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56516B1 - 셋탑박스를 이용한 멀티미디어 검색 장치 및 그 방법 - Google Patents

셋탑박스를 이용한 멀티미디어 검색 장치 및 그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56516B1
KR100656516B1 KR1020040087526A KR20040087526A KR100656516B1 KR 100656516 B1 KR100656516 B1 KR 100656516B1 KR 1020040087526 A KR1020040087526 A KR 1020040087526A KR 20040087526 A KR20040087526 A KR 20040087526A KR 100656516 B1 KR100656516 B1 KR 10065651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arch
top box
multimedia
voice
head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8752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60038299A (ko
Inventor
박지현
박종호
이종창
박재석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4008752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56516B1/ko
Publication of KR2006003829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3829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5651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5651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20Server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distribution of content, e.g. VOD servers; Operations thereof
    • H04N21/2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lementary server operations; Server middleware
    • H04N21/232Content retrieval operation locally within server, e.g. reading video streams from disk arrays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LSPEECH ANALYSIS TECHNIQUES OR SPEECH SYNTHESIS; SPEECH RECOGNITION; SPEECH OR VOICE PROCESSING TECHNIQUES; SPEECH OR AUDIO CODING OR DECODING
    • G10L15/00Speech recognition
    • G10L15/22Procedures used during a speech recognition process, e.g. man-machine dialogu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7End-user applications
    • H04N21/472End-user interface for requesting content, additional data or services; End-user interface for interacting with content, e.g. for content reservation or setting reminders, for requesting event notification, for manipulating displayed content
    • H04N21/4722End-user interface for requesting content, additional data or services; End-user interface for interacting with content, e.g. for content reservation or setting reminders, for requesting event notification, for manipulating displayed content for requesting additional data associated with the conten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7End-user applications
    • H04N21/478Supplemental services, e.g. displaying phone caller identification, shopping application
    • H04N21/4782Web browsing, e.g. WebTV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80Generation or 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by content creator independently of the distribution process; Content per se
    • H04N21/85Assembly of content; Generation of multimedia applications
    • H04N21/854Content authoring
    • H04N21/8543Content authoring using a description language, e.g. Multimedia and Hypermedia information coding Expert Group [MHEG], eXtensible Markup Language [XM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80Generation or 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by content creator independently of the distribution process; Content per se
    • H04N21/85Assembly of content; Generation of multimedia applications
    • H04N21/858Linking data to content, e.g. by linking an URL to a video object, by creating a hotspot
    • H04N21/8586Linking data to content, e.g. by linking an URL to a video object, by creating a hotspot by using a UR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Computational Linguis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udiology, Speech & Language Patholog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Information Retrieval, Db Structures And Fs Structures Therefor (AREA)
  • Two-Way Televisions, Distribution Of Moving Picture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각 컨텐츠별, 장르별로 구분 코드를 부여하고 이를 셋탑박스와 멀티미디어 서버 간 교환되는 메시지의 헤더에 이용하여 보다 편리하고 신속한 멀티미디어 검색이 가능도록 한 셋탑박스를 이용한 멀티미디어 검색 장치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에 따른 셋탑박스를 이용한 멀티미디어 검색 장치 및 방법은, 멀티미디어 컨텐츠, 장르, 내용별로 검색 헤더를 지정하고, 셋탑박스와 멀티미디어 서버 간, 사용자가 입력하는 검색 명령 데이터에 상기 검색 헤더를 추가한 메시지의 교환을 통해, 사용자가 원하는 멀티미디어를 검색하도록 한 것이다.

Description

셋탑박스를 이용한 멀티미디어 검색 장치 및 그 방법{Apparatus and Method for Searching Multimedia Using Set-top Box}
도 1은 일반적인 VOD 서비스 절차에 대한 디스플레이 화면의 일 예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멀티미디어 검색 장치의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라 사용자가 VOD 영화 4를 보고자 하는 경우의 컨텐츠 이용 흐름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멀티미디어 서비스 제어 흐름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음성 인식 데이터 전송을 위한 헤더의 구조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멀티미디어 컨텐츠 이름별 헤더 코드 표.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컨텐츠 구분 이름별 헤더 코드 표.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컨텐츠 그룹 이름별 헤더 코드 표.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에러 제어에 대한 코드 표.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멀티미디어 서버의 VOD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정보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VOD 제목 검색 동작 흐름도.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뉴스 검색 동작 흐름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00 : 셋탁박스 210 : 멀티미디어 서버
220 : TV 510 : 멀티미디어 컨텐츠 이름 필드
520 : 컨텐츠 구분 이름 필드 530 : 컨텐츠 그룹 이름 필드
540 : 에러 제어 필드
본 발명은 셋탑박스가 제공하는 다양한 멀티미디어 서비스를 음성 인식을 통하여 쉽고 간단하게 동작시키는 서비스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각 컨텐츠별, 장르별로 구분 코드를 부여하고 이를 셋탑박스와 멀티미디어 서버 간 교환되는 메시지의 헤더에 이용하여 보다 편리하고 신속한 멀티미디어 검색이 가능하도록 한 셋탑박스를 이용한 멀티미디어 검색 장치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이다.
셋탑박스(Set-top Box)란 방송 수신 및 다양한 부가 기능 구현이 가능한 제어용 박스를 일컫는다. 디지털 방송이 본격화되기 전까지 셋탑박스는 특정 방송사업자로부터의 방송데이터 수신이 주된 기능이었다. 하지만 셋탑박스의 디지털 전환이 가속화되면서 방송 수신은 물론 통신 기능, 개인영상 저장장치 기능, 전자적 프 로그램가이드 기능 등 다양한 부가 기능을 구현하는 형태로 발전하고 있다.
일반적으로 셋탑박스의 TV 포털 페이지(Portal Page)에서 제공하는 서비스를 이용하기 위해서는, 리모콘을 이용하여 해당 항목을 선택하고 다시 서브 화면으로 들어가는 등 여러 단계를 거쳐야 한다.
예를 들어, 셋탑박스를 통해 VOD(Video On Demand)를 볼 경우 로딩된 포털 첫 화면에서 리모콘으로 VOD 항목을 선택하고, 선택 사항에 따라 디스플레이 되는 장르(드라마, 만화, 액션, SF.... ) 중 하나를 선택하고, 선택된 장르 내로 들어가 여러 개의 영화 목록 화면으로 이동하여 표시해 주는 영화 목록의 수(한 화면에 4 내지 8장 영화 제목 표시)에 따라 다음 화면이나 그 다음 화면으로 이동한 다음 원하는 영화 제목을 선택해야만 사용자가 원하는 영화를 볼 수 있다.
도 1은 사용자가 일반적인 VOD 서비스를 이용해 영화 4를 보기 위해 거쳐야 하는 절차를 보여주고 있다.
셋탑박스가 제공하는 포털 화면의 제 1 단계는 VOD, 음악, 뉴스, 노래방 기능이 표시되어 있다. 사용자는 영화를 보기를 원하므로 VOD를 선택할 것이다. 제 2 단계로 영화의 장르 중 액션, 드라마, 코믹, 만화가 표시되고 있다. 영화 4가 액션 장르에 속할 경우, 사용자는 액션을 선택하고 제 3 단계로 넘어가게 된다.
제 3 단계에서 표시된 영화 1, 영화 2, 영화 3 중 사용자가 원하는 영화가 없으므로, 다음 목록을 선택하게 될 것이다. 제 4 단계에서 영화 4, 영화 5, 영화 6이 디스플레이 되고, 사용자는 이제야 비로소 자신이 찾는 영화 4를 선택할 수 있 게 된다. 영화 4를 선택하게 되면, 해당 영화에 대한 상세 설명(출연 배우, 감독, 내용 줄거리)이 표시되고, 재생하기 버튼을 동작시킴으로써 사용자는 해당 영화를 시청할 수 있게 된다.
영화 이름이나 노래 이름에 따른 일부 정렬 기능도 제공되고 있는데, '가나다' 순 정렬이라던가, 'ㄱ'으로 시작되는 영화 제목에 대한 목록을 보여준다던가, 'A'로 시작하는 노래 제목의 목록을 보는 정도이다. 이 경우에도 마찬가지로 리모콘으로 '가' 항목이나 'A' 항목을 선택하여 정렬된 목록을 검사하는 것이 현재 셋탑박스에서 제공되고 있는 멀티미디어 서비스의 모습이다. 즉, 컨텐츠 검색을 위한 방법으로 "가나다" 정렬 방법이나 "abc" 정렬 방법이 사용되고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기존의 셋탑박스가 제공하는 멀티미디어 서비스를 이용하기 위해서는 원하는 컨텐츠(Contents)를 찾기 위해 여러 단계의 하위 목록을 찾아 들어가야 한다.
즉, 리모콘을 이용하여 선택하고 서브 화면으로 여러 번 들어가서 동작시켜야 하는 문제점이 있으며, 사용자가 원하는 멀티미디어 컨텐츠를 찾으려면 멀티미디어 컨텐츠 목록 페이지를 수동으로 검색해야 하므로 멀티미디어 컨텐츠 이용시 많은 사용자의 노력과 시간이 필요하다.
본 발명은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음성 명령을 수신/처리할 수 있는 기능을 도입하여 사용자가 원하는 컨텐츠를 즉시 찾아 이용할 수 있도록 하고, 보다 빠른 검색을 위하여 음성명령 데이터와 검색 헤더 값을 포함한 데이터를 셋탑박스와 멀티미디어 서버 간에 교환하여 멀티미디어 컨텐츠를 검색하는 셋탑박스를 이용한 멀티미디어 검색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함을 그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셋탑박스를 이용한 멀티미디어 검색 방법은, 멀티미디어 컨텐츠, 장르, 내용별로 검색 헤더를 지정하는 단계와 셋탑박스와 멀티미디어 서버 간, 사용자로부터 입력되는 검색 명령 데이터와 검색 명령에 대응하는 검색 헤더를 포함하는 메시지의 교환을 통해 사용자가 원하는 멀티미디어를 검색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검색 헤더는 멀티미디어 컨텐츠 이름, 컨텐츠 구분 이름, 컨텐츠 그룹 이름을 나타내는 필드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며, 사용자의 검색 명령에 대해 적절한 검색 결과를 표시할 수 없는 경우 사용되는 에러 제어 필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사용자의 검색 명령 입력은, 키보드 또는 음성에 의한 입력 중 적어도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검색 단계는, 사용자로부터 음성 검색 명령을 받은 셋탑박스가 검색 대상 컨텐츠에 대한 검색 헤더를 생성하고, 해당 검색 명령 데이터에 추가하여 멀티 미디어 서버로 전송하는 단계, 상기 검색 헤더 및 음성 데이터를 수신한 멀티미디어 서버는 음성 데이터에 대한 음성 인식을 수행하고, 그 결과에 따른 내용을 해당 컨텐츠의 데이터베이스에서 검색하여 작성된 목록 데이터베이스화하거나 웹 페이지로 작성하여 저장하는 단계, 상기 멀티미디어 서버가 상기 목록 페이지의 URL(Uniform Resource Locator) 또는 검색 결과 데이터베이스를 셋탑박스로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목록의 URL을 수신한 셋탑박스는 해당 URL을 브라우저(browser)로 재 전송하여 해당 웹 페이지를 로딩하거나, 수신된 목록 데이터베이스를 파싱(parsing)한 결과를 TV 화면에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검색 결과 표시 단계에서, 사용자가 요구한 멀티미디어 컨텐츠에 대한 세부 항목에 대한 재 검색을 요구한 경우에는, 상기 멀티미디어 서버와 상기 셋탑박스와의 검색 헤더 및 음성 데이터 교환 과정을 반복하여 수행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사용자가 선택한 멀티미디어 컨텐츠가 VOD인 경우에는, 멀티미디어 서버로부터 셋탑박스로의 상기 URL 전송시, 해당 VOD 컨텐츠에 대한 스트리밍 방법도 함께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다루는 멀티미디어 컨텐츠는 EPG(Electronic Program Guide), VOD(Video On Demand), 노래방, 뉴스, 날씨, 게임, 전자 앨범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른 셋탑박스를 이용한 멀티미디어 검색 장치는, 초 기 포털 페이지의 브라우징을 수행하고 사용자의 명령 데이터와 그에 해당하는 검색 헤더를 멀티미디어 서버로 전송하며 그 결과를 수신하여 처리하는 셋탑박스, 멀티미디어 컨텐츠에 대한 데이터베이스를 관리하고, 상기 셋탑박스로부터 수신한 명령 데이터와 검색 헤더를 분석하여 요청된 검색어에 대한 결과 데이터베이스 또는 URL을 셋탑박스로 전송하는 멀티미디어 서버 및 상기 셋탑박스의 최종 출력을 입력받아 디스플레이 하는 TV를 포함한다.
상기 포털 페이지는 SALT(Speech Application Language Tags), X+V(XHTML+Voice), VoiceXML 중 적어도 하나의 기법을 사용하여 제작된다.
상기 장치에 있어서, 사용자에 의한 음성 검색 명령이 입력된 경우, 사용자로부터 음성 검색 명령을 받은 셋탑박스가 검색 대상 컨텐츠에 대한 검색 헤더를 생성하고, 해당 검색 명령 데이터에 추가하여 멀티미디어 서버로 전송하고, 상기 검색 헤더 및 음성 데이터를 수신한 멀티미디어 서버는, 음성 데이터에 대한 음성 인식을 수행하고 그 결과에 따른 내용을 해당 컨텐츠의 데이터베이스에서 검색하여 작성된 목록 데이터베이스화하거나 웹 페이지로 작성하여 저장하고, 상기 목록 페이지의 URL(Uniform Resource Locator) 또는 검색 결과 데이터베이스를 셋탑박스로 전송하며, 상기 목록의 URL을 수신한 셋탑박스는 해당 URL을 브라우저(browser)로 재 전송하여 해당 웹 페이지를 로딩하거나, 수신된 목록 데이터베이스를 파싱(parsing)한 결과를 TV 화면에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에 따른 멀티미디어 검색 셋탑박스는 초기 포털 페이지의 브라우징을 수행하고, 사용자의 명령 데이터와 그에 해당하는 검색 헤더를 멀 티미디어 서버로 전송하며, 상기 멀티미디어 서버로부터 검색 결과를 수신하여 처리하되, 사용자에 의한 음성 검색 명령이 입력된 경우, 상기 음성 검색 명령에 해당하는 검색 대상 컨텐츠에 대한 검색 헤더를 생성하고, 해당 검색 명령 데이터에 추가하여 멀티미디어 서버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에 따른 멀티미디어 서버는 셋탑박스로 사용자로부터의 음성 검색 명령이 입력된 경우, 상기 셋탑박스로부터 코드화된 검색 헤더 및 음성 명령 데이터를 수신하여 음성 데이터에 대한 음성 인식을 수행하고 그 결과에 따른 내용을 해당 컨텐츠의 데이터베이스에서 검색하여 작성된 목록 데이터베이스화하거나 웹 페이지로 작성하여 저장하고, 상기 목록 페이지의 URL(Uniform Resource Locator) 또는 검색 결과 데이터베이스를 셋탑박스로 전송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도면을 살펴보면서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은 셋탑박스에서 제공하는 다양한 멀티미디어 서비스를 음성 인식을 통해서 명령을 전달하고, 기존에 여러 단계를 통하여 결과를 얻어내는 문제점을 개선하여 한번에 만족할 만한 결과를 도출함으로써, 사용자로 하여금 훨씬 빠르고 쉽게 멀티미디어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도록 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와 이를 위한 시스템을 구성하고자 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멀티미디어 검색 장치의 구성을 나타내고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장치는 크게 셋탑박스(200), TV(220), 그리고 멀티미디어 서버(210)로 이루어진다.
사용자가 음성을 통해 멀티미디어 동작 명령을 내리면, 셋탑박스(200)가 해당 명령을 입력받아 멀티미디어 서버(210)로 전송하게 된다.
셋탑박스(200)는 초기 포털 페이지 브라우징 기능, 사용자의 음성 명령 데이터와 해당 모드의 헤더 값을 음성인식 서버(멀티미디어 서버)로 전송하고 그 결과를 수신하여 처리하는 기능, 그리고 멀티미디어 서버(210)로부터 멀티미디어 컨텐츠를 수신하여 이를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멀티미디어 클라이언트 기능을 담당한다.
TV(220)는 셋탑박스의 최종 출력(영상, 소리)을 입력받아 디스플레이 하는 장치이다.
멀티미디어 서버(210)는 셋탑박스로부터 전송된 음성 데이터와 헤더 값을 분석하여 요청된 검색어에 대한 결과 데이터베이스 또는 URL을 셋탑박스(200)로 전송한다. 또한 멀티미디어 컨텐츠에 대한 데이터베이스를 관리하며, 초기 포털 페이지 정보 및 요청된 멀티미디어 컨텐츠를 셋탑박스(200)로 전송한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라 사용자가 VOD 영화 4를 보고자 하는 경우의 컨텐츠 이용 과정을 보여주고 있다.
셋탑박스에 전원이 인가되면, 화면에 포털 화면이 초기 메뉴로 디스플레이 된다. 포털 화면에는 멀티미디어 서버와 셋탑박스가 제공하는 VOD, 음악, 뉴스, 노래방 등 여러 멀티미디어 서비스가 표시될 것이다.
영화를 시청하길 원하는 사용자가 영화 제목 등을 음성 입력하면 셋탑박스는 음성 인식을 통하여 입력된 음성에 해당하는 문자를 포함하는 모든 영화 제목을 검색하여 화면에 표시해 준다. 사용자가 표시된 영화 제목 리스트 중 시청을 원하는 정확한 영화 제목이나 해당 항목 번호를 음성으로 입력하면, 셋탑박스는 해당 영화에 대한 상세 정보를 화면에 표시해 주게 된다.
사용자가 "VOD"라고 음성 명령을 내리면 셋탑박스에서는 음성 인식을 통하여 포털 화면에서 VOD 정보 화면으로 자동으로 이동하게 된다.
이 때, 사용되는 셋탑박스의 브라우저는 키보드와 음성 입력이 모두 가능한 멀티모달 브라우저(Multi-Modal Browser)이며, 포탈 페이지는 SALT(Speech Application Language Tags), X+V(XHTML+Voice), VoiceXML 등의 기법을 이용하여 제작되어 있다고 가정한다.
여기서, 브라우저는 월드 와이드 웹에서 모든 정보를 볼 수 있도록 해주는 응용 프로그램으로, 일반적인 기능으로는 웹 페이지 열기, 최근 방문한 인터넷 주소의 목록 제공, 자주 방문하는 URL 기억 및 관리, 웹 페이지의 저장 및 인쇄, 전자우편이나 뉴스 그룹을 이용할 수 있는 프로그램과 HTML 문서 편집 등이 있다.
일반적으로 웹 브라우저는 인터넷에 존재하는 다양한 형태의 서비스를 동시에 지원하는 도구로 HTTP, FTP, 유즈넷 뉴스, e-mail, 고퍼, 텔넷 등의 서비스를 동시에 지원한다. 이러한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하는 수많은 서버들로부터 필요한 정보를 획득하기 위해 이들의 위치를 표시하는 체계가 필요한데, 이를 위해 URL(Uniform Resource Locator)이 사용된다. URL은 웹 상에서 서비스를 제공하는 각 서버들에 있는 파일들의 위치를 명시하기 위한 것으로 접속해야 될 서비스의 종류, 서버의 위치(도메인 네임), 파일의 위치를 포함한다. 일반적인 체계(syntax)는 "프로토콜://정보를 가진 컴퓨터 이름/디렉토리 이름/파일 네임"으로 구성된다.
셋탑박스는 VOD 정보 검색 모드로 전환되면서 멀티미디어 서버로 전송하는 검색 데이터에 현재 검색 모드에 대한 필드 값을 적용할 수 있도록 내부적으로 VOD 정보 검색 모드임을 저장한다.
초기 VOD 정보 검색의 기본 설정은 '영화 제목' 검색 모드이며, 사용자의 음성 명령에 따라 장르별, 감독별, 주연배우별, 시청 등급별, 제작 년도 별로 검색 모드를 변경할 수 있다.
검색 모드의 변경은 셋탑박스에서 음성으로 인식되어 자동으로 수행되며, 멀티미디어 서버로 전송되는 검색 헤더에 현재 검색 모드에 대한 필드 값을 적용할 수 있도록 내부적으로 저장된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멀티미디어 서비스 제어 흐름을 나타내고 있다.
셋탑박스에 전원이 인가되고, TV 화면을 통해 초기 포털 화면이 디스플레이 된다. 이때 사용자가 제공되는 멀티미디어 서비스 중 원하는 멀티미디어 서비스를 선택하여 음성 명령을 내리면, 셋탑박스에서 음성 인식을 통하여 포털 화면에서 선택한 멀티미디어 서비스에 관한 정보 화면으로 자동으로 이동하게 된다. 멀티미디어 서비스의 예로는, EPG, VOD, 노래방, 뉴스, 날씨, 게임, 전자 앨범 등을 들 수 있다.
여기서, EPG(Electronic Program Guide ; 전자프로그램가이드)란 빈 주파수대나 여유 채널을 사용하는 데이터방송을 통해 디지털TV의 화면상에 표시하는 방송프로그램 일정표를 말한다.
 시청자는 리모컨으로 이 EPG를 조작해 당일은 물론이고 약 1주일 후에 어느 방송국에서 어떤 방송프로그램을 방영하는지 등을 간단히 파악할 수 있다. 또한 원하는 프로그램 이름을 지정하면 일람표보다도 더욱 상세한 프로그램 정보를 얻을 수 있고, 서비스에 따라서는 EPG 화면으로부터 프로그램 이름을 지정해 예약 녹화도 할 수도 있다.
사용자가 포털 화면에서 VOD나 노래방 등 각 분야별 서비스 화면으로 이동한 후에도 포털 화면을 원하는 음성 명령을 내리면 다시 다른 포털 화면으로 이동할 수 있으며, 또 다른 멀티미디어 서비스 제공 화면으로 이동 가능하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음성 인식 데이터 전송을 위한 헤더의 구조를 나타내고 있다.
도 5의 구조도의 "0, 1, 2, ... " 숫자는 비트를 나타낸다. 도 5의 실시예에서 각 멀티미디어 서비스를 구분하기 위해 사용되는 헤더 길이는 총 4 바이트(Byte)이나, 컨텐츠 수가 증가할 경우 구분 인자가 더 필요하므로 헤더로 사용되는 바이트 수 또한 증가해야 할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헤더의 첫 번째 필드는 멀티미디어 컨텐츠 이름(Multimedia Contents Name Field)(510)을 나타내는 필드이고, 두 번째 필드는 컨텐츠 구분 이 름(Contents Division Name Field)(520)을, 세 번째 필드는 컨텐츠 그룹 이름(Contents Group Name Field)(530)을 나타내고 있다. 마지막 필드는 에러 제어 필드(540)이다.
도 6 내지 도 9를 통해 각 필드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살펴보도록 하자.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멀티미디어 컨텐츠 이름별 헤더 코드 표를 나타내고 있다.
도 5에서 멀티미디어 컨텐츠에 할당된 공간이 1 바이트임을 감안한다면, 1바이트로 표현할 수 있는 멀티미디어 컨텐츠의 종류는 모두 256가지이다. 이를 헥사 값으로 표현하면 0x00부터 0xff까지의 코드로 각 멀티미디어 컨텐츠를 정의할 수 있다.
도 6에서 몇 가지 컨텐츠에 대한 예시를 제시하고 있는데, 헥사 코드 0x00 및 0xff는 예비 필드로 남겨 놓았고, 0x01부터 VOD(영화), 뉴스, 음악, 노래방 등 각 컨텐츠에 할당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컨텐츠 구분 이름별 헤더 코드 표를 나타내고 있다.
식별 코드의 두 번째 필드로 설정되는 컨텐츠 구분 이름은, 각 멀티미디어 컨텐츠별 장르 내지 구분 기준 정도로 이해될 수 있다.
도 7의 예를 들어보자면, 이 경우는 멀티미디어 컨텐츠가 VOD로 설정된 경우를 전제로 하고 있으며, 영화의 장르별로 최신 영화, 인기 영화, 만화 영화, 액션 영화, 멜로, 드라마, 스럴러, 공포, 환타지, SF, TV 재방송, 다큐멘터리 등에 대해 구분 코드를 부여하고 있다.
컨텐츠 구분 이름 필드에 할당된 공간도 역시 1바이트이며, 모두 256 개의 컨텐츠별 장르 구분을 정의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컨텐츠 그룹 이름별 헤더 코드 표를 나타내고 있다.
식별 코드의 세 번째 필드인 컨텐츠 그룹 이름 필드는, VOD를 예로 들자면 각 영화별 상세 정보에 대한 기준을 마련해 놓은 구분자를 정의한다.
즉, 사용자가 각 영화의 제목, 주연 배우, 감독, 제작 년도, 제작 국가, 시청등급 구분, 상영 시간 등의 정보에 대한 검색을 요구한 경우 해당 정보에 설정된 코드 번호를 부여하는 것이다.
컨텐츠 그룹 이름 필드에 할당된 공간도 역시 1바이트이며, 모두 256 개의 컨텐츠별 그룹을 정의할 수 있다.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에러 제어에 대한 코드 표를 나타낸다.
에러 제어 필드(540)는 사용자가 원하는 검색어에 대한 검색 결과가 없거나, 검색 시간이 초과된 경우, 또는 데이터베이스 오류인 경우 등 에러 상태를 나타내기 위해 부여된 필드이다. 에러 제어 필드가 값을 가지면, 해당 에러 제어 필드에 해당하는 에러 메시지를 사용자에게 알려주어야 한다.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멀티미디어 서버의 VOD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정보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를 나타낸다.
도 10을 살펴보면, 각 영화 제목별로 ID가 주어져 있으며 각각의 ID에 따라 감독, 주연 배우, 장르, 제작 국가, 제작 년도, 등급 등 해당 영화에 대한 상세 정보를 포함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도 10에서 두 번째 항목으로 제시하는 영화 '슈렉 2'는, ID가 '20040002'로 지정되어 있고, 감독은 '콘래드 베논', 주연 배우는 '마이크 아이어스와 에디 머피', 장르는 '만화'이며, 미국에서 제작된 것임을 알 수 있다. 또한 제작 년도는 '2004년 6월 18일'이며 가족시청 등급이다.
도 5 내지 도 9의 실시예를 근거로, VOD 컨텐츠의 영화 제목 검색일 경우의 헤더 값을 추정해보면 "0x 01 00 01 00"이 됨을 알 수 있다. VOD 컨텐츠의 가족 시청 영화 검색일 경우의 헤더 값은 "0x 01 00 09 00"이고, 인기 영화 중 가족 시청 영화 검색의 경우에는 "0x 01 02 09 00"이 될 것이다. 또한, 뉴스 컨텐츠의 제목 검색일 경우의 헤더 값은 "0x 02 00 00 00"이 된다.
셋탑박스에서 사용자가 내린 음성 명령에 대하여 멀티미디어 서버에 있는 컨텐츠를 직접적으로 서비스 받을 수 있도록 다음과 같은 동작으로 구현될 수 있다. 여러 가지 멀티미디어 서비스 중 VOD 서비스, 뉴스 서비스를 예로 들어 설명하기로 한다.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VOD 제목 검색 동작 흐름을 나타내고 있다.
셋탑박스의 초기 포털 화면에서 사용자가 "VOD"라는 음성 명령을 내리면, 셋탑박스는 음성 인식을 통하여 포털 화면에서 VOD 정보 화면으로 자동 이동하게 된다. 셋탑박스는 VOD 정보 검색 모드로 전환되면서 멀티미디어 서버로 전송하는 검색 데이터에 현재 검색 모드에 대한 필드 값을 적용할 수 있도록 내부적으로 VOD 정보검색 모드임을 저장한다(S100).
사용자가 영화 '친구'를 보고 싶어한다고 가정하자. 사용자가 '영화 제목' 검색 모드에서 '친구'라고 음성 명령을 내리면(S101), 셋탑박스는 이 음성 데이터에 VOD-'영화 제목' 검색 모드에 해당하는 필드 값의 헤더를 추가하여(S102) 멀티미디어 서버로 전송한다(S103). 이 때의 헤더 값은 "0x01000100"이 될 것이며, 헤더 뒤에 추가되는 데이터는 '친구'라는 음성 데이터이다.
이 데이터를 수신한 멀티미디어 서버는 음성인식 서버를 이용하여 음성 데이터에 대한 음성 인식을 수행하고(S104), 그 결과에 따라 VOD 데이터베이스의 영화 제목 항목을 검색하여(S105), 적절한 검색 결과가 나온 경우(S106)에는 '친구'라는 단어가 포함된 영화 제목 목록을 데이터베이스화하거나 웹 페이지로 작성하여 서버에 저장한다(S108).
하지만 검색 결과, 멀티미디어 서버가 보유하는 DB에 해당 자료가 없는 등의 경우에는 "선택된 목록이 없습니다"와 같은 에러 메시지를 TV 화면을 통해 출력한다(S107).
이렇게 저장된 영화 제목 리스트 페이지는 멀티미디어 서버 내의 특정 URL(Uniform Resource Locator)을 가지게 되고, 멀티미디어 서버는 이 영화 제목 리스트 페이지의 URL 또는 검색 결과 데이터베이스를 직접 셋탑박스로 전송한다(S108).
영화 제목 리스트 페이지의 URL을 수신한 셋탑박스는 해당 URL을 브라우저로 재전송하여 해당 웹 페이지를 로딩하거나 수신된 영화 제목 데이터베이스를 직접 파싱(Parsing)하여 사용자에게 전송한다(S109). 여기서, 파싱이란 프로그램 언어 등의 소스를 정해진 문법에 따라 내부의 표현 방식으로 해석하는 것을 말한다. 주로 웹 상에서 XML(eXtensible Markup Language)문서를 읽어 들여서 다른 프로그램이나 서브루틴이 사용할 수 있는 내부의 표현 방식으로 해석하는 것을 의미한다.
이때, TV 화면을 통해 사용자에게 디스플레이 되는 내용은 도 11에 나타난 바와 같이, '친구'라는 검색어를 포함하는 모든 영화 제목이 될 것이다. 즉, '내 여자 친구를 소개합니다', '내 남자 친구는 왕자님', '내 가장 친한 친구' 등의 영화 제목들이 이에 해당하게 된다.
'친구'라는 검색어를 포함하는 영화 목록이 TV 화면을 통해 다시 디스플레이되면, 사용자는 이 중 자신이 원하는 영화명인 '친구' 또는 친구에 해당하는 '항목 번호'를 음성으로 입력한다(S110).
셋탑박스는 이 음성 데이터와 현재 모드에 필요한 검색 헤더를 추가 생성하고, 이를 멀티미디어 서버로 전송한다. 음성 명령 정보 및 검색 헤더를 받은 멀티미디어 서버는 해당하는 VOD 컨텐츠에 대한 URL 및 스트리밍(Streaming : 음성이나 영상, 애니메이션 등을 다운로드 없이 실시간으로 재생하는 기법) 방법을 셋탑박스로 재전송한다.
VOD 컨텐츠에 대한 URL 및 스트리밍 방법을 수신한 셋탑박스는 사용자에게 VOD '친구'의 재생 준비가 완료되었음을 알리고, 사용자로부터 최종 결정을 기다린다(S111). 사용자가 최종적으로 '재생' 명령을 내리면(S112), 셋탑박스는 VOD의 재생을 시작하고(S114) 재생이 완료되면 해당 영화에 대한 VOD 절차를 종료하고(S115), VOD 초기 화면으로 되돌아간다(S116).
만일, 사용자가 최종 결정시에 해당 항목에 대한 재생을 최소하면 셋탑박스는 "사용자가 취소하였습니다"라는 에러 메시지를 TV 화면을 통해 출력하고(S113), VOD 초기 화면으로 되돌아간다(S116).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뉴스 검색 동작 흐름을 나타내고 있다.
셋탑박스에 전원이 인가되고, 초기 포털 화면이 디스플레이 되어 있는 상태에서 사용자가 '뉴스'라고 음성 명령을 내리면, 셋탑박스는 음성 인식을 통하여 포털 화면에서 뉴스 정보 화면으로 자동 이동하게 된다. 셋탑박스는 뉴스 정보 검색 모드로 전환하면서 멀티미디어 서버로 보내는 검색 데이터에 현재 검색 모드에 대한 필드 값을 적용할 수 있도록 내부적으로 뉴스정보 검색 모드임을 저장한다(S200).
도 12의 실시예에서는, 초기 뉴스정보 검색의 기본 설정이 '최신 기사' 검색 모드이며, 사용자의 음성 명령에 따라 신문별, 분야별(정치, 경제, 스포츠 등), 인 기 뉴스별로 검색 모드가 변경될 수 있다. 검색 모드 변경은 셋탑박스에서 음성 인식 결과에 따라 자동으로 수행되며, 멀티미디어 서버로 전송하는 검색 데이터에 현재 검색 모드에 대한 필드 값을 적용할 수 있도록 내부적으로 저장된다.
사용자가 '프로야구'에 대한 뉴스 내용을 보고싶어 한다고 가정하자, 사용자가 '최신 기사' 검색 모드에서 '프로야구'라고 음성 명령을 내리면(S201), 셋탑박스는 이 음성 데이터에 뉴스-최신기사에 해당하는 검색 모드 헤더 값을 추가하여(S202) 멀티미디어 서버로 전송한다(S203). 이때의 헤더 값은 "0x02010000"이고, 헤더 값이 추가되는 데이터는 "프로야구"라는 음성 데이터이다.
이 데이터를 수신한 멀티미디어 서버는 '프로야구'에 대한 음성 인식 작업을 수행하고(S204), 그 결과에 따라 뉴스 데이터베이스의 최신기사 항목을 검색하여(S205), 검색 결과(S206) 적절한 데이터가 도출된 경우에는 '프로야구'라는 단어가 포함된 뉴스 제목 리스트를 데이터베이스화하거나 웹 페이지로 작성하여 서버에 저장한다. 이렇게 저장된 뉴스 제목 리스트 페이지는 멀티미디어 서버 내의 특정 URL을 가지게 되고, 멀티미디어 서버는 이 뉴스 제목 리스트 페이지의 URL 또는 검색 결과 데이터베이스를 셋탑박스로 다시 전송한다(S208).
검색 결과(S206), 선택된 목록이 뉴스 데이터베이스에 존재하지 않는 등의 경우에는 "선택된 목록이 없습니다"라는 에러 메시지를 사용자에게 전송해준다(S207).
뉴스 제목 리스트 페이지의 URL 또는 데이터베이스를 수신한 셋탑박스는 해당 URL을 브라우저로 재전송하여 웹 페이지를 로딩하여 디스플레이 하거나, 수신한 데이터베이스를 직접 파싱하여 사용자에게 표시해 준다(S209). 이때, TV 화면을 통해 사용자에게 디스플레이 되는 내용은 도 11에 나타난 바와 같이, 뉴스 중 '프로야구'와 관련된 모든 야구 정보가 될 것이다. 즉, '플레이오프 경기 결과', 선수 일문일답', '전문가 의견', '병력비리 일파만파' 등의 항목이 이에 해당된다.
사용자는 자신이 선택한 '프로야구'라는 검색어에 해당하는 뉴스 목록을 TV 화면을 통해 보게 되고, 이 중 자신이 원하는 뉴스 제목 또는 그에 해당하는 항목 번호를 음성으로 선택한다(S210). 사용자가 선택한 세부항목에 대한 재 검색을 요청하게 되면(S211), 셋탑박스는 사용자의 검색 요청을 검토하여(S212) 적절한 경우에는 멀티미디어 서버에 해당 세부항목에 대한 DB 검색 과정을 되풀이하게 된다.
즉, 셋탑박스는 해당 세부 항목에 대한 음성 데이터와 현재 모드에 필요한 검색 헤더를 추가 생성하여(S213), 멀티미디어 서버로 전송한다(S203). 뉴스 컨텐츠의 음성 명령 데이터와 검색 헤더를 받은 멀티미디어 서버는 해당하는 뉴스 컨텐츠에 대한 URL 또는 데이터베이스를 셋탑박스로 다시 전송한다(S204, S205, S206, S207, S208, S209). 검색 요청이 적절치 않은 경우에는 초기 검색 결과 화면으로 되돌아간다(S214).
뉴스 컨텐츠에 대한 URL 또는 데이터베이스를 수신한 셋탑박스는 해당 URL을 브라우저로 전송하여 웹 페이지를 로딩하여 디스플레이 하거나, 수신된 데이터베이스를 직접 파싱하여 디스플레이 한다.
멀티미디어 서비스 중 노래방 서비스도 상술한 VOD와 뉴스 서비스의 경우와 유사한 방법으로 검색할 수 있으며, 사용자가 원하는 검색 필드는 곡명, 가수, 장르별 검색을 비롯하여, 일정 부분의 노래 가사에 대한 검색도 포함될 수 있다.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음성 인식을 기본으로 하여 전개되었다. 그러나, 본 발명을 음성 인식을 통해서만 멀티미디어 검색이 가능한 장치 및 방법으로 한정할 필요는 전혀 없으며, 음성 인식이 사용자 입장에서 보다 편리하다는 면을 강조하기 위해 음성 인식을 통한 검색을 기본으로 하여 서술한 것뿐임을 명확히 하고자 한다.
즉, 음성 인식이 아닌 문자 입력에 따른 검색 또한 본 발명의 범주에 속한다 할 것이며, 사용자의 명령 입력에 대한 처리 절차만 달라질 뿐 각 컨텐츠별, 장르별 코드 부여와 헤더 추가라는 본 발명의 핵심부는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다 할 것이다. 또한 문자 입력을 통한 검색은 시스템 측면에서는 음성 인식보다 간편한 구현이 가능한 이점이 있을 수 있다.
본 발명은, 사용자가 셋탑박스에서 제공하는 다양한 멀티미디어 서비스를 음성 인식을 통하여 명령을 전달하는 방법을 사용하여 편리하고 신속한 검색 환경을 제공하며, 사용자로 하여금 멀티미디어 서버 이용에 대한 욕구를 증대시키고 나아가 음성 인식을 통한 멀티미디어 서비스가 보다 확대되어 사용자뿐만 아니라 서비스 제공업자들도 새로운 사업을 창출할 수 있게 하는 이점을 가진다.

Claims (16)

  1. 다수의 컨텐츠를 제공하는 멀티미디어 서버와 연결된 셋탑박스를 통해 멀티미디어 서비스를 검색하는 방법에 있어서,
    멀티미디어 컨텐츠, 장르, 내용별로 검색 헤더를 지정하는 단계; 와
    셋탑박스가 사용자로부터 입력되는 음성에 의한 검색 명령 데이터와 검색 명령에 대응하는 검색 헤더를 포함하는 메시지를 멀티미디어 서버로 전송하여, 사용자가 원하는 멀티미디어를 검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셋탑박스를 이용한 멀티미디어 검색 방법.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검색 헤더는,
    멀티미디어 컨텐츠 이름, 컨텐츠 구분 이름, 컨텐츠 그룹 이름을 나타내는 필드 중 적어도 하나의 필드를 포함하는 셋탑박스를 이용한 멀티미디어 검색 방법.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검색 헤더는,
    사용자의 검색 명령에 대해 적절한 검색 결과를 표시할 수 없는 경우 사용되 는 에러 제어 필드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셋탑박스를 이용한 멀티미디어 검색 방법.
  4. 삭제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검색 단계는,
    사용자로부터 음성 검색 명령을 받은 셋탑박스가 검색 대상 컨텐츠에 대한 검색 헤더를 생성하고, 해당 검색 명령 데이터에 추가하여 멀티미디어 서버로 전송하는 단계;
    상기 검색 헤더 및 음성 데이터를 수신한 멀티미디어 서버는 음성 데이터에 대한 음성 인식을 수행하고, 그 결과에 따른 내용을 해당 컨텐츠의 데이터베이스에서 검색하여 작성된 목록 데이터베이스화하거나 웹 페이지로 작성하여 저장하는 단계;
    상기 멀티미디어 서버가 상기 목록 페이지의 URL(Uniform Resource Locator) 또는 검색 결과 데이터베이스를 셋탑박스로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목록의 URL을 수신한 셋탑박스는 해당 URL을 브라우저(browser)로 재 전송하여 해당 웹 페이지를 로딩하거나, 수신된 목록 데이터베이스를 파싱(parsing)한 결과를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셋탑박스를 이용한 멀티미디어 검색 방법.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셋탑박스의 브라우저는,
    멀티모달(Multi-Modal) 브라우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셋탑박스를 이용한 멀티미디어 검색 방법.
  7.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검색 결과 표시 단계에서,
    사용자가 요구한 멀티미디어 컨텐츠에 대한 세부 항목에 대한 재 검색을 요구한 경우에는,
    상기 멀티미디어 서버와 상기 셋탑박스와의 검색 헤더 및 음성 데이터 교환 과정을 반복하여 수행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셋탑박스를 이용한 멀티미디어 검색 방법.
  8. 제 5항에 있어서,
    사용자가 선택한 멀티미디어 컨텐츠가 VOD인 경우에는,
    멀티미디어 서버로부터 셋탑박스로의 상기 URL 전송시, 해당 VOD 컨텐츠에 대한 스트리밍 방법도 함께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셋탑박스를 이용한 멀티미디어 검색 방법.
  9.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멀티미디어 컨텐츠는,
    EPG(Electronic Program Guide), VOD(Video On Demand), 노래방, 뉴스, 날씨, 게임, 전자 앨범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셋탑박스를 이용한 멀티미디어 검색 방법.
  10. 다수의 컨텐츠를 제공하는 멀티미디어 서버와 연결된 셋탑박스를 통해 멀티미디어 서비스를 검색하는 장치에 있어서,
    초기 포털 페이지의 브라우징을 수행하고, 사용자가 입력하는 음성 명령 데이터와 그에 해당하는 검색 헤더를 멀티미디어 서버로 전송하며, 상기 멀티미디어 서버로부터 검색 결과를 수신하여 처리하는 셋탑박스; 와
    멀티미디어 컨텐츠에 대한 데이터베이스를 관리하고, 상기 셋탑박스로부터 수신한 명령 데이터와 검색 헤더를 분석하여 요청된 검색어에 대한 결과 데이터베이스 또는 URL을 셋탑박스로 전송하는 멀티미디어 서버를 포함하는 셋탑박스를 이용한 멀티미디어 검색 장치.
  11.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포털 페이지는,
    SALT(Speech Application Language Tags), X+V(XHTML+Voice), VoiceXML 중 적어도 하나의 기법을 사용하여 제작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셋탑박스를 이용한 멀티미디어 검색 장치.
  12. 삭제
  13. 제 10항에 있어서,
    사용자에 의한 음성 검색 명령이 입력된 경우,
    사용자로부터 음성 검색 명령을 받은 셋탑박스가 상기 음성 검색 명령에 해당하는 검색 대상 컨텐츠에 대한 검색 헤더를 생성하고, 해당 검색 명령 데이터에 추가하여 멀티미디어 서버로 전송하고,
    상기 검색 헤더 및 음성 데이터를 수신한 멀티미디어 서버는, 음성 데이터에 대한 음성 인식을 수행하고 그 결과에 따른 내용을 해당 컨텐츠의 데이터베이스에서 검색하여 작성된 목록 데이터베이스화하거나 웹 페이지로 작성하여 저장하고, 상기 목록 페이지의 URL(Uniform Resource Locator) 또는 검색 결과 데이터베이스를 셋탑박스로 전송하며,
    상기 목록의 URL을 수신한 셋탑박스는 해당 URL을 브라우저(browser)로 재 전송하여 해당 웹 페이지를 로딩하거나, 수신된 목록 데이터베이스를 파싱(parsing)한 결과를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셋탑박스를 이용한 멀티미디어 검색 장치.
  14. 제 13항에 있어서,
    사용자가 요구한 멀티미디어 컨텐츠에 대한 세부 항목에 대한 재 검색을 요구한 경우에는,
    상기 멀티미디어 서버와 상기 셋탑박스와의 검색 헤더 및 음성 데이터 교환 과정을 반복하여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셋탑박스를 이용한 멀티미디어 검색 장치.
  15. 다수의 컨텐츠를 제공하는 멀티미디어 서버와 연결되어 미디어 서비스를 검색하는 셋탑박스에 있어서,
    초기 포털 페이지의 브라우징을 수행하고, 사용자의 명령 데이터와 그에 해당하는 검색 헤더를 멀티미디어 서버로 전송하며, 상기 멀티미디어 서버로부터 검색 결과를 수신하여 처리하되,
    사용자에 의한 음성 검색 명령이 입력된 경우,
    상기 음성 검색 명령에 해당하는 검색 대상 컨텐츠에 대한 검색 헤더를 생성하고, 해당 검색 명령 데이터에 추가하여 멀티미디어 서버로 전송하는 멀티미디어 검색 셋탑박스.
  16. 셋탑박스에 연결되어 다수의 컨텐츠를 제공하는 멀티미디어 서버에 있어서,
    셋탑박스로 사용자로부터 음성 검색 명령이 입력된 경우,
    상기 셋탑박스로부터 코드화된 검색 헤더 및 음성 명령 데이터를 수신하여, 음성 데이터에 대한 음성 인식을 수행하고 그 결과에 따른 내용을 해당 컨텐츠의 데이터베이스에서 검색하여 작성된 목록 데이터베이스화하거나 웹 페이지로 작성하 여 저장하고, 상기 목록 페이지의 URL(Uniform Resource Locator) 또는 검색 결과 데이터베이스를 셋탑박스로 전송하는 멀티미디어 서버.
KR1020040087526A 2004-10-29 2004-10-29 셋탑박스를 이용한 멀티미디어 검색 장치 및 그 방법 KR10065651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87526A KR100656516B1 (ko) 2004-10-29 2004-10-29 셋탑박스를 이용한 멀티미디어 검색 장치 및 그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87526A KR100656516B1 (ko) 2004-10-29 2004-10-29 셋탑박스를 이용한 멀티미디어 검색 장치 및 그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38299A KR20060038299A (ko) 2006-05-03
KR100656516B1 true KR100656516B1 (ko) 2006-12-11

Family

ID=3714591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87526A KR100656516B1 (ko) 2004-10-29 2004-10-29 셋탑박스를 이용한 멀티미디어 검색 장치 및 그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56516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68653B1 (ko) * 2006-05-26 2007-10-18 주식회사 케이티 음성 인식 기반의 ip-tv 서비스 제어 시스템과 그방법 및 기록매체
KR100872231B1 (ko) * 2007-08-09 2008-12-05 브로드밴드미디어주식회사 Vod 서비스망에서 채널 정보 파일 미포함 vod 컨텐츠검색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 및 시스템
KR101909250B1 (ko) * 2012-06-07 2018-10-17 주식회사 케이티 단말의 음성 정보에 기초하여 서비스 타입을 결정하는 음성 인식 서버, 서비스 타입에 따라 단말로 컨텐츠를 제공하는 컨텐츠 서버, 단말 및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38299A (ko) 2006-05-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03527B1 (ko) 렌더링된 미디어 서비스의 관련 미디어 서비스에 대한 검색을 수행하는 방법
US8112420B2 (en) Information search system,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and method, and information search apparatus and method
JP3654173B2 (ja) 番組選択支援装置、番組選択支援方法およびそのプログラムを記録した記録媒体
US8813127B2 (en) Media content retrieval system and personal virtual channel
US8055676B2 (en) Method for providing requested fields by get—Data operation in TV-anytime metadata service
KR101493696B1 (ko) 통합 메타데이터 생성 방법 및 그 장치
US20050257130A1 (en) User terminal, display data generation method, and computer program
KR20040026703A (ko) 다수의 전자 프로그램 가이드 소스들을 하나의 신뢰가능한전자 프로그램 가이드로 조합하는 방법 및 시스템
KR20010107394A (ko) 멀티미디어 시스템의 사용자 선호도 정보 구조와 객체표현정보 구성 방법 및 멀티미디어 정보 서비스 방법
KR20070111992A (ko) 웹 정보처리장치 및 웹 정보처리방법과, 정보처리장치 및정보처리장치의 제어방법
KR20030096218A (ko) 데이터베이스에 의해 분산 사건들의 테이블들을 포함하는오디오-비주얼 플럭스에서의 오디오-비주얼 프로그램들또는 콘텐츠의 검색 방법
KR100656516B1 (ko) 셋탑박스를 이용한 멀티미디어 검색 장치 및 그 방법
JP2002007460A (ja) コンテンツ選択装置、コンテンツ選択方法および記録媒体
JP2012160107A (ja) 情報処理装置及び情報処理方法
US10587931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managing a personal channel
EP1916844A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storing broadcast program
JP5885808B2 (ja) デジタル放送受信装置及びデジタル放送受信方法
KR100936240B1 (ko) Soap 오퍼레이션을 이용한 컨텐츠 질의방법
TW200816813A (en) A method of producing the data stream of the digital televesion
JP2005056228A (ja) デジタルコンテンツ配信システム及び検索キー候補生成方法とその装置、プログラム並びにその記録媒体
Oh et al. A Digital TV Agent System for Broadcast and Web Information Hybrid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AMND Amendment
B701 Decision to gr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129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128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127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127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129

Year of fee payment: 11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