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51907B1 - 진공 청소기 - Google Patents

진공 청소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51907B1
KR100651907B1 KR1020050042722A KR20050042722A KR100651907B1 KR 100651907 B1 KR100651907 B1 KR 100651907B1 KR 1020050042722 A KR1020050042722 A KR 1020050042722A KR 20050042722 A KR20050042722 A KR 20050042722A KR 100651907 B1 KR100651907 B1 KR 10065190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ust collecting
collecting unit
dust
handle
clean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4272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60119587A (ko
Inventor
정회길
황만태
김영호
황정배
박민
최재호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5004272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51907B1/ko
Publication of KR2006011958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11958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5190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5190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9/00Details or accessories of suction cleaners, e.g. mechanical means for controlling the suction or for effecting pulsating action; Stor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o suction cleaners or parts thereof; Carrying-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suction cleaners
    • A47L9/10Filters; Dust separators; Dust removal; Automatic exchange of filters
    • A47L9/16Arrangement or disposition of cyclones or other devices with centrifugal action
    • A47L9/1691Mounting or coupling means for cyclonic chamber or dust receptacl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9/00Details or accessories of suction cleaners, e.g. mechanical means for controlling the suction or for effecting pulsating action; Stor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o suction cleaners or parts thereof; Carrying-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suction cleaners
    • A47L9/32Handles
    • A47L9/327Handles for suction cleaners with hose between nozzle and cas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Electric Suction Cleaners (AREA)
  • Filters For Electric Vacuum Clean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착탈이 용이한 집진장치를 가지는 진공 청소기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이를 위하여, 본 발명은, 청소기 본체의 집진유닛 장착부에 착탈 가능하게 구비되어, 내부로 유입되는 공기에 포함된 이물질을 분리하여 집진하는 집진유닛; 상기 집진유닛의 측면에 장착되는 집진유닛 손잡이; 상기 집진유닛이 상기 청소기 본체에서 분리되는 것을 방지하는 고정장치; 그리고 상기 집진유닛 손잡이에 구비되며, 상기 집진유닛의 분리시에 가압되어 상기 고정장치에 의한 상기 집진유닛의 고정상태를 해제하는 고정해제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진공 청소기를 제공한다.
상기의 구성을 가지는 진공 청소기에 의하면, 집진유닛의 착탈이 용이하여 청소기 사용의 편의성이 향상된다.
집진유닛, 집진유닛 손잡이, 고정장치, 후크부, 고정해제부

Description

진공 청소기{Vacuum Cleaner}
도 1은 종래의 진공 청소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진공 청소기의 일 실시예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사시도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진공 청소기의 청소기 본체와 집진장치를 분리하여 나타낸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진공 청소기에 구비되는 집진장치의 일 실시예를 분해하여 나타낸 분해 사시도
도 5는 도 4의 집진장치를 도시한 종단면도
도 6은 도 4에 도시된 집진장치의 착탈을 위한 고정장치와 가압버튼이 구비된 집진유닛 손잡이를 나타낸 사시도
도 7은 도 6에 도시된 집진유닛 손잡이의 내부를 나타낸 배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0 : 청소기 본체 200 : 집진유닛
210 : 집진통 220 : 커버부
230 : 집진유닛 손잡이 240 : 고정해제부
241 : 가압버튼 250 : 후크부
255 : 탄성부재
본 발명은 진공 청소기에 관련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싸이클론 원리를 이용하여 먼지 등의 이물질을 집진하는 집진장치를 가지는 진공 청소기에 관한 것이다.
싸이클론 집진장치는 싸이클론 원리를 이용하여 공기중에 포함된 먼지 등의 이물질을 집진하는 장치이다. 싸이클론 집진장치는 여러 분야에서 적용되는데 가정용으로는 주로 진공 청소기에 적용되고 있다.
근래에는 집진성능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다수의 싸이클론부가 구비된 다중 싸이클론 집진장치가 사용된다.
도 1을 참조하면, 종래의 진공 청소기는, 청소기 본체(1), 그리고 먼지 등의 이물질을 싸이클론 원리를 이용하여 집진하는 집진유닛(2)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집진유닛(2)은, 상기 청소기 본체(1)에 구비되는 집진유닛 장착부에 탈착 가능하게 장착된다.
그리고, 상기 청소기 본체(1), 특히 상기 집진유닛 장착부의 상측 테두리에는, 상기 집진유닛(2)을 상기 청소기 본체(1)에 고정하기 위한 고정장치(3)가 구비된다.
상기 고정장치(3)는, 상기 집진유닛(2)을 상기 청소기 본체(1)에 고정시키 는 기능과 함께, 상기 집진유닛(2)을 상기 청소기 본체(1)에서 분리시켜야 할 때에는 상기 집진유닛(2)의 고정상태를 해제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여기서, 상기 고정장치(3)는, 상기 집진유닛(2)의 상측면에 형성되는 걸림홈(미도시)에 걸림되어, 상기 집진유닛(2)이 상기 청소기 본체(1)에서 분리되는 것을 방지한다.
한편,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종래의 진공 청소기의 사용시간이 일정 시간 이상 경과되어, 상기 집진유닛(2)의 내부에 소정량 이상의 먼지가 쌓이면, 사용자는 상기 집진유닛(2)을 상기 청소기 본체(1)에서 분리하여 상기 집진유닛(2)을 비워야 한다.
그리고, 상기 집진유닛(2)을 비우기 위해서는, 사용자가 상기 고정장치(3)를 조작하여 상기 집진유닛(2)을 상기 청소기 본체(1)에서 분리하여야 한다.
그러나, 상기 청소기 본체(1)에서 상기 집진유닛(2)을 분리하기 위해, 사용자는 한 손으로 상기 고정장치(3)를 조작하는 동시에 다른 한손으로 상기 집진유닛(2)을 상기 청소기 본체(1)에서 분리하는 동작을 취해야 하므로, 종래의 진공 청소기는 상기 집진유닛을 착탈하는 작업이 번거로운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착탈이 용이한 집진유닛을 가지는 진공 청소기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청소기 본체의 집진유닛 장착부에 착탈 가능하게 구비되어, 내부로 유입되는 공기에 포함된 이물질을 분리하여 집진하는 집진유닛; 상기 집진유닛의 측면에 장착되는 집진유닛 손잡이; 상기 집진유닛이 상기 청소기 본체에서 분리되는 것을 방지하는 고정장치; 그리고 상기 집진유닛 손잡이에 구비되며, 상기 집진유닛의 분리시에 가압되어 상기 고정장치에 의한 상기 집진유닛의 고정상태를 해제하는 고정해제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진공 청소기를 제공한다.
이하 본 발명의 목적이 구체적으로 실현될 수 있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된다. 본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동일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 명칭 및 동일 부호가 사용되며 이에 따른 부가적인 설명은 하기에서 생략된다.
먼저, 도 2 및 도 3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진공 청소기의 일 실시예로서 캐니스터형 진공 청소기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진공 청소기는, 청소되는 바닥을 따라서 이동하면서 이물질이 포함된 공기를 흡입하는 흡입 노즐(미도시), 상기 흡입 노즐과 별개로 구비되는 청소기 본체(100), 그리고 상기 흡입 노즐과 상기 청소기 본체(100)를 상호 연결하는 동시에 상기 흡입 노즐에서 흡입된 오염공기를 상기 청소기 본체(100)로 안내하는 연결관(미도시)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흡입 노즐의 바닥에는 소정 크기의 노즐 흡입구가 형성되어, 상기 청소기 본체(100)에 내장된 공기 흡입장치에 의해 발생되는 공기 흡입력으로 바닥에 쌓인 먼지를 공기와 함께 흡입한다.
그리고, 상기 청소기 본체(100)의 일측부에는 후술하는 집진유닛(200)이 장착되어 유동하는 공기로부터 먼지 등의 이물질을 분리하여 저장하며, 상기 청소기 본체(100)의 타측부에는, 공기의 유동을 강제하는 모터-팬 어셈블리가 내장된다.
상기 청소기 본체(100)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상기 청소기 본체(100)의 전단 상부에는 상기 연결관이 연결되는 호스 연결부(110)가 구비되고, 상기 청소기 본체(100)의 후방 양측에는 상기 청소기 본체(100)가 바닥면을 원활하게 이동할 수 있도록 바퀴(120)가 각각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며, 상기 청소기 본체(100)의 바닥 전방부에는 상기 청소기 본체(100)의 방향 전환을 위해 회전 자재의 캐스터(caster;미도시)가 연결된다.
그리고, 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집진유닛(200)은 상기 청소기 본체(100)의 후방부에 착탈 가능하게 장착되며, 상기 집진유닛(200)은 상기 흡입노즐에서 흡입된 공기가 상기 연결관을 거쳐 내부로 유입되면, 유입되는 공기로부터 먼지 등의 이물질을 분리하여 집진하는 기능을 한다.
이를 위하여, 상기 청소기 본체(100)의 후방부에는 집진유닛 장착부(130)가 구비되며, 상기 집진유닛(200)은 상기 청소기 본체(100)의 후방에서 장착된다.
그리고, 상기 집진유닛(200)에서 배출된 공기는 상기 청소기 본체(100)의 내부에 형성된 소정의 유로와 상기 모터-팬 어셈블리(미도시)를 지나 상기 청소기 본체(100)에서 외부로 배출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진공 청소기의 집진유닛(200)의 일 실시예를 도 4 및 도 5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4 및 도 5를 참조하면, 상기 집진유닛(200)의 일 실시예는, 유동하는 공기로부터 먼지 등의 이물질을 분리하여 집진하는 소정 형상의 집진통(21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집진통(210)의 일단,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집진통(210)의 상단에는 개폐 가능한 커버부(220)가 구비된다.
여기서, 상기 커버부(220)는, 상기 집진통(210)의 상부에 결합되는 집진유닛 커버(221), 그리고 상기 집진유닛 커버(221)의 상측을 커버하는 상부 커버(222)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상부 커버(222)는, 상기 집진용기 커버(221)의 상부에 결합되는 결합 커버(222a), 그리고 상기 결합 커버(222a)의 상측에 결합되어 상기 결합 커버를 보호하는 보호 캡(222b)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집진유닛(200)에는 먼지 등의 이물질을 분리하여 집진하는 1차 집진부와 2차 집진부가 구비되며, 상기 집진통(210)의 바닥은 개폐 가능한 하부 패널(211)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상기 1차 집진부는, 1차 먼지 분리부와 1차 먼지 저장부(212)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집진통(210)의 내측에 제공되는 실질적으로 원통형상의 용기로 구성된다.
또한, 상기 2차 집진부는, 상기 1차 집진부의 둘레에 구비되어 상기 1차 집진부에서 배출되는 공기에 포함된 이물질을 분리하는 2차 먼지 분리부와 2차 먼지 저장부(213)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1차 먼지 분리부와 상기 2차 먼지 분리부는 각각, 싸이클론 방식으로 이물질을 분리하는 1차 싸이클론부(214)와 다수개의 소형 2차 싸이클론부(215)들로 구성된다.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상기 1차 싸이클론부(214)는 하단이 개방된 원통 용기 형상으로서, 상부 측면에는 상기 호스 연결부(110)와 연통하는 제 1 흡입구(214a)가 형성되고, 상기 1차 싸이클론부(214)의 천장 중앙부에는 상하 방향으로 관통된 제 1 배기구(214b)가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제 1 흡입구(214a)는, 상기 연결관과 상기 호스 연결부(110)을 거쳐 유입되는 오염공기를 상기 1차 싸이클론부(214)의 내벽에 접선방향으로 안내하여, 상기 제 1 흡입구(214a)로 유입되는 공기가 상기 1차 싸이클론부(214) 내벽을 따라 나선 유동을 하도록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1차 싸이클론부(214)의 상부에는, 상기 집진유닛(200)의 외벽과 일체로 형성되는 소형의 상기 2차 싸이클론부(215)들이 상기 1차 싸이클론부(214)의 상부 둘레에 원주 방향으로 소정 구간에 배열되며, 상기 각 2차 싸이클론부(215)의 상단은 상기 1차 싸이클론부(214)의 상단보다 소정 높이 더 높게 돌출 형성된다.
한편, 상기 1차 싸이클론부(214)의 상단 위로 돌출된 상기 각 2차 싸이클론부(215)의 측면 중 일부는 상하 방향으로 절개되어, 상기 제 1 배기구(214b)와 연통하는 제 2 흡입구(215a)를 형성하며, 상기 각 2차 싸이클론부(215)의 상단은 개방되어 제 2 배기구(215b)를 형성한다.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상기 제 2 흡입구(215a)룰 통해 상기 2차 싸이클론부(215)의 내부로 유입되는 공기가, 상기 2차 싸이클론부(215)의 내벽을 따라 나선 유동을 할 수 있도록, 상기 제 2 흡입구(215a)는 상기 제 1 배기구(214b)측에서 유입되는 공기를 상기 2차 싸이클론부(215)의 접선 방향으로 안내한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2차 흡입구(215a)의 일측 테두리에는 상기 1차 배기구(214b)를 향하여 연장되는 접선 방향의 가이드 베인(215c)이 일체로 형성되는 것이 좋다.
한편, 상기 2차 싸이클론부(215)의 하부는 하측으로 갈수록 직경이 작아지는 원추형의 콘부(215d)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2차 싸이클론부(215)의 하단에는 먼지 등의 이물질이 배출될 수 있도록 상하로 관통된 이물질 배출구(미도시)가 형성된다.
여기서, 인접하는 2차 싸이클론부(215)들은 상호 접하도록 일체로 형성되어, 상기 2차 싸이클론부(215) 사이로 공기가 유출되지 않도록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2차 싸이클론부(215)들의 상부에는 상기 집진유닛 커버(221)가 장착된다.
상기 집진유닛 커버(221)의 가장자리부에는, 상기 2차 싸이클론부들의 제 2 배기구(215b)들에 각각 대응되도록, 상하 방향으로 관통된 제 3 배기구(221a)들이 원주방향으로 배열된다.
다음으로, 상기 집진유닛 커버(221)의 상부에는, 하단이 개방된 상기 결합 커버(222a)가 탈착 가능하게 장착된다.
이를 위하여, 상기 집진유닛 커버(220)의 외주면에는 세 개의 걸림 돌기(222)들이 형성되고, 상기 결합 커버(230)의 내주면에는 상기 걸림 돌기(222)들이 삽입되어 걸림되는 세개의 걸림홈(미도시)들이 형성된다. 물론, 상기 걸림돌기(222)와 걸림홈의 위치와 수가 상술한 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그리고, 상기 결합 커버(222a)의 외주면에는 상기 청소기 본체(100)의 전방부에 형성된 소정의 유로로 공기를 배출하는 제 4 배기구(223)가 형성되고, 상기 결합 커버(230)의 내측에는 상기 제 4 배기구(223)와 연통하는 소정의 공간이 형성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1차 싸이클론부(214)와 2차 싸이클론부(215)에서 분리된 먼지는, 상기 1차 먼지 저장부(212)와 상기 2차 먼지 저장부(213)에 저장된 후, 상기 하부 패널(211)이 열리면 중력에 의해 외부로 배출된다.
여기서, 상기 1차 먼지 저장부(212)는 상기 1차 싸이클론부(214)에서 분리된 먼지를 저장하고, 상기 2차 먼지 저장부(213)는 상기 2차 싸이클론부(215)에서 분리된 먼지를 저장한다.
그리고, 상기 1차 먼지 저장부(212)와 상기 2차 먼지 저장부(213)는, 상기 1차 싸이클론부(212)와 상기 집진통(210)의 외벽 사이에 구비되는 경계벽(216)에 의해 구획된다.
상기 경계벽(216)은, 상기 2차 싸이클론부(215)들의 하부에 일체로 연결되며,상기 경계벽(216)의 하단은 상기 집진통(210)의 바닥, 즉 상기 하부 패널(211)의 상면까지 연장된다.
그리고, 상기 하부 패널(211)의 상측면에는 상기 경계벽(216)의 하단에 밀착되는 패킹부재(미도시)가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상기 경계벽(216)은, 상기 1차 먼지 저장부(212)와 상기 2차 먼지 저장부(213)가 서로 연통하는 것을 방지한다.
상기 경계벽(216)은 원주 방향을 따라 굴곡진 형상, 즉 내주면과 외주면에 상하 방향의 수직한 홈들이 교대로 형성된 형상으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경계벽(216)이 원주 방향으로 굴곡지게 형성되면, 상기 1차 먼지 저장부(212) 내부에서 공기의 나선유동이 방지되므로, 상기 1차 먼지 저장부(212)에 저장된 먼지가 유동하는 공기에 의해 상기 1차 싸이클론부(214)로 상승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집진통(210)은 상기 1차 먼지 저장부(212)와 연통하는 보조 먼지 저장부(212a)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를 위하여, 상기 경계벽(216)의 일부는 소정의 폭으로 개방되며, 상기 보조 먼지 저장부(212a)는 상기 제 1 흡입구(214a)의 하측에 소정의 크기로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1차 집진부의 먼지 집진성능이 최대화 될 수 있다.
상기의 구성에 더하여, 본 발명에 따른 진공 청소기는, 상기 1차 집진부에 구비되어 상기 1차 먼지 저장부(212)에서 저장된 먼지가 나선류에 의하여 비산하는 것을 방지하는 소정 높이의 비산방지 부재(217)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이 좋다.
상기 비산방지 부재(217)는 상기 1차 먼지 저장부(212)에 포집된 먼지가 나 선류에 의해 상승하여, 상기 2차 싸이클론부(215)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는 기능을 한다.
여기서, 상기 비산방지 부재(217)의 하단 높이는, 상기 1차 싸이클론부(214)의 하단 높이와 실질적으로 동일한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싱기 비산방지 부재(217)의 상면은 하향 경사진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상기 비산방지 부재(217)는, 하부로 갈수록 직경이 커지는 원추 형상으로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진공 청소기는, 상기 1차 싸이클론부(214)의 내부에 수직하게 구비되며, 그 측면에는 상기 1차 싸이클론부의 제 1 배출구(214a)와 연통하는 다수개의 통공들이 형성된 유출부(218)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여기서, 상기 유출부(218)는 상기 1차 싸이클론부(214)의 중심에 축 방향으로 구비되며, 상단이 개방되고 하단이 밀폐된 형상으로, 하부로 갈수록 직경이 작아지는 대략 원추형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 이유는, 상기 1차 싸이클론부(214)의 하방으로 갈수록 나선류의 속도가 감소하므로, 상기 1차 싸이클론부(214)의 내벽을 따라 하강하는 먼지가 상기 유출부(218)의 흡입력에 의해 영향을 받지않도록 하기 위함이다.
그리고, 상기 유출부(218)의 상단은 상기 제 1 배기구(214b)의 테두리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유출부(218)의 상단과 상기 제 1 배기구(214b) 사이에는 기밀성을 유지하는 환형의 씰링(sealing;미도시) 부재가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비산방지 부재(217)는 상기 유출부(218)의 하단에 일체로 형성되어 지지되고, 상기 비산방지 부재(217)의 저면에는 상기 비산방지 부재(217)와 일체로 형성되는 십자형 단면의 손잡이부(217a)가 구비된다.
한편, 상기 집진유닛(200)의 측면,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집진통(210)의 후방 외주면의 중앙부에는 상하 방향의 집진유닛 손잡이(230)가 구비된다.
상기 집진유닛 손잡이(230)의 상단은 상기 집진유닛(200)의 후방 상부,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집진유닛 커버(221)의 후방에 나사 등에 의해 결합된다. 그리고, 상기 집진유닛 손잡이(230)의 하단부는 상기 집진유닛(200)의 후방 하부,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집진통(210)의 후방 하부에 결합된다.
또한, 상기 집진유닛 손잡이(230)의 하단에는 상기 하부 패널(211)이 회전 가능하게 연결될 수도 있다.
상기의 구성에 더하여, 본 발명에 따른 진공 청소기에는, 상기 집진유닛(200)과 상기 청소기 본체(100)의 분리를 방지하기 위한 고정장치, 그리고 상기 집진유닛(200)과 상기 청소기 본체(100)와의 고정을 해제하는 고정해제부(240)가 구비된다.
상기 고정장치의 일실시예는, 상기 집진유닛 손잡이(230)에 구비되어 상기 집진유닛 장착부(130)에 걸림되는 후크부(25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상기 후크부(250)는 상기 고정해제부(240)에 의해 상기 집진유닛 장착부(130)에서 분리되며, 상기 후크부(250)는 소정의 탄성부재(255)에 의해 상기 집진유닛 고정위치로 복귀된다.
상기 후크부(250)는, 상기 집진유닛 손잡이(230)의 일단부 내측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어, 상기 고정해제부(240)에 의해 상기 집진유닛 장착부(130)에서 분리되는 방향으로 회전한다.
그리고, 상기 후크부(250)는 상기 탄성부재(255)에 의해 상기 집진유닛 장착부(130)에 걸림되는 방향으로 회전한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후크부(250)는, 상기 집진유닛 손잡이(230)의 하단부의 내측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절곡부를 가지는 실질적으로 "ㄴ" 형상의 후크몸체(251)와, 상기 후크몸체(251)의 일단부에 돌출 형성되는 걸림돌기(252)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후크부의 걸림돌기(252)는 상기 집진통(210)을 향해 대략 수평하게 또는 소정 경사각으로 연장되는 상기 후크몸체(251)의 일단부에서 하향 돌출 형성된다.
그 이유는, 상기 집진유닛(200)이 상기 청소기 본체(100)에 장착된 상태에서, 상기 집진유닛 장착부(130)의 바닥에서 상기 걸림돌기(252)에 가해지는 힘에 의해, 상기 후크몸체(251)가 상기 절곡부를 중심으로 자체 회전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그리고, 상기 집진유닛 장착부(130)의 바닥에는 상기 걸림돌기에 대응되는 걸림홈(미도시)이 형성되고, 상기 걸림돌기(252)는 상기 걸림홈에 걸림되어 상기 집진유닛(200)을 상기 청소기 본체(100)에 고정한다.
또한, 상기 집진유닛(200)과 마주보는 상기 걸림돌기(252)의 일측면은 소정 각도로 경사지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상기 집진유닛(200)이 상기 집진유닛 장착부(130)에 장착될 때, 상기 집진유닛(200)의 장착방향으로 가해지는 힘에 의해 상기 후크부(250)가 회전하도록, 상기 걸림돌기(252)의 일측면이 경사지게 형성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집진유닛(200)이 상기 청소기 본체(100)의 후방에서 장착되고, 상기 집진유닛 손잡이(230)가 상기 집진유닛(200)의 후방에 장착되므로, 상기 걸림돌기(252)의 전면이 하측으로 갈수록 후방으로 경사지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상기 집진유닛(200)이 상기 청소기 본체(100)에 장착될 때, 상기 후크몸체(251)의 일단부가 상향회전하게 된다.
물론, 상기 걸림돌기(252)의 형상은 상기 집진유닛(200)이 상기 청소기 본체(100)에 장착되는 방향에 따라 변경될 수 있다.
한편, 상기 고정해제부(240)는 상기 집진유닛 손잡이(230)에 구비된다. 그리고, 상기 고정해제부(240)는 상기 집진유닛(200)의 분리시에 가압되어 상기 고정장치에 의한 집진유닛(200)의 고정상태를 해제한다.
상기 고정해제부(240)는 상기 집진유닛(200)의 분리를 위해 가압되는 가압버튼(241)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가압버튼(241)은, 상기 집진유닛(200)의 외측면과 마주보는 상기 집진유닛 손잡이(230)의 일측면, 즉 전면을 통해 노출된다.
이에 따라, 상기 가압버튼(241)은 상기 집진유닛(200)이 분리되는 방향과 실 질적으로 동일한 방향으로 가압된다. 그러므로, 사용자가 상기 집진유닛 손잡이(230)를 잡은 상태에서 상기 가압버튼(241)을 후방으로 가압하면, 상기 집진유닛(200)과 상기 청소기 본체(100)의 고정상태가 해제되어, 상기 집진유닛(200)가 상기 청소기 본체(100)에서 분리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고정해제부(240)는 상기 후크부(250)와 일체로 형성되거나, 상기 후크부(250)와 별개로 구성되어 상기 집진유닛 손잡이(230)에 수용될 수 있다.
상기 고정해제부(240)가 상기 후크몸체(251)와 일체로 형성되는 경우에는, 상기 후크몸체(251)의 타단부와 일체로 형성되어 상향 연장됨으로써, 상기 고정해제부(240)와 상기 후크몸체(251)가 일체로 회전하도록 구성된다.
다만, 상기 집진유닛(200)의 용량 증대를 위해 상기 집진통(210)의 크기가 커지는 경우, 특히 상기 집진통(210)의 높이가 소정 높이 이상인 경우에는, 상기 집진유닛 손잡이(230)의 길이가 길어지게 되고, 사용자는 상기 집진유닛 손잡이(230)를 안정적으로 파지하기 위해 상기 집진유닛 손잡이(230)의 대략 중간부를 잡게 된다.
이러한 경우, 사용자가 한손만으로 상기 집진유닛(200)을 상기 청소기 본체(100)에서 분리하기 위해서는, 상기 상기 고정해제부의 가압버튼이 상기 집진유닛 손잡이(230)의 중간부에 소정 길이로 노출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나, 상기의 경우, 상기 고정해제부(240)의 길이가 길어짐으로 인해, 상기 가압버튼의 상단부와 상기 집진통의 외측면 사이의 간격이 좁아지게 되어, 사용자가 상기 집진유닛 손잡이(230)를 파지하기 어렵게 된다.
한편, 상기 고정해제부의 길이를 짧게 하기 위해, 상기 후크몸체의 회전중심이 상기 집진유닛 손잡이의 하단에서 소정 높이 이상 이격되면, 상기 걸림돌기가 형성되는 후크몸체의 일단부가 상기 절곡부에서 소정 각도 이상으로 하향 경사지게되므로, 상기 후크몸체의 회전 중심이 되는 절곡부를 기준으로 모멘트가 발생하여 상기 걸림돌기가 상기 걸림홈에서 쉽게 분리되는 문제가 있다.
따라서, 상기 집진통(210)의 높이가 소정 높이 이상이 되어, 상기 집진유닛 손잡이(230)의 높이가 소정 높이 이상이 되는 경우에는 상기 고정해제부(240)가 상기 후크부(250)와 별개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어, 상기 집진유닛 손잡이(230)의 높이가 10cm 이상인 경우에 상기 고정해제부(240)와 상기 후크부(250)는 별개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집진유닛 손잡이(230)의 높이는, 상기 집진유닛(200)의 용량증대 및 진공 청소기의 운반 등을 위한 청소기 본체(100)의 부피를 고려하여 대략 14cm 내지 30cm인 것이 바람직하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여기서, 상기 고정해제부(240)는 상기 집진유닛 손잡이(230)의 내부에 수용되어, 상기 집진유닛(200)의 분리시에 상기 고정해제부(240)의 일단부가 상기 후크몸체(251) 타단부를 가압하도록 구성된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고정해제부(240)는 상기 후크몸체(251)의 상측에 구비되므로, 상기 고정해제부(240)의 하단부가 상기 후크몸체(251) 상단부의 내측에 접촉된다.
그리고, 상기 고정해제부(240)의 타단부, 즉 상기 고정해제부(240)의 상단부 는 상기 집진유닛 손잡이(230)의 내측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를 위하여, 상기 집진유닛 손잡이(230)의 내부에는 상기 고정해제부(240)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회전 지지부(231)가 구비된다.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상기 집진유닛 손잡이(230)는, 후방부가 개방된 "ㄷ" 단면 형상의 전방 케이스(232), 그리고 상기 전방 케이스(232)의 후방부에 결합되는 후방 케이스(233)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전방 케이스(232)의 내측면 상부에는, 상기 고정해제부(240)의 상단에 구비되는 봉형상의 회전축(242)이 회전 가능하게 삽입되는 삽입홈이 형성된 전방 지지부(231a)가 형성되고, 상기 후방 케이스(233)의 내측면에는 상기 고정해제부의 회전축(242)이 상기 전방 지지부(231a)에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후방 지지부(231b)가 형성된다.
또한, 상기 전방 케이스(232) 전면의 대략 중간부에는, 상기 가압버튼(241)이 상기 집진통(210)의 측면을 향해 노출되도록, 전후 방향으로 관통된 소정 길이의 개구부(232a)가 형성된다.
상기 개구부(232a)의 하측 가장자리에는 상기 집진유닛 손잡이(230)의 파지를 용이하게 함과 동시에 상기 집진유닛(200)과 상기 집진유닛 손잡이(230)의 결합을 견고하게 하는 보조 지지부(232b)가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의 구성에 의하여, 사용자가 상기 가압버튼(241)을 누르면, 상기 고정해제부(240)의 하단부는 상기 후크몸체(251)의 타단부, 즉 상기 후크몸체 상단부의 내측면을 누르게 된다.
이에 따라, 상기 후크몸체(251)의 일단부, 즉 상기 집진통을 향해 대략 수평하게 연장되는 부분은 상향 회전하게 되고, 상기 걸림돌기(252)도 상기 후크몸체(251)와 일체로 상향 회전하면서, 상기 걸림홈에서 분리된다.
결론적으로, 상기 고정해제부(240)는 상기 후크부(250)에 의한 상기 집진유닛(200)의 구속을 해제하여, 상기 집진유닛(200)을 상기 청소기 본체(100)에서 분리 가능하게 한다.
상기의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진공 청소기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상기 진공 청소기가 동작되면, 상기 흡입 노즐과 상기 연결관을 통해 외부의 오염공기가 상기 1차 싸이클론부(214)로 유입된다.
상기 1차 싸이클론부(214)로 유입되는 공기는, 상기 제 1 흡입구(214a)에 의해 상기 1차 싸이클론부(214)의 내벽에 접선 방향으로 안내되어 나선류를 형성하게 된다.
이에 따라, 무게가 비교적 무겁고 큰 먼지들이 싸이클론 원리에 의하여 분리되어 하강하면서 상기 1차 먼지 저장부(212)에 저장되고, 상기 1차 먼지 저장부(212)에 저장되는 먼지는 상기 비산방지 부재(217)와 굴곡진 형상의 경계벽(216)에 의해 비산이 방지된다.
그리고, 비교적 큰 먼지들이 분리된 공기는 상기 유출부(218)의 측면에 형성된 다수개의 통공과 연통하는 상기 제 1 배기구(214b)로 배출된 후, 다수개의 상기 2차 싸이클론부(215)로 유입되어 다시 먼지 분리과정을 거친다.
상기 2차 싸이클론부(215)에서 비교적 작은 먼지들이 분리된 공기는, 상기 제 2배기구(215b)와 상기 제 3 배기구(221)를 통해 상기 상부 커버(222)의 내부로 유입된다.
상기 상부 커버(222)로 유입된 공기는 상기 제 4 배기구(232)를 통해 배출된 후, 상기 청소기 본체(100)의 전방부에 형성된 소정의 배출유로와 모터-팬 어셈블리를 지나 상기 청소기 본체(100)의 외부로 배출된다.
상기와 같은 과정에 의해, 상기 집진통(210)의 내부에 소정량 이상의 먼지가 쌓이면, 사용자는 먼지의 배출을 위해 상기 집진유닛(200)을 상기 청소기 본체(100)에서 분리하게 된다.
이를 위해, 사용자는 한손으로 상기 집진유닛 손잡이(230)를 잡고, 상기 집진유닛(200)과 마주보는 상기 가압버튼(241)을 후방으로 가압하면, 상기 후크몸체(251)가 상기 고정해제부(240)에 의해 가압되어 상기 걸림돌기(252)가 상기 후크몸체(251)와 일체로 상향 회전하게 된다.
이에 따라, 상기 걸림돌기(252)와 상기 집진유닛 장착부(130)의 걸림홈이 분리되고, 상기 집진유닛(200)을 상기 청소기 본체(100)에 구속하는 힘이 제거되어, 상기 집진유닛(200)이 상기 청소기 본체(100)에서 후방으로 분리된다.
그리고, 상기 집진유닛(200)이 상기 청소기 본체(100)에서 분리되면, 사용자는 상기 하부 패널(211)을 열어, 상기 집진통(210) 내부의 먼지를 외부로 배출한다.
상술한 본 발명에 따른 집진장치는 캐니스터형식의 진공 청소기 및 직립형 청소기(업라이트 청소기)에 설치하여 사용하는 것이 모두 가능하다.
상기의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에 따른 진공 청소기의 집진장치는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진공 청소기에 의하면, 상기 집진유닛 손잡이에 집진유닛과 청소기 본체의 고정을 해제하는 고정해제부가 구비되어, 한손으로 집진유닛을 상기 청소기 본체에서 분리할 수 있으므로, 집진유닛의 착탈이 용이하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진공 청소기에 의하면, 고정해제부가 집진유닛의 분리방향과 실질적으로 동일한 방향으로 가압되므로, 집진유닛의 분리작업이 용이하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진공 청소기에 의하면, 집진유닛과 청소기 본체를 고정하는 고정장치와 상기 고정장치를 조작하여 집진유닛의 고정을 해제하는 고정해제부가 별개로 구비되어, 상기 고정해제부가 차지하는 공간을 최소화할 수 있다.

Claims (6)

  1. 일측에 손잡이가 설치되고 청소기 본체에 착탈 가능하게 구비되는 집진유닛과, 상기 집진유닛이 상기 청소기 본체에서 분리되는 것을 방지하는 고정장치와, 상기 고정장치에 의한 상기 집진유닛의 고정상태를 해제하는 고정해제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진공 청소기에 있어서,
    상기 고정장치는, 상기 고정해제부에 의해 회전하며, 상기 손잡이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후크몸체와;
    상기 후크몸체로부터 돌출 형성되어 상기 청소기 본체의 집진유닛 장착부에 걸림이 이루어지는 걸림돌기와;
    상기 후크몸체를 상기 집진유닛 고정위치로 복귀시키는 탄성부재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진공청소기.
  2. 삭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 해제부는,
    상기 집진유닛의 외측면과 마주보는 상기 집진유닛 손잡이의 일측면을 통해 노출되어, 상기 집진유닛의 분리를 위해 가압되는 가압버튼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진공 청소기.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해제부는,
    상기 후크몸체와 별개로 구성되어 상기 집진유닛 손잡이에 수용되며, 상기 집진유닛의 분리시에 그 일단부가 상기 후크몸체의 타단부를 가압하여 상기 후크몸체를 회전시키는 진공 청소기.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해제부는,
    그 타단부가 상기 집진유닛 손잡이의 내측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진공 청소기.
  6.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집진유닛 손잡이는 14cm 내지 30cm의 길이를 가지는 진공 청소기.
KR1020050042722A 2005-05-20 2005-05-20 진공 청소기 KR10065190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42722A KR100651907B1 (ko) 2005-05-20 2005-05-20 진공 청소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42722A KR100651907B1 (ko) 2005-05-20 2005-05-20 진공 청소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119587A KR20060119587A (ko) 2006-11-24
KR100651907B1 true KR100651907B1 (ko) 2006-12-01

Family

ID=3770643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42722A KR100651907B1 (ko) 2005-05-20 2005-05-20 진공 청소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51907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A2599303A1 (en) 2007-08-29 2009-02-28 Gbd Corp. Surface cleaning apparatus
WO2009088124A1 (en) * 2008-01-09 2009-07-16 Samsung Gwangju Electronics Co., Ltd. A dust-collection-capacity-selectable cleaner and dust container set
KR100988719B1 (ko) * 2008-08-08 2010-10-19 엘지전자 주식회사 진공 청소기
US10722086B2 (en) 2017-07-06 2020-07-28 Omachron Intellectual Property Inc. Handheld surface cleaning apparatus
US10674884B2 (en) 2013-02-28 2020-06-09 Omachron Intellectual Property Inc. Hand carryable surface cleaning apparatus
US10729294B2 (en) 2013-02-28 2020-08-04 Omachron Intellectual Property Inc. Hand carryable surface cleaning apparatus
US9456721B2 (en) 2013-02-28 2016-10-04 Omachron Intellectual Property Inc. Surface cleaning apparatus
US10791889B2 (en) 2016-01-08 2020-10-06 Omachron Intellectual Property Inc. Hand carryable surface cleaning apparatus
US11950745B2 (en) 2014-12-17 2024-04-09 Omachron Intellectual Property Inc. Surface cleaning apparatus
US10165914B2 (en) 2016-01-08 2019-01-01 Omachron Intellectual Property Inc. Hand carryable surface cleaning apparatus
US10159391B2 (en) 2016-01-08 2018-12-25 Omachron Intellectual Property Inc. Surface cleaning apparatus
US9962048B2 (en) 2016-01-08 2018-05-08 Omachron Intellectual Property Hand carryable surface cleaning apparatus
US10506904B2 (en) 2017-07-06 2019-12-17 Omachron Intellectual Property Inc. Handheld surface cleaning apparatus
US10842330B2 (en) 2017-07-06 2020-11-24 Omachron Intellectual Property Inc. Handheld surface cleaning apparatus
US10631693B2 (en) 2017-07-06 2020-04-28 Omachron Intellectual Property Inc. Handheld surface cleaning apparatus
US10702113B2 (en) 2017-07-06 2020-07-07 Omachron Intellectual Property Inc. Handheld surface cleaning apparatus
US10537216B2 (en) 2017-07-06 2020-01-21 Omachron Intellectual Property Inc. Handheld surface cleaning apparatus
US10750913B2 (en) 2017-07-06 2020-08-25 Omachron Intellectual Property Inc. Handheld surface cleaning apparatus
US11013378B2 (en) 2018-04-20 2021-05-25 Omachon Intellectual Property Inc. Surface cleaning apparatus
US10932634B2 (en) 2018-05-30 2021-03-02 Omachron Intellectual Property Inc. Surface cleaning apparatus
US10827889B2 (en) 2018-05-30 2020-11-10 Omachron Intellectual Property Inc. Surface cleaning apparatu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119587A (ko) 2006-11-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51907B1 (ko) 진공 청소기
US7555808B2 (en) Vacuum cleaner having a cyclone dust collecting apparatus
KR101130033B1 (ko) 집진 유니트
US7398578B2 (en) Cyclone dust collecting device for use in a vacuum cleaner
KR100640830B1 (ko) 진공청소기의 집진장치
KR100964699B1 (ko) 진공 청소기의 집진장치
US8782850B2 (en) Vacuum cleaner
EP1674022A2 (en) Dust collection unit and vacuum cleaner with the same
KR100934668B1 (ko) 진공 청소기의 집진장치
EP2032012A2 (en) Separately opening dust containers of a domestic cyclonic suction cleaner
JP2006508725A (ja) 吸引式掃除機用の塵埃分離器及び収集器の配置
KR100546629B1 (ko) 진공 청소기의 집진장치
KR100577278B1 (ko) 진공 청소기
KR100546622B1 (ko) 청소기의 집진장치
KR100577280B1 (ko) 진공 청소기
KR100546625B1 (ko) 청소기의 집진장치
KR100556442B1 (ko) 진공 청소기의 집진장치
KR100546623B1 (ko) 청소기의 집진장치
KR100546627B1 (ko) 진공 청소기의 집진장치
KR100577275B1 (ko) 진공청소기
KR20060125956A (ko) 집진 유니트
KR100577279B1 (ko) 진공 청소기
KR100546628B1 (ko) 진공 청소기의 집진장치
KR100556444B1 (ko) 진공 청소기의 집진장치
KR100672532B1 (ko) 진공 청소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