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61757B1 - 송풍용 터보팬 및 이를 구비한 냉장고 - Google Patents

송풍용 터보팬 및 이를 구비한 냉장고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61757B1
KR100661757B1 KR1020050093575A KR20050093575A KR100661757B1 KR 100661757 B1 KR100661757 B1 KR 100661757B1 KR 1020050093575 A KR1020050093575 A KR 1020050093575A KR 20050093575 A KR20050093575 A KR 20050093575A KR 100661757 B1 KR100661757 B1 KR 10066175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an
blade
blowing
outer diameter
turbo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9357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배준호
김창준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5009357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6175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6175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6175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17/00Arrangements for circulating cooling fluids;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gas, e.g. air, within refrigerated spaces
    • F25D17/04Arrangements for circulating cooling fluids;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gas, e.g. air, within refrigerated spaces for circulating air, e.g. by convection
    • F25D17/06Arrangements for circulating cooling fluids;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gas, e.g. air, within refrigerated spaces for circulating air, e.g. by convection by forced circulation
    • F25D17/067Evaporator fan uni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DNON-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D29/00Details, component parts, or accessories
    • F04D29/26Rotors specially for elastic fluids
    • F04D29/28Rotors specially for elastic fluids for centrifugal or helico-centrifugal pumps for radial-flow or helico-centrifugal pumps
    • F04D29/281Rotors specially for elastic fluids for centrifugal or helico-centrifugal pumps for radial-flow or helico-centrifugal pumps for fans or blow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DNON-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D29/00Details, component parts, or accessories
    • F04D29/26Rotors specially for elastic fluids
    • F04D29/32Rotors specially for elastic fluids for axial flow pumps
    • F04D29/34Blade mounting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DNON-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D29/00Details, component parts, or accessories
    • F04D29/40Casings; Connections of working fluid
    • F04D29/42Casings; Connections of working fluid for radial or helico-centrifugal pumps
    • F04D29/44Fluid-guiding means, e.g. diffus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DNON-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D29/00Details, component parts, or accessories
    • F04D29/66Combating cavitation, whirls, noise, vibration or the like; Balancing
    • F04D29/661Combating cavitation, whirls, noise, vibration or the like; Balancing e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 pumps
    • F04D29/666Combating cavitation, whirls, noise, vibration or the like; Balancing e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 pumps by means of rotor construction or layout, e.g. unequal distribution of blades or van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17/00Details or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cooling fluids; Details or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gas, e.g. air, within refrigerated spaces,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F25D2317/06Details or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cooling fluids; Details or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gas, e.g. air, within refrigerated spaces,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with forced air circulation
    • F25D2317/063Details or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cooling fluids; Details or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gas, e.g. air, within refrigerated spaces,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with forced air circulation with air guid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17/00Details or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cooling fluids; Details or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gas, e.g. air, within refrigerated spaces,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F25D2317/06Details or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cooling fluids; Details or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gas, e.g. air, within refrigerated spaces,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with forced air circulation
    • F25D2317/068Details or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cooling fluids; Details or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gas, e.g. air, within refrigerated spaces,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with forced air circulation characterised by the fans
    • F25D2317/0681Details thereof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17/00Details or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cooling fluids; Details or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gas, e.g. air, within refrigerated spaces,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F25D2317/06Details or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cooling fluids; Details or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gas, e.g. air, within refrigerated spaces,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with forced air circulation
    • F25D2317/068Details or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cooling fluids; Details or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gas, e.g. air, within refrigerated spaces,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with forced air circulation characterised by the fans
    • F25D2317/0683Details or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cooling fluids; Details or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gas, e.g. air, within refrigerated spaces,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with forced air circulation characterised by the fans the fans not of the axial typ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Structures Of Non-Positive Displacement Pump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송풍용 터보팬 및 이를 구비한 냉장고에 관한 것으로, 원판형 플레이트로서 중앙부에 돌출한 형태의 허브가 형성된 베이스플레이트와; 상기 베이스플레이트의 가장자리부에 원주방향을 따라 일정한 간격으로 이격 배열되어 상기 허브 측으로 유입되는 냉기를 반경 방향으로 안내하는 블레이드와; 상기 블레이드의 베이스플레이트와 접하는 측의 대향 측에 연결되는 링 형태의 팬쉬라우드를 포함하고, 팬의 외경에 대한 상기 블레이드의 높이는 16~26%의 백분율을 가지도록 구성됨으로써, 송풍을 위한 소비 전력을 낮춰서 송풍 효율을 높임과 동시에 송풍 시에 발생하는 소음도 저감되도록 한다.

Description

송풍용 터보팬 및 이를 구비한 냉장고{TURBO-FAN FOR BLOWING AND REFRIGERATOR HAVING THE SAME}
도 1은 종래의 냉장고에 있어서 도어를 연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
도 2는 종래의 냉장고에 있어서 냉동실 후면측벽의 배면에 증발기가 설치된 것을 나타내는 도면.
도 3(a)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송풍용 터보팬에 대한 사시도.
도 3(b)는 도 3(a)의 터보팬에 대한 평면도.
도 3(c)는 도 3(a)의 터보팬에 대한 정면도.
도 4(a)는 팬의 외경에 대한 블레이드 높이의 백분율에 따른 소비전력 변화 실험 결과 그래프를 나타내는 도면.
도 4(b)는 팬의 외경에 대한 블레이드 높이의 백분율에 따른 소음 변화 실험 결과 그래프를 나타내는 도면.
도 5(a)는 팬의 외경에 대한 팬쉬라우드 내경의 백분율에 따른 소비전력 변화 실험 결과 그래프를 나타내는 도면.
도 5(b)는 팬의 외경에 대한 팬쉬라우드 내경의 백분율에 따른 소음 변화 실험 결과 그래프를 나타내는 도면.
도 6(a)는 팬의 외경에 대한 블레이드 내경의 백분율에 따른 소비전력 변화 실험 결과 그래프를 나타내는 도면.
도 6(b)는 팬의 외경에 대한 블레이드 내경의 백분율에 따른 소음 변화 실험 결과 그래프를 나타내는 도면.
도 7(a)는 블레이드 입구각에 따른 소비전력 변화 실험 결과 그래프를 나타내는 도면.
도 7(b)는 블레이드 입구각에 따른 소음 변화 실험 결과 그래프를 나타내는 도면.
도 8(a)는 블레이드 출구각에 따른 소비전력 변화 실험 결과 그래프를 나타내는 도면.
도 8(b)는 블레이드 출구각에 따른 소음 변화 실험 결과 그래프를 나타내는 도면.
도 9(a)는 팬의 외경에 따른 소비전력 변화 실험 결과 그래프를 나타내는 도면.
도 9(b)는 팬의 외경에 따른 소음 변화 실험 결과 그래프를 나타내는 도면.
도 10(a)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송풍용 터보팬과 종래의 팬과의 작동 유량의 변화에 따른 소비전력 변화 실험 결과 그래프를 나타내는 도면.
도 10(b)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송풍용 터보팬과 종래의 팬과의 작동 유량의 변화에 따른 소음 변화 실험 결과 그래프를 나타내는 도면.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송풍용 터보팬 110: 베이스플레이트
110': 허브 120: 블레이드
130: 팬쉬라우드 B1: 입구각
B2: 출구각 Di: 블레이드의 내경
Do: 팬의 외경 Ds: 팬쉬라우드의 내경
H: 블레이드 높이
본 발명은 송풍용 터보팬과 냉장고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냉매의 송풍 효율을 높임과 동시에 작동에 따른 소음을 최소화할 수 있는 송풍용 터보팬 및 이를 구비한 냉장고에 관한 것이다.
냉장고는 압축냉동싸이클을 수행하여 고내에 보관되는 음식 등의 신선도를 유지하는 장치이다.
도 1은 종래의 냉장고에 있어서 도어를 연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2는 냉동실 그릴의 배면에 증발기가 설치된 것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본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냉장고는 보통 냉동실(1)과 냉장실(2)로 구분되어 있으며, 이들의 전면은 냉장고 케이싱(10)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합된 도어(3)에 의해 개폐된다.
냉동실(1)에는 장기간 보관이 필요한 육류나 어류 등을 보관하고, 냉장실(2)은 저온에서 신선도를 유지하며 단기간 보관이 필요한 야채나 반찬, 과일 및 음료수 등을 보관하기 위한 장소로서, 냉동실(1)의 온도는 냉장실(2)의 온도보다 낮은 온도를 갖는다.
이렇게 냉동실(1){또는 냉장실(2)}의 온도를 저온으로 유지하기 위하여서는 냉동사이클을 수행하는 증발기(7)로부터 냉기를 발생시켜 이를 냉동실(1) 내로 유입시켜야 한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냉동실 그릴(4)의 배면에는 증발기(7)에서 공급되는 냉기를 냉동실(1) 내로 불어 넣어주는 송풍팬 또는 터보팬(9)이 배치된다. 외부쉬라우드(8)는 터보팬(9)을 둘러 싸서 터보팬(9)을 통과한 냉기를 그릴(4)의 냉기 토출구(5) 측으로 유도한다. 그에 따라 냉기는 냉동실(1) 내로 토출되고, 냉동실(1)의 온도는 설정 온도로 유지될 수 있다.
이러한 터보팬(9)의 성능은 고내를 설정 온도로 유지하는데 중요한 요소임과 동시에 냉장고의 소음원이기도 하다.
따라서, 송풍팬의 최적의 형상 및 구조를 찾아서 냉장고의 냉각 효율을 높임과 동시에 소음을 저감할 수 있는 냉장고용 송풍팬에 대한 개발의 필요성이 꾸준하게 제기되고 있다.
상기와 같은 필요성을 감안하여 안출한 것으로서, 본 발명은 냉장고의 냉각 효율을 극대화하면서도 소음을 저감할 수 있는 송풍용 터보팬 및 이를 구비한 냉장 고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송풍용 터보팬은 원판형 플레이트로서 중앙부에 돌출한 형태의 허브가 형성된 베이스플레이트와; 상기 베이스플레이트의 가장자리부에 원주방향을 따라 일정한 간격으로 이격 배열되어 상기 허브 측으로 유입되는 냉기를 반경 방향으로 안내하는 블레이드와; 상기 블레이드의 베이스플레이트와 접하는 측의 대향 측에 연결되는 링 형태의 팬쉬라우드를 포함하고, 팬의 외경에 대한 상기 블레이드의 높이는 16~26%의 백분율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일 측면에 따른 송풍용 터보팬을 구비한 냉장고는 송풍용 터보팬이 냉동실 그릴의 배면에 설치되어 증발기에서 공급되는 냉기를 냉동실 내로 송풍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송풍용 터보팬 및 이를 구비한 냉장고에 대하여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3(a) 내지 3(c)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송풍용 터보팬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먼저, 도 3(a)는 터보팬에 대한 사시도이다. 이를 참조하면, 송풍용 터보팬(100)은 베이스플레이트(110)와 복수의 블레이드(120) 및 팬쉬라우드(130)를 포함한다.
베이스플레이트(110)는 중앙부에 돌출하여 형성된 허브(110')를 가지는 원판 체이고, 블레이드(120)는 이러한 베이스플레이트(110)의 원주방향을 따라 일정한 간격으로 이격 배열된다. 팬쉬라우드(130)는 베이스플레이트(110)와 연결된 블레이드(120)의 측에 대향하는 측에 결합하며 링 형태를 진다. 블레이드(120)의 반경방향의 외곽의 끝단은 팬쉬라우드(130)의 외주와 일치하도록 형성됨에 반하여, 베이스플레이트(110)의 외주는 블레이드(120)의 외곽의 끝단보다는 중심 측{허브 측(110')}으로 후퇴되어 있다.
회전하는 송풍용 터보팬(100)의 베이스플레이트(110)의 허브(110')를 향하여 유입된 공기(냉매)는 블레이드(120) 사이로 진행하여 원주방향으로 방출된다.
다음으로, 도 3(b)는 터보팬에 대한 평면도이다. 이를 참조하면, 블레이드(120)의 중심 측{허브(110') 측} 끝단을 연결한 원형 라인(I)의 직경은 블레이드 내경(Di)이라 칭한다. 또한, 블레이드(120)의 끝단을 연결한 원형 라인이자 팬쉬라우드(130)의 외주 라인에 대한 직경은 팬쉬라우드의 외경 또는 팬의 외경(Do)이라 한다.
또한, 라인(I)의 접선과 블레이드(120)의 중심 측 끝단 측에서의 접선이 이루는 각도는 블레이드의 입구각(B1)이 되고, 블레이드(120)의 외곽 측 끝단에서의 접선과 팬쉬라우드(130)의 외주에 대한 접선이 이루는 각도는 블레이드의 출구각(B2)이 된다.
마지막으로, 도 3(c)는 터보팬에 대한 정면도이다. 이를 참조하면, 베이스플레이트(110)와 팬쉬라우드(130) 사이의 간격인 블레이드(120)의 높이는 블레이드 높이(H)로 칭해진다. 또한, 팬쉬라우드(130)의 내주의 직경은 팬쉬라우드의 내경(Ds)이라 칭한다.
이하에서는, 터보팬(100)에 대한 설계인자로서 팬의 외경(Do)에 대한 블레이드 높이(H)와 팬쉬라우드의 내경(Ds)과 블레이드의 내경(Di), 그리고 블레이드의 입구각(B1), 블레이드의 출구각(B2)을 이들의 변화에 따른 소비전력과 소음의 관점에서 결정하고자 한다.
먼저, 팬의 외경(Do)에 대한 블레이드 높이(H)에 대하여 도 4(a) 및 4(b)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4(a)는 블레이드 높이(H)에 따른 터보팬(100)의 소전 변화를 실험한 결과 그래프이고, 도 4(b)는 소음 변화에 대한 결과 그래프이다.
도 4(a)에 제시된 바와 같이, 그래프는 2차 함수의 형태이고, 팬의 외경(Do)에 대한 블레이드 높이(H)가 약 10%이거나 30%이면 소비전력은 4.5(W) 이상으로 증가하는 추세이다. 이에 반하여, 팬의 외경(Do)에 대한 블레이드 높이(H)가 16~26%의 범위를 가지면 소비전력은 최대 2.75(W) 수준이다. 이는 전자의 약 61% 수준에 불과한 수준이다.
도 4(b)를 참조하면, 그래프는 역시 2차 함수의 형태이고, 팬의 외경(Do)에 대한 블레이드 높이(H)가 10%에 가까워지거나 30%에 가까워지면 소음은 22(dB) 이상으로 증가하는 경향이 있다. 그러나, 팬의 외경(Do)에 대한 블레이드 높이(H)가 16~26% 범위 내이면 소음은 19.5(dB) 수준이 된다. 이는 전자의 약 86% 수준에 해당된다.
이러한 검토를 바탕으로, 이들의 중첩되는 범위를 고려하여 팬의 외경(Do)에 대한 블레이드 높이(H)는 약 16~26%의 백분율을 갖도록 결정한다.
다음으로, 팬의 외경(Do)에 대한 팬쉬라우드의 내경(Ds)에 대하여 도 5(a) 및 5(b)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5(a)는 팬쉬라우드의 내경(Ds)에 따른 소전 변화 실험의 결과 그래프이고, 도 5(b)는 팬쉬라우드의 내경(Ds)에 따른 소음 변화 실험의 결과 그래프이다.
도 5(a)를 참조하면, 그래프는 2차 함수의 형태를 가지고, 팬의 외경(Do)에 대한 팬쉬라우드의 내경(Ds)이 60% 이하이거나 93% 이상이면 소비 전력은 3.8(W) 이상으로 증가하는 경향이 나타난다. 이에 반하여, 팬의 외경(Do)에 대한 팬쉬라우드의 내경(Ds)이 72~85% 범위이면 소비전력은 최대 3.25(W)가 되고, 이는 전자의 약 85%에 해당하는 수준이다.
도 5(b)를 참조하면, 그래프는 역시 2차 함수의 형태를 가지고, 팬의 외경(Do)에 대한 팬쉬라우드의 내경(Ds)이 65%이하로 갈수록 소음은 19.8(dB) 이상으로 증가하고 92.5% 부근에서는 19.55(dB) 이상으로 증가하는 경향이 있다. 팬의 외경(Do)에 대한 팬쉬라우드의 내경(Ds)의 백분율이 72~87% 범위라면 소음은 최대 19.2(dB)로서, 전자의 약 96% 수준이다.
이상의 소비전력을 고려한 범위 72~85%와 소음을 고려한 72~87%를 동시에 고려하여 팬의 외경(Do)에 대한 팬쉬라우드의 내경(Ds)은 약 72~85%의 백분율을 갖도록 결정한다.
다음으로, 팬의 외경(Do)에 대한 블레이드의 내경(Di)에 대해 도 6(a) 및 6(b)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6(a)는 블레이드의 내경(Di)에 따른 소전 변화 실험 결과 그래프이도, 도 6(b)는 블레이드의 내경(Di)에 따른 소음 변화 실험 결과 그래프이다.
도 6(a)를 참조하면, 그래프는 2차 함수이고, 팬의 외경(Do)에 대한 블레이드의 내경(Di)의 백분율이 50%에 근접할수록 터보팬(100)의 소비전력은 3.65(W)에 접근하여 간다. 또한, 그 백분율이 65%를 넘어가면서는 소비전력이 3.5(W)를 넘어서서 증가하는 추세이다. 이에 반하여, 그 백분율이 54~62%의 범위 내이면 최대값이 3.3(W)이고 최소값은 3.25(W)인 범위에 머무른다. 여기서, 최대값인 3.3(W)를 백분율이 50%에 근접할 때의 값인 3.65(W)에 대해 비교해 보면, 전자는 후자의 약 90% 정도의 수준이다.
도 6(b)를 참조하면, 그래프는 2차 함수이고, 팬의 외경(Do)에 대한 블레이드의 내경(Di)의 백분율이 50%에 근접할수록 소음은 20.4 (dB)에 접근하여 간다. 또한, 그 백분율이 67%를 넘어가면서 소음은 20(dB)에 근접하여 그 이상으로 커져 간다. 여기서, 위 백분율이 55~64%인 경우에는 소음은 최대 19.8(dB)이고 최소 19.6(dB)의 값을 가지면서 감소하다가 증가하는 추세를 나타낸다. 이러한 백분율에서의 최대 소음값 19.8(dB)를 위의 20.4(dB)와 비교하면, 전자는 후자의 약 97%에 해당하는 수준이다.
이러한 분석을 토대로, 소비전력과 소음을 최소로 하기 위하여 양자에서 검토한 범위를 동시에 만족하는 범위로서 팬의 외경(Do)에 대한 블레이드의 내경(Di)의 백분율은 55~62%로 결정한다.
다음으로, 블레이드의 입구각(B1)에 대하여 도 7(a) 및 7(b)를 참조하여 살펴 보자.
도 7(a)는 블레이드의 입구각(B1)에 따른 소전 변화 실험 결과 그래프이고, 도 7(b)는 블레이드의 입구각(B1)에 따른 소음 변화 실험 결과 그래프이다.
도 7(a)를 참조하면, 그래프는 2차 함수이고, 블레이드의 입구각(B1)에 따른 소전 변화의 그래프는 블레이드의 입구각(B1)이 약 32도인 경우에 극소값을 가져서 그보다 커지거나 작아질수록 증가하는 추세를 나타내고 있다. 특히, 블레이드의 입구각(B1)이 40도인 경우에는 소비전력은 약 3.5(W)에 이른다. 이에 반하여, 블레이드의 입구각(B1)이 27~35도인 경우에 소비전력의 최대값은 약 3.35(W)이다. 그에 따라, 후자는 전자의 약 95% 수준이다.
도 7(b)를 참조하면, 블레이드의 입구각(B1)에 따른 소음 변화의 그래프는 블레이드의 입구각(B1)이 약 33도인 경우에 극소값을 가지는 2차 함수의 형태를 가진다. 특히, 블레이드의 입구각(B1)이 약 24도인 경우에는 19.8(dB)의 소음이 발생한다. 이에 반하여 블레이드의 입구각(B1)이 28~37도인 경우에는 최대 소음은 약 18.7(dB) 수준이다. 결과적으로 후자는 전자 대비 약 94% 수준에 해당한다.
이상의 소전과 소음 변화에 대한 검토 결과를 토대로, 양자의 공통 범위를 추출하여 블레이드의 입구각(B1)은 약 28~35도의 범위 내로 결정한다.
다음으로, 블레이드의 출구각(B2)에 대하여 도 8(a) 및 8(b)를 참조하여 살펴 보자.
도 8(a)는 블레이드의 출구각(B2)에 따른 소전 변화 실험 결과 그래프이고, 도 8(b)는 블레이드의 출구각(B2)에 따른 소음 변화 실험 결과 그래프이다.
도 8(a)를 참조하면, 블레이드의 출구각(B2)에 따른 소전 변화의 그래프는 블레이드의 출구각(B2)이 약 34도인 경우에 극소값을 가지는 2차 함수의 형태를 나타내고 있다. 특히, 블레이드의 출구각(B2)이 약 22도인 경우에는 소비전력은 약 3.52(W)에 이른다. 이에 반하여, 블레이드의 출구각(B2)이 31~40도인 경우에 소비전력의 최대값은 약 3.32(W)이다. 이를 대비하여 보면, 후자는 전자의 약 94% 수준에 해당하는 값이다.
도 8(b)를 참조하면, 블레이드의 출구각(B2)에 따른 소음 변화의 그래프는 블레이드의 출구각(B2)이 약 34도인 경우에 약 18.7(dB)의 극소값을 가지고 이값을 경계로 좌우에서 급격하게 증가하는 형태를 가지는 2차 함수의 형태를 나타낸다. 특히, 블레이드의 출구각(B2)이 약 48도인 경우에는 약 19.1(dB)의 소음이 발생한다. 이와 달리, 블레이드의 출구각(B2)이 30~41도인 경우에는 최대 소음은 약 18.75(dB) 수준이다. 결과적으로 후자는 전자 대비 약 98% 수준에 해당한다.
이상의 소전과 소음 변화에 대한 검토 결과를 토대로, 양자의 공통 범위를 추출하여 블레이드의 출구각(B2)은 약 31~40도의 범위 내로 결정한다.
다음으로, 팬의 외경(Do)에 대하여 도 9(a) 및 9(b)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9(a)는 팬의 외경(Do)에 따른 소전 변화 실험 결과 그래프이고, 도 9(b)는 팬의 외경(Do)에 따른 소음 변화 실험 결과 그래프이다.
도 9(a)를 참조하면, 팬의 외경(Do)에 따른 소비전력의 그래프는 팬의 외경(Do)이 약 135(mm)인 경우에 약 2.2(W)인 극소값을 가지는 2차 함수 그래프의 형태를 나타낸다.
여기서, 팬의 외경(Do)이 약 110(mm)인 경우에는 약 2.9(W)의 소비전력을 나타낸다. 이와 달리, 팬의 외경(Do)이 약 122~155(mm)의 범위를 가지는 경우에 소비전력은 최대 2.4(W)의 값을 가진다. 후자는 전자에 대하여 약 83%의 수준이다.
도 9(b)를 참조하면, 팬의 외경(Do)에 따른 소음의 그래프는 팬의 외경(Do)이 약 155(mm)인 경우에 약 19(dB)의 극소값을 가지는 2차 함수의 형태를 가진다. 여기서, 팬의 외경(Do)이 약 110(mm)인 경우에 송풍용 터보팬(100)은 약 25(dB)의 소음을 발생시킨다. 이에 반하여, 팬의 외경(Do)이 약 130~170(mm)이면 소음의 최대값은 약 21(dB) 수준이다. 이때, 후자는 전자의 약 84%에 해당한다.
이상에서 팬의 외경(Do)의 변화에 따른 송풍용 터보팬(100)의 소전과 소음 변화에 대한 검토 결과에서 양자가 동시에 만족할 수 있는 공통 범위를 추출하면, 팬의 외경(Do)은 약 130~155(mm)의 범위 내에서 결정된다.
이제는, 이상과 같이 결정된 각 인자들에 의해 설계된 송풍용 터보팬(100)의 성능을 기존의 팬들과 대비하여 살펴 본다.
여기서, 팬의 외경(Do)은 140(mm)로 선택하고, 나머지 인자들은 앞선 결정 범위의 중간값을 취한다. 그에 따라, 블레이드의 높이(H)는 29(mm){140*(0.16+0.26)/2}이고, 팬쉬라우드의 내경(Ds)은 110(mm)이며, 블레이드의 내경(Di)은 82(mm)이고, 블레이드의 입구각(B1)은 31.5도이며, 블레이드의 출구각(B2)은 35.5도이다.
도 10(a)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송풍용 터보팬과 종래의 팬과의 작동 유량의 변화에 따른 소비전력 변화 실험 결과 그래프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본 도면에 제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송풍용 터보팬(100)과 종래의 터보팬(20) 및 축류팬(30)은 대략적으로 작동 유량이 증가함에 따라 소비 전력이 증가하는 우 상향 1차 직선의 형태를 가진다.
이들 중에서 각 작동 유량에 대한 소비전력의 값은 축류팬(30)이 가장 크고 터보팬(20)이 그 다음이며, 본 발명에 따른 송풍용 터보팬(100)이 가장 작다.
또한, 이들의 소비 전력 증가율은 터보팬(20)과 축류팬(30)은 비슷한 정도이나, 송풍용 터보팬(100)은 이들 보다는 낮은 증가율을 가짐을 알 수 있다.
구체적으로, 작동유량이 1.3(㎥/s)인 경우와 1.5(㎥/s)인 경우를 살펴 보자. 축류팬(30)은 3.4(W)에서 5.4(W)로 증가하여 10{(5.4-3.4)/0.2}의 기울기를 가지고, 터보팬(20)은 2.8(W)에서 4.6(W)으로 증가하여 9의 기울기를 가지나, 송풍용 터보팬(100)은 1.9(W)에서 2.9(W)로 증가함에 그쳐서 5의 기울기를 가짐에 불과하다.
이러한 결과로부터 송풍용 터보팬(100)은 종래에 비하여 소비전력의 절대치도 작을 뿐만 아니라 작동 유량의 변화에 대한 민감도가 낮아서 작동 유량이 변해도 경제성을 지속적으로 유지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도 10(b)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송풍용 터보팬과 종래의 팬과의 작동 유량의 변화에 따른 소음 변화 실험 결과 그래프를 나타내는 도면.
본 도면에 제시된 바와 같이, 송풍용 터보팬(100)과 종래의 터보팬(20) 및 축류팬(30)은 대략적으로 작동 유량이 증가함에 따라 소음이 증가하는 우 상향 1차 직선의 형태를 가진다.
이들 중에서 각 작동 유량에 대한 소음은 축류팬(30)이 가장 크고 터보팬(20)이 그 다음이며, 송풍용 터보팬(100)이 가장 작다.
또한, 이들의 소음 증가율은 터보팬(20)과 축류팬(30)은 비슷한 정도이나, 송풍용 터보팬(100)은 이들보다는 낮은 증가율을 가짐은 추가적인 설명 없이도 명백히 알 수 있다.
이러한 결과로부터 송풍용 터보팬(100)은 종래에 비하여 각 작동유량에 대한 소음의 절대치도 작을 뿐만 아니라 작동 유량의 변화에 대한 민감도가 낮아서 작동 유량이 변해도 정숙성을 지속적으로 유지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일 측면에 따른 냉장고는 냉동실 그릴의 배면에 설치되어 증발기에서 공급되는 냉기를 냉동실 내로 송풍하는 송풍용 터보팬을 가진다. 이러한 터보팬은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소비전력은 낮으면서도 소음도 저감할 수 있도록 최적화된 송풍용 터보팬(100)이다. 여기서, 냉장고의 그릴이나 증발기 등에 대해서는 별도로 도시하지는 않으나, 도 2를 참조하면 용이하게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송풍용 터보팬의 각 인자들을 최적의 상태로 설계함으로써 소비전력을 낮춰서 냉각 효율을 높임과 동시에 소음도 저감될 수있도록 하는 등의 효과가 있다.

Claims (8)

  1. 원판형 플레이트로서 중앙부에 돌출한 형태의 허브가 형성된 베이스플레이트와;
    상기 베이스플레이트의 가장자리부에 원주방향을 따라 일정한 간격으로 이격 배열되어 상기 허브 측으로 유입되는 냉기를 반경 방향으로 안내하는 블레이드와;
    상기 블레이드의 베이스플레이트와 접하는 측의 대향 측에 연결되는 링 형태의 팬쉬라우드를 포함하고,
    팬의 외경에 대한 상기 블레이드의 높이는 16~26%의 백분율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송풍용 터보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팬의 외경에 대한 상기 팬쉬라우드의 내경은 72~85%의 백분율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송풍용 터보팬.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팬의 외경에 대한 상기 블레이드의 내경은 55~62%의 백분율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송풍용 터보팬.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블레이드의 입구각은 28~35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송풍용 터보팬.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블레이드의 출구각은 31~40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송풍용 터보팬.
  6.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팬의 외경은 130~155mm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송풍용 터보팬.
  7.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블레이드의 반경방향 외곽 끝단은 상기 팬쉬라우드의 외주와 일치하고 상기 베이스플레이트의 외주보다는 더 돌출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송풍용 터보팬.
  8. 냉동실 그릴의 배면에 설치되어 증발기에서 공급되는 냉기를 냉동실 내로 송풍하는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송풍용 터보팬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송풍용 터보팬을 구비한 냉장고.
KR1020050093575A 2005-10-05 2005-10-05 송풍용 터보팬 및 이를 구비한 냉장고 KR10066175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93575A KR100661757B1 (ko) 2005-10-05 2005-10-05 송풍용 터보팬 및 이를 구비한 냉장고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93575A KR100661757B1 (ko) 2005-10-05 2005-10-05 송풍용 터보팬 및 이를 구비한 냉장고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661757B1 true KR100661757B1 (ko) 2006-12-28

Family

ID=3781566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93575A KR100661757B1 (ko) 2005-10-05 2005-10-05 송풍용 터보팬 및 이를 구비한 냉장고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61757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9105224A3 (en) * 2008-02-22 2009-11-12 Horton, Inc. Hybrid flow fan apparatus
KR20180044781A (ko) * 2016-10-24 2018-05-03 부산대학교 산학협력단 냉장고용 송풍팬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20021860A (ko) * 1991-05-25 1992-12-18 이헌조 대구경 터보팬
KR100355827B1 (ko) 2000-08-17 2002-11-07 엘지전자 주식회사 창문형 에어컨의 터보팬
KR100405981B1 (ko) 2001-02-12 2003-11-14 엘지전자 주식회사 천정형 공조기의 터보팬 구조
KR100565575B1 (ko) 1999-12-28 2006-03-29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의 냉기순환 구조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20021860A (ko) * 1991-05-25 1992-12-18 이헌조 대구경 터보팬
KR100565575B1 (ko) 1999-12-28 2006-03-29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의 냉기순환 구조
KR100355827B1 (ko) 2000-08-17 2002-11-07 엘지전자 주식회사 창문형 에어컨의 터보팬
KR100405981B1 (ko) 2001-02-12 2003-11-14 엘지전자 주식회사 천정형 공조기의 터보팬 구조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9105224A3 (en) * 2008-02-22 2009-11-12 Horton, Inc. Hybrid flow fan apparatus
KR20180044781A (ko) * 2016-10-24 2018-05-03 부산대학교 산학협력단 냉장고용 송풍팬
KR102645031B1 (ko) 2016-10-24 2024-03-07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용 송풍팬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550529B1 (ko) 냉장고용 원심팬
KR100404117B1 (ko) 냉장고의 냉기 유동 발생구조
KR102257480B1 (ko) 원심팬
CN107763933A (zh) 冰箱的制冷控制方法与冰箱
CN108759245A (zh) 风冷冰箱
KR20120052828A (ko) 송풍용 원심팬 및 이를 갖는 냉장고
US20090038333A1 (en) Turbo fan for blowing and refrigerator having the same
KR0152149B1 (ko) 냉장고
KR100484828B1 (ko) 냉장고의 냉기순환용 축류팬
KR100661757B1 (ko) 송풍용 터보팬 및 이를 구비한 냉장고
US20120042675A1 (en) Air curtain system for an open-front refrigerated case with dual temperature zones
JP6963035B2 (ja) 冷蔵庫の冷却制御方法
KR100690689B1 (ko) 냉장고의 냉기 송풍 터보팬용 쉬라우드 구조
US20100205997A1 (en) Cool air supplying apparatus used in refrigerator and refrigerator having the same
KR100473945B1 (ko) 냉기순환효율이 향상된 냉장고
KR100584269B1 (ko) 냉장고의 냉기 순환구조
KR100584268B1 (ko) 냉장고의 냉기 순환 구조
KR100517602B1 (ko) 냉장고의 송풍장치
KR100600713B1 (ko) 냉장고용 원심팬
KR100487317B1 (ko) 직냉식 냉장고
KR100613497B1 (ko) 냉장고의 냉기순환용 송풍장치
KR101336708B1 (ko) 냉장고의 송풍장치
KR102645031B1 (ko) 냉장고용 송풍팬
KR102585192B1 (ko) 송풍 장치
EP3995698A1 (en) Centrifugal fan for refrigerato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128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122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