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50651B1 - 이중스위치를 갖는 리모트 콘트롤러 - Google Patents

이중스위치를 갖는 리모트 콘트롤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50651B1
KR100650651B1 KR1020040096189A KR20040096189A KR100650651B1 KR 100650651 B1 KR100650651 B1 KR 100650651B1 KR 1020040096189 A KR1020040096189 A KR 1020040096189A KR 20040096189 A KR20040096189 A KR 20040096189A KR 100650651 B1 KR100650651 B1 KR 10065065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gnal line
remote control
function setting
interrupt signal
setting sig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9618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60057125A (ko
Inventor
강충구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4009618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50651B1/ko
Publication of KR2006005712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5712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5065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5065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QSELECTING
    • H04Q9/00Arrangements in telecontrol or telemetry systems for selectively calling a substation from a main station, in which substation desired apparatus is selected for applying a control signal thereto or for obtaining measured values therefrom
    • H04Q9/04Arrangements for synchronous oper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QSELECTING
    • H04Q2209/00Arrangements in telecontrol or telemetry systems
    • H04Q2209/30Arrangements in telecontrol or telemetry systems using a wired architectur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elective Calling Equipm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리모콘 기능에 의해 제어되는 전자장치에서, 상기 전자장치를 제어하기위한 기능설정신호를 분배저항들을 통해 분할된 전압값을 이용하여 다수개 생성하는 기능설정 신호라인부와, 상기 기능설정 신호라인부와는 별개의 신호선으로 형성되어 인터럽트신호를 생성하는 인터럽트 신호라인부와, 상기 기능설정 신호라인부와 인터럽트 신호라인부의 각각의 신호연결점들에 설치되어 전자장치로 리모콘 기능설정신호와 인터럽트신호를 동시에 생성하여 입력하는 다수의 스위치와, 상기 기능설정 신호라인부와 인터럽트 신호라인부의 타단부에 각기 설치되어 리모콘 기능설정신호와 인터럽트신호를 전자장치로 각기 전송하는 케이블을 포함하는 이중스위치를 갖는 리모트 콘트롤러를 제공한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은 리모콘 스위치를 누를 경우에만 CPU가 리모콘으로부터 인터럽트신호를 받아 리모콘의 기능설정신호를 처리하게 되므로써, CPU가 주기적으로 폴링할 필요없이 리모콘의 기능설정신호가 입력될 경우에만 폴링하게 되므로 그에 따라 리모콘 장비의 CPU의 성능을 상당히 향상시킨다.
리모콘, 이중 스위치, 기능설정 신호라인부, 인터럽트 신호라인부, 전압레벨

Description

이중스위치를 갖는 리모트 콘트롤러{remote controller having a double switch}
도 1은 종래 A/D컨버터방식을 사용하는 종래 리모콘 장치를 설명하는 설명도.
도 2는 종래 키 인터럽트방식을 사용하는 종래 리모콘 장치를 설명하는 설명도.
도 3은 본 발명의 이중스위치방식을 사용하는 리모트 콘트롤러를 설명하는 설명도.
<부호의 상세한 설명>
1 : 기능설정 신호라인부 2 : 인터럽트 신호라인부
3 : 전자장비 4A-D: 스위치
5 : 리모콘 6 : CPU
7 : A/D컨버터
본 발명은 이중스위치를 갖는 리모트 콘트롤러에 관한 것으로, 특히 원격제 어기능이 구비된 장비를 제어하는 리모콘에 인터럽트신호를 발생하는 스위치와 제어기능을 설정하는 스위치를 이중으로 구성하고 리모콘 스위치를 누를 경우에만 CPU가 리모콘으로부터 인터럽트신호를 받아 리모콘의 기능설정신호를 처리하게 되는 이중스위치를 갖는 리모트 콘트롤러에 관한것이다.
일반적으로 과학문명이 발전함에 따라 사람들의 편리를 도모하기 위한 다수의 전기 혹은 전자장치들이 개발되어 사용되고 있는데, 예를 들어 텔레비젼이나 냉장고, 에어컨, 휴대폰, 전화기등 다양한 장치들이 현재 개발되어 사용되고 있다. 그리고, 이와같은 전기 혹은 전자장비들은 그 본래의 기능을 실현시키기위해 다수의 전자회로가 내부에 내장되게 된다. 그런데, 상기와 같은 전자장비들은 제어를 위한 키패널부를 구비하고 있지만, 이들 키패널부를 직접조작하지 않고 좀더 떨어진 장소나 원격지에서 제어를 위한 무선신호를 전송하여 해당 전자장비들의 동작을 제어하는 데, 이를 원격제어 혹은 리모트 콘트롤(remote control)이라 하고 이 리모트 콘트롤을 수행하는 장치를 리모콘이라고 말한다.
최근에는 이러한 리모콘을 이용하는 전자장비들이 다양하게 개발되어 사용되고 있는데, 예를들어 mp3 플레이어나, TV, VTR, 휴대폰 등 다양한 장비에 이러한 리모콘 기능이 사용된다.
그러면, 상기와 같은 전자장비에 사용되는 종래 리모콘 장치의 일 실시예를 도 1을 참고로 살펴보면, 각각의 제어신호를 의미하는 전압 분할된 신호를 스위칭생성하는 다수의 스위치들(70A-D)과, 상기 다수의 스위치들(70A-D)의 스위칭신호를 리모트 콘트롤을 원하는 장비(71)의 A/D컨버터(72)로 입력시켜주는 케이블(73)을 포함한다.
한편, 상기와 같은 종래 A/D컨버팅방식의 리모콘의 동작은 먼저, 사용자가 리모트 제어를 원하는 장비(71) 예컨대, MP3 플레이어나 휴대폰에 리모콘(74)의 케이블(73)을 접속하고 원하는 기능을 설정하기위해 리모콘(74)의 스위치(70A)를 눌러주면 동작하게 된다. 즉, 상기 리모콘(74)의 스위치(70A)가 눌러지면, 해당 스위치(70A)측으로 바이어스 전압이 인가되는데, 이때 이 전압은 인접 저항들에 의해 분압되어 케이블(73)을 통해 장비(71)의 A/D컨버터(72)로 입력되게 된다. 그리고, 상기 A/D컨버터(72)는 입력된 리모콘(74)의 제어신호를 아날로그/디지털 변환하여 장비(71)의 CPU(75)로 입력시킨다. 그러면, 상기 장비(71)의 CPU(75)는 리모콘(74)으로부터 입력된 전압분할된 리모콘(74)의 스위치(70A)의 신호 즉, 제어신호를 판단하고 제어신호에 해당하는 기능으로 장비(71)의 기능을 제어한다.
또한, 상기와 같은 종래 리모콘의 또다른 실시예로는 도 2에 도시된 바와같이 장비(71)를 제어하기위한 각각의 기능들에 대응되는 다수의 스위치들(70A-D)을 리모콘(74)에 구비하고, 이 리모콘(74)의 스위치 신호들을 각각에 대해 장비(71)의 CPU(75)가 인터럽트처리하는 키 인터럽트(Key interrupt)방식이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 전자장비에 구비되는 리모콘은 A/D 컨버터방식을 사용할 경우 장비내의 CPU가 리모콘의 사용과 관계없이 주기적으로 장비내의 A/D 컨버터를 모니터링해야 하는데, 이러한 CPU의 폴링(Polling) 동작은 CPU에 상당한 로드를 야기시켜 CPU의 성능을 상당히 저하시켰으며, 또한, 상기 키 인터럽트 방식 역시 CPU가 주기적으로 폴링하는 작업은 하지 않지만 리모콘의 기능 구현이 늘어날 수록 필요한 신호선 및 커넥터 핀수도 늘어나기 때문에 리모콘 및 장비의 공간설계성을 상당히 저하시킨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발명된 것으로, CPU가 주기적으로 폴링할 필요없이 리모콘의 기능설정신호가 입력될 경우에만 폴링하게 되므로 그에 따라 리모콘 장비의 CPU의 성능을 상당히 향상시키는 이중스위치를 갖는 리모트 콘트롤러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또다른 목적은 리모콘의 기능구현이 증가하더라도 최소한의 신호선만으로 리모콘의 기능설정신호를 처리하게 되므로 그에 따라 리모콘 장비의 공간설계성도 상당히 향상시키는 이중스위치를 갖는 리모트 콘트롤러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리모콘 기능에 의해 제어되는 전자장치에서, 상기 전자장치를 제어하기위한 기능설정신호를 분배저항들을 통해 분할된 전압값을 이용하여 다수개 생성하는 기능설정 신호라인부와, 상기 기능설정 신호라인부와는 별개의 신호선으로 형성되어 인터럽트신호를 생성하는 인터럽트 신호라인부와, 상기 기능설정 신호라인부와 인터럽트 신호라인부의 각각의 신호연결점들에 설치되어 전자장치로 리모콘 기능설정신호와 인터럽트신호를 동시에 생성하여 입력하는 다수의 스위치와, 상기 기능설정 신호라인부의 기능설정신호와 인터럽트 신호라인부의 인터럽트신호를 각기 별개로 수신할 수 있는 복수개의 신호선을 통해 내부의 리모콘 장비로 각기 전송시키는 케이블을 포함하는 이중스위치를 갖는 리모트 콘트롤러를 제공한다.
이하, 본 발명을 첨부된 예시도면에 의거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 장치는 도 3에 도시된 바와같이 분배저항들(R1-N)을 통해 분할된 전압값을 이용하여 기능설정신호를 다수개 생성하는 기능설정 신호라인부(1)와, 상기 기능설정 신호라인부(1)와는 별개의 신호선으로 형성되어 인터럽트신호를 생성하는 인터럽트 신호라인부(2)와, 상기 기능설정 신호라인부(1)와 인터럽트 신호라인부(2)의 각각의 신호연결점들에 설치되어 리모콘 장비(3)로 리모콘 기능설정신호와 인터럽트신호를 동시에 생성하여 입력하는 다수의 스위치(4A-D)와, 상기 기능설정 신호라인부(1)와 인터럽트 신호라인부(2)의 타단부에는 상기 리모콘 기능설정신호와 인터럽트신호를 내부의 리모콘 장비(3)로 각기 전송하는 케이블(4)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상기 리모콘 장비(3)에는 리모콘 기능을 사용하는 모든 전자시스템이 포함되나 특히, 이동통신단말기, MP3 플레이어, 카세트플레이어 등에 적용된다.
그리고, 상기 기능설정 신호라인부(1)는 각각의 분배저항(R1-N)의 양단에 전압 분할에 따라 각기 다른 리모콘 기능을 설정하는 스위치들(4A-D)이 각각 연결되어 있고, 마지막 스위치(4D)에 연결된 저항(R5)에는 접지단이 연결된다.
다음에는 상기와 같은 구성으로된 본 발명의 작용, 효과를 설명한다.
본 발명은 먼저, 사용자가 리모트 제어를 원하는 장비(3) 예컨대, MP3 플레이어나 휴대폰에 리모콘(5)의 케이블(4)을 접속하고 원하는 기능을 설정하기위해 리모콘(5)의 스위치(4A)를 눌러주면 동작하게 된다.
즉, 상기 리모콘(5)의 스위치(4A)가 눌러지면, 기능설정 신호라인부(1)와 인 터럽트 신호라인부(2)의 해당 스위칭접점이 동시에 동작하게 되는데, 예컨대, 휴대폰의 mp3재생기능을 실행하기위해 그 기능에 해당하는 스위치(4A)를 누를 경우 인터럽트 신호라인부(2)의 바이어스전압(VCC)이 저항(R6)을 경유하여 턴온되어 있던 스위치(4A)를 경유하여 접지단으로 흐르게된다. 그러면, 상기 인터럽트 신호라인부(2)의 케이블(4)측 즉, 장비(3)의 CPU(6)측으로는 인터럽트 신호를 의미하는 로우신호가 인가되게된다.
한편, 이와동시에, 상기 동일한 스위치(4A)가 눌러질 경우 기능설정 신호라인부(1)의 바이어스전압(VCC)이 저항(R1)과 저항(R2)에 의해 분배되어 스위치(4A)를 경유하여 케이블(4)을 통해 장비(3)의 A/D컨버터(7)로 입력되게 된다. 그리고, 상기 A/D컨버터(7)는 입력된 리모콘(5)의 전압신호를 아날로그/디지털 변환한다. 이때, 상기 장비(3)의 CPU(6)는 인터럽트 신호라인부(2)를 통해 입력된 인터럽트신호에 따라 상기 A/D 컨버터(7)를 폴링하여 리모콘(5)으로부터 입력된 신호를 읽어간다. 그리고, 상기 장비(3)의 CPU(6)는 상기 리모콘(5)으로부터 입력된 전압신호의 전압레벨을 판단하여 리모콘(5)의 스위치에 설정된 해당 기능으로 장비(3)의 기능을 제어한다.
다시말해서, 상기 장비(3)의 CPU(6)는 A/D 컨버터(7)를 주기적으로 모니터링하지 않고 상기 인터럽트 신호라인부(2)로부터 인터럽트신호가 입력될 경우에만 A/D컨버터(7)를 폴링하여 리모콘(5)의 신호를 읽어가 리모콘 제어기능을 실행시키게된다. 따라서, 상기와 같은 전자시스템의 CPU가 리모콘의 신호를 모니터링하기위해서 불필요하게 동작되는 일은 없다.
이상 설명에서와 같이 본 발명은 원격제어기능이 구비된 장비를 제어하는 리모콘에 인터럽트신호를 발생하는 스위치와 제어기능을 설정하는 스위치를 이중으로 구성하고 리모콘 스위치를 누를 경우에만 CPU가 리모콘으로부터 인터럽트신호를 받아 리모콘의 기능설정신호를 처리하게 되므로써, CPU가 주기적으로 폴링할 필요없이 리모콘의 기능설정신호가 입력될 경우에만 폴링하게 되므로 그에 따라 리모콘 장비의 CPU의 성능을 상당히 향상시키는 장점을 가지고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리모콘의 기능구현이 증가하더라도 최소한의 신호선만으로 리모콘의 기능설정신호를 처리하게 되므로 그에 따라 리모콘 장비의 공간설계성도 상당히 향상시키는 효과도 있다.

Claims (2)

  1. 전자장치의 설정된 기능을 제어하는 리모트 콘트롤러 있어서,
    상기 전자장치를 제어하기위한 기능설정신호를 분배저항들을 통해 분할된 전압값을 이용하여 다수개 생성하는 기능설정 신호라인부와, 상기 기능설정 신호라인부와는 별개의 신호선으로 형성되어 인터럽트신호를 생성하는 인터럽트 신호라인부와, 상기 기능설정 신호라인부와 인터럽트 신호라인부의 각각의 신호연결점들에 설치되어 전자장치로 리모콘 기능설정신호와 인터럽트신호를 동시에 생성하여 입력하는 다수의 스위치와, 상기 기능설정 신호라인부의 기능설정신호와 인터럽트 신호라인부의 인터럽트신호를 각기 별개로 수신할 수 있는 복수개의 신호선을 통해 내부의 리모콘 장비로 각기 전송시키는 케이블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스위치를 갖는 리모트 콘트롤러.
  2. 삭제
KR1020040096189A 2004-11-23 2004-11-23 이중스위치를 갖는 리모트 콘트롤러 KR10065065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96189A KR100650651B1 (ko) 2004-11-23 2004-11-23 이중스위치를 갖는 리모트 콘트롤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96189A KR100650651B1 (ko) 2004-11-23 2004-11-23 이중스위치를 갖는 리모트 콘트롤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57125A KR20060057125A (ko) 2006-05-26
KR100650651B1 true KR100650651B1 (ko) 2006-11-29

Family

ID=3715260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96189A KR100650651B1 (ko) 2004-11-23 2004-11-23 이중스위치를 갖는 리모트 콘트롤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50651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62478A (ja) * 1992-08-14 1994-03-04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リモートコントロール装置
KR100195146B1 (ko) 1996-11-28 1999-06-15 윤종용 리모콘 수신장치
KR20000046676A (ko) * 1998-12-31 2000-07-25 구자홍 리모콘의 슬라이드식 스위칭 회로
JP2004096741A (ja) 2002-08-09 2004-03-25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リモコン受信システム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62478A (ja) * 1992-08-14 1994-03-04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リモートコントロール装置
KR100195146B1 (ko) 1996-11-28 1999-06-15 윤종용 리모콘 수신장치
KR20000046676A (ko) * 1998-12-31 2000-07-25 구자홍 리모콘의 슬라이드식 스위칭 회로
KR100297435B1 (ko) * 1998-12-31 2001-08-07 구자홍 리모콘의슬라이드식스위칭회로
JP2004096741A (ja) 2002-08-09 2004-03-25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リモコン受信システム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1020000046676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57125A (ko) 2006-05-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960004507B1 (ko) 원격 제어 시스템
US7906869B2 (en) Outlet apparatus with power classification management
EP1829009B1 (en) Universal remote control or universal remote control/telephone combination with touch operated user interface having tactile feedback
US7085566B1 (en) Data exchange system with a mobile component to control consumer
AU2005203274B2 (en) Input device capable of providing input to an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same
CA2080052A1 (en) Appliance control system providing out-of-context usage
USRE41017E1 (en) Circuit layout arrangement for key switch signal recognition
CN100399371C (zh) 遥控发送机及使用它的发送接收装置
KR100450251B1 (ko) 만능 리모콘 겸용 이동통신 단말기
KR100650651B1 (ko) 이중스위치를 갖는 리모트 콘트롤러
JP3480704B2 (ja) リモート電源制御回路
US20080092179A1 (en) Multifunctional mobile communication device
US7987310B2 (en) Self-configuring bus for connecting electronic devices
US7317168B1 (en) Interface module for audiovisual devices
JPH04252551A (ja) 機器制御システム
CN210324154U (zh) 触控装置和电子设备
JPH06311385A (ja) テレビジョン受像機
KR100413169B1 (ko) 기능통합키를가진텔레비젼
EP0390588A3 (en) Input/output switching circuit
KR100729771B1 (ko) 리모컨의 구조
KR20030045141A (ko) 이중 튜너 셋-톱 터미널용 선택적 특성을 가진 외부모듈과그 실행방법
KR200270871Y1 (ko) 만능 리모콘 및 이를 이용한 제어 주파수 코드 데이터다운로드 장치
KR20040066560A (ko) 통합 리모트 콘트롤러에 의한 tv 제어 장치 및 방법
KR200295544Y1 (ko) 직렬통신을 이용한 원격 제어기
EP0982868A2 (en) Remote access syste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90929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