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50229B1 - 스치로폴 황토보드 - Google Patents

스치로폴 황토보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50229B1
KR100650229B1 KR1020050062695A KR20050062695A KR100650229B1 KR 100650229 B1 KR100650229 B1 KR 100650229B1 KR 1020050062695 A KR1020050062695 A KR 1020050062695A KR 20050062695 A KR20050062695 A KR 20050062695A KR 100650229 B1 KR100650229 B1 KR 10065022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ste
schiropol
loess
ocher
build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6269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50080105A (ko
Inventor
곽의상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대양스치로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대양스치로폴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대양스치로폴
Priority to KR102005006269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50229B1/ko
Publication of KR2005008010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8010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5022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5022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CSTRUCTURAL ELEMENTS; BUILDING MATERIALS
    • E04C2/00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 E04C2/02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characterised by specified materials
    • E04C2/26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characterised by specified materials composed of materials covered by two or more of groups E04C2/04, E04C2/08, E04C2/10 or of materials covered by one of these groups with a material not specified in one of the groups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14/00Use of inorganic materials as fillers, e.g. pigments, for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Treatment of inorganic materials specially adapted to enhance their filling properties in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 C04B14/02Granular materials, e.g. microballoons
    • C04B14/04Silica-rich materials; Silicates
    • C04B14/10Clay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18/00Use of agglomerated or waste materials or refuse as fillers for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Treatment of agglomerated or waste materials or refuse, specially adapted to enhance their filling properties in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 C04B18/04Waste materials; Refuse
    • C04B18/18Waste materials; Refuse organic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CSTRUCTURAL ELEMENTS; BUILDING MATERIALS
    • E04C2/00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 E04C2/44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characterised by the purpose
    • E04C2/52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characterised by the purpose with special adaptations for auxiliary purposes, e.g. serving for locating conduit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W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WASTEWATER TREATMENT OR WASTE MANAGEMENT
    • Y02W30/00Technologies for solid waste management
    • Y02W30/50Reuse, recycling or recovery technologies
    • Y02W30/91Use of waste materials as fillers for mortars or concret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Ceramic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Architecture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Dispersion Chemistry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Building Environments (AREA)
  • Dry Formation Of Fiberboard And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스치로폴 및 황토, 폐종이를 작은 원형입자로 분쇄, 혼합 가공하여 만든 후 백시멘트, 바인더(항균제포함)를 혼합하여 건축내장재 및 건축용 판넬를 제작, 생산하기 위한 스치로폴 황토보드의 제조방법으로 본 발명의 제조공정은 폐스치로폴 50%, 황토 20%, 백시멘트 20%, 폐종이 5%, 바인더 5%(항균제포함)를 혼합한 후 혼합되어진 원료를 성형틀에 투입하여 판넬 및 블록을 압축성형 시킨 다음 70~80℃의 고온으로 24시간 열풍건조기에서 양생시켜 제조함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같은 본 발명은 건축용 내장제 및 판넬로 이용되어지며 폐기물로 버려지는 폐스치로폴과 황토, 폐종이를 이용함으로써 환경오염의 방지에 이바지하며 저렴한 가격으로 방음, 단열, 방습효과가 있고 황토에 의한 원적외선의 방출효과로 웰빙 효과(well-Being)도 예상되며 기존의 석고보드에 대응한 건축 내장제 및 판넬을 제조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Figure 112005037624652-pat00001
폐스치로폴, 방음, 방습, 압축사출, 열풍건조, 황토, 건축내장재, 웰빙, 석고보드,

Description

스치로폴 황토보드{Styropor Hwangto Board}
1. 폐스치로폴, 폐종이를 수거하여 잘게 파쇄하여 혼합한다.
2. 접착제(항균제)와 황토, 백시멘트를 혼합한다.
3. 혼합된 원료를 성형틀에 투입하여 압축사출한다.
4. 성형품을 70~80℃에서 양생후 완제품을 제조한다.
본 발명은 스치로폴 및 황토, 백시멘트, 폐종이, 바인더 및 항균제를 주 원료로 하여 건축 내장제 및 판넬 등을 생산하기 위한 스치로폴 황토보드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종래 일반적으로 사용되고 있는 건축자재인 벽돌, 블록, 판넬 등은 주원료가 시멘트와 모래가 혼합된 콘크리트제품과 석고보드가 주류를 이루고 있는 데, 이는 중량 이 무겁고 생산원가가 비싸며 단열효과가 떨어지는 등의 문제점이 있고 새로운 자재에 의한 유해 기체발생으로 새집증후군에 의한 건강 유해성과 방음효과가 미약하다는 문제점이 있다
본 연구에서는 이와 같은 종래의 건축용 내장재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개발하고자 하며 폐기물로 버려지는 폐스치로폴과 폐종이를 분쇄시켜 미세한 입자로 가공하여 혼합하고 여기에 백시멘트, 황토, 바인더 및 항균제를 투입하여 최적의 혼합비율로 성형 제조한다.
본 연구에서 원료로 사용되는 폐스치로폴은 사용 후 버려지는 스티로폴을 수거하여 작은 원형입자로 분쇄, 가공하여 사용하고, 폐종이는 제지회사나 종이제품 제조공장에서 폐품으로 버려지는 종이를 분쇄시켜 미세한 입자로 가공하여 사용한다.
이하 본 발명의 제조공정을 실시 예에 의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 실시예 )
재 료 중 량 비 고
폐스치로폴 50% 입자크기 2.5mm이하
황토 20% 분말(고운입자)
백시멘트 20% 시중에 판매되어지는 제품
폐종이 5% 수거 후 잘게 분쇄
바인더(항균제2%) 5% 건축용 바인더 및 항균제
상기원료를 혼합하여 제조되는 본 발명의 제조공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1. 폐스치로폴을 수거 후 분쇄기로 잘게 분쇄하여 입경이 2.5mm이하로 한다.
2. 폐종이를 수거 후 분쇄시켜 미세한 입자로 가공하여 물에 24시간 불려둔다.
3. 황토를 분말상태의 고운입자만을 채로 거른다.
4. 폐스치로폴입자와 폐종이를 혼합 후 가는 입자의 황토를 첨가하고 백시멘트를 첨가한다.
5. 거기에 건축용 바인더 및 항균제(액체)를 첨가하여 잘 혼합하여 준다.
6. 혼합한 원료를 일정한 성형틀에 주입한 후 압축기로 최대한 압축시켜준다.
7. 혼합된 원료를 70~80℃ 고온에서 24시간 건조기에서 양생시켜 완제품을 제조한다.
상기와 같은 공정을 거쳐 제조되는 본 발명의 판넬은 폐스치로폴과 폐종이 , 황토를 주 원료로 사용되어지기 때문에 다음과 같은 장점이 있다.
1. 실내의 습도를 조절해 주며, 보드에 곰팡이가 생기지 않는다.
2. 전기 자장을 일으키지 않는다.
3. 폐스치로폴과 폐종이가 50%이상 혼합되므로 중량이 가볍다.
4. 단열, 방음, 방습효과가 뛰어나다.
5. 섬유질인 폐종이가 골고루 혼합되므로 크랙이 발생되지 않는다.
6. 황토에 의한 원적외선이 방출되므로 건강에 유익하다.
7. 폐스치로폴과 폐종이를 50%이상 사용하므로 자원재활용 측면에서 효과가 있다.
8. 가격이 저렴하다.
본 발명은 건축물의 내장재로써 난연성이 우수하며, 벽체의 단열재, 방음제 및 방습제로 사용이 되고, 기존 석고보드에 비해 , 재료의 최적의 혼합비 결정에 의한 원가가 저렴하고 폐품의 재활용 측면에서 환경오염을 감소시킬 수 있는 친 환경제품 개발에 있다.

Claims (1)

  1. 본 발명의 개발제품인 스티로폴 황토보드의 최적 혼합비로는 폐스치로폴 50%, 황토 20%, 백시멘트 20%, 폐종이 5%, 바인더(항균제2%) 5%이며 최적혼합비율로 혼합되어진 원료를 성형틀에 투입하여 판넬 및 블록을 성형한 다음 열풍건조기에서 70~80℃의 고온으로 24시간 양생시켜 제조함을 특징으로 하는 스치로폴 황토보드의 제조방법.
KR1020050062695A 2005-07-12 2005-07-12 스치로폴 황토보드 KR10065022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62695A KR100650229B1 (ko) 2005-07-12 2005-07-12 스치로폴 황토보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62695A KR100650229B1 (ko) 2005-07-12 2005-07-12 스치로폴 황토보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80105A KR20050080105A (ko) 2005-08-11
KR100650229B1 true KR100650229B1 (ko) 2006-11-27

Family

ID=3726694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62695A KR100650229B1 (ko) 2005-07-12 2005-07-12 스치로폴 황토보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50229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083853B2 (en) 2004-05-12 2011-12-27 Applied Materials, Inc. Plasma uniformity control by gas diffuser hole desig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80105A (ko) 2005-08-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91337B1 (ko) 친환경 건축용 보드 및 그 제조방법
EP2602234A1 (en) Method for manufacturing of products from autoclaved aerated concrete and composition of autoclaved aerated concrete
KR101982087B1 (ko) 바텀애쉬를 이용한 층간소음 방지보드 제조 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층간소음 방지보드
KR100926180B1 (ko) 건축용 보드의 제조방법
CN112479663A (zh) 一种利用工业固废制备的硅酸钙板及其制备方法
KR102543519B1 (ko) 패각류를 이용한 단열재의 제조 방법
CN108658562A (zh) 一种环保石墨石膏板及其制备方法
KR100650229B1 (ko) 스치로폴 황토보드
KR101819430B1 (ko) 판재유닛 및 그의 제조방법
KR100814740B1 (ko) 차음 효과를 갖는 단열재의 제조방법
CN102826789B (zh) 粉煤灰纤维保温吸声板及其制备方法
JP2001328859A (ja) 呼吸性を備えた室内用セラミック建材
KR101417336B1 (ko) 천연바인더를 이용한 비소성 황토타일 및 그 제조방법
CN111187048A (zh) 一种复合矿物板材及其制备方法
KR20080085289A (ko) 타카 핀으로 고정이 가능한 건축 내장용 황토 보드의 제조방법
CN105985085A (zh) 一种墙面板及其制备方法
KR19990069683A (ko) 황토 및 폐스치로폴을 주원료로한 건축자재의 제조방법
KR100900860B1 (ko) 팜을 이용한 건축자재 제조방법
CN105715008A (zh) 难燃木纤复合板及其生产工艺
KR100201866B1 (ko) 산업폐기물을 이용한 바닥재 및 그 제조방법
KR101447989B1 (ko) 황토 조성물, 황토 건축자재 제조방법 및 그 방법에 의해 제조된 황토 건축자재
KR20190054759A (ko) 탄소섬유 및 프레스 가압방식이 적용된 친환경 건축자재 블록 제조 장치 및 그 방법
CN201093633Y (zh) 凹凸棒恒湿净化器
JP4113697B2 (ja) 天然鉱物を複合した調湿性繊維板の製造方法およびその調湿性繊維板
RU2034965C1 (ru) Теплозвукоизоляционная панель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030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118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120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117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117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117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114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114

Year of fee payment: 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