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54551B1 - Mobile terminal with mode changing function of external speaker and changing method thereof - Google Patents

Mobile terminal with mode changing function of external speaker and changing method thereof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54551B1
KR100654551B1 KR1020050131211A KR20050131211A KR100654551B1 KR 100654551 B1 KR100654551 B1 KR 100654551B1 KR 1020050131211 A KR1020050131211 A KR 1020050131211A KR 20050131211 A KR20050131211 A KR 20050131211A KR 100654551 B1 KR100654551 B1 KR 10065455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utput mode
voice
ear
microphone
mo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131211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차달용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5013121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54551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5455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54551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6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including speech amplifiers
    • H04M1/6033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including speech amplifiers for providing handsfree use or a loudspeaker mode in telephone se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48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adapting the functionality of the device according to specific condi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69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for operating the device by selecting functions from two or more displayed items, e.g. menus or ico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Abstract

A mobile terminal having an external speaker mode change function and its speaker mode changing method are provided to allow a user to immediately know whether a microphone is released from an ear jack and continuously perform call communication with the other party without interrupt. An ear microphone(154) is connected with an ear jack(153). When the ear microphone(154) is released from the ear jack(153) in a state that a voice output mode is set as an ear microphone output mode, a controller(120) changes the voice output mode to an external speaker output mode and outputs a voice signal. A state determining unit(122) determines whether the ear microphone(154) is released. A path controller(123) outputs a control signal for switching to the voice output mode for executing the ear microphone output mode, the external speaker output mode or a receiver output mode according to the set voice output mode. In the state that the voice output mode is set as the ear microphone output mode, when the ear microphone(154) is released from the ear jack(153), an output mode setting unit(124) changes the voice output mode to the external speaker output mode.

Description

외부 스피커 모드 전환 기능이 구비된 이동 통신 단말기 및 그 스피커 모드 전환 방법{MOBILE TERMINAL WITH MODE CHANGING FUNCTION OF EXTERNAL SPEAKER AND CHANGING METHOD THEREOF}MOBILE TERMINAL WITH MODE CHANGING FUNCTION OF EXTERNAL SPEAKER AND CHANGING METHOD THEREOF}

도 1 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외부 스피커 모드 전환 기능이 구비된 이동 통신 단말기의 구성 블록도.1 is a block diagram of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having an external speaker mode switching func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 내지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외부 스피커 모드 전환 기능이 구비된 이동 통신 단말기에서 외부 스피커 모드 전환을 수행하는 동작 흐름도.2 to 4 are flowcharts illustrating an operation of performing external speaker mode switching in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equipped with an external speaker mode switching func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면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Explanation of symbols for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s>

100 : 이동 통신 단말기 110 : 메모리100: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10: memory

120 : 제어부 121 : 이동 통신 처리부120: control unit 121: mobile communication processing unit

122 : 상태 판단부 123 : 경로 제어부122: state determination unit 123: path control unit

124 : 출력 모드 설정부 125 : 화면 표시 처리부124: output mode setting unit 125: screen display processing unit

130 : RF부 140 : 음성 처리부130: RF unit 140: voice processing unit

151 : 스피커 152 : 리시버151: speaker 152: receiver

153 : 이어잭 154 : 이어 마이크153: Ear Jack 154: Ear Microphone

160 : 마이크로폰 170 : 키입력부160: microphone 170: key input unit

180 : 표시부 180: display unit

본 발명은 이동 통신 단말기의 외부 스피커 모드 전환에 관한 것으로, 이어 마이크를 사용하여 통화를 진행하던 이동 통신 단말기에서 이어 마이크가 이어잭으로부터 이탈되는 경우 그 이탈 사실을 알려주고 상대방과의 통화가 단절되지 않게 하는 외부 스피커 모드 전환 기능이 구비된 이동 통신 단말기 및 그 외부 스피커 모드 전환 방법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external speaker mode switching of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when the ear microphone is detached from the ear jack in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which is using the ear microphone, it informs the departure and prevents the call from being disconnected with the other party.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having an external speaker mode switching function and an external speaker mode switching method thereof.

최근의 이동통신단말기는 급격히 발전을 거듭하여 인터넷 접속이나 이메일 송수신, 화상 송수신 등 다양한 분야에서 기술개발이 이루어지면서 점차 다기능화 하고 있다. 특히, 근래에는 운전이나 보행과 같이 이동 중에도 다른 일을 하면서 통화를 하는 사례가 빈번하여 최근 단말기에 설치된 이어잭(ear-jack)에 이어 마이크를 장착하여 사용하고 있다. Recently,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has been rapidly developed and is becoming more versatile as technology is developed in various fields such as internet access, e-mail transmission, and image transmission and reception. In particular, in recent years, a lot of cases of making a call while doing other work while moving, such as driving or walking, have recently been used by attaching a microphone following an ear-jack installed in a terminal.

여기에서 이어잭은 이어폰이나 이어 마이크를 꽂을 수 있도록 구멍이 형성된 단자이다. In this case, the ear jack is a hole formed to insert an earphone or ear microphone.

또한 이어 마이크(ear-mic)는 일단에 이어잭에 꽂을 수 있는 플러그가 형성되고 타단에는 귀에 꽂을 수 있는 리시버가 형성되고 중간 부분에 마이크로폰이 구비되어 음성을 재생할 수 도 있고, 음성을 전기적인 신호로 변환하여 이동 통신 단 말기에 입력할 수 있는 부품이다.In addition, the ear microphone (ear-mic) has a plug that can be plugged into the ear jack at one end, and a receiver that can be plugged into the ear at the other end, and a microphone is provided at the middle to reproduce voice, and the voice is an electrical signal. It is a part that can be converted into and input into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그러나, 이러한 이동통신단말기는 이어잭에 이어 마이크가 접속되어 음성 출력 모드가 이어 마이크 출력 모드로 설정된 상태에서 외력에 의해 이어 마이크가 이어잭으로부터 이탈되는 경우가 발생할 수 있다.However, such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may have a case in which the ear microphone is separated from the ear jack by external force while the microphone is connected to the ear jack and the voice output mode is set to the ear microphone output mode.

이때, 종래의 이동 통신 단말기는 이어 마이크가 이어잭에서 이탈됨에 따라 음성 출력 모드가 디폴트로 설정되어 있는 리시버 출력 모드로 전환 설정된다.In this case, the conventional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s set to switch to the receiver output mode in which the voice output mode is set as the default as the ear microphone is detached from the ear jack.

이에 따라, 이어 마이크를 통해 상대방과 통화를 수행하던 사용자는 갑자기 이어 마이크가 이어잭에서 이탈되면 이어 마이크를 통해 들리던 상대방의 목소리가 갑자기 단절되어 아무런 소리가 나지 않고 않게 되어 어리둥절하게 되고, 다음 순간 이어 마이크가 이탈되었음을 발견하게 되고, 이동 통신 단말기의 리시버에서 알아들을 수 없는 작은 소리로 상대방의 통화 음성이 들리는 것을 발견하게 된다.Accordingly, the user who was talking to the other party through the ear microphone suddenly disconnected from the ear jack when the microphone was suddenly detached from the ear jack, and the other party's voice was suddenly disconnected and no sound was heard. It finds that the microphone is detached, and finds that the other party's voice is heard with a small sound that cannot be heard by the receiver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그렇지만, 통화를 하던 상대방은 사용자가 계속 듣고 있는 줄 알고 얘기를 이미 많은 부분 진행한 상태이다.However, the other party who talks knows that the user keeps listening and has already talked a lot.

따라서, 종래의 이동 통신 단말기에서는 이어 마이크를 통하여 상대방과 통화중에 이어 마이크가 이어잭으로부터 이탈되는 경우 사용자에게 그 이탈 사실을 즉시 알려줌과 아울러, 이어 마이크가 이탈되더라도 상대방의 통화 음성을 단절 없이 계속하여 들을 수 있게 하는 것이 필요하다.Therefore, in the conventional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when the microphone is detached from the ear jack after talking with the other party through the ear microphone, the user is immediately notified of the departure, and even if the ear microphone is detached, the voice of the other party continues without disconnection. It is necessary to be able to hear.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는 이어 마이크를 사용하여 통화를 진행하던 이동 통 신 단말기에서 이어 마이크가 이어잭으로부터 이탈되는 경우 그 이탈 사실을 알려주고 상대방과의 통화가 단절되지 않게 하는 데 있다.The technical problem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notify the departure of the ear microphone when the ear microphone is separated from the ear jack in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using the ear microphone to prevent the call is disconnected.

이러한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측면에 의하면, 이어 마이크가 접속되는 이어잭과, 음성 출력 모드가 이어 마이크 출력 모드로 설정된 상태에서 이어 마이크가 이어잭으로부터 이탈되면 음성 출력 모드를 외부 스피커 출력 모드로 전환 설정하여 음성 신호를 출력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외부 스피커 모드 전환 기능이 구비된 이동 통신 단말기를 제공한다.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technical problem, the ear jack to which the ear microphone is connected, and the voice output mode when the ear microphone is separated from the ear jack while the voice output mode is set to the ear microphone output mode, the external speaker Provided is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having an external speaker mode switching function including a control unit for switching to an output mode and outputting a voice signal.

바람직하게 제어부는 이어 마이크가 이어잭으로부터 이탈되었는지 판단하는 상태 판단부와, 설정된 음성 출력 모드에 따라 이어 마이크 출력 모드 또는 외부 스피커 출력 모드 또는 리시버 출력 모드를 실행하는 음성 출력 경로로 스위칭하기 위한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경로 제어부와, 음성 출력 모드를 이어 마이크 출력 모드로 설정한 상태에서 상태 판단부의 판단 결과 이어 마이크가 이어잭으로부터 이탈된 경우 음성 출력 모드를 외부 스피커 출력 모드로 전환 설정하는 출력 모드 설정부를 포함한다.Preferably, the controller is a state determination unit for determining whether the ear microphone is detached from the ear jack, and a control signal for switching to a voice output path executing the ear microphone output mode, the external speaker output mode, or the receiver output mode according to the set voice output mode. A path control unit for outputting the control unit and an output mode setting unit for setting the audio output mode to the external speaker output mode when the microphone is detached from the ear jack as a result of the judgment of the state determination unit in the state of setting the audio output mode to the microphone output mode. Include.

바람직하게 이동 통신 단말기는 경로 제어부의 제어신호에 따라 이어 마이크 출력 모드 또는 외부 스피커 출력 모드 또는 리시버 출력 모드를 실행하기 위한 음성 출력 경로를 설정하여 음성 신호를 처리하는 음성 처리부를 더 포함한다.Preferably,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further includes a voice processor configured to process a voice signal by setting a voice output path for executing a microphone output mode, an external speaker output mode, or a receiver output mode according to a control signal of the path controller.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의하면, 음성 출력 모드가 이어 마이크 출력 모드로 설정된 상태에서 이어 마이크가 이어잭으로부터 이탈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와, 판단 결과 이어 마이크가 이어잭으로부터 이탈된 경우 음성 출력 모드를 외부 스피커 출력 모드로 설정하여 음성 신호를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이동 통신 단말기의 외부 스피커 모드 전환 방법을 제공한다.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invention, the step of determining whether the ear microphone is detached from the ear jack while the voice output mode is set to the ear microphone output mode, and if the ear microphone is released from the ear jack as a result of the determination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method for switching an external speaker mode of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the method including outputting a voice signal by setting to an external speaker output mode.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exemplary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화면 분할 표시 기능을 구비한 이동 통신 단말기의 구성 블록도이다.1 is a block diagram of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having a screen division display func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을 참조하면, 메모리(110)와, 제어부(120)와, RF부(130)와, 음성 처리부(140)와, 스피커(151)와, 리시버(152)와, 이어잭(153)과, 마이크로폰(160)과, 키입력부(170)와, 표시부(18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Referring to FIG. 1, the memory 110, the control unit 120, the RF unit 130, the voice processing unit 140, the speaker 151, the receiver 152, the ear jack 153, And a microphone 160, a key input unit 170, and a display unit 180.

메모리(110)는 동작 프로그램을 저장하는 롬(ROM)과 전기적으로 프로그램이 가능한 이이피롬(EEPROM)과 램(RAM)등으로 구성된다.The memory 110 includes a ROM for storing an operating program, an electrically programmable EEPROM, a RAM, and the like.

메모리(110)에는 제어부(120)에 의해 설정된 음성 출력 모드가 저장된다. 메모리(110)에 저장되는 음성 출력 모드는 이어 마이크 출력 모드, 외부 스피커 출력 모드, 리시버 출력 모드로 구분된다.The voice output mode set by the controller 120 is stored in the memory 110. The voice output mode stored in the memory 110 is divided into a microphone output mode, an external speaker output mode, and a receiver output mode.

또한, 메모리(110)에는 이동 통신 단말기의 동작을 표시하기 위한 각종 화면 정보들이 저장된다.In addition, the memory 110 stores various screen information for displaying the operation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제어부(120)는 이동 통신 단말기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함과 아울러, 음성 출력 모드가 이어 마이크 출력 모드로 설정된 상태에서 이어 마이크(154)가 이어잭 (153)으로부터 이탈되면 음성 출력 모드를 외부 스피커 출력 모드로 전환 설정하여 음성 신호를 출력한다.The controller 120 controls the overall operation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outputs the voice output mode to the external speaker when the ear microphone 154 is separated from the ear jack 153 while the voice output mode is set to the ear microphone output mode. Set the mode to switch to output the audio signal.

이를 위해 제어부(120)는 이동 통신 처리부(121)와 상태 판단부(122)와 경로 제어부(123)와 출력 모드 설정부(124)와 화면 표시 처리부(125)를 포함하여 구성된다.To this end, the control unit 120 includes a mobile communication processing unit 121, a state determination unit 122, a path control unit 123, an output mode setting unit 124, and a screen display processing unit 125.

이동 통신 처리부(121)는 이동통신 단말기(100)에서 무선 자원을 활용하여 이동 통신 서비스를 수행하기 위한 모듈로서 공지의 이동 통신 기술을 사용하여 구성되어 동작함에 따라 여기에서는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도록 한다.The mobile communication processing unit 121 is a module for performing a mobile communication service using a radio resource in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00, and is configured and operated using a known mobile communication technology.

상태 판단부(122)는 이어 마이크(154)가 이어잭(153)으로부터 이탈되었는지 판단한다. 예를 들어, 상태 판단부(122)는 이어잭(153)의 저항값을 읽어서 이어 마이크(154)가 이어잭(153)에 접속되어 있을 경우와 이탈되어 있을 경우의 저항값이 다름에 따라 읽어들인 저항값에 따라 이어 마이크(154)가 이어잭(153)에 접속되어 있는지 이탈되어 있는지를 판단할 수 있다.The state determination unit 122 determines whether the ear microphone 154 is separated from the ear jack 153. For example, the state determination unit 122 reads the resistance value of the ear jack 153 and reads the resistance value when the ear microphone 154 is connected to the ear jack 153 and when the resistance value is separated. It is possible to determine whether the ear microphone 154 is connected to or detached from the ear jack 153 according to the input resistance value.

경로 제어부(123)는 설정된 음성 출력 모드에 따라 이어 마이크 출력 모드 또는 외부 스피커 출력 모드 또는 리시버 출력 모드를 실행하는 음성 출력 경로로 스위칭하기 위한 제어신호를 음성 처리부(140)에 출력한다.The path controller 123 outputs a control signal to the voice processor 140 for switching to a voice output path that executes the microphone output mode, the external speaker output mode, or the receiver output mode according to the set voice output mode.

출력 모드 설정부(124)는 음성 출력 모드를 설정한다. 출력 모드 설정부(124)에 의해 설정된 음성 출력 모드는 메모리(110)에 저장된다. 출력 모드 설정부(124)에 의해 설정되는 음성 출력 모드는 이어 마이크 출력 모드, 외부 스피커 출력 모드, 리시버 출력 모드이다.The output mode setting unit 124 sets the audio output mode. The voice output mode set by the output mode setting unit 124 is stored in the memory 110. The audio output mode set by the output mode setting unit 124 is a microphone output mode, an external speaker output mode, and a receiver output mode.

출력 모드 설정부(124)는 이어 마이크(154)가 이어잭(153)에 접속되어 있을 경우에는 이어 마이크 출력 모드를 기본 설정값으로 하고, 이어 마이크(154)가 이어잭(153)에 접속되어 있지 않는 경우에는 리시버 출력 모드를 기본 설정값으로 한다.When the ear microphone 154 is connected to the ear jack 153, the output mode setting unit 124 sets the ear microphone output mode as a default setting value, and the ear microphone 154 is connected to the ear jack 153. If not, the receiver output mode is set as the default setting.

그러나, 이러한 기본 설정값과 별도로 출력 모드 설정부(124)는 음성 출력 모드를 이어 마이크 출력 모드로 설정한 상태에서 상태 판단부(122)의 판단 결과 이어 마이크(154)가 이어잭(153)으로부터 이탈된 경우 음성 출력 모드를 외부 스피커 출력 모드로 전환 설정한다.However, in addition to the basic setting value, the output mode setting unit 124 sets the voice output mode to the microphone output mode, and as a result of the determination of the state determiner 122, the microphone 154 is separated from the ear jack 153. If it is separated, set the audio output mode to the external speaker output mode.

화면 표시 처리부(125)는 출력 모드 설정부(124)에 의해 설정된 음성 출력 모드를 화면에 표시한다. 예를 들어, 리시버 모드 또는 이어 마이크 모드 또는 외부 스피커 모드를 표시하기 위한 아이콘을 화면에 표시할 수 도 있다.The screen display processing unit 125 displays the audio output mode set by the output mode setting unit 124 on the screen. For example, an icon for displaying the receiver mode or the ear microphone mode or the external speaker mode may be displayed on the screen.

RF부(130)는 제어부(120)에 의해 제어된다. RF부(130)는 주파수 대역의 무선 채널로 수신되는 주파수의 신호를 안테나(ANT)를 통해 수신되면, 이를 대역 하강 변환하고 데이터의 종류를 구별하여 제어부(120)로 출력하거나 또는 음성 처리부(140)로 출력한다. The RF unit 130 is controlled by the controller 120. When the RF unit 130 receives a signal of a frequency received through a radio channel of a frequency band through the antenna ANT, it converts the band down and distinguishes the type of data and outputs it to the control unit 120 or the voice processing unit 140. )

RF부(130)에서 제어부(120)로 출력되는 데이터는 문자 데이터 또는 페이징 채널을 통해 수신되는 페이징 신호 및 시그널링 신호들이 된다. 그리고 음성 처리부(140)로 출력되는 데이터는 음성 호가 설정된 경우에 수신되는 음성 데이터가 된다. Data output from the RF unit 130 to the control unit 120 becomes paging signals and signaling signals received through text data or a paging channel. The data output to the voice processor 140 becomes voice data received when a voice call is set.

또한, RF부(130)는 제어부(120)로부터 수신되는 데이터 또는 음성 처리부 (140)로부터 수신되는 코드화된 음성 데이터를 송신하기 위해 대역 상승 변환하여 안테나(ANT)를 통해 주파수 대역의 무선 신호로 변환하여 출력한다.In addition, the RF unit 130 performs band-up conversion to transmit the data received from the control unit 120 or the coded voice data received from the voice processing unit 140 and converted into a radio frequency signal in the frequency band through the antenna ANT. To print.

음성 처리부(140)는 일반적으로 보코더(VOCODER) 등으로 구성되며, 제어부(120)의 제어에 의해 구동된다. 음성 처리부(140)는 마이크로폰(MIC)(160)에 의해 입력된 전기 신호를 변조하여 음성 데이터로 변환하고, RF부(130)로 출력한다. The speech processing unit 140 is generally composed of a VOCODER, etc., and is driven by the control of the controller 120. The voice processor 140 modulates the electrical signal input by the microphone (MIC) 160 to convert the voice signal into voice data and outputs the voice signal to the RF unit 130.

또한, 음성 처리부(140)는 제어부(120)의 경로 제어부(123)으로부터 출력되는 경로 제어 신호에 따라 RF부(130)로부터 입력된 부호화된 음성 데이터를 전기 신호로 복조하여 스피커(SPK)(151) 또는 리시버(152) 또는 이어 마이크(154)로 출력한다.Also, the voice processor 140 demodulates the encoded voice data input from the RF unit 130 into an electrical signal according to a path control signal output from the path controller 123 of the controller 120 to generate a speaker (SPK) 151. Or to the receiver 152 or the ear microphone 154.

이에 따라, 스피커(SPK)(151) 또는 리시버(152) 또는 이어 마이크(154)는 이를 가청음으로 변환하여 출력한다.Accordingly, the speaker (SPK) 151, the receiver 152 or the ear microphone 154 converts it into an audible sound and outputs it.

키입력부(170)는 일반적으로 키 매트릭스 구조로 구성이 된다. 키입력부(170)는 다수의 숫자 키와 방향키를 포함하여 각종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기능키로 이루어지며, 사용자의 키 입력에 의해 키 데이터의 전기적인 신호를 제어부(120)로 출력한다.The key input unit 170 generally has a key matrix structure. The key input unit 170 includes a function key for performing various functions, including a plurality of numeric keys and direction keys, and outputs an electrical signal of key data to the controller 120 by a user's key input.

표시부(180)는 화면창을 제공하여 현재 설정되어 있는 음성 출력 모드를 표시한다. 따라서, 음성 출력 모드가 이어 마이크 출력 모드에서 설정된 상태에서 이어 마이크가 이어잭으로부터 이탈되어 외부 스피커 출력 모드로 전환 설정되면 표시부(180)는 현재 음성 출력 모드가 외부 스피커 출력 모드로 전환 설정되었음을 알리는 메시지 또는 아이콘을 화면에 표시한다.The display unit 180 provides a screen window to display the currently set audio output mode. Therefore, when the voice output mode is set in the ear microphone output mode and the ear microphone is separated from the ear jack and set to switch to the external speaker output mode, the display unit 180 indicates that the current voice output mode is set to switch to the external speaker output mode. Or display an icon on the screen.

아울러, 표시부(180)는 이동 통신 단말기 현재의 상태를 표시하거나 프로그램의 진행 상황 변화를 표시한다. 이런 표시 장치는 액정 표시 장치(Liquid Crystal Display : LCD)등과 같은 표시 장치로 구성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display unit 180 displays the current state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or changes in the progress of the program. Such a display device may be configured as a display device such as a liquid crystal display (LCD).

도 2 내지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외부 스피커 모드 전환 기능이 구비된 이동 통신 단말기에서 외부 스피커 모드 전환 동작을 수행하는 동작 흐름도이다.2 to 4 are flowcharts illustrating an operation of performing an external speaker mode switching operation in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equipped with an external speaker mode switching func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를 참조하면, 상태 판단부(122)는 이어 마이크(154)가 이어잭(153)에 접속되어 있는지 판단한다(S1).Referring to FIG. 2, the state determiner 122 determines whether the ear microphone 154 is connected to the ear jack 153 (S1).

상태 판단부(122)의 판단 결과 이어잭(153)에 이어 마이크(154)가 접속되어 있는 경우 출력 모드 설정부(124)는 음성 출력 모드를 이어 마이크 출력 모드로 설정하여 메모리(110)에 저장한다(S2).When the microphone 154 is connected to the ear jack 153 after the determination result of the state determination unit 122, the output mode setting unit 124 sets the voice output mode to the microphone output mode and stores the result in the memory 110. (S2).

경로 제어부(123)는 출력 모드 설정부(124)에 의해 음성 출력 모드가 이어 마이크 출력 모드로 설정되었음에 따라 음성 처리부(140)에 이어 마이크 출력 모드를 실행하는 음성 출력 경로로 스위칭하기 위한 제어신호를 음성 처리부(140)에 출력한다(S3).The path controller 123 controls the control signal for switching to the voice output path that executes the microphone output mode following the voice processor 140 as the voice output mode is set to the microphone output mode by the output mode setting unit 124. Is output to the voice processing unit 140 (S3).

이에 따라 음성 처리부(140)는 이어 마이크 출력 모드를 실행하기 위한 음성 출력 경로를 설정하여 음성 처리된 신호를 이어잭(153)을 통해 이어 마이크(154)로 출력한다(S4).Accordingly, the voice processor 140 sets a voice output path for executing the ear microphone output mode and outputs the voice processed signal to the ear microphone 154 through the ear jack 153 (S4).

아울러, 화면 표시 처리부(125)는 표시부(180)에 현재의 음성 출력 모드가 이어 마이크 출력 모드로 설정되었음을 표시하기 위한 아이콘을 표시한다(S5).In addition, the screen display processing unit 125 displays an icon on the display unit 180 to indicate that the current voice output mode is subsequently set to the microphone output mode (S5).

한편, 상태 판단부(122)에 의해 이어 마이크(154)가 이어잭(153)에 접속되어 있는지 판단한 결과(S1) 이어 마이크(154)가 이어잭(153)으로부터 이탈되어 있는 경우 출력 모드 설정부(124)는 메모리(110)에 저장되어 있는 음성 출력 모드를 읽어 현재 음성 출력 모드가 이어 마이크 출력 모드인지를 판단한다(S11).On the other hand, as a result of determining whether the ear microphone 154 is connected to the ear jack 153 by the state determination unit 122 (S1) when the ear microphone 154 is separated from the ear jack 153, the output mode setting unit In operation S11, the voice output mode stored in the memory 110 is read to determine whether the current voice output mode is the microphone output mode.

출력 모드 설정부(124)는 판단 결과 메모리(110)에 저장된 음성 출력 모드가 이어 마이크 출력 모드인 경우 외부 스피커 출력 모드로 전환 설정하여 메모리(110)에 저장한다(S12).If the voice output mode stored in the memory 110 is the microphone output mode, the output mode setting unit 124 switches to the external speaker output mode and stores the converted audio speaker mode in the memory 110 (S12).

출력 모드 설정부(124)에 의해 외부 스피커 출력 모드로 전환 설정되면 경로 제어부(123)는 출력 모드 설정부(124)에 의해 음성 출력 모드가 외부 스피커 출력 모드로 설정되었음에 따라 음성 처리부(140)에 외부 스피커 출력 모드를 실행하는 음성 출력 경로로 스위칭하기 위한 제어신호를 음성 처리부(140)에 출력한다(S13).When the output mode setting unit 124 is set to switch to the external speaker output mode, the path control unit 123 sets the voice output mode to the external speaker output mode by the output mode setting unit 124. In step S13, a control signal for switching to the voice output path for executing the external speaker output mode is output to the voice processor 140.

이에 따라 음성 처리부(140)는 외부 스피커 출력 모드를 실행하기 위한 음성 출력 경로를 설정하여 음성 처리된 신호를 스피커(151)를 통해 외부 스피커 출력 모드로 출력한다(S14).Accordingly, the voice processor 140 sets a voice output path for executing the external speaker output mode and outputs the voice processed signal to the external speaker output mode through the speaker 151 (S14).

아울러, 화면 표시 처리부(125)는 표시부(180)에 현재의 음성 출력 모드가 외부 스피커 출력 모드로 설정되었음을 표시하기 위한 아이콘을 표시한다(S15).In addition, the screen display processing unit 125 displays an icon on the display unit 180 to indicate that the current audio output mode is set to the external speaker output mode (S15).

한편, 출력 모드 설정부(124)에 의해 현재 설정되어 있는 음성 출력 모드가 이어 마이크 출력 모드인지 판단한 결과(S11), 설정되어 있는 음성 출력 모드가 이어 마이크 출력 모드가 아닌 경우 음성 출력 모드를 기본 설정인 리시버 출력 모드로 설정하여 메모리(110)에 저장한다(S21).On the other hand, as a result of determining whether the voice output mode currently set by the output mode setting unit 124 is the next microphone output mode (S11), if the set voice output mode is not the ear microphone output mode, the default voice output mode is set. Set to the receiver output mode and stored in the memory (110) (S21).

출력 모드 설정부(124)에 의해 리시버 출력 모드로 설정되면 경로 제어부(123)는 출력 모드 설정부(124)에 의해 음성 출력 모드가 리시버 출력 모드로 설정되었음에 따라 음성 처리부(140)에 리시버 출력 모드를 실행하는 음성 출력 경로로 스위칭하기 위한 제어신호를 음성 처리부(140)에 출력한다(S22).When the receiver output mode is set by the output mode setting unit 124, the path controller 123 outputs the receiver to the voice processing unit 140 as the voice output mode is set by the output mode setting unit 124 to the receiver output mode. The control signal for switching to the voice output path for executing the mode is output to the voice processor 140 (S22).

이에 따라 음성 처리부(140)는 리시버 출력 모드를 실행하기 위한 음성 출력 경로를 설정하여 음성 처리된 신호를 리시버(152)를 통해 리시버 출력 모드로 출력한다(S23). Accordingly, the voice processing unit 140 sets a voice output path for executing the receiver output mode and outputs the voice processed signal to the receiver output mode through the receiver 152 (S23).

아울러, 화면 표시 처리부(125)는 표시부(180)에 현재의 음성 출력 모드가 리시버 출력 모드로 설정되었음을 표시하기 위한 아이콘을 표시한다(S24).In addition, the screen display processing unit 125 displays an icon on the display unit 180 to indicate that the current audio output mode is set to the receiver output mode (S24).

이상의 본 발명은 상기에 기술된 실시예들에 의해 한정되지 않고, 당업자들에 의해 다양한 변형 및 변경을 가져올 수 있으며, 이는 첨부된 청구항에서 정의되는 본 발명의 취지와 범위에 포함된다.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above, and various modifications and changes can be made by those skilled in the art, which are included in the spirit and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as defined in the appended claims.

예를 들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이동 통신 단말기에서는 외부 스피커 출력 모드를 수행하기 위한 스피커와, 리시버 출력 모드를 수행하기 위하여 리시버가 별도로 구분되어 구비되어 있으나, 하나의 스피커를 사용하여 외부 스피커 출력 모드를 수행하거나 리시버 출력 모드를 수행하는 경우에 변형하여 적용될 수 있다.For example, in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speaker for performing an external speaker output mode and a receiver are separately provided to perform a receiver output mode. When the speaker output mode or the receiver output mode is performed, it can be modified and applied.

본 발명에 의하면, 이어 마이크를 통해 음성 통화를 수행할 수 있도록 음성 출력 모드가 이어 마이크 출력 모드로 설정된 상태에서 이어 마이크가 이어잭으로 부터 이탈되면 음성 출력 모드를 외부 스피커 출력 모드로 전환 설정하여 음성 신호를 출력하도록 함으로써, 사용자는 이어 마이크를 통해 음성 통화를 수행하다가 이어 마이크가 이어잭으로부터 이탈되더라도 이어 마이크를 통해서 출력되던 상대방의 음성이 외부 스피커를 통해 재생됨으로써 이어 마이크가 이어잭으로부터 이탈된 사실을 즉시로 알 수 있으며 상대방과의 통화 단절없이 계속적으로 통화를 진행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ear microphone is separated from the ear jack while the voice output mode is set to the ear microphone output mode so that a voice call can be made through the ear microphone, the voice output mode is set to the external speaker output mode to set the voice. By outputting a signal, the user makes a voice call through the ear microphone, and even though the microphone is detached from the ear jack, the user's voice is detached from the ear jack by playing the external speaker's voice output from the ear microphone through the external speaker. You can know immediately and continue the call without disconnecting the other party.

Claims (5)

이어 마이크가 접속되는 이어잭과,Ear jack which ear microphone is connected to, 음성 출력 모드가 이어 마이크 출력 모드로 설정된 상태에서 상기 이어 마이크가 상기 이어잭으로부터 이탈되면 음성 출력 모드를 외부 스피커 출력 모드로 전환 설정하여 음성 신호를 출력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외부 스피커 모드 전환 기능이 구비된 이동 통신 단말기.When the ear microphone is separated from the ear jack while the voice output mode is set to the ear microphone output mode, an external speaker mode switching function includes a control unit configured to output a voice signal by setting the voice output mode to an external speaker output mod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control unit, 상기 이어 마이크가 상기 이어잭으로부터 이탈되었는지 판단하는 상태 판단부와,A state determination unit which determines whether the ear microphone is separated from the ear jack, 설정된 음성 출력 모드에 따라 이어 마이크 출력 모드 또는 외부 스피커 출력 모드 또는 리시버 출력 모드를 실행하는 음성 출력 경로로 스위칭하기 위한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경로 제어부와,A path controller for outputting a control signal for switching to an audio output path executing a microphone output mode, an external speaker output mode, or a receiver output mode according to the set voice output mode; 음성 출력 모드를 이어 마이크 출력 모드로 설정한 상태에서 상기 상태 판단부의 판단 결과 상기 이어 마이크가 상기 이어잭으로부터 이탈된 경우 상기 음성 출력 모드를 외부 스피커 출력 모드로 전환 설정하는 출력 모드 설정부를 포함하는 외부 스피커 모드 전환 기능이 구비된 이동 통신 단말기.An external mode including an output mode setting unit configured to switch the voice output mode to an external speaker output mode when the ear microphone is detached from the ear jack as a result of the determination of the state determining unit in the state of setting the audio output mode to the ear microphone output mod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equipped with a speaker mode switching function.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이동 통신 단말기는,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2, wherein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상기 경로 제어부의 제어신호에 따라 이어 마이크 출력 모드 또는 외부 스피커 출력 모드 또는 리시버 출력 모드를 실행하기 위한 음성 출력 경로를 설정하여 음성 신호를 처리하는 음성 처리부를 더 포함하는 외부 스피커 모드 전환 기능이 구비된 이동 통신 단말기.The external speaker mode switching function further includes a voice processor configured to process a voice signal by setting a voice output path for executing a microphone output mode, an external speaker output mode, or a receiver output mode according to the control signal of the path controller.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2, The control unit, 상기 출력 모드 설정부에 의해 설정된 음성 출력 모드를 화면에 표시하는 화면 표시 처리부를 더 포함하는 외부 스피커 모드 전환 기능이 구비된 이동 통신 단말기.And a screen display processing unit which displays a voice output mode set by the output mode setting unit on a screen. 음성 출력 모드가 이어 마이크 출력 모드로 설정된 상태에서 이어 마이크가 이어잭으로부터 이탈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와,Determining whether the ear microphone is detached from the ear jack while the voice output mode is set to the ear microphone output mode, 판단 결과 상기 이어 마이크가 상기 이어잭으로부터 이탈된 경우 음성 출력 모드를 외부 스피커 출력 모드로 설정하여 음성 신호를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이동 통신 단말기의 외부 스피커 모드 전환 방법.And outputting a voice signal by setting a voice output mode to an external speaker output mode when the ear microphone is separated from the ear jack as a result of the determination.
KR1020050131211A 2005-12-28 2005-12-28 Mobile terminal with mode changing function of external speaker and changing method thereof KR100654551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131211A KR100654551B1 (en) 2005-12-28 2005-12-28 Mobile terminal with mode changing function of external speaker and changing method thereof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131211A KR100654551B1 (en) 2005-12-28 2005-12-28 Mobile terminal with mode changing function of external speaker and changing method thereof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654551B1 true KR100654551B1 (en) 2006-12-05

Family

ID=3773227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131211A KR100654551B1 (en) 2005-12-28 2005-12-28 Mobile terminal with mode changing function of external speaker and changing method thereof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54551B1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66313B1 (en) * 2007-01-02 2014-02-20 엘지전자 주식회사 Mobile Terminal and Method for Control Input/Output Voice thereof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66313B1 (en) * 2007-01-02 2014-02-20 엘지전자 주식회사 Mobile Terminal and Method for Control Input/Output Voice thereof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1083809B (en) Mobile terminal and method for changing an operational mode using speech recognition
JP2000115330A (en) Portable telephone set and portable audio apparatus connected thereto
KR20110064339A (en) Apparatus and method for recognizing earphone mounting in portable terminal
KR100735700B1 (en) Terminal for Broadcasting and method for Character-Voice Call using thereof
KR100654551B1 (en) Mobile terminal with mode changing function of external speaker and changing method thereof
JP2002209011A (en) Mobile terminal
KR20070080011A (en) Method and circuit for embodiment ear mike phone of stereo earphone in communication apparatus
KR100575722B1 (en) Hands-free device
KR100736569B1 (en)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control method thereof
KR100584362B1 (en) How to mute reception status in wireless communication terminal
KR100521031B1 (en) Device the Method for switching the audio path of mobile phone with headset using function key
KR20060101679A (en) Apparatus and method for providing emergency call using mobile phone
KR100713396B1 (en) Device and method for received call off in handfree mode of wireless telephone
KR200315201Y1 (en) Voice recogntion function hand free
KR20010011199A (en) Method for alerting of mobile wireless phone
KR100606747B1 (en) Mobile terminal and method for conversation using thereof
KR20040076910A (en) Voice recogntion function hand free
KR100270372B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remotely controlling portable communication equipment using earphone
KR19980026533A (en) Signal receiver of portable communication device
KR200184595Y1 (en) An earmike for cellular phone having the function of alarm beu
KR20040093244A (en) Wireless terminal and its method for changing mode by being connected with audio device
KR100770881B1 (en) Mobile terminal for refusing call receive by using speech recognition and a method thereof
KR20040099636A (en) Mobile terminal having multi-function type keyboard device
JP2010068395A (en) Method for discriminating received voice
KR100678195B1 (en) Method for notifying situation in manner mode of wireless terminal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026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024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024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023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024

Year of fee payment: 11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