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61502B1 - 사설 교환기의 내선 및 국선 통합 장치 - Google Patents

사설 교환기의 내선 및 국선 통합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61502B1
KR100661502B1 KR1020040107527A KR20040107527A KR100661502B1 KR 100661502 B1 KR100661502 B1 KR 100661502B1 KR 1020040107527 A KR1020040107527 A KR 1020040107527A KR 20040107527 A KR20040107527 A KR 20040107527A KR 100661502 B1 KR100661502 B1 KR 10066150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essage
trunk line
extension
unit
processing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10752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60069664A (ko
Inventor
조규억
Original Assignee
엘지노텔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노텔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노텔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4010752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61502B1/ko
Publication of KR2006006966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6966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6150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6150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QSELECTING
    • H04Q3/00Selecting arrangements
    • H04Q3/58Arrangements providing connection between main exchange and sub-exchange or satellite
    • H04Q3/62Arrangements providing connection between main exchange and sub-exchange or satellite for connecting to private branch exchanges
    • H04Q3/625Arrangements in the private branch exchange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stronomy & Astrophys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ub-Exchange Stations And Push- Button Telephones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사설 교환기의 내선 및 국선 통합 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으로, 전송받은 메시지를 분석하여 내선모드인지 아니면 국선모드인지를 판별하는 내선/국선 판별부와; 상기 내선/국선 판별부에서 판별된 내선모드 메시지를 전송받아 내선 처리를 수행하는 내선 처리부와; 상기 내선 처리부에서 처리된 메시지의 내선 프로토콜 처리를 수행하여 네트워크로 전송하는 내선 프로토콜 처리부와; 상기 내선/국선 판별부에서 판별된 국선모드 메시지를 전송받고, 메시지를 분석하고 국선 처리를 수행하는 국선 처리부와; 상기 국선 처리부에서 처리된 메시지를 전송받아 사용자 메시지로 변환시키는 사용자 메시지 변환부와; 상기 사용자 메시지 변환부에서 변환된 메시지를 입력받아 국선 프로토콜 처리를 수행하여 네트워크로 전송하고, 네트워크로부터 메시지를 전송받아 국선 프로토콜 처리를 수행하여 상기 사용자 메시지 변환부로 전송하는 국선 프로토콜 처리부와; 상기 국선 처리부에서 신호를 입력받아 QSIG 프로토콜 처리를 수행하는 QSIG 처리부와; 상기 국선 처리부와 상기 QSIG 처리부의 신호를 입력받아 송신하는 송신부를 포함하여 구성함으로써, 하나의 보드에 IP 기반의 내선 및 국선 기능을 통합하여 적용함으로써 시스템 자원의 효율적인 운용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Description

사설 교환기의 내선 및 국선 통합 장치{Apparatus for integrated board of extension and office line in private branch exchange}
도 1은 종래 내선과 국선이 별도의 장치로 구성된 사설 교환기와 그 주변 블록의 블록구성도이고,
도 2는 본 발명 사설 교환기의 내선 및 국선 통합 장치가 적용되는 사설 교환기와 그 주변 블록의 블록구성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사설 교환기의 내선 및 국선 통합 장치의 블록구성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 사설 단말기 2 : 국선 보드
3 : 내선 보드 4 : HUB
5 : 라우터 6 : WAN
7 : IP 폰 10 : 통합 보드
20 : 내선/국선 판별부 30 : 내선 처리부
31 : 스캔부 32 : 내선 프로토콜 생성부
33 : LED 제어부 40 : 내선 프로토콜 처리부
50 : 국선 처리부 51 : MPU 메시지 핸들러
52 : 국선 메시지 핸들러 53 : QSIG 변환부
54 : 시스템 시그널 변환부 60 : 사용자 메시지 변환부
70 : 국선 프로토콜 처리부 80 : QSIG 처리부
90 : 송신부 91, 92 : 제 1 및 제 2 큐
본 발명은 사설 교환기의 내선 및 국선 통합 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하나의 보드에 IP(Internet Protocol, 인터넷 프로토콜) 기반의 내선 및 국선 기능을 통합하여 적용함으로써 시스템 자원의 효율적인 운용하기에 적당하도록 한 사설 교환기의 내선 및 국선 통합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사설 교환기(Private Branch Exchange, PBX)는 가입 전화기의 일종으로서 관공서, 회사 등의 구내에 설치된 구내 교환 설비 및 내선 전화기를 의미한다. 이 교환기는 구내 교환 설비와 소속 전환 취급 구간의 전화 회선(또는 국선)에 의해 국선의 연결 및 내선 상호간을 연결시켜 주는 역할을 한다. 전화망의 중계에 이용되는 전화 교환기의 이용을 확대하여 데이터를 포함하거나 사무실 내에서 음성과 데이터 통신과의 통합을 기함으로써 구내 정보 통신망(Local Area Network, LAN)과 함께 망 구성에 활용되고 있다. 회선 효율이 좋고 잡음이 강하여 고품질의 데이터 통신이 가능하다.
또한 이러한 사설 교환기에는 PABX(Private Automatic Branch Exchange, 사 설 자동 구내 교환기)를 포함할 수도 있고 별도로 구분할 수도 있는데, 일반적으로 PABX는 구내 교환기의 내선 상호간의 통화 접속이 자동식에 준한 교환기로서 내선에서 국선으로의 발신 접속은 보통 자동식(Direct Outward Dialing, DOD)이지만, 외부 가입자와 내선 가입자와의 접속은 중계대를 경유하여 수동식에 의해 접속되거나 또는 착신 접속까지도 자동식(Direct Inward Dialing, DID)인 것도 있다.
도 1은 종래 내선과 국선이 별도의 장치로 구성된 사설 교환기와 그 주변 블록의 블록구성도이다.
여기서 참조번호 1은 사설 단말기이고, 2는 국선 보드이며, 3은 내선 보드이고, 4는 HUB(허브)이며, 5는 라우터이고, 6은 WAN(Wide Area Network, 광역통신망)이며, 7은 IP 폰이다.
그래서 종래에는 IP 기반의 국선 보드(2)와 내선 보드(3)를 따로 구분하여 각각의 보드에 의해 내선 연결과 국선 연결을 수행하였다.
이에 따라 내선 보드(3)는 자체 프로토콜을 적용한 IP 폰(7)을 운용하여 기존 전화망의 디지털 폰과 같은 기능을 수행하도록 되어 있고, 국선 보드(2)는 H.323 프로토콜을 적용하여 VoIP(Voice over Internet Protocol)용 게이트웨이로써의 기능을 수행하였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 기술은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었다.
즉, 종래에는 내선 보드와 국선 보드를 따로 구분하여 구성되어 있었고, 이에 대한 자원의 활용도에 있어서 IP 기반의 통신채널로 사용되는 부분이 소용량일 경우, 각각을 사용 시에 자원의 효율적인 사용이 어렵고, 관리의 측면에서도 어려 움이 많은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제안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하나의 보드에 IP 기반의 내선 및 국선 기능을 통합하여 적용함으로써 시스템 자원의 효율적인 운용할 수 있는 사설 교환기의 내선 및 국선 통합 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사설 교환기의 내선 및 국선 통합 장치는,
전송받은 메시지를 분석하여 내선모드인지 아니면 국선모드인지를 판별하는 내선/국선 판별부와; 상기 내선/국선 판별부에서 판별된 내선모드 메시지를 전송받아 내선 처리를 수행하는 내선 처리부와; 상기 내선 처리부에서 처리된 메시지의 내선 프로토콜 처리를 수행하여 네트워크로 전송하는 내선 프로토콜 처리부와; 상기 내선/국선 판별부에서 판별된 국선모드 메시지를 전송받고, 메시지를 분석하고 국선 처리를 수행하는 국선 처리부와; 상기 국선 처리부에서 처리된 메시지를 전송받아 사용자 메시지로 변환시키는 사용자 메시지 변환부와; 상기 사용자 메시지 변환부에서 변환된 메시지를 입력받아 국선 프로토콜 처리를 수행하여 네트워크로 전송하고, 네트워크로부터 메시지를 전송받아 국선 프로토콜 처리를 수행하여 상기 사용자 메시지 변환부로 전송하는 국선 프로토콜 처리부와; 상기 국선 처리부에서 신호를 입력받아 QSIG 프로토콜 처리를 수행하는 QSIG 처리부와; 상기 국선 처리부와 상기 QSIG 처리부의 신호를 입력받아 송신하는 송신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짐을 그 기술적 구성상의 특징으로 한다.
이하, 상기와 같은 본 발명, 사설 교환기의 내선 및 국선 통합 장치의 기술적 사상에 따른 일실시예를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는 본 발명 사설 교환기의 내선 및 국선 통합 장치가 적용되는 사설 교환기와 그 주변 블록의 블록구성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사설 교환기의 내선 및 국선 통합 장치의 블록구성도이다.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송받은 메시지를 분석하여 내선모드인지 아니면 국선모드인지를 판별하는 내선/국선 판별부(20)와; 상기 내선/국선 판별부(20)에서 판별된 내선모드 메시지를 전송받아 내선 처리를 수행하는 내선 처리부(30)와; 상기 내선 처리부(30)에서 처리된 메시지의 내선 프로토콜 처리를 수행하여 네트워크로 전송하는 내선 프로토콜 처리부(40)와; 상기 내선/국선 판별부(20)에서 판별된 국선모드 메시지를 전송받고, 메시지를 분석하고 국선 처리를 수행하는 국선 처리부(50)와; 상기 국선 처리부(50)에서 처리된 메시지를 전송받아 사용자 메시지로 변환시키는 사용자 메시지 변환부(60)와; 상기 사용자 메시지 변환부(60)에서 변환된 메시지를 입력받아 국선 프로토콜 처리를 수행하여 네트워크로 전송하고, 네트워크로부터 메시지를 전송받아 국선 프로토콜 처리를 수행하여 상기 사용자 메시지 변환부(60)로 전송하는 국선 프로토콜 처리부(70)와; 상기 국선 처리부(50)에서 신호를 입력받아 QSIG 프로토콜 처리를 수행하는 QSIG 처리부(80)와; 상기 국선 처리부(50)와 상기 QSIG 처리부(80)의 신호를 입력받아 송신하는 송신부(90)를 포함하 여 구성된다.
상기에서 내선 처리부(30)는, 상기 내선/국선 판별부(20)로부터 수신된 내선모드 메시지를 스캔하는 스캔부(31)와; 상기 내선/국선 판별부(20)로부터 수신된 내선모드 메시지에 대해 내선 프로토콜을 생성하여 결합시켜 상기 내선 프로토콜 처리부(40)로 전송하는 내선 프로토콜 생성부(32)와; 상기 내선/국선 판별부(20)로부터 내선모드 메시지가 수신되면 LED(Light Emitting Diode, 발광 다이오드) 제어를 수행하여 내선모드의 메시지가 도착했음을 알리는 LED 제어부(33)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에서 국선 처리부(50)는, 상기 내선/국선 판별부(20)로부터 국선모드 메시지를 전송받으면 MPU(Main Processing Unit) 메시지 핸들링을 수행하는 MPU 메시지 핸들러(51)와; 상기 사용자 메시지 변환부(60)를 통해 국선(H.323) 메시지를 전송받으면 국선 메시지 핸들링을 수행하는 국선 메시지 핸들러(52)와; 상기 MPU 메시지 핸들러(51)와 상기 국선 메시지 핸들러(52)의 신호를 입력받아 QSIG 프로토콜 변환을 수행하여 상기 QSIG 처리부(80)로 전송하는 QSIG 변환부(53)와; 상기 MPU 메시지 핸들러(51)와 상기 국선 메시지 핸들러(52)의 신호를 입력받아 시스템 시그널로 변환하여 상기 송신부(90)로 전송하는 시스템 시그널 변환부(54)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에서 사설 교환기의 내선 및 국선 통합 장치는, 상기 내선/국선 판별부(20)의 국선모드의 메시지를 입력받아 큐잉하고, 상기 사용자 메시지 변환부(60)의 국선(H.323) 메시지를 입력받아 큐잉하여, 상기 국선 처리부(50)에서 읽을 수 있도 록 하는 제 1 큐(91)와; 상기 사용자 메시지 변환부(60)의 출력을 큐잉하여 상기 국선 프로토콜 처리부(70)에서 읽을 수 있도록 하는 제 2 큐(92)를 더욱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의한 사설 교환기의 내선 및 국선 통합 장치의 동작을 첨부한 도면에 의거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본 발명은 하나의 보드에 IP 기반의 내선 및 국선 기능을 통합하여 적용함으로써 시스템 자원의 효율적인 운용하고자 한 것이다.
그래서 국선 보드에 내선 보드의 기능을 추가하여 기존의 국선 보드에서 수행되는 H.323 프로토콜 및 내선용 보드에서 수행되는 자체 프로토콜(Internet Protocol Key Telephone System, IPKTS)이 채널별로 동작한다.
그리고 통합 보드(10)를 시스템에서 데이터 생산 시, 채널을 국선용과 내선용으로 설정한다. 예를 들어, 30 채널을 지원하는 통합 보드(10)라면, 1 ~ 10 채널은 국선용 VoIP 게이트웨이로 설정하고, 11 ~ 30 채널은 내선용으로 설정하여 IP 폰을 등록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한다.
그래서 도 2는 통합 보드(10)를 채널로 나누어 채널의 일부는 내선용 보드로, 나머지 일부는 국선용 보드로 사용되고 있는 예를 보인 것이다.
여기서 X-BUS는 상위 시스템과의 메시지 송수신을 하기 위한 인터페이스이다.
그래서 내선/국선 판별부(20)는 X-BUS를 통해 전송받은 메시지를 분석하여 내선모드인지 아니면 국선모드인지를 판별한다. 그래서 내선모드이면 X-버스를 통 해 전송받은 메시지를 내선 처리부(30)로 전송하고, 국선모드이면 제 1 큐(91)를 경유하여 국선 처리부(50)로 전송한다.
또한 내선 처리부(30)는 내선/국선 판별부(20)에서 판별된 내선모드 메시지를 전송받아 내선 처리를 수행한다.
이러한 내선 처리부(30)에서 스캔부(31)는 내선/국선 판별부(20)로부터 수신된 내선모드 메시지를 스캔한다.
또한 내선 처리부(30)에서 내선 프로토콜 생성부(32)는 내선/국선 판별부(20)로부터 수신된 내선모드 메시지에 대해 내선 프로토콜을 생성하여 결합시켜 내선 프로토콜 처리부(40)로 전송한다. 이때 사용되는 내선 프로토콜은 IP KTS((Internet Protocol Key Telephone System)가 될 수 있다.
또한 내선 처리부(30)에서 LED 제어부(33)는 내선/국선 판별부(20)로부터 내선모드 메시지가 수신되면 LED 제어를 수행하여 내선모드의 메시지가 도착했음을 알린다.
한편 도 3에서 보면, X-BUS를 통하여 시스템으로부터 메시지를 수신 후 채널을 분석하여 채널 모드가 내선 모드인지 국선 모드인지를 구분하고 이에 맞는 모듈로 이동한다. 각 모듈에 맞는 동작을 한 후 네트워크로 메시지를 전송한다. 또한 IP 단말이나 다른 VoIP 게이트웨이로부터 메시지를 수신하였을 경우, 각 모드별로 메시지를 처리한 후 X-BUS를 통하여 시스템으로 수신 메시지를 전송한다.
이를 좀더 상세히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먼저 내선 프로토콜 처리부(40)는 내선 처리부(30)에서 처리된 메시지의 내 선 프로토콜 처리를 수행하여 네트워크로 전송한다.
또한 국선 처리부(50)는 내선/국선 판별부(20)에서 판별된 국선모드 메시지를 전송받고, 메시지를 분석하고 국선 처리를 수행한다. 그래서 국선 처리부(50)에서는 시스템으로부터 수신된 메시지를 네트워크로, 네트워크로부터 수신된 메시지를 시스템으로 전송하기 위해 각 메시지를 분석하고 처리하게 된다.
이러한 국선 처리부(50)에서 MPU 메시지 핸들러(51)는 내선/국선 판별부(20)로부터 국선모드 메시지를 전송받으면 MPU 메시지 핸들링을 수행하여 QSIG 변환부(53)와 시스템 시그널 변환부(54)로 전송한다.
또한 국선 처리부(50)에서 국선 메시지 핸들러(52)는 사용자 메시지 변환부(60)를 통해 국선(H.323) 메시지를 전송받으면 국선 메시지 핸들링을 수행하여 QSIG 변환부(53)와 시스템 시그널 변환부(54)로 전송한다.
또한 국선 처리부(50)에서 QSIG 변환부(53)는 MPU 메시지 핸들러(51)와 국선 메시지 핸들러(52)의 신호를 입력받아 QSIG 프로토콜 변환을 수행하여 QSIG 처리부(80)로 전송한다.
여기서 QSIG 프로토콜은 원격지의 이 기종 시스템 사이에서 전용망을 통한 연동을 목표로 제창된 프로토콜로서, 기존의 전용망 접속 방식을 대체할 강력한 신호 방식이며 ISDN PRI(Integrated Services Digital Network Primary Rate Interface)를 기반으로 하고 있다.
또한 국선 처리부(50)에서 시스템 시그널 변환부(54)는 MPU 메시지 핸들러(51)와 국선 메시지 핸들러(52)의 신호를 입력받아 시스템 시그널로 변환하여 송신 부(90)로 전송한다.
한편 사용자 메시지 변환부(60)는 국선 처리부(50)에서 처리된 메시지를 전송받아 사용자 메시지로 변환시키고, 국선 프로토콜 처리부(70)에서 네트워크로부터 수신된 사용자 메시지를 입력받아 국선(H.323) 메시지로 변환시켜 제 1 큐(91)를 경유하여 국선 처리부(50) 내의 국선 메시지 핸들러(52)로 보내준다.
또한 국선 프로토콜 처리부(70)는 사용자 메시지 변환부(60)에서 변환된 메시지를 입력받아 국선 프로토콜 처리를 수행하여 네트워크로 전송하고, 네트워크로부터 메시지를 전송받아 국선 프로토콜 처리를 수행하여 사용자 메시지 변환부(60)로 전송한다.
또한 QSIG 처리부(80)는 국선 처리부(50)에서 신호를 입력받아 QSIG 프로토콜 처리를 수행하여 송신부(90)로 전송한다.
또한 송신부(90)는 국선 처리부(50)와 QSIG 처리부(80)의 신호를 입력받아 X-BUS로 송신한다.
한편 제 1 큐(91)는 내선/국선 판별부(20)의 국선모드의 메시지를 입력받아 큐잉하고, 사용자 메시지 변환부(60)의 국선(H.323) 메시지를 입력받아 큐잉하여, 국선 처리부(50)에서 읽을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제 2 큐(92)는 사용자 메시지 변환부(60)의 출력을 큐잉하여 국선 프로토콜 처리부(70)에서 읽을 수 있도록 한다.
이처럼 본 발명은 하나의 보드에 IP 기반의 내선 및 국선 기능을 통합하여 적용함으로써 시스템 자원의 효율적인 운용하게 되는 것이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다양한 변화와 변경 및 균등물을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를 적절히 변형하여 동일하게 응용할 수 있음이 명확하다. 따라서 상기 기재 내용은 하기 특허청구범위의 한계에 의해 정해지는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는 것이 아니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사설 교환기의 내선 및 국선 통합 장치는 하나의 보드에 IP 기반의 내선 및 국선 기능을 통합하여 적용함으로써 시스템 자원의 효율적인 운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은 내선용 보드와 국선용 보드의 전혀 다른 보드를 하나의 보드에 통합시킴으로써 생산원가의 절감을 가져올 수 있는 효과도 있게 된다.
더불어 본 발명은 국선용 보드에 내선용 보드의 기능을 추가함으로써 내선용 보드 사용시 적용될 수 없었던 코덱(G.723.1)을 적용할 수 있는 효과도 있게 된다.
나아가 본 발명은 소용량의 채널을 사용하는 곳에서 내선, 국선 두개의 보드를 적용하는 것 보다 하나의 통합 보드를 적용함으로써 자원의 효율성을 극대화시킬 수 있는 장점도 있게 된다.

Claims (4)

  1. 전송받은 메시지를 분석하여 내선모드인지 아니면 국선모드인지를 판별하는 내선/국선 판별부와;
    상기 내선/국선 판별부에서 판별된 내선모드 메시지를 전송받아 내선 처리를 수행하는 내선 처리부와;
    상기 내선 처리부에서 처리된 메시지의 내선 프로토콜 처리를 수행하여 네트워크로 전송하는 내선 프로토콜 처리부와;
    상기 내선/국선 판별부에서 판별된 국선모드 메시지를 전송받고, 메시지를 분석하고 국선 처리를 수행하는 국선 처리부와;
    상기 국선 처리부에서 처리된 메시지를 전송받아 사용자 메시지로 변환시키는 사용자 메시지 변환부와;
    상기 사용자 메시지 변환부에서 변환된 메시지를 입력받아 국선 프로토콜 처리를 수행하여 네트워크로 전송하고, 네트워크로부터 메시지를 전송받아 국선 프로토콜 처리를 수행하여 상기 사용자 메시지 변환부로 전송하는 국선 프로토콜 처리부와;
    상기 국선 처리부에서 신호를 입력받아 QSIG 프로토콜 처리를 수행하는 QSIG 처리부와;
    상기 국선 처리부와 상기 QSIG 처리부의 신호를 입력받아 송신하는 송신부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설 교환기의 내선 및 국선 통합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내선 처리부는,
    상기 내선/국선 판별부로부터 수신된 내선모드 메시지를 스캔하는 스캔부와;
    상기 내선/국선 판별부로부터 수신된 내선모드 메시지에 대해 내선 프로토콜을 생성하여 결합시켜 상기 내선 프로토콜 처리부로 전송하는 내선 프로토콜 생성부와;
    상기 내선/국선 판별부로부터 내선모드 메시지가 수신되면 LED 제어를 수행하여 내선모드의 메시지가 도착했음을 알리는 LED 제어부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설 교환기의 내선 및 국선 통합 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국선 처리부는,
    상기 내선/국선 판별부로부터 국선모드 메시지를 전송받으면 MPU 메시지 핸들링을 수행하는 MPU 메시지 핸들러와;
    상기 사용자 메시지 변환부를 통해 국선 메시지를 전송받으면 국선 메시지 핸들링을 수행하는 국선 메시지 핸들러와; 상기 MPU 메시지 핸들러와 상기 국선 메시지 핸들러의 신호를 입력받아 QSIG 프로토콜 변환을 수행하여 상기 QSIG 처리부로 전송하는 QSIG 변환부와;
    상기 MPU 메시지 핸들러와 상기 국선 메시지 핸들러의 신호를 입력받아 시스템 시그널로 변환하여 상기 송신부로 전송하는 시스템 시그널 변환부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설 교환기의 내선 및 국선 통합 장치.
  4.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사설 교환기의 내선 및 국선 통합 장치는,
    상기 내선/국선 판별부의 국선모드의 메시지를 입력받아 큐잉하고, 상기 사용자 메시지 변환부의 국선 메시지를 입력받아 큐잉하여, 상기 국선 처리부에서 읽을 수 있도록 하는 제 1 큐와;
    상기 사용자 메시지 변환부의 출력을 큐잉하여 상기 국선 프로토콜 처리부에서 읽을 수 있도록 하는 제 2 큐를 더욱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설 교환기의 내선 및 국선 통합 장치.
KR1020040107527A 2004-12-17 2004-12-17 사설 교환기의 내선 및 국선 통합 장치 KR10066150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107527A KR100661502B1 (ko) 2004-12-17 2004-12-17 사설 교환기의 내선 및 국선 통합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107527A KR100661502B1 (ko) 2004-12-17 2004-12-17 사설 교환기의 내선 및 국선 통합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69664A KR20060069664A (ko) 2006-06-22
KR100661502B1 true KR100661502B1 (ko) 2006-12-27

Family

ID=3716358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107527A KR100661502B1 (ko) 2004-12-17 2004-12-17 사설 교환기의 내선 및 국선 통합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61502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69664A (ko) 2006-06-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333472B2 (en) Internet protocol telephony exchange system and call control method thereof
US7596129B2 (en) Home gateway systems and methods to establish communication sessions
RU2273108C2 (ru) Система обеспечения и способ работы терминала, по меньшей мере, в двух режимах связи
KR100876760B1 (ko) 인터넷 프로토콜 텔레포니 시스템의 호처리 메시지 컨버터및 메시지 컨버팅 방법
KR100480722B1 (ko) 링백 톤 발생장치를 구비한 인터넷 폰 및 그의 링백 톤전송 방법
KR100450964B1 (ko) 인터넷 프로토콜 텔레포니 시스템의 가입자 그룹 서비스방법
KR100407348B1 (ko) 보이스 오버 인터넷 프로토콜 호 서비스 방법
CN101951702A (zh) 一种基于手机终端实现单工通信的方法
KR100272573B1 (ko) 전화교환장치
KR100661502B1 (ko) 사설 교환기의 내선 및 국선 통합 장치
US20060245568A1 (en) Gateway device, private branch exchange system, and private branch exchange method
KR100798190B1 (ko) 다중 프로토콜 연동을 위한 선택 게이트웨이
US20050169241A1 (en) Integrated voice and data switching system
KR100898250B1 (ko) Megaco 기반 액세스 게이트웨이의 전화가입자에대한 지능망 서비스 제공시스템 및 방법
KR100493093B1 (ko) 랜 접속 사설 교환시스템
KR100444826B1 (ko) 원격 인터넷 접속 장치를 이용한 가상번호 서비스 방법
KR100353713B1 (ko) 음성 및 데이터를 통합하여 처리하기 위한 통신 시스템
KR100393628B1 (ko) Voip호 착신시 교환기의 dtmf신호 수신할당방법
CN108769441B (zh) 软交换通话方法和系统
KR100438234B1 (ko) 인터넷 망에서의 음성 및 팩시밀리 가입자 장치
KR100590861B1 (ko) 전화통화 요청신호를 전환시키는 방법
KR100416804B1 (ko) 음성 인터넷 프로토콜 게이트웨이 시스템의 탠덤기능활용을 위한 디티엠에프 처리 방법 및 그 장치
KR100475181B1 (ko) Ums 서비스 시스템
KR200430301Y1 (ko) 유선전화 공유장치
KR101192837B1 (ko) 소출력 전용무선단말기를 이용한 유무선 통합통신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115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115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117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112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114

Year of fee payment: 11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