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51670B1 - Seedling rest for rice-planting machines - Google Patents
Seedling rest for rice-planting machines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0651670B1 KR100651670B1 KR1020007013594A KR20007013594A KR100651670B1 KR 100651670 B1 KR100651670 B1 KR 100651670B1 KR 1020007013594 A KR1020007013594 A KR 1020007013594A KR 20007013594 A KR20007013594 A KR 20007013594A KR 100651670 B1 KR100651670 B1 KR 100651670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mother
- mother loading
- divided
- main
- loading zone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C—PLANTING; SOWING; FERTILISING
- A01C11/00—Transplanting machines
- A01C11/02—Transplanting machines for seedlings
-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C—PLANTING; SOWING; FERTILISING
- A01C11/00—Transplanting machines
- A01C11/003—Transplanting machines for aquatic plants; for planting underwater, e.g. rice
-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B—SOIL WORKING IN AGRICULTURE OR FORESTRY;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AGRICULTURAL MACHINES OR IMPLEMENTS, IN GENERAL
- A01B59/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connection between animals or tractors and agricultural machines or implements
- A01B59/06—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connection between animals or tractors and agricultural machines or implements for machines mounted on tractors
-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B—SOIL WORKING IN AGRICULTURE OR FORESTRY;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AGRICULTURAL MACHINES OR IMPLEMENTS, IN GENERAL
- A01B73/00—Means or arrangements to facilitate transportation of agricultural machines or implements, e.g. folding frames to reduce overall width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oil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Zoology (AREA)
- Transplanting Machines (AREA)
- Agricultural Machines (AREA)
- Accommodation For Nursing Or Treatment Tables (AREA)
Abstract
예를 들면 8조의 다조심기 벼 이앙기의 모적재대(16)의 구성으로서, 좌우 한쪽의 1조 또는 복수조의 분할 모적재대(16D)를 벼 이앙기에 고정된 주된 모적재대(16M)에 착탈가능하게 하고, 상기 주된 모적재대(16M)의 모적재면측과 상기 분할 모적재대(16D)의 이면측에 각각 대응하여 위 1곳과 아래 좌우 2곳의 3곳 지지구조를 설치하고, 상기 분할 모적재대(16D)를 주된 모적재대(16M)의 윗쪽에 얹어놓고 고정가능하게 하였다. 상기 분할 모적재대(16D)에는 좌우 양측에 핸들(40L·40R)을 설치하고, 한쪽의 핸들을 다른쪽보다 높은 위치로 하고 있다. 상기 아래 좌우 2곳의 지지구조는 상기 분할 모적재대(16D)에 설치한 끼워맞춤핀(41L·41R)을 상기 주된 모적재대(16M)에 설치한 지지파이프(43L·43R)에 각각 끼워넣음으로써 지지하는 것으로 하고 있다.For example, as a configuration of the mother loading zone 16 of the eight-row multi-paddy rice transplanter, one set or multiple sets of divided mother loading zones 16D on either side of the left and right sides are attached to the main mother loading zone 16M fixed to the rice transplanter. It is detachable, and installs three support structures of the upper one place and the lower left and right two places corresponding to the mother loading surface side of the main mother loading zone 16M and the rear surface side of the divided mother loading stage 16D, respectively, The divided mother loading stage 16D was placed on the upper side of the main mother loading stage 16M, and was made fixable. Handles 40L and 40R are provided on the left and right sides of the divided mother loading table 16D, and one handle is set to a higher position than the other. The support structure of the lower left and right two places the fitting pins 41L and 41R provided in the divided mother loading stage 16D to the support pipes 43L and 43R provided in the main mother loading stage 16M, respectively. I support it by putting it.
Description
본 발명은 승용 벼 이앙기의 모적재대의 구성에 관한 것이고, 이동주행시나 벼 이앙기의 격납시에 모적재대의 좌우폭을 축소시켜서 이동성과 수납성의 향상을 목표로 한 기술에 관한 것이다. 상세하게는 모적재대의 좌우 한쪽을 분할구성으로 하고, 분할된 모적재대를 착탈가능하게 구성하여, 작업종료 후에는 분할된 모적재대를 떼어내어 고정측의 모적재대 위에 얹어놓고 결합가능하게 한 모적재대의 구성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the configuration of the mother loading zone of a passenger rice transplanter, and relates to a technique aimed at improving mobility and storage properties by reducing the left and right widths of the mother loading zone when moving or storing rice rice transplanters. In detail, the left and right sides of the mother loading stage are divided, the divided mother loading stage is detachably configured, and after completion of work, the divided mother loading stage is detached and placed on the mother loading stage on the fixed side to be combined. It's about the construction of a hostile zone.
종래로부터 8조심기 이상의 다조심기형 벼 이앙기에 있어서는, 모적재대나 가이드레일을 접도록 구성한 기술이 공지로 되어 있다. 예를 들면, 일본국 특개평 10-127121호의 기술이다. 이와 같은 구성으로 하고 있는 이유는 다조심기형 벼 이앙기에 있어서는 모적재대의 좌우폭이 넓어지기 때문에 반송이나 이동을 행하는 경우, 혹은 벼 이앙기를 창고 등에 격납하는 경우에는 기체보다 좌우로 돌출되어 있는 모적재대가 방해가 된다는 문제가 있었기 때문이다.BACKGROUND ART Conventionally, in a multi-paddy rice transplanter having an eight-core planter or more, a technique configured to fold a mother loading zone and a guide rail is known. For example, it is the technique of Unexamined-Japanese-Patent No. 10-127121. The reason for this configuration is that the width of the mother loading zone becomes wider in the multi-season rice rice transplanter, so that when transporting or moving, or storing rice rice transplanter in the warehouse, etc. This is because there was a problem that interferes.
이 종래기술에 의한 모적재대는 좌우양측의 2조분의 모적재대가 중앙의 4조분의 모적재대와 분할되는 구성으로 되어 있고, 이동시 혹은 격납시에는 좌우 양측의 2조분의 모적재대를 각각 중앙을 향하여 약간 후방으로 슬라이드 이동시키면서 중앙의 모적재대 위에 얹어놓도록 접는 구성으로 하고 있었다. 또, 좌우의 가이드레일이나 범퍼는 윗쪽 또는 전방으로 접도록 구성하고 있었다.In this prior art, the mother loading zone of two sets of left and right sides is divided into four groups of loading zones in the center, and when moving or storing, two sets of mother loading zones on both sides are respectively centered. It was configured to fold so as to be placed on the center of the mother loading stage while sliding slightly toward the rear. The left and right guide rails and the bumpers were configured to fold upward or forward.
그러나, 종래의 모적재대의 접기기구는 링크기구에 의해 슬라이드이동(평행이동)시키는 구성으로 하고 있었기 때문에, 기구가 복잡하고 비용이 높아진다. 또, 좌우 양쪽의 모적재대를 중앙의 모적재대 쪽으로 접고, 각각을 로크(lock)하는 구성으로 하고 있었기 때문에 조작순서가 많아지고 조작이 번잡하였다. 또한 접는 것 만으로는 접은 모적재대가 진동하거나 흔들리기 때문에, 로크하여 고정할 필요가 있어 조작이 많고 번잡하였다.However, since the conventional mother-base folding mechanism has a structure in which the slide mechanism is moved by the link mechanism (parallel movement), the mechanism is complicated and the cost is high. In addition, since the mother loading zones on both the left and right sides were folded toward the mother loading zone in the center, and the locks were locked to each other, the operation procedure was increased and the operation was complicated. Moreover, since only the folding baseband vibrates or shakes, it is necessary to lock and fix it, which is complicated and cumbersome.
본 발명은 모적재대의 좌우 폭방향의 길이를 축소가능하게 한 벼 이앙기에 있어서, 좌우 한쪽의 1조 또는 복수조의 모적재대를 착탈가능하게 하여 분할 모적재대로 하고, 상기 분할 모적재대를 나머지의 주된 모적재대의 윗쪽에 얹어놓고 고정가능하게 하였기 때문에, 이동주행, 반송 혹은 벼 이앙기의 격납 등을 행하기 쉽게 되었다.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rice transplanter in which the length in the left and right width directions of the mother loading zone can be reduced, so that one or more sets of mother loading zones on one side or the left and right sides can be detached to be divided mother loading, and the division mother loading zone is the remaining. Since it is mounted on the upper side of the main mother band, it can be easily moved, transported, or stored in rice transplanters.
상기 착탈가능한 분할 모적재대의 조수 설정으로서, 특히 2조폭으로 함으로써 분할 모적재대를 주된 모적재대의 상부에 얹어놓고 수납시킨 때에, 1조폭으로 한 경우보다도 모적재대의 좌우폭을 축소시킬 수 있다. 한편, 너무 많은 조수에서는 분할 모적재대의 중량이 커지므로, 2조분의 분할 모적재대라면 들어올리는데에 큰 힘을 필요로 하지 않으므로 수납작업을 무리없이 행할 수 있다.As the tide setting of the detachable divided mother loading zone, the width of the mother loading zone can be reduced more than the case where one division width is set when the divided mother loading zone is placed on the upper part of the main mother loading zone and accommodated. On the other hand, in too many tides, the weight of the divided mother loading zone becomes large. Thus, if two divisions of the mother loading zone do not require a large force to lift, the storing operation can be performed without difficulty.
그리고, 상기 분할 모적재대의 좌우 양측에 파지부를 설치하고, 상기 좌우 파지부의 한쪽을 다른쪽보다 높은 위치에 배치하였기 때문에, 분리작업이 용이하고, 또한 힘을 넣기 쉬운 구성으로 되며, 더구나 상기 좌우 파지부를 분할 모적재대의 중심을 사이에 두고 배치함으로써 분할 모적재대를 들어 올릴 때의 균형을 취하기 쉬워 작업을 행하기 쉽게 되었다.Further, since the holding portions are provided on the left and right sides of the divided mother loading zone and one side of the left and right holding portions is disposed at a position higher than the other, the separation operation is easy and the structure is easy to put in force. By arranging the left and right gripping portions with the center of the divided basebands in between, it is easy to balance the lifting of the divided basebands, making it easier to work.
또, 분할 모적재대의 이면측에 좌우방향으로 적어도 2곳의 피지지부를 설치하고, 주된 모적재대의 모적재면측에는 이 피지지부에 걸리는 분할 모적재대의 중력방향의 하중을 받는 상태의 지지부를 설치하여, 분할 모적재대를 상하진동 없이 주된 모적재대상에 지지하는 것으로 하고, 게다가 분할 모적재대의 이면측의 이들 피지지부보다 높은 위치에 상부피지지부를 설치하고, 주된 모적재대의 모적재면측에는 상기 지지부보다 높은 위치에서 상기 상부피지지부를 지지하는 상부지지부를 설치하여, 분할 모적재대를 좌우나 전후로 회전하는 바와 같은 진동을 규제하는 것이다. 아래쪽의 지지구조가 분할 모적재대의 중력방향의 하중을 받는 구조이므로, 상부의 지지구조는 이와 같이 분할 모적재대의 회전을 규제하는 바와 같은 간단하며, 또한 소형인 구성으로 된다.In addition, at least two supported portions are provided on the rear surface side of the divided mother loading zone i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s, and a support portion in the state of receiving the load in the gravity direction of the divided mother loading zone that is applied to this supported portion is installed on the mother loading surface side of the main mother loading zone. The upper base supporting portion is installed at a position higher than these supported portions on the back side of the divided mother loading stage, and on the mother loading side of the main mother loading zone. By installing an upper support portion for supporting the upper supported portion at a position higher than the support portion, it is to restrict the vibration as the divided mother loading zone rotates from side to side or back and forth. Since the lower support structure is a structure that receives the load in the gravity direction of the divided mother loading zone, the upper support structure has a simple and compact structure as described above to restrict the rotation of the divided mother loading zone.
대표적으로는, 분할 모적재대의 이면측에 아래쪽 좌우 2곳의 피지지부, 윗쪽 1곳의 상부피지지부를 설치하고, 주된 모적재대의 모적재면상에 3곳 지지하는 구조를 생각할 수 있다.Representatively, it is conceivable to have a structure in which two support portions at the lower left and right sides and an upper support portion at one upper side are provided on the rear side of the divided mother loading zones, and three supports are supported on the mother loading surface of the main mother loading zone.
이 3곳 지지구조를 예로 하면, 아래 2곳의 지지구조의 구체예로서 분할 모적재대의 피지지부는 상기 이면보다 대략 아래쪽으로 돌출하여 설치되는 핀으로 하고, 주된 모적재대에는 상기 핀을 끼워맞추는 부재로서 예를 들면 상기 핀을 그 축 심방향으로 삽입하는(대략 윗쪽으로 돌출 설치된다) 통형상부재(지지파이프)를 설치하는 것이나, 상기 핀을 그 직경방향으로 삽입하는 오목형상부재를 설치하는 것을 생각할 수 있다.Taking the three support structures as an example, as a specific example of the following two support structures, the supported portion of the divided mother band is a pin that protrudes substantially below the rear surface, and the pin is fitted to the main mother substrate. As a member, for example, there is provided a cylindrical member (support pipe) for inserting the pin in its axial center direction (approximately installed upward), or for providing a concave member for inserting the pin in its radial direction. You can think of it.
그리고, 특히 주된 모적재대의 지지부를 통형상부재로 구성한 경우, 분할 모적재대의 좌우 2곳의 핀의, 각 통형상부재로의 삽입 길이를 다르게 함으로써 이 좌우 2개의 핀을 용이하게 주된 모적재대의 좌우 2곳의 통형상부재로 지지할 수 있다. 즉, 좌우 2개의 핀 중, 우선, 삽입길이가 긴 쪽의 핀을 먼저 통형상부재에 삽입하면, 이 핀 및 지지부재가 그 후에 삽입 길이가 짧은 쪽의 핀을 통형상부재에 대하여 위치결정하여 삽입할 때의 가이드로 되기 때문에 분할 모적재대를 주된 모적재대 위에 용이하게 얹어놓고 고정할 수 있는 것이다.In particular, when the support portion of the main mother limb is composed of a cylindrical member, the two left and right pins of the divided mother limbs are easily inserted into each cylindrical member by varying the length of insertion into the respective cylindrical members. It can be supported by two cylindrical members. In other words, first of the two left and right pins, the pin with the longer insertion length is first inserted into the cylindrical member, and the pin and the supporting member then position the pin with the shorter insertion length with respect to the cylindrical member. Since it is a guide when inserting, it is possible to easily install and install the divided mother bands on the main mother bands.
본 발명은 이상의 목적 및 그 외의 목적, 특징, 효과에 대해서는 이하의 첨부도면을 근거로 한 상세한 설명에 의해 명백해 질 것이다.BRIEF DESCRIPTION OF THE DRAWINGS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come apparent from the following detailed description on the basis of the accompanying drawings and other objects, features, and effects.
도 1은 좌우방향의 길이를 축소할 수 있는 모적재대를 구비한 벼 이앙기의 전체측면도,1 is an overall side view of a rice transplanter having a mother loading zone capable of reducing the length i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s;
도 2는 분할 모적재대를 주된 모적재대 위에 놓고 수납한 상태를 나타내는 후면(모적재면)도,2 is a rear view (base material surface)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divided mother loading zone is placed on the main mother loading zone and accommodated;
도 3은 본 발명의 모적재대의 후면도,3 is a rear view of the mother limb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는 분할 모적재대의 후면도,4 is a rear view of the split mother loading zone,
도 5는 모적재대의 측면도,5 is a side view of the mother loading zone;
도 6은 분할 모적재대의 전면(이면)도,6 is a front view (rear view) of a divided mother loading zone,
도 7은 끼워맞춤핀 부착부의 측면도,7 is a side view of the fitting pin attachment portion;
도 8은 좌측의 지지파이프의 측면도,8 is a side view of the support pipe on the left side;
도 9는 우측의 지지파이프의 측면도,9 is a side view of the support pipe on the right side;
도 10은 결합핀 부착부의 측면도,10 is a side view of the attachment pin attachment portion,
도 11은 결합핀 부착부의 정면도,11 is a front view of the coupling pin attachment portion,
도 12는 좌우의 끼워맞춤핀의 길이를 다르게 한 실시예의 후면도,12 is a rear view of an embodiment in which the left and right fitting pins have different lengths;
도 13은 한쪽은 핀과 지지파이프, 다른쪽은 핀을 오목부에 끼워맞추도록 한 실시예의 후면도,FIG. 13 is a rear view of an embodiment in which one pin is fitted with a support pipe and the other is fitted with a recess; FIG.
도 14는 도 13에 있어서의 14-14화살표 단면도,FIG. 14 is a 14-14 arrow sectional view in FIG. 13; FIG.
도 15는 주된 모적재대 위에 레일을 설치하고, 분할 모적재대에 롤러를 설치한 실시예의 후면도,15 is a rear view of an embodiment in which a rail is installed on a main matrix, and a roller is installed in a divided matrix;
도 16은 마찬가지로 레일과 롤러 부분의 측면도,16 is similarly a side view of the rail and the roller portion,
도 17은 분리한 상태의 모적재대의 전면도,17 is a front view of the mother loading zone in the separated state,
도 18은 분할 모적재대에 설치한 플래셔램프와 모중계센서의 코드를 연결하는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전면도이다.18 is a front view illustrating another embodiment in which a cord of a flashlight lamp and a mother relay sensor installed in a divided mother loading stage is connected.
우선, 8조심기 승용 벼 이앙기(A)의 전체구성에 대하여 도 1을 사용하여 설명한다. 승용 벼 이앙기(A)는 전부의 주행부(1)와, 주행부(1)의 후부에 승강링크기구(27)를 통하여 연결되는 이식부(4)로 구성되어 있다. 주행부(1)는 차체프레임(3)에 지지되어 있고, 상기 차체프레임(3)의 전부 윗쪽에는 엔진(2)이 탑재되고, 전부 하부에는 프론트액슬케이스를 통하여 앞바퀴(6)가 지지되고, 후부 하부에는 리어액슬케이스(7)를 통하여 뒷바퀴(8)가 지지되어 있다.First, the whole structure of the rice plant rice transplanter A for 8 cores is demonstrated using FIG. The rice transplanter A for passengers is comprised by the whole running
엔진(2)은 본네트(9)로 덮이고, 상기 본네트(9)의 양측에 예비 모적재대(10·10)를 설치하고, 상기 본네트(9)의 후부의 계기판(5)상에 조향핸들(14)을 배치하고 있다.The
본네트(9) 양측과 그 후부의 차체프레임(3) 위는 차체커버(12)로 덮여져 있다. 차체커버(12)의 전반부는 본네트(9)의 좌우 양측에서 계기판의 후방부분에 걸쳐서 동일높이로 대략 수평하게 플랫폼을 형성하고 있고, 후반부는 한단 높게 되어 있고 그 위에 좌석(13)를 설치하고 있다.On both sides of the bonnet 9 and above the
좌석(13)의 측부에는 주행변속레버(30), 이식승강겸 작업주행변속용 부변속레버(31), 이식감도 조절레버 등이 배치되고, 계기판(5) 하단으로부터 그 후방의 상기 차체커버(12) 상면의 플랫폼 윗쪽에, 주클러치페달(32)이나 좌우 브레이크페달을 돌출 설치하고 있다. 그리고, 좌석(13)의 후방의 차체커버(12)상에는 8조용의 시비기(施肥機)(33)가 탑재되어 있다.On the side of the
상기 이식부(4)는 모적재대(16), 이식클로(17), 센터플로트(34), 사이드플로트(35)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모적재대(16)는 전방으로 경사지게 설치되고, 모적재면(즉 기체 후방측)이 윗쪽을 향하도록 하고 있다. 모적재대(16)의 하부는 하부가이드레일(18)에 의해서 지지되고, 이면(즉 모적재면의 이면측으로 기체 전방측)의 상부는 상부가이드레일(19)에 의해서 지지됨으로써, 상기 모적재대(16)는 좌우 왕복슬라이딩 가능하게 되어 있고, 상기 하부가이드레일(18) 및 상부가이드레일(19)은 이식센터케이스(20)로부터 프레임 등을 통하여 지지되어 있다.The
이식센터케이스(20)로부터 좌우방향의 연결파이프를 통하여 복수의 체인케이스(21)를 서로 평행하게 후방으로 돌출하고 있다. 각 체인케이스(21)의 후부에는 일방향으로 회전시키는 로터리케이스(22)를 배치하고, 각 로터리케이스(22)의 양단에 한쌍의 이식클로(17·17)를 배치하고 있다.The plurality of
그리고, 이상과 같은 이식부(4)의 각 구성부재의 움직임을 연계시킴으로써 벼 이앙기가 전진주행함과 아울러 모적재대(16)가 좌우로 왕복슬라이딩하고, 이 왕복이동에 동기시켜서 이식클로(17)를 구동하여 한포기분의 모를 떼어 내어 연속적으로 이식작업을 행하는 것으로 되어 있다.Then, by linking the movement of the respective constituent members of the
또, 상기 이식센터케이스(20)의 전부(前部)가 롤링지점축을 통하여 상기 승강링크기구(27)에 연결되어 있다. 승강링크기구(27)는 탑링크(25)나 로어링크(26) 등으로 구성되고, 좌석(13) 아래쪽에 배치된 승강실린더(28)의 신축에 의해서 이식부(4)를 승강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In addition, the front part of the
다음에, 본 발명에 관한 모적재대(16)의 구성을 설명한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모적재대(16)는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우측(전진방향에 대하여 우측, 이하 같음)의 2조분의 분할 모적재대(16D)와, 좌측(전진방향에 대하여 좌측, 이하 같음) 및 기체중앙측의 고정된 여섯조분의 주된 모적재대(16M)로 구성된다. 이 외에, 주된 모적재대(16M)의 좌측에 분할 모적재대(16D)를 부착하는 것도 생각할 수 있고, 또, 주된 모적재대(16M)의 좌우 양측에 분할 모적재대(16D)를 부착하는 구성으로 하는 것도 생각할 수 있다.Next, the structure of the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분할 모적재대(16D)는 주된 모적재대(16M)에 대하여 착탈가능하게 되어 있고, 떼어내어 주된 모적재대(16M)의 모적재면상에 얹어놓고 결합하여 수납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 또한 분할 모적재대(16D)를 떼어냄으로써 주된 모적재대(16M)의 우측부에서 돌출하여 설치하는 상태로 된 하부가이드레일(18)은 전방으로 회전하여 수납할 수 있도록 되어 있고, 사이드범퍼는 안쪽방향으로 슬라이딩하여 수납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As shown in Fig. 2, the divided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모적재대(16)의 모적재면에는 각조마다에 얹어지는 모매트를 좌우에서 가이드하도록 상하방향으로 복수의 리브(16a)가 형성되어 있다. 즉, 리브(16a)는 각조의 좌우 양측에 한개씩 설치되어 있고, 모매트가 좌우 양측의 리브(16a)로 가이드되면서 경사져 있는 모적재면상을 아래쪽으로 반송되는 것으로서, 주된 모적재대(16M)에 있어서는 좌단에서 우단까지 합계 7개의 리브(16a)가, 분할 모적재대(16D)에는 합계 3개의 리브(16a)가 설치되어 있다.As shown in FIG. 3, a plurality of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주된 모적재대(16M)의 모적재면상에는 3조에 걸쳐서 일체적으로 형성되는 모매트 누르개(46M)가 좌우에 두개 설치되고, 분할 모적재대(16D)의 모적재면상에는 그 2조에 걸쳐서 일체적으로 형성되는 모매트 누르개(46D)가 설치되어 있다. 또, 주된 모적재대(16M)·분할 모적재대(16D) 모두, 모적재면의 각조마다에 모스토퍼(47)가 설치되어 있다. (도 3에서는 주된 모적재대(16M)의 각 조상에 모스토퍼(47)가 그려져 있지 않지만, 실제로는 설치되 어 있다.)As shown in FIG. 3, two
종래, 8조심기의 벼 이앙기의 모매트 누르개의 수는 양측의 접는 2조의 모적재대에 각 하나, 고정의 4조분의 모적재대의 중앙 2조와 좌우 1조에 각 하나씩으로, 합계 5개의 모매트 누르개가 설치되어 있었다. 즉, 작업이 종료되고 모적재대상의 남은 모를 빼낼 때에, 5개의 모매트 누르개를 벗겨내지 않으면 안되었다. 이것에 대하여 본 실시예에서는 전술한 바와 같이, 주된 모적재대(16M)상의 2개의 모매트 누르개(46M)와, 분할 모적재대(16D)상의 하나의 모매트 누르개(46D)의 합계 3개의 모매트 누르개(46)를 설치하고 있어, 종래보다 수가 적게 되어 있어서 모적재대상의 남은 모의 취출작업이 쉽게 된다. 또, 부품수 삭감과 조립공정수 삭감에 의한 비용절감이 가능하게 되었다.Conventionally, the number of the mother mat presses of the rice transplanter of the eight-ply planting machine is five in total in one each in two sets of folding stands of both sides, one each in the center two sets and the right and left set of four sets of fixation stands The presser was installed. That is, when the work was finished and the remaining hair of the mother material to be taken out was removed, five mother mat presses had to be removed. On the other hand, in the present embodiment, as described above, three
도 3 내지 도 5를 근거로, 모매트 누르개(46)(이하, 특별히 지정이 없는 한 각 모매트 누르개(46M·46D)를 모매트 누르개(46)라 칭한다)에 대하여 설명한다. 각 모매트 누르개(46)는 복수의 세로누름봉(46a)과, 한개의 가로지지봉(46b)과, 한개의 지지축(46c)으로 구성된다.3 to 5, the mother mat presser 46 (hereinafter, each
지지축(46c)은 도 3 및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좌우방향, 즉 후면에서 보아 리브(16a)에 대하여 직각형상으로 배치되어 있고, 그 좌우 양단은 적절한 리브(16a)상에 고정설치한 스토퍼스테이(50)에 각각 피벗되어 있다. 상세하게 말하면, 주된 모적재대(16M)상의 왼쪽 모매트 누르개(46M)의 지지축(46c)의 좌단이 왼쪽에서 1조째의 좌측리브(16a)(주된 모적재대(16M)의 가장 왼쪽의 리브(16a))상의 스토퍼스테이(50)에, 우단은 3조째의 우측 리브(16a)(주된 모적재대(16M)의 왼쪽에 서 4번째의 리브(16a))상의 스토퍼스테이(50)에 피벗되어 있고, 오른쪽 모매트 누르개(46M)의 지지축(46c) 좌단은 3조째의 우측 리브(16a)상의 상기와 같은 스토퍼스테이(50)에, 우단은 6조째의 우측 리브(16a)(주된 모적재대(16M)의 가장 우측의 리브(16a))의 스토퍼스테이(50)에 피벗되어 있다. 그리고, 모매트 누르개(46D)의 좌우 양단은 분할 모적재대(16D)의 좌우 양단의 리브(16a)상에 고정하여 설치한 각 스토퍼스테이(50)에 각각 피벗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이와 같이 주된 모적재대(16M)에 3개의 스토퍼스테이(50)를, 분할 모적재대(16D)에 2개의 스토퍼스테이(50)를, 즉 모두 5개의 스토퍼스테이(50)를 설치하고 있다. 종래에는 고정의 모적재대의 모매트 누르개가 3개 설치되는 관계상, 동일 기능의 스토퍼스테이가 4개 설치되고, 또 좌우의 접기 가능한 분할 모적재대에 각각 2개의 스토퍼스테이를 설치하고 있었기 때문에, 합계 8개의 스토퍼스테이가 필요하였다. 이와 같은 종래의 모적재대에 비하여 본 실시예의 모적재대는 스토퍼스테이의 수를 줄일 수 있어 비용절감을 얻을 수 있는 것이다.As shown in Figs. 3 and 4, the
세로누름봉(46a)은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각조마다, 즉 이웃하는 한쌍의 리브(16a·16a)간마다에 2개씩 설치되어 있다. 각 세로누름봉(46a)은 도 3 및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후면에서 보아 각 리브(16a)와 평행하게 연장설치되어 있고,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측면에서 보아 대략 역V자형상으로 굴곡되어 있고, 그 일단부는 모적재면의 하단 부근까지 연장설치되어, 지지축(46c)에 고정 설치된 연장파이프(46e)에 삽입 고정되어 있고, 타단부는 가로지지봉(46b)에 고착되어 있다.As shown in Fig. 3, two
가로지지봉(46b)은 도 3 및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후면에서 보아 대략 U 자형상으로 구성되어 있다. 또, 도 3 내지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스토퍼스테이(50)를 고정·설치하고 있는 각 리브(16a)의 상부 위치에 각각 높이조절스테이(51)가 고정·설치되어 있고, 각 가로지지봉(46b)의 좌우 양단이 각각 각 높이조절스테이(51)에 결합가능하게 되어 있다.As shown in Figs. 3 and 4, the
또, 도 3이나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각 세로누름봉(46a)의 기부에서 좌우 어느 하나에(각 조의 2개의 세로누름봉(46a) 중, 좌측의 세로누름봉(46a)의 기부에서는 왼쪽방향에, 우측의 세로누름봉(46b)의 기부에서는 오른쪽방향에) 피벗핀(46d)을 돌출하고 있고, 각 조마다에 설치되는 모스토퍼(47)의 기부가 그 조의 좌우 한쌍의 세로누름봉(46a)의 피벗핀(46d)상에 피벗된다. 그리고, 모스토퍼(47)의 후면을 지지축(46c)에 결합가능하게 하고 있다. 따라서, 모스토퍼(47)는 각 조에 설치된 좌우 한쌍의 피벗핀(46d)을 중심으로 전후로 회전가능하고, 각 조에 있어서 모매트를 모적재면의 하단까지 보낼 때에는 후방으로 회전시켜서 지지축(46c)에 결합시키고, 모매트를 받아낼 때에는 지지축(46c)에서 떼어 전방으로 회전시켜서 선단을 모적재면에 접촉시키도록 하고 있다.In addition, as shown in FIG. 3 or FIG. 4, in the base of each
다음에, 분할 모적재대(16D)의 수납구조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분할 모적재대(16D)의 우측단, 즉 주된 모적재대(16M)의 반대측단의 리브(16a)의 상하 중도부에는 외측쪽으로 돌출되도록 핸들(40R)이 설치되고, 한편, 분할 모적재대(16D)의 좌측단, 즉 주된 모적재대(16M)에 부착되는 측단의 리브(16a)상에는 후면에서 보아 핸들(40R)에 비하여 낮은 위치에 핸들(40L)이 후상방 돌출형상으로 설치되어 있다.Next, the storage structure of the divided
분할 모적재대(16D)의 착탈·수납의 때의 파지부로서 설치된 핸들(40L·40R)은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분할 모적재대(16D)의 중심(G)을 사이에 두고 좌우로 나뉘어서 위치하고 있고, 또, 이들의 각 리브(16a)로의 부착부끼리를 연결하는 직선(X)이 중심(G) 근방을 통과하는 바와 같은 위치에 각각 배치되어 있다.As shown in FIG. 4, the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분할 모적재대(16D)의 이면에는 좌우 양측의 상하 중도부에서 좌우 2곳의 피지지부를 이루도록, 끼워맞춤핀(41L·41R)이 대략 아래쪽을 향하여 돌출되게 설치되고, 후술하는 주된 모적재대(16M)에 설치한 2곳의 지지부로서의 지지파이프(43L·43R) 내에 끼워맞춤핀(41L·41R)을 그 축심방향으로 이동시켜서 삽입함으로써 주된 모적재대(16M)상에 얹어놓은 분할 모적재대(16D)를 좌우 아래 2곳에서 고정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이 아래 좌우 2곳의 지지구조는 주된 모적재대(16M)에 설치한 아래 좌우 2곳의 지지부에서 분할 모적재대(16D)의 아래 좌우 2곳의 피지지부에 걸리는 분할 모적재대(16D)의 중력방향의 하중을 받는 것으로 되어 있다.As shown in FIG. 6, the
또한, 분할 모적재대(16D)의 이면에, 상기 끼워맞춤핀(41L·41R)보다 높은 위치에 상기 상부가이드레일(19)의 좌우 대략 중앙위치에 피지지부를 이루는 결합구멍(42a)을 갖는 태브(42)가 돌출 설치되어 있고, 주된 모적재대(16M)에 설치한 지지부를 이루는 결합핀(44)을 상기 태브(42)의 결합구멍(42a) 내에 끼워넣음으로써 주된 모적재대(16M)상에 얹어놓은 분할 모적재대(16D)를 위 1곳에서 고정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이 위 1곳의 지지구조는 주된 모적재대(16M)에 설치한 위 1곳의 지지부에 분할 모적재대(16D)의 위 1곳의 피지지부를 지지하고, 분할 모적재대(16D)의 흔들림을 규제하는 것으로 되어 있다.Further, on the rear surface of the split
이와 같이, 분할 모적재대(16D)의 이면에 형성한 위 1곳과 아래 좌우 2곳의 3곳 피지지부를 주된 모적재대(16M)상의 모적재면측에 형성한 위 1곳과 아래 좌우 2곳과 3곳의 지지부에 각각 결합시킴으로써 분할 모적재대(16D)는 확실히 주된 모적재대(16M)상에 얹어놓고 고정된다.In this way, the top and bottom left and right two formed on the back surface of the divided
또한, 하부의 끼워맞춤핀(41)·지지파이프(43)에 의한 지지구조는 본 실시예에서는 좌우 2곳으로 설치하고 있지만, 분할 모적재대(16D)의 좌우폭이 더욱 긴 경우(예를 들면 3조폭이나 4조폭으로 한 경우) 등에 대응하여 좌우방향으로 3곳 이상 설치하여도 된다. 또, 상부의 결합핀(44)·태브(42)에 의한 지지구조도 본 실시예에서는 좌우 중앙부에 1곳 설치하고 있지만, 좌우방향으로 2곳 이상 설치하여도 된다.In addition, although the support structure by the fitting pin 41 and the
분할 모적재대(16D)를 주된 모적재대(16M)상에 얹어놓고 고정할 때에 좌우의 끼워맞춤핀(41L·41R)을 지지파이프(43L·43R)에 끼워넣기 쉽게 하기 위하여, 좌우의 끼워맞춤핀(41L·41R)의 길이를 다르게 하고 있다. 도 6에서 나타낸 실시예에서는 우측의 끼워맞춤핀(41R)이 좌측의 끼워맞춤핀(41L)보다 길게 구성되어 있고, 따라서 끼워맞춤핀(41R)의 하단 위치가 끼워맞춤핀(41L)의 하단 위치보다도 낮게 되어 있다.In order to make it easy to fit the left and right
끼워맞춤핀(41L·41R)의 분할 모적재대(16D) 이면으로의 부착구조에 대하여 끼워맞춤핀(41L)을 예로 설명한다. 도 6 및 도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리브(16a) 이면상에 보강플레이트(36)을 고정·설치하고, 상기 보강플레이트(36)상에 부착플 레이트(37)를 고정하고, 상기 부착플레이트(37)에 끼워맞춤핀(41L)의 상단을 고정하고 있다. 보강플레이트(36)의 상하 중도부는 도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끼워맞춤핀(41L)을 향하여 볼록형상으로 굴절되어 각부(脚部)를 형성하고, 끼워맞춤핀(41L)과 리브(16a) 이면과의 사이에 공간이 생기도록 하고 있다.The
그리고, 끼워맞춤핀(41L·41R)의 축심 도중부에는 각각 플랜지부(41a)를 고리형으로 설치하고 있다. 상기 플랜지부(41a)는 지지파이프(43)(이후, 특별히 좌우의 어느 것인가를 특정하지 않는 한, 각 지지파이프(43L·43R)를 가리켜 지지파이프(43)라 칭하는 것으로 한다.)에 삽입하는 깊이를 규정하는 것으로서, 끼워맞춤핀(41)(이후, 특별히 좌우의 어느 것인지를 특정하지 않는 한, 각 끼워맞춤핀(41L·41R)을 가리켜 끼워맞춤핀(41)이라 칭한다.)이 지지파이프(43) 내에 규정의 깊이까지 삽입되면, 지지파이프(43)의 상단에 접촉하는 것이다. 또, 끼워맞춤핀(41)의 측면에는 고정용의 핀을 삽입하기 위한 핀구멍(41b)을 개구하고 있다.And the
도 8 및 도 9에 나타낸 바와 같이, 주된 모적재대(16M)에 설치되는 지지파이프(43)는 강관 등을 굽혀서 형성되어 있고, 그 기부를 리브(16a)의 표면에 고정·설치되는 부착플레이트(52)에 고착하고, 후상방으로 돌출하도록 배치된다. 각 부착플레이트(52)의 좌우 양측단은 직각으로 굽혀져서 리브(16a)의 표면 및 좌우측면에 접촉되도록 되어 있다. 상기 부착플레이트(52)보다 전방에 한쌍의 고정축(52a)이 돌출 설치되어 있고, 리브(16a)상에 부착할 때에는 리브(16a)에 형성된 도시하지 않은 부착구멍에 고정축(52a)을 삽입한 후, 주된 모적재대(16M)의 이면에서 볼트를 각 고정축(52a)에 나사식으로 넣고, 이렇게 하여 부착플레이트(52)를 주된 모적재 대(16M)의 리브(16a)에 고정·설치하는 것으로 하고 있다.As shown in Fig. 8 and Fig. 9, the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왼쪽의 지지파이프(43L)는 주된 모적재대(16M)의 좌단에서 4번째의 리브(16a)상에 고정되고, 오른쪽의 지지파이프(43R)는 주된 모적재대(16M)의 우단에서 2번째의 리브(16a)상에 고정된다. 좌측의 지지파이프(43L)의 상단은 우측의 지지파이프(43R)의 상단보다도 높게 배치하고 있다. 또한, 양 지지파이프(43L·43R)의 상단간의 고저차는 상기와 같이 길이가 다른 좌우의 끼워맞춤핀(41L·41R)의 하단간의 고저차 보다도 작게 되어 있고, 후술하는 바와 같이, 분할 모적재대(16D)를 주된 모적재대(16M)상에 얹어놓고 고정할 때에는 분할 모적재대(16D)의 끼워맞춤핀(41L·41R) 중, 끼워맞춤핀(41R)이 끼워맞춤핀(41L)보다도 먼저 지지파이프(43R)에 끼워 넣어지고, 이 상태의 끼워맞춤핀(41R) 및 지지파이프(43R)가 다른 한쪽의 끼워맞춤핀(41L)을 지지파이프(43L)에 끼워 넣을 때의 가이드가 되도록 하고 있다.As shown in Fig. 3, the
지지파이프(43)의 구조에 대하여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도 8 및 도 9에 나타낸 바와 같이, 부착플레이트(52)의 후면에서 지지파이프(43)의 사변부의 하면을 따라서 각각 보강플레이트(43a)를 연장설치하고 있고, 바람직하게는 보강플레이트(43a) 단면이 지지파이프(43) 단면의 직경방향을 향하도록 배치하고, 지지파이프(43L·43R)에 대하여 용접 등으로 고착하여, 지지파이프(43)의 강성을 향상시키고 있다. 좌우 양 지지파이프(43L·43R)끼리의 대향면의 전후 중도부에는 부착스테이(43b·43b)를 측방에 서로 마주보는 형상으로 돌출하여 설치하고, 양 부착스테이(43b·43b)의 사이에, 도 3 및 도 1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연결레버(49)를 좌우방향으로 끼워 설치하여, 지지파이프(43L·43R)의 좌우방향의 강도 증대를 도모하고 있다.(도 12는 도 3, 도 8 및 도 9에 나타낸 것과는 다른 지지파이프(43)에 관한 실시예이지만, 연결레버(49)에 의한 좌우지지파이프(43L·43R)의 연결구조는 같다.) 또, 좌측의 지지파이프(43L)는 상기 스토퍼스테이(50)와 함께 주된 모적재대(16M)의 좌단에서 4번째의 리브(16a)상에 고정되어서, 부착공정수를 감소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The structure of the
지지파이프(43)의 선단부는 끼워맞춤핀(41)을 삽입하기 위하여 구부려서 부착플레이트(52) 즉 주된 모적재대(16M)의 모적재면에 대략 평행한 삽입부(43c)를 형성하고 있다. 상기 삽입부(43c)의 상단은 끼워맞춤핀(41)을 삽입하기 쉽도록 깔대기 형상으로 되어 있다. 좌우의 부착플레이트(52)끼리나 좌우의 지지파이프(43L·43R) 중의 보강플레이트(43a)를 고착하고 있는 부분끼리는, 연결레버(49)를 수평으로 설치하는 관계상 높이가 일치하고 있는 중, 왼쪽의 지지파이프(43L)의 삽입부(43c)의 길이를 L1, 오른쪽의 지지파이프(43R)의 삽입부(43c)의 길이를 L2로 하면, L1>L2로서, 지지파이프(43L)의 상단이 지지파이프(43R)의 상단보다도 높게 되도록 구성하고 있다. 그리고, 각 삽입부(43c)의 측면에는 삽입부(43c)에 삽입한 끼워맞춤핀(41)의 핀구멍(41b)에 일치하도록 각각 핀구멍(43d)을 설치하고 있고, 지지파이프(43)의 삽입부(43c)에 끼워맞춤핀(41)을 삽입한 후, 핀구멍(43d·41b)에 고정핀을 삽입하여 상기 끼워맞춤핀(41)을 상기 지지파이프(43)에 각각 고정하는 것이다.The distal end of the
한편,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분할 모적재대(16D)의 이면의 중앙상부, 즉 상기 상부가이드레일(19)의 좌우 중앙부에는 결합구멍(42a)을 뚫어 설치한 태브(42)가 돌출하여 설치되고, 주된 모적재대(16M)에 설치한 결합핀(44)을 상기 태브(42)에 결합하여 고정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상기 결합핀(44)은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주된 모적재대(16M)의 좌단에서 5번째의 리브(16a)의 상부에 회전가능하게 배치되어 있다. 결합핀(44)은, 도 10 및 도 1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측면에서 보아 L자형상으로 구성되어 있고, 선단은 결합구멍(42a)에 삽입하기 쉽도록 뾰족형상으로 되어 있다. 또, 상기 선단은 도 10에서 가상선으로 그려져 있는 바와 같이, 결합핀(44)을 결합구멍(42a) 내에 끼워넣을 때에는 태브(42)보다 아래쪽으로 돌출되도록 되어 있고, 이 돌출부분의 측면에 핀구멍(44a)이 개구되어 있고, 상기 핀구멍(44a)에 결합핀(44)의 빠짐방지용의 핀을 끼워 넣는 것이다.On the other hand, as shown in Fig. 6, the
또, 결합핀(44)의 기부는 원형상으로 굽어 있고, 상기 원형상부를 피벗축(65)상에 감아 장착하는 것으로 결합핀(44)을 상기 피벗축(65)상에 피벗한다. 피벗축(65)은 부착플레이트(66)상에 세워 설치한 지지플레이트(66a)보다 돌출되어 설치되어 있다. 부착플레이트(66)도 부착플레이트(52)와 같은 형상이고, 리브(16a)에 뚫어 설치한 도시하지 않은 구멍에 삽입하기 위한 고정축(66b·66b)을 돌출하여 설치하고 있고, 상기 부착플레이트(52)를 리브(16a)에 고정하는 것과 같이 상기의(즉, 주된 모적재대(16M)의 좌단에서 5번째의) 리브(16a)상에 고정된다.The base of the
이상은, 주된 모적재대(16M)로부터 떨어진 분할 모적재대(16D)를 주된 모적재대(16M)상에 얹어놓고 고정하기 위한 부재구성을 서술한 것으로서, 여기서 분할 모적재대(16D)를 주된 모적재대(16M)의 우단에 연결하는 상태, 즉 모적재대(16)를 폭이 넓게 넓혀서 작업하는 상태로 유지하기 위하여, 양 모적재대(16D·16M)끼리를 연결 고정하기 위한 로크장치(45)에 대하여 설명한다.The above has described the member structure for mounting and fixing the divided
로크장치(45)는 주된 모적재대(16M)상에 한쌍 설치되는 로크로드(45a) 및 로크레버(45b)와, 각 로크로드(45a)에 대응하여 분할 모적재대(16D)상에 설치되는 한쌍의 로크캠(45c)으로 이루어지는 것이다. 도 6, 도 17 및 도 18에 나타낸 바와 같이, 분할 모적재대(16D)의 하부가이드레일(18)과 상부가이드레일(19)에는 각각 평행하게 파이프를 가로로 설치하고, 상기 파이프 내에 로크로드(45a)를 삽입하여 각 로크로드(45a)의 좌단, 즉 반분할 모적재대(16D)의 부착측단에 로크레버(45b)가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각 로크로드(45a)의 타단은 주된 모적재대(16M)의 우단보다 오른쪽으로 돌출하고 있어, 분할 모적재대(16D)를 주된 모적재대(16M)의 우측에 부착할 때에, 상기 분할 모적재대(16D)에 설치된 로크캠(45c) 내에 삽입된다. 양 모적재대(16M·16D)의 연결시에는 로크레버(45b)를 한쪽으로 회전함으로써 로크로드(45a)가 로크캠(45c)으로부터 빠지지 않도록 끼워넣어 고정된다.The
이상 설명한 구성에 있어서, 분할 모적재대(16D)를 떼어서 주된 모적재대(16M)에 얹어놓고 고정하는 방법을 설명한다. 우선, 양 로크레버(45b)를 상기와는 반대측으로 회전조작하여 로크로드(45a)와 로크캠(45c)의 결합고정을 해제하고, 분할 모적재대(16D)를 떼어내기 가능한 상태로 한다. 다음에, 핸들(40L·40R)을 잡고 분할 모적재대(16D)를 우측으로 비키어 놓아 주된 모적재대(16M)로부터 떼어낸 후, 주된 모적재대(16M)의 상부위치까지 이동시킨다.In the above-described configuration, a method of detaching the divided
그리고, 끼워맞춤핀(41L·41R)끼리의 장단차는 지지파이프(43R·43L)끼리의 고저차보다도 큰 것으로부터, 우선, 긴 쪽의 끼워맞춤핀(41R)을 우측의 낮은 쪽의 지지파이프(43R)에 끼워넣는다. 지지파이프(43R)가 낮은 만큼 분할 모적재대(16D)의 들어올리는 높이가 적게 완료하여 노력을 경감할 수 있다. 다음에, 좌측의 높은 쪽의 지지파이프(43L)에 짧은 쪽의 끼워맞춤핀(41L)을 끼워 넣는 것이지만, 지지파이프(43R)에 끼워맞춤핀(41R)을 끼워 넣고나서 끼워맞춤핀(41L)을 지지파이프(43L)에 끼워넣기 까지는 상기 끼워맞춤핀(41L)을 높은 쪽의 지지파이프(43L)의 윗쪽에 위치결정하기 위하여, 분할 모적재대(16D)를 조금 윗쪽으로 들어올릴 필요가 있다. 그러나, 끼워맞춤핀(41L)이 짧기 때문에 들어 올리는 높이가 적게 완료되고, 또 끼워맞춤핀(41R)을 끼워넣은 지지파이프(43R)에 끼워넣은 끼워맞춤핀(41R)이 빠지는 일이 없고, 따라서, 분할 모적재대(16D)의 끼워맞춤핀(41L)을 지지파이프(43L)의 윗쪽에 위치결정하는 동안, 지지파이프(43R)가 분할 모적재대(16D)의 들어올림에 관한 슬라이딩 가이드로서, 또한 분할 모적재대(16D)의 회전지점으로서 기능하여, 용이하고 또한 원활하게 끼워맞춤핀(41L)을 지지파이프(43L)에 끼워 넣을 수 있는 것이다.Since the length difference between the
끼워맞춤핀(41L·41R)의 양쪽이 지지파이프(43L·43R)에 삽입되면, 핀구멍(41b과 43d)이 맞을 때까지 지지파이프(43L·43R) 내의 끼워맞춤핀(41L·41R)의 위치를 조절하고, 핀구멍(43d·41b)에 고정핀을 삽입하여 끼워맞춤핀(41L·41R)의 빠짐방지를 한다. 이렇게 하여 분할 모적재대(16D)의 중량을 지지파이프(43L·43R)로 받도록 한 후, 최후에 결합핀(44)을 회전하여 분할 모적재대(16D)의 전면의 결합구멍(42)에 결합하고, 핀구멍(44a)에 고정핀을 삽입하여 빠짐방지한다. 이상의 조작으로 분할 모적재대(16D)의 전후방향 및 좌우방향의 회전을 규제하고, 위 1곳·아래 2곳의 3곳으로 주된 모적재대(16M)상에 지지하도록 하고 있는 것이다.When both of the
이상의 조작 중에서, 전술한 바와 같이, 핸들(40L·40R)의 한쪽 위치를 낮게 함(좌핸들(40L)이 우핸들(40R)보다 낮게 되어 있다.)으로써 수납작업시에 끼워맞춤핀(41L)을 지지파이프(43L)에 끼워 넣기 쉽게 되고, 분할 모적재대(16D)를 들어 올려서 이동할 때에는 힘을 넣기 쉽게 된다. 또, 중심(G)을 사이에 두고 핸들(40L·40R)이 좌우에 배치되어 있기 때문에, 이동시에 균형을 잃지 않고 용이하게 이동할 수 있는 것이다.In the above operation, as described above, one of the positions of the
다음에, 떼어 낸 분할 모적재대(16D)의 주된 모적재대(16M)상으로의 지지구성의 다른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2에 나타낸 제1의 다른 실시예는 끼워맞춤핀(41L·41R)의 길이를 서로 다르게 하여(본 실시예에서는 왼쪽의 끼워맞춤핀(41L)을 길게 하여), 양 하단위치에 고저차를 설치하고 있는 한편, 지지파이프(43L·43R)의 상단을 동일 높이로 하고 있다(즉, 상기의 도 8 및 도 9에 나타낸 삽입부(43c)의 길이에 대하여 L1=L2로 하고 있다.). 분할 모적재대(16D)를 떼어내어 주된 모적재대(16M)에 얹어놓을 때는 우선, 긴 쪽의 끼워맞춤핀(41L)의 일부를 지지파이프(43L)에 끼워넣고, 이어서, 상기 끼워맞춤핀(41L)을 지점으로 하여 분할 모적재대(16D)를 회전하여 다른 한쪽의 끼워맞춤핀(41R)을 지지파이프(43R)의 윗쪽으로 위치결정하고, 그리고 끼워맞춤핀(41R)을 지지파이프(43R) 내에 삽입하는 것이다.
Next, another embodiment of the supporting configuration on the main
이 경우에는 지지파이프(43L·43R)간의 상단 고저차와, 끼워맞춤핀(41L·41R)의 하단 고저차의 관계를 고려할 필요 없이, 동일 구조의 지지파이프(43)를 왼쪽의 지지파이프(43L)으로서도 오른쪽의 지지파이프(43R)로서도 사용할 수 있어 제조공정을 간소화할 수 있다.In this case, the
또한, 지지파이프(43L·43R)에 상단 고저차를 설치한 도 3, 도 8 및 도 9에 나타낸 실시예는 최초에 삽입하는 끼워맞춤핀(41)을 지지파이프(43)에 넣기 쉽도록 하기 위하여 좌우 끼워맞춤핀(41L·41R)의 길이 차의 범위 내의 고저차로, 애초 도 12에 나타낸 바와 같이 동일 높이인 좌우 지지파이프(43L·43R) 중, 긴 쪽의 끼워맞춤핀(41)을 삽입하는 지지파이프(43)의 상단 위치를 다른 한쪽의 지지파이프(43)보다도 낮게 한 것으로도 말할 수 있다.3, 8, and 9 in which the upper and lower elevations are installed in the
다음에, 도 13 및 도 14에 나타낸 분할 모적재대(16D)의 주된 모적재대(16M)상으로의 지지구성의 제2의 다른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이것은 아래 좌우 2곳의 지지구조 중, 한쪽은 상기 같은 핀을 지지파이프에 끼워 넣는 방식의 것으로 하고, 다른쪽은 핀을 오목부에 끼워 넣는 구성으로 하는 것으로 한다.Next, a second embodiment of the supporting configuration on the main
도 13에 나타낸 바와 같이, 끼워맞춤핀(41L·41R)의 길이 및 지지파이프(43L·43R)의 상단의 높이는 같게 하고 있고, 도 1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좌우의 지지파이프(43L·43R)의 한쪽(본 실시예에서는 오른쪽의 지지파이프(43R))에 대해서는 삽입부(43c)에 해당하는 파이프 상부의 후면을 개구하고, 그 개구부의 양측은 상기 개구부로부터 끼워맞춤핀(41)이 들어가기 쉽게 하기 위하여 넓은 각으로 넓혀서 가이드부(43e·43e)로 하고 있다. 이렇게 하여 축심방향으로 보아 후방개구형상의 U자형의 오목부를 형성하고, 끼워맞춤핀(41)을 받는 것으로 하고 있다. 또, 상기 오목부에 끼워 넣은 끼워맞춤핀(41)이 빠지지 않도록 축심방향으로 보아 지지파이프(43)의 축심과 직각의 방향으로 빠짐방지핀(67)을 가이드부(43e·43e)에 삽입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단, 빠짐방지핀(67)은 상기와 같이 핀구멍(43d)과 핀구멍(41b)에 삽입하는 구성으로 하는 것도 가능하다. As shown in FIG. 13, the length of the
이와 같이 본 실시예에서는 왼쪽의 지지파이프(43L)의 삽입부(43c)가 앞에서 언급한 실시예와 같은 파이프구조이고, 오른쪽의 지지파이프(43R)의 삽입부(43c)에 해당하는 부분에 후방개구형상의 오목부를 형성하고 있다. 분할 모적재대(16D)를 떼어서주된 모적재대(16M)상에 얹어놓는 경우에는 우선, 끼워맞춤핀(41L)을 그 축심방향으로 이동시켜서 지지파이프(43L)에 삽입한다. 이 끼워맞춤핀(41L)을 지점으로 하여 좌우방향에 있어서 분할 모적재대(16D)를 주된 모적재대(16M)와 평행하게 되도록 위치결정하면 끼워맞춤핀(41R)은 가이드부(43e·43e)로 가이드되면서 그 사이에 들어가고, 전방으로 즉, 상기 끼워맞춤핀(41R)의 직경방향으로 조금 이동시키는 것 만으로 상기 끼워맞춤핀(41R)이 지지파이프(43R)의 오목부 내에 삽입된다. 그 후는 빠짐방지핀(67)에 의해서 상기 끼워맞춤핀(41R)을 상기 지지파이프(43R)의 오목부 내에 고정하는 것이다. 이렇게 하여 끼워맞춤핀(41L·41R)과 지지파이프(43L·43R)를 끼워맞추어서 분할 모적재대(16D)의 하중을 받고, 그 후, 결합핀(44)을 회전하여 태브(42)의 결합구멍(42a)에 삽입하여 고정하고, 분할 모적재대(16D)의 회전을 방지하는 것이다.Thus, in this embodiment, the
다음에, 도 15 및 도 16에 표시되는 분할 모적재대(16D)의 주된 모적재대(16M)로의 지지구성의 제3의 다른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분할 모적재대(16D)의 이면에는 상기 이면과 수직방향의 축심을 갖는 좌우 한쌍의 롤러(70)를 회전가능하게 배치하고 있다. 한편, 도 1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주된 모적재대(16M)의 모적재면 윗쪽에서 상기 한쌍의 롤러(70)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 좌우 수평방향의 레일(71)이 주된 모적재대(16M)의 좌우 중앙부에서 오른쪽, 즉 분할 모적재대(16D)의 부착측에 연장설치되어 있다. 그 우단은 주된 모적재대(16M)의 대략 우단의 윗쪽에 위치하고, 상기 레일(71)의 우단에 접힘레일(71a)의 일단을 피벗하고 있다. 이 접힘레일(71a)은 분할 모적재대(16D)의 주된 모적재대(16M)상으로의 수납시에는 상기 레일(71)의 연장선상으로 펴고, 이식작업시에는 도 15의 가상선과 같이 접히도록 되어 있다. 또한, 주된 모적재대(16M)와 분할 모적재대(16D)는 상기와 같은 로크장치(45)로 연결 고정되는 것으로 한다.Next, a third embodiment of the supporting configuration of the divided
이와 같은 구성에 있어서, 모적재대(16)의 폭을 좁힐 때에는 우선, 로크장치(45)에 의한 록을 해제하고, 분할 모적재대(16D)의 상부를 후방으로 회전하여 접힘레일(71a)을 편다. 그리고, 분할 모적재대(16D)를 조금 들어올려서 롤러(70·70)를 레일(71)상에 얹어놓고, 분할 모적재대(16D)의 하부를 뛰우면서 주된 모적재대(16M)의 위로 이동시키는 것이다. 이 때, 분할 모적재대(16D)의 하중은 롤러(70·70)를 통하여 레일(71)상에 걸려 있기 때문에 용이하고 또한 가볍게 이동할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도시하지 않은 로크장치에 의해서 로크하면 분할 모적재대(16D)를 주된 모적재대(16M)상에 얹어놓고 고정할 수 있는 것이다.In such a configuration, when narrowing the width of the mother loading table 16, first, the lock by the locking
마지막으로, 주된 모적재대(16M)와 분할 모적재대(16D)의 사이의 배선구조에 대하여 설명한다. 주된 모적재대(16M) 및 분할 모적재대(16D)에는 도 3 내지 도 5 및 도 18과 같이, 각각에 플래셔램프(54)와 모중계센서(55)가 배치되어 있고, 상기 분할 모적재대(16D)의 플래셔램프(54)와 모중계센서(55)로는 주된 모적재대(16M)측에서 전력을 공급하고, 제어신호를 전달하는 구성으로 하고 있다.Finally, the wiring structure between the
이 주된 모적재대에서 분할 모적재대로의 전력공급구조로서, 종래의 접힘식의 분할 모적재대를 갖는 모적재대 구조에 있어서는, 신축가능한 컬코드(curled cord)를 사용하거나 코드에 여유를 주어서 배선하여 분할 모적재대의 접힘을 허용하고 있었지만, 접힘이나 작업상태로 세트할 때에 코드가 다른 부품에 걸리기 쉬워 파손의 위험이 있었다. 또, 메인티넌스로서 분할 모적재대를 주된 모적재대로부터 분리하여도 분할 모적재대를 이동할 수 있는 범위가 코드에 의해서 결정되어 있었다.As a power supply structure from the main baseband to the split baseband, in the baseband structure having a conventional folding baseband, a stretched curled cord is used or the cord is provided with a margin. Although folding of the split base pile was allowed by wiring, when the cord was folded or set in the working state, the cord was easily caught by other parts, and there was a risk of damage. Also, as a maintenance, the range in which the divided mother loading zone can move even if the divided mother loading zone is separated from the main mother loading zone has been determined by the code.
본 발명의 모적재대(16)와 같이, 분할 모적재대를 착탈하는 구조로 하면, 더구나 코드의 여유를 필요로 하여 걸리거나 파손의 문제성은 더욱 증가한다. 만약 분할 모적재대를 주된 모적재대에 착탈할 때에 코드도 착탈할 수 있는 구성으로 한다고 하여도, 코드의 커플링부분을 방수부품으로 할 필요가 있고, 교체도 번잡한 조작으로 되어 있었다.Like the
그래서 본 실시예의 벼 이앙기에 있어서는, 도 17에 나타낸 바와 같이 분할 모적재대(16D)와 주된 모적재대(16M)의 서로 마주보는 측단부, 즉 양 모적재대(16D·16M)의 접합부분에 콘센트 타입의 커넥터(60a·60b)를 각각 배치하고, 상기 분할 모적재대(16D)에 설치되는 커넥터(60a)에는 플래셔램프(54)와 모중계센서(55)에 접 속한 코드를 접속하고 있다. 또한 이 커넥터(60a·60b)는 방수형으로 하고 있다. 이와 같이 구성함으로써 분할 모적재대(16D)를 측방(오른쪽)으로 이동하는 것만으로 분리할 수 있고, 역방향(왼쪽)으로 이동하는 것 만으로 작업상태로 세트하여 배선도 접속할 수 있다. 따라서, 코드의 엉킴도 없고 절단될 위험도 없게 된다.Therefore, in the rice transplanter of the present embodiment, as shown in Fig. 17, the side ends of the divided
또, 도 18에 나타낸 바와 같이 로크장치(45)에 접점을 겸용시키는 것도 가능하다. 즉, 어스측의 도선을 주된 모적재대(16M)에 배선하고, 분할 모적재대(16D)에 설치한 2조분의 두개의 모중계센서(55)로의 전력공급용의 접점을 로크캠(45c·45c)에 설치하고 있다. 그리고, 분할 모적재대(16D)에 있어서는 상하 두개의 금속으로 이루어지는 로크로드(45a)를 그대로 각 모중계센서(55)로의 도전부재로서 활용하고(바람직하게는 로크로드(45a)의 표면을 비도전부재로 씌워 장착한다.), 각 모중계센서(55)를 각 로크로드(45a)에 접속하고 있다. 따라서, 양 로크로드(45a)를 각각 로크캠(45c)에 삽입하고 분할 모적재대(16D)를 주된 모적재대(16M)에 장착하면, 동시에 분할 모적재대(16D)에 있어서의 두개의 모중계센서(55)용의 도선이 주된 모적재대(16M)의 어스측 도선에 접속되는 것이다.In addition, as shown in FIG. 18, the
또, 도 18에 나타낸 모적재대(16)의 실시예에서는 분할 모적재대(16D)를 주된 모적재대(16M)에 장착할 때의 위치결정부재(56d·56m)를 각각 분할 모적재대(16D) 및 주된 모적재대(16M)의 대치측 단부에 마주보는 형상으로 설치하고 있고, 상기 주된 모적재대(16M)의 위치결정부재(56m)에 설치한 접점은 플래셔램프(54)로의 전력공급용의 접점으로서 겸용하고 있고, 플래셔램프(54)의 어스측 도선은 상기 주된 모적재대(16M)에 배선되어 있다. 이와 같이 구성함으로써 상기와 같이 작업상태에 분할 모적재대(16D)를 주된 모적재대(16M)에 세트하여 록하면, 분할 모적재대(16D)의 플래셔램프(54) 및 두개의 모중계센서(55)가 도통한다. 만약, 로크가 불충분한 경우에는 도통하지 않고 분할 모적재대(16D)의 모중계센서(55)가 끊어진 상태로 되기 때문에 벼 이앙기의 운전부에 있어서 경보가 발생된다.Moreover, in the Example of the mother loading stand 16 shown in FIG. 18, the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관한 벼 이앙기의 모적재대는 8조심기 벼 이앙기, 혹은 8조 이외의 다조심기 벼 이앙기에 이용가능하고, 이들 다조심기 벼 이앙기의 이동, 반송, 격납시에 있어서 효과를 발휘하는 것이다.As mentioned above, the mother loading stage of the rice transplanter which concerns on this invention can be used for the rice planting machine of 8 planters, or the rice planter of the other plants of 8 tanks, and at the time of the movement, conveyance, and storage of these rice planters. It will work.
Claims (12)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JP99-95801 | 1999-04-02 | ||
JP99-95800 | 1999-04-02 | ||
JP09580099A JP4087981B2 (en) | 1999-04-02 | 1999-04-02 | Support structure for split seedling stand of rice transplanter |
JP09580199A JP4224167B2 (en) | 1999-04-02 | 1999-04-02 | Rice transplanter seedling stand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10071369A KR20010071369A (en) | 2001-07-28 |
KR100651670B1 true KR100651670B1 (en) | 2006-11-30 |
Family
ID=2643698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07013594A KR100651670B1 (en) | 1999-04-02 | 1999-11-11 | Seedling rest for rice-planting machines |
Country Status (4)
Country | Link |
---|---|
KR (1) | KR100651670B1 (en) |
CN (1) | CN1253067C (en) |
TW (1) | TW462865B (en) |
WO (1) | WO2000059289A1 (en) |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143680B1 (en) | 2009-03-25 | 2012-05-11 | 국제종합기계 주식회사 | Seedling rack for rice-transplanter |
CN111448879A (en) * | 2020-04-26 | 2020-07-28 | 湖南省土壤肥料研究所 | Rice transplanter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0)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4991171B2 (en) * | 2006-03-20 | 2012-08-01 | ヤンマー株式会社 | Rice transplanter |
CN102308694B (en) * | 2011-05-06 | 2013-06-05 | 莱恩农业装备有限公司 | Seedling supplying device of rice transplanting machine |
CN102487637A (en) * | 2011-11-18 | 2012-06-13 | 庞兴平 | Universal light transplanter |
CN102960108B (en) * | 2012-12-05 | 2016-06-01 | 黑龙江省水田机械化研究所 | The eight collapsible four-wheel drive rice transplanter of row and rice transplanting methods |
FR3013557B1 (en) * | 2013-11-22 | 2016-01-01 | Kuhn Sa | AGRICULTURAL MACHINE, IN PARTICULAR A MACHINE FOR THE HARVEST OF PLANTS, COMPRISING TWO ARTICULATED WORKING UNITS JOINED TO A SINGLE ARM |
CN105165204A (en) * | 2015-07-15 | 2015-12-23 | 陈森法 | Self-tightness rice planting apparatus |
CN105165203A (en) * | 2015-07-15 | 2015-12-23 | 汪贤女 | Rice seedling transplant apparatus using heat dissipating fan to perform rapid heat dissipating |
CN105123055B (en) * | 2015-09-06 | 2017-05-03 | 芜湖县华瑞模具材料经营部 | Transplanting mechanism and transplanter |
CN105144936A (en) * | 2015-10-19 | 2015-12-16 | 苏州市天幕景观装饰工程有限公司 | Transplanter |
JP2017099336A (en) * | 2015-12-02 | 2017-06-08 | 株式会社クボタ | Seedling loading table |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S53162026U (en) * | 1977-05-24 | 1978-12-19 | ||
JPS59193217U (en) * | 1983-06-10 | 1984-12-21 | 株式会社クボタ | Rice transplanter seedling removal amount adjustment device |
Family Cites Familie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3422861B2 (en) * | 1994-12-12 | 2003-06-30 | 三菱農機株式会社 | Tajo rice transplanter |
JPH08238009A (en) * | 1995-03-03 | 1996-09-17 | Kubota Corp | Structure of seedling table in riding-type rice transplanter |
-
1999
- 1999-11-11 CN CNB998068284A patent/CN1253067C/en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 1999-11-11 WO PCT/JP1999/006308 patent/WO2000059289A1/en active IP Right Grant
- 1999-11-11 KR KR1020007013594A patent/KR100651670B1/en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 1999-12-20 TW TW088122388A patent/TW462865B/en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Patent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S53162026U (en) * | 1977-05-24 | 1978-12-19 | ||
JPS59193217U (en) * | 1983-06-10 | 1984-12-21 | 株式会社クボタ | Rice transplanter seedling removal amount adjustment device |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143680B1 (en) | 2009-03-25 | 2012-05-11 | 국제종합기계 주식회사 | Seedling rack for rice-transplanter |
CN111448879A (en) * | 2020-04-26 | 2020-07-28 | 湖南省土壤肥料研究所 | Rice transplanter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WO2000059289A1 (en) | 2000-10-12 |
CN1303231A (en) | 2001-07-11 |
TW462865B (en) | 2001-11-11 |
CN1253067C (en) | 2006-04-26 |
KR20010071369A (en) | 2001-07-28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0651670B1 (en) | Seedling rest for rice-planting machines | |
JP5123705B2 (en) | Agricultural machine | |
JP2007222091A (en) | Preparatory seedling stand structure for rice transplanter | |
CN1247071C (en) | Seedling transplanting mechanism of transplanter | |
KR100399707B1 (en) | Rice transplanter | |
CN107535148A (en) | Tree-remover and Work machine | |
JP4224167B2 (en) | Rice transplanter seedling stand | |
JP3940637B2 (en) | Vegetable transplanter | |
JPH10178821A (en) | Transplanter | |
JP3483401B2 (en) | Rice transplanter seedling placement device | |
JP4034917B2 (en) | Support structure for split seedling stand of rice transplanter | |
JP3636870B2 (en) | Passenger rice transplanter | |
JP2011125353A (en) | Agricultural implement | |
JP3804031B2 (en) | Transplanter | |
JP2009112248A (en) | Reserve seedling-loading platform structure of riding type rice transplanter | |
JP4025459B2 (en) | Extension rail folding structure of rice transplanter | |
JP2548154B2 (en) | Riding type work machine | |
JP2013153771A (en) | Agricultural implement | |
JP3487480B2 (en) | Rice transplanter seedling placement device | |
JP3776572B2 (en) | Fertilizer application in rice transplanter | |
JP2005006506A (en) | Vegetable transplanter | |
JPH1028424A (en) | Seedling carrier for rice transplanter | |
JPH078039A (en) | Preliminary seedling storing structure for rice transplanter | |
JPH0551023U (en) | Two-stage seedling table | |
JPH07322728A (en) | Seedling placing apparatus of multiple rice transplanter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20830 Year of fee payment: 7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31011 Year of fee payment: 8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41103 Year of fee payment: 9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51016 Year of fee payment: 10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61019 Year of fee payment: 11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71018 Year of fee payment: 12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