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50918B1 - 무선통신모듈을 내장한 카팩 - Google Patents

무선통신모듈을 내장한 카팩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50918B1
KR100650918B1 KR1020050130766A KR20050130766A KR100650918B1 KR 100650918 B1 KR100650918 B1 KR 100650918B1 KR 1020050130766 A KR1020050130766 A KR 1020050130766A KR 20050130766 A KR20050130766 A KR 20050130766A KR 100650918 B1 KR100650918 B1 KR 10065091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udio signal
communication module
head
wireless communication
ca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13076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광순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자티전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자티전자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자티전자
Priority to KR102005013076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5091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5091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5091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36Interfacing a local distribution network, e.g. communicating with another STB or one or more peripheral devices inside the home
    • H04N21/4363Adapting the video stream to a specific local network, e.g. a Bluetooth® network
    • H04N21/43637Adapting the video stream to a specific local network, e.g. a Bluetooth® network involving a wireless protocol, e.g. Bluetooth, RF or wireless LAN [IEEE 802.11]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1Structure of client; Structure of client peripherals
    • H04N21/414Specialised client platforms, e.g. receiver in car or embedded in a mobile appliance
    • H04N21/41422Specialised client platforms, e.g. receiver in car or embedded in a mobile appliance located in transportation means, e.g. personal vehicl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1Structure of client; Structure of client peripherals
    • H04N21/426Internal components of the client ; Characteristics thereof
    • H04N21/42646Internal components of the client ; Characteristics thereof for reading from or writing on a non-volatile solid state storage medium, e.g. DVD, CD-ROM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36Interfacing a local distribution network, e.g. communicating with another STB or one or more peripheral devices inside the home
    • H04N21/4367Establishing a secure communication between the client and a peripheral device or smart car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Fittings On The Vehicle Exterior For Carrying Loads, And Device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블루투스 등과 같은 무선통신 모듈이 내장된 CD 플레이어 및 MP3 플레이어 또는 휴대폰 MP3 플레이어 등과 같은 휴대용 음향재생장치를 차량에 내장된 카세트 플레이어에 무선으로 연결하여 음악파일 등을 재생시키기 위한 연결수단으로 사용되는 카팩에 관한 것으로써, 보다 상세하게는 카팩의 내부에 무선통신모듈을 장착시키고 휴대용 음향재생장치와 무선으로 통신하는 카팩에 관한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무선통신 모듈이 내장된 휴대용 음향재생장치를 차량의 카세트 플레이어에서 재생시킬 수 있도록 연결시켜주는 카팩에 있어서, 상기 카팩이 휴대용 음향재생장치와 상호간에 무선통신 할 수 있도록 카팩의 내부에 무선통신모듈이 장착된 것을 특징적 구성으로 한다.
무선통신, 블루투스, 카세트 어댑터, 카팩, 지그비

Description

무선통신모듈을 내장한 카팩{The carpack having radio communication module}
도 1은 종래의 유선 카팩의 내부의 구성을 나타내는 평면도.
도 2는 종래의 카팩의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무선통신모듈을 내장한 카팩의 동작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무선통신모듈을 내장한 카팩의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무선통신모듈을 내장한 카팩의 내부의 구성을 나타내는 평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무선통신모듈을 내장한 카팩의 다른 실시예의 내부 구성을 나타내는 평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무선통신모듈을 내장한 카팩의 또 다른 실시예의 내부 구성을 나타내는 평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무선통신모듈을 내장한 카팩의 제어회로부의 블록도.
도 9는 본 발명의 무선통신모듈을 내장한 카팩의 블루투스모듈의 블록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본 발명의 무선통신모듈을 내장한 카팩: 1000
하우징: 150
제어회로부: 200
외부기기 입출력단: 210 충전부: 220
배터리: 230 DC/DC/변환부: 240
블루투스모듈: 251 D/A변환부: 260
헤드: 270
휴대용 음향재생장치: 300
카세트 플레이어: 400
카세트 플레이어 데크: 410
센서부: 500
본 발명은 블루투스 등과 같은 무선통신 모듈이 내장된 CD 플레이어 및 MP3 플레이어 또는 휴대폰 MP3 플레이어 등과 같은 휴대용 음향재생장치를 차량에 내장된 카세트 플레이어에 무선으로 연결하여 음악파일 등을 재생시키기 위한 연결수단으로 사용되는 카팩에 관한 것으로써, 보다 상세하게는 카팩 속에 무선통신모듈을 내장시키고 휴대용 음향재생장치와 무선으로 통신하는 카팩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시중의 카팩(carpack)은 카세트 플레이어에서 재생되는 카세트 테이프와 동일한 모양과 크기로 이루어져 카세트 플레이어의 데크에 삽입이 가능하게 이루어져 있으며,
보통 CD 플레이어 및 MP3 플레이어 등과 같은 휴대용 음향재생장치와 유선으로 연결되고, 휴대용 음향재생장치에서 입력받은 오디오 신호를 어댑터의 헤드로 전송하고, 상기 헤드는 자기신호로 바꾸게 된다.
따라서 카팩을 차량의 카세트 데크에 삽입시키면, 카세트 데크의 헤드가 카팩의 헤드를 자기적인 작용으로 읽어 들여 휴대용 음향재생장치의 음향을 차량의 카세트 플레이어의 스피커로 출력시키게 된다.
여기서, 근래에 출시되는 차량에는 보통 CD 플레이어가 내장되나, 저가의 차량이나 구형의 차량에는 상기와 같은 CD 플레이어가 없는 경우가 많았다.
따라서 저가의 차량이나 구형의 차량을 소유한 운전자는 카세트 테이프와 같은 중저음질의 아날로그 음원 재생 방식을 벗어나, 디지털 음원으로 고음질의 음악을 듣고자 할 때, 휴대용 음향재생장치 예를 들어, CD 플레이어를 구입하여 이를 유선으로 카팩과 연결한 후 또다시 그 카팩을 차량의 카세트 데크에 삽입시키는 방법을 이용하게 된다.
또한 CD플레이어가 내장된 차량이라 할지라도 휴대가 간편하고, 디지털 오디오 파일을 손쉽게 교체할 수 있는 MP3 플레이어가 보편화됨에 따라 MP3 플레이어와 차량의 카세트 플레이어를 연결시켜 주는 카팩은 계속적으로 수요가 생기는 실정이다.
상기와 같은 카팩의 종래의 기술로는 도 1에 도시된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05-0077994호의 "양방향 구동기어를 갖는 차량용 카세트 어댑터"에 잘 나타나 있었다.
상기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05-0077994호에 나타난 기술은 어댑터 본체(10)의 내부 중앙에 연계기어(1)가 내장되고 그 양측에는 중계기어(2)(2')가 각각 치합되며, 상기한 본체(10)의 내부 일측에는 회로기판(3)을 갖는 헤드(4)를 내장하여, 잭(5)을 갖는 연결선(6)을 상기한 회로기판(3)에 연결하여 외부장치로부터 제공되는 신호를 상기 헤드(4)를 통해 출력되게 한 것이다.
상기와 같은 종래의 기술은 외부장치의 음원을 유선 즉, 잭(5)을 갖는 연결선(6)으로 연결된 어댑터 본체(10)와 연결하여 카세트 플레이어를 통해 외부장치의 음원을 재생할 수 있는 장점이 있었지만,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었다.
상기 카세트 어댑터, 즉 카팩은 외부장치 즉, 휴대용 음향기기와 유선으로 연결되어 있어 사용자가 휴대용 음향기기를 다른 위치로 옮기고자 할 때는 유선 케이블 때문에 제약이 많았다.
또한 상기 케이블에 의해 카세트 플레이어와 휴대용 음향재생장치 간에 연결선에 의해 주변이 지저분하고 깔끔하게 유지되지 않는 문제점이 있었다.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한 다른 종래의 기술로는 도 2에 도시된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20-0392100호의 "무선 마이크가 구비된 무선카팩"에 잘 나타나 있었다.
상기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20-0392100호에 나타난 기술은 무선카팩 몸체에 전원을 공급하는 시가잭과, 음향기기와 연결되는 음향기기 연결잭이 설치되며, 상기 무선카팩 몸체의 전부에 주 차량의 라디오 주파수와 동조되도록 주파수를 조절하는 주파수 변환 스위치부가 설치된 것이다.
상기와 같은 무선카팩은 카세트 데크에 직접 삽입되지 않고, 음향기기와 유선으로 연결되어 음향기기의 외부에 내장되거나, 인접하게 배치된 구조를 가진다.
따라서 상기 음향기기에서 나오는 오디오 신호를 무선카팩 몸체의 주파수 변환 스위치부를 이용하여 FM라디오 주파수와 카팩의 주파수를 일치시켜 전송시킴으로써, 라디오 장치의 스피커를 이용하여 음향기기의 오디오 신호를 들을 수 있도록 한 장점이 있었지만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었다.
상기 종래의 기술은 음향기기의 오디오 신호를 FM 라디오 주파수로 라디오 장치에 전송함으로써 FM 라디오 수준의 음질(32kbps ∼ 64kbps)밖에 구현하지 못하 므로, 상기 음향재생장치(예를 들어, CD플레이어: 1411kbps MP3 플레이어: MP3 음원의 경우128kbps ∼ 320kbps, OGG 음원의 경우: 500kbps)의 음질을 제대로 구현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제안된 것으로서,
첫째, 상기 카팩과 음향재생장치간의 케이블을 제거하여 주변을 깔끔하게 유지시키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둘째, 상기 카팩은 음향재생장치와 무선으로 통신함으로써 휴대용음향재생장치를 자유롭게 이동하여 배치시킬 수 있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셋째, 상기 무선통신모듈이 내장된 카팩을 이용하여 음향기기로부터 보다 고음질의 오디오 신호를 전송받게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무선통신 모듈이 내장된 휴대용 음향재생장치를 차량의 카세트 플레이어에서 재생시킬 수 있도록 연결시켜주는 카팩에 있어서,
상기 카팩이 휴대용 음향재생장치와 상호간에 무선통신 할 수 있도록 카팩의 내부에 무선통신모듈이 장착된 것을 특징적 구성으로 한다.
본 명세서 지속적으로 사용되는 용어인 무선통신모듈, 휴대용 음향재생장치 및 카세트에 대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상기 무선통신모듈은 바람직하게는 블루투스모듈 또는 지그비(Zigbee)통신모듈을 사용하는 데,
상기 블루투스모듈(251)은 컴퓨터 및 통신 산업계의 규격으로서, 근거리에 놓여 있는 컴퓨터와 이동단말기ㅇ가전제품 등을 무선으로 연결하여 쌍방향으로 실시간 통신을 가능하게 해주는 규격을 말하거나 그 규격에 맞는 제품을 이르는 말이다.
상기 블루투스모듈은 2.4GHz의 대역 및 1Mbps의 전송속도(실제 723kbps)를 가지며, 간섭방지를 위해 주파수 호핑 방식을 이용한다.
그리고 상기 지그비통신모듈은 근거리 통신을 지원하는 IEEE 802.15.4 MAC+PHY를 표준으로 한다. 상기 지그비통신모듈은 가정ㅇ사무실 등의 무선 네트워킹 분야에서 10 ∼ 100m 내외의 근거리 통신과 유비쿼터스 컴퓨팅을 위한 기술이다.
즉, 상기 지그비통신모듈은 휴대전화나 무선LAN의 개념으로, 기존의 기술과 다른 특징은 전력소모를 최소화하는 대신 소량의 정보를 소통시키는 특징이 있으 며, 작은 크기로 전력 소모량이 적고 값이 싸 홈네트워크 등 유비쿼터스 구축 솔루션으로 최근 각광받고 있다.
그리고 상기 휴대용 음향재생장치는 음향재생이 가능하고 무선통신모듈이 내장되어, 본 발명의 무선통신모듈이 내장된 카팩과 무선 통신이 가능한 모든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즉, 상기 휴대용 음향재생장치는 MP3 플레이어, GPS 단말기, CD 플레이어, 휴대폰, PDA, PSP 및 PMP 등에 모두 적용이 가능하다.
그리고 상기 카세트는 일반적으로 표준형, 필리스형 카세트 또는 마이크로 카세트와 같은 종래의 릴-투-릴 자기 테이프 카세트를 지칭한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구체적인 구성 및 작용에 대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도 8] 내지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무선통신모듈을 내장한 카팩(1000)은 하우징(150)과, 외부기기 입출력단(210)과, 충전부(220), 배터리(230) 및 DC/DC변환부(240)를 포함하는 전원공급부와, 블루투스모듈(251), 지그비통신모듈 또는 기타 무선통신 수단 중 어느 하나로 이루어진 무선통신모듈(250)과, D/A변환부(260)와, 헤드(270) 등의 구성요소로 이루어진다.
[도 4]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하우징(150)은 카세트 데크(410)에 용이하게 삽입되어 내장될 수 있도록 일반적인 자기 카세트 테이프와 동일한 크기와 모양으로 이루어져 있다.
상기 하우징(150)은 평면에 카세트 데크(410)의 핀치롤러(420) 및 헤드(430)가 진입 가능하도록 개방부(151)가 형성되어 있고, 내부에는 상기 카세트 데크(410)의 좌우 릴테이블(440a, 440b)에 삽입되어 카세트 데크(410)의 릴테이블(440a, 440b)에 의해 회전력을 인가받는 좌측릴(154a) 및 우측릴(154b)로 이루어져 있다.
여기서 공지된 바로는, 상기 좌측릴(154a) 및 우측릴(154b)이 삽입되는 카세트 데크(410)의 릴테이블(440a, 440b)은 둘 중에 하나만 구동된다.
본 발명의 카팩이 내장되는 카세트 데크(410)는 자동 잠금(shut-off) 감지장치 및 오토리버스(auto-reverse) 기능 즉, 카세트 테이프의 한쪽 릴이 정지되면 카세트 테이프의 끝임을 인지하고, 자동으로 카세트 테이프를 리버싱 하는 공지된 장치를 고려하여 이루어졌다.
예를 들어, 상기 카세트 데크(410)에 삽입되는 카세트 테이프의 테이프가 좌측릴로부터 우측릴로 이송되는 경우 좌측릴이 회전운동이 더 이상 감지되지 않을 때는 정지시키고 역전(테이프가 역운동의 경우)된다.
역으로 만약 카세트 테이프의 테이프가 우측릴로부터 좌측릴로 구동될 경우 카세트 데크의 잠금 또는 오토리버스 기능은 우측릴의 회전운동이 더 이상 일어나지 않을 때 작동된다.
정상적으로는 테이프가 좌에서 우방향으로 구동될 때 우측릴은 테이프 감기역할을 하며, 좌측 릴은 단지 휴지 상태이다.
즉, 공급 릴로서 작용하는 좌측릴은 좌측릴로부터 우측릴로 공급되는 테이프에 의해 회전한다. 역으로 테이프가 우방향에서 좌방향으로 공급될 때 좌측릴은 테이프 감기 역할을 하며, 우측릴은 단지 휴지상태로 테이프 공급릴의 역할을 한다.
따라서 상기와 같은 카세트 테이프의 회전 원리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카팩(1000)도 카세트 데크에 삽입되어 동일한 카세트 테이프와 동일한 방식으로 회전을 하므로, 상기 카팩(1000)은 회전하는 카세트 데크(410)의 릴테이블(440a, 440b)에 삽입되는 한쪽의 릴뿐만 아니라 다른 쪽의 릴까지 동시에 회전시키기 위해 상기 좌측릴(154a) 및 우측릴(154b)은 벨트(도시되지 않음)로 연결되어 있다.
[도 5]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리고 상기와 같은 벨트 대신에 다른 실시예로서, 상기 좌측릴(154a) 및 우측릴(154b)을 연계하는 원형기어장치(156a, 156b, 156c)를 포함할 수 있는 데, 상기 좌측릴(154a) 및 우측릴(154b)의 사이에는 하나 이상의 원형기어장치(156a, 156b, 156c)들에 의해 기계적으로 결합되어 있다. 상기 원형기어장치(156a, 156b, 156c)들은 좌측릴(154a) 및 우측릴(154b)을 동일한 방향으로 회전시킬 수 있도록 홀수개로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 다.
그리고 또 다른 실시예로서,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순 테이프(158)가 릴-투-릴 운동을 위해 좌측릴(154a) 및 우측릴(154b) 주위에 감겨질 수도 있다.
결과적으로 벨트, 원형기어장치(156a, 156b, 156c) 및 테이프(158) 중 어느 하나가 선택적으로 적용되더라도 카세트 플레이어(400)에서 발생할 수 있는 잠금 또는 오토리버스 기능의 동작이 방지되는 본 발명의 목적은 같게 된다.
[도 5]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외부기기 입출력단(210)은 외부 전원공급장치로부터 전원을 공급받기 위한 것으로, 바람직하게는 카세트 데크에 카팩이 삽입되었을 때 외부로 노출되는 부분인 하우징(150)의 저면에 구비되어 있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외부기기 입출력단(210)은 바람직하게는 USB 단자, 휴대폰 커넥터 또는 DC 입력단자로 구현하게 되고, 상기 외부 전원공급장치는 USB 단자, 휴대폰 커넥터 또는 DC 입력단자를 포함한 전원 공급이 가능한 모든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충전부(220)는 외부기기 입출력부로부터 공급받은 전원을 변압하여 배터리(230)를 충전시키는 역할을 하게 된다.
상기 배터리(230)는 충전부(220)로부터 충전되어 DC/DC변환부(240)에 전원을 공급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배터리(230)는 바람직하게는 니켈 수소(NI-MH; Nikel MetalHide)배터리, 니켈 카드뮴 전지(Nikel Cadmium cell), 리튬-이온(lithium-ion)배터리, 접시형 전지 중 어느 하나를 사용할 수 있으며, 상기 배터리(230)는 내부고정형 또는 사용자가 삽입 및 탈락이 가능한 배터리(230) 일 수 있다.
상기 DC/DC변환부(240)는 배터리(230)에서 공급된 전원을 이용하여 카팩(1000)의 제어회로부(200)의 각 구성요소에 적합한 전원으로 변환하여 공급한다.
보통 배터리(230)에서 1.2V ∼ 3.7V의 전원을 공급받고 이를 3V로 변환하게 된다.
여기서 휴대용 음향재생장치(300)와 무선 통신하는 무선통신모듈(250)을 블루투스모듈(251)로 사용할 경우는 다음과 같다.
상기 블루투스모듈(251)은 휴대용 음향재생장치(300)의 블루투스모듈(251)에서 무선으로 디지털 오디오 신호를 전송받고, 상기 디지털 오디오 신호를 D/A변환부(260)로 전송하는 것으로, 바람직하게는 영국의 CSR(Cambridge Silicon Radio)사 또는 미국의 브로드컴(Broadcom)사의 블루투스 칩 중 어느 하나를 이용하여 구현한다.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블루투스모듈(251)은 전원공급부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아 동작하게 되며,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블루투스모듈(251)은 RF 송신부(253), RF 수신부(254), 기저대역(BASEBAND)(255), 음성처리부(256), 중앙제어부(257) 및 저장부(258)로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블루투스모듈(251)의 상기 기저대역 처리부(255)는 HCI(HOST CONTROL INTERFACE)에 의해 중앙제어부(257)에 연결되어 HCI 패킷(Packet)을 송/수신함으로써 제어명령을 하고 그 결과, 음성 송수신 데이터가 오고 간다.
상기 HCI로는 RS232C 등을 사용할 수 있으며, 상기 HCI 패킷은 Command, Event, Data 패킷으로 구분된다.
상기 RF 송신부(253)는 상기 기저대역 처리부(255)에서 생성한 무선 송신용 데이터 패킷을 설정된 주파수 대역으로 변조 증폭시켜 휴대용 음향재생장치의 안테나로 송신한다.
상기 RF 수신부(254)는 수신되는 주파수 신호의 잡음의 증폭을 최대한 억제하고 설정된 주파수 대역의 신호를 증폭한 후 낮은 주파수 대역으로 낮추어 상기 기저대역 처리부(255)로 인가한다.
상기 기저대역 처리부(255)는 중앙제어부(257) 또는 음성처리부(256)로부터 인가되는 각종 HCI 데이터 패킷에 억세스 코드 및 헤더를 부가하는 패킷 포맷으로 변경하고, 이를 다시 무선 송신을 위한 소정의 데이터 패킷으로 변경하여, 상기 RF 송신부(253)를 통해 설정된 주파수 대역으로 무선 송신하고, 상기 RF 수신부(254)를 통해 수신되는 데이터 패킷을 상기 HCI 패킷으로 변경하여 중앙제어부(257) 또는 음성처리부(256)로 인가한다.
상기 음성처리부(256)는 기저대역 처리부(255)로부터 전송받은 음성신호를 복조하여 RF 송신부(253)를 통해서 상기 휴대용 음향재생장치(300)의 블루투스모듈로 전송한다.
상기 저장부(258)는 블루투스모듈의 중앙제어부(257)가 블루투스모듈(251)의 각 구성요소를 제어하기 위한 프로그램 및 각종 데이터가 저장되어 있다.
또한 상기 중앙제어부(257)에 의해 블루투스모듈(251)은 카팩(1000)의 각 구성요소를 제어하게 된다.
상기 저장부(258)는 블루투스모듈(251)의 제어 시 필요한 제어 데이터를 저장하고 있는 프로그램이 내장되어 있는 롬(ROM)과, 휴대용 음향재생장치와의 통신에 의해 전송된 각종 데이터를 저장하는 비휘발성 메모리(NVM: Non-Volatile Memory; Flash 메모리 또는 EEPROM)와, 상기 프로그램 제어 시 발생되는 데이터를 임시로 저장하여 처리하는 램(RAM)으로 구성된다.
상기 D/A변환부(260)는 블루투스모듈(251)로부터 전송받은 디지털 오디오신호를 아날로그 오디오신호로 변환하기 위한 것으로, 상기 변환된 아날로그 오디오 신호는 헤드(270)로 전송된다.
상기 헤드는 D/A변환부(260)에서 변환된 오디오 신호를 자기신호로 변환하고, 카세트 플레이어(400)의 헤드와 접촉하여 신호입출력 수단의 역할을 하게 된다.
상기와 같은 헤드의 작용으로 카세트 플레이어(400)의 스피커로 휴대용 음향재생장치(300)의 오디오 신호를 출력시킬 수 있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 무선통신모듈이 지그비통신모듈로 사용되었을 경우는 다음과 같다.
상기 지그비통신모듈은 블루투스모듈의 경우와 마찬기지로 휴대용 음향재생장치에도 지그비통신모듈이 구비되어 있어야 하며, 본 발명을 위한 지그비통신모듈은 868Mhz/915Mhz 또는 2.4Ghz 대역을 이용하며, 바람직하게는 전송속도가 빠른 2.4Ghz 지그비 트랜시버를 이용한다.
실험적으로 볼 때 2.4Ghz대역을 이용하는 경우에 최대 전송속도는 250Kbps이며, 전송거리는 실내에서 30m, 야외에서 최대 100m정도가 된다. MAC Protocol에 있어서 채널 액세스(Channel Access) 방식은 CSMA/CA만 사용할 경우 비콘 수신 (Beacon Listen)시에 매우 많은 전력을 소모하므로 CSMA/CA + Optional guaranteed time slotting 방식을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이용되는 지그비통신모듈은 휴대용 음향재생장치의 지그비통신모듈과 오디오 신호를 송신하고 수신하기 위한 아날로그 송신부 및 수신부와, 상기 송신 또는 수신된 전파를 디지털화하기 위한 디지털 트랜시버와, 송수신된 데이터를 임시로 저장하기 위한 버퍼RAM과, 네트워크 또는 제어명령 등을 조정하기 위한 IRQ아비터 및 RAM아비터와, 지정된 표준에 따라 근거리 무선송수신을 제어하고, 디지털 트랜시버에서 디지털화된 신호를 D/A변환부로 전송하기 위한 제어로직, GPIO, SPI 등을 포함하는 중앙제어부로 구성된다.
참고적으로 지그비는 IEEE 802.15.4를 기반으로 하는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의 표준규격이라 할 수 있으며, IEEE802.15.1을 기반으로 하는 블루투스모듈과는 구별된다.
상기 지그비통신모듈 자체에 대해서는 이미 공지, 공용되고 있으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다만 상기 지그비통신모듈은 휴대용 음향재생장치에서 무선으로 오디오 신호를 전송받고, 상기 오디오 신호를 디지털신호로 변환하여 D/A변환부로 전송하는 역할은 블루투스모듈과 동일하다.
여기서 상기 블루투스모듈(251) 또는 지그비통신모듈 이외에 무선LAN, HomeRF 및 IrDA와 같이 근거리에서 무선통신이 가능한 모든 수단을 이용하여도 본 발명에 따른 효과는 같을 것이다.
여기서 본 발명에 따른 카팩(1000)은 카팩(1000)이 카세트 플레이어(400)의 데크(410)에 삽입되었을 때 자동 재생기능이 없는 카세트 플레이어(400)의 경우, 상기 카세트 플레이어(400)의 재생버튼이 사용자에 의해 눌러짐에 따라 카세트 플레이어(400)의 헤드(430)가 하우징(150) 내로 진입하는 지를 감지하여 그에 상응하는 감지출력을 발생시키기 위한 센서부(500)를 더 구비하게 된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센서부(500)는 바람직하게는 수광부 및 발광부를 이용하여 구현한다.
즉, 상기 카세트 플레이어(400)의 헤드(430)가 하우징(150)내로 진입되어 있는 경우에는 발광부에서 발광된 광이 마그네틱 헤드에 반사되어 수광부로 입력되고, 이에 따라 센서부(500)에서는 카세트 플레이어(400)의 헤드(430)를 감지하였음을 알리는 신호가 발생된다.
반대로 카세트 플레이어(400)의 헤드(430)가 하우징(150) 내에 진입되어 있지 않은 경우에는 발광부에서 발광된 광이 카세트 플레이어(400)의 헤드(430)에 반사되어 수광부로 입력되지 않고, 이에 따라 센서부(500)에서는 카세트 플레이어(400)의 헤드(430)를 감지하지 않았음을 알리는 신호가 발생된다.
그리고 상기 센서부(500)의 다른 실시예로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카세트 플레이어(400)의 핀치롤러(420a, 420b)가 본 발명의 카팩(1000)의 하우징(150) 내의 캡스턴(152)과 서로 접촉하는 지를 감지하여 카세트 플레이어(400)의 동작여부를 판단하고, 그에 상응하는 감지신호를 발생시키게 구성할 수도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작용 및 효과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우선 카팩(1000)을 카세트 플레이어(400)의 데크(410)에 삽입시키면, 상기 카팩(1000)의 센서부(500)가 카세트 데크(410) 헤드(430)의 작동을 확인하여 감지출력을 발생시키고, 상기 감지출력에 따라 본 발명의 카팩(1000)의 전원공급부가 구동되어 무선통신모듈이 작동되고, 상기 무선통신모듈이 휴대용 음향재생장치(300)로부터 오디오 신호를 무선으로 전송받고 복조하게 된다.
다음으로 상기 무선통신모듈은 D/A변환부(260)로 복조된 디지털 오디오 신호를 전송하게 되고, 상기 D/A변환부(260)는 디지털 오디오 신호를 아날로그 오디오 신호로 변환하여 헤드(430)로 전송하게 된다.
다음으로 상기 헤드(430)는 아날로그 신호를 자기신호로 변환하게 되고, 상기 헤드(430)와 접촉된 카세트 플레이어(400)의 헤드(430)와 상호간의 자기작용으로 인해 카세트 플레이어(400)의 스피커로 오디오 신호를 출력하게 된다.
결과적으로 본 발명의 카팩은 휴대용 음향재생장치와 유선으로 연결되던 종래의 방식에서 벗어나 휴대용 음향재생장치의 오디오 신호를 카세트 플레이어의 스피커로 재생시킬 수 있게 무선으로 연결시켜 주는 것이다.
또한 상기 카팩(1000)에 내장된 무선통신모듈 중 하나인 블루투스모듈(251)과 휴대용 음향재생장치(300)의 블루투스모듈(251)은 상호간에 1Mbps의 전송속도(실제 723kbps)로 무선통신 하고, 지그비통신모듈의 경우 250kbps이상의 전송속도를 가지기 때문에 휴대용 음향재생장치(300)의 오디오 신호를 FM 라디오 수준의 음질(32kbps ∼ 64kbps)로 변환하여 제공하던 종래의 무선카팩과 대비하여 보다 고음질의 오디오 신호를 재생가능하게 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구성에 의한 본 발명에 따르면,
첫째, 상기 카팩에 무선통신모듈을 구비하여 무선통신모듈이 구비된 음향재생장치와 무선으로 통신함으로써 카팩과 음향재생장치간의 케이블을 제거하여 주변 환경을 미려하게 하는 효과가 있다.
둘째, 상기 카팩에 무선통신모듈을 구비하여 무선통신모듈이 내장된 음향재생장치와 무선으로 통신함으로써 휴대용음향재생장치를 제한된 구역에서 벗어나 자유롭게 배치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셋째, 상기 무선통신모듈이 내장된 카팩을 이용하여 음향기기로부터 종래의 무선카팩과 대비하여 보다 고음질의 오디오 신호를 전송받아 재생시키는 효과가 있다.

Claims (5)

  1. 무선통신모듈이 내장된 휴대용 음향재생장치를 차량의 카세트 플레이어에서 재생시킬 수 있도록 연결시켜주는 카팩에 있어서,
    외부로부터 전원을 공급받고 배터리를 충전시켜, 상기 배터리를 이용하여 기기의 각 구성요소에 구동전원을 공급하는 전원공급부;
    상기 음향재생장치에서 무선으로 디지털 오디오 신호를 전송받고, 상기 디지털 오디오 신호를 D/A변환부로 전송하는 무선통신모듈;
    상기 무선통신모듈에서 전송된 디지털 오디오 신호를 아날로그 오디오신호로 변환하기 위한 D/A변환부; 및
    상기 D/A변환부에서 변환된 오디오 신호를 자기신호로 변환하고, 카세트 플레이어의 헤드와 접촉하여 신호입출력 수단의 역할을 하는 헤드를 포함하되,
    상기 카팩의 헤드와 카세트 플레이어의 헤드가 서로 접속되었는지의 여부를 감지하고, 이에 상응하는 감지출력을 발생하여 카팩의 동작 여부를 결정하는 발광부·수광부, 또는 접촉감지센서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통신모듈을 내장한 카팩.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KR1020050130766A 2005-12-27 2005-12-27 무선통신모듈을 내장한 카팩 KR10065091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130766A KR100650918B1 (ko) 2005-12-27 2005-12-27 무선통신모듈을 내장한 카팩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130766A KR100650918B1 (ko) 2005-12-27 2005-12-27 무선통신모듈을 내장한 카팩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650918B1 true KR100650918B1 (ko) 2006-11-30

Family

ID=3771400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130766A KR100650918B1 (ko) 2005-12-27 2005-12-27 무선통신모듈을 내장한 카팩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50918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89021Y1 (ko) * 2018-07-18 2019-04-17 김기선 블루투스 기능과 이동식저장장치를 구비한 카세트 테이프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49846A (ko) * 2001-12-17 2003-06-25 삼성전자주식회사 카펙 기능을 가지는 핸즈프리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KR200357616Y1 (ko) 2004-05-03 2004-07-30 백성호 휴대폰 충전기가 구비된 차량용 무선 카펙장치
KR200403530Y1 (ko) 2005-09-23 2005-12-09 동아전기부품 주식회사 블루투스를 이용한 무선 오디오 송수신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49846A (ko) * 2001-12-17 2003-06-25 삼성전자주식회사 카펙 기능을 가지는 핸즈프리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KR200357616Y1 (ko) 2004-05-03 2004-07-30 백성호 휴대폰 충전기가 구비된 차량용 무선 카펙장치
KR200403530Y1 (ko) 2005-09-23 2005-12-09 동아전기부품 주식회사 블루투스를 이용한 무선 오디오 송수신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89021Y1 (ko) * 2018-07-18 2019-04-17 김기선 블루투스 기능과 이동식저장장치를 구비한 카세트 테이프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120463B2 (en) Network interface cassette adapter and method
US7409064B2 (en) Music reproduction apparatus, audio player, and headphone
KR100800103B1 (ko) 헤드셋
US20070223725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wirelessly streaming multi-channel content
US8019096B2 (en) Electronic device and external equipment with configurable audio path circuitry
US20060046656A1 (en) Bluetooth headset and bluetooth device connectable to audio equipment
US20070173294A1 (en) A Multi-functional Bluetooth Loudspeaker
US20070015537A1 (en) Wireless Hands-Free Audio Kit for Vehicle
US20100100206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wirelessly transferring music and other audio content to a car stereo or home stereo
US8139781B2 (en) Bluetooth headset with a retractable structure
US20070054705A1 (en) Wireless apparatus with multiple power and input sources
EP1594136A2 (en) Wireless cassette adapter
US20050151422A1 (en) Universal serial bus connector in a vehicle
US20110110514A1 (en) Multi-button remote control headset with improved signaling
US7894863B2 (en) Communication system, communication apparatus, and operation control method
KR100650918B1 (ko) 무선통신모듈을 내장한 카팩
US20030036414A1 (en) Wireless earphone set
US7266390B2 (en) Network interface cassette adapter and method
JP4798162B2 (ja) 電子機器システム
KR100707127B1 (ko) 다목적 블루투스 동글
CN111698597A (zh) 充电盒及其控制方法、无线耳机及其控制方法
KR100650920B1 (ko) 발전장치를 내장한 카팩
US8825119B2 (en) Portable telephone with connection indicator
KR20050053931A (ko) 오디오 신호 출력 기능을 갖는 핸드폰 충전기
CA2720003C (en) Multi-button remote control headset with improved signaling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1116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224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