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52146B1 - Building ventilation system - Google Patents

Building ventilation system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52146B1
KR100652146B1 KR1020050070016A KR20050070016A KR100652146B1 KR 100652146 B1 KR100652146 B1 KR 100652146B1 KR 1020050070016 A KR1020050070016 A KR 1020050070016A KR 20050070016 A KR20050070016 A KR 20050070016A KR 100652146 B1 KR100652146 B1 KR 10065214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uilding
space
outside air
disposed
ventilation syste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70016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손장열
함흥돈
백용규
정용호
Original Assignee
한양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양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한양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05007001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52146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5214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52146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7/00Ventilation
    • F24F7/04Ventilation with ducting systems, e.g. by double walls; with natural circulation
    • F24F7/06Ventilation with ducting systems, e.g. by double walls; with natural circulation with forced air circulation, e.g. by fan positioning of a ventilator in or against a conduit
    • F24F7/10Ventilation with ducting systems, e.g. by double walls; with natural circulation with forced air circulation, e.g. by fan positioning of a ventilator in or against a conduit with air supply, or exhaust, through perforated wall, floor or ceil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2Ducting arrangements
    • F24F13/0227Ducting arrangements using parts of the building, e.g. air ducts inside the floor, walls or ceiling of a build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8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 F24F13/082Grilles, registers or guard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24Means for preventing or suppressing nois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28Arrangement or mounting of filt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Building Environments (AREA)

Abstract

A building ventilation system is provided to employ a floated floor structure to reduce noise between floors and prevent lowering of a ceiling, thereby guaranteeing a maximum indoor space. A building ventilation system includes a floated floor structure(10) disposed horizontally with a predetermined distance from a slab floor element(2) so that an indoor space of the building is formed thereon. A plurality of supporting dies(20) are disposed in a space(c) between the slab floor element and the floated floor structure with an interval to support the floated floor structure with respect to the slab floor element. An atmospheric air introduction unit is disposed between the floated floor structure and the slab floor element to introduce atmospheric air to the indoor space via the space between the floated floor structure and the slab floor element. The atmospheric air introduction unit has an inlet connecting the space between the floated floor structure and the slab floor element to the outside and mounted with a grill(33), an outlet(34) connecting the space between the floated floor structure and the slab floor element to the indoor space, and a blower fan mounted to the inlet for forcibly introducing the atmospheric air.

Description

건물환기시스템{Building ventilation system}Building ventilation system

도 1은 종래의 건물에서 사용되는 난방 및 환기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구성도이다.1 is a schematic view showing a heating and ventilation system used in a conventional building.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건물환기시스템의 개략적 사시도이다. 2 is a schematic perspective view of a building ventilation system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은 도 2의 Ⅲ-Ⅲ선 개략적 단면도이다.3 is a schematic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III-III of FIG. 2.

도 4는 도 3의 A부분의 상세도이다.4 is a detailed view of portion A of FIG. 3.

도 5는 도 2에 도시된 건물환기시스템의 주요부분에 대한 개략적 분리사시도이다. 5 is a schematic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main part of the building ventilation system shown in FIG.

도 6은 도 5의 Ⅵ-Ⅵ선 개략적 단면도이다.FIG. 6 is a schematic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line VI-VI of FIG. 5.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건물환기시스템의 개략적 사시도이다. 7 is a schematic perspective view of a building ventilation system according to another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건물환기시스템의 개략적 구성도이다. 8 is a schematic structural diagram of a building ventilation system according to another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9는 도 8에 도시된 건물환기시스템에서 뜬바닥 구조체와 슬래브 바닥체 사이의 공간을 위에서 본 평면도이다. FIG. 9 is a plan view of the space between the floating floor structure and the slab bottom in the building ventilation system shown in FIG. 8.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Description of the symbols for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s>

100 ... 건물환기시스템 1 ... 건물 외벽100 ... building ventilation system 1 ... building exterior wall

2 ... 슬래브 바닥체 3 ... 건물 내벽2 ... slab flooring 3 ... building interior walls

10 ... 뜬바닥 구조체 11 ... 파티클 보드10 ... floating floor structure 11 ... particle board

12 ... 합판 13 ... 난방패널12 ... plywood 13 ... heating panels

14 ... 마감재 18 ... 수용홈14 ... Finishing material 18 ... Receiving groove

19 ... 난방수 배관 20 ... 지지대19 ... heating piping 20 ... support

30 ... 공기유입덕트 31 ... 유입구30 ... air inlet duct 31 ... inlet

32 ... 필터 33 ... 그릴32 ... Filter 33 ... Grill

34 ... 배출구 40 ... 송풍팬34 ... outlet 40 ... blower fan

c ... 슬래브 바닥체와 뜬바닥 구조체 사이의 공간c ... the space between the slab floor and the float floor structure

p ... 건물 내벽 내의 공간 m ... 분리막p ... space within the inner wall of the building m ... separator

본 발명은 건물환기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뜬바닥 구조를 이용하여 효율적으로 환기를 실시할 수 있으며, 공간활용을 최대화할 수 있도록 구조가 개선된 건물환기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building ventilation system, and more particularly, to a ventilation system using a floating floor structure, and to a building ventilation system having an improved structure to maximize space utilization.

사무실이나 주택 등 건물에서 실내 공간을 쾌적하게 유지하기 위해서는 일정하게 환기를 시켜주어야 한다. 또한, 겨울철에는 온풍기 등을 이용하여 실내 공간을 일정한 온도로 유지시켜 주어야 한다. 그러나, 환기를 시키기 위해서 창문을 열면 난방효율이 저하된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따라, 종래의 난방 및 환기 시스템에서는 실외의 공기를 가열하여 실내 공간으로 유입시키는 것이 일반적이었다. 이러한 종래의 난방 및 환기시스템이 도 1에 도시되어 있다. In order to keep the indoor space comfortable in offices or houses, it must be regularly ventilated. In addition, in winter, the indoor space should be maintained at a constant temperature by using a warm air fan. However, there is a problem that the heating efficiency is lowered when the window is opened for ventilation. Accordingly, in a conventional heating and ventilation system, it is common to heat outdoor air and introduce it into an indoor space. Such a conventional heating and ventilation system is shown in FIG. 1.

도 1은 종래의 난방환기시스템의 개략적 구성도이다. 도 1에는 벽체(w)에 의하여 분리되어 있는 3개의 방(R1,R2,R3)이 도시되어 있다. 이 세 개의 방(R1,R2,R3)은 덕트(d)로 연결되어 있으며, 이 덕트(d)는 실외의 공기가 유입될 수 있도록 건물(b)의 외부로 연장되어 있다. 이 덕트(d)에는 실외의 공기를 유입시키기 위하여 팬(f)이 설치되어 있으며, 이 팬(f)의 후방에는 히터(h)가 설치되어 있다. 이러한 종래의 난방 및 환기시스템에서는, 도 1에 화살표로 도시된 바와 같이, 실외의 공기는 팬(f)에 의하여 덕트(d)로 유입된 후 히터(h)에 의하여 가열되어 각 방(R1,R2,R3)으로 공급되었다. 이렇게 외부로부터 공기가 유입되면서 실내공간을 난방시킴으로써 상기한 난방과 환기를 동시에 행함에 있어서 발생하는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었다. 그러나, 이러한 시스템은 거의 대부분 천장에 설치해야 하므로 천장이 필요이상으로 낮게 배치되어야 한다. 이에 따라 실내 공간의 높이가 줄어드고 공간활용이 최적화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종래의 난방 및 환기시스템이 천장에 설치되는 이유로, 외기를 가열하기 위해서는 천장에 별도의 히터(h)를 설치 및 사용함으로써 비용 및 에너지 소모가 크다는 문제점도 노출되었다. 1 is a schematic configuration diagram of a conventional heating ventilation system. 1 shows three rooms R1, R2, R3 separated by a wall w. These three rooms (R1, R2, R3) are connected by a duct (d), which extends to the outside of the building (b) so that outdoor air can be introduced. A fan f is provided in this duct d for introducing outdoor air, and a heater h is provided at the rear of the fan f. In this conventional heating and ventilation system, as shown by the arrows in FIG. 1, the outdoor air is introduced into the duct d by the fan f and then heated by the heater h so as to display each room R1,. R2, R3). As the air flows in from the outside, the indoor space can be heated to solve the problems caused by the above heating and ventilation at the same time. However, most of these systems have to be mounted on the ceiling, so the ceiling should be placed lower than necessary. Accordingly, there is a problem that the height of the indoor space is reduced and the space utilization is not optimized. In addition, since the conventional heating and ventilation system is installed on the ceiling, there is also a problem that the cost and energy consumption is high by installing and using a separate heater (h) on the ceiling to heat the outside air.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환기가 효율적으로 이 루어지며 공간을 최적으로 활용할 수 있는 건물환기시스템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solve the above problems, and an object thereof is to provide a building ventilation system that can efficiently utilize ventilation and make optimal use of space.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건물환기시스템은, 수직방향으로 배치되는 건물 외벽과, 상기 건물 외벽들 사이에 수평방향으로 배치되는 슬래브 바닥체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건물의 환기를 위한 것으로서, 상기 슬래브 바닥체로부터 상방향으로 이격되어 수평방향으로 배치되며, 그 상부에 건물의 실내 공간이 형성되는 뜬바닥 구조체; 상기 슬래브 바닥체와 뜬바닥 구조체의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뜬바닥 구조체를 상기 슬래브 바닥체에 대하여 지지하며, 상호 이격되게 배치되는 복수의 지지대; 및 외기를 상기 슬래브 바닥체와 뜬바닥 구조체 사이의 공간을 통해 상기 실내공간으로 유입시키기 위한 외기유입수단;을 구비하여, 외기를 상기 슬래브 바닥체와 뜬바닥 구조체 사이로 유입시켜 실내 공간을 환기시키는 것에 특징이 있다.Building ventilation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for the ventilation of the building comprising a building outer wall disposed in the vertical direction, and a slab floor disposed in the horizontal direction between the building outer walls, A floating floor structure spaced upward from the slab bottom body and disposed in a horizontal direction, and having an interior space of a building formed thereon; A plurality of supports disposed between the slab bottom and the float bottom structure to support the float bottom structure with respect to the slab bottom and to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nd outside air inflow means for introducing outside air into the indoor space through a space between the slab bottom body and the floating floor structure, and ventilating the indoor space by introducing outside air between the slab bottom body and the floating floor structure. There is a characteristic.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외기유입수단은, 상기 슬래브 바닥체와 뜬바닥 구조체의 사이에 배치되며, 외기가 유입될 수 있도록 그 일단에 배치되는 유입구와, 이 외기를 상기 건물의 실내 공간으로 배출시키도록 그 타단에 배치되는 배출구를 구비하는 공기유입덕트; 및 상기 외기를 상기 공기유입덕트내로 강제유입시키도록, 이 공기유입덕트의 유입구쪽에 설치되는 송풍팬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이 바람직하다.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outside air inlet means is disposed between the slab bottom body and the floating bottom structure, the inlet is disposed at one end so that outside air can be introduced, and discharge the outside air into the interior space of the building An air inlet duct having an outlet disposed at the other end thereof; And a blowing fan installed on the inlet side of the air inlet duct so as to force the outside air into the air inlet duct.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외기유입수단은, 외기가 유입될 수 있도록 상 기 뜬바닥 구조체와 슬래브 바닥체 사이의 공간과 건물의 외부를 상호 연통시켜주는 유입구와, 이 외기를 상기 실내공간으로 배출시키도록 상기 뜬바닥 구조체와 슬래브 바닥체 사이의 공간과 상기 실내공간을 상호 연통시켜주는 배출구와, 상기 유입구쪽에 배치되어 외기를 강제유입시키기 위한 송풍팬을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In add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outside air inlet means, the inlet for communicating the space between the floating floor structure and the slab bottom and the outside of the building so that the outside air can be introduced, and discharge the outside air into the indoor space It is preferable to have an outlet for communicating the space between the floating floor structure and the slab bottom body and the indoor space to each other, and a blowing fan disposed on the inlet side for forcing the outside air.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뜬바닥 구조체는 상기 지지대위에 배치되는 판상의 보드와, 상기 판상의 보드 위에 배치되는 난방수배관과, 상기 난방수 배관의 위에 배치되는 마감재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이 바람직하다. Furth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floating bottom structure is preferably made of a plate-like board disposed on the support, a heating water pipe disposed on the plate-like board, and a finishing material disposed on the heating water pipe.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난방수 배관과 판상의 보드 사이에는 합판이 적층되며, 상기 난방수 배관이 끼워져 고정될 수 있는 수용홈이 지그재그형으로 배치되어 있는 난방패널이 상기 합판과 마감재 사이에 적층되며, 상기 난방수 배관은 상기 난방패널의 수용홈에 끼워져 고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In add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plywood is laminated between the heating water pipe and the plate-like board, the heating panel is arranged between the plywood and the finishing material, the heating panel is arranged in a zig-zag accommodating groove which can be fixed by the heating water pipe. The heating water pipe is preferably fixed to the receiving groove of the heating panel.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유입구에는 그릴이 설치되며, 외기의 유동경로상 상기 유입구의 후방에는 외기를 걸러주기 위한 필터가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In add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inlet is provided with a grill, it is preferable that a filter for filtering outside air in the rear of the inlet on the flow path of the outside air is installed.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외기의 유동경로상 상기 송풍팬의 후방에는 외기의 유입에 따른 소음을 저감시킬 수 있도록, 상기 공기유입덕트의 내측면에 흡음재가 부착되고 상기 흡음재는 공기유입덕트의 일부분의 내측면에만 부착되고, 공기유입덕트 중 이 흡음재가 부착되는 부분의 공기유입단면적은 상기 흡음재가 부착되지 않는 부분의 단면적보다 넓게 형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sound absorbing material is attached to the inner surface of the air inlet duct so as to reduce the noise caused by the inflow of the outside air in the rear of the blowing fan on the flow path of the outside air and the sound absorbing material is a portion of the air inlet duct The air inlet cross-sectional area of the portion of the air inlet duct to which the sound absorbing material is attached is preferably wider than the cross-sectional area of the portion to which the sound absorbing material is not attached.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외기의 유동경로상 상기 송풍팬의 후방에는 외기의 유입에 따른 소음을 저감시킬 수 있도록 흡음챔버가 마련되며,이 흡음챔버는 양단이 개방된 중공형의 챔버와, 이 챔버의 내측면에 부착된 흡음재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 sound absorption chamber is provided at the rear of the blowing fan on the flow path of the outside air so as to reduce the noise caused by the inflow of the outside air, the sound absorption chamber is a hollow chamber having both ends open, It is preferable to include a sound absorbing material attached to the inner surface of the chamber.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건물에는 상기 실내 공간을 분할하기 위하여 수직방향으로 내벽이 배치되며, 상기 공기유입덕트는 이 내벽을 따라 상방으로 연장되어 상기 배출구는 상기 실내 공간의 상부에 배치되고, 상기 공기유입덕트에서 건물의 내벽을 따라 상방으로 연장되어 있는 부분은 상기 건물의 내벽의 내부에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In add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inner wall is disposed in the vertical direction in order to divide the indoor space in the building, the air inlet duct extends upward along the inner wall so that the outlet is disposed in the upper portion of the indoor space, The portion of the air inlet duct extending upward along the inner wall of the building is preferably disposed inside the inner wall of the building.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건물에는 상기 실내 공간을 분할하기 위하여 수직방향으로 내벽이 배치되며, 상기 배출구는 상기 내벽의 상부에 배치되고, 상기 뜬바닥 구조체와 슬래브 바닥체 사이의 공간과 상기 배출구가 상호 연통되도록 상기 내벽의 내부는 공기유동공간이 형성되어 있어, 외기는 상기 유입구를 통해 도입된 후 상기 뜬바닥 구조체와 슬래브 바닥체 사이의 공간과 상기 내벽 내의 공기유동공간을 거쳐 실내공간으로 배출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inner wall is disposed in the vertical direction in order to divide the indoor space in the building, the outlet is disposed on the upper portion of the inner wall, the space between the floating floor structure and the slab bottom body and the outlet The interior of the inner wall is formed with an air flow space so as to communicate with each other, the outside air is introduced through the inlet and discharged to the interior space through the space between the floating floor structure and the slab bottom body and the air flow space in the inner wall It is preferable.

이하, 본 발멸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건물환기시스템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the building ventilation system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건물환기시스템의 개략적 사시도이며, 도 3은 도 2의 Ⅲ-Ⅲ선 개략적 단면도이고, 도 4는 도 3의 A부분의 상세도이며, 도 5는 도 2에 도시된 건물환기시스템의 주요부분에 대한 개략적 분리사시도이 고, 도 6은 도 5의 Ⅵ-Ⅵ선 개략적 단면도이다.Figure 2 is a schematic perspective view of a building ventilation system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3 is a schematic 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III-III of Figure 2, Figure 4 is a detailed view of the portion A of Figure 3, Figure 5 FIG. 6 is a schematic separated perspective view of the main part of the building ventilation system shown in FIG. 2, and FIG. 6 is a schematic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line VI-VI of FIG.

도 2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건물환기시스템(100)은 뜬바닥 구조체(10), 지지대(20) 및 외기유입수단을 구비한다. 2 to 6, the building ventilation system 100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provided with a floating floor structure 10, the support 20 and the outside air inlet means.

본 발명에 따른 건물환기시스템(100)이 사용되는 건물(9)은 수직한 방향으로 배치되고 그 내부에 일정한 공간을 형성시키는 건물 외벽(1)과, 이 건물 외벽(1) 사이에 수평방향으로 배치되는 슬래브 바닥체(2)와, 상기 건물 외벽(1) 사이에 수직방향으로 배치되는 내벽(3)을 구비한다. 다층 건물의 경우 상기 슬래브 바닥체(2)가 하나의 층을 형성하게 된다. 또한, 상기 내벽(3)은 상기 슬래브 바닥체(2)위에 형성된 실내 공간을 분할한다. The building 9, in which the building ventilation system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used, is disposed in a vertical direction and horizontally between the building outer wall 1 and the building outer wall 1 forming a constant space therein. It is provided with the slab bottom body 2 arrange | positioned and the inner wall 3 arrange | positioned in the vertical direction between the said building exterior wall 1. In the case of a multi-story building, the slab floor 2 forms one floor. In addition, the inner wall 3 divides the interior space formed on the slab bottom 2.

상기 뜬바닥 구조체(10)는 중량충격음으로 인한 층간소음을 저감하기 위하여 개발된 구조로서 근래에 많이 사용되고 있다. 종래의 건물에서는 슬래브 바닥체(2) 위에 난방수 배관을 배치하고 그 위에 몰타르층을 적층시키는 구조로 되어 있었으나, 이러한 경우 상층에서 발생하는 중량충격음으로 인한 소음, 진동이 하층으로 전달되는 문제가 있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다양한 층간소음저감재를 적층시키기도 하였으나 소음저감효과가 뛰어나지는 않았으며, 이에 따라 실내 공간의 바닥을 슬래브 바닥체(2)로부터 이격시키는 이른바 뜬바닥 구조가 도입되었다. 본 발명에 따른 건물환기시스템(100)은 이러한 뜬바닥 구조에 사용되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건물환기시스템(100)에서 상기 뜬바닥 구조체(10)는 상기 슬래브 바닥체(2)로부터 대략 50mm 내지 100mm 정도 상방으로 이격되어 있으며, 이 뜬바닥 구조체(10)는 슬래브 바닥체(2)와 나란하도록 수평방향으로 배치된다. 이에 따라, 상기 슬래브 바닥체(2)와 뜬바닥 구조체(10) 사이에는 소정의 공간(c)이 형성된다. The floating floor structure 10 has been used in recent years as a structure developed to reduce the interlayer noise due to the heavy impact sound. In the conventional building, a heating water pipe is disposed on the slab bottom 2 and a mortar layer is stacked thereon. However, in this case, noise and vibration due to heavy impact sound generated in the upper floor are transmitted to the lower floor. . In order to solve this problem, various interlayer noise reduction materials were laminated, but the noise reduction effect was not excellent. Accordingly, a so-called floating floor structure was introduced to separate the floor of the indoor space from the slab bottom 2. The building ventilation system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used for such floating floor structure. In the building ventilation system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floating floor structure 10 is spaced about 50 mm to 100 mm upward from the slab bottom body 2, and the floating floor structure 10 is a slab bottom body ( It is arranged in the horizontal direction parallel to 2). Thus, a predetermined space c is formed between the slab bottom 2 and the floating bottom structure 10.

한편, 이 뜬바닥구조체(10)는 다층으로 형성되는데, 가장 아래층에는 판상으로 형성된 보드(11)가 배치된다. 이 보드(11)는 공지의 이른바 파티클 보드(particle board)가 사용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이 판상의 보드(11)의 상측에는 합판(12)이 적층된다. 이 합판(12)은 소정 두께의 목재로 되어 있다. 상기 합판(12)의 위에는 난방패널(13)이 적층된다. 이 난방패널(13)도 공지의 부재로서 온수온돌패널로 불리기도 한다. 이 난방패널(13)의 상측에는 후술할 난방수 배관(19)을 수용하여 고정시키기 위한 수용홈(18)이 형성되어 있다. 이 수용홈(18)은 난방수 배관(19)의 배치형태를 자유롭게 할 수 있도록 상기 난방패널(13)에 그물망처럼 얼기설기 배치되어 있다. On the other hand, the floating floor structure 10 is formed in a multi-layer, the board 11 is formed in a plate shape on the bottom layer. As for this board 11, a so-called particle board known in the art is generally used. On the upper side of the plate-shaped board 11, plywood 12 is laminated. The plywood 12 is made of wood of a predetermined thickness. The heating panel 13 is stacked on the plywood 12. This heating panel 13 is also known as a hot water ondol panel as a known member. An accommodating groove 18 is formed above the heating panel 13 to accommodate and fix the heating water pipe 19 to be described later. The accommodating groove 18 is arranged in the heating panel 13 to freeze like a mesh so as to freely arrange the heating water pipe 19.

상기 난방수 배관(19)은 온수를 순환시켜 상기 건물(9)의 실내 공간을 난방하기 위한 것으로서 보일러(미도시)와 펌프(미도시) 등으로 이루어진 온수시스템에 연결되어 있다. 즉, 양단이 모두 상기 온수시스템에 연결되어 순환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이 난방수 배관(19)은 실내 공간의 열전달면적과 열전달시간을 충분히 확보할 수 있도록 실내 공간에 지그재그형으로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난방수 배관(19)은 상기 난방패널(13)의 수용홈(18)에 끼워져 고정된다. 그러나, 분리가 불가능하게 완전히 고정되는 것은 아니며, 난방계획에 따라 그 배치를 변경할 수 있도록 상기 수용홈(18)에 분리 가능하게 끼워진다. The heating water pipe 19 is used to circulate hot water to heat the interior space of the building 9 and is connected to a hot water system including a boiler (not shown), a pump (not shown), and the like. That is, both ends are connected to the hot water system so as to be circulated. The heating water pipe 19 is preferably arranged in a zigzag shape in the indoor space so as to ensure sufficient heat transfer area and heat transfer time of the indoor space.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heating water pipe 19 is fitted into the receiving groove 18 of the heating panel 13 is fixed. However, it is not completely impossible to be separated, it is detachably fitted in the receiving groove 18 so that the arrangement can be changed according to the heating plan.

상기 난방패널(13)의 상측에는 마감재(14)가 적층된다. 이 마감재(14)는 건물의 용도에 따라 타일, 나무마루 또는 장판 등 다양한 재료로 형성될 수 있다. The finishing material 14 is stacked on the heating panel 13. The finish 14 may be formed of various materials, such as tiles, parquet or flooring, depending on the purpose of the building.

상기한 구조로 이루어진 뜬바닥 구조체(10)에서 상기 난방수 배관(19)을 통해 온수가 순환되면, 이 온수의 열은 상기 마감재(14)를 통하여 실내 공간으로 전달될 뿐만 아니라, 상기 합판(12)과 파티클 보드(11)를 거쳐 슬래브 바닥체(2)와 뜬바닥 구조체(10) 사이의 공간(c)으로도 전달된다. When hot water is circulated through the heating water pipe 19 in the floating floor structure 10 having the above-described structure, the heat of the hot water is transferred not only to the interior space through the finishing material 14, but also to the plywood 12. And the particle board 11 are also transferred to the space c between the slab bottom 2 and the floating bottom structure 10.

상기 지지대(20)는 뜬바닥 구조체(10)를 슬래브 바닥체(2)에 대하여 지지하기 위한 것으로서, 뜬바닥 구조체(10)와 슬래브 바닥체(2) 사이에 배치된다. 이 지지대(20)는 복수개 배치되어 상호 일정 간격으로 이격되어 넓게 바둑판 형태로 배치되어 있다. 이 지지대(20)들의 높이는 대략 50mm 내지 100mm이며, 대략 'I'자 형상의 단면을 가지며, 강도가 높은 금속소재로 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support 20 is for supporting the floating bottom structure 10 with respect to the slab bottom 2, and is disposed between the floating bottom structure 10 and the slab bottom 2. The support 20 is arranged in a plurality of checker board form a plurality of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t regular intervals. The height of the support 20 is approximately 50mm to 100mm, has a cross-section of approximately 'I' shape, it is preferable that the high-strength metal material.

상기 외기유입수단은 외기를 상기 실내공간으로 도입시키기 위한 것으로서, 공기유입덕트(30) 및 송풍팬(40)을 구비한다. 상기 공기유입덕트(30)는 건물 외부의 외기를 상기 건물(9)의 실내 공간으로 유입시키기위한 것으로서, 상기 슬래브 바닥체(2)와 뜬바닥 구조체(10) 사이의 공간(c)에 설치된다. 이에 따라, 상기 공기유입덕트(30)의 양단은 개방되어, 그 일단은 상기 건물(9)의 외부와 연통되어 유입구(31)가 형성되며 그 타단은 상기 건물(9)의 실내 공간과 연통되어 배출구(34)를 형성한다. 본 실시예에서, 이 공기유입덕트(30)의 경로는 상기 건물의 외벽(1)으로부터 시작되어 상기 슬래브 바닥체(2)와 뜬바닥 구조체(10) 사이를 거쳐 상기 건물(9)의 내벽(3)을 따라 상방향으로 전개되어 마감된다. 즉, 공기유입덕트(30)의 유입구(31)는 건물 외벽(1)에 근접하여 실내공간의 하부에 설치되고 배출구(34)는 건물 내벽(3)에 설치되어 실내공간의 상부에 배치된다. The outside air inlet means is for introducing outside air into the indoor space, and includes an air inlet duct 30 and a blowing fan 40. The air inlet duct 30 is to introduce external air from the outside of the building into the interior space of the building 9, and is installed in the space c between the slab floor 2 and the floating floor structure 10. . Accordingly, both ends of the air inlet duct 30 are opened, one end thereof is in communication with the outside of the building 9 to form an inlet 31, and the other end thereof is in communication with the interior space of the building 9. The outlet 34 is formed. In this embodiment, the path of the air inlet duct 30 starts from the outer wall 1 of the building and passes between the slab floor 2 and the floating floor structure 10 to the inner wall of the building 9 ( Follow 3) upwards to finish. That is, the inlet 31 of the air inlet duct 30 is installed in the lower portion of the interior space near the building exterior wall 1 and the outlet 34 is installed in the interior wall 3 of the building and disposed above the interior space.

본 실시예에서는 이 공기유입덕트(30)가 건물 내벽(3)의 내부에 배치되어 있는 것으로 설명 및 도시되어 있다. 그러나 이에 국한되는 것은 아니며, 공기유입덕트(30)는 건물 내벽(3)의 내부가 아닌 내벽(3) 외부 즉, 상기 실내 공간에 설치되어 내벽(3)을 따라 배치되어 있을 수도 있으며, 사무실 공간과 같이 내벽이 마련되지 않은 곳에서는 기둥이나 외벽을 따라 배치될 수도 있다. 정리하면, 상기 공기유입덕트(30)는 건물 외부의 외기를 상기 슬래브 바닥체(2)와 뜬바닥 구조체(10) 사이로 도입시키기 위한 것이므로, 이 공기유입덕트(30)는 우성 상기 슬래브 바닥체(2)와 뜬바닥 구조체(10) 사이에 배치만 되면, 그 후에 실내 공간으로 배출시키는 경로는 건물에 따라 다양하게 배치될 수 있다. In this embodiment, the air inlet duct 30 is described and illustrated as being disposed inside the building inner wall 3.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the air inlet duct 30 may be installed outside the inner wall 3 instead of the inner wall 3 of the building, that is, installed in the indoor space and disposed along the inner wall 3. Where the inner wall is not provided, such as may be arranged along the pillar or outer wall. In summary, since the air inlet duct 30 is for introducing external air from outside the building between the slab bottom 2 and the floating bottom structure 10, the air inlet duct 30 is the dominant slab bottom ( Once disposed between the 2) and the floating floor structure 10, the path to be discharged to the interior space thereafter can be variously arranged according to the building.

또한, 상기 난방수 배관(19)으로부터 이 공기유입덕트(30)로 열전달이 잘 되도록 하는 측면에서, 즉 열전달면적과 열전달시간을 확보하기 위하여 이 공기유입덕트(30)는 상기 난방수 배관(19)을 배치형태를 따라 지그재그형으로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In addition, in order to ensure good heat transfer from the heating water pipe 19 to the air inlet duct 30, that is, in order to ensure a heat transfer area and a heat transfer time, the air inlet duct 30 is connected to the heating water pipe 19. ) Is preferably arranged in a zigzag shape along the arrangement.

한편, 상기 유입구(31)에는 일반적으로 그릴(33,grille)이 설치되어, 일정 부피 이상의 휴지나 오물질이 공기유입덕트(30)내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한다. 또한, 도입하고자 하는 외기의 유동경로상 상기 공기유입덕트(30)의 유입구(31) 후방에는 필터(32)가 설치된다. 이 필터(32)는 도입된 외기 중의 먼지입자나 오염물질 등을 걸러내기 위한 것으로서, 공지의 다양한 필터가 사용될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the inlet 31 is generally provided with a grill (33, grille), to prevent a certain volume or more of the toilet paper or dirt to enter the air inlet duct (30). In addition, the filter 32 is installed behind the inlet 31 of the air inlet duct 30 on the flow path of the outside air to be introduced. The filter 32 is for filtering out dust particles, contaminants, and the like in the introduced outside air, and various known filters may be used.

상기 송풍팬(40)은 건물(9) 외부의 외기를 강제유입하여 이송시키기 위한 것으로서, 공기유입덕트(30)의 유입구(31)쪽 더욱 상세하게는 상기 필터(32)의 후방에 배치된다. 이 송풍팬(40)에 전원이 인가되면 건물 외부의 공기가 상기 공기유입덕트(30)내로 강제압송된다. The blowing fan 40 is for forcibly inflowing and transporting outside air outside the building 9, and more specifically, is disposed at the rear of the filter 32 toward the inlet 31 of the air inlet duct 30. When power is applied to the blower fan 40, the air outside the building is forced to the air inlet duct 30.

상기 송풍팬(40)의 후방에는 외기의 유동에 따른 소음을 저감시킬 수 있도록 흡음재(35)가 마련된다. 이 흡음재(35)는 스펀저 등과 같이 완충성을 가지는 공지의 재료들이 사용될 수 있으며, 상기 공기유입덕트(30)의 내측면에 부착된다. 그러나, 이 흡음재(35)는 공기유입덕트(30)의 전체 길이에 걸쳐 부착되는 것은 아니며, 송풍팬(40)의 후방 일부에만 부착된다. 상기 흡음재(35)가 부착되는 부분에서, 상기 공기유입덕트(30)의 공기유입단면적은 흡음재(35)가 부착되지 않는 부분 즉, 외기의 유동경로상 흡음재(35)가 부착되는 부분의 후방보다 넓게 형성되어 있다. The rear of the blowing fan 40 is provided with a sound absorbing material 35 to reduce the noise caused by the flow of the outside air. The sound absorbing material 35 may be a known material having a cushioning property such as a sponge, etc., and is attached to the inner surface of the air inlet duct 30. However, the sound absorbing material 35 is not attached over the entire length of the air inlet duct 30, but is attached only to the rear part of the blowing fan 40. At the portion where the sound absorbing material 35 is attached, the air inflow cross-sectional area of the air inlet duct 30 is less than the rear of the portion where the sound absorbing material 35 is not attached, that is, the portion where the sound absorbing material 35 is attached on the flow path of the outside air. Widely formed

한편, 상기 건물의 외벽(1)에는 배기구(7)가 마련되어, 실내 공간에 있는 공기를 외부로 배출시킬 수 있도록 한다. On the other hand, the outer wall (1) of the building is provided with an exhaust port 7 so that the air in the interior space can be discharged to the outside.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건물환기시스템(100)의 사용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Hereinafter, a use example of the building ventilation system 100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상기한 구성으로 이루어진 건물환기시스템(100)을 건물에 설치한 후, 상기 송풍팬(40)에 전원을 인가하면 건물(9) 외부의 공기는 유입구(31)에 설치된 그릴(33)을 통해 공기유입덕트(30)의 내부로 도입된다. 이 때, 휴지 등 일정 부피 이상의 오물질은 그릴(33)에 걸쳐 공기유입덕트(30)의 내부로의 유입이 방지된다. 이렇게 유입된 외기는 필터(32)를 거쳐 걸러지고 송풍팬(40)을 통과한다. 이 때, 외기가 송풍팬(40)에 의하여 강제압송됨에 따라 발생되는 소음은 상기 송풍팬(40)의 후방에 배치된 흡음재(35)에 의하여 저감됨으로써 실내공간에 소음이 전달되지 않게 된다. 흡음재(35)가 부착된 부분을 지난 외기는 상기 슬래브 바닥체(2)와 뜬바닥 구조체(10) 사이를 통과한 후 건물(9) 내벽을 따라 상승하여 배출구(34)를 통해 건물(9)의 실내공간으로 공급되어 환기가 실시된다. After installing the building ventilation system 100 having the above configuration in a building, when power is supplied to the blowing fan 40, the air outside the building 9 is aired through the grill 33 installed in the inlet 31. It is introduced into the inlet duct 30. At this time, dirt or more of a certain volume such as a tissue is prevented from flowing into the air inlet duct 30 over the grill 33. The outside air introduced in this way is filtered through the filter 32 and passes through the blowing fan 40. At this time, the noise generated as the outside air is forcedly compressed by the blowing fan 40 is reduced by the sound absorbing material 35 disposed behind the blowing fan 40 so that the noise is not transmitted to the indoor space. The outside air passing through the portion where the sound absorbing material 35 is attached passes through the slab bottom 2 and the floating bottom structure 10, and then rises along the inner wall of the building 9, through the outlet 34, and the building 9. It is supplied to the indoor space of the ventilation is carried out.

한편, 겨울철 등에는 이렇게 유입된 외기를 가열하여 온풍을 실내공간으로 들여보내야 한다. 종래에는 별도의 히터를 설치하여 도입된 외기를 가열하였으나, 본 발명에서는 도입된 외기가 공기유입덕트(30)를 통과하는 중에 이 공기유입덕트(30)의 상방에 배치된 난방수 배관(19)에 의하여 가열되어 별도의 히터가 필요없다는 장점이 있다. 이렇게 계속적으로 실내 공간에 외기를 유입시키면 실내공간에 있던 공기는 상기 건물 외벽(1)에 설치된 배기구(7)를 통해 외부로 배출되므로 환기가 행해지게 된다. On the other hand, in winter, the warm air must be introduced into the indoor space by heating the introduced outdoor air. Conventionally, a separate heater is installed to heat the introduced air, but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heated water pipe 19 disposed above the air inlet duct 30 while the introduced air passes through the air inlet duct 30. It is heated by the advantage that there is no need for a separate heater. When the air is continuously introduced into the indoor space, the air in the indoor space is discharged to the outside through the exhaust port 7 installed in the outer wall 1 of the building, whereby ventilation is performed.

본 발명에 따른 환기시스템(100)에서는 뜬바닥 구조의 건물의 장점인 층간소음저감될 뿐만 아니라, 뜬바닥 구조에서 상기 뜬바닥 구조체(10)의 하부공간을 환기에 사용함으로써 종래의 뜬바닥 구조건물의 환기시스템과 같이 천장공간에 덕트가 설치됨으로써 실내공간의 높이가 낮아지는 문제점이 발생하지 않으며, 공간을 최적으로 활용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종래의 환기시스템과 같이 별도의 히터를 필요로 하지 않으므로 에너지 소모가 줄어든다는 장점이 있다. In the ventilation system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not only floor noise, which is an advantage of the building of the floating floor structure, is reduced, but also the conventional floating floor structure building by using the lower space of the floating floor structure 10 in the floating floor structure. By installing the duct in the ceiling space like the ventilation system of the problem does not occur the height of the indoor space is lowered, there is an advantage that can utilize the space optimally. In addition, since there is no need for a separate heater as in the conventional ventilation system, there is an advantage that the energy consumption is reduced.

지금까지, 상기 공기유입덕트(30)의 배출구(34)가 건물 내벽(3)의 상부에 배치되는 것으로 설명 및 도시하였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뜬바닥 구조체(10)에 직접 설치될 수도 있다. 이러한 형태의 실시예가 도 7에 도시되어 있다. Until now, the outlet 34 of the air inlet duct 30 has been described and illustrated as being disposed above the inner wall 3 of the building, but is not necessarily limited thereto and may be installed directly on the floating floor structure 10. . An embodiment of this type is shown in FIG. 7.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건물환기시스템의 개략적 사시도이다. 7 is a schematic perspective view of a building ventilation system according to another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7을 참조하면, 상기 공기유입덕트(30)는 상기 슬래브 바닥체(2)와 뜬바닥 구조체(10) 사이에만 배치되고, 배출구(34)는 뜬바닥 구조체(10)를 관통하여 직접 설치되어 있다. 즉, 건물의 형태와 용도에 따라 이 배출구(34)는 다양한 곳에 배치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7, the air inlet duct 30 is disposed only between the slab bottom 2 and the floating bottom structure 10, and the outlet 34 is directly installed through the floating bottom structure 10. have. In other words, the outlet 34 may be arranged in various places depending on the form and use of the building.

지금까지, 상기 외기유입수단이 공기유입덕트(3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으로 설명 및 도시하였으나 본 발명에 따른 건물환기시스템의 외기유입수단은 반드시 이러한 형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공기유입덕트(30)를 배제하고 이루어질 수도 있다. 이러한 형태의 실시예가 도 8 및 도 9에 도시되어 있다. Until now, the external air inlet means has been described and shown to include an air inlet duct 30, but the air inlet means of the building ventilation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necessarily limited to this form, but the air inlet duct 30 It can be done without exclusion. An embodiment of this type is shown in FIGS. 8 and 9.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건물환기시스템의 개략적 구성도이며, 도 9는 도 8에 도시된 건물환기시스템에서 뜬바닥 구조체와 슬래브 바닥체 사이의 공간을 위에서 본 평면도이다. 8 is a schematic configuration diagram of a building ventilation system according to another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9 is a plan view of the space between the floating floor structure and the slab floor in the building ventilation system shown in FIG. 8.

도 8 및 도 9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건물환기시스템(200)은 상기 슬래브 바닥체(2)와 뜬바닥 구조체(10) 사이의 공간(c)에 공기유입덕트가 마련되어 있지 않다. 건물의 외벽(1)에는 유입구가 마련되어 있으며, 이 유입구에는 그릴(33)이 설치되어 있다. 또한, 상기 건물의 내벽(3) 상부에는 배출구(34)가 마련되어 있다. 이 내벽(3)의 내부는 비어 있어 건물 외기가 유동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도 9에 실선 화살표로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유입구(31)를 통해서 도입된 외기는 뜬바닥 구조체(10)와 슬래브 바닥체(2) 사이의 공간(c)을 거쳐 상기 내벽(3) 내부의 공간(p)으로 유입된다. 그 후 이 외기는 상기 내벽(3) 내부 공간(p)을 따라 상승하여, 도 8에 점선 화살표로 도시된 바와 같이, 최종적으로 이 내벽(3)의 상부에 마련된 배출구(34)를 통해 상기 실내 공간으로 유입됨으로써 실내 공간을 환기시키게 된다. 8 and 9, the building ventilation system 200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provided with an air inlet duct in the space (c) between the slab bottom body 2 and the floating floor structure (10) Not. An inlet is provided in the outer wall 1 of the building, and a grill 33 is provided in the inlet. In addition, an outlet 34 is provided above the inner wall 3 of the building. The interior of the inner wall 3 is empty so that the outside air of the building can flow. As shown by the solid arrows in FIG. 9, the outside air introduced through the inlet 31 passes through the space c between the floating bottom structure 10 and the slab bottom 2. Flows into space p. The outside air then rises along the inner space p of the inner wall 3, finally through the outlet 34 provided on the upper part of the inner wall 3, as indicated by the dotted arrows in FIG. 8. By entering the space, the indoor space is ventilated.

도 8 및 도 9에 도시된 실시예에서도 뜬바닥 구조체(10)에는 도 3 내지 도 7에 도시된 실시예와 동일하게 난방수배관 등이 설치되어 있다. 상기 외기가 실내 공간으로 공급되기 전에 상기 난방수배관으로부터 충분한 열을 전달받기 위해서는 상기 뜬바닥 구조체(10)와 슬래브 바닥체(2) 사이의 공간(c)에 충분한 시간동안 머물러 있어야 하므로 공기의 유동경로를 지그재그형으로 배치시켜 주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실시예에서는 이를 위해 상기 공간(c)에 분리막(m)을 배치시켜 외기의 유동경로를 지그재그형으로 배치한다. 그러나, 반드시 지그재그형이 아니더라도 외기가 일정 시간 이상 상기 공간(c)에 머물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8 및 도 9에 도시되어 있는 실시예에서도, 도 3 내지 도 7에 도시된 실시예에서 설명된 구성요소들, 더욱 상세하게는 공기유입덕트를 제외한 송풍팬, 흡음재, 필터 등 을 포함할 수 있다. 다만, 도 8 및 도 9에 도시된 실시예에는 공기유입덕트가 마련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흡음재를 부착시킬 수 있는 별도의 흡음챔버(미도시)가 필요하다. 즉, 상기 외기의 유동경로상 유입구의 직후방에 배치된 송풍팬(미도시) 의 후방에는 외기의 유입에 따른 소음을 저감시킬 수 있도록 흡음챔버(미도시)가 마련되며, 이 흡음챔버는 양단이 개방된 중공형의 챔버(미도시)와, 이 챔버의 내측면에 부착된 흡음재(미도시)로 이루어질 수 있다. In the embodiment shown in FIGS. 8 and 9, the floating bottom structure 10 is provided with a heating water pipe in the same manner as the embodiment shown in FIGS. 3 to 7. In order to receive sufficient heat from the heating water pipe before the outside air is supplied to the indoor space, air must flow in the space c between the floating floor structure 10 and the slab bottom 2 for a sufficient time. It is desirable to arrange the path in a zigzag shape. In this embodiment, the separation path m is disposed in the space c to arrange the flow path of the outside air in a zigzag shape. However, even if it is not necessarily zigzag, it is preferable to allow the outside air to stay in the space c for a predetermined time or more. 8 and 9, the components described in the embodiments illustrated in FIGS. 3 to 7, and more specifically, a blower fan, a sound absorbing material, a filter, and the like except for the air inlet duct may be included. have. However, since the air inlet duct is not provided in the embodiment illustrated in FIGS. 8 and 9, a separate sound absorbing chamber (not shown) capable of attaching a sound absorbing material is required. That is, a sound absorbing chamber (not shown) is provided at the rear of the blowing fan (not shown) disposed immediately after the inlet of the flow path of the outside air so as to reduce noise caused by the inflow of the outside air, and the sound absorbing chamber is provided at both ends. The open hollow chamber (not shown) and a sound absorbing material (not shown) attached to the inner surface of the chamber can be made.

본 발명은 첨부된 도면에 도시된 일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보호 범위는 첨부된 청구 범위에 의해서만 정해져야 할 것이다.Although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one embodiment shown in the accompanying drawings, this is merely exemplary, and it will be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various modifications and equivalent other embodiments are possible. Could be. Accordingly, the true scope of protection of the invention should be defined only by the appended claims.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건물환기시스템(100)은 뜬바닥 구조에 따라 층간소음이 저감되면서도, 종래의 뜬바닥구조에 있어서 환기시스템을 천장에 설치함으로써 천장이 낮아지는 문제점을 해결하여 최적의 공간활용이 가능하며, 외기 도입시 별도의 히터 등 가열수단이 필요 없으므로 에너지소모가 적고 경제적이라는 장점이 있다. As described above, the building ventilation system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olves the problem of lowering the ceiling by installing a ventilation system on the ceiling in the conventional floor structure, while reducing floor noise according to the floor structure. Optimum space utilization is possible, and there is no need for a separate heater such as a heater when introducing outside air, which has the advantage of low energy consumption and economy.

Claims (17)

수직방향으로 배치되는 건물 외벽과, 상기 건물 외벽들 사이에 수평방향으로 배치되는 슬래브 바닥체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건물의 환기를 위한 건물환기시스템으로서,A building ventilation system for ventilation of a building including a building outer wall disposed in a vertical direction and a slab floor disposed in a horizontal direction between the building outer walls. 상기 슬래브 바닥체로부터 상방향으로 이격되어 수평방향으로 배치되며, 그 상부에 건물의 실내 공간이 형성되는 뜬바닥 구조체;A floating floor structure spaced upward from the slab bottom body and disposed in a horizontal direction, and having an interior space of a building formed thereon; 상기 슬래브 바닥체와 뜬바닥 구조체의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뜬바닥 구조체를 상기 슬래브 바닥체에 대하여 지지하며, 상호 이격되게 배치되는 복수의 지지대; 및 A plurality of supports disposed between the slab bottom and the float bottom structure to support the float bottom structure with respect to the slab bottom and to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nd 외기를 상기 슬래브 바닥체와 뜬바닥 구조체 사이의 공간을 통해 상기 실내공간으로 유입시키기 위한 외기유입수단;을 구비하여, And an outside air inflow means for introducing outside air into the indoor space through a space between the slab bottom body and the floating bottom structure. 외기를 상기 슬래브 바닥체와 뜬바닥 구조체 사이로 유입시켜 실내 공간을 환기시키며,The outside air is introduced between the slab bottom and the floating bottom structure to ventilate the indoor space, 상기 뜬바닥 구조체는, 상기 지지대위에 배치되는 판상의 보드와, 상기 판상의 보드 위에 배치되는 난방수배관과, 상기 난방수 배관의 위에 배치되는 마감재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물환기시스템. The floating floor structure, the building ventilation system comprising a plate-like board disposed on the support, a heating water pipe disposed on the plate-like board, and a finishing material disposed on the heating water pipe. 제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외기유입수단은,The external air inlet means, 상기 슬래브 바닥체와 뜬바닥 구조체의 사이에 배치되며, 외기가 유입될 수 있도록 그 일단에 배치되는 유입구와, 이 외기를 상기 건물의 실내 공간으로 배출시키도록 그 타단에 배치되는 배출구를 구비하는 공기유입덕트; 및An air inlet disposed between the slab floor and the floating floor structure and having an inlet disposed at one end thereof so that outside air can be introduced, and an outlet disposed at the other end thereof to discharge the outside air into the interior space of the building; Inlet duct; And 상기 외기를 상기 공기유입덕트내로 강제유입시키도록, 이 공기유입덕트의 유입구쪽에 설치되는 송풍팬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물환기시스템. And a blower fan installed at an inlet side of the air inlet duct so as to force the outside air into the air inlet duct. 제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외기유입수단은, The external air inlet means, 외기가 유입될 수 있도록 상기 뜬바닥 구조체와 슬래브 바닥체 사이의 공간과 건물의 외부를 상호 연통시켜주는 유입구와, An inlet for communicating the space between the floating floor structure and the slab floor and the outside of the building so that outside air can be introduced therein; 이 외기를 상기 실내공간으로 배출시키도록 상기 뜬바닥 구조체와 슬래브 바닥체 사이의 공간과 상기 실내공간을 상호 연통시켜주는 배출구와, A discharge port for communicating the space between the floating floor structure and the slab bottom body and the indoor space to discharge the outside air to the indoor space; 상기 유입구쪽에 배치되어 외기를 강제유입시키기 위한 송풍팬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물환기시스템.A building ventilation system, characterized in that provided with a blower fan disposed in the inlet side for forcing the outside air. 삭제delete 제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난방수 배관과 판상의 보드 사이에는 합판이 적층되며,Plywood is laminated between the heating water pipe and the plate on the plate, 상기 난방수 배관이 끼워져 고정될 수 있는 수용홈이 지그재그형으로 배치되어 있는 난방패널이 상기 합판과 마감재 사이에 적층되며,The heating panel is arranged between the plywood and the finishing material in which a heating groove in which the heating water pipe is fitted and fixed is arranged in a zigzag shape. 상기 난방수 배관은 상기 난방패널의 수용홈에 끼워져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물환기시스템. Building heating system, characterized in that the heating water pipe is fixed to the receiving groove of the heating panel. 제2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2 or 3, 상기 유입구에는 그릴이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물환기시스템.Building ventilation system, characterized in that the grill is installed in the inlet. 제2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2 or 3, 외기의 유동경로상 상기 유입구의 후방에는 외기를 걸러주기 위한 필터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물환기시스템.Building ventilation system, characterized in that a filter for filtering the outside air is installed in the rear of the inlet on the flow path of the outside air. 제2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2, 상기 외기의 유동경로상 상기 송풍팬의 후방에는 외기의 유입에 따른 소음을 저감시킬 수 있도록, 상기 공기유입덕트의 내측면에 흡음재가 부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물환기시스템. Building ventilation system, characterized in that the sound absorbing material is attached to the inner surface of the air inlet duct in the rear of the blowing fan on the flow path of the outside air to reduce the noise caused by the inflow of the outside air. 제8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8, 상기 흡음재는 공기유입덕트의 일부분의 내측면에만 부착되고, 공기유입덕트 중 이 흡음재가 부착되는 부분의 공기유입단면적은 상기 흡음재가 부착되지 않는 부분의 단면적보다 넓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물환기시스템.And the sound absorbing material is attached only to the inner surface of the part of the air inlet duct, and the air inlet cross-sectional area of the part of the air inlet duct to which the sound absorbing material is attached is wider than the cross-sectional area of the part to which the sound absorbing material is not attached. 제3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3, 상기 외기의 유동경로상 상기 송풍팬의 후방에는 외기의 유입에 따른 소음을 저감시킬 수 있도록 흡음챔버가 마련되며,A sound absorbing chamber is provided at the rear of the blowing fan on the flow path of the outside air to reduce noise caused by the inflow of the outside air. 이 흡음챔버는 양단이 개방된 중공형의 챔버와, 이 챔버의 내측면에 부착된 흡음재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물환기시스템.The sound absorption chamber comprises a hollow chamber having both ends open and a sound absorbing material attached to an inner surface of the chamber. 제2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2, 상기 건물에는 상기 실내 공간을 분할하기 위하여 수직방향으로 내벽이 배치되며, 상기 공기유입덕트는 이 내벽을 따라 상방으로 연장되어 상기 배출구는 상기 실내 공간의 상부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물환기시스템.In the building, the inner wall is disposed in a vertical direction to divide the indoor space, and the air inlet duct extends upward along the inner wall so that the outlet is disposed above the indoor space. 제1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1, 상기 공기유입덕트에서 건물의 내벽을 따라 상방으로 연장되어 있는 부분은 상기 건물의 내벽의 내부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물환기시스템.And a portion of the air inlet duct extending upward along the inner wall of the building is disposed inside the inner wall of the building. 제3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3, 상기 건물에는 상기 실내 공간을 분할하기 위하여 수직방향으로 내벽이 배치되며, 상기 배출구는 상기 내벽의 상부에 배치되고, 상기 뜬바닥 구조체와 슬래브 바닥체 사이의 공간과 상기 배출구가 상호 연통되도록 상기 내벽의 내부는 공기유동공간이 형성되어 있어,In the building, an inner wall is disposed in a vertical direction to divide the indoor space, and the discharge port is disposed above the inner wall, and the space between the floating floor structure and the slab bottom body and the discharge port communicate with each other. Inside the air flow space is formed, 외기는 상기 유입구를 통해 도입된 후 상기 뜬바닥 구조체와 슬래브 바닥체 사이의 공간과 상기 내벽 내의 공기유동공간을 거쳐 실내공간으로 배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물환기시스템.The outside air is introduced through the inlet, and the building ventilation system, characterized in that discharged to the interior space through the space between the float floor structure and the slab bottom and the air flow space in the inner wall. 제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건물의 외벽에는 실내 공기를 외부로 배출시키기 위한 배기구가 마련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물환기시스템.Building ventilation system, characterized in that the exhaust vent is provided on the outer wall of the building to discharge the indoor air to the outside. 제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난방수배관으로부터 상기 유입된 외기로 전달되는 열의 열전달 면적과 열전달 시간이 상승될 수 있도록, 상기 공기유입덕트는 지그재그형으로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물환기시스템. And the air inlet duct is arranged in a zigzag shape so that a heat transfer area and a heat transfer time of heat transferred from the heating water pipe to the introduced outside air are increased. 제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외기가 실내 공간으로 유입되는 경로를 길게 하여 상기 난방수배관으로부터 상기 유입된 외기로 전달되는 열의 열전달 면적과 열전달 시간이 상승되도록, 상기 뜬바닥 구조체와 슬래브 바닥체 사이의 공간에는 상호 이격된 분리막들이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물환기시스템.Separation membranes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in the space between the floating floor structure and the slab bottom so that the heat transfer area and heat transfer time of the heat transferred from the heating water pipe to the introduced outside air are increased by lengthening a path through which the outside air enters the indoor space. Building ventilation system, characterized in that the arrangement. 제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슬래브 바닥체와 뜬바닥 구조체 사이는 50mm ~ 100mm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물환기시스템.Building ventilation system, characterized in that between 50mm ~ 100mm between the slab floor and the floating floor structure.
KR1020050070016A 2005-07-30 2005-07-30 Building ventilation system KR100652146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70016A KR100652146B1 (en) 2005-07-30 2005-07-30 Building ventilation system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70016A KR100652146B1 (en) 2005-07-30 2005-07-30 Building ventilation system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652146B1 true KR100652146B1 (en) 2006-12-01

Family

ID=3773159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70016A KR100652146B1 (en) 2005-07-30 2005-07-30 Building ventilation system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52146B1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518791A (en) * 2018-04-16 2018-09-11 江西理工大学 A kind of volumed space building layering air conditioner ventilating system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125774A (en) * 1991-03-07 1993-05-21 Kubota House Kk Ventilator of building
JPH09151548A (en) * 1995-11-23 1997-06-10 Inafuku Kensetsu:Kk Ventilative type building and execution method thereof
JP2001132123A (en) 1999-11-05 2001-05-15 Niigata System Design:Kk Ventilating system for house
JP2002194827A (en) 2000-12-26 2002-07-10 Misawa Homes Co Ltd Ventilation structure for building
JP2005036609A (en) 2003-07-18 2005-02-10 Sumori Kogyo Kk Building structure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125774A (en) * 1991-03-07 1993-05-21 Kubota House Kk Ventilator of building
JPH09151548A (en) * 1995-11-23 1997-06-10 Inafuku Kensetsu:Kk Ventilative type building and execution method thereof
JP2001132123A (en) 1999-11-05 2001-05-15 Niigata System Design:Kk Ventilating system for house
JP2002194827A (en) 2000-12-26 2002-07-10 Misawa Homes Co Ltd Ventilation structure for building
JP2005036609A (en) 2003-07-18 2005-02-10 Sumori Kogyo Kk Building structure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05125774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518791A (en) * 2018-04-16 2018-09-11 江西理工大学 A kind of volumed space building layering air conditioner ventilating system
CN108518791B (en) * 2018-04-16 2023-08-01 江西理工大学 Layered air conditioner ventilation system for large-space building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80026423A (en) A device for ventilation of the type assembled
US6370906B1 (en) Wind inlet and outlet system for an air conditioner
JP6242429B2 (en) Ventilation air conditioning unit
KR100652146B1 (en) Building ventilation system
JP4824992B2 (en) Ventilation structure
KR20130110282A (en) Dry typed walls that can be naturally ventilated
KR100733862B1 (en) Improvement system of living conditions using double-layered floor structure and apartment applying the same
JP2009084936A (en) Thermal insulation dwelling house and ventilation system
US4403600A (en) Modular solar heating system
JP6986508B2 (en) Air conditioning system accommodation structure
JP7228836B2 (en) Pressurized heat exchange ventilated building
JP7347733B2 (en) Air conditioning air outlet structure
JPH11264201A (en) Ventilating structure of building
JP3077026B2 (en) House air conditioning system
JP3026771B2 (en) building
JP5495804B2 (en) Heat exchange ventilator and building
JPH08285324A (en) Air-conditioning system
KR102617609B1 (en) Lightweight air purifying heat exchange ventilation system with a high-efficiency ultra-light box-type heat exchange module
KR102417603B1 (en) Stand type heat exchanger
EP4367444A1 (en) Aeraulic device and radiant ceiling thermal system with internal air mixing
KR102481401B1 (en) Installation structure of window type heat exchange ventilator
JP3120304B2 (en) Air conditioners in buildings
JPH062375A (en) House
JPH11218342A (en) Air conditioner system for housing and method for air conditioning
JP2024010876A (en) Wind direction switching box and air conditioning method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011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002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008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012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004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926

Year of fee payment: 12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