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51826B1 - 카메라가 장착된 휴대 단말기에서의 부분적인 이미지인식을 통한 기능 실행 방법 및 그 장치 - Google Patents

카메라가 장착된 휴대 단말기에서의 부분적인 이미지인식을 통한 기능 실행 방법 및 그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51826B1
KR100651826B1 KR1020050126589A KR20050126589A KR100651826B1 KR 100651826 B1 KR100651826 B1 KR 100651826B1 KR 1020050126589 A KR1020050126589 A KR 1020050126589A KR 20050126589 A KR20050126589 A KR 20050126589A KR 100651826 B1 KR100651826 B1 KR 10065182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eature point
point information
partial image
function
camera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12658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재훈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팬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팬택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팬택
Priority to KR102005012658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5182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5182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5182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2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by opto-electronic means
    • G06F3/0425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by opto-electronic means using a single imaging device like a video camera for tracking the absolute position of a single or a plurality of objects with respect to an imaged reference surface, e.g. video camera imaging a display or a projection screen, a table or a wall surface, on which a computer generated image is displayed or projected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V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10/00Arrangements for 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10/10Image acquisi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6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 H04M1/0264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for a camera module assembl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카메라가 장착된 휴대 단말기에서의 부분적인 이미지 인식을 통한 기능 실행 방법 및 그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카메라가 장착된 휴대 단말기에서 소정의 사물에 대한 특징점 정보 및 상기 사물에 대응하는 기능을 소정의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는 단계와, 상기 카메라를 통해 사물의 부분적인 이미지 데이터를 입력 받는 단계와, 상기 입력된 사물의 부분적인 이미지 데이터로부터 특징점 정보를 추출하는 단계와, 상기 추출된 특징점 정보와 상기 저장된 특징점 정보와 비교하여 사물을 인식하는 단계와, 상기 데이터베이스를 참조하여 상기 인식된 사물에 대응하는 기능을 검색하는 단계 및 상기 검색된 기능을 실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능 실행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카메라 장착된 휴대 단말기에서 카메라를 통해 촬영된 부분적인 이미지 데이터로부터 사물을 인식하여 인식된 사물에 대응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방법 및 그 장치를 제공함으로써 완전하고 전체적인 이미지를 촬영하기 힘든 사물에 대응하는 기능도 손쉽게 실행시킬 수 있다.
카메라, 부분적인, 특징점, 인식, 기능, 실행

Description

카메라가 장착된 휴대 단말기에서의 부분적인 이미지 인식을 통한 기능 실행 방법 및 그 장치{METHOD AND APPARATUS FOR EXECUTING FUNCTION BY RECOGNIZING PARTIAL IMAGE IN PORTABLE SET HAVING CAMERA}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에서 부분적인 이미지 인식을 통한 기능 실행 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휴대 단말기에 있어서, 전체적인 이미지 및 전체적인 이미지에 대응하는 특징점 정보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휴대 단말기에 있어서, 부분적인 이미지 및 부분적인 이미지에 대응하는 특징점 정보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에서 부분적인 이미지 인식을 통한 기능 실행 방법의 흐름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기능 실행 장치
110: 데이터베이스
120: 카메라
130: 이미지 입력부
140: 특징점 추출부
150: 사물 인식부
160: 검색부
170: 기능 실행부
본 발명은 카메라가 장착된 휴대 단말기에서의 부분적인 이미지 인식을 통한 기능 실행 방법 및 그 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카메라가 장착된 휴대 단말기에서 카메라를 통해 촬영된 부분적 이미지 데이터로부터 사물을 인식하여 인식된 사물에 대응하는 기능을 실행하는 방법 및 그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휴대 단말기는 키패드(Key-pad), 터치 패드(touch-pad) 또는 음성 입력 수단을 통해 사용자로부터 입력된 데이터에 대응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키패드를 구비한 휴대 단말기는 사용자가 원하는 기능을 실행시키고자 하는 경우, 상기 키패드를 통해 사용자 원하는 기능에 대응하는 키 조작을 해야만 해당 기능을 수행시킬 수 있다.
터치 패드를 구비한 휴대 단말기는 사용자가 원하는 기능을 실행시키고자 하는 경우, 상기 터치 패드의 메뉴에서 자신이 원하는 기능을 누르거나 그려서 원하는 기능을 실행시킨다.
음성 입력 수단을 구비한 휴대 단말기는 사용자가 원하는 기능을 실행시키고자 하는 경우, 상기 마이크 통해 입력된 음성에 대응하는 기능을 실행시킨다.
이와 같이, 휴대 단말기는 키패드, 터치 패드 또는 마이크 등과 같은 정해진 입력 수단을 통해서만 사용자가 원하는 기능을 실행시키도록 제한되어 있다.
최근 휴대 단말기는 키패드, 터치 패드, 또는 음성 입력 수단만을 구비하는 것이 아니라 이미지 데이터를 입력 받을 수 있는 카메라가 장착되는 것이 보편화되고 있다.
그러므로, 카메라가 장착된 휴대 단말기에서 카메라를 통해 촬영된 사물 이미지 데이터를 이용하여 사용자가 원하는 기능을 간단하게 실행시킬 수 있는 방안이 제시되고 있다.
하지만, 종래 카메라가 장착된 휴대 단말기는 카메라를 통해 촬영된 사물 이미지 데이터로부터 인식하여 기능을 실행하는 방법은 등록된 사물 이미지와 촬영된 사물 이미지가 일치해야만 해당 기능을 실행시키므로 사용자가 사물 이미지를 등록할 때와 동일한 사물 이미지가 촬영하지 못하는 경우, 촬영된 사물 이미지를 이용한 기능을 제대로 수행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다.
즉, 종래 카메라가 장착된 휴대 단말기에서의 이미지 인식을 통한 기능 실행 방법은 원하는 기능을 수행하기 위해 등록된 이미지와 일치하는 이미지가 촬영될 때까지 사용자가 이미지 촬영 작업을 반복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다.
따라서, 카메라가 장착된 휴대 단말기에서 카메라를 통해 촬영된 이미지 데이터가 전체적이고 완전한 이미지의 획득이 어려운 경우 부분적인 이미지로부터 사물을 인식하여 인식된 사물에 대응하는 기능을 실행시킬 수 있는 방안이 절실하게 요청되어 오고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을 개선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카메라가 장착된 휴대 단말기에서 카메라를 통해 촬영된 부분적인 이미지 데이터로부터 사물을 인식하여 인식된 사물에 대응하는 기능을 실행하는 방법 및 그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의 목적을 이루고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카메라가 장착된 휴대 단말기에서 소정의 사물에 대한 특징점 정보 및 상기 사물에 대응하는 기능을 소정의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는 단계와, 상기 카메라를 통해 사물의 부분적인 이미지 데이터를 입력 받는 단계와, 상기 입력된 사물의 부분적인 이미지 데이터로부터 특징점 정보를 추출하는 단계와, 상기 추출된 특징점 정보와 상기 저장된 특징점 정보와 비교하여 사물을 인식하는 단계와, 상기 데이터베이스를 참조하여 상기 인식된 사물에 대응하는 기능을 검색하는 단계 및 상기 검색된 기능을 실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능 실행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측에 따르면, 카메라가 장착된 휴대 단말기에서 소정의 사물에 대한 특징점 정보 및 상기 사물에 대응하는 기능을 저장하는 데이터베이스와, 상기 카메라를 통해 촬영된 사물의 부분적인 이미지 데이터를 입력 받는 이미지 입력부와, 상기 입력된 사물의 부분적인 이미지 데이터로부터 사물의 특징점 정보를 추출하는 특징점 추출부와, 상기 추출된 사물의 특징점 정보를 이용하여 사물을 인식하는 사물 인식부와, 상기 데이터베이스를 참조하여 상기 인식된 사물에 대응하는 기 능을 검색하는 검색부 및 상기 검색된 기능을 실행하는 기능 실행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분적인 이미지 인식을 통한 기능 실행 장치가 제공된다.
본 발명에 따른 휴대 단말기는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스마트폰(Smart phone), 핸드헬드(handheld) PC, 핸드폰 등과 같이 소정의 카메라를 구비하고 소정의 마이크로프로세서를 탑재함으로써 소정의 연산 능력을 갖춘 단말기를 통칭하는 개념이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에서의 부분적인 이미지 인식을 통한 기능 실행 방법 및 그 장치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에서의 부분적인 이미지의 인식을 통한 기능 실행 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에서의 사물 인식을 통한 기능 실행 장치(100)는 데이터베이스(110), 카메라(120), 이미지 입력부(130), 특징점 추출부(140), 사물 인식부(150), 검색부(160) 및 기능 실행부(170)를 포함한다.
데이터베이스(110)는 소정의 사물에 대한 특징점 정보 및 상기 사물에 대응하는 기능을 저장한다. 상기 사물에 대한 특징점 정보는 상기 사물의 모양을 판별하는 기준이 되는 특징점의 위치 및 상기 특징점의 개수를 포함할 수 있다.
즉, 데이터베이스(110)는 상기 사물이 "편지 봉투"인 경우 도 2에 도시된 것과 같이 전체적인 편지 봉투의 이미지로부터 추출된 특징점 정보를 상기 사물 정 보에 대응시켜 저장할 수 있다.
또한, 데이터베이스(110)는 예를 들어 상기 사물이 "편지 봉투"인 경우, 편지 봉투에 대응시켜 메시지 작성 기능을 등록할 수 있다.
카메라(120)는 사용자의 요청에 따라 기능 실행 장치(100)를 통해 사용자가 실행시키고자 하는 기능에 대응하는 사물을 촬영한다. 즉, 카메라(120)는 사용자가 기능 실행 장치(100)를 통해 예를 들어 메시지 작성 기능을 실행시키고자 하는 경우 사용자의 요청에 따라 도 3에 도시된 것과 같은 메시지 작성 기능에 대응하는 사물인 편지 봉투의 부분적인 이미지를 촬영할 수 있다.
이미지 입력부(130)는 카메라(120)를 통해 촬영된 부분적인 이미지 데이터를 입력 받는다. 즉, 이미지 입력부(130)는 카메라(120)를 통해 예를 들어 편지 봉투의 부분적인 이미지가 촬영된 경우, 편지 봉투의 부분적인 이미지 데이터를 입력 받을 수 있다.
특징점 추출부(140)는 상기 입력된 부분적인 이미지 데이터로부터 특징점 정보를 추출한다. 즉, 특징점 추출부(140)는 이미지 프로세싱(image processing) 기법을 통해 상기 입력된 부분적인 이미지 데이터로부터 사물의 특징점 정보를 추출할 수 있다.
사물 인식부(150)는 상기 추출된 특징점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부분적인 이미지 데이터로부터 사물을 인식한다. 즉, 사물 인식부(150)는 상기 추출된 특징 정보와 상기 저장된 사물의 특징점 정보를 비교하여 그 결과가 소정의 정합 임계치(matching threshold) 이상인 경우, 상기 부분적인 이미지 데이터에 대응하는 사물 을 상기 특징점 정보가 비교된 사물로 인식할 수 있다.
사물 인식부(150)는 상기 부분적인 이미지 데이터가 예를 들어 도 3에 도시된 것과 같이 편지 봉투의 부분적인 이미지인 경우, 상기 부분적인 이미지 데이터의 특징점과 상기 편지 봉투의 전체적인 이미지에 대한 특징점 정보를 비교하여 상기 설정된 정합 임계치 이상인 경우, 상기 부분적인 이미지 데이터가 편지 봉투임을 인식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카메라가 장착된 휴대 단말기에서 카메라를 통해 촬영된 부분적인 이미지 데이터로부터 이미지 프로세싱 기법을 통한 특징점 정보를 추출한 후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사물의 특징점 정보와 비교한 결과에 의해 부분적인 이미지로부터 전체 이미지를 인식할 수 있다.
검색부(160)는 데이터베이스(110)를 참조하여 상기 인식된 사물에 대응하는 기능을 검색한다. 즉, 검색부(160)는 데이터베이스(110)를 참조하여 상기 인식된 사물이 예를 들어 편지 봉투인 경우 상기 편지 봉투에 대응하여 등록된 메시지 작성 기능을 검색할 수 있다.
기능 실행부(170)는 상기 검색된 사물에 대응하는 기능을 실행한다. 즉, 기능 실행부(170)는 검색부(160)를 통해 예를 들어 메시지 작성 기능이 검색된 경우, 상기 메시지 작성 기능을 실행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휴대 단말기는 카메라를 통해 촬영된 이미지가 전체적이거나 완전하지 않은 부분적인 이미지인 경우에도 부분적인 이미지로부터 전체적인 이미지에 대응하는 사물을 인식하여 인식된 사물에 대응하는 기능을 검색 하여 검색된 기능을 수행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휴대 단말기에서는 카메라를 통해 사물의 부분적인 이미지가 촬영되더라도 상기 촬영된 부분적인 이미지 데이터로부터 사물을 인식하여 인식된 사물에 대응하는 기능을 수행함으로써 사용자가 키패드, 터치 패드 또는 마이크 등과 같은 입력 수단을 통해 별도로 기능을 실행시키지 않더라도 사물에 대응하는 기능을 손쉽게 실행시킬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 일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에서의 부분적인 이미지 인식을 통한 기능 실행 방법의 흐름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단계(410)에서 휴대 단말기는 소정의 사물에 대한 특징점 정보 및 상기 사물에 대응하는 기능을 소정의 데이터베이스에 등록한다. 즉, 단계(410)에서 상기 휴대 단말기는 상기 사물이 예를 들어 편지 봉투인 경우, 도 2에 도시된 것과 같은 편지 봉투에 대한 특징점 정보 및 상기 편지 봉투에 대응하는 메시지 작성 기능을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등록할 수 있다.
단계(410)에서 상기 휴대 단말기는 제조 공정 또는 사용자의 요청에 따라 소정의 사물에 대한 특징점 정보 및 상기 사물에 대응하는 기능을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등록할 수 있다.
단계(420)에서 상기 휴대 단말기는 장착된 카메라를 통해 촬영된 부분적인 이미지 데이터를 입력 받는다. 상기 부분적인 이미지 데이터는 사용자가 상기 휴대 단말기를 통해 실행시키고자 하는 기능에 대응하는 사물의 부분적인 이미지를 포함한다.
즉, 단계(420)에서 상기 휴대 단말기는 사용자가 예를 들어 "편지 봉투"라는 사물에 대응하는 메시지 작성 기능을 실행시키고자 하는 경우, 편지 봉투의 부분적인 이미지를 상기 카메라를 통해 촬영하면, 상기 카메라로부터 편지 봉투의 부분적인 이미지 데이터를 입력 받을 수 있다.
단계(430)에서 상기 휴대 단말기는 상기 입력된 부분적인 이미지 데이터로부터 특징점 정보를 추출한다. 즉, 단계(430)에서 상기 휴대 단말기는 이미지 프로세싱 기법을 통해 상기 부분적인 이미지 데이터로부터 특징점 정보를 추출할 수 있다.
단계(430)에서 상기 휴대 단말기는 상기 입력된 부분적인 이미지 데이터가 편지 봉투의 일부분인 경우, 도 3에 도시된 것과 같이 상기 편지 봉투의 일부분으로부터 특징점 정보를 추출할 수 있다.
단계(440)에서 상기 휴대 단말기는 상기 부분적인 이미지 데이터로부터 추출된 특징점 정보 및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사물의 특징점 정보를 비교하여 그 결과에 따라 사물을 인식한다.
즉, 단계(440)에서 상기 휴대 단말기는 상기 부분적인 이미지 데이터로부터 추출된 특징점 정보와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사물의 특징점 정보를 비교한 결과가 소정의 정합 임계치 이상인 경우, 상기 부분적인 이미지 데이터로부터 상기 비교된 특징점 정보에 대응하는 사물이 무엇인지를 인식할 수 있다.
단계(440)에서 상기 휴대 단말기는 상기 부분적인 이미지 데이터가 예를 들어 편지 봉투의 일부분인 경우, 도 3에 도시된 것과 같은 상기 편지 봉투의 일부분 이미지 데이터로부터 추출된 특징점 정보를 도 2에 도시된 것과 같은 편지 봉투의 전체 이미지로부터 추출된 특징점 정보와 비교할 수 있다.
단계(440)에서 상기 휴대 단말기는 상기 비교 결과에 의해 상기 편지 봉투에 대응하여 저장된 특징점 정보와 일치하는 특징점 정보의 개수가 상기 정합 임계치 이상인 경우, 상기 부분적인 이미지 데이터에 대응하는 사물이 편지 봉투임을 인식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카메라가 장착된 휴대 단말기에서 카메라를 통해 촬영된 부분적인 이미지 데이터로부터 이미지 프로세싱 기법을 통한 특징점 정보를 추출한 후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사물의 특징점 정보와 비교한 결과에 의해 부분적인 이미지로부터 전체 이미지를 인식할 수 있다.
단계(450)에서 상기 휴대 단말기는 상기 데이터베이스를 참조하여 상기 인식된 사물에 대응하는 기능을 검색한다. 즉, 단계(450)에서 상기 휴대 단말기는 상기 데이터베이스를 참조하여 상기 인식된 사물이 편지 봉투인 경우, 편지 봉투에 대응하는 기능인 메시지 작성 기능을 검색할 수 있다.
단계(460)에서 상기 휴대 단말기는 상기 검색된 사물에 대응하는 기능을 실행시킨다. 즉, 단계(460)에서 상기 휴대 단말기는 상기 검색된 사물에 대응하는 기능이 예를 들어 메시지 작성 기능인 경우, 상기 메시지 작성 기능을 실행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휴대 단말기에서의 기능 실행 방법은 카메라를 통해 사물의 부분적인 이미지가 촬영되더라도 상기 촬영된 부분적인 이미지 데이터 로부터 사물을 인식하여 인식된 편지 봉투에 대응하는 메시지 작성 기능을 제공함으로써 사용자가 키패드, 터치 패드 또는 마이크 등과 같은 입력 수단을 통해 별도로 메시지 작성 기능을 실행시키지 않더라도 메시지 작성 기능을 손쉽게 실행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휴대 단말기에서의 부분적인 이미지 인식을 통한 기능 실행 방법은 다양한 컴퓨터로 구현되는 동작을 수행하기 위한 프로그램 명령을 포함하는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를 포함한다.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은 본 발명을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들이거나 컴퓨터 소프트웨어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도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의 예에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magnetic media), CD-ROM, DVD와 같은 광기록 매체(optical media),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 media), 및 롬(ROM), 램(RAM),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프로그램 명령을 저장하고 수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가 포함된다. 상기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 데이터 구조 등을 지정하는 신호를 전송하는 반송파를 포함하는 광 또는 금속선, 도파관 등의 전송 매체일 수도 있다. 프로그램 명령의 예에는 컴파일러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해서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를 포함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상기의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이는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 사상은 아래에 기재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만 파악되어야 하고, 이의 균등 또는 등가적 변형 모두는 본 발명 사상의 범주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카메라 장착된 휴대 단말기에서 카메라를 통해 촬영된 부분적인 이미지 데이터로부터 사물을 인식하여 인식된 사물에 대응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방법 및 그 장치를 제공함으로써 완전하고 전체적인 이미지를 촬영하기 힘든 사물에 대응하는 기능도 손쉽게 실행시킬 수 있다.

Claims (8)

  1. 카메라가 장착된 휴대 단말기에서의 부분적인 이미지 인식을 통한 기능 실행 방법에 있어서,
    소정의 사물에 대한 특징점 정보 및 상기 사물에 대응하는 기능을 소정의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는 단계;
    상기 카메라를 통해 사물의 부분적인 이미지 데이터를 입력 받는 단계;
    상기 입력된 사물의 부분적인 이미지 데이터로부터 특징점 정보를 추출하는 단계;
    상기 추출된 특징점 정보와 상기 저장된 특징점 정보와 비교하여 사물을 인식하는 단계;
    상기 데이터베이스를 참조하여 상기 인식된 사물에 대응하는 기능을 검색하는 단계; 및
    상기 검색된 기능을 실행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능 실행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추출된 특징점 정보와 상기 저장된 특징점 정보와 비교하여 사물을 인식하는 상기 단계는,
    상기 추출된 특징점 정보와 상기 저장된 사물의 특징점 정보를 비교한 결과 에 따라 상기 부분적인 이미지에 대응하는 사물을 인식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분적인 이미지 인식을 통한 기능 실행 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추출된 특징점 정보와 상기 저장된 사물의 특징점 정보를 비교한 결과에 따라 상기 부분적인 이미지에 대응하는 사물을 인식하는 상기 단계는,
    상기 추출된 특징점 정보와 상기 저장된 사물의 특징점 정보를 비교하여 상기 비교한 결과가 소정의 정합 임계치 이상인 경우, 상기 부분적인 이미지가 상기 비교된 특징점 정보에 대응하는 사물인 것으로 인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분적인 이미지 인식을 통한 기능 실행 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베이스를 참조하여 상기 인식된 사물에 대응하는 기능을 검색하는 상기 단계는,
    상기 인식된 사물이 편지 봉투인 경우, 상기 데이터베이스를 참조하여 상기 편지 봉투에 대응하는 메시지 작성 기능을 검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분적인 이미지 인식을 통한 기능 실행 방법.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의 방법을 컴퓨터에서 실행하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하는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
  6. 카메라가 장착된 휴대 단말기에서의 부분적인 이미지 인식을 통한 기능 실행 장치에 있어서,
    소정의 사물에 대한 특징점 정보 및 상기 사물에 대응하는 기능을 저장하는 데이터베이스;
    상기 카메라를 통해 촬영된 사물의 부분적인 이미지 데이터를 입력 받는 이미지 입력부;
    상기 입력된 사물의 부분적인 이미지 데이터로부터 사물의 특징점 정보를 추출하는 특징점 추출부;
    상기 추출된 사물의 특징점 정보를 이용하여 사물을 인식하는 사물 인식부;
    상기 데이터베이스를 참조하여 상기 인식된 사물에 대응하는 기능을 검색하는 검색부; 및
    상기 검색된 기능을 실행하는 기능 실행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분적인 이미지 인식을 통한 기능 실행 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특징점 추출부는,
    이미지 프로세싱 기법을 통해 상기 입력된 사물의 부분적인 이미지 데이터로부터 사물의 특징점 정보를 추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분적인 이미지 인식을 통한 기능 실행 장치.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사물 인식부는,
    상기 추출된 특징점 정보와 상기 저장된 사물의 특징점 정보를 비교하여 그 결과가 소정의 정합 임계치 이상인 경우, 상기 부분적인 이미지에 대응하는 사물을 상기 특징점 정보가 비교된 사물로 인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분적인 이미지 인식을 통한 기능 실행 장치.
KR1020050126589A 2005-12-21 2005-12-21 카메라가 장착된 휴대 단말기에서의 부분적인 이미지인식을 통한 기능 실행 방법 및 그 장치 KR10065182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126589A KR100651826B1 (ko) 2005-12-21 2005-12-21 카메라가 장착된 휴대 단말기에서의 부분적인 이미지인식을 통한 기능 실행 방법 및 그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126589A KR100651826B1 (ko) 2005-12-21 2005-12-21 카메라가 장착된 휴대 단말기에서의 부분적인 이미지인식을 통한 기능 실행 방법 및 그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651826B1 true KR100651826B1 (ko) 2006-12-01

Family

ID=3773150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126589A KR100651826B1 (ko) 2005-12-21 2005-12-21 카메라가 장착된 휴대 단말기에서의 부분적인 이미지인식을 통한 기능 실행 방법 및 그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51826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54690B1 (ko) 2010-06-01 2011-08-08 엠텍비젼 주식회사 휴대 단말기 및 영상 데이터를 이용한 장치 조작 방법
KR101920465B1 (ko) 2017-03-17 2018-11-20 주식회사 엑사스코프 실외환경에서의 피사체 식별 시스템 및 방법
KR20190059728A (ko) * 2017-11-23 2019-05-31 김선희 증강현실을 이용한 음식 정보 처리 장치 및 방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93753B1 (en) * 2002-02-28 2003-08-02 Smart Technology Co Ltd Method for recognizing fingerprint using dual mode matching
KR20040042958A (ko) 2002-11-14 2004-05-22 주식회사 씨크롭 계층적 지문인식 방법 및 시스템
KR20050045773A (ko) 2003-11-12 2005-05-17 (주)버추얼미디어 3차원 얼굴 표현 기능을 갖는 모바일 단말기 상에서의얼굴 인증과 검색 방법 및 장치
KR20050120339A (ko) 2004-06-18 2005-12-22 엘지전자 주식회사 휴대폰에 장착된 카메라를 이용한 신원확인 장치 및 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93753B1 (en) * 2002-02-28 2003-08-02 Smart Technology Co Ltd Method for recognizing fingerprint using dual mode matching
KR20040042958A (ko) 2002-11-14 2004-05-22 주식회사 씨크롭 계층적 지문인식 방법 및 시스템
KR20050045773A (ko) 2003-11-12 2005-05-17 (주)버추얼미디어 3차원 얼굴 표현 기능을 갖는 모바일 단말기 상에서의얼굴 인증과 검색 방법 및 장치
KR20050120339A (ko) 2004-06-18 2005-12-22 엘지전자 주식회사 휴대폰에 장착된 카메라를 이용한 신원확인 장치 및 방법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54690B1 (ko) 2010-06-01 2011-08-08 엠텍비젼 주식회사 휴대 단말기 및 영상 데이터를 이용한 장치 조작 방법
KR101920465B1 (ko) 2017-03-17 2018-11-20 주식회사 엑사스코프 실외환경에서의 피사체 식별 시스템 및 방법
KR20190059728A (ko) * 2017-11-23 2019-05-31 김선희 증강현실을 이용한 음식 정보 처리 장치 및 방법
KR102108535B1 (ko) * 2017-11-23 2020-06-16 오연재 증강현실을 이용한 음식 정보 처리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120078B2 (en) Method and device for video processing, electronic device, and storage medium
US20040240739A1 (en) Pen gesture-based user interface
CN111881956B (zh) 网络训练方法及装置、目标检测方法及装置和电子设备
CN101923432A (zh) 一种移动终端中应用程序的调用方法及装置
US9081799B2 (en) Using gestalt information to identify locations in printed information
WO2021027343A1 (zh) 一种人脸图像识别方法及装置、电子设备和存储介质
CN110472091B (zh) 图像处理方法及装置、电子设备和存储介质
EP2206109A1 (en) System and method for input of text to an application operating on a device
TW201426362A (zh) 輸入處理方法和裝置
CN110019675B (zh) 一种关键词提取的方法及装置
EP2806336A1 (en) Text prediction in a text input associated with an image
WO2023115911A1 (zh) 对象重识别方法及装置、电子设备、存储介质和计算机程序产品
CN104217172A (zh) 隐私内容查看方法及装置
WO2023078414A1 (zh) 相关文章搜索方法、装置、电子设备和存储介质
CN109783244B (zh) 处理方法和装置、用于处理的装置
KR100651826B1 (ko) 카메라가 장착된 휴대 단말기에서의 부분적인 이미지인식을 통한 기능 실행 방법 및 그 장치
JP2007018166A (ja) 情報検索装置、情報検索システム、情報検索方法及び情報検索プログラム
CN108573260A (zh) 信息处理方法和装置、电子设备、计算机可读存储介质
CN110070046B (zh) 人脸图像识别方法及装置、电子设备和存储介质
CN105930332B (zh) 代码发布查询方法及终端
CN109871685B (zh) 一种rtf文件的解析方法及装置
KR20070060617A (ko) 카메라가 장착된 휴대 단말기에서의 기능 실행 방법 및 그장치
CN101373403A (zh) 一种通过名片识别技术在地址簿中自动生成并添加图标的方法
KR20210045046A (ko) 이미지인식을 통한 휴대단말기의 기능 실행 방법 및 장치
CN110472121A (zh) 名片信息搜索方法、装置、电子设备以及计算机可读存储介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102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030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110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102

Year of fee payment: 10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