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50684B1 - 유휴키 활용기능이 구비된 이동통신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 Google Patents

유휴키 활용기능이 구비된 이동통신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50684B1
KR100650684B1 KR1020050109501A KR20050109501A KR100650684B1 KR 100650684 B1 KR100650684 B1 KR 100650684B1 KR 1020050109501 A KR1020050109501 A KR 1020050109501A KR 20050109501 A KR20050109501 A KR 20050109501A KR 100650684 B1 KR100650684 B1 KR 10065068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key
function
block
calendar
mobile communic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10950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한나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5010950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5068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5068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5068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48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adapting the functionality of the device according to specific conditions
    • H04M1/72451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adapting the functionality of the device according to specific conditions according to schedules, e.g. using calendar appl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66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selection means, e.g. keys, having functions defined by the mode or the status of the devic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69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for operating the device by selecting functions from two or more displayed items, e.g. menus or ico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이동통신단말기에 달력표시기능이 설정될 경우 달력표시메뉴를 실행하여 디스플레이상에 달력화면을 표시하는 달력표시기능 실행단계와, 상기 달력표시기능 실행단계후에 블록지정을 위한 스타키 혹은 파운드키가 길게 눌러졌는지를 확인하는 블록설정키 입력확인단계와, 상기 블록설정키 입력확인단계중에 블록지정을 위한 스타키 혹은 파운드키가 길게 눌러졌을 경우 디스플레이상에 표시된 달력화면에서 사용자가 지정한 특정날짜를 블록으로 표시하는 블록지정단계와, 상기 블록지정단계후에 스타키 혹은 파운드키가 눌러질때마다 날짜칸을 이동하면서 연속 블록을 지정하고 원하는 해당 블록에 스케쥴을 기록하는 스케쥴링 기록단계로 이루어진 유휴키 활용기능이 구비된 이동통신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을 제공한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은 달력표시기능에서 블록 다수개를 설정할 수 있는 기능을 구비하고 이 기능을 유휴한 키로 설정하게 하므로써, 단말기의 달력에서 유휴키를 통해 다수개의 블록을 지정하여 스케쥴링을 신속하게 처리하므로 그에 따라 단말기의 사용편의성을 극대화시킨다.
유휴키, 스타키, 파운드키, 내비게이션키, 키패널부, 블록지정

Description

유휴키 활용기능이 구비된 이동통신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having a idleness key using function and controlling method therefore}
도 1은 종래 이동통신단말기의 키패드기능을 설명하는 설명도.
도 2는 본 발명 유휴키 활용기능이 구비된 이동통신단말기를 설명하는 설명도.
도 3은 본 발명의 플로우차트.
도 4의 (a-d)는 본 발명의 유휴키 활용기능을 설명하는 설명도.
<부호의 상세한 설명>
1 : 이동통신단말기 2 : 디스플레이
3 : 키패널부 4 : 주제어부
5 : 무선모듈부 6 : 송수화폰
7 : 코덱부 8 : 메모리부
9 : 기지국시스템부 10: 단말기
11: 스타키 12: 파운드키
12: 내비게이션키
본 발명은 유휴키 활용기능이 구비된 이동통신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달력표시기능에서 블록 다수개를 설정할 수 있는 기능을 구비하고 이 기능을 유휴한 키로 설정하는 유휴키 활용기능이 구비된 이동통신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무선 데이터 통신은 이동중인 사람이 무선 송수신이 가능한 휴대형 단말기를 이용하여 문자, 숫자, 영상 등 각종 데이터를 기지국 시스템을 통해 무선으로 주고받는 통신기능을 말하는데, 예컨대, 셀룰러폰, 휴대용 컴퓨터, 팩시밀리, 신용카드 조회기 등 각종 단말기를 이용하여 이동중에 양방향으로 자료를 교환하거나 검색하는 이동 통신체계이다. 그리고, 최근에는 이러한 이동통신단말기시스템에 복잡한 디지털기술이 접목되어 그 기능이 급속도로 대용량화되어 이를 그 설치된 사양에 따라 정확히 제어하기 위해 통상 복잡한 구조의 제어버튼이나 제어스틱이 포함된 키패널이나 키패드가 구비된다.
그러면, 상기와 같은 종래 키패드가 구비된 이동통신단말기를 도 1을 참고로 살펴보면, 예컨대, 숫자와 함께 문자가 할당된 버튼 및 각종 기능키들로 구성된 키패드(70)를 구비하고 SMS 전송기능을 실행하는 이동통신단말기(71,72)와, 상기와 같이 다수의 단말기(71,72)로부터 전송된 기능신호 예컨대, 호신호나 SMS 메시지등을 무선으로 처리하는 기지국(73)과, 상기 기지국(73)를 경유하여 입력되는 호신호나 SMS메시지의 전송기능을 제어하는 MSC(74)와, 상기 MSC(74)에 연결되어 단말기 (71)로 SMS메시지를 제공하는 SMS 메시지센터(75)를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단말기(71)의 키패드(70)는 기능설정버튼(76)과, 달력그림이나 주간 LIST를 표시하는 STAR 키(77) 혹은 Pound 키(78)와, 숫자와 함께 한글 자음과 모음이 각기 할당된 문자버튼(79)이 상하로 통상 3열로 구성된다.
한편, 상기와 같은 종래 이동통신단말기의 동작을 살펴보면, 먼저 단말기(71)의 사용자가 자신이 원하는 정보를 예컨대, SMS메시지에 실어 타단말기로 전송하기를 원할 경우 단말기(71)의 사용자는 단말기(71)의 키패드(70)의 메뉴 기능키(76)를 통해 LCD패널(80)상에 표시된 해당 메뉴를 선택한 다음 문자버튼(77)를 조작하여 필요한 문자를 입력한다. 그리고, 상기와 같은 과정을 통해 문자입력이 완료되면 상기 단말기(71)의 사용자는 목적지 전화번호와 함께 전송버튼을 누르게 된다. 그러면, 상기 단말기(71)는 현재 사용자가 입력시켜준 문자데이터를 SMS메시지에 실어 전송한다. 따라서, 상기 단말기(71)의 SMS메시지신호는 기지국시스템(73)과 MSC(74)를 경유하여 SMS 메시지센터(75)로 입력되어 저장된다. 그리고, 상기 SMS 메시지센터(75)는 입력된 SMS 메시지의 목적지 전화번호를 확인하여 MSC(74)로 전송한다. 그러면, 상기 MSC(74)는 SMS 메시지센터(75)로부터 전송된 SMS메시지신호를 상대방 휴대폰(72)으로 전송한다. 그리고, 상기 상대방 단말기(72)는 수신한 SMS메시지신호를 분석하고 해당 신호를 디스플레이상에 표시한다.
또한, 상기 단말기(71)에 스케쥴링기능을 설정할 경우 메뉴 기능키(76)를 눌러 스케쥴링 메뉴화면을 LCD패널(80)상에 표시한다. 그리고, 상기와 같이 LCD패널(80)상에 스케쥴링 메뉴화면을 표시한 상태에서 키패드(70)의 STAR 키(77) 혹은 Pound 키(78)를 눌러 달력그림이나 주간 LIST를 그위에 표시하게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 스케쥴링기능이 구비된 이동통신단말기는 키패드에 구비된 STAR 키 혹은 Pound 키가 스케쥴링모드에서 통상 달력그림이나 주간 LIST를 표시하는데만 사용하기 때문에 이러한 키의 이용이 많지 않아 그 기능에 비해 키활용성이 상당히 부족하였으며, 또한, 달력표시기능에서 스케쥴링을 실행할 경우 하나의 블록만을 지정하여 하나의 스케쥴링만을 실행하기 때문에 스케쥴링이 필요한 날이 많을 경우 반복적으로 블록을 지정하여 스케쥴링을 해야하므로 그에 따라 단말기의 사용편의성도 상당히 저하시킨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발명된 것으로, 단말기의 달력에서 유휴키를 통해 다수개의 블록을 지정하여 스케쥴링을 신속하게 처리하므로 그에 따라 단말기의 사용편의성을 극대화시키는 유휴키 활용기능이 구비된 이동통신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달력표시기능에서 블록 다수개를 설정하는데 키패널부의 유휴키를 사용하므로 그에 따라 키패널부의 키활용성도 상당히 향상시키는 유휴키 활용기능이 구비된 이동통신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스케쥴링기능이 구비된 이동통신단말기에서, 상기 이동통신단말기의 일부 몸체에 설치되어 달력기능 활성화 화면상의 연속 블록지정을 표시하는 디스플레이와, 상기 이동통신단말기의 외부몸체에 설치되어 사용자의 기능설정신호를 처리하고 달력기능 활성화화면상에서 연속 블록 지정기능을 설정하는 스타키(STAR KEY) 혹은 파운드키(POUND KEY)가 구비하는 키패널부와, 상기 키패널부의 스타키 혹은 파운드키의 길게 눌러짐(long press)을 검출하여 달력기능 활성화화면상에서 연속 블록지정기능을 제어하는 주제어부를 포함하는 유휴키 활용기능이 구비된 이동통신단말기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은 이동통신단말기에 달력표시기능이 설정될 경우 달력표시메뉴를 실행하여 디스플레이상에 달력화면을 표시하는 달력표시기능 실행단계와, 상기 달력표시기능 실행단계후에 블록지정을 위한 스타키 혹은 파운드키가 길게 눌러졌는지를 확인하는 블록설정키 입력확인단계와, 상기 블록설정키 입력확인단계중에 블록지정을 위한 스타키 혹은 파운드키가 길게 눌러졌을 경우 디스플레이상에 표시된 달력화면에서 사용자가 지정한 특정날짜를 블록으로 표시하는 블록지정단계와, 상기 블록지정단계후에 스타키 혹은 파운드키가 눌러질때마다 날짜칸을 이동하면서 연속 블록을 지정하고 원하는 해당 블록에 스케쥴을 기록하는 스케쥴링 기록단계로 이루어진 유휴키 활용기능이 구비된 이동통신단말기의 제어방법을 제공한다.
이하, 본 발명을 첨부된 예시도면에 의거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도 2에 도시된 바와같이 이동통신단말기(1)의 일부 몸체에 설치되어 달력기능 활성화 화면상의 연속 블록지정표시를 포함하여 내부의 각종 정보신호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2)와, 상기 이동통신단말기(1)의 외부몸체에 설치되어 사용자의 기능설정신호를 처리하고 달력기능 활성화화면상에서 연속 블록지정기능을 설정하는 스타키(STAR KEY) 혹은 파운드키(POUND KEY)가 구비하며, 한글 자모가 특수키나 숫자키와 함께 버튼에 각기 배치되는 키패널부(3)와, 상기 키패널부(3)의 스타키(STAR KEY) 혹은 파운드키(POUND KEY)의 길게 눌러짐(long press)을 검출하여 달력기능 활성화화면상에서 연속 블록지정기능을 제어하고 이동통신단말기(1)의 호연결상황을 전반적으로 제어하는 주제어부(4)부와, 상기 주제어부(4)의 기능제어신호에 따라 이동통신단말기(1)내에서 송수신되는 무선호신호를 처리하는 무선모듈부(5)와, 상기 주제어부(4)의 호연결 제어신호에 따라 송수화폰(6)을 통해 입력되는 아날로그 음성신호를 디지털신호로 변환하거나 디지털 음성신호를 아날로그신호로 변환하여 출력하는 코덱부(7)와, 상기 주제어부(4)의 저장제어신호에 따라 이동통신단말기(1)의 각종 정보를 저장하는 메모리부(8)를 포함한다.
다음에는 상기와 같은 장치에 적용되는 제어방법을 설명한다.
본 발명의 방법은 도 3에 도시된 바와같이 초기상태(S1)에서 달력표시기능 설정확인단계(S1)로 진행하여 현재 단말기에 달력표시기능이 설정되었는 지를 확인한다. 이때, 상기 달력표시기능 설정확인단계(S1)중에 확인한 결과 현재 단말기에 달력표시기능이 설정되지 않았을 경우 단말기 일반기능 실행단계(S3)로 진행하여 단말기에 구비된 일반기능을 실행한다.
즉, 본 발명의 이동통신단말기(1)에 전원이 인가될경우 이동통신단말기(1)의 주제어부(4)는 초기화상태로 진행하여 내부 메모리부(8)로부터 필요한 정보를 형성시켜 초기화과정을 실행한 다음 대기상태로 진행한다.
이때, 상기 단말기(1)의 주제어부(4)는 사용자가 키패널부(3)를 통해 전화번 호를 입력시키고 통화버튼을 누를 경우 이를 인식하고 사용자가 입력한 전화번호를 메모리부(8)에 저장함과 더불어 무선모듈부(5)를 통해 엑세스채널을 이용하여 기지국시스템부(9)로 시스템접속을 실행한 다음 해당 전화번호로 발신호신호를 전송한다. 그러면, 상기 기지국시스템부(9)는 단말기(1)로부터 송출된 발신호를 처리하여 상대방 단말기(10)로 착신호를 전송하여 호를 형성시킨다. 그러면, 상기 단말기(1)의 사용자가 송수화폰(6)을 통해 음성신호를 입력시켜 주면 상기 단말기(1)의 코덱부(7)는 송수화폰(6)을 통해 입력된 음성신호를 신호처리하여 무선모듈부(5)로 입력한다. 그리고, 상기 단말기(1)의 주제어부(4)의 기능제어를 받는 무선모듈부(5)는 코덱부(7)를 통해 입력된 음성신호를 무선처리하여 기지국시스템부(9)를 경유하여 상대방 단말기(10)로 전송하므로 통상의 통화를 이루게 된다.
한편, 상기 달력표시기능 설정확인단계(S1)중에 확인한 결과 현재 단말기에 달력표시기능이 설정되었을 경우 달력표시기능 실행단계(S4)로 진행하여 달력표시메뉴를 실행하여 디스플레이상에 달력화면을 표시한다. 그리고, 상기 달력표시기능 실행단계(S4)후에 블록설정키 입력확인단계(S4)로 진행하여 블록지정을 위한 스타키 혹은 파운드키가 길게 눌러졌는지를 확인한다. 이때, 상기 블록설정키 입력확인단계(S4)중에 확인한 결과 블록지정을 위한 스타키 혹은 파운드키가 길게 눌러지지 않았을 경우 전단계(S4)로 복귀하여 루프를 반복수행한다. 그러나, 상기 블록설정키 입력확인단계(S4)중에 확인한 결과 블록지정을 위한 스타키 혹은 파운드키가 길게 눌러졌을 경우 블록지정단계(S6)로 진행하여 디스플레이상에 표시된 달력화면에서 사용자가 지정한 특정날짜를 특정색깔의 블록으로 표시한다. 또한, 상기 블록지 정단계(S6)후에 스케쥴링 기록단계(S7)로 진행하여 스타키 혹은 파운드키가 눌러질때마다 좌, 우로 날짜칸을 이동하면서 연속 블록을 지정하고 원하는 해당 블록에 스케쥴을 기록한다.
다시말해서, 본 발명의 단말기(1)에 키패널부(3)를 통해 사용자가 달력표시메뉴를 설정할 경우 주제어부(4)는 달력표시메뉴를 실행하여 도 4의 (a)에 도시된 바와같이 디스플레이(2)상에 달력화면을 표시한다. 이때, 상기 단말기 사용자는 자신이 현재 달력에서 블록을 지정하고 싶은 시작위치를 키패널부(3)의 내비게이션 키(13)를 통해 이동하는데, 예컨대, 오늘 날짜가 2005년 9월 2일이고, 자신이 2005년 9월 6일부터 15일까지 일정을 가진 스케쥴을 기록한다고 가정할 경우 사용자는 먼저, 키패널부(3)의 내비게이션 키를 통해 블록시작위치를 도 4의 (b)에 도시된 바와같이 6일날짜에 위치시킨후 키패널부(3)의 스타키(11) 혹은 파운드키(12)를 길게 눌러 블록표시기능을 실행시킨다. 그러면, 상기 주제어부(4)는 키패널부(3)의 스타키(11) 혹은 파운드키(12)가 길게눌러질 경우 해당 부분을 특정색깔의 블록으로 달력상에서 표시시킨다. 그리고, 상기 과정중에 사용자가 도 4의 (c)에 도시된 바와같이 스타키(11) 혹은 파운드키(12)를 한번 씩 눌러줄 경우 상기 주제어부(4)는 스타키(11)가 한번 눌러질 때마다 좌측으로 한칸씩 그리고 파운드키(12)가 한번 눌저질 때마다 우측으로 한칸씩 블록을 늘려표시한다. 따라서, 상기와 같은 방법으로 스타키(11) 혹은 파운드키(12)에 의해 블록을 설정할 경우 상기 주제어부(4)는 도 4의 (d)에 도시된 바와같이 6일부터 15일까지 블록을 지정한다. 그리고, 상기 과정에 의해 달력상에 블록이 다 지정되어 사용자가 옵션메뉴의 holiday키나 add키 혹은 오른쪽 softkey인 add키를 이용하여 지정된 기간동안의 스케쥴을 지정하면 상기 주제어부(4)는 이를 메모리부(8)에 기록한다. 또한, 상기 블록지정과정중에 사용자가 블록지정기능을 완료하지 않고 그냥 빠져나가기위해 clear키(혹은 end 키)를 누를 경우 주제어부(4)는 현재 블록지정기능을 즉시 해제시킨다.
이상 설명에서와 같이 본 발명은 달력표시기능에서 블록 다수개를 설정할 수 있는 기능을 구비하고 이 기능을 유휴한 키로 설정하게 하므로써, 단말기의 달력에서 유휴키를 통해 다수개의 블록을 지정하여 스케쥴링을 신속하게 처리하므로 그에 따라 단말기의 사용편의성을 극대화시키는 장점을 가지고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달력표시기능에서 블록 다수개를 설정하는데 키패널부의 유휴키를 사용하므로 그에 따라 키패널부의 키활용성도 상당히 향상시키는 효과도 있다.

Claims (4)

  1. 스케쥴링기능이 구비된 이동통신단말기에 있어서,
    상기 이동통신단말기의 일부 몸체에 설치되어 달력기능 활성화 화면상의 연속 블록지정을 표시하는 디스플레이와, 상기 이동통신단말기의 외부몸체에 설치되어 사용자의 기능설정신호를 처리하고 달력기능 활성화화면상에서 연속 블록지정기능을 설정하는 스타키(STAR KEY) 혹은 파운드키(POUND KEY)가 구비하는 키패널부와, 상기 키패널부의 스타키 혹은 파운드키의 길게 눌러짐(long press)을 검출하여 달력기능 활성화화면상에서 연속 블록지정기능을 제어하는 주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휴키 활용기능이 구비된 이동통신단말기.
  2. 이동통신단말기에 달력표시기능이 설정될 경우 달력표시메뉴를 실행하여 디스플레이상에 달력화면을 표시하는 달력표시기능 실행단계와, 상기 달력표시기능 실행단계후에 블록지정을 위한 스타키 혹은 파운드키가 길게 눌러졌는지를 확인하는 블록설정키 입력확인단계와, 상기 블록설정키 입력확인단계중에 블록지정을 위한 스타키 혹은 파운드키가 길게 눌러졌을 경우 디스플레이상에 표시된 달력화면에서 사용자가 지정한 특정날짜를 블록으로 표시하는 블록지정단계와, 상기 블록지정단계후에 스타키 혹은 파운드키가 눌러질때마다 날짜칸을 이동하면서 연속 블록을 지정하고 원하는 해당 블록에 스케쥴을 기록하는 스케쥴링 기록단계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휴키 활용기능이 구비된 이동통신단말기의 제어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블록지정단계중에 지정되는 블록은 날짜표시와는 다른 색깔로 표시하는 블록색깔표시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휴키 활용기능이 구비된 이동통신단말기의 제어방법.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스케쥴링 기록단계중에 스타키가 눌러질 경우 블록이 좌측으로 지정되고 파운드키가 눌러질 경우 블록이 우측으로 지정되는 블록방향지정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휴키 활용기능이 구비된 이동통신단말기의 제어방법.
KR1020050109501A 2005-11-16 2005-11-16 유휴키 활용기능이 구비된 이동통신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KR10065068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109501A KR100650684B1 (ko) 2005-11-16 2005-11-16 유휴키 활용기능이 구비된 이동통신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109501A KR100650684B1 (ko) 2005-11-16 2005-11-16 유휴키 활용기능이 구비된 이동통신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650684B1 true KR100650684B1 (ko) 2006-11-29

Family

ID=3771387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109501A KR100650684B1 (ko) 2005-11-16 2005-11-16 유휴키 활용기능이 구비된 이동통신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50684B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10003635A (ko) 디지털 휴대용 단말기의 단문메시지 서비스 제어 장치 및 그방법
KR100424469B1 (ko) 이동통신단말기에서 음성 알람 장치 및 방법
KR100650680B1 (ko) 데이터 세부잠금기능이 구비된 이동통신단말기시스템 및 그제어방법
KR100675181B1 (ko) 이동통신단말기의 키패드장치
KR100650684B1 (ko) 유휴키 활용기능이 구비된 이동통신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KR100715794B1 (ko)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통화목록 관리방법
KR100469491B1 (ko) 단축다이얼방법 및 그 방법을 구현하는 이동통신 단말기
KR20060034118A (ko) 휴대용 단말기에서 멀티 윈도우 화면 제공 방법 및 그단말기
KR100617549B1 (ko) 인디케이터 설정 정보 표시 기능을 가지는 이동통신단말기 및 그 방법
KR100661573B1 (ko) 멀티키를 이용한 커서이동관리기능이 구비된이동통신단말기와 그 제어방법
KR100617800B1 (ko) 디지털 휴대용 전화기에서 입력 전화번호 음성 안내 방법
KR100408207B1 (ko) 컬러액정화면을 구비한 이동통신 단말기의 문자 색변환장치
KR100728677B1 (ko) 메모입력기능이 구비된 이동통신 단말기 및 그 동작방법
KR20070061969A (ko) 동작검출센서를 이용한 한글입력기능이 구비된이동통신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KR100688194B1 (ko) 이동통신 단말기의 입력모드 전환방법
KR20060008397A (ko) 요리안내기능이 구비된 이동통신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KR100834624B1 (ko)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숫자/문자 변환키 이용 방법
KR101045358B1 (ko) 위치확인기능이 구비된 이동통신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KR101058505B1 (ko) 동작 인식을 이용한 문자 입력 방법
KR101088077B1 (ko) 문자입력에러 알람기능이 구비된 이동통신단말기 및 그제어방법
KR100617569B1 (ko) 히스토리관리기능이 구비된 이동통신단말기 및 제어방법
KR100628774B1 (ko) 무선 엑세스 포인트기능이 구비된 이동통신단말기 및 그제어방법
KR20040040541A (ko) 통화 중 메모 기능을 구비한 휴대폰
KR100830802B1 (ko) 이동 통신 단말기에서 단축 키를 이용한 문자 메시지 전송방법
KR100660463B1 (ko) 휴대용 무선단말기에서 문자 입력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026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024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024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023

Year of fee payment: 10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