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58933B1 - 오디오 디스크립션이 포함된 프로그램의 방송목록 표시장치및 방법 - Google Patents

오디오 디스크립션이 포함된 프로그램의 방송목록 표시장치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58933B1
KR100658933B1 KR1020050114130A KR20050114130A KR100658933B1 KR 100658933 B1 KR100658933 B1 KR 100658933B1 KR 1020050114130 A KR1020050114130 A KR 1020050114130A KR 20050114130 A KR20050114130 A KR 20050114130A KR 100658933 B1 KR100658933 B1 KR 10065893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ogram
information
channel
program information
audio descrip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11413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진석
우성원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5011413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5893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5893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5893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7End-user applications
    • H04N21/472End-user interface for requesting content, additional data or services; End-user interface for interacting with content, e.g. for content reservation or setting reminders, for requesting event notification, for manipulating displayed content
    • H04N21/4722End-user interface for requesting content, additional data or services; End-user interface for interacting with content, e.g. for content reservation or setting reminders, for requesting event notification, for manipulating displayed content for requesting additional data associated with the conten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35Processing of additional data, e.g. decrypting of additional data, reconstructing software from modules extracted from the transport stream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39Processing of audio elementary stream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7End-user applications
    • H04N21/488Data services, e.g. news tick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Two-Way Televisions, Distribution Of Moving Picture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오디오 디스크립션이 포함된 프로그램의 방송목록 표시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시각 장애인을 위한 오디오 디스크립션이 포함된 프로그램 정보 및 채널정보를 독출하여 화면에 표시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오디오 디스크립션이 포함된 프로그램의 방송목록 표시장치는 파싱한 이벤트 정보 테이블에 삽입된 프로그램 정보 및 상기 프로그램 정보에 매칭되는 채널 식별자와, 파싱한 서비스 디스크립션 테이블에 삽입된 채널정보를 저장하는 저장부와, 상기 저장부에서 오디오 디스크립션을 포함하는 프로그램 정보 및 채널 식별자를 독출하는 프로그램 정보/채널 식별자 독출부와, 상기 저장부에서 상기 프로그램 정보/채널 식별자 독출부가 독출한 채널 식별자에 해당하는 채널정보를 독출하는 채널정보 독출부와, 상기 프로그램 정보/채널 식별자 독출부가 독출한 프로그램 정보 및 상기 채널정보 독출부가 독출한 채널정보를 화면에 영상으로 표시하기 위하여 처리하는 영상 처리부와, 상기 영상 처리부가 처리한 프로그램 정보 및 채널정보를 화면에 표시하는 영상 표시부로 구성되어 오디오 디스크립션의 이용에 있어서 편의성을 향상시킨다.
오디오 디스크립션, 방송목록, 이벤트 정보 테이블

Description

오디오 디스크립션이 포함된 프로그램의 방송목록 표시장치 및 방법{Apparatus for displaying broadcasting list of program including audio description and method thereof}
도 1은 오디오 디스크립션의 포함 여부에 대한 정보가 삽입된 이벤트 정보 테이블의 신택스를 보인 도면.
도 2는 컴포넌트 디스크립터의 신택스를 보인 도면.
도 3은 컴포넌트 타입 필드에 할당된 값에 따른 컴포넌트 타입에 대한 정보를 보인 도면.
도 4는 쇼트 이벤트 디스크립터의 신택스를 보인 도면.
도 5는 서비스 디스크립션 테이블의 신택스를 보인 도면.
도 6은 서비스 디스크립터의 신택스를 보인 도면.
도 7은 본 발명의 오디오 디스크립션이 포함된 프로그램의 방송목록 표시장치의 구성을 보인 블록도.
도 8은 영상 표시부에 표시되는 오디오 디스크립션이 포함된 방송목록의 일 실시예를 보인 도면.
도 9는 영상 표시부에 표시되는 오디오 디스크립션이 포함된 방송목록의 다른 실시예를 보인 도면.
도 10은 본 발명의 오디오 디스크립션이 포함된 프로그램의 방송목록 표시방법의 흐름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700 : 제 1 저장부 710 : 제 2 저장부
720 : 프로그램 정보/채널 식별자 독출부
730 : 채널정보 독출부 740 : 연산부
750 : 영상 처리부 760: 영상 표시부
본 발명은 오디오 디스크립션이 포함된 프로그램의 방송목록 표시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시각 장애인을 위하여 디지털 방송이 제공하는 오디오 디스크립션이 포함된 프로그램의 방송목록을 표시하는 오디오 디스크립션이 포함된 프로그램의 방송목록 표시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디지털 방송은 방송국이 아날로그 방식이 아닌 디지털 방식으로 방송 신호를 압축하여 송신하는 방송이다. 기존의 아날로그 방송 신호는 하나의 전파에 하나의 영상밖에 실을 수 없고, 음성은 다른 전파로 보내야 했다. 이에 반하여 디지털 방송은 하나의 전파에 복수(複數)의 영상이나 음성 등을 실을 수 있는 외에 품질을 떨어뜨리지 않고 정보를 압축할 수 있다. 그리고 디지털 방송은 종래의 아날로그 방송 1개 채널의 주파수대에 4개 내지 8개 채널을 설정할 수 있다. 또한, 인터넷과 연결된 컴퓨터를 사용하여 정보를 컨트롤하기 쉽고, 시청자쪽에서 주문하는 정보도 출력할 수 있는 쌍방향성도 가능해진다. 상기 디지털 방송의 장점으로 인하여 시청자들의 디지털 방송에 대한 수요가 증가하였고, 상기 수요의 증가에 따라서 방송국 역시 많은 프로그램을 아날로그 방식뿐만 아니라 디지털 방식으로 전송하고 있다.
상기 디지털 방송은 시각 장애인들이 화면에 표시되는 프로그램을 보다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오디오 디스크립션(Audio Description)을 제공한다. 상기 오디오 디스크립션은 화면에 표시되는 프로그램의 장면에 대한 설명을 오디오(Audio)로 출력하는 것으로, 부수적인 오디오를 말한다. 예를 들면, 화면에 표시되는 장면이 여자가 문을 열고 나가는 장면인 경우에, 오디오 디스크립션은 "여자가 화난 상태로 방문을 열고 나갑니다."라는 오디오를 출력한다. 그러므로 오디오 디스크립션으로 인하여 시각 장애인들은 보다 쉽게 방송 프로그램을 즐길 수 있다.
그러나 기존에는 시청중인 특정 프로그램에 오디오 디스크립션이 포함되어 있는지의 여부를 확인하기 위하여, 시청중인 프로그램에서 오디오 설정을 전환시켜야만 했다. 또한, 방송 예정인 프로그램들 중에서 어느 프로그램에 오디오 디스크립션이 포함되어 있는지의 여부를 확인할 수 없었다. 그리고 현재 전 채널에서 방송하고 있는 프로그램들 중에서 어느 프로그램에 오디오 디스크립션이 포함되어 있는지의 여부도 확인할 수 없었다. 이로 인하여 시각 장애인들을 위하여 오디오 디스크립션이 제공되고 있으나, 실제로 오디오 디스크립션을 활용하는 데 있어서 많은 불편함이 있었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목적은 현재 시청하고 있는 채널에서 오디오 디스크립션이 포함된 프로그램의 방송목록을 표시함으로써, 편리하게 오디오 디스크립션을 활용할 수 있도록 하는 오디오 디스크립션이 포함된 프로그램의 방송목록 표시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현재 전 채널에서 방송되고 있는 프로그램에서 오디오 디스크립션이 포함된 프로그램의 방송목록을 표시함으로써, 편리하게 오디오 디스크립션을 활용할 수 있도록 하는 오디오 디스크립션이 포함된 프로그램의 방송목록 표시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이러한 목적을 이루기 위한 본 발명의 오디오 디스크립션이 포함된 프로그램의 방송목록 표시장치는, 파싱한 이벤트 정보 테이블에 삽입된 프로그램 정보 및 상기 프로그램 정보에 매칭되는 채널 식별자와, 파싱한 서비스 디스크립션 테이블에 삽입된 채널정보를 저장하는 저장부와, 상기 저장부에서 오디오 디스크립션을 포함하는 프로그램 정보 및 채널 식별자를 독출하는 프로그램 정보/채널 식별자 독출부와, 상기 프로그램 정보/채널 식별자 독출부가 독출한 채널 식별자에 해당하는 채널정보를 상기 저장부에서 독출하는 채널정보 독출부와, 상기 프로그램 정보/채널 식별자 독출부가 독출한 프로그램 정보에 포함된 프로그램 시작시간 및 프로그램 러닝타임을 이용하여 프로그램 방송시간을 연산하는 연산부와, 상기 프로그램 정보/채널 식별자 독출부가 독출한 프로그램 정보 및 상기 채널정보 독출부가 독출한 채널정보 및 상기 연산부가 연산한 프로그램 방송시간을 화면에 영상으로 표시 하기 위하여 처리하는 영상 처리부와, 상기 영상 처리부가 처리한 프로그램 정보 및 채널정보 및 프로그램 방송시간을 화면에 표시하는 영상 표시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저장부는 프로그램 정보 및 프로그램 정보에 매칭되는 채널식별자를 저장하는 제 1 저장부와, 상기 채널정보를 저장하는 제 2 저장부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오디오 디스크립션이 포함된 프로그램의 방송목록 표시방법은 전송 스트림 패킷에서 이벤트 정보 테이블 및 서비스 디스크립션 테이블을 파싱하고, 상기 파싱한 이벤트 정보 테이블에 삽입된 프로그램 정보 및 상기 프로그램 정보에 매칭되는 채널 식별자와 상기 파싱한 서비스 디스크립션 테이블에 삽입된 채널정보를 저장부에 저장하며, 오디오 디스크립션이 포함된 프로그램의 방송목록 표시요청이 발생한 경우에 상기 저장부에서 오디오 디스크립션이 포함된 프로그램 정보 및 채널정보를 독출하고, 상기 독출한 프로그램 정보에 포함된 프로그램 시작시간 및 프로그램 러닝타임을 이용하여 프로그램 방송시간을 연산하며, 상기 오디오 디스크립션이 포함된 프로그램 정보 및 채널정보 및 프로그램 방송시간을 처리하여 화면에 표시하는 것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오디오 디스크립션이 포함된 프로그램의 방송목록 표시장치 및 방법에 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오디오 디스크립션의 포함 여부에 대한 정보가 삽입된 이벤트 정보 테이블의 신택스를 보인 도면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이벤트 정보 테이블(EIT : Event Information Table)은 서비스 식별 필드(service_id)와, 이벤트 식별 필드(event_id)와, 시작시간 필드(start_time)와, 유지시간 필드(duration)와, 디스크립터 필드(descriptor())로 구성된다.
상기 서비스 식별 필드는 16 비트가 할당된다. 서비스 식별 필드는 전송 스트림에서 서비스들을 구별하기 위하여 사용한다. 상기 서비스는 하나의 채널에서 방송되는 서비스이므로, 서비스 식별 필드에 의하여 채널을 구분할 수 있다. 서비스 식별 필드에 입력되는 서비스 식별자는 채널의 번호와 매칭된다. 채널의 번호가 어떠한 방송에 대한 채널에 대한 번호인지 예를 들면, BBC 채널인지 혹은 Sky Travel 채널인지는 후술하기로 한다.
상기 이벤트 식별 필드는 16비트가 할당된다. 이벤트 식별 필드는 프로그램을 구별하기 위하여 사용한다. 이벤트 식별 필드에 입력되는 이벤트 식별자는 하나의 프로그램과 매칭된다. 하나의 채널은 복수의 프로그램을 방송하고 있으므로, 하나의 서비스 식별자는 복수의 이벤트 식별자와 매칭된다. 상기 프로그램이 어떠한 프로그램인지 예를 들면, Eastenders 프로그램 인지 혹은 Holiday World 프로그램인지는 후술하기로 한다.
상기 시작시간 필드는 40비트가 할당된다. 시작시간 필드는 상기 이벤트 식별자를 갖는 프로그램의 시작시간에 대한 정보가 삽입된다. 상기 시작시간 필드에는 프로그램이 시작하는 시간이 연/월/일 시:분:초의 형태로 입력된다.
상기 유지시간 필드는 24비트가 할당된다. 유지시간 필드는 상기 이벤트 식별자를 갖는 프로그램의 러닝타임(Running Time)에 대한 정보가 삽입된다. 그러므로 프로그램이 얼마의 시간동안 러닝되는지의 정보가 삽입된다.
상기 디스크립터 필드(descriptor())는 디스크립터가 삽입될 수 있는 필드이다. 상기 디스크립터 필드에 삽입되는 디스크립터는 특별한 제한이 없으나, 상기 이벤트 식별 필드에 관련된 디스크립터들이 삽입된다. 이벤트 식별 필드에 입력되는 이벤트 식별자는 특정 프로그램을 구별하므로, 디스크립터 필드에 삽입되는 디스크립터들은 특정 프로그램에 관련된 디스크립터들이다.
오디오 디스크립션의 포함 여부에 관한 정보는 컴포넌트 디스크립터(Component_descriptor())에 삽입되는데, 상기 디스크립터 필드에는 컴포넌트 디스크립터가 삽입된다.
도 2는 컴포넌트 디스크립터의 신택스를 보인 도면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컴포넌트 디스크립터는 스트림 콘텐츠 필드(Stream_content), 컴포넌트 타입 필드(Component_type) 등으로 구성된다.
상기 스트림 콘텐츠 필드는 4비트를 할당하고, 스트림이 어떠한 종류에 대한 스트림인지 예를 들면, 오디오 스트림인지 혹은 비디오 스트림인지 혹은 자막 스트림인지 등을 구별할 수 있는 정보를 삽입한다. 상기 스트림 콘텐츠 필드에 입력되는 필드값이 0x01인 경우에는 비디오 스트림에 관련된 콘텐츠를 의미하고, 0x02인 경우에는 오디오 스트림에 관련된 콘텐츠를 의미하고, 0x03인 경우에는 자막 스트림에 관련된 콘텐츠를 의미한다.
상기 컴포넌트 타입 필드는 8비트를 할당하고, 컴포넌트 타입에 대한 정보를 포함한다. 컴포넌트 타입 필드에 입력되는 값인 컴포넌트 타입값에 따라서 오디오의 타입이 정해진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컴포넌트 타입값이 0x03인 경우에는 스테레오 오디오 타입이라는 것을 의미한다. 그리고 컴포넌트 타입값이 0x40인 경우에는 시각 장애인을 위한 오디오 디스크립션 오디오 타입이라는 것을 의미한다. 물론 오디오의 타입에 관한 것인 경우에는 상기 스트림 콘텐츠 필드에 입력되는 값은 0x02여야 한다. 컴포넌트 디스크립터에서 컴포넌트 타입 필드에 오디오 디스크립션이 포함되었다는 정보가 삽입된 경우는, 이벤트 식별자에 해당하는 프로그램이 오디오 디스크립션을 포함하고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한편, 이벤트 식별 필드에 입력된 이벤트 식별자에 매칭되는 프로그램의 명칭에 대한 정보는 쇼트 이벤트 디스크립터(Short_event_descriptor())에 삽입된다. 즉 도 2에서 디스크립터 필드에 삽입되는 쇼트 이벤트 디스크립터로 이벤트 식별자에 매칭되는 프로그램명을 알 수 있다.
도 4는 쇼트 이벤트 디스크립터의 신택스를 보인 도면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쇼트 이벤트 디스크립터는 이벤트 명칭 필드(event_name_char)를 포함한다. 상기 이벤트 명칭 필드에는 텍스트(Text)의 형태로 프로그램명이 입력된다. 예를 들면, 이벤트 명칭 필드에 "EastEnders"의 텍스트가 입력된 경우에, 프로그램명이 "EastEnders"라는 정보이다.
한편, 서비스 식별 필드에 의하여 채널이 구분되며, 서비스 식별자는 채널번호와 매칭된다고 전술하였다. 이때 서비스 식별자에 해당하는 채널의 명칭에 대한 정보는 서비스 디스크립션 테이블(SDT : Service Description Table)에 삽입된다.
도 5는 서비스 디스크립션 테이블의 신택스를 보인 도면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서비스 디스크립션 테이블은 서비스 식별 필드(service_id)와, 디스크립터 필드(descriptor())가 포함된다.
상기 서비스 식별 필드는 16비트가 할당된다. 서비스 식별 필드는 전송 스트림에서 서비스들을 구별하기 위하여 사용한다. 상기 서비스는 하나의 채널에서 방송되는 서비스이므로, 서비스 식별 필드에 의하여 채널을 구분할 수 있다. 서비스 식별 필드에 입력되는 서비스 식별자는 채널의 번호와 매칭된다. 서비스 디스크립션 테이블에 포함된 서비스 식별자와 이벤트 정보 테이블에 포함된 서비스 식별자는 동일한 값을 갖는다.
상기 디스크립터 필드는 디스크립터가 삽입될 수 있는 필드이다. 상기 디스크립터 필드에 삽입되는 디스크립터는 특별한 제한이 없으나, 상기 서비스 식별 필드에 관련된 디스크립터들이 삽입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서비스 식별 필드에 입력되는 서비스 식별자는 특정 채널을 구별하므로, 디스크립터 필드에 삽입되는 디스크립터들은 특정 채널에 관련된 디스크립터들이다.
서비스 식별자와 매칭되는 채널명에 대한 정보는 서비스 디스크립터(Service descriptor())에 삽입된다. 도 6은 서비스 디스크립터의 신택스를 보인 도면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서비스 디스크립터는 채널명을 입력할 수 있는 필드(Char)가 포함된다. 상기 채널명은 텍스트(Text)의 형태로 입력된다. 예를 들면, 채널명을 입력할 수 있는 필드에 "BBC"의 텍스트가 입력된 경우에, 채널명이 "BBC"라는 정보이 다.
한편, 도 7은 본 발명의 오디오 디스크립션이 포함된 프로그램의 방송목록 표시장치의 구성을 보인 블록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오디오 디스크립션이 포함된 프로그램의 방송목록 표시장치는 제 1 저장부(700)와, 제 2 저장부(710)와, 프로그램 정보/채널 식별자 독출부(720)와, 채널정보 독출부(730)와, 연산부(740)와, 영상 처리부(750)와, 영상 표시부(76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제 1 저장부(700)는 파싱한(Parsing) 이벤트 정보 테이블에 삽입된 프로그램 정보 및 상기 프로그램 정보에 매칭되는 채널 식별자를 저장한다.
이벤트 정보 테이블은 서비스 식별자, 이벤트 식별자, 프로그램 시작시간, 프로그램 러닝타임에 대한 정보를 포함한다. 이벤트 식별자는 하나의 프로그램과 매칭되는데, 상기 매칭되는 프로그램명에 대한 정보는 이벤트 정보 테이블에 포함된 쇼트 이벤트 디스크립터의 이벤트 명칭 필드에 텍스트의 형태로 삽입되어 있다. 그러므로 제 1 저장부(700)는 이벤트 식별자에 해당하는 프로그램명을 저장한다.
그리고 이벤트 정보 테이블에 포함된 컴포넌트 디스크립터에는 프로그램에 오디오 디스크립션이 포함되어 있는지에 대한 정보가 삽입되어 있다. 그러므로 제 1 저장부(700)는 어느 프로그램이 오디오 디스크립션을 포함하는지에 대한 정보 역시 저장한다.
또한, 이벤트 정보 테이블에는 프로그램 시작시간, 프로그램 러닝타임에 대한 정보가 포함되어 있으므로, 제 1 저장부(700)는 프로그램 시작시간 및 프로그램 러닝타임에 대한 정보를 저장한다.
그리고 이벤트 정보 테이블에는 이벤트 식별자에 매칭되는 서비스 식별자가 존재한다. 상기 서비스 식별자로 채널을 구분할 수 있으므로, 서비스 식별자는 채널 식별자가 된다. 그러므로 제 1 저장부(700)는 채널 식별자를 저장한다.
상기 제 2 저장부(710)는 파싱한 서비스 디스크립션 테이블에 삽입된 채널정보를 저장한다. 즉, 제 2 저장부(710)는 채널명 및 채널번호를 포함하는 채널정보를 저장한다. 서비스 디스크립션 테이블의 서비스 식별 필드에는 서비스 식별자가 삽입된다. 상기 서비스 식별자는 채널번호와 매칭되므로, 제 2 저장부(710)는 채널번호를 저장한다.
또한, 서비스 디스크립션 테이블의 서비스 디스크립터에는 채널명에 대한 정보가 입력되어 있다. 그러므로 제 2 저장부(710)는 채널명을 저장한다.
상기 프로그램 정보/채널 식별자 독출부(720)는 제 1 저장부(700)에서 오디오 디스크립션을 포함하는 프로그램 정보 및 채널 식별자를 독출한다. 사용자 인터페이스 수단(780)을 통해 입력받은 명령에 따른 제어부(770)의 제어로, 프로그램 정보/채널 식별자 독출부(720)는 오디오 디스크립션이 포함된 프로그램 정보 및 채널 식별자를 독출한다.
오디오 디스크립션이 포함된 프로그램 정보는 상기한 바와 같이 제 1 저장부(700)에 매칭되어 저장되므로, 프로그램 정보/채널 식별자 독출부(720)는 오디오 디스크립션이 포함된 프로그램 정보를 독출한다. 그리고 채널 식별자는 프로그램 정보에 매칭되어 있으므로, 프로그램 정보/채널 식별자 독출부(720)는 프로그램 정보에 매칭되는 채널 식별자를 독출한다.
사용자 인터페이스 수단(780)을 통해 입력받은 명령에 따른 제어부(770)의 제어로, 상기 독출되는 프로그램 정보는 현재 전 채널에서 방송되고 있는 프로그램 중에서 오디오 디스크립션이 포함된 프로그램에 대한 프로그램 정보가 된다. 예를 들면, 현재 전 채널에서 방송되고 있는 프로그램 중에서 채널 4와 채널 6에서 방송되고 있는 프로그램이 오디오 디스크립션을 포함하는 경우에, 상기 독출되는 프로그램 정보는 채널 4와 채널 6에서 방송되고 있는 프로그램에 대한 프로그램 정보이다. 그리고 프로그램 정보/채널 식별자 독출부(720)는 상기 독출되는 프로그램 정보에 매칭되어 있는 채널 식별자를 독출한다.
또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수단(780)을 통해 입력받은 명령에 따른 제어부(770)의 제어로, 상기 독출되는 채널 식별자는 현재 시청하고 있는 채널에 대한 채널 식별자이다. 즉, 현재 시청하고 있는 채널인 하나의 채널 식별자가 독출된다. 이로 인하여 프로그램 정보/채널 식별자 독출부(720)가 독출하는 프로그램 정보는 하나의 채널 식별자에 매칭되는 프로그램 정보 중에서 오디오 디스크립션이 포함된 프로그램에 대한 프로그램 정보이다. 예를 들면, 현재 시청하고 있는 채널 7이며, 채널 7에서 13시 40분부터 14시 30분까지 방송될 프로그램과 20시부터 21시까지 방송될 프로그램이 오디오 디스크립션을 포함하는 경우에, 상기 독출되는 프로그램 정보는 13시 40분부터 14시 30까지 방송될 프로그램 정보 및 20시부터 21시까지 방송될 프로그램 정보가 독출된다.
상기 채널정보 독출부(730)는 프로그램 정보/채널 식별자 독출부(720)가 독출한 채널 식별자에 해당하는 채널정보를 제 2 저장부(710)에서 독출한다. 프로그 램 정보/채널 식별자 독출부(720)가 독출한 채널 식별자는 이벤트 정보 테이블에 포함된 서비스 식별자이며, 제 2 저장부(710)에 저장된 채널번호는 서비스 디스크립션 테이블에 포함된 서비스 식별자와 매칭된다. 그런데 이벤트 정보 테이블과 서비스 디스크립션 테이블에 포함된 서비스 식별자가 동일하므로, 프로그램 정보/채널 식별자 독출부(720)가 독출한 채널 식별자는 제 2 저장부(710)에 저장된 채널번호와 매칭된다. 이로 인하여, 채널정보 독출부(730)는 채널 식별자에 해당하는 채널번호를 독출한다. 그리고 상기 채널번호는 채널명과 매칭되어 있으므로, 채널정보 독출부(730)는 채널명 및 채널번호인 채널정보를 독출한다.
상기 연산부(740)는 프로그램 정보/채널 식별자 독출부(720)가 독출한 프로그램 정보에 포함된 프로그램 시작시간 및 프로그램 러닝타임을 이용하여 프로그램 방송시간을 연산한다. 프로그램 정보/채널 식별자 독출부(720)가 독출한 프로그램 정보는 프로그램 시작시간 및 프로그램 러닝타임을 포함한다. 그러므로 상기 프로그램 시작시간에 프로그램 러닝타임을 가산하여 프로그램 종료시간을 도출함으로써, 프로그램 방송시간을 연산한다. 사용자 인터페이스 수단(780)을 통해 입력되는 명령이 현재 전 채널에서 방송되고 있는 프로그램 중에서 오디오 디스크립션이 포함된 프로그램의 방송목록 표시요청인 경우에, 상기 프로그램 방송시간의 연산은 제어부(770)의 제어로 생략가능하다.
상기 영상 처리부(750)는 상기 프로그램 정보/채널 식별자 독출부(720)가 독출한 프로그램 정보, 상기 채널정보 독출부(730)가 독출한 채널정보 및 상기 연산부(740)가 연산한 프로그램 방송시간을 화면에 영상으로 표시하기 위하여 처리한 다.
상기 영상 표시부(760)는 영상 처리부(750)가 처리한 프로그램 정보, 채널정보 및 프로그램 방송시간을 화면에 표시한다. 도 8은 영상 표시부에 표시되는 오디오 디스크립션이 포함된 방송목록의 일 실시예를 보인 도면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오디오 디스크립션이 포함된 채널번호, 채널명 및 프로그램명이 화면에 목록으로 형성되어 표시된다. 상기 도 8은 사용자 인터페이스 수단을 통해 입력받은 명령이 현재 전 채널에 방송되는 프로그램 중에서 오디오 디스크립션이 포함된 프로그램의 방송목록을 표시하라는 명령인 경우이다.
도 9는 영상 표시부에 표시되는 오디오 디스크립션이 포함된 방송목록의 다른 실시예를 보인 도면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방송시간과 프로그램명이 목록으로 형성되어 표시된다. 상기 도 9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수단을 통해 입력받은 명령이 현재 시청하고 있는 채널에서, 오디오 디스크립션이 포함된 프로그램의 방송목록을 표시하라는 명령인 경우이다.
한편, 도 10은 본 발명의 오디오 디스크립션이 포함된 프로그램의 방송목록 표시방법의 흐름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단계(S100)에서 전송 스트림에서 이벤트 정보 테이블 및 서비스 디스크립션 테이블을 파싱한다.
다음 단계(S102)에서 파싱한 이벤트 정보 테이블에 삽입된 프로그램 정보 및 상기 프로그램 정보에 매칭되는 채널 식별자를 제 1 저장부에 저장하고, 파싱한 서비스 디스크립션 테이블에 삽입된 채널정보를 제 2 저장부에 저장한다. 이벤트 정보 테이블에는 이벤트 식별자, 프로그램 시작시간 및 프로그램 러닝타임 등을 포함 하는 프로그램 정보가 삽입된다. 이벤트 식별자는 전술한 바와 같이 프로그램명과 매칭되어 있으므로, 제 1 저장부(700)는 프로그램명, 프로그램 시작시간 및 프로그램 러닝타임을 저장한다. 또한, 이벤트 정보 테이블에는 서비스 식별자가 삽입되어 있는데, 상기한 바와 같이 서비스 식별자는 채널 식별자를 의미하므로, 제 1 저장부(700)는 채널 식별자를 저장한다.
서비스 디스크립션 테이블에는 서비스 식별자가 삽입되어 있다. 서비스 식별자는 전술한 바와 같이 채널번호 및 채널명과 매칭되어 있으므로, 제 2 저장부(710)는 채널명 및 채널번호를 포함하는 채널정보를 저장한다.
다음 단계(S104)에서 오디오 디스크립션이 포함된 방송목록의 표시요청이 발생하였는지의 여부를 판단한다. 사용자 인터페이스 수단(780)을 통해 오디오 디스크립션이 포함된 방송목록을 표시하라는 명령이 입력되었는지의 여부를 판단한다.
상기 단계(S104)의 판단결과 오디오 디스크립션이 포함된 방송목록의 표시요청이 발생한 경우에, 단계(S106)에서 오디오 디스크립션이 포함된 프로그램 정보 및 채널 식별자를 독출한다. 오디오 디스크립션이 포함된 방송목록의 표시요청이 발생한 경우에, 프로그램 정보/채널 식별자 독출부(720)는 상기 제 1 저장부(700)에서 오디오 디스크립션이 포함된 프로그램 정보 및 채널 식별자를 독출한다. 오디오 디스크립션이 포함된 프로그램인지의 여부에 대한 정보는 이벤트 정보 테이블에 삽입되고, 이 정보는 이벤트 정보 테이블을 파싱함으로써 제 1 저장부(700)에 저장된다. 그러므로 프로그램 정보/채널 식별자 독출부(720)는 오디오 디스크립션이 포함된 프로그램을 제 1 저장부(700)를 검색하여 독출한다. 상기 독출한 프로그램 정 보는 특정 채널 식별자와 매칭되어 있으므로, 프로그램 정보/채널 식별자 독출부(720)는 독출한 프로그램 정보에 매칭되는 채널 식별자 정보도 독출한다.
상기 독출하는 프로그램 정보 및 채널 식별자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수단(780)을 통해 입력받은 명령에 따라서 제한된다. 즉, 사용자 인터페이스 수단(780)을 통해 입력받은 명령이 현재 전 채널에서 방송되고 있는 프로그램에서 오디오 디스크립션이 포함된 프로그램의 방송목록을 표시하라는 명령인 경우에, 프로그램 정보/채널 식별자 독출부(720)가 독출하는 프로그램 정보는 현재 전 채널에서 방송되고 있는 프로그램에서 오디오 디스크립션이 포함된 프로그램 정보이다. 물론, 채널 식별자는 상기 독출한 프로그램 정보에 매칭되는 채널 식별자가 독출된다. 상기 현재 전 채널에서 방송되고 있는 프로그램인지의 여부는 이벤트 정보 테이블에서 프로그램 진행상태 필드에 삽입되어 있으므로, 상기 프로그램 진행상태를 이용하여 프로그램 정보를 독출한다.
또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수단(780)을 통해 입력받은 명령이 현재 시청하고 있는 채널에서 오디오 디스크립션이 포함된 프로그램의 방송목록을 표시하라는 명령인 경우에, 프로그램 정보/채널 식별자 독출부(720)가 독출하는 채널 식별자는 현재 시청하고 있는 채널의 채널 식별자이다. 그리고 프로그램 정보/채널 식별자 독출부(720)가 독출하는 프로그램 정보는, 현재 시청하고 있는 채널의 채널 식별자에 매칭되는 프로그램 정보 중에서 오디오 디스크립션을 포함하는 프로그램 정보가 된다.
다음 단계(S108)에서 독출한 채널 식별자에 해당하는 채널정보를 제 2 저장 부에서 독출한다. 상기한 바와 같이 제 1 저장부(700)가 독출한 채널 식별자는 제 2 저장부(710)에 저장된 채널번호와 매칭되어 있고, 채널번호와 채널명 역시 매칭되어 있다. 그러므로 채널 식별자 독출부는 프로그램 정보/채널 식별자 독출부(720)가 독출한 채널 식별자에 해당하는 채널번호 및 채널명을 제 2 저장부(710)에서 독출한다.
다음 단계(S110)에서 독출한 프로그램 정보에 포함된 프로그램 시작시간 및 프로그램 러닝타임을 이용하여 프로그램 방송시간을 연산한다. 연산부(740)는 프로그램 시작시간에 프로그램 러닝타임을 가산하여, 프로그램 종료시간을 도출함으로써, 프로그램 방송시간을 연산한다. 사용자 인터페이스 수단(780)을 통해 입력되는 명령이 현재 전 채널에서 방송되고 있는 프로그램 중에서 오디오 디스크립션이 포함된 프로그램의 방송목록 표시요청인 경우에, 상기 프로그램 방송시간의 연산은 제어부(770)의 제어로 생략가능하다.
다음 단계(S112)에서 프로그램 정보, 채널정보 및 프로그램 방송시간을 화면에 표시한다. 영상 처리부(750)는 프로그램 정보/채널 식별자 독출부(720)가 독출한 프로그램 정보, 채널 독출부가 독출한 채널정보 및 연산부(740)가 연산한 프로그램 방송시간을 화면에 영상으로 표시하기 위하여 처리한다. 영상 표시부(760)는 상기 영상 처리부(750)에서 처리된 프로그램 정보, 채널정보 및 프로그램 방송시간을 화면에 표시한다.
한편, 상기에서는 본 발명을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관련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마련되는 본 발명의 정신이나 분야를 이탈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본 발명이 다양하게 개조 및 변화될 수 있다는 것을 당 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용이하게 알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오디오 디스크립션이 포함된 프로그램의 방송목록 표시장치 및 방법은 오디오 디스크립션이 포함된 방송목록을 표시함으로써, 오디오 디스크립션을 이용하는데 있어서 편의성을 향상시킨다.
전송 스트림 패킷에 포함된 이벤트 정보 테이블에는 특정 프로그램이 오디오 디스크립션을 포함하고 있는지에 대한 정보가 삽입되어 있다. 또한, 서비스 디스크립션 테이블에는 채널정보가 삽입되어 있다. 상기 정보를 이용하여 오디오 디스크립션을 포함하고 있는 프로그램 정보를 독출하고, 상기 프로그램 정보에 매칭되는 채널정보를 독출함으로써, 오디오 디스크립션이 포함된 방송목록을 화면에 표시한다. 상기 화면에 표시되는 방송목록은 현재 시청하고 있는 채널에서 오디오 디스크립션을 포함하는 프로그램에 대한 방송목록, 또는 현재 전 채널에서 방송되고 있는 프로그램에서 오디오 디스크립션을 포함하는 프로그램에 대한 방송목록이다.
이와 같이 다양한 형태로 오디오 디스크립션이 포함된 방송목록이 표시됨으로 인하여, 시각 장애인들이 더욱 편리하게 오디오 디스크립션을 이용할 수 있고, 오디오 디스크립션의 이용빈도 역시 증가한다.

Claims (12)

  1. 파싱한 이벤트 정보 테이블(EIT)에 삽입된 프로그램 정보 및 상기 프로그램 정보에 매칭되는 채널 식별자와, 파싱한 서비스 디스크립션 테이블(SDT)에 삽입된 채널정보를 저장하는 저장부;
    상기 저장부에서 오디오 디스크립션(Audio Description)을 포함하는 프로그램 정보 및 채널 식별자를 독출하는 프로그램 정보/채널 식별자 독출부;
    상기 저장부에서 상기 프로그램 정보/채널 식별자 독출부가 독출한 채널 식별자에 해당하는 채널정보를 독출하는 채널정보 독출부;
    상기 프로그램 정보/채널 식별자 독출부가 독출한 프로그램 정보 및 상기 채널정보 독출부가 독출한 채널정보를 화면에 영상으로 표시하기 위하여 처리하는 영상 처리부; 및
    상기 영상 처리부가 처리한 프로그램 정보 및 채널정보를 화면에 표시하는 영상 표시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오디오 디스크립션이 포함된 프로그램의 방송목록 표시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저장부는;
    상기 프로그램 정보 및 프로그램 정보에 매칭되는 채널식별자를 저장하는 제 1 저장부; 및
    상기 채널정보를 저장하는 제 2 저장부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 디오 디스크립션이 포함된 프로그램의 방송목록 표시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독출한 프로그램 정보는 현재 전 채널에서 방송되고 있는 프로그램 중에서, 오디오 디스크립션을 포함하는 프로그램의 프로그램 정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디오 디스크립션이 포함된 프로그램의 방송목록 표시장치.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그램 정보/채널 식별자 독출부가 독출한 프로그램 정보에 포함된 프로그램 시작시간 및 프로그램 러닝타임(Running Time)을 이용하여 프로그램 방송시간을 연산하는 연산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영상 처리부는 상기 연산부에서 연산한 프로그램 방송시간, 상기 프로그램 정보/채널 식별자 독출부가 독출한 프로그램 정보, 상기 채널정보 독출부가 독출한 채널정보를 화면에 영상으로 표시하기 위하여 처리하며,
    상기 영상 표시부는 상기 영상 처리부가 처리한 프로그램 방송시간, 프로그램 정보 및 채널정보를 화면에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디오 디스크립션이 포함된 프로그램의 방송목록 표시장치.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독출한 채널 식별자는 현재 시청하고 있는 채널에 대한 채널 식별자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디오 디스크립션이 포함된 프로그램의 방송목록 표시장치.
  6. 전송 스트림(TS) 패킷에서 이벤트 정보 테이블(EIT) 및 서비스 디스크립션 테이블(SDT)을 파싱하는 단계;
    상기 파싱한 이벤트 정보 테이블에 삽입된 프로그램 정보 및 상기 프로그램 정보에 매칭되는 채널 식별자와, 상기 파싱한 서비스 디스크립션 테이블에 삽입된 채널정보를 저장부에 저장하는 단계;
    오디오 디스크립션(Audio Description)이 포함된 프로그램의 방송목록 표시요청이 발생한 경우에, 상기 저장부에서 오디오 디스크립션이 포함된 프로그램 정보 및 채널정보를 독출하는 단계; 및
    상기 독출한 오디오 디스크립션이 포함된 프로그램 정보 및 채널정보를 처리하여 화면에 표시하는 단계로; 이루어진 오디오 디스크립션이 포함된 프로그램의 방송목록 표시방법.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그램 정보 및 채널정보를 독출하는 단계는;
    오디오 디스크립션이 포함된 프로그램 정보 및 채널 식별자를 독출하는 단계; 및
    상기 독출한 채널 식별자를 이용하여, 채널 식별자에 해당하는 채널정보를 독출하는 단계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디오 디스크립션이 포함된 프로그램의 방송목록 표시방법.
  8.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독출한 프로그램 정보는 현재 전 채널에서 방송되고 있는 프로그램 중에서, 오디오 디스크립션을 포함하는 프로그램의 프로그램 정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디오 디스크립션이 포함된 프로그램의 방송목록 표시방법.
  9.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방송목록의 표시요청이 현재 시청하고 있는 채널에 대한 오디오 디스크립션이 포함된 프로그램의 방송목록 표시요청인 경우에,
    상기 오디오 디스크립션이 포함된 프로그램 정보 및 채널정보를 독출하는 단계 이후에, 상기 독출한 프로그램 정보에 포함된 프로그램 시작시간 및 프로그램 러닝타임(Running Time)을 이용하여 프로그램 방송시간을 연산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며,
    상기 프로그램 정보 및 채널정보를 처리하여 화면에의 표시는, 상기 프로그램 정보, 채널정보 및 상기 연산한 프로그램 방송시간을 처리하여 화면에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디오 디스크립션이 포함된 프로그램의 방송목록 표시방법.
  10.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독출한 채널정보는 현재 시청하고 있는 채널에 대한 채널정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디오 디스크립션이 포함된 프로그램의 방송목록 표시방법.
  11. 제 6항 내지 제 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그램 정보는 프로그램명, 프로그램 시작시간, 프로그램 러닝타임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디오 디스크립션이 포함된 프로그램의 방송목록 표시방법.
  12. 제 6항, 제 7항, 제 9항 또는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채널정보는 채널명 및 채널번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디오 디스크립션이 포함된 프로그램의 방송목록 표시방법.
KR1020050114130A 2005-11-28 2005-11-28 오디오 디스크립션이 포함된 프로그램의 방송목록 표시장치및 방법 KR10065893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114130A KR100658933B1 (ko) 2005-11-28 2005-11-28 오디오 디스크립션이 포함된 프로그램의 방송목록 표시장치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114130A KR100658933B1 (ko) 2005-11-28 2005-11-28 오디오 디스크립션이 포함된 프로그램의 방송목록 표시장치및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658933B1 true KR100658933B1 (ko) 2006-12-15

Family

ID=3773367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114130A KR100658933B1 (ko) 2005-11-28 2005-11-28 오디오 디스크립션이 포함된 프로그램의 방송목록 표시장치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58933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63847B1 (ko) 2008-02-04 2014-02-14 엘지전자 주식회사 디지털 방송수신기용 psip 테이블 구조 및 그 저장제어장치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257955A (ja) 2000-03-10 2001-09-21 Sanyo Electric Co Ltd デジタルテレビ放送受信機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257955A (ja) 2000-03-10 2001-09-21 Sanyo Electric Co Ltd デジタルテレビ放送受信機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63847B1 (ko) 2008-02-04 2014-02-14 엘지전자 주식회사 디지털 방송수신기용 psip 테이블 구조 및 그 저장제어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324003B2 (en) Emergency alert message data structure, emergency alert message processing method and broadcast receiver
EP1619895B1 (en) Emergency alert message data structure, emergency alert message signaling method, and cable broadcasting system
KR100664012B1 (ko) 디지털 티브이의 출력언어 표시방법
US20130160048A1 (en) System and method of providing sign language broadcasting service
KR100507808B1 (ko) 디지털 티브이용 전자 프로그램 가이드 화면에서이티티정보 존재여부 디스플레이 제어방법
CN101072310B (zh) 数字电视接收机和处理广播信号的方法
KR20080058637A (ko) 추천 컨텐츠 제공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0658933B1 (ko) 오디오 디스크립션이 포함된 프로그램의 방송목록 표시장치및 방법
US20070283383A1 (en) Digital television receiver and method for processing broadcast signal
KR20070052169A (ko) 디지털 텔레비전 수신기에 있어서 방송 신호 및 psip테이블 디코딩 방법 및 장치
KR100338216B1 (ko) 프로그램장르표시방법및장치
KR20010048917A (ko) 디지털 방송의 부가정보 전송방법 및 수신 표시장치
JP2005295028A (ja) デジタル放送受信装置及びそのコンテンツ表示方法
KR100760105B1 (ko) 디지털 방송의 자막 뉴스 제공 및 표시방법
JP2007053652A (ja) データ放送受信装置
KR100628129B1 (ko) 디지털 방송 수신 장치 및 그의 프로그램 정보 표시 방법
JP4955355B2 (ja) 電子機器及び電子機器制御方法
KR100701308B1 (ko) 슬라이드식 이미지를 이용한 전자 프로그램 가이드 정보제공 방법
KR100766412B1 (ko) 예고 프로그램을 통한 프로그램 예약시스템 및 그 방법.
KR100747390B1 (ko) 디지털 티브이의 지역별 방송 정보 시청 방법
KR101319887B1 (ko) 데이터 방송 디스플레이 방법 및 데이터 방송 수신기
KR100555952B1 (ko) 위성 방송 시스템의 정보 알림 서비스 제공 방법
KR20070081583A (ko) 디지털 티브이에서의 음악방송정보 처리 장치 및 방법
KR20080054640A (ko) 디지털방송 시스템에서의 임대 채널 이용방법
KR20050056435A (ko) 방송 수신기의 채널 검색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128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122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124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124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114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114

Year of fee payment: 12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