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59104B1 - 디스플레이 장치 - Google Patents

디스플레이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59104B1
KR100659104B1 KR1020050103462A KR20050103462A KR100659104B1 KR 100659104 B1 KR100659104 B1 KR 100659104B1 KR 1020050103462 A KR1020050103462 A KR 1020050103462A KR 20050103462 A KR20050103462 A KR 20050103462A KR 100659104 B1 KR100659104 B1 KR 10065910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bstrate
electrode
electrodes
phosphor layer
cell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10346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손승현
박형빈
Original Assignee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5010346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5910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5910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5910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JELECTRIC DISCHARGE TUBES OR DISCHARGE LAMPS
    • H01J1/00Details of electrodes, of magnetic control means, of screens, or of the mounting or spacing thereof, common to two or more basic types of discharge tubes or lamps
    • H01J1/02Main electrodes
    • H01J1/30Cold cathodes, e.g. field-emissive cathod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JELECTRIC DISCHARGE TUBES OR DISCHARGE LAMPS
    • H01J1/00Details of electrodes, of magnetic control means, of screens, or of the mounting or spacing thereof, common to two or more basic types of discharge tubes or lamps
    • H01J1/02Main electrodes
    • H01J1/30Cold cathodes, e.g. field-emissive cathode
    • H01J1/304Field-emissive cathod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JELECTRIC DISCHARGE TUBES OR DISCHARGE LAMPS
    • H01J17/00Gas-filled discharge tubes with solid cathode
    • H01J17/38Cold-cathode tubes
    • H01J17/48Cold-cathode tubes with more than one cathode or anode, e.g. sequence-discharge tube, counting tube, dekatron
    • H01J17/49Display panels, e.g. with crossed electrodes, e.g. making use of direct current
    • H01J17/492Display panels, e.g. with crossed electrodes, e.g. making use of direct current with crossed electrod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JELECTRIC DISCHARGE TUBES OR DISCHARGE LAMPS
    • H01J17/00Gas-filled discharge tubes with solid cathode
    • H01J17/38Cold-cathode tubes
    • H01J17/48Cold-cathode tubes with more than one cathode or anode, e.g. sequence-discharge tube, counting tube, dekatron
    • H01J17/49Display panels, e.g. with crossed electrodes, e.g. making use of direct current
    • H01J17/492Display panels, e.g. with crossed electrodes, e.g. making use of direct current with crossed electrodes
    • H01J17/497Display panels, e.g. with crossed electrodes, e.g. making use of direct current with crossed electrodes for several colou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JELECTRIC DISCHARGE TUBES OR DISCHARGE LAMPS
    • H01J9/00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installation, removal, maintenance of electric discharge tubes, discharge lamps, or parts thereof; Recovery of material from discharge tubes or lamps
    • H01J9/20Manufacture of screens on or from which an image or pattern is formed, picked up, converted or stored; Applying coatings to the vessel
    • H01J9/22Applying luminescent coatings
    • H01J9/227Applying luminescent coatings with luminescent material discontinuously arranged, e.g. in dots or lin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Gas-Filled Discharge Tube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는, 일정한 간격을 두고 서로 대향되게 배치되는 제 1 기판 및 제 2 기판; 상기 제 1 기판과 제 2 기판 사이에 마련되는 것으로, 상기 제 1 기판과 제 2 기판 사이의 공간을 구획하여 다수의 셀을 형성하는 다수의 격벽; 상기 셀들의 내부에 채워지는 여기가스; 상기 셀들의 내벽에 형성되는 형광체층; 상기 제 1 기판의 내면에 형성되는 다수의 제 1 전극; 상기 제 2 기판의 내면에 상기 제 1 전극들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형성되는 다수의 제 2 전극; 상기 제 1 전극들 상에 형성되는 다수의 제 3 전극; 상기 제 1 전극과 제 3 전극사이에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제 1 전극과 제 2 전극에 전압이 인가됨에 따라 상기 여기가스를 여기시키는 전자빔을 상기 셀 내부로 방출시키는 전자가속층을 구비하며, 상기 제 1 기판의 내면에서 제 1 전극이 배치된 표면을 제외한 그 이외의 구간에는 홈이 형성되고 상기 홈에도 형광체층이 형성된다.

Description

디스플레이 장치{Display device}
도 1은 종래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의 분리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II-II선을 따라 취한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의 일측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 4는 크세논(Xe)의 에너지 준위(energy level)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10, 210, 310: 제 1 기판 120, 220, 320: 제 2 기판
113, 213, 313: 격벽 115, 215, 315: 형광체층
114, 214, 314: 셀 132, 231, 331: 제 1 전극
131, 232, 332: 제 2 전극 133, 233, 333: 제 3 전극
240, 340: 홈
평판 디스플레이 장치의 일종인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PDP; Plasma Display Panel)은 전기적 방전을 이용하여 화상을 형성하는 장치로서, 휘도나 시야각 등의 표시 성능이 우수하여 그 사용이 날로 증대되고 있다. 이러한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은 전극들에 인가되는 직류 또는 교류 전압에 의하여 상기 전극들 사이에서 가스 방전이 일어나게 되고, 이 방전 과정에서 발생되는 자외선에 의하여 형광체가 여기되어 가시광을 발산하게 된다.
상기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은 전극들의 배치 구조에 따라 대향 방전(facing discharge) 구조의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과 면 방전(surface discharge) 구조의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로 분류될 수 있다. 대향 방전 구조의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은 쌍을 이루는 두 개의 유지전극이 각각 상부기판과 하부기판에 배치되어 방전이 기판에 수직인 방향으로 일어난다. 그리고, 면 방전 구조의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은 쌍을 이루는 두 개의 유지전극이 동일한 기판 상에 배치되어 방전이 기판에 나란한 방향으로 일어난다.
도 1에는 종래 교류형 면 방전 구조의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이 도시되어 있다. 그리고, 도 2에는 도 1에 도시된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을 일측 방향으로 절단한 단면이 도시되어 있다.
도 1, 도 2를 참조하면, 하부기판(10)과 상부기판(20)이 일정한 간격을 두고 서로 대향되게 배치되어 그 사이에 플라즈마 방전이 일어나는 방전공간을 형성한다. 상기 하부기판(10)의 상면에는 다수의 어드레스전극(11)이 형성되어 있으며, 이 어드레스전극들(11)은 제1 유전체층(12)에 의해 매립된다. 상기 제1 유전체층(12)의 상면에는 방전공간을 구획하여 다수의 방전셀(14)을 형성하고, 이 방전셀들(14) 간의 전기적, 광학적 크로스토크(cross talk)를 방지하는 다수의 격벽(13)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방전셀들(14)의 내벽에는 각각 적색(R), 녹색(G), 청색(B)의 형광체층(15)이 도포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방전셀들(14) 내부에는 일반적으로 크세논(Xe)을 포함하는 방전가스가 채워진다.
상기 상부기판(20)은 가시광이 투과될 수 있는 투명기판으로서 격벽들(13)이 형성된 하부기판(10)에 결합된다. 상기 상부기판(20)의 하면에는 방전셀(14)마다 한 쌍의 유지전극(21a,21b)이 상기 어드레스전극들(11)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형성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유지전극들(21a,21b)은 가시광이 투과될 수 있도록 주로 ITO(Indium Tin Oxide)와 같은 투명한 도전성 재료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기 유지전극들(21a,21b)의 라인 저항을 줄이기 위하여, 상기 유지전극들(21a,21b)의 하면에는 금속으로 이루어진 버스전극들(22a,22b)이 상기 유지전극들(21a,21b)보다 좁은 폭을 가지고 형성되어 있다. 상기 유지전극들(21a,21b) 및 버스전극들(22a,22b)은 투명한 제2 유전체층(23)에 의해 매립된다. 그리고, 상기 제2 유전체층(23)의 하면에는 산화마그네슘(MgO)로 이루어진 보호막(24)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보호막(24)은 플라즈마 입자의 스퍼터링에 의한 제2 유전체층(23)의 손상을 방지하고, 2차 전자를 방출하여 방전전압을 낮추어 주는 역할을 한다.
상기와 같은 구조를 가지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의 구동은 크게 어드레스방전을 위한 구동과 유지방전을 위한 구동으로 나뉜다. 어드레스방전은 어드레스전극(11)과 한 쌍의 유지전극(21a,21b) 중 어느 하나의 전극 사이에서 일어나게 되며, 이때 벽전하(wall charge)가 형성된다. 다음으로, 유지방전은 한 쌍의 유지전극(21a,21b) 사이의 전위차에 의해서 일어나게 되며, 이러한 유지방전시 방전가스로부터 발생되는 자외선에 의해 형광체층(15)이 여기되어 가시광이 발산된다. 그리고, 이렇게 발산된 가시광은 상부기판을 통해 출사되어 사용자가 인식할 수 있는 화상을 형성하게 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에서는 방전가스가 이온화(ionization)되어 플라즈마 방전이 일어나는 과정에서 여기 상태(excited state)의 크세논(Xe*)이 안정화되면서 자외선이 발생하게 된다. 따라서, 종래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및 평판 램프에서는 방전가스를 이온화시킬 수 있을 정도로 높은 에너지가 필요하게 되므로, 구동전압은 크고, 발광효율은 낮다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구동전압을 낮출 수 있고, 발광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새로운 평판 디스플레이 장치 및 평판 램프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는,
일정한 간격을 두고 서로 대향되게 배치되는 제 1 기판 및 제 2 기판;
상기 제 1 기판과 제 2 기판 사이에 마련되는 것으로, 상기 제 1 기판과 제 2 기판 사이의 공간을 구획하여 다수의 셀을 형성하는 다수의 격벽;
상기 셀들의 내부에 채워지는 여기가스;
상기 셀들의 내벽에 형성되는 형광체층;
상기 제 1 기판의 내면에 형성되는 다수의 제 1 전극;
상기 제 2 기판의 내면에 상기 제 1 전극들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형성되는 다수의 제 2 전극;
상기 제 1 전극들 상에 형성되는 다수의 제 3 전극;
상기 제 1 전극과 제 3 전극사이에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제 1 전극과 제 2 전극에 전압이 인가됨에 따라 상기 여기가스를 여기시키는 전자빔을 상기 셀 내부로 방출시키는 전자가속층을 구비하며,
상기 제 1 기판의 내면에서 제 1 전극이 배치된 표면을 제외한 그 이외의 구간에는 홈이 형성되고 상기 홈에도 형광체층이 형성된 디스플레이 장치이다.
여기서, 상기 형광체층은 격벽과 상기 홈내부에 형성될 수 있다.
특히, 상기 홈의 일측은 상기 격벽에 정렬되어 위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형광체층은 상기 전자가속층과는 분리되어 도포된 것이 바람직하다.
선택적으로, 상기 제 2 기판의 내면에도 형광체층이 추가로 형성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 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일부 단면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하부기판인 제1 기판(110)과 상부기판인 제2 기판(120)이 일정한 간격을 두고 서로 대향되게 배치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제1 기판(110) 및 제2 기판(120)은 투명한 유리기판으로 이루어질 수 있지만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그리고, 상기 제1 기판(110)과 제2 기판(120) 사이에는 제1 기판(110)과 제2 기판(120) 사이의 공간을 구획하여 다수의 셀(cell,114)을 형성하고, 상기 셀들(114) 간의 전기적, 광학적 크로스토크를 방지하는 다수의 격벽(barrier rib,113)이 마련되어 있다. 상기 셀들(114)의 내벽에는 각각 적색(R), 녹색(G), 청색(B)의 형광체층(115)이 도포되어 있으며, 상기 셀들(114) 내부에는 일반적으로 크세논(Xe)을 포함하는 여기가스(excitation gas)가 채워진다. 이하 본 발명에서 지칭하는 여기가스는 전자빔 등의 외부 에너지에 의해 여기되어 자외선을 발생시킬 수 있는 가스를 말한다. 한편, 본 발명의 여기가스는 방전가스로 작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제1 기판(110)의 내면에는 제2 전극(131)이 셀(114)마다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제2 기판(120)의 내면에는 제1 전극(132)이 형성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제1 전극(132) 및 제2 전극(131)은 각각 캐소드 전극(cathode electrode) 및 애노드 전극(anode electrode)이 된다. 상기 제1 전극(132)은 가시광이 투과될 수 있도록 ITO(Indium Tin Oxide) 또는 SnO2 등과 같은 투명한 도전성 물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그러나, 애노드 전극인 제 2 전극(131)은 투명전극일 필요가 없으므로 어떠한 전극재료라도 무관하다. 그리고, 상기 제1 전극(132) 상에는 유전체층(미도시)이 더 형성될 수도 있다.
한편, 디스플레이 장치가 셀별로 별도의 화상을 구현하여야 하는 경우에는 발광셀이 선택되어질 필요가 있으므로 셀을 선택하기 위하여 제 2 전극 및 제 3 전극 중 어느 하나와 제 1 전극(132)이 교차하게 배열하여 그 교차점을 이용하여 발광셀을 선택할 수 있다.
상기 제1 전극(131)의 하면에는 전자가속층(electron accelerating layer,140)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전자가속층(140)의 하면에는 그리드 전극(grid electrode)인 제3 전극(133)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전자가속층(140)은 전자를 가속시켜 전자빔을 발생시킬 수 있는 물질은 어느 것이라도 적용가능하며, 바람직하게는 산화된 다공성 실리콘(oxidized porous silicon)으로 이루어진다. 이때, 산화된 다공성 실리콘으로는 산화된 다공성 폴리실리콘(poly silicon) 또는 산화된 다공성 비정질 실리콘(amorphous silicon)이 예시된다.
상기 전자가속층(140)은 제1 전극(132)과 제3 전극(133)에 각각 소정의 전압이 인가되면, 상기 제1 전극(132)으로부터 유입된 전자들을 가속시켜 제3 전극(133)을 통하여 상기 셀(114) 내부로 전자빔(E-beam) 방출시킨다. 상기 셀 (114)내부로 방출된 전자빔은 여기가스를 여기시키게 되고, 여기된 여기가스는 안정화되면서 자외선을 발생시키게 된다. 그리고, 상기 자외선은 형광체층(115)을 여기시켜 가시광을 발생시키게 되고, 이렇게 발생된 가시광은 제2 기판(120)쪽으로 출사되어 화상을 형성하게 된다.
상기 전자빔은 여기가스를 여기(excitation)시키는데 필요한 에너지보다 크고, 여기가스를 이온화(ionization)시키는데 필요한 에너지보다는 작은 에너지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상기 제1 전극(131) 및 제3 전극(133)에는 상기 전자빔이 여기가스를 여기시킬 수 있는 최적화된 전자에너지(optimized electron energy)를 가질 수 있는 전압이 인가된다.
도 4에는 자외선 발생원(generating source)인 크세논(Xe)의 에너지 준위(energy level)가 예를 들어 개략적으로 도시되어 있다. 도 4를 참조하면, 크세논(Xe)을 이온화시키기 위해서는 12.13eV의 에너지가 필요하며, 크세논(Xe)을 여기시키기 위해서는 8.28eV 이상의 에너지가 필요함을 알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크세논(Xe)을 1S5, 1S4, 1S2 상태로 각각 여기시키기 위해서는 8.28eV, 8.45eV, 9.57eV의 에너지가 필요하게 된다. 이렇게 여기된 크세논(Xe*)은 안정화되면서 대략 147nm의 자외선이 발생하게 된다. 그리고, 여기 상태(excited state) 크세논(Xe*)과 기저 상태(ground state) 크세논(Xe)이 충돌하게 되면 엑시머(eximer) 크세논(Xe2*)이 생성되는데, 이러한 엑시머 크세논(Xe2*)이 안정화되면 대략 173nm의 자외선이 발생하게 된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서는 전자가속층(140)에 의하여 셀(114) 내부로 방출되는 전자빔이 크세논(Xe)를 여기시키기 위하여 대략 8.28eV ~ 12.13eV의 에너지를 가질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전자빔은 바람직하게는 8.28eV ~ 9.57eV의 에너지 또는 8.28eV ~ 8.45eV의 에너지를 가질 수 있다. 또한, 상기 전자빔은 8.45eV ~ 9.57eV의 에너지를 가질 수도 있다.
도 5에는 도 3에 도시된 디스플레이 장치의 변형례를 예를 들어 도시한다.
이하에서는 전술한 실시예와 다른 점만을 설명하기로 한다. 도 5를 참조하면, 캐소드 전극인 제 1 전극(231)이 제 1 기판의 내면에 형성되고, 애노드 전극인 제2 전극(232)은 제 2 기판(220)의 내면에 상기 제 1 전극(231)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형성된다. 교차방향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제 2 전극과 제 3 전극 중 적어도 하나와 제 1 전극이 교차하여도 무관하다. 또한, 상기 제 1 기판의 상에는 제 3 전극(233)이 형성되며, 상기 제 1 전극(231)과 상기 제 3 전극(233) 사이에는 전자가속층(240)이 형성된다.
상기 전자가속층(240)은 상기 제 1 전극(231)과 상기 제 3 전극(233)에 전압이 인가됨에 따라 셀(214) 내부에 채워진 여기가스를 여기시키는 전자빔을 상기 셀 내부에 방출하게 된다. 한편, 상기 제1 기판(210)과 제2 기판(220) 중 어느 하나의 기판에는 다수의 어드레스전극(미도시)이 더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제 1 기판(210)의 내면에 제 1 전극(231)이 배치됨에 있어서, 상기 제 1 전극(231)의 폭은 상기 셀 내부의 대응하는 제 1 기판(210)의 폭보다 작다. 따라서, 중력 등의 원인에 의해 셀(214)의 내벽에 형광체층(215)를 형성함에 있어서 격벽(213)에 형성된 형광체층이 흘러내려서 제 1 전극(231) 및 전자가속층(240)에 접촉하게 될 우려가 있다.
이러한 경우를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제 1 기판(210)의 내면에서 제 1 전극(231)이 배치되지 않은 구간에 홈(240)이 형성된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전극(231), 전자가속층(240), 제 3 전극(233)의 폭은 셀(214)에 대응하는 제 1 기판(210)의 폭보다 작고 제 1 기판(210)상의 중앙에 대략 위치하고 있다. 따라서, 제 1 전극의 양측으로 제 1 기판상의 내면에는 공간이 발생하게 되고, 이 공간에 홈(240)이 각각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홈(240)은 형광체층(215)이 도포되는 두께를 고려하여 그 깊이가 결정된다. 따라서, 셀(214)의 내부에서 격벽(213)과 상기 홈(240) 내부에 형광체층이 형성된다.
이때, 홈의 원주면 일측은 상기 격벽에 정렬되어 위치되어 격벽과 홈 내부로의 연결이 매끄럽게 연속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형광체층이 격벽(213)뿐만 아니라 오목한 홈(240) 내부에 형성됨으로 인하여, 홈이 없이 격벽에만 형광체층이 형성되어 있다가 흘러내려 형광체층이 전자가속층 쪽으로 퍼지는 현상이 방지되어 형광체의 유동은 홈에서 정지하여 형광체층은 홈에 위치하게 된다.
제3 전극(233)은 전자가속층(240)에 의하여 가속된 전자들이 셀(214) 내부로 용이하게 방출될 수 있도록 메쉬 구조로 형성될 수도 있다.
이상에서는 제1 기판(210)이 하부기판이 되고, 제2 기판(220)이 상부기판이 되는 경우가 설명되었지만, 본 실시예는 전자가속층(240)이 형성된 제1 기판(210)이 상부기판이 되고, 제2 기판(220)이 하부기판이 되는 경우에도 적용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일부 단면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제1 기판(310)과 제2 기판(320)이 일정한 간격을 두고 서 로 대향되게 배치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제1 기판(310)과 제2 기판(320) 사이에는 제1 기판(310)과 제2 기판(320) 사이의 공간을 구획하여 다수의 셀(314)을 형성하는 다수의 격벽(313)이 마련되어 있다. 상기 셀들(314)의 내벽에는 각각 적색(R), 녹색(G), 청색(B)의 형광체층(315)이 도포되어 있으며, 상기 셀들(314) 내부에는 크세논(Xe)을 포함하는 여기가스가 채워진다.
상기 제1 기판(310)의 상면에는 제1 전극(331)이 셀(314)마다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제2 기판(320)의 하면에는 제2 전극(332)이 상기 제1 전극(231)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셀(314)마다 형성되어 있다. 교차 방향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제 2 전극과 제 3 전극 중 적어도 하나와 상기 제 1 전극이 교차한다면 어느것이라도 무방하다. 상기 제1 전극(331) 상에는 전자가속층(340)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전자가속층(340) 상에는 제3 전극(333)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전자가속층(340)은 전자를 가속시켜 전자빔을 발생시킬 수 있는 물질은 어느 것이라도 적용가능하며, 바람직하게는 산화된 다공성 실리콘(oxidized porous silicon)으로 이루어진다. 이때, 산화된 다공성 실리콘으로는 산화된 다공성 폴리실리콘(poly silicon) 또는 산화된 다공성 비정질 실리콘(amorphous silicon)이 예시된다.
상기 전자가속층(340)은 제1 전극(331)과 제3 전극(333)에 각각 소정의 전압이 인가되면, 상기 제1 전극(331)으로부터 유입된 전자들을 가속시켜 제3 전극(333)을 통하여 상기 셀(314) 내부로 전자빔(E1-beam) 방출시킨다. 그리고, 상기 전자빔은 여기가스를 여기시키고, 이렇게 여기된 여기가스는 안정화되면서 형광체층(315)을 여기시키는 자외선을 발생시키게 된다. 따라서, 전자빔은 전술한 바와 같이 여기가스를 여기시키는데 필요한 에너지보다 크고, 여기가스를 이온화시키는데 필요한 에너지보다는 작은 에너지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구체적으로, 상기 전자빔은 크세논(Xe)을 여기시키는데 필요한 대략 8.28eV ~ 12.13eV의 에너지를 가질 수 있다.
상기 제2 전극(332)은 가시광이 투과될 수 있도록 ITO(Indium Tin Oxide) 등과 같은 투명한 도전성 물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3 전극(333)은 전자가속층(340)에 의하여 가속된 전자들이 셀(314) 내부로 용이하게 방출될 수 있도록 메쉬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1 기판(310)과 제2 기판(320) 중 어느 하나의 기판에는 다수의 어드레스전극(미도시)이 더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제 1 기판(310)의 내면에 제 1 전극(331)이 배치됨에 있어서, 상기 제 1 전극(331)의 폭은 상기 셀 내부의 대응하는 제 1 기판(310)의 폭보다 작다. 따라서, 셀(314)의 내벽에 형광체층(315)을 형성함에 있어서 격벽(313)에 형성된 형광체층이 중력 등의 원인에 의해 흘러내려서 제 1 전극(331) 및 전자가속층(340)에 접촉하게 될 우려가 있다.
이러한 경우를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제 1 기판(310)의 내면에서 제 1 전극(331)이 배치되지 않은 구간에 홈(340)이 형성된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전극(331), 전자가속층(340), 제 3 전극(333)의 폭은 셀(314)에 대응하는 제 1 기판(310)의 폭보다 작고 제 1 기판(310)상의 중앙에 대략 위치하고 있다. 따라서, 제 1 전극의 양측으로 제 1 기판상의 내면에는 공간이 발생하게 되고, 이 공간에 홈(340)이 각각 형성된다.
상기 홈(340)은 형광체층(315)이 도포되는 두께를 고려하여 그 깊이가 결정된다. 따라서, 셀(314)의 내부에서 격벽(313)과 상기 홈(340) 내부에 형광체층이 형성된다.
이때, 홈의 원주면 일측은 상기 격벽에 정렬되어 위치되어 격벽과 홈 내부로의 연결이 매끄럽게 연속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형광체층이 격벽(313)뿐만 아니라 오목한 홈(340) 내부에 형성됨으로 인하여, 제작 공정시에 홈이 없이 격벽에만 형광체층이 형성되어 있다면 형광체층이 흘러내려 형광체층이 전자가속층 쪽으로 더 퍼지게 되는데, 제 1 기판상에 홈이 있으면 형광체층이 더 이상 퍼지지 않고 홈에서 정지하여 형광체층이 홈에 위치하게 된다.
한편,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2 기판(320)의 내면의 제 2 전극(332)의 하면에도 형광체층(313')이 추가로 형성되어 형광체층이 도포되는 면적이 증가될 수 있다. 이 경우, 형광체층이 제 1 기판측과 제 2 기판측 모두에 형성되므로 투과형 과 반사형 디스플레이 패널의 특징을 모두 나타내게 된다.
제3 전극(333)은 전자가속층(340)에 의하여 가속된 전자들이 셀(314) 내부로 용이하게 방출될 수 있도록 메쉬 구조로 형성될 수도 있다.
이상에서는 제1 기판(310)이 하부기판이 되고, 제2 기판(320)이 상부기판이 되는 경우가 설명되었지만, 본 실시예는 전자가속층(340)이 형성된 제1 기판(310)이 상부기판이 되고, 제2 기판(320)이 하부기판이 되는 경우에도 적용될 수 있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플라즈마 방전을 이용한 종래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및 평판 램프에서는 방전가스를 이온화시키기 위하여 비교적 많은 에너 지가 필요한 반면에, 본 발명에서는 전자가속층으로부터 방출되는 전자빔이 여기가스를 여기시킬 정도의 에너지만 있으면 화상을 형성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평판 디스플레이 장치 및 평판 램프는 종래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및 평판 램프보다 구동 전압을 낮출 수 있고, 발광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이상에서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가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분야에서 통상적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해져야 할 것이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구성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기대된다.
첫째, 디스플레이 장치 제조공정상 셀의 측면에 도포된 형광체층이 흘러내려 전자가속층에 형광체층이 도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둘째, 형광체층이 도포되는 도포면적이 격벽이 배치된 측면에만 한정되지 않고 제 1 기판측 또는 제 2 기판측까지 확대되므로 휘도 및 효율이 향상된다.
셋째, 기존의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에 비하여 방전에 따른 무효전력이 소비가 감소하게 된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다른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하여 정해져야 할 것이 다.

Claims (5)

  1. 일정한 간격을 두고 서로 대향되게 배치되는 제 1 기판 및 제 2 기판;
    상기 제 1 기판과 제 2 기판 사이에 마련되는 것으로, 상기 제 1 기판과 제 2 기판 사이의 공간을 구획하여 다수의 셀을 형성하는 다수의 격벽;
    상기 셀들의 내부에 채워지는 여기가스;
    상기 셀들의 내벽에 형성되는 형광체층;
    상기 제 1 기판의 내면에 형성되는 다수의 제 1 전극;
    상기 제 2 기판의 내면에 상기 제 1 전극들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형성되는 다수의 제 2 전극;
    상기 제 1 전극들 상에 형성되는 다수의 제 3 전극;
    상기 제 1 전극과 제 3 전극사이에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제 1 전극과 제 2 전극에 전압이 인가됨에 따라 상기 여기가스를 여기시키는 전자빔을 상기 셀 내부로 방출시키는 전자가속층을 구비하며,
    상기 제 1 기판의 내면에서 제 1 전극이 배치된 표면을 제외한 그 이외의 구간에는 홈이 형성되고 상기 홈에도 형광체층이 형성된 디스플레이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형광체층은 격벽과 상기 홈내부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홈의 일측은 상기 격벽에 정렬되어 위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형광체층은 상기 전자가속층과는 분리되어 도포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기판의 내면에도 형광체층이 추가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KR1020050103462A 2005-10-31 2005-10-31 디스플레이 장치 KR10065910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103462A KR100659104B1 (ko) 2005-10-31 2005-10-31 디스플레이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103462A KR100659104B1 (ko) 2005-10-31 2005-10-31 디스플레이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659104B1 true KR100659104B1 (ko) 2006-12-19

Family

ID=3781478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103462A KR100659104B1 (ko) 2005-10-31 2005-10-31 디스플레이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59104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52610A (ko) * 1997-12-22 1999-07-15 손욱 전계 방출용 음극을 갖는 평판 패널 디스플레이
KR20010071389A (ko) * 1998-06-05 2001-07-28 누락 광 방사장치 및 방법
JP2002150944A (ja) 2000-11-14 2002-05-24 Matsushita Electric Works Ltd 電子エミッタ付発光装置
KR20040078647A (ko) * 2001-12-11 2004-09-10 라이트랩 아베 발광장치 및 발광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52610A (ko) * 1997-12-22 1999-07-15 손욱 전계 방출용 음극을 갖는 평판 패널 디스플레이
KR20010071389A (ko) * 1998-06-05 2001-07-28 누락 광 방사장치 및 방법
JP2002150944A (ja) 2000-11-14 2002-05-24 Matsushita Electric Works Ltd 電子エミッタ付発光装置
KR20040078647A (ko) * 2001-12-11 2004-09-10 라이트랩 아베 발광장치 및 발광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60069786A (ko) 표시 장치
US7999474B2 (en) Flat lamp using plasma discharge
KR100719574B1 (ko) 평판 디스플레이 장치 및 전자 방출 소자
KR100787435B1 (ko) 기체 여기 발광 소자 및 평판 표시장치
KR100659104B1 (ko) 디스플레이 장치
KR100696506B1 (ko) 평판 디스플레이 장치
KR100400667B1 (ko) 가스 방전 표시장치
KR100599614B1 (ko)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KR100708688B1 (ko)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KR100615241B1 (ko) 방전 전극의 구조가 개선된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KR100696476B1 (ko)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KR100741083B1 (ko) 디스플레이 장치
KR100615289B1 (ko)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US7518312B2 (en) Plasma display panel (PDP) having low capacitance and high discharge efficiency
KR100884799B1 (ko) 평판 디스플레이 장치와, 이를 제조하기 위한 방법
KR20050112307A (ko)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KR100768189B1 (ko) 표시 장치
KR100312514B1 (ko) 플라즈마 표시장치
KR100553201B1 (ko)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KR20050115773A (ko)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KR20060101918A (ko)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KR20080007978A (ko)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KR20050114089A (ko)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KR20050112309A (ko)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KR20070046594A (ko) 표시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