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52764B1 - 이동단말기의 플래시/이어잭 검출 회로 - Google Patents

이동단말기의 플래시/이어잭 검출 회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52764B1
KR100652764B1 KR1020050091636A KR20050091636A KR100652764B1 KR 100652764 B1 KR100652764 B1 KR 100652764B1 KR 1020050091636 A KR1020050091636 A KR 1020050091636A KR 20050091636 A KR20050091636 A KR 20050091636A KR 100652764 B1 KR100652764 B1 KR 10065276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lash
earjack
terminal
socket
volta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9163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함인규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5009163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5276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5276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5276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03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 H04M1/72409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by interfacing with external accessori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50/00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 H04M2250/14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including a card reading devic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이동단말기의 플래시/이어잭 검출 회로에 관한 것으로, 특히 이어잭과 플래시 메모리를 공용으로 연결할 수 있도록 소켓을 구현함으로써 부품 실장 영역을 확보할 수 있도록 함과 동시에 제조단가를 줄일 수 있도록 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러한 목적의 본 발명은 T-플래시 카드 또는 이어잭이 연결되는 소켓(320)과, 이 소켓(320)에 T-플래시 카드 또는 이어잭의 삽입을 검출하는 플래시/이어잭 삽입 검출부(330)와, 이 플래시/이어잭 삽입 검출부(330)의 검출신호를 점검하여 상기 소켓(320)에 T-플래시 카드가 연결되었는지 또는 이어잭이 연결되었는지를 판별하는 MSM(310)과, 이 MSM(310)의 제어에 의해 상기 소켓(320)의 단자를 상기 MSM(310)의 T-플래시 카드 인터페이스 단자 또는 이어잭 인터페이스 단자에 연결시키는 스위치(340)를 포함하여 구성함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이동단말기의 플래시/이어잭 검출 회로{CIRCUIT FOR DETECTING FLASH/EARJACK IN MOBILE TERMINAL}
도1은 일반적인 T-플래시 소켓의 배선 연결도.
도2는 일반적인 플래시 삽입 검출 회로의 구성도.
도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플래시/이어잭 검출 회로의 블록도.
도4는 도3에서 소켓 단자의 연결 구성도.
도5는 도3에서 플래시 삽입 시의 동작을 설명한 예시도.
도6은 도5의 등가 회로도.
도7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이어잭 회로의 구성도.
도8은 도3에서 이어잭 삽입 시의 동작을 설명한 예시도.
도9는 도8의 등가 회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 설명 *
310 : MSM(Mobile Station Modem) 320 : 소켓(socket)
330 : 플래시/이어잭 삽입 검출부 340 : 스위치
본 발명은 이동단말기에 관한 것으로, 특히 플래시/이어잭 검출 회로에 관한 것이다.
이동단말기 특히 이동통신단말기(이하 "휴대폰"이라 칭함)는 카메라, 동영상재생 기능 등이 장착되면서 큰 용량의 메모리를 필요로 하게 되었다.
이러한 필요에 부응하여 개발된 것이 메모리 카드이다.
메모리 카드는 기억용량을 확장하거나 통신기능 등을 확장하기 위해 사용되는 확장 카드(expansion card)로서, 고속, 대용량의 기억용량을 갖는다는 것이 특징이다.
메모리카드의 종류에는 RAM 카드, ROM 카드, EEPROM 카드, 플래시 메모리(flash memory) 카드 등이 있다.
상기 플래시메모리는 일종의 비휘발성 기억 장치로서, 전기적 처리에 의해 기억 내용을 소거할 수 있는 점에서는 전기적 소거 및 프로그램이 가능한 EEPROM과 유사하지만, EEPROM은 한번에 1바이트씩 소거할 수 있는 데 비해 플래시 메모리는 블록 단위로 소거하는 특징을 갖는다.
현재 휴대폰에는 기본적으로 장착되는 내장 메모리 이외에도 외장형 플래시 메모리를 착탈할 수 있는 카드 슬롯(card slot)이 구비되어 있다.
외장형 플래시 메모리는 크기가 중요한 기준임으로 기존에는 SD, CF, MS 등이 사용되었지만 근래에는 더욱 소형화된 mini SD, RS-MMC, T-플래시메모리(Trans Flash Memory) 등이 주로 이용되고 있다.
상기 T-플래시 메모리는 근래 선호되고 있는 초소형 착탈식 플래시 메모리로 서, 크기와 성능은 기존의 착탈식 플래시 메모리와 비슷하지만 착탈이 용이하고, 다른 전자기기와 호환성이 뛰어나며 용량의 업그레이드가 간편하다는 장점을 갖는다.
T-플래시메모리는 물리적 구동방식과 카드 소켓 구조가 SD, Mini SD 카드와 동일하다.
일반적으로 메모리카드의 소켓 구조는 도1에 도시한 바와 같다.
도1의 카드 소켓 구조를 채택한 시스템에서 메모리 카드 삽입 시의 인식 과정은 다음과 같다.
(1). 접지전압(Vss) 단자와 동작전원(Vdd) 단자를 점검한다.
(2). CLK, CMD, DAT0~DAT3를 점검한다.
(3). CD/DAT3 단자를 점검한다.
그런데, 일반적으로 T-플래시 메모리 착탈이 가능한 휴대폰은 도2의 회로를 이용하여 소켓에 T-플래시 메모리가 삽입되었는지는 감지하게 되는데, 이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우선, 소켓(220)에 T-플래시 카드(230)가 삽입되지 않은 경우 스위치(240)가 오프 상태를 유지하여 풀업저항(R)에 인가된 전압(VDD)이 MSM(Mobile Station Modem)(210)으로 입력된다.
이에 따라, MSM(210)은 소켓(220)에 T-플래시 카드(230)가 삽입되지 않았음을 인식하게 된다.
그리고, 소켓(220)에 T-플래시 카드(230)가 삽입되면 스위치(240)가 동작하 여 detect 단자가 접지에 연결되어 MSM(210)에 로우 신호가 입력된다.
이에 따라, MSM(210)은 detect 단자의 전압이 하이(high)에서 로우(low)로 되면 이를 인터럽트로 인식하여 소켓(220)에 T-플래시 카드(230)가 삽입되었음을 인식하게 된다.
그러나, 최근 휴대폰은 기능 추가에 따른 부품의 증가로 소형화에 많은 제약을 받고 있다. 특히, 대용량 저장매체로 사용되는 외장형 T-플래시 메모리 삽입을 위한 소켓의 크기가 매우 커서 부품 실장을 어렵게 한다.
또한, 최근 휴대폰은 이어잭(ear jack)과 T-플래시 메모리 소켓이 해당 기능 구현을 위해 반드시 구비되어야 하는 부품이지만, 물리적 크기 축소에 한계가 있다. 따라서, 이어잭과 메모리 소켓이 차지하는 실장 면적이 매우 커서 단말기 보드 설계를 어렵게함은 물론 제조단가를 상승시키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종래의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하여
이어잭과 플래시 메모리를 모두 연결할 수 있도록 메모리 소켓을 구현함으로써 부품 실장 영역을 확보할 수 있도록 함과 동시에 제조단가를 줄일 수 있도록 창안한 이동단말기의 플래시/이어잭 검출 회로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즉, 본 발명은 기존의 T-플래시 카드의 소켓의 물리적 구조를 유지하면서 회로를 추가하여 이어잭 삽입 또는 T-플래시 카드 삽입을 검출하고 이 검출결과에 따라 소켓을 MSM(Mobile Station Modem)의 인터페이스 단자에 연결시키도록 하는데 목적이 있는 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T-플래시 카드 또는 이어잭이 연결되는 소켓과, T-플래시 카드 또는 이어잭이 상기 소켓에 삽입되면 이를 MSM(Mobile Station Modem)에 알리는 플래시/이어잭 삽입 검출부와, 상기 MSM의 제어신호에 의해 상기 소켓 단자를 상기 MSM의 T-플래시 카드 인터페이스 단자 또는 이어잭 인터페이스 단자에 연결시키는 스위치를 포함하여 구성함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기술적 구성요지는 바람직한 실시 예에서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서는 구체적인 처리 흐름과 같은 많은 특정 상세 설명들을 기재함은 물론 도면을 첨부하여 본 발명에 대한 전반적인 이해를 돕기로 한다. 그리고,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메모리카드/이어잭 검출 회로의 블록도로서 이에 도시한 바와 같이, T-플래시 카드 또는 이어잭이 연결되는 소켓(320)과, T-플래시 카드 또는 이어잭이 상기 소켓(320)에 삽입되는지를 검출하는 플래시/이어잭 삽입 검출부(330)와, 이 플래시/이어잭 삽입 검출부(330)의 전송신호에 의해 상기 소켓(320)에 T-플래시 카드가 연결되었는지 또는 이어잭이 연결되었는지를 판별한 상기 MSM(310)의 제어신호에 의해 상기 소켓(320)의 단자를 상기 MSM(310)의 T-플래시 카드 인터페이스 단자 또는 이어잭 인터페이스 단자에 연결시키는 스위치(340)를 포함하여 구성한다.
상기 소켓(320)은 도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저항(R)을 통해 전압(VDD)가 인가되는 Common 단자와 detect 단자 사이에 T-플래시 카드 또는 이어잭의 삽입 시에 온되는 스위치(410)를 연결하여 구성한다.
상기 소켓(320)은 기존 T-플래시 소켓과 동일한 구조를 가지며, T-플래시 단자와 이어잭 단자는 Data2 - REM_INT/, CD/Data3 - REM_ADC, CMD-MIC, VDD-VDD, CLK-HOOK, Data0-EAR_L, Data1-EAR_R, Detect-Detect, Common-Common와 같이 대응된다.
상기 플래시/이어잭 삽입 검출부(330)는 소켓(320)의 detect 단자와 MSM(310)의 EAR_T_ADC 인식 단자를 연결하는 라인이 베이스단자에 연결되고 풀업저항(R)이 연결된 상기 MSM(310)의 SOCKET_SENSE/ 인식 단자에 콜렉터 단자가 연결되며 에미터 단자가 접지에 연결되어 상기 소켓(320)에 T-플래시 카드 또는 이어잭이 삽입된 경우에 턴온되는 트랜지스터(Tr)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와 같이 구성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대한 동작 및 작용 효과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소켓(320)에 T-플래시카드 또는 이어잭이 삽입되지 않은 경우 상기 소켓(320)에 장착된 스위치(410)가 오프상태임으로 플래시/이어잭 삽입 검출부(330)에 구비된 트랜지스터(Tr)가 턴오프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이에 따라, EAR_T_ADC 신호를 로우로 입력받고 SOCKET_SENSE/ 신호를 하이로 입력받은 MSM(310)은 소켓(320)에 T-플래시 또는 이어잭이 삽입되지 않았음을 인식하게 된다.
이후, 소켓(320)에 T-플래시카드 또는 이어잭이 삽입되면 상기 소켓(320)에 장착된 스위치(410)이 온됨으로 플래시/이어잭 삽입 검출부(330)에 구비된 트랜지스터(Tr)의 베이스에 detect 단자의 하이신호가 인가되어 상기 트랜지스터(Tr)가 턴온된다.
이때, detect 단자가 하이로 되어 EAR_T_ADC 신호가 하이로 MSM(310)에 입력됨과 동시에 트랜지스터(Tr)의 턴온에 의해 MSM(310)에 SOCKET_SENSE/ 신호가 로우로 입력됨으로 이를 MSM(310)는 인터럽트 입력으로 받아 소켓(320)에 T-플래시카드 또는 이어잭이 삽입된 것으로 판단한다.
그런데, 상기 detect 단자는 소켓(320)에 이어잭이 삽입된 경우 Ve 전압이 출력되고 T-플래시카드가 입력된 경우 Vt 전압으로 출력되며, MSM(310)은 상기 detect 단자의 전압으로 EAR_T_ADC 신호로 입력받아 상기 소켓(320)에 T-플래시카드가 삽입되었는지 또는 이어잭이 삽입되었는지를 판단하고 이 판단결과에 따라 스위치(340)의 절환 동작을 제어하는데, 이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상기 스위치(340)는 평상 시 소켓(320)의 단자가 MSM(310)의 T-플래시 인터페이스 단자에 연결되도록 절환된 상태를 유지하는 것으로 가정한다.
우선, 도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소켓(320)에 T-플래시카드(510)가 삽입된 경우 상기 소켓(320)에 장착된 스위치(410)가 온되어 common 단자에 인가되는 전압(VDD)이 detect 단자로 인가되며 상기 detect 단자의 하이신호(Vt)가 EAR_T_ADC 신호로 MSM(310)에 입력됨과 동시에 플래시/이어잭 삽입 검출부(330)에 구비된 트랜지스터(Tr)의 베이스 단자에 인가된다.
이때, 트랜지스터(Tr)를 포함한 등가회로는 도6에 도시한 바와 같다.
상기 트랜지스터(Tr)가 턴온되는 베이스단자와 에미터단자 간의 전압(Vbe)은 대략 0.7V이다.
즉, detect 단자의 전압(Vt)은 저항(R1)(R2)에 의해 아래의 식과 같이 결정되며,
Figure 112005055350681-pat00001
이 되면 트랜지스터(Tr)가 턴온되어 socket_sense/ 신호가 '0'V된다.
Figure 112005055350681-pat00002
이에 따라, MSM(310)는 전압(Vt)에 의해 트랜지스터(Tr)의 턴온량이 결정됨으로 이로부터 T-플래시카드(510)가 소켓(320)에 삽입되었음을 인식하여 스위치(340)의 절환 상태를 유지함으로 소켓(320)의 단자가 T-플래시 인터페이스 단자에 연결된 상태를 유지하게 되고, 상기 MSM(320)은 소켓(320)에 삽입된 T-플래시카드(510)를 액세스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소켓(320)에 삽입 가능한 이어잭을 구비한 이어마이크(ear mic)는 도7에 도시한 바와 같이 구성된다.
도7에서 도면부호 '720'은 마이크(mic), '730'은 리시버, '740'은 통화 키이며, '750'은 이어잭이다.
상기 이어잭(750)은 도3과 도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소켓(320)의 단자에 매핑된다.
도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이어잭(750)이 소켓(320)에 삽입되면 상기 소 켓(320)에 장착된 스위치(410)가 온되어 common 단자의 전압(VDD)이 detect 단자로 인가되어 EAR_T_ADC 신호가 하이로 MSM(310)에 입력됨과 동시에 트랜지스터(Tr)의 베이스 단자로 인가된다.
이때, 소켓(320)에 이어잭(750)이 삽입되면 상기 이어잭(750)에 연결된 저항(R3)가 트랜지스터(Tr)의 베이스 단자에 연결됨으로 등가회로는 도9에 도시한 바와 같다.
즉, 소켓(320)에 이어잭(750)이 삽입된 경우 저항(R3)의 연결로 인해 detect 단자에는 아래 식과 같이 결정되는 전압(Ve)이 나타나게 된다.
Figure 112005055350681-pat00003
여기서, Rz는
Figure 112005055350681-pat00004
이다.
상기 전압(Ve)은 도통전압(Vbe)보다 크게 나타나도록 저항(R1~R3) 값이 결정된다.
따라서, 상기 전압(Ve)에 의해 트랜지스터(Tr)의 도통량이 결정되어 socket_sense/ 신호의 레벨이 결정됨으로 이를 점검한 MSM(310)은 소켓(320)에 이어잭이 삽입되었음을 인식하여 스위치(340)를 절환시키게 된다.
이에 따라, 소켓(320)의 단자가 MSM(310)의 이어잭 인터페이스 단자에 연결됨으로 상기 MSM(310)은 이어잭을 통해 입력되는 신호를 처리하게 된다.
예를 들어, VDD = 2.6[V], 저항 R1 = 5[Kohm], R2 = R3 = 10[Kohm]이라고 가정하면 T-플래시카드 삽입에 따른 전압(Vt)은 1.73[V]가 되고, 이어잭 삽입에 따른 전압(Ve)는 1.3[V]가 된다.
즉, 상기 전압(Vt)(Ve)은 트랜지스터(Tr)를 턴온시키기에 충분한 전압이며 그 전압(Vt)(Ve)의 레벨차에 의해 MSM(310)은 소켓(320)에 삽입된 기기를 인식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MSM(310)은 전압(Vt) 또는 전압(Ve)에 의해 트랜지스터(Tr)의 턴온량 결정으로 변화되는 socket_sense/ 신호의 레벨을 점검하여 소켓(320)에 T-플래시카드가 삽입되었는지 또는 이어잭이 삽입되었는지를 판단한 후 스위치(340)의 절환 동작을 제어하게 된다.
한편, 상기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해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기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본 발명과 관련된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라면 하기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할 수 있을 것이다.
상기에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플래시메모리용 소켓을 이용하여 이어잭의 삽입이 가능하도록 함으로써 부품실장 영역을 확보할 수 있음은 물론 실장부품 수를 줄여 제조단가를 줄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8)

  1. T-플래시 카드 또는 이어잭이 연결되는 접속 수단과,
    상기 접속 수단에 T-플래시 카드 또는 이어잭의 삽입을 검출하는 플래시/이어잭 삽입 검출 수단과,
    상기 검출신호에 의해 접속수단에 T-플래시 카드가 삽입되었는지 또는 이어잭이 삽입되었는지를 판단하고 그 판단결과에 따른 스위칭신호를 출력하는 단말제어 수단과,
    상기 스위칭 신호에 의해 절환되어 상기 접속수단에 삽입된 기기(T-플래시 카드 또는 이어잭)를 상기 단말제어부의 T-플래시 카드 인터페이스 단자 또는 이어잭 인터페이스 단자에 연결시키는 스위칭 수단을 포함하여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단말기의 플래시/이어잭 검출 회로.
  2. 제1항에 있어서, 접속 수단은 일반적인 플래시카드 소켓임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단말기의 플래시/이어잭 검출 회로.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접속 수단은
    T-플래시 카드 또는 이어잭의 삽입 시에 온되어 common 단자에 인가된 전압(VDD)을 detect 단자로 출력시키는 스위치를 포함하여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단말기의 플래시/이어잭 검출 회로.
  4. 제1항에 있어서, 플래시/이어잭 삽입 검출 수단은
    플래시/이어잭 삽입 검출 수단의 detect 단자의 전압을 분압하여 플래시카드 또는 이어잭의 삽입에 따른 검출신호를 단말제어 수단으로 출력시키는 분압회로로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단말기의 플래시/이어잭 검출 회로.
  5. 제1항에 있어서, 플래시/이어잭 삽입 검출 수단은
    플래시/이어잭 삽입 검출 수단의 detect 단자의 전압을 분압하여 플래시카드 또는 이어잭의 삽입에 따른 제1 검출신호를 단말 제어 수단으로 출력시키는 분압회로와,
    상기 분압에 의해 도통량이 결정되어 플래시카드 또는 이어잭의 삽입에 따른 제2 검출신호를 단말제어 수단으로 출력시키는 스위칭 소자를 포함하여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단말기의 플래시/이어잭 검출 회로.
  6. 제4항 또는 제5항에 있어서, 분압 회로는
    접속 수단의 detect 단자의 전압을 분압하는 제1,제2 저항으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단말기의 플래시/이어잭 검출 회로.
  7. 제6항에 있어서, 분압 회로는
    접속 수단에 이어잭에 연결된 제3 저항을 포함하여 분압동작을 수행하도록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단말기의 플래시/이어잭 검출 회로.
  8. 제1항에 있어서, 단말제어 수단은
    MSM(Mobile Station Modem)으로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단말기의 플래시/이어잭 검출 회로.
KR1020050091636A 2005-09-29 2005-09-29 이동단말기의 플래시/이어잭 검출 회로 KR10065276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91636A KR100652764B1 (ko) 2005-09-29 2005-09-29 이동단말기의 플래시/이어잭 검출 회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91636A KR100652764B1 (ko) 2005-09-29 2005-09-29 이동단말기의 플래시/이어잭 검출 회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652764B1 true KR100652764B1 (ko) 2006-12-01

Family

ID=3773170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91636A KR100652764B1 (ko) 2005-09-29 2005-09-29 이동단말기의 플래시/이어잭 검출 회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52764B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127065B2 (en) Storage card having selectable contact elements and method of its operation
US7377442B2 (en) Multi-mode integrated circuit devices including mode detection and methods of operating the same
US7215042B2 (en) Interface for peripheral device detection
EP1801740B1 (en) Interface for a removable electrical card
US8070067B2 (en) Receptacles for removable electrical interface devices
TW202125145A (zh) 記憶卡及主機機器
US20100205341A1 (en) Card recognition method for micro sd adapter
US20060025020A1 (en) Extended memory card
US9038902B2 (en) Electronic device for recognizing erroneous insertion of card, and operating method thereof
JPH06139414A (ja) Icカード検出装置
US20100210308A1 (en) Wireless communicator jacket with multiple operational stages
JP2006217586A (ja) ポータブル装置のためのデュアル汎用集積回路カード(uicc)システム
EP1150525A3 (en)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device
EP1327957A4 (en) FUNCTION EXTENSION MODULE
JP2004348235A (ja) 携帯可能電子装置および携帯端末装置
US20070283053A1 (en) Memory card with communication serial interface
US20070257116A1 (en) Interface detection method of a multiple mode micro memory card
US20060000914A1 (en) Memory card capable of wireless transmission
EP0841608A2 (en) Electronic device, card interface and expansion card
KR100652764B1 (ko) 이동단말기의 플래시/이어잭 검출 회로
CN102693750A (zh) 移动终端及移动终端中存储卡的写保护方法
KR20050016536A (ko) Ic 칩, 이에 접속되는 카드 및 휴대 단말 장치
KR100701942B1 (ko) 심카드가 장착되는 이동통신 단말기
CN220273686U (zh) 一种sim卡识别装置和电子产品
CN220492998U (zh) 一种车载eSIM卡和SIM卡切换电路及电子设备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026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024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024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023

Year of fee payment: 10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