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59846B1 - Secondary Battery - Google Patents

Secondary Battery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59846B1
KR100659846B1 KR1020050034216A KR20050034216A KR100659846B1 KR 100659846 B1 KR100659846 B1 KR 100659846B1 KR 1020050034216 A KR1020050034216 A KR 1020050034216A KR 20050034216 A KR20050034216 A KR 20050034216A KR 100659846 B1 KR100659846 B1 KR 10065984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rossbar
secondary battery
lithium secondary
via hole
groo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34216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060111833A (en
Inventor
전관식
Original Assignee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5003421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59846B1/en
Publication of KR2006011183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111833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5984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59846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30Arrangements for facilitating escape of gases
    • H01M50/342Non-re-sealable arrangements
    • H01M50/3425Non-re-sealable arrangements in the form of rupturable membranes or weakened parts, e.g. pierced with the aid of a sharp member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10Primary casings, jackets or wrappings of a single cell or a single battery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10Primary casings, jackets or wrappings of a single cell or a single battery
    • H01M50/147Lids or cove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10Primary casings, jackets or wrappings of a single cell or a single battery
    • H01M50/183Sealing membe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30Arrangements for facilitating escape of gases
    • H01M50/342Non-re-sealable arrangemen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50Current conducting connections for cells or batteries
    • H01M50/572Means for preventing undesired use or discharg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0Energy storage using batteries

Abstract

본 발명은 리튬 이차전지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리튬 이차전지의 캡조립체에 사용되는 전류차단수단에서 통전부이면서 파단부인 비아홀을 대략 사각형상이면서 파단되는 꼭지점 부분의 곡률반경이 일정 이하로 형성되도록 함으로써 전류차단수단의 작동 압력을 일정하게 하여 전류차단수단의 전류차단 산포를 줄이고 리튬 이차전지의 안정성을 향상시킨 리튬 이차전지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lithium secondary battery, and more particularly, a radius of curvature of a vertex portion of the current blocking means used in the cap assembly of the lithium secondary battery, the via hole, which is an electric conducting portion and a breaking portion, is broken in a substantially rectangular shape and is broken below a certain level.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lithium secondary battery having a constant operating pressure of the current interrupting means, thereby reducing the current interruption distribution of the current interrupting means and improving the stability of the lithium secondary battery.

리튬 이차전지, 전류차단수단, 비아홀, 곡률반경 Lithium secondary battery, current blocking means, via hole, radius of curvature

Description

리튬 이차전지 {Secondary Battery}Lithium Secondary Battery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원통형 리튬 이차전지의 단면도.1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cylindrical lithium secondary batter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원통형 리튬 이차전지의 캡조립체의 분해 사시도.Figure 2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cap assembly of a cylindrical lithium secondary batter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a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류차단수단의 평면도.Figure 3a is a plan view of a current blocking mean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b는 도 3a의 A-A 단면도.3B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line A-A of FIG. 3A.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전류차단수단의 평면도.4 is a plan view of a current blocking means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전류차단수단의 평면도.5 is a plan view of a current blocking means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전류차단수단의 단면도.6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current blocking means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류차단수단이 파단되어 전류를 차단하는 작용을 나타내는 원통형 리튬 이차전지의 단면도.Figure 7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cylindrical lithium secondary battery showing the action of breaking the current blocking mean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block the current.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Description of Symbols for Major Parts of Drawings>

100 - 원통형 리튬 이차전지 200 - 전극조립체100-cylindrical lithium secondary battery 200-electrode assembly

300 - 원통형 캔 400 - 캡조립체300-cylindrical can 400-cap assembly

410 - 안전밴트 420 - 전류차단수단410-Safety Vent 420-Current Breaking Means

422 - 절연인쇄기판 424 - 외곽링422-Insulated Printing Board 424-Outer Ring

426 - 크로스바 430 - 비아홀426-Crossbar 430-Via Hole

434 - 중앙파단홈 436 - 측단파단홈434-Center breaking groove 436-Side breaking groove

440 - 상부 도전박막 450 - 하부 도전박막440-Upper conductive thin film 450-Lower conductive thin film

460 - 도전층 480 - 이차보호소자460-Conductive Layer 480-Secondary Protection Devices

490 - 캡업490-Cap Up

본 발명은 리튬 이차전지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리튬 이차전지의 캡조립체에 사용되는 전류차단수단에서 통전부이면서 파단부인 비아홀을 대략 사각형상이면서 파단되는 꼭지점 부분의 곡률반경이 일정 이하로 형성되도록 함으로써 전류차단수단의 작동 압력을 일정하게 하여 전류차단수단의 전류차단 산포를 줄이고 리튬 이차전지의 안정성을 향상시킨 리튬 이차전지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lithium secondary battery, and more particularly, a radius of curvature of a vertex portion of the current blocking means used in the cap assembly of the lithium secondary battery, the via hole, which is an electric conducting portion and a breaking portion, is broken in a substantially rectangular shape and is broken below a certain level.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lithium secondary battery having a constant operating pressure of the current interrupting means, thereby reducing the current interruption distribution of the current interrupting means and improving the stability of the lithium secondary battery.

리튬 이차전지는 외관의 형상에 따라 원통형 리튬 이차전지와 각형 리튬 이차전지로 구분된다. 원통형 리튬 이차전지는 과충전이나 이상 작동에 의해 전지의 내부 압력이 규정 이상으로 상승되고 폭발의 위험성이 있을 때 캡조립체에서 이차전지 내부의 전류를 차단하여 더 이상 반응이 일어나지 않게 함으로써 리튬 이차전지의 안전성을 향상시키고 있다.Lithium secondary batteries are classified into cylindrical lithium secondary batteries and rectangular lithium secondary batteries according to their appearance. Cylindrical lithium secondary battery is a safety of lithium secondary battery by blocking the current inside the secondary battery in the cap assembly when the internal pressure of the battery rises above the specified level due to overcharge or abnormal operation and there is a risk of explosion. Is improving.

이러한 원통형 리튬 이차전지의 캡조립체 구조는 한국 특허 제10-0357950호에 개시되어 있다. 개시된 바에 따르면 원통형 리튬 이차전지는 외관을 형성하는 원통형 캔과 캔의 상단 개구부에 절연가스켓을 개재하여 결합 밀봉되는 캡조립체로 구성된다. 상기 원통형 캔은 내부에 양극판, 음극판, 상기 양극판과 음극판의 사이에 삽입된 세퍼레이터가 젤리롤 형태로 권취된 전극조립체 전해액을 수용한다.The cap assembly structure of the cylindrical lithium secondary battery is disclosed in Korean Patent No. 10-0357950. According to the disclosure, the cylindrical lithium secondary battery includes a cylindrical assembly forming an outer appearance and a cap assembly coupled and sealed through an insulating gasket in an upper opening of the can. The cylindrical can accommodates an electrode assembly electrolyte in which a positive electrode plate, a negative electrode plate, and a separator inserted between the positive electrode plate and the negative electrode plate are wound in a jelly roll form.

상기 캡조립체는 안전밴트와 전류차단수단과 이차보호소자 및 터미널 캡(또는 캡 업(Cap Up))을 포함하여 형성된다. 상기 안전밴트는 판상으로 중앙에 하부로 돌출되는 돌출부가 형성되어 상기 캡조립체의 하부에 위치하며, 이차전지의 내부에서 발생한 압력에 의하여 돌출부가 상부 방향으로 변형하게 된다. 상기 안전밴트의 하면 소정위치에는 전극조립체의 양극판 및 음극판 중에서 한 전극판 예를 들어, 양극판에서 인출한 양극탭이 용접되어 상기 안전밴트와 전극조립체의 양극판이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여기서 양극판 및 음극판 중 나머지 전극판 예를 들어 음극은 도시하지 않은 탭 혹은 직접 접촉 방식에 의해 캔과 전기적으로 연결된다.The cap assembly includes a safety vent, a current blocking means, a secondary protective element, and a terminal cap (or cap up). The safety vent has a plate-shaped protrusion projecting downward in the center thereof and is positioned below the cap assembly, and the protrusion deforms upward by the pressure generated inside the secondary battery. At a lower surface of the safety van, one electrode plate, for example, a positive electrode tab drawn from the positive electrode plate, of the positive electrode plate and the negative electrode plate of the electrode assembly is welded to electrically connect the safety vane and the positive electrode plate of the electrode assembly. Here, the remaining electrode plate, for example, the negative electrode, of the positive electrode plate and the negative electrode plate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can by a tab or direct contact method (not shown).

상기 전류차단수단(Current Interrupt Device; 이하 "CID"라 한다)은 상기 안전밴트의 상부에 설치되며, 상기 안전밴트로 흐르는 전류를 통전시켜 상기 이차보호소자로 흐르게 한다. 그러나, 이차전지가 비정상적으로 작동되어 이차전지의 내부 압력이 규정 이상으로 상승되는 경우에 상기 안전밴트의 돌출부가 상향으로 변형되면서 전류차단수단이 돌출부에 의하여 파괴되면서 전류의 흐름을 파괴하게 된다.The current interrupting device (hereinafter referred to as "CID") is installed above the safety vent, and conducts current flowing through the safety vent to flow to the secondary protection element. However, when the secondary battery is abnormally operated and the internal pressure of the secondary battery rises above the prescribed level, the protrusion of the safety van is deformed upward, and the current blocking means is destroyed by the protrusion to destroy the flow of current.

종래의 전류차단수단은 원형의 외곽링과 상기 외곽링의 중앙을 가로지르는 크로스바를 포함하는 형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크로스바의 중앙에 대략 원형 형상의 비아홀을 구비하는 절연인쇄기판과 상기 절연인쇄기판의 상부와 하부에 각각 도전박막을 포함하여 형성된다. 상기 도전박막 중 상부 도전박막의 일측은 상기 절연 인쇄기판의 외곽링에 연결되지만, 타측은 외곽링에 연결되지 않도록 형성된다. 반대로 상기 하부 도전박막은 일측은 외곽링에 연결되지 않으며, 타측이 외곽링에 연결된다. 상기 비아홀의 내부에는 구리와 같은 도전금속으로 도전층이 형성되어 상기 상부와 하부의 도전박막을 전기적으로 연결하게 된다. 상기 크로스바는 상기 비아홀이 형성된 부분의 양측면에 파단부가 형성되어 용이하게 파단될 수 있도록 한다.Conventional current blocking means is formed in a shape including a circular outer ring and a crossbar crossing the center of the outer ring, the insulating printed circuit board and the insulating printed circuit board having a substantially circular via hole at the center of the crossbar. It is formed to include a conductive thin film in the upper and lower portions, respectively. One side of the upper conductive thin film of the conductive thin film is connected to the outer ring of the insulated printed board, but the other side is formed not to be connected to the outer ring. On the contrary, one side of the lower conductive thin film is not connected to the outer ring, and the other side thereof is connected to the outer ring. In the via hole, a conductive layer is formed of a conductive metal such as copper to electrically connect the upper and lower conductive thin films. The crossbars have breakage portions formed on both sides of the via hole-formed portion so that the crossbars can be easily broken.

그러나, 종래의 전류차단수단에서는 크로스바 중앙의 비아홀과 측면의 파단부가 원형 또는 곡면으로 형성되어 크로스바의 파단압력이 일정하지 않게 된다. 따라서, 상기 전류차단수단의 전류차단 산포가 일정하지 않게 되며, 전류차단수단이 작동되지 않는 경우에는 리튬 이차전지에 문제가 있는 경우에도 전류의 흐름이 계속되어 리튬 이차전지의 안전성에 문제가 있게 된다.However, in the conventional current interrupting means, the via hole at the center of the crossbar and the break portion at the side surface are formed in a circular or curved surface so that the breaking pressure of the crossbar is not constant. Therefore, the current interruption distribution of the current interruption means is not constant. When the current interruption means is not operated, current flow continues even when there is a problem with the lithium secondary battery, thereby causing a problem in the safety of the lithium secondary battery. .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본 발명은 리튬 이차전지의 캡조립체에 사용되는 전류차단수단에서 통전부이면서 파단부인 비아홀을 대략 사각형상이면서 파단되는 꼭지점 부분의 곡률반경이 일정 이하로 형성되도록 함으로써 전류차단수단의 작동 압력을 일정하게 하여 전류차단수단의 전류차단 산포를 줄이고 리튬 이차전지의 안정성을 향상시킨 리튬 이차전지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in order to solve the problems described above so that the curvature radius of the vertex portion of the current blocking means used in the cap assembly of the lithium secondary battery is a rectangular portion of the via hole, which is a breakdown portion and the fracture portion is formed to be less than a certain degree. Accordingly,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lithium secondary battery in which the operating pressure of the current blocking means is constant to reduce the current blocking distribution of the current blocking means and improve the stability of the lithium secondary battery.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안출된 본 발명의 리튬 이차전지는 안 전밴트와 상기 안전밴트의 상부에 안착되는 전류차단수단을 구비하는 캡조립체를 포함하며, 상기 전류차단수단은 외곽링과 내면에 도전층이 구비된 비아홀이 형성되는 크로스바를 포함하는 절연인쇄기판과, 상기 절연인쇄기판 상면의 소정영역에 형성되는 상부 도전박막 및 상기 절연인쇄기판 하면의 소정영역에 형성되는 하부 도전박막을 구비하여 형성되는 리튬 이차전지에 있어서, 상기 비아홀은 대략 사각형상으로 대각선의 하나가 상기 크로스바의 길이방향에 수직하게 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비아홀은 정사각형 또는 마름모형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비아홀은 상기 크로스바의 길이방향에 수직인 대각선을 구성하는 파단꼭지점이 정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비아홀은 상기 크로스바의 길이방향에 수직인 대각선을 구성하는 파단꼭지점의 곡률반경이 0.3mm보다 작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에서 상기 비아홀은 상기 크로스바에 수직인 대각선이 상기 크로스바 폭의 적어도 25%의 길이를 갖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The lithium secondary battery of the present invention devised to achieve the above object includes a cap assembly having a safety vane and a current blocking means seated on an upper portion of the safety vane, wherein the current blocking means includes an outer ring and an inner surface. An insulated printed substrate including a crossbar having a via hole having a conductive layer formed thereon, an upper conductive thin film formed in a predetermined region of an upper surface of the insulated printed substrate, and a lower conductive thin film formed in a predetermined region of a lower surface of the insulated printed substrate. In the lithium secondary battery is formed, the via hole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one of the diagonal in a substantially rectangular shape is formed to be perpendicular to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crossbar. In this case, the via hole is preferably formed in a square or rhombus. In addition, the via hole may be formed with a corner vertex forming a diagonal perpendicular to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crossbar. In addition, it is preferable that the via hole has a radius of curvature of a fracture vertex forming a diagonal line perpendicular to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crossbar smaller than 0.3 mm.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via hole is preferably formed such that a diagonal line perpendicular to the crossbar has a length of at least 25% of the crossbar width.

또한, 본 발명에서 상기 크로스바는 상기 외곽링과 결합하는 양측단의 적어도 일측면에 소정 깊이로 형성되는 측단파단홈을 더 포함하여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측단파단홈은 상기 측단파단홈이 형성되는 상기 크로스바 부분의 단면적이 상기 비아홀이 형성되는 상기 크로스바 부분의 단면적보다 크게 되는 깊이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crossbar may be formed by further comprising a side break groove formed to a predetermined depth on at least one side of the both ends coupled to the outer ring. In this case, the side break groove is preferably formed to a depth such that the cross-sectional area of the crossbar portion where the side break groove is formed is larger than the cross-sectional area of the crossbar portion where the via hole is formed.

또한, 본 발명에서 상기 크로스바는 상기 비아홀이 형성된 위치의 적어도 일측면에 소정 각도의 노치 형상으로 형성되는 중앙파단홈을 더 포함하여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중앙파단홈은 정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중앙파단홈은 노치의 곡률반경이 0.3mm 보다 작게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중앙파단홈은 상기 크로스바의 측면과 상기 비아홀과의 거리의 50% 이내의 깊이를 갖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crossbar may further include a center fracture groove formed in a notch shape at a predetermined angle on at least one side of the position where the via hole is formed. In this case, the center fracture groove may be formed at a right angle. In addition, the center fracture groove may have a radius of curvature of the notch smaller than 0.3 mm. In addition, the center fracture groove is preferably formed to have a depth within 50% of the distance between the side of the crossbar and the via hole.

또한, 상기 크로스바는 상기 중앙파단홈과 함께 상기 외곽링과 결합하는 양측단의 적어도 일측면에 형성되는 측단파단홈을 더 포함하여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측단파단홈은 상기 측단파단홈이 형성되는 상기 크로스바 부분의 단면적이 상기 비아홀이 형성되는 상기 크로스바 부분의 단면적보다 크게 되는 깊이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crossbar may further include side break grooves formed on at least one side of both side ends coupled with the outer ring together with the center break groove. In this case, the side break groove is preferably formed to a depth such that the cross-sectional area of the crossbar portion where the side break groove is formed is larger than the cross-sectional area of the crossbar portion where the via hole is formed.

또한, 본 발명에서 상기 상부 도전박막과 하부 도전박막은 상기 크로스바의 l상면과 하면에 형성되는 표면에 절연층을 더 포함하여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절연층은 폴리이미드층으로 형성될 수 있다.Further,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upper conductive thin film and the lower conductive thin film may further include an insulating layer on the surfaces formed on the upper and lower surfaces of the crossbar. In this case, the insulating layer may be formed of a polyimide layer.

또한, 본 발명에서 상기 비아홀의 내면에 형성되는 도전층은 구리금속 또는 구리합금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도전층은 적어도 5㎛의 두께로 형성된다.In addition,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conductive layer formed on the inner surface of the via hole may be formed of copper metal or copper alloy, and the conductive layer is formed to a thickness of at least 5 μm.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will be described in detail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원통형 리튬 이차전지의 단면도를 나타낸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원통형 리튬 이차전지의 캡조립체의 분해 사시도를 나타낸다. 도 3a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류차단수단의 평면도를 나타낸다. 도 3b는 도 3a의 A-A 단면도를 나타낸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전류차단수단의 평면도를 나타낸다. 도 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전류차단수단의 평면도를 나타낸다. 도 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전류차단수단의 단면도를 나타낸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류차단수단이 파단되어 전류를 차단하는 작용을 나타내는 원통형 리튬 이차전지의 단면도를 나타낸다.1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cylindrical lithium secondary batter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cap assembly of a cylindrical lithium secondary batter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3a shows a plan view of the current blocking mean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B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line A-A of FIG. 3A. 4 is a plan view of a current blocking means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plan view of a current blocking means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sectional view showing a current blocking means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7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cylindrical lithium secondary battery showing an action of breaking current by breaking current blocking mean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원통형 리튬 이차전지(100)는, 도 1을 참조하며 보면, 전극조립체(200)와, 상기 전극조립체(200)와 전해액을 수용하는 원통형 캔(300)과, 상기 원통형 캔(300) 상부에 조립되어 상기 원통형 캔(300)을 밀봉하며 상기 전극조립체(200)에서 발생되는 전류를 외부 장치로 흐르게 하는 캡조립체(400)를 포함하여 형성된다. Cylindrical lithium secondary battery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referring to Figure 1, the electrode assembly 200, the cylindrical can 300 for receiving the electrode assembly 200 and the electrolyte, and It is formed on the cylindrical can 300 is formed to include a cap assembly 400 for sealing the cylindrical can 300 and flowing the current generated in the electrode assembly 200 to an external device.

상기 전극조립체(200)는 양극집전체의 표면에 양극활물질층이 코팅된 양극판(210)과 음극집전체의 표면에 음극활물질층이 코팅된 음극판(220)과 상기 양극판(210) 및 음극판(220) 사이에 위치하여 상기 양극판(210)과 음극판(220)을 전기적으로 절연시키는 세퍼레이터(230)가 젤리-롤 형상으로 권취되어 형성된다. 상기 양극판(210)은, 도면에는 상세히 도시되지 않았지만, 도전성이 우수한 금속 박판, 예를 들면, 알루미늄(Al) 호일(foil)로 이루어진 양극집전체와, 그 양면에 코팅된 양극활물질층을 포함하고 있다. 상기 양극판(210)의 양 말단에는 양극활물질층이 형성되지 않은 양극집전체 영역, 즉, 양극무지부가 형성된다. 상기 양극무지부의 일단에는 일반적으로 알루미늄(Al) 재질로 형성되며, 전극조립체(200)의 상부로 일정 길이 돌출되는 양극 탭(215)이 접합되어 있다. 또한, 상기 음극판(220)은 전도성 금속 박판, 예를 들면, 구리(Cu) 또는 니켈(Ni) 호일로 이루어진 음극집전체와, 그 양면에 코팅된 음극활물질층을 포함하고 있다. 상기 음극판(220)의 양 말단은 음극활물질층이 형성되지 않은 음극집전체 영역, 즉 음극무지부가 형성된다. 상기 음극무지부의 일단에는 일반적으로 니켈(Ni) 재질로 형성되며, 전극조립체(200)의 하부로 일정 길이 돌출된 음극 탭(225)이 접합되어 있다. 더불어 상기 전극조립체(200)의 상부 및 하부에는 각각 캡조립체(400) 또는 원통형 캔(300)과의 접촉을 방지하기 위한 절연 플레이트(241, 245)가 더 포함되어 형성될 수 있다.The electrode assembly 200 includes a positive electrode plate 210 coated with a positive electrode active material layer on a surface of a positive electrode current collector, and a negative electrode plate 220 coated with a negative electrode active material layer on a surface of a negative electrode current collector, and the positive electrode plate 210 and a negative electrode plate 220. The separator 230, which is positioned between the electrodes and electrically insulates the positive electrode plate 210 and the negative electrode plate 220, is wound and formed in a jelly-roll shape. Although not shown in detail in the drawing, the positive electrode plate 210 includes a positive electrode current collector made of a thin metal plate having excellent conductivity, for example, aluminum (Al) foil, and a positive electrode active material layer coated on both surfaces thereof. have. Both ends of the positive electrode plate 210 are provided with a positive electrode current collector region, that is, a positive electrode non-coating portion, in which a positive electrode active material layer is not formed. One end of the positive electrode non-coating portion is generally formed of aluminum (Al), and the positive electrode tab 215 protruding a predetermined length to the upper portion of the electrode assembly 200 is bonded. In addition, the negative electrode plate 220 includes a negative electrode current collector made of a conductive metal thin plate, for example, copper (Cu) or nickel (Ni) foil, and a negative electrode active material layer coated on both surfaces thereof. Both ends of the negative electrode plate 220 are provided with a negative electrode current collector region, that is, a negative electrode non-coating portion, in which a negative electrode active material layer is not formed. One end of the negative electrode non-coating portion is generally formed of nickel (Ni), and the negative electrode tab 225 protruding a predetermined length to the lower portion of the electrode assembly 200 is bonded. In addition, the upper and lower portions of the electrode assembly 200 may further include insulating plates 241 and 245 for preventing contact with the cap assembly 400 or the cylindrical can 300, respectively.

상기 원통형 캔(300)은 상기 원통형 전극조립체(200)가 수용될 수 있는 소정 공간이 형성되도록 일정 직경을 갖는 원통형 측면판(310)과 상기 원통형 측면판(310)의 하부를 밀폐하는 하면판(320)을 포함하여 형성되며, 상기 원통형 측면판(310)의 상부는 상기 전극조립체(200)를 삽입하기 위하여 개구(開口)되어 있다. 상기 원통형 캔(300)의 하면판(320) 중앙에 상기 전극조립체(200)의 음극 탭(225)이 접합됨으로써, 상기 원통형 캔(300) 자체는 음극 역할을 수행하게 된다. 또한, 상기 원통형 캔(300)은 일반적으로 알루미늄(Al), 철(Fe) 또는 이들의 합금으로 형성된다. 더불어 상기 원통형 캔(300)은 상부의 개구에 결합되는 상기 캡조립체(400)의 상부를 압박하도록 상단에서 내부로 휘어진 크리핑(clipping)부(330)가 형성된다. 또한, 상기 원통형 캔(300)은 상기 크리핑부(330)로부터 하방으로 상기 캡조립체의 두께에 대응되는 거리만큼 이격된 위치에 상기 캡조립체(400)의 하부를 압박하도록 안쪽으로 움푹 파인 비딩(beading)부(340)가 더 형성되어 있다.The cylindrical can 300 has a cylindrical side plate 310 having a predetermined diameter and a bottom plate sealing the lower portion of the cylindrical side plate 310 so that a predetermined space in which the cylindrical electrode assembly 200 can be accommodated is formed. 320 is formed, and an upper portion of the cylindrical side plate 310 is opened to insert the electrode assembly 200. By bonding the negative electrode tab 225 of the electrode assembly 200 to the center of the lower plate 320 of the cylindrical can 300, the cylindrical can 300 itself serves as a negative electrode. In addition, the cylindrical can 300 is generally formed of aluminum (Al), iron (Fe) or an alloy thereof. In addition, the cylindrical can 300 is formed with a clipping portion 330 bent from the top to the top to press the upper portion of the cap assembly 400 coupled to the upper opening. In addition, the cylindrical can 300 is beaded inwardly so as to press the lower portion of the cap assembly 400 at a position spaced apart from the creeping portion 330 by a distance corresponding to the thickness of the cap assembly (beading) A portion 340 is further formed.

상기 캡조립체(400)는, 도 2를 참조하여 보면, 안전밴트(410)와 전류차단수 단(420)과 이차보호소자(480)와 캡업(490)을 포함하여 형성된다.2, the cap assembly 400 includes a safety vent 410, a current interruption stage 420, a secondary protection element 480, and a cap up 490.

상기 안전밴트(410)는 도전성 금속재질에 의하여 원판형상으로, 중앙에 하방으로 돌출된 돌출부(412)를 포함하여 형성되며, 상기 캡조립체(400)의 하부에 위치하게 된다. 상기 안전밴트(410)는 바람직하게는 알루미늄 금속 또는 니켈 금속으로 형성된다. 상기 안전밴트(410)의 하부에는 상기 양극탭(215)이 전기적으로 결합되며, 바람직하게는 상기 돌출부(412)에 용접되어 결합된다. 상기 안전밴트(410)의 돌출부는 정상적인 상태에서는 하부 방향으로 돌출되어 형성되며, 이차전지의 과·충방전 또는 이상 발열에 의하여 이차전지 내부의 압력이 증가되는 경우에는 상기 돌출부가 상부 방향으로 반전되도록 형성된다.The safety vent 410 is formed in a disk shape by a conductive metal material, and includes a protrusion 412 protruding downward in the center thereof, and is positioned below the cap assembly 400. The safety vent 410 is preferably formed of aluminum metal or nickel metal. The positive electrode tab 215 is electrically coupled to the lower portion of the safety vent 410, and preferably welded to the protrusion 412. The protrusion of the safety vent 410 is formed to protrude downward in a normal state. When the pressure inside the secondary battery increases due to overcharge, discharge, or overheating of the secondary battery, the protrusion protrudes upward. Is formed.

상기 이차보호소자(480)는 상기 안전밴트(410)의 외경에 상응하는 외경과 소정 폭을 갖는 링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전류차단수단(420)의 상부에 안착되어 결합되며, 리튬 이차전지의 온도가 증가되면 전류의 흐름을 차단하게 된다. 상기 이차보호소자(480)는 바람직하게는 PTC(Positive Temperature Coefficient)소자를 사용한다. 상기 PTC 소자는 수지와 탄소분말로 형성되는 소자층과 상기 소자층의 상면과 하면에 결합되는 도전판으로 형성되며 상기 PTC 소자의 온도가 증가되면 상기 수지층의 수지가 팽창되면서 탄소분말의 연결을 끊어 전류를 차단하게 된다. 상기 PTC 소자로는 세라믹 소자가 사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The secondary protection element 480 is formed in a ring shape having an outer diameter and a predetermined width corresponding to the outer diameter of the safety vent 410, is seated and coupled to the upper portion of the current blocking means 420, Increasing the temperature will block the flow of current. The secondary protection device 480 preferably uses a positive temperature coefficient (PTC) device. The PTC element is formed of an element layer formed of a resin and carbon powder and a conductive plate bonded to the upper and lower surfaces of the element layer. When the temperature of the PTC element is increased, the resin of the resin layer expands to connect the carbon powder. To cut off the current. Of course, a ceramic device may be used as the PTC device.

상기 이차보호소자(480)는 필요에 따라서는 캡조립체(400)를 구성할 때 생략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Of course, the secondary protection device 480 may be omitted when configuring the cap assembly 400 as necessary.

상기 캡업(490)은 상기 캡조립체(400)의 상부 안착되어 결합되며, 리튬이차 전지에서 발생되는 전류를 외부로 통전하게 된다.The cap up 490 is coupled to the upper seat of the cap assembly 400, and energizes current generated from the lithium secondary battery to the outside.

상기 전류차단수단(420)은, 도3a 및 도 3b를 참조하면, 절연인쇄기판(422)과 상부 도전박막(440)과 하부 도전박막(450) 및 도전층(460)을 포함하여 형성되며, 상기 안전밴트(410)의 상부에 장착되어 상기 안전밴트(410)의 돌출부(412)가 반전되는 경우에 상기 절연인쇄기판이 파단되어 안전밴트(410)로부터 흐르는 전류를 차단하게 된다.3A and 3B, the current blocking means 420 is formed to include an insulating printed board 422, an upper conductive thin film 440, a lower conductive thin film 450, and a conductive layer 460. When the protrusion 412 of the safety vent 410 is mounted on the safety vent 410 and the inverted portion of the safety vent 410 is inverted, the insulation printed circuit board is broken to block the current flowing from the safety vent 410.

상기 절연인쇄기판(422)은 일반적으로 인쇄 회로 기판(PCB, Printed Circuit board)에 사용되는 절연 재질로 형성되며, 외곽링(424)과 크로스바(426)를 포함하여 형성된다. 상기 외곽링(424)은 상기 안전밴트(410)에 상응하는 크기로 형성되며, 소정 폭을 갖는 링 형상으로 형성된다. 상기 외곽링(424)은 바람직하게는 상기 외곽링(424)의 상부에 안착되며 링 형상으로 형성되는 상기 이차보호소자(480)의 폭에 대응되는 폭을 갖도록 형성된다.The insulating printed board 422 is generally formed of an insulating material used for a printed circuit board (PCB), and includes an outer ring 424 and a crossbar 426. The outer ring 424 is formed in a size corresponding to the safety vent 410, and is formed in a ring shape having a predetermined width. The outer ring 424 is preferably seated on the upper portion of the outer ring 424 and is formed to have a width corresponding to the width of the secondary protection element 480 formed in a ring shape.

상기 크로스바(426)는 바 형상으로 상기 외곽링(424)과 일체로 형성되며, 상기 외곽링(424)의 중앙을 가로지르도록 형성된다. 즉, 상기 크로스바(426)는 상기 외곽링(424)의 중심을 가로지르며, 양측단이 상기 외곽링(424)의 내측에 일체로 연결되어 형성된다. 상기 크로스바(426)는 상기 안전밴트(410)의 돌출부(412)에 대응되는 위치인 중앙에 형성되는 비아홀(430)을 구비하여 형성된다.The crossbar 426 is formed integrally with the outer ring 424 in a bar shape, and is formed to cross the center of the outer ring 424. That is, the crossbar 426 crosses the center of the outer ring 424, and both side ends thereof are integrally connected to the inner side of the outer ring 424. The crossbar 426 is formed with a via hole 430 formed at the center corresponding to the protrusion 412 of the safety vent 410.

상기 비아홀(430)은 상기 크로스바(426)의 중앙부분에서 상기 안전밴트(410)의 돌출부(412)에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되어, 상기 크로스바(426)가 중앙부분에서 파단될 수 있도록 형성된다. 즉, 상기 안전밴트(410)의 돌출부가 리튬 이차전지의 내부 압력에 의하여 상향으로 변형되면서 상기 크로스바(426)의 중심에 압력을 가하게 되면 상기 크로스바(426)의 중앙부분에서 파단되어 상기 크로스바(426)의 좌우측이 서로 분리되도록 형성된다. The via hole 430 is formed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protrusion 412 of the safety vent 410 at the central portion of the crossbar 426, so that the crossbar 426 may be broken at the center portion. That is, when the protrusion of the safety vent 410 is deformed upward by the internal pressure of the lithium secondary battery and the pressure is applied to the center of the crossbar 426, the crossbar 426 is broken at the center of the crossbar 426. ) Are formed to be separated from each other.

상기 비아홀(430)은 대략 사각형상으로 대각선의 하나가 상기 크로스바(426)의 길이방향에 수직하게 되도록 형성되며, 바람직하게는 정사각형 또는 마름모꼴로 형성된다. 상기 비아홀(430)은 사각형상의 대각선 중 상기 크로스바(426)의 길이방향에 수직하게 형성되는 대각선을 구성하는 꼭지점인 파단꼭지점(432)은 사각형의 형상에 따라 소정각도를 갖는 노치 형상으로 형성되며, 바람직하게는 정각으로 형성되는 된다. 여기서 정각은 파단꼭지점(432)을 형성하는 두 직선이 직선상태로 만나서 호가 형성되지 않은 각을 의미한다. 상기 비아홀(430)의 파단꼭지점(432)을 정각으로 형성할 수 없는 경우에는 바람직하게는 곡률반경이 0.3mm보다 작게 형성되도록 한다. 상기 파단꼭지점(432)의 곡률반경이 0.3mm보다 크게 되면 상기 크로스바(426)의 파단 위치가 변하게 되어 파단압력이 변하게 되는 문제가 발생된다. 상기 비아홀(430)의 파단꼭지점(432)이 거의 정각으로 형성되면 상기 비아홀에서 파단되는 위치가 일정하게 되며, 상기 파단꼭지점(432)으로부터 상기 크로스바(426)의 양측단까지의 거리가 일정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크로스바(426)는 상기 비아홀(430)의 균일한 위치 즉, 상기 크로스바(426)에 가까운 위치에 형성된 비아홀(430)의 파단꼭지점(432)에서 파단되며, 상기 크로스바(426)의 판단압력이 균일하게 된다.The via hole 430 is formed in a substantially rectangular shape such that one of the diagonals is perpendicular to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crossbar 426, and preferably, is formed in a square or rhombus shape. The via hole 430 has a vertex 432 which is a vertex constituting a diagonal line formed perpendicularly to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crossbar 426 among the diagonal lines in a rectangular shape, and is formed in a notch shape having a predetermined angle according to the quadrangle shape. Preferably it is formed at a right angle. Here, the right angle means an angle at which two straight lines forming the break vertexes 432 meet in a straight state so that an arc is not formed. When the fracture vertexes 432 of the via holes 430 cannot be formed at right angles, the radius of curvature is preferably smaller than 0.3 mm. When the radius of curvature of the break vertexes 432 is greater than 0.3 mm, the break position of the crossbar 426 is changed to cause a break pressure. When the fracture vertexes 432 of the via hole 430 are formed at almost right angles, the location at which the fracture ruptures are broken at the via holes becomes constant, and distances from the fracture vertexes 432 to both ends of the crossbar 426 are constant. . Accordingly, the crossbar 426 is broken at a break point 432 of the via hole 430 formed at a uniform position of the via hole 430, that is, a position close to the cross bar 426, and determines the crossbar 426. The pressure becomes uniform.

상기 비아홀(430)은 사각형상으로 형성될 때 상기 크로스바(426)의 길이방향 에 수직인 대각선의 길이, 즉 양측의 상기 파단꼭지점(432)을 연결한 대각선이 상기 크로스바(426) 폭의 적어도 25%에 해당하는 직경을 갖도록 형성된다. 상기 비아홀(426)의 해당 대각선의 길이가 상기 크로스바(426) 폭의 25%보다 작게 되면 다른 부분에 비하여 비아홀(430)의 파단 강도 감소가 미약하여 상기 크로스바(426)의 중앙부분이 일정하게 파단되지 않게 된다.When the via hole 430 is formed in a quadrangular shape, the diagonal length perpendicular to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crossbar 426, that is, the diagonal connecting the break vertexes 432 on both sides thereof is at least 25 times the width of the crossbar 426. It is formed to have a diameter corresponding to%. When the length of the diagonal of the via hole 426 is smaller than 25% of the width of the crossbar 426, the decrease in the breaking strength of the via hole 430 is weaker than that of other portions, so that the center portion of the crossbar 426 is constantly broken. Will not be.

또한, 상기 비아홀(430)의 내면에는 도전성 금속으로 도전층(460)이 형성되며, 바람직하게는 구리 금속 또는 구리 합금으로 형성된다. 상기 비아홀(430)의 도전층(460)은, 바람직하게는 두께의 조절이 용이하고 공정이 간단한 도금공정에 의하여 형성된다. 상기 도전층(460)은 적어도 5㎛의 두께로 형성된다. 상기 도전층(460)의 두께가 5㎛보다 작게 되면 도전층(460)의 형성이 불완전하게 되어 전류의 흐름이 원활하지 않게 되며, 전기 저항이 증가되는 문제가 발생된다.In addition, a conductive layer 460 is formed on the inner surface of the via hole 430 by a conductive metal, preferably, a copper metal or a copper alloy. The conductive layer 460 of the via hole 430 is preferably formed by a plating process that is easy to control the thickness and the process is simple. The conductive layer 460 is formed to a thickness of at least 5㎛. When the thickness of the conductive layer 460 is smaller than 5 μm, the formation of the conductive layer 460 is incomplete, resulting in the inability of current to flow and an increase in electrical resistance.

한편, 상기 크로스바(426)는 파단압력이 상기 안전밴트(410)의 변형압력보다 작은 압력에서 파단될 수 있도록 형성되어야 함은 물론이다. 따라서, 상기 크로스바(426)의 폭과 비아홀(430)의 크기를 결정함에 있어서 상기 안전밴트(410)의 변형압력과 상기 크로스바(426)의 파단압력을 고려하여야 한다. On the other hand, the cross bar 426 should be formed so that the breaking pressure can be broken at a pressure less than the deformation pressure of the safety vent 410. Therefore, in determining the width of the crossbar 426 and the size of the via hole 430, the deformation pressure of the safety vent 410 and the breaking pressure of the crossbar 426 should be considered.

상기 상부 도전박막(440)은 소정 두께의 도전성 금속으로 형성되며, 바람직하게는 구리 금속 또는 구리 합금으로 형성된다. 다만, 여기서 상기 상부 도전박막(440)의 재질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상부 도전박막(440)은 상기 크로스바(426)의 상면 일측단으로부터 상기 비아홀(430)을 포함하는 영역과 상기 크로스바(426) 상면의 일측단으로부터 상기 외곽링(424) 상면의 소정영역에 형성된다. 상기 상부 도전박막(440)은 상기 비아홀(430)의 내측에 형성되는 상기 도전층(460)의 상부와 전기적으로 결합된다. 따라서, 상기 도전층(460)을 흐르는 전류는 상기 상부 도전박막(440)을 통하여 흐르게 된다.The upper conductive thin film 440 is formed of a conductive metal having a predetermined thickness, and is preferably formed of a copper metal or a copper alloy. However, the material of the upper conductive thin film 440 is not limited thereto. The upper conductive thin film 440 is formed in a region including the via hole 430 from one end of the upper surface of the crossbar 426 and a predetermined region on the upper surface of the outer ring 424 from one end of the upper surface of the crossbar 426. do. The upper conductive thin film 440 is electrically coupled to an upper portion of the conductive layer 460 formed inside the via hole 430. Therefore, the current flowing through the conductive layer 460 flows through the upper conductive thin film 440.

상기 상부 도전박막(440)은 바람직하게는 상기 외곽링(424)의 상면에 전체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전류차단수단(420)과 상면에 안착되는 이차보호소자(480) 또는 캡업(490)과의 전기적 접촉이 원활하게 할 수 있게 된다. 즉, 상기 상부 도전박막(440)은 상기 크로스바(426) 상면에서 비아홀(430)을 포함하는 영역 및 이와 연결되는 상기 외곽링(424) 상면의 일부 영역에만 형성될 수 있으나 이러한 경우에는 상기 외곽링(424) 상면의 일부에 형성된 도전박막만이 상기 이차보호소자(480) 또는 캡업(490)과 전기적 접촉을 하게 되므로 전류의 흐름이 원활하지 못하게 되거나 전기 저항이 증가되는 문제가 발생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전류차단수단(420)과 이차보호소자(480) 또는 캡업(490)의 전기적 접촉을 증가시키기 위해서 상기 상부 도전박막(440)을 보다 넓은 면적으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게 된다.The upper conductive thin film 440 may be preferably formed entirely on the upper surface of the outer ring 424, and the secondary protection device 480 or the cap-up 490 seat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current blocking means 420. The electrical contact of the can be made smoothly. That is, the upper conductive thin film 440 may be formed only in a region including the via hole 430 on the upper surface of the crossbar 426 and a partial region of the upper surface of the outer ring 424 connected thereto. In this case, the outer ring Since only the conductive thin film formed on a portion of the upper surface is in electrical contact with the secondary protection element 480 or the cap up 490, the current may not flow smoothly or the electrical resistance may increase. Therefore, in order to increase the electrical contact between the current blocking means 420 and the secondary protective element 480 or the cap up 490, it is preferable to form the upper conductive thin film 440 in a larger area.

상기 하부 도전박막(450)은 상기 상부 도전박막(440)과 마찬가지로 소정 두께의 도전성 금속으로 형성되며, 상기 크로스바(426)의 하면 타측단으로부터 상기 비아홀(430)을 포함하는 영역과 상기 크로스바(426)의 하면 타측단으로부터 상기 외곽링(424) 하면의 소정영역에 형성된다. 또한, 상기 하부 도전박막(450)은 상기 비아홀(430)의 내면에 형성되는 상기 도전층(460)의 하부와 전기적으로 결합된다. 따라서, 상기 하부 도전박막(450)을 흐르는 전류는 상기 도전층(460)을 통과하여 상기 상부 도전박막(440)으로 흐르게 된다.The lower conductive thin film 450 is formed of a conductive metal having a predetermined thickness, similar to the upper conductive thin film 440, and includes an area including the via hole 430 from the other end of the lower surface of the crossbar 426 and the crossbar 426. ) Is formed in a predetermined area of the lower surface of the outer ring 424 from the other end. In addition, the lower conductive thin film 450 is electrically coupled to a lower portion of the conductive layer 460 formed on the inner surface of the via hole 430. Accordingly, the current flowing through the lower conductive thin film 450 flows through the conductive layer 460 to the upper conductive thin film 440.

상기 하부 도전박막(450)은 바람직하게는 상기 외곽링(424)의 하면에 전체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전류차단수단(420)의 하면에 결합되는 상기 안전밴트(410)와의 전기적 접촉이 원활하게 할 수 있게 된다. 즉, 상기 하부 도전박막(450)은 상기 크로스바(426)의 비아홀(430)을 포함하는 영역 및 이와 연결되는 상기 외곽링(424) 하부의 일부 영역에만 형성될 수 있으나 이러한 경우에는 상기 외곽링(424) 하부의 일부에 형성된 도전박막만이 상기 안전밴트(410)와 전기적 접촉을 하게 되므로 전류의 흐름이 원활하지 못하게 되거나 전기 저항이 증가되는 문제가 발생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전류차단수단(420)과 안전밴트(410)의 전기적 접촉을 증가시키기 위해서 상기 하부 도전박막(450)을 보다 넓은 면적으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게 된다.The lower conductive thin film 450 may be preferably formed entirely on the lower surface of the outer ring 424, and smoothly makes electrical contact with the safety vent 410 coupled to the lower surface of the current blocking means 420. You can do it. That is, the lower conductive thin film 450 may be formed only in a region including the via hole 430 of the crossbar 426 and a portion of the lower portion of the outer ring 424 connected thereto, but in this case, the outer ring ( 424) Since only the conductive thin film formed on a portion of the lower portion is in electrical contact with the safety vent 410, a problem may occur in that current flow is not smooth or electrical resistance is increased. Therefore, in order to increase the electrical contact between the current blocking means 420 and the safety vent 410, it is preferable to form the lower conductive thin film 450 in a larger area.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전류차단수단의 평면도를 나타낸다.4 is a plan view of a current blocking means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전류차단수단(420a)은,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크로스바(426a)의 양측단의 적어도 일측면에 측단파단홈(436)이 더 포함되어 형성된다. 상기 측단파단홈(436)은 바람직하게는 상기 크로스바(426a)의 양측단의 양측면에 형성된다. 상기 측단파단홈(436)은 상기 크로스바(426a)의 측면에서 내부로 절개되어 형성되며 상기 크로스바(426a)의 상면에서 하면으로 관통되는 형상으로 형성된다. 상기 측단파단홈(436)은 호 또는 각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여기서 그 형상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상기 측단파단홈(436)의 깊이(양측면에 형성되는 경우는 두 개의 측단파단홈의 깊이를 더한 값)는 상기 비아홀(430)의 파단 꼭지점(432)을 연결하는 대각선의 길이보다 작게 되도록 형성된다. 즉, 상기 크로스바(426a)는 상기 측단파단홈(436)이 형성되는 부분의 단면적이 상기 비아홀(430)이 형성되는 부분의 단면적보다 크게 되도록 형성된다. 상기 크로스바(426a)는 상기 비아홀(430)이 형성된 부위의 하면에 상기 안전밴트(410)의 변형압력이 가해지면 상기 크로스바(426a)는 중앙부분이 상승되면서 파단된다. 이때, 상기 외곽링(424a)과 일체로 결합되어 있는 상기 크로스바(426a)의 양측단에 취약부가 형성됨으로써 상기 크로스바(426a)가 보다 용이하게 상승되어 파단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 4, the current blocking means 420a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formed by further including side breaking grooves 436 on at least one side of both side ends of the crossbar 426a. The side break groove 436 is preferably formed at both side surfaces of both side ends of the crossbar 426a. The side break groove 436 is formed by cutting inward from the side of the crossbar 426a and is formed in a shape penetrating from the upper surface of the crossbar 426a to the lower surface. The side break groove 436 may be formed in an arc or an angular shape, but the shape is not limited thereto. In addition, the depth of the side break groove 436 (when formed on both sides plus the depth of two side break grooves) is smaller than the length of the diagonal connecting the break vertexes 432 of the via hole 430. Is formed. That is, the crossbar 426a is formed such that the cross-sectional area of the portion where the side break groove 436 is formed is larger than the cross-sectional area of the portion where the via hole 430 is formed. When the deformation pressure of the safety vent 410 is applied to the lower surface of the portion where the via hole 430 is formed, the crossbar 426a is broken while the center portion thereof is raised. In this case, the crossbar 426a may be more easily lifted and broken by forming a weak portion at both ends of the crossbar 426a which is integrally coupled with the outer ring 424a.

도 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의한 전류차단수단의 평면도를 나타낸다.5 is a plan view of a current blocking means according to still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전류차단수단(420b)은, 도 5를 참조하면, 상기 크로스바(426b)는 상기 비아홀(430)이 형성된 위치에 대응되는 측면의 적어도 일측면에 중앙파단홈(434)이 형성될 수 있다. 즉, 상기 크로스바(426)의 중앙에 형성되는 상기 비아홀(430)외에도 상기 크로스바(426b)의 적어도 일측면에 상기 중앙파단홈(434)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 크로스바(426b)는 양측면과 내부에서 크랙이 진행되는 것이 파단에 효과적이므로, 상기 크로스바(426b)에는 중앙의 상기 비아홀(430)과 양측면의 중앙파단홈(434)이 함께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게된다. 상기 중앙파단홈(434)은 바람직하게는 상기 크로스바(426b)의 양측단의 양측면에 형성된다. 상기 중앙파단홈(434)은 상기 측단파단홈(436)과 마찬가지로 호 또는 각 형상의 노치로 형성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상기 비아홀(430)의 형상과 동일한 각 형상으로 형성된다. 상기 중앙파단홈(434)은 바람직하게는 상기 비아홀(430)과 마찬가지로 소정 각도의 정각을 갖는 노치 형상으로 형성된다. 상기 중앙파단홈(434)이 정각으로 형성할 수 없는 경우에는 바람직하게는 노치의 곡률반경이 0.3mm보다 작게 형성되도록 한다. 상기 중앙파단홈(434)의 곡률반경이 0.3mm보다 크게 되면, 상기 비아홀(430)에서와 마찬가지로, 상기 크로스바(426b)의 파단 위치가 변하게 되어 파단압력이 변하게 되는 문제가 발생된다. 상기 중앙파단홈(434)은 상기 크로스바(426)의 측면과 상기 비아홀(430)의 파단꼭지점과의 거리의 50%이내의 깊이를 갖도록 형성된다. 상기 중앙파단홈(434)의 깊이가 너무 깊으면 상기 크로스바(426b)의 강도가 약해져 공정 상 취급이 어려우며, 정상적인 상태에서 외부 충격에 의하여도 파단되는 문제가 발생된다. In the current blocking means 420b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referring to FIG. 5, the crossbar 426b includes a central fracture groove (at least one side of a side surface corresponding to a position where the via hole 430 is formed). 434 may be formed. That is, the center fracture groove 434 may be formed on at least one side of the crossbar 426b in addition to the via hole 430 formed at the center of the crossbar 426. Since the crossbar 426b is effective in breaking the crack from both sides and the inside, it is preferable that the crossbar 426b is formed with the center via hole 430 and the center fracture groove 434 on both sides. . The center fracture groove 434 is preferably formed at both side surfaces of both side ends of the crossbar 426b. The center fracture groove 434 may be formed in an arc or a notch of each shape similarly to the side fracture groove 436, and preferably formed in the same angular shape as the shape of the via hole 430. The center fracture groove 434 is preferably formed in a notch shape having a right angle at a predetermined angle similarly to the via hole 430. In the case where the center fracture groove 434 cannot be formed at a right angle, the radius of curvature of the notch is preferably smaller than 0.3 mm. When the radius of curvature of the central fracture groove 434 is greater than 0.3 mm, as in the via hole 430, the fracture position of the crossbar 426b is changed to cause a problem that the fracture pressure is changed. The center fracture groove 434 is formed to have a depth within 50% of the distance between the side surface of the crossbar 426 and the fracture vertex of the via hole 430. If the depth of the center breaking groove 434 is too deep, the strength of the crossbar 426b is weakened, making it difficult to handle the process, and a problem occurs that is broken by an external impact in a normal state.

또한, 상기 전류차단수단(420b)은, 도 5를 참조하면, 상기 크로스바(426b) 양측단의 적어도 일측면에 측단파단홈(436)이 더 포함되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측단파단홈(436)은 바람직하게는 상기 크로스바(426b)의 양측단의 양측면에 형성된다. 상기 크로스바(426b)는 상기 비아홀(430)이 형성된 부위의 하면에 상기 안전밴트(410)의 변형압력이 가해지면 상기 크로스바(426b)는 중앙부분이 상승되면서 파단된다. 이때, 상기 외곽링(424b)과 일체로 결합되어 있는 상기 크로스바(426b)의 양측단에 취약부가 형성됨으로써 상기 크로스바(426b)가 보다 용이하게 상승되어 파단될 수 있다. 다만, 상기 크로스바(426b)가 비아홀(430) 부분이 아닌 상기 측단파단홈(436)에서 파단되는 경우에는 전류 흐름을 차단하는 것이 어려우므로 상기 측단파단홈(436)은 상기 비아홀(430)부분보다 파단 강도가 높게 형성되어야 한다. 따라서, 상기 크로스바(426b)는 상기 측단파단홈(436)이 형성되는 부분의 단면적이 상기 비아홀(430)이 형성되는 부분의 단면적보다 크게 되도록 형성된다. 예를 들면, 상기 측단파단홈(436)의 깊이는 상기 비아홀(430)의 파단꼭지점을 연결하는 대각선의 길이와 상기 중앙파단홈(434)의 깊이의 합보다 작은 깊이를 갖도록 형성되어야 한다. 또한, 상기 측단파단홈(436)은, 상기 측단파단홈(436)이 양측면에 형성되는 경우에, 상기 측단파단홈(436)의 깊이의 합이 상기 비아홀(430)의 파단꼭지점을 연결하는 대각선의 길이와 상기 중앙파단홈(434)의 깊이의 합보다 작은 깊이를 갖도록 형성되어야 한다.In addition, referring to FIG. 5, the current blocking means 420b may further include a side break groove 436 on at least one side of both side ends of the crossbar 426b. The side break grooves 436 are preferably formed at both side surfaces of both side ends of the crossbar 426b. When the deformation pressure of the safety vent 410 is applied to the bottom of the portion where the via hole 430 is formed, the crossbar 426b is broken while the center portion thereof is raised. In this case, the crossbar 426b may be more easily lifted and broken by forming a weak portion at both ends of the crossbar 426b which is integrally coupled with the outer ring 424b. However, when the crossbar 426b is broken in the side break groove 436 instead of the via hole 430, it is difficult to block the current flow, so the side break groove 436 is less than the via hole 430. Break strength should be formed high. Therefore, the crossbar 426b is formed such that the cross-sectional area of the portion where the side break groove 436 is formed is larger than the cross-sectional area of the portion where the via hole 430 is formed. For example, the depth of the side break groove 436 should be formed to have a depth smaller than the sum of the length of the diagonal connecting the break vertex of the via hole 430 and the depth of the center break groove 434. In addition, the side break groove 436, when the side break grooves 436 are formed on both sides, the sum of the depths of the side break grooves 436 is a diagonal connecting the break point of the via hole 430 It should be formed to have a depth smaller than the sum of the length and the depth of the central fracture groove 434.

도 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전류차단수단의 단면도를 나타낸다.6 is a sectional view showing a current blocking means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전류차단수단(420c)은, 도 6를 참조하면, 상기 상부 도전박막(440)과 하부 도전박막(450)중에서 상기 크로스바(426)의 상면과 하면에 형성된 부분에는 별도의 절연층(455)을 포함하여 형성된다. 상기 절연층(455)은 바람직하게는 회로기판의 절연층 형성에 사용되는 폴리이미드층으로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절연층(455)은 상기 크로스바(426)가 파단되어 상기 상부 도전박막(440)이 이차보호소자(480) 또는 캡업(490)과 접촉하는 경우에 전류가 통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Referring to FIG. 6, the current blocking means 420c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formed on the upper and lower surfaces of the crossbar 426 among the upper conductive thin film 440 and the lower conductive thin film 450. It is formed including a separate insulating layer 455. The insulating layer 455 is preferably formed of a polyimide layer used for forming an insulating layer of a circuit board. Accordingly, the insulating layer 455 may prevent the current from flowing when the crossbar 426 is broken and the upper conductive thin film 440 contacts the secondary protective element 480 or the cap up 490. .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류차단수단의 작용을 나타내는 원통형 리 튬 이차전지의 부분 단면도이다.7 is a partial cross-sectional view of a cylindrical lithium secondary battery showing the action of the current blocking mean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원통형 리튬 이차전지(100)는, 도 7을 참조하면, 원통형 캔(300)의 내부에 전극조립체(200)가 수용되며, 상단의 개구에는 캡조립체(400)가 결합되어 상기 원통형 캔(300)을 밀봉하게 된다. 상기 캡조립체(400)는 상기 안전밴트(410)와 전류차단수단(420)과 이차보호소자(480) 및 캡업(490)이 적층되어 형성되며, 외측면에 결합되는 가스켓과 함께 상기 원통형 캔(300)의 상부에서 상하로 압착되면서 고정된다.In the cylindrical lithium secondary battery 100, referring to FIG. 7, an electrode assembly 200 is accommodated in a cylindrical can 300, and a cap assembly 400 is coupled to an opening at an upper end thereof so that the cylindrical can 300 is connected to the cylindrical can 300. To seal. The cap assembly 400 is formed by stacking the safety vent 410, the current blocking means 420, the secondary protection element 480, and the cap up 490, and the cylindrical can with a gasket coupled to an outer surface thereof. 300 is fixed while being pressed up and down at the top.

상기 원통형 리튬 이차전지(100)가 정상적인 상태에서는 상기 안전밴트(410)의 하면에 결합된 상기 전극탭(215)을 통하여 전극조립체(200)에서 발생되는 전류가 상기 안전밴트(410)로 전류가 흐르게 된다. 상기 전류차단수단(420)은 상기 안전밴트(410)의 상면에 전기적으로 접촉되면서 안착되므로 상기 안전밴트(410)로 흐르는 전류는 상기 전류차단수단(420)의 하부 도전박막(450)과 비아홀(430) 및 상부 도전박막(440)을 통하여 흐르게 된다. 또한 상기 이차보호소자(480)는 상기 전류차단수단(420)의 상부에 안착되므로 상기 상부 도전박막(440)과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전류가 흐르게 한다. 또한, 상기 캡업(490)은 상기 이차보호소자(480)의 상부에 전기적으로 결합되어 이차보호소자(480)로부터 흐르는 전류를 이차전지의 외부로 흐르게 한다.When the cylindrical lithium secondary battery 100 is in a normal state, current generated in the electrode assembly 200 through the electrode tab 215 coupled to the bottom surface of the safety vent 410 is transferred to the safety vent 410. Will flow. The current blocking means 420 is seated while being in electrical contact with the upper surface of the safety vent 410, the current flowing into the safety vent 410 is the lower conductive thin film 450 and the via hole of the current blocking means (420) 430 and the upper conductive thin film 440. In addition, since the secondary protection element 480 is seated on the current blocking means 420, the secondary protection element 480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upper conductive thin film 440 to allow a current to flow. In addition, the cap-up 490 is electrically coupled to the upper portion of the secondary protection element 480 to allow a current flowing from the secondary protection element 480 to flow outside of the secondary battery.

그러나, 원통형 리튬 이차전지(100)가 과·충방전과 같이 이상작동을 하는 경우에는 원통형 리튬 이차전지(100)의 내부에 가스가 발생하게 되며 압력이 증가하게 된다. 원통형 리튬 이차전지(100)의 내부에 발생된 압력에 의하여 상기 안전 밴트(410)의 돌출부(412)가 상부로 변형되면서 상기 전류차단수단(420)의 크로스바(426)에 압력을 가하게 된다. 상기 크로스바(426)는 압력을 받으면 중앙에 형성된 상기 비아홀(430) 부분에서 파단이 발생되며, 비아홀(430)을 중심으로 좌우로 완전히 분리되며 상기 비아홀(430)에는 전류가 흐르지 않게 된다. 이때, 상기 비아홀(430)은 사각형상으로 파단꼭지점이 일정한 위치에 균일한 형상으로 형성되므로, 상기 크로스바(426)의 파단되는 위치가 균일하며, 파단압력도 균일하게 된다. 상기 전류차단수단(420)은 상기 비아홀(430) 부분에서 상기 크로스바(426)가 파단되므로 상기 캡조립체(400)에는 전체적으로 전류가 흐르지 않게 되며, 원통형 리튬 이차전지(100)는 더 이상의 반응을 진행하지 않게 되므로 리튬 이차전지의 안전성을 확보할 수 있게 된다.However, when the cylindrical lithium secondary battery 100 operates abnormally, such as overcharge / discharge, gas is generated inside the cylindrical lithium secondary battery 100 and the pressure increases. The protrusion 412 of the safety vent 410 is deformed upward by the pressure generated inside the cylindrical lithium secondary battery 100 to apply pressure to the crossbar 426 of the current blocking means 420. When the crossbar 426 is subjected to pressure, breakage occurs in a portion of the via hole 430 formed at the center, and is completely separated from the left and right around the via hole 430, and no current flows through the via hole 430. At this time, the via hole 430 is formed in a quadrangular shape, so that the break apex is formed in a uniform position, and thus the cross bar 426 has a uniform breaking position, and the breaking pressure is uniform. In the current blocking means 420, the cross bar 426 is broken at the via hole 430, so that no current flows to the cap assembly 400, and the cylindrical lithium secondary battery 100 proceeds further. Since it is not possible to ensure the safety of the lithium secondary battery.

또한, 상기 전류차단수단(420)이, 도 4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크로스바(426)의 양측단의 양측면에 측단파단홈(436)이 형성된 경우에는 상기 크로스바(426)가 압력을 받을 때 보다 용이하게 상승될 수 있게 되어 파단이 보다 효과적으로 진행될 수 있도록 한다.In addition, the current blocking means 420, as shown in Figure 4, when the side break groove 436 is formed on both sides of both ends of the crossbar 426 than when the crossbar 426 is under pressure It can be easily lifted so that the break can proceed more effectively.

또한, 상기 전류차단수단(420)이, 도 5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비아홀(430)이 형성된 위치의 양측면에 중앙파단홈(434)이 형성되는 경우에는 상기 크로스바(426)가 중앙 및 양측면에서 파단이 진행되므로 보다 신속하게 파단될 있게 된다.In addition, the current blocking means 420, as shown in Figure 5, when the center fracture grooves 434 are formed on both sides of the position where the via hole 430 is formed, the crossbar 426 in the center and both sides As the fracture proceeds, it can be broken more quickly.

상기 실시예에서는 원통형 리튬 이차전지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원통형이 아닌 리튬 이차전지에도 사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또한 리튬 이차전지가 아닌 다른 종류의 이차전지에도 사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Although the embodiment has been described with respect to the cylindrical lithium secondary battery, it can be used for a non-cylindrical lithium secondary battery, of course. In addition, it can be used in other types of secondary batteries other than the lithium secondary battery.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특허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의 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그와 같은 변경은 특허청구범위 기재의 범위 내에 있게 된다.As described above,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specific preferred embodiments described above, and any person having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without departing from the gist of the present invention claimed in the claims. Various modifications are possible, of course, and such changes are within the scope of the claims.

본 발명에 따른 리튬 이차전지에 의하면 리튬 이차전지의 캡조립체에 사용되는 전류차단수단에서 전류의 통전부분과 전류의 차단 부분을 별도로 구성하고 전류의 차단부분에는 중앙홀을 포함하는 취약부를 형성하여 리튬 이차전지의 이상 발생시 전류의 차단부분이 파단되어 전류의 흐름을 차단하여 부품의 전류차단 산포를 줄이고 리튬 이차전지의 안정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According to the lithium secondary batter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current blocking means used in the cap assembly of the lithium secondary battery separately configures the energized portion of the current and the blocking portion of the current and forms a weak part including a central hole in the blocking portion of the current. When an abnormality occurs in the secondary battery, the blocking portion of the current is broken to cut off the flow of current, thereby reducing the current blocking distribution of the component and improving the stability of the lithium secondary battery.

Claims (17)

안전밴트와 상기 안전밴트의 상부에 안착되는 전류차단수단을 구비하는 캡조립체를 포함하며, 상기 전류차단수단은 외곽링과 내면에 도전층이 구비된 비아홀이 형성되는 크로스바를 포함하는 절연인쇄기판과, 상기 절연인쇄기판 상면에 형성되어 상기 도전층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상부 도전박막 및 상기 절연인쇄기판 하면에 형성되어 상기 도전층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하부 도전박막을 구비하여 형성되는 리튬 이차전지에 있어서,And a cap assembly having a safety vane and a current blocking means seated on an upper portion of the safety vane. The current blocking means includes an insulated printed circuit board including a outer ring and a cross bar having a via hole having a conductive layer formed on an inner surface thereof. And a lower conductive thin film formed on an upper surface of the insulated printed board and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conductive layer, and a lower conductive thin film formed on a lower surface of the insulated printed substrate and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conductive layer. , 상기 비아홀은 사각형상으로 대각선의 하나가 상기 크로스바의 길이방향에 수직하게 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튬 이차전지.The via hole is a lithium secondary battery, characterized in that formed in the square so that one of the diagonal is perpendicular to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crossbar. 제 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비아홀은 정사각형 또는 마름모형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튬 이차전지.The via hole is a lithium secondary battery, characterized in that formed in a square or rhombus. 제 2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2, 상기 비아홀은 상기 크로스바의 길이방향에 수직인 대각선을 구성하는 파단꼭지점이 정각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튬 이차전지.The via hole is a lithium secondary battery, characterized in that the vertex is formed at a right angle forming a diagonal perpendicular to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crossbar. 제 2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2, 상기 비아홀은 상기 크로스바의 길이방향에 수직인 대각선을 구성하는 파단 꼭지점의 곡률반경이 0.3mm보다 작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튬 이차전지.The via hole is a lithium secondary battery, characterized in that the radius of curvature of the fracture vertex forming a diagonal perpendicular to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crossbar is smaller than 0.3mm. 제 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비아홀은 상기 크로스바에 수직인 대각선이 상기 크로스바 폭의 적어도 25%의 길이를 갖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튬 이차전지.The via hole is a lithium secondary battery, characterized in that the diagonal perpendicular to the crossbar is formed to have a length of at least 25% of the crossbar width. 제 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크로스바는 상기 외곽링과 결합하는 양측단의 적어도 일측면에 홈 형상으로 형성되는 측단파단홈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튬 이차전지. The crossbar is a lithium secondary battery further comprises a side break groove formed in a groove shape on at least one side of the both ends coupled to the outer ring. 제 6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6, 상기 측단파단홈은 상기 측단파단홈이 형성되는 상기 크로스바 부분의 단면적이 상기 비아홀이 형성되는 상기 크로스바 부분의 단면적보다 크게 되는 깊이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튬 이차전지.The side break groove is a lithium secondary battery, characterized in that the cross-sectional area of the crossbar portion in which the side break groove is formed to a depth larger than the cross-sectional area of the crossbar portion in which the via hole is formed. 제 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크로스바는 상기 비아홀이 형성된 위치의 적어도 일측면에 노치 형상으로 형성되는 중앙파단홈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튬 이차전지.The crossbar may further include a center fracture groove formed in a notch shape on at least one side of the position where the via hole is formed. 제 8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8, 상기 중앙파단홈은 정각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튬 이차전지.The center break groove is a lithium secondary battery, characterized in that formed at a right angle. 제 8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8, 상기 중앙파단홈은 노치의 곡률반경이 0.3mm 보다 작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튬 이차전지.The center break groove is a lithium secondary battery, characterized in that the radius of curvature of the notch is formed smaller than 0.3mm. 제 8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8, 상기 중앙파단홈은 상기 크로스바의 측면과 상기 비아홀과의 거리의 50% 이내의 깊이를 갖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튬 이차전지.And the center fracture groove is formed to have a depth within 50% of a distance between the side of the crossbar and the via hole. 제 8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8, 상기 크로스바는 상기 외곽링과 결합하는 양측단의 적어도 일측면에 형성되는 측단파단홈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튬 이차전지. The crossbar is a lithium secondary battery further comprises a side end groove formed in at least one side of the both ends coupled to the outer ring. 제 12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2, 상기 측단파단홈은 상기 측단파단홈이 형성되는 상기 크로스바 부분의 단면적이 상기 비아홀이 형성되는 상기 크로스바 부분의 단면적보다 크게 되는 깊이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튬 이차전지.The side break groove is a lithium secondary battery, characterized in that the cross-sectional area of the crossbar portion in which the side break groove is formed to a depth larger than the cross-sectional area of the crossbar portion in which the via hole is formed. 제 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상부 도전박막과 하부 도전박막은 상기 크로스바의 상면과 하면에 형성되는 표면에 절연층을 더 포함하여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튬 이차전지.And the upper conductive thin film and the lower conductive thin film further include an insulating layer formed on the upper and lower surfaces of the crossbar. 제 14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4, 상기 절연층은 폴리이미드층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튬 이차전지The insulating layer is a lithium secondary battery, characterized in that formed of a polyimide layer 제 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비아홀의 내면에 형성되는 도전층은 구리금속 또는 구리합금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튬 이차전지.The conductive layer formed on the inner surface of the via hole is a lithium secondary battery, characterized in that formed of copper metal or copper alloy. 제 16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6, 상기 도전층은 적어도 5㎛의 두께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튬 이차전지.The conductive layer is a lithium secondary battery, characterized in that formed to a thickness of at least 5㎛.
KR1020050034216A 2005-04-25 2005-04-25 Secondary Battery KR100659846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34216A KR100659846B1 (en) 2005-04-25 2005-04-25 Secondary Battery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34216A KR100659846B1 (en) 2005-04-25 2005-04-25 Secondary Battery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111833A KR20060111833A (en) 2006-10-30
KR100659846B1 true KR100659846B1 (en) 2006-12-19

Family

ID=3762028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34216A KR100659846B1 (en) 2005-04-25 2005-04-25 Secondary Battery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59846B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07979B1 (en) 2014-10-30 2021-09-30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Negative electrode for rechargeable lithium battery and rechargeable lithium battery including the same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215747A (en) * 1992-09-29 1994-08-05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Explosion-proof sealing plate for sealed battery
JPH06215746A (en) * 1993-01-18 1994-08-05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Explosion-proof safety device and battery having it
KR19990074762A (en) * 1998-03-13 1999-10-05 장용균 Nonaqueous Electrolyte Battery
KR20010061303A (en) * 1999-12-28 2001-07-07 성재갑 Li-ION BATTERY USING SIMPLIFIED SAFETY VENT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215747A (en) * 1992-09-29 1994-08-05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Explosion-proof sealing plate for sealed battery
JPH06215746A (en) * 1993-01-18 1994-08-05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Explosion-proof safety device and battery having it
KR19990074762A (en) * 1998-03-13 1999-10-05 장용균 Nonaqueous Electrolyte Battery
KR20010061303A (en) * 1999-12-28 2001-07-07 성재갑 Li-ION BATTERY USING SIMPLIFIED SAFETY VENT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111833A (en) 2006-10-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14377B1 (en) Secondary Battery
JP4509911B2 (en) Lithium secondary battery
JP4205842B2 (en) Sealed battery
JP4217632B2 (en) Secondary battery
KR100917742B1 (en) Cylinder type secondary battery
WO1999031742A1 (en) Opening sealing device for enclosed batteries
KR101678727B1 (en) Cap assembly and cylinderical type battery comprising the same
KR100579400B1 (en) Secondary battery
KR100778977B1 (en) Cylinderical lithium rechargeable battery
KR100659846B1 (en) Secondary Battery
KR101106403B1 (en) Secondary battery
KR100579378B1 (en) Secondary Battery
KR100579390B1 (en) Secondary Battery
KR100659840B1 (en) Cylinder type secondary battery
JP3682390B2 (en) Sealed parts with safety valve
KR101243529B1 (en) Lithium rechargeable battery
CN111656570B (en) Secondary battery
KR20050018269A (en) A Can Shape with Many Sets of Safety Vents in Rechargeable Batteries
KR100696828B1 (en) Secondary Battery
KR100560487B1 (en) Lithium secondary battery
JP4642167B2 (en) Sealing device for sealed battery
KR101175008B1 (en) Cylinderical Rechargeable Battery
KR100875111B1 (en) Secondary Battery with Safety Device
KR100560514B1 (en) Secondary battery
KR100357951B1 (en) Sealed battery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123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125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118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123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115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121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119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203

Year of fee payment: 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