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57861B1 - 책상용 간격조절구의 설치구조물 - Google Patents

책상용 간격조절구의 설치구조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57861B1
KR100657861B1 KR1020040039952A KR20040039952A KR100657861B1 KR 100657861 B1 KR100657861 B1 KR 100657861B1 KR 1020040039952 A KR1020040039952 A KR 1020040039952A KR 20040039952 A KR20040039952 A KR 20040039952A KR 100657861 B1 KR100657861 B1 KR 10065786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upling member
desk
plate
side plate
coupl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3995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50114865A (ko
Inventor
김성문
Original Assignee
(주)토파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토파스 filed Critical (주)토파스
Priority to KR102004003995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57861B1/ko
Publication of KR2005011486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11486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5786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5786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13/00Details of tables or desks
    • A47B13/003Connecting table tops to underfram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13/00Details of tables or desks
    • A47B13/02Underfram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2200/00General construction of tables or desks
    • A47B2200/0084Accessories for tables or desk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41/00School desks or tabl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12/00Jointing of furniture or the like, e.g. hidden from exterior
    • F16B12/04Non-loosenable joints for non-metal furniture parts, e.g. glued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12/00Jointing of furniture or the like, e.g. hidden from exterior
    • F16B12/10Jointing of furniture or the like, e.g. hidden from exterior using pegs, bolts, tenons, clamps, clips, or the lik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12/00Jointing of furniture or the like, e.g. hidden from exterior
    • F16B12/44Leg joints; Corner joints

Landscapes

  • Tables And Desks Characterized By Structural Shape (AREA)

Abstract

책상의 상판과 측판 사이에 일정한 간격이 유지되도록 설치되는 간격조절구를 상판과 측판 사이에 편리하게 설치할 수 있는 책상용 간격조절구의 설치구조물이 개시된다. 간격조절구(10)의 상단부에는 상판(42)의 저면이 안착되도록 저면받침부(12)가 형성되고, 하단부 일측에는 측판(44)의 상단부와 일측면에 걸쳐서 안착되도록 측면설치부(14)가 각각 형성된다. 간격조절구(10)의 저면받침부(12)와 측면설치부(14)에는 중간부에 걸림돌기(22)가 형성된 결합부재(20)가 각각 구비된다. 결합부재(20)와 대응되는 상판(42)의 저면과 측판(44)의 일측면에는 결합부재(20)와 결합과 분리가 가능하게 결합되도록 입구쪽에 걸림돌기(22)의 외경보다 작은 내경을 갖는 걸림턱(32)이 형성된 홀더부재(30)가 각각 매설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책상용 간격조절구의 설치구조물은 간격조절구에 결합된 결합부재를 상판과 측판에 각각 매설된 홀더부재에 삽입시키는 과정에 의해 책상의 상판과 측판 사이에 간격조절구를 편리하게 설치할 수 있다.
책상, 간격조절구, 설치구조물

Description

책상용 간격조절구의 설치구조물{Installation structure of space adjustment member for a desk}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간격조절구의 분해사시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간격조절구의 결합상태 사시도,
도 3는 도 2에 도시된 A-A선 요부 확대 단면도,
도 4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간격조절구의 설치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5는 종래 기술에 따른 간격조절구의 설치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 설명 >
10 : 간격조절구 12 : 저면받침부
14 : 측면설치부 20 : 결합부재
22 : 걸림돌기 30 : 홀더부재
32 : 걸림턱 40 : 책상
42 : 상판 44 : 측판
본 발명은 책상용 간격조절구의 설치구조물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책상의 상판과 측판이 일정한 간격을 유지하도록 상판과 측판 사이에 설치되는 간격조절구에 결합부재들을 각각 결합하고 이에 대응되는 상판 및 측판에 결합부재와 결합과 분리가 가능하도록 홀더부재를 각각 매설함으로써, 별도의 공구가 없이도 상판과 측판 사이에 간격조절구를 편리하게 설치할 수 있는 책상용 간격조절구의 설치구조물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책상은 사무를 보거나 또는 공부를 할 수 있는 공간이 마련되는 것으로, 용도에 따라서 다양하게 제작되어 시판되고 있다.
이러한 책상중에는 상판과 양측판이 일정간격을 유지하도록 결합되어 책상에 비치되는 컴퓨터나 주변기기 등 각종 전자기기의 케이블 배선작업을 용이하게 실시하고, 외관을 미려하게 할 수 있는 책상이 제공되었다.
이렇게, 상판과 양측판이 일정간격을 유지하여 결합되는 책상은 그 사이에 일정한 높이를 갖는 별도의 간격조절구를 설치하여 사용하였다.
도 5에는 종래 기술에 따른 간격조절구의 설치상태가 도시되어 있다.
도 5를 참조하면, 간격조절구(100)는 상단부에 책상(110)의 상판(112) 저면이 안착되도록 저면받침부(102)가 형성되고, 하단부 일측에는 측판(114)의 상면부와 일측면에 걸쳐서 안착되도록 단이진 측면설치부(104)가 형성된 구조로 되어 있다.
이렇게 형성된 간격조절구(100)를 상판(112)과 측판(114) 사이에 일정간격이 유지되도록 설치할 경우에는 저면받침부(102)의 상단부에 상판(112)의 저면이 안착 되도록 위치시키고, 측판(114)의 상면부와 일측면에 측면받침부(104)가 걸치도록 위치시킨 상태에서 저면받침부(102)와 측면설치부(104)를 관통하여 상판(112)과 측판(114)에 각각 결합되는 다수개의 볼트(120)를 이용하여 간격조절구(100)를 상판(112)과 측판(114) 사이에 일정간격이 유지되도록 설치하였다.
그러나, 이와 같은 간격조절구를 상판과 측판 사이에 설치하기 위해서는 볼트 등을 조일 수 있는 별도의 공구가 필요하였고, 이러한 공구를 이용하여 볼트를 일일이 조이면서 설치하여야 했으므로 설치작업이 번거러웠고, 특히 공구로 볼트를 조이기 위해서는 어느 정도의 완력이 필요하였는데 상대적으로 완력이 약한 부녀자 또는 아이들은 간격조절구의 설치작업이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안출한 것으로,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는 책상의 상판과 측판 사이에 설치되는 간격조절구를 별도의 공구가 없이도 누구나 편리하게 설치할 수 있는 수단을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와 같은 기술적 과제를 해소하기 위한 본 발명은,
상단부에는 책상의 상판 저면이 안착되도록 저면받침부가 형성되고, 하단부 일측에는 측판의 상면부와 일측면에 걸쳐서 안착되도록 측면설치부가 형성되어 상기 상판과 측판 사이에 일정간격이 유지되도록 설치되는 간격조절구에 있어서, 상기 저면받침부 및 상기 측면설치부에는 결합부재가 각각 구비되고, 상기 결합부재들과 대응되는 상기 상판의 저면과 상기 측판의 일측면에는 상기 결합부재와 결합 과 분리가 가능하도록 결합되는 홀더부재가 각각 매설되는 것을 특징으로 책상용 간격조절구의 설치구조물을 제공한다.
여기서, 상기 결합부재의 중간부에는 걸림돌기가 형성되고, 상기 홀더부재의 입구쪽에는 상기 걸림돌기의 외경보다 작은 내경을 갖는 걸림턱이 형성되어 상기 걸림돌기가 상기 홀더부재의 내부로 삽입되어 상기 걸림턱에 걸리도록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은 특징을 갖는 본 발명에 의한 책상용 간격조절구의 설치구조물은 저면받침부와 측면받침부에 결합부재를 각각 구비하고 상판의 저면과 측판의 일측면에 결합부재들과 결합과 분리가 가능하도록 홀더부재를 각각 매설하여 간격조절구를 상판과 측판 사이에 편리하게 설치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책상용 간격조절구의 설치구조물에 대하여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에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간격조절구가 도시되어 있고, 도 2에는 도 1에 도시된 간격조절구의 결합상태가 도시되어 있으며, 도 3에는 도 2에 도시된 A-A선 요부 확대가 도시되어 있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간격조절구(10)는 책상(40)의 상판(42) 저면이 안착되도록 상단부에 형성된 저면받침부(12)와 측판(44)의 상면부와 일측면에 걸쳐서 안착되도록 하단부에 형성된 측면설치부(14)에 각각 결합되는 결합부재(20), 그리고 결합부재(20)와 결합과 분리가 가능하게 결합되도록 결합부재(20)와 대응되는 상판(42)의 저면 및 측판(44)의 일측면에 각각 매설되는 홀더부재(30)를 포함한다.
결합부재(20)는 저면받침부(12)와 측면받침부(14)에 돌출되도록 각각 결합되는 것으로, 결합부재(20)의 중간부 외주연에는 만곡지게 돌출되는 걸림돌기(22)가 형성된다. 하단부 외주연에는 나사부(24)가 형성되고, 나사부(24)와 대응되는 저면받침부(12)와 측면설치부(14)에는 나사공(16)이 각각 형성되어 결합부재(20)의 상단부가 상판(42)의 저면과 측판(44)의 일측면(측판의 내측면)을 향하도록 나사공(16)에 나사결합된다. 여기서 저면받침부(12)와 측면받침부(14)에 각각 결합되는 결합부재(20)의 결합방식은 나사결합 뿐만 아니라 일반적인 접착제에 의해 결합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또한, 이러한 결합부재(20)는 저면받침부(12)와 측면받침부(14)에 각각 일체로 형성될 수도 있다.
즉, 간격조절구(10)는 합성수지재로 형성되므로 결합부재(20)를 저면받침부(12)와 측면받침부(14)에 일체로 사출형성할 수도 있는 것이다.
그리고, 홀더부재(30)는 결합부재(20)와 대응되는 상판(42)의 저면과 측판(44)의 일측면에 매설되도록 각각 결합되는 것으로, 홀더부재(30)의 입구쪽에는 결합부재(20)와 결합과 분리가 가능하게 결합되도록 걸림돌기(22)의 외경보다 작은 내경을 갖는 걸림턱(32)이 형성된다.
즉, 결합부재(20)를 홀더부재(30)에 결합시킬 경우, 결합부재(20)에 외력을 가하면서 걸림돌기(22)를 홀더부재(30)의 내부로 삽입시키면 걸림돌기(22)가 만곡지게 돌출된 관계로 홀더부재(30)의 내부으로 슬라이딩되면서 삽입되고, 결림돌기(20)가 홀더부재(30)의 내부로 삽입된 후에는 걸림돌기(22)가 걸림턱(32)에 걸리므로 홀더부재(30)에 결합된 결합부재(20)는 분리되지 않는다. 이와는 반대로 홀더부재(30)에 결합된 결합부재(20)를 분리시킬 경우 결합부재(20)에 외력을 가하면서 외측으로 잡아 당기면 삽입과 동일한 과정에 의해 걸림턱(32)에 걸려 있던 걸림돌기(22)가 슬라이딩되면서 홀더부재(30)의 외측으로 분리되는 것이다.
또한, 홀더부재(30)의 외주연에는 나사부(34)가 형성되고, 홀더부재(30)가 매설되는 상판(42)의 저면과 측판(44)의 일측면(측판의 내측면)에는 나사공(42a,44a)이 각각 형성되어 홀더부재(30)가 상판(42)과 측판(44)에 각각 나사결합되어 매설된다.
도 4에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간격조절구의 설치상태가 도시되어 있다.
도 4를 참조하여 전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책상용 간격조절구의 설치구조물의 설치과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간격조절구를 책상의 상판과 양측판 사이에 설치할 경우에는, 먼저, 간격조절구(10)의 저면받침부(12)에 각각 결합된 결합부재(20)가 책상(40)의 상판(42) 저면에 각각 매설된 홀더부재(30)와 일치되도록 위치시킨 다음, 결합부재(20)에 외력을 가하면서 홀더부재(30)의 내부로 삽입시킨다. 이때, 결합부재(20)의 중간부에 형성된 걸림돌기(22)는 걸림돌기(22)의 외경보다 작은 내경을 갖도록 홀더부재(30)의 입구쪽에 형성된 걸림턱(32)의 내부로 슬라이딩되면서 삽입된다. 즉, 결합부재(20)의 걸림돌기(22)가 만곡지게 돌출되도록 형성되고 결합부재(20)에 외력이 가해지므로 가능한 것이다.
그리고, 결합부재(20)가 홀더부재(30)의 내부로 완전히 삽입된 후에는 걸림돌기(22)가 걸림턱(32)에 걸려 홀더부재(30)에 결합된 결합부재(20)는 분리되지 않는다.
계속해서, 상판(42)의 저면이 저면받침부(12)에 안착되도록 결합부재(20)가 홀더부재(30)와 결합되면 측면받침부(14)를 측판(44)의 상면부와 일측면에 걸치도록 안착시키고 저면받침부(12)에 설치된 결합부재(20)가 상판(42)의 저면에 매설된 홀더부재(30)와 결합되는 동일한 과정에 의해 측면받침부(14)에 결합된 결합부재(20)를 측판(44)의 일측면에 매설된 홀더부재(30)에 삽입시켜 측면받침부(14)를 측판(44)에 결합시킨다.
이러한 과정을 통해서 상판(42)과 양측판(44) 사이에 다수개의 간격조절구(10)를 각각 설치하면 되므로 책상(40)의 상판(42)과 측판(44) 사이에 간격조절구(10)를 간단하면서도 편리하게 설치할 수 있는 것이다.
한편, 상판(42)과 측판(44)을 분리할 경우에는 홀더부재(30)에 결합된 결합부재(20)에 일정한 외력을 가하면서 외측으로 잡아 당기면 홀더부재(30)의 걸림턱(32)에 걸려 있던 결합부재(20)의 걸림돌기(22)가 슬라이딩되면서 분리되므로 상판(42)과 측판(44) 사이에 설치된 간격조절구(10)를 편리하게 분리할 수 있는 것이다.
이와 같이 책상(40)의 상판(42)과 측판(44) 사이에 간격조절구(10)를 설치시 결합부재(20)에 일정한 외력을 가하면서 홀더부재(30)에 삽입시키는 간단한 작업으로 별도의 공구가 없이도 상판(42)과 양측판(44) 사이에 간격조절구(10)를 편리하게 설치할 수 있는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책상용 간격조절구의 설치구조물은 책상의 상판과 측판이 일정한 간격을 유지하도록 상판과 측판 사이에 설치되는 간격조절구에 결합부재를 각각 결합하고, 이에 대응되는 책상의 상판 및 측판에 결합부재와 결합과 분리가 가능하도록 홀더부재를 각각 매설하여 별도의 공구가 없이도 결합부재를 홀더부재에 삽입시키는 간단한 작업만으로 상판과 측판 사이에 간격조절구를 편리하게 설치할 수 있는 효과가 제공되는 것이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을 각 실시 예로써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특허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Claims (5)

  1. 상단부에는 책상(40)의 상판(42) 저면이 안착되도록 저면받침부(12)가 형성되고, 하단부 일측에는 측판(44)의 상면부와 일측면에 걸쳐서 안착되도록 측면설치부(14)가 형성되어 상기 상판(42)과 측판(14) 사이에 일정간격이 유지되도록 설치되는 간격조절구(10)에 있어서,
    상기 저면받침부(12) 및 상기 측면설치부(14)에는 중간부에 걸림돌기(22)를 형성하는 결합부재(20)가 각각 구비되고,
    상기 결합부재(20)와 대응되는 상기 상판(42)의 저면과 상기 측판(44)의 일측면에는 상기 결합부재(20)와 결합과 분리가 가능하도록 입구쪽에 상기 걸림돌기(22)의 외경보다 작은 내경을 갖는 걸림턱(32)이 형성되는 홀더부재(30)가 각각 매설되며,
    상기 결합부재(20)와 상기 홀더부재(30)가 결합되는 경우, 상기 걸림돌기(22)가 상기 홀더부재(30)의 입구를 통해 삽입되어 상기 걸림턱(32)에 걸리도록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책상용 간격조절구의 설치구조물.
  2. 삭제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결합부재(20)는 상기 저면받침부(12) 및 상기 측면받침부(14)에 각각 나사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책상용 간격조절구의 설치구조물.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결합부재(20)는 상기 저면받침부(12) 및 상기 측면받침부(14)에 접착수단에 의해 각각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책상용 간격조절구의 설치구조물.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결합부재(20)는 상기 저면받침부(12)와 상기 측면받침부(14)에 각각 일체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책상용 간격조절구의 설치구조물.
KR1020040039952A 2004-06-02 2004-06-02 책상용 간격조절구의 설치구조물 KR10065786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39952A KR100657861B1 (ko) 2004-06-02 2004-06-02 책상용 간격조절구의 설치구조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39952A KR100657861B1 (ko) 2004-06-02 2004-06-02 책상용 간격조절구의 설치구조물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4-0015392U Division KR200360855Y1 (ko) 2004-06-02 2004-06-02 책상용 간격조절구의 설치구조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114865A KR20050114865A (ko) 2005-12-07
KR100657861B1 true KR100657861B1 (ko) 2006-12-15

Family

ID=3728897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39952A KR100657861B1 (ko) 2004-06-02 2004-06-02 책상용 간격조절구의 설치구조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57861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308802A (en) 1978-09-04 1982-01-05 Team Form Ag Arrangement for detachable joining of construction parts
JPH056210U (ja) * 1991-07-05 1993-01-29 清水 忠男 テーブルにおける天板と脚杆の組付け装置
JPH073368U (ja) * 1993-06-24 1995-01-20 株式会社光製作所 テーブルの脚の取付構造
JPH073369U (ja) * 1993-06-25 1995-01-20 株式会社光製作所 テーブルの脚の取付構造
KR100385900B1 (en) 2002-09-19 2003-06-02 Elite Funiture Co Ltd Coupling device for deck plate and legs of reading stand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308802A (en) 1978-09-04 1982-01-05 Team Form Ag Arrangement for detachable joining of construction parts
JPH056210U (ja) * 1991-07-05 1993-01-29 清水 忠男 テーブルにおける天板と脚杆の組付け装置
JPH073368U (ja) * 1993-06-24 1995-01-20 株式会社光製作所 テーブルの脚の取付構造
JPH073369U (ja) * 1993-06-25 1995-01-20 株式会社光製作所 テーブルの脚の取付構造
KR100385900B1 (en) 2002-09-19 2003-06-02 Elite Funiture Co Ltd Coupling device for deck plate and legs of reading stand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114865A (ko) 2005-12-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10191990A1 (en) Snap mounting clip system
WO2016121893A1 (ja) 車両にオーディオスピーカを取り付けるための改善された器具およびそれの取り付け構造物
CN205445306U (zh) 一种门窗边框连接块
KR100657861B1 (ko) 책상용 간격조절구의 설치구조물
KR200432250Y1 (ko) 착탈이 용이한 클램프
KR200360855Y1 (ko) 책상용 간격조절구의 설치구조물
US11732464B2 (en) Securing assembly
CN206694988U (zh) 吸顶灯
KR100763606B1 (ko) 천장부재 고정용 행거
KR200407169Y1 (ko) 파이프 고정용 지지구
US6695420B2 (en) System and method for attaching a drawer face
KR101037968B1 (ko) 스피커 장착 지지구
JP2007037254A (ja) 配線器具取り付け具
TWI618347B (zh) 太陽能板扣件組
KR101557651B1 (ko) 그라우트와의 부착력이 증대된 그라운드 앵커
CN203731054U (zh) 平板电视机承载装置
CN103899894A (zh) 平板电视机承载装置
CN214742676U (zh) 一种新型磁铁螺丝
CN214945668U (zh) 一种台阶磁铁螺丝
KR100957551B1 (ko) 학생용 사물함의 잠금장치 고정구
KR101101472B1 (ko) 메탈 피씨비와 프레임의 결합장치
TWM597996U (zh) 線材扣具
EP2963223A1 (en) Spacing plate
KR20180064225A (ko) 와이어 로프 고정장치 및 이를 이용한 와이어 로프 고정방법
JP2021011768A (ja) 竪樋固定具および竪樋設置構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91211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