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51523B1 - 단말기의 방향키 장치 - Google Patents

단말기의 방향키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51523B1
KR100651523B1 KR1020040018210A KR20040018210A KR100651523B1 KR 100651523 B1 KR100651523 B1 KR 100651523B1 KR 1020040018210 A KR1020040018210 A KR 1020040018210A KR 20040018210 A KR20040018210 A KR 20040018210A KR 100651523 B1 KR100651523 B1 KR 10065152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ick
terminal
connection terminals
rubber
upper hous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1821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50093005A (ko
Inventor
김재식
송현명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4001821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51523B1/ko
Publication of KR2005009300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9300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5152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5152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BPREPARATION OR PRETREATMENT OF THE MATERIAL TO BE SHAPED; MAKING GRANULES OR PREFORMS; RECOVERY OF PLASTICS OR OTHER CONSTITUENTS OF WASTE MATERIAL CONTAINING PLASTICS
    • B29B17/00Recovery of plastics or other constituents of waste material containing plastics
    • B29B17/02Separating plastics from other materia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BPREPARATION OR PRETREATMENT OF THE MATERIAL TO BE SHAPED; MAKING GRANULES OR PREFORMS; RECOVERY OF PLASTICS OR OTHER CONSTITUENTS OF WASTE MATERIAL CONTAINING PLASTICS
    • B29B17/00Recovery of plastics or other constituents of waste material containing plastics
    • B29B17/02Separating plastics from other materials
    • B29B2017/0213Specific separating techniques
    • B29B2017/0217Mechanical separating techniques; devices therefor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W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WASTEWATER TREATMENT OR WASTE MANAGEMENT
    • Y02W30/00Technologies for solid waste management
    • Y02W30/50Reuse, recycling or recovery technologies
    • Y02W30/62Plastics recycling; Rubber recycl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witches With Compound Operatio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단말기에 4방향을 갖는 방향 키를 구성한 단말기의 방향키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이를 위해 단말기의 키 입력장치에 있어서, 길이방향으로 연장되어 수용공간을 형성하고, 그 내측면 둘레를 따라서 다수의 연결단자를 구비한 상부 하우징과, 상기 상부 하우징내에서 외력에 의해 다방향으로 기울어질 수 있도록 결합되고, 기울어지는 방향에 따라서 상기 다수의 연결단자와 접속되어 전기적 신호를 발생하는 다수의 접속단자를 구비한 스틱부와, 상기 상부 하우징과 상기 스틱부의 사이에 구비되어 상기 스틱부를 기울거나 복원시킬 수 있도록 탄성력을 제공하는 러버와, 상기 상부 하우징의 하부에 결합되어 상기 스틱부의 하단부와 접촉됨과 동시에 폐쇄시키는 하부 하우징으로 구성되어짐 특징으로 하며, 이에 따라, 단말기의 메뉴 및 작동 모드 기능을 신속하게 선택하고 확인하여 정보를 보다 쉽고 빠르게 입력할 수 있을 뿐만아니라, 단말기에 구조가 간단한 방향키를 구비함으로써, 단말기의 제작 및 적용을 용이하게 하며, 제품의 제작 단가를 낮출 수 있으며, 단말기의 방향키에 소정의 깊이로 굴곡진 홈이 형성된 다수의 연결단자를 제공하여 방향키 작동에 따른 클릭감을 향상시킬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단말기, 상,하부 하우징, 스틱부, 러버,

Description

단말기의 방향키 장치 {DIRECTION KEY DEVICE FOR TERMINAL}
도 1은 종래의 단말기 중에서 폴더형 단말기의 폴더가 열린 상태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단말기의 방향키 장치의 구성를 나타낸 분해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단말기의 방향키 장치의 결합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4는 도 3의 A-A' 선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단말기의 방향키 장치의 작동상태를 나타낸 것으로서, 스틱부가 정지상태를 나타낸 평면도,
도 6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단말기의 방향키 장치의 작동상태를 나타낸 것으로서, 스틱부가 우측방향으로 기울어진 상태를 나타낸 평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단말기의 방향키 장치의 작동상태를 나타낸 것으로서, 스틱부가 우측방향으로 기울어져 러버가 압축 및 팽창된 상태를 나타낸 측단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단말기의 방향키 장치의 작동상태를 나타낸 것으로서, 스틱부가 좌측방향으로 기울어진 상태를 나타낸 평면도,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단말기의 방향키 장치의 작동상태를 나타낸 것으로서, 스틱부가 좌측방향으로 기울어져 러버가 압축 및 팽창된 상태를 나타낸 측단면도,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단말기의 방향키 장치의 작동상태를 나타낸 것으로서, 스틱부가 상측방향으로 기울어진 상태를 나타낸 평면도,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단말기의 방향키 장치의 작동상태를 나타낸 것으로서, 스틱부가 하측방향으로 기울어진 상태를 나타낸 평면도,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단말기의 방향키 장치의 구성 중 스틱부의 다른 실시예 나타낸 도면,
도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단말기의 방향키 장치를 폴더형 단말기에 적용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본 발명은 단말기의 방향키 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단말기에 4방향을 갖는 방향 키를 구성한 단말기의 방향키 장치에 관한 것이다.
통상적으로 " 단말기 " 는 비디오, 카메라, 휴대용 통신 장치, PC, PDP,등을 가리키는 말이다.
여기서, 상기 휴대용 통신 장치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상기 휴대용 통신 장치는 사용자가 휴대하면서 상대방과 무선통신을 수행할 수 있는 장치를 의미한다. 이러한 휴대용 통신 장치로는 HHP, CT-2 셀룰라 폰, 디지털 폰, PCS 폰 및 PDA등를 칭하며, 외형상으로 여러 타입으로 분류된다. 예를 들어, 무선 단말기는 외형에 따라 바-형(bar-type), 플립-형(flip-type) 또는 폴더-형(folder-type) 무선 단말기로 분류된다. 바-형 무선 단말기는 단일 하우징이 바-형으로 구성된 것을 의미하고, 플립-형 무선 단말기는 바-형의 하우징에 힌지 장치에 의해 플립이나 커버가 회전가능하게 구성된 것을 의미하며, 폴더-형 무선 단말기는 단일의 바-형 하우징에 폴더가 힌지장치에 의해 회전가능하게 연결되어 접는 방식으로 구성된 것을 의미한다. 상기 열거한 종래의 휴대용 단말기들은 필수적으로 안테나 장치, 데이터 입출력 장치, 데이터 송수신 장치를 구비하게 된다. 물론, 상기 데이터 입력장치는 주로 손가락 누름 동작으로 데이터 입력할 수 있는 키 버튼이 보편적으로 사용되고, 터치 패드나 터치 스크린이 사용되기도 한다.
또한, 휴대폰의 키 버튼을 통해 문자메시지를 서로 주고 받는 기능도 추가된 상태이다.
기본적으로 데이터 입력을 위해서는 사용하는 키 버튼은 다수 개의 키 어레이들의 배열로 이루어진다. 이러한 키들은 통화시작버튼인 센드(SND) 키, 취소 키, 수정 키(CLR), 숫자 키, 문자 키, 엔드(END) 키, 기능 키, 전원(PWR) 키 등으로 구성된다.
또한, 도 1과 같이, 상기 키 버튼은 상기 단말기(1)의 전면상에 키패드(1a) 및 4방향키(1b)가 구비되고, 상기 키패드(1a)의 기능을 보조하며, 기능키 역할을 하기 위한 다수의 사이드 키(SIDE KEY)가 구비된다.
상기 휴대용 통신 장치의 키입력장치에는 상,하,좌,우 4방향키(1b)가 구비되어, 활성화된 커서(Cursor)의 이동 방향을 결정하여 해당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동작이 수행된다.
그러나, 종래 4방향키의 경우, 그 본래 동작을 구현하기 위해서는 적어도 4개의 키를 필요로 하는데, 소형화를 지향하는 휴대용 통신 장치에 4개의 키를 적용하기에는 많은 무리가 있었다.
또한, 실제 적용하더라도 키의 누름 면적 크기가 너무나 작아, 실제 사용하는 사용자들이 방향키 입력을 하는데 있어 오동작을 유발하게 되는 문제를 내포하고 있었고, 동시에 아무리 작은 크기의 방향키로 구현하더라도 필히 4개의 키를 구비하여야 한다는 문제는 해결하지 못하였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단말기에 4방향을 갖는 방향 키를 구비함으로써, 단말기의 메뉴 및 작동 모드 기능을 신속하게 선택하고 확인하여 정보를 보다 쉽고 빠르게 입력할 수 있도록 한 단말기의 방향키 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단말기에 구조가 간단한 방향키를 구비함으로써, 단말기의 제작 및 적용이 용이하도록 한 단말기의 방향키 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단말기의 방향키에 소정의 깊이로 굴곡진 홈이 형성된 다수의 연결단자를 제공함으로써, 방향키 작동에 따른 클릭감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 단말기의 방향키 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단말기의 키 입력장치에 있어서,
길이방향으로 연장되어 수용공간을 형성하고, 그 내측면 둘레를 따라서 다수의 연결단자를 구비한 상부 하우징;
상기 상부 하우징내에서 외력에 의해 다방향으로 기울어질 수 있도록 결합되고, 기울어지는 방향에 따라서 상기 다수의 연결단자와 접속되어 전기적 신호를 발생하는 다수의 접속단자를 구비한 스틱부;
상기 상부 하우징과 상기 스틱부의 사이에 구비되어 상기 스틱부를 기울거나 복원시킬 수 있도록 탄성력을 제공하는 러버; 및
상기 상부 하우징의 하부에 결합되어 상기 스틱부의 하단부와 접촉됨과 동시에 폐쇄시키는 하부 하우징으로 구성되어짐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에서는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2 내지 도 13과 같이, 단말기의 방향키 장치(10)는 상,하부 하우징(50) 과, 스틱부(30)와, 러버(40)로 이루어져 있다.
상기 상부 하우징(20)은 길이방향으로 연장되는 수용공간이 제공되며, 상기 스틱부(30)의 접속단자(32)(33)(34)(35)와 전기적으로 접속되도록 다수의 연결단자(21)(22)(23)(24)가 구비되어 있다.
상기 다수의 연결단자(21)(22)(23)(24)는 상기 상부 하우징(20)의 내측면 둘레를 따라서 제공되어 있다.
상기 스틱부(30)는 외력에 의해 다방향으로 기울어질 수 있도록 구비되며, 기울어지는 방향에 따라서 상기 다수의 연결단자(21)(22)(23)(24)와 접속되어 전기적 신호를 발생하도록 상기 상부 하우징(20)의 수용공간내에 결합되어 있다.
상기 러버(40)는 상기 스틱부(30)를 기울거나 복원시킬 수 있게 탄성력을 제공하도록 상기 상부 하우징(20)과 상기 스틱부(30)의 사이에 구비되어 있다.
상기 하부 하우징(50)은 상기 스틱부(30)의 하단부와 접촉됨과 동시에 폐쇄시킬 수 있도록 상기 상부 하우징(20)의 하부에 결합되어 있다.
또한, 상기 상부 하우징(20)은 정사각형으로 이루어져 있다.
상기 상부 하우징(20)의 상측면에는 상기 스틱부(30)가 상,하 좌, 우방향으로 기울어짐에 따라서 상기 각각의 접속단자(32)(33)(34)(35)와 전기적으로 접속되도록 제 1, 2, 3 ,4 연결단자(21)(22)(23)(24)가 구비되어 있다.
상기 각각의 연결단자(21)(22)(23)(24)의 사이에는 소정의 깊이로 형성되고, 상기 스틱부(30)가 상, 하, 좌, 우방향으로 기울어질 수 있게 상기 스틱부(30)의 접속단자(32)(33)(34)(35)를 가이드 하도록 다수의 제 1 가이드 홈(25)이 제공되어 있다.
상기 다수의 제 1 가이드 홈(25)의 하부에는 상기 러버(40)에 형성된 다수의 가이드 돌기(43)와 결합되도록 다수의 제 2 가이드 홈(26)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각각의 연결단자(21)(22)(23)(24) 및 상기 각각의 제 1, 2 가이드 홈(25)(26)은 상기 상부 하우징(20)의 각각의 측면 둘레를 따라서 등각도 간격으로 배치되어 있다.
또한, 상기 각각의 연결단자(21)(22)(23)(24)는 한쌍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각각의 접속단자(32)(33)(34)(35)가 접속함에 따라서 상기 스틱부(30)를 기울 경우 딸깍거리는 클릭감을 느낄 수 있도록 소정의 깊이로 골곡홈(26)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스틱부(30)는 스틱 헤드부(31)와, 제 1, 2, 3, 4, 접속단자(32)(33)(34)(35)와, 결합홈(36)과, 접촉돌기(37)로 이루어져 있다.
상기 스틱 헤드부(31)는 외력에 의해 상, 하, 좌, 우방향으로 기울일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상기 제 1, 2, 3, 4 접속단자(32)(33)(34)(35)는 상기 다수의 연결단자(21)(22)(23)(24)와 전기적으로 접촉되도록 상기 스틱 헤드부(31)의 하부 측면 둘레에 돌출되게 구비되어 있다.
상기 결합홈(36)은 상기 러버(40)에 형성된 러버측 관통홀(41)에 억지 끼움으로 결합되도록 상기 각각의 접속단자(32)(33)(34)(35)의 하부에 형성되어 있다.
상기 접촉돌기(37)는 상기 하부 하우징(50)내에 구비된 돔 스위치(80)와 접촉되도록 상기 결합홈(36)의 하부에 형성되어 있다.
상기 각각의 접속단자(32)(33)(34)(35)는 포그 핀(60)으로 이루어지고, 또한, 탄성력과 도전성을 갖는 와이어 스프링(70)으로 이루어져 있다.
상기 포그 핀(60)과 와이어 스프링(70)은 금속재로 이루어져 있다.
상기 각각의 접속단자(32)(33)(34)(35)는 상기 스틱부(30)의 중심축을 중심으로 십자형상의 등각도 간격으로 배치되어 있다.
상기 러버(40)는 러버측 관통홀(41)과, 다수의 러버측 결합홈(42)과, 다수의 가이드 돌기(43)와, 쿠션부(44)로 이루어져 있다.
상기 러버측 관통홀(41)은 상기 스틱부(30)의 결합홈(36)에 관통결합되도록 상기 러버(40)의 중심부에 형성되어 있다.
상기 다수의 러버측 결합홈(42))은 상기 각각의 포그 핀(60)과 결합되도록 상기 러버(40)의 상측면 둘레를 따라서 형성되어 있다.
상기 다수의 가이드 돌기(43)는 상기 상부 하우징(20)의 제 2 가이드 홈(26)과 결합됨과 동시에 가이드 되도록 상기 러버(40)의 외곽 둘레에 돌출 형성되어 있다.
상기 쿠션부(44)는 상기 스틱부(30)를 기울거나 원상태로 복원될 수 있게 압축 및 팽창작용을 할 수 있도록 상기 러버(40)의 측면 둘레를 따라서 형성되어 있다.
상기 쿠션부(44)에는 상기 스틱부(30)가 압축 및 팽창작용이 가능하도록 공간(44a)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하부 하우징(50)의 내측에는 상기 스틱부(30)가 정지상태에서 누룰 경 우 상기 스틱부(30)의 하부에 형성된 접촉돌기(37)와 접촉되어 전기적 접촉신호를 발생하도록 돔 스위치(80)가 구비되어 있다.
상기 하부 하우징(50)의 상단면에는 상기 상부 하우징(20)에 형성된 제 2 가이드 홈(26)의 하부끝단에 결합되어 고정되도록 다수의 고정돌기(51)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 예에 의한 단말기의 방향키 장치의 동작과정을 첨부된 도 2 내지 도 13을 참조하여 더욱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 및 도 3과 같이, 단말기 중에서 본 발명을 폴더형 휴대 단말기(1)에 적용하여 설명한다.
단말기의 방향키 장치(10)는 상,하부 하우징(50)과, 스틱부(30)와, 러버(40)로 이루어져 있다.
이 상태에서, 상기 스틱부(30)에 구비된 각각의 접속단자(32)(33)(34)(35)의 하부에는 상기 러버(40)에 형성된 러버측 관통홀(41)에 억지 끼움으로 결합되는 결합홈(36)이 형성되어 있으므로, 상기 결합홈(36)에 상기 러버(40)를 억지 끼움으로 결합한다.
이 상태에서, 도 4와 같이, 상기 상부 하우징(20)은 정사각형의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그 내부에는 길이방향으로 연장된 수용공간이 형성되어 있으므로, 상기 수용공간내에 상기 제 1 ,2, 3, 4, 접속단자(32)(33)(34)(35)를 구비한 스틱부(30)와 러버(40)를 함께 결합한다.
이때, 도 5와 같이, 상기 상부 하우징(20)의 내측면 둘레를 따라서 제 1 ,2, 3, 4, 연결단자(21)(22)(23)(24)가 구비되고, 상기 각각의 연결단자(21)(22)(23)(24)의 사이에는 상기 스틱부(30)가 상, 하, 좌, 우방향으로 기울어질 수 있도록 상기 각각의 접속단자(32)(33)(34)(35)를 가이드 하는 다수의 제 1 가이드 홈(25)이 제공되어 있으므로, 상기 각각의 접속단자(32)(33)(34)(35)를 상기 다수의 제 1 가이드 홈(25)에 끼워 결합한다.
이 상태에서, 상기 상부 하우징(20)의 하부에는 상기 스틱부(30)의 하단부에 구비된 접촉돌기(37)와 접촉됨과 동시에 폐쇄시키는 하부 하우징(50)을 결합한다.
이 상태에서, 도 6 및 도 7과 같이, 상기 스틱부(30)에 형성된 스틱 헤드부(31)를 외력에 의해 우측방향으로 기울이면,
상기 스틱부(30)의 제 1, 2 접속단자(32)(33)가 상기 상부 하우징(20)의 상, 하측면에 구비된 상기 각각의 제 1 가이드 홈(25)을 기준으로 우측편에 구비된 제 1, 2 연결단자(21)(22)에 전기적으로 접속됨과 동시에 전기적 신호를 발생한다.
이때, 상기 제 3 접속단자(34)는 상기 상부 하우징(20)의 좌측면에 형성된 제 1 가이드 홈(25)에서 이탈됨과 동시에 상기 제 4 접속단자(35)는 상기 상부 하우징의 반대편 우측면에 형성된 또 다른 제 1 가이드 홈(25)에 삽입된다.
이때, 도 7과 같이, 상기 러버(40)의 쿠션부(44)가 상기 스틱부(30)의 기울어지는 우측 방향으로 압축되고, 그 반대편은 팽창작용을 한다.
이때, 도 5와 같이, 상기 스틱부(30)의 스틱 헤드부(31)에 외력을 가하지 않으면 상기 러버(40)에 형성된 쿠션부(44)의 압축 및 팽창작용에 의해 원상태로 복 원된다.
이때, 상기 러버(40)의 외곽 둘레에는 상기 상부 하우징(20)의 제 2 가이드 홈(26)과 결합되어 가이드 되는 제 1, 2, 3 ,4 가이드 돌기(43)가 형성되어 있으므로, 상기 제 1, 2 가이드 돌기(43)는 상기 스틱부(30)를 기울거나 원상태로 복원시킬 수 있도록 상기 제 2 가이드 홈(26)에서 가이드 된다.
여기서, 도 8 및 도 9와 같이, 상기 스틱부(30)의 스틱 헤드부(31)를 반대로 외력에 의해 좌측방향으로 기울이면,
상기 스틱부(30)의 제 1, 2 접속단자(32)(33)가 상기 상부 하우징의 상, 하측면에 구비된 상기 각각의 제 1 가이드 홈(25)을 기준으로 좌측편에 구비된 또 다른 제 1, 2 연결단자(21)(22)에 접속됨과 동시에 전기적 신호를 발생한다.
이때, 반대로 상기 제 3 접속단자(34)는 상기 상부 하우징(20)의 좌측면에 형성된 제 1 가이드 홈(25)에 삽입됨과 동시에 제 4 접속단자(35)는 상기 상부 하우징(20)의 반대편 우측면에 형성된 또 다른 제 1 가이드 홈(25)에서 이탈된다.
이때, 도 9와 같이, 상기 러버(40)의 쿠션부(44)가 상기 스틱부(30)의 기울어지는 좌측 방향으로 압축되고, 반대편 팽창작용을 한다.
여기서, 도 10과 같이, 상기 스틱부(30)의 스틱 헤드부(31)를 외력에 의해 상방향으로 기울이면,
상기 스틱부(30)의 제 3, 4 접속단자(34)(35)가 상기 상부 하우징의 좌, 우측면에 형성된 상기 각각의 제 1 가이드 홈(25)을 기준으로 상측편에 구비된 제 3, 4 연결단자(23)(24)에 전기적으로 접속됨과 동시에 전기적 신호를 발생한다.
이때, 상기 제 1 접속단자(32)는 상기 상부 하우징(20)의 상측면에 형성된 제 1 가이드 홈(25)에 삽입됨과 동시에 제 2 접속단자(33)는 상기 상부 하우징(20)의 반대편 하측면에 형성된 제 1 가이드 홈(25)에서 이탈된다.
이때, 상기 러버(40)의 쿠션부(44)가 상기 스틱부(30)의 기울어지는 상측 방향으로 압축되고, 그 반대편은 팽창작용을 한다.
이때, 도 5와 같이, 상기 스틱부(30)의 스틱 헤드부(31)에 외력을 가하지 않으면 상기 러버(40)에 형성된 쿠션부(44)의 압축 및 팽창에 의해 원상태로 복원된다.
이때, 상기 러버(40)의 외곽 둘레에 형성된 상기 제 3, 4 가이드 돌기(43)는 상기 스틱부(30)를 기울거나 원상태로 복원시킬 수 있도록 상기 제 2 가이드 홈(26)에서 가이드 된다.
여기서, 도 11과 같이, 상기 스틱부(30)의 스틱 헤드부(31)를 반대로 하측방향으로 외력에 의해 기울이면,
상기 스틱부(30)의 제 3, 4 접속단자(34)(35)가 상기 상부 하우징(20)의 좌,우측면에 형성된 상기 각각의 제 1 가이드 홈(25)을 기준으로 하측편에 구비된 제 3, 4 연결단자(23)(24)에 접속됨과 동시에 전기적 신호를 발생한다.
이때, 반대로 상기 제 1 접속단자(32)는 상기 상부 하우징(20)의 상측면에 형성된 제 1 가이드 홈(25)에서 이탈됨과 동시에 제 2 접속단자(33)는 상기 상부 하우징의 반대편 하측면에 형성된 제 1 가이드 홈(25)에 삽입된다.
이때, 상기 러버(40)의 쿠션부(44)가 상기 스틱부(30)의 기울어지는 하측 방 향으로 압축되고, 그 반대편은 팽창작용을 한다.
이때, 도 4 및 도 5와 같이, 상기 스틱부(30)가 상기 러버(40)의 쿠션부(44)의 압축 및 팽창작용에 따라 복원되어 정지상태를 된다.
이때, 상기 스틱부(30)를 누르면, 상기 스틱부(30)의 하부에 형성된 접촉돌기(37)가 상기 하부 하우징(50)내에 구비된 돔 스위치(80)와 서로 접촉되어 전기적 신호를 발생한다.
상기와 같이, 휴대 단말기에 4방향으로 기울어지는 방향키를 구성함으로써, 단말기의 메뉴 및 작동 모드 기능을 신속하게 선택하고 확인하여 정보를 보다 쉽고 빠르게 입력할 수 있을 뿐만아니라, 단말기에 구조가 간단한 방향키를 구비하여 단말기의 제작 및 적용을 용이하게 하며, 제품의 제작 단가를 낮출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의 단말기의 방향키 장치는 전술한 실시 예 및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은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함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 명백할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단말기의 방향키 장치에 의하면,
단말기에 4방향을 갖는 방향 키를 구비함으로써, 단말기의 메뉴 및 작동 모드 기능을 신속하게 선택하고 확인하여 정보를 보다 쉽고 빠르게 입력할 수 있을 뿐만아니라, 단말기에 구조가 간단한 방향키를 구비함으로써, 단말기의 제작 및 적 용을 용이하게 하며, 제품의 제작 단가를 낮출 수 있으며, 단말기의 방향키에 소정의 깊이로 굴곡진 홈이 형성된 다수의 연결단자를 제공하여 방향키 작동에 따른 클릭감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14)

  1. 단말기의 키 입력장치에 있어서,
    길이방향으로 연장되어 수용공간을 형성하고, 그 내측면 둘레를 따라서 다수의 연결단자를 구비한 상부 하우징;
    상기 상부 하우징내에서 외력에 의해 다방향으로 기울어질 수 있도록 결합되고, 기울어지는 방향에 따라서 상기 다수의 연결단자와 접속되어 전기적 신호를 발생하는 다수의 접속단자를 구비한 스틱부;
    상기 상부 하우징과 상기 스틱부의 사이에 구비되어 상기 스틱부를 기울거나 복원시킬 수 있도록 탄성력을 제공하는 러버; 및
    상기 상부 하우징의 하부에 결합되어 상기 스틱부의 하단부와 접촉됨과 동시에 폐쇄시키는 하부 하우징으로 구성되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기의 방향키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하우징은 정사각형의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상부 하우징의 상측면에는 상기 스틱부가 상,하, 좌,우방향으로 기울어짐에 따라서 상기 접속단자와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제 1, 2, 3, 4 연결단자가 구비되며,
    상기 각각의 연결단자의 사이에는 소정의 깊이로 형성되어 상기 스틱부가 상, 하, 좌, 우방향으로 기울어질 수 있도록 상기 스틱부의 접속단자를 가이드 하 는 다수의 제 1 가이드 홈이 제공되고,
    상기 다수의 제 1 가이드 홈의 하부에는 상기 러버에 형성된 다수의 가이드 돌기와 결합되는 다수의 제 2 가이드 홈으로 형성되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기의 방향키 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각각의 연결단자 및 상기 각각의 제 1, 2, 가이드 홈은 상기 상부 하우징의 각각의 측면 둘레를 따라서 등각도 간격으로 배치되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기의 방향키 장치.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각각의 연결단자는 한쌍으로 이루어지고, 소정의 깊이로 골곡홈이 더 형성되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기의 방향키 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스틱부는, 상, 하, 좌, 우방향으로 기울일 수 있도록 외력의 힘을 받는 스틱 헤드부와,
    상기 스틱 헤드부의 하부 측면 둘레에 돌출되게 구비되는 제 1, 2, 3, 4 접속단자와,
    상기 각각의 접속단자의 하부에 형성되어 상기 러버에 형성된 러버측 관통홀 에 억지끼움으로 결합되는 결합홈과,
    상기 결합홈의 하부에 형성되어 상기 하부 하우징내에 구비된 돔 스위치와 접촉되는 접촉돌기로 구성되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기의 방향키 장치.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접촉돌기는 반구형으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기의 방향키 장치.
  7.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각각의 접속단자는 포그 핀으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기의 방향키 장치.
  8.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각각의 접속단자는 탄성력과 도전성을 갖는 와이어 스프링으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기의 방향키 장치.
  9. 제 7 항 또는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포그 핀 및 와이어 스프링은 금속재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기의 방향키 장치.
  10.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각각의 접속단자는 상기 스틱부의 중심축을 중심으로 십자형상의 등각도 간격으로 배치되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기의 방향키 장치.
  11. 제 2 항 또는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스틱부를 좌, 우방향으로 기울이면 각각의 제 1 ,2 연결단자에 상기 제 1, 2 접속단자가 전기적으로 접속되고,
    상기 스틱부를 상, 하방향으로 기울이면, 각각의 제 3, 4 연결단자에 제 3, 4 접속단자가 전기적으로 접속되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기의 방향키 장치.
  1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러버는, 상기 러버의 중심부에 형성되어 상기 스틱부의 결합부와 관통결합되는 러버측 관통홀과,
    상기 러버의 상측면 둘레를 따라서 형성되어 상기 각각의 포그 핀과 결합되는 다수의 러버측 결합홈과,
    상기 러버의 외곽 둘레에 돌출 형성되어 상기 상부 하우징의 제 2 가이드 홈과 결합되어 가이드 되는 다수의 가이드 돌기와,
    상기 러버의 측면 둘레를 따라서 형성되어 상기 스틱부를 기울거나 원상태로 복원시킬 수 있도록 압축 및 팽창 작용을 하는 공간이 형성된 쿠션부로 구성되어짐 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기의 방향키 장치.
  1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 하우징의 내측에는 상기 스틱부의 하부에 형성된 접촉돌기와 접촉되는 돔 스위치가 더 구비되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기의 방향키 장치.
  1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 하우징의 상단면에는 상기 상부 하우징에 형성된 제 2 가이드 홈의 하부끝단에 결합되어 고정되는 다수의 고정돌기가 더 형성되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기의 방향키 장치.
KR1020040018210A 2004-03-18 2004-03-18 단말기의 방향키 장치 KR10065152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18210A KR100651523B1 (ko) 2004-03-18 2004-03-18 단말기의 방향키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18210A KR100651523B1 (ko) 2004-03-18 2004-03-18 단말기의 방향키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93005A KR20050093005A (ko) 2005-09-23
KR100651523B1 true KR100651523B1 (ko) 2006-11-29

Family

ID=3727414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18210A KR100651523B1 (ko) 2004-03-18 2004-03-18 단말기의 방향키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51523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0030134A2 (ko) * 2008-09-12 2010-03-18 Oh Eui Jin 촉감에 의한 입력방향의 구별이 가능한 데이터입력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34667B1 (ko) * 2002-09-18 2008-06-02 삼성전자주식회사 휴대용 단말기의 양방향 키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022794A (ja) * 1998-07-03 2000-01-21 Fujitsu Ltd 携帯電話機
KR20020051051A (ko) * 2000-12-22 2002-06-28 구자홍 휴대폰의 조이스틱 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022794A (ja) * 1998-07-03 2000-01-21 Fujitsu Ltd 携帯電話機
KR20020051051A (ko) * 2000-12-22 2002-06-28 구자홍 휴대폰의 조이스틱 장치

Non-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1020020051051
12022794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0030134A2 (ko) * 2008-09-12 2010-03-18 Oh Eui Jin 촉감에 의한 입력방향의 구별이 가능한 데이터입력장치
WO2010030134A3 (ko) * 2008-09-12 2010-07-22 Oh Eui Jin 촉감에 의한 입력방향의 구별이 가능한 데이터입력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93005A (ko) 2005-09-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227714B2 (en) Two-stage switch mounting assembly
KR100938055B1 (ko) 휴대용 통신 장치의 키 입력 장치
KR100810314B1 (ko) 휴대 단말기의 키 입력 장치
JP3708508B2 (ja) 指先触覚入力装置及びそれを用いた携帯情報端末
EP2184752B1 (en) Dual-action single-key mechanism
KR100834633B1 (ko) 휴대 단말기의 키패드 결합 구조
KR100790105B1 (ko) 키입력 장치로 사용되는 데코레이션 커버를 구비한 휴대단말기
US20020086698A1 (en) Switching device
KR100575936B1 (ko) 휴대단말기의 회전키 장치
KR100651523B1 (ko) 단말기의 방향키 장치
JP3742959B2 (ja) 多方向操作キー構造
KR20050090202A (ko) 휴대 단말기의 키 입력 장치
KR101137836B1 (ko) 다목적 사이드키를 갖는 이동단말기
KR100584423B1 (ko) 가변형 무선 단말기
KR20060030273A (ko) 단말기의 슬라이딩 키 장치
KR100595122B1 (ko) 이동통신단말기의 키패드 구조
KR101085757B1 (ko) 휴대 단말기의 키패드 장치
KR101126380B1 (ko) 휴대 단말기의 키패드 장치
KR200295081Y1 (ko) 내비게이션 장치
KR20070082442A (ko) 폴더형 개인휴대단말기
KR20090006599A (ko) 휴대용 전자 장치의 사이드 키 입력장치
KR100677486B1 (ko) 이동통신 단말기
KR20050062287A (ko) 이동통신단말기용 키입력장치
JP2003233457A (ja) ポインティングデバイス
JP2005044671A (ja) キー入力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