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52199B1 - Connector for flexible cable - Google Patents

Connector for flexible cabl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52199B1
KR100652199B1 KR1020050113646A KR20050113646A KR100652199B1 KR 100652199 B1 KR100652199 B1 KR 100652199B1 KR 1020050113646 A KR1020050113646 A KR 1020050113646A KR 20050113646 A KR20050113646 A KR 20050113646A KR 100652199 B1 KR100652199 B1 KR 10065219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lide
housing
guide
cable
termi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113646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이규영
Original Assignee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5011364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52199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5219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52199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01R13/639Additional means for holding or locking coupling parts together, after engagement, e.g. separate keylock, retainer strap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50Fixed connections
    • H01R12/51Fixed connections for rigid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 H01R12/55Fixed connections for rigid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characterised by the terminals
    • H01R12/57Fixed connections for rigid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characterised by the terminals surface mounting terminal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70Coupling devices
    • H01R12/7005Guiding, mounting, polarizing or locking means; Extractors
    • H01R12/7011Locking or fixing a connector to a PCB
    • H01R12/707Soldering or weld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01R13/629Additional 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e.g. aligning or guiding means, levers, gas pressure electrical locking indicators, manufacturing tolerances

Landscapes

  • Coupling Device And Connection With Printed Circuit (AREA)
  • Details Of Connecting Devices For Male And Female Coupling (AREA)

Abstract

A connector for a flexible cable is provided to facilitate the coupling between a housing part and a slide by making a first inserting direction of the flexible cable into the housing part opposite to a second inserting direction of the slide for locking. A housing part(30) has an insertion space, into which a cable(60) is inserted. A plurality of terminals is disposed to form a line within the insertion space of the housing part(30). A slide(50) is inserted into the insertion space of the housing part(30) by performing straight movement in a direction opposite to the inserting direction of the cable(60). The cable(60) is fixed to the terminals through the insertion of the slide(50). An elastic guide is extended along a lateral surface of the housing part(30). The elastic guide has one end connected to a lateral plate of the housing part(30).

Description

플렉시블 케이블용 커넥터{Connector for flexible cable}Connector for flexible cable {Connector for flexible cable}

도 1은 종래 기술에 의한 슬라이드 타입 플렉시블 케이블용 커넥터의 구성을 보인 사시도.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connector for a slide type flexible cable according to the prior art.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플렉시블 케이블용 커넥터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구성을 보인 사시도.Figure 2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flexible cable connect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은 본 발명 실시예의 구성을 보인 단면도.3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a와 도 4b는 본 발명 실시예를 구성하는 하우징의 구성을 보인 사시도.4a and 4b are perspective views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the housing constituting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5a와 도 5b는 본 발명 실시예를 구성하는 슬라이드의 구성을 보인 사시도 및 요부상세사시도.Figures 5a and 5b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the slide constituting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main detail.

도 6은 본 발명 실시예를 구성하는 터미널의 구성을 보인 사시도.Figure 6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terminal constituting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7은 본 발명 실시예에서 하우징에서 슬라이드가 빠져 나온 상태를 보인 동작상태도.Figure 7 is an operating state showing the state that the slide is pulled out of the housing 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8은 본 발명 실시예에서 하우징에 슬라이드가 삽입되어 록킹된 상태를 보인 동작상태도.Figure 8 is an operating state showing the locked state is inserted into the slide in the housing 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9는 본 발명 실시예에서 하우징에 슬라이드가 삽입되어 케이블이 터미널에 고정된 상태를 단면으로 보인 동작상태도.9 is an operation stat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slide is inserted into the housing 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able is fixed to the terminal in cross section.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Explanation of symbols on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s

30: 하우징 32: 삽입공간30: housing 32: insertion space

33: 상판부 34: 하판부33: upper plate 34: lower plate

35: 측판부 36: 탄성가이드35: side plate portion 36: elastic guide

37: 가이드채널 38: 탈거방지턱37: guide channel 38: stripping prevention jaw

40: 터미널 40': 몸체부40: terminal 40 ': body part

41: 연결부 41': 변형홈41: connection part 41 ': deformation groove

42: 걸이부 43: 변형구동부42: hook portion 43: deformation driving portion

44: 접점부 45: 렌스44: contact 45: lens

47: 실장부 48: 삽입안내면47: mounting portion 48: insertion guide surface

50: 슬라이드 51: 고정구동부50: slide 51: fixed drive unit

52: 손잡이부 54: 가이드아암52: handle portion 54: guide arm

55: 걸이턱 57: 가압경사면55: hanger jaw 57: pressure inclined surface

58: 가이드리브 59: 걸이홈58: guide rib 59: hook groove

60:케이블60: cable

본 발명은 플렉시블 케이블용 커넥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플렉시블 케이블의 단부에 구비되어 다른 부품과의 전기적 연결을 수행하는 플렉시블 케이블용 커넥터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onnector for a flexible cable, and more particularly to a connector for a flexible cable which is provided at the end of the flexible cable to perform electrical connection with other components.

본 명세서에서 플렉시블 케이블이라 함은 일반적으로, FPC(Flexible Printed Circuit)와 FFC(Flexible Flat Cable)라고 불리우는 것을 포함하는 개념으로 정의한다.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the flexible cable is generally defined as a concept including what is called a flexible printed circuit (FPC) and a flexible flat cable (FFC).

도 1에는 종래 기술에 의한 슬라이드 타입 커넥터의 구성이 사시도로 도시되어 있다. 이에 따르면, 대략 납작하고 긴 육면체 형상의 하우징(1)이 구비되고, 상기 하우징(1)의 내부에는 삽입공간(3)이 형성된다. 상기 삽입공간(3)은 상기 하우징(1)의 일측면으로 개구된다. 상기 삽입공간(3)의 개구된 입구를 통해서는 플렉시블 케이블이 삽입된다.1 shows a perspective view of a slide type connector according to the prior art. According to this, the housing 1 of substantially flat and long hexahedral shape is provided, and the insertion space 3 is formed in the inside of the housing 1. The insertion space 3 is opened to one side of the housing 1. A flexible cable is inserted through the open inlet of the insertion space 3.

상기 하우징(1)의 삽입공간(3) 내부에는 다수개의 터미널(5)이 일렬로 배치되어 있다. 상기 터미널(5)은 상기 플렉시블 케이블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부분과 기판상에 전기적으로 솔더링되어 실장되는 부분으로 구성된다.A plurality of terminals 5 are arranged in a line in the insertion space 3 of the housing 1. The terminal 5 is composed of a portion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flexible cable and a portion electrically soldered and mounted on a substrate.

상기 하우징(1)에는 그 일부가 상기 삽입공간(3)의 내부로 삽입되어 상기 터미널(5)에 플렉시블 케이블이 전기적으로 연결되면서 고정되도록 하는 슬라이드(7)가 구비된다. 상기 슬라이드(7)는 그 일부가 상기 하우징(1)의 측면으로 개구된 삽입공간(3)의 내외부로 입출되도록 직선운동한다.The housing 1 is provided with a slide 7, a part of which is inserted into the insertion space 3 so that the flexible cable is fixed to the terminal 5 while being electrically connected. The slide 7 linearly moves so that a part thereof enters into and out of the insertion space 3 opened to the side of the housing 1.

상기 슬라이드(7)의 양단에는 가이드아암(8)이 후방으로 연장되어 형성된다. 상기 가이드아암(8)은 상기 하우징(1)에 대해 상기 슬라이드(7)가 이동되는 것을 안내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가이드아암(8)에는 상기 하우징(1)의 양단부에 형성된 걸이단(1')에 걸어지는 걸이턱(9)이 형성된다. 상기 걸이턱(9)은 상기 하우징(1)에서 상기 슬라이드(7)가 탈거되지 않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걸이턱(9)은 상기 하우징(1)의 양단 외측방향으로 돌출되어 형성되어 상기 가이드아암(8)이 상기 하우징(1)의 양단부에 인접한 내부를 관통하여, 상기 하우징(1)의 양단부에 구비된 상기 걸이단(1')에 걸어지도록 구성된다.At both ends of the slide 7, guide arms 8 extend backward. The guide arm 8 serves to guide the movement of the slide 7 with respect to the housing 1. The guide arm 8 is provided with a hooking jaw 9 which is hooked to a hook end 1 'formed at both ends of the housing 1. The hanger 9 serves to prevent the slide 7 from being removed from the housing 1. The hooking jaw 9 is formed to protrude outwardly at both ends of the housing 1 such that the guide arm 8 penetrates the interior adjacent to both ends of the housing 1, and at both ends of the housing 1. It is configured to hang on the hook end (1 ') provided.

그러나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에 의한 플렉시블 케이블용 커넥터에서는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다.However, the above-mentioned conventional flexible cable connector has the following problems.

먼저, 종래 기술에서는 플렉시블 케이블을 하우징(1)의 삽입공간(3)에 넣는 방향과 상기 슬라이드(7)가 삽입공간(3)으로 삽입되어 장착되는 방향이 동일하므로 상기 플렉시블 케이블의 삽입을 위한 간격이 상대적으로 좁아 조립작업이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First, in the prior art, the direction in which the flexible cable is inserted into the insertion space 3 of the housing 1 is the same as the direction in which the slide 7 is inserted into the insertion space 3 and is mounted therein. This relatively narrow assembly is difficult problem.

즉, 상기 슬라이드(7)의 존재에 의해 상기 삽입공간(3)의 입구가 상대적으로 좁아져 작업자가 플렉시블 케이블을 삽입공간(3)으로 삽입하는 것 자체가 어렵다. 그리고, 상기 플렉시블 케이블을 삽입공간(3)으로 삽입하는 과정에서 상기 슬라이드(7)가 유동될 수 있어 하우징(1)을 잡은 손으로 슬라이드(7)까지 고정하고, 나머지 한 손으로 플렉시블 케이블을 취급하여야 하는 불편한 점이 있다.That is, the entrance of the insertion space 3 is relatively narrow due to the presence of the slide 7, it is difficult for the worker to insert the flexible cable into the insertion space (3) itself. In addition, the slide 7 may be flowed in the process of inserting the flexible cable into the insertion space (3) to fix the slide (7) by the hand holding the housing (1), and handle the flexible cable with the other hand There is an inconvenience to do.

그리고, 종래 기술에서는 상기 하우징(1)에 슬라이드(7)를 조립하고 상대 이동을 안내하기 위한 가이드아암(8)이 상기 하우징(1)의 내부를 관통하도록 설계가 되어 있다. 하지만, 이와 같은 구성에서는 상기 가이드아암(8)을 상기 하우징(1)에 조립하는 과정에서 상기 걸이턱(9)이 걸이단(1')을 통과하는 것이 용이하지 않다. 참고로, 플렉시블 케이블용 커넥터는 그 크기가 매우 작은 것이어서, 심한 경우 상기 슬라이드(7)나 하우징(1)이 파손되는 경우도 발생한다.In the prior art, the guide arm 8 for assembling the slide 7 to the housing 1 and guiding relative movement is designed to penetrate the inside of the housing 1. However, in this configuration, it is not easy for the hooking jaw 9 to pass through the hook end 1 'in the process of assembling the guide arm 8 to the housing 1. For reference, the flexible cable connector is very small in size, and in some cases, the slide 7 or the housing 1 may be damaged.

또한, 종래 기술에서 상기 터미널(5) 사이의 간격은 매우 좁게 형성된다. 이는 전체 커넥터의 크기를 최소화하기 위해서이다. 따라서, 상기 터미널(5) 사이의 간격이 정확하게 유지되는 것이 어렵다. 예를 들어 외력에 의해 터미널(5)중 하나가 변형되면 인접하는 터미널(5)과 접촉할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Also, in the prior art, the spacing between the terminals 5 is formed very narrow. This is to minimize the size of the overall connector. Therefore, it is difficult to maintain the gap between the terminals 5 accurately. For example, when one of the terminals 5 is deformed by an external force, there is a problem in that the adjacent terminals 5 may be contacted.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커넥터의 하우징에 플렉시블 케이블을 삽입하는 방향과 잠금을 위한 슬라이드의 삽입방향이 반대로 된 커넥터를 제공하는 것이다.Accordingly,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solve the problems of the prior art as described above, and to provide a connector in which the direction of inserting the flexible cable into the housing of the connector and the direction of insertion of the slide for locking are reversed.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커넥터를 구성하는 하우징과 슬라이드의 결합이 용이한 커넥터를 제공하는 것이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connector that is easy to engage the slide and the housing constituting the connector.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사이 간격이 좁은 터미널 사이의 간격을 항상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는 커넥터를 제공하는 것이다.It is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connector which can always maintain a constant distance between terminals having narrow spacing therebetween.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르면, 본 발명은 내부에 케이블이 삽입되는 삽입공간이 형성되는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의 삽입공간 내부에 다수개가 열을 지어 설치되는 터미널과, 상기 하우징의 삽입공간으로 상기 케이블이 삽입되는 반대방향으로 직선운동하여 삽입되고, 삽입에 의해 상기 케이블이 터미널에 의해 고정되도록 하는 슬라이드를 포함하여 구성된다.According to a fea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the present invention is a housing in which the insertion space is formed is inserted into the cable, the terminal is installed in a plurality of rows in the insertion space of the housing, The cable is inserted into the housing by inserting the cable in a direction opposite to the direction in which the cable is inserted, and comprises a slide for fixing the cable by the terminal by the insertion.

상기 하우징의 측판부에 일단부가 연결되고 하우징의 측면을 따라 나란히 연장되게 탄성가이드가 더 구비되는데, 상기 탄성가이드에는 상기 슬라이드의 이동을 안내하는 가이드채널이 형성되고, 상기 가이드채널에는 상기 슬라이드가 하우징에서 탈거되는 것을 방지하는 탈거방지턱이 형성된다.One end portion is connected to the side plate of the housing and is further provided with an elastic guide extending side by side along the side of the housing, the elastic guide is formed with a guide channel for guiding the movement of the slide, the guide channel the slide Removal prevention jaw is formed to prevent being removed from.

상기 터미널은 판상의 금속재질로 형성되는 것으로, 몸체부와, 상기 몸체부에서 연장되어 탄성변형가능하고 몸체부와 연결되는 부분에 변형홈이 형성되는 연결부와, 상기 연결부에서 연장되어 선단에 누름돌기가 구비되는 걸이부와, 상기 연결부에서 상기 걸이부와 반대방향으로 연장되고 상기 슬라이드와 접촉되는 돌기부를 구비하여 상기 연결부의 변형을 위한 힘을 받는 변형구동부와, 상기 몸체부에서 상기 걸이부와 평행하게 연장되고 선단에 상기 누름돌기와 대응되는 접점돌기가 구비되어 케이블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접점부와, 상기 몸체부에서 상기 접점부의 반대쪽으로 연장되고 상기 하우징의 외부에 노출되어 기판에 실장되는 실장부를 포함하여 구성된다.The terminal is formed of a plate-like metal material, the body portion, a connecting portion extending from the body portion is elastically deformable and a deformation groove is formed in a portion connected to the body portion, and extending from the connecting portion is a push projection at the tip Deformation driving unit which is provided with a hook portion, a protrusion extending in the opposite direction to the hook portion in the connecting portion and in contact with the slide to receive a force for deformation of the connecting portion, and parallel to the hook portion in the body portion A contact portion extended and provided at a distal end corresponding to the push protrusion and electrically connected to a cable, and a mounting portion extending from the body portion to the opposite side of the contact portion and exposed to the outside of the housing and mounted on a substrate; It is composed.

상기 실장부에는 상기 슬라이드의 삽입을 안내하는 삽입안내면이 경사지게 형성된다.The mounting portion has an inclined insertion guide surface for guiding the insertion of the slide.

상기 슬라이드는 상기 터미널의 연결부의 탄성변형을 위한 가압경사면이 구비되는 고정구동부와, 상기 고정구동부에 일체로 형성되고 사용자로부터 조작하기 위한 힘을 제공받는 손잡이부와, 상기 손잡이부의 양단에 탄성변형 가능하게 구비되고 상기 가이드채널에 안착되며 선단에 상기 탈거방지턱에 선택적으로 걸어지는 걸이턱이 구비되는 가이드아암을 포함하여 구성된다.The slide may include a fixed driving part having a pressure inclined surface for elastic deformation of the connection part of the terminal, a handle part integrally formed with the fixed driving part and provided with a force for operation by a user, and elastic deformation at both ends of the handle part. And a guide arm seated on the guide channel and provided with a hooking jaw that is selectively walked at the disengagement prevention jaw at the front end thereof.

상기 고정구동부의 상면에 형성된 가압경사면이 끝나는 위치에는 상기 터미널의 변형구동부에 구비된 돌기부가 걸어지는 걸이홈이 형성되어 슬라이드를 터미 널에 록킹시킨다.At the end of the pressure inclined surface form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fixed drive portion is formed a hook groove for the protrusion provided on the deformation driving portion of the terminal to lock the slide to the terminal.

상기 고정구동부에는 상기 하우징에 설치되는 터미널 사이의 간격을 유지하는 가이드리브가 다수개 형성된다.The fixed driving part is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guide ribs for maintaining the interval between the terminals installed in the housing.

상기 슬라이드의 가이드아암에는 상기 탄성가이드에 접촉하여 이동을 안내하는 가이드스컷트가 더 구비된다.The guide arm of the slide is further provided with a guide cut in contact with the elastic guide to guide the movement.

이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에 의한 플렉시블 케이블용 커넥터에 의하면, 하우징에 대해 슬라이드가 직선이동하여 케이블을 고정하는 방식에서, 하우징에 케이블이 삽입되는 방향과 슬라이드가 잠금되는 방향이 서로 반대방향이므로 케이블을 하우징에 삽입하는 작업이 용이하고, 슬라이드의 가이드아암을 하우징의 양단 외측쪽에서 결합할 수 있어 조립작업이 용이하고 조립과정에서의 불량발생이 방지되며, 슬라이드에 터미널 안내리브가 형성되어 있어 터미널 사이의 좁은 간격을 항상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According to the flexible cable connect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ving the configuration as described above, the cable is inserted into the housing and the direction in which the slide is locked is opposite to each other in the manner in which the slide is fixed in a straight line with respect to the housing. Inserting into the housing is easy, and the guide arm of the slide can be combined from both ends of the housing to facilitate the assembly work and to prevent the occurrence of defects during the assembly process, and the terminal guide ribs are formed on the slide to This has the advantage of keeping the narrow gap constant at all times.

이하 본 발명에 의한 플렉시블 케이블용 커넥터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Hereinafter, a preferred embodiment of a connector for a flexible cab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2에는 본 발명에 의한 플렉시블 케이블용 커넥터의 바람직한 실시예가 사시도로 도시되어 있고, 도 3에는 본 발명 실시예의 구성이 단면도로 도시되어 있으며, 도 4a와 도 4b에는 본 발명 실시예를 구성하는 하우징의 구성이 사시도로 도시되어 있고, 도 5a와 도 5b에는 본 발명 실시예를 구성하는 슬라이드의 구성이 사시도로 도시되어 있으며, 도 6에는 본 발명 실시예를 구성하는 터미널의 구성이 사시도로 도시되어 있다.Figure 2 shows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flexible cable connect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 a perspective view, Figure 3 shows a configuration of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a cross-sectional view, Figures 4a and 4b the housing constituting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A and 5B are shown in perspective view, the configuration of the slide constituting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shown in perspective view, and the configuration of the terminal constituting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shown in perspective view. have.

이에 따르면, 하우징(30)은 합성수지 재질로 형성되는 것으로, 대략 납작한 육면체 형상이다. 상기 하우징(30)의 내부에는 삽입공간(32)이 형성된다. 상기 삽입공간(32)의 내부 바닥면과 천정면에는 서로 대응되는 위치에 안착채널(32')이 형성된다. 상기 안착채널(32')은 아래에서 설명될 터미널(40)이 안착되는 부분이다. 상기 삽입공간(32)이 형성된 상기 하우징(30)은 상판부(33), 하판부(34) 및 측판부(35)에 의해 4면이 둘러싸이고 2면이 개방된 육면체 형상이 된다.According to this, the housing 30 is formed of a synthetic resin material, and has a substantially flat hexahedral shape. An insertion space 32 is formed inside the housing 30. A seating channel 32 ′ is formed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each other on the inner bottom surface and the ceiling surface of the insertion space 32. The seating channel 32 ′ is a portion where the terminal 40 to be described below is seated. The housing 30 in which the insertion space 32 is formed has a hexahedral shape in which four surfaces are surrounded by the upper plate portion 33, the lower plate portion 34, and the side plate portion 35, and two surfaces are open.

상기 하우징(30)의 측판부(35) 일단에 연결되고 하우징(30)의 측면을 따라 나란히 연장되게 탄성가이드(36)가 구비된다. 상기 탄성가이드(36)는 그 선단이 상기 하우징(30)의 개구된 일면보다 덜 돌출되게 형성된다. 상기 탄성가이드(36)는 상기 하우징(30)에 일체로 형성되어 탄성변형이 가능하다. 상기 탄성가이드(36)에는 그 외면에 길이방향으로 가이드채널(37)이 형성된다. 상기 가이드채널(37)에는 상기 탄성가이드(36)의 선단에 인접한 위치에 탈거방지턱(38)이 형성된다. 상기 탈거방지턱(38)은 아래에서 설명될 슬라이드(50)의 걸이턱(57)이 걸어지는 부분이다.An elastic guide 36 is provided to be connected to one end of the side plate portion 35 of the housing 30 and to extend side by side along the side of the housing 30. The elastic guide 36 is formed such that the tip thereof protrudes less than an opened surface of the housing 30. The elastic guide 36 is integrally formed in the housing 30 to allow elastic deformation. The elastic guide 36 is formed with a guide channel 37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n the outer surface. The guide channel 37 is provided with a removal prevention jaw 38 at a position adjacent to the tip of the elastic guide 36. The stripping prevention jaw 38 is a portion on which the hooking jaw 57 of the slide 50 to be described below is hooked.

상기 하우징(30)의 삽입공간(32)을 가로질러서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걸림단(39)이 형성된다. 상기 걸림단(39)은 상기 삽입공간(32)을 횡으로 가로질러 형성되어 있다. 상기 걸림단(39)에는 아래에서 설명될 터미널(40)이 걸어진다. 여기서 상기 걸림단(39)은 전체가 일체로 형성될 필요는 없고 각각의 터미널(40)에 대해 별개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Crossing the insertion space 32 of the housing 30, as shown in Figure 3, the locking end 39 is formed. The locking end 39 is formed to cross the insertion space 32 laterally. The locking end 39 is hooked to the terminal 40 to be described below. In this case, it is preferable that the locking end 39 is not formed integrally with the whole, but is formed separately for each terminal 40.

상기 하우징(30)의 삽입공간(32)에는 다수개의 터미널(40)이 나란히 설치된다. 상기 터미널(40)은 상기 하우징(30)의 안착채널(32')에 안착된다. 상기 터미널 (40)은 통전성이 있는 금속재질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A plurality of terminals 40 are installed side by side in the insertion space 32 of the housing 30. The terminal 40 is seated in a seating channel 32 ′ of the housing 30. The terminal 40 is preferably formed of a conductive metal material.

상기 터미널(40)의 몸체부(40')는 상기 하우징(30)의 바닥면에 형성된 안착채널(32')에 안착된다. 상기 몸체부(40')에서 연장되어 연결부(41)가 구비된다. 상기 연결부(41)는 측면에서 볼 때, 곡선형태로 형성된다. 이는 아래에서 설명될 걸이부(42) 선단이 접점부(44)와 보다 잘 근접하도록 변형가능하도록 하기 위함이다. 상기 연결부(41)와 몸체부(40')가 연결되는 부분에는 변형홈(41')이 형성된다. 상기 변형홈(41')은 곡면으로 된 홈으로 연결부(41)에 작용하는 힘에 의해 연결부(41)와 몸체부(40')가 서로 연결된 부분에 작용하는 모멘트에 의한 응력집중이 발생함이 없이 힘이 잘 분산되어 변형이 이루어지도록 하기 위함이다.The body portion 40 'of the terminal 40 is seated in a seating channel 32' formed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housing 30. Extending from the body portion 40 'is provided with a connection portion 41. The connecting portion 41 is formed in a curved shape when viewed from the side. This is to allow the front end of the hook portion 42 to be described below to be deformable so as to be closer to the contact portion 44. A deformation groove 41 'is formed at a portion where the connection portion 41 and the body portion 40' are connected. The deformation groove 41 'is a curved groove, and stress concentration is generated by a moment acting on a portion where the connection portion 41 and the body portion 40' are connected to each other by a force acting on the connection portion 41. This is to allow the force to be well dispersed without deformation.

상기 연결부(41)에서 연장되어서는 걸이부(42)가 형성된다. 상기 걸이부(42)는 대략 상기 몸체부(40')와 나란한 방향으로 연장된다. 상기 걸이부(42)의 선단에는 누름돌기(42')가 형성되어 있다.Hook portion 42 is formed to extend from the connection portion 41. The hook portion 42 extends in a direction substantially parallel to the body portion 40 ′. At the tip of the hook portion 42, a pressing protrusion 42 'is formed.

상기 걸이부(42)의 반대쪽으로는 변형구동부(43)가 형성된다. 상기 변형구동부(43)도 상기 몸체부(40')와 나란히 연장되는 부분이다. 상기 변형구동부(43)의 끝부분에는 곡면을 가지는 돌기부(43')가 형성된다. 상기 돌기부(43')는 아래에서 설명될 슬라이드(50)의 고정구동부(51)에 의해 밀어져 변형구동부(43)를 들어 올릴 수 있도록 한다.On the opposite side of the hook portion 42, a deformation driving portion 43 is formed. The deformation driving part 43 also extends in parallel with the body part 40 '. At the end of the deformable driving portion 43, a protrusion 43 'having a curved surface is formed. The protrusion 43 'is pushed by the fixed driving unit 51 of the slide 50 to be described below to lift the deformation driving unit 43.

상기 몸체부(40')에서 상기 걸이부(42)와 같은 방향으로 연장되어서는 접점부(44)가 구비된다. 상기 접점부(44)는 상기 걸이부(42)와 대략 나란하게 연장된다. 상기 접점부(44)는 실제로 케이블(60)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부분이다. 상기 접점부(44)에는 접점돌기(44')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접점돌기(44')는 상기 누름돌기(42')와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된다.The contact portion 44 is provided to extend in the same direction as the hook portion 42 in the body portion 40 '. The contact portion 44 extends substantially parallel to the hook portion 42. The contact portion 44 is actually a portion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cable 60. The contact portion 44 is formed with a contact protrusion 44 '. The contact protrusion 44 'is formed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push protrusion 42'.

상기 몸체부(40')에는 또한 랜스(45)가 형성된다. 상기 랜스(45)는 상기 걸림단(39)에 걸어져 터미널(40)이 임의로 유동되지 않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랜스(45)는 대략 측면에서 볼 때 직각삼각형 형상이다.The body portion 40 ′ is also formed with a lance 45. The lance 45 is hooked to the engaging end 39 serves to prevent the terminal 40 from flowing arbitrarily. The lance 45 has a right triangle shape when viewed from the side.

상기 접점부(44) 반대쪽으로는 실장부(47)가 형성된다. 상기 실장부(47)는 기판에 솔더링에 의해 고정되는 부분이다. 상기 실장부(47)는 상기 터미널(40)이 하우징(30)에 설치되었을 때, 상기 하우징(30)의 외부에 노출된다. 도면부호 48은 터미널(40)이 하우징(30)에 삽입되는 정도를 규제하는 걸이편이다.The mounting portion 47 is formed on the opposite side of the contact portion 44. The mounting portion 47 is a portion fixed to the substrate by soldering. The mounting portion 47 is exposed to the outside of the housing 30 when the terminal 40 is installed in the housing 30. Reference numeral 48 is a hook piece for regulating the degree to which the terminal 40 is inserted into the housing 30.

슬라이드(50)는 합성수지 재질로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하우징(30)에 설치되어 그 일부가 상기 하우징(30)의 삽입공간(32)으로 삽입되어 상기 접점부(44)와 걸이부(42)에 케이블(60)이 고정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슬라이드(50)에는 상기 하우징(30)의 내부로 삽입되는 부분인 고정구동부(51)가 구비된다. 상기 고정구동부(51)는 상기 하우징(30)의 후단부, 다시 말해 상기 케이블(60)이 삽입되는 반대방향쪽의 삽입공간(32)에 직선운동에 의해 삽입된다.The slide 50 is formed of a synthetic resin material, which is installed in the housing 30 and a part of the slide 50 is inserted into the insertion space 32 of the housing 30 to the contact portion 44 and the hook portion 42. Allow cable 60 to be secured. The slide 50 is provided with a fixed driving part 51 which is a part inserted into the housing 30. The fixed driving unit 51 is inserted by a linear movement into the rear end of the housing 30, that is, the insertion space 32 on the opposite side into which the cable 60 is inserted.

상기 고정구동부(51)에는 손잡이부(52)가 일체로 구비된다. 상기 손잡이부(52)는 상기 하우징(30)의 내부로 삽입되지 않고 외부에 위치되는 것으로, 사용자가 슬라이드(50)를 구동시키기 위한 힘이 가해지는 부분이다.The fixed driving unit 51 is provided with a handle 52 integrally. The handle part 52 is located outside of the housing 30 without being inserted into the housing 30, and is a part to which a user applies a force to drive the slide 50.

상기 손잡이부(52)의 양단에서 손잡이부(52)의 연장방향에 직교하게 가이드아암(54)이 구비된다. 상기 가이드아암(54)은 상기 하우징(30)의 가이드채널(37)에 안착되는 부분으로, 그 형상과 재질의 특성상 탄성변형이 가능하다. 상기 가이드아암(54)의 선단에는 상기 가이드아암(54)이 상기 탄성가이드(36)에 결합하여 탈거되지 않도록 하는 걸이턱(55)이 형성된다. 상기 걸이턱(55)은 상기 양단의 가이드아암(54)의 것이 서로 마주보게 형성된다. 상기 걸이턱(55)은 상기 탄성가이드(36)의 탈거방지턱(38)에 걸어져 하우징(30)에서 슬라이드(50)가 임의로 탈거되지 않도록 한다.Guide arms 54 are provided at both ends of the handle portion 52 so as to be perpendicular to the extending direction of the handle portion 52. The guide arm 54 is a part that is seated in the guide channel 37 of the housing 30, and is elastically deformable due to its shape and material. At the distal end of the guide arm 54, a hanger 55 is formed to prevent the guide arm 54 from being removed by being coupled to the elastic guide 36. The hooking jaw 55 is formed such that the guide arms 54 at both ends face each other. The hooking jaw 55 is hooked on the removal prevention jaw 38 of the elastic guide 36 to prevent the slide 50 from being arbitrarily removed from the housing 30.

상기 가이드아암(54)에는 가이드스컷트(56)가 형성된다. 상기 가이드스컷트(56)는 상기 탄성가이드(36)에 밀착되어 가이드아암(54)의 이동을 안내하는 역할을 한다.The guide arm 54 is formed with a guide cut 56. The guide cut 56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elastic guide 36 to guide the movement of the guide arm 54.

상기 고정구동부(51)의 상면에는 상기 각각의 터미널(40)의 변형구동부(43)를 안내하는 가압경사면(57)이 구비된다. 상기 가압경사면(57)은 상기 슬라이드(50)가 하우징(30)에 결합되면서, 상기 고정구동부(51)가 삽입공간(32)에 삽입되는 과정에서 상기 변형구동부(43)의 돌기부(43')를 안내하여 연결부(41)의 탄성변형을 만들어낸다.The upper surface of the fixed drive unit 51 is provided with a pressure inclined surface 57 for guiding the deformation drive unit 43 of each terminal 40. The pressure inclined surface 57 is a projection 43 'of the deformable driving part 43 while the slide 50 is coupled to the housing 30 and the fixed driving part 51 is inserted into the insertion space 32. Guide the elastic deformation of the connection portion 41 to produce.

상기 고정구동부(51)의 상면과 하면에는 각각 터미널(40) 사이의 간격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가이드리브(58)가 형성된다. 상기 가이드리브(58)는 각각 소정의 간격을 두고 형성되어 인접하는 터미널(40) 사이의 간격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한다. 실제로, 상기 가압경사면(57)는 상기 가이드리브(58)에 의해 형성되는 채널의 바닥이라고 할 수 있다. 상기 가이드리브(58)는 상기 고정구동부(51)의 상면 및 하면에 모두 형성되는데, 상면의 것이 상대적으로 높이가 높게 형성된다.Guide ribs 58 are formed on the upper and lower surfaces of the fixed driving part 51 to maintain the distance between the terminals 40, respectively. The guide ribs 58 are formed at predetermined intervals, respectively, so that the guide ribs 58 can maintain the interval between adjacent terminals 40. In fact, the pressure inclined surface 57 may be referred to as the bottom of the channel formed by the guide rib 58. The guide rib 58 is formed on both the upper surface and the lower surface of the fixed driving part 51, the upper surface of the guide rib is formed with a relatively high height.

상기 고정구동부(51)의 가압경사면(57)을 통과한 부분에는 걸이홈(59)이 형성된다. 상기 걸이홈(59)은 상기 터미널(40) 후단의 변형구동부(43)의 돌기부(43')가 안착되어 상기 슬라이드(50)가 하우징(30)에 잠금되도록 하는 부분이다.A hook groove 59 is formed at a portion of the fixed driving part 51 that passes through the pressure inclined surface 57. The hook groove 59 is a portion to which the protrusion 43 ′ of the deformation driving part 43 at the rear end of the terminal 40 is seated so that the slide 50 is locked to the housing 30.

이하 상기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에 의한 플렉시블 케이블용 커넥터의 작용을 상세하게 설명한다.Hereinafter, the operation of the flexible cable connect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ving the configuration as described above in detail.

먼저, 도 7에는 본 발명의 커넥터에서 상기 슬라이드(50)가 하우징(30)에서 해제된 상태가 도시되어 있다. 즉, 상기 슬라이드(50)의 고정구동부(51)가 상기 하우징(30)의 삽입공간(32)에서 빠져나온 상태가 도시되어 있다. 이때, 상기 슬라이드(50)는 상기 가이드아암(54)의 걸이턱(55)이 상기 탄성가이드(36)의 탈거방지턱(38)에 걸어지는 위치까지 빠져나올 수 있다.First, FIG. 7 shows a state in which the slide 50 is released from the housing 30 in the connector of the present invention. That is, a state in which the fixed driving unit 51 of the slide 50 is released from the insertion space 32 of the housing 30 is shown. In this case, the slide 50 may be pulled out to the position where the hooking jaw 55 of the guide arm 54 is hooked to the removal prevention jaw 38 of the elastic guide 36.

한편, 참고로 상기 슬라이드(50)를 상기 하우징(30)에 장착하는 것을 설명한다. 상기 탄성가이드(36)는 마치 외팔보와 같은 형태를 가지므로 선단이 어느 정도 상기 하우징(30)의 측면에 가까워지거나 멀어지도록 탄성변형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슬라이드(50)의 가이드아암(54) 선단을 상기 탄성가이드(36)의 선단 외측에 위치되도록 한 상태에서, 상기 탄성가이드(36) 선단을 눌러 주면 탄성가이드(36)가 탄성변형되면서, 상기 가이드아암(54)의 선단이 상기 탄성가이드(36)의 가이드채널(37)에 안착될 수 있다. 이때, 상기 가이드아암(54)의 걸이턱(55)이 상기 탈거방지턱(38)을 쉽게 넘어갈 수 있을 정도로 상기 탄성가이드(36)를 탄성변형시켜 주면 된다.On the other hand, it will be described for mounting the slide 50 to the housing 30 for reference. Since the elastic guide 36 has a shape like a cantilever beam, the tip may be elastically deformed so that the tip is closer to or farther from the side of the housing 30 to some extent. Therefore, while the front end of the guide arm 54 of the slide 50 is positioned outside the front end of the elastic guide 36, the elastic guide 36 is elastically deformed by pressing the front end of the elastic guide 36. The tip of the guide arm 54 may be seated in the guide channel 37 of the elastic guide 36. In this case, the elastic guide 36 may be elastically deformed to the extent that the hooking jaw 55 of the guide arm 54 can easily pass over the removal preventing jaw 38.

물론, 상기 가이드아암(54)도 탄성변형이 가능하므로, 상기 가이드아암(54) 을 어느 정도 탄성변형시켜서 슬라이드(50)를 하우징(30)에 조립할 수도 있다. 이때에는 상기 가이드아암(54) 사이의 폭이 상대적으로 넓어지도록 가이드아암(54)을 탄성변형시키면 된다.Of course, the guide arm 54 can also be elastically deformed, so that the slide 50 can be assembled to the housing 30 by elastically deforming the guide arm 54 to some extent. In this case, the guide arm 54 may be elastically deformed so that the width between the guide arms 54 is relatively wider.

이와 같이 하여 일단 가이드아암(54)이 탄성가이드(36)의 가이드채널(37)에 안착되면 가이드아암(54)이나 탄성가이드(36)가 원형으로 복원되도록 하면 슬라이드(50)의 조립이 완성된다. 즉, 상기 가이드아암(54)이 상기 탄성가이드(36)의 가이드채널(37)을 따라 이동할 수 있고, 상기 가이드아암(54)의 걸이턱(55)과 탄성가이드(36)의 탈거방지턱(38)이 서로 걸어져 슬라이드(50)가 하우징(30)에서 임의로 빠져나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In this way, once the guide arm 54 is seated in the guide channel 37 of the elastic guide 36, the assembly of the slide 50 is completed when the guide arm 54 or the elastic guide 36 is restored to a circular shape. . That is, the guide arm 54 may move along the guide channel 37 of the elastic guide 36, and the stopper bump 38 of the guide jaw 55 and the elastic guide 36 may move. ) Can be walked together to prevent the slide 50 from randomly exiting the housing 30.

상기와 같이 도 7의 상태에서 케이블(60)을 화살표 A방향으로 상기 삽입공간(32)의 내부로 삽입하고, 상기 슬라이드(50)를 화살표 B방향으로 밀어주면 상기 슬라이드(50)가 하우징(30)에 장착되어 케이블(60)이 터미널(40)에 의해 고정된다.As shown in FIG. 7, when the cable 60 is inserted into the insertion space 32 in the direction of arrow A, and the slide 50 is pushed in the direction of arrow B, the slide 50 is connected to the housing 30. ), And the cable 60 is fixed by the terminal 40.

이를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상기 슬라이드(50)를 하우징(30)으로 밀어 장착시킨 상태가 도 8 및 도 9에 도시되어 있다. 여기에서 알 수 있듯이, 상기 슬라이드(50)의 고정구동부(51)는 상기 하우징(30)의 삽입공간(32) 내부로 삽입된다. 하지만 상기 손잡이부(52)는 상기 하우징(30)의 외부로 노출된 상태이다.This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8 and 9 show a state in which the slide 50 is pushed into the housing 30. As can be seen here, the fixed drive part 51 of the slide 50 is inserted into the insertion space 32 of the housing 30. However, the handle 52 is exposed to the outside of the housing 30.

상기 슬라이드(50)를 하우징(30)으로 밀어주면, 상기 가이드아암(54)은 상기 탄성가이드(36)의 가이드채널(37)을 따라 이동되고, 상기 고정구동부(51)는 상기 삽입공간(32)의 내부로 삽입된다.When the slide 50 is pushed into the housing 30, the guide arm 54 is moved along the guide channel 37 of the elastic guide 36, and the fixed driving part 51 is inserted into the insertion space 32. ) Is inserted into.

상기 고정구동부(51)가 상기 삽입공간(32)의 내부로 삽입되면서, 상기 가압 경사면(57)에는 상기 변형구동부(43)의 돌기부(43')가 안내된다. 따라서, 상기 고정구동부(51)의 삽입이 진행될수록, 상기 돌기부(43')는 점차 높이가 높아지는 가압경사면(57)에 안내되어 상기 변형구동부(43)의 후단은 상대적으로 위치가 높아진다.As the fixed driving unit 51 is inserted into the insertion space 32, the protrusion 43 ′ of the deformation driving unit 43 is guided to the pressure inclined surface 57. Therefore, as the fixed drive unit 51 is inserted, the protrusion 43 'is guided to the pressure inclined surface 57 which gradually increases in height so that the rear end of the deformable drive unit 43 has a relatively high position.

이와 같이 되면, 상기 연결부(41)에서 탄성변형이 일어나면서 상기 걸이부(42)가 상기 접점부(44)에 인접하게 된다. 이와 같이 되면, 상기 터미널(40)의 접점부(44)와 걸이부(42) 사이에 있는 케이블(60)이 상기 누름돌기(42')와 접점돌기(44')에 의해 물려져 고정된다. 참고로, 상기 연결부(41)와 몸체부(40')가 연결되는 부분에 형성된 변형홈(41')은 상기 연결부(41)에 힘이 고르게 작용하게 하면서 탄성변형이 원활하게 되도록 한다.In this case, the hook portion 42 is adjacent to the contact portion 44 while elastic deformation occurs in the connecting portion 41. In this case, the cable 60 between the contact portion 44 and the hook portion 42 of the terminal 40 is seized and fixed by the push protrusion 42 'and the contact protrusion 44'. For reference, the deformation groove 41 'formed at the portion where the connection portion 41 and the body portion 40' are connected allows the elastic deformation to be smoothly while the force is applied to the connection portion 41 evenly.

한편, 도 9에는 상기 슬라이드(50)가 하우징(30)의 내부로 완전히 삽입된 상태가 도시되어 있다. 이때에는 상기 터미널(40)에 구비되는 변형구동부(43)의 돌기부(43')가 상기 슬라이드(50)의 고정구동부(51) 상면에 형성된 가압경사면(57)을 통과하여 걸이홈(59)에 안착된다. 물론, 상기 걸이홈(59)의 높이는 상기 가압경사면(57)이전 부분의 높이보다 높게 형성된다. 이와 같이 됨에 의해 상기 슬라이드(50)가 상기 하우징(30)에 록킹되어 임의로 빠지지 않게 된다.Meanwhile, FIG. 9 illustrates a state in which the slide 50 is completely inserted into the housing 30. At this time, the projection part 43 'of the deformable driving part 43 provided in the terminal 40 passes through the pressure inclined surface 57 form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fixed driving part 51 of the slide 50 to the hook groove 59. It is seated. Of course, the height of the hook groove 59 is formed higher than the height of the portion before the pressure inclined surface (57). As a result, the slide 50 is locked to the housing 30 so as not to be detached arbitrarily.

본 발명의 권리는 위에서 설명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청구범위에 기재된 바에 의해 정의되며, 본 발명의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청구범위에 기재된 권리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과 개작을 할 수 있다는 것은 자명하다.The righ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above, but are defined by the claims, and various changes and modifications can be made by those skilled in the art within the scope of the claims. It is self-evident.

위에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한 플렉시블 케이블용 커넥터에서는 다음과 같은 효과를 얻을 수 있다.In the flexible cable connect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in detail above, the following effects can be obtained.

먼저, 본 발명에서는 하우징의 삽입공간으로 케이블이 삽입되는 방향과 상기 케이블의 고정을 위해 슬라이드가 삽입되는 방향이 서로 반대방향에서 이루어진다. 이와 같이 하우징에 케이블이 삽입되는 방향과 슬라이드가 잠금되는 방향이 서로 반대방향이면, 케이블을 하우징의 내부에 삽입하는 작업이 용이하게 이루어져 조립작업의 작업성이 높아지는 효과가 있다.First,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direction in which the cable is inserted into the insertion space of the housing and the direction in which the slide is inserted for fixing the cable are made in opposite directions. As such, when the direction in which the cable is inserted into the housing and the direction in which the slide is locked are opposite to each other, the operation of easily inserting the cable into the housing may be facilitated, thereby increasing the workability of the assembly operation.

그리고, 본 발명에서는 커넥터를 구성하는 하우징에 슬라이드를 조립할 때, 탄성가이드나 가이드아암의 탄성변형을 이용하므로, 하우징과 슬라이드를 조립하는 작업은 간단하면서도, 하우징과 슬라이드 사이의 조립상태가 쉽게 해제되지 않게 된다. 따라서, 커넥터 조립작업이 용이하고 조립과정에서의 불량발생이 방지되는 효과가 있다.In the present invention, when assembling the slide to the housing constituting the connector, using the elastic deformation of the elastic guide or the guide arm, the operation of assembling the housing and the slide is simple, the assembly state between the housing and the slide is not easily released. Will not. Therefore, the connector assembly work is easy and there is an effect that the occurrence of defects in the assembly process is prevented.

또한, 본 발명에서는 슬라이드중 하우징의 내부로 삽입되는 고정구동부에 가이드리브를 형성하여 인접하는 터미널 사이의 틈새를 정확하게 유지할 수 있도록 가이드리브를 형성하였다. 따라서, 터미널이 외력에 의해 변형되는 것을 방지함과 동시에 약간의 변형이 발생하더라도 가이드리브에 의해 원형으로 될 수 있어 터미널 사이의 간격을 항상 정확하게 유지할 수 있는 효과도 있다.In addition,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guide rib is formed in the fixed driving part inserted into the housing of the slide to accurately maintain the gap between the adjacent terminals. Therefore, the terminal is prevented from being deformed by an external force, and at the same time, even if a slight deformation occurs, the guide rib can be rounded, so that the spacing between the terminals can be always maintained accurately.

Claims (8)

내부에 케이블이 삽입되는 삽입공간이 형성되는 하우징과,A housing in which an insertion space into which a cable is inserted is formed; 상기 하우징의 삽입공간 내부에 다수개가 열을 지어 설치되는 터미널과,A terminal in which a plurality of rows are installed in an insertion space of the housing; 상기 하우징의 삽입공간으로 상기 케이블이 삽입되는 반대방향으로 직선운동하여 삽입되고, 삽입에 의해 상기 케이블이 터미널에 의해 고정되도록 하는 슬라이드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플렉시블 케이블용 커넥터.And a slide for inserting the cable in an opposite direction into which the cable is inserted into the insertion space of the housing, the slide for fixing the cable by the terminal by insertion.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의 측판부에 일단부가 연결되고 하우징의 측면을 따라 나란히 연장되게 탄성가이드가 더 구비되는데, 상기 탄성가이드에는 상기 슬라이드의 이동을 안내하는 가이드채널이 형성되고, 상기 가이드채널에는 상기 슬라이드가 하우징에서 탈거되는 것을 방지하는 탈거방지턱이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플렉시블 케이블용 커넥터.According to claim 1, The one end portion is connected to the side plate portion of the housing and the elastic guide is further provided to extend side by side along the side of the housing, the elastic guide is formed with a guide channel for guiding the movement of the slide, the guide And a stripping prevention jaw formed in the channel to prevent the slide from being removed from the housing.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터미널은 판상의 금속재질로 형성되는 것으로,According to claim 1 or 2, wherein the terminal is formed of a plate-like metal material, 몸체부와,Body, 상기 몸체부에서 연장되어 탄성변형가능하고 몸체부와 연결되는 부분에 변형홈이 형성되는 연결부와,A connection portion extending from the body portion to be elastically deformable and having a deformation groove formed at a portion connected to the body portion; 상기 연결부에서 연장되어 선단에 누름돌기가 구비되는 걸이부와,A hook part extending from the connection part and having a push protrusion at a tip end thereof; 상기 연결부에서 상기 걸이부와 반대방향으로 연장되고 상기 슬라이드와 접촉되는 돌기부를 구비하여 상기 연결부의 변형을 위한 힘을 받는 변형구동부와,A deformable driving part extending from the connection part in the opposite direction to the hook part and provided with a protrusion contacting the slide to receive a force for deforming the connection part; 상기 몸체부에서 상기 걸이부와 평행하게 연장되고 선단에 상기 누름돌기와 대응되는 접점돌기가 구비되어 케이블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접점부와,A contact portion extending from the body portion in parallel with the hook portion and provided with a contact protrusion corresponding to the push protrusion at a tip thereof, the contact portion being electrically connected to a cable; 상기 몸체부에서 상기 접점부의 반대쪽으로 연장되고 상기 하우징의 외부에 노출되어 기판에 실장되는 실장부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플렉시블 케이블용 커넥터.And a mounting portion extending from the body portion to the opposite side of the contact portion and exposed to the outside of the housing to be mounted on a substrate.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실장부에는 상기 슬라이드의 삽입을 안내하는 삽입안내면이 경사지게 형성됨을 특징으로 플렉시블 케이블용 커넥터.The connector of claim 3, wherein an insertion guide surface for guiding the insertion of the slide is inclined in the mounting portion.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드는,The method of claim 4, wherein the slide, 상기 터미널의 연결부의 탄성변형을 위한 가압경사면이 구비되는 고정구동부와,A fixed driving part provided with a pressure inclined surface for elastic deformation of the connection part of the terminal; 상기 고정구동부에 일체로 형성되고 사용자로부터 조작하기 위한 힘을 제공받는 손잡이부와,A handle part which is formed integrally with the fixed driving part and is provided with a force for operating from a user; 상기 손잡이부의 양단에 탄성변형 가능하게 구비되고 상기 가이드채널에 안착되며 선단에 상기 탈거방지턱에 선택적으로 걸어지는 걸이턱이 구비되는 가이드아암을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플렉시블 케이블용 커넥터.And a guide arm provided elastically deformable at both ends of the handle part and seated on the guide channel, and having a hooking jaw selectively at the distal end of the handle.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구동부의 상면에 형성된 가압경사면이 끝나는 위치에는 상기 터미널의 변형구동부에 구비된 돌기부가 걸어지는 걸이홈이 형성되어 슬라이드를 터미널에 록킹시킴을 특징으로 하는 플렉시블 케이블용 커넥터.6. The connector of claim 5, wherein a hook groove is formed at the end of the pressure inclined surface form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fixed driving part so that the protrusion provided on the deformation driving part of the terminal is locked to lock the slide to the terminal. .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구동부에는 상기 하우징에 설치되는 터미널 사이의 간격을 유지하는 가이드리브가 다수개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플렉시블 케이블용 커넥터.The flexible cable connector of claim 6, wherein a plurality of guide ribs are formed on the fixed driving part to maintain a gap between terminals installed in the housing.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드의 가이드아암에는 상기 탄성가이드에 접촉하여 이동을 안내하는 가이드스컷트가 더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플렉시블 케이블용 커넥터.The connector of claim 7, wherein the guide arm of the slide further comprises a guide cut for contacting the elastic guide to guide the movement.
KR1020050113646A 2005-11-25 2005-11-25 Connector for flexible cable KR100652199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113646A KR100652199B1 (en) 2005-11-25 2005-11-25 Connector for flexible cabl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113646A KR100652199B1 (en) 2005-11-25 2005-11-25 Connector for flexible cabl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652199B1 true KR100652199B1 (en) 2006-12-01

Family

ID=3773160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113646A KR100652199B1 (en) 2005-11-25 2005-11-25 Connector for flexible cabl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52199B1 (en)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71031Y1 (en) * 2011-12-23 2014-01-29 히로세코리아 주식회사 Connector for flexible cable
CN111403961A (en) * 2018-12-27 2020-07-10 莫列斯有限公司 Connector assembly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22010A (en) 1996-06-21 1998-01-23 Molex Inc Connector for flat flexible cable
US5779498A (en) 1994-10-31 1998-07-14 The Whitaker Corporation Flat cable connector
JPH10255926A (en) 1997-03-07 1998-09-25 Sharp Corp Connector
JP2000231971A (en) 1999-02-15 2000-08-22 Tyco Electronics Amp Kk Junction connector assembly and cable side connector used for it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779498A (en) 1994-10-31 1998-07-14 The Whitaker Corporation Flat cable connector
JPH1022010A (en) 1996-06-21 1998-01-23 Molex Inc Connector for flat flexible cable
JPH10255926A (en) 1997-03-07 1998-09-25 Sharp Corp Connector
JP2000231971A (en) 1999-02-15 2000-08-22 Tyco Electronics Amp Kk Junction connector assembly and cable side connector used for it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71031Y1 (en) * 2011-12-23 2014-01-29 히로세코리아 주식회사 Connector for flexible cable
CN111403961A (en) * 2018-12-27 2020-07-10 莫列斯有限公司 Connector assembly
US11025009B2 (en) 2018-12-27 2021-06-01 Molex, Llc Circuit substrate mounted cable connector
CN111403961B (en) * 2018-12-27 2021-08-13 莫列斯有限公司 Connector assembly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005210B2 (en) Electrical connector
US10230178B2 (en) Cable connector
US9748677B2 (en) Wire-to-board connector
CN106981754B (en) Connector with a locking member
JP2008066239A (en) Connector
EP0445973B1 (en) Contact wiping electrical connector
US11038289B2 (en) Electrical connector
US20090291590A1 (en) Connector
KR930018780A (en) Removably joining the first and second halves of an electrical connector
KR100652199B1 (en) Connector for flexible cable
KR200423590Y1 (en) Terminal for lamp holder
JP2015111565A (en) Contact member for plug connector and device comprising contact member
US20160248190A1 (en) Connector assembly
KR100662860B1 (en) Connector for flexible cable
JP2020167035A (en) connector
TW201943154A (en) Connector device having terminal pressing structure which can reduce a load applied to the second terminal and prevent the damage of the second terminal caused by plugging and unplugging of the first connector and the second connector
KR200451453Y1 (en) termianal
KR102191891B1 (en) Clip and connector assembly
US20070042629A1 (en) Latch for connector
KR100955054B1 (en) Connector assembly and assembling method for the same
KR200465415Y1 (en) Connector mounted on printed circuit board
KR101001888B1 (en) Connector for flexible cable
TWM552687U (en) Metal terminal
KR20100002986A (en) Connector
KR20220019482A (en) Connector and connector assembly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011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911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002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002

Year of fee payment: 10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