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55572B1 - 무선접속 분산시스템의 중앙 기지국에서의 역방향 사용자용량 증가를 위한 복조 방법 - Google Patents

무선접속 분산시스템의 중앙 기지국에서의 역방향 사용자용량 증가를 위한 복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55572B1
KR100655572B1 KR1020000077403A KR20000077403A KR100655572B1 KR 100655572 B1 KR100655572 B1 KR 100655572B1 KR 1020000077403 A KR1020000077403 A KR 1020000077403A KR 20000077403 A KR20000077403 A KR 20000077403A KR 100655572 B1 KR100655572 B1 KR 10065557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gnal
uplink
base station
demodulation
distribution syste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7740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20048114A (ko
Inventor
이병양
김태근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케이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케이티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케이티
Priority to KR102000007740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55572B1/ko
Publication of KR2002004811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4811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5557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5557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7/00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 H04B7/02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 H04B7/04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38Transceivers, i.e. devices in which transmitter and receiver form a structural unit and in which at least one part is used for function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 H04B1/40Circuits
    • H04B1/44Transmit/receive switch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1. 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
본 발명은 무선접속 분산시스템의 중앙 기지국에서의 역방향 사용자 용량 증가를 위한 복조 방법에 관한 것임.
2. 발명이 해결하려고 하는 기술적 과제
본 발명은 에스씨엠(SCM: SubCarrier Multiplexing) 방식 아날로그 CDMA 무선접속 분산망(분산시스템)의 중앙 기지국(Central Station)에서 주파수 다중화된 상향 합성신호(즉, 역방향 합성신호)를 수신 안테나마다의 상향신호로 분배한 후, 그 분배된 신호들을 합하지 않고 각각의 상향신호를 개별적으로 서로 다른 복조기(demodulator)을 통하여 복조함으로써, 사용자의 통화품질의 향상 및 전체 시스템 용량의 증가를 시킬 수 있게 하는 무선접속 분산시스템의 중앙 기지국에서의 역방향 사용자 용량 증가를 위한 복조 방법 및 상기 방법을 실현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음.
3. 발명의 해결 방법의 요지
본 발명은, 무선접속 분산시스템의 중앙 기지국에 적용되는 복조방법에 있어서, 이동단말로부터 송신되어 적어도 2 이상의 안테나를 통하여 수신되어 주파수 다중화된 상향(역방향) 합성신호를 수신하는 제 1 단계; 상기 수신된 주파수 다중화된 상향 합성신호를 상기 안테나 마다의 상향 신호로 분배하는 제 2 단계; 및 상기 제 2 단계에서 분배된 각각의 상향 신호를 개별적으로 복조기(demodulator)를 통하여 프레임화된 복조 신호로 변환한 후, 상기 프레임화된 복조 신호를 다중화하여 통신망을 통하여 상대 단말기로 전송하는 제 3 단계를 포함함.
4. 발명의 중요한 용도
본 발명은 무선접속 분산시스템 등에 이용됨.
CDMA, 광분산, 무선접속 광분산시스템, 무선접속 분산시스템.

Description

무선접속 분산시스템의 중앙 기지국에서의 역방향 사용자 용량 증가를 위한 복조 방법{Method for demodulating for uplink user capacity enhancement at the central station of a distributed radio access system}
도 1 은 본 발명에 따른 무선접속 광분산시스템의 중앙 기지국에서의 역방향 사용자 용량 증가를 위한 복조 방법에 대한 일실시예 설명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 설명
10: 이동단말 20, 30: 원격 포트(RP)
40: 광선로 50: 중앙 기지국
본 발명은 무선접속 분산시스템의 중앙 기지국에서의 복조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에스씨엠(SCM: SubCarrier Multiplexing) 방식 아날로그 CDMA 무선접속 분산망(분산시스템)의 중앙 기지국(Central Station)에서 주파수 다중화된 상향 합 성신호(즉, 역방향 합성신호)를 수신 안테나마다의 상향신호로 분배한 후, 그 분배된 신호들을 합하지 않고 각각의 상향신호를 개별적으로 서로 다른 복조기 (demodulator)을 통하여 복조함으로써, 사용자의 통화품질의 향상 및 전체 시스템 용량의 증가를 시킬 수 있게 하는 무선접속 분산시스템의 중앙 기지국에서 역방향 사용자 용량 증가를 위한 복조 방법 및 상기 방법을 실현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무선접속망은 기지국과 중계기 위주로 이루어져 있으며, 기지국 장비는 크게 RF부와 기저대역부로 나누어진다. 이때 여러 기지국의 기저대역부를 한곳에 통합하고 RF부는 원격 장치(Remote Unit)로 원격에 위치해놓고 각 원격 장치(Remote Unit)와 중앙 기지국(Central Staion) 사이는 광케이블로 연결을 시키면 관리와 유지보수가 용이해진다.
또한, 기저대역부를 중앙집중적으로 관리할 수 있으므로 각 원격 장치 (Remote Unit)에 무선자원을 동적으로 할당할 수 있으며, 각 원격 장치(Remote Unit)는 각각 별도의 기지국 확산코드를 사용하거나, 또는 여러개의 원격 장치 (Remote Unit)가 하나의 확산코드를 사용할 수 있다. 각각의 경우를 그룹핑 (Grouping)/언그룹핑(Ungrouping)이라고 한다.
종래에는 SCM방식 아날로그 CDMA 광분산망에서 상향신호(역방향 신호)가 중앙 기지국에서 광다이오드(PD: Photodiode)에 의해 광전변환된 후, 이 광전변환된 신호들을 전기적으로 전부 더하여 하나의 복조기(demodulator)을 통하여 복조하였기 때문에, 간섭량 증가로 인하여 각 사용자의 통화품질을 저하시키고, 전체 시스 템 용량을 감소시키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에스씨엠(SCM: SubCarrier Multiplexing) 방식 아날로그 CDMA 무선접속 분산망(분산시스템)의 중앙 기지국(Central Station)에서 주파수 다중화된 상향 합성신호(즉, 역방향 합성신호)를 수신 안테나마다의 상향신호로 분배한 후, 그 분배된 신호들을 합하지 않고 각각의 상향신호를 개별적으로 서로 다른 복조기(demodulator)을 통하여 복조하는, 무선접속 분산시스템의 중앙 기지국에서의 역방향 사용자 용량 증가를 위한 복조 방법 및 상기 방법을 실현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무선접속 분산시스템의 중앙 기지국에 적용되는 복조방법에 있어서, 이동단말로부터 송신되어 적어도 2 이상의 안테나를 통하여 수신되어 주파수 다중화된 상향(역방향) 합성신호를 수신하는 제 1 단계; 상기 수신된 주파수 다중화된 상향 합성신호를 상기 안테나 마다의 상향 신호로 분배하는 제 2 단계; 및 상기 제 2 단계에서 분배된 각각의 상향 신호를 개별적으로 복조기 (demodulator)를 통하여 프레임화된 복조 신호로 변환한 후, 상기 프레임화된 복조 신호를 다중화하여 통신망을 통하여 상대 단말기로 전송하는 제 3 단계를 포 함한다.
한편, 본 발명은, 역방향 사용자 용량 증가를 위한 복조를 위하여, 프로세서를 구비한 무선접속 시스템의 기지국 장치에, 이동단말로부터 송신되어 적어도 2 이상의 안테나를 통하여 수신되어 주파수 다중화된 상향(역방향) 합성신호를 수신하는 제 1 기능; 상기 수신된 주파수 다중화된 상향 합성신호를 상기 안테나 마다의 상향 신호로 분배하는 제 2 기능; 및 상기 제 2 기능에서 분배된 각각의 상향 신호를 개별적으로 복조기(demodulator)를 통하여 프레임화된 복조 신호로 변환한 후, 상기 프레임화된 복조 신호를 다중화하여 통신망을 통하여 상대 단말기로 전송하는 제 3 기능을 실현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를 제공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일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1 은 본 발명에 따른 무선접속 광분산시스템의 중앙 기지국에서의 역방향 사용자 용량 증가를 위한 복조 방법에 대한 일실시예 설명도이다.
아날로그 광분산망(시스템)은 크게 기저대역부와 광전송장비를 갖춘 중앙 기지국(CS: Central Station)(50)과, 무선주파수(RF)부와 광전송장비를 갖춘 여러 개의 원격 포트(RP: Remote Port)들(20, 30)로 이루어져 있으며, 아날로그 SCM 방식 분산망에서는 RP 몇 개씩이 하나의 그룹을 이룬다.
도면은 2 개의 원격 포트(RP)(20, 30)가 하나의 그룹(Group)을 이루는 경우를 가정한 경우에 대한 아날로그 SCM방식 광분산 시스템의 망구성도로서, 총 그룹 이 2개(하나의 그룹은 "20", 또하나의 그룹은 "30")이고, 각각의 그룹에 RP가 2개 붙어 있는 형태를 나타낸다. 또한, 도면은 사용자의 이동단말의 상향신호(즉, 역방향신호)가 RP 들을 통하여 중앙기지국으로 전송되는 상향 링크를 나타낸다.
셀간 그룹핑(Grouping)을 시행하여 Simulcast방식으로 동작할 때 원격 장치(Remote Unit)에서 전광변환된 상향 아날로그 IF/RF 신호들은 광선로(40)를 통하여 중앙 기지국(Central Station)(donor)(50)에 도착하게 된다. 이때, 같은 그룹(Group)에서 들어온 신호들도 광전 변환한 후, 이들을 합치지 않고 각각 별도의 복조기를 거치게 하면, 광전변환된 신호를 전부 전기적으로 합쳐서 하나의 복조기를 사용하여 복조하였을 때보다 각 사용자의 신호에 들어가는 간섭신호가 작아지게 된다.
상향 링크(역방향 링크)로는 각 원격 포트(RP)(20, 30)가 자신의 안테나를 통해 통화하고 있는 사용자들의 신호와 기타 간섭 신호를 수신한다.
각 원격 포트(RP)(20, 30)가 안테나를 통하여 수신하는 신호는 그 원격 포트(RP)와 무선 링크를 형성한 특정 사용자 이동단말의 신호와 간섭신호로 구성되어 있다. 여기서, 간섭 신호는 열잡음과 상기 이동단말 이외의 이동단말들이 출력하는 신호를 포함한다.
상기와 같이 수신된 신호는 적절한 중심주파수(f1,f2)로 이동되어 레이저 다이오드(LD)에 의해 전광변환(전기신호→광신호)된 후 결합기에 의하여 합성되거나, 또는 적절한 중심주파수(f3,f4)로 이동되어 결합기를 통해 합성된 후 그 합성신호가 레이저 다이오드(LD)에 의해 전광변환된다. 도면에서는 두가지가 모두 가능함을 나타내기 위하여 한가지로 통일하지 않은 것이다.
상기 전광변환된 합성신호는 광선로(40)를 타고 중앙 기지국(CS)(50)에 도달하고, 중앙 기지국(CS)(50)의 광 다이오드(PD)에 의해 다시 광전변환(광신호→전기신호)된다. 즉, 중앙 기지국(CS)에서는 각각 원격 포트(RP)의 신호를 받는 것이다.
이때, 각각 원격 포트(RP)의 신호를 개별적 복조기를 통해 복조하면, 각 사용자가 느끼는 간섭량이 적어지므로 통화품질의 향상과 시스템 용량 증대를 가져오게 된다.
광전 변환된 신호를 그룹별로 합치면, 전체 그 그룹의 상향 신호를 얻게 된다. 그러나, 광전 변환된 신호를 그룹별로 더하지 말고, 각 RP에서 받은 신호를 그대로 중앙 기지국(CS)에 있는 개별적 복조기를 거치게 하면, 한 사용자 입장에서로 볼 때 간섭량이 줄어들므로 결과적으로 CDMA 신호의 품질이 향상되게 된다.
이하, 도 1 에 따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동단말(10)의 상향신호는 다수의 안테나(도면에서는 4 개의 안테나)(21)를 거쳐서 저잡음증폭기(LNA)(22)를 거치고 대역외 간섭신호를 대역통과필터(BPF) (23)로 제거한다.
대역통과필터(23)를 거쳐 나온 RF신호는 하향변환기(믹서)(24)를 통해 적정한 IF신호로 변환되며, 믹서(Mixer) 후단 대역통과필터(25)는 스퓨리어스 신호를 제거하기 위한 것이다.
믹서(Mixer) 후단 대역통과필터(25)를 통과한 신호는 RP1과 RP2(20)처럼 각각 별도의 전광변환기를 거칠 수 있다. 이때, 이들은 서로 다른 파장(λ1, λ2)으 로 중앙 기지국(CS)(50)에 전달된다.
또한, RP3와 RP4(30)의 신호처럼 전광변환되기 전에 몇 개의 IF 신호가 결합기(31)에 의하여 주파수다중화되어 한 개의 전광변환기(32)를 통해 광신호(λ3)로 변환될 수 있다.
중앙 기지국(CS)(50)에서는 이들 광 합성신호를 광전변환기(51)에 의하여 광전변환한 후, 주파수 다중화된 신호를 복구한다. 이 다중화된 합성 신호는 분배기(52)를 통해 수신 안테나마다의 상향 신호로 분배된 후, 분배된 신호마다 개별적으로 각각의 복조기(55)를 거치게 된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 복조기 전단부에서 다중화된 신호에서 각각 RP에서 온 신호(RP1, RP2, RP3, RP4로부터 온 각각의 신호)를 얻기 위해 대역통과필터(53)를 거치게 한다. 이제 복구된 각 RP 상향신호는 IF신호에서 믹서(54)를 거쳐 적정한 기저대역 처리가 가능한 주파수로 변환된다.
각각의 복조기(55)를 통과하여 프레임화된 복조신호는 다중화기(MUX)(56)를 통해 코어 네트워크(Core Network)를 통해 상대방 단말기에 전달될다.
이상은 무선접속 광분산 시스템을 예로 설명하였으나, 광선로(40) 대신 동축케이블 등의 다른 전송매체를 이용할 수도 있으며, 이 경우에는 광전/전광 변환기가 필요 없게 될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방법은 프로그램으로 구현되어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형태로 기록매체(씨디롬, 램, 롬, 플로피 디스크, 하드 디스크, 광자기 디스크 등)에 저장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있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므로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은, SCM방식 CDMA 무선 접속 분산 시스템이 Simulcast방식으로 동작하고 있을 때에도 각각의 원격장치(RU: Remote Control)신호를 중앙 기지국(Central Station)이 전송선로를 통하여 원격 포트(RP)로부터 전송된 상향 합성 신호를 수신안테나 마다의 신호로 분배한 후, 각각의 상향신호마다 별개의 복조기를 거치게 함으로써 간섭을 줄이고 시스템 용량을 증대시킬 수 있는 우수한 효과가 있다.

Claims (2)

  1. 무선접속 분산시스템의 중앙 기지국에 적용되는 복조방법에 있어서,
    이동단말로부터 송신되어 적어도 2 이상의 안테나를 통하여 수신되어 주파수 다중화된 상향(역방향) 합성신호를 수신하는 제 1 단계;
    상기 수신된 주파수 다중화된 상향 합성신호를 상기 안테나 마다의 상향 신호로 분배하는 제 2 단계; 및
    상기 제 2 단계에서 분배된 각각의 상향 신호를 개별적으로 복조기 (demodulator)를 통하여 프레임화된 복조 신호로 변환한 후, 상기 프레임화된 복조 신호를 다중화하여 통신망을 통하여 상대 단말기로 전송하는 제 3 단계
    를 포함하는 무선접속 분산시스템의 중앙 기지국에서의 역방향 사용자 용량 증가를 위한 복조 방법.
  2. 역방향 사용자 용량 증가를 위한 복조를 위하여, 프로세서를 구비한 무선접속 분산시스템의 기지국 장치에,
    이동단말로부터 송신되어 적어도 2 이상의 안테나를 통하여 수신되어 주파수 다중화된 상향(역방향) 합성신호를 수신하는 제 1 기능;
    상기 수신된 주파수 다중화된 상향 합성신호를 상기 안테나 마다의 상향 신호로 분배하는 제 2 기능; 및
    상기 제 2 기능에서 분배된 각각의 상향 신호를 개별적으로 복조기 (demodulator)를 통하여 프레임화된 복조 신호로 변환한 후, 상기 프레임화된 복조 신호를 다중화하여 통신망을 통하여 상대 단말기로 전송하는 제 3 기능
    을 실현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
KR1020000077403A 2000-12-16 2000-12-16 무선접속 분산시스템의 중앙 기지국에서의 역방향 사용자용량 증가를 위한 복조 방법 KR10065557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77403A KR100655572B1 (ko) 2000-12-16 2000-12-16 무선접속 분산시스템의 중앙 기지국에서의 역방향 사용자용량 증가를 위한 복조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77403A KR100655572B1 (ko) 2000-12-16 2000-12-16 무선접속 분산시스템의 중앙 기지국에서의 역방향 사용자용량 증가를 위한 복조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48114A KR20020048114A (ko) 2002-06-22
KR100655572B1 true KR100655572B1 (ko) 2006-12-08

Family

ID=2768251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77403A KR100655572B1 (ko) 2000-12-16 2000-12-16 무선접속 분산시스템의 중앙 기지국에서의 역방향 사용자용량 증가를 위한 복조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55572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293851A (ja) * 1995-04-21 1996-11-05 Sony Corp 移動局受信装置
KR19990077235A (ko) * 1996-11-14 1999-10-25 모리시타 요우이치 알고리즘 다이버시티를 이용한 무선 통신 장치
KR20000051971A (ko) * 1999-01-28 2000-08-16 조정남 코드분할다중접속 방식의 원격지 기지국을 운용하는 도너 기지국
JP2000286769A (ja) * 1999-03-30 2000-10-13 Kokusai Electric Co Ltd 受信装置
KR20010017118A (ko) * 1999-08-07 2001-03-05 조정남 부호분할 다중접속 시스템의 역방향 신호 품질 향상 장치 및 방법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293851A (ja) * 1995-04-21 1996-11-05 Sony Corp 移動局受信装置
KR19990077235A (ko) * 1996-11-14 1999-10-25 모리시타 요우이치 알고리즘 다이버시티를 이용한 무선 통신 장치
KR20000051971A (ko) * 1999-01-28 2000-08-16 조정남 코드분할다중접속 방식의 원격지 기지국을 운용하는 도너 기지국
JP2000286769A (ja) * 1999-03-30 2000-10-13 Kokusai Electric Co Ltd 受信装置
KR20010017118A (ko) * 1999-08-07 2001-03-05 조정남 부호분할 다중접속 시스템의 역방향 신호 품질 향상 장치 및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48114A (ko) 2002-06-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301240B1 (en) Centrally located equipment for wireless telephone system
US7565170B2 (en) Radio base station receiver having digital filtering and reduced sampling frequency
US6895185B1 (en) Multi-purpose optical fiber access network
CN101340647B (zh) 基于中心化基站的无线接入系统及载频搬移方法
US5528582A (en) Network apparatus and method for providing two way broadband communications
KR100382291B1 (ko) 무선 기지국 시스템과 단일 전송 포맷을 가지는 중앙 제어국
US20160182180A1 (en) Method for base station backhaul, related device and system for base station backhaul
US20230069239A1 (en) Optical signal transmission method, apparatus, and device
CN201114046Y (zh) 一种具备上行空间分集接收功能的数字光纤直放站系统
KR20160106996A (ko) 이동통신 기지국에서 무선 광섬유로 디지털 유닛과 통신을 위한 원격 무선 유닛
WO2009112083A1 (en) Improved optical access network and nodes
JP4776835B2 (ja) 光ファイバネットワークシステムの伝送方式
Liew et al. A broad-band optical network based on hierarchical multiplexing of wavelengths and RF subcarriers
KR100655572B1 (ko) 무선접속 분산시스템의 중앙 기지국에서의 역방향 사용자용량 증가를 위한 복조 방법
KR100541062B1 (ko) 파장공유된 wdm-scma 수동형 광가입자망
RU2204211C1 (ru) Оптическая абонентская линия связи
JP2013005316A (ja) 情報送受信装置、情報送信装置、および情報受信装置
JP4280551B2 (ja) 光伝送システム
KR100292805B1 (ko) 다목적 광섬유 액세스 망
JP3223952B2 (ja) 信号伝送装置
Fox et al. A broad-band distributed-star network using subcarrier fiber transmission
CN115426010B (zh) 一种5g mimo信号传输系统及方法
KR20170051262A (ko) RoF 광전송 시스템
JP2001053764A (ja) データ伝送方式及びデータ伝送装置
KR100322842B1 (ko) 다중섹터 방식의 마이크로셀룰라 시스템에서의 다중대역 다중반송파 전송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01201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