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0099636A - Mobile terminal having multi-function type keyboard device - Google Patents

Mobile terminal having multi-function type keyboard devic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0099636A
KR20040099636A KR1020030031681A KR20030031681A KR20040099636A KR 20040099636 A KR20040099636 A KR 20040099636A KR 1020030031681 A KR1020030031681 A KR 1020030031681A KR 20030031681 A KR20030031681 A KR 20030031681A KR 20040099636 A KR20040099636 A KR 2004009963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ata
function
mobile communication
keypad device
wireles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31681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박창균
Original Assignee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3003168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0099636A/en
Publication of KR2004009963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99636A/en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38Transceivers, i.e. devices in which transmitter and receiver form a structural unit and in which at least one part is used for function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 H04B1/40Circui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Abstract

PURPOSE: A mobile terminal having a multifunction key pad unit is provided to perform a wireless transmission/reception function and remotely control an electronic equipment through a key pad separated from a terminal body. CONSTITUTION: A keypad includes a plurality of key buttons for inputting a key for voice call communication and data communication and a key for multifunction. A speaker(24), a microphone(26), an earphone port(28) input/output a voice transmission/reception signal according to voice call communication by a wireless transmission/reception operation with a terminal body(10). A wireless transmission/reception port(30) transmits/receives a voice call communication signal, a key input data signal and various wireless data signal by wireless data communication with a wireless transmission/reception port(18) of the terminal body(10). An external input/output port(32) is connected to an electronic equipment to transmit and receive various data. An extended memory port(34) receives an extended memory card for storing data wirelessly received from the terminal body(10).

Description

다기능 키패드 장치를 갖춘 이동통신 단말기{MOBILE TERMINAL HAVING MULTI-FUNCTION TYPE KEYBOARD DEVICE}MOBILE TERMINAL HAVING MULTI-FUNCTION TYPE KEYBOARD DEVICE}

본 발명은 다기능 키패드 장치를 갖춘 이동통신 단말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키패드 구성을 별도 장치로 분리함에 의해, 키패드의 다기능 구현 및 단말기 본체의 표시부에 대한 사이즈 증대가 가능하도록 하는 다기능 키패드 장치를 갖춘 이동통신 단말기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having a multi-function keypad device, and more particularly, by separating the keypad configuration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nto a separate device, to enable the multi-function implementation of the keypad and to increase the size of the display unit of the terminal body.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having a multi-function keypad device.

주지된 바와 같이, 이동통신 단말기는 이동 통신망 시스템에서 무선 음성통화 및 무선 데이터 서비스를 진행하기 위한 사용자 휴대형 기기로서, 이는 무선 접속 기술 및 반도체 기술의 발전에 따라 단말기의 고성능화 및 소형화의 추세가 빠르게 진척되는 상황이다.As is well known,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s a user portable device for performing a wireless voice call and a wireless data service in a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system, which is rapidly progressing in the high performance and miniaturization of the terminal according to the development of wireless access technology and semiconductor technology. It is a situation.

이러한 이동통신 단말기는 이동 통신망과의 통신 채널 형성에 의해 무선 통신신호를 송수신하기 무선모뎀 장치와, 이동 전화번호 및 문자메시지를 위한 문자/숫자 입력을 위한 키패드, 음성통화의 진행을 위한 이동 전화번호의 입력상태와 문자메시지의 입력 및 수신 상태, 단말기에 적용된 다양한 기능의 실행상태를 가시적으로 표시하기 위해 박형 액정표시소자가 적용된 표시부, 음성 통화에 따른 음성출력을 위한 스피커, 음성 입력을 위한 마이크로폰 등으로 구성된다.Such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has a wireless modem device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wireless communication signals by establishing a communication channel with a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a keypad for inputting letters and numbers for a mobile phone number and a text message, and a mobile phone number for a voice call. Display unit with a thin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to visually display the input status of the text message, the input and reception status of text messages, and the execution status of various functions applied to the terminal, the speaker for voice output according to the voice call, the microphone for voice input, etc. It consists of.

상기한 구성으로 이루어진 이동통신 단말기에서는 키패드가 해당 단말기 본체에 일체로 부착되어 있기 때문에, 사용자 키입력 조작 반경에 적당하도록 사이즈를 유지해야 하는 키패드의 크기에 의해 단말기의 소형화에 한계가 있을 뿐만 아니라, 최근에는 무선 인터넷 서비스 또는 멀티미디어 통신 서비스의 발전 추세에 따라 대화면의 표시부가 요구되는 추세이지만, 단말기 상에서 키패드의 키버튼이 차지하는 일정 영역 때문에 액정 표시화면의 사이즈 증대에 큰 걸림돌로서 작용한다는 문제점이 있다.In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having the above-described configuration, since the keypad is integrally attached to the main body of the terminal, the size of the terminal has to be limited by the size of the keypad which must be maintained in a size suitable for the user's key input operation radius. Recently, the display unit of the large screen is required according to the development trend of the wireless Internet service or the multimedia communication service, but there is a problem that it acts as a big obstacle to increasing the size of the liquid crystal display screen due to a certain area occupied by the key buttons of the keypad on the terminal.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의 사정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서, 그 목적은 이동통신 단말기의 키패드를 단말기 본체와 별도로 분리하여 키입력 신호의 무선 송수신을 통해 키입력 조작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다기능 키패드 장치를 갖춘 이동통신 단말기를 제공하는 것이다.Accordingly,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in view of the above-described conventional situation, and an object thereof is to separate a keypad of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from a terminal body separately so that a key input operation can be performed through wireless transmission and reception of a key input signal. It is to provide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equipped with a device.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이동통신 단말기의 본체와 별도로 분리된 키패드를 통해 무선의 송수화 기능이 수행될 수 있도록 하는 다기능 키패드 장치를 갖춘 이동통신 단말기를 제공하는 것이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having a multi-function keypad device for performing a wireless handset function through a keypad separated from the main body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이동통신 단말기의 본체와 별도로 분리된 키패드를 통해서 여타의 전자기기에 대한 원격 제어 기능이 수행될 수 있도록 하는 다기능 키패드 장치를 갖춘 이동통신 단말기를 제공하는 것이다.It is still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having a multi-function keypad device for performing a remote control function for other electronic devices through a keypad separated from the main body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이동통신 단말기의 본체와 별도로 분리된 키패드를 통해서 확장형 저장매체의 수용에 의한 관련 데이터의 저장이 가능하도록 하는 다기능 키패드 장치를 갖춘 이동통신 단말기를 제공하는 것이다.It is still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having a multi-function keypad device capable of storing related data by receiving an expandable storage medium through a keypad separated from the main body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다기능 키패드 장치를 갖춘 이동통신 단말기의 외관을 나타낸 도면,1 is a view showing the appearance of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having a multifunction keypad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이동통신 단말기 본체의 내부 구성을 나타낸 도면,2 is a view showing the internal configuration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main body shown in FIG.

도 3은 도 1에 도시된 다기능 키패드 장치의 내부 구성을 나타낸 도면,3 is a view showing the internal configuration of the multi-function keypad device shown in FIG.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다기능 키패드 장치를 갖춘 이동통신 단말기에 대한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플로우차트이다.4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n operation of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having a multi-function keypad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Description of the symbols for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s>

10:단말기 본체, 12:표시부,10: terminal body, 12: display unit,

14:화면 조절버튼, 16:안테나,14: Screen control button, 16: antenna,

18,30:무선 송수신포트, 20:무선 키패드 장치,18,30: wireless transmit / receive port, 20: wireless keypad device,

22:키패드, 24:스피커,22: keypad, 24: speakers,

26:마이크로폰, 28:이어폰 포트,26: microphone, 28: earphone port,

32:외부 입출력 포트, 34:확장 메모리 포트,32: external input / output port, 34: expansion memory port,

40:무선모뎀 모듈, 42:표시구동 모듈,40: wireless modem module, 42: display drive module,

44:메모리 모듈, 46:제어 모듈,44: memory module, 46: control module,

48:음성 입/출력 처리모듈, 50,62:음성신호 변복조부,48: voice input / output processing module, 50, 62: voice signal modulation and demodulation unit,

52,64:데이터 변복조부, 54,60:데이터 송수신부.52, 64: data modulation and demodulation section, 54, 60: data transmission and reception section.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르면, 이동 통신망과의 무선 접속에 의한 음성통화 및 무선 데이터 통신을 수행하는 이동통신 단말기 본체와, 상기 단말기 본체와는 별도로 분리되어 음성통화 및 무선 데이터 통신의 수행 명령을 키입력하는 다수의 키버튼을 갖춘 키패드 장치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키패드 장치를 갖춘 이동통신 단말기를 제공한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main body for performing a voice call and a wireless data communication by a wireless connection with a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and separate from the terminal main body of the voice call and wireless data communication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having a multi-function keypad device comprising a keypad device having a plurality of key buttons for inputting a performance command.

바람직하게,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 본체는 이동 통신망을 통한 무선 통신신호의 처리를 위한 무선모뎀 모듈과, 이동통신 기능과 상기 키패드 장치의 기능 동작 상태를 표시하는 표시수단, 상기 키패드 장치로부터의 키입력 명령에 따라 음성 통화 및 무선 데이터 통신을 위한 제어를 수행하는 제어 모듈, 음성통화에 따른 음성 송/수화 신호를 처리하는 음성 입/출력 처리모듈 및, 상기 키패드 장치와의 데이터 송수신을 위한 근거리 통신을 수행하는 근거리 통신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Preferably, the main body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ncludes a wireless modem module for processing a wireless communication signal through a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display means for displaying a mobile communication function and a function operation state of the keypad device, and a key input command from the keypad device. A control module for controlling voice calls and wireless data communication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 voice input / output processing module for processing voice transmission / reception signals according to voice calls, and short-range communication for data transmission and reception with the keypad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near field communication means.

더 바람직하게, 상기 키패드 장치는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 본체에 대한 음성통화 및 무선 데이터 통신을 위한 키입력을 수행하는 키패드와, 상기 키패드의 키입력에 따른 킷값 데이터신호를 발생하는 제어수단 및,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 본체와의 데이터 송수신을 위한 근거리 통신을 수행하는 근거리 통신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More preferably, the keypad device includes a keypad for performing a key input for voice call and wireless data communication with respect to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body, control means for generating a kit value data signal according to the key input of the keypad, and the movement. Short-range communication means for performing short-range communication for data transmission and reception with the communication terminal body, characterized in that configured to include.

또한, 상기 근거리 통신 수단은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 본체와 키패드 장치 사이의 상호 무선 통신을 위한 무선 통신 수단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short-range communication means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wireless communication means for the wireless communication between the mobile terminal and the keypad device.

이하, 상기한 바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대해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즉,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다기능 키패드 장치를 갖춘 이동통신 단말기의 외관을 나타낸 도면이다.That is, Figure 1 is a view showing the appearance of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having a multi-function keypad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다기능 키패드 장치를 갖춘 이동통신 단말기는, 단말기 본체(10)와, 그 단말기 본체(10)와는 별도로 구성된 키패드 장치(20)로 구성된다.As shown in FIG. 1,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having a multi-function keypad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terminal body 10 and a keypad device 20 separately configured from the terminal body 10.

상기 단말기 본체(10)에는 표시부(12)와, 화면 조절버튼(14), 안테나(16), 무선 송수신 포트(18)로 구성되는 바, 상기 표시부(12)는 키패드가 해당 본체와는 별도의 키패드 장치(20)로 구성되기 때문에 표시화면의 사이즈를 대폭적으로 증대될 수 있다.The terminal body 10 includes a display unit 12, a screen control button 14, an antenna 16, and a wireless transmission / reception port 18. The display unit 12 has a keypad separate from the corresponding main body. Since the keypad device 20 is configured, the size of the display screen can be greatly increased.

상기 각 화면 조절버튼(14)은 상기 표시부(12)의 밝기 및 명암을 조정하기 위한 것으로서, 이는 화면 조절용 설정버튼(14a)과, 화면 조절용 업/다운 버튼(14b)으로 구성된다.Each of the screen control buttons 14 is for adjusting the brightness and contrast of the display unit 12. The screen control button 14 includes a screen control setting button 14a and a screen control up / down button 14b.

상기 무선 송수신 포트(18)는 해당 단말기 본체(10)의 외부 소정 위치에 설치되고서, 해당 본체와 별도로 구성된 키패드 장치(20)와의 무선 데이터 송수신을 수행하기 위한 것으로서, 이는 적외선을 이용한 무선 통신을 위한 적외선신호 송수신 포트 또는 블루투스(Bluetooth)를 이용한 무선 송수신방식이 적용되는 블루투스 송수신 포트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wireless transmission / reception port 18 is installed at a predetermined position outside the terminal body 10 and performs wireless data transmission / reception with the keypad device 20 configured separately from the main body. Infrared signal transmission port for the Bluetooth or Bluetooth (Bluetooth) is preferably made of a Bluetooth transmission and reception port is applied.

상기 키패드 장치(20)에는 키패드(22)와, 스피커(24), 마이크로폰(26), 이어폰 포트(28), 무선 송수신 포트(30), 외부 입출력 포트(32), 확장 메모리 포트(34)로 구성된다.The keypad device 20 includes a keypad 22, a speaker 24, a microphone 26, an earphone port 28, a wireless transmission / reception port 30, an external input / output port 32, and an expansion memory port 34. It is composed.

상기 키패드(22)는 상기 단말기 본체(10)와는 별도로 구성된 해당 키패드 장치(20)에서 이동통신 단말기에 대한 음성통화 및 데이터 통신 기능의 키입력과, 별도의 다기능 키입력을 위한 다수의 키버튼을 갖춘 것으로서, 이는 이동 전화번호를 위한 숫자의 입력과 문자메시지를 위한 한글/영문 입력을 수행하는 다이얼 키버튼(22a)과, 이동통신 단말기에 갖추어진 각종 기능(즉, 이동통신 단말기의 자체 설정기능과, 무선 인터넷 접속기능, 이동 전화번호 등록기능, 메모기능, 문자/음성메시지 입력/조회기능 등)의 입력 및 설정을 위한 단말 기능 키버튼(22b), 해당 이동통신 단말기가 보유한 기능 이외의 별도기능(즉, 각종 전자기기의 무선 리모컨 기능과, 차량의 원격 시동 기능, 확장 메모리 카드로의 데이터 저장 기능 등)에 따른 설정모드를 원키 조작에 의해 전환하는 기능모드 설정 키버튼(22c), 별도기능의 조정 및 조작을 위한 제 1업/다운 키버튼(22d) 및 제 2업/다운 키버튼(22e)으로 구성된다.The keypad 22 uses a plurality of key buttons for a voice call and data communication function for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a separate multi-function key input in a corresponding keypad device 20 separately configured from the terminal body 10. It is equipped with a dial key button 22a for performing numerical input for a mobile phone number and Korean / English input for a text message, and various functions provided in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that is, a self-setting function of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a terminal function key button 22b for inputting and setting a wireless Internet access function, a mobile phone number registration function, a memo function, a text / voice message input / lookup function, etc., and a function other than the function possessed by the corresponding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The setting mode according to the function (i.e. wireless remote control function of various electronic devices, remote start function of vehicle, data storage function to expansion memory card, etc.) Is configured as a toggle mode setting key button (22c), the first up / down key button (22d) and the second up / down key button (22e) for the adjustment and operation of the extra features to.

상기 스피커(24)와 마이크로폰(26) 및 이어폰 포트(28)는 해당 키패드 장치(20)에 설치되고서, 상기 단말기 본체(10)와의 무선 송수신 동작에 의해 음성통화에 따른 음성 송/수화 신호를 입/출력하기 위한 것이다.The speaker 24, the microphone 26, and the earphone port 28 are installed in the keypad device 20, and transmit / receive a voice transmission / reception signal according to a voice call by a wireless transmission / reception operation with the terminal body 10. It is for input / output.

상기 무선 송수신 포트(30)는 상기 단말기 본체(100의 무선 송수신 포트(18)와의 무선 데이터 통신에 의해 음성통화 신호와 키입력 데이터신호, 각종 무선 데이터신호를 송수신하기 위한 것이다.The wireless transmission / reception port 30 is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a voice call signal, a key input data signal, and various wireless data signals by wireless data communication with the wireless transmission / reception port 18 of the terminal body 100.

상기 외부 입출력 포트(32)는 외부의 개인용 컴퓨터단말이나 컴퓨팅 기능을 갖춘 전자기기와 유선의 데이터 케이블을 통해 접속되어 각종 데이터의 송수신이 가능하도록 되어 있고, 상기 확장 메모리 포트(34)는 상기 단말기 본체(10)로부터 무선으로 수신받은 데이터를 별도로 저장하기 위한 확장 메모리 카드를 삽입하여 사용하기 위한 것이다.The external input / output port 32 is connected to an external personal computer terminal or an electronic device having a computing function through a wired data cable to transmit and receive various data, and the expansion memory port 34 is the terminal body. It is for inserting and using an expansion memory card for separately storing data received wirelessly from (10).

여기서, 상기 단말기 본체(10)의 내부 구성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무선모뎀 모듈(40)과, 표시구동 모듈(42), 메모리 모듈(44), 제어모듈(46), 음성 입/출력 처리모듈(48), 음성신호 변복조부(50), 데이터 변복조부(52), 데이터 송수신부(54)로 구성된다.Here, the internal configuration of the terminal main body 10 is, as shown in Figure 2, the wireless modem module 40, the display drive module 42, memory module 44, control module 46, voice input / The output processing module 48, the audio signal modulation and demodulation section 50, the data modulation and demodulation section 52, and the data transmission / reception section 54 are provided.

상기 무선모뎀 모듈(40)은 수신 안테나를 통해 수신되는 고주파 신호를 중간주파 처리 및 주파수대역 변환을 수행함과 더불어 전송하고자 하는 음성 및 데이터신호의 중간주파 변환 및 고주파 변환을 수행하고, 음성 및 데이터의 수신을 위한 디지털 변환 및 전송을 위한 아날로그 변환을 수행함과 더불어 프로토콜 처리를 수행하게 된다.The wireless modem module 40 performs intermediate frequency processing and frequency band conversion of a high frequency signal received through a receiving antenna, and performs intermediate frequency conversion and high frequency conversion of voice and data signals to be transmitted, and In addition to performing digital conversion for reception and analog conversion for transmission, protocol processing is performed.

상기 표시 구동모듈(42)은 상기 표시부(12)의 표시화면이 증대된 사이즈에 대응하는 표시구동 성능을 갖추고서, 상기 키패드 장치(20)의 키입력 조작에 따른 표시사항과, 이동 통신망을 통한 상대방 수신측과의 음성통화 또는 데이터통신에 따라 적용되는 표시사항을 표시부(12)에 표시하기 위한 구동을 수행한다.The display driving module 42 has a display driving capability corresponding to an increased size of the display screen of the display unit 12, the display items according to the key input operation of the keypad device 20, and through the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The display unit 12 performs driving to display the display items applied according to a voice call or data communication with the other party's receiver.

상기 메모리 모듈(44)은 해당 이동통신 단말기의 기능동작을 운용하는 운용프로그램과, 상기 키패드 장치(20)로부터 전송되는 키입력신호의 키값을 인식하기 위한 키코드 데이터가 저장되어 있다.The memory module 44 stores an operation program for operating a functional operation of the corresponding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key code data for recognizing a key value of a key input signal transmitted from the keypad device 20.

상기 제어모듈(46)은 상기 무선모뎀 모듈(40)을 통한 무선통신에 의해 상대방 수신측과의 음성통화 및 데이터통신을 위한 전반적인 제어처리를 수행하기 위한 것으로서, 이는 상기 키패드 장치(20)의 기능 키버튼을 통한 사용자 키입력 명령을 무선으로 수신받아 음성통화 및 데이터 통신을 위한 호접속 및 데이터 통신을 위한 제어를 수행하고, 상기 키패드 장치(20)에 음성 통화에 따른 음성 송/수화 신호의 송수신을 위한 제어와, 해당 키패드 장치(20)에 장착되는 확장 메모리 카드로의 데이터 저장을 위한 제어를 수행한다.The control module 46 is to perform overall control processing for voice call and data communication with the other party's receiver by wireless communication through the wireless modem module 40, which is a function of the keypad device 20. Receives a user's key input command through a key button wirelessly, performs call connection and data communication for voice call and data communication, and transmits / receives a voice transmission / reception signal according to a voice call to the keypad device 20. And control for data storage to an expansion memory card mounted in the keypad device 20.

상기 음성 입/출력 처리모듈(48)은 상기 제어모듈(46)과의 음성통화를 위한 신호처리에 따라 상기 키패드 장치(20)의 마이크로폰(26)을 통해 입력되는 사용자의 음성을 입력받아 음성처리함과 더불어, 무선으로 수신받은 상대방으로부터의 음성신호를 키패드 장치(20)의 스피커(24) 및 이어폰 포트(28)를 통해 출력하기 위한 음성처리를 수행한다.The voice input / output processing module 48 receives a voice of a user input through the microphone 26 of the keypad device 20 according to a signal processing for a voice call with the control module 46. In addition, voice processing for outputting a voice signal received from the other party wirelessly received through the speaker 24 and the earphone port 28 of the keypad device 20 is performed.

상기 음성신호 변복조부(50)는 상기 음성 입/출력 처리모듈(48)을 통해 음성처리된 수화 음성신호를 무선으로 전송 가능하게 신호 변조처리함과 더불어, 상기 무선 송수신 포트(18)를 통해 수신되는 상기 키패드 장치(20)로부터의 송화 음성신호를 복조하여 상기 음성 입/출력 처리모듈(48)에 전달한다.The voice signal modulation / demodulation unit 50 modulates a sign language voice signal processed through the voice input / output processing module 48 so as to be transmitted wirelessly, and receives the signal through the wireless transmission / reception port 18. The demodulated voice signal from the keypad device 20 is demodulated and transmitted to the voice input / output processing module 48.

상기 데이터 변복조부(52)는 상기 제어 모듈(46)로부터의 제어명령이나 확장 메모리 카드에 저장될 각종 데이터 신호를 무선으로 전송 가능하게 신호변조 처리하게 되고, 상기 키패드 장치(20)로부터 무선으로 수신되는 키입력 신호나 각종 데이터 신호를 복조처리하게 된다.The data modulation / demodulation unit 52 performs signal modulation processing to wirelessly transmit a control command from the control module 46 or various data signals to be stored in the expansion memory card, and wirelessly receives the data from the keypad device 20. The key input signal and various data signals to be demodulated are processed.

상기 데이터 송수신부(54)는 상기 음성신호 변복조부(50) 및 데이터 변복조부(52)로부터의 변조신호를 무선 송수신 포트(18)를 통해 무선 전송하기 위한 증폭 처리를 수행하고, 상기 무선 송수신 포트(18)를 통해 수신되는 변조신호를 필터링 및 증폭처리한다.The data transmission / reception unit 54 performs amplification processing for wirelessly transmitting the modulation signals from the voice signal modulation / demodulation unit 50 and the data modulation / demodulation unit 52 through the wireless transmission / reception port 18, and performs the wireless transmission / reception port. The modulated signal received through 18 is filtered and amplified.

또한, 상기 키패드 장치(2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무선 송수신 포트(30)와, 데이터 송수신부(60), 음성신호 변복조부(62), 데이터 변복조부(64), 제어부(66)로 구성된다.In addition, as shown in FIG. 3, the keypad device 20 includes a wireless transmission / reception port 30, a data transmission / reception unit 60, a voice signal modulation / demodulation unit 62, a data modulation / demodulation unit 64, and a controller 66. It is composed of

상기 무선 송수신 포트(30)는 해당 키패드 장치(20)의 외부 소정 위치에 설치되고서, 상기 단말기 본체(10)의 무선 송수신 포트(18)와 무선 데이터 통신을 위한 송수신 동작을 수행한다.The wireless transmission / reception port 30 is installed at a predetermined position outside the corresponding keypad device 20, and performs a transmission / reception operation for wireless data communication with the wireless transmission / reception port 18 of the terminal body 10.

상기 데이터 송수신부(60)는 상기 음성신호 변복조부(62) 및 데이터 변복조부(64)로부터의 변조신호를 무선 송수신 포트(30)를 통해 무선 전송하기 위한 증폭 처리를 수행하고, 상기 무선 송수신 포트(30)를 통해 수신되는 변조신호를 필터링 및 증폭처리한다.The data transmission / reception unit 60 performs an amplification process for wirelessly transmitting the modulation signals from the voice signal modulation / demodulation unit 62 and the data modulation / demodulation unit 64 through the wireless transmission / reception port 30, and the wireless transmission / reception port. The modulated signal received through 30 is filtered and amplified.

상기 음성신호 변복조부(62)는 상기 데이터 송수신부(60)를 통해 수신되는 단말기 본체(10)로부터의 수화 음성신호를 스피커(24)를 통해 재생이 가능하게 신호 복조처리함과 더불어, 상기 마이크로폰(26)으로부터 입력되는 송화 음성신호를 신호 변조한다.The voice signal modulation / demodulation unit 62 performs signal demodulation processing to enable playback of a sign language audio signal from the terminal body 10 received through the data transmission / reception unit 60 through a speaker 24, and the microphone. Signal-modulated voice signal inputted from (26) is signal-modulated.

상기 데이터 변복조부(64)는 상기 키패드(22)의 키입력에 따른 키입력 신호나 각종 데이터 신호를 신호 변조하고, 상기 단말기 본체(10)로부터 무선 수신되는 제어명령이나 확장 메모리 카드에 저장될 각종 데이터 신호를 신호복조 처리하게 된다.The data modulation / demodulator 64 modulates a key input signal or various data signals according to a key input of the keypad 22, and various kinds of data to be stored in a control command or an extended memory card wirelessly received from the terminal body 10. Signal demodulation processing is performed.

상기 제어부(66)는 상기 단말기 본체(10)의 제어 모듈(46)과 무선 데이터 송수신에 의한 제어통신을 수행하여 음성통화 및 데이터 통신을 위한 기능동작의 제어를 수행하고, 상기 단말기 본체(10)로부터 수신되는 데이터 신호를 확장 메모리 포트(34)에 장착되는 확장 메모리 카드에 저장하기 위한 제어처리를 수행한다.The controller 66 performs control communication with the control module 46 of the terminal body 10 by wireless data transmission / reception to control a function operation for voice call and data communication, and the terminal body 10. Control processing for storing the data signal received from the expansion memory card mounted in the expansion memory port 34 is performed.

여기서, 상기 제어부(66)는 그 내부 메모리에 저장된 각종 별도기능(즉, 외부 전자기기의 무선 리모컨 기능, 차량의 원격시동 기능)의 수행을 위한 키입력 명령에 다른 킷값을 발생하는 각 기능별 키코드 데이터가 구비되고서, 상기 키패드(22)의 다기능 수행을 위한 키입력에 따른 킷값을 발생한다.Here, the control unit 66 is a key code for each function that generates a different kit value for a key input command for performing various separate functions (that is, a wireless remote control function of an external electronic device, a remote start function of a vehicle) stored in the internal memory. Data is provided, and generates a kit value according to a key input for performing the multifunction of the keypad 22.

또한, 상기 제어부(66)는 외부 입출력 포트(32)를 통해 외부의 개인용 컴퓨터단말이나 컴퓨팅이 가능한 전자기기와 신호 연결되어, 각종 데이터의 송수신을 위한 제어를 수행한다.In addition, the controller 66 is connected to an external personal computer terminal or an electronic device capable of computing through an external input / output port 32 to perform a control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various data.

이어, 상기한 바와 같이 이루어진 본 발명의 동작에 대해 도 4의 플로우차트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Next, the oper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made as described above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flowchart of FIG. 4.

먼저, 키패드 장치(20)의 키패드(22)에 구비된 키버튼이 조작되는 경우에, 해당 키패드 장치(20)의 제어부(66)는 상기 키패드(22)의 키버튼이 이동통신 단말기의 이동 전화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키입력 조작을 수행하는 지의 여부를 판단한다(단계 S10).First, when a key button provided on the keypad 22 of the keypad device 20 is operated, the controller 66 of the keypad device 20 is configured such that the key button of the keypad 22 is a mobile telephone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t is determined whether or not a key input operation for performing a function is performed (step S10).

상기 판단 결과, 상기 키패드 장치(20)의 제어부(66)는 해당 키패드(22)의 10-키버튼(22a)과 기능 키버튼(22b)이 이동 전화 기능의 수행을 위해 키입력되었다고 판단되면, 키버튼의 조작에 대응하는 킷값의 키입력신호가 데이터 변복조부(64)에 의해 신호 변조되어 데이터 송수신부(60)와 무선 송수신 포트(30)를 통해 단말기 본체(10)에 무선 전송되도록 한다.As a result of the determination, if the control unit 66 of the keypad device 20 determines that the 10-key button 22a and the function key button 22b of the keypad 22 are keyed in order to perform the mobile telephone function, The key input signal of the kit value corresponding to the operation of the key button is modulated by the data modulation / demodulation unit 64 to be wirelessly transmitted to the terminal body 10 through the data transmission / reception unit 60 and the wireless transmission / reception port 30.

그에 따라, 상기 단말기 본체(10)의 제어 모듈(46)에서는 상기 키패드 장치(20)로부터의 이동 전화 기능을 위한 키입력 신호를 수신받아 무선모뎀 모듈(40)을 통해 특정 이동 전화번호의 이동통신 단말기에 대한 호접속 요청을 수행하여 상대방과의 음성 통화가 진행되도록 한다(단계 S11).Accordingly, the control module 46 of the terminal body 10 receives a key input signal for the mobile phone function from the keypad device 20 and performs mobile communication of a specific mobile phone number through the wireless modem module 40. A call connection request is made to the terminal so that a voice call with the other party proceeds (step S11).

즉, 단말기 본체(10)의 음성 입/출력 처리모듈(48)에 의해 음성신호 처리된 상대방으로부터의 수화 음성신호가 음성신호 변복조부(50)를 통해 신호 변조되어 데이터 송수신부(54)와 무선 송수신 포트(18)를 통해 무선 전송되면, 키패드 장치(20)에서는 무선 송수신 포트(30)와 데이터 송수신부(60)를 통해 수화 음성신호를 수신받아 음성신호 변복조부(62)를 통한 신호복조를 거쳐서 스피커(24)를 통해 음성출력시키게 된다.That is, the sign language voice signal from the counterpart processed by the voice input / output processing module 48 of the terminal main body 10 is signal-modulated by the voice signal modulation / demodulation unit 50 to wirelessly communicate with the data transmission / reception unit 54. When the radio is transmitted through the transmission / reception port 18, the keypad device 20 receives a sign language voice signal through the wireless transmission / reception port 30 and the data transmission / reception unit 60 to perform signal demodulation through the voice signal modulation / demodulation unit 62. The voice is output through the speaker 24.

또한, 마이크로폰(26)을 통해 입력되는 사용자로부터의 송화 음성신호는 음성신호 변복조부(62)에 의해 신호 변조처리되어 무선 송수신 포트(30)를 통해 무선 전송되면, 단말기 본체(10)에서는 무선 송수신 포트(18)를 통해 수신받은 송화 음성신호를 음성신호 변복조부(50)를 통해 신호복조하여 음성 입/출력 처리모듈(48)에 의한 음성신호 처리를 거쳐서 무선모뎀 모듈(40)에 의해 이동 통신망으로 전송되도록 한다.In addition, when the voice signal transmitted from the user through the microphone 26 is signal-modulated by the voice signal modulation / demodulation unit 62 and wirelessly transmitted through the wireless transmission / reception port 30, the terminal body 10 transmits and receives wirelessly. The voice signal received through the port 18 is demodulated by the voice signal modulation / demodulation unit 50 and processed by the wireless modem module 40 through the voice signal processing by the voice input / output processing module 48. To be sent to.

한편, 상기 단계 S10의 판단 결과에 따라 상기 키패드 장치(20)의 제어부(66)는 상기 키패드(22)가 이동 전화 기능의 수행을 위한 키입력을 수행하지 않는다고 판단되면, 그 키패드(22)의 키버튼이 이동 데이터 서비스의 수행을 위한 키입력을 수행하는 지의 여부를 판단한다(단계 S12).On the other hand, if the control unit 66 of the keypad device 20 determines that the keypad 22 does not perform a key input for performing the mobile telephone function according to the determination result of step S10, It is determined whether the key button performs key input for performing the mobile data service (step S12).

상기 판단 결과, 상기 제어부(66)는 상기 키패드(22)의 기능 키버튼(22b)의 키조작에 따라 무선 인터넷과 같은 이동 데이터 서비스를 수행하기 위한 키입력이 이루어졌다고 판단되면, 이동 데이터 서비스의 실행을 위한 기능 키버튼의 키입력에 대응하는 킷값의 데이터를 무선으로 단말기 본체(10)에 전송하고, 상기 단말기 본체(10)의 제어 모듈(46)은 무선모뎀 모듈(40)에 의해 무선 인터넷망이나 특정 멀티미디어 통신망에 접속하여 인터넷 서비스 또는 멀티미디어 서비스가 진행되도록 한다(단계 S13).As a result of the determination, if it is determined that a key input for performing a mobile data service such as wireless internet is made according to the key operation of the function key button 22b of the keypad 22, The data of the kit value corresponding to the key input of the function key button for execution is wirelessly transmitted to the terminal body 10, and the control module 46 of the terminal body 10 is wirelessly connected by the wireless modem module 40. An internet service or a multimedia service is performed by accessing a network or a specific multimedia communication network (step S13).

이 때, 상기 제어부(66)는 키패드(22)의 기능 키버튼(22b)에 의한 조작에 의해 인터넷 서비스 또는 멀티미디어 서비스 도중에 특정 데이터의 저장을 위한 키입력이 이루어지면, 상기 단말기 본체(10)의 무선모뎀 모듈(40)로부터 수신되는 데이터가 데이터 변복조부(52)에 의해 신호변조되어 무선 송수신 포트(18)를 통해 키패드 장치(20)에 무선 전송되고, 해당 키패드 장치(20)의 제어부(66)에서는 그 무선 송수신 포트(30)를 통해 수신받은 데이터가 데이터 변복조부(64)를 통해 신호복조되어 확장 메모리 포트(34)에 장착된 확장 메모리 카드에 저장되도록 한다.At this time, the control unit 66 is a key input for storing specific data during the Internet service or the multimedia service by the operation by the function key button 22b of the keypad 22, the main body of the terminal 10 Data received from the wireless modem module 40 is signal-modulated by the data modulation / demodulation unit 52 and wirelessly transmitted to the keypad device 20 through the wireless transmission / reception port 18, and the control unit 66 of the keypad device 20. ), The data received through the wireless transmission and reception port 30 is signal demodulated through the data modulation and demodulation unit 64 to be stored in the expansion memory card mounted in the expansion memory port 34.

한편, 상기 단계 S12의 판단 결과에 따라 상기 제어부(66)는 상기 키패드(22)가 이동 데이터 서비스를 수행하기 위한 키입력을 수행하지 않았다고 판단되면, 예컨대 텔레비전과 같은 외부 전자기기의 무선 리모컨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키입력을 수행하는 지의 여부를 판단한다(단계 S14).On the other hand,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keypad 22 does not perform a key input for performing the mobile data service according to the determination result of step S12, the controller 66 performs a wireless remote control function of an external electronic device such as a television, for example. It is determined whether or not key input for performing is performed (step S14).

상기 판단 결과, 상기 키패드 장치(20)의 제어부(66)는 상기 키패드(22)의 기능모드 설정 키버튼(22c)과 제 1 및 제 2업/다운 키버튼(22d,22e)의 키조작에 따라 외부 전자기기의 원격 제어를 위한 키입력을 수행하는 것으로 판단되면, 내부 메모리에 저장된 해당 외부 기능모드 제어에 따른 키코드 데이터에 기초하여 각 키버튼의 조작에 대응하는 킷값의 키데이터신호를 데이터 변복조부(64)를 통해 신호변조하여 무선 송수신 포트(30)를 통해 해당되는 전자기기 측으로 전송하게 된다(단계 S15).As a result of the determination, the control unit 66 of the keypad device 20 controls the key operation of the function mode setting key button 22c and the first and second up / down key buttons 22d and 22e of the keypad 22. Accordingly,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key input for remote control of the external electronic device is performed, the key data signal of the kit value corresponding to the operation of each key button is based on the key code data according to the corresponding external function mode control stored in the internal memory. Signal modulation through the modulation and demodulation unit 64 is transmitted to the corresponding electronic device through the wireless transmission and reception port 30 (step S15).

그에 따라, 예컨대 텔레비전과 같은 특정 전자기기는 상기 키패드 장치(20)의 키버튼 입력에 의한 기능조작에 따라 원격 제어되어 해당 전자기기에서 보유하고 있는 고유한 기능동작을 수행할 수 있게 된다.Accordingly, for example, a specific electronic device such as a television can be remotely controlled according to a function operation by a key button input of the keypad device 20 to perform a unique functional operation possessed by the electronic device.

그 반면에, 상기 제어부(66)는 해당 키패드(22)가 무선 리모컨 기능의 수행을 위한 키입력을 수행하지 않았다고 판단되면, 차량의 원격 시동 기능을 위한 키입력을 수행하는 지의 여부를 판단한다(단계 S16).On the other hand, if it is determined that the keypad 22 does not perform the key input for the wireless remote controller function, the controller 66 determines whether to perform the key input for the remote start function of the vehicle ( Step S16).

상기 판단 결과, 상기 제어부(66)는 상기 키패드(22)의 기능모드 설정 키버튼(22c)과 제 1 및 제 2업/다운 키버튼(22d,22e)의 키조작에 따라 차량의 원격 시동을 위한 키입력이 이루어졌다고 판단되면, 내부 메모리의 다기능에 따른 키코드데이터 중에서 차량의 원격 시동을 위한 키코드 데이터의 킷값 데이터신호를 데이터 변복조부(64)에 의한 신호변조 처리를 거쳐서 무선 송수신 포트(30)를 통해 소정 차량에 전송되도록 한다(단계 S17).As a result of the determination, the controller 66 performs remote start of the vehicle according to the key operation of the function mode setting key button 22c of the keypad 22 and the first and second up / down key buttons 22d and 22e. If it is determined that the key input has been performed, the kit value data signal of the key code data for remotely starting the vehicle among the key code data according to the multifunction of the internal memory is subjected to a signal modulation process by the data modulation / demodulation unit 64 to perform a wireless transmission / reception port ( 30) to be transmitted to the predetermined vehicle (step S17).

상기한 바와 같은 실시예를 갖는 본 발명에서는 무선 키패드 장치(20)를 통해 구현이 가능한 다기능으로서 외부 전자기기의 원격 제어기능과, 차량의 원격 시동 기능만을 언급하고 있지만, 무선의 데이터 송수신 기능에 의해 재현이 가능한 어떠한 하드웨어 장치의 제어기능에도 광범위하게 적용되는 것이 가능함은 물론이다.In the present invention having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only the remote control function of the external electronic device and the remote start function of the vehicle are referred to as a multifunction that can be implemented through the wireless keypad device 20. Of course, it is possible to apply a wide range of control functions of any reproducible hardware device.

한편, 본 발명은 전술한 전형적인 바람직한 실시예들에만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로 개량, 변경, 대체 또는 부가하여 실시할 수 있는 것임은 당해 기술분야에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용이하게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이러한 개량, 변경, 대체 또는 부가에 의한 실시가 이하의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범주에 속하는 것이라면 그 기술사상 역시 본 발명에 속하는 것으로 보아야 한다.On the other hand,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above-described typical preferred embodiments, but can be carried out in various ways without departing from the gist of the present invention, various modifications, alterations, substitutions or additions are common in the art Those who have knowledge will easily understand. If the implementation by such improvement, change, replacement or addition falls within the scope of the appended claims, the technical idea should also be regarded as belong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이동통신 단말기의 키패드 부분을 별도로 분리하여 키패드 장치를 형성하고, 그 키패드 장치와 단말기 본체와의 무선 데이터 송수신에 의해 단말기 기능조작 및 무선 송수화 동작이 수행되도록 함과 더불어, 외부 전자기기의 원격제어나 차량의 원격 시동 등과 같은 다기능의 수행이 가능하도록 함에 따라, 키패드가 별도로 분리되면서 단말기 사이즈에 제약이 없어지게 되면서 액정 표시화면의 사이즈가 증대되는 것이 가능함과 더불어, 휴대성이 좋은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하여 추가적인 기능을 일체화된 키패드 장치를 통해 구현할 수 있게 되면서 사용자에게 편의성을 제공할 수 있다는 효과를 갖게 된다.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keypad portion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s separated to form a keypad device, and the terminal function operation and the wireless handset operation are performed by wireless data transmission and reception between the keypad device and the terminal body. In addition, as the multi-function such as remote control of an external electronic device or remote start of a vehicle can be performed, the size of the liquid crystal display screen can be increased while the keypad is separated and the terminal size is not restricted. By using a mobile terminal having good portability, additional functions can be implemented through an integrated keypad device, and thus, convenience can be provided to a user.

Claims (15)

이동 통신망과의 무선 접속에 의한 음성통화 및 무선 데이터 통신을 수행하는 이동통신 단말기 본체와,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main body which performs voice call and wireless data communication by wireless connection with a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상기 단말기 본체와는 별도로 분리되어 음성통화 및 무선 데이터 통신의 수행 명령을 키입력하는 다수의 키버튼을 갖춘 키패드 장치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키패드 장치를 갖춘 이동통신 단말기.And a keypad device having a plurality of key buttons separated from the main body of the terminal and configured to key input commands for performing voice call and wireless data communication. 제 1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 본체는 이동 통신망을 통한 무선 통신신호의 처리를 위한 무선모뎀 모듈과, 이동통신 기능과 상기 키패드 장치의 기능 동작 상태를 표시하는 표시수단, 상기 키패드 장치로부터의 키입력 명령에 따라 음성 통화 및 무선 데이터 통신을 위한 제어를 수행하는 제어 모듈, 음성통화에 따른 음성 송/수화 신호를 처리하는 음성 입/출력 처리모듈 및, 상기 키패드 장치와의 데이터 송수신을 위한 근거리 통신을 수행하는 근거리 통신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키패드 장치를 갖춘 이동통신 단말기.The main body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ncludes a wireless modem module for processing a wireless communication signal through a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display means for displaying a mobile communication function and a function operation state of the keypad device, and a voice according to a key input command from the keypad device. A control module for controlling a call and wireless data communication, a voice input / output processing module for processing a voice transmission / reception signal according to a voice call, and short-range communication for performing short-range communication for data transmission and reception with the keypad device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having a multifunction keypad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means. 제 1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키패드 장치는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 본체에 대한 음성통화 및 무선 데이터 통신을 위한 키입력을 수행하는 키패드와, 상기 키패드의 키입력에 따른 킷값데이터신호를 발생하는 제어수단 및,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 본체와의 데이터 송수신을 위한 근거리 통신을 수행하는 근거리 통신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키패드 장치를 갖춘 이동통신 단말기.The keypad device includes a keypad for performing a key input for voice call and wireless data communication with respect to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body, control means for generating a kit value data signal according to the key input of the keypad, and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body;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having a multi-function keypad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short-range communication means for performing short-range communication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data. 제 2 항 또는 제 3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2 or 3, 상기 근거리 통신 수단은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 본체와 키패드 장치 사이의 상호 무선 통신을 위한 무선 통신 수단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키패드 장치를 갖춘 이동통신 단말기.The short range communication means is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having a multi-function keypad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the wireless communication means for mutual wireless communication between the mobile terminal and the keypad device. 제 4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4, wherein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 본체의 무선 통신 수단은 상기 키패드 장치와의 데이터 무선 송수신을 위한 신호변환을 수행하는 데이터 변환부와, 송수신되는 데이터의 증폭 및 필터링을 수행하는 데이터 송수신부 및, 무선 데이터 신호를 송수신하는 무선 송수신 포트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키패드 장치를 갖춘 이동통신 단말기.The wireless communication means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main body includes a data conversion unit for performing signal conversion for data wireless transmission and reception with the keypad device, a data transmission and reception unit for amplifying and filtering data transmitted and received, and a wireless data signal transmission and reception.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with a multi-function keypad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configured to include a wireless transmission and reception port. 제 5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5, wherein 상기 키패드 장치의 무선 통신 수단은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 본체와의 데이터 무선 송수신을 위한 신호변환을 수행하는 데이터 변환부와, 송수신되는 데이터의 증폭 및 필터링을 수행하는 데이터 송수신부 및, 무선 데이터 신호를 송수신하는 무선 송수신 포트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키패드 장치를 갖춘 이동통신 단말기.Wireless communication means of the keypad device includes a data converter for performing a signal conversion for data wireless transmission and reception with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body, a data transceiver for amplifying and filtering the data transmitted and received, and a wireless data signal transmission and reception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with a multi-function keypad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configured to include a wireless transmission and reception port. 제 6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6, 상기 키패드 장치는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 본체로부터의 음성통화에 따른 음성 수화신호를 음성 출력하는 스피커와, 음성통화에 따른 음성 송화신호를 입력하는 마이크로폰을 더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키패드 장치를 갖춘 이동통신 단말기.The keypad device is equipped with a multi-function keypad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comprises a speaker for outputting a voice sign signal according to the voice call from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body, and a microphone for inputting a voice call signal according to the voice call. Mobile terminal. 제 7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7, wherein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 본체에는 음성통화에 따른 음성 수화신호를 키패드 장치에 무선 전송하기 위해 신호 변조함과 더불어, 키패드 장치로부터 무선 수신되는 음성 송화신호를 복조처리하는 음성신호 변복조부와, 상기 키패드 장치로부터 무선 수신되는 키입력 데이터 신호를 복조함과 더불어, 키패드 장치에 전송하는 데이터 신호를 신호 변조하는 데이터 변복조부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키패드 장치를 갖춘 이동통신 단말기.And a voice signal modulation / demodulation unit for demodulating and processing a voice call signal wirelessly received from the keypad device, by modulating a signal to wirelessly transmit a voice sign signal corresponding to a voice call to the keypad device. And a data modulation / demodulator for demodulating a wirelessly received key input data signal and for signal modulating a data signal to be transmitted to the keypad device. 제 7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7, wherein 상기 키패드 장치에는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 본체로부터 무선 수신되는 음성 수화신호를 복조처리하고, 음성 송화신호를 무선 전송하기 위해 신호 변조하는 음성신호 변복조부와, 이동통신 단말기 본체로부터 무선 수신되는 데이터 신호를 복조함과 더불어, 키입력 데이터 신호를 신호 변조하는 데이터 변복조부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키패드 장치를 갖춘 이동통신 단말기.The keypad device demodulates a voice sign signal wirelessly received from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main body, and modulates a voice signal modulation / demodulation unit for signal modulation to wirelessly transmit the voice call signal, and a data signal wirelessly received from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main body. In addition,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having a multi-function keypad device comprising a data modulation and demodulation unit for modulating the key input data signal. 제 3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3, wherein 상기 키패드 장치의 키패드는 이동 전화번호 및 문자 입력을 위한 10-키버튼과, 이동통신 단말기의 기능설정 및 입력을 위한 단말 기능 키버튼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키패드 장치를 갖춘 이동통신 단말기.The keypad of the keypad device is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having a multi-function keypad device comprising a 10-key button for mobile phone number and character input, and a terminal function key button for setting and inputting a function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제 3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3, wherein 상기 키패드 장치의 키패드는 이동통신 단말기가 보유한 기능 이외의 별도기능에 따른 설정모드를 원키 조작에 의해 전환하는 기능모드 설정 키버튼과, 상기 별도기능의 설정 및 조정을 수행하는 조정 키버튼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키패드 장치를 갖춘 이동통신 단말기.The keypad of the keypad device includes a function mode setting key button for switching a setting mode according to a separate function other than the function held by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by one-key operation, and an adjustment key button for setting and adjusting the separate function.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with a multi-function keypad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configured. 제 11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1, 상기 키패드 장치의 별도 기능은 각종 전자기기의 무선 리모컨 기능과, 차량의 원격 시동 기능, 확장 메모리 카드로의 데이터 저장 기능 중에서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키패드 장치를 갖춘 이동통신 단말기.The separate function of the keypad device is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having a multi-function keypad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any one of the wireless remote control function of the various electronic devices, the remote start function of the vehicle, the data storage function to the expansion memory card. 제 11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1, 상기 키패드 장치의 제어수단은 별도 기능의 원격 제어를 위한 키버튼의 조작에 대응하는 키코드 데이터를 갖춘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키패드 장치를 갖춘 이동통신 단말기.The control means of the keypad device is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having a multi-function keypad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the key code data corresponding to the operation of the key button for remote control of a separate function. 제 3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3, wherein 상기 키패드 장치는 외부 컴퓨팅 장치와의 연결에 의해 데이터 통신을 수행하기 위한 외부 입출력 포트를 더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키패드 장치를 갖춘 이동통신 단말기.The keypad device further comprises an external input / output port for performing data communication by connection with an external computing device. 제 3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3, wherein 상기 키패드 장치는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 본체로부터의 데이터를 저장하기 위해 확장 메모리 카드를 장착하는 확장 메모리 포트를 더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키패드 장치를 갖춘 이동통신 단말기.The keypad device further comprises an expansion memory port for mounting an expansion memory card for storing data from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main body.
KR1020030031681A 2003-05-19 2003-05-19 Mobile terminal having multi-function type keyboard device KR20040099636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31681A KR20040099636A (en) 2003-05-19 2003-05-19 Mobile terminal having multi-function type keyboard devic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31681A KR20040099636A (en) 2003-05-19 2003-05-19 Mobile terminal having multi-function type keyboard devic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99636A true KR20040099636A (en) 2004-12-02

Family

ID=3737714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31681A KR20040099636A (en) 2003-05-19 2003-05-19 Mobile terminal having multi-function type keyboard devic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0099636A (en)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89515B1 (en) * 2005-01-10 2007-03-02 삼성전자주식회사 Transparent keyboard
KR101473055B1 (en) * 2012-06-21 2014-12-24 도시바삼성스토리지테크놀러지코리아 주식회사 External recording device combined keypad
CN110427115A (en) * 2019-09-04 2019-11-08 郭喜春 A kind of customizing keyboard of separating type key design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89515B1 (en) * 2005-01-10 2007-03-02 삼성전자주식회사 Transparent keyboard
KR101473055B1 (en) * 2012-06-21 2014-12-24 도시바삼성스토리지테크놀러지코리아 주식회사 External recording device combined keypad
CN110427115A (en) * 2019-09-04 2019-11-08 郭喜春 A kind of customizing keyboard of separating type key design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281925B1 (en) Video telephone device having automatic sound level setting along with operation mode switching
US8085291B2 (en) Portable terminal device
WO2006088273A1 (en) Remote control system for mobile phones
JP2007036544A (en) Portable terminal
KR200194768Y1 (en) The camera uniformity cellularphone of a background image choice
KR100396283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making a call using a bluetooth headset
JP3695341B2 (en) Portable communication terminal
KR20040099636A (en) Mobile terminal having multi-function type keyboard device
KR100594015B1 (en) Control device and method for driving auxiliary display of mobile phone
KR20060114081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offering ars service connection
KR100819287B1 (en) Apparatus for inputting keys in a portab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method thereof
KR200321467Y1 (en) Handsfree having shorten dials
JP4189088B2 (en) Mobile radio terminal device
KR100630047B1 (en) Mobile wireless telephone having bluetooth module
KR100374565B1 (en) Ear-microphone of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method for control
KR20010084261A (en) Auxiliary Dial-Button Apparatus of Cellular Phone
KR20020017119A (en) The device of display for a portable
KR20050095485A (en) Method for controlling operation of mobile phone remotely
KR20040033370A (en) Device for remotely controlling the functions of a mobile terminal
KR100241896B1 (en) Method for changing tone/pulse using a handset in a radio telephone
KR20020068838A (en) Message transmission device and method in a mobile phone having short message service
KR20010018290A (en) Wireless communication terminal having a keypad separately formed
KR20060026667A (en) Apparatus internet tv setup box with remote control and internet telephone and service method
JP2002190766A (en) Portable radio telephone system
KR100678278B1 (en) Equipment and method of mobile telephone make possible hands free communication over ear-microphone by use radio receiv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