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56572B1 - 음식물 처리기 - Google Patents

음식물 처리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56572B1
KR100656572B1 KR1020050056787A KR20050056787A KR100656572B1 KR 100656572 B1 KR100656572 B1 KR 100656572B1 KR 1020050056787 A KR1020050056787 A KR 1020050056787A KR 20050056787 A KR20050056787 A KR 20050056787A KR 100656572 B1 KR100656572 B1 KR 10065657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nozzle
food
drain
valve
impeller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5678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정식
이용백
Original Assignee
(주)대성기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대성기연 filed Critical (주)대성기연
Priority to KR102005005678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5657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5657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5657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9DISPOSAL OF SOLID WASTE; RECLAMATION OF CONTAMINATED SOIL
    • B09BDISPOSAL OF SOLID WAS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09B3/00Destroying solid waste or transforming solid waste into something useful or harmles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9DISPOSAL OF SOLID WASTE; RECLAMATION OF CONTAMINATED SOIL
    • B09BDISPOSAL OF SOLID WAS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09B2101/00Type of solid waste
    • B09B2101/02Gases or liquids enclosed in discarded articles, e.g. aerosol cans or cooling systems of refrigerat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FMIXING, e.g. DISSOLVING, EMULSIFYING OR DISPERSING
    • B01F27/00Mixers with rotary stirring devices in fixed receptacles; Kneaders
    • B01F27/60Mixers with rotary stirring devices in fixed receptacles; Kneaders with stirrers rotating about a horizontal or inclined axis
    • B01F27/71Mixers with rotary stirring devices in fixed receptacles; Kneaders with stirrers rotating about a horizontal or inclined axis with propell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6DRYING
    • F26B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REMOVING LIQUID THEREFROM
    • F26B9/00Machines or apparatus for 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at rest or with only local agitation; Domestic airing cupboards
    • F26B9/06Machines or apparatus for 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at rest or with only local agitation; Domestic airing cupboards in stationary drums or chambers
    • F26B9/08Machines or apparatus for 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at rest or with only local agitation; Domestic airing cupboards in stationary drums or chambers including agitating devices, e.g. pneumatic recirculation arrang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Dispersion Chemistry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Processing Of Solid Wastes (AREA)

Abstract

미생물을 삽입하여 음식물 쓰레기를 분해하여 처리 할 수 있도록 형성된 음식물 처리기에 있어서, 하단 중앙에 형성된 살수용 노즐의 일측에 형성된 제2 노즐연결부를 형성한 커버;와 상기 커버의 하측에 결합되며 전면에 조작판을 형성하고 내측 상단에 안착홈이 형성된 하단에는 삽입부를 형성하되 일측에 수전연결부와 연결된 세정용밸브와 살수용밸브를 형성하며, 상기 살수용밸브와 연결된 제1 노즐연결부를 형성한 케이스;와 상단 안착부가 형성되고, 하단의 곡면부에 형성되어 있는 천공부와 양측면에 관통되어 형성된 교반축의 수평축과 44°∼ 48°의 일정각(A°)으로 형성되어 있는 다수의 임펠러를 내측에 형성한 U자형 교반조;와 상기 케이스의 하측에 형성되며 상기 케이스의 삽입부에 형성된 세정용 밸브와 연결된 세정용 노즐과 드레인관을 형성한 드레인판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물 처리기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음식물 처리기는 내측에 형성된 PVA(Polyvinyl Alcohol)담체에 의해 미생물을 반영구적으로 사용할 수 있으며, 내부에 44°∼ 48°의 일정각(A°)으로 형성된 임펠러에 의해 담체와 음식물이 섞이면서 분해가 되되 음식물이 상측으로 튀지않으면서 반죽을 할 수 있도록 하여 음식물의 분해 속도가 빠를 뿐만 아니라, 분해시 형성되는 냄새는 살수노즐에서 분사되는 물에 의해 응축되어 천공부로 배출되어 냄새를 제거 할 수 있으며, 드레인판에 직접연결된 배수관에 의해 별도의 탈취장치가 없이도 배수를 할 수 있는 장점을 가지고 있다.
음식물 처리기, PVA담체, 미생물

Description

음식물 처리기{Food waste treatment apparatus}
도 1은 종래 음식물 처리기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음식물 처리기의 절개 정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음식물 처리기의 정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음식물 처리기의 U자형 교반조의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음식물 처리기의 평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커버 11 : 살수용 노즐
12 : 제2 노즐연결부 20 : 케이스
21 : 조작판 22 : 안착홈
23 : 삽입부 24 : 수전연결부
25 : 세정용밸브 26 : 살수용밸브
27 : 제1 노즐연결부 30 : U자형 교반조
31 : 안착부 32 : 곡면부
33 : 천공부 34 : 교반축
35 : 임펠러 36 : 온도센서
37 : 히터 38 : 동력전달부재
40 : 드레인판 41 : 세정용노즐
42 : 드레인관 43 : 컨트롤 박스
44 : 동력전달부재 45 : 감속모터
50 : 음식물 처리기
본 발명은 음식물을 분해처리 하기위해 내측에 교반조와 미생물을 삽입하여 음식물을 분해 할 수 있는 음식물 처리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가정에서 요리나 식사를 마친 후 남은 음식쓰레기를 처리하기 위해서는 싱크대에 설겆이를 마친후 거름망에 걸러진 음식물을 일정한 형태의 봉지나 용기에 담아 일정한 장소에 비취된 수거함에 버려야 한다.
상기와 같이 음식쓰레기가 발생되면 오랫동안 보관 및 비취를 할 수 없어 음식쓰레기가 발생될 때마다 매번 비취된 장소에 버려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었다.
또한, 상기 음식쓰레기는 수분을 흡수한 상태여서 부피가 클 뿐만 아니라 여러가지 음식물이 혼합되어 있는 상태에서 버려지게 되므로 악취를 심하게 발생시키곤 하였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개발된 종래 음식물 처리기는 특허등록 제10-0173175호(공고일자: 1999.02.18)에 기재되어 있다.
도 1은 종래 음식물 처리기를 나타낸 것으로 처리기 본체(100) 내면에 교반조(62)가 형성되고 교반조(62) 하부에는 다수의 교반날개(63)가 엇갈리게 형성된 교반축(64)이 관통되며 교반축(64) 일측의 동력전달부재(65)는 교반조(62) 저부 감속모터(66)와 연결된 동력전달부재(67)와 연결되고 교반축(64)의 타측 동력전달부재(9)는 탈취기(70)의 동력전달부재(71)와 연결되며, 교반축(72)의 양단은 본체(100) 내면에 용착된 베어링(73)에 삽입되어진다.
또한 탈취기(70)에는 샤프트(74)를 축으로 일측으로부터 탈취제(75)는 통기공(도면에 도시되지 않음)이 전후좌우로 형성된 지지대(77)와 동력전달부재(71)가 차례로 관통되며 상기 탈취기(70)의 샤프트(74) 양단은 본체(100) 상부내면에 용착된 베어링(도면에 도시되지 않음) 및 지지대에 용착된 베어링(도면에 도시되지 않음)에 삽입된다.
아울러 본체(100)는 상면이 경사지게 형성되어 힌지결합된 덮개(80)에 의해 덮혀지고, 본체(100)의 전면은 도어(81)로 형성되어 하단부 경첩(82)에 의해 힌지결합되며, 교반조(62)의 상부 일측에는 흡입팬(83) 및 배기팬(78)이 부착되고 교반조(62)의 하단으로는 배출구(84)가 내설되며, 배출구(84)가 구성된다.
또한, 상기 교반조(62)의 외측으로 히터부(도면에 도시되지 않음)와 내측 상단에는 온도센서(도면에 도시되지 않음)가 형성되며 내측에 미생물이 삽입되어진다.
상기의 음식물 처기리는 전원을 통전하여 교반날개가 작동을 할때에 교반날개에 의해 음식물이 상측으로 튀어올라 커버에 묻게되며 묻은 음식물은 미생물에 의해 분해되지 못하고 부폐하게되어 추가적으로 음식물을 삽입 시켰을때에 불쾌감을 조성할 뿐 아니라 악취또한 발생하게 된다.
또한 분해과정에서 생성되는 액체(오물)의 배출을 할 수 없어 이 또한 악취를 발생하는 원인이 되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아울러 교반조에 미생물을 삽입할때에 미생물과 톱밥을 같이 삽입하기 때문에 그 수명이 2 ∼ 3개월정도 밖에 안돼 그 이후에는 다시 미생물을 교체하여야 하는 문제점이 노출되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내측에 형성된 PVA담체에 의해 미생물을 반영구적으로 사용할 수 있으며, 내부에 44° ∼ 48°의 일정각(A°)으로 형성된 임펠러에 의해 담체와 음식물이 섞이면서 분해가 되되 음식물이 상측으로 튀지않으면서 반죽을 할 수 있도록 하여 음식물의 분해 속도가 빠를 뿐만 아니라, 분해시 형성되는 냄새는 살수노즐에서 분사되는 물에 의해 응축되어 천공부로 배출되어 냄새를 제거 할 수 있으며, 드레인판에 직접연결된 배수관에 의해 별도의 탈취장치가 없이도 배수를 할 수 있는 음식물 처리기를 제공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음식물 처리기는 상기 커버의 하측에 결합되며 전면에 조작판을 형성하고 내측 상단에 안착홈이 형성된 하단에는 삽입부를 형성하되 일측에 수전연결부와 연결된 세정용밸브와 살수용밸브를 형성하며, 상기 살수용밸브와 연결된 제1 노즐연결부를 형성한 케이스;와 상단 안착부가 형성되고, 하단의 곡면부에 형성되어 있는 천공부와 양측면에 관통되어 형성된 교 반축의 수평축과 44°∼ 48°의 일정각(A°)으로 형성되어 있는 다수의 임펠러를 내측에 형성한 U자형 교반조;와 상기 케이스의 하측에 형성되며 상기 케이스의 삽입부에 형성된 세정용 밸브와 연결된 세정용 노즐과 드레인관을 구성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음식물 처리기의 구성 및 작용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음식물 처리기의 절개 정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음식물 처리기의 정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음식물 처리기의 U자형 교반조의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음식물 처리기의 평면도로서 같이 설명한다.
먼저 커버(10)의 하단 중앙에 형성된 살수용 노즐(11)의 일측으로 제2 노즐연결부(12)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커버(10)의 하측에 결합되어지는 케이스(20)의 전면에 조작판(21)을 형성하고 내측 상단에 안착홈(22)이 형성된 하단에는 삽입부(23)를 형성하되 일측에 수전연결부(24)와 연결된 세정용밸브(25)를 형성하며 살수용밸브(26) 와 제2 노즐연결부(27)를 형성한다.
그리고 상기 삽입부(23) 상측의 안착홈(22)에 안착되는 U자형 교반조(30)에는 상단의 안착부(31)와 하단의 곡면부(32)에 천공부(33)를 가지며, 내측의 온도센서(36)와 외측에 형성된 히터(37)를 구성하고, U자형 교반조(30)를 관통하는 교반축(34)에는 교반축(34)의 수평축과 44°∼ 48°의 일정각(A°)으로 형성된 다수의 임펠러(35)와 교반축(34) 일측에 형성된 동력전달부재(38)가 형성되어진다.
또한, 상기 U자형 교반조(30) 하측에 형성된 드레인판(40) 내측에는 세정노즐(41)과 배수구와 연결된 드레인관(42)이 형성되어 있다.
아울러 상기 드레인판(40) 하측으로는 컨트롤 박스(43)와 동력전달부재(44)와 연결된 감속모터(45)가 형성된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가진 음식물 처리기의 작용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우선 음식물 처리기에 음식물 처리기(50)의 커버(10)를 개방하고 음식물 쓰레기를 삽입한다.
이때에 삽입되는 음식물에는 음식물 이외의 다른 물질이 섞여 삽입되지 않도록 하며 과도한양의 음식물을 넣지 않도록 한다.
음식물의 삽입이 모두 이루어지면 음식물 처리기(50) 외측에 형성된 조작판(21)의 전원을 인가하고, 조작판(21)에 형성된 자동버튼을 누른다.
그러면 하측에 형성된 감속모터(45)에 전원이 통전되어 감속모터(45)가 회전을 하게되고 감속모터(45)의 일측에 형성된 동력전달부재(44)와 연결되어 있는 교반축(34)에 형성된 동력전달부재(37)가 회전을 하게 되면서 U자형 교반조(30) 내에 형성한 임펠러(35)가 회전을 하게 된다.
이와 동시에 컨트롤 박스(43)에서 감속모터(45)를 제어하여 일정시간 동안 정방향과 역방향으로 반복적으로 회전하게 된다.
상기 정, 역방향의 회전시간은 사용자가 임의로 조정할 수 있지만 1분정도의 주기로 정,역방향으로 회전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회전횟수는 5회 정도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교반축(34)의 수평축과 44°∼ 48°의 일정각(A)으로 형성되어 있는 임펠러(35)에 의해 음식물이 상방향으로 튀지 않고 PVA담체와 음식쓰레기가 섞이게 된다.
이와 동시에 컨트롤박스(43)에서 제어를 하여 살수용밸브(26)가 개방되면서 수전연결부(24)로 부터 공급되는 물이 케이스(20)에 형성된 제1 노즐연결구(27)와 제2 노즐연결구(12)를 통과하면서 커버(10)에 형성된 살수용 노즐(11)로 이동하게되며, 이때에 살수용 노즐(11)에 의해 물이 분사가 되면서 교반시 발생되는 음식물 에서 발생되는 악취들을 응축시켜 U자형 교반조(30) 곡면부(32)에 형성된 천공부(33)로 흘려보내게 된다.
상기 살수용 밸브(26)에서 분사되는 물은 4분이내 즉 상기 임펠러가 2회정도의 주기로 회전되었을때에 컨트롤 박스(43)의 제어에 의해 멈추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면, U자형 교반조(30)에 형성된 PVA담체(도면에 도시되지 않음)에 형성된 미생물에 의해 대부분의 분사된 물은 PVA담체로 흡수되어지며 흡수된 물에 의해 PVA담체에 형성된 미생물이 활발히 활동을 하여 U자형 교반조(30)내에 삽입된 음식물 쓰레기를 빠른시간내에 분해하게 된다.
상기 PVA담체와 임펠러(35)에 의해 분해되는 음식물에서 생성되는 오물의 일부는 드레인판(40)으로 이동되어지며 다시 드레인관(42)을 통해 하수구로 배출이 되어진다.
일정시간 회전을 하고나면 상기 컨트롤 박스(43)에 의해 감속모터(45)가 일정 시간동안 멈추게 된다.
상기와 같이 일정시간 동안 임펠러(35)가 멈추게 되면 PVA담체에 의해 분해된 음식물 쓰레기는 드레인판(40)을 거쳐 드레인관(42)으로 이동되어지며, 일부 분해되지 않은 음식물 쓰레기는 음식물 쓰레기 상측에 형성되어진다.
이와 동시에 컨트롤 박스(43)에서 제어를 하여 세정용 밸브(35)를 개방하게 되면서 드레인판(40)에 형성된 세정용노즐(41)로 물이 분사되어진다.
그러면 드레인판(40)에 잔존해있던 오물 및 미세한 음식물 쓰레기는 세정노즐(41)에서 분사되는 물에 의해 드레인관(42)을 거쳐 배수구로 흘러가게 된다.
음식물 쓰레기가 모두 분해 될때까지 상기와 같은 주기를 연속반복 실시하게되며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동작을 멈추게 된다.
아울러 상기 조작판(21)의 자동버튼을 한번 더 누르게 되면 자동모드가 수동모드로 바뀌게 되며 조작판에 형성되어 있는 살수모드, 세정모드, 교반작동모드를 개별적으로 수동으로 조작하여 상기에서 실시한 예에서 미비한 부분을 해결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음식물 처리기는 내측에 형성된 PVA담체에 의해 미생물을 반영구적으로 사용할 수 있으며, 내부에 44° ∼ 48°의 일정각(A°)으로 형성된 임펠러에 의해 담체와 음식물이 섞이면서 분해가 되되 음식물이 상측으로 튀지않으면 서 반죽을 할 수 있도록 하여 음식물의 분해 속도가 빠를 뿐만 아니라, 분해시 형성되는 냄새는 살수노즐에서 분사되는 물에 의해 응축되어 천공부로 배출되어 냄새를 제거 할 수 있으며, 드레인판에 직접연결된 배수관에 의해 별도의 탈취장치가 없이도 배수를 할 수 있는 유용한 발명이다.

Claims (1)

  1. 음식물을 미생물을 이용하여 분해 처리하기 위해 처리기 본체 내면에 형성되되 내부에 교반날개를 갖는 교반축이 설치되고 하측에 히터를 형성한 교반조와 상기 교반축의 일측에 동력전달부재를 형성하여 하측의 감속기에 의해 동력을 전달할 수 있도록 형성된 음식물 처리기에 있어서,
    하단 중앙에 형성된 살수용 노즐(11)의 일측에 형성된 제2 노즐연결부(12)를 형성한 커버(10);
    상기 커버(10)의 하측에 결합되며 전면에 조작판(21)을 형성하고 내측 상단에 안착홈(22)이 형성된 하단에는 삽입부(23)를 형성하되 일측에 수전연결부(24)와 연결된 세정용밸브(25)와 살수용밸브(26)를 형성하며, 상기 살수용밸브(26)와 연결된 제1 노즐연결부(27)를 형성한 케이스(20);
    상단 안착부(31)가 형성되고, 하단의 곡면부(32)에 형성되어 있는 천공부(33)와 양측면에 관통되어 형성된 교반축(34)의 수평축과 44°∼ 48°의 일정각(A°)으로 형성되어 있는 다수의 임펠러(35)를 내측에 형성한 U자형 교반조(30);
    상기 케이스(20)의 하측에 형성되며 상기 케이스(20)의 삽입부에 형성된 세정용 밸브(25)와 연결된 세정용 노즐(41)과 드레인관(42)을 형성한 드레인판(40)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물 처리기.
KR1020050056787A 2005-06-29 2005-06-29 음식물 처리기 KR10065657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56787A KR100656572B1 (ko) 2005-06-29 2005-06-29 음식물 처리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56787A KR100656572B1 (ko) 2005-06-29 2005-06-29 음식물 처리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656572B1 true KR100656572B1 (ko) 2006-12-11

Family

ID=3773301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56787A KR100656572B1 (ko) 2005-06-29 2005-06-29 음식물 처리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56572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32785B1 (ko) 2007-04-20 2008-05-27 고천일 음식물쓰레기 소멸처리시스템장치
KR101598944B1 (ko) * 2015-01-23 2016-03-17 주식회사 건호내추럴시스템 개수대 배수관 연결형 발효소멸방식 음식물쓰레기 처리장치
KR20160038346A (ko) * 2014-09-30 2016-04-07 권지영 음식물 쓰레기 처리 장치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32785B1 (ko) 2007-04-20 2008-05-27 고천일 음식물쓰레기 소멸처리시스템장치
US7762713B2 (en) * 2007-04-20 2010-07-27 Chun Il Koh Food waste disposal system
KR20160038346A (ko) * 2014-09-30 2016-04-07 권지영 음식물 쓰레기 처리 장치
KR101711371B1 (ko) 2014-09-30 2017-03-02 권지영 음식물 쓰레기 처리 장치
KR101598944B1 (ko) * 2015-01-23 2016-03-17 주식회사 건호내추럴시스템 개수대 배수관 연결형 발효소멸방식 음식물쓰레기 처리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50210B1 (ko)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US8789779B2 (en) Food waste disposal system
KR20100006825U (ko) 좌변기용 냄새제거장치
KR100656572B1 (ko) 음식물 처리기
CN106691345A (zh) 一种水槽式清洗机
JP2006231329A (ja) 生ごみ処理器
KR100757686B1 (ko) 음식물 찌꺼기 분쇄 소멸기
KR100491216B1 (ko) 음식물 쓰레기 처리기
JPH09264041A (ja) 塵芥処理装置を有する流し台
KR200436943Y1 (ko) 음식물 찌꺼기의 분해 및 소멸 처리장치
KR100216182B1 (ko) 분말 탈취제 투입방식의 음식물쓰레기처리장치
KR100298509B1 (ko) 음식물쓰레기 처리장치
KR200342196Y1 (ko) 잔반처리기
KR200155149Y1 (ko) 분말탈취제 투입방식의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JP2010125343A (ja) 生ごみ処理装置
JP3746688B2 (ja) 生ごみ処理機
KR20090124750A (ko) 음식물 쓰레기 처리기의 악취 탈취장치
JP7289534B2 (ja) 生ごみ処理装置
JP3639565B2 (ja) 厨芥処理装置
KR200213073Y1 (ko) 음식물쓰레기 처리장치
JPH08318251A (ja) シンク装置
KR20050015278A (ko) 잔반처리기
JP2000308873A (ja) 生ゴミ処理装置
JP3059307U (ja) 厨芥処理装置
JP3068928U (ja) 生ごみ処理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00607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