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59886B1 - 리튬이온 이차전지 - Google Patents

리튬이온 이차전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59886B1
KR100659886B1 KR1020050035306A KR20050035306A KR100659886B1 KR 100659886 B1 KR100659886 B1 KR 100659886B1 KR 1020050035306 A KR1020050035306 A KR 1020050035306A KR 20050035306 A KR20050035306 A KR 20050035306A KR 100659886 B1 KR100659886 B1 KR 10065988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condary battery
lithium ion
ion secondary
diameter
injection ho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3530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60112745A (ko
Inventor
정상석
박정만
Original Assignee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5003530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59886B1/ko
Publication of KR2006011274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11274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5988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5988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30Arrangements for facilitating escape of gases
    • H01M50/317Re-sealable arrangemen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10Primary casings; Jackets or wrappings
    • H01M50/147Lids or cove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10Primary casings; Jackets or wrappings
    • H01M50/147Lids or covers
    • H01M50/148Lids or cover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 H01M50/1535Lids or cover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adapted for specific cells, e.g. electrochemical cells operating at high temperatur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60Arrangements or processes for filling or topping-up with liquids; Arrangements or processes for draining liquids from casing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60Arrangements or processes for filling or topping-up with liquids; Arrangements or processes for draining liquids from casings
    • H01M50/609Arrangements or processes for filling with liquid, e.g. electrolytes
    • H01M50/627Filling ports
    • H01M50/636Closing or sealing filling ports, e.g. using lid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2220/00Batteries for particular applications
    • H01M2220/30Batteries in portable systems, e.g. mobile phone, laptop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0Energy storage using batterie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Filling, Topping-Up Batter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리튬이온 이차전지의 전해액 주입구의 구조 및 밀봉수단이 개선된 캡 조립체를 구비하는 리튬이온 이차전지에 관한 것이다.
전해액 주입구는 레벨에 따라 다른 기울기를 가지는 적어도 2개의 부분들로 형성되며, 상단부에서 하단부로 좁아지는 형상으로 형성되며, 크기가 다른 두 개의 마개에 의해 밀폐되어 전해액 누액을 이중으로 차단하여 전해액 주입구를 완전 밀폐시킬 수 있어 전해액이 전지 외부로 누액 되지 않아 전지의 신뢰도가 향상된다. 또한, 전해액 주입구가 완전 밀폐될 수 있어, 전해액의 누액을 방지하기 위한 수지 코팅 공정이 필요하지 않아 공정시간 및 비용을 감소시킨다.

Description

리튬이온 이차전지{Lithium Ion Secondary Battery}
도 1은 종래의 이차전지를 절개하여 도시한 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리튬이온 이차전지를 절개하여 도시한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전해액 주입구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전해액 주입구 단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간단한 설명>
30...리튬이온 이차전지 31...캔
32...전극조립체 33...제1전극판
34...세퍼레이터 35...제2전극판
300...캡 조립체 310,410...캡 플레이트
312,412...전해액 주입구 314...제 1 경사부
316...제 2 경사부 380,480...제 2 마개
390,490...제 1 마개 414...라운드부
416...경사부
본 발명은 리튬이온 이차전지의 전해액 주입구의 구조 및 밀봉수단이 개선된 캡 조립체를 구비하는 리튬이온 이차전지에 관한 것이다.
통상적으로, 이차전지는 충전이 불가능한 일차전지와는 달리 충전 및 방전이 가능한 전지를 말하는 것으로, 근래에 개발된 이차전지는 셀룰러 폰, 노트북 컴퓨터 등의 첨단 전자기기 분야에서 널리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이차전지는 양극 활물질로 리튬계 산화물, 음극 활물질로는 탄소재를 사용하고 있다. 리튬이온 이차전지는 전해액의 종류에 따라 액체 전해질 전지와, 고분자 전해질 전지로 분류되며, 액체 전해질을 사용하는 전지는 리튬 이온 전지라 하고, 고분자 전해질을 사용하는 전지를 리튬 폴리머 전지라고 한다. 또한, 이차전지는 여러 가지 형상으로 제조되고 있는데, 대표적인 형상으로는 원통형과, 각형과, 파우치형을 들 수 있다.
도 1은 일반적인 리튬이온 이차전지를 나타낸 것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이차전지(10)는 캔(11)과, 상기 캔(11)의 내부의 수용되는 전극조립체(12)와 상기 캔(11)의 상단개구부에 결합되는 캡 조립체(1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캔(11)은 리튬이온 이차전지에서 대략 직육면체에서 위쪽이 개방된 형상을 가진 금속재질의 용기이며, 딥 드로잉(deep drawing) 등의 가공방법으로 형성된다. 상기 캔(11)은 제 1 전극판(13), 세퍼레이터(14), 제 2 전극판(15)으로 이루어진 전극조립체(12)와 전해액의 용기가 되고, 전극조립체(12)가 캔(11)의 개방된 상단, 즉, 상단개구부를 통해 삽입된 후 상단개구부는 캡 조립체(100)에 의해 봉해진다.
상기 캡 조립체(100)에는 캔(11)의 상단개구부에 대응되는 크기와 형상을 가지는 평판형의 캡 플레이트(110)가 구비된다. 상기 캡 플레이트(110)의 중앙부에는 전극단자가 통과할 수 있도록 단자통공(111)이 형성된다. 상기 캡 플레이트(110)의 중앙부를 관통하는 제 1 또는 제 2 전극단자(120) 외측에는 제 1 또는 제 2 전극 단자(120)와 캡 플레이트(110)와의 전기적 절연을 위해 튜브 형상의 가스켓(130)이 설치된다. 상기 캡 플레이트(110)의 단자통공(111) 근방에는 캡 플레이트(110) 하면부에 절연판(140)이 배치되어 있고, 상기 절연판(140)의 하부면에는 전극 단자(120)와 통전되는 터미널 플레이트(150)가 구비되어 있다.
또한, 상기 캡 플레이트(110)에는 내압 상승하여 일정 압력 이상 도달 시 개스가 방출될 수 있도록 하는 안전벤트(190)가 장착되어 있다. 상기 캡 플레이트(110)의 일측에는 상기 캔(11)의 내부에 전해액을 주입하기 위한 통로를 제공하는 전해액 주입구(112)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전해액 주입구(112)는 볼(160)을 압입하여 밀폐시키게 된다.
상기 전극조립체(12)는 제 1 전극판(13)과 제 2 전극판(15)사이에 세퍼레이터(14)가 게재되면서 권취되어 형성된다. 상기 제 1 전극판(13)은 제 1 전극탭(16)을 통하여 캡 플레이트(110)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제 2 전극탭(15)은 제 2 전극탭(17)을 통하여 캡 플레이트(110)의 전극단자(120)에 전기적으로 연결 된다.
캡 조립체(100)가 상기 캔(12) 상단과 용접된 뒤에는 캡 플레이트(110)의 전 해액 주입구(112)를 통해 전해액이 투입된다. 전해액 주입구(112)는 알루미늄 볼(160)이 압입되어 밀봉된다.
상기 볼(160)은 그 상부로부터 승강운동을 하는 프레스와 같은 가압수단으로 상기 전해액 주입구(112)에 압착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전해액 주입구(112)는 볼(160)을 압착시킨 후, 상기 볼(160)과 캡 플레이트(110) 사이에 압착된 경계부분을 따라서 레이저 용접을 통하여 용접 부위(162)가 형성됨으로써 밀폐되는 것이 가능하다.
그러나 볼(160)을 압입하는 방법으로 전해액 주입구(112)를 밀폐시킬 때, 압입된 볼(160)과 전해액 주입구(112) 사이에 미세 틈이 형성될 수 있으며, 이 미세 틈으로 전해액이 모세관 현상에 의하여 전해액 주입구(112)의 상부로 유출되게 된다. 상부로 유출된 전해액은 레이저 용접시 과도한 스파터를 발생시켜 전해액 주입구(112)에 대한 밀폐성을 보장하지 못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상기 볼(160)을 전해액 주입구(112)에 압입 후 레이저 용접을 하고, 또한, 상기 볼(160) 상측에 전해액의 누액을 이중으로 방지하기 위해 수지 코팅을 하여 수지 코팅부(164)를 형성시키고 있다. 그러나 이 경우 수지 코팅을 건조 또는 경화시키는 단계가 필요하여, 전지의 제조 공정시간이 길어지며, 수지 코팅에 따른 비용이 증가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리튬이온 이차전지의 전해액 주입구의 구조 및 밀봉수단이 개선된 캡 조립 체를 구비하는 리튬이온 이차전지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적어도 전해액 주입구가 형성된 캡 플레이트를 구비하는 캡 조립체를 포함하는 리튬이온 이차전지에 있어서, 상기 전해액 주입구는 레벨에 따라 다른 기울기를 가지는 적어도 2개의 부분들로 이루어지며 상단부에서 하단부로 좁아지는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튬이온 이차전지를 제공한다.
이하에서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리튬이온 이차전지를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의 따른 리튬이온 이차전지를 절개하여 도시한 단면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전해액 주입구 단면도를 나타낸다.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리튬이온 이차전지(30)는 캔(31)과 상기 캔(31)의 내부에 수용되는 전극조립체(32)와, 상기 캔(31)의 상단개구부를 밀봉하는 캡 조립체(300)를 포함하여 형성된다.
상기 캔(31)은 리튬이온 이차전지(30)에서 대략 직육면체에서 위쪽이 개방된 형상을 가진 금속재질의 용기이며, 일반적으로 가볍고 부식에 대처가 용이한 알루미늄 또는 알루미늄 합금이 사용된다. 상기 캔(31)은 제 1 전극판(33), 세퍼레이터(34), 제 2 전극판(35)으로 이루어진 전극조립체(32)와 전해액의 용기가 되고, 전극조립체(32)가 캔(31)의 개방된 상단, 즉, 상단개구부를 통해 캔(31)에 삽입된 뒤 캔(31)의 상단개구부는 캡 조립체(300)에 의해 봉해진다.
상기 전극조립체(32)는 제 1 전극판(33)과, 제 2 전극판(35)과, 상기 제 1 전극판(33) 및 제 2 전극판(35) 사이에 개재되어 이들을 상호 절연시키는 세퍼레이터(34)를 포함하고 있다. 상기 전극조립체(32)는 제 1 전극판(33) 및 제 2 전극판(35)과, 세퍼레이터(34)가 각각 한 장의 스트립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제 1 전극판(33), 세퍼레이터(34), 제 2 전극판(35), 세퍼레이터(34) 순으로 배치되어, 젤리-롤형(jelly-roll type)으로 감겨져 있다.
상기 제 1 전극판(33) 또는 제 2 전극판(35)은 도전성이 우수한 금속 박판, 예컨대 알루미늄 호일로 된 양극 집전체와, 그 양면에 리튬계 산화물을 주성분으로 하는 슬러리가 코팅되어 있다. 상기 제 2 전극판(35) 또는 제 1 전극판(33)은 전도성의 금속 박판, 이를테면 구리 호일로 된 음극 집전체와, 그 양면에 탄소재를 주성분으로 하는 슬러리가 코팅되어 있다.
상기 세퍼레이터(34)는 폴리에틸렌이나, 폴리프로필렌이나, 폴리에틸렌과 폴리프로필렌의 공중합체(co-polymer)로 이루어질 수 있으나, 본 발명에서 그 재질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세퍼레이터(34)는 상기 제 1 전극판(33) 및 제 2 전극판(35)보다 폭을 넓게 하여 형성하는 것이 극판(33, 35)간의 단락을 방지하는데 유리하다.
상기 전극조립체(32)의 상기 제 1 전극판(33)에는 제 1 전극탭(36)이 용접되어 있다. 상기 제 1 전극탭(36)의 단부는 상기 전극조립체(32)의 상방으로 돌출하여 있으며, 상기 제 1 전극탭(36)은 캡 플레이트(310)에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상기 제 2 전극판(35)도 제 2 전극탭(37)에 용접되어 있으며, 제 2 전극탭(37)의 단 부도 상기 전극조립체(32)의 상방으로 돌출하여 있다. 상기 제 2 전극판(35)은 제 2 전극탭(37)을 통하여 전극단자(320)와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상기 제 1 전극판(33)과 상기 제 2 전극판(35)은 음극 또는 양극으로 작용할 수 있다.
상기 캡 조립체(300)는 상기 전극단자(320)와 상기 캔(31)의 개구부와 대응되는 크기와 형상을 가지는 캡 플레이트(310)를 포함하여 형성된다. 상기 캡 플레이트(310)는 캔(31)의 상단개구부의 대응되는 크기와 형상을 가지는 평판형으로 형성되며, 중앙부에는 단자통공(311)과 일측의 전해액 주입구(312)를 구비한다.
상기 전극단자(320)는 상기 단자통공(311)에 관통되어 결합되며, 전극단자(320) 외측에는 전극단자(320)와 캡 플레이트(310)와의 전기적 절연을 위해 튜브 형상의 가스켓(330)이 설치된다. 캡 플레이트(310)의 단자통공(311) 근방의 캡 플레이트(310) 하면부에는 절연판(340)이 배치되어 있으며, 절연판(340)의 하면부에는 터미널플레이트(350)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 전해액 주입구(312)는 레벨에 따라 다른 기울기를 가지는 적어도 2개의 부분들로 이루어지며, 상단부에서 하단부로 좁아지는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전해액 주입구(312)는 크기가 다른 두 개의 마개로 밀봉된다.
상기 전해액 주입구(312)는 제 1 경사부(314)와 상기 제 1 경사부(314) 하부에서 이어지는 제 2 경사부(316)로 이루어지며, 이때, 상기 제 1 경사부(314)의 기울기는 상기 제 2 경사부(316)의 기울기보다 작게 형성되어 있다.
상기 전해액 주입구(312)의 제 1 경사부(314) 영역 및 제 2 경사부(316) 영역은 크기가 다른 두 개의 마개(380,390)에 의해 이중으로 밀봉되며, 상기 마개 (380,390)는 볼 형상으로 이루어 질 수 있으나, 본 발명에서 그 형상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여기서, 상기 제 1 경사부(314) 영역을 밀봉시키는 제 1 마개(390)는 제 2 경사부(316) 영역을 밀봉시키는 제 2 마개(380)보다 크게 형성되어 있다.
상기 전해액 주입구(312) 제 1 경사부(314)의 상부 직경(d1)과 제 1 경사부(314)의 하부 직경(d2)의 비율은 1 : 0.6 내지 0.8로 형성되며, 제 1 경사부 상부의 직경(d1)과 제 2 경사부 하부의 직경(d3)의 비율은 1 : 0.2 내지 1 : 0.4로 형성된다.
상기 제 1 마개(390)의 직경은 상기 제 1 경사부(314) 하부의 직경보다 적어도 같거나 크게 형성되어 있다. 상기 제 1 경사부(314) 하부의 직경과 상기 제 1 마개(390)의 직경 비율은 1 : 1 내지 1.5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 1 마개(390)의 직경이 상기 제 1 경사부 하부의 직경보다 작을 경우에는 상기 제 2 마개(380)를 전해액 주입구(312) 내측으로 너무 깊게 밀어내어 상기 제 2 마개(380)가 상기 전지 내측으로 빠질 수 있으며, 상기 전해액 주입구(312)를 일차적으로 밀폐시키는 효과를 떨어지게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1 마개(390)가 상기 전해액 주입구(312) 내부로 깊게 들어가게 되어 상기 제 1 경사부(314) 영역의 상부를 완전히 밀폐시키지 못하게 되어 전해액 주입구(312)의 밀폐정도가 나빠질 수 있다.
상기 제 2 경사부(316) 하부의 직경은 상기 제 2 마개(380)의 직경보다 작게 형성되어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 2 경사부(316) 하부의 직경과 상기 제 2 마개(380)의 직경 비율이 1 : 1.1 내지 1.3이 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 2 마개(380)의 직경이 제 2 경사부(316) 하부의 직경과 같을 경우 전해액 주입구 (312) 밀봉시 상기 전해액 주입구(312)에 밀착 정도가 떨어져 미세 틈이 형성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전해액이 미세 틈으로 올라올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2 마개(380)의 직경이 상기 전해액 주입구(312)의 제 2 경사부(316) 직경보다 작을 경우에는 상기 전해액 주입구(312)에 고정되지 못하고 전지 내측으로 빠지게 되어 상기 전해액 주입구(312)를 밀폐시키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다.
상기 전해액 주입구(312)는 제 2 마개(380)를 투입한 후 제 1 마개(390)를 압입하여 밀봉된다. 이때, 상기 제 1 마개(390)는 상기 제 2 마개(380)를 밀면서 상기 전해액 주입구(312)를 밀폐시키게 된다. 상기 제 2 마개(380)는 전해액이 누액되지 못하도록 밀폐시키는 역할하며, 또한, 상기 제 1 마개(390)는 제 2 마개(380)가 완전히 밀폐시키지 못하여 누액된 전해액을 전지 외부로 유출되지 못하도록 이차적으로 전해액을 밀폐시키는 역할을 한다. 또한, 상기 제 2 마개(380)를 용접한 효과가 있도록 한다. 상기 제 1 마개(390)는 압입되어 상기 캡 플레이트(310)에 접촉되며, 이때, 상기 제 1 마개(390)는 상기 캡 플레이트(310)에 접촉되는 가장자리 면을 따라 레이저 용접 등의 방법으로 고정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전해액 주입구 단면도를 나타낸다.
도 4를 참조하면, 전해액 주입구(412)는 상부의 라운드부(414)와 상기 라운드부 하부에서 이어지는 경사부(416)로 이루어져 있다. 상기 전해액 주입구(412)는 상기 라운드부(414) 영역을 밀봉시키는 제 1 마개(490)와 하부 경사부(416) 영역을 밀봉시키는 제 2 마개(480)로 밀봉되며, 이 때, 상기 제 1 마개(490)는 상기 제 2 마개(480)보다 크게 형성되어 있다.
상기 전해액 주입구(412)의 라운드부(414) 상부 직경(d1)과 경사부(416) 하부 직경(d3)의 비율은 1 : 0.2 내지 0.4로 형성되며, 상기 라운드부(414) 상부 직경(d1)과 라운드부(414) 하부 직경(d2)은 1 : 0.6 내지 0.8로 형성된다. 또한, 상기 라운드부(414)의 하부 직경은 상기 제 1 마개(490)의 직경보다 작게 형성되며 바람직하게는 상기 라운드부(414)의 하부 직경과 상기 제 1 마개(490)의 직경 비율이 1 : 1 내지 1.5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경사부(416) 하부 직경은 상기 제 2 마개(480)의 직경보다 작게 형성되며, 바람직하게는 상기 경사부(416) 하부 직경과 상기 제 2 마개(480)의 직경 비율이 1 : 1.1 내지 1.3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 1 마개(490)는 압입되어 상기 캡 플레이트(410)에 접촉되며, 이때, 상기 제 1 마개(490)는 상기 캡 플레이트(410)에 접촉되는 가장자리 면을 따라 레이저 용접 등의 방법으로 고정될 수 있다.
다음은 본 발명에 따른 이차전지의 작용에 대하여 설명한다.
상기 전해액 주입구(312)는 레벨에 따라 다른 기울기를 가지는 적어도 2개의 부분들로 이루어지며 상단부에서 하단부로 좁아지는 형상으로 형성되며, 크기가 다른 두 개의 마개(380,390)에 의해 밀폐되어 전해액 누액을 이중으로 차단하여 전해액 주입구(312)를 완전 밀폐시킬 수 있다. 이에 따라 전해액이 전지 외부로 누액 되지 않아 전지의 신뢰도가 향상된다. 또한, 전해액 주입구(312)가 완전 밀폐될 수 있어, 전해액의 누액을 방지하기 위한 수지 코팅 공정이 필요하지 않아 공정시간 및 비용을 감소시킨다.
본 발명에 따른 리튬이온 이차전지에 의하면 전해액 주입구는 레벨에 따라 다른 기울기를 가지는 적어도 2개의 부분들로 이루어지며 상단부에서 하단부로 좁아지는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전해액 주입구는 크기다 다른 두 개의 마개를 이용하여 전해액 주입구를 밀폐시켜 전해액 주입구를 이중으로 막게 된다. 따라서 전해액 주입구 하부에 위치되는 마개에 의해서 밀폐되지 않은 미량의 전해액이 상부 마개에 의해 이차적으로 차단되어 전해액이 전지 외부로 유출되는 것을 막을 수 있다. 이에 따라 레이저 용접시 상부로 유입된 전해액에 의하여 유발되는 과도한 스파크를 방지시켜 전해액 주입구에 대한 밀폐성을 보장하게 되어 전지의 신뢰성을 향상시키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이중의 마개를 이용하여 전해액 주입구를 완전 밀폐시킬 수 있어 기존의 전해액 주입구를 완전 밀폐시키기 위한 수지 코팅을 하지 않아도 전해액 누액을 방지할 수 있어 전지의 공정시간 및 생산 비용을 감소시키는 효과가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특허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의 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그와 같은 변경은 특허청구범위 기재의 범위 내에 있게 된다.

Claims (18)

  1. 적어도 전해액 주입구가 형성된 캡 플레이트를 구비하는 캡 조립체를 포함하는 리튬이온 이차전지에 있어서,
    상기 전해액 주입구는 레벨에 따라 다른 기울기를 가지는 적어도 2개의 부분들로 이루어지며 상단부에서 하단부로 좁아지는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튬이온 이차전지.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전해액 주입구는 크기가 다른 두 개의 마개로 밀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튬이온 이차전지.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전해액 주입구는 제 1 경사부와 상기 제 1 경사부 하부에서 이어지는 제 2 경사부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튬이온 이차전지.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전해액 주입구의 제 1 경사부 상부 직경과 제 1 경사부 하부 직경 비율은 1 : 0.6 내지 0.8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튬이온 이차전지.
  5.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전해액 주입구의 제 1 경사부 상부 직경과 제 2 경사부의 하부 직경 비율은 1 : 0.2 내지 0.4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튬이온 이차전지.
  6.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경사부 영역과 제 2 경사부 영역은 크기가 다른 두 개의 마개로 밀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튬이온 이차전지.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경사부 영역을 밀봉시키는 제 1 마개는 제 2 경사부 영역을 밀봉시키는 제 2 마개보다 크기가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튬이온 이차전지.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경사부의 하부 직경과 상기 제 1 마개의 직경 비율은 1 : 1 내지 1 : 1.5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튬이온 이차전지.
  9.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경사부의 하부 직경과 상기 제 2 마개의 직경 비율은 1 : 1.1 내지 1 : 1.3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튬이온 이차전지.
  10.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마개는 상기 캡 플레이트와 접촉되는 가장자리 면을 따라 용접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튬이온 이차전지.
  11.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전해액 주입구는 상부의 라운드부와 상기 라운드부 하부에서 이어지는 하부 경사부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튬이온 이차전지.
  12.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전해액 주입구의 라운드부 상부 직경과 라운드부 하부 직경 비율은 1 : 0.6 내지 0.8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튬이온 이차전지.
  13.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전해액 주입구의 라운드부 상부 직경과 경사부의 하부 직경 비율은 1 : 0.2 내지 0.4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튬이온 이차전지.
  14.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라운드부 영역과 하부의 경사부 영역은 크기가 다른 두 개의 마개로 밀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튬이온 이차전지.
  15. 제 14항에 있어서,
    상기 라운드부 영역을 밀봉시키는 제 1 마개는 하부의 경사부 영역을 밀봉시키는 제 2 마개보다 크기가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튬이온 이차전지.
  16. 제 15항에 있어서,
    상기 라운드부의 하부 직경과 상기 제 1 마개의 직경 비율은 1 : 1 내지 1 : 1.5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튬이온 이차전지.
  17. 제 15항에 있어서,
    상기 경사부의 하부 직경과 상기 제 2 마개의 직경 비율은 1 : 1.1 내지 1 : 1.3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튬이온 이차전지.
  18. 제 15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마개는 상기 캡 플레이트와 접촉되는 가장자리 면을 따라 용접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튬이온 이차전지.
KR1020050035306A 2005-04-27 2005-04-27 리튬이온 이차전지 KR10065988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35306A KR100659886B1 (ko) 2005-04-27 2005-04-27 리튬이온 이차전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35306A KR100659886B1 (ko) 2005-04-27 2005-04-27 리튬이온 이차전지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112745A KR20060112745A (ko) 2006-11-02
KR100659886B1 true KR100659886B1 (ko) 2006-12-20

Family

ID=3765120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35306A KR100659886B1 (ko) 2005-04-27 2005-04-27 리튬이온 이차전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59886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51906B1 (ko) * 2007-11-19 2010-04-09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캡 조립체 및 이를 구비하는 이차 전지
KR101254853B1 (ko) * 2010-11-02 2013-04-15 로베르트 보쉬 게엠베하 이차전지
KR101244735B1 (ko) 2011-04-05 2013-03-18 로베르트 보쉬 게엠베하 이차 전지
KR101265202B1 (ko) 2011-06-08 2013-05-27 로베르트 보쉬 게엠베하 이차 전지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112745A (ko) 2006-11-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449763B1 (ko) 캡조립체 및 이를 채용한 이차전지
KR100696791B1 (ko) 캡 조립체와 이를 구비하는 리튬이온 이차전지
KR101097255B1 (ko) 이차 전지
KR100795682B1 (ko) 이차전지 및 그 제조방법
JP2006324244A (ja) 二次電池
KR101054748B1 (ko) 전해액 밀봉성이 우수한 이차전지용 캡 어셈블리
KR100579366B1 (ko) 캔형 이차 전지
KR101264425B1 (ko) 캡조립체 및 이를 이용한 이차 전지
KR100795680B1 (ko) 이차전지
KR100865404B1 (ko) 이차전지
KR100659886B1 (ko) 리튬이온 이차전지
KR100670515B1 (ko) 캡 조립체와 이를 구비하는 리튬이온 이차전지
JP2008204839A (ja) 円筒形電池用封口板
KR100709871B1 (ko) 이차전지
KR100624968B1 (ko) 캡 조립체와 이를 구비하는 리튬이온 이차전지
KR100561307B1 (ko) 이차전지
KR20070096641A (ko) 캡조립체와 이를 구비한 이차전지 및 이에 사용되는 전해액주입구용 마개
KR100659885B1 (ko) 리튬이온 이차전지
KR100591429B1 (ko) 이차전지
KR100614399B1 (ko) 리튬이온 이차전지
KR100822193B1 (ko) 캡조립체와, 이를 채용한 이차전지
KR100624979B1 (ko) 캡 조립체와 이를 구비하는 리튬이온 이차전지
KR100858797B1 (ko) 캡조립체와, 이를 채용한 이차전지
KR101084919B1 (ko) 이차전지
KR100614359B1 (ko) 리튬 이차 전지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123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125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118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123

Year of fee payment: 10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