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60128B1 - 카메라를 이용한 포인팅 장치와 전자 기기 - Google Patents

카메라를 이용한 포인팅 장치와 전자 기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60128B1
KR100660128B1 KR1020060012401A KR20060012401A KR100660128B1 KR 100660128 B1 KR100660128 B1 KR 100660128B1 KR 1020060012401 A KR1020060012401 A KR 1020060012401A KR 20060012401 A KR20060012401 A KR 20060012401A KR 100660128 B1 KR100660128 B1 KR 10066012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mage
unit
pointing
infrared light
subjec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1240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혜광
민동욱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엠씨넥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엠씨넥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엠씨넥스
Priority to KR102006001240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6012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6012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6012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304Detection arrangements using opto-electronic means
    • G06F3/0308Detection arrangements using opto-electronic means comprising a plurality of distinctive and separately oriented light emitters or reflectors associated to the pointing device, e.g. remote cursor controller with distinct and separately oriented LEDs at the tip whose radiations are captured by a photo-detector associated to the scree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33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23Construction or mounting of dials or of equivalent devices; Means for facilitating the use thereof
    • H04M1/233Construction or mounting of dials or of equivalent devices; Means for facilitating the use thereof including a pointing device, e.g. roller key, track ball, rocker switch or joystick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Position Input By Display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포인팅 장치에 관련되며, 특히 카메라를 이용한 포인팅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발명에 따른 포인팅 장치는 영상을 촬영하는 촬상부와, 촬상부의 피사체를 향한 측면에 배치되어 피사체에 적외선 조명을 제공하는 적외선 발광부와, 촬상부에서 촬영된 영상으로부터 포인팅 의사를 가진 오브젝트를 추출하고, 그 위치 정보를 출력하는 영상 처리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에 직접 적외선 발광부를 구비함에 따라 별도의 리모콘이나 마우스와 같은 입력 장비가 없이도 포인팅 의사를 가진 어떠한 오브젝트를 통해 전자 기기의 제어가 가능하여 더 편리하고 유용한 포인팅 장치를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카메라, 포인팅, 사용자 인터페이스

Description

카메라를 이용한 포인팅 장치와 전자 기기{Pointing Device using Camera and Electronic Apparatus}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포인팅 장치가 구비된 이동통신 단말기를 도시한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포인팅 장치의 개략적인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촬상부의 구성을 도시한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기기의 개략적인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포인팅 장치 200: 촬상부
202: 필터 210: 영상처리부
220: 조작신호 생성부 230: 적외선 발광부
240: 제어부 300: 이미지센서
400: 촬상부 410: 영상처리부
420: 제어부 430: 적외선 발광부
본 발명은 포인팅 장치에 관련되며, 특히 카메라를 이용한 포인팅 장치에 관한 것이다.
생활의 편리함을 추구하는 욕구와 기술의 발달 속에서 전자 기기를 제어하기 위한 다양한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들이 제안되고 있다. 최근 이동통신 단말기나 MP3등의 휴대 기기에도 단순히 키 패드에 마련된 키의 누름 방식, 슬라이드 키 방식뿐 아니라 회전 키나 터치 스크린 방식을 적용하여 그 디자인과 편리함을 동시에 추구하는 등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위한 그 수단이 다양화 되고 있다.
한국 공개 특허 공보 특 2004-0048942호에는 용량성 센서를 이용하여 회전 사용자 액션을 통하여 가속화된 스크롤링을 제공하는 기술이 공지되어 있다. 회전 입력 장치를 통하여 사용자의 회전 액션을 감지하고, 그 속도에 따라서 전자기기의 스크롤을 제어하는 기술이다.
본 발명은 이 같은 배경에서 도출된 것으로, 더 편리하고 유용하게 사용자 인터페이스로 사용될 수 있는 포인팅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나아가 전자 기기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포인팅 의사를 가진 오브젝트의 움직임을 더 명확하게 인식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양상에 따른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 치는 소정 거리 내의 포인팅 의사를 가진 오브젝트를 추출하고 그 위치를 감지하여 그 움직임에 따라 전자 기기의 동작을 제어하는 조작 신호를 생성하여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이 같은 양상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포인팅 장치는 별도의 리모콘이나 마우스와 같은 입력 장비가 없이도 포인팅 의사를 가진 어떠한 오브젝트를 통해 전자 기기의 제어가 가능하여 더 편리하고 유용한 포인팅 장치를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양상에 따르면, 렌즈를 통하여 집광되는 빛 중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에 구비된 적외선 발광부에서 발광된 파장 영역에 해당하는 빛을 검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따라 전자 기기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포인팅 의사를 가진 오브젝트의 움직임을 더 명확하게 인식할 수 있다.
전술한 그리고 추가적인 본 발명의 양상들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되는 실시예들을 통하여 이하에서 다업자가 용이하게 이해하고 재현할 수 있을 정도로 상세히 설명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가 구비된 이동통신 단말기를 도시한 도면이다.
본 발명에 따른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100)는 이동통신 단말기, MP3, CDP, PDP, 디지털 텔레비젼이나 VTR, DVD플레이어, 각종 감시 모니터, 프로젝터 등의 제품등에 적용될 수 있으며 이에 한정되지 않고 자명한 변형예들을 포괄하여 각종 전자 기기에 적용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의 개략적인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발명에 따른 포인팅 장치는 영상을 촬영하는 촬상부(200)와, 촬상부(200)의 피사체를 향한 측면에 배치되어 피사체에 적외선 조명을 제공하는 적외선 발광부(230)와, 촬상부(200)에서 촬영된 영상으로부터 포인팅 의사를 가진 오브젝트를 추출하고, 그 위치 정보를 출력하는 영상 처리부(21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촬상부(200)는 소형의 하나 혹은 복수개의 렌즈를 통하여 집광된 빛을 공급받는 카메라 모듈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촬상부(200)의 구성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촬상부(200)는 공지된 이미지 센서(300) 소자를 포함한다. 이미지 센서(300)는 광을 받아들여 전기 신호로 전환하는 소자를 포함하며 전자정공이 신호를 형성하여 출력부까지 전송되는 방식에 따라 CCD형 이미지 센서와 CMOS형 이미지 센서로 대별할 수 있다. CCD형 이미지 센서와 CMOS형 이미지 센서는 공통적으로 광을 받아들여 전기 신호로 전환하는 수광부를 가지고 있으며, CCD형 이미지 센서는 이 전기 신호를 CCD(전하결합소자, Charge Coupled Device)를 통해 전달하며 마지막 단에서 전압으로 변환을 한다. CMOS형 이미지 센서에서는 각 화소에서 전압으로 신호를 변환하여 외부로 보내게 된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촬상부(200)는 사람들이 눈으로 볼 수 있는 가시광선 영역(400-700nm)뿐 아니라 근적외선 영역( ~1150nm)도 감지한다.
적외선 발광부(230)는 촬상부(200)의 피사체를 향한 측에 배치되어 피사체에 적외선 조명을 제공하는 구성이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적외선 발광부(230)는 지 향 특성이 강한 적외선 LED로 구현될 수 있다. 적외선 발광부(230)는 본 발명에 따른 포인팅 장치(100)가 장착된 전자기기의 전원에 의해 동작될 수 있으며, 상시 소정 파장의 적외선을 발광하도록 구현된다.
또한 적외선 발광부(230)는 촬상부(200)의 피사체를 향한 측면 네 모서리에 서로 대칭되도록 장착된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적외선 발광부(230)는 포인팅 의사를 가진 오브젝트를 촬영하기 위한 발광체로 그 위치는 서로 대칭되도록 다수 개가 장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영상 처리부(210)는 촬상부(200)에서 촬영된 영상으로부터 포인팅 의사를 가진 오브젝트를 추출하고, 그 위치 정보를 출력한다. 영상 처리부(210)는 디지털 신호 처리기(DSP)및 범용의 마이크로 프로세서를 포함하여 구현될 수 있으며, 전용의 하드웨어 혹은 소프트웨어 혹은 이들의 혼합에 의해 구성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영상 처리부(210)는 촬상부(200)로부터 공급된 영상으로부터 오브젝트의 에지를 추출한다. 촬영된 영상에서 윤곽은 농담치가 급격하게 변화하는 부분이기 때문에 함수의 변화분을 취하는 미분 연산을 이용하여 에지를 검출 할 수 있다.
좌표 (x, y)의 경우 농담 분포를 나타내는 1차 미분값(gradient)은 크기와 방향을 가진 벡터량 G(x, y) = (fx, fy) 으로서 표현된다. 이 때에 fx는 x 방향의 미분, fy는 y 방향의 미분을 나타내며, fx, fy의 digital 영상은,
x 방향의 미분 fx = f(x+1, y) - f(x, y)
y 방향의 미분 fy = f(x, y+1) - f(x, y)
으로 한 픽셀 당 변화량을 계산한다. 미분값 fx, fy를 구하면,
Figure 112006009512513-pat00001
또는, |fx|+|fy| 로부터 윤곽의 강도와 방향을 계산할 수 있다.
그 밖에 화소들을 감산한 값에서 최대값을 결정하고, 3x3의 중심화소로부터 주변의 8화소들 각각을 감산하여 각 차이의 절대값중 가장 큰값을 취하여 에지 검출을 수행하는 유사 연산자(homegeneity operator), 화소당 4개의 감산을 통해 에지 검출을 하는 차연산을 이용한 에지 검출 방법등이 공지되어 있다.
영상 처리부(210)는 오브젝트의 윤곽을 추출하고, 검출된 윤곽이 폐곡선이 될 경우 그 폐곡선에 의해 생성된 영역을 포인팅 의사를 가진 오브젝트로 추출할 수 있다. 그리고 영상 처리부(210)는 입력되는 연속된 각 프레임마다 포인팅 의사를 가진 오브젝트의 중간 좌표를 추출함으로써 오브젝트의 위치 정보를 획득하여 출력한다. 예를들어 포인팅 의사를 가진 오브젝트로는 사용자의 손가락 등이 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포인팅 장치는 포인팅 장치(100) 자체에 적외선 발광부(230)를 포함함에 따라 별도로 적외선 발광을 위한 리모콘이나 마우스 등의 외부 기기을 사용하지 않아도 되는 장점이 있고, 이러한 양상에 따라 사용자의 움직임에 따라 전자 기기의 동작을 근거리 무선 제어 가능 하도록 구현하는 것이 가능하다.
본 발명의 추가적인 양상에 따른 포인팅 장치(100)는 연속된 각 프레임마다 획득된 오브젝트의 위치 정보를 비교하여 상기 오브젝트의 변위와 속도를 인식하고 그에 따른 조작 신호를 생성하여 출력하는 조작 신호 생성부(22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조작 신호 생성부(220)는 영상 처리부(210)로부터 입력된 포인팅 의사를 가진 오브젝트의 중간 좌표의 변위를 추출한다. 프레임은 동일한 주기로 변화하기 때문에 그 변화량에 따라 속도도 검출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조작 신호 생성부(220)는 중간 좌표의 변위 정보에 따라 포인팅 의사를 가진 오브젝트의 수평, 수직으로의 직선 변위와 방향, 회전 움직임과 방향 및 광축 방향으로의 움직임을 감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오브젝트의 중간 좌표가 전자 기기의 액정의 수직 방향으로 이동할 경우에 조작 신호 생성부(220)는 화면에 디스플레이된 아이템 리스트를 수직 방향으로 스크롤하도록 하는 조작신호를 생성하여 출력할 수 있다. 또한 오브젝트 영역의 크기가 프레임의 변화에 따라 확대될 경우, 조작 신호 생성부(220)는 오브젝트가 포인팅 장치(100)에 더 가까워진 것을 감지하고, 이 경우에 마우스의 '클릭' 동작에 해당하는 조작신호를 생성하여 출력할 수 있다. 그러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오브젝트의 이동 속도에 따라 스크롤 속도를 제어하거나, 게임 등에 응용될 수 있으며, 오브젝트의 변화에 따라 사용자 조작에 따라 제어할 수 있는 그 어떠한 동작들도 수행할 수 있도록 자명한 변형예들을 포괄한다.
조작 신호 생성부(220)는 상기와 같은 조작신호를 생성하여 본 발명에 따른 포인팅 장치(100)가 장착된 전자 기기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240)로 공급한다. 조작 신호 생성부(220)에서 생성된 조작 신호에 따른 제어부(240)의 동작은 본 발명의 요지에 벗어난 범위의 기술이고 이미 공지된 사항이므로 그 설명은 생략한다.
추가적인 양상에 따른 본 발명의 포인팅 장치(100)는 오브젝트로부터 반사되는 빛 중 적외선 발광부(230)에서 발광된 소정 파장의 빛을 검출하는 필터(202)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필터(202)는 소정 파장 대역의 적외선만 통과시키는 적외선 패스 필터일 수 있다. 예를들어 적외선 발광부(230)가 940nm의 파장을 방출하는 적외선 LED일 경우 필터(202)는 940nm 파장의 적외선만을 통과시키는 적외선 패스 필터이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필터(202)는 적외선 발광부(230)에서 방출하는 소정 대역의 적외선만을 통과 시켜서 촬상부(210)에 포함된 이미지 센서(300)가 가시광선이나, 복수개의 적외선의 상호 간섭 및 신호 왜곡에 따라 영상을 감지하는 것을 방지하여 사용자의 포인팅 동작을 정확하게 인식할 수 있다. 실제로 포인팅 장치(100)는 통상의 렌즈를 사용하는 카메라 모듈이기 때문에 포인팅 의사를 가진 오브젝트 이외의 주변에 존재하는 물체들의 영상도 촬영할 수 있다. 그러면 포인팅 의사를 가진 오브젝트의 윤곽이 불투명해져서, 순수하게 오브젝트의 이동만을 검출하기가 어렵다. 따라서, 필터(202)로 적외선 발광부(230)에서 방출되는 소정의 적외선만을 필터링함으로써 상대적으로 근접하게 위치하고 있는 오브젝트를 명확히 인식할 수 있는 것이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필터(202)는 촬상부(200)에 포함된 렌즈와 이미지 센서(300) 사이에 위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포인팅 장치가 장착된 전자기기를 설명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기기의 개략적인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전자 기기는 영상을 촬영하는 촬상 부(400)와, 촬상부(400)에서 촬영된 영상으로부터 포인팅 의사를 가진 오브젝트의 회전운동을 감지하여 화면의 아이템 리스트들을 스크롤하는 조작신호를 출력하는 영상 처리부(410)를 포함한다.
촬상부(400)는 소형의 하나 혹은 복수개의 렌즈를 통하여 집광된 빛을 공급받는 카메라 모듈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촬상부(400)의 구성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촬상부(400)는 공지된 이미지 센서 소자를 포함한다. 이미지 센서(300)는 광을 받아들여 전기 신호로 전환하는 소자를 포함하며 전자정공이 신호를 형성하여 출력부까지 전송되는 방식에 따라 CCD형 이미지 센서와 CMOS형 이미지 센서로 대별할 수 있다. CCD형 이미지 센서와 CMOS형 이미지 센서는 공통적으로 광을 받아들여 전기 신호로 전환하는 수광부를 가지고 있으며, CCD형 이미지 센서는 이 전기 신호를 CCD(전하결합소자, Charge Coupled Device)를 통해 전달하며 마지막 단에서 전압으로 변환을 한다. CMOS형 이미지 센서에서는 각 화소에서 전압으로 신호를 변환하여 외부로 보내게 된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촬상부(400)는 사람들이 눈으로 볼 수 있는 가시광선 영역(400-700nm)뿐 아니라 근적외선 영역( ~1150nm)도 감지한다.
영상 처리부(410)는 촬상부(400)에서 촬영된 영상으로부터 포인팅 의사를 가진 오브젝트를 추출하고, 그 위치 정보를 출력한다. 영상 처리부(410)는 디지털 신호 처리기(DSP)및 범용의 마이크로 프로세서를 포함하여 구현될 수 있으며, 전용의 하드웨어 혹은 소프트웨어 혹은 이들의 혼합에 의해 구성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영상 처리부(410)는 촬상부(400)로부터 공급된 영상으로부터 오브젝 트의 에지를 추출한다. 촬영된 영상에서 윤곽은 농담치가 급격하게 변화하는 부분이기 때문에 함수의 변화분을 취하는 미분 연산을 이용하여 에지를 검출 할 수 있다. 화소들을 감산한 값에서 최대값을 결정하고, 3x3의 중심화소로부터 주변의 8화소들 각각을 감산하여 각 차이의 절대값중 가장 큰값을 취하여 에지 검출을 수행하는 유사연산자(homegeneity operator), 화소당 4개의 감산을 통해 에지 검출을 하는 차연산을 이용한 에지 검출 방법등이 공지되어 있다.
영상 처리부(410)는 오브젝트의 윤곽을 추출하고, 검출된 윤곽이 폐곡선이 될 경우 그 폐곡선에 의해 생성된 영역을 포인팅 의사를 가진 오브젝트로 추출할 수 있다. 그리고 영상 처리부(410)는 입력되는 연속된 각 프레임마다 포인팅 의사를 가진 오브젝트의 중간 좌표를 추출함으로써 오브젝트의 위치 정보를 획득하여 출력한다. 예를들어 포인팅 의사를 가진 오브젝트로는 사용자의 손가락 등이 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영상 처리부(410)는 포인팅 의사를 가진 오브젝트의 중간 좌표의 변위를 추출한다. 그리고, 어느 정도의 시간 동안 중간 좌표의 변위를 추출하고 오브젝트가 회전운동을 하고 있음을 감지할 수 있다. 이 경우, 영상 처리부(410)는 화면에 디스플레이된 아이템 리스트를 수직 방향 혹은 수평방향 및 회전 방향으로 스크롤하도록 하는 조작신호를 생성하여 출력할 수 있다.
이 경우에, 영상 처리부(410)는 오브젝트의 회전 방향과, 회전 속도에 따라 스크롤의 방향과 속도를 설정하여 스크롤 조작 신호를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프레임은 동일한 주기로 변화하기 때문에 그 변화량에 따라 속도도 검출할 수 있다. 예를들어 오브젝트의 회전 운동 방향이 빠르면, 스크롤을 빠르게 수행하도록 할 수 있고, 소정의 빠르기로 회전 되지 않을 경우에는 스크롤이 되지 않도록 하는 조작 신호를 출력한다.
또 다른 양상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영상 처리부(410)는 오브젝트의 광축 방향 운동을 감지하여, 오브젝트가 전자기기를 향하여 이동한 경우에는 선택된 아이템 리스트의 재생 선택 신호를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영상 처리부는 촬영된 영상의 에지 검출을 통하여 포인팅 의사를 가진 오브젝트를 추출하고, 그 중심 좌표를 추출한다. 동일한 오브젝트 영역의 크기가 프레임의 변화에 따라 확대될 경우에 영상 처리부(410)는 오브젝트가 포인팅 장치(100)에 더 가까워진 것을 감지하고, 이 경우에 마우스의 '클릭' 동작에 해당하는 조작신호를 생성하여 출력할 수 있다. 즉, 이 경우에는 선택된 아이템 리스트에 대하여 재생 선택 신호를 출력하도록 구현될 수 있다.
그러나 전자기기에서 구현되는 본 발명에 따른 포인팅 장치의 동작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자명한 변형예들을 포괄하도록 해석된다.
영상 처리부(410)는 상기와 같은 조작신호를 생성하여 전자 기기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420)로 공급한다. 조작 신호에 따른 제어부(420)에서의 동작은 본 발명의 요지에 벗어난 범위의 기술이고 이미 공지된 사항이므로 그 설명은 생략한다.
본 발명의 추가적인 양상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전자 기기는 촬상부(400)의 피사체를 향한 측면에 배치되어 피사체에 적외선 조명을 제공하는 적외선 발광 부(43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적외선 발광부(430)는 상기 촬상부의 피사체를 향한 측에 배치되어 상기 피사체의 반사광을 촬상부(400)로 제공하기 위한 구성이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적외선 발광부(430)는 지향 특성이 강한 적외선 LED로 구현될 수 있다. 적외선 발광부(430)는 본 발명에 따른 포인팅 장치(100)가 장착된 전자기기의 전원에 의해 동작될 수 있으며, 상시 소정 파장의 적외선을 발광하도록 구현된다.
이상에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에 직접 적외선 발광부를 구비함에 따라 별도의 리모콘이나 마우스와 같은 입력 장비가 없이도 포인팅 의사를 가진 어떠한 오브젝트를 통해 전자 기기의 제어가 가능하여 더 편리하고 유용한 포인팅 장치를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나아가 렌즈를 통하여 집광되는 빛 중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에 구비된 적외선 발광부에서 발광된 파장 영역에 해당하는 빛을 검출함으로써, 휴대용 전자 기기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사용자의 움직임 등을 더 명확하게 인식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의 움직임을 감지하여 전자기기를 제어함에 있어, 사용자의 흥미를 유발시킬 수 있으며, 저 화질의 카메라 모듈 통하여 구현이 가능하므로 더 편리한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를 구현함에 있어 제조 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은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참조하여 설명되었지만 여기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범주를 벗어남이 없이 당업자라면 자명하게 도출가 능한 많은 변형예들을 포괄하도록 의도된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져야 한다.

Claims (8)

  1. 영상을 촬영하는 촬상부와;
    상기 촬상부의 피사체를 향한 측면에 배치되어 상기 피사체에 적외선 조명을 제공하는 적외선 발광부와;
    상기 촬상부에서 촬영된 영상으로부터 포인팅 의사를 가진 오브젝트를 추출하고, 그 위치 정보를 출력하는 영상 처리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인팅 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촬상부가:
    집광된 빛 중 상기 적외선 발광부에서 발광된 소정 파장의 빛만을 통과 시키는 필터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인팅 장치.
  3.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포인팅 장치가:
    연속된 프레임마다 상기 오브젝트의 위치 정보를 비교하여 상기 오브젝트의 변위와 속도를 인식하고 그에 따른 조작 신호를 생성하여 출력하는 조작 신호 생성부;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인팅 장치.
  4.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적외선 발광부가:
    상기 촬상부의 피사체를 향한 측면 네 모서리에 서로 대칭되도록 장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인팅 장치.
  5. 영상을 촬영하는 촬상부와;
    상기 촬상부에서 촬영된 영상으로부터 포인팅 의사를 가진 오브젝트의 회전운동을 감지하여 화면의 아이템 리스트들을 스크롤하는 조작신호를 출력하는 영상 처리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기기.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촬상부의 피사체를 향한 측면에 배치되어 상기 피사체에 적외선 조명을 제공하는 적외선 발광부;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기기.
  7. 제 5항 또는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영상 처리부가:
    상기 오브젝트의 회전 방향과, 회전 속도에 따라 상기 스크롤의 방향과 속도 를 설정하여 스크롤 조작 신호를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기기.
  8. 제 5항 또는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영상 처리부가:
    상기 오브젝트의 광축 방향 운동을 감지하여, 상기 오브젝트가 상기 전자기기를 향하여 이동한 경우에는 선택된 아이템 리스트의 재생 선택 신호를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기기.
KR1020060012401A 2006-02-09 2006-02-09 카메라를 이용한 포인팅 장치와 전자 기기 KR10066012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12401A KR100660128B1 (ko) 2006-02-09 2006-02-09 카메라를 이용한 포인팅 장치와 전자 기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12401A KR100660128B1 (ko) 2006-02-09 2006-02-09 카메라를 이용한 포인팅 장치와 전자 기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660128B1 true KR100660128B1 (ko) 2006-12-20

Family

ID=3781514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12401A KR100660128B1 (ko) 2006-02-09 2006-02-09 카메라를 이용한 포인팅 장치와 전자 기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60128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07620B1 (ko) * 2006-09-25 2008-03-03 엠텍비젼 주식회사 포인터 이동 제어 방법 및 그 장치
KR100807625B1 (ko) * 2006-09-25 2008-03-03 엠텍비젼 주식회사 포인터 이동 제어 방법 및 그 장치
KR100860331B1 (ko) * 2006-10-25 2008-09-25 엠텍비젼 주식회사 포인터 이동 제어 장치를 포함하는 전자기기
KR101547457B1 (ko) * 2013-10-30 2015-08-26 주식회사 엠씨넥스 방향 인식 카메라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07620B1 (ko) * 2006-09-25 2008-03-03 엠텍비젼 주식회사 포인터 이동 제어 방법 및 그 장치
KR100807625B1 (ko) * 2006-09-25 2008-03-03 엠텍비젼 주식회사 포인터 이동 제어 방법 및 그 장치
KR100860331B1 (ko) * 2006-10-25 2008-09-25 엠텍비젼 주식회사 포인터 이동 제어 장치를 포함하는 전자기기
KR101547457B1 (ko) * 2013-10-30 2015-08-26 주식회사 엠씨넥스 방향 인식 카메라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60125B1 (ko) 카메라를 이용한 포인팅 장치
US8408720B2 (en) Image display apparatus, image display method, and recording medium having image display program stored therein
Berman et al. Sensors for gesture recognition systems
US9454837B2 (en) Image processing apparatus, method, and computer-readable storage medium calculating size and position of one of an entire person and a part of a person in an image
US20090295712A1 (en) Portable projector and method of operating a portable projector
JP5740822B2 (ja)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JP2015526927A (ja) カメラ・パラメータのコンテキスト駆動型調整
KR101494350B1 (ko) 컴퓨터의 원격 제어를 위한 시스템 및 방법
US20130229387A1 (en) Optical touch device, passive touch control system, and input detection method
US10261327B2 (en) Head mounted display and control method for head mounted display
TW200925706A (en) Display-and-image-pickup apparatus, object detection program and method of detecting an object
KR20050075031A (ko) 지시 디바이스에 기초한 유저 인터페이스 시스템
WO2011053616A2 (en) Three dimensional imaging device, system, and method
JP2012073830A (ja) インターフェース装置
JP2008287142A (ja) 画像投影装置
KR100660128B1 (ko) 카메라를 이용한 포인팅 장치와 전자 기기
JP2011239279A (ja) 遠隔制御装置および遠隔制御方法
US20110095983A1 (en) Optical input device and image system
US20210120172A1 (en) Mobile terminal
JP2013182061A (ja) 投影システム
JP2007088835A (ja) 機器制御装置
JP2011188023A (ja)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JP6465197B2 (ja)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KR100756026B1 (ko) 카메라를 이용한 조작 장치와 전자 기기
JP5392656B2 (ja) 情報入力装置、情報入出力装置および電子機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018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209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030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204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104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205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204

Year of fee payment: 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