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55552B1 - Input Method for character in a mobile station using character pattern - Google Patents

Input Method for character in a mobile station using character pattern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55552B1
KR100655552B1 KR1020000081220A KR20000081220A KR100655552B1 KR 100655552 B1 KR100655552 B1 KR 100655552B1 KR 1020000081220 A KR1020000081220 A KR 1020000081220A KR 20000081220 A KR20000081220 A KR 20000081220A KR 100655552 B1 KR100655552 B1 KR 10065555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ttern
character
input
group
match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81220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020052042A (en
Inventor
강남규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0008122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55552B1/en
Publication of KR2002005204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52042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5555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55552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23Construction or mounting of dials or of equivalent devices; Means for facilitating the use thereof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2Input arrangements using manually operated switches, e.g. using keyboards or dials
    • G06F3/023Arrangements for converting discrete items of information into a coded form, e.g. arrangements for interpreting keyboard generated codes as alphanumeric codes, operand codes or instruction codes
    • G06F3/0233Character input method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Document Processing Apparatus (AREA)
  • Input From Keyboards Or The Like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단말기에 있어서, 특히 문자가 가지는 기본적인 형상 패턴에 매칭되는 그룹을 통해 문자를 입력할 수 있도록 한 것으로, 본 발명에 따른 문자 패턴을 이용한 단말기의 문자 입력방법은, 사용자가 특정 문자를 입력하고자 하는 패턴에 대한 원하는 그룹과 매칭되는 패턴이 입력매칭 그룹에 일치하는 문자 패턴이 있는가를 비교하는 단계; 상기 비교결과 일치하는 패턴이 있을 경우 패턴들을 표시하는 단계; 상기 표시되는 문자 패턴들 중 일치하는 패턴이 있는가를 검색한 후 일치하는 패턴이 있으면 그 패턴을 선택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present invention allows a user to input a character through a group that matches a basic geometric pattern of a character, in particular, and the character input method of the terminal using the character patter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 user inputs a specific character Comparing whether there is a character pattern in which the pattern matching the desired group with respect to the desired pattern matches the input matching group; Displaying patterns when there is a matching pattern as a result of the comparison; And searching for a matching pattern among the displayed character patterns, and selecting a pattern if there is a matching pattern.

이 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키 매트릭스에 문자 패턴과 매칭되는 문자 패턴들을 기본 입력집단에 정의하고, 사용자가 별도로 매칭시키고자 하는 문자 패턴에 대해 사용자 추가 집단으로 정의하여, 입력되는 문자 패턴과 일치하는 항목이 있을 경우 그 문자를 입력함으로써, 별도로 자판 배열을 기억하지 않고도 편리하게 문자를 입력할 수 있도록 함에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haracter patterns that match the character pattern in the key matrix are defined in the basic input group, and the character pattern that the user wants to match separately is defined as an additional user group, which matches the input character pattern. If there is an item, the character is inputted so that the character can be conveniently entered without having to remember the layout of the keyboard separately.

Description

문자 패턴을 이용한 단말기의 문자 입력방법{Input Method for character in a mobile station using character pattern}Input method for character in a mobile station using character pattern}

도 1은 일반적인 단말기의 한글 입력장치를 보인 블럭도.1 is a block diagram showing a Hangul input device of a typical terminal.

도 2는 종래 단말기의 한글 입력방법의 제 1실시예를 보인 도면.2 is a view showing a first embodiment of a Hangul input method of a conventional terminal.

도 3은 도 2의 실시예에 의한 입력 맵핑을 보여주기 위한 도면.FIG. 3 is a diagram for illustrating input mapping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FIG. 2. FIG.

도 4는 본 발명 실시예에 의한 원하는 입력집단과 입력방법 집단의 매칭을 나타내기 위한 도면.4 is a diagram illustrating a matching between a desired input group and an input method group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5는 본 발명 실시예에 따른 문자 패턴을 이용한 문자 입력의 예를 나타낸 도면.5 is a view showing an example of character input using a character patter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6은 본 발명 실시예에 따른 단말기에서 패턴을 이용한 문자 입력방법을 나타내는 플로우 챠트.6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character input method using a pattern in a terminal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Explanation of symbols for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s>

1...중앙 프로세서 2...키 입력부1 ... central processor 2 ... key input

3...액정표시장치 4...메모리3.Liquid Crystal Display 4 ... Memory

10,100...원하는 그룹 20...입력 맵핑그룹10,100 ... desired group 20 ... input mapping group

200...입력 매칭 그룹 201,211...기본 입력집단200 ... input matching group 201,211 ... default input group

202,212...사용자 추가집단202,212 ... Add User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의 문자 입력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문자가 가지는 패턴에 따라 문자를 입력할 수 있도록 한 패턴를 이용한 단말기의 문자 입력방법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haracter input method of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more particularly, to a character input method of a terminal using a pattern for inputting a character according to a pattern of a character.

최근 이동통신 단말기의 액정표시장치(LCD)는 본체에 많은 크기로 설치되고, 인터넷, 단문메시지(Short Message Service)나 메일(mail)등의 데이터 서비스가 가능해 짐에 따라, 한글 디스플레이뿐만 아니라 한글 입력도 한층 더 중요성을 가지게 된다.Recently, liquid crystal displays (LCDs) of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s are installed in many sizes in the main body, and data services such as the Internet, short message service, and mail are available, so that not only Korean display but also Korean input can be provided. It also becomes more important.

이러한 일반적인 단말기의 한글 입력장치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개인휴대통신 단말기의 시스템을 제어하는 중앙프로세서(1)와; 상기 중앙프로세서(1)와 연결되고, 화면 전환키와 숫자키와 입력완료키 등 다수개의 키로 구성되어 사용자가 키값을 입력할 수 있도록 하는 키 입력부(2)와; 상기 중앙프로세서(1)와 상기 키 입력부(2)와 연결되어, 상기 중앙프로세서(1)에서 처리된 결과를 표시해주고, 상기 키 입력부(2)에서 입력된 키 값을 표시해주는 액정 표시장치(3)와; 상기 중앙프로세서(1)와 연결되어 한글 폰트를 내장하고 있는 메모리(4)로 구성되었다.The Hangul input device of such a general terminal, as shown in Figure 1, the central processor (1) for controlling the system of the personal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 key input unit (2) connected to the central processor (1) and composed of a plurality of keys such as a screen change key, a numeric key, and an input completion key to allow a user to input a key value; A liquid crystal display (3) connected to the central processor (1) and the key input unit (2) to display a result processed by the central processor (1) and to display a key value input from the key input unit (2). )Wow; The memory 4 is connected to the central processor 1 and contains a Korean font.

이와 같이 구성된 일반적인 개인휴대통신 단말기는 사용자가 키 입력부(2)를 통해 숫자 또는 한글을 입력하면, 입력된 키 값을 중앙프로세서(1)가 처리하여, 입력된 숫자는 화면(3)에 그대로 표시해주고, 입력된 한글은 한글폰트 메모리(4)에 내장된 한글 폰트를 이용하여 입력되는 키값을 검색하여 한글입력 키에 의한 한글입력 내부 오토마타에 따라 한글 조합형코드에서 한글 완성형코드로 전환되도록 하여 액정표시장치(3)에 표시해준다. In the general personal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when a user inputs a number or Korean through the key input unit 2, the central processor 1 processes the input key value, and the input number is displayed on the screen 3 as it is. The inputted Hangul is searched for the key value input using the Hangul font built into the Hangul font memory (4), and converted from the Hangul Combination Code to the Hangul Completion Code according to the Hangul Input Internal Automata by the Hangul Input Key. Display on the device (3).

도 2는 종래 이동통신 단말기의 한글 입력방법을 보이기 위한 제 1실시예로서, 키 매트릭스를 보인 도면이다.2 is a diagram illustrating a key matrix as a first embodiment for showing a Korean input method of a conventional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먼저, 숫자키 각각에 할당된 자소를 보면, 1번키에는 'ㄱ, ㄴ', 2번키에는 'ㄷ, ㄹ, ㅋ', 3번키에는 'ㅁ, ㅂ, ㅌ', 4번키에는 'ㅅ, ㅇ, ㅈ', 5번키에는 'ㅈ, ㅊ, ㅎ', 6번키에는'ㅏ,ㅐ, ㅑ', 7번키에는 'ㅓ, ㅔ, ㅕ', 8번키에는 'ㅡ, ㅗ, ㅛ', 9번키에는 'ㅜ, ㅠ, ㅒ' 0번키에는 'ㅣ,ㅖ'등이 배치된 구조이고, *키에는 한영전환 및 영자의 대소문자를 지원하고, #키는 글자열 사이에 입력된다.First, look at the phonemes assigned to each of the numeric keys.The first key is' ㄱ, ㄴ ', the second key is' ㄷ, ㄹ, ㅋ', the third key is' ㅁ, ㅂ, ㅌ ', and the fourth key is' ㅅ, ㅇ ',', 'Key', 'key', 'key', key '6', 'key', 'key', key '7', key, 'key', key, 'key' There is a structure in which 'ㅣ, ㅖ', etc. are arranged in 'TT, ㅠ, ㅒ' 0 key, and * key supports Korean English conversion and English capitalization, and # key is input between character strings.

그리고, 상기 키들(1, 2, 3, 4, 5, 6, 7, 8, 9, 0)에는 자음, 모음을 3개 정도씩 한 키에 할당하여 특정 키의 누르는 횟수에 따라 해당하는 자소가 변경되어 입력됨으로 사용자가 필요한 자소(字素)를 찾아 입력하게 된다.In addition, the keys 1, 2, 3, 4, 5, 6, 7, 8, 9, and 0 have consonants and vowels assigned to one key each of three consonants and corresponding phonemes according to the number of times of pressing a specific key. As the input is changed, the user finds and inputs the required phonemes.

이러한 키를 이용하여 "예를들면"이라는 한글을 연달아치기로 완성시킬 경우 다음과 같은 키 입력이 필요하다.If you use these keys to complete the Hangul "for example" in a row, you need the following keystrokes:

"예"는 숫자키 4번과 4번과 0번과 0번과 # 키의 연속입력으로 완성되며, "Yes" is completed by continuous input of number keys 4, 4, 0, 0 and #.

"를"은 숫자키 2번과 2번과 8번과 2번과 2번과 # 키의 연속입력으로 완성되며,"" Is completed by continuous input of number keys 2, 2, 8, 2, 2 and #.

"들"은 숫자키 2번과 8번과 2번과 2번과 # 키의 연속입력으로 완성되며,"S" is completed by successive input of numeric keys 2 and 8 and 2, 2 and #.

"면"은 숫자키 3번과 7번과 7번과 7번과 1번과 1번과 #키의 연속입력으로 완 성된다. "Side" is completed by successive input of numeric keys 3, 7, and 7, and 7, and 1, 1 and #.

그리고, 도 3은 상기 도 2에서의 입력 매핑 그룹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로서, 사용자가 입력을 원하는 자소(한글, 영문입력)를 원하는 그룹(10)으로 하고 이에 대응하는 그룹을 입력 맵핑그룹(Mapping group)(20)으로 하여, 원하는 그룹(10)의 자소를 선택하고자 할 경우 입력 맵핑그룹(20)에 해당하는 숫자 키를 눌러 주어야만 상기 자소에 대응하는 매핑이 선택되어 해당 자소가 디스플레이 화면에 표시된다. 즉, 'ㄱ'을 입력하고자 할 경우 입력 맵핑그룹(20)의 '1'을 선택하면 되고, 'A'를 선택하고자 할 경우 2+2+2+2을 눌러주면 된다.3 is a conceptual diagram illustrating the input mapping group in FIG. 2, in which a phoneme (Korean or English input) that a user wants to input is set as a group 10 and a corresponding group is referred to as an input mapping group. In order to select a phoneme of the desired group 10 as a group (20), a mapping corresponding to the phoneme is selected only by pressing a numeric key corresponding to the input mapping group 20 so that the phoneme is displayed on the display screen. do. In other words, if you want to input 'b', select '1' of the input mapping group 20, and if you want to select 'A', press 2 + 2 + 2 + 2.

그러나, 도 2의 도면에서 처럼, 거의 모든 키에 3개 정도의 자소(字素)가 할당되어 있기 때문에 사용자가 자판을 기억하기 어렵고, 또 특정 숫자의 반복되는 횟수의 계산으로 문자를 처리하고 있으며, 특정 문자를 입력할 수 있는 입력의 형태가 한정되어 있다.However, as in the diagram of FIG. 2, since almost three keys are assigned to almost every letter, it is difficult for the user to remember the keyboard, and the characters are processed by counting the repeated number of specific numbers. The type of input that can input specific characters is limited.

그러므로, 현재의 단말기와 같은 버튼의 수가 한정되어진 입력방식에서는 특정 자판의 누른 횟수에 따라 자모음을 구분하게 되는데, 이는 자판의 위치에 익숙하지 않으면 언제나 자판을 보고 해야 하며, 배열된 위치를 알지 못하면 입력할 수가 없는 문제가 있다.Therefore, in the input method where the number of buttons like the current terminal is limited, the consonants are distinguished according to the number of presses of a specific keyboard. If the user is not familiar with the position of the keyboard, the keyboard should be reported at all times. There is a problem that you cannot input.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출된 것으로서, 키가 눌러진 패턴에 매칭되는 문자를 검색 및 입력할 수 있도록 상기 문자 패턴과 일치하는 패턴을 미리 정의된 기본 입력집단과 사용자가 추가한 사용자 추가 집단을 통해 비교한 후, 일치 패턴들을 표시하고 일치한 패턴을 선택할 수 있도록 한 문자패턴을 이용한 단말기의 문자 입력방법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solve the above-mentioned conventional problems, and the user can add a predefined basic input group and a user-defined pattern that matches the character pattern so that the user can search and input a character matching the pattern pressed.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character input method of a terminal using a character pattern to display matching patterns and select a matching pattern after comparison through one additional user group.

상기한 목적 달성을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문자패턴을 이용한 단말기의 문자 입력방법은,Character input method of the terminal using a character patter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사용자가 특정 문자를 입력하고자 하는 패턴에 대한 원하는 그룹과 매칭되는 패턴이 입력매칭 그룹에 일치하는 문자 패턴이 있는가를 비교하는 단계;Comparing whether the pattern matching the desired group with respect to the pattern for which the user wants to input a specific character corresponds to the input matching group;

상기 비교결과 일치하는 패턴이 있을 경우 패턴들을 표시하는 단계;Displaying patterns when there is a matching pattern as a result of the comparison;

상기 표시되는 문자 패턴들 중 일치하는 패턴이 있는가를 검색한 후 일치하는 패턴이 있으면 그 패턴을 선택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nd searching for a matching pattern among the displayed character patterns, and selecting a pattern if there is a matching pattern.

상세하게는, 상기 입력 매칭그룹에는 각 문자들의 서로 다른 패턴에 대해 매칭되는 패턴들이 저장된 기본입력집단과, 사용자 입력 방식에 따른 임의의 문자 패턴을 사용자가 저장한 사용자 추가 집단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detail, the input matching group includes a basic input group storing patterns matched with different patterns of each character, and a user adding group storing arbitrary character patterns according to a user input method. .

상세하게는, 상기 사용자 추가 집단에는 일치하는 패턴이 없을 때 사용자가 추가한 집단과, 문자 문자나 문자열에 매칭되는 집단을 저장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detail, the user adding group stores a group added by the user when there is no matching pattern, and a group matching a letter or a character string.

상세하게는, 상기 사용자가 입력하는 문자 패턴에 대해 일치하는 패턴이 없을 경우 사용자가 그 입력된 패턴 항목을 정의하여 추가할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detail, if there is no pattern matching the character pattern input by the user, the user may define and add the input pattern item.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 실시예에 따른 문자 패턴을 이용한 단말기의 문자 입력방법에 대하여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Referring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a character input method of a terminal using a character patter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is as follows.

도 4는 본 발명 실시예에 의한 원하는 입력집단과 입력방법 집단의 매칭을 나타내기 위한 도면이고, 도 5는 본 발명 실시예에 따른 문자 패턴을 이용한 문자 입력의 예를 나타낸 도면이며, 도 6은 본 발명 실시예에 따른 단말기에서 패턴을 이용한 문자 입력방법을 나타내는 플로우 챠트이다.FIG. 4 is a diagram illustrating matching between a desired input group and an input method group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5 is a diagram showing an example of character input using a character patter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A flowchart illustrating a character input method using a pattern in a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 및 도 5를 참조하면, 이동통신 단말기의 키 매트릭스에 할당된 3×4키에는 임의의 패턴들을 그 자소가 가지는 모양대로 다수개의 키 집단을 이용하여 원하는 자소(한글 자/모음, 알파벳)의 표현이 가능하고, 이러한 패턴들을 이용하여 한글 자소와 알파벳을 표현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S. 4 and 5, a desired letter (a Korean letter / vowel, an alphabet) is used for a 3 × 4 key assigned to a key matrix of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by using a plurality of key groups in the shape of the letter. It is possible to express, and can use the patterns to express Hangul alphabet and alphabet.

이러한 패턴들의 입력에 대해 입력을 원하는 그룹(100)의 문자가 가지는 모양 대로 여러 가지의 패턴들에 대해 입력 매칭그룹 집단(200)에서 기본 입력집단(201,211)과 사용자의 추가 집단(202,212)을 이용하여 입력할 수 있다.The input matching group group 200 uses the basic input group 201 and 211 and the additional group of users 202 and 212 for various patterns as the shapes of the characters of the group 100 who wants to input such patterns. Can be entered.

만약, 원하는 그룹(100)이 "ㄱ"이면 이에 매칭되는 입력 매칭그룹(200)은 숫자키 1+2+4, 숫자키 1+2+5(+8(+0)), 숫자키 1+2+3+6(+9) 등의 패턴들과 이외의 다른 패턴들를 그 자소의 기본적인 패턴으로 하고, If the desired group 100 is "a", the input matching group 200 matched thereto is numeric keys 1 + 2 + 4, numeric keys 1 + 2 + 5 (+8 (+0)), numeric keys 1+ 2 + 3 + 6 (+9) and the like and other patterns as the basic pattern of the phoneme,

원하는 그룹(100)이 "ㄷ"이면 입력 매칭그룹(200)은 숫자키 2+1+4+5, 숫자키 3+2+5+8+9, 숫자키 6+5+8+0+# 의 패턴들과 이외의 다른 패턴들을 그 자소의 기본적인 패턴으로 하며, If the desired group 100 is "ㄷ", the input matching group 200 is numeric keys 2 + 1 + 4 + 5, numeric keys 3 + 2 + 5 + 8 + 9, numeric keys 6 + 5 + 8 + 0 + # Patterns other than and other patterns as the basic pattern of the phoneme,

원하는 그룹(100)이 "A"이면 입력 매칭그룹(200)은 숫자키 2+4+7+6+9, 숫자키 5+2+4+7+*+6+9+#+8의 패턴과 이 외의 다른 패턴들을 그 알파벳의 기본적인 패턴 으로 하며,If the desired group 100 is "A", the input matching group 200 has a pattern of numeric keys 2 + 4 + 7 + 6 + 9 and numeric keys 5 + 2 + 4 + 7 + * + 6 + 9 + # + 8. And other patterns as the basic pattern of the alphabet,

원하는 그룹(100)이 "a"이면 입력 매칭그룹(200)은 숫자키 2+1+4+7+8+5+9, 숫자키 5+2+1+4+7+*+0+8+#의 패턴과 그 외의 다른 패턴들을 그 알파벳의 기본적인 패턴으로 설정하여 입력할 수 있다.If the desired group 100 is "a", the input matching group 200 is numeric keys 2 + 1 + 4 + 7 + 8 + 5 + 9, numeric keys 5 + 2 + 1 + 4 + 7 + * + 0 + 8 You can input the + # pattern and other patterns as the basic pattern of the alphabet.

이와 같은 방식으로 다른 한글 자소나 알파벳, 그리고 특수문자 등의 기본적인 패턴을 설정하여 줄 수 있다.In this way, basic patterns such as other Korean characters, alphabets, and special characters can be set.

그리고, 상기 각 기본적인 패턴들은 원하는 입력그룹(100)의 한 자소나 알파벳에 대해 다수개의 패턴이 정의될 수 있으므로, 이들을 구분하기 위한 입력매칭 그룹(200)으로 정의해 둔다.Each of the basic patterns may be defined as a plurality of patterns for one letter or alphabet of the desired input group 100, and is defined as an input matching group 200 for distinguishing them.

이러한 입력 매칭그룹(200)은 기본 입력집단(201,211)과 사용자 추가집단(202,212)으로 구성할 수 있으며, 기본 입력집단(201,211)은 자소가 가지는 기본적인 패턴들을 설정해 준다.  The input matching group 200 may be composed of basic input groups 201 and 211 and additional user groups 202 and 212. The basic input groups 201 and 211 set basic patterns of phonemes.

즉, 상기에서 사용자가 입력하고자 하는 원하는 입력그룹(100) 중에서 "ㄱ"에 대한 임의의 패턴에 대해 기본 입력집단(201,211)에서는 일대일로 대응하는 매칭 패턴(a, a+a, b, b+b, c, c+c)들을 정의하고, 'ㄱ'패턴에 대해서 일대일 매칭시켜 정의해 둔다.That is, the basic input groups 201 and 211 correspond to one-to-one matching patterns (a, a + a, b, b +) for any pattern of the desired input group 100 to be input by the user. b, c, c + c) and define one-to-one matching on the 'a' pattern.

그리고, 사용자 추가집단(202,212)은 사용자가 임의의 패턴을 눌러서 특정 자소를 표현하려고 할 경우 그 자소가 기본 입력집단(201,211)에 설정되어 있지 않을 경우 사용자에게 상기 패턴에 대한 일치 항목(자소)를 선택하도록 하여, 선택할 경우 그 자소에 대한 패턴을 추가집단에 추가해 준다. In addition, when the user tries to express a specific phoneme by pressing a random pattern, the user adder group 202, 212 provides the user with a match item (phoneme) for the pattern when the phoneme is not set in the basic input group 201,211. If you choose, add the pattern for the phoneme to the additional group if you choose.                     

단말기의 키 매트릭스에서 문자 패턴에 대한 원하는 입력집단(100)을 사용자가 선택할 경우 그에 해당하는 패턴이 해당 자소와 일치하는지를 기본입력집단(201)에 있는지를 비교하고, 기본 입력집단(201,211)에 있으면 그에 매칭되는 문자를 표현해 줄 수 있도록 하고, 매칭되지 않을 경우에는 추가 집단(202,212)에서 검색한 후 없으면 사용자가 그 자소 패턴을 추가할 수 있도록 해 준다. When the user selects the desired input group 100 for the character pattern in the key matrix of the terminal, it is compared whether the corresponding pattern matches the phoneme in the basic input group 201, and if the basic input group 201, 211 exists. If it does not match, it can be represented, and if it does not match, the search is performed in the additional group 202, 212, and if not, the user can add the phoneme pattern.

또한, 이러한 자소들의 매칭의 연장선상에서 보면, 입력 매칭그룹(200)에는 특정 문자에 해당하는 특정 문자 패턴이나 특정 단어 패턴들을 정의할 수도 있다.In addition, in view of an extension of the matching of the phonemes, the input matching group 200 may define specific letter patterns or specific word patterns corresponding to specific characters.

즉, "활"이라는 ㅎ+ㅗ+ㅏ+ㄹ의 각 패턴들을 그룹화하는 하나의 매크로 또는 다른 매크로로 일대일로 정의할 수 있어, 특정문자나 특정 문자열에 대해 사용자 추가 집단(212)에 정의해 둘 수 있다.That is, it can be defined one-to-one as one macro or another macro that groups each pattern of ㅎ + ㅗ + ㅏ + ㄹ called "bow", so that a specific character or a specific string may be defined in the user addition group 212. Can be.

한편,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의 자소패턴을 이용한 문자 입력방법의 플로우 챠트이다. 6 is a flowchart of a character input method using a phoneme pattern of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6을 참조하면, 카운터(count)를 시작하여 카운터에 설정된 시간을 초과하지 않을 경우 현재 입력되는 키 신호에 대한 현재 패턴이 기본입력수단(201,211) 및 사용자 추가 집단(202,212)에 저장되어 있는가를 비교하게 된다(S101,S102). 일치 패턴이 있을 경우에는 일치 패턴들을 화면에 표시해 주고(S103), 일치 패턴 중 선택하면 선택된 패턴 저장(S106)하고 그 패턴을 리셋하게 된다(S105).Referring to FIG. 6, if the current counter for the currently input key signal is stored in the basic input means 201 and 211 and the user addition group 202 and 212 when the counter is not exceeded and the time set in the counter is not exceeded. (S101, S102). If there is a match pattern, the match patterns are displayed on the screen (S103). If a match pattern is selected, the selected pattern is stored (S106) and the pattern is reset (S105).

여기서, 기본 입력집단(201,211)과 사용자 추가집단(202,212)에 현재 패턴이 없으면 사용자에게 현재 패턴에 대해 일치 항목을 선택하도록 하여 선택하면 그 패 턴을 사용자 추가 집단(202,212)에 저장하게 된다.Here, if there are no current patterns in the basic input groups 201 and 211 and the user additional groups 202 and 212, when the user selects a match item for the current pattern, the patterns are stored in the user additional groups 202 and 212.

그리고, 카운터가 설정된 시간을 초과하지 않을 경우(S101), 키 입력신호가 종료신호가 아니면(S107,S108), 카운터를 리셋하고 현재 패턴이 기본 패턴이나 사용자가 저장한 패턴에 있는가를 검색하게 된다(S110). 현재 패턴이 있을 경우에는 일치 패턴들을 화면에 표시한 후(S111), 카운터를 다시 시작한다(S101).If the counter does not exceed the set time (S101), if the key input signal is not the end signal (S107, S108), the counter is reset and it is searched whether the current pattern is in the basic pattern or the pattern stored by the user ( S110). If there is a current pattern, the matching patterns are displayed on the screen (S111), and the counter is restarted (S101).

여기서, 카운터의 설정 시간은 한글 자모의 구분 또는 매크로 기능의 부가로 구분하여 줄 수 있으며, 그 구분되는 기능에 따라 사용자가 설정된 시간을 이용하면서 문자 패턴에 대해 입력할 수 도 있다.Here, the setting time of the counter may be divided by the Hangul alphabet or the addition of a macro function, and according to the distinguishing function, the user may input a character pattern while using the set time.

또한, 한글의 경우 자음과 모음의 조합으로 구성되어 있으므로, 자음 및 모음 입력은 현재의 상태에 따라 구분할 수 있고, 다른 특정 키를 이용하여 다음 음절로 넘어갈수도 있다. In addition, since Hangul is composed of a combination of consonants and vowels, consonants and vowel inputs can be distinguished according to the current state, and can also be moved to the next syllable using another specific key.

그리고, 특정 문자에 따라 사용자마다 입력가는 방식이 다르므로 일치하거나 비숫하지 않은 패턴에 대해서는 사용자로부터 입력받은 패턴이 어떤 모양에 맞는 것인지 어느 정도 비슷한 부분이 있는 것을 추천하여 학습하여, 중복되어진 부분에 대해서는 체크를 하고, 비슷한 패턴이 없을 경우에는 전체 문자에서 선택하도록 하거나 원하는 문자열에 매핑되도록 입력받는다. 또한 다음 음절로는 특정 키(사이드 키등)로 현재의 상태를 구분할 수 있다.In addition, since the input method is different for each user according to a specific character, it is recommended that there is a part that is similar or not similar to the pattern that is input from the user. If there is no similar pattern, it selects from the whole character or inputs to map to the desired string. In addition, the next syllable can identify the current state with a specific key (such as a side key).

아울러 본 발명에서는 사용자가 일반 버튼에 대해 설명하였으나, 터치 버튼에서도 그 문자를 구분하여 상기와 같은 문자 패턴에 따라 입력할 수도 있다는 것도 본 발명의 범주에 해당한다 할 것이다.In addition, although the user has described the general button in the present invention, it is also with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that the character may be input according to the above-described character pattern in the touch button.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한글 입력 방법에 의하면, 문자 패턴을 이용한 이동통신 단말기의 문자 입력방법은, 문자 및 문자열이 가지는 형상을 가지고 그 형상을 일대일 매칭하는 그룹 및 추가 그룹을 사용자가 학습하면서 선택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별도로 자판을 기억하지 않고 문자 입력이 가능하면, 보다 쉽게 익힐 수 있어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According to the Hangul input method of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the character input method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using the character pattern, while the user learns a group and additional groups that have the shape of the character and the character string and one-to-one matching the shape By making it selectable, if characters can be input without memorizing a keyboard separately, there is an effect that can be learned more easily and can be used conveniently.

Claims (3)

사용자가 특정 문자를 입력하고자 하는 패턴에 대한 원하는 그룹과 매칭되는 패턴이 입력매칭 그룹에 일치하는 문자 패턴이 있는가를 비교하는 단계;Comparing whether the pattern matching the desired group with respect to the pattern for which the user wants to input a specific character corresponds to the input matching group; 상기 비교결과 일치하는 패턴이 있을 경우 패턴들을 표시하는 단계;Displaying patterns when there is a matching pattern as a result of the comparison; 상기 표시되는 문자 패턴들 중 일치하는 패턴이 있는가를 검색한 후 일치하는 패턴이 있으면 그 패턴을 선택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문자 패턴을 이용한 단말기의 문자 입력방법.And searching for a matching pattern among the displayed character patterns and selecting a pattern if there is a matching pattern. 제 1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입력 매칭그룹에는 각 문자들의 서로 다른 패턴에 대해 매칭되는 패턴들이 저장된 기본입력집단과, 사용자 입력 방식에 따른 임의의 문자 패턴을 사용자가 저장한 사용자 추가 집단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문자 패턴을 이용한 단말기의 문자 입력방법.The input matching group includes a basic input group storing patterns matched with different patterns of each character, and a user adding group storing arbitrary character patterns according to a user input method. Character input method of the terminal. 제 1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원하는 그룹의 문자 패턴과 매칭시켜 일치하는 패턴이 없을 경우 사용자가 그 입력된 패턴 항목을 정의하여 추가할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문자 패턴을 이용한 단말기의 문자 입력방법.Character matching method of the terminal using a character pattern, characterized in that the user can define and add the input pattern item if there is no matching pattern by matching the character pattern of the desired group.
KR1020000081220A 2000-12-23 2000-12-23 Input Method for character in a mobile station using character pattern KR100655552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81220A KR100655552B1 (en) 2000-12-23 2000-12-23 Input Method for character in a mobile station using character patter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81220A KR100655552B1 (en) 2000-12-23 2000-12-23 Input Method for character in a mobile station using character pattern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52042A KR20020052042A (en) 2002-07-02
KR100655552B1 true KR100655552B1 (en) 2006-12-07

Family

ID=2768535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81220A KR100655552B1 (en) 2000-12-23 2000-12-23 Input Method for character in a mobile station using character pattern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55552B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99180B1 (en) * 2011-12-01 2013-08-22 주식회사 감성 Apparatus and method for inputting pattern in portable devic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52042A (en) 2002-07-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822852B2 (en) Handheld devices
US7642932B2 (en) Method of mapping characters for a mobile telephone keypad
US20090201252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alphanumeric data entry using a keypad
KR100655552B1 (en) Input Method for character in a mobile station using character pattern
KR100683338B1 (en) Method for inputing Hangul in a mobile station
KR100370427B1 (en) Hangul input method in a mobile station
KR0154150B1 (en) Inputing method of korean alphabet array in communication terminals
KR100811358B1 (en) Method of typing the english characters in the mobile phone
KR100350781B1 (en) Method for input of Hangul in a mobile station using jogdial
KR100397509B1 (en) Korean input device with telephone keyboard and its method
KR100661457B1 (en) Alphabet Inputting System for mobile terminal
KR100378986B1 (en) Character input method and keypad of communication apparatus
KR20090010144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alphanumeric data entry using a keypad
JP3267270B2 (en) Key input device
RU2344564C2 (en) Layouts of signs, methods of input and input device
JP3110695B2 (en) Key input device
KR20020012823A (en) Character input method using a character conversion button
KR20020096156A (en) Method of inputting on English letter in mobile phone
KR100577675B1 (en) Hangul Hanson PlusKey Pad
KR20040003092A (en) Hangul input method and device based on new expanded keypad
KR100411365B1 (en) Key matrix and Hangul input method using its of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KR20020022973A (en) Method for Hangul input in a mobile station
JP2001075708A (en) Key input device and method for inputting japanese
JP2001265502A (en) Key input device and input method
KR980013177A (en) METHOD FOR INPUTTING ENGLISH CHARACTER USING ELECTRIC TELEPHONE KEYPAD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128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122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124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124

Year of fee payment: 10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