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60055B1 - 무선통신 단말기에서의 패킷 전송 방법 - Google Patents

무선통신 단말기에서의 패킷 전송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60055B1
KR100660055B1 KR1020050019695A KR20050019695A KR100660055B1 KR 100660055 B1 KR100660055 B1 KR 100660055B1 KR 1020050019695 A KR1020050019695 A KR 1020050019695A KR 20050019695 A KR20050019695 A KR 20050019695A KR 100660055 B1 KR100660055 B1 KR 10066005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cket
wireless communication
slot interval
communication terminal
slo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1969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60097394A (ko
Inventor
홍태철
강군석
안도섭
이호진
Original Assignee
한국전자통신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전자통신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전자통신연구원
Priority to KR102005001969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60055B1/ko
Priority to PCT/KR2006/000843 priority patent/WO2006096022A1/en
Priority to EP06716293A priority patent/EP1856833A4/en
Publication of KR2006009739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9739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6005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6005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41/00Branching pipes; Joining pipes to walls
    • F16L41/08Joining pipes to walls or pipes, the joined pipe axis being perpendicular to the plane of the wall or to the axis of another pip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00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 H04L1/12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by using return channel
    • H04L1/16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by using return channel in which the return channel carries supervisory signals, e.g. repetition request signals
    • H04L1/18Automatic repetition systems, e.g. Van Duuren systems
    • H04L1/1867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the transmitter end
    • H04L1/1874Buffer managemen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00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 H04L1/12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by using return channel
    • H04L1/16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by using return channel in which the return channel carries supervisory signals, e.g. repetition request signals
    • H04L1/18Automatic repetition systems, e.g. Van Duuren systems
    • H04L1/1803Stop-and-wait protoco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00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 H04L1/12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by using return channel
    • H04L1/16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by using return channel in which the return channel carries supervisory signals, e.g. repetition request signals
    • H04L1/18Automatic repetition systems, e.g. Van Duuren systems
    • H04L1/1867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the transmitter end
    • H04L1/1887Scheduling and prioritising arrangemen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28/00Network traffic management; Network resource management
    • H04W28/02Traffic management, e.g. flow control or congestion control
    • H04W28/10Flow control between communication endpoints
    • H04W28/14Flow control between communication endpoints using intermediate storag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4/00Wireless channel access
    • H04W74/04Scheduled acces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1. 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
본 발명은, 무선통신 단말기에서의 패킷 전송 방법에 관한 것임.
2. 발명이 해결하려고 하는 기술적 과제
본 발명은, 슬롯방식 알로하 임의접속방식과 자동재전송요구 오류정정방식을 이용하는 무선통신 단말기에서 기지국 등으로 패킷 전송시, 채널 환경에 따라 패킷의 전송 간격을 조절함으로써, 타 무선통신 단말기로부터 전송되는 패킷과의 충돌 확률을 감소시켜 패킷의 전송 효율을 증가시키기 위한, 무선통신 단말기에서의 패킷 전송 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음.
3. 발명의 해결방법의 요지
본 발명은, 슬롯방식 알로하 임의접속방식(Slotted Aloha Random Access Control)과 자동재전송요구 오류정정방식을 결합하여 상향링크 패킷을 전송하는 긴 왕복지연시간을 가지는 무선통신 단말기에서의 패킷 전송 방법에 있어서, 임의의 크기를 가지는 자동재전송요구(ARQ) 버퍼에 상향링크 전송 패킷을 저장하는 패킷 저장단계; 상기 자동재전송요구(ARQ) 버퍼에 저장되어 있는 패킷을 제 1 슬롯 간격으로 전송하는 제 1 패킷 전송단계; 상기 전송한 패킷에 대한 비정상 피드백 정보를 연속하여 소정 회수 수신함에 따라 평균 왕복지연시간과 상기 자동재전송요구 버퍼의 크기를 이용하여 제 2 슬롯 간격을 산출하는 단계; 상기 산출한 제 2 슬롯 간격으로 추가 상향링크 전송 패킷을 전송하는 제 2 패킷 전송단계; 및 상기 제 2 슬롯 간격으로 전송한 패킷에 대한 정상 피드백 정보를 소정 회수 연속하여 수신함에 따라 상기 제 1 슬롯 간격으로 변경하는 슬롯 간격 변경단계를 포함함.
4. 발명의 중요한 용도
본 발명은 통신 시스템 등에 이용됨.
패킷 전송, 슬롯 간격 조절, 임의접속방식, 자동재전송요구 방식, 자동재전송요구 버퍼, 패킷 충돌 방지

Description

무선통신 단말기에서의 패킷 전송 방법{Method for transmitting packet in wireless telecommunication terminal}
도 1 은 종래의 무선통신 단말기에서의 패킷 전송 결과를 나타내는 일실시예 설명도,
도 2 은 본 발명이 적용되는 무선통신시스템의 일실시예 구성도,
도 3 은 본 발명에 따른 무선통신 단말기에서의 패킷 전송 과정에 대한 일실시예 설명도,
도 4 는 본 발명에 따른 무선통신 단말기에서의 패킷 전송 결과를 나타내는 일실시예 설명도,
도 5 는 본 발명에 따른 무선통신 단말기에서의 패킷 전송 방법에 대한 일실시예 흐름도,
도 6 은 본 발명에 따른 무선통신 단말기에서 지연 전송모드로 동작시 패킷 전송 과정에 대한 일실시예 흐름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1 : 위성 22 : 무선통신 단말기
본 발명은 무선통신 단말기에서의 패킷 전송 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슬롯방식 알로하 임의접속방식과 자동재전송요구 오류정정방식을 이용하는 무선통신 단말기에서 기지국 등으로 패킷 전송시, 채널 환경에 따라 패킷의 전송 간격(슬롯 단위)을 조절하여 전송하기 위한, 무선통신 단말기에서의 패킷 전송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서 무선통신 단말기는 이동통신 단말기, PCS(Personal Communication Service) 단말기,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스마트폰, 차세대 이동통신(IMT-2000) 단말기, 무선랜 단말기 등과 같이 무선 통신을 통하여 음성, 문자 및 영상 데이터 등을 송/수신할 수 있는 휴대 가능한 무선통신 단말기를 말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 무선통신시스템은 슬롯방식 알로하 임의접속방식과 자동재전송요구 오류정정방식을 결합하여 상향링크 패킷을 전송하는 긴 왕복지연시간을 가지는 GEO 위성통신시스템 및 기지국을 중심으로 셀을 형성하는 지상 이동통신시스템 등을 포함한다. 여기서, 각 시스템은 그에 상응하는 방식으로 동작하는 무선통신 단말기를 포함한다.
음성 서비스는 물론 패킷 서비스를 포함한 다양한 멀티미디어 서비스 제공을 목적으로 하고 있는 3GPP(Third-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의 W-CDMA(Wideband-Code Division Multiple Access)시스템 및 3GPP2 (Third-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2)의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2000과 같은 제3세대 이동통신시스템에서는, 회선 교환 방식의 무선링크 형성 방식과 패킷 서비스에 적합한 패킷 교환(packet-switched) 방식을 결합하여 무선링크를 형성하는 방식을 제공하고 있다. 이때, 패킷 교환 방식으로 무선링크 형성시, 사용자 단말(무선통신 단말기)이 기지국 등으로 패킷을 전달하기 위한 방식으로 임의접속방식(Random Access Control)이 있다.
임의접속방식은 OSI(Open System Interconnection) 7계층 중 2계층에 속하는 기술로서, 여러 사용자들이 하나의 매체에 접근하는 것을 제어해 주는 기능을 수행한다. 대표적인 임의접속방식들로 알로하(Aloha), 슬롯방식 알로하(Slotted Aloha), 예약 알로하(Reserved Aloha), CSMA/CD(Carrier Sensing Multiple Access/Collision Detection), CSMA/CA(Carrier Sensing Multiple Access/Collision Avoidance) 등이 존재하며, 각 시스템의 특징에 맞게 선택되어 사용된다.
한편, 임의접속방식과 함께 전송 오류를 해결하기 위한 방식으로, FEC(Forward Error Correction)나 자동재전송요구(ARQ) 등이 있다. FEC는 오류정정부호를 사용하여 수신측에서 스스로 오류를 정정할 수 있도록 도와주는 방식이고, 자동재전송요구는 오류가 발생하였을 때 송신측에서 오류가 발생한 패킷을 다시 전송해주는 방식이다.
자동재전송요구 오류정정방식의 종류로는 스탑앤웨이트 자동재전송요구(stop and wait ARQ), 고우백앤 자동재전송요구(go back n ARQ), 선택적 자동재전송요구(selective ARQ), 하이브리드 자동재전송요구(hybrid ARQ) 등이 있다. FEC나 자동재전송요구 오류정정방식 역시 각 시스템의 특징에 맞게 선택되어 사용된다.
한편, 3G(Third Generation) 이동통신시스템에서 사용자 단말은 기지국으로 패킷을 전달하기 위해 슬롯방식 알로하 임의접속방식을 이용하며, 수신 패킷에 오류 발생시 이를 해결하기 위해 스탑앤웨이트 자동재전송요구(stop and wait ARQ) 방식을 이용한다.
반면, 지상 이동통신시스템에서는 사용자 단말과 기지국 사이의 왕복지연시간이 길지 않기 때문에, 비교적 간단한 슬롯방식 알로하 임의접속 방식과 스탑앤웨이트(stop and wait) 자동재전송요구 방식을 통해서 서비스를 제공해줄 수 있다.
기본적으로 기지국이 담당하는 지역이 넓은 경우 CS(Carrier Sensing)가 불가능하기 때문에 슬롯방식 알로하 임의접속방식 또는 예약 알로하 임의접속방식을 많이 이용하며, 이때 왕복지연시간(Round Trip Time)이 큰 경우는 전송효율을 높이고자 선택적 자동재전송요구(selective ARQ) 오류정정방식을 결합하여 이용한다.
이러한 종래의 슬롯방식 알로하 임의접속방식과 자동재전송요구 오류정정방식을 결합하여 이용하는 무선통신시스템에서 무선통신 단말기는 전송하고자 하는 패킷을 연속으로 기지국 등으로 전송한다.
이때, 기지국은 타 무선통신 단말기로부터도 패킷을 수신하기 때문에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 무선통신 단말기로부터의 패킷이 충돌을 일으켜 정상적으로 수신되는 패킷의 확률이 매우 미비한 문제점이 있었다.
이를 도 1을 참조하여 좀 더 상세히 살펴보면, 먼저 제 1 무선통신 단말기가 P1-1 패킷과 P1-2 패킷 및 P1-3 패킷을 연속하여 기지국으로 전송한다.
또한, 제 2 무선통신 단말기가 제 1 무선통신 단말기의 P1-2 패킷 전송시점에 P2-1 패킷, P2-2 패킷, P2-3 패킷 및 P2-4 패킷을 연속하여 기지국으로 전송한다.
또한, 제 3 무선통신 단말기는 제 2 무선통신 단말기의 P2-3 패킷 전송시점에 P3-1 패킷과 P3-2 패킷 및 P3-3 패킷을 연속하여 기지국으로 전송한다.
따라서, 각 패킷들간 전송 시점이 동일하여 충돌이 일어나 각기 다른 시점에 수신된 제 1 무선통신 단말기로부터의 P1-1 패킷과 제 3 무선통신 단말기로부터의 P3-3 패킷만이 정상적으로 수신되는 문제점이 있음을 알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 슬롯방식 알로하 임의접속방식과 자동재전송요구 오류정정방식을 이용하는 무선통신 단말기에서 기지국 등으로 패킷 전송시, 채널 환경에 따라 패킷의 전송 간격을 조절함으로써, 타 무선통신 단말기로부터 전송되는 패킷과의 충돌 확률을 감소시켜 패킷의 전송 효율을 증가시키기 위한, 무선통신 단말기에서의 패킷 전송 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 및 장점들은 하기의 설명에 의해서 이해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해 보다 분명하게 알게 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 및 장점들은 특허 청구 범위에 나타낸 수단 및 그 조합에 의해 실현될 수 있음을 쉽게 알 수 있을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방법은, 슬롯방식 알로하 임의접속방식(Slotted Aloha Random Access Control)과 자동재전송요구 오류정정방식을 결합하여 상향링크 패킷을 전송하는 긴 왕복지연시간을 가지는 무선통신 단말기에서의 패킷 전송 방법에 있어서, 임의의 크기를 가지는 자동재전송요구(ARQ) 버퍼에 상향링크 전송 패킷을 저장하는 패킷 저장단계; 상기 자동재전송요구(ARQ) 버퍼에 저장되어 있는 패킷을 제 1 슬롯 간격으로 전송하는 제 1 패킷 전송단계; 상기 전송한 패킷에 대한 비정상 피드백 정보를 연속하여 소정 회수 수신함에 따라 평균 왕복지연시간과 상기 자동재전송요구 버퍼의 크기를 이용하여 제 2 슬롯 간격을 산출하는 단계; 상기 산출한 제 2 슬롯 간격으로 추가 상향링크 전송 패킷을 전송하는 제 2 패킷 전송단계; 및 상기 제 2 슬롯 간격으로 전송한 패킷에 대한 정상 피드백 정보를 소정 회수 연속하여 수신함에 따라 상기 제 1 슬롯 간격으로 변경하는 슬롯 간격 변경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목적, 특징 및 장점은 첨부된 도면과 관련한 다음의 상세한 설명을 통하여 보다 분명해 질 것이며, 그에 따라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과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일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2 은 본 발명이 적용되는 무선통신시스템의 일실시예 구성도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이 적용되는 무선통신시스템은, 상향링크 채널을 통해 다수의 무선통신 단말기(22)로부터 패킷을 수신하기 위한 기지국(일예로 위성)(21), 채널 환경에 따라 패킷의 전송 간격(슬롯 단위)을 조절하여 기지국(21)으로 패킷을 전송하기 위한 다수의 무선통신 단말기(22)를 포함한다.
여기서, 도 3을 참조하여 상기 무선통신 단말기(22)에서의 패킷 전송 과정에 대해 살펴보면, 먼저 슬롯방식 알로하 임의접속방식과 자동재전송요구 오류정정방식을 이용하는 무선통신 단말기(22)는 소정의 크기(일예로 5개의 패킷)를 가지는 자동재전송요구 버퍼(일예로 선택적 자동재전송요구 버퍼)를 구비한다. 이때, 무선통신 단말기(22)는 자동재전송요구 버퍼에 저장 가능한 패킷의 수를 기지국으로부터의 피드백 정보없이 전송할 수 있다.
이후, 무선통신 단말기(22)는 패킷 1부터 패킷 5까지를 중앙국(위성)(21)으로 전송한 후 위성(21)으로부터의 피드백 정보에 따라 정상(ACK)인 경우에는 해당 패킷을 자동재전송요구 버퍼에서 삭제하고 비정상(NACK)인 경우에는 임의 시간 대기후 해당 패킷을 재전송한다. 이때, 무선통신 단말기(22)는 상위계층에 기지국으로 전송할 패킷이 더 존재하면 전송을 위해 그 패킷을 자동재전송요구(ARQ) 버퍼에 저장한다.
한편, 자동재전송요구(ARQ) 버퍼에 저장되어 있는 패킷이 두개 이상일 경우에 연속적으로 패킷을 전송하는 것이 충돌확률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기 위해 패킷이 충돌할 확률을 구해 보자.
각각의 무선통신 단말기가 패킷을 전송하는 사건은 독립적인 사건이므로, 처음으로 충돌이 발생할 확률은 전체 확률 1에서 모든 무선통신 단말기가 패킷을 전송하지 않을 확률과 하나의 무선통신 단말기만이 패킷을 전송할 확률을 빼줌으로써, 구할 수 있다. 이는 하기의 [수학식 1]과 같다.
Figure 112005012545578-pat00001
여기서, P는 무선통신 단말기가 패킷을 전송할 확률을 의미하고, N은 무선통신 단말기의 수를 의미한다.
만일, 하나의 패킷을 전송한 무선통신 단말기가 다음 슬롯에서 패킷을 전송할 확률이 독립적인 사건이라면, 두번 연속 충돌사건이 발생할 확률은 각각의 확률을 곱해서 구할 수 있으므로 처음 충돌사건이 발생할 확률의 제곱형태가 된다. 이는 하기의 [수학식 2]와 같다.
Figure 112005012545578-pat00002
그러나, 실제적으로 무선통신 단말기에서 패킷 전송시, 응용계층에서 발생한 하나의 패킷을 전송하기 위해 여러 개의 MAC(Media Access Control) 계층 패킷을 전송해야 하는 경우도 발생하므로, 하나의 패킷을 전송한 무선통신 단말기가 다음 슬롯에서 패킷을 전송할 확률은 독립사건이 아닌 종속사건이 된다.
따라서, 두번 연속 충돌사건이 발생할 확률은 하기의 [수학식 3]과 같다.
Figure 112005012545578-pat00003
여기서,
Figure 112005012545578-pat00004
은 이전 슬롯에서 패킷을 전송한 무선통신 단말기가 현재 슬롯에서 다시 패킷을 전송할 확률을 의미하며, m은 이전 슬롯에서 패킷을 전송한 무선통신 단말기의 수를 의미한다. 이때,
Figure 112005012545578-pat00005
은 P 보다 더 큰 값을 갖기 때문에 상기 [수학식 3]의 확률은 상기 [수학식 2]의 확률보다 작다. 그러나,
Figure 112005012545578-pat00006
일 경우에는 [수학식 2]와 같은 확률을 갖는다.
따라서, 본 발명은
Figure 112005012545578-pat00007
를 만족시켜 연속된 패킷을 전송할 때도 [수학식 2]와 비슷한 확률을 가질 수 있도록 한다.
도 4 는 본 발명에 따른 무선통신 단말기에서의 패킷 전송 결과를 나타내는 일실시예 설명도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송해야 할 패킷이 여러 개인 경우 연속하여 전송하지 않고, 하나의 패킷을 전송하고 다음 패킷을 전송할 슬롯을 임의적으로 결정 한다.
이때, 다음 패킷을 전송하는 슬롯을 결정하는 방식은 1과 시스템의 평균 왕복지연시간 T(슬롯단위)를 자동재전송요구(ARQ) 버퍼의 크기 B(슬롯단위)로 나누어 준 값사이의 임의의 값을 선택한다. 즉, [1, T/B]사이의 임의의 정수값을 선택하여 다음 패킷을 전송할 슬롯을 결정한다.
이와 같은 방법을 통해
Figure 112005012545578-pat00008
과 P가 서로 독립사건에 가깝도록 만들어 적은 충돌 확률로 패킷들을 전송한다.
도 4를 살펴보면, 먼저 제 1 무선통신 단말기가 P1-1 패킷과 P1-2 패킷 및 P1-3 패킷을 소정의 슬롯 간격을 두고 기지국으로 전송한다.
또한, 제 2 무선통신 단말기가 제 1 무선통신 단말기가 P2-1 패킷, P2-2 패킷, P2-3 패킷 및 P2-4 패킷을 소정의 슬롯 간격을 두고 기지국으로 전송한다.
또한, 제 3 무선통신 단말기가 P3-1 패킷과 P3-2 패킷 및 P3-3 패킷을 소정의 슬롯 간격을 두고 기지국으로 전송한다.
이때, 위성은 제 1 무선통신 단말기로부터의 P1-1 패킷과 제 3 무선통신 단말기로부터의 P3-3 패킷의 충돌로 인하여 P1-1 패킷과 P3-3 패킷만을 수신하지 못하였을 뿐, 나머지 패킷은 모두 정상적으로 수신하였음을 알 수 있다.
도 5 는 본 발명에 따른 무선통신 단말기에서의 패킷 전송 방법에 대한 일실시예 흐름도이다.
먼저, 상위계층(MAC 위의 계층)에 기지국으로 전송할 패킷이 있는지 확인하 여(501), 전송할 패킷이 없으면 종료한다.
상기 확인 결과(501), 전송할 패킷이 있으면 MAC에서 전송해야 할 패킷이 몇 개인지 확인한 후 자동재전송요구(ARQ) 버퍼에 전송하고자 하는 패킷을 순서대로 입력한다(502).
이후, 상기 자동재전송요구 버퍼에 입력된 순서로 한개의 패킷을 전송한다(503).
이후, 자동재전송요구 버퍼에 전송 예정 패킷(전송하지 않은 잔여 패킷)이 있는지 확인한다(504).
상기 확인 결과(504), 전송 예정 패킷이 존재하면 소정(R)의 슬롯 후에 한개의 패킷을 기지국으로 전송한 후(505), 상기 "504" 과정으로 진행한다. 이때, 상기 R은 [1, T/B]사이의 임의의 정수값을 의미한다.
상기 확인 결과(504), 전송 예정 패킷이 없으면 기지국으로부터의 피드백 정보를 확인한다(506).
상기 확인 결과(506), 상기 피드백 정보가 기지국에서 정상적으로 수신하였음을 나타내는 ACK 신호이면, 상위계층에 추가 전송할 패킷이 존재하는지 확인하여(507), 추가 전송할 패킷이 존재하면 ACK를 받은 패킷을 상기 자동재전송요구 버퍼에서 제거하고 추가 전송할 패킷을 자동재전송요구 버퍼에 입력한 후(508), 상기 "503" 과정으로 진행한다.
반면, 상기 확인 결과(507), 상위 계층에 전송할 패킷이 존재하지 않으면 자동재전송요구 버퍼에 전송 완료되지 않은 패킷이 있는지 확인하여(509), 있으면 상 기 "506" 과정으로 진행하고, 없으면 종료한다. 여기서, 전송 완료는 기지국 등으로 전송한 패킷에 대해 기지국 등으로부터 피드백 정보(ACK 신호나 NACK 신호)를 수신한 상태를 의미한다.
한편, 상기 확인 결과(506), 상기 피드백 정보가 기지국에서 정상적으로 수신되지 않았음을 나타내는 NACK 신호이면, 슬롯 알로하 방식을 통해 임의 시간을 대기(랜덤 Backoff)한 후 오류가 발생한 해당 패킷을 재전송한다(510).
이후, 기지국으로부터 비정상(NACK) 신호를 소정 회수 연속적으로 수신했는지를 확인한다(511). 이때, 소정 회수는 일예로 3회가 바람직하다.
상기 확인 결과(511), 비정상 신호를 소정 회수 연속적으로 수신하지 않았으면 상기 "506" 과정으로 진행하고, 수신하였으면 지연 전송모드로 동작한다.
여기서, 상기 지연 전송모드는 도 6을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먼저 지연 전송모드로 진입함에 따라 자동재전송요구 버퍼에 전송 예정 패킷이 있는지 확인한다(601).
상기 확인 결과(601), 전송 예정 패킷이 존재하면
Figure 112005012545578-pat00009
슬롯 후에 한개의 패킷 전송한 후(602), 상기 "601" 과정으로 진행한다. 여기서,
Figure 112005012545578-pat00010
는 [k*T/2B, k*T/B]사이의 임의의 정수를 의미하며, 이때 k는 임의의 정수로 시스템의 특성에 맞게 결정한다.
반면, 상기 확인 결과(601), 전송 예정 패킷이 존재하지 않으면 기지국으로부터의 피드백 정보를 확인한다(603).
상기 확인 결과(603), 상기 피드백 정보가 기지국에서 정상적으로 수신하였음을 나타내는 ACK 신호이면, 상위계층에 추가 전송할 패킷이 존재하는지 확인하여(604), 추가 전송할 패킷이 존재하면 ACK를 받은 패킷을 상기 자동재전송요구 버퍼에서 제거하고 추가 전송할 패킷을 자동재전송요구 버퍼에 입력한다(605).
이후,
Figure 112005012545578-pat00011
슬롯에 맞추어 한개의 패킷을 전송한다(606).
이후, 전송한 패킷에 대해 소정 개수(일예로 자동재전송요구 버퍼의 크기(패킷 수)) NACK없이 ACK를 받았는지 확인한다(607).
상기 확인 결과(607), 전송한 패킷에 대해 소정 개수 NACK없이 ACK를 받았으면 지연 전송모드를 종료한 후 도 5의 "504" 과정으로 진행하여 이후의 과정을 수행하고, 받지 못했으면 상기 "601" 과정으로 진행하여 이후의 과정을 수행한다.
반면, 상기 확인 결과(604), 상위 계층에 전송할 패킷이 존재하지 않으면 자동재전송요구 버퍼에 전송 완료되지 않은 패킷이 있는지 확인하여(608), 있으면 상기 "603" 과정으로 진행하고, 없으면 종료한다. 여기서, 전송 완료는 기지국 등으로 전송한 패킷에 대해 기지국 등으로부터 피드백 정보(ACK 신호나 NACK 신호)를 수신한 상태를 의미한다.
결국, 도 6의 과정은 R 슬롯 간격으로 패킷을 전송함에도 불구하고 패킷이 정상적으로 전송되지 않을 경우에 지연 전송모드로 진입하여
Figure 112005012545578-pat00012
슬롯 간격으로 패킷을 전송함으로써, 각 무선통신 단말기로부터의 패킷이 상호 충돌하지 않도록 한다. 이때,
Figure 112005012545578-pat00013
슬롯 간격은 R 슬롯 간격보다 넓다. 즉, 패킷과 패킷 사이의 전송 시 간 간격을 더 넓힌다.
이렇게 패킷을 전송하다가 채널 환경이 회복되어 소정 개수 NACK없이 ACK를 받으면 다시 R 슬롯 간격으로 패킷을 전송한다.
한편, 본 발명은 지연 전송모드로 동작중에 NACK을 소정 회수(일예로 3회) 연속하여 수신하는 경우에 k 값을 더 큰 값으로 수정할 수 있다. 따라서, 지연 전송 모드 중에 계속 연속된 3개의 NACK을 받게 되면 k값이 계속 커져서, 왕복지연시간동안 하나의 패킷만 전송하게 되는 스탑앤웨이트(stop and wait) 자동재전송요구 방식과 전송률이 비슷해질 수도 있다. 이때, k값이 무한히 커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왕복지연시간보다 클 경우에는 스탑앤웨이트 자동재전송요구(stop and wait ARQ) 방식으로 동작하도록 할 수도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방법은 프로그램으로 구현되어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형태로 기록매체(씨디롬, 램, 롬, 플로피 디스크, 하드 디스크, 광자기 디스크 등)에 저장될 수 있다. 이러한 과정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으므로 더 이상 상세히 설명하지 않기로 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므로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은, 슬롯방식 알로하 임의접속방식과 자동재전송요구 오류정정방식을 이용하는 무선통신 단말기에서 기지국 등으로 패킷 전송시, 채널 환경에 따라 패킷의 전송 간격을 조절함으로써, 타 무선통신 단말기로부터 전송되는 패킷과의 충돌 확률을 감소시켜 패킷의 전송 효율을 증가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6)

  1. 삭제
  2. 슬롯방식 알로하 임의접속방식(Slotted Aloha Random Access Control)과 자동재전송요구 오류정정방식을 결합하여 상향링크 패킷을 전송하는 긴 왕복지연시간을 가지는 무선통신 단말기에서의 패킷 전송 방법에 있어서,
    임의의 크기를 가지는 자동재전송요구(ARQ) 버퍼에 상향링크 전송 패킷을 저장하는 패킷 저장단계;
    상기 자동재전송요구(ARQ) 버퍼에 저장되어 있는 패킷을 제 1 슬롯 간격으로 전송하는 제 1 패킷 전송단계;
    상기 전송한 패킷에 대한 비정상 피드백 정보를 연속하여 소정 회수 수신함에 따라 평균 왕복지연시간과 상기 자동재전송요구 버퍼의 크기를 이용하여 제 2 슬롯 간격을 산출하는 단계;
    상기 산출한 제 2 슬롯 간격으로 추가 상향링크 전송 패킷을 전송하는 제 2 패킷 전송단계; 및
    상기 제 2 슬롯 간격으로 전송한 패킷에 대한 정상 피드백 정보를 소정 회수 연속하여 수신함에 따라 상기 제 1 슬롯 간격으로 변경하는 슬롯 간격 변경단계
    를 포함하는 무선통신 단말기에서의 패킷 전송 방법.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슬롯 간격은,
    1과 시스템의 평균 왕복지연시간 T(슬롯단위)를 자동재전송요구(ARQ) 버퍼의 크기 B(슬롯단위)로 나눈값 사이의 정수값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통신 단말기에서의 패킷 전송 방법.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슬롯 간격은,
    [임의 정수(k)*T/2B), k*T/B]사이의 임의의 정수값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통신 단말기에서의 패킷 전송 방법.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슬롯 간격은,
    상기 제 1 슬롯 간격보다 더 긴 시간 지연을 갖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통신 단말기에서의 패킷 전송 방법.
  6.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패킷 전송단계는,
    상기 제 2 슬롯 간격으로 전송한 패킷에 대한 비정상 피드백 정보를 연속하여 소정 회수 수신함에 따라 상기 k값을 증가시켜 추가 상향링크 전송 패킷을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통신 단말기에서의 패킷 전송 방법.
KR1020050019695A 2005-03-09 2005-03-09 무선통신 단말기에서의 패킷 전송 방법 KR100660055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19695A KR100660055B1 (ko) 2005-03-09 2005-03-09 무선통신 단말기에서의 패킷 전송 방법
PCT/KR2006/000843 WO2006096022A1 (en) 2005-03-09 2006-03-09 Method for transmitting packet in wireless telecommunication terminal
EP06716293A EP1856833A4 (en) 2005-03-09 2006-03-09 METHOD OF TRANSMITTING PACKETS IN A WIRELESS TELECOMMUNICATION TERMINAL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19695A KR100660055B1 (ko) 2005-03-09 2005-03-09 무선통신 단말기에서의 패킷 전송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97394A KR20060097394A (ko) 2006-09-14
KR100660055B1 true KR100660055B1 (ko) 2006-12-20

Family

ID=3695358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19695A KR100660055B1 (ko) 2005-03-09 2005-03-09 무선통신 단말기에서의 패킷 전송 방법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EP (1) EP1856833A4 (ko)
KR (1) KR100660055B1 (ko)
WO (1) WO2006096022A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35677B1 (ko) * 2008-04-15 2011-05-19 이노베이티브 소닉 리미티드 전송 시간 간격 번들링을 개선하는 방법 및 장치
US8281202B2 (en) 2008-04-15 2012-10-02 Innovative Sonic Limited Method and apparatus for improving transmission time interval bundling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773576B2 (en) 2007-02-27 2010-08-10 Viasat, Inc. Slotted Aloha congestion control
US8730825B2 (en) 2009-05-26 2014-05-20 Indian Institute Of Science Packet retransmission optimization in wireless network
US20130021956A1 (en) * 2011-07-20 2013-01-24 Elster Solutions, Llc Synchronized comunication for mesh connected transceiver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32648A (ja) * 1994-07-15 1996-02-02 Nippon Telegr & Teleph Corp <Ntt> 通信制御装置及び通信制御方法
JPH0851414A (ja) * 1994-08-03 1996-02-20 Nippon Telegr & Teleph Corp <Ntt> 無線通信arq方法
JPH08256170A (ja) * 1995-01-23 1996-10-01 Hewlett Packard Co <Hp> ローカル・エリア・ネットワーク上のアクセス衝突のためのバックオフ技法
KR20040029042A (ko) * 2001-08-25 2004-04-03 노키아 코포레이션 이웃 정보 및 통보된 전송 시간들을 이용하여 충돌없는전송 스케줄링을 하기 위한 시스템 및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84900A (en) * 1897-06-22 Braxton l
US6078591A (en) * 1997-07-17 2000-06-20 Advanced Micro Devices, Inc. Apparatus and method for selectively modifying collision delay intervals based on a detected capture effect in half-duplex network
JP3019092B1 (ja) * 1998-12-07 2000-03-13 日本電気株式会社 無線ランダムアクセス制御方法および装置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32648A (ja) * 1994-07-15 1996-02-02 Nippon Telegr & Teleph Corp <Ntt> 通信制御装置及び通信制御方法
JPH0851414A (ja) * 1994-08-03 1996-02-20 Nippon Telegr & Teleph Corp <Ntt> 無線通信arq方法
JPH08256170A (ja) * 1995-01-23 1996-10-01 Hewlett Packard Co <Hp> ローカル・エリア・ネットワーク上のアクセス衝突のためのバックオフ技法
US5699515A (en) * 1995-01-23 1997-12-16 Hewlett-Packard Company Backoff scheme for access collision on a local area network
KR20040029042A (ko) * 2001-08-25 2004-04-03 노키아 코포레이션 이웃 정보 및 통보된 전송 시간들을 이용하여 충돌없는전송 스케줄링을 하기 위한 시스템 및 방법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05699515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35677B1 (ko) * 2008-04-15 2011-05-19 이노베이티브 소닉 리미티드 전송 시간 간격 번들링을 개선하는 방법 및 장치
US8281202B2 (en) 2008-04-15 2012-10-02 Innovative Sonic Limited Method and apparatus for improving transmission time interval bundling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06096022A1 (en) 2006-09-14
EP1856833A4 (en) 2009-01-21
KR20060097394A (ko) 2006-09-14
EP1856833A1 (en) 2007-11-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1739891B1 (en) Transmission apparatus for reducing delay variance and related method
EP1597603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transmitting information within a communication system
EP1906582B1 (en) Relay apparatus, relay method and relay program
JP4358577B2 (ja) 制御メッセージを用いたデータ通信の方法
JP5657171B2 (ja) 通信ネットワークの機器においてアクセスするための方法および装置
US20070047580A1 (en) Method and device for improving the transmission efficiency in a communicaton system with a layerd protocol stack
MX2007009325A (es) Metodo y aparato para controlar congestion de medio inalambrico ajustando el tamano de la ventana de contencion y disociando las estaciones moviles seleccionadas.
US20080019373A1 (en) System and method for scheduling data transmissions
US20170288742A1 (en) Wireless data transmission method, network side device, user equipment, and system
US7957389B2 (en) Method of stall identification and recovery
JP2007300509A (ja) 無線通信方法および無線通信装置
KR100660055B1 (ko) 무선통신 단말기에서의 패킷 전송 방법
JPH10173663A (ja) 通信システム
CN103702362B (zh) 一种wave系统中的多信道操作方法
Mortimer et al. A MAC protocol for multihop RP-CDMA ad hoc wireless networks
US9094879B2 (en) Handover method of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and wireless base station and wireless terminal of the same system
Jiang et al. An adaptive round robin scheduler for head-of-line-blocking problem in wireless LANs
JPH08213990A (ja) 無線パケット通信方法および装置
Fantacci et al. Performance evaluation of a reservation TDMA protocol for voice/data transmission in personal communication networks with nonindependent channel errors
Pannu et al. QQDCA: Adapting IEEE 802.11 EDCA for unicast transmissions at high topology dynamics
Santos et al. A performance study for the multicast collision prevention mechanism for IEEE 802.11
Li Improving performance for CSMA/CA based wireless networks
CN112969241B (zh) 一种多用户竞争通信的方法
KR100384820B1 (ko) 디에스/시디엠에이 기반 슬롯티드-알로하 시스템의 전송확률 제어 방법 및 그 장치
Cawood et al. Comparison and optimisation of CSMA/CA back-off distribution functions for a low earth orbit satellite link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