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53531B1 - 무선 유에스비 디바이스의 연결과정 수행방법, 무선유에스비 디바이스 및 호스트 - Google Patents

무선 유에스비 디바이스의 연결과정 수행방법, 무선유에스비 디바이스 및 호스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53531B1
KR100653531B1 KR1020050131421A KR20050131421A KR100653531B1 KR 100653531 B1 KR100653531 B1 KR 100653531B1 KR 1020050131421 A KR1020050131421 A KR 1020050131421A KR 20050131421 A KR20050131421 A KR 20050131421A KR 100653531 B1 KR100653531 B1 KR 10065353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st
wireless usb
name information
predetermined
wireles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13142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원종필
곽동훈
김구봉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5013142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5353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5353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5353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6/00Connection management
    • H04W76/40Connection management for selective distribution or broadcas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12Messaging; Mailboxes; Announcements

Abstract

무선 USB(Universal Serial Bus) 디바이스의 연결과정 수행방법, 무선 USB 디바이스 및 호스트가 개시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호스트가 MMC(Micro-scheduled Management Command) 메시지를 이용하여 호스트 정보를 브로드캐스팅함에 있어, 소정의 문자를 포함하는 호스트의 이름을 포함시킴으로써, 디바이스의 사용자가 호스트를 용이하게 인식할 수 있도록 한다. 이를 통해, 무선 USB 디바이스는 검색한 호스트의 목록을 사용자 지향적으로 표시할 수 있으며, 사용자의 무선 USB 시스템에 대한 접근성을 높일 수 있다.
무선 USB, 연결과정, 호스트 이름, MMC 메시지

Description

무선 유에스비 디바이스의 연결과정 수행방법, 무선 유에스비 디바이스 및 호스트{Connection process executing method of wireless USB device and wireless USB device/host thereof}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무선 USB 시스템을 도시한 도면
도 2의 무선 USB 수퍼프레임의 구조도,
도 3은 무선 USB 디바이스의 호스트 검색결과가 표시되는 일 예를 도시한 도면, 그리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연결과정 수행방법의 설명에 제공되는 흐름도이다.
본 발명은, 무선 USB(Universal Serial Bus) 디바이스의 연결과정 수행방법, 무선 USB 디바이스 및 호스트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호스트가 소정의 문자를 포함하는 호스트 이름정보를 브로드캐스팅함으로써, 디바이스의 사용자가 호스트를 용이하게 인식할 수 있도록 하는, 무선 USB 디바이스의 연결과정 수행방 법, 무선 USB 디바이스 및 호스트에 관한 것이다.
무선 USB는 유선 USB의 성공을 발판으로 삼아, 미래의 무선 기술과 유선 USB 기술을 결합한 것으로, 개인용 컴퓨터(PC: Personal Computer), PC 주변기기, 가전 기기 및 이동통신기기에 적용된다.
무선 USB는 반경 3미터 이내에서 480 Mbps의 전송속도를 제공할 수 있으며, 케이블 사용이나, 디바이스의 직접 연결에 따른 불편함을 해소할 수 있어, 유선 USB보다 개선된 사용자 편리성을 제공할 수 있다.
무선 USB 장치는 무선 USB 채널을 생성하고 채널을 관리할 수 있는 기능이 있는 무선 USB 호스트와 무선 USB 호스트에 연결하여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는 디바이스로 구분된다. 무선 USB 호스트는 마스터의 역할을 수행하며 디바이스는 슬레이브 역할을 수행한다.
이러한 무선 USB를 사용하기 위해선 유선 USB에서 디바이스를 호스트에 직접 연결하거나, USB 케이블을 사용하여 호스트와 디바이스를 연결하는 것과 같은 기능을 수행하도록, 무선 USB 디바이스와 무선 USB 호스트간의 연결과정이 필요하다.
본 발명의 목적은, 무선 USB 호스트와의 연결과정을 수행함에 있어, 무선 USB 호스트의 이름을 소정의 문자를 이용하여 사용자에게 표시함으로써, 디바이스의 사용자가 호스트를 용이하게 인식할 수 있도록 하는, 무선 USB 디바이스의 연결과정 수행방법, 무선 USB 디바이스 및 호스트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라, 소정의 연결과정을 통해 적어도 하나의 무선 USB(Universal Serial Bus) 호스트에 접속하는 무선 USB 디바이스는, 소정의 정보를 시각적으로 인식할 수 있도록 표시하는 표시부, 상기 적어도 하나의 호스트로부터 수신한 적어도 하나의 MMC(Micro-scheduled Management Command) 메시지를 출력하는 무선인터페이스부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MMC 메시지 중 선택된 것으로부터 호스트 식별자 및 호스트 이름정보를 추출하여, 상기 호스트 식별자를 포함하는 소정의 연결요청을 상기 무선인터페이스부로 출력함으로써 상기 연결과정을 수행하며, 상기 연결과정 중에 상기 호스트 이름정보를 상기 표시부로 출력하는 USB디바이스처리부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호스트 이름정보는 소정의 문자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표시부에 표시된 소정의 호스트 이름정보의 목록으로부터 하나를 선택하는 사용자의 소정의 선택명령을 입력받아 출력하는 입력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USB디바이스처리부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MMC 메시지로부터 각각 추출된 호스트 이름정보를 포함하는 상기 호스트 이름정보의 목록을 상기 표시부로 출력하며, 상기 적어도 하나의 MMC 메시지 중 선택된 것은, 상기 입력부로부터 수신한 사용자의 선택명령에 따른 것임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USB디바이스처리부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MMC 메시지 중 하나를 선택하는 것을 반복함으로써, 상기 적어도 하나의 MMC 메시지에 대응되는 호스트 전체에 대해 상기 연결과정을 수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라, 소정의 MMC 메시지를 기초로 연결요청을 하는 무선 USB 디바이스에게, 연결요청 수락의 응답을 전송함으로써 소정의 연결과정을 처리하는 무선 USB 호스트는, 기 설정된 호스트 식별자와 호스트 이름정보를 포함하는 상기 MMC 메시지를 생성하여 출력하는 USB호스트처리부 및 상기 MMC 메시지를 상기 무선 USB 디바이스로 주기적으로 전송하는 무선인터페이스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라, 적어도 하나의 무선 USB 호스트 중 하나에 접속하는 무선 USB 디바이스의 연결과정 수행방법은, 상기 적어도 하나의 무선 USB 호스트 각각이 브로드캐스트하는 MMC 메시지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적어도 하나의 MMC 메시지로부터 각각 호스트 식별자와 호스트 이름정보를 추출하는 단계, 상기 호스트 이름정보 중 선택된 것에 대응되는 호스트로 소정의 연결요청을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연결요청에 대응하여 전송되는 연결요청 수락의 응답을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무선 USB 시스템을 도시한 도면이며, 도 2의 무선 USB 수퍼프레임의 구조도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무선 USB(Universal Serial Bus) 시스템(100)은 적어도 하나의 무선 USB 호스트(이하 '호스트'라 함)(110, 150)와 함께, 무선 USB 디바이스(이하 '디바이스'라 함)(130)를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의 디바이스를 포함한다. 이하에서는, 다수의 호스트 중에서 호스트(110)을 기준으로 설명한다.
본 발명의 무선 USB 시스템(100)은, 디바이스(130)가 호스트(110)에 최초로 접속하는 연결과정의 편의를 위해, 일련의 숫자만으로 된 호스트 식별자(CHID: Connection Host ID)와 함께 텍스트로 된 호스트 이름을 디바이스(130)에게 부가적으로 제공함으로써, 디바이스(130)로 하여금 호스트(110)와의 연결과정을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개선한다.
여기서, 무선 USB 호스트 이름정보는, 문자(또는, 문자+숫자)를 포함하여 사용자가 식별하기 용이하도록 설정된 호스트의 이름으로, 일련의 숫자로 구성된 호스트 식별자와 대비된다. 예를 들어, 호스트 이름정보는, " PC 1"나 "관리서버" 등이 해당할 수 있다.
호스트(110)와 디바이스(130)는 대역 내 채널방식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따라서, 호스트(110)와 디바이스(130) 간에 상호 장치를 인식시키고 데이터 전송시에 암호화를 위한 암호키를 교환하기 위한 '연결과정'을 수행해야 한다.
여기서, 도 2의 무선 USB 수퍼프레임의 구조도를 설명한다.
도 2를 참조하면, 수퍼프레임(Superframe)은 MMC(Micro-scheduled Management Command) 구간(a), 데이터 전송구간(b) 및 핸드쉐이크(Handshake) 구간(c)을 포함한다.
호스트(110)는 MMC 구간(a)을 통해 소정의 채널 관리 및 제어를 위한 MMC 메시지를 디바이스(130)에게 주기적으로 브로드캐스트 한다.
MMC 구간(a)은, 다음으로 전송될 메시지가 MMC 메시지임을 알리는 메시지 헤더와 무선 USB 정보 요소들이 순차적으로 전송되는 소정 타임 슬롯(d,e)을 포함한다. MMC 메시지는 메시지 헤더와 무선 USB 정보요소를 포함한다.
메시지 헤더는 다음 MMC 메시지가 브로드캐스트되는 특정 시간 값이 포함된다. 무선 USB 정보 요소가 전송되는 구간(e)은 WCTA IE(Wireless USB Channel Time Allocation Information Element) 헤더와 실제 정보요소들이 순차적으로 전송된다. 실제 정보요소들의 내용은 채널 설정에 관련된 정보들이 포함되며, 채널 설정 관련 정보 이후에 무선 USB 호스트 관련 정보와 무선 USB 호스트 이름정보가 포함된다. 무선 USB 호스트 관련 정보에 포함되는 내용들은 무선 USB 호스트가 제공할 수 있는 기능들과 호스트 식별자(CHID)가 포함되며, 무선 USB 호스트 이름정보는 호스트 식별자(CHID)에 대응되는 호스트의 이름이다.
이러한 무선 USB 호스트 관련 정보 및 호스트 이름정보는, MMC 구간(a)을 통해, 주기적으로 MMC 메시지의 후반부에 포함되어 전송된다.
다시, 도 1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호스트(110) 및 디바이스(130)를 설명한다.
호스트(110)는 본 발명의 무선 USB 호스트로의 기능 이외에, 사용자에 의해 설계된 각종 기능을 수행할 수 있으며, 개인용 컴퓨터(PC: Personal Computer), 휴대전화,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프린터, 디지털 티브이, 서버용 컴퓨터 등과 같이 무선 USB 호스트로서의 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장치를 포함한다.
호스트(110)는 메모리(111), 저장매체(113), 무선인터페이스부(115) 및 호스 트 제어부(117)를 포함한다.
메모리(111)는 각종 활성 및 비활성 메모리를 포함하며, 호스트(110)의 각종 프로그램이나 데이터들이 저장될 수 있다.
저장매체(113)는 플래시 메모리(Flash Memory), 하드 디스크(Hard Disk) 등이 해당하며, 호스트(110)가 처리하는 각종 데이터 및 연결 문맥 등이 저장된다. 연결문맥은 아래에서 다시 설명한다.
여기서는 메모리(111) 및 저장매체(113)를 구분하여 표시하였으나, 실시 예에 따라 그 기능이 혼용되어 사용될 수 있다.
무선인터페이스부(115)는 디바이스(130)와의 무선 USB 통신에 있어 물리계층의 통신을 수행한다. 무선인터페이스부(115)는 호스트 제어부(117)로부터 수신한 데이터나 메시지를 디바이스(130)로 전송하며, 디바이스(130)로부터 전송되는 데이터를 수신하여, 호스트 제어부(117)로 전송한다.
호스트 제어부(117)는 호스트(11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호스트 제어부(117)는, 호스트(110)가 본 발명의 기능과 다른 사용자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을 수행하도록 설계된 경우라면, 해당 프로그램에 따른 동작을 수행한다. 다만, 이하에서는 무선 USB 호스트로서의 기능 이외의 것에 대한 설명을 생략하며, 도 1에도 생략되었다.
호스트 제어부(117)는, USB호스트처리부(119)를 포함하여, 무선 USB 호스트로서의 기능을 수행한다.
USB호스트처리부(119)는 디바이스(130)와의 연결과정을 위하여 소정의 채널 정보를 포함하는 MMC 메시지를 무선인터페이스부(115)로 출력함으로써 디바이스(130)에게 브로드캐스트 하고, 연결과정시 생성한 해당 디바이스용 연결문맥을 저장매체(113)에 저장한다.
USB호스트처리부(119)는 MMC 메시지에 호스트 관련 정보를 포함시킬 뿐 아니라, 기 설정된 호스트 이름정보를 포함시킨다.
디바이스(130)는, 연결요청을 할 때, 자신의 식별자(CDID)로 이전의 연결과정을 통해 저장한 연결문맥상의 식별자를 사용하거나, 이전의 연결과정이 없었다면 임의의 식별자를 선정하여 연결요청을 할 수 있다. 따라서, USB호스트처리부(119)는, 데이터 전송구간(b)을 통해 디바이스(130)로부터 연결요청을 받으면, 연결요청된 디바이스(130)의 식별자를 포함하는 연결문맥이 저장매체(113)에 저장되어 있는지 확인하고, 저장되어 있으면, 그대로 연결요청을 수락한다.
USB호스트처리부(119)는, 만약 기 저장된 연결문맥 중에 연결요청된 디바이스(130)의 식별자(CDID)를 포함하는 연결문맥이 없으면, 소정의 연결문맥을 생성하여 전송함으로써 연결과정을 수행토록 한다. 저장매체(113)에 기 저장된 연결문맥 중에 연결요청된 디바이스(130)의 식별자(CDID)를 포함하는 연결문맥이 없는 경우이면, 통상 해당 디바이스(130)가 호스트(110)와 최초로 연결과정을 수행하는 것이거나, 호스트(110)와 연결과정을 수행한 적이 있더라도 호스트(110)가 리셋되는 등의 특별한 이유로 해당 연결문맥을 보관하지 않는 경우도 포함한다.
연결 문맥은, 호스트 식별자(CHID), 디바이스 식별자(CDID: Connection Device ID), 암호 키(CK: Connection Key)를 포함하며, 디바이스 식별자(CDID)는 호스트(110)가 정하여 디바이스(130)에게 전송한다.
USB호스트처리부(119)는 연결과정이 성공적으로 수행되면, 해당 연결 문맥을 저장매체(113)에 저장함으로써, 디바이스(130)와의 통신시에 사용한다.
실시 예에 따라서, 호스트(110)는 소정의 입력부(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입력부(미도시)를 통해 호스트의 이름정보를 입력하거나, 입력된 호스트 이름정보를 변경할 수 있다.
디바이스(130)는, 무선 USB 디바이스로서의 기능을 수행하며, 기본적으로 호스트(110)와의 연결과정을 수행한 후 각종 데이터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디바이스(130)는, 이동식 저장매체, 휴대전화, PDA, 디지털 카메라, 프린터 등 무선 USB 디바이스 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장치이면 해당한다.
디바이스(130)는, 호스트(110)가 브로드캐스트하는 MMC 메시지에 포함된 호스트 이름정보를 추출하여 사용자에게 표시한다. 이를 통해, 디바이스(130)는, 사용자가 특정 호스트와의 연결과정을 수행함에 있어, 일련의 숫자로만 된 호스트 식별자(CHID)가 아닌 문자를 포함하는 호스트 이름을 제공함으로써 사용자로 하여금 원하는 호스트를 쉽게 인식할 수 있게 한다.
디바이스(130)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부(131), 메모리(137), 저장매체(139), 무선인터페이스부(141) 및 디바이스 제어부(143)를 포함한다.
사용자 인터페이스부(131)는 표시부(133) 및 입력부(135)를 포함한다.
표시부(133)는 소정의 데이터를 사용자가 시각적으로 인식 가능하게 표시한 다. 표시부(133)는 엘시디(LCD), 유기발광다이오드(Organic Light Emitting Diode), PDP(Plasma Display Panel) 또는 CRT(Cathod Ray Tube) 등이 해당할 수 있다.
입력부(135)는 사용자로부터 소정의 제어명령을 수신하는 키보드(Key Board), 마우스(Mouse) 등이 해당한다. 입력부(135)는 사용자로부터 소정의 호스트(110)와의 연결과정을 수행할 것을 요청하는 명령을 수신하여 디바이스 제어부(143)로 출력한다.
메모리(137)는 각종 활성 및 비활성 메모리를 포함하며, 디바이스(130)의 각종 프로그램이나 데이터들이 저장될 수 있다.
저장매체(139)는 플래시 메모리(Flash Memory), 하드 디스크(Hard Disk) 등이 해당하며, 디바이스(130)가 처리하는 각종 데이터, 호스트 이름정보 및 연결 문맥 등이 저장된다. 다만, 메모리(137) 및 저장매체(139)는 그 기능이 혼용되어 사용될 수 있다.
무선인터페이스부(141)는 호스트(110)와의 무선 USB 통신에 있어 물리계층의 통신을 수행한다. 무선인터페이스부(141)는 디바이스 제어부(143)로부터 수신한 데이터나 메시지를 디바이스(130)로 전송하며, 호스트(110)로부터 전송되는 MMC 메시지나 데이터를 수신하여, 디바이스 제어부(143)로 전송한다.
디바이스 제어부(143)는 디바이스(13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디바이스 제어부(143)는, 디바이스(130)가 본 발명의 기능과 다른 사용자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을 수행하도록 설계된 경우라면, 해당 프로그램에 따른 동작을 수행한다. 다만, 이하에서는 무선 USB 디바이스로서의 기능 이외의 것에 대한 설명을 생략하며, 도 1에도 생략되었다.
디바이스 제어부(143)는, USB디바이스처리부(145)를 포함하여, 무선 USB 디바이스로서의 기능을 수행한다.
USB디바이스처리부(145)는 기본적으로, 호스트(110)와의 연결과정을 수행하며, 연결과정 이후에 무선인터페이스부(141)로부터 수신한 MMC 메시지를 분석하여 특정 데이터 전송구간(b)을 통해 소정의 데이터를 송수신한다. 이하에서는 USB디바이스처리부(145)가 호스트(110)와 연결과정을 수행하는 것을 중심으로 설명한다.
USB디바이스처리부(145)는 호스트(110)와의 실질적인 데이터 통신 이전에 소정의 연결과정을 수행한다. 이를 위해, USB디바이스처리부(145)는 먼저 호스트(110)가 MMC 구간(a)을 통해 주기적으로 브로드캐스트 하는 MMC 메시지를 수신하고, MMC 메시지에 포함된 호스트 식별자(CHID)와 호스트 이름정보를 추출함으로써, 호스트를 검색한다. 무선인터페이스부(141)는, 호스트(110) 및 다른 무선 USB 호스트(110)를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의 호스트로부터 MMC 메시지를 수신할 수 있으므로, 무선인터페이스부(141)로부터 적어도 하나의 MMC 메시지를 수신하여, 적어도 하나의 호스트 이름정보를 추출할 수 있다.
USB디바이스처리부(145)는 추출한 호스트 이름정보의 목록을 표시부(133)를 통해 사용자에게 표시하고, 입력부(135)로부터 사용자로부터 호스트(110)와 연결과정을 수행할 호스트를 선택받을 수 있다. 도 3은 무선 USB 디바이스의 호스트 검색결과가 표시되는 일 예를 도시한 도면으로, 'Computer-1', 'Printer-2', 'Notebook-1'의 3개 호스트가 표시부(133)를 통해 표시되었다. 다시 말해, 호스트 이름이 각각 'Computer-1', 'Printer-2', 'Notebook-1'인 호스트가 검색된 것이다.
사용자는 표시부(133)를 통해 표시되는 호스트 정보가 일련의 숫자로 이루어진 호스트 식별자(CHID)가 아닌 호스트 이름이므로, 적어도 하나의 호스트 이름 중에서 자신이 원하는 호스트인지를 간단히 확인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리를 위해, 사용자가 호스트(110)를 선택했다고 가정한다.
USB디바이스처리부(145)는, 호스트(110)의 호스트 이름에 대응되는 호스트 식별자(CHID)를 포함하는 연결문맥이 저장매체(139)에 저장되었는지 확인한다. USB디바이스처리부(145)는, 저장매체(139)에 호스트 식별자(CHID)에 대응되는 연결문맥이 저장된 경우이면, 해당 연결문맥에 포함된 디바이스 식별자(CDID)를 이용하여 호스트(110)로 연결요청을 하고, 호스트(110)로부터 연결요청 수락의 응답을 수신함으로써 연결과정을 종료한다.
USB디바이스처리부(145)는, 만약 호스트 식별자에 대응되는 연결문맥이 저장매체(139)에 저장되지 않았다면, 임의의 디바이스 식별자(CDID)를 이용하여 호스트(110)로 연결요청을 한다. USB디바이스처리부(145)는 호스트(110)로부터 연결요청 수락의 응답과 함께 소정의 연결문맥을 수신하고, 해당 연결문맥을 저장매체(139)에 저장함으로써 연결과정을 종료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르면, 디바이스(130)는 입력부(135)를 통해 사용자로부터 연결요청할 호스트의 선택명령을 수신하지 않고, MMC 메시지를 통해 검색되는 모든 호스트와 연결과정을 수행할 수 있으며, 추출한 호스트 이름정보를 연 결과정 중에 표시부(133)를 통해 표시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연결과정 수행방법의 설명에 제공되는 흐름도이다. 이하에서는,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무선 USB 시스템의 연결과정 수행방법을 설명한다. 이하에서는 도 1의 호스트(110) 및 디바이스(130)의 세부구성요소 단계까지 언급하지 아니하고, 호스트(110)와 디바이스(130)의 차원에서 설명한다.
호스트(110) 및 다른 무선 USB 호스트(150)는 서로 다른 주기의 MMC 구간(a)을 통해 MMC 메시지를 브로드캐스팅한다. 호스트(110) 및 다른 무선 USB 호스트(150)가 브로드캐스트하는 MMC 메시지에는 호스트 식별자(CHID)와 함께 각자의 호스트 이름정보가 포함된다(S401, S403).
디바이스(130)는 브로드캐스팅 되는 MMC 메시지를 수신하여, MMC 메시지에 포함된 호스트 식별자(CHID)와 호스트 이름정보를 추출함으로써 호스트를 검색하고(S405), 검색된 호스트의 이름을 도 3과 같이 표시부(133)를 통해 표시한다(S407).
디바이스(130)는 표시부(133)에 표시된 호스트 중 연결하기를 원하는 호스트에 대한 사용자의 선택을 입력부(135)를 통해 입력받고(S409), 해당 호스트 이름에 대응되는 호스트 식별자(CHID)가 포함된 연결문맥이 저장매체(139)에 저장되어 있는지를 확인한다. 만약 저장매체(139)에 해당 호스트 식별자(CHID)를 포함하는 연결문맥이 저장된 경우라면, 이미 디바이스(130)와 호스트(110)간에 이전에 연결과정을 거친 적이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S411).
사용자가 호스트(110)를 선택한 경우, 디바이스(130)는 호스트(110)로 연결요청을 한다. 이때, 디바이스(130)는, 저장매체(139)에 호스트 식별자(CHID)를 포함하는 연결문맥이 저장되어 있으면 저장된 연결문맥 상의 디바이스 식별자(CDID)를 이용하여 연결요청을 하고, 저장된 연결문맥이 없으면 임의의 디바이스 식별자(CDID)를 이용하여 연결요청을 한다(S413).
디바이스(130)는, 연결요청을 시도하면서, 표시부(133)를 통해 연결요청 시도 중인 호스트의 이름을 표시한다(S415).
호스트(110)는, 디바이스(130)로부터 연결요청을 수신하면, 연결요청된 디바이스의 식별자(CDID)가 저장매체(113)에 저장된 것인지 확인한다(S417).
호스트(110)는, 만약 연결요청된 디바이스(130)의 식별자가 저장매체(113)에 저장된 디바이스 식별자(CDID)가 아니라면, 해당 최초의 연결시도이므로, 새로운 연결문맥(CHID, CDID, CK 포함)을 생성하여 저장매체(113)에 저장하고(S419), 디바이스(130)에게 해당 연결문맥을 함께 연결요청을 수락하는 응답을 전송한다(S421).
디바이스(130)는 호스트(110)로부터 연결문맥을 새로 수신한 경우라면, 해당 연결문맥을 저장매체(139)에 저장한다(S423).
만약, S417 단계의 확인결과, 연결요청된 디바이스(130)의 식별자가 저장매체(113)에 저장된 디바이스 식별자(CDID)라면, 호스트(110)는 연결문맥을 생성하지 않고, S421 단계를 통해 바로 연결요청 수락의 응답을 전송한다.
이상의 방법을 통해, 무선 USB 시스템(100)의 호스트(110)와 디바이스(130)간 연결과정이 이루어진다.
본 발명은 방법, 디바이스 및 시스템으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이 컴퓨터 소프트웨어로 구현될 때는, 본 발명의 구성요소는 필요한 동작의 수행에 필요한 코드 세그먼트(code segment)로 대치될 수 있다. 프로그램이나 코드 세그먼트는 마이크로프로세서에 의해 처리될 수 있는 매체에 저장될 수 있으며, 전송매체나 통신 네트워크를 통하여 운반 파형(carrier waves)과 결합된 컴퓨터 데이터로서 전송될 수 있다.
마이크로프로세서에 의해 처리될 수 있는 매체는 전자회로, 반도체 메모리 소자, 롬(ROM), 플래시 메모리, EEPROM, 플로피 디스크, 광학적 디스크, 하드 디스크, 광섬유, 무선 네트워크 등과 같이 정보를 전달하고 저장할 수 있는 것을 포함한다. 또한, 컴퓨터 데이터는 전기적 네트워크 채널, 광섬유, 전자기장, 무선 네트워크 등을 통해 전송될 수 있는 데이터를 포함한다.
또한,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실시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서는 안 될 것이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무선 USB(Universal Serial Bus) 호스트는 자신의 호스트 이름정보를 포함하는 MMC(Micro-scheduled Management Command) 메시지를 브로드캐스팅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무선 USB 디바이스는 검색되는 무선 USB 호스트를 사용자에게 표시함에 있어, 일련의 숫자만으로 된 것이 아닌, 즉 문자를 포함하는 호스트 이름으로 표시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무선 USB 디바이스가 특정 무선 USB 호스트에 연결과정을 수행하는 중에, 해당 무선 USB 호스트의 이름을 표시부를 통해 표시할 수 있다. 또한, 무선 USB 디바이스는 검색된 적어도 하나의 무선 USB 호스트의 이름 목록을 사용자에게 표시할 수 있고, 사용자는 연결하기 원하는 무선 USB 호스트를, 목록으로부터 용이하고 간편하게 선택할 수 있다.
따라서, 무선 USB 디바이스는 검색한 무선 USB 호스트의 목록을 사용자 지향적으로 표시할 수 있으며, 사용자의 무선 USB 시스템에 대한 제어를 용이하게 하고, 시스템에의 접근성을 높일 수 있다.

Claims (9)

  1. 소정의 연결과정을 통해 적어도 하나의 무선 USB(Universal Serial Bus) 호스트에 접속하는 무선 USB 디바이스에 있어서,
    소정의 정보를 시각적으로 인식할 수 있도록 표시하는 표시부;
    상기 적어도 하나의 호스트로부터 수신한 적어도 하나의 MMC(Micro-scheduled Management Command) 메시지를 출력하는 무선인터페이스부;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MMC 메시지 중 선택된 것으로부터 호스트 식별자 및 호스트 이름정보를 추출하여, 상기 호스트 식별자를 포함하는 소정의 연결요청을 상기 무선인터페이스부로 출력함으로써 상기 연결과정을 수행하며, 상기 연결과정 중에 상기 호스트 이름정보를 상기 표시부로 출력하는 USB디바이스처리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USB 디바이스.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호스트 이름정보는 소정의 문자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USB 디바이스.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부에 표시된 소정의 호스트 이름정보의 목록으로부터 하나를 선택하는 사용자의 소정의 선택명령을 입력받아 출력하는 입력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USB디바이스처리부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MMC 메시지로부터 각각 추출된 호스트 이름정보를 포함하는 상기 호스트 이름정보의 목록을 상기 표시부로 출력하며,
    상기 적어도 하나의 MMC 메시지 중 선택된 것은, 상기 입력부로부터 수신한 사용자의 선택명령에 따른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USB 디바이스.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USB디바이스처리부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MMC 메시지 중 하나를 선택하는 것을 반복함으로써, 상기 적어도 하나의 MMC 메시지에 대응되는 호스트 전체에 대해 상기 연결과정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USB 디바이스.
  5. 소정의 MMC 메시지를 기초로 연결요청을 하는 무선 USB 디바이스에게, 연결요청 수락의 응답을 전송함으로써 소정의 연결과정을 처리하는 무선 USB 호스트에 있어서,
    기 설정된 호스트 식별자와 호스트 이름정보를 포함하는 상기 MMC 메시지를 생성하여 출력하는 USB호스트처리부; 및
    상기 MMC 메시지를 상기 무선 USB 디바이스로 주기적으로 전송하는 무선인터페이스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USB 호스트.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호스트 이름정보는, 소정의 문자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USB 호스트.
  7. 적어도 하나의 무선 USB 호스트 중 하나에 접속하는 무선 USB 디바이스의 연결과정 수행방법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무선 USB 호스트 각각이 브로드캐스트하는 MMC 메시지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적어도 하나의 MMC 메시지로부터 각각 호스트 식별자와 호스트 이름정보를 추출하는 단계;
    상기 호스트 이름정보 중 선택된 것에 대응되는 호스트로 소정의 연결요청을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연결요청에 대응하여 전송되는 연결요청 수락의 응답을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USB 디바이스의 연결과정 수행방법.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호스트 이름정보는 소정의 문자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USB 디바이스의 연결과정 수행방법.
  9.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MMC 메시지로부터 각각 추출된 호스트 이름정보를 포함하는 호스트 이름정보의 목록으로 하나를 선택하는 사용자의 소정의 선택명령을 입력받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호스트 이름정보 중 선택된 것은, 상기 사용자의 선택명령에 따른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USB 디바이스의 연결과정 수행방법.
KR1020050131421A 2005-12-28 2005-12-28 무선 유에스비 디바이스의 연결과정 수행방법, 무선유에스비 디바이스 및 호스트 KR10065353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131421A KR100653531B1 (ko) 2005-12-28 2005-12-28 무선 유에스비 디바이스의 연결과정 수행방법, 무선유에스비 디바이스 및 호스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131421A KR100653531B1 (ko) 2005-12-28 2005-12-28 무선 유에스비 디바이스의 연결과정 수행방법, 무선유에스비 디바이스 및 호스트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653531B1 true KR100653531B1 (ko) 2006-12-05

Family

ID=3773198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131421A KR100653531B1 (ko) 2005-12-28 2005-12-28 무선 유에스비 디바이스의 연결과정 수행방법, 무선유에스비 디바이스 및 호스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53531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04831B1 (ko) 2006-12-28 2008-02-20 삼성전자주식회사 무선 usb 호스트 및 무선 usb 디바이스간에 세션을생성하고 관리하는 방법, 무선 usb 호스트 및 무선usb 디바이스
WO2009075425A1 (en) * 2007-12-11 2009-06-18 Electronics And Telecommunications Research Institute Wireless usb device for networking with multiple wireless usb hosts and method thereof
KR101279439B1 (ko) 2007-07-23 2013-06-26 삼성전자주식회사 무선 usb를 이용하여 적어도 하나 이상의 디바이스들과접속 가능한 호스트 장치 및 상기 호스트 장치의 접속 방법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112524A (ja) 1997-08-07 1999-04-23 Internatl Business Mach Corp <Ibm> 接続確立方法、通信方法、状態変化伝達方法、状態変化実行方法、無線装置、無線デバイス、及びコンピュータ
KR20030037995A (ko) * 2001-11-08 2003-05-16 엘지전자 주식회사 블루투스 장치에서의 블루투스 무선통신 관리방법
US20050144334A1 (en) 1998-03-31 2005-06-30 Hamdi Rabah S. Wireless universal serial bus link for a computer system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112524A (ja) 1997-08-07 1999-04-23 Internatl Business Mach Corp <Ibm> 接続確立方法、通信方法、状態変化伝達方法、状態変化実行方法、無線装置、無線デバイス、及びコンピュータ
US20050144334A1 (en) 1998-03-31 2005-06-30 Hamdi Rabah S. Wireless universal serial bus link for a computer system
KR20030037995A (ko) * 2001-11-08 2003-05-16 엘지전자 주식회사 블루투스 장치에서의 블루투스 무선통신 관리방법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04831B1 (ko) 2006-12-28 2008-02-20 삼성전자주식회사 무선 usb 호스트 및 무선 usb 디바이스간에 세션을생성하고 관리하는 방법, 무선 usb 호스트 및 무선usb 디바이스
KR101279439B1 (ko) 2007-07-23 2013-06-26 삼성전자주식회사 무선 usb를 이용하여 적어도 하나 이상의 디바이스들과접속 가능한 호스트 장치 및 상기 호스트 장치의 접속 방법
WO2009075425A1 (en) * 2007-12-11 2009-06-18 Electronics And Telecommunications Research Institute Wireless usb device for networking with multiple wireless usb hosts and method thereof
KR100967400B1 (ko) 2007-12-11 2010-07-01 한국전자통신연구원 복수의 무선 usb 호스트 장치와의 네트워킹을 위한 무선usb 디바이스 장치 및 그 네트워킹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2255887B (zh) 对应多移动装置的线上服务的提供方法与系统
KR100913902B1 (ko) 지그비 개인영역 네트워크에서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하여데이터를 송수신하는 통신방법 및 그를 위한 통신 시스템
US9706015B2 (en) Multi-operating system input device
CN109800336B (zh) 基于键值对存储系统的表格实现方法、装置、设备和介质
US20100058341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setting input/output device in virtualization system
KR20130142961A (ko) 자동 애플리케이션 업데이트
US10712988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controlled device included in network
KR101332813B1 (ko) 무선 통신 장치 및 무선 통신 장치의 무선 접속 채널의 형성 방법
CN105071976A (zh) 数据传输方法和装置
CN103281755A (zh) Wifi网络接入方法、装置、电子设备及通信系统
CN107391277B (zh) 信息处理方法和装置
CN108280020B (zh) 计算机设备的监控方法、装置、终端及计算机存储介质
CN110377440B (zh) 信息处理方法和装置
CN113099440A (zh) 网络配置方法、装置、设备和系统
CN104243736A (zh) 信息处理设备及信息处理方法
CN105451160B (zh) 用于收发消息的方法、数据收发装置和非暂时性记录介质
KR100653531B1 (ko) 무선 유에스비 디바이스의 연결과정 수행방법, 무선유에스비 디바이스 및 호스트
EP2854027B1 (en) Method for downloading application program, user equipment and application server
US11265807B2 (en) Method for network sharing on a terminal, apparatus, air conditioner and storage medium
CN111163455B (zh) 用户识别号的迁移方法、装置、终端及存储介质
CN111787514A (zh) 设备控制数据的获取方法及装置、存储介质、电子装置
KR100650271B1 (ko) 무선 유에스비 통신방법 및 무선 유에스비 호스트
JP7475476B2 (ja) 情報処理方法、装置及び記憶媒体
CN109819025B (zh) 一种区块链扩链方法、系统及电子设备和存储介质
US9392619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improving capability of Wi-Fi during reboot of an access point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90929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