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51733B1 - 소형 정보 단말기에 내장된 응용 프로그램의 메뉴를 외부디스플레이 디바이스에 제시하는 장치 및 그 방법 - Google Patents

소형 정보 단말기에 내장된 응용 프로그램의 메뉴를 외부디스플레이 디바이스에 제시하는 장치 및 그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51733B1
KR100651733B1 KR1020050011728A KR20050011728A KR100651733B1 KR 100651733 B1 KR100651733 B1 KR 100651733B1 KR 1020050011728 A KR1020050011728 A KR 1020050011728A KR 20050011728 A KR20050011728 A KR 20050011728A KR 100651733 B1 KR100651733 B1 KR 10065173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enu
display device
terminal
application program
configur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1172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60067068A (ko
Inventor
김도형
윤민홍
탁병철
김선자
Original Assignee
한국전자통신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전자통신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전자통신연구원
Publication of KR2006006706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6706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5173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5173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4Supports for telephone transmitters or receiver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7/00Details of cameras or camera bodi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7/56Accessorie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소형 정보 단말기와 연결된 외부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에 단말기에 내장된 응용 프로그램이 제공하는 모든 메뉴를 제시하여 응용 프로그램을 보다 편리하게 활용할 수 있도록 하는 소형 정보 단말기에 내장된 응용 프로그램의 메뉴를 외부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에 제시하는 장치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개시하는 소형 정보 단말기에 내장된 응용 프로그램을 외부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에 제시하는 장치는 소형 정보 단말기에 내장된 응용 프로그램의 메뉴 정보를 추출하는 메뉴 정보 추출부; 상기 추출된 메뉴 정보를 참조하여 상기 단말기 화면에 최적화 제시되는 상기 응용 프로그램의 메뉴 구성을 외부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에 최적화 제시되는 메뉴 구성으로 변경하는 메뉴 구성 변경부; 및 상기 변경된 메뉴 구성을 상기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를 통해 제시하기 위해, 상기 단말기를 상기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에 연결시키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인터페이스 부를 포함하여 본 발명의 목적 및 기술적 과제를 달성한다.

Description

소형 정보 단말기에 내장된 응용 프로그램의 메뉴를 외부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에 제시하는 장치 및 그 방법{Apparatus for displaying application program menu built in mobile information terminal and Method thereof}
도 1은 본 장치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방법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의 흐름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본 발명은 소형 정보 단말기에 내장된 응용 프로그램의 메뉴를 외부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에 제시하는 장치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소형 정보 단말기와 연결된 대형의 외부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예를 들어 모니터, 빔 프로젝터 등)에 응용 프로그램이 제공하는 모든 메뉴를 제시하여 응용 프로그램을 보다 편리하게 활용할 수 있도록 하는 소형 정보 단말기에 내장된 응용 프로그램의 메뉴를 외부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에 제시하는 장치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이다.
현재 소형 정보 단말기(개인 휴대 단말기로 대표적 예로 휴대폰, PDA 등을 들 수 있다)에서는 사용자가 소형 정보 단말기에 내장된 소정의 응용 프로그램을 이용하기 위해서는 작은 화면상에서 응용 프로그램을 구동시켜 사용자가 터치스크 린 혹은 키패드를 이용하여 응용 프로그램을 활용하게 된다. 이하 설명의 편의를 위해 응용 프로그램을 문서 편집 프로그램을 그 예로 들어 설명한다.
소형 정보 단말기에 내장된 문서 편집 프로그램을 이용해 문서를 편집하기 위해서는 작은 화면상에서 문서 편집 프로그램을 구동시켜 사용자가 터치스크린 혹은 키패드를 이용하여 일일이 입력해야 한다.
이러한 입력 방식은 간단한 문서의 편집 같은 경우에는 그다지 큰 문제는 되지 않으나, 보다 큰 문서를 편집하는 경우에는 문서 편집의 효율성 및 사용자의 편리성 측면에서 상당히 불편함을 초래한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소형 정보 단말기를 이용하여 보다 편리한 문서의 편집을 꾀하기 위해 음성 인식 방식, 필기체 인식 방식 등이 제안되고 있으며 일부 제품이 출시 중이다.
음성 인식 방식은 소형 휴대 단말기에서 사용자의 음성 패턴을 학습시킨 후에, 사용자가 간단한 음성을 통해 해당 응용을 수행시킬 수 있는 방식이다. 하지만, 이 방식은 간단한 명령만을 수행할 수 있고, 보다 복잡한 문서 편집을 지원하기 위해서는 하드웨어적으로 보다 고가인 음성인식 칩을 단말기에 탑재해야 하는데, 이는 소형 휴대 단말기의 크기를 증가시키며, 아울러 가격을 상승시키게 된다.
필기체 인식은 필기체 인식 응용 프로그램을 수행한 후, 사용자가 스타일러스 펜을 가지고 직접 문장을 입력하게 된다. 하지만, 이 방식도 각 개인의 사용자마다의 입력하는 글자 스타일이 다르고, 좁은 화면에서 문자를 입력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어 간단한 문장 이외에는 실제 많이 사용되지 않는다.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창안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 및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소형 정보 단말기에 내장된 응용 프로그램을 이용하는 경우, 소형 정보 단말기를 외부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에 연결시켜 응용 프로그램이 제공하는 모든 메뉴를 제시하여 응용 프로그램을 보다 편리하게 이용할 수 있도록 하는 소형 정보 단말기에 내장된 응용 프로그램을 외부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에 제시하는 장치 및 그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 및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명세서에서 개시하는 소형 정보 단말기에 내장된 응용 프로그램을 외부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에 제시하는 장치는
소형 정보 단말기에 내장된 응용 프로그램의 메뉴 정보를 추출하는 메뉴 정보 추출부;
상기 추출된 메뉴 정보를 참조하여 상기 단말기의 화면 크기에 최적으로 제시되는 상기 응용 프로그램의 메뉴의 구성을 외부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화면 크기에 최적으로 제시되도록 상기 메뉴의 구성을 변경하는 메뉴 구성 변경부; 및
상기 변경된 메뉴의 구성을 상기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를 통해 제시하기 위해, 상기 단말기를 상기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에 연결시키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인터페이스 부를 포함하여 본 발명의 목적 및 기술적 과제를 달성한다.
아울러, 외부 입력 디바이스로부터 소정의 입력 신호를 받아, 사용자가 상기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를 통해 제시되는 메뉴 구성을 이용하게 하기 위해, 상기 단말 기를 상기 입력 디바이스에 연결시키는 입력 디바이스 인터페이스 부를 더 포함하여서도 본 발명의 목적 및 기술적 과제를 달성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 및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명세서에서 개시하는 소형 정보 단말기에 내장된 응용 프로그램을 외부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에 제시하는 방법은
(a)소형 정보 단말기에 내장된 응용 프로그램의 메뉴 정보를 추출하는 단계;
(b)상기 추출된 메뉴 정보를 참조하여 상기 단말기의 화면 크기에 최적으로 제시되는 상기 응용 프로그램의 메뉴의 구성을 외부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화면 크기에 최적으로 제시되도록 상기 메뉴의 구성을 변경하는 단계; 및
(c)상기 변경된 메뉴의 구성을 상기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를 통해 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본 발명의 목적 및 기술적 과제를 달성한다.
우선 본 발명의 동작에 대한 이해의 편의를 위해 본 발명이 제공하는 기술적 사상의 핵심을 제시하면, 소형 정보 단말기(이하 '단말기')의 화면에 맞도록 일부 보이지 않는(삭제된) 메뉴를 갖는 응용 프로그램을 내장한 단말기를 대형의 외부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에 연결시킨 후 상기 삭제된 메뉴를 전부 제시하여 사용자가 외부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를 보면서 손쉽게 응용 프로그램을 이용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이때, 단말기에 부착된 입력 디바이스 인터페이스 부를 통해 키보드 또는 마우스 등을 연결할 수 있도록 하여, 사용자가 보다 편리하게 응용 프로그램을 이용할 수 있게 하는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명확화하기 위해, 본 발명의 실시예에 근거하여 그 구성 및 동작을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되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번호를 부여함에 있어서 동일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있더라도 동일 참조번호를 부여하였으며 당해 도면에 대한 설명시 필요한 경우 다른 도면의 구성요소를 인용할 수 있음을 미리 밝혀둔다. 그리고 이해 및 설명의 편의를 위해 응용 프로그램을 문서 편집 프로그램을 그 예로 들어 이에 맞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장치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를 보여주는 도면이며, 도 2는 본 방법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메뉴 정보 추출부(101)는 단말기(10)에 내장된 문서 편집 프로그램(응용 프로그램)의 메뉴 정보를 추출(S21)하는 부분으로, 메뉴 정보의 추출은 사용자가 단말기에 제시된 화면을 외부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1)로 전송하기 위해서 화면 전송 버튼을 선택함으로써 시작된다.
사용자가 화면 전송 명령을 실행하면, 메뉴 정보 추출부(101)는 메뉴 정보 저장부(106, 구체적으로는 단말기내의 로컬 디스크)에 독출 신호를 인가하여 현재 내장하고 있는 또는 구동 중인 문서 편집 프로그램의 메뉴 정보를 추출한다.
이때 추출된 메뉴 정보는 해당 문서 편집 프로그램이 모니터, 빔 프로젝터 등 대형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에 제시되는 경우의 메뉴 정보 즉, 문서 편집 프로그램이 가진 전체 메뉴임이 바람직하다. 소형 정보 단말기에서 문서 편집 프로그램을 사용하기 위해 그 메뉴는 단말기(10)의 화면 크기를 고려하여 최적화 제시되어 있는데, 이는 단말기(10)의 화면 크기가 소형인 관계로 일부 메뉴는 화면에 제시되지 않도록 한다는 의미이다.
추출된 메뉴 정보는 이렇게 문서 편집 프로그램의 화면에 제시되지 아니하는 원래 메뉴의 전체 항목을 포함하고 있다. 메뉴 정보는 단말기에 문서 편집 프로그램을 이식할 때 단말기(10)에 함께 저장되며, 문서 편집 프로그램의 메뉴 구성도 이들 정보에 따라 변경될 수 있도록 하여야 한다.
메뉴 구성 변경부(102)는 단말기(10)에서 수행되는(단말기 화면에 표시되는) 문서 편집 프로그램의 메뉴 구성을 상기 추출된 메뉴 정보를 참조하여 외부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화면 크기에 최적화되게 제시하는데, 이는 단말기 화면에 표시되는 메뉴 구성을 PC 환경 등에서와 동일한 형태의 메뉴 구성으로 변경(S22) 즉, 전체 메뉴가 모두 제시되도록 변경시킨다는 의미이다.
메뉴 구성 변경부(102)는 이처럼 추출된 메뉴 정보를 이용하여 해당 편집 프로그램의 메뉴 구성을 변경하게 된다. 예를 들어, 상기 저장된 메뉴 정보에 따라 단말기(10)에서 실행 중인 편집 프로그램의 숨은 메뉴를 모두 보여주거나 단말기(10)에 편집 프로그램을 이식하는 과정에 화면 구성상 삭제하는 메뉴를 전부 복원시키는 방식 등으로 추출된 메뉴 정보가 외부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1)에 최적화되게 제시되도록 변경시킨다.
메뉴 구성 변경부(102)는 변경된 메뉴 구성을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인터페이스 부(103)로 출력한다(S23). 이 때, 메뉴 구성 변경부(102)는 문서 편집 프로그램의 변경된 메뉴 구성에 대해 외부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1)를 위한 지정된 해상도(resolution)가 지정되어 있는 지 조사한다(S24). 만약 지정된 해상도가 있으면, 그 해상도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인터페이스 부(103)를 통해 외부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1)로 변경된 화면을 전송하게 된다(S25). 만약 지정된 해상도가 없으면,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1)의 디폴트(default) 해상도로 변경한 다음 전송하게 된다(S26).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인터페이스 부(103)는 단말기(10)를 외부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1)에 연결시키는 기능을 수행하는 부분으로, 소정의 인터페이스 방식을 제공하는 포트로 구현 할 수 있는데, 대표적으로 직렬(serial) 포트이다.
입력 디바이스 인터페이스 부(104)는 외부 입력 디바이스(12)와 단말기(10)를 상호 연결시키는 부분으로, 외부 입력 디바이스(12)의 대표적인 예로는 키보드를 들 수 있는데,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가 문서 편집 기능에 중점을 두고 있기 때문이다. 입력 디바이스 인터페이스 부(104)는 소정의 인터페이스 방식을 제공하는 포트로 구현 할 수 있는데, 대표적 예로 USB(Universal Serial Port) 포트이다.
외부 입력 디바이스(12)를 이용하여 입력되는 문자는 응용 프로그램 제어부(105) 즉, 문서 편집 프로그램 제어부(105)에 의한 입력 처리 과정을 거치며, 입력 처리 과정의 결과값이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인터페이스 부(103)로 전송되어 외부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1)에 표시된다. 여기서, 입력 처리 과정이란 문자를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에 표시하기 위한 일련의 절차를 의미하며, 이 절차는 기 공지된 문서 편집 프로그램에서의 문서 표시 절차와 동일하다.
요약하면, 본 발명에서는 소형 정보 단말기에서 백그라운드로 수행되는 외부 전송 에이전트가 단말기(10)에서 수행중인 편집기의 메뉴 정보를 가지고 특정 문서 편집 프로그램 수행 중에, 사용자가 단말기에 제시된 화면을 외부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1)로 전송하기 위해서 화면 전송 버튼을 선택하게 되면, 외부 전송 에이전트는 단말기(10)에 저장된 메뉴 정보를 이용하여 삭제된 메뉴를 복원하고, 외부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1)로 복원된 화면을 출력하게 된다.
본 방법발명은 또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에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로서 구현하는 것이 가능하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컴퓨터 시스템에 의하여 읽혀질 수 있는 데이터가 저장되는 모든 종류의 기록장치를 포함한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의 예로는 ROM, RAM, CD-ROM, 자기 테이프, 플로피디스크, 광데이터 저장장치 등이 있으며, 또한 캐리어 웨이브(예를 들어 인터넷을 통한 전송)의 형태로 구현되는 것도 포함한다. 또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에 분산되어 분산방식으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가 저장되고 실행될 수 있다.
이제까지 본 발명에 대하여 그 바람직한 실시예를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변형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개시된 실시예들은 한정적인 관점이 아니라 설명적인 관점에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전술한 설명이 아니라 특허청구범위에 나타나 있 으며, 그와 균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차이점은 본 발명에 포함된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본 발명은 작은 화면을 갖는 소형 정보 단말기에 내장된 응용 프로그램의 이용을 용이하게 할 수 있는 방안을 제시하는데, 본 발명을 실시하면 사용자는 외부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에 자신의 개인 소형 단말기를 연결하여 시각적으로 보다 편리하게 단말기에 내장된 문서 편집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문자 입력을 할 수 있도록 한다.
즉, 본 발명은 사용자로 하여금 일반 PC 환경에서와 유사하게 모니터나 빔 프로젝터를 통해 문서 편집 프로그램의 화면을 볼 수 있고, USB를 통해 개인 휴대 단말에 연결된 입력 디바이스를 통해 보다 쉽게 단말기에 내장된 문서 편집 프로그램을 이용할 수 있는 환경을 제공한다.
따라서, 개인 휴대 단말에 적합하도록 삭제된 메뉴 등을 문서 편집 프로그램의 전 기능이 제시되도록 외부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에 복원하여 표시함으로써, 사용자가 보다 편리한 편집 기능들을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장점이 있다.

Claims (5)

  1. 소형 정보 단말기에 내장된 응용 프로그램의 메뉴 정보를 추출하는 메뉴 정보 추출부;
    상기 추출된 메뉴 정보를 참조하여, 상기 단말기의 화면 크기에 최적으로 제 시되는 상기 응용 프로그램의 메뉴의 구성을 외부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화면 크기에 최적으로 제시되도록 상기 메뉴의 구성을 변경하는 메뉴 구성 변경부; 및
    상기 변경된 메뉴의 구성을 상기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를 통해 제시하기 위해, 상기 단말기를 상기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에 연결시키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인터페이스 부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소형 정보 단말기에 내장된 응용 프로그램의 메뉴를 외부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에 제시하는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외부 입력 디바이스로부터 소정의 입력 신호를 받아, 사용자가 상기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를 통해 제시되는 메뉴 구성을 이용하게 하기 위해, 상기 단말기를 상기 입력 디바이스에 연결시키는 입력 디바이스 인터페이스 부를 더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소형 정보 단말기에 내장된 응용 프로그램의 메뉴를 외부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에 제시하는 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추출된 메뉴 정보는 상기 응용 프로그램의 전체 메뉴임을 특징으로 하는 소형 정보 단말기에 내장된 응용 프로그램의 메뉴를 외부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에 제시하는 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메뉴 구성 변경부는
    상기 변경된 메뉴 구성에 대해 상기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를 위한 해상도가 지정되어 있으면, 그 해상도로 상기 변경된 메뉴 구성의 화면을 상기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인터페이스 부에 전송하고;
    상기 해상도가 지정되어 있지 아니하면, 상기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디폴트(default) 해상도로 상기 변경된 메뉴 구성의 화면을 상기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인터페이스 부에 전송함을 특징으로 하는 소형 정보 단말기에 내장된 응용 프로그램의 메뉴를 외부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에 제시하는 장치.
  5. (a)소형 정보 단말기에 내장된 응용 프로그램의 메뉴 정보를 추출하는 단계;
    (b)상기 추출된 메뉴 정보를 참조하여 상기 단말기의 화면 크기에 최적으로 제시되는 상기 응용 프로그램의 메뉴의 구성을 외부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화면 크기에 최적으로 제시되도록 상기 메뉴의 구성을 변경하는 단계; 및
    (c)상기 변경된 메뉴의 구성을 상기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를 통해 제시하는 단계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소형 정보 단말기에 내장된 응용 프로그램의 메뉴를 외부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에 제시하는 방법.
KR1020050011728A 2004-12-14 2005-02-12 소형 정보 단말기에 내장된 응용 프로그램의 메뉴를 외부디스플레이 디바이스에 제시하는 장치 및 그 방법 KR10065173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040105419 2004-12-14
KR1020040105419 2004-12-14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67068A KR20060067068A (ko) 2006-06-19
KR100651733B1 true KR100651733B1 (ko) 2006-12-01

Family

ID=3716168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11728A KR100651733B1 (ko) 2004-12-14 2005-02-12 소형 정보 단말기에 내장된 응용 프로그램의 메뉴를 외부디스플레이 디바이스에 제시하는 장치 및 그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51733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67068A (ko) 2006-06-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RE46139E1 (en) Language input interface on a device
JP6055961B2 (ja) テキスト選択及び入力
KR101085655B1 (ko) 단말의 문자 입력 장치 및 방법
US7277845B2 (en) Communication support apparatus and method
CN100472604C (zh) 图像显示方法以及信息装置
CN107657953A (zh) 语音控制方法及系统
KR101474854B1 (ko) 음성인식을 통해 컨트롤 객체를 선택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CN105359121A (zh) 使用接收数据的应用远程操作
US10620803B2 (en) Selecting at least one graphical user interface item
US20170205980A1 (en) Method and an apparatus for providing a multitasking view
KR20190002525A (ko) 눈멀거나 시각적으로 손상된 사람용 컴퓨팅 장치의 멀티미디어 관리용 가제트
KR20170137491A (ko) 전자 장치 및 그의 동작 방법
EP3029567A1 (en) Method and device for updating input method system, computer storage medium, and device
KR20140146785A (ko) 오디오 및 텍스트 간의 변환을 위한 방법 및 전자 장치
US20160092104A1 (en) Methods, systems and devices for interacting with a computing device
Alajarmeh Non-visual access to mobile devices: A survey of touchscreen accessibility for users who are visually impaired
KR20150024262A (ko) 필기 컨텐츠를 작성하는 사용자 기기 및 방법
US20140180698A1 (en)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and storage medium
Chomchalerm et al. Braille dict: Dictionary application for the blind on android smartphone
KR100651733B1 (ko) 소형 정보 단말기에 내장된 응용 프로그램의 메뉴를 외부디스플레이 디바이스에 제시하는 장치 및 그 방법
JP2011186994A (ja) 文字入力装置および文字入力方法
US20180060116A1 (en) Execution of task instances relating to at least one application
JP2009271800A (ja) 文字表示装置
Alnfiai et al. Improved Singeltapbraille: Developing a Single Tap Text Entry Method Based on Grade 1 and 2 Braille Encoding.
US20130326408A1 (en) Electronic apparatus, control method of an electronic apparatus, and control program of an electronic apparatu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