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60557B1 - 자속밀도 처리 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자속밀도 처리 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60557B1
KR100660557B1 KR1020040079238A KR20040079238A KR100660557B1 KR 100660557 B1 KR100660557 B1 KR 100660557B1 KR 1020040079238 A KR1020040079238 A KR 1020040079238A KR 20040079238 A KR20040079238 A KR 20040079238A KR 100660557 B1 KR100660557 B1 KR 10066055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gnetic flux
flux density
noise
measured
curr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7923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60030394A (ko
Inventor
우응제
권오인
서진근
김태성
이석호
이병일
Original Assignee
경희대학교 산학협력단
권오인
서진근
우응제
김태성
이석호
이병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경희대학교 산학협력단, 권오인, 서진근, 우응제, 김태성, 이석호, 이병일 filed Critical 경희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04007923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60557B1/ko
Priority to EP08006022A priority patent/EP1952764B1/en
Priority to DE602004027096T priority patent/DE602004027096D1/de
Priority to EP04800117A priority patent/EP1689295B1/en
Priority to US10/595,980 priority patent/US7514921B2/en
Priority to DE602004021625T priority patent/DE602004021625D1/de
Priority to PCT/KR2004/003026 priority patent/WO2005051163A2/en
Publication of KR2006003039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3039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6055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6055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7/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electric, electrochemical, or magnetic means
    • G01N27/72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electric, electrochemical, or magnetic means by investigating magnetic variables
    • G01N27/725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electric, electrochemical, or magnetic means by investigating magnetic variables by using magneto-acoustical effects or the Barkhausen effec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05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for diagnosis by means of electric currents or magnetic fields; Measuring using microwaves or radio waves 
    • A61B5/053Measuring electrical impedance or conductance of a portion of the body
    • A61B5/0536Impedance imaging, e.g. by tomograph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1/00Electrotherapy; Circuits therefor
    • A61N1/18Applying electric currents by contact electrodes
    • A61N1/32Applying electric currents by contact electrodes alternating or intermittent currents
    • A61N1/36Applying electric currents by contact electrodes alternating or intermittent currents for stimulation
    • A61N1/3605Implantable neurostimulators for stimulating central or peripheral nerve system
    • A61N1/36128Control systems
    • A61N1/36146Control systems specified by the stimulation parameters
    • A61N1/3615Intensity
    • A61N1/3616Voltage density or current density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3/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wave or particle radiation, e.g. X-rays or neutrons, not covered by groups G01N3/00 – G01N17/00, G01N21/00 or G01N22/00
    • G01N23/02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wave or particle radiation, e.g. X-rays or neutrons, not covered by groups G01N3/00 – G01N17/00, G01N21/00 or G01N22/00 by transmitting the radiation through the material
    • G01N23/04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wave or particle radiation, e.g. X-rays or neutrons, not covered by groups G01N3/00 – G01N17/00, G01N21/00 or G01N22/00 by transmitting the radiation through the material and forming images of the material
    • G01N23/046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wave or particle radiation, e.g. X-rays or neutrons, not covered by groups G01N3/00 – G01N17/00, G01N21/00 or G01N22/00 by transmitting the radiation through the material and forming images of the material using tomography, e.g. computed tomography [CT]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33/00Arrangements or instruments for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33/20Arrangements or instruments for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involving magnetic resonance
    • G01R33/24Arrangements or instruments for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involving magnetic resonance for measuring direction or magnitude of magnetic fields or magnetic flux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athology (AREA)
  • Radiology & Medical Imag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Biochemistr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Immunology (AREA)
  • Public Health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Surger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Biophysics (AREA)
  • Pulmonolog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Condensed Matter Physics & Semiconductors (AREA)
  • Neurology (AREA)
  • Neurosurgery (AREA)
  • Magnetic Resonance Imaging Apparatu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자속밀도 신호에 포함된 잡음을 효과적으로 제거하기 위한 것으로, 측정대상 내에 전류를 주입하는 전류주입수단과, 상기 주입된 전류에 의해 상기 측정대상 내에서 발생되는 자속밀도를 측정하는 자속밀도 측정부와, 상기 측정된 자속밀도를 잡음이 포함되지 않은 제 1 자속밀도 성분과 잡음이 포함된 제 2 자속밀도 성분으로 분리하고, 상기 제 2 자속밀도 성분에서 잡음을 제거한 후 상기 제 1, 2 자속밀도 성분들을 결합하는 연산부를 포함한다.
도전율, 전류밀도, MRI, MREIT

Description

자속밀도 처리 장치 및 방법{Apparatus and Method for processing magnetic flux density}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도전율 및 전류밀도 영상화 시스템을 나타낸 도면
도 2는 도 1의 전류주입수단의 일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
도 3a 및 3b는 도 1의 전류주입수단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
도 4a는 잡음을 포함하지 않은 이상적인 자속밀도의 영상을 나타낸 도면
도 4b는 잡음을 포함하는 측정된 자속밀도 B j z의 영상을 나타낸 도면
도 4c는 측정 대상 내부의 패턴 및 에지 등에 해당하는 섬세한 굴곡과 변화(variation)를 나타내는 정보와 잡음을 포함하는 제 2 자속밀도 성분 B f z을 나타낸 도면
도 4d는 완만한 굴곡과 변화를 나타내는 정보를 포함하는 제 1 자속밀도 성분 B h z을 나타낸 도면
도 5a는 잡음이 제거되지 않은 자속밀도를 이용한 도전율 복원영상을 나타낸 도면
도 5b는 잡음이 제거된 자속밀도를 이용한 도전율 복원영상을 나타낸 도면.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전류주입수단 200 : MRI 장치
300 : 연산부 400 : 디스플레이 수단
500 : 전류원 21,31 : 전극
23,33 : 도선 25,35 : 절연용기
37 : 전해물질
본 발명은 인체나 물체 등과 같은 측정대상 내에서 발생하는 자속밀도를 측정하고 처리하는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인체 또는 물체의 내부 구조를 영상화하는 기술은 X-선, MRI, 초음파 등이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이들 방법들은 인체 또는 물체의 전기적 특성을 영상화하지는 못한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노력으로, 1989년에는 MRI 기술을 활용하여 측정대상 내부의 전류밀도를 영상화하는 기술이 캐나다 토론토대학의 연구팀에 의해 최초로 제안되었고, 그 이후에도 관련된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어 왔다. 이것이 Current Density Imaging (CDI) 기술이다. 기존의 CDI 기술은 주입된 전류 I로부터 유도된 자속밀도 B를 MRI 기술을 이용하여 측정하고, 암페어법칙인
Figure 112004045207231-pat00001
로 전류밀도 J를 계산하여 내부 전류밀도를 영상화한다.
그러나 이 CDI 기술은 3가지 성분(Bx,By,Bz)을 갖는 자속밀도 B를 얻기 위해 서 측정대상을 MRI 장비 내에서 회전시켜야 한다는 단점을 가진다. 이는 MRI 장비 내에 측정대상이 위치하고 있을 때, MRI 장비의 특성상 주자장(main magnetic field)의 방향과 일치되는 방향인 z-방향 성분의 자속밀도 B z 만이 측정 가능하기 때문이다. 즉 MRI 장비가 한 번에 측정 가능한 성분은 B Z 성분 하나이기 때문에, 기존의 CDI 기술은 세 방향성분의 자속밀도 벡터 값을 모두 획득하기 위하여 MRI 장비 내에서 측정대상(인체 또는 물체)을 회전시켜야 한다는 심각한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또한, 인체 또는 물체의 전기적 특성을 영상화하기 위한 기존 기술로는, 1970년대 말부터 활발히 연구되어온 전기임피던스단층촬영 (Electrical Impedance Tomography, EIT) 기술이 있다. 이 EIT 기술은 측정대상의 전기적 특성을 나타내는 저항률 (또는 도전율) 영상을 제공한다. 그 EIT 기술은 주로 인체를 측정대상으로 하여, 그 인체의 표면에 여러 개의 전극을 부착하여 인체 내부의 전도율을 영상화한다. 즉 인체의 표면에 부착된 여러 전극들을 통해 전류를 인가한 후에 다시 표면에 부착된 전극을 통해 전압을 측정하여 인체 내부의 전도율을 영상화하는 기술이다. 이렇게 인체 내부를 전도율에 따라 영상화할 수 있는 것은 혈액, 뼈, 허파, 심장, 뼈 등의 인체 내부의 생체조직들이 서로 다른 전기적 특성을 가지기 때문이다. 상기 EIT 기술의 단점으로는 측정한 전압과 전도율의 비선형성과 내부 전도율 변화에 대한 측정전압의 낮은 민감도 때문에 공간 해상도와 정확성이 매우 낮다는 단점을 가지고 있다. 이와 같은 문제를 극복하기 위하여 CDI 기술과 EIT 기술을 융합시 킨 자기공명 임피던스 영상기술(Magnetic Resonance Electrical Impedance Tomography, MREIT)이 개발 되었다.
그러나 상술한 기술 또한 폐나 뼈와 같은 수소 원자의 밀도가 낮은 영역에서 자속밀도 신호가 매우 미약하거나 존재하지 않기 때문에 자속밀도 신호를 직접적으로 획득할 수 없으며, 측정신호의 손실 및 상기 신호에 포함된 불필요한 잡음으로 인하여 정확한 도전율 영상복원이 어렵다.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한 기존의 기술들의 단점을 보완하기 위해 안출한 것으로써, 자속밀도 신호에 포함된 잡음을 효과적으로 제거하고, 도전율을 정확하게 복원하는 데 적합한 자속밀도 신호 처리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자속밀도 신호가 미약하거나 존재하지 않는 영역의 자속밀도를 계산하는 자속밀도 신호 처리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자속밀도 처리 장치는, 측정대상 내에 전류를 주입하는 전류주입수단과, 상기 주입된 전류에 의해 상기 측정대상 내에서 발생되는 자속밀도를 측정하는 자속밀도 측정부와, 상기 측정된 자속밀도를 잡음이 포함되지 않은 제 1 자속밀도 성분과 잡음이 포함된 제 2 자속밀도 성분으로 분리하고, 상기 제 2 자속밀도 성분에서 잡음을 제거한 후 상기 제 1, 2 자속밀도 성분들을 결합하는 연산부를 포함한다.
상기 연산부는 상기 자속밀도 측정부를 통해 얻어진 MRI 영상의 세기 변화를 근거로 상기 제 2 자속밀도 성분에서 잡음을 제거하거나, 상기 제 2 자속밀도 성분에 해당하는 영상의 공간적 기울기를 근거로 상기 제 2 자속밀도 성분에서 잡음을 제거한다. 또는, 상기 연산부는 상기 MRI 자기강도(Magnitude) 영상의 세기 변화와 상기 공간적 기울기를 근거로 상기 제 2 자속밀도 성분에서 잡음을 제거한다.
상기 연산부는 자속밀도가 측정되지 않는 영역의 경계에 해당하는 상기 측정된 자속밀도를 근거로, 자속밀도가 측정되지 않는 영역 내부의 자속밀도를 계산한다.
본 발명의 자속밀도 처리 방법은, 측정대상 표면에 부착된 전류주입수단을 통해 상기 측정대상 내부에 전류를 공급하는 단계와; 상기 전류에 의해 상기 측정대상 내에서 발생되는 자속밀도를 측정하는 단계와; 상기 측정된 자속밀도를 잡음이 포함되지 않은 제 1 자속밀도 성분과 잡음이 포함된 제 2 자속밀도 성분으로 분리하는 단계와; 상기 제 2 자속밀도 성분에서 잡음을 제거하는 단계와; 상기 제 1, 2 자속밀도 성분들을 결합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측정된 자속밀도를 잡음이 포함되지 않은 제 1 자속밀도 성분과 잡음이 포함된 제 2 자속밀도 성분으로 분리하는 단계는, 설정된 연산식에 상기 측정된 자속밀도를 적용하여 상기 제 1 자속밀도 성분을 계산하는 단계와; 상기 제 2 자속밀도 성분을 구하기 위해 상기 측정된 자속밀도와 상기 제 1 자속밀도 성분 간의 차를 계산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자속밀도 처리 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장치는, 인체나 물체 등과 같은 측정대상(S)의 내부에 여러 방향(j=1,2,...N)의 전류들을 차례로 주입하는 다수의 전류주입수단(100)들과, 상기 측정대상(S) 내부에 주입된 전류들에 따른 상기 측정대상(S) 내의 자속밀도들을 측정하는 자속밀도 측정부(200)와, 상기 측정된 자속밀도 Bz를 두 가지의 성분 B h zB f z로 분리하고, 상기 자속밀도 성분 B f z에서 잡음을 제거하는 연산부(300)와, 상기 측정대상(S)의 내부를 자속밀도의 영상으로 나타내는 디스플레이 수단(400)과, 상기 전류주입수단(100)에 전류를 공급하는 전류원(500)을 포함한다.
상기 전류주입수단(100)은, 구리와 같은 비자성의 금속이나 도전율이 매우 큰 재료로 이루어진 전극(21)과, 상기 전극(21)에 전류를 공급하는 도선(wire)(23)를 포함한다. 상기 측정대상(S)의 표면에 상기 전극(21)을 직접적으로 부착시키는 것이 가능하지만, 상기 측정대상(S)의 표면(boundary)에서 자속밀도의 왜곡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전극(21)을 상기 측정대상(S)의 표면으로부터 이격(separate)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전류주입수단(100)의 일실시예는,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전극(21)을 상기 측정대상(S)으로부터 이격시키기 위해 상기 전극(21)과 부착되는 절연용기(25)를 더 포함한다. 상기 절연용기(25)의 한쪽 면은 상기 전극(21)과 부착되고, 다른 면은 개방된 상태로 상기 측정대상(S)과 접촉한다. 그리고 상기 절연용기(25)의 내부에는 전해질 젤이나 전해질 용액을 흡수 한 스폰지가 삽입되어져 있다. 전해질 젤이나 전해질 용액을 흡수한 스폰지는 전극(21)으로부터 공급되는 전류가 절연용기(25) 내에 균일하게 흐르게 한다. 이처럼 절연용기(25)를 이용하여 상기 전극(21)을 측정대상(S)의 표면으로부터 일정 간격만큼 이격시킴과 동시에 전해질 젤이나 전해질 용액을 흡수한 스폰지를 이용하여 상기 측정대상(S)에 전류를 균일하게 공급함으로써, 전극(21)과 접촉하는 측정대상(S)의 표면 근처에서 MRI 영상의 왜곡을 줄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전류주입수단(100)의 다른 실시예는, 도 3a 및 3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전극(31)과, 상기 전극(31)에 연결된 도선(33)와, 상기 전극(31)을 부착한 반구형(半球形)의 절연용기(35)를 포함한다. 상기 절연용기(35)의 한쪽 면은 상기 전극(31)과 부착되고, 다른 면은 개방된 상태로 상기 측정대상(S)과 접촉한다. 그리고 상기 절연용기(35)의 내부에는 전해질 젤이나 전해질 용액을 흡수한 스폰지(37)가 삽입되어져 있다.
상기 전류주입수단(100)들은 측정대상(S)의 둘레에 부착되고, 한번에 두 개의 전류주입수단(100)에만 전류가 흐르게 된다. 따라서 두 개의 전류주입수단(100)에 의해 상기 측정대상(S)내에 전류가 공급된다. 전류주입수단(100)의 개수를 E라고 가정했을 때, 상기 측정대상(S) 내에 전류를 주입하기 위한 전류주입수단(100) 쌍에 대한 경우의 수 N은 E(E-1)/2 개이다. 이는 상기 측정대상(S)내에서 흐르는 전류 경로의 개수와 같다. 상기 전류주입수단(S)의 쌍 사이의 주입 전류를 I j (j=1,2,...N)라고 한다. 상기 전류 I j는 상기 측정대상(S) 내에서 전류 밀도
Figure 112004045207231-pat00002
를 발생시킨다.
상기 자속밀도 측정부(200)는 MRI 장치로서, 상기 전류 I j에 따른 상기 측정대상(S) 내의 자속 밀도 B j를 측정한다. 특히, 상기 자속 밀도 B j 중 상기 자속밀도 측정부(200)의 주자장(main magnetic field)과 평행한 z방향에 해당하는 자속 밀도 B j z를 측정한다. 즉, 상기 자속밀도 측정부(200)는 상기 측정대상(S) 내에 주입된 각 전류(I 1,I 2,I 3,....I N)에 의해 발생하는 자속 밀도
Figure 112004045207231-pat00003
를 측정한다.
상기 연산부(300)는 전류주입수단(100) 쌍을 차례로 선택하며 상기 선택된 전류주입수단(100) 쌍으로 하여금 상기 측정대상(S) 내에 전류를 주입하도록 상기 전류주입수단(100)들을 제어한다. 또한 상기 연산부(300)는 상기 자속밀도 측정부(200)에 의해 측정된 자속 밀도 B j z를 제 1, 2 자속밀도 성분 B h zB f z로 분리한다. 여기서, 상기 제 1 자속밀도 성분 B h z은 상기 측정대상 내부의 패턴 및 에지 등의 세밀한 특징(feature)들을 나타내는 정보를 포함하지 않고 완만한 특징(smooth feature)을 나타내는 정보를 포함한다. 상기 제 2 자속밀도 성분 B f z은 패턴 및 에지 등의 상기 세밀한 특징들을 나타내는 정보와 잡음을 포함한다. 상기 연산부(300)는 상기 제 2 자속밀도 성분 B f z에서 잡음을 제거한 후, 상기 제 1, 2 자속밀 도 성분 B h zB f z을 결합시킨다. 상기 결합된 제 1, 2 자속밀도 성분 B h zB f z 는 잡음이 제거된 자속밀도이다. 상기 연산부(300)는 잡음이 제거된 상기 자속밀도를 설정된 전도율 복원 알고리즘에 적용하여 상기 측정대상(S) 내부의 도전율 과 전류밀도 J j를 계산한다. 여기서, 상기 도전율
Figure 112004045207231-pat00005
은 저항률
Figure 112004045207231-pat00006
의 역수이므로 1/
Figure 112004045207231-pat00007
로 표현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디스플레이 수단(400)은 상기 도전율
Figure 112004045207231-pat00008
및 전류밀도 J j에 따라 상기 측정대상(S)의 내부를 각각 영상화한다.
본 발명에 따른 자속밀도 처리 방법을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측정대상(S)의 둘레 즉, 신체의 둘레에 다수의 전류주입수단(100)이 부착된다. 도전율
Figure 112004045207231-pat00009
를 구하기 위해서는 측정대상(S) 내부에 차례로 주입되는 전류들은 적어도 둘 이상의 방향으로 주입되어야 하기 때문에 상기 전류주입수단(100)은 적어도 3개 이상 필요하며 적절한 간격으로 배치되어야 한다.
상기 측정대상(S)의 표면에 상기 전류주입수단(100)이 부착된 상태에서 상기 전류주입수단(100) 쌍을 하나씩 차례로 선택하고, 차례로 선택되는 상기 전류주입수단(100) 쌍을 통해 상기 측정대상(S) 내부에 전류 I j (j=1,2,...N)를 차례로 공급한다. 이때, 자속밀도 측정부(200)는 상기 측정대상(S) 내에 주입된 각 전류들
Figure 112004045207231-pat00010
에 의해 각각 발생하는 상기 측정대상(S) 내의 자속 밀도와 상 기 측정대상(S)의 표면 전압
Figure 112004045207231-pat00011
을 측정한다. 상기 자속밀도 측정부(200)는 z 방향에 해당하는 자속 밀도만을 측정한다. 여기서, 상기 표면 전압
Figure 112004045207231-pat00012
은 상기 선택된 전류주입수단(100) 쌍을 통해 상기 측정대상(S)에 전류가 공급될 때, 선택되지 않은 전류주입수단(100)들과 측정대상(S) 사이의 경계면(boundary)에서의 전압이다. 즉, 상기 표면 전압
Figure 112004045207231-pat00013
은 상기 선택되지 않은 전류주입수단(100)들에 의해 측정된다.
도 4a는 잡음을 포함하지 않은 이상적인 자속밀도의 영상을 나타내고, 도 4b는 잡음을 포함하는 상기 측정된 자속밀도 B j z의 영상을 나타낸다.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측정된 자속 밀도 B j z에는 상기 자속밀도 측정부(200) 등으로 인한 기계적 오차 또는 환경적 요인으로 인한 잡음들이 포함된다. 상기 연산부(300)는 상기 측정된 자속밀도 B j z를 제 1, 2 자속밀도 성분 B h zB f z로 분리한다. 우선, 상기 연산부(300)는 경계조건(boundary condition)
Figure 112004045207231-pat00014
을 만족하는 수학식 1을 이용하여 상기 제 1 자속밀도 성분 B h z을 계산한다.
Figure 112004045207231-pat00015
그리고, 상기 연산부(300)는 상기 제 2 자속밀도 성분 B f z를 얻기 위해서 상 기 측정된 자속밀도 B j z과 상기 계산된 제 1 자속밀도 성분 B h z의 차
Figure 112004045207231-pat00016
를 계산한다.
도 4c는 상기 측정 대상 내부의 패턴 및 에지 등에 해당하는 상기 자속밀도 영상의 섬세한 굴곡과 변화(variation)를 나타내는 정보와 잡음을 포함하는 제 2 자속밀도 성분 B f z을 도시한다. 도 4d는 상기 자속밀도 영상의 완만한 굴곡과 변화를 나타내는 정보를 포함하는 제 1 자속밀도 성분 B h z을 도시한다. 상기 제 1 자속밀도 성분 B h z에서 잡음을 제거할 필요는 없지만, 상기 제 2 자속밀도 성분 B f z에 포함된 잡음은 제거되어야 한다.
본 발명은 상기 제 2 자속밀도 성분 B f z에 포함된 잡음을 효과적으로 제거하기 위하여 두 가지의 확산계수를 제안한다. 첫 번째 확산계수는 도 5a의 상기 MRI 자기강도(Magnitude) 영상의 사전정보로부터 얻어진다. 상기 MRI 영상의 사전정보는 상기 MRI 자기강도 영상의 세기(intensity) 변화(
Figure 112004045207231-pat00017
)에 근거하며, 상기 MRI 영상에서 보여지는 상기 측정 대상 내부의 패턴 및 에지와 관련된 정보를 포함한다. 두 번째 확산계수는 상기 제 2 자속밀도 성분 B f z에 해당하는 영상의 공간적 기울기(
Figure 112004045207231-pat00018
)로부터 얻어진다. 수학식 2는 상기 두 확산계수 모두를 사용하는 확산 모델의 예를 보인다.
Figure 112004045207231-pat00019
여기서, 초기조건은
Figure 112004045207231-pat00020
이고, 상기 함수
Figure 112004045207231-pat00021
이다.
상기 연산부(300)는 상기 두 확산계수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상기 제 2 자속밀도 성분 B f z에 포함된 잡음을 제거한다. 첫 번째 확산계수를 이용하는 경우, 상기 MRI 자기강도 영상의 세기 변화를 근거로 상기 측정 대상 내부의 조직간의 경계를 판단할 수 있다. 두 번째 확산계수를 이용하는 경우, 상기 제 2 자속밀도 성분 B f z 영상의 공간적 기울기(
Figure 112004045207231-pat00022
)를 근거로 상기 측정 대상 내부의 조직간의 경계를 보존하면서 잡음만을 제거할 수 있다.
상기 제 2 자속밀도 성분 B f z에 포함된 잡음이 제거된 이후에, 상기 연산부(300)는 상기 제 1 자속밀도 성분 B h z와 상기 제 2 자속밀도 성분 B f z를 결합시킨다. 이렇게 되면, 잡음이 제거된 자속밀도 B j z를 얻을 수 있다.
측정 대상 내부의 일부가 공기로 채워진 경우에 그 영역의 자속밀도는 측정될 수 없다. 따라서, 그 영역의 경계에서 측정된 자속밀도 B j z를 이용하여 자속밀도 가 측정되지 않는 영역의 자속밀도 B b z를 계산한다. 상기 연산부(300)는 적절한 문턱값을 적용하여 자속밀도가 측정되는 영역 A와 자속밀도가 측정되지 않는 영역 B의 경계를 상기 MRI 영상으로부터 검출한다. 그리고, 상기 검출된 경계에서 라플라스 방정식
Figure 112004045207231-pat00023
을 만족하는 상기 영역 B의 자속밀도 B b z를 계산한다.
이어, 상기 연산부(300)는 상기 측정된 자속밀도 B j z와 상기 계산된 자속밀도 B b z를 설정된 전도율복원 알고리즘에 적용하여 상기 측정대상(S) 내부의 도전율
Figure 112004045207231-pat00024
와 전류밀도
Figure 112004045207231-pat00025
를 계산한다. 상기 계산된 도전율
Figure 112004045207231-pat00026
(또는 전류밀도
Figure 112004045207231-pat00027
)는 도 5b와 같이 영상화 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인체 또는 물체 등과 같은 측정대상의 자속밀도를 측정한 후, 상기 자속밀도에 포함된 잡음 신호만을 효과적으로 제거하여 전도율 영상의 질을 높일 수 있다. 그리고, 기존의 MRI 장치로는 측정할 수 없었던 영역의 자속밀도를 그 경계영역에서 측정된 자속밀도를 이용하여 계산할 수 있다. 따라서, 측정대상 내부의 자속밀도를 보다 정확하게 영상으로 재현할 수 있다.
또한, 자속밀도의 일차 혹은 이차의 공간미분 결과를 데이터로 사용하여 전기 도전율 영상 또는 전류밀도 영상을 복원할 경우, 잡음신호의 제거 결과로 정확하게 영상을 얻을 수 있다. 상기와 같이 보다 정확히 복원된 전기 도전율 영상 또는 전류밀도 영상들은 인체조직의 전기적 특성이 고려되는 신경/근육 자극기 (electric/magnetic stimulator), 세동 제거기(defibrillator), 심박 조율기(cardiac pacemaker) 등 전자기 에너지를 이용하는 진단기기나 치료기기의 최적화가 가능해진다.
이상에서 설명한 내용을 통해 당업자라면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이탈하지 아니하는 범위에서 다양한 변경 및 수정이 가능함을 알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는 실시예에 기재된 내용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특허 청구의 범위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Claims (9)

  1. 측정대상 내에 전류를 주입하는 전류주입수단과,
    상기 주입된 전류에 의해 상기 측정대상 내에서 발생되는 자속밀도를 측정하는 자속밀도 측정부와,
    상기 측정된 자속밀도를 잡음이 포함되지 않은 제 1 자속밀도 성분과 잡음이 포함된 제 2 자속밀도 성분으로 분리하고, 상기 제 2 자속밀도 성분에서 잡음을 제거한 후 상기 제 1, 2 자속밀도 성분들을 결합하는 연산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속밀도 처리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연산부는 상기 자속밀도 측정부를 통해 얻어진 MRI 자기강도 영상의 세기 변화를 근거로 상기 제 2 자속밀도 성분에서 잡음을 제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속밀도 처리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연산부는 상기 제 2 자속밀도 성분에 해당하는 영상의 공간적 기울기를 근거로 상기 제 2 자속밀도 성분에서 잡음을 제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속밀도 처리 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연산부는 자속밀도가 측정되지 않는 영역의 경계에 해당하는 상기 측정된 자속밀도를 근거로, 자속밀도가 측정되지 않는 영역 내부의 자속밀도를 계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속밀도 처리 장치.
  5. 측정대상 표면에 부착된 전류주입수단을 통해 상기 측정대상 내부에 전류를 공급하는 단계와;
    상기 전류에 의해 상기 측정대상 내에서 발생되는 자속밀도를 측정하는 단계와;
    상기 측정된 자속밀도를 잡음이 포함되지 않은 제 1 자속밀도 성분과 잡음이 포함된 제 2 자속밀도 성분으로 분리하는 단계와;
    상기 제 2 자속밀도 성분에서 잡음을 제거하는 단계와;
    상기 제 1, 2 자속밀도 성분들을 결합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속밀도 처리 방법.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측정된 자속밀도를 잡음이 포함되지 않은 제 1 자속밀도 성분과 잡음이 포함된 제 2 자속밀도 성분으로 분리하는 단계는,
    설정된 연산식에 상기 측정된 자속밀도를 적용하여 상기 제 1 자속밀도 성분을 계산하는 단계와;
    상기 제 2 자속밀도 성분을 구하기 위해 상기 측정된 자속밀도와 상기 제 1 자속밀도 성분 간의 차를 계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속밀도 처리 방법.
  7.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자속밀도 성분에서 잡음을 제거하는 단계에서,
    MRI 영상의 세기 변화를 근거로 상기 제 2 자속밀도 성분에서 잡음을 제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속밀도 처리 방법.
  8.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자속밀도 성분에서 잡음을 제거하는 단계에서,
    상기 제 2 자속밀도 성분에 해당하는 영상의 공간적 기울기를 근거로 상기 제 2 자속밀도 성분에서 잡음을 제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속밀도 처리 방법.
  9.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전류에 의해 상기 측정대상 내에서 발생되는 자속밀도를 측정하는 단계는,
    자속밀도가 측정되지 않는 영역의 경계에 해당하는 상기 측정된 자속밀도 값을 근거로, 자속밀도가 측정되지 않는 영역 내부의 자속밀도를 계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속밀도 처리 방법.
KR1020040079238A 2003-11-25 2004-10-05 자속밀도 처리 장치 및 방법 KR100660557B1 (ko)

Priority Applications (7)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79238A KR100660557B1 (ko) 2004-10-05 2004-10-05 자속밀도 처리 장치 및 방법
EP08006022A EP1952764B1 (en) 2003-11-25 2004-11-23 System and method for visualizing conductivity and current density distribution in object
DE602004027096T DE602004027096D1 (de) 2003-11-25 2004-11-23 System und Verfahren zum Anzeigen der Leitfähigkeit und Stromdichteverteilung eines Objekts
EP04800117A EP1689295B1 (en) 2003-11-25 2004-11-23 System and method for visualizing conductivity and current density distribution in object
US10/595,980 US7514921B2 (en) 2003-11-25 2004-11-23 System and method for visualizing conductive and current density distribution in object
DE602004021625T DE602004021625D1 (de) 2003-11-25 2004-11-23 System und verfahren zur visualisierung der leitfähigkeit und stromdichteverteilung in einem objekt
PCT/KR2004/003026 WO2005051163A2 (en) 2003-11-25 2004-11-23 System and method for visualizing conductivity and current density distribution in object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79238A KR100660557B1 (ko) 2004-10-05 2004-10-05 자속밀도 처리 장치 및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30394A KR20060030394A (ko) 2006-04-10
KR100660557B1 true KR100660557B1 (ko) 2006-12-26

Family

ID=3714043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79238A KR100660557B1 (ko) 2003-11-25 2004-10-05 자속밀도 처리 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60557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30394A (ko) 2006-04-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hang et al. J-substitution algorithm in magnetic resonance electrical impedance tomography (MREIT): phantom experiments for static resistivity images
Oh et al. Conductivity and current density image reconstruction using harmonic Bz algorithm in magnetic resonance electrical impedance tomography
US7514921B2 (en) System and method for visualizing conductive and current density distribution in object
US6397095B1 (en) Magnetic resonance—electrical impedance tomography
Seo et al. Magnetic resonance electrical impedance tomography (MREIT)
Oh et al. Electrical conductivity images of biological tissue phantoms in MREIT
EP1581110B1 (en) System and method for three-dimensional visualization of conductivity and current density distribution in electrically conducting object
Birgül et al. Current constrained voltage scaled reconstruction (CCVSR) algorithm for MR-EIT and its performance with different probing current patterns
US20160007869A1 (en) Method and device for determining and presenting surface charge and dipole densities on cardiac walls
Birgül et al. Experimental results for 2D magnetic resonance electrical impedance tomography (MR-EIT) using magnetic flux density in one direction
US20020106681A1 (en) High definition electrical impedance tomography methods for the detection and diagnosis of early stages of breast cancer
US7603158B2 (en) Current density impedance imaging (CDII)
Seo et al. Magnetic resonance electrical impedance tomography (MREIT): conductivity and current density imaging
JP2017531501A (ja) 医用画像相関図のシステム及び方法
CN102655805B (zh) 用于使用mpi进行无创心脏内心电描记的设备和方法
Lee et al. Static resistivity image of a cubic saline phantom in magnetic resonance electrical impedance tomography (MREIT)
Joy et al. A new approach to current density impedance imaging (CDII)
KR100660557B1 (ko) 자속밀도 처리 장치 및 방법
Bonovas et al. A realistic three dimensional FEM of the human head
Ouypornkochagorn et al. In vivo estimation of head tissue conductivities using bound constrained optimization
KR100570202B1 (ko) 도전율 및 전류밀도를 영상화하는 시스템 및 방법
Buchenberg et al. In vitro study to simulate the intracardiac magnetohydrodynamic effect
KR100642837B1 (ko) 도전율 및 전류밀도의 3차원 영상화 방법 및 그를 위한시스템
Sadleir A bidomain model for neural tissue
KR100575210B1 (ko) 이방성 도전율 및 전류밀도를 영상화하는 시스템 및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1031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