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61353B1 - Preparation method of toner composition - Google Patents

Preparation method of toner composition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61353B1
KR100661353B1 KR1020050004636A KR20050004636A KR100661353B1 KR 100661353 B1 KR100661353 B1 KR 100661353B1 KR 1020050004636 A KR1020050004636 A KR 1020050004636A KR 20050004636 A KR20050004636 A KR 20050004636A KR 100661353 B1 KR100661353 B1 KR 10066135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rganosol
toner composition
toner
liquid
prepar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04636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060083720A (en
Inventor
주혜리
정민영
석기원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5000463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61353B1/en
Publication of KR2006008372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83720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6135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61353B1/en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29/00Arrangements for measuring or indicating electric quantities not covered by groups G01R19/00 - G01R27/00
    • G01R29/08Measuring electromagnetic field characteristic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29/00Arrangements for measuring or indicating electric quantities not covered by groups G01R19/00 - G01R27/00
    • G01R29/08Measuring electromagnetic field characteristics
    • G01R29/0807Measuring electromagnetic field characteristics characterised by the application
    • G01R29/0814Field measurements related to measuring influence on or from apparatus, components or humans, e.g. in ESD, EMI, EMC, EMP testing, measuring radiation leakage; detecting presence of micro- or radiowave emitters; dosimetry; testing shielding; measurements related to lightning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CTRANSMISSION SYSTEMS FOR MEASURED VALUES, CONTROL OR SIMILAR SIGNALS
    • G08C19/00Electric signal transmission systems
    • G08C19/02Electric signal transmission systems in which the signal transmitted is magnitude of current or voltage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Liquid Developers In Electrophotography (AREA)

Abstract

액체 토너 조성물의 제조 방법이 개시된다. 본 액체 토너 조성물의 제조 방법은 제 1 캐리어 액체에 그래프트 안정제 형성용 모노머 및 제 1 중합 개시제를 혼합하고 중합하여 그래프트 안정제를 제조하는 단계; 제 2 캐리어 액체에 상기 제조된 그래프트 안정제, 열가소성 (코)폴리머 코아 형성용 모노머 및 제 2 중합 개시제를 혼합하고 중합하여 오가노졸을 제조하는 단계; 및 제 3 캐리어 액체에 상기 제조된 오가노졸, 착색제 및 대전 제어제를 고온에서 밀링하여 토너 조성물을 제조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액체 토너 자체의 물성을 저해하지 않으면서도 분산 안정성이 향상되는 액체 토너 조성물을 제조할 수 있고, 또한 제조 단가를 낮추고 제조 공정을 단순화하여 양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A method of making a liquid toner composition is disclosed. The method for preparing the liquid toner composition comprises mixing and polymerizing a graft stabilizer-forming monomer and a first polymerization initiator in a first carrier liquid to prepare a graft stabilizer; Preparing a organosol by mixing and polymerizing the prepared graft stabilizer, a thermoplastic (co) polymer core forming monomer, and a second polymerization initiator to a second carrier liquid; And milling the prepared organosol, colorant and charge control agent at a high temperature in a third carrier liquid to prepare a toner compos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produce a liquid toner composition which can improve the dispersion stability without impairing the physical properties of the liquid toner itself, and also has the effect of improving the mass productivity by lowering the manufacturing cost and simplifying the manufacturing process.

오가노졸, 토너, 분산성Organosol, Toner, Dispersible

Description

액체 토너 조성물의 제조 방법 {Preparation method of toner composition}Preparation method of liquid toner composition {Preparation method of toner composition}

본 발명은 액체 토너 조성물의 제조 방법에 대한 것이다. 더욱 상세하기로는 부피평균 입자 크기가 마이크로미터 이하인 오가노졸을 이용해서 액체 토너를 제조함으로써 토너 조성물의 분산성이 향상되어 장기간 저장시에도 분산성이 유지될 수 있고 그 제조 공정이 단순한 액체 토너 조성물의 제조 방법에 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ethod for producing a liquid toner composition. More specifically, by preparing a liquid toner using an organosol having a volume average particle size of less than or equal to micrometer, the dispersibility of the toner composition is improved, so that the dispersibility can be maintained even during long-term storage and the manufacturing process of the liquid toner composition is simple. It's about how.

토너 조성물은 복사기, 레이저 프린터, 팩시밀리 등과 같은 전자사진방식 화상형성장치에서 현상제로서 사용된다. The toner composition is used as a developer in electrophotographic image forming apparatuses such as copiers, laser printers, fax machines and the like.

전자사진방식 화상형성장치는 토너 입자를 전기적인 힘으로 이동시켜서 기록 매체 상에 원하는 화상을 인쇄하는 작동을 한다. 전자사진방식 화상형성장치는 그 사용되는 토너에 따라서 건식 토너를 사용하는 건식 전자사진방식 화상형성장치와 습식 토너(또는 액체 토너)를 사용하는 습식 전자사진방식 화상형성장치로 구분할 수 있다. The electrophotographic image forming apparatus operates to move the toner particles by electric force to print a desired image on the recording medium. The electrophotographic image forming apparatus may be classified into a dry electrophotographic image forming apparatus using a dry toner and a wet electrophotographic image forming apparatus using a liquid toner (or liquid toner) according to the toner used.

액체 토너는 건식 토너에 비해서 작은 토너 입자를 사용하기 때문에 비교적 고해상도를 구현할 수 있고 인쇄 속도가 빠르며 비교적 적은 양의 토너를 사용하므로 토너의 교체 기간이 길다는 장점이 있다. Since liquid toner uses smaller toner particles than dry toners, it is possible to achieve relatively high resolution, to print at a high speed, and to use a relatively small amount of toner.

액체 토너는 토너 입자가 액상의 캐리어 상에 분산되어 있는 구성이며, 일반적으로 착색제와 결합제인 고분자 수지로 구성된 토너 입자와 이 토너 입자에 대전되는 하전량을 제어하는 대전 제어제 및 토너 입자와 대전 제어제가 분산되어 있는 캐리어 액체로 구성된다. 그 외 토너의 기능성을 향상시키기 위한 첨가제가 더 포함될 수 있다. A liquid toner is a structure in which toner particles are dispersed on a liquid carrier, and are generally charged with a toner particle composed of a polymer resin, which is a colorant and a binder, and a charge control agent for controlling the amount of charge charged to the toner particles, and a charge control with the toner particles. It consists of a carrier liquid in which I am dispersed. In addition, an additive for improving the functionality of the toner may be further included.

습식 전자사진방식 화상형성장치에 사용되는 액체 토너는 토너에 사용되는 결합제 수지에 따라서 크게 두 가지로 나눌 수 있는데, 일반적인 상용레진을 사용하는 액체 토너 및 오가노졸을 사용하는 오가노졸 액체 토너가 있다. The liquid toner used in the wet electrophotographic image forming apparatus can be classified into two types according to the binder resin used in the toner. There are a liquid toner using a common commercial resin and an organosol liquid toner using an organosol.

오가노졸 액체 토너는 토너 입자의 직경이 수 마이크로 미터이고, 안정하게 대전되어 있으므로 고해상의 화상을 실현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Organosol liquid toner has a merit of achieving a high resolution image because the toner particles have a diameter of several micrometers and are charged stably.

종래 오가노졸 액체 토너를 제조하는 방법은 그래프팅 작용기를 포함하는 그래프트 안정제와 코어 모노머, 및 소량의 중합 개시제를 캐리어 액체와 함께 투입하여 상온에서 교반한 후, 중합 온도로 상승시켜서 일정한 시간 동안 자유 라디칼 반응에 의한 중합 반응을 시키고, 미반응으로 잔존하는 모노머들을 제거하기 위하여 스트리핑 공정을 행하였다.Conventionally, a method for preparing an organosol liquid toner includes a graft stabilizer and a core monomer containing a grafting functional group, and a small amount of a polymerization initiator, together with a carrier liquid, stirred at room temperature, and then raised to a polymerization temperature, thereby free radicals. A stripping process was carried out in order to carry out the polymerization reaction by the reaction and to remove unreacted monomers.

이렇게 해서 최종적으로 20㎛ 내지 30㎛의 부피 평균 입자 크기를 갖는 코어-쉘 구조의 오가노졸을 제조하였다. 그 다음, 이 오가노졸을 착색제, 대전 제어제와 함께 분산시켜서 최종적으로 1 내지 5㎛의 부피 평균 입자 크기를 갖는 액체 토너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Thus, finally, a core-shell structured organosol having a volume average particle size of 20 μm to 30 μm was prepared. This organosol was then dispersed together with a colorant and a charge control agent to prepare a liquid toner composition having a volume average particle size of 1 to 5 mu m.

이러한 기존의 액체 토너 조성물을 제조하는 방법은 20㎛ 내지 30㎛의 부피 평균 입자 크기를 갖는 오가노졸을 밀링 작업을 통해서 3㎛ 내지 5㎛의 부피 평균 입자 크기를 갖는 습식 토너로 제조하였다. The conventional method for preparing the liquid toner composition is to prepare an organosol having a volume average particle size of 20 μm to 30 μm into a liquid toner having a volume average particle size of 3 μm to 5 μm through milling.

그러나, 오가노졸 제조에 있어서 행하는 스트리핑 공정은 고가의 장비를 이용하고 그 공정 자체가 복잡한 어려움이 있었다. 또한, 20㎛ 내지 30㎛의 평균 입자 크기를 갖는 오가노졸을 밀링을 통해 3㎛ 내지 5㎛의 크기의 토너로 만드는 방법으로 제조된 최종 액체 토너는 그래프트 안정제가 토너 입자 표면에 균일하게 분포하지 않은 상태로 존재하게 되고, 따라서 토너 입자의 분산성 및 저장 안정성을 감소시키게 된다. 이러한 액체 토너는 장기간 방치하거나 가혹 조건을 거치면서 응집하게 되므로 재사용시에 단순한 쉐이킹으로도 분산시키기 곤란해져서 사용이 곤란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However, the stripping process performed in organosol production uses expensive equipment, and the process itself has a complicated difficulty. In addition, the final liquid toner prepared by the method of making an organosol having an average particle size of 20 μm to 30 μm into a toner having a size of 3 μm to 5 μm through milling does not have the graft stabilizer uniformly distributed on the toner particle surface. In the state, thereby reducing the dispersibility and storage stability of the toner particles. These liquid toners are agglomerated over long periods of time or undergo harsh conditions, which makes it difficult to disperse even simple shaking during reuse, making it difficult to use.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토너 자체의 물성을 저해하지 않으면서도 토너의 장기간 분산 안정성을 유지할 수 있으며, 제조 공정을 단순하게 함으로써 토너의 양산시에 공정 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액체 토너의 제조 방법을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solve the above problems, and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maintain long-term dispersion stability of the toner without impairing the properties of the toner itself, and to simplify the manufacturing process,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method for producing a liquid toner that can reduce cost.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액체 토너 조성물의 제조 방법은 제 1 캐리어 액체에 그래프트 안정제 형성용 모노머 및 제 1 중합 개시제를 혼합하 고 중합하여 그래프트 안정제를 제조하는 단계;Method for producing a liquid toner compos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comprises the steps of preparing a graft stabilizer by mixing and polymerizing the graft stabilizer forming monomer and the first polymerization initiator in the first carrier liquid;

제 2 캐리어 액체에 상기 제조된 그래프트 안정제, 열가소성 (코)폴리머 코아 형성용 모노머 및 제 2 중합 개시제를 혼합하고 중합하여 오가노졸을 제조하는 단계; 및Preparing a organosol by mixing and polymerizing the prepared graft stabilizer, a thermoplastic (co) polymer core forming monomer, and a second polymerization initiator to a second carrier liquid; And

제 3 캐리어 액체에 상기 제조된 오가노졸, 착색제 및 대전 제어제를 고온에서 밀링하여 토너 조성물을 제조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And milling the prepared organosol, colorant and charge control agent at a high temperature into a third carrier liquid to prepare a toner composition.

상기 오가노졸을 제조하는 단계에서, 제 2 중합 개시제의 함량은 상기 열가소성(코)폴리머 코아 형성용 모노머 1 중량부에 대해서 0.15 내지 0.3 중량부의 범위 이내인 것이 바람직하다. In the preparing of the organosol, the content of the second polymerization initiator is preferably within the range of 0.15 to 0.3 parts by weight based on 1 part by weight of the monomer for forming the thermoplastic (co) polymer core.

상기 제조된 오가노졸의 부피 평균 입자 크기는 0.1㎛ 내지 1.0㎛의 범위 이내인 것이 바람직하다. The volume average particle size of the prepared organosol is preferably within the range of 0.1 ㎛ to 1.0 ㎛.

상기 토너 조성물을 제조하는 단계에서, 상기 밀링시의 온도는 90℃ 내지 180℃의 범위 이내인 것이 바람직하다. In the step of preparing the toner composition, the temperature at the time of milling is preferably within the range of 90 ℃ to 180 ℃.

상기 제조된 토너 입자의 부피 평균 입자 크기는 1㎛ 내지 5㎛의 범위 이내인 것이 바람직하다. The volume average particle size of the prepared toner particles is preferably in the range of 1 µm to 5 µm.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 및 비교예를 참조하여 본 발명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with reference to Examples and Comparative Example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에 따른 액체 토너 조성물을 제조하기 위해서 먼저 캐리어 액체에 그래프트 안정제 형성용 모노머 및 중합 개시제를 혼합하고 중합하여 그래프트 안정제를 제조한다. 그 다음, 캐리어 액체에 제조된 그래프트 안정제와 열가소성 (코) 폴리머 코아 형성용 모노머 및 중합 개시제를 혼합하고 중합해서 부피 평균 입자 크기가 0.1㎛ 내지 1.0㎛의 범위 이내인 오가노졸을 제조한다. In order to prepare the liquid toner compos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 graft stabilizer is prepared by first mixing and polymerizing a graft stabilizer-forming monomer and a polymerization initiator in a carrier liquid. Then, the graft stabilizer prepared in the carrier liquid, a monomer for forming a thermoplastic (co) polymer core, and a polymerization initiator are mixed and polymerized to prepare an organosol having a volume average particle size within the range of 0.1 µm to 1.0 µm.

그래프트 안정제 형성용 모노머는 C6 내지 C30의 (메타)아크릴계 모노머인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면, 알킬 아크릴레이트류, 알킬 메타크릴레이트류, 에틸렌, 프로필렌, 아크릴 아미드, 아릴 아크릴레이트류, 아릴 메타크릴레이트류, 고분자량 알파올레핀, 직쇄형 또는 분지형 알킬 비닐 에테르 또는 비닐 에스테르, 장쇄 알킬 이소시아네이트류, 폴리실록산 및 폴리실란, 및 중합성 합성 왁스류 등이 있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술한 모노머 중에서 하나 또는 2종 이상을 선택하여 혼합해서 사용할 수 있다. Graft stabilizer monomer for forming is preferably a (meth) acrylic monomer of the C 6 to C 30. For example, alkyl acrylates, alkyl methacrylates, ethylene, propylene, acrylamide, aryl acrylates, aryl methacrylates, high molecular weight alphaolefins, straight or branched alkyl vinyl ethers or vinyl esters, Long-chain alkyl isocyanates, polysiloxanes and polysilanes, and polymerizable synthetic waxes and the like, but are not limited thereto. One or two or more kinds of the above-mentioned monomers can be selected and mixed.

코아 형성용 모노머는 C4 내지 C30의 (메타)아크릴계 모노머인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면, 메틸 아크릴레이트, 에틸 아크릴레이트, 부틸 아크릴레이트, 메틸 메타크릴레이트, 에틸 메타크릴레이트, 부틸 메타크릴레이트, 트리메틸 사이클로헥실 메타크릴레이트, 베헤닐 아크릴레이트, 옥타데실 아크릴레이트 등이 있으며, 이 모노머를 하나 또는 2종 이상을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다만, 사용할 수 있는 모노머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The core for core formation is preferably a C 4 to C 30 (meth) acrylic monomer. For example, methyl acrylate, ethyl acrylate, butyl acrylate, methyl methacrylate, ethyl methacrylate, butyl methacrylate, trimethyl cyclohexyl methacrylate, behenyl acrylate, octadecyl acrylate, and the like. One or two or more kinds of these monomers may be used in combination. However, the monomer which can be used is not limited to this.

그래프트 안정제의 제조 및 오가노졸의 제조에 사용할 수 있는 캐리어 액체는 각각 지방족 탄화수소, 고리형 탄화수소, 방향족 탄화수소, 할로겐화된 탄화수소 용매, 실리콘 오일류 및 왁스류, 폴리에틸렌 왁스, 스테아르산 왁스, 스테아르산 아미드 또는 이들의 혼합물 등이 있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Carrier liquids that can be used to prepare graft stabilizers and organosols are aliphatic hydrocarbons, cyclic hydrocarbons, aromatic hydrocarbons, halogenated hydrocarbon solvents, silicone oils and waxes, polyethylene waxes, stearic acid waxes, stearic acid amides or these And the like, but are not limited thereto.

그래프트 안정제의 제조 및 오가노졸의 제조에 사용할 수 있는 중합 개시제는 각각 수용성 또는 지용성의 과황산염, 과산화물 및 아조비스 화합물 등이 있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술한 화합물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여 단독으로 또는 2종 이상을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Polymerization initiators that can be used in the preparation of the graft stabilizer and the organosol include, but are not limited to, water-soluble or fat-soluble persulfates, peroxides and azobis compounds. Any one of the compounds described above may be selected and used alone or in combination of two or more thereof.

오가노졸의 제조에서 사용되는 중합 개시제의 함량은 상기 열가소성 (코)폴리머 코아 형성용 모노머의 함량 1중량부에 대해서 0.15중량부 내지 0.3중량부의 범위 이내인 것이 바람직하다. The content of the polymerization initiator used in the preparation of the organosol is preferably in the range of 0.15 parts by weight to 0.3 parts by weight with respect to 1 part by weight of the monomer for forming a thermoplastic (co) polymer core.

본 발명의 오가노졸의 제조 방법에서 사용되는 중합 개시제의 함량은 일반적인 오가노졸의 제조 방법에서 사용되는 중합 개시제의 함량에 비해서 2배 내지 3배 이상의 함량이다. 중합 개시제의 함량을 증가시킴에 따라서 제조된 오가노졸의 부피 평균 입자경이 작아지게 되고, 따라서 본 발명에서 의도한 바와 같이 분산 안정성이 향상된 토너 조성물을 제조할 수 있다. The content of the polymerization initiator used in the method for producing the organosol of the present invention is 2 to 3 times or more than the content of the polymerization initiator used in the general method for preparing the organosol. As the content of the polymerization initiator is increased, the volume average particle diameter of the prepared organosol becomes small, and thus, a toner composition having improved dispersion stability can be prepared as intended in the present invention.

상술한 중합 개시제의 함량은 실험치에서 제시된 값이다. The content of the polymerization initiator described above is the value given in the experimental values.

종래 오가노졸 토너의 제조 방법에 따르면 오가노졸의 제조시 최종 단계로 스트리핑(stripping)을 실행하였다. 스트리핑은 토너를 제조할 때 부피 평균 입자 크기를 조절하기 위해서 반응하지 않고 남아 있는 잔여 모노머를 제거하는 과정이다. 스트리핑을 행함에 따라서 오가노졸의 부피 평균 입자 크기는 커지게 된다. According to the conventional method for preparing the organosol toner, stripping is performed as a final step in the preparation of the organosol. Stripping is the process of removing residual monomer that remains unreacted in order to adjust the volume average particle size when preparing the toner. Stripping increases the volume average particle size of the organosol.

스트리핑 과정은 진공 조건에서 일정 온도를 유지하면서 미반응 잔여 모노머들을 제거하는 것으로서 그 자체가 상당히 복잡하고 까다로운 과정이다. The stripping process itself is quite complicated and difficult to remove unreacted residual monomers while maintaining a constant temperature under vacuum conditions.

본 발명에서는 오가노졸 제조 후 액체 토너 제조시 고온에서 밀링을 하여 제 조하기 때문에 종래 스트리핑 공정을 생략할 수 있다.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conventional stripping process can be omitted because milling is performed at high temperature during the preparation of the liquid toner after the preparation of the organosol.

이렇게 하여 제조된 오가노졸의 부피 평균 입자 크기는 0.1㎛ 내지 1.0㎛의 범위 이내이다. 이러한 오가노졸을 이용하여 토너 조성물을 제조하게 되면, 그래프트 안정제가 토너 입자 표면에 균일하게 분포하게 되므로 그래프팅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그래프트 안정제가 안정제로서의 역할도 충실히 할 수 있어서 토너 입자가 서로 응집하는 경향이 억제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제조 방법에 의해서 제조된 토너 조성물은 분산성이 향상되고 장기간의 저장시에도 그 분산성이 유지될 수 있다. The volume average particle size of the organosol thus prepared is within the range of 0.1 μm to 1.0 μm. When the toner composition is prepared using the organosol, the graft stabilizer is uniformly distributed on the surface of the toner particles, thereby improving the grafting efficiency. In addition, the graft stabilizer can also play a role as a stabilizer, thereby suppressing the tendency for the toner particles to aggregate together. Therefore, the toner composition produced by the production method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improve dispersibility and maintain its dispersibility even during long term storage.

최종 토너 조성물의 제조는 캐리어 액체에 상기 오가노졸, 착색제 및 대전 제어제를 고온에서 밀링하여 실행한다. The preparation of the final toner composition is carried out by milling the organosol, colorant and charge control agent in a carrier liquid at high temperature.

이 단계에서 사용되는 캐리어 액체는 예를 들면, n-펜탄, 헥산, 헵탄 등의 지방족 탄화수소, 사이클로펜탄, 사이클로헥산 등의 고리 탄화수소, 벤젠, 톨루엔, 크실렌 등의 방향족 탄화수소, 염소화된 알칸, 불소화된 알칸, 클로로플루오로카본 등의 할로겐화된 탄화수소 용매, 실리콘 오일류 및 왁스류, 폴리에틸렌 왁스, 분지형 파라핀계 왁스 및 오일류, 스테아르산 아미드 등이 있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술한 캐리어 액체를 단일 또는 2종 이상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상업적으로 이용할 수 있는 캐리어 액체의 예를 들면, 엑슨사(Exxon corporation)제의 이소파르 G(Isopar G), 이소파르 H, 이소파르 K, 이소파르 L, 이소파르 M, 이소파르 V, 노파 12(Norpar 12), 노파 15 등이 있다. Carrier liquids used in this step are, for example, aliphatic hydrocarbons such as n-pentane, hexane and heptane, cyclic hydrocarbons such as cyclopentane and cyclohexane, aromatic hydrocarbons such as benzene, toluene and xylene, chlorinated alkanes and fluorinated Halogenated hydrocarbon solvents such as alkanes and chlorofluorocarbons, silicone oils and waxes, polyethylene waxes, branched paraffinic waxes and oils, stearic acid amides, and the like, but are not limited thereto. The above-mentioned carrier liquid can be used individually or in mixture of 2 or more types. Examples of commercially available carrier liquids include Isopar G, Isopar H, Isopar K, Isopar L, Isopar M, Isopar V, and Nopa 12 from Exxon Corporation. (Norpar 12), old woman 15, and so on.

액체 토너 조성물 중의 캐리어 액체의 함량은 착색제 1 중량부에 대해서 10 중량부 내지 100중량부의 범위 이내인 것이 바람직하다. 캐리어 액체의 함량이 10중량부보다 작으면 상대적으로 토너 입자의 함량이 커져서 액체 토너의 점도가 높아지므로 액체 토너의 제어가 곤란하여 비화상영역에도 화상이 인쇄되는 문제점이 발생한다. 또한, 100 중량부보다 크면 상대적으로 착색제의 함량이 작아서 착색제의 농도가 낮기 때문에 인쇄 화상의 화상영역의 OD가 낮아지고 액체 토너가 쉽게 소모되어 잦은 교체가 불가피해지는 문제가 있기 때문이다. The content of the carrier liquid in the liquid toner composition is preferably within the range of 10 parts by weight to 100 parts by weight with respect to 1 part by weight of the colorant. If the content of the carrier liquid is less than 10 parts by weight, the content of the toner particles is relatively increased, so that the viscosity of the liquid toner is high, which makes it difficult to control the liquid toner and causes an image to be printed even in the non-image area. In addition, if the content is greater than 100 parts by weight, the content of the colorant is relatively low, so that the concentration of the colorant is low, so that the OD of the image area of the printed image is low, and the liquid toner is easily consumed, and frequent replacement is inevitable.

토너 조성물의 착색제는 염료계 착색제나 안료계 착색제 어느 것이라도 사용할 수 있지만 열 안정성이나 내광성에서 우수성을 보이는 안료계 착색제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Although the coloring agent of a toner composition can use either a dye type coloring agent or a pigment type coloring agent, It is preferable to use the pigment type coloring agent which shows the outstanding thing in thermal stability or light resistance.

본 발명에 사용할 수 있는 안료계 착색제의 예를 들면, 아조계 안료, 프탈로시아닌계 안료, 염기성 염료계 안료, 퀴나트리돈계 안료, 디옥사신계 안료, 축합아조계 안료, 크롬산염, 페로시안화물, 산화물, 황화물 셀렌화물, 황산염, 규산염, 탄산염, 인산염, 금속 분말, 카본 블랙 등이 있으며, 이러한 안료를 단일 또는 2종 이상 혼합해서 사용할 수 있지만, 사용가능한 안료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Examples of the pigment colorant that can be used in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 azo pigments, phthalocyanine pigments, basic dye pigments, quinatridone pigments, dioxacin pigments, condensed azo pigments, chromates, ferrocyanides, and oxides. And sulfide selenides, sulfates, silicates, carbonates, phosphates, metal powders, carbon blacks, and the like, and these pigments may be used singly or in combination of two or more, but the pigments that can be used are not limited thereto.

본 발명에 따른 토너 조성물의 안료로서 사용할 수 있는 유색 안료를 색상별로 구분하면 다음과 같은 것들이 있다. The color pigments that can be used as the pigment of the toner compos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re classified by color as follows.

청색 및/또는 녹색 안료로는 구리 프탈로시아닌, P.B.(Pigment Blue) 15, 15:1, 15:2, 15:3, 15:4, 15:6, 16과 같은 무금속 프탈로시아닌, 및 중심 금속으로서 알루미늄, 니켈 또는 바나듐을 갖는 프탈로시아닌, Si-브리징된 프탈로시아닌과 같은 브리징된 프탈로시아닌 이량체/올리고머 등이 있다. Blue and / or green pigments include copper phthalocyanine, Pigment Blue (PB) 15, 15: 1, 15: 2, 15: 3, 15: 4, 15: 6, 16 free metal phthalocyanine, and aluminum as the center metal. Phthalocyanine with nickel or vanadium, bridged phthalocyanine dimers / oligomers such as Si-bridged phthalocyanine and the like.

오렌지색 안료로는 P.O.(Pigment Orange) 5, 13, 43, 71, 72 등이 있다. Orange pigments include P.O. (Pigment Orange) 5, 13, 43, 71, 72 and the like.

황색 안료로는 P.Y.(Pigment Yellow) 12, 13, 17, 74, 83, 93, 146, 156, 180, 185 등이 있다. Yellow pigments include P.Y. (Pigment Yellow) 12, 13, 17, 74, 83, 93, 146, 156, 180, 185 and the like.

적색 안료로는 P.R.(Pigment Red) 48, 57, 122, 146, 147, 176, 184, 186, 202, 207, 238, 254, 255, 269, 270, 272 등이 있다. Red pigments include P.R. (Pigment Red) 48, 57, 122, 146, 147, 176, 184, 186, 202, 207, 238, 254, 255, 269, 270, 272 and the like.

혼합 안료로는 P.V.19/P.R.122 또는 P.R.146/147 등이 있다. Mixed pigments include P.V.19 / P.R.122 or P.R.146 / 147.

본 발명에 따른 액체 토너 조성물의 제조에는 상술한 안료들을 사용할 수 있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The pigments described above may be used in the preparation of the liquid toner compos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but are not limited thereto.

본 발명에 따른 액체 토너 조성물의 제조에서, 오가노졸의 함량은 착색제 1중량부에 대해서 10중량부 내지 50중량부의 범위 이내인 것이 바람직하다. 오가노졸은 액체 토너에 있어서 결합제 및 분산제의 기능을 동시에 한다. 오가노졸의 함량이 10중량부보다 작으면 분산제로서의 기능을 기대하기 곤란하다. 또한, 오가노졸의 함량이 50중량부보다 많으면 상대적으로 착색제의 함량이 작아져서 인쇄된 화상의 선명도가 떨어지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In the preparation of the liquid toner compos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content of the organosol is preferably within the range of 10 parts by weight to 50 parts by weight with respect to 1 part by weight of the colorant. The organosol simultaneously functions as a binder and a dispersant in the liquid toner. If the content of organosol is less than 10 parts by weight, it is difficult to expect a function as a dispersant. In addition, when the content of the organosol is more than 50 parts by weight, the content of the colorant is relatively small, which causes a problem that the sharpness of the printed image is lowered.

토너 입자에 대전되는 하전량을 제어하기 위해서 대전 제어제를 첨가한다. A charge control agent is added to control the amount of charge charged to the toner particles.

대전 제어제는 토너 입자와 화학적으로 반응을 하거나 화학적, 물리적 흡착 또는 토너 입자의 특정 기능기에 킬레이트를 형성하는 것과 같은 다양한 방법을 통해서 토너 입자와 결합할 수 있다. The charge control agent may bind to the toner particles through various methods such as chemically reacting with the toner particles or chemically, physically adsorbing, or chelate-forming the specific functional groups of the toner particles.

본 발명에 따른 액체 토너 조성물의 제조에는 본 기술 분야에서 공지된 대전 제어제라면 어느 것이라도 사용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지방산 금속염, 설포-속시 네이트 금속염, 알킬-벤젠설폰산 금속염, 방향족 카르복시산 금속염, 설폰산 금속염, 폴리옥시에틸화된 알킬아민, 레시틴, 폴리비닐피롤리돈, 염기성 바륨 페트로네이트 및 칼슘 페트로네이트 등이 있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업적으로 이용할 수 있는 대전 제어제로는 오하이오 클레버랜드에 있는 무늬 케미컬사의 지르코늄 HEX-CEM이 있다. In the preparation of the liquid toner compos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y charge control agent known in the art may be used. For example, fatty acid metal salts, sulfo-succinate metal salts, alkyl-benzenesulfonate metal salts, aromatic carboxylic acid metal salts, sulfonic acid metal salts, polyoxyethylated alkylamines, lecithins, polyvinylpyrrolidones, basic barium petronates and calcium Petronate and the like, but are not limited thereto. Commercially available charge control agents include Zirconium Chemical's zirconium HEX-CEM from Cleveland, Ohio.

본 발명에 따른 액체 토너 조성물의 제조에서 대전 제어제의 함량은 착색제 1중량부에 대해서 0.001 내지 1중량부의 범위 이내인 것이 바람직하다. 대전 제어제의 함량이 이 범위를 벗어나게 되면 토너 입자에 대전되는 하전량을 제어하기 곤란해 진다. 따라서, 원하는 화상을 얻지 못하고 화상 영역의 OD가 낮아지므로 선명한 화상을 얻는 것이 어려워진다. The content of the charge control agent in the preparation of the liquid toner compos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preferably within the range of 0.001 to 1 part by weight based on 1 part by weight of the colorant. When the content of the charge control agent is out of this range, it becomes difficult to control the charge amount charged to the toner particles. Therefore, it is difficult to obtain a clear image because the OD of the image region is lowered without obtaining a desired image.

토너 조성물은 오가노졸에 착색제, 대전 제어제를 분산시킨 상태에서 가열하여 이 구성성분들을 밀링 용기안에 넣은 후 일정한 속도로 고온에서 밀링하여 구성 성분들이 물리적으로 결합하면서 캐리어 상에 고르게 분산된 상태로 제조한다. The toner composition is prepared by dispersing a colorant and a charge control agent in an organosol, placing the components in a milling vessel, and then milling the components at a high temperature at a constant speed to uniformly disperse the components on the carrier while physically bonding the components. do.

토너 조성물을 제조하는 과정에서 밀링시의 온도는 90℃ 내지 180℃ 이내인 것이 바람직하다. 밀링 온도는 토너 조성물의 제조 과정에서 밀링에 의해 생긴 마찰력에 의해서 자연적으로 온도가 상승한 것이다. In the process of preparing the toner composition, the temperature at the time of milling is preferably within 90 ° C to 180 ° C. The milling temperature is one in which the temperature naturally rises due to the frictional force generated by milling during the manufacturing process of the toner composition.

밀링 온도를 고온으로 함으로써 오가노졸 제조시에 잔존하였던 미반응 모노머들을 제거할 수 있게 되는데 이에 의해서 종래 스트리핑 공정의 효과를 나타낼 수 있다. 또한, 밀링 과정에 의하여 토너 조성물의 성분들의 입도 분포를 고르게 할 수 있다. By making the milling temperature high, it is possible to remove the unreacted monomers remaining in organosol preparation, thereby exhibiting the effects of the conventional stripping process. In addition, the particle size distribution of the components of the toner composition can be evened by the milling process.

밀링 온도는 구성 성분들의 용융 온도를 고려하여 결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특히, 액체 토너 조성물의 캐리어 액체로 주로 탄화수소 물질을 사용하게 되는데, 이 밀링 온도는 캐리어 액체로 사용되는 탄화수소 물질의 끓는점 이하가 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The milling temperature is preferably determined in consideration of the melting temperature of the constituents. In particular, a hydrocarbon material is mainly used as the carrier liquid of the liquid toner composition, and the milling temperature is preferably such that it is below the boiling point of the hydrocarbon material used as the carrier liquid.

밀링 온도의 조절은 밀링시에 교반 속도를 조절하거나 또는 밀링을 위해 함께 첨가하는 비드의 양을 조절함으로써 조절할 수 있다. The adjustment of the milling temperature can be controlled by controlling the stirring speed during milling or by adjusting the amount of beads added together for milling.

종래 오가노졸의 제조에서는 복잡하고 어려운 공정인 스트리핑을 행하여 잔존 모노머를 제거하였지만, 본 발명에 따르면 토너 조성물을 제조하는 과정에서 고온 조건하에서 밀링을 행함으로써 잔존 모노머를 제거할 수도 있고 동시에 토너 입자의 부피 평균 입자 크기를 조절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Conventionally, in the preparation of organosol, the remaining monomers are removed by stripping, which is a complicated and difficult proces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remaining monomers may be removed by milling under high temperature conditions in the process of preparing the toner composition, and at the same time, the volume of the toner particles There is an advantage to control the average particle size.

이렇게 해서 제조된 토너 조성물의 토너 입자의 부피 평균 입자 크기는 1㎛ 내지 5㎛의 범위 이내이다. 토너 입자의 부피 평균 입자 크기는 작을수록 고해상도를 실현할 수 있지만 부피 평균 입자 크기가 1㎛보다 작으면 현재의 토너 조성물이 사용되는 환경에서는 전사 또는 정착 단계에서 문제점이 발생할 수 있기 때문에 토너 입자의 부피 평균 입자 크기는 1㎛ 내지 5㎛의 범위 이내인 것이 바람직하다. The volume average particle size of the toner particles of the toner composition thus prepared is within the range of 1 µm to 5 µm. The smaller the volume average particle size of the toner particles is, the higher the resolution can be achieved. However, if the volume average particle size is smaller than 1 µm, the volume average of the toner particles may be a problem during the transfer or fixing step in the environment where the current toner composition is used. The particle size is preferably within the range of 1 μm to 5 μm.

이러한 본 발명에 따라 토너 조성물을 제조하면 종래 공정에 비해서 단순하고 비용을 절감할 수 있으며, 이렇게 제조된 마이크로 미터 이하의 부피 평균 입자 크기를 갖는 오가노졸을 이용하여 고온에서 밀링하여 토너 조성물을 제조함으로써 그래프팅 효율이 향상되어 분산성이 장기간 유지되는 토너 조성물을 제조할 수 있다. The preparation of the toner compos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simpler and lower in cost compared to the conventional process, and by preparing the toner composition by milling at a high temperature using an organosol having a volume average particle size of the micrometer or less thus prepared. The grafting efficiency can be improved to produce a toner composition in which dispersibility is maintained for a long time.

본 발명에 따른 액체 토너 조성물을 제조하는 구체적인 방법을 다음 실시예를 통해서 설명하고, 이를 비교예와 비교하여 본다. A specific method for producing the liquid toner compos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through the following examples, and this is compared with a comparative example.

{실시예}{Example}

실시예 1Example 1

그래프트 안정제의 제조Preparation of Graft Stabilizers

노파 12(엑슨사제) 2207gOld woman 12 (made by Exxon) 2207 g

트리메틸사이클로헥실메타크릴레이트(TCHMA) 849gTrimethylcyclohexyl methacrylate (TCHMA) 849 g

2-하이드록시에틸 메타크릴레이트(HEMA) 27g27 g of 2-hydroxyethyl methacrylate (HEMA)

상기 물질을 질소 가스 분위기하에서 250rpm의 속도로 교반시키면서 반응 온도를 70℃로 상승시킨 뒤, 미리 노파 12 250g에 V601(일본 와코캠사제, Dimethyl 2,2'-azobis(2-methylpropionate) 13g을 녹인 용액을 적하 깔대기를 이용하여 적하한 후 16시간 동안 반응시켰다. After stirring the material at a speed of 250 rpm under a nitrogen gas atmosphere, the reaction temperature was raised to 70 ° C., and 13 g of V601 (Dimethyl 2,2'-azobis (2-methylpropionate) manufactured by Wakocam, Japan) was previously dissolved in 250 g of old woman 12. The solution was added dropwise using a dropping funnel and reacted for 16 hours.

그 후, 상기 반응 혼합물을 90℃에서 250rpm의 속도로 교반시키면서 1시간 동안 가열하여 잔류하는 V601을 제거하였다. The reaction mixture was then heated at 90 ° C. at 250 rpm for 1 hour while removing residual V601.

상기 반응 혼합물에 디부틸틴 디라우레이트(dibutyltin dilaurate, DBTDL, 알드리히 켐사제) 14g과 3-이소프로페닐 디메틸벤질 이소시아네이트(3-isoprophenyl dimethylbenzyl isocyanate, TMI, 사이텍사제) 41g을 첨가하고, 이를 70℃ 온도에서 질소 가스 분위기하에서 250rpm의 속도로 교반시키면서 6시간 동안 반응시켜서 그래프트 안정제를 제조하였다. 14 g of dibutyltin dilaurate (DBTDL, manufactured by Aldrich Chem Corporation) and 41 g of 3-isoprophenyl dimethylbenzyl isocyanate (TMI, manufactured by Cytec) were added to the reaction mixture. The graft stabilizer was prepared by reacting for 6 hours while stirring at a rate of 250 rpm in a nitrogen gas atmosphere at a temperature of 70 ℃.

이렇게 하여 제조된 그래프트 안정제는 TCHMA와 TMI측쇄를 포함하는 HEMA의 코폴리머이다. The graft stabilizer thus prepared is a copolymer of HEMA comprising a TCHMA and a TMI side chain.

오가노졸의 제조Preparation of Organosol

상기 제조된 그래프트 안정제 187g을 노파 2814g과 함께 질소 가스 분위기하에서 250rpm의 속도로 교반시키면서 반응 온도를 75℃로 상승시킨 후, 미리 노파 12 120g에 에틸 메타크릴레이트(EMA) 374g 및 V601 18g을 녹인 용액을 5시간 동안 반응시켜서 마이크로미터 미만의 부피 평균 입자 크기를 갖는 오가노졸을 제조하였다. After raising the reaction temperature to 75 ° C. while stirring 187 g of the graft stabilizer prepared above under a nitrogen gas atmosphere at 250 rpm under a nitrogen gas atmosphere, 374 g of ethyl methacrylate (EMA) 374 g and 18 g of V601 were previously dissolved in 120 g of hapa. Was reacted for 5 hours to prepare an organosol having a volume average particle size of less than micrometers.

그 다음, 상기 혼합물을 실온으로 냉각하였다. The mixture was then cooled to room temperature.

액체 토너 조성물의 제조Preparation of Liquid Toner Composition

P.B.15:4(선 케미칼사제) 9.43g9.43 g of P.B.15: 4 (product made from Sun Chemical Co., Ltd.)

상기 제조된 오가노졸(%solid=13%) 435.2g435.2 g of the prepared organosol (% solid = 13%)

지르코늄 HEX-XEM(2.4%) 2.75gZirconium HEX-XEM (2.4%) 2.75g

노파 12(엑슨사제) 139.5gOld woman 12 (made by Exxon) 139.5 g

상기 물질과 지르코늄 비드 1200g을 아트리터 형태의 밀링 용기 안에 넣고 5000rpm의 속도로 교반하면서 100℃에서 3시간 동안 밀링하였다. The material and 1200 g of zirconium beads were placed in an atliter-type milling vessel and milled at 100 ° C. for 3 hours with stirring at a speed of 5000 rpm.

이렇게 하여 얻어진 얻어진 토너의 부피 평균 입자 크기는 약 2.41㎛였다. The volume average particle size of the obtained toner thus obtained was about 2.41 mu m.

실시예 2Example 2

액체 토너 조성물의 제조Preparation of Liquid Toner Composition

상기 실시예 1에서 제조된 오가노졸을 이용하여 밀링시 온도를 130℃로 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액체 토너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A liquid toner composition was prepared in the same manner as in Example 1, except that the temperature was 130 ° C. in the milling using the organosol prepared in Example 1.

이렇게 하여 얻어진 토너의 부피 평균 입자 크기는 약 3.52㎛였다. The volume average particle size of the toner thus obtained was about 3.52 탆.

비교예Comparative example

오가노졸의 제조Preparation of Organosol

상기 실시예 1에서 제조된 그래프트 안정제를 이용하여 V601을 6g으로 하여 오가노졸을 제조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오가노졸을 제조하였다. 이렇게 하여 제조된 오가노졸의 부피 평균 입자 크기는 약 12.5㎛였다. Organosol was prepared in the same manner as in Example 1, except that 6 g of V601 was used to prepare an organosol, using the graft stabilizer prepared in Example 1. The volume average particle size of the organosol thus prepared was about 12.5 μm.

그 다음, 상기 혼합물을 실온으로 냉각하였다. The mixture was then cooled to room temperature.

액체 토너 조성물의 제조Preparation of Liquid Toner Composition

P.B.15:4(선 케미칼사제) 9.43g9.43 g of P.B.15: 4 (product made from Sun Chemical Co., Ltd.)

상기 제조된 오가노졸(%solid=13%) 435.2g435.2 g of the prepared organosol (% solid = 13%)

지르코늄 HEX-XEM(2.4%) 2.75gZirconium HEX-XEM (2.4%) 2.75g

노파 12(엑슨사제) 139.5gOld woman 12 (made by Exxon) 139.5 g

상기 물질을 아트리터 형태의 밀링 용기 안에 넣은 후 지르코늄 비드 1200g 을 넣고 5000rpm의 속도로 교반하면서 42℃에서 2시간 동안 밀링하여 액체 토너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The material was placed in an attritor-type milling vessel and then 1200 g of zirconium beads were milled at 42 ° C. for 2 hours with stirring at a speed of 5000 rpm to prepare a liquid toner composition.

이렇게 하여 얻어진 토너의 부피 평균 입자 크기는 약 3.2㎛였다. The volume average particle size of the toner thus obtained was about 3.2 탆.

{테스트}{Test}

테스트 방법Test method

(1) 오가노졸 그래프팅 효율(Grafting Efficiency) 측정(1) Determination of Organosol Grafting Efficiency

실시예 1 및 비교예 1에서 제조된 최종 오가노졸의 %solid와 원심 분리 후 상청액의 %solid를 측정하여 그래프트 안정제의 그래프팅 효율을 측정하였다. The grafting efficiency of the graft stabilizer was determined by measuring the% solid of the final organosol prepared in Example 1 and Comparative Example 1 and the% solid of the supernatant after centrifugation.

그래프팅 효율의 계산은 오가노졸의 %solid를 OS, 2차례 이상 원심 분리 한 후 침적되지 않은 상청액의 %solid를 RS, 코어/쉘 비를 CS라고 하여 다음과 같이 계산한다. The grafting efficiency is calculated by centrifuging the organosol% solid two times or more, and then calculating the% solid of the undeposited supernatant RS and the core / shell ratio CS as follows.

Figure 112005002790401-pat00001
Figure 112005002790401-pat00001

(2) 분산 안정성(2) dispersion stability

분산 안정성은 고형화율 및 재분산도를 계산하여 측정할 수 있다. Dispersion stability can be measured by calculating the solidification rate and redispersibility.

액체 토너를 50℃의 오븐에서 6일간 방치한 다음 측정한 뭉친 토너의 덩어리 무게를 Y, 전체 액체 토너의 무게를 X, 600rpm에서 5분 동안 저은 후 남아 있는 잉크 덩어리 무게를 Z라 하고 고형화율 및 재분산도를 다음과 같이 계산한다. After leaving the liquid toner in an oven at 50 ° C. for 6 days, the mass of the measured mass of toner is Y, the weight of the total liquid toner is stirred at X, 600 rpm for 5 minutes, and the weight of the remaining ink mass is Z, and the solidification rate and Redispersion is calculated as follows.

Figure 112005002790401-pat00002
Figure 112005002790401-pat00002

Figure 112005002790401-pat00003
Figure 112005002790401-pat00003

테스트 결과Test results

상기 실시예 1, 실시예 2, 비교예의 테스트 결과를 다음 표 1에 나타냈다. The test results of Example 1, Example 2 and Comparative Example are shown in Table 1 below.

결과result 오가노졸Organosol 액체 토너Liquid toner 액체 토너의 분산 안성정Dispersion Stability of Liquid Toner 부피평균입자경 (㎛)Volume average particle diameter (㎛) 수평균 입자경 (㎛)Number average particle diameter (㎛) 그래프팅 효율 (%)Grafting Efficiency (%) 부피평균 입자경 (㎛)Volume average particle diameter (㎛) 수평균 입자경 (㎛)Number average particle diameter (㎛) 고형화율Solidification rate 재분산도Redispersion 실시예 1Example 1 0.560.56 0.290.29 87.287.2 2.412.41 0.670.67 24%24% 98.5%98.5% 실시예 2Example 2 0.450.45 0.220.22 89.289.2 3.523.52 0.720.72 26%26% 97.8%97.8% 비교예Comparative example 12.512.5 7.47.4 65.165.1 3.23.2 1.11.1 73%73% 88.0%88.0%

상기 표 1에서 알 수 있듯이, 실시예 1 및 실시예 2에 따른 오가노졸의 경우 오가노졸의 부피 평균 입자 크기가 1㎛ 미만이고, 그래프팅 효율은 87%이상으로서 상당히 높음을 알 수 있다. As can be seen in Table 1, in the case of the organosol according to Examples 1 and 2, the volume average particle size of the organosol is less than 1㎛, the grafting efficiency is 87% or more, it can be seen that the considerably high.

또한, 실시예 1 및 실시예 2에 따른 액체 토너는 비교예에 비해서 고형화율 이 매우 작고 재분산도가 97% 이상으로 매우 크다. In addition, the liquid toners according to Examples 1 and 2 have a very small solidification rate and a very high redispersibility of 97% or more as compared with the comparative examples.

따라서, 마이크로미터 미만의 부피 평균 입자 크기를 갖는 오가노졸을 이용하여 액체 토너를 제조하는 것이 오가노졸의 코어-쉘의 특징적인 구조가 보존되어 액체 토너의 분산 안정성을 크게 향상 시킴을 알 수 있다. Thus, it can be seen that preparing a liquid toner using an organosol having a volume average particle size of less than micrometers preserves the characteristic structure of the core-shell of the organosol, greatly improving the dispersion stability of the liquid toner.

특히, 스트리핑 과정을 거치지 않은 마이크로 미터 미만의 부피 평균 입자 크기를 갖는 오가노졸을 이용하여 고온에서 밀링을 함으로써 원하는 균일한 입도 분포의 액체 토너를 제조할 수 있게 되어 오가노졸 잔존 모노머 제거 공정을 생략함으로써 오가노졸 공정 효율을 높이고 또한 제조 단가를 낮출 수 있다. In particular, by milling at a high temperature using an organosol having a volume average particle size of less than micrometers without stripping, it is possible to produce a liquid toner having a desired uniform particle size distribution, thereby eliminating the organosol residual monomer removal process. The organosol process efficiency can be improved and the manufacturing cost can be lowered.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마이크로미터 미만의 부피 평균 입자 크기를 갖고 그래프팅 효율이 우수한 오가노졸을 제조하여 고온에서 밀링을 통해 액체 토너 조성물을 제조함으로써 액체 토너 자체의 물성을 저해하지 않으면서도 분산 안정성이 향상되는 액체 토너 조성물을 제조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액체 토너 조성물의 제조 방법은 스트리핑 과정을 생략할 수 있으므로 공정을 단순화하여 제조 단가를 낮추고 양산성을 향상시키는 효과가 있다.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by producing an organosol having a volume average particle size of less than micrometers and excellent in grafting efficiency, the liquid toner composition is prepared by milling at a high temperature, without impairing the physical properties of the liquid toner itself. There is also an effect that can be produced a liquid toner composition with improved dispersion stability. In addition, the manufacturing method of the liquid toner compos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omit the stripping process, thereby simplifying the process, thereby lowering the manufacturing cost and improving productivity.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해서 도시하고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그와 같은 변경은 청구 범위 기재의 범위 내에 있게 된다. Although the above has been illustrated and described with respect to the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specific preferred embodiment described above, the present invention without departing from the gist of the invention claimed in the claims Various modifications can be made by those skilled in the art, and such changes are within the scope of the claims.

Claims (5)

제 1 캐리어 액체에 그래프트 안정제 형성용 모노머 및 제 1 중합 개시제를 혼합하고 중합하여 그래프트 안정제를 제조하는 단계;Preparing a graft stabilizer by mixing and polymerizing a monomer for forming a graft stabilizer and a first polymerization initiator in a first carrier liquid; 제 2 캐리어 액체에 상기 제조된 그래프트 안정제, 열가소성 (코)폴리머 코아 형성용 모노머 및 제 2 중합 개시제를 혼합하고 중합하여 오가노졸을 제조하는 단계; 및Preparing a organosol by mixing and polymerizing the prepared graft stabilizer, a thermoplastic (co) polymer core forming monomer, and a second polymerization initiator to a second carrier liquid; And 제 3 캐리어 액체에 상기 제조된 오가노졸, 착색제 및 대전 제어제를 90℃ 내지 180℃에서 밀링하여 토너 조성물을 제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체 토너 조성물의 제조 방법.Milling the prepared organosol, colorant, and charge control agent at 90 ° C to 180 ° C in a third carrier liquid to prepare a toner composition. 제 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오가노졸을 제조하는 단계에서, 제 2 중합 개시제의 함량은 상기 열가소성(코)폴리머 코아 형성용 모노머 1 중량부에 대해서 0.15 내지 0.3 중량부의 범위 이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체 토너 조성물의 제조 방법.In the preparing of the organosol, the content of the second polymerization initiator is in the range of 0.15 to 0.3 parts by weight based on 1 part by weight of the monomer for forming the thermoplastic (co) polymer core. 제 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제조된 오가노졸의 부피 평균 입자 크기는 0.1㎛ 내지 1.0㎛의 범위 이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체 토너 조성물의 제조 방법.The volume average particle size of the prepared organosol is within the range of 0.1 ㎛ to 1.0 ㎛, characterized in that the manufacturing method of the liquid toner composition. 삭제delete 제 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제조된 토너 입자의 부피 평균 입자 크기는 1㎛ 내지 5㎛의 범위 이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체 토너 조성물의 제조 방법.The volume average particle size of the prepared toner particles is in the range of 1 μm to 5 μm.
KR1020050004636A 2005-01-18 2005-01-18 Preparation method of toner composition KR100661353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04636A KR100661353B1 (en) 2005-01-18 2005-01-18 Preparation method of toner compositio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04636A KR100661353B1 (en) 2005-01-18 2005-01-18 Preparation method of toner composition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83720A KR20060083720A (en) 2006-07-21
KR100661353B1 true KR100661353B1 (en) 2006-12-27

Family

ID=3717402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04636A KR100661353B1 (en) 2005-01-18 2005-01-18 Preparation method of toner composition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61353B1 (e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83720A (en) 2006-07-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150118B2 (en) Electrophotographic developer and recording material
DE60128536T2 (en) Organosols and liquid inks containing them
EP0206606B1 (en) Liquid developer for electrostatic latent image
US7105263B2 (en) Dry toner comprising encapsulated pigment, methods and uses
KR100619014B1 (en) Liquid toner comprising encapsulated pigment, methods and use
KR100661353B1 (en) Preparation method of toner composition
KR100603252B1 (en) Liquid toner composition and preparation method of the same
DE602004008179T2 (en) Adjuvant for negatively charged toners
KR100548148B1 (en) Liquid ink composition and preparation method of the same
KR20060055933A (en) Preparation method of toner composition
KR100661352B1 (en) Preparation of the liquid toner composition
KR20080019932A (en) Preparing method for toner composition
KR100520930B1 (en) Preparation of liquid ink composition
US7371496B2 (en) Liquid toner for electrophotography and method of preparing the same
KR100520925B1 (en) Liquid ink composition and preparation of the same
KR20060034343A (en) Liquid toner composition
DE3701487A1 (en) Electrostatographic suspension developer
KR20050047739A (en) Liquid toner for electrophotography
EP0915386B1 (en) Dyed toner
KR20050102797A (en) Liquid toner composition
KR20050102801A (en) Liquid toner composition
KR20050075222A (en) Liquid ink composition containing cyan pigment
EP0872775B1 (en) Dyed toner
JP4754062B2 (en) Method for producing resin particles
CN112835278A (en) Preparation method of color polymerized ink powd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129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128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127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