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52681B1 - 휴대단말기의 통화중 대기 처리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휴대단말기의 통화중 대기 처리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52681B1
KR100652681B1 KR1020040080557A KR20040080557A KR100652681B1 KR 100652681 B1 KR100652681 B1 KR 100652681B1 KR 1020040080557 A KR1020040080557 A KR 1020040080557A KR 20040080557 A KR20040080557 A KR 20040080557A KR 100652681 B1 KR100652681 B1 KR 10065268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gnal
call
flag
tone
audio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8055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60031500A (ko
Inventor
박희라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4008055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52681B1/ko
Priority to CNB2005100692501A priority patent/CN100348066C/zh
Publication of KR2006003150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3150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5268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5268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48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adapting the functionality of the device according to specific conditions
    • H04M1/72463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adapting the functionality of the device according to specific conditions to restrict the functionality of the devic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3/00Automatic or semi-automatic exchanges
    • H04M3/42Systems providing special services or facilities to subscribers
    • H04M3/428Arrangements for placing incoming calls on hol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망 장애가 발생하는 경우에도 휴대단말기에서 오디로 경로 점유를 유지하여 통신하는 것으로, 휴대단말기 제어부의 제어에 의하여 톤플래그 신호를 발생하는 톤플래그부; 톤플래그부와 접속하고 이동교환국의 망 장애 발생 톤 메시지를 수신하면 톤 신호와 톤플래그 신호와 오디오 플래그 신호를 발생하도록 제어 감시하는 제어부; 제어부의 제어에 의하여 오디오 플래그 신호를 발생하는 오디오 플래그부; 제어부에 접속하고 음성신호와 문자신호가 포함되는 멀티미디어 신호를 입출력하는 멀미부가 포함되어 이루어지는 구성을 특징 등으로 한다.

Description

휴대단말기의 통화중 대기 처리장치 및 방법{A METHOD AND A APPARATUS OF PROCESSING FLAG SIGNAL ON WAITING CALL FOR MOBILE PHONE}
도1 은 일반적인 이동통신 시스템의 기능 구성도,
도2 는 종래 기술에 의한 휴대단말기의 통화중 대기 운용방법 순서도,
도3 은 본 발명 휴대단말기의 통화중 대기 플래그 처리장치 기능 구성도,
도4 는 본 발명 휴대단말기의 통화중 대기 플래그 처리방법 순서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 설명 **
100 : 무선부 110 : 제어부
120 : 메모리부 130 : 멀미부
140 : 오디오 플래그부 150 : 톤 플래그부
본 발명은 휴대단말기의 통화중 대기(WAITING CALL) 서비스 운용 상태에서 망 장애에 의하여 휴대단말기가 오디오 경로를 차단하는 문제를 해결하는 것으로, 특히, 오디오 경로를 유지하는 플래그(FLAG)를 설정하여 오디오 경로를 계속 유지하고 통신하도록 하는 휴대단말기의 통화중 대기 처리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동통신용 휴대단말기(UE: USER EQUIPMENT)는 가입 등록된 시스템 또는 이동통신 망(NETWORK)의 해당 기지국(RAN: RADIO ACCESS NETWORK)이 형성하는 서비스 영역(SERVICE AREA) 안을 자유롭게 이동하면서 이동교환국(MSC: MOBILE SWITCHING CENTER)의 감시와 제어와 스위칭(SWITCHING)에 의하여 설정된 통신경로를 경유하고, 언제 어디서나 원하는 상대방과 즉시 무선접속하여 통신하는 것으로, 개인이 항상 직접 휴대하면서 어디든지 이동하는 첨단 무선통신장비 이다.
상기 휴대단말기(UE)의 이용률을 높이고 실생활의 응용성 및 편리성을 높이기 위하여, 다양한 부가서비스가 개발 제공되고 있다.
상기 부가서비스는, 이동통신 서비스 사업자가 개발하여 제공하는 것과 휴대단말기 생산업자가 개발하여 제공하는 것이 있으며, 일 예로, 생산업자가 개발하여 제공하는 부가서비스에는, 카메라, 블루투스, 무선랜, 라디오, 게임, 전자계산기, 달력 등등이 있고, 이동통신 서비스 사업자가 개발하여 제공하는 것에는, 문자메시지, 영상 메시지, 온라인 게임, 무선인터넷, 발신자 확인 등이 있고, 상기 부가서비스는 계속 새로운 기능이 개발되어 추가된다.
상기와 같은 다수 부가 서비스 중에서 통화중 대기(WAITING CALL) 부가서비스는, 상대방과 통신이 진행중인 액티브(ACTIVE) 상태에서 다른 상대방으로부터 피호출되는 경우, 상기 피호출 상태를 알려주고, 사용자의 선택에 의하여, 현재 진행중인 통신을 대기(STANDBY) 시키는 홀드(HOLD) 상태로 변경설정하고, 새로이 접속 된 다른 상대방과 액티브 상태의 통신경로를 설정하여 통신하도록 한다.
상기 통화중 대기 서비스는, 액티브 상태와 홀드 상태를 계속 변경 설정할 수 있으며, 통신이 완료된 어느 일방과의 통신경로 설정을 해지(RELEASE)하고, 다른 상대방과의 통신경로를 복구(RETRIEVE)하여 계속 통신할 수 있다.
상기 이동통신망의 전체 운용을 제어하고 감시하는 이동교환국(MSC)은, 오류 없이 정밀하게 운용되어야 하지만, 실제적으로는, 망의 문제(NETWORK PROBLEM)에 의하여 오류를 완전하게 제거하기 어려우며, 순간적인 오류(TEMPORARY FAILURE)가 발생한다.
지에스엠(GSM: 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 시스템 운용 방식은, 유럽(EUROPE) 지역을 중심으로 발전한 이동통신 시스템의 표준으로, 한정된 주파수 자원을 시분할다중접속(TDMA: TIME DIVISION MULTIPLE ACCESS) 방식으로 운용하여, 다수 가입자(SUBSCRIBER) 또는 휴대단말기(UE: USER EQUIPMENT)가 동시에 해당 채널을 점유하고, 이동하면서 통신하도록 하는 디지털 방식이다.
상기 유럽에서는, 모두 지에스엠(GSM) 방식 이동통신 시스템을 이용하므로, 유럽의 어느 나라에서나 동일한 방식의 휴대단말기(UE)를 사용하고, 로밍(ROAMING) 서비스에 의하여 기존 사용하던 휴대단말기(UE)로 유럽의 다른 나라에서도 이동통신 서비스를 받을 수 있다.
유엠티에스(UMTS: UNIVERSAL MOBILE TELECOMMUNICATION SYSTEM) 시스템은, 유럽 지역을 중심으로 하고 기타 지역에서도 광범위하게 사용되는 지에스엠(GSM: 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 방식을 이용하며, 2 Mbps 이상의 고속 데이터 전송이 가능하고, 세계 어디에서도 이동하면서 지속적으로 용이하게 인터넷 접속 등이 가능한 제3 세대(3GPP) 이동통신 시스템이다.
상기 유럽의 GSM 방식 시스템에서 패킷(PACKET) 데이터(DATA) 통신 서비스를 가능하도록 하는 것이 GPRS(GENERAL PACKET RADIO SERVICE) 서비스이다.
상기 유럽의 GSM/GPRS/UMTS 망과 같이 사업자가 상이한 이동통신망이 복잡하게 연결되는 경우, 이동교환국에서 순간적인 오류 상태가 발생할 수 있으며, 상기 이동교환국의 순간적인 오류 상태에서는 휴대단말기의 각종 부가서비스 요청이, 특히, 통화중 대기 서비스가 비정상적으로 처리되는 문제가 있다.
따라서, 망 문제에 의하여 이동교환국에서 발생하는 순간적인 오류 상태에서 휴대단말기의 통화중 대기 서비스를 정상적으로 처리하도록 하는 기술을 개발할 필요가 있다.
이하, 종래 기술에 의한 휴대단말기의 통화중 대기 상태 운용 방식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종래 기술을 설명하기 위하여 첨부된 것으로, 도1 은 일반적인 이동통신 시스템의 기능 구성도 이고, 도2 는 종래 기술에 의한 휴대단말기의 통화중 대기 운용방법 순서도 이다.
상기 첨부된 도1을 참조하여, 일반적인 이동통신 시스템을 설명하면, 휴대단말기(UE)(10)는, 제1 기지국(RAN)(20)이 형성하는 서비스 영역 안에서 무선접속하고, 제1 이동교환국(30)에 위치를 등록(LOCATION REGISTRATION)하므로, 상기 제1 이동교환국(30)이 제공하는 이동통신 서비스를 제공받는다.
상기 휴대단말기(10)가 상기 제1 기지국(20)이 형성하는 서비스 영역의 외곽지역에 위치하는 경우, 통신신호에 잡음이 많이 혼합되므로 이동통신 서비스 품질이 떨어진다.
상기 휴대단말기(10)가 위치하는 제1 기지국(20)의 외곽 서비스 지역이, 제N 기지국(25)의 서비스 영역에 포함되거나 또는, 상기 제N 기지국(25)의 신호 품질이 좋은 경우, 상기 휴대단말기(10)는 제N 기지국(25)에 접속하고 제N 이동교환국(35)에 위치를 등록하므로 로밍(ROAMING)에 의한 이동통신 서비스를 계속 제공받는다.
상기 제1 이동교환국(30)과 제N 이동교환국(35)은, 공중망(40)을 통하여 상호 연결되고 해당 데이터 베이스를 공유하므로 로밍 서비스를 제공하며, 유선통신망 또는 인터넷 등의 다른 통신망과도 접속하고, 상기 휴대단말기(10)에 통화중 대기 등의 다양한 부가서비스를 제공한다.
이하, 상기 첨부된 도2를 참조하여, 종래 기술에 의한 휴대단말기의 통화중 대기 운용방법을 설명한다.
이동통신용 휴대단말기(UE)로 통화중 대기(WAITING CALL) 서비스를 운용하고자 하는 경우(S10), 제1 상대방과 호접속하여 통신을 진행하고(S20), 제2 상대방으로부터 호접속 요청이 있는지를 판단한다(S30).
상기 판단(S30)에서 제2 상대방으로부터 호접속 요청이 있는 경우, 제1 상대방과 설정된 호(CALL)를 홀딩(HOLDING) 상태로 설정하고, 제2 상대방과의 호(CALL)를 액티브(ACTIVE) 상태로 설정하여, 상기 제2 상대방과 통신을 진행한다(S40).
상기와 같이 통화중 대기(WAITING CALL) 서비스를 운용하는 상태에서, 휴대 단말기 사용자의 선택에 의하여, 스왑(SWAP) 처리하는 제어명령이 입력되면(S50), 현재 액티브 호를 홀딩 호로 변경 설정하고, 홀딩 상태의 호는 액티브 상태의 호로 변경 설정하여 통신을 진행한다(S60).
상기와 같이 통화중 대기 서비스를 운용하는 상태에서, 리트라이브와 릴리스(RETRIEVE AND RELEASE) 처리하는 제어명령이 입력되면(S70), 현재 액티브(ACTIVE) 상태로 설정된 호를 해지(RELEASE)하고, 홀딩(HOLDING) 상태로 설정된 호를 액티브 상태로 변경 설정하여 통신을 진행하며(S80), 통신이 완료되었는지를 판단하고(S90), 상기 판단(S90)에서 통신이 완료되지 않은 경우는, 상기 제3 단계(S30)로 궤환하며 통신이 완료된 경우는 종료로 진행한다.
상기와 같이, 통화중 대기 서비스를 이용하는 상태에서는, 특정한 제1 상대방과 통신 진행 중에 제2 상대방으로부터 호출이 있는 경우, 제1 상대방을 홀딩상태로 전환 유지하고, 제2 상대방과 액티브 호를 설정하여 통신하며, 상기 호설정 상태는 스왑(SWAP) 제어명령에 의하여 수시로 변경한다.
상기 액티브 상태로 호 설정된 상대방과의 통신이 완료되면, 리트라이브와 릴리즈 제어명령을 입력하여, 현재 액티브 상태의 호를 해지(RELEASE)하고, 현재 홀딩상태로 유지되는 호를 액티브 상태로 복구(RETRIEVE)하여 통신한다.
상기 부가서비스는, 이동교환국의 제어와 감시에 의하여 운용되는 것으로, 이동교환국이 오류 없이 운용되는 경우에 정상적인 서비스를 제공받는다.
그러나 GSM/GPRS/UMTS와 같이 서비스 사업자가 상이한 다수 시스템이 서로 연결되고 접속되는 망 운용상태에서는, 예기치 않은 순간적인 오류(TEMPORARY FAILURE)가 발생한다.
상기와 같이 망 문제에 의한 순간적인 오류(TEMPORARY FAILURE) 원인(CAUSE) 상태에서는 부가서비스 제어 요청이 정상적으로 처리되지 않는 문제가 있으며, 특히, 통화중대기(WAITING CALL) 서비스에서 이동교환국(MSC)의 순간적인 오류 발생 원인에 의하여 설정된 호를 해지하였다는 DISCONNECT MESSAGE가 발생한 상태에서, 스왑(SWAP) 또는 리트라이브와 릴리즈(RETRIEVE AND RELEASE) 제어명령이 휴대단말기에 인가되어도 정상적으로 수행하지 못하고, 홀딩상태의 호(CALL)를 위한 오디오 경로를 해지하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이동교환국의 순간적인 오류 발생 상태에 의하여 현재 액티브 상태의 호가 해지되어도, 오디오 플래그 설정에 의하여 휴대단말기의 통화중 대기를 위한 호 전환 제어명령이 운용되도록 하는 휴대단말기의 통화중 대기 처리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 그 목적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안출한 본 발명은, 휴대단말기 제어부의 제어에 의하여 톤플래그 신호를 발생하는 톤플래그부와; 상기 톤플래그부와 접속하고 이동교환국의 망 장애 발생 톤 메시지를 수신하면 톤 신호와 톤플래그 신호와 오디오 플래그 신호를 발생하도록 제어 감시하는 제어부와; 상기 제어부의 제어에 의하여 오디오 플래그 신호를 발생하는 오디오 플래그부와; 상기 제어부에 접속하고 음성신호와 문자신호가 포함되는 멀티미디어 신호를 입출력하는 멀미부가 포함되어 이루어지는 구성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안출한 본 발명은, 휴대단말기의 제어부에 의하여 통화중 대기 서비스를 운용하는 경우에 망 장애에 의한 액티브 호 해지 신호가 입력되는지를 판단하는 장애과정과; 상기 망 장애에 의한 액티브 호 해지 신호가 입력되면 타이머를 설정하여 톤 신호와 톤플래그 신호와 오디오 플래그 신호를 출력하는 플래그 과정과; 상기 타이머가 종료되면 액티브 호로 복구하는 제어명령이 입력되는지를 판단하는 제어과정과; 상기 복구 제어명령이 입력되면 오디오 플래그가 발생되는 상태에서 홀딩 호를 액티브 호 상태로 설정하여 통신하는 호설정과정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에 의한 것으로, 휴대단말기의 통화중 대기 처리장치 및 방법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하여 첨부된 것으로, 도3 은 본 발명에 의한 휴대단말기의 통화중 대기 플래그 처리장치 기능 구성도 이고, 도4 는 본 발명에 의한 휴대단말기의 통화중 대기 플래그 처리방법 순서도 이다.
상기 도3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의한 휴대단말기의 통화중 대기 처리장치를 설명하면, 이동통신용 휴대단말기의 전체 운용을 제어하고 감시하는 제어부의 제어에 의하여 이동통신 기지국과 무선접속하고 호접속 및 통신신호를 무선 송수신하며 이동교환국의 순간적 오류에 의한 망 장애 발생 메시지를 수신하는 무선부(100)와,
상기 무선부와 접속하고 이동교환국의 순간적 오류에 의한 망 장애 발생 톤 메시지를 수신하면 상기 톤 플래그부를 제어하여, 톤 신호와 톤 플래그를 발생하며 오디오 플래그를 발생하도록 제어하고 감시하는 것으로, 상기 무선부(100)를 통하여 이동교환국의 순간적 오류에 의한 망 장애 발생 메시지가 무선수신되면 멀미부(130)를 제어하여 순간적 오류에 의한 망 장애 발생을 표시하는 톤(TONE) 신호를 출력하며, 톤플래그부(150)를 제어하여 톤 플래그(TONE FLAG) 신호를 설정 발생하고, 상기 톤 플래그 신호의 출력을 확인한 후에 오디오 플래그부를 제어하여 오디오 플래그(AUDIO FLAG) 신호를 설정 발생하며, 멀미부(130)를 통하여 통화중 대기 제어명령이 입력되면 오디오 플래그 신호가 출력되는 경우에 홀딩 상태의 호를 액티브 호로 변경 설정하여 통신하는 제어부(110)와,
상기 제어부(110)와 접속하고 휴대단말기의 운용을 위한 프로그램과 데이터를 기록저장하는 메모리부(120)와,
상기 제어부(110)에 접속하고 휴대단말기의 음성신호와 문자신호가 포함되는 멀티미디어 신호를 입출력하는 것으로, 음성 통신신호의 입출력과, 문자 통신신호의 입출력과, 영상신호가 포함되는 멀티미디어 통신신호를 입출력하며, 호접속을 위한 다이얼링(DIALING) 신호와, 부가서비스 운용을 포함하는 각종 제어명령을 입력하는 동시에 이동교환국(MSC)의 순간적 오류에 의한 망 장애 발생을 표시하는 소정 톤(TONE) 신호를 발생 출력하는 멀미부(130)와,
상기 제어부(110)의 제어에 의하여 오디오 플래그 신호를 발생하는 것으로, 상기 제어부(110)가 톤플래그부(150)를 제어하여 톤플래그 신호를 발생시키고 인가하는 제어신호에 의하여 오디오 통신경로를 유지하는 오디오 플래그 신호를 발생하는 오디오 플래그부(140)와,
상기 제어부(110)의 제어에 의하여 이동교환국의 순간적 오류에 의한 망 장애 발생을 표시하는 톤플래그를 발생하는 것으로, 상기 제어부(110)가 무선부(100)를 통하여 이동교환국(MSC)의 순간적 오류(TEMPORARY FAILURE) 발생 메시지를 수신하고 즉시 인가하는 제어신호에 의하여 톤플래그 신호를 설정 출력하는 톤플래그부(150)가 포함되어 이루어지는 구성이다.
이하, 상기와 같은 구성의 본 발명에 의한 것으로, 휴대단말기의 통화중 대기 처리장치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상기 이동통신용 휴대단말기는 호접속된 특정 상대방, 또는, 제1 상대방과 통신을 진행하는 상태에서 다른 상대방, 또는, 제2 상대방이 호접속을 요청하는 경우, 어느 한쪽의 호를 홀딩상태로 대기시켜 놓고, 다른 쪽의 호를 액티브 상태로 설정하여 통신을 진행하며, 상기와 같은 호설정 상태를 변경하거나 또는, 액티브 상태의 어느 한쪽과 통신이 완료된 경우에, 상기 완료된 호를 해지(RELEASE)하고 홀딩상태의 호를 복구(RETRIEVE)하여 통신을 진행하는, 부가서비스의 통화중 대기(WAITING CALL) 서비스를 이용한다.
상기와 같은 휴대단말기의 통화중 대기(WAITING CALL) 부가서비스는, 이동교환국(MSC)의 순간적 오류(TEMPORARY FAILURE)에 의한 망 장애 발생에 의하여, 상기 이동교환국이 현재 액티브 상태의 호를 해지하고자 하는 경우, 망 문제(NETWORK PROBLEM)의 원인(CAUSE)에 의하여 호 설정 상태를 해지한다는 신호(DISCONNECT MESSAGE)를 휴대단말기에 전송한다.
종래의 휴대단말기는, 상기 이동교환국으로부터 호 설정 해지 신호를 수신하는 경우, 통신채널 점유에 의한 호 접속 상태를 해지하므로 통신이 차단되었다.
상기 신호를 수신한 휴대단말기가, 오디오 채널 점유 상태를 유지하고, 통신이 진행되지 않도록 차단하는 홀딩(HOLDING) 상태를 유지하도록 하는, 오디오 플래그(AUDIO FLAG) 상태를 설정하여, 사용자가 통신 재개를 원하는 경우, 다시 상대방과 통신을 재개하도록 하는 것이 본 발명 기술이다.
상기 제어부(110)는, 무선부(100)를 통하여 기지국(RAN)으로부터 이동교환국(MSC)의 망 장애(NETWORK PROBLEM) 발생 신호를 수신 입력한 경우, 자체 내장 상태로 구비되는 타이머(TIMER)를 구동하여, 일정한 시간 동안 이동교환국에서 순간적인 오류(TEMPORARY FAILURE)에 의한 망 장애가 발생하였다는 소정의 톤(TONE) 신호를 멀미부(130)를 제어하여 출력한다.
상기 제어부(110)는, 타이머를 구동하는 동시에, 상기 톤플래그부(150)를 제어하여, 이동교환국에 순간적인 오류에 의한 망 장애가 발생하였음을 표시하는 톤플래그(TONE FLAG) 신호를 발생하며, 상기 톤플래그부(150)의 톤플래그 신호 출력을 확인한 후, 상기 오디오 플래그부(140)를 제어하여 오디오 통신 경로 점유를 해지(DISCONNECT)하지 않고 유지하도록 하는 오디오 플래그(AUDIO FLAG) 신호를 발생한다.
따라서, 제어부는 현재 점유하고 있는 오디오 통신채널의 점유상태를 계속 유지하도록 제어하고 감시한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와 같이 오디오 플래그부(140)로부터 오디오 플래그 신호가 출력되는 상태에서, 멀미부(130)를 통하여 통화중 대기 상태인 홀딩 호 설정 상태를 복구하여 액티브 호 상태가 되도록 제어하는 명령신호, 즉, 스왑 제어명령이거나 또는 리트라이브와 릴리즈 제어명령이 입력되는지를 판단한다.
상기 제어부(110)는, 멀미부(130)로부터 상기의 스왑 또는 리트라이브와 릴리즈 상태로 제어하는 명령이 입력되면, 상기 톤 플래그부(150)로부터 톤 플래그 신호가 설정되어 출력되는 상태이고, 상기 오디오 플래그부(140)로부터 오디오 플래그가 설정되어 출력되는 상태인지를 확인하며, 상기 톤 플래그와 오디오 플래그 신호가 설정되어 출력되는 경우, 오디오 통신경로를 복구하므로, 현재 대기 상태로 홀딩(HOLDING) 중인 호(CALL)를 액티브 호로 변경하여 통신을 계속 진행한다.
따라서, 휴대단말기(UE)가 이동교환국(MSC)으로부터 망 장애의 원인에 의하여 호를 해지한다는 신호(DISCONNECT MESSAGE)를 수신하는 경우에도, 오디오 플래그 신호를 발생하여, 오디오 경로를 해지하지 않고 유지하므로, 통화중 대기 상태를 제어하는 스왑 또는 리트라이브와 릴리즈 명령에 의하여 홀딩중인 상대방과 통신을 재개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하, 상기 첨부된 도4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의한 휴대단말기의 통화중 대기 처리방법을 설명한다.
이동통신용 휴대단말기의 제어부에 의하여 통화중 대기 서비스를 운용하는 경우에 망 장애 상태에 의한 액티브 호 해지 신호가 입력되는지를 판단하는 것으로, 통화중 대기(WAITING CALL)의 부가서비스를 설정하여 운용하고자 하는지 판단하는 과정(S100); 상기 과정(S100)에서 통화중 대기 서비스를 운용하는 경우에 이동교환국(MSC)으로부터 순간적 오류(TEMPORARY FAILURE)의 망 장애에 의하여, 현재 액티브(ACTIVE) 상태 호(CALL)를 해지한다는 신호(DISCONNECT MESSAGE)가 무선수신되어 인가되는지를 판단하는 과정(S110)으로 이루어지는 장애과정과,
상기 장애과정에서 망 장애에 의한 액티브 호 해지 신호가 입력되면 타이머(TIMER)를 설정하여 톤 신호와, 톤플래그 신호와, 오디오 플래그 신호를 출력하는 것으로, 이동교환국(MSC)으로부터 순간적 오류에 의한 망 장애 발생 신호가 수신되어 인가되면 제어부에 내장되는 타이머를 구동하고 망 장애 발생을 표시하는 소정 톤(TONE) 신호를 발생하여 출력하며 톤플래그부(150)를 제어하여 톤플래그 신호의 발생을 설정 출력하는 과정(S120); 상기 과정(S120)의 톤플래그 신호 출력을 확인하고 휴대단말기의 오디오 경로를 유지하도록 하는 오디오 플래그 신호 발생을 설정 출력하는 과정(S130)으로 이루어지는 플래그 과정과,
상기 플래그 과정의 톤 발생 타이머가 종료되면 액티브 호로 복구하는 제어명령이 입력되는지를 판단하는 것으로, 휴대단말기에 자체적으로 설정 운용되는 타이머가 계수를 종료하였는지 판단하는 과정(S140); 상기 과정(S140)에서 타이머의 계수가 종료되었으면 휴대단말기의 통화중 대기를 제어하는 스왑(SWAP) 또는 리트라이브와 릴리즈(RETRIEVE AND RELEASE)의 제어명령이 입력되는지를 판단하는 과정(S150)으로 이루어지는 제어과정과,
상기 제어과정에서 통화중의 상태로 복구하도록 하는 제어명령이 입력되면 오디오 플래그가 설정되어 발생되는 상태에서 홀딩 호를 액티브 상태로 변경 설정하여 통신하는 것으로, 통화중 대기(WAITING CALL)의 홀딩 호(HOLDING CALL) 복구 제어명령이 입력되는 경우에 휴대단말기에 오디오 플래그가 설정되어 발생되는 상태 인지를 판단하는 과정(S160); 상기 과정(S160)에서 오디오 플래그가 설정되어 발생되는 상태의 경우에 홀딩(HOLDING) 상태의 호(CALL)를 액티브 호로 변경 설정하고 오디오(AUDIO) 경로를 통하여 통신하는 과정(S170)으로 이루어지는 호설정과정으로 구성된다.
이하, 상기와 같은 구성의 본 발명에 의한 것으로, 휴대단말기의 통화중 대기 처리방법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상기 이동통신용 휴대단말기(UE)에 부가서비스에 의한 통화중 대기 서비스를 설정하여 운용하고자 하는 경우(S100), 이동교환국(MSC)으로부터 순간적인 오류(TEMPORARY FAILURE) 발생에 의한 망 장애 원인(CAUSE)으로 액티브 상태의 호(CALL)가 해지된다는 신호(DISCONNECT MESSAGE)가 기지국(RAN)을 통하여 수신 입력되는지 판단한다(S110).
상기 판단(S110)에서 망 장애 원인으로 호(CALL)를 해지한다는 신호가 제어부(110)에 인가되는 경우, 상기 제어부(110)는 타이머를 일정한 소정 시간 동안 구동하고, 상기 타이머가 구동되는 동안 망 장애 원인으로 호가 해지된다는 소정의 톤 신호를 발생하여 멀미부(130)에 인가하므로, 휴대단말기 사용자가 인지하도록 하는 동시에, 톤플래그부(150)를 제어하여 톤플래그 신호를 설정하여 발생하도록 한다(S120).
상기 과정(S120)의 제어부(110)는, 톤플래그 신호가 설정되어 출력되는지를 확인하고, 상기 확인에서 톤플래그 신호가 설정되어 출력되면, 오디오 플래그부(140)를 제어하여, 오디오 플래그 신호를 설정 및 출력하도록 제어하고(S130), 타이머가 종료되었는지를 판단한다(S140).
상기 판단(S140)에서 타이머가 종료되었으면, 통화중 대기 상태를 제어하는 명령, 즉, 스왑(SWAP) 또는 리트라이브와 릴리즈(RETRIEVE AND RELEASE)의 제어명령이 입력되는지를 판단한다(S150).
자신을 A라 하고, 호접속 되어 통신이 진행중인 제1 상대방을 B라 하며, 다른 통신상대방인 제2 상대방을 C라 설정하고, 상기 통화중 대기 제어명령에 의한 상태 변환을 요약 설명하면, 일 예에 의하여, 다음과 같이 4 가지 종류의 제어상태로 구분할 수 있다.
상태 1 : A가 B와 통신 중에 C로부터 호접속 요청이 있는 경우,
A-B : 액티브 상태, A-C : 호접속 요청 상태
상태 2 : A가 C의 호접속 요청을 수락한 경우,
A-B : 홀드 상태, A-C : 액티브 상태
상태 3 : 스왑(SWAP) 제어명령 입력 경우,
A-B : 액티브 상태, A-C : 홀드 상태
상태 4 : 리트라이브와 릴리즈 제어명령 입력 경우,
A-B : 액티브 상태, A-C : 호 해지 상태
상기와 같은 상태를 다시 설명하면, 상태1 은, 휴대단말기 A가 휴대단말기 B와 통신을 진행하는 상태에서 휴대단말기 C로부터 호접속 요청을 받은 경우로, 설정된 소정의 착신 음이 들린다.
상기 상태2 는, 휴대단말기 A가 B와 통신 중에 B의 양해를 얻고, C와의 호접속을 허용하는 경우로, A와 B와의 사이에 설정된 호는 홀드(HOLD) 상태로 변경 설정되고, A와 C 사이의 호는 액티브(ACTIVE) 상태로 변경 설정되므로, 상기 휴대단말기 A는 휴대단말기 C와 통신하는 상태이다.
상기 상태3 은, 상태2에서 스왑(SWAP) 제어명령이 인가된 경우이며, 즉, A와 B의 호(CALL)는 홀드(HOLD) 상태에서 액티브(ACTIVE) 상태로 스왑(SWAP)되고, A와 C의 호는 액티브 상태에서 홀드 상태로 스왑(SWAP)되고 있다.
상기 상태3의 스왑 제어명령을 몇 번이고 반복하여 입력할 수 있고, 입력되는 경우마다 이전 상태의 호를 변경 설정한다.
상기 상태4 는, 상태2를 기준으로 리트라이브와 릴리즈(RETRIEVE AND RELEASE) 제어명령이 인가된 경우이며, 즉, 상태2에서 액티브(ACTIVE) 상태의 호를 해지(RELEASE)하고, 홀드(HOLD) 상태의 호를 액티브(ACTIVE) 상태로 변환 설정하여 통신하도록 한다.
상기 일 예를 참조하여, 상기 휴대단말기의 통화중 대기 플래그 처리방법을 다시 설명하면, 상기 제어부(110)는, 상기 멀미부(130)를 통하여 스왑 또는 리트라이브와 릴리즈의 제어명령이 인가되는 경우(S150), 상기 톤 플래그를 포함하는 오디오 플래그가 설정되어 있는지를 확인하고(S160), 상기 과정(S160)에서 톤 플래그를 포함하는 오디오 플래그가 설정되어 있는 것으로 확인되면 홀딩 상태로 설정된 호를 액티브 상태의 호로 변경 설정하며, 상기 액티브 상태의 호로 통신을 진행한다(S170).
즉, 이동교환국(MSC)으로부터 순간적인 오류(TEMPORARY FAILURE)에 의하여 망 장애의 원인을 통보하는 신호가 기지국을 통하여 수신되어도, 휴대단말기에 의하여 오디오 경로를 차단하지 않고 계속 유지하도록 하는 오디오 플래그를 설정하고, 통화중 대기 상태를 제어하는 명령이 입력되면 홀딩 상태의 호를 액티브 상태의 호로 변경 설정하여 통신하는 장점이 있다.
따라서, 망 장애가 발생하여 이동교환국으로부터 액티브 상태의 호 해지 요청이 있어도, 휴대단말기 자체적으로 오디오 플래그를 발생하여 오디오 채널을 점유하는 홀딩 상태를 유지하므로, 액티브 호 상태 설정에 의하여 통신을 계속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상기와 같은 구성의 본 발명은, 이동교환국의 통화중 대기 서비스 운용 상태에서, 망 장애에 의한 순간적 오류 발생의 경우에도 오디오 플래그 설정에 의하여 오디오 경로의 홀딩 상태를 유지하므로, 통신을 계속하는 산업적 이용효과가 있다.
또한, 이동교환국의 망 장애에 의한 순간적인 오류가 발생하여도, 오디오 경로를 홀딩 상태로 유지하여 통신을 계속하므로, 이동통신 시스템의 신뢰도를 제고하는 사용상 편리한 효과가 있다.

Claims (11)

  1. 휴대단말기 제어부의 제어에 의하여 톤플래그 신호를 발생하는 톤플래그부와,
    상기 톤플래그부와 접속하고 이동교환국의 망 장애 발생 톤 메시지를 수신하면 톤 신호와 톤플래그 신호와 오디오 플래그 신호를 발생하도록 제어 감시하는 제어부와,
    상기 제어부의 제어에 의하여 오디오 플래그 신호를 발생하는 오디오 플래그부와,
    상기 제어부에 접속하고 음성신호와 문자신호가 포함되는 멀티미디어 신호를 입출력하는 멀미부가 포함되어 이루어지는 구성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기의 통화중 대기 처리장치.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의 제어에 의하여 이동통신 기지국과 무선접속하고 호접속 및 통신신호를 무선 송수신하며 이동교환국의 망 장애 발생 메시지를 수신하는 무선부와,
    상기 제어부와 접속하고 휴대단말기의 운용을 위한 프로그램과 데이터를 기록저장하는 메모리부가 더 포함되어 이루어지는 구성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기의 통화중 대기 처리장치.
  3.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톤플래그부는,
    상기 제어부가 무선부를 통하여 이동교환국의 망 장애 발생 메시지를 수신하고 인가하는 제어신호에 의하여 톤플래그 신호를 설정 출력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기의 통화중 대기 처리장치.
  4.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오디오 플래그부는,
    상기 제어부가 톤플래그부를 제어하여 톤플래그 신호를 발생시키고 인가하는 제어신호에 의하여 오디오 통신경로를 유지하는 오디오 플래그 신호를 발생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기의 통화중 대기 처리장치.
  5.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멀미부는,
    상기 제어부에 접속하고, 음성신호의 입출력과 문자신호의 입출력과 영상신호가 포함되는 멀티미디어 신호를 입출력하며 다이얼링 신호와 제어명령을 입력하고 이동교환국의 순간적 오류 발생을 표시하는 톤 신호를 발생 출력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기의 통화중 대기 처리장치.
  6.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무선부를 통하여 이동교환국의 망 장애 발생 메시지가 무선수신되면 상기 멀미부를 제어하여 망 장애 발생 표시의 톤 신호를 출력하며, 상기 톤플래그부를 제어하여 톤플래그 신호를 설정 발생하고, 상기 톤플래그 신호의 발생을 확인한 후에 오디오 플래그부를 제어하여 오디오 플래그 신호를 설정 발생하며, 상기 멀미부를 통하여 통화중 대기 제어명령이 입력되면 상기 오디오 플래그 신호가 출력되는 경우에 홀딩 상태 호를 액티브 호로 변경 설정하여 통신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기의 통화중 대기 처리장치.
  7. 휴대단말기의 제어부에 의하여 통화중 대기 서비스를 운용하는 경우에 망 장애에 의한 액티브 호 해지 신호가 입력되는지를 판단하는 장애과정과,
    상기 망 장애에 의한 액티브 호 해지 신호가 입력되면 타이머를 설정하여 톤 신호와 톤플래그 신호와 오디오 플래그 신호를 출력하는 플래그 과정과,
    상기 타이머가 종료되면 액티브 호로 복구하는 제어명령이 입력되는지를 판단하는 제어과정과,
    상기 복구 제어명령이 입력되면 오디오 플래그가 발생되는 상태에서 홀딩 호를 액티브 호 상태로 설정하여 통신하는 호설정과정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기의 통화중 대기 처리방법.
  8. 제7 항에 있어서, 상기 장애과정은,
    상기 휴대단말기의 제어부에 의하여 통화중 대기의 부가서비스를 설정하여 운용하는지 판단하는 과정과,
    상기 통화중 대기 서비스를 운용하는 경우에 이동교환국으로부터 망 장애에 의하여 현재 액티브 상태 호를 해지한다는 신호가 무선수신되어 인가되는지를 판단하는 과정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기의 통화중 대기 처리방법.
  9. 제7 항에 있어서, 상기 플래그 과정은,
    상기 장애과정에서 이동교환국의 망 장애 발생 신호가 수신되면 타이머를 구동하고 망 장애 발생을 표시하는 톤 신호를 멀미부로 출력하며 톤플래그부를 제어하여 톤플래그 신호를 발생하는 과정과,
    상기 톤플래그 신호 발생을 확인하고 통신용 오디오 경로를 홀딩상태로 유지하는 오디오 플래그 신호를 발생하는 과정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기의 통화중 대기 처리방법.
  10. 제7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과정은,
    상기 플래그 과정의 타이머가 계수를 종료하였는지 판단하는 과정과,
    상기 타이머의 계수가 종료되었으면 통화중 대기의 홀딩 호 상태를 복구 제어하는 스왑 또는 리트라이브와 릴리즈의 제어명령이 입력되는지를 판단하는 과정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기의 통화중 대기 처리방법.
  11. 제7 항에 있어서, 상기 호설정과정은,
    상기 제어과정에서 통화중 대기의 홀딩 호 복구 제어명령이 입력되는 경우에 오디오 플래그가 발생되는 상태인지를 판단하는 과정과,
    상기 오디오 플래그가 발생되는 상태의 경우에 홀딩 호를 액티브 호로 변경 설정하고 오디오 경로를 통하여 통신하는 과정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기의 통화중 대기 처리방법.
KR1020040080557A 2004-10-08 2004-10-08 휴대단말기의 통화중 대기 처리장치 및 방법 KR100652681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80557A KR100652681B1 (ko) 2004-10-08 2004-10-08 휴대단말기의 통화중 대기 처리장치 및 방법
CNB2005100692501A CN100348066C (zh) 2004-10-08 2005-05-12 移动通信终端的通话中待机标识处理装置及方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80557A KR100652681B1 (ko) 2004-10-08 2004-10-08 휴대단말기의 통화중 대기 처리장치 및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31500A KR20060031500A (ko) 2006-04-12
KR100652681B1 true KR100652681B1 (ko) 2006-12-07

Family

ID=3670392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80557A KR100652681B1 (ko) 2004-10-08 2004-10-08 휴대단말기의 통화중 대기 처리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0652681B1 (ko)
CN (1) CN100348066C (ko)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567381B1 (en) * 1999-12-21 2003-05-20 Willtech Incorpora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automatic call test in a CDMA system
US7089002B2 (en) * 2001-05-11 2006-08-08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Releasing plural radio connections with omnibus release message
US7426573B2 (en) * 2001-12-12 2008-09-16 Alcatel Lucent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service availability data for a communication network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758789A (zh) 2006-04-12
CN100348066C (zh) 2007-11-07
KR20060031500A (ko) 2006-04-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03492B1 (ko) 무선 통신 네트워크에서 음성/멀티미디어 모드 전환 기술
KR101032283B1 (ko) 무선 전화 네트워크에서 방송 콘텐츠의 공유 또는 개별 송신을 개시하는 방법 및 장치
KR100348945B1 (ko) 단절후호출재확립방법및장치
US7330720B2 (en) Time zone based phone services
US20120115452A1 (en) Communication apparatuses for handling apparatus terminated or originated communication requests with increased communication capability and methods thereof
KR100915781B1 (ko) 무선 시스템에서 서비스 변경을 개시하는 방법, 장치 및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
US8019349B2 (en) Telephone conversation resumption system, telephone conversation resumption program, telephone conversation resumption method, portable terminal and relay apparatus
US20070004383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a call reminder
EP2175606A1 (en) A method, an exchange and a device for conversation handover between the terminals
JP2005512452A (ja) 移動通信システムにおいて放送サービスを終了するための方法及び装置
KR100651408B1 (ko) 음성 모드와 데이터 모드간 대체를 이용한 화상전화안내방송 방법
JP2007318681A (ja) 携帯電話システム、テレビ電話制御装置、携帯電話機及びテレビ電話制御方法
KR20060016890A (ko) 이동통신 시스템에서의 푸시투토크 방식의 통화 방법
JP2005159567A (ja) 電話端末の通話モード切替方式
KR20060014296A (ko) 이동통신 시스템에서의 푸시투토크 방식의 통화 중 전화통화 연결 방법
EP1814346B1 (en) Telecommunications control system and method therefor
KR100652681B1 (ko) 휴대단말기의 통화중 대기 처리장치 및 방법
KR100646084B1 (ko) 채널 재연결 시스템 및 방법
US8326308B2 (en) Mobile cellular network and method for operating mobile cellular network
US20030036405A1 (en) Cellular phone
KR100739168B1 (ko) 이동통신 시스템의 엘엘시 패킷 데이터 수신장치 및 방법
KR100605865B1 (ko)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호 설정 방법 및 장치
JP2007019999A (ja) 着信処理選択システム、ユーザ端末、交換機、及び、着信処理選択方法
KR100521317B1 (ko) 이동통신 단말기의 수신상태 서비스 방법
JP2005086544A (ja) 通信制御システム及び通信制御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026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024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024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023

Year of fee payment: 10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