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51137B1 - 골프 스윙연습기 - Google Patents

골프 스윙연습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51137B1
KR100651137B1 KR1020050120769A KR20050120769A KR100651137B1 KR 100651137 B1 KR100651137 B1 KR 100651137B1 KR 1020050120769 A KR1020050120769 A KR 1020050120769A KR 20050120769 A KR20050120769 A KR 20050120769A KR 100651137 B1 KR100651137 B1 KR 10065113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ead
light source
moving body
golf swing
ligh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12076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안효영
Original Assignee
안효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안효영 filed Critical 안효영
Priority to KR102005012076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5113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5113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5113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69/00Training appliances or apparatus for special sports
    • A63B69/36Training appliances or apparatus for special sports for golf
    • A63B69/3623Training appliances or apparatus for special sports for golf for driving
    • A63B69/3632Clubs or attachments on clubs, e.g. for measuring, aligning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53/00Golf clubs
    • A63B53/02Joint structures between the head and the shaft
    • A63B53/022Joint structures between the head and the shaft allowing adjustable positioning of the head with respect to the shaft
    • A63B53/023Joint structures between the head and the shaft allowing adjustable positioning of the head with respect to the shaft adjustable angular orientation
    • A63B53/027Joint structures between the head and the shaft allowing adjustable positioning of the head with respect to the shaft adjustable angular orientation about the longitudinal axis of the shaft only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69/00Training appliances or apparatus for special sports
    • A63B69/36Training appliances or apparatus for special sports for golf
    • A63B69/3621Contacting or non-contacting mechanical means for guiding the swing
    • A63B69/36211Mechanical guides guiding the club head end during the complete swing, e.g. rail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53/00Golf clubs
    • A63B53/04Heads
    • A63B2053/0491Heads with added weights, e.g. changeable, replaceable
    • A63B2053/0495Heads with added weights, e.g. changeable, replaceable moving on impact, slidable, spring or otherwise elastically biased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Rehabilitation Too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골프 연습시에 이미지 효과가 크도록 한 골프 스윙연습기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은 샤프트의 일단에 손으로 잡을 수 있는 그립과 타단에 전기에 의하여 점등되는 광원을 구비한 골프 스윙 연습기에 있어서: 스윙시에 원심력에 의하여 이동하는 헤드 이동체; 분리된 전기접점들이 상기 헤드 이동체의 접촉으로 단락될 때 상기 광원을 점등시키는 전기회로; 투명체 또는 반투명체 재질로 이루어지며 상기 광원이 내측에 설치되어 상기 광원의 빛을 투과시키는 광투과부를 포함하는 것이다.
고휘도 LED, 광 투과부, 투명체, 골프

Description

골프 스윙연습기{training machine for golf}
도 1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본 발명은 골퍼의 스윙을 시각적으로 확인하면서 스윙 연습을 할 수 있도록 하는 골프 스윙연습기에 관한 것이다.
골프의 스윙에서 가격한 공을 확인하기 위하여 머리를 먼저드는 소위, 헤드-업은 스윙의 궤도, 템포를 왜곡시키기 때문에 이를 방지하기 위한 많은 연습도구들이 개발되고 있다. 그러나, 대부분의 연습도구들은 골프 스윙시에 원심력에 의하여 이동하는 이동체에 의한 타격음을 듣도록 하는 기술구성으로 이루어져 연습효과가 큰 이미지 훈련에는 도움이 되지를 않았다.
또한, 이러한 연습도구들은 연습자의 능력을 고려하지 않고 제작되기 때문에 연습자는 연습도구들을 조정할 수 없었다.
본 발명은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골프 연습시에 이미지 효과가 크도록 한 골프 스윙연습기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연습자가 골프 스윙 연습기를 자신의 능력에 맞도록 조정할 수 있는 골프 스윙 연습기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들은 후술되는 실시예를 통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은 샤프트의 일단에 손으로 잡을 수 있는 그립과 타단에 전기에 의하여 점등되는 광원을 구비한 골프 스윙 연습기에 있어서: 스윙시에 원심력에 의하여 이동하는 헤드 이동체; 분리된 전기접점들이 상기 헤드 이동체의 접촉으로 단락될 때 상기 광원을 점등시키는 전기회로; 투명체 또는 반투명체 재질로 이루어지며 상기 광원이 내측에 설치되어 상기 광원의 빛을 투과시키는 광투과부를 포함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은 샤프트의 일단에 손으로 잡을 수 있는 그립과 타단에 설치된 헤드를 구비한 골프 스윙 연습기에 있어서: 상기 헤드 내에 설치되는 스프링; 스윙시에 원심력에 의하여 상기 스프링을 압축하며 상기 헤드 내에서 이동하는 헤드 이동체; 분리된 전기접점들이 상기 헤드 이동체의 접촉으로 단락될 때 상기 광원을 점등시키는 전기회로; 상기 전기 접점들이 도통될 때 상기 광원을 점등시키는 전기회로; 상기 헤드의 일부를 형성하며, 상기 광원의 빛을 투과시키는 투명, 반투명체로 형성된 광투과부를 포함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서 상기 광 투과부의 내면에 상기 광원의 빛을 산란시키는 엠보스가 형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에서 상기 전기접점들은 상기 헤드의 벽체에 수직으로 설치되고, 상기 벽체로부터 상기 헤드 내부에 돌출되는 길이를 조절할 수 있는 나사로 이루어지며, 상기 돌출되는 길이를 조절함으로써 상기 헤드 이동체의 이동길이를 조절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에서 상기 헤드 이동체는 환형상의 양도체인 전기전속단자가 설치되며, 상기 전기전속단자가 상기 전기접점들의 단부에 접속됨으로써 상기 전기접점들은 단락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에서 상기 샤프트에는 다운 스윙시에 원심력에 의하여 상기 샤프트를 따라 이동하여 상기 헤드 이동체를 가압시키는 왕복 이동체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에서 상기 샤프트의 그립쪽에 설치되어 상기 왕복 이동체의 이동길이를 제한하는 스톱퍼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에서 상기 헤드 이동체는 금속 또는 합성수지가 선택적으로 사용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에서 상기 헤드에는 관통공이 형성되어 있어, 관통공을 통하여 외부에서 상기 전기접점들을 회전시킬 수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첨부된 도면에 따라서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
제 1 실시예의 골프 스윙 연습기(100)는 샤프트(10)와, 샤프트(10)의 일단에 설치되어 손으로 잡을 수 있도록 한 그립(20), 샤프트(10)의 타단에 설치된 헤드 (30)로 이루어진다.
헤드(30)는 스윙시에 샤프트(10)를 따라 원심력에 의하여 이동하는 헤드 이동체(32)와, 헤드 이동체(32)가 내부에서 샤프트(10)를 따라 이동할 수 있도록 내부에 수용공간이 형성되고, 헤드 이동체(32)의 이동거리를 제한하는 걸림턱(44)이 형성된 헤드 하우징(31)과, 헤드 이동체(32)에 탄발력을 주기 위하여 헤드 하우징(31)의 수용공간내에 샤프트를 따라 설치되는 스프링(39)과, 헤드 하우징(31)의 단부에 설치되는 투명체 또는 반투명체로 재질로 이루어진 광 투과부를 갖는 헤드 커버(33)로 이루어진다. 이때, 광 투과부는 헤드 커버(33) 전체로 이루어지거나 헤드 커버(33)의 일부만 광 투과부로 이루어질 수 있다.
헤드 하우징(31)은 투명, 반투명, 불투명의 합성수지가 선택적으로 사용되어 제조될 수 있으며, 외관이 원통 형상으로 형성되며, 내부에 원통형상의 수용공간을 제공하고, 그립쪽으로 향하는 전단에는 환형의 걸림턱(44)이 형성되어 헤드 이동체(32)의 이동길이를 제한하며, 후면은 격벽(45)이 형성되고, 격벽(45)의 중심에는 관통공이 형성되어 관통공에 샤프트(10)가 삽입, 결합된다. 격벽(45)과 샤프트(10)의 결합은 미도시된 나사에 의하여 나사결합되거나, 격벽(45)의 관통공의 내주면에 나사홈을 형성하고, 샤프트(10)의 단부에 나사홈에 결합되는 결합홈을 형성하여 결합시키는 등의 다양한 방법이 사용될 수 있다.
또한, 격벽(45)의 내면에는 관통공의 외측으로 연설된 요홈이 형성되고, 요홈에는 스프링(39)의 일단부가 재치된다. 또한, 격벽(45)에는 헤드 이동체(32)의 이동길이를 제한하기 위한 조절 볼트(35), (36)가 격벽(45) 면에 수직으로 설치되 어 있다. 조절 볼트(35), (36)의 머리는 격벽(45)의 외면으로부터 돌출되고, 단부는 격벽(45)의 내면으로부터 돌출되도록 하여 외부에서 조절 볼트(35), (36)를 회전시켜 격벽(45)의 내면으로부터 돌출되는 길이를 조절함으로써 헤드 이동체(32)의 이동길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한다. 이때, 조절 볼트(35), (36)는 전기접점으로 동작하기 때문에 양도체로 이루어진다.
또한, 격벽(45)의 외주면에는 원통의 돌출부(46)가 연장형성되고, 돌출부와 격벽(45)의 외면사이에 형성된 공간에 전기회로가 설치되는 전기기판(34)이 설치된다. 전기기판(34)에는 광원, 바람직하게는 고휘도 LED(47), 전지가 설치되고, 조절 볼트(35), (36)는 전기기판(34)과 격벽(45)을 통과하고, 조절볼트(35)는 전기기판(34)의 회로에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전기접점으로 동작한다.
또한, 헤드 이동체(32)는 중심에 관통공이 형성된 환형상으로 이루어지며, 관통공에 샤프트(10)가 삽입되고, 후면에는 관통공에 연설된 요홈이 형성되어 스프링(39)의 타단부가 재치될 수 있도록 한다. 헤드 이동체(32)는 스윙시에 원심력에 의하여 스프링(39)을 압축하면서 샤프트(10)의 외주면을 따라서 이동하고, 후면의 돌출부가 조절 볼트(35), (36)에 접촉함으로써 조절볼트(35), (36)들이 회로적으로 단락되어 배터리의 전원이 LED(47)에 공급됨으로써 LED(47)가 점등된다. 그러나, 헤드 이동체(32)의 원심력이 스프링(39)의 탄발력보다 작을 때는 헤드 이동체(32)가 조절 볼트(35), (36)로부터 떨어지게 되어 LED(47)에 더 이상 전기가 공급되지 않기 때문에 LED(47)는 소등된다.
헤드 이동체(32)는 스윙시에 원심력을 크게 하기 위하여 금속물질로 제조되 어 그 자체가 전도성을 갖지만 전도성을 높이기 위하여 전도도가 높은 금속재질의 환형의 전기접속단자(43)를 후면의 돌출부에 설치할 수 있다.
또한, 점광원인 LED(47)를 넓은 영역에 걸쳐 확산되도록 하기 위하여 투명 또는 반투명재질의 광투과부를 구비한 헤드 커버(33)가 헤드 하우징(31)의 돌출부(46)에 결합된다. 도 1에 도시된 헤드 커버(33)는 헤드 커버 전체가 광투과부로 구성된 것을 예시하고 있으나, 일부에만 광투과부가 형성될 수 있다.
헤드 커버(33)는 원판의 덮개부와 덮개부의 외주연에 연설되는 원통부로 이루어지며, 덮개(33)의 내주면에는 오목, 볼록하거나 각형의 돌출부, 요홈부들의 엠보스(41), (42)가 형성되어 LED(47)에서 발산된 빛을 산란시켜 광투과부, 즉 헤드커버(33) 전체에서 빛이 발산되도록 한다. 또한, 덮개부에는 외부에서 조절볼트(35), (36)를 회전시킬 수 있도록 관통공(37), (38)이 형성되어 있다.
도 1에 도시된 실시예서 헤드 하우징(31)과 광발산 덮개(33)가 별도로 구성되어 있으나, 이는 하나의 물체로 일체로 제조될 수 있다.
또한, 헤드 하우징(31)을 투명체 또는 반투명체로 형성하고, LED(47)의 빛 또는 LED(47)외에 별도로 설치된 LED에 의한 빛을 헤드 하우징(31)을 통해서 빛이 외부로 발산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이하, 도 1에 도시된 실시예의 동작과정에 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사용자가 그립(20)을 잡고 스윙을 할 때, 헤드 이동체(32)의 원심력이 스프링(39)의 탄발력보다 커지면 헤드 이동체(32)는 점차 조절볼트(35), (36)의 단부쪽으로 이동되어, 결국 헤드 이동체(32)의 환형의 전기접속단자(43)가 조절볼트(35), (36)의 단부에 접촉하게 되어 조절볼트(35), (36)를 전기적으로 도통시킨다. 전기기판(34)에 설치된 전기회로는 조절볼트(35), (36) 전기적으로 단락될 때, LED(47)가 점등되도록 구성되어져 있기 때문에 환형의 전기접속단자(43)가 조절볼트(35), (36)의 단부에 접촉되게 되면 LED(47)가 점등된다.
LED(47)가 점등되게 되면 LED(47)의 발산 빛은 광발산 덮개(33)의 내주면에 형성된 엠보스(41), (42)들에서 산란되게 되어 광발산 덮개(33) 전체를 밝게 비추게 됨으로 점광원인 LED(47)의 광을 넓은 면적에 걸쳐서 빛이 발산되게 되어 사용자는 스윙연습시에 어느 스윙궤도에서 빛이 발산되는 지를 확인할 수 있으며, 이러한 빛을 확인하는 습관을 들임으로써 헤드업을 방지할 수 있으며, 이러한 연습은 빛의 이미지를 통한 연습으로 단순히 접촉음을 들으면서 하는 연습에 비하여 연습효과가 우수하다.
또한, 스윙속도가 빠른 사람이 스윙하는 경우와 스윙속도가 약한 사람이 스윙하는 경우에 원심력의 크기는 다르다. 따라서 사용자의 스윙속도에 맞도록 조절볼트(35), (36)의 격벽의 내면으로부터 돌출되는 길이를 관통공(37), (38)에 드라이버로 조절볼트(35), (36)의 머리를 회전시켜 조정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제 1 실시예는 스윙시에 헤드 이동체(32)에 발생되는 원심력에 의하여 이동되도록 구성되어있으나, 제 2 실시예는 헤드(30)의 외부에서 이동하는 왕복 이동체(50)가 스윙시에 원심력에 의하여 이동하여 헤드 이동체(32)를 가압시킴으로써 헤드 이동체(32)의 전기접속단자(43)가 조절볼트(35), (36)에 접촉되도록 하는 것이 다.
제 2 실시예에서 헤드(30)는 제 1 실시예와 동일 구성을 이루고 있으나, 헤드 이동체(32)의 원심력을 감소시키기 위하여 금속의 무거운 재료보다는 합성수지로 이루어진 경질의 재료가 바람직하다.
제 2 실시예의 골프 스윙연습기(200)는 스윙시 샤프트(10)의 외주면을 따라서 이동하는 왕복 이동체(50), 샤프트(10)일단에 설치된 그립(20), 샤프트(10)의 타단에 설치되어 상기 왕복 이동체의 가압에 의하여 점등되는 점등수단이 구비된 헤드(30)로 이루어진다. 헤드(30)는 제 1 실시예와 동일 구성으로 이루어졌으며, 점등수단은 헤드 이동체(32)의 전기접속단자(43), 조절볼트(35), (36), 회로가 형성된 전기기판, LED등으로 이루어진다. 이때, 왕복 이동체(50)는 샤프트(10)와 접촉되는 부분에 이동이 원활하도록 베어링이 설치되고, 왕복 이동체(50)는 스윙시에 원심력에 의하여 샤프트(10)를 따라서 이동하여 헤드(30) 내부의 헤드 이동체(32)를 가압할 수 있도록 환형상으로 생긴 걸림턱의 개구부보다 외경이 작아야 한다.
또한, 샤프트(10)의 그립쪽에 인접된 부분에는 왕복 이동체(50)의 이동을 제한 하기 위한 스톱퍼(40)가 설치된다.
이하,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의 동작과정을 설명하기로 한다.
골프 백스윙시에 헤드가 지면과 수평인 높이를 지나 상향될 때 왕복 이동체(50)는 스톱퍼(40) 쪽으로 이동되고, 백스윙으로부터 다운 스윙을 시작하여 왕복 이동체(50)가 원심력에 의하여 헤드(30) 쪽으로 이동하여 결국 헤드(30)의 내부에 있는 헤드 이동체(32)를 가압하여 헤드 이동체(32)의 전기접속단자(43)가 조절볼트 (35), (36)에 접속함으로써 LED(47)가 점등된다. 다운 스윙시에 임팩트 지점을 지나 휘니쉬 단계에 이르면서 스윙속도가 감소되면 스프링(39)의 탄발력에 의하여 전기접속단자(43)와 조절볼트(35), (36)가 분리됨으로써 LED(47)는 소등되게 된다.
상기의 목적과 구성을 갖는 본 발명에 따르면, 골프 스윙시에 점광원인 LED의 불빛을 헤드의 투명체 또는 반투명체에 의하여 발산되도록 함으로써 넓은 범위의 빛을 연습자 볼수 있도록 함으로써 이미지 연습효과를 높일 수 있다. 또한, 연습자의 스윙속도에 맞게 LED가 점등되는 스윙속도를 편리하게 조절할 수 있다.

Claims (11)

  1. 샤프트의 일단에 손으로 잡을 수 있는 그립과 타단에 전기에 의하여 점등되는 광원을 구비한 골프 스윙 연습기에 있어서:
    스윙시에 원심력에 의하여 이동하는 헤드 이동체;
    분리된 전기접점들이 상기 헤드 이동체의 접촉으로 단락될 때 상기 광원을 점등시키는 전기회로;
    투명체 또는 반투명체 재질로 이루어지며 상기 광원이 내측에 설치되어 상기 광원의 빛을 투과시키는 광투과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골프 스윙 연습기.
  2. 샤프트의 일단에 손으로 잡을 수 있는 그립과 타단에 설치된 헤드를 구비한 골프 스윙 연습기에 있어서:
    상기 헤드 내에 설치되는 스프링;
    스윙시에 원심력에 의하여 상기 스프링을 압축하며 상기 헤드 내에서 이동하는 헤드 이동체;
    분리된 전기접점들이 상기 헤드 이동체의 접촉으로 단락될 때 상기 광원을 점등시키는 전기회로;
    상기 전기 접점들이 도통될 때 상기 광원을 점등시키는 전기회로;
    상기 헤드의 일부를 형성하며, 상기 광원의 빛을 투과시키는 투명, 반투명체 로 형성된 광투과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골프 스윙 연습기.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광 투과부의 내면에 상기 광원의 빛을 산란시키는 엠보스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골프 스윙 연습기.
  4.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전기접점들은 상기 헤드의 벽체에 수직으로 설치되고, 상기 벽체로부터 상기 헤드 내부에 돌출되는 길이를 조절할 수 있는 나사로 이루어지며, 상기 돌출되는 길이를 조절함으로써 상기 헤드 이동체의 이동길이를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골프 스윙 연습기.
  5.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헤드 이동체는 환형상의 양도체인 전기전속단자가 설치되며, 상기 전기전속단자가 상기 전기접점들의 단부에 접속됨으로써 상기 전기접점들은 단락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골프 스윙 연습기.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샤프트에는 다운 스윙시에 원심력에 의하여 상기 샤프트를 따라 이동하여 상기 헤드 이동체를 가압시키는 왕복 이동체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골프 스윙 연습기.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샤프트의 그립쪽에 설치되어 상기 왕복 이동체의 이동길이를 제한하는 스톱퍼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골프 스윙 연습기.
  8.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헤드 이동체는 금속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골프 스윙 연습기.
  9. 제 6 항 또는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헤드 이동체는 합성수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골프 스윙 연습기.
  10.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헤드에는 관통공이 형성되어 있어, 관통공을 통하여 외부에서 상기 전기접점들을 회전시킬 수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골프 스윙 연습기.
  11.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광원은 고휘도 LED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골프 스윙 연습기.
KR1020050120769A 2005-12-09 2005-12-09 골프 스윙연습기 KR10065113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120769A KR100651137B1 (ko) 2005-12-09 2005-12-09 골프 스윙연습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120769A KR100651137B1 (ko) 2005-12-09 2005-12-09 골프 스윙연습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651137B1 true KR100651137B1 (ko) 2006-12-01

Family

ID=3773141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120769A KR100651137B1 (ko) 2005-12-09 2005-12-09 골프 스윙연습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51137B1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74141B1 (ko) * 2007-08-17 2008-12-15 이상명 코킹연습용 골프스윙연습기.
KR100919936B1 (ko) * 2009-04-02 2009-10-07 윤경선 골프 스윙 연습기
WO2010095850A2 (ko) * 2009-02-18 2010-08-26 Kim Yung Deuk 헤드 스피드 조절이 가능한 연습용 골프채
KR101038130B1 (ko) 2009-04-09 2011-05-31 허창우 골프 스윙 연습장치
KR102107095B1 (ko) * 2018-11-08 2020-05-07 주식회사 범양글러브 골프용 장갑
KR20220015929A (ko) 2020-07-31 2022-02-08 이재식 지능형 골프 스윙 연습기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1178275A (ja) 1988-01-06 1989-07-14 Tabata:Kk ゴルフ用スウィングトレーナー
JPH07155416A (ja) 1993-12-09 1995-06-20 Prod Otokogumi:Kk ゴルフ練習用具
KR19980086375A (ko) * 1997-05-27 1998-12-05 최희주 연습용 골프 클럽
KR20050111969A (ko) * 2004-05-24 2005-11-29 정윤정 골프 스윙 연습기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1178275A (ja) 1988-01-06 1989-07-14 Tabata:Kk ゴルフ用スウィングトレーナー
JPH07155416A (ja) 1993-12-09 1995-06-20 Prod Otokogumi:Kk ゴルフ練習用具
KR19980086375A (ko) * 1997-05-27 1998-12-05 최희주 연습용 골프 클럽
KR20050111969A (ko) * 2004-05-24 2005-11-29 정윤정 골프 스윙 연습기

Cited By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74141B1 (ko) * 2007-08-17 2008-12-15 이상명 코킹연습용 골프스윙연습기.
WO2010095850A2 (ko) * 2009-02-18 2010-08-26 Kim Yung Deuk 헤드 스피드 조절이 가능한 연습용 골프채
WO2010095850A3 (ko) * 2009-02-18 2010-11-25 Kim Yung Deuk 헤드 스피드 조절이 가능한 연습용 골프채
KR101048211B1 (ko) 2009-02-18 2011-07-08 김영득 헤드 스피드 조절이 가능한 연습용 골프채
CN102316941A (zh) * 2009-02-18 2012-01-11 金永得 可调节杆头速度的高尔夫球练习杆
US8414412B2 (en) 2009-02-18 2013-04-09 Yung Deuk Kim Practice golf club capable of adjusting head speed
KR100919936B1 (ko) * 2009-04-02 2009-10-07 윤경선 골프 스윙 연습기
WO2010114231A2 (ko) * 2009-04-02 2010-10-07 Yoon Kyung Sun 골프 스윙 연습기
WO2010114231A3 (ko) * 2009-04-02 2010-11-25 Yoon Kyung Sun 골프 스윙 연습기
KR101038130B1 (ko) 2009-04-09 2011-05-31 허창우 골프 스윙 연습장치
KR102107095B1 (ko) * 2018-11-08 2020-05-07 주식회사 범양글러브 골프용 장갑
KR20220015929A (ko) 2020-07-31 2022-02-08 이재식 지능형 골프 스윙 연습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51137B1 (ko) 골프 스윙연습기
US6712487B2 (en) Light emitting golf ball
JP7182812B2 (ja) インパクト時に自家発電して発光するスイング練習機
US8827847B2 (en) Training aid
US20020137582A1 (en) Bouncing ball having sound or light generating device
US20020145866A1 (en) Screwdriver having a light emitting device
US10194640B2 (en) Pet toy filled with foam latex
EP1279466A3 (en) Drill level indicator
US20010049311A1 (en) Flashing ball
US6715898B1 (en) Carabiner
US6497494B1 (en) Lighting device for a socket wrench
US7278957B2 (en) Sports training device
US9630063B1 (en) Light-activated illuminated golf ball
KR20160011085A (ko) 발광식 골프스윙 연습기
KR100722952B1 (ko) 골프 스윙연습기
US6699138B1 (en) Golf swing indication device
KR200375763Y1 (ko) 훌라후프
CN201410083Y (zh) 带八音琴和照明灯的手指磁轮按摩器
JP3025968U (ja) 発光球状体
CA2542030A1 (en) Portable golf swing practice device having a separable cord shield incorporated therein
KR20020077742A (ko) 매직파워 줄넘기
JP6746488B2 (ja) 弾球遊技機の発射ハンドル装置、および、弾球遊技機
KR20030000393A (ko) 자가 발전형 발광줄넘기
US20020109300A1 (en) Dart board assembly
JP2008264131A (ja) 照明付ステッキ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