있다. 이 경우, 사용자는 미리 지정된 시간(즉, 기준 이미지와 감시 이미지가 다름을 인식한 후 미리 설정된 설정 동작을 수행하기까지의 대기 시간이며 예를 들어, 10초일 수 있음) 내에 감시 모드 해제 기능을 선택함으로써 불필요한 설정 동작 수행을 방지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user can set a time range (for example, 1 hour, etc.) for operating in the monitoring mode, and monitor using the monitoring mode cancel function (for example, input of a predetermined key button) during the monitoring mode operation. You can also stop the mode. For example, even if the user opens the door and enters the house within the monitoring mode operation time after the user starts the monitoring mode after pointing the lens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00 toward the door,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00 It can be recognized as an emergency. In this case, the user selects the wakeup mode within a predetermined time (i.e., the waiting time for recognizing the difference between the reference image and the surveillance image and performing a preset setting operation, which may be, for example, 10 seconds). By doing so, unnecessary setting operation can be prevented.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이동 통신 단말기 및 이를 이용한 위급 상황 대처 방법은 생활필수품화되어 거의 대부분의 사람들이 소지하는 이동 통신 단말기를 이용하여 소지자의 안전을 확보할 수 있다. As described above,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the emergency response method using the sam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secured by using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possessed by almost all people.

또한, 본 발명은 이동 통신 단말기가 구비된 카메라를 이용하여 외부 영상을 감시함으로써 능동적으로 위험 상황에 대처할 수 있어 소지자가 위험 상황에 직접 노출됨을 방지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can actively deal with a dangerous situation by monitoring an external image using a camera equipped with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holder is directly exposed to the dangerous situation.

또한, 본 발명은 위험 상황 발생시 실시간으로 이동 통신 단말기가 다양한 방범 대처 동작을 수행함으로써 신속한 위험 상황 해소가 가능하다.In add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dangerous situation occurs,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can quickly solve the dangerous situation by performing various security measures.

또한, 본 발명은 위험 상황 발생시 침입자 등으로부터 인명을 보호하기 위한 시스템을 별도로 구축할 필요가 없다.
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does not need to separately establish a system for protecting human life from intruders or the like when a dangerous situation occurs.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하기의 특허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Although the above has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ose skilled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as set forth in the claims below It will be appreciated that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can be made.

Claims (12)

카메라부를 구비한 이동 통신 단말기가 수행하는 위급 상황 대처 방법에 있어서,In the emergency response method performed by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having a camera unit, (a) 감시 모드 동작 개시 명령이 입력되면, 상기 카메라부를 통해 처음 입력되는 외부 영상을 기준 이미지로 생성하여 저장하는 단계;(a) generating and storing an external image, which is first input through the camera unit, as a reference image when a surveillance mode operation start command is input; (b) 상기 카메라부를 통해 실시간 입력되는 외부 영상을 감시 이미지로 생성하는 단계;(b) generating a surveillance image of an external image input in real time through the camera unit; (c) 상기 기준 이미지와 감시 이미지가 일치하는지 여부를 화소 단위로 비교하여 판단하는 단계;(c) comparing and comparing the reference image and the surveillance image on a pixel-by-pixel basis and determining the same; (d) 상기 기준 이미지와 상기 감시 이미지에서 불일치하는 복수의 화소가 존재하는 경우, 불일치하는 복수의 화소에 상응하는 색상 정보가 미리 지정된 색상 정보와 일치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d) determining whether the color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plurality of mismatched pixels matches the predetermined color information when there are a plurality of mismatched pixels in the reference image and the surveillance image; (e) 미리 지정된 색상 정보와 일치하는 경우, 이동 통신 시스템을 경유하여 미리 저장된 제1 메시지를 화재 진압 기관으로 전송하는 단계; 및(e) if it matches the predetermined color information, sending a pre-stored first message to the fire suppression engine via the mobile communication system; And (f) 미리 지정된 색상 정보와 불일치하는 경우, 이동 통신 시스템을 경유하여 미리 저장된 제2 메시지를 침입 해소 기관으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되,(f) if it is inconsistent with the predetermined color information, transmitting a second pre-stored message to the intrusion elimination authority via the mobile communication system, 상기 단계 (b) 및 단계 (c)는 상기 기준 이미지와 상기 감시 이미지가 불일치하거나 감시 모드 해제 조건을 만족할 때까지 반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위급 상황 대처 방법.The step (b) and step (c) is repeated until the reference image and the surveillance image is inconsistent or satisfies the surveillance mode release condition, it characterized in that the emergency communication method using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제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이동 통신 단말기는 충전기 또는 거치대와 결합되어 고정된 형태로 배치되고, 상기 기준 이미지 및 상기 감시 이미지는 상기 카메라부의 렌즈 각도에 상 응하도록 입력되는 외부 영상을 이용하여 생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위급 상황 대처 방법.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s disposed in a fixed form in combination with a charger or a cradle, and the reference image and the surveillance image are generated using an external image input to correspond to the lens angle of the camera unit. Emergency response method using the terminal. 제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단계 (c)는,Step (c) is, 상기 기준 이미지와 상기 감시 이미지를 화소 단위로 비교하여 일치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및Comparing the reference image with the surveillance image on a pixel-by-pixel basis to determine whether they match; And 불일치하는 하나 이상의 화소가 존재하는 경우, 미리 설정된 화소 범위를 만족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를 포함하되,If there is one or more mismatched pixels, determining whether the predetermined pixel range is satisfied, 미리 설정된 화소 범위를 만족하는 경우, 상기 기준 이미지와 상기 감시 이미지가 불일치한 것으로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위급 상황 대처 방법.When the predetermined pixel range is satisfied, it is determined that the reference image and the surveillance image is inconsistent. 제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댁내 전화기로의 전화 통화 시도, 알람 동작을 수행하는 댁내 기기로 알람 제어 메시지 전송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실행하는 단계가 상기 단계 (f) 이후에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위급 상황 대처 방법.Addressing an emergency situation using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wherein the step of executing at least one of an attempt to make a phone call to an indoor phone and transmitting an alarm control message to an indoor device performing an alarm operation is performed after the step (f). Way. 삭제delete 제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감시 모드 해제 조건은 미리 지정된 감시 모드의 동작 시간 조건, 감시 모드 해제 버튼의 입력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위급 상황 대처 방법.The monitoring mode release condition is an emergency time response method using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characterized in that at least one of an operation time condition of a predetermined monitoring mode, input of the monitoring mode release button. 위급 상황 대처 방법을 수행하는 이동 통신 단말기에 있어서,In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performing an emergency response method, 감시 모드 동작 개시 명령을 입력받기 위한 입력부;An input unit to receive a monitoring mode operation start command; 외부 영상을 기준 이미지 또는 감시 이미지로 생성하는 카메라부-여기서, 상기 카메라부를 통해 처음 입력된 외부 영상이 상기 기준 이미지로 생성되고, 이후의 외부 영상이 순차적인 상기 감시 이미지로 생성됨-;A camera unit generating an external image as a reference image or a surveillance image, wherein an external image first input through the camera unit is generated as the reference image, and a subsequent external image is generated as the sequential surveillance image; 상기 기준 이미지를 저장하는 저장부;A storage unit which stores the reference image; 상기 기준 이미지와 상기 감시 이미지가 일치하는지 여부를 화소 단위로 판단하여 판단 신호를 출력하는 위급 상황 판단부; 및An emergency situation determination unit for determining whether the reference image and the surveillance image are identical and outputting a determination signal by pixel unit; And 상기 위급 상황 판단부에 의해 상기 기준 이미지와 상기 감시 이미지가 불일치하는 것으로 판단된 경우, 불일치하는 복수의 화소에 상응하는 색상 정보가 미리 지정된 색상 정보와 일치하는 경우에는 이동 통신 시스템을 경유하여 미리 저장된 제1 메시지를 화재 진압 기관으로 전송하고, 불일치하는 복수의 화소에 상응하는 색상 정보가 미리 지정된 색상 정보와 불일치하는 경우에는 이동 통신 시스템을 경유하여 미리 저장된 제2 메시지를 침입 해소 기관으로 전송하는 설정 수행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급 상황 대처 방법을 수행하는 이동 통신 단말기.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reference image and the surveillance image are inconsistent by the emergency situation determination unit, when the color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plurality of inconsistent pixels matches the predetermined color information, they are stored in advance through the mobile communication system. A setting for transmitting the first message to the fire suppression engine and for transmitting the second message stored in advance to the intrusion eliminating authority via the mobile communication system when the color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plurality of mismatched pixels is inconsistent with the predetermined color information.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for performing an emergency response method comprising the execution unit. 제7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7, wherein 상기 이동 통신 단말기는 충전기 또는 거치대와 결합되어 고정된 형태로 배치되고, 상기 카메라부는 렌즈 각도에 상응하도록 입력되는 외부 영상을 이용하여 상기 기준 이미지, 상기 감시 이미지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 로 위급 상황 대처 방법을 수행하는 이동 통신 단말기.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s fixedly coupled to the charger or the cradle, and the camera unit generates at least one of the reference image and the surveillance image using an external image input to correspond to a lens angle.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that performs emergency response measures. 제7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7, wherein 상기 위급 상황 판단부는 상기 기준 이미지와 상기 감시 이미지를 화소 단위로 비교하여 일치하는지 여부를 판단하고, 불일치하는 하나 이상의 화소가 존재하면 미리 설정된 화소 범위를 만족하는지 여부를 판단하며, 미리 설정된 화소 범위를 만족하는 경우, 상기 기준 이미지와 상기 감시 이미지가 불일치한 것으로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급 상황 대처 방법을 수행하는 이동 통신 단말기.The emergency situation determination unit compares the reference image and the surveillance image on a pixel-by-pixel basis to determine whether they match, and, if there is one or more inconsistent pixels, determines whether a predetermined pixel range is satisfied, and determines a preset pixel range. And if it is satisfied, it is determined that the reference image and the surveillance image are inconsistent. 제7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7, wherein 상기 설정 수행부는 댁내 전화기로의 전화 통화 시도, 알람 동작을 수행하는 댁내 기기로 알람 제어 메시지 전송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더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급 상황 대처 방법을 수행하는 이동 통신 단말기.And the setting execution unit further performs at least one of an attempt to make a phone call to an indoor phone and an alarm control message transmission to an indoor device performing an alarm operation. 삭제delete 위급 상황 대처 방법을 수행하기 위해 이동 통신 단말기에 의해 실행될 수 있는 명령어들의 프로그램이 유형적으로 구현되어 있으며, 상기 이동 통신 단말기에 의해 판독될 수 있는 프로그램을 기록한 기록매체에 있어서,In the recording medium recording a program that can be read by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s programmatically implemented by the mobile terminal to perform the emergency response method, (a) 감시 모드 동작 개시 명령이 입력되면, 카메라부를 통해 처음 입력되는 외부 영상을 기준 이미지로 생성하여 저장하는 단계;(a) generating a reference image and storing an external image first input through a camera unit when a surveillance mode operation start command is input; (b) 상기 카메라부를 통해 실시간 입력되는 외부 영상을 감시 이미지로 생성하는 단계;(b) generating a surveillance image of an external image input in real time through the camera unit; (c) 상기 기준 이미지와 감시 이미지가 일치하는지 여부를 화소 단위로 비교하여 판단하는 단계;(c) comparing and comparing the reference image and the surveillance image on a pixel-by-pixel basis and determining the same; (d) 상기 기준 이미지와 상기 감시 이미지에서 불일치하는 복수의 화소가 존재하는 경우, 불일치하는 복수의 화소에 상응하는 색상 정보가 미리 지정된 색상 정보와 일치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d) determining whether the color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plurality of mismatched pixels matches the predetermined color information when there are a plurality of mismatched pixels in the reference image and the surveillance image; (e) 미리 지정된 색상 정보와 일치하는 경우, 이동 통신 시스템을 경유하여 미리 저장된 제1 메시지를 화재 진압 기관으로 전송하는 단계; 및(e) if it matches the predetermined color information, sending a pre-stored first message to the fire suppression engine via the mobile communication system; And (f) 미리 지정된 색상 정보와 불일치하는 경우, 이동 통신 시스템을 경유하여 미리 저장된 제2 메시지를 침입 해소 기관으로 전송하는 단계를 실행하되,(f) if it is inconsistent with the predetermined color information, executing the step of transmitting the second pre-stored message to the intrusion eliminating authority via the mobile communication system, 상기 단계 (b) 및 단계 (c)는 상기 기준 이미지와 상기 감시 이미지가 불일치하거나 감시 모드 해제 조건을 만족할 때까지 반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그램을 기록한 기록매체.The steps (b) and (c) are repeated until the reference image and the surveillance image are inconsistent or meet the surveillance mode release condition.
KR1020040101107A 2004-12-03 2004-12-03 Mobile terminal and dangerous situation coping method performed by the mobile terminal KR100662100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101107A KR100662100B1 (en) 2004-12-03 2004-12-03 Mobile terminal and dangerous situation coping method performed by the mobile terminal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101107A KR100662100B1 (en) 2004-12-03 2004-12-03 Mobile terminal and dangerous situation coping method performed by the mobile terminal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62310A KR20060062310A (en) 2006-06-12
KR100662100B1 true KR100662100B1 (en) 2006-12-27

Family

ID=3715849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101107A KR100662100B1 (en) 2004-12-03 2004-12-03 Mobile terminal and dangerous situation coping method performed by the mobile terminal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62100B1 (en)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69593B1 (en) * 2013-02-20 2014-12-05 서용창 Method for detecting synchronized terminal posed similar to a base pose data, method for sending a message and computer readable recording medium storing program for the same
KR101514244B1 (en) * 2013-12-19 2015-04-22 엠지코(주) Jacket Life-saving lamp Consisting of Communication functions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76046B1 (en) * 2007-10-09 2010-08-17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System and method for selecting user-preferred area on rendering vide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152341A (en) * 2000-11-10 2002-05-24 Kenwood Corp Portable telephone and crime preventing system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152341A (en) * 2000-11-10 2002-05-24 Kenwood Corp Portable telephone and crime preventing system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14152341 *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69593B1 (en) * 2013-02-20 2014-12-05 서용창 Method for detecting synchronized terminal posed similar to a base pose data, method for sending a message and computer readable recording medium storing program for the same
KR101514244B1 (en) * 2013-12-19 2015-04-22 엠지코(주) Jacket Life-saving lamp Consisting of Communication function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62310A (en) 2006-06-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3701961B1 (en) Portable radio with emergency call function, emergency call device and emergency call system
KR100662598B1 (en) Video-phone terminal apparatus, image-shooting method, and computer product
KR20040096579A (en) Monitor system
JP2008217438A (en) Multiple dwelling house management system coping with emergency earthquake flash
KR20120118369A (en) Smart phone, blackbox service system using that smart phone and a method thereof
WO2001055992A1 (en) Information providing system using telephone circuit, and monitor terminal
JP2005065259A (en) Communication terminal device, remote control method, remote control program and recording medium with remote control program recorded thereon
JP2006222888A (en) Video monitoring system for multiple dwelling house
KR20140129762A (en) Ip/sip/ims camera, private security system with ip/sip/ims camera and control method thereof
KR20160060018A (en) Ip/sip/ims camera, private security system with ip/sip/ims camera and control method thereof
KR100662100B1 (en) Mobile terminal and dangerous situation coping method performed by the mobile terminal
KR20060030773A (en) Method and system for remote monitoring by using mobile camera phone
KR20050102541A (en) Fire alarm apparatus and method for mobile station
JP2004289625A (en) Car security apparatus, system, and method
JP2005123817A (en) Portable communication terminal
JP4575694B2 (en) TV door phone system
JP4491717B2 (en) Absence monitoring device
JP4244888B2 (en) Mobile phone terminal
JPH11298573A (en) Telephone set
WO2007070284A2 (en) Wireless telephone for receiving a media stream while placing a call
KR200255553Y1 (en) Home control system
JP2006184985A (en) Visitor notification device, interphone device, and interphone conversation method
JP2002157173A (en) Method for supplying information about monitoring of specific area
KR101434669B1 (en) System and method for checking the circumstance state
KR20050019229A (en) Apparatus and method for preventing robbery of portable terminal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204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205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208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207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205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204

Year of fee payment: 12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