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53441B1 - 저출력 레이저를 이용한 지방분해장치 - Google Patents

저출력 레이저를 이용한 지방분해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53441B1
KR100653441B1 KR1020060015778A KR20060015778A KR100653441B1 KR 100653441 B1 KR100653441 B1 KR 100653441B1 KR 1020060015778 A KR1020060015778 A KR 1020060015778A KR 20060015778 A KR20060015778 A KR 20060015778A KR 100653441 B1 KR100653441 B1 KR 10065344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aser
vacuum
low
power laser
ski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1577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60096288A (ko
Inventor
명현성
이철규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메리디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Family has litigation
First worldwide family litigation filed litigation Critical https://patents.darts-ip.com/?family=37623985&utm_source=google_patent&utm_medium=platform_link&utm_campaign=public_patent_search&patent=KR100653441(B1) "Global patent litigation dataset” by Darts-ip is licensed under a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4.0 International Licens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메리디안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메리디안
Priority to JP2007537813A priority Critical patent/JP4143114B2/ja
Priority to US11/577,356 priority patent/US7959656B2/en
Priority to PCT/KR2006/000694 priority patent/WO2006093384A1/en
Priority to CA002599682A priority patent/CA2599682A1/en
Priority to CN200680004048.3A priority patent/CN101115449B/zh
Priority to EP06716144A priority patent/EP1853190A4/en
Publication of KR2006009628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96288A/ko
Publication of KR10065344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5344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riority to US11/860,457 priority patent/US8771326B2/en
Priority to US14/321,774 priority patent/US20140379052A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5/00Radiation therapy
    • A61N5/06Radiation therapy using light
    • A61N5/0613Apparatus adapted for a specific treatmen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5/00Radiation therapy
    • A61N5/06Radiation therapy using light
    • A61N2005/0635Radiation therapy using light characterised by the body area to be irradiated
    • A61N2005/0643Applicators, probes irradiating specific body areas in close proximity
    • A61N2005/0645Applicators worn by the patien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5/00Radiation therapy
    • A61N5/06Radiation therapy using light
    • A61N2005/065Light sources therefor
    • A61N2005/0651Diodes
    • A61N2005/0652Arrays of diod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5/00Radiation therapy
    • A61N5/06Radiation therapy using light
    • A61N2005/0658Radiation therapy using light characterised by the wavelength of light used
    • A61N2005/0659Radiation therapy using light characterised by the wavelength of light used infrared

Abstract

본 발명은 저출력 레이저를 이용하여 지방을 분해하기 위한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레이저의 투과특성을 활용하여 레이저 빔을 렌즈 또는 투명창 등으로 집속하거나 또는 그대로, 렌즈 또는 투명창을 통하여 피부에 비침습적으로 조사하되, 조사된 레이저 빔이 피부와 조직을 투과하여 조직내의 지방세포에 조사되도록 함으로써 레이저 조사치료 방법을 비침습적으로 바꾸면서도 기존의 저출력 레이저를 이용한 피부절개 등을 통해 외부로 노출된 지방의 분해효과와 동일한 효과를 얻을 수 있으며, 진공흡착수단이 포함되어 지방세포로부터 배출되어 세포조직의 공간에 집중되는 액상화된 지방을 림프관이 풍성히 분포한 서혜부(鼠蹊部)를 통하여 체외로 용이하게 배출시키고, 인체의 피부에 안정적으로 접촉되어 지방이 분해됨으로써 사용의 편의성을 제공할 뿐만 아니라, 외과적인 지방흡입술과는 달리 피부에 손상없이 복부 등에 저출력 레이저를 조사시킴으로써 외과적인 수술없이 피하지방을 분해시켜 복부 비만에 효과적인 저출력 레이저를 이용한 지방분해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으로, 그 기술적 구성은, 저출력 레이저를 이용한 지방분해장치에 있어서, 전원 커넥터가 구비되는 PCB와, 상기 PCB에 대응되는 경성 플레이트로 이루어지는 판체형상체로서, 그 일측면에 투명창 또는 렌즈가 균일하게 다수 배열되는 접촉판체와, 상기 접촉판체에 배열되는 각 투명창 또는 렌즈에 삽착되고, 상기 PCB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다수개의 레이저다이오드로 이루어지는 레이저발생부; 및 상기 레이저발생부가 그 내부에 수용되어 피부에 용이하게 밀착되는 프레임; 을 포함하여 이루 어지고, 저출력 레이저를 피부에 조사하여 피하지방을 분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저출력, 레이저발생부, 프레임, 진공흡착수단, 레이저발생모듈, 중계기, 지방분해

Description

저출력 레이저를 이용한 지방분해장치 {Adipose resolve apparatus for low-power laser}
도 1, 도 2, 도 3은 인체에서 채취한 지방 조직에 저출력 레이저를 조사하여 지방이 분해되는 모습을 단계적으로 나타내는 도면,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저출력 레이저를 이용한 지방분해장치의 레이저발생부를 나타내는 분해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저출력 레이저를 이용한 지방분해장치의 레이저조사 분포범위를 나타내는 예시도,
도 6은 본 발명에 의한 저출력 레이저를 이용한 지방분해장치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에 의한 저출력 레이저를 이용한 지방분해장치의 일 실시예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에 의한 저출력 레이저를 이용한 지방분해장치의 다른 실시예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
도 9는 본 실시예에 의한 저출력 레이저를 이용한 지방분해장치의 일 실시예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
도 10은 본 발명에 의한 저출력 레이저를 이용한 지방분해장치 또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분해도,
도 11은 본 실시예에 의한 저출력 레이저를 이용한 지방분해장치의 진공흡착수단과 레이저발생모듈의 결합단면도,
도 12는 본 발명에 의한 저출력 레이저를 이용한 지방분해장치의 설비 개략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저출력 레이저를 이용한 지방분해장치,
10 : 레이저발생부, 11 : 전원 커넥터,
12, 71 : PCB, 13, 73 : 투명창(또는 렌즈),
14 : 접촉단자, 15, 72 : 레이저다이오드,
16 : 체결볼트, 17a, 17b : 체결공,
30, 30' : 프레임, 31 : 파지간,
33 : 힌지, 35 : 위치이동수단,
50 : 진공흡착수단, 51 : 흡착구,
52 : 결합공, 53 : 암 나사부,
54, 93 : 진공흡입부, 55 : 압력유지 밸브,
56 : 진공라인, 57 : 진공펌프,
58 : 수동음압해지공, 58a : 삽입홈,
58b : 볼, 59 : 결합부,
70 : 레이저발생모듈, 71a : 케이블,
74 : 상부 정착구, 74a : 수 나사부,
74b : 걸림턱, 75 : 하부 정착구,
75a : 암 나사부, 75b : 홈,
76 : 커버체, 76a : 인입공,
76b : 수 나사부, 90, 90 : 중계기,
91 : 연결 진공라인, 95 : 진공펌프.
본 발명은 저출력 레이저를 이용한 지방분해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레이저의 투과특성을 활용하여 레이저 빔을 렌즈로 집속하거나 또는 투명창을 통하여 그대로 피부에 비침습적으로 조사하고, 조사된 레이저 빔이 피부와 조직을 투과하여 조직내의 지방세포에 조사되도록 함으로써, 레이저 조사치료 방법을 비침습적으로 바꾸면서도 기존의 초음파나 저출력 레이저를 이용한 피부절개 등을 통하여 외부로 노출된 지방을 분해하는 경우와 동일한 효과를 얻을 수 있으며, 진공흡착수단이 포함되어 지방세포로부터 배출되어 세포조직의 공간에 집중되는 액상화된 지방을 림프관이 풍성히 분포한 서혜부(鼠蹊部)를 통하여 체외로 용이하게 배출시키고, 인체의 피부에 안정적으로 접촉되어 지방이 분해됨으로써 사용의 편의성을 제공할 뿐만 아니라, 외과적인 지방흡입술과는 달리 복부 등에 저출력 레이저를 조사시킴으로써 외과적인 수술에 의한 피부의 손상없이도 피하지방을 분해시켜 복부 비만에 효과적인 저출력 레이저를 이용한 지방분해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저출력 레이저를 발생시키는 장치는 5mW 내지 10mW 범위의 출력과 635nm 내지 650nm정도의 파장을 갖는 레이저를 방출하는 레이저 다이오드 및 상기 레이저 다이오드로부터 방출되는 레이저의 빔량을 임의로 조절 가능하도록 하는 저출력 레이저 다이오드 구동드라이버를 사용하고 있다.
이러한 저출력 레이저를 이용하여 인체의 경혈이나 환부에 조사함으로써 질병 치료효과를 거두기 위한 장치들이 다수 소개되어 있으며, 이러한 장치들의 예를 든다면 저출력 레이저다이오드의 균일빔을 구현하는 전기매트(실용신안등록 제20-0302173호)와, 신체의 허리부위에 착용하는 벨트에 레이저다이오드를 내설하여 580-980nm파장의 레이저광을 발생시켜 신체 요추부에 대하여 자극을 가하도록 함으로써 상시 지압과 동시에 디스크 치료가 이루어지도록 한 레이저 발생장치가 내설된 벨트(실용신안등록 제20-0270882호)와, 경혈조사는 물론 만성 관절류마티스, 오십견, 요통, 경추연좌, 통풍, 염좌, 타박, 관절염, 스트레스성위염 등으로도 그 치료 범위를 넓힌 치료용 레이저/엘이디 포단(실용신안등록제20-0274266호) 및 본 출원인이 개발하여 성공한 레이저 빔 조사장치로서 광학렌즈에 집속되는 레이저 빔의 거리를 혈관의 위치와 두께에 따라 조절하여 혈관 내의 혈액에 레이저 빔을 비침습적으로 조사함으로써, 조사된 레이저 빔이 혈액세포를 자극하여 세포의 대사작용을 활성화시키고, 모세혈관의 형성이 증가되어 혈액순환을 개선할 뿐만 아니라, 조직 치유과정의 속도를 증가시켜 생체 활성화를 증대시키는 레이저 빔 조사장치(특허등록 제10-0457964호) 등이 알려져 있다.
여기서, 또 다른 레이저의 이용 사례는 레이저 빔을 어레이(Array)로 배열하여 사용상의 편의를 준 방식으로 의자, 모자, 침대, 벨트 등의 연성재질에 다양하게 적용시키는 방법이 제안되었으나, 비침습으로 지방분해를 일으킬 정도(약, 30mW 이상)의 출력이 가능한 적색 레이저를 사용하여야 하는 경우에는 상기 적색 레이저에 별도의 방열구조를 추가하여야 하기 때문에 연성 재질에 지방분해를 목적으로 하는 레이저 빔을 어레이로 배열하는 것은 실효성이 없으며, 따라서 현재로서는 비침습적인 방법으로 인체에 레이저를 조사하여 지방을 분해하는 방법은 전무한 실정이다.
한편, 비만 치료를 목적으로 하는 레이저의 사용효과에 있어서는 2002년경 Neira et al.에 의해 저출력 레이저 장비를 이용하면 지방흡입 상태 동안 지방이 액화된다는 것을 증명한 새로운 지방흡입술이 발표되었다. {PLASTIC AND RECONSTRUCTIVE SURGERY, September 1, 2002 - Fat Liquefaction: Effect of Low-Level Laser Energy on Adipose Tissue}
상기 논문은 635nm의 파장과 10mW의 출력 및 1.2J/㎠, 2.4J/㎠ 및 3.6 J/㎠ 의 총 에너지 양을 가지는 레이저를 12명의 건강한 여성들로부터 채취한 지방 조직에 조사함으로써 이루어진 실험에 바탕을 두고 있다. 실험 결과 레이저 노출의 4분 후에는 80%, 6분 후에는 99%의 지방이 지방세포로부터 방출되었고, 방출된 지방은 세포조직의 공간에 모아졌다.
도 1은 190배의 배율로 촬영된 정상적인 지방세포의 전자현미경 사진이고, 도 2는 저출력 레이저가 4분간 조사된 후의 지방세포를 190배의 배율로 촬영한 전자현미경 사진이며, 도 3은 저출력 레이저가 4분간 조사된 후의 지방세포를 190배의 배율로 촬영한 전자현미경 사진이다. 도 1에서 명백히 확인할 수 있듯이 정상적인 지방세포는 그 외형이 둥글고 전형적인 포도 송이(grape-cluster) 모양을 이루고 있다. 이러한 정상적인 지방세포에 저출력 레이저를 4분간 조사하게 되면 도 2에 도시되어 있듯이 일부 지방세포는 그 내부로부터 액상화된 지방이 배출되며, 이러한 지방세포의 외형은 둥근 모양을 점차로 잃어가게 된다. 도 2에서 화살표로 표시된 부분은 지방세포의 외부로 배출된 지방 입자(fat particle)을 나타낸다. 저출력 레이저를 6분간 조사하게 되면 이러한 변화는 거의 모든 지방세포에서 일어나게 되며, 도 3에서 볼 수 있듯이 원형을 유지하는 지방세포는 발견되지 않으며 액상화된 지방만이 관찰된다. 도 3에서 화살표로 표시된 부분은 지방세포의 외부로 배출된 지방을 나타낸다.
저출력 레이저 에너지는 지방세포의 안쪽에서 바깥쪽으로 지방물이 나가도록 하는 세포막을 열리도록 함으로써 지방세포에 영향을 주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
이 실험을 기초로 저출력 적색 레이저의 지방 액화효과를 이용하여, 인체 외부에서 레이저를 조사하여 지방을 분해하면서, 이 분해된 지방을 캐뉼러(미세 파이프)를 이용하여 인체 밖으로 배출시키는 레이저 지방흡입술이 제안되어 실시되고 있다.
이를 위하여 인체 내부의 지방세포에 비침습적으로 레이저 빔을 조사하여 지방세포의 지방을 분해하려는 의도로 적색 레이저빔을 치료대상의 지방층을 덮고 있는 피부 위에 조사하는 시도들이 이루어졌으며, 짧은 시간에 보다 넓은 면적을 조사하고자 적색 레이저 빔을 선(Line) 형태로 만들어 치료부위에 스캔(Scan)하는 방식이 시도되어 제품화에까지 이르렀지만, 인체 내부의 지방분해에 필요한 에너지 강도(10mW)와 에너지량(3.6J/cm2)의 인체 내 투입이 곤란하여 실효를 보지 못하고 있다.
이와 같은 근거에 기초하여 본 발명은 저출력 레이저를 이용하여 지방을 분해하기 위한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레이저의 투과특성을 활용하여 레이저 빔을 렌즈로 집속하거나 또는 투명창을 통하여 그대로 피부에 비침습적으로 조사하고, 조사된 레이저 빔이 피부와 조직을 투과하여 조직내의 지방세포에 조사되도록 함으로써, 레이저 조사치료 방법을 비침습적으로 바꾸면서도 기존의 초음파나 저출력 레이저를 이용한 피부절개 등을 통하여 외부로 노출된 지방을 분해하는 경우와 동일한 효과를 내는 것이 가능한 저출력 레이저를 이용한 지방분해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저출력 레이저를 이용한 지방분해장치를 이용하여 저출력 레이저를 피부에 조사함에 있어서 지방세포로부터 배출되어 세포조직의 공간에 모여있는 액상화된 지방을 림프관이 풍성히 분포한 서혜부(鼠蹊部)를 통하여 체외로 용이하게 배출되도록 유도할 수 있는 진공흡착수단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저출력 레이저를 이용한 지방분해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또 다른 목적으로 한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저출력 레이저를 이용한 지방분해장치에 있어서, 전원 커넥터가 구비되는 PCB(Printed Circuit Board)와, 상기 PCB에 대응되는 경성 플레이트로 이루어지는 판체형상체로서, 그 일측면에 투명창 또는 렌즈가 균일하게 다수 배열되는 접촉판체와, 상기 접촉판체에 배열되는 각 투명창 또는 렌즈에 삽착되고, 상기 PCB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다수개의 레이저다이오드로 이루어지는 레이저발생부; 및 상기 레이저발생부가 그 내부에 수용되어 피부에 용이하게 밀착되는 프레임; 을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저출력 레이저를 피부에 조사하여 피하지방을 분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레이저발생부에서 생성되는 각각의 레이저의 출력이 10mW 이상 100mW 미만이다.
여기서, 상기 접촉판체가 레이저다이오드에서 발생되는 열을 방열하기 위한 방열판체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더불어, 상기 접촉판체가 피부 접촉에 유용한 타원곡면으로 절곡형성되고, 상기 접촉판체가 수용되는 프레임이 접촉판체와 대응되는 타원곡면으로 절곡형성된다.
한편, 상기 프레임의 일측 또는 양측 단부 적소에 파지간이 구비된다.
대안적으로는, 상기 프레임의 양측면 단부에 회동가능하게 구비되는 힌지에 또 다른 프레임이 각각 연결된다.
한편, 저출력 레이저를 이용한 지방분해장치에 있어서, 전원 커넥터가 구비되는 PCB(Printed Circuit Board)와, 상기 PCB에 대응되는 판체형상체로서, 그 일측면에 투명창 또는 렌즈가 균일하게 다수 배열되는 접촉판체와, 상기 접촉판체에 배열되는 각 투명창 또는 렌즈에 삽착되고, 상기 PCB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다수개의 레이저다이오드로 이루어지는 레이저발생부; 상기 레이저발생부가 그 내부에 수용되는 프레임; 및 상기 프레임의 형상과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되어 그 전면에 구비되되, 흡착구와 상기 흡착구에 진공흡입부를 통하여 연결되는 진공라인과 상기 진공라인에 연결되는 진공펌프로 이루어져 피부에 접촉가능하게 이루어지는 진공흡착수단; 을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피부에 진공흡착된 후 저출력 레이저를 피부에 조사하여 피하지방을 분해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진공흡착수단은 상기 프레임에 분리가능하게 연결된다.
더불어, 상기 접촉판체가 형상이 가변가능하게 이루어진다.
한편, 저출력 레이저를 이용한 지방분해장치에 있어서, 흡착구와, 상기 흡착구에 진공흡입부를 통하여 연결되는 진공라인과, 상기 진공라인에 연결되는 진공펌 프로 이루어지고, 그 상부 중앙에 결합공을 갖는 결합부가 소정부분 돌출형성되는 진공흡착수단; 상기 진공흡착수단에 결합되어 케이블에 의하여 전원을 공급받는 PCB와, 상기 PCB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레이저다이오드와, 상기 레이저다이오드의 근접되는 적소에 구비되는 투명창 또는 렌즈와, 상기 PCB와 레이저다이오드와 투명창 또는 렌즈를 수용하고, 분리가능하게 이루어지는 상, 하부 정착구와, 상기 상, 하부 정착구의 외측에 구비되는 커버체로 이루어지는 레이저발생모듈; 을 포함하되, 피부에 진공흡착된 후 해당 피부에 저출력 레이저를 조사하여 피해지방을 분해하는 동시에 배출을 도우며, 두피를 자극하여 발모촉진을 도모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상부 정착구의 하부 외주연과 하부 정착구의 상부 내주연에 나사결합을 위한 수 나사부와 암 나사부가 각각 형성되고, 상기 상부 정착구의 내주연 적소에 상기 PCB가 결합되기 위한 걸림턱이 형성되며, 상기 하부 정착구의 하측 내주연 적소에 상기 투명창(또는 렌즈)가 결합되기 위한 홈이 형성된다.
대안적으로는, 상기 흡착구의 적소에 수동으로 흡착구 내의 진공 및 음압을 해지하기 위한 수동음압해지공이 관통형성된다.
더불어, 상기 흡착구의 단부에 환형으로 삽입홈이 형성되고, 상기 삽입홈에 볼이 회전가능하게 구비된다.
한편, 상기 진공흡입부에 압력유지 밸브(One-way valve)가 구비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진공흡입부를 통하여 흡착구 내의 공기를 흡입 시 흡착구 내의 공기가 소정간격 반복적으로 흡입되는 리듬모드와 흡착구 내의 공기가 흡입된 상태를 계속적으로 유지하는 유지모드가 작동되도록 이루어지고, 사용자의 설 정에 의하여 선택적으로 적용가능하게 이루어진다.
한편, 상기 레이저발생모듈을 갖는 진공흡착수단의 적소에 진공흡입부로 연결되는 연결 진공라인이 다수 분기되는 중계기가 구비되되, 상기 각 연결 진공라인이 또 다른 레이저발생모듈을 갖는 진공흡착수단과 진공흡입부에 의해 연결된다.
대안적으로는, 상기 중계기에서 분기되는 연결 진공라인 중 어느 한 연결 진공라인은 진공펌프에 연결되고, 다른 한 연결 진공라인은 또 다른 중계기에 연결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에 따라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저출력 레이저를 이용한 지방분해장치의 레이저발생부를 나타내는 분해사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저출력 레이저를 이용한 지방분해장치의 레이저조사 분포범위를 나타내는 예시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에 의한 저출력 레이저를 이용한 지방분해장치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면에서 도시하고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저출력 레이저를 이용한 지방분해장치(1)는 레이저발생부(10)와 프레임(30)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레이저발생부(10)는 전원을 공급받기 위한 전원 커넥터(11)가 구비되는 PCB(Printed Circuit Board, 인쇄회로기판, 12)와 상기 PCB(12)에 대응되는 판체형상체로서, 그 일측면에 투명창(또는 렌즈, 13)가 균일하게 다수 배열되는 접촉판체(14)와 상기 접촉판체(14)에 배열되는 각 투명창(또는 렌즈, 13)에 삽착되고, 상기 PCB(12)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다수개의 레이저다이오드(15)로 이루어진다.
상기 프레임(30)은 상기 레이저발생부(10)를 그 내부에 수용하도록 이루어진다. 여기서, 상기 레이저발생부(10)는 상기 프레임(30)의 전면 내측에 수용되어 사용자의 피부에 레이저를 조사하도록 이루어진다.
한편, 상기 PCB(12)와 접촉판체(14)의 적소에 체결볼트(16)로 체결가능하게 이루어지는 다수개의 체결공(17a, 17b)이 각각 관통형성된다. 즉, 상기 PCB(12)에 다수개의 레이저다이오드(15)를 설치하되, 상기 레이저다이오드(15)를 접촉판체(14)의 렌즈(또는 투명창, 13)에 삽착한 후 PCB(12)와 접촉판체(14)를 결합시키기 위하여 상기 PCB(12)와 접촉판체(14)의 적소에 다수개의 체결공(17a, 17b)이 형성되고, 상기 체결공(17a, 17b)에 체결볼트(16)를 체결함으로써 PCB(12)와 접촉판체(14)가 일체로 결합된다.
그리고, 상기 접촉판체(14)에 배열되는 렌즈(또는 투명창, 13)은 규칙적으로 다수 배열 및 어레이(array)이 되도록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며, 접촉판체(14)에 배열되는 렌즈(또는 투명창, 13)의 갯수와 대응되는 레이저다이오드(15)가 삽착되도록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상기 접촉판체(14)에 배열되는 렌즈(또는 투명창, 13)의 배열이 규칙적으로 다수 배열되어 있으나, 피부에 접촉된 후 레이저를 조사하여 사용자의 피하지방을 분해하기 용이하다면 상기 접촉판체(14)에 배열되는 렌즈(또는 투명창, 13)의 배열이 불규칙적으로 다수 배열되도록 이루어지는 것도 가능하다.
여기서, 상기 접촉판체(14)의 형상은 사각형, 원형 등으로 이루어지는 것도 가능하나, 기타 다양한 형상으로 가변가능하게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레이저발생부(10)에서 생성되는 각각의 레이저의 출력은 10mW 이상 100mW 미만의 저출력으로 이루어진다. 즉, 사용자의 피부에 조사되어 피하지방을 분해하기 위하여 상기 레이저발생부(10)의 레이저다이오드(15)에서 생성되는 각각의 레이저의 출력은 인체 침투 시 감쇄를 고려하여 각 레이저의 출력을 강화하되, 10mW 이상 100mW 미만의 저출력을 조사하도록 이루어진다.
상기한 바와 같이, 상기 레이저발생부(10)에서 생성되는 각각의 레이저의 출력이 10mW 이상 100mW 미만의 저출력으로 이루어지고, 레이저발생부(10)가 사용자의 피부에 밀착되는 평면 어레이 구조로 이루어지되, 레이저다이오드(15)를 다수개 배열하여 각 레이저를 인가함으로써 사용자의 피부에 침투력을 보장함과 동시에 피하지방을 분해하기 위한 피부의 넓은 면적에 동일한 강도로 조사가 가능하다.
이를 위하여 피하지방이 집중되는 복부 등 사용자의 피부에 접촉이 용이하도록 상기 접촉판체(14)는 타원곡면으로 절곡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접촉판체(14)가 수용되는 프레임(30)의 형상 또한 접촉판체의 형상과 대응되는 타원곡면으로 절곡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상기 접촉판체(14)가 타원을 갖는 곡면형상으로 절곡형성되어 있으나, 상기 접촉판체(14)가 접촉하는 사용자의 신체 부위에 따라 다양한 곡면을 갖는 등 접촉판체의 형태가 가변가능하게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사용자의 피부에 접촉하는 접촉판체(14)는 결합 및 설치가 용이한 경성 플레이트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를 통하여 사용자의 피부에 보다 용이하게 밀착되도록 이루어진다.
한편, 상기 접촉판체(14)는 레이저다이오드(15)에서 발생되는 열을 방열하기 위하여 방열판체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즉, 상기 접촉판체(14)에 설치되는 레이저다이오드(15)는 레이저 발생 시 상당한 열이 발생하므로 이를 분산 및 냉각시키기 위하여 접촉판체(14)가 방열판체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상기 접촉판체(14)에 방열판체가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구조 및 형태로 이루어져 있으나, 상기 접촉판체(14)가 방열재질로 이루어지는 것도 가능하다.
여기서, 상기 프레임(30)의 일측 또는 양측 단부 중심측 적소에 사용자가 손을 파지하기 위한 파지간(31)이 구비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상기 프레임(30)의 일측 또는 양측 단부 중심측 적소에 파지간(31)이 구비되어 있으나, 사용자가 상기 프레임(30)을 파지한 후 사용하기 용이하다면 상기 파지부(31)가 프레임(30)의 상측면 또는 하측면 중심측 적소에 파지간(31)이 구비되는 것도 가능하다.
한편, 상기 프레임(30)의 후면에 의사 또는 사용자가 프레임(30)을 상, 하, 좌, 우로 위치를 변경할 수 있는 위치이동수단(35)이 더 포함되는 것도 가능하며, 그 구체적인 구조 및 설명은 생략한다. 즉, 의료용 시설 중 의사가 파지간(31)을 파지한 후 당기면서 그 위치를 자유로이 이동 및 변경할 수 있는 장비와 동일하게 인체의 피부에 접촉가능하게 이루어지는 접촉수단을 갖는 프레임(30)을 사용자의 편의에 따라 상, 하, 좌, 우로 위치를 이동 및 변경할 수 있도록 알려진 바와 같은 위치이동수단(35)이 상기 프레임(30)의 후면에 구비되는 것도 가능하며, 이를 통하여 사용자가 요구하는 신체의 부위로 상기 프레임(30)을 이동시키기 용이해진다.
이하, 본 발명에 의한 저출력 레이저를 이용한 지방분해장치의 사용방법 및 과정을 설명한다.
먼저, 의료기관에서 의술을 시술 또는 시행할 수 있는 의사가 상기 저출력 레이저를 이용한 지방분해장치(1)의 프레임(30)에 구비되는 파지간(31)을 파지한 후 피하지방을 분해하기 위한 사용자의 피부 적소에 이동 및 위치시켜 피부에 밀착시킨다.
그 다음, 레이저발생부(10)를 구동시켜 레이저다이오드(15)를 통하여 레이저를 발생시킴과 동시에 레이저를 피부에 조사한다.
이때, 레이저발생부(10)의 각 레이저다이오드(15)를 통하여 10mW 이상 100mW 미만의 저출력으로 레이저가 발생되고, 발생되는 레이저는 투명창(또는 렌즈, 13)를 통과한 후 피하지방을 분해시키기 위한 피부에 조사된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복부 등의 사용자 피부에 조사되는 레이저에 의하여 피하지방이 분해되고, 분해된 피하지방은 의사의 시술에 의하여 체외로 배출된다.
여기서, 본 발명에 의한 저출력 레이저를 이용한 지방분해장치(1)는 적색 레이저와 적외선 레이저를 혼용하며, 적색 레이저는 635 ~ 680nm에서 30mW 이상의 출력을 필요로 하고, 적외선 레이저는 780 ~ 980nm에서 50mW 이상의 출력을 필요로 하게 되며, 이하에서는 적색 레이저와 적외선 레이저를 구별없이 적용한다.
상기한 바와 같이, 레이저다이오드(15)를 통하여 발생 및 조사되는 저출력 레이저의 조사범위는 도 5에 도시하고 있는 바와 같이, 각 레이저다이오드(15)에서 조사되는 레이저의 각 조사범위가 타원형으로 이루어진다. 이때, 각 레이저다이오드(15)에서 조사되는 레이저의 조사범위가 타원형으로 이루어짐으로써 조사범위가 겹침없이 거의 해당 접촉부위에만 조사되어 피하지방을 분해함으로써 비만 분해 작용을 갖도록 이루어진다.
도 7은 본 발명에 의한 저출력 레이저를 이용한 지방분해장치의 일 실시예를 나타내는 사시도로서, 저출력 레이저를 이용한 지방분해장치의 일부 구성을 달리한 것이다.
도 4, 도 5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도면에서 도시하고 있는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의한 저출력 레이저를 이용한 지방분해장치(1)는 프레임(30)의 양 측면 단부에 회동가능하게 이루어지는 힌지(33)가 구비되고, 상기 각 힌지(33)에 또 다른 프레임(30')이 각각 연결된다.
즉, 상기 저출력 레이저를 이용한 지방분해장치(1)의 프레임(30) 양 측면 단부에 힌지(33)가 설치되고, 상기 힌지(33)에 또 다른 프레임(30')이 각각 연결되어 사용자의 복부 주변 또는 허리 주변을 감싸는 형상으로 형성시킨다.
상기한 바와 같이, 레이저발생부(10)를 갖는 프레임(30, 30')들을 힌지(33)에 의하여 회동가능하게 다수 연속적으로 연결함으로써 복부는 물론 측복부 등 사용자의 피부에 입체적으로 접촉가능해진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프레임(30)의 양 측면에 힌지(33)가 구비되고, 상기 힌지(33)에 의하여 또 다른 프레임(30')이 연결되는 구조로 이루어져 있으나, 상기 또 다른 프레임(30')에 힌지(33)가 구비되고, 상기 힌지(33)에 의하여 또 다른 프레임(30')을 연속적으로 설치함으로써 피하지방을 분해시키기 위한 사용자의 신체 구조에 관계없이 사용이 가능하도록 이루어진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는 힌지(33)에 의하여 연결되는 각 프레임(30, 30')의 전면에 설치되는 접촉판체(14)가 평면으로 이루어져 있으나, 사용자의 복부 및 측복부에 접촉되어 레이저를 조사하기 용이하도록 타원곡면 또는 기타 다양한 곡면형상으로 절곡형성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상기 접촉판체(14)의 형상은 사각형, 원형, 타원형 등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나, 기타 다양한 형상으로 가변가능하게 이루어지는 것도 바람직하다.
도 8은 본 발명에 의한 저출력 레이저를 이용한 지방분해장치의 다른 실시예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 도 5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도면에서 도시하고 있는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저출력 레이저를 이용한 지방분해장치(1)의 레이저발생부(10)와 상기 레이저발생부(10)가 수용되는 프레임(30)에 진공흡착수단(50)이 더 포함된다.
즉, 전원 커넥터(11)가 구비되는 PCB(Printed Circuit Board, 12))와 상기 PCB(12)에 대응되는 판체형상체로서, 그 일측면에 투명창(또는 렌즈, 13)가 균일하게 다수 배열되는 접촉판체(14)와 상기 접촉판체(14)에 배열되는 각 투명창(또는 렌즈, 13)에 삽착되고, 상기 PCB(12)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다수개의 레이저다이오드(15)로 이루어지는 레이저발생부(10)와 상기 레이저발생부(10)가 그 내부에 수용되는 프레임(30)에 진공흡착수단(50)이 더 포함된다.
여기서, 상기 접촉판체(14)는 레이저다이오드(15)를 통하여 발생되는 열을 방열하기 위한 방열판체가 더 포함되는 구조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나, 상기 접촉판체(14)가 방열재질로 이루어지는 것도 바람직하다.
상기 진공흡착수단(50)은 상기 프레임(30)의 형상(예를 들면, 사각형이나 원형 또는 타원형 등)과 대응되는 형상을 가지는 공간부를 그 전면에 구비하여, 상기 프레임(30)이 상기 공간부에 일체로 연결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상기 진공흡착수단(50)은 피하지방을 분해시키기 위한 사용자의 피부 적소에 접촉되는 흡착구(51)를 상기 공간부의 반대편에 구비하고, 상기 흡착구(51)에 진공흡입부(54)를 통하여 연결되는 진공라인(56)과 상기 진공라인(56)에 연결되어 소정압력의 진공을 형성하는 진공펌프(57)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상기 진공펌프(57)는 진공흡입부(54)를 통하여 사용자의 피부에 접촉된 흡착구(51) 내의 공기를 흡입하여 소정압력의 진공상태로 만들며, 상기 진공펌프(57)에 의하여 흡입되는 공기는 진공흡입부(54) 및 진공라인(56)을 통하여 이동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진공흡착수단(50)이 상기 저출력 레이저를 이용한 지방분해장치(1)의 접촉판체(14) 전면 및 프레임(30)과 일체로 연결되는 구조로 이루어져 있으나, 도 9에서 도시하고 있는 바와 같이, 상기 진공흡착수단(50)이 상기 저출력 레이저를 이용한 지방분해장치(1)의 프레임(30)과 결합가능하게 분리되는 구조로 이루어지는 것도 가능하다.
여기서, 상기 진공흡착수단(50)이 상기 저출력 레이저를 이용한 지방분해장치(1)의 프레임(30)과 끼움결합 또는 나사결합에 의하여 결합가능하게 분리되는 구조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한 바와 같은 구조 및 형태에 의하여 의사 또는 사용자의 필요에 의하여 저출력 레이저를 이용한 지방분해장치(1)에서 진공흡착수단(50)을 결합 또는 분리시켜 사용가능하다.
한편, 상기 진공흡착수단(50)의 일측면 가장자리에 사용자의 피부에 밀착이 용이한 형상의 단턱(도번 미도시)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본 실시예에 의한 저출력 레이저를 이용한 지방분해장치의 사용방법 및 과정을 설명한다.
먼저, 의료기관에서 의술을 시술 또는 시행할 수 있는 의사가 상기 저출력 레이저를 이용한 지방분해장치(1)의 진공흡착수단(50)을 피하지방을 분해하기 위한 사용자의 복부 등의 피부에 밀착시킨다. 즉, 상기 진공흡착수단(50)의 흡착구(51)를 사용자의 피부 적소에 밀착시킨다.
상기한 바와 같이, 상기 진공흡착수단(50)의 흡착구(51)를 사용자의 피부에 밀착시킨 후 진공펌프(57)를 이용하여 흡착구(51) 내에 소정압력의 진공을 형성시켜 피하지방을 분해하고자 하는 부분의 피부를 흡착구(51)의 내주연에 밀착되어 접촉되게 흡입한다.
이렇게 피하지방을 분해하고자 하는 부분의 피부를 흡착구(51)의 내주연에 밀착되게 흡입하여 레이저발생부(10)의 근접되는 위치에 위치시킨 후 레이저발생부 (10)를 구동시켜 레이저다이오드(15)를 통하여 레이저를 발생시킴과 동시에 레이저를 피부에 조사한다.
즉, 진공흡착수단(50)의 흡착구(51)를 복부에 부착시킨 뒤 진공펌프(57)로 흡입하여 흡착구(51)의 내측면에 밀착 및 접촉되도록 하고, 접촉된 상태에서 레이저를 조사하여 복부 등 피부의 피하지방을 분해한다.
이때, 레이저발생부(10)의 각 레이저다이오드(15)를 통하여 10mW 이상 100mW 미만의 저출력으로 레이저가 발생되고, 발생되는 레이저는 투명창(또는 렌즈, 13)를 통과한 후 피하지방을 분해시키기 위한 피부에 조사된다.
상기한 바와 같이, 진공흡착수단(50)에 의하여 흡입 또는 흡착된 피부에 조사되는 레이저에 의하여 피하지방이 분해된 피하지방은 의사의 시술에 의하여 체외로 배출된다.
여기서, 상기 레이저다이오드(15)에서 발생되는 레이저에 의하여 분해된 피하지방은 진공흡착수단(50)의 흡착구(51) 내의 진공에 의하여 흡착구(51) 내에 흡입 및 흡착된 피부의 내측에 위치하기 때문에 그 내부가 진공을 이루는 흡착구(51)를 피부 내에서 스캔형태로 이동시키면 분해된 피하지방이 이동하게 된다.
상기한 바와 같은 방법에 의하여 레이저에 의하여 분해된 피하지방을 상기 진공흡착수단(50)의 흡착구(51)를 통하여 인체의 소정위치로 이동시킨 후 서혜부(鼠蹊部)를 통하여 배출시키는 것도 가능하다.
도 10은 본 발명에 의한 저출력 레이저를 이용한 지방분해장치 또 다른 실시 예를 나타내는 분해도이고, 도 11은 본 실시예에 의한 저출력 레이저를 이용한 지방분해장치의 진공흡착수단과 레이저발생모듈의 결합단면도이다.
도 4, 도 5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도면에서 도시하고 있는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저출력 레이저를 이용한 지방분해장치(1)가 진공흡착수단(50)과 레이저발생모듈(70)로 이루어진다.
상기 진공흡착수단(50)은 피하지방을 분해시키기 위한 사용자의 피부 적소에 접촉되기 위한 흡착구(51)와 상기 흡착구(51)에 진공흡입부(54)를 통하여 연결되는 진공라인(56)과 상기 진공라인(56)에 연결되어 소정압력의 진공을 형성하는 진공펌프(57)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상기 진공펌프(57)는 진공흡입부(54)를 통하여 사용자의 피부에 접촉된 흡착구(51) 내의 공기를 흡입하여 소정압력의 진공상태로 만들며, 상기 진공펌프에(57) 의하여 흡입되는 공기는 진공흡입부(54) 및 진공라인(56)을 통하여 이동된다.
한편, 상기 흡착구(51)의 상부 중앙에는 레이저발생모듈(70)이 설치되기 위하여 결합공(52)을 갖는 결합부(59)가 소정부분 상방향으로 돌출형성된다.
상기 레이저발생모듈(70)은 전원을 공급받기 위한 PCB(71)와 상기 PCB(71)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레이저다이오드(72)와 상기 레이저다이오드(72)의 근접되는 적소에 구비되는 투명창(또는 렌즈, 73)와 상기 PCB(71)와 레이저다이오드(72)와 투명창(또는 렌즈, 73)를 수용하고, 분리가능하게 이루어지는 상, 하부 정착구(74, 75)와 상기 상, 하부 정착구(74, 75)의 외측에 구비되는 커버체(76)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기 상부 정착구(74)의 하부 외주연과 하부 정착구(75)의 상부 내주연에는 나사결합을 위한 수 나사부(74a)와 암 나사부(75a)가 각각 형성되고, 상기 상부 정착구(74)의 내주연 적소에는 상기 PCB(71)가 결합되기 위한 걸림턱(74b)이 형성되고, 상기 하부 정착구(75)의 하측 내주연 적소에 상기 투명창(또는 렌즈, 73)가 결합되기 위한 홈(75b)이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상, 하부 정착구(74, 75)에 형성되는 수 나사부(74a)와 암 나사부(75a)의 조임 또는 풀림에 의하여 상기 레이저다이오드(72)와 투명창(또는 렌즈, 73) 사이의 간격조절이 가능하다.
한편, 상기 PCB(71)는 전원을 공급받기 위한 케이블(71a)이 연결되되, 상기 커버체(76)의 상부에 상기 케이블(71a)이 인입되기 위한 인입공(76a)이 관통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진공흡착수단(50)과 레이저발생모듈(70)은 상호 결합되기 위하여 각각에 구비되는 흡착구(51)의 결합공 내주연 상측과 커버체(76)의 외주연에 나사결합을 위한 암, 수 나사부(53, 76b)가 형성되고, 상기 상, 하부 정착구(74, 75)는 레이저발생모듈(70)의 레이저다이오드(72)에서 발생되는 열을 방열하기 위한 방열재료가 적용된다.
한편, 상기 흡착구(51)의 적소에는 수동으로 흡착구(51) 내의 진공 및 음압을 해지하기 위한 수동음압해지공(58)이 관통형성된다. 즉, 의사 또는 사용자가 흡착구의 사용 시 손가락을 사용하여 수동으로 흡착구(51) 내의 진공 및 음압을 해지하기 위한 수동음압해지공(58)이 관통형성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흡착구(51)의 적소에 수동음압해지공(58)이 1개 관통형성되어 있으나, 흡착구(51) 내의 진공 및 음압을 해지하기 용이하다면 상기 수동음압해지공(58)이 그 이상의 갯수로 관통형성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흡착구(51)의 적소에 관통형성되는 수동음압해지공(58)이 원형으로 관통형성되어 있으나, 상기 수동음압해지공(58)이 타원형 또는 사각형 등 기타 다양한 형상으로 관통형성되는 것도 가능하며, 상기 수동음압해지공(58)의 직경 또는 크기 또한 다양하게 가변가능하다.
여기서, 상기 흡착구(51)의 단부에는 환형으로 삽입홈(58a)이 형성되고, 상기 삽입홈(58a)에 볼(58b)이 회전가능하게 구비된다. 즉, 진공 및 음압이 설정된 상태를 갖는 흡착구(51)의 이동을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환형으로 형성되는 흡착구(51)의 개방된 측 하부면에 삽입홈(58a)이 연장형성되고, 상기 삽입홈(58a)에 회전가능하게 이루어지는 볼(58b)이 구비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흡착구(51)의 단부에 회전가능하게 이루어지는 볼(58b)을 갖는 삽입홈(58a)이 형성되는 구조로 이루어짐으로써 흡착구(51)가 이동하도록 이루어져 있으나, 상기 흡착구(51)가 진공 및 음압이 설정된 상태에서 사용자의 피부를 따라 이동이 가능하다면 상기 흡착구(51)의 단부가 기타 다양한 구조로 이루어지는 것도 가능하다.
한편, 상기 흡착구(51)에 연결되는 진공흡입부(54)에 체크 밸브(Check valve) 등으로 이루어지는 압력유지 밸브(One-way valve, 55)가 구비된다. 상기한 바와 같이 구비되는 압력유지 밸브(55)에 의하여 흡착구(51) 내의 진공이 소정압력 으로 유지된다.
그리고, 상기 진공흡입부(54)를 통하여 흡착구(51) 내의 공기를 흡입할 경우, 흡착구(51) 내의 공기를 소정간격 반복적으로 흡입하는 리듬모드와 흡착구(51) 내의 공기가 흡입된 상태를 계속적으로 유지하는 유지모드가 작동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는 사용자의 설정에 의하여 선택적으로 적용가능하게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상기 흡착구(51)가 그 내부에 진공을 형성하기 위한 소정공간을 갖는 반원형상으로 형성되어 있으나, 상기 흡착구(51)가 그 내부에 진공을 형성하기 위한 소정공간을 갖으며, 진공펌프(57)에 의하여 소정압력의 진공을 형성하기 용이하다면 육면체형상 또는 타원형상으로 이루어지는 것도 가능하고, 기타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상기 흡착구(51)의 진공흡입부(54) 단부 외주연이 사용자의 피부에 밀착되도록 반원형상 또는 타원곡면으로 절곡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본 실시예에 의한 저출력 레이저를 이용한 지방분해장치의 사용방법 및 과정을 설명한다.
먼저, 의료기관에서 의술을 시술 또는 시행할 수 있는 의사가 상기 저출력 레이저를 이용한 지방분해장치(1)의 진공흡착수단(50)을 피하지방을 분해하기 위한 사용자의 피부 적소에 밀착시킨다. 즉, 상기 진공흡착수단(50)의 흡착구(51)를 얼굴, 목, 어깨, 액와(腋窩) 등 피하지방을 분해하기 위한 사용자의 피부에 밀착시킨 다.
상기한 바와 같이, 상기 진공흡착수단(50)의 흡착구(51)를 사용자의 피부에 밀착시킨 후 진공펌프(57)를 이용하여 흡착구(51) 내에 소정압력의 진공을 형성시켜 피하지방을 분해하고자 하는 부분의 피부를 흡착구(51)의 내주연에 밀착되어 접촉되게 흡입한다.
이렇게 피하지방을 분해하고자 하는 부분의 피부를 흡착구(51)의 내주연에 밀착되게 흡입하여 레이저발생모듈(70)에 근접되는 위치에 위치시킨 후 레이저발생모듈(70)을 구동시켜 레이저다이오드(72)를 통하여 레이저를 발생시킴과 동시에 레이저를 피부에 조사한다.
즉, 진공흡착수단(50)의 흡착구(51)를 얼굴, 목, 어깨, 액와(腋窩) 등 피하지방을 분해하기 위한 사용자의 피부에에 수 개 부착시킨 뒤 진공펌프(57)로 흡입하여 흡착구(51)의 내측면에 밀착 및 접촉되도록 하고, 접촉된 상태에서 레이저를 조사하여 피부의 피하지방을 분해하게 된다.
이때, 레이저발생부(10)의 각 레이저다이오드(72)를 통하여 10mW 이상 100mW 미만의 저출력으로 레이저가 발생되고, 발생되는 레이저는 투명창(또는 렌즈, 73)를 통과한 후 피하지방을 분해시키기 위하여 피부에 조사된다.
한편, 상기 레이저발생모듈(70)의 레이저다이오드(72)는 커버체(76)를 분리한 후 상, 하부 장착구(74, 75)에 형성되는 수 나사부(74a)와 암 나사부(75a)를 조절하여 레이저다이오드(72)와 투명창(또는 렌즈, 73)의 간격을 조절하여 사용하며, 레이저다이오드(72)와 투명창(또는 렌즈, 73)의 간격은 설치 및 시술 초기에 조절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한 바와 같이, 진공흡착수단(50)에 의하여 흡입 또는 흡착된 피부에 조사되는 레이저에 의하여 피하지방이 분해된 피하지방은 의사의 시술에 의하여 체외로 배출된다.
여기서, 상기 레이저다이오드(72)에서 발생되는 레이저에 의하여 분해된 피하지방은 진공흡착수단(50)의 흡착구(51) 내의 진공 및 음압에 의하여 흡착구(51) 내에 흡입 및 흡착된 피부의 내측에 위치하기 때문에 상기 흡착구(51)의 단부에 형성되는 삽입홈(58a)에 구비되는 볼(58b)의 회동에 의하여 피부 내에서 스캔 형태로 이동시켜 림프관이 풍성히 분포한 서혜부(鼠蹊部)를 통하여 외부로 배출시킨다.
상기한 바와 같은 방법에 의하여 레이저에 의하여 분해된 피하지방을 상기 진공흡착수단(50)의 흡착구(51)를 통하여 인체의 소정위치로 이동시킨 후 외부로 배출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진공흡착수단(50)의 흡착구(51)에 관통형성되는 수동음압해지공(58)을 의사 또는 사용자가 손을 이용하여 개방 또는 폐쇄시킴으로써 흡착구(51)의 진공 및 음압이 수동으로 해제가능하며, 이로 인해 보다 용이하게 의사 또는 사용자가 흡착구(51) 내에 형성되는 진공 및 음압을 설정 또는 해제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의한 진공흡착수단(50)을 머리에 사용할 경우, 머리의 혈액순환을 도울 뿐만 아니라, 두피를 자극하여 발모를 촉진시킬 뿐만 아니라, 모발의 성장을 촉진시킬 수 있다.
한편, 도 12에서 도시하고 있는 바와 같이, 레이저발생모듈을 갖는 진공흡착수단의 적소에 중계기가 구비되는 것도 가능하다. 도 10, 도 11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상기 레이저발생모듈(70)을 갖는 진공흡착수단(50)의 적소에 중계기(90)가 구비되되, 상기 중계기(90)는 진공흡입부(93)를 갖는 연결 진공라인(91)이 다수개 분기되되, 상기 진공흡입부(93)에 의해 진공흡착수단(50)과 연결되고, 상기 레이저발생모듈(70)에 분기되는 또 다른 진공흡입부(93)를 갖는 연결 진공라인(91)이 또 다른 레이저발생모듈(70)을 갖는 진공흡착수단(50)의 진공흡입부(93)에 연결된다.
상기한 바와 같이, 레이저발생모듈(70)을 갖는 각 진공흡착수단(50)이 연결 진공라인(91)에 의해 중계기(90)와 다수 연결됨으로써 사용자가 피하지방을 분해하기 위한 소정 피부, 즉 원하는 부위에 진공흡착수단(50)을 접촉시켜 사용가능하다.
여기서, 상기 레이저발생모듈(70)을 갖는 진공흡착수단(50)과 중계기(90)를 연결하는 진공흡입부(93)를 갖는 연결 진공라인(91)의 길이는 사용자의 편의에 따라 다양하게 가감할 수 있으며, 상기 연결 진공라인(91)의 길이를 적절하게 조절함으로써 다수의 사용자가 사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를 위하여 상기 중계기(90)에서 분기되는 연결 진공라인(91) 중 어느 한 연결 진공라인(91)은 흡착구(51) 내를 소정압력의 진공으로 형성시키기 위한 진공펌프(95)에 연결되고, 다른 한 연결 진공라인(91)은 또 다른 중계기(90)에 연결되는 것도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한 바와 같이, 상기 레이저발생모듈(70)을 갖는 진공흡착수단(50)을 다수개 연결하는 중계기(90)가 또 다른 중계기(90')와 연결 진공라인(91)을 통 하여 연결되도록 이루어짐으로써 사용자의 피부에 다수개의 진공흡착수단(50)을 접촉시키도록 이루어지는 것도 바람직하다.
본 발명은 특정의 실시예와 관련하여 도시 및 설명하였지만, 첨부 특허청구의 범위에 의해 나타난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다양한 개조 및 변화가 가능하다는 것을 당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나 쉽게 알 수 있을 것이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저출력 레이저를 이용한 지방분재장치는 레이저의 투과특성을 활용하여 레이저 빔을 렌즈 또는 투명창 등으로 집속하거나 또는 그대로, 렌즈 또는 투명창을 통하여 피부에 비침습적으로 조사하되, 조사된 레이저 빔이 피부와 조직을 투과하여 조직내의 지방세포에 조사되도록 함으로써 레이저 조사치료 방법을 비침습적으로 바꾸면서도 기존의 저출력 레이저를 이용한 피부절개 등을 통해 외부로 노출된 지방의 분해효과와 동일한 효과를 얻을 수 있으며, 진공흡착수단이 포함되어 지방세포로부터 배출되어 세포조직의 공간에 집중되는 액상화된 지방을 서혜부(鼠蹊部)를 통하여 체외로 용이하게 배출시키고, 인체의 피부에 안정적으로 접촉되어 지방이 분해됨으로써 사용의 편의성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저출력 레이저를 이용한 지방분해장치는 종래 의과적인 지방절제술(흡 입술)과는 달리 피부의 손상없이 복부등의 지방을 피부 바깥으로 저출력 레이저를 조사시켜 분해/액화시키므로서 외과적 수술없이 피하지방을 분해시켜 이를 지방흡입술에 의해 체외로 배출함으로써 복부비반 등을 원할히 해결해주는 등의 효과를 거둘 수 있다.
아울러, 본 발명은 진공흡착수단을 포함하여 지방세포로부터 배출되어 세포조직의 공간에 집중되는 액상화된 지방을 체표로 끌어올려 림프관이 집중되어 있는 서혜부(鼠蹊部) 등을 통하여 체외로 용이하게 배출되도록 유도함으로써, 지방흡입술과 같은 침습적인 배출수단을 사용하지 않고, 인체의 초과지방을 자연 배출하는 림프배출 능력을 극대화하여 복부비만 등을 원할히 해결해주는 등의 효과를 거둘 수 있다.

Claims (17)

  1. 저출력 레이저를 이용한 지방분해장치에 있어서,
    전원 커넥터가 구비되는 PCB(Printed Circuit Board, 12)와, 상기 PCB(12)에 대응되는 경성 플레이트로 이루어지는 판체형상체로서, 그 일측면에 투명창(또는 렌즈, 13)이 균일하게 다수 배열되는 접촉판체(14)와, 상기 접촉판체(14)에 배열되는 각 투명창(또는 렌즈, 13)에 삽착되고 상기 PCB(12)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다수개의 레이저다이오드(15)로 이루어지는 레이저발생부(10); 및
    상기 레이저발생부(10)가 그 내부에 수용되어 피부에 용이하게 밀착되는 프레임(30);
    을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저출력 레이저를 피부에 조사하여 피하지방을 분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출력 레이저를 이용한 지방분해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레이저발생부(10)에서 생성되는 각각의 레이저의 출력이 10mW 이상 100mW 미만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출력 레이저를 이용한 지방분해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접촉판체(14)가 레이저다이오드(15)에서 발생되는 열을 방열하기 위한 방열판체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출력 레이저를 이용한 지방분해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접촉판체(14)가 피부 접촉에 유용한 타원곡면으로 절곡형성되고, 상기 접촉판체(14)가 수용되는 프레임(30)이 상기 접촉판체(14)에 대응되는 타원곡면으로 절곡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출력 레이저를 이용한 지방분해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30)의 일측 또는 양측 단부 적소에 파지간(31)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출력 레이저를 이용한 지방분해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30)의 양측면 단부에 회동가능하게 구비되는 힌지(33)에 또 다른 프레임(30')이 각각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출력 레이저를 이용한 지방분해장치.
  7. 저출력 레이저를 이용한 지방분해장치에 있어서,
    전원 커넥터가 구비되는 PCB(Printed Circuit Board, 12)와, 상기 PCB(12)에 대응되는 경성 플레이트로 이루어지는 판체형상체로서, 그 일측면에 투명창(또는 렌즈, 13)이 균일하게 다수 배열되는 접촉판체(14)와, 상기 접촉판체(14)에 배열되는 각 투명창(또는 렌즈, 13)에 삽착되고 상기 PCB(12)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다수개의 레이저다이오드(15)로 이루어지는 레이저발생부(10);
    상기 레이저발생부(10)가 그 내부에 수용되는 프레임; 및
    상기 프레임(30)을 수용하도록 상기 프레임(30)의 형상에 대응되는 형상의 공간부를 그 전면에 구비하고, 흡착구(51) 및 상기 흡착구(51)에 진공흡입부(54)를 통하여 연결되는 진공라인(56)과 상기 진공라인(56)에 연결되어 소정압력의 진공을 형성하는 진공펌프(57)로 이루어져 피부에 접촉가능하게 이루어지는 진공흡착수단(50);
    을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피부에 진공흡착된 후 저출력 레이저를 피부에 조사하여 피하지방을 분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출력 레이저를 이용한 지방분해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진공흡착수단(50)은 상기 프레임(30)에 분리가능하게 연결되는 것을 특 징으로 하는 저출력 레이저를 이용한 지방분해장치.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접촉판체(14)가 형상이 가변가능하게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출력 레이저를 이용한 지방분해장치.
  10. 저출력 레이저를 이용한 지방분해장치에 있어서,
    흡착구(51)와, 상기 흡착구(51)에 진공흡입부(54)를 통하여 연결되는 진공라인(56)과, 상기 진공라인(56)에 연결되어 소정압력의 진공을 형성하는 진공펌프(57)로 이루어지고, 그 상부 중앙에 결합공(52)을 갖는 결합부(59)가 소정부분 돌출형성되는 진공흡착수단(50); 및
    상기 진공흡착수단(50)에 결합되어 케이블(71a)에 의하여 전원을 공급받는 PCB(71)와, 상기 PCB(71)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레이저다이오드(72)와, 상기 레이저다이오드(72)의 근접되는 적소에 구비되는 투명창(또는 렌즈, 73)과, 상기 PCB(71)와 레이저다이오드(72)와 투명창(또는 렌즈, 73)을 수용하고, 분리가능하게 이루어지는 상, 하부 정착구(74, 75)와, 상기 상, 하부 정착구(74, 75)의 외측에 구비되는 커버체(76)로 이루어지는 레이저발생모듈(70);
    을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피부에 진공흡착된 후 해당 피부에 저출력 레이저를 조사하여 피하지방을 분해하는 동시에 배출을 도우며, 두피를 자극하여 발모촉진을 도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출력 레이저를 이용한 지방분해장치.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정착구(74)의 하부 외주연과 하부 정착구(75)의 상부 내주연에 나사결합을 위한 수 나사부(74a)와 암 나사부(75a)가 각각 형성되고, 상기 상부 정착구(74)의 내주연 적소에 상기 PCB(71)가 결합되기 위한 걸림턱(74b)이 형성되며, 상기 하부 정착구(75)의 하측 내주연 적소에 상기 투명창(또는 렌즈, 73)이 결합되기 위한 홈(75b)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출력 레이저를 이용한 지방분해장치.
  12.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흡착구(51)의 적소에 수동으로 흡착구(51) 내의 진공 및 음압을 해지하기 위한 수동음압해지공(58)이 관통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출력 레이저를 이용한 지방분해장치.
  13.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흡착구(51)의 단부에 환형으로 삽입홈(58a)이 형성되고, 상기 삽입홈 (58a)에 볼(58b)이 회전가능하게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출력 레이저를 이용한 지방분해장치.
  14.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진공흡입부(54)에 압력유지 밸브(One-way valve, 55)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출력 레이저를 이용한 지방분해장치.
  15.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진공흡입부(54)를 통하여 흡착구(51) 내의 공기를 흡입 시 상기 흡착구(51) 내의 공기가 소정간격 반복적으로 흡입되는 리듬모드와 상기 흡착구(51) 내의 공기가 흡입된 상태를 계속적으로 유지하는 유지모드가 작동되도록 이루어지고, 사용자의 설정에 의하여 선택적으로 적용가능하게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출력 레이저를 이용한 지방분해장치.
  16.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레이저발생모듈(70)을 갖는 진공흡착수단(50)의 적소에 진공흡입부(93)로 연결되는 연결 진공라인(91)이 다수 분기되는 중계기(90)가 구비되되, 상기 각 연결 진공라인(91)이 또 다른 레이저발생모듈(70)을 갖는 진공흡착수단(50)과 진공흡입부(93)에 의해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출력 레이저를 이용한 지방분해장치.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중계기(90)에서 분기되는 연결 진공라인(91) 중 어느 한 연결 진공라인(91)은 진공펌프(95)에 연결되고, 다른 한 연결 진공라인(91)은 또 다른 중계기(90')에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출력 레이저를 이용한 지방분해장치.
KR1020060015778A 2005-03-02 2006-02-17 저출력 레이저를 이용한 지방분해장치 KR100653441B1 (ko)

Priority Applications (8)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CN200680004048.3A CN101115449B (zh) 2005-03-02 2006-02-28 使用低功率激光的脂肪分解装置
US11/577,356 US7959656B2 (en) 2005-03-02 2006-02-28 Adipose resolve apparatus for low-power laser
PCT/KR2006/000694 WO2006093384A1 (en) 2005-03-02 2006-02-28 Adipose resolve apparatus for low-power laser
CA002599682A CA2599682A1 (en) 2005-03-02 2006-02-28 Adipose resolve apparatus for low-power laser
JP2007537813A JP4143114B2 (ja) 2005-03-02 2006-02-28 低出力レーザーを使用した脂肪分解装置
EP06716144A EP1853190A4 (en) 2005-03-02 2006-02-28 FAT TISSUE SOLVENT DEVICE FOR A LOW-ENERGY LASER
US11/860,457 US8771326B2 (en) 2005-03-02 2007-09-24 Adipose resolve apparatus for low-power laser
US14/321,774 US20140379052A1 (en) 2005-03-02 2014-07-01 System and method for low-power laser treatment of adipose cell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050017330 2005-03-02
KR1020050017330 2005-03-02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96288A KR20060096288A (ko) 2006-09-11
KR100653441B1 true KR100653441B1 (ko) 2006-12-05

Family

ID=3762398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15778A KR100653441B1 (ko) 2005-03-02 2006-02-17 저출력 레이저를 이용한 지방분해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53441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0114987A3 (en) * 2009-04-01 2011-01-20 The General Hospital Corporation Apparatus and method for fat removal
WO2017026598A1 (ko) * 2015-08-11 2017-02-16 김유인 복합 콤팩트형 지방 분해 장치
WO2018216846A1 (ko) * 2017-05-24 2018-11-29 (주)엠디피 저출력 레이저 패치 및 이를 구비하는 저출력 레이저 시술 셋트
KR20200068969A (ko) 2018-12-06 2020-06-16 주식회사 메타신 다기능 복합 에스테틱 기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11803B1 (ko) * 2007-03-15 2008-03-10 이성근 레이저 치료기능을 갖춘 두피치료장치
KR101244434B1 (ko) * 2012-07-27 2013-03-18 김진왕 피부 병변, 피부 신생물 및 피부암, 피부혈관, 통증완화, 다모증완화, 두피모발재생, 피부재생, 피부미백, 피부회춘, 노화방지, 국소지방세포감소, 지방조직감소, 줄기세포 병행치료, 안면 및 전신에 관한 단순치료 혹은 복합광선치료, 공기압 맛사지치료, 공기압 광선역학치료, 고주파, 초음파기기 복합치료, 성형외과, 피부과, 스파병행 시술등에 있어 앨이디, 오앨이디, 레이저 ,레이저 다이오드, 광선, 광선역학 치료방법 및 광선역학 치료기
KR101563287B1 (ko) * 2013-10-23 2015-10-27 주식회사 하이로닉 지방 분해 장치
KR101940284B1 (ko) * 2016-06-29 2019-01-18 주식회사 엘림텍 고출력 레이저 치료장치
FR3066695A1 (fr) * 2017-05-24 2018-11-30 Daniel Colletta Dispositif autonome de cryolipolyse
CN114028731B (zh) * 2021-12-10 2024-01-26 固安翌光科技有限公司 腰部塑形光疗装置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0114987A3 (en) * 2009-04-01 2011-01-20 The General Hospital Corporation Apparatus and method for fat removal
WO2017026598A1 (ko) * 2015-08-11 2017-02-16 김유인 복합 콤팩트형 지방 분해 장치
US10265538B2 (en) 2015-08-11 2019-04-23 You In Kim Composite compact-type fat decomposition device
WO2018216846A1 (ko) * 2017-05-24 2018-11-29 (주)엠디피 저출력 레이저 패치 및 이를 구비하는 저출력 레이저 시술 셋트
KR20200068969A (ko) 2018-12-06 2020-06-16 주식회사 메타신 다기능 복합 에스테틱 기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96288A (ko) 2006-09-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53441B1 (ko) 저출력 레이저를 이용한 지방분해장치
JP4143114B2 (ja) 低出力レーザーを使用した脂肪分解装置
CA2604112C (en) Adipose resolve apparatus for low-power laser
US7559945B2 (en) Multi-spectral photon therapy device and methods of use
US20050137656A1 (en) Acoustic-optical therapeutical devices and methods
US20090005631A1 (en) Photo-magnetic radiation device
US20220062093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the treatment of cellulite with the combination of low level light, ultrasound, and vacuum
CN113811354A (zh) 用于进行生物刺激光疗的装置
KR20070010745A (ko) Lllt를 위한 범용 패치
KR200405265Y1 (ko) Led를 이용한 의료용 광 조사 장치
KR102204002B1 (ko) 의료용 레이저를 사용한 탈모 방지용 헬맷
US20210038912A1 (en) Adipose tissue reduction and muscle toning device
KR20220124307A (ko) 고강도 집속 초음파를 이용한 복합 피부 치료기
KR20100092077A (ko) 의학 치료용 멀티 레이저 장치
KR100503594B1 (ko) 광화학적 치료용 레이저/엘이디 샤워
CN219167530U (zh) 一种光照理疗装置
KR101526696B1 (ko) 지지대조립체를 포함하는 관절치료장치
CN203123348U (zh) 半导体窄光谱颈肩腰腿疼痛疾病治疗仪
CN212631451U (zh) 一种颈椎治疗装置及颈椎治疗仪
CN203816097U (zh) 足部光疗机及其组合
CN210384596U (zh) 纳米光痛症治疗仪
KR200285755Y1 (ko) 광화학적 치료용 레이저/엘이디 샤워기
KR200238930Y1 (ko) 진동과 적외선 및 레이저 광원이 동시에 진행할 수있도록 함께 내장시킨 것으로 조사된 광원의 넓이를조절할 수 있도록 빛조리개가 부착된 물리치료기
US20210085995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adipose tissue reduction
KR200434457Y1 (ko) 적외선 여성 가슴 미용기구 겸 가슴 확대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J204 Request for invalidation trial [patent]
J121 Written withdrawal of request for trial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527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526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126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224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128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127

Year of fee payment: 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