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52761B1 - 휴대단말기의 회수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휴대단말기의 회수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52761B1
KR100652761B1 KR1020050090157A KR20050090157A KR100652761B1 KR 100652761 B1 KR100652761 B1 KR 100652761B1 KR 1020050090157 A KR1020050090157 A KR 1020050090157A KR 20050090157 A KR20050090157 A KR 20050090157A KR 100652761 B1 KR100652761 B1 KR 10065276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ost
mobile switching
switching center
mobile
lost inform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9015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옥경준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5009015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5276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5276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5276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18Status alarms
    • G08B21/24Reminder alarms, e.g. anti-loss alarm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00Network data management
    • H04W8/18Processing of user or subscriber data, e.g. subscribed services, user preferences or user profiles; Transfer of user or subscriber data
    • H04W8/20Transfer of user or subscriber data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휴대단말기를 분실한 경우 불휘발성 메모리 영역에 분실정보를 기록하여, 신규 가입 등록을 제한하는 것으로, 이동통신 기지국과 무선접속되는 무선부를 통하여 이동교환국의 분실정보가 무선수신되면, 제어부는 불휘발성 영역의 분실기록부에 기록저장하고, 상기 이동교환국의 해당 제어명령에 분실정보를 출력하거나 삭제하는 일련의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또한, 이동통신 시스템의 전체 운용을 제어하고 감시하는 이동교환국에 의하여, 휴대단말기 분실신고가 접수되면, 해당 분실정보를 휴대단말기의 불휘발성 영역에 기록하고 신고자에 통보하며, 휴대단말기가 신규 가입 등록을 요청하면, 해당 분실정보를 인가받아 분석하여 분실된 휴대단말기이면, 가입 등록을 거부하고 신고자와 합의한 결과를 입력하도록 안내하는 메시지를 전송하며, 신고자와 가입 요청자로부터 해당 합의완료 신호가 입력되면, 휴대단말기의 분실정보를 삭제하고 신규 가입 등록을 허여하는 일련의 과정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 등등으로 하여, 분실된 휴대단말기의 불휘발성 메모리 영역에 분실정보를 기록 관리하고, 신규 가입 등록하여 개통하는 경우, 분실된 휴대단말기임을 안내하는 해당 메시지를 출력하고, 기사용자 또는 원소유자에게 통보하여 회수를 용이하게 하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휴대단말기의 회수장치 및 방법{METHODS AND APPARATUS' TO WITHDRAW MOBILE PHONE}
도1 은 종래 기술에 의한 휴대단말기의 분실처리 방법 순서도,
도2 는 본 발명에 의한 휴대단말기의 회수장치 기능 구성도,
도3 은 본 발명에 의한 이동교환국의 휴대단말기 회수방법 순서도,
도4 는 본 발명에 의한 휴대단말기의 회수방법 순서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 설명 **
100 : 무선부 110 : 제어부 120 : 메모리부
130 : 입출부 140 : 분실기록부
본 발명은 휴대단말기를 분실한 상태에서 획득한 사람이 부당하게 사용하지 못하도록 하는 것으로, 특히, 분실신고를 접수한 서비스 사업자에 의하여 분실된 휴대단말기의 불휘발성 메모리 영역에 분실정보를 기록하여 관리하므로, 습득자가 부당하게 사용하지 못하도록 하는 휴대단말기 회수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동통신용 휴대단말기(MS)는, 기지국(RAN)이 형성하는 서비스 영역 안을 자 유롭게 이동하면서, 언제 어디서나 원하는 상대방과 즉시 무선접속하여 통신하는 서비스를 기본 서비스로 한다.
상기 휴대단말기(MS)는, 통신에 직접 이용되는 시간이 비교적 작고 언제 발생할지 모르는 통신을 위하여 항상 휴대하므로, 이용률과 활용률이 비교적 매우 낮은 편에 속하며, 상기 이용률과 활용률을 높이는 것이 다양한 부가서비스 또는 부가기능(이하 부가서비스)이다.
상기 부가서비스에는, 휴대단말기 생산업자가 개발하여 제공하는 것으로, 카메라, 블루투스, 무선랜, 라디오, 티비, 게임, 전자계산기, 달력, 시계, 착신벨, 폰북, 일정관리 등이 있으며, 이동통신 서비스 사업자가 개발하여 제공하는 것에는, 문자메시지, 영상 메시지, 온라인 게임, 무선인터넷 접속, 발신자 확인 등등이 있고, 최근에는 PDA 기능이 부가되고 있으며, 상기 부가서비스는 계속 새로운 기능이 개발되어 추가된다.
상기와 같이 휴대단말기에 부가되는 기능이 다양해지면서, 가격이 비싸지므로, 분실에 의한 경제적 손실의 영향이 점점 커지고 있다.
따라서, 분실된 휴대단말기를 습득한 사람이 부당하게 사용하지 못하도록 하는 기술을 개발할 필요가 있다.
이하, 종래 기술에 의한 휴대단말기의 분실 처리 방식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종래 기술을 설명하기 위하여 첨부된 것으로, 도1 은 종래 기술에 의한 휴대단말기의 분실처리 방법 순서도 이다.
이동통신용 휴대단말기(MS)를 분실한 경우(S10), 해당 이동통신 서비스 사업자에 분실신고를 하고(S20), 상기 이동통신 서비스 사업자는 분실 신고된 휴대단말기의 이동통신 서비스 제공을 차단 등록하는 동시에, 해당 대리점 및 자체 통신망 등을 통하여 일정기간 분실공고를 한다(S30).
상기 서비스 사업자는, 상기 분실신고한 가입자가 다른 휴대단말기로 기변하여 가입등록 및 개통하고자 하는 경우(S40), 상기 분실 신고된 휴대단말기의 해당 정보를 데이터 베이스로부터 삭제하므로, 가입등록을 해제하고(S50), 상기 기변에 의하여 가입 등록된 휴대단말기에 이동통신 서비스 운용을 허여한다(S60).
상기와 같은 구성의 종래 기술은, 휴대단말기를 분실하는 경우, 분실된 휴대단말기로 전화하거나 메시지를 전송하여, 현재 소지자 한테 반환을 요청하고, 반환이 않되는 경우, 이동통신 서비스 사업자에 분실신고를 하므로, 부당한 사용을 차단하는 동시에 반환을 촉구하는 것이 전부였다.
또한, 이동통신 서비스 사업자의 경우에도, 분실신고를 접수하면, 해당 휴대단말기가 이동통신 서비스를 이용하지 못하도록 데이터 베이스에 등록하고, 분실 목록을 작성하여, 자체적인 통신망에 공고하는 동시에, 가입등록 업무를 처리하는 일선 부서 및 해당 대리점 등에 통보하는 것이 취할 수 있는 조치의 전부였다.
상기 휴대단말기 분실신고자가 새로운 휴대단말기를 구매하여 기변(기계 변경)을 함과 동시에 가입등록하여 이동통신 서비스를 이용하고자 하는 경우는, 분실된 휴대단말기와 통신할 수 있는 방법이 없어지므로, 회수 방법조차 없어지는 문제가 있다.
또한, 상기 서비스 사업자의 경우에도 휴대단말기의 분실공고를 무한정 오랜 기간 동안 계속할 수 없고, 자체 규정에 의하여 설정된 소정 기간동안 분실공고를 유지하며, 상기 분실공고 기간 이후에는 더 이상 공고하지 않는 것이 일반적이므로, 시간이 흐를수록 회수가 어려워지는 문제가 있다.
또한, 휴대단말기 습득자가 동작전원의 공급을 차단하는 경우, 반환요청 음성 통신이나 메시지 전송이 불가능한 동시에, 위치추적이 안되므로, 추적 및 회수를 할 수 없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휴대단말기를 분실한 경우, 이동교환국에 의하여 휴대단말기에 분실정보를 전송하고, 휴대단말기는 불휘발성의 분실기록부에 분실정보를 기록하며, 상기 분실된 휴대단말기로 가입 등록하고자 하는 경우, 이동교환국에 의하여 가입등록을 거부하고 분실자와 합의를 하도록 하는 휴대단말기의 회수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 그 목적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안출한 본 발명은, 이동통신 기지국과 무선접속되는 무선부를 통하여 이동교환국의 분실정보가 무선수신되면, 제어부는 불휘발성 영역의 분실기록부에 기록저장하고, 상기 이동교환국의 해당 제어명령에 분실정보를 출력하거나 삭제하는 일련의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안출한 본 발명은, 이동교환국으로부터 무선전송되는 분실정보를 검출 출력하며, 통신신호를 무선송수신하는 무선부와; 상기 무선부와 접속하고, 이동교환국의 해당 제어신호에 의하여 인가되는 분 실정보를 분실기록부에 기록하고 출력하며 삭제하는 제어부와; 상기 제어부에 접속하고 분실정보를 할당된 영역에 불휘발성으로 기록하고 출력하며 삭제하는 분실기록부와; 상기 제어부에 접속하고 통신신호를 입출력하며 제어명령과 다이얼링 신호를 입력하는 입출부와; 상기 제어부에 접속하고 프로그램과 데이터를 할당된 영역에 기록 관리하고 출력하는 메모리부가 포함되어 이루어지는 구성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안출한 본 발명은, 이동통신 시스템의 전체 운용을 제어하고 감시하는 이동교환국에 의하여, 휴대단말기 분실신고가 접수되면, 해당 분실정보를 휴대단말기의 불휘발성 영역에 기록하고 신고자에 통보하며, 휴대단말기가 신규 가입 등록을 요청하면, 해당 분실정보를 인가받아 분석하여 분실된 휴대단말기이면, 가입 등록을 거부하고 신고자와 합의한 결과를 입력하도록 안내하는 메시지를 전송하며, 신고자와 가입 요청자로부터 해당 합의완료 신호가 입력되면, 휴대단말기의 분실정보를 삭제하고 신규 가입 등록을 허여하는 일련의 과정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기 회수방법.
또한,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안출한 본 발명은, 이동교환국에 의하여 휴대단말기의 분실신고가 입력되면, 상기 휴대단말기에 분실정보를 전송 기록하고 신고자가 지정한 통신수단으로 통보하는 신고과정과; 상기 과정의 이동교환국에 의하여 휴대단말기가 가입 등록을 요청하면 분실정보 전송을 요청하여 입력하고 분석하는 확인과정과; 상기 과정에서 분석한 분실정보에 의하여 분실 휴대단말기로 확인되면, 가입등록을 거부하고 신고자와 합의 요청 안내 메시지를 전송하는 안내과정과; 상기 과정의 휴대단말기로부터 신고자와 합의 완료 신호를 입력하면 휴대단말기의 분실정보를 삭제하고 가입 등록하는 등록과정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안출한 본 발명은, 휴대단말기의 제어부에 의하여 이동교환국으로부터 분실정보가 수신되는 것으로 확인 판단되면, 불휘발성 영역인 분실기록부에 기록하고 회신 응답하며, 상기 이동교환국이 분실정보를 요청하는 것으로 확인 판단되면, 상기 분실기록부의 기록 내용을 무선송신하여 출력하며, 상기 이동교환국이 분실정보 내용을 삭제하는 제어명령을 인가하는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분실기록부에 기록된 내용을 삭제하는 일련의 과정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안출한 본 발명은, 휴대단말기에 의하여 기지국을 통하여 이동교환국의 분실정보를 수신하면 불휘발성 영역의 분실기록부에 기록 관리하고 결과를 회신하는 기록과정과; 상기 과정의 휴대단말기에 의하여 이동교환국으로부터 분실정보 내용을 요청하는 것으로 판단되면 분실기록부에 기록된 내용을 무선 전송하는 요청과정과; 상기 과정의 휴대단말기에 의하여 이동교환국이 기록된 분실정보 내용의 삭제를 요청하는 것으로 확인되면, 분실기록부의 기록내용을 삭제하는 삭제과정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의한 휴대단말기 회수장치 및 방법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하여 첨부된 것으로, 도2 는 본 발명에 의한 휴대단말기의 회수장치 기능 구성도 이며, 도3 은 본 발명에 의한 이동교환국의 휴대단말기 회수방법 순서도 이고, 도4 는 본 발명에 의한 휴대단말기의 회수방법 순서도 이다.
상기 첨부된 도2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의한 휴대단말기의 회수장치 구성을 설명하면, 이동통신 시스템을 구성하는 이동교환국(MSC)으로부터 무선전송되는 분실정보를 검출 출력하며, 통신신호를 무선송수신하는 것으로, 기지국(RAN)을 통하여 이동교환국(MSC)으로부터 무선수신된 분실정보를 검출하여 제어부(110)에 인가하고, 상기 제어부(110)의 제어에 의하여 무선접속된 기지국(RAN)과 통신신호를 무선 송수신하며, 상기 이동교환국(MSC)의 제어에 의하여 분실기록부(140)의 분실정보를 무선송신하는 무선부(100)와,
상기 무선부(100)와 접속하고, 이동교환국(MSC)의 해당 제어신호에 의하여 인가되는 분실정보를 분실기록부(140)에 기록하고 출력하며 삭제하는 것으로, 입출부(130)로부터 인가되는 제어명령을 분석하여 선택된 서비스를 운용하고, 무선부(100)를 통하여 이동교환국(MSC)으로부터 인가되는 분실정보를 상기 분실기록부(140)의 할당된 영역에 불휘발성 상태로 기록하며, 상기 이동교환국(MSC)의 제어신호에 의하여 기록 관리되는 분실정보를 출력하거나 삭제하는 상태를 감시하는 제어부(110)와,
상기 제어부(110)에 접속하고 프로그램과 데이터를 할당된 영역에 기록 관리하고 출력하는 메모리부(120)와,
상기 제어부(110)에 접속하고 통신신호를 입출력하며 제어명령과 다이얼링 신호를 입력하는 입출부(130)와,
상기 제어부(110)에 접속하고 분실정보를 할당된 영역에 불휘발성으로 기록하고 출력하며 삭제하는 것으로, 제어부(110)의 제어에 의하여 이동교환국(MSC)이 전송한 분실정보를 불휘발성(NON-VOLATILE) 상태로 할당된 영역에 기록 관리하고 출력하며, 상기 이동교환국(MSC)이 전송한 제어신호에 의하여 기록된 분실정보를 삭제하는 분실기록부(140)가 포함되는 구성이다.
이하, 상기와 같은 구성의 본 발명에 의한 것으로, 휴대단말기의 회수장치 구성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상기 이동통신용 휴대단말기(MS)는, 통신서비스의 기본 기능 이외에 티비, 카메라, 라디오, PDA 등등의 부가서비스 기능이 추가되면서, 가격이 비싸지고, 상기와 같이 비싼 휴대단말기(MS)를 분실하는 경우, 경제적으로 손실을 입게 되는 등의 문제가 있다.
상기 휴대단말기(MS)를 분실한 경우, 호출하여 반환을 요청하거나 또는 메시지를 전송하여 반환을 요청할 수 있으며, 상대방이 호출에 응답하지 않거나 전원을 꺼놓은 경우 등에는 상기의 요청을 할 수 없는 문제가 있었으며, 또한, 서비스 사업자의 경우에도 서비스 제공을 중단하는 조치 이외에 특별한 방안이 없었으며, 상기 분실 휴대단말기는 일정한 시간이 흐른 후에 다른 사람에 의하여 신규로 가입 등록되는 경우 사용될 수 있는 문제가 있었다.
따라서, 상기와 같이 분실한 휴대단말기의 불휘발성 메모리 영역에 분실정보 를 기록하므로, 습득자 등에 의하여 상기 분실정보를 임의로 지우지 못하게 하고, 신규 가입 등록하는 경우, 분실정보에 의하여 분실한 휴대단말기 임을 확인하도록 하는 것이 본 발명 기술이다.
상기 제어부(110)는, 일반적이므로 도면에 도시하지 않은 전원부로부터 동작전원이 공급되면, 상기 메모리부(120)로부터 운용(OPERATION) 프로그램과 응용(APPLICATION) 프로그램과 데이터를 읽어 부팅하므로 운용 대기상태가 되어, 각 기능부의 동작상태를 제어하고 감시한다.
상기 제어부(110)는 무선부(100)를 감시하여, 이동교환국(MSC)으로부터 기지국을 통하여 분실정보가 무선수신되고 기록 요청하는 해당 제어신호가 인가되면, 비휘발성 메모리로 구성되는 상기 분실기록부(140)에 기록저장하여 관리한다.
상기 이동교환국(MSC)으로부터 무선전송되어 상기 분실기록부(140)에 기록되는 분실정보는, 각 서비스 사업자의 운용방침에 의하여 약간씩의 차이가 있을 수 있으나, 일반적으로, 분실신고 상태, 기 사용자의 신상정보와 통신수단에 의한 연락처 정보 등이며, 상기 분실기록부(140)에 관리되는 정보는, 이동교환국(MSC)의 해당 제어명령에 의하여 기록 및 삭제 또는 수정한다.
상기 제어부(110)는, 상기 입출부(130)를 통하여 인가되는 제어명령에 의하여 상기 분실기록부(140)에 정보를 기록하거나 변경 또는 삭제하지 못하도록 제어하고 감시한다.
상기 휴대단말기(MS)로 이동통신 사업자에 가입하고 등록하고자 하는 경우, 상기 이동교환국(MSC)은 OTA(ON THE AIR) 기술을 이용하여, 상기 분실기록부(140) 에 기록 관리되는 분실정보의 내용을 원격제어하여 읽고 분석하며, 분실상태 정보가 없는 정상적인 휴대단말기(MS) 이면, 가입 등록을 위한 신호처리를 진행 및 완료한다.
상기 이동교환국(MSC)에 의한 상기 분실정보 분석결과, 분실된 휴대단말기(MS)로 확인되면, 상기 분실정보에 포함되는, 기 사용자의 연락처로 설정된 통신수단에 해당 안내 메시지를 발송하는 동시에, 상기 분실 휴대단말기(MS)에, 분실 등록된 것으로, 기 사용자 또는 원 소유자의 통신수단 정보를 제공하고, 합의 완료된 경우에만 가입 등록할 수 있다는 안내 메시지를 발송한다.
상기 분실 휴대단말기의 기사용자 또는 원소유자와 합의하도록 하는 것은, 원 소유자가 이미 새로운 휴대단말기로 가입하였거나 분실한 휴대단말기를 회수할 생각이 없는 경우 또는, 회수하고자 하는 등의 경우에 구체적인 해결방법을 당사자 사이에 모색하도록 하기 위함이다.
따라서, 상기와 같은 구성의 본 발명에 의한 휴대단말기는, 분실되는 경우, 사업자에 분실신고를 하고, 사업자의 이동교환국에 의하여 분실정보가 휴대단말기의 불휘발성 메모리 영역인 분실기록부에 기록저장되며, 상기 휴대단말기로 신규 가입 등록을 추진하는 경우, 이동교환국에 의하여 상기 분실기록부에서 관리되는 정보를 읽고 분석하여, 분실 휴대단말기로 확인되면 신규 가입 등록을 거부하므로, 기 사용자 또는 원 소유자에게 반환되게 하는 장점이 있다.
이하, 상기 첨부된 도3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의한 이동교환국의 휴대단말기 회수방법을 설명하면, 이동통신 시스템의 이동교환국(MSC)에 의하여 휴대단말기 (MS)의 분실신고가 입력되면, 상기 휴대단말기(MS)에 분실정보를 전송 기록하고 신고자가 지정한 통신수단으로 통보하는 것으로, 이동통신 시스템의 전체 운용을 제어하고 감시하는 이동교환국(MSC)에 의하여 휴대단말기의 분실신고 제어신호가 입력되는지를 확인 판단하는 과정(S100); 상기 과정(S100)에서 휴대단말기(MS)의 분실신고 제어신호가 입력되는 것으로 확인되면, 해당 휴대단말기(MS)에 분실정보를 전송하여 불휘발성 영역인 분실기록부(140)에 기록저장하고, 신고자가 지정한 통신수단을 통하여 해당 안내메시지로 결과를 통보하는 과정(S110)으로 이루어지는 신고과정과,
상기 신고과정의 이동교환국(MSC)에 의하여 휴대단말기(MS)가 가입 등록을 요청하면 분실정보 전송을 요청하여 입력하고 분석하는 것으로, 상기 이동교환국(MSC)에 의하여 휴대단말기(MS)를 가입 등록 요청하는 제어신호가 입력되는지를 판단하는 과정(S120); 상기 과정(S120)에서 휴대단말기(MS)를 가입 등록 요청하는 제어신호가 입력되면 상기 휴대단말기(MS)에 의하여 기록 관리되는 분실정보를 입력받고 분석하는 과정(S130)으로 이루어지는 확인과정과,
상기 확인과정에서 분석한 분실정보에 의하여 분실 휴대단말기로 확인되면, 가입등록을 거부하고 신고자와 합의 요청 안내 메시지를 전송하는 것으로, 상기 이동교환국에 의하여 분실정보를 분석한 결과 분실된 휴대단말기 인지를 확인 판단하는 과정(S140); 상기 과정(S140)에서 이동교환국에 의하여 분실된 휴대단말기로 판단되면 가입 등록을 거부하고 분실 신고자와 합의하도록 요청하는 안내 메시지를 전송하는 과정(S150)으로 이루어지는 안내과정과,
상기 안내과정의 휴대단말기(MS)로부터 신고자와 합의 완료 신호를 입력하면 휴대단말기(MS)의 분실정보를 삭제하고 가입 등록하는 것으로, 상기 안내 과정의 이동교환국(MSC)에 의하여 상기 가입 등록이 거부된 분실 휴대단말기(MS)가 신고자와 합의 완료된 해당 신호를 입력하는지 확인 판단하는 과정(S160); 상기 과정(S160)의 이동교환국(MSC)에 의하여 신고자와 합의 완료된 해당 신호가 입력되는 것으로 확인 판단되면 상기 분실된 휴대단말기(MS)에 기록된 분실정보를 삭제하는 제어신호를 출력하여 전송하는 과정(S170); 상기 과정(S170)의 휴대단말기로부터 삭제 결과 신호가 인가되면 신규 가입등록을 허여하는 과정(S180)으로 이루어지는 등록과정으로 구성된다.
이하, 상기와 같은 구성의 본 발명에 의한 것으로, 이동교환국(MSC)의 휴대단말기(MS) 회수방법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이동통신 시스템의 전체 운용을 제어하고 감시하는 이동교환국(MSC)에 의하여, 휴대단말기(MS)의 분실신고 제어신호가 입력되는지를 확인 판단하고(S100), 상기 과정(S100)에서 휴대단말기(MS)의 분실신고가 접수되어 입력되는 것으로 확인 판단되면, 상기 접수된 정보를 분석하여 원소유자의 신상정보와, 연락처에 의한 통신수단 정보와, 분실된 휴대단말기(MS) 임을 표시하는 등의 정보가 포함되는 분실정보를 소정 포맷(FORMAT)으로 작성하여, 상기 분실된 휴대단말기(MS)에 무선 전송하는 동시에 불휘발성 메모리 영역에 기록저장 관리되도록 하는 제어명령을 함께 무선전송하며, 또한, 분실신고를 접수한 기사용자 또는 원소유자에게는 분실신고 처리가 완료되었음을 안내하는 메시지를, 신고된 통신수단을 통하여 통보한다 (S110).
상기 과정(S110)의 이동교환국(MSC)은, 입력되는 제어신호들을 분석하여, 휴대단말기(MS)의 신규 가입등록을 요청하는 것으로 확인 판단되면(S120), 상기 휴대단말기(MS)의 분실기록부(140)에 기록된 분실정보를, 일 예로, OTA(ON THE AIR) 기술 등을 이용하여 무선원격으로 읽고 분석한다(S130).
상기 과정(S130)의 이동교환국(MSC)에 의하여 신규 가입등록을 요청하는 휴대단말기(MS)의 분실정보 분석결과, 분실 등록된 휴대단말기(MS)로 확인 판단되면(S140), 해당 휴대단말기에 가입 등록을 거부하는 메시지를 통보하는 동시에 기사용자 또는 분실을 신고한 원소유자의 통신정보를 제공하면서, 합의된 결과를 제시할 것은 요청하는 안내 메시지를 전송하는 동시에, 상기 기사용자 또는 원소유자에게 상기와 같은 상황을 통보하는 해당 안내 메시지를 신고되어 설정된 통신수단으로 전송한다(S150).
상기 과정(S150)의 이동교환국(MSC)은, 상기 분실 신고된 휴대단말기의 기사용자 또는 원소유자와 원만하게 합의되었다는 해당 정보를 상기 원소유자와 신규 가입 요청자로부터 각각 입력되는지를 확인 판단하고(S160), 상기 과정(S160)의 이동교환국에 의하여 분실을 신고한 자와 가입 등록을 요청한 자 사이에서 원만한 합의가 이루어진 것으로 확인되면, 상기 분실 신고된 휴대단말기에 해당 제어신호를 전송하여, 분실기록부에 기록된 분식정보를 삭제하고(S170), 상기 휴대단말기의 신규 가입 등록을 허여한다(S180).
따라서, 상기와 같은 구성의 본 발명은, 분실 신고된 휴대단말기에, OTA 등 의 기술을 이용하여 무선원격으로 분실정보를 기록하고, 신규 가입 등록 요청되면, 거부 표시를 하는 동시에 원소유자와 합의하도록 안내하며, 합의가 이루어지면, 무선원격으로 휴대단말기에 기록된 분실정보를 삭제하는 장점이 있다.
이하, 상기 첨부된 도4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의한 것으로, 휴대단말기의 회수방법을 설명하면, 이동통신 시스템을 구성하는 휴대단말기(MS)에 의하여 기지국(RAN)을 통하여 이동교환국(MSC)의 분실정보를 무선수신하면 불휘발성 영역의 분실기록부(140)에 기록 관리하고 결과를 회신하는 것으로, 휴대단말기(MS)에 의하여 기지국(RAN)을 통하여 이동교환국(MSC)으로부터 분실정보를 무선수신하는지 확인 판단하는 과정(S200); 상기 과정(S200)에서 이동교환국(MSC)의 분실정보를 무선수신하는 경우, 검출하여 불휘발성 분실기록부(140)에 기록하고 결과를 회신하여 응답하는 과정(S210)으로 이루어지는 기록과정과,
상기 기록과정의 휴대단말기(MS)에 의하여 이동교환국(MSC)으로부터 분실정보 내용을 요청하는 것으로 판단되면 분실기록부(140)에 기록된 내용을 무선 전송하는 것으로, 이동교환국(MSC)으로부터 분실기록부(140)에 기록 관리되는 분실정보의 제공을 요청하는지 확인 판단하는 과정(S220); 상기 과정(S220)에서 이동교환국(MSC)이 분실정보의 제공을 요청하는 것으로 확인되는 경우, 분실기록부(140)에 기록되어 관리되는 분실정보를 출력하여 무선 전송하는 과정(S230)으로 이루어지는 요청과정과,
상기 요청과정의 휴대단말기(MS)에 의하여 이동교환국(MSC)이 기록된 분실정보 내용의 삭제를 요청하는 것으로 확인되면, 분실기록부(140)의 기록내용을 삭제 하는 것으로, 상기 이동교환국(MSC)으로부터 분실기록부(140)에 기록 관리되는 분실정보의 삭제를 요청하는 제어신호가 인가되는지 확인 판단하는 과정(S240); 상기 과정(S240)에서 기록 관리되는 분실정보의 삭제를 요청하는 제어신호가 인가되는 것으로 확인 판단되면, 상기 분실기록부(140)에 기록 관리되는 분실정보 내용을 삭제하는 과정(S250)으로 이루어지는 삭제과정으로 구성된다.
이하, 상기와 같은 구성의 본 발명에 의한 것으로, 휴대단말기의 회수방법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상기 이동통신용 휴대단말기(MS)의 제어부(110)에 의하여, 이동교환국(MSC)으로부터 전송되는 분실정보를 기지국(RAN)을 통하여 무선수신하는 것으로 판단하는 경우(S200), 상기 제어부(110)는 분실기록부(140)를 제어하여 상기 수신된 분실정보를 비휘발성 상태로 기록저장하여 관리하고, 상기 분실정보를 비휘발성 상태로 기록하였음을 이동교환국(MSC)에 회신한다(S210).
상기 과정(S210)의 휴대단말기 제어부(110)에 의하여 이동교환국(MSC)이 분실정보를 요청하는 제어명령을 전송하는 것으로 판단하면(S220), 상기 분실기록부(140)에 기록되어 관리되는 정보 내용을 읽고, 무선부(100)에 인가하여 무선송신하므로, 기지국(RAN)에서 무선수신하여 이동교환국(MSC)에 전송한다(S230).
상기 과정(S230)의 휴대단말기 제어부(110)는, 이동교환국(MSC)으로부터 분실기록부(140)에 기록되어 관리되는 분실정보의 내용을 삭제하는 제어명령이 인가되는지 확인 판단하고(S240), 상기 과정(S240)에서 분실정보의 내용을 삭제하는 제어명령이 입력되는 것으로 확인 판단하는 경우, 상기 제어부(110)는 분실기록부 (140)를 제어하여, 기록 관리되는 분실정보 내용을 삭제한다(S250).
상기와 같이 휴대단말기(MS)의 제어부(110)는, 이동교환국(MSC)으로부터 무선 인가되어 입력되는 해당 제어명령에 의하여 분실정보를 분실기록부(140)에 기록저장하고, 읽어 출력하며, 또한, 삭제한다.
상기와 같이 분실기록부(140)에 기록된 분실정보의 관리는, 이동교환국(MSC)의 해당 제어명령에 의하여서만 이루어지고, 입출부(130)를 통하여 입력되는 제어명령 등에 의하여서는 기록, 변경 및 삭제 등의 관리를 할 수 없다.
상기와 같은 구성의 본 발명은, 휴대단말기가 분실된 경우, 이동교환국의 해당 제어명령에 의하여 불휘발성 메모리 영역에 분실정보를 기록 관리하고, 신규 가입 개통하고자 하는 경우, 분실된 휴대단말기임을 안내하는 해당 메시지를 출력하고, 기사용자 또는 원소유자에게 통보하여 회수를 용이하게 하는 산업적 이용효과가 있다.
또한, 휴대단말기를 분실한 기사용자는, 분실신고를 완료함으로, 습득한 사람이 개통을 임의로 하지 못하게 하고, 합의를 통하여 회수하거나 양도를 하는 사용상 편리한 효과가 있다.

Claims (16)

  1. 이동통신 기지국과 무선접속되는 무선부를 통하여 이동교환국의 분실정보가 무선수신되면, 제어부는 불휘발성 영역의 분실기록부에 기록저장하고, 상기 이동교환국의 해당 제어명령에 분실정보를 출력하거나 삭제하는 일련의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기 회수장치.
  2. 이동교환국으로부터 무선 전송되는 분실정보를 검출 출력하며, 통신신호를 무선송수신하는 무선부와,
    상기 무선부와 접속하고, 이동교환국의 해당 제어신호에 의하여 인가되는 분실정보를 분실기록부에 기록하고 출력하며 삭제하는 제어부와,
    상기 제어부에 접속하고 분실정보를 할당된 영역에 불휘발성으로 기록하고 출력하며 삭제하는 분실기록부와,
    상기 제어부에 접속하고 통신신호를 입출력하며 제어명령과 다이얼링 신호를 입력하는 입출부와,
    상기 제어부에 접속하고 프로그램과 데이터를 할당된 영역에 기록 관리하고 출력하는 메모리부가 포함되어 이루어지는 구성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기 회수장치.
  3.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부는,
    이동통신 시스템의 기지국을 통하여 이동교환국으로부터 무선수신된 분실정보를 검출하여 상기 제어부에 인가하고, 상기 제어부의 제어에 의하여 무선접속된 기지국과 통신신호를 무선 송수신하며, 상기 이동교환국의 제어에 의하여 분실기록부의 분실정보를 무선송신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기 회수장치.
  4.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분실기록부는,
    상기 제어부의 제어에 의하여 이동교환국이 전송한 분실정보를 불휘발성 상태로 할당된 영역에 기록 관리하고 출력하며, 상기 이동교환국이 전송한 제어신호에 의하여 기록된 분실정보를 삭제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기 회수장치.
  5.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입출부로부터 인가되는 제어명령을 분석하여 선택된 서비스를 운용하고, 무선부를 통하여 이동교환국으로부터 인가되는 분실정보를 상기 분실기록부의 할당된 영역에 불휘발성상태로 기록하며, 상기 이동교환국의 제어신호에 의하여 분실정보를 출력하거나 삭제하는 상태를 감시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기 회수장치.
  6. 이동통신 시스템의 전체 운용을 제어하고 감시하는 이동교환국에 의하여, 휴 대단말기 분실신고가 접수되면, 해당 분실정보를 휴대단말기의 불휘발성 영역에 기록하고 신고자에 통보하며, 휴대단말기가 신규 가입 등록을 요청하면, 해당 분실정보를 인가 받아 분석하여 분실된 휴대단말기이면, 가입 등록을 거부하고 신고자와 합의한 결과를 입력하도록 안내하는 메시지를 전송하며, 신고자와 가입 요청자로부터 해당 합의완료 신호가 입력되면, 휴대단말기의 분실정보를 삭제하고 신규 가입 등록을 허여하는 일련의 과정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기 회수방법.
  7. 이동교환국에 의하여 휴대단말기의 분실신고가 입력되면, 상기 휴대단말기에 분실정보를 전송 기록하고 신고자가 지정한 통신수단으로 통보하는 신고과정과,
    상기 과정의 이동교환국에 의하여 휴대단말기가 가입 등록을 요청하면 분실정보 전송을 요청하여 입력하고 분석하는 확인과정과,
    상기 과정에서 분석한 분실정보에 의하여 분실 휴대단말기로 확인되면, 가입등록을 거부하고 신고자와 합의 요청 안내 메시지를 전송하는 안내과정과,
    상기 과정의 휴대단말기로부터 신고자와 합의 완료 신호를 입력하면 휴대단말기의 분실정보를 삭제하고 가입등록하는 등록과정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기 회수방법.
  8. 제7 항에 있어서, 상기 신고과정은,
    상기 이동통신 시스템의 전체 운용을 제어하고 감시하는 이동교환국에 의하 여 휴대단말기의 분실신고 제어신호가 입력되는지를 확인 판단하는 과정과,
    상기 과정에서 휴대단말기의 분실신고 제어신호가 입력되는 것으로 확인되면, 해당 휴대단말기에 분실정보를 전송하여 불휘발성 영역에 기록저장하고, 신고자가 지정한 통신수단을 통하여 해당 안내메시지로 결과를 통보하는 과정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기 회수방법.
  9. 제7 항에 있어서, 상기 확인과정은,
    상기 신고과정의 이동교환국에 의하여 휴대단말기를 가입 등록 요청하는 제어신호가 입력되는지를 판단하는 과정과,
    상기 과정에서 휴대단말기를 가입 등록 요청하는 제어신호가 입력되면 상기 휴대단말기에 의하여 기록 관리되는 분실정보를 입력받고 분석하는 과정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기 회수방법.
  10. 제7 항에 있어서, 상기 안내과정은,
    상기 확인과정의 이동교환국에 의하여 분실정보를 분석한 결과 분실된 휴대단말기 인지를 확인 판단하는 과정과,
    상기 과정에서 분실된 휴대단말기로 판단되면 가입 등록을 거부하고 분실 신고자와 합의하도록 요청하는 안내 메시지를 전송하는 과정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기 회수방법.
  11. 제7 항에 있어서, 상기 등록과정은,
    상기 안내 과정의 이동교환국에 의하여 상기 가입 등록이 거부된 분실 휴대단말기가 신고자와 합의 완료된 해당 신호를 입력하는지 확인 판단하는 과정과,
    상기 과정의 이동교환국에 의하여 신고자와 합의 완료된 해당 신호가 입력되는 것으로 확인 판단되면 상기 분실된 휴대단말기에 기록된 분실정보를 삭제하는 제어신호를 출력하여 전송하는 과정과,
    상기 과정의 휴대단말기로부터 삭제 결과 신호가 인가되면 신규 가입등록을 허여하는 과정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기 회수방법.
  12. 휴대단말기의 제어부에 의하여 이동교환국으로부터 분실정보가 수신되는 것으로 확인 판단되면, 불휘발성 영역인 분실기록부에 기록하고 회신 응답하며, 상기 이동교환국이 분실정보를 요청하는 것으로 확인 판단되면, 상기 분실기록부의 기록 내용을 무선송신하여 출력하며, 상기 이동교환국이 분실정보 내용을 삭제하는 제어명령을 인가하는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분실기록부에 기록된 내용을 삭제하는 일련의 과정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기 회수방법.
  13. 휴대단말기에 의하여 기지국을 통하여 이동교환국의 분실정보를 수신하면 불휘발성 영역의 분실기록부에 기록 관리하고 결과를 회신하는 기록과정과,
    상기 과정의 휴대단말기에 의하여 이동교환국으로부터 분실정보 내용을 요청하는 것으로 판단되면 분실기록부에 기록된 내용을 무선전송하는 요청과정과,
    상기 과정의 휴대단말기에 의하여 이동교환국이 기록된 분실정보 내용의 삭제를 요청하는 것으로 확인되면, 분실기록부의 기록내용을 삭제하는 삭제과정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기 회수방법.
  14. 제13 항에 있어서, 상기 기록과정은,
    상기 이동통신용 휴대단말기에 의하여 기지국을 통하여 이동교환국으로부터 분실정보를 무선수신하는지 확인 판단하는 과정과,
    상기 과정에서 이동교환국의 분실정보를 수신하는 경우 검출하여 불휘발성 분실기록부에 기록하고 결과를 회신하여 응답하는 과정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기 회수방법.
  15. 제13 항에 있어서, 상기 요청과정은,
    상기 기록과정의 휴대단말기에 의하여, 이동교환국으로부터 분실기록부에 기록 관리되는 분실정보의 제공을 요청하는지 확인 판단하는 과정과,
    상기 과정에서 이동교환국이 분실정보의 제공을 요청하는 것으로 확인되는 경우, 분실기록부에 기록되어 관리되는 분실정보를 출력하여 무선전송하는 과정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기 회수방법.
  16. 제13 항에 있어서, 상기 삭제과정은,
    상기 요청과정의 휴대단말기에 의하여, 이동교환국으로부터 분실기록부에 기 록관리되는 분실정보의 삭제를 요청하는 제어신호가 인가되는지 확인 판단하는 과정과,
    상기 과정에서 기록 관리되는 분실정보의 삭제를 요청하는 제어신호가 인가되는 것으로 확인 판단되면, 상기 분실기록부에 기록 관리되는 분실정보 내용을 삭제하는 과정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기 회수방법.
KR1020050090157A 2005-09-27 2005-09-27 휴대단말기의 회수장치 및 방법 KR10065276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90157A KR100652761B1 (ko) 2005-09-27 2005-09-27 휴대단말기의 회수장치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90157A KR100652761B1 (ko) 2005-09-27 2005-09-27 휴대단말기의 회수장치 및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652761B1 true KR100652761B1 (ko) 2006-12-01

Family

ID=3773170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90157A KR100652761B1 (ko) 2005-09-27 2005-09-27 휴대단말기의 회수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52761B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791255B (zh) 移动电话政策管理
KR100747452B1 (ko) 휴대단말기의 멀티미디어 메시지 통보장치 및 방법
CN105574378A (zh) 终端控制方法及终端控制装置
CN103733597A (zh) 用于无线装置的基于网络的家长控制
CN107730371A (zh) 创建订单的方法、装置及存储介质
CN104933351A (zh) 信息安全的处理方法和装置
CN107025708A (zh) 车辆管理方法及装置
CN105631254B (zh) 解锁方法及解锁装置
CN107094094A (zh) 应用程序的连网方法、装置及终端
KR101916198B1 (ko) 전자투표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버, 방법, 컴퓨터 프로그램 및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CN107230060A (zh) 一种账号挂失的方法和装置
US9332116B1 (en) Limiting device operation without third party permission
CN106471513B (zh) 权限控制方法及装置
CN105809440A (zh) 在线支付方法及装置
US11405772B2 (en) Monitoring and direct communications between mobile devices system and method
CN107341657A (zh) 基于应用程序的付费处理方法、装置及终端
CN108171517A (zh) 一种支付方法、服务器及系统
CN108491700A (zh) 智能终端控制方法、装置及计算机可读存储介质
KR100652761B1 (ko) 휴대단말기의 회수장치 및 방법
KR101013614B1 (ko) 이동 통신 단말기 및 그의 기능 제한 장치와 방법
JP3821295B2 (ja) 移動通信ネットワークシステム及び移動端末機の利用制限制御方法
CN107395724A (zh) 网络请求方法及装置
CN106874749A (zh) 一种管理root权限的方法和装置
CN105763428A (zh) 基于用户历史数据的防信息诈骗方法
JP2008517544A (ja) 携帯電話カメラシステ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90929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