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50128B1 - 디지털 코드를 이용한 리모트 컨트롤 시스템 및 그 방법 - Google Patents

디지털 코드를 이용한 리모트 컨트롤 시스템 및 그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50128B1
KR100650128B1 KR1020040090996A KR20040090996A KR100650128B1 KR 100650128 B1 KR100650128 B1 KR 100650128B1 KR 1020040090996 A KR1020040090996 A KR 1020040090996A KR 20040090996 A KR20040090996 A KR 20040090996A KR 100650128 B1 KR100650128 B1 KR 10065012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de
digital
digital code
controlled device
remote contro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9099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60042355A (ko
Inventor
이면희
김경한
이인섭
Original Assignee
이인섭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인섭 filed Critical 이인섭
Priority to KR102004009099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50128B1/ko
Priority to PCT/KR2005/003765 priority patent/WO2006052074A1/en
Publication of KR2006004235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4235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5012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5012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02Specific input/output arrangements not covered by G06F3/01 - G06F3/16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7/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 G06K7/10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by electromagnetic radiation, e.g. optical sensing; by corpuscular radi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1Structure of client; Structure of client peripherals
    • H04N21/422Input-only peripherals, i.e. input devices connected to specially adapted client devices, e.g. global positioning system [GPS]
    • H04N21/4220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ntrolling a client device through a remote control device; Remote control devices therefo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1Structure of client; Structure of client peripherals
    • H04N21/422Input-only peripherals, i.e. input devices connected to specially adapted client devices, e.g. global positioning system [GPS]
    • H04N21/4220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ntrolling a client device through a remote control device; Remote control devices therefor
    • H04N21/42206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ntrolling a client device through a remote control device; Remote control devices therefor characterized by hardware details
    • H04N21/42208Display device provided on the remote contro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1Structure of client; Structure of client peripherals
    • H04N21/422Input-only peripherals, i.e. input devices connected to specially adapted client devices, e.g. global positioning system [GPS]
    • H04N21/4220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ntrolling a client device through a remote control device; Remote control devices therefor
    • H04N21/42206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ntrolling a client device through a remote control device; Remote control devices therefor characterized by hardware details
    • H04N21/42212Specific keyboard arrangements
    • H04N21/42213Specific keyboard arrangements for facilitating data entr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1Structure of client; Structure of client peripherals
    • H04N21/422Input-only peripherals, i.e. input devices connected to specially adapted client devices, e.g. global positioning system [GPS]
    • H04N21/4220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ntrolling a client device through a remote control device; Remote control devices therefor
    • H04N21/42206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ntrolling a client device through a remote control device; Remote control devices therefor characterized by hardware details
    • H04N21/42222Additional components integrated in the remote control device, e.g. timer, speaker, sensors for detecting position, direction or movement of the remote control, microphone or battery charging devic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1Structure of client; Structure of client peripherals
    • H04N21/422Input-only peripherals, i.e. input devices connected to specially adapted client devices, e.g. global positioning system [GPS]
    • H04N21/4220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ntrolling a client device through a remote control device; Remote control devices therefor
    • H04N21/42226Reprogrammable remote control de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5Management operations performed by the client for facilitating the reception of or the interaction with the content or administrating data related to the end-user or to the client device itself, e.g. learning user preferences for recommending movies, resolving scheduling conflicts
    • H04N21/462Content or additional data management, e.g. creating a master electronic program guide from data received from the Internet and a Head-end, controlling the complexity of a video stream by scaling the resolution or bit-rate based on the client capabilities
    • H04N21/4622Retrieving content or additional data from different sources, e.g. from a broadcast channel and the Interne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7End-user appl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7End-user applications
    • H04N21/472End-user interface for requesting content, additional data or services; End-user interface for interacting with content, e.g. for content reservation or setting reminders, for requesting event notification, for manipulating displayed content
    • H04N21/47202End-user interface for requesting content, additional data or services; End-user interface for interacting with content, e.g. for content reservation or setting reminders, for requesting event notification, for manipulating displayed content for requesting content on demand, e.g. video on demand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7End-user applications
    • H04N21/472End-user interface for requesting content, additional data or services; End-user interface for interacting with content, e.g. for content reservation or setting reminders, for requesting event notification, for manipulating displayed content
    • H04N21/47217End-user interface for requesting content, additional data or services; End-user interface for interacting with content, e.g. for content reservation or setting reminders, for requesting event notification, for manipulating displayed content for controlling playback functions for recorded or on-demand content, e.g. using progress bars, mode or play-point indicators or bookmark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80Generation or 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by content creator independently of the distribution process; Content per se
    • H04N21/83Generation or processing of protective or descriptive data associated with content; Content structuring
    • H04N21/845Structuring of content, e.g. decomposing content into time segments
    • H04N21/8455Structuring of content, e.g. decomposing content into time segments involving pointers to the content, e.g. pointers to the I-frames of the video stream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QSELECTING
    • H04Q9/00Arrangements in telecontrol or telemetry systems for selectively calling a substation from a main station, in which substation desired apparatus is selected for applying a control signal thereto or for obtaining measured values therefrom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1Structure of client; Structure of client peripherals
    • H04N21/422Input-only peripherals, i.e. input devices connected to specially adapted client devices, e.g. global positioning system [GPS]
    • H04N21/4220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ntrolling a client device through a remote control device; Remote control devices therefor
    • H04N21/42206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ntrolling a client device through a remote control device; Remote control devices therefor characterized by hardware details
    • H04N21/4221Dedicated function buttons, e.g. for the control of an EPG, subtitles, aspect ratio, picture-in-picture or teletex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44Receiver circuitry for the reception of television signals according to analogue transmission standards
    • H04N5/60Receiver circuitry for the reception of television signals according to analogue transmission standards for the sound signals
    • H04N5/602Receiver circuitry for the reception of television signals according to analogue transmission standards for the sound signals for digital sound signals

Abstract

본 발명은 디지털 코드를 이용한 리모트 컨트롤 시스템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이에 의하면 하나의 리모컨 컨트롤러로 배포된 인쇄물 상에 인쇄된 디지털 코드를 단지 스캔하는 작업만으로 여러 전자기기를 제어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인쇄물에 인쇄된 디지털 코드를 스캔하여 인식하는 이미지 센서부와, 메모리와, 프로세서와, 신호전송부로 구성된 리모트 컨트롤 시스템과 이를 이용한 리모트 컨트롤 방법을 제공하며, 상기 메모리에는 상기 디지털 코드에 매핑되는 제어코드가 저장되며 상기 제어코드는 피제어기기의 기능제어에 대한 코드값과 전송방식에 대한 코드값을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이미지 센서부로부터 입력된 디지털 입력신호를 고유의 디지털 코드값으로 복원하고 상기 메모리로부터 이에 대응하는 상기 제어코드를 추출하여 전송신호로 변조하며, 상기 신호전송부는 상기 전송신호를 해당 피제어기기로 전송한다.
디지털코드, 바코드, 도트코드, 카본패턴코드, 센서, 프로세서, 메모리, 제어코드, 이진코딩, 적외선, USB, 블루투스, 매핑, 디지털TV, 셋탑박스, MP3, 캐리어코드, 변조, URL, 음향데이터

Description

디지털 코드를 이용한 리모트 컨트롤 시스템 및 그 방법 {REMOTE CONTROL SYSTEM USING DIGITAL CODES AND THE METHOD THEREOF}
도 1a는 본 발명에 의한 리모트 컨트롤 시스템의 구조도.
도 1b는 본 발명에 의한 리모트 컨트롤 시스템에 있어서 사용되는 리모트 컨트롤러의 외관 개략도.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리모트 컨트롤 시스템의 동작을 설명하는 흐름도.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리모트 컨트롤 시스템에 있어서 디지털 코드의 인쇄순서를 설명하는 도면.
도 4a는 본 발명의 실시예 1, 3에 의한 리모트 컨트롤 시스템의 동작을 설명하는 흐름도.
도 4b는 본 발명의 실시예 2에 의한 리모트 컨트롤 시스템의 동작을 설명하는 흐름도.
도 5a는 본 발명의 실시예 3에 의한 리모트 컨트롤 시스템의 개략 구조도.
도 5b는 본 발명의 실시예 3에 의한 리모트 컨트롤 시스템의 동작을 설명하는 흐름도.
도 6a는 가사를 제공하는 통상적인 MP3 음향 데이터의 개략 구조도.
도 6b는 본 발명의 실시예 4에 있어서 디지털 코드가 포함된 MP3 음향 데이 터의 개략 구조도.
도 6c는 본 발명의 실시예 4에 있어서 디지털 코드가 포함된 인쇄물의 구성예.
도 7은 통상적인 MP3 플레이어의 개략 구조도.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 4에 있어서 MP3 플레이어에 적용한 리모트 컨트롤 시스템의 동작 흐름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설명
1: 리모트 컨트롤 시스템 2: 인쇄물
3: 디지털 코드 4: 이미지 센서부
5: 제어코드변환 프로세서 6: 메모리
7: 신호전송유닛 8: 송출부
9: 동작표시창 10: 모드버튼
11: 전원버튼 12: 방향버튼
13: 실행버튼 14: 스캔부
15: 리모트 컨트롤러 21, 25: 자기설정코드
22: 피제어기기 유형코드 23: 피제어기기 제어코드
24: 버튼매핑코드 30: 디지털 TV 셋탑박스
31: 디지털 TV 32: 비디오 서버
33: 오디오/비디오 인터페이스 34: 인터넷 인터페이스
35: O/S(Operating System) 36: 기기제어 프로세서
37: 응용프로그램실행 프로세서 38: 리모트 컨트롤 드라이버
39: 신호수신유닛 40: 메모리
41: DVD 플레이어 42: 스피커
43: MP3 디코더 44: 표시장치
45: 프로세서 46: 플래쉬 메모리
47: 외부입출력 장치 48: 버튼입력장치
50: MP3 플레이어
본 발명은 리모트 컨트롤시스템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인쇄물 상에 인쇄된 투명 또는 반투명한 디지털 코드를 스캔하여 해당 피제어기기의 제어코드를 읽어내어 상기 피제어기기를 손쉽게 제어가 가능한 디지털 코드를 이용한 리모트 컨트롤 시스템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이다.
오늘날 각종 전자 기기를 원격 제어하는데는 편리한 리모트 컨트롤러가 널리 사용된다. 이러한 리모트 컨트롤러는 IrDA(Infrared Data Association)가 규정하는 여러 종류의 적외선을 사용하여 각종 피제어기기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신호를 전송하는데, 통상적으로 30 내지 40kHz 주파수 범위의 적외선을 사용하며 피제어기기에 부착된 수신장치가 상기 제어신호를 다른 광원의 간섭없이 정확히 수신할 수 있도록 상기 제어신호를 이진코드(Binary Code)의 형태로 전송하게 된다. 또한, 수신장 치는 수신된 제어신호를 분석하여 제어명령을 인식하고 사용자가 의도한 명령을 수행한다.
이러한 이진코드의 코딩방식은 각 펄스(Pulse) 또는 각 펄스 간 간격(Space)의 순서를 바꾸는 방식(Shift Coded Signal), 각 펄스 간 간격의 길이를 변화시키는 방식(Space Coded Signal), 각 펄스의 길이를 변화시키는 방식(Pulse Width Coded Signal) 등 여러 가지가 있는데, 각 제조사마다 채택한 방식이 다른 실정이다. 즉, 수많은 제조사 및 모델별로 제어신호의 코딩방식이 달라 상호 호환이 불가능하여, TV, DVD, 디지털 셋탑박스, MP3 플레이어, 에어컨 등 각종 전자 기기를 동시에 사용하는 사용자는 역시 여러 개의 리모트 컨트롤러를 사용해야하는 불편을 감수하여야 한다.
더구나, 근시일 내에 도래할 것으로 예상되는 양방향 디지털 TV환경에 있어서는 사용자가 TV화면을 통하여 원하는 방송 프로그램을 편집하거나 또는 직접 상품을 구매하는 등 소위 양방향 통신이 가능해지므로, 종래의 리모트 컨트롤러로서는 화면 상 여러 단계의 메뉴를 검색하는 등에 있어서 여러 개의 버튼을 다수 회 조작해야 하거나, 단축버튼 등을 설정해야하는 등의 사용상의 한계가 있다. 따라서, 여러 제조사별, 제품별 리모트 컨트롤러를 통합하면서도, 리모트 컨트롤러의 다기능 버튼이 필요 없는 새로운 디바이스가 요구되는 실정이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안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여러 피제어기기의 종류에 관계없이 여러 제조사별, 제품별 리모트 컨 트롤러를 하나의 리모트 컨트롤러로 통합한 리모트 컨트롤 시스템을 제공하여 사용자의 편의를 도모함에 있다.
또 다른 본 발명의 목적은 양방향 디지털 TV나 MP3 플레이어 등과 같은 피제어기기에 효율적으로 활용되는 리모트 컨트롤 시스템을 제공하여 사용자의 편의를 도모함에 있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으로서, 본 발명에 의한 디지털 코드를 이용한 리모트 컨트롤 시스템은 인쇄된 디지털 코드를 스캔하여 피제어기기를 제어하는 리모트 컨트롤 시스템에 있어서, 인쇄된 디지털 코드와, 상기 디지털 코드를 인식하여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는 센서부와, 상기 디지털 코드에 매핑되는 제어코드가 저장되며 상기 제어코드는 피제어기기의 기능제어에 대한 코드값과 전송방식에 대한 코드값을 포함하는 메모리와, 상기 디지털 신호를 입력받아 고유의 디지털 코드값으로 복원하고 상기 메모리로부터 이에 대응하는 상기 제어코드를 추출하여 전송신호로 변조하는 프로세서와, 상기 전송신호를 해당 피제어기기로 전송하는 신호전송부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특징으로서, 상기 디지털 코드값의 범위는 피제어기기에 대한 제어기능의 추가 설정과 상기 리모트 컨트롤 시스템의 환경설정을 위한 자기설정코드값 영역과, 피제어기기를 제어하기 위한 피제어기기 제어코드값 영역과, 인터넷 망에 접속하기 위한 서비스요청코드값 영역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특징으로서, 상기 디지털 코드값의 범위는 현재 제어하고 있는 피제어기기를 표시하기 위한 피제어기기 유형코드값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특징으로서, 상기 디지털 코드값의 범위는 추가 설정된 피제어기기의 제어기능을 상기 리모트 컨트롤 시스템의 버튼에 매핑하기 위한 버튼매핑코드값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특징으로서, 상기 디지털 코드는 자기설정코드값과, 피제어기기 유형코드값과, 피제어기기 제어코드값과, 버튼매핑코드값과, 자기설정코드값으로 구성되며 소정의 순서대로 인쇄되어 인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특징으로서, 상기 메모리는 상기 디지털 코드값과 매핑되는 피제어기기에 대한 기능제어코드값, 기능제어코드길이, 전송방식코드를 포함하는 매핑 테이블과, 상기 전송방식코드에 매핑되는 신호의 전송방식 유형을 포함하는 매핑 테이블과, 상기 디지털 코드값에 매핑되는 피제어기기 유형을 포함하는 매핑 테이블과, 상기 디지털 코드값에 매핑되는 상기 리모트 컨트롤 시스템의 버튼유형을 포함하는 매핑 테이블을 각각 저장하며, 상기 매핑 테이블들은 추가되어 갱신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특징으로서, 상기 전송신호는 적외선 통신, USB 통신 또는 블루투스 규약에 따르는 무선 통신 중의 적어도 어느 하나에 의하여 전송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특징으로서, 본 발명에 의한 디지털 코드를 이용한 리 모트 컨트롤 방법은 인쇄된 디지털 코드를 스캔하여 피제어기기를 제어하는 리모트 컨트롤 시스템의 리모트 컨트롤 방법에 있어서, 상기 인쇄된 디지털 코드를 센서를 통하여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고 이를 프로세서로 입력하는 단계와, 상기 프로세서가 상기 디지털 신호를 고유의 디지털 코드로 복원하고 메모리로부터 상기 디지털 코드에 매핑되는 기능제어에 대한 코드값과 전송방식에 대한 코드값을 포함한 제어코드를 읽어내는 단계와, 상기 프로세서가 상기 제어코드를 전송신호로 변조하여 신호전송유닛을 통하여 상기 피제어기기로 전송하는 단계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특징으로서, 본 발명에 의한 디지털 코드를 이용한 리모트 컨트롤 방법은 인쇄된 디지털 코드를 인식하여 피제어기기를 제어하는 리모트 컨트롤 시스템의 리모트 컨트롤 방법에 있어서, 상기 인쇄된 디지털 코드를 인식하여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고 이를 일련의 디지털 코드값으로 복원하는 제 1단계와, 상기 일련의 디지털 코드값에서 자기설정에 대한 코드값의 존재를 조회하는 제 2단계와, 자기설정에 대한 코드값이 존재하지 않는다면, 상기 일련의 디지털 코드값에 매핑되는 제어코드를 읽어내어 전송신호로 변조하고, 이를 해당 피제어기기로 전송하여 제어하는 제 3단계와, 자기설정에 대한 코드값이 존재한다면, 상기 일련의 디지털 코드값으로부터 상기 리모트 컨트롤 시스템의 피제어기기에 대한 제어기능의 추가 설정과 자체 환경설정을 실행하는 제 4단계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특징으로서, 상기 제 3단계는 상기 일련의 디지털 코드값에 따라 이에 매핑되는 피제어기기 유형을 읽어내어 표시하는 단계와, 상기 일 련의 디지털 코드값에 따라 이에 매핑되는 기능제어코드값, 기능제어코드길이, 이진코딩방식코드를 읽어내는 단계와, 상기 이진코딩방식코드에 따라 이에 매핑되는 전송방식을 읽어내고, 상기 전송방식에 따라 상기 기능제어코드값을 상기 기능제어코드길이만큼 반복하여 변조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특징으로서, 상기 제 4단계는 최초의 디지털 코드값이 디지털 코드의 할당을 시작하는 코드임을 조회하는 제 5단계와, 디지털 코드의 할당을 시작하는 코드라면, 상기 일련의 디지털 코드로부터 피제어기기에 대한 제어기능을 추가하여 상기 리모트 컨트롤 시스템의 버튼에 상기 제어기능을 설정하여 저장하는 제 6단계와, 디지털 코드의 할당을 시작하는 코드가 아니라면, 상기 리모트 컨트롤 시스템의 자체 환경설정을 실행하여 저장하는 제 7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특징으로서, 상기 제 6단계는 상기 일련의 디지털 코드값에 따라 이에 매핑되는 피제어기기 유형을 읽어내어 표시하고 임시 저장하는 단계와, 상기 일련의 디지털 코드값에 따라 이에 매핑되는 기능제어코드값, 기능제어코드길이, 이진코딩방식코드를 읽어내고 임시 저장하는 단계와, 상기 일련의 디지털 코드값에 따라 이에 매핑되는 버튼에 상기 추가된 제어기능을 설정하고 임시 저장하는 단계와, 디지털 코드의 할당을 종료하는 디지털 코드가 인식되면, 상기 임시 저장된 데이터를 저장하고 종료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특징으로서, 상기 제 7단계는 환경설정임을 표시하는 단계와, 상기 일련의 디지털 코드값에 존재하는 환경설정코드에 따라 상기 리모트 컨트롤 시스템의 환경설정을 실행하고 이를 임시 저장하는 단계와, 디지털 코드의 할당을 종료하는 디지털 코드가 인식되면, 상기 임시 저장된 데이터를 저장하고 종료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특징으로서, 본 발명에 의한 디지털 코드를 이용한 리모트 컨트롤 방법은 인쇄된 디지털 코드를 인식하여 피제어기기를 제어하는 리모트 컨트롤 시스템의 리모트 컨트롤 방법에 있어서, 상기 인쇄된 디지털 코드를 인식하여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고 이를 일련의 디지털 코드값으로 복원하는 단계와, 상기 디지털 코드값에 매핑되는 제어코드가 없다면, 이에 캐리어 코드를 결합하고 일정한 전송방식으로 변조한 전송신호를 전송하는 단계와, 상기 전송신호를 수신받아 이로부터 제어코드를 복원하고 상기 제어코드에 결합된 상기 캐리어 코드를 삭제하는 단계와, 상기 제어코드에 매핑되는 URL을 읽어내고, 상기 URL로 인터넷 망에 접속하여 데이터를 다운로드하는 단계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특징으로서, 상기 캐리어 코드 및 상기 전송방식 각각은 상기 피제어기기에 따라 미리 정해진 임의의 방식으로 세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특징으로서, 본 발명에 의한 디지털 코드를 이용한 리모트 컨트롤 방법은 인쇄물 상의 적어도 하나 이상의 지점에 인쇄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디지털 코드를 인식하여 피제어기기를 제어하는 리모트 컨트롤 시스템의 리모트 컨트롤 방법에 있어서, 상기 인쇄된 디지털 코드를 인식하여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고 이를 일련의 디지털 코드값으로 복원하는 단계와, 상기 디지털 코드값을 전송하는 단계와, 저장된 임의의 파일로부터 상기 수신된 디지털 코드값에 매핑되는 위치의 데이터를 찾아내어 읽어내는 단계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특징으로서, 상기 파일은 적어도 하나 이상의 디지털 코드값이 해당 위치에 따라 각각 부여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상기 데이터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특징으로서, 본 발명에 의한 디지털 코드를 이용한 리모트 컨트롤 방법은 음향을 출력함과 동시에 그에 해당하는 텍스트를 표시제공하는 음향기기를 인쇄물 상의 적어도 하나 이상의 지점에 인쇄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디지털 코드를 인식함으로써 제어하는 리모트 컨트롤 시스템의 리모트 컨트롤 방법에 있어서, 상기 인쇄된 디지털 코드를 스캔하여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고 이를 일련의 디지털 코드값으로 복원하는 단계와, 상기 디지털 코드값을 상기 음향기기로 전송하는 단계와, 상기 음향기기 내에 저장되며, 적어도 하나 이상의 디지털 코드값이 적어도 하나 이상의 해당 시간데이터와 결합되는 텍스트 영역과 음향데이터 영역으로 구성되는 임의의 음향파일에서 상기 디지털 코드와 일치되는 상기 시간데이터를 읽어내는 단계와, 상기 시간데이터에 해당되는 상기 음향데이터로 이동하여 이를 출력하는 단계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특징으로서, 상기 전송은 적외선 통신, USB 통신 또는 블루투스 규약에 따르는 무선 통신 중의 적어도 어느 하나에 의하여 실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을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a는 본 발명에 의한 리모트 컨트롤 시스템의 구조를 나타내며, 도 1b는 상기 리모트 컨트롤러의 외관을 나타낸다.
도시하는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리모트 컨트롤 시스템(1)은 인쇄물(2)에 인쇄된 디지털 코드(3)를 인식하는 이미지 센서부(4)와, 상기 이미지 센서부(4)로부터 입력된 디지털 입력신호를 고유의 디지털 코드로 복원하여 해당 피제어기기에 적합한 제어코드로 가공 처리하는 제어코드변환 프로세서(5)와, 메모리(6)와, 가공 처리된 제어코드를 변조 및 증폭하고 이를 적외선 LED 등을 통하여 해당 피제어기기로 전송하는 신호전송유닛(7)으로 구성된다.
또한, 상기 리모트 컨트롤 시스템(1)에 의한 리모트 컨트롤러(15)의 외장은 그 외부에 있어서 피제어기기를 선택하는 모드버튼(10), 선택된 피제어기기의 전원을 제어하는 전원버튼(11), 선택된 피제어기기 및 동작을 표시하는 동작표시창(9), 방향버튼(12) 및 실행버튼(13), 그리고 입출력장치로서 적외선 신호 등을 송출하는 LED로 구성된 송출부(8), 이미지 센서 등을 포함하는 스캔부(14) 등을 포함하도록 구성되는 것이 사용자의 편의를 위하여 바람직하다.
인쇄물(2)은 종이, 플라스틱, 비닐, 스티커, 가죽, 전자기기 케이스 등 통상적으로 인쇄가 가능한 모든 매체를 포함하고, 상기 디지털 코드(3)는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Bar Code, Dot Code, Carbon Pattern Code 등을 포함하며, 특히 바람직하기로는 Carbon Pattern Code가 선호된다. 왜냐면, Bar Code는 흑색잉크로 인쇄되므로 다른 인쇄면과 격리되기 위한 별도의 인쇄공간이 필요한 반면, 상기 Carbon Pattern Code는 거의 투명한 탄소물질로 구성되어 격자무늬를 형성하며 인쇄되므로, 별도 인쇄공간을 확보할 필요없이 다른 인쇄면과 겹쳐 인쇄될 수 있으며, 또한 스티커에 인쇄하여 인쇄물에 부착이 가능하다는 장점을 가지기 때문이다. 따라서, 디지털 코드가 투명한 상기 Carbon Pattern Code로 인쇄된다면, 사용자는 인쇄물(2) 상에 투명한 디지털 코드가 포함된 임의의 이미지를 스캔하게 된다.
인쇄되는 디지털 코드(3)의 수는 Bar Code나 Dot Code를 이용할 경우 수억 개가 할당 가능하며, Carbon Pattern Code를 이용할 경우에는 대략 4천여개 정도가 할당 가능하다.
따라서, 디지털 코드(3)를 효율적으로 사용하기 위하여 상기 값들을 여러 용도에 맞게 나누어 사용하는 것이 필요하다. 즉, 본 발명에 있어서는 디지털 코드값의 영역을, 리모트 컨트롤 시스템의 기능을 추가 설정하거나 환경설정하기 위해 필요한 자기설정코드값 영역과, 해당 피제어기기를 제어하는데 필요한 기능제어정보가 들어있는 피제어기기 제어코드값 영역과, 쇼핑이나 VOD(Video On Demand) 수신 등을 위한 서비스요청코드값 영역으로 할당한다. 그 바람직한 예로서, Carbon Pattern Code를 이용하는 경우 디지털 코드값의 영역이 대략 4,096개 정도로 하여 아래 표 1과 같이 각 영역을 할당할 수 있으며, 이 때 각 영역에 해당하는 디지털 코드값의 개수는 임의로 조절 가능하다.
<표 1> 디지털 코드의 영역 테이블
영역 자기설정코드값 영역 피제어기기 제어코드값 영역 서비스요청코드값 영역
코드(HEX) 00(0x00) ~ 31(0x1F) 32(0x20) ~ 351(0x15F) 352(0x160) ~ 4,095(0xFFF)
개수 32 320 3,744
상기 자기설정코드값 영역은 피제어기기 제어정보를 추가하기 위한 설정모드 에 있어서 디지털 코드 할당의 시작 및 종료의 통보 또는 리모트 컨트롤 시스템의 환경설정 등에 대한 각 디지털 코드값을 포함한다. 이의 바람직한 예를 들면 아래 표 2와 같다.
<표 2> 자기설정코드값 영역 테이블
디지털 코드 제어명령
0x01 디지털 코드 할당 시작
0x02 디지털 코드 할당 종료
0x03 리모트 컨트롤의 LED 밝기조정 시작
0x04 리모트 컨트롤의 LED 밝기조정 종료
0x05 리모트 컨트롤의 동작음량조정 시작
0x06 리모트 컨트롤의 동작음량조정 종료
0x07 ~ 0x1F 기타
상기 피제어기기 제어코드값 영역에는 제어하기 위한 각 제조사의 피제어기기 및 그 제어기능을 의미하는 디지털 코드값을 포함하며, 이는 나중에 설명하는 메모리(6)에 저장되는 피제어기기 기능제어정보 매핑 테이블(표 5 참조)에 해당한다. 상기 피제어기기 제어코드값 영역의 바람직한 예를 들면 표 3과 같다.
<표 3> 피제어기기 제어코드값 영역 테이블
디지털 코드 피제어기기 제어기능 설명
0x20 NEC VTR POWER ON/OFF NEC VTR의 전원 ON/OFF
0x21 NEC VTR PLAY NEC VTR의 재생시작
0x22 NEC VTR REC NEC VTR의 녹화시작
... ... ... ...
0x34 LG 에어컨 POWER ON/OFF LG 에어컨의 전원 ON/OFF
0x35 LG 에어컨 풍량증가 LG 에어컨의 풍량증가
0x36 LG 에어컨 풍량감소 LG 에어컨의 풍량감소
... ... ... ...
0x3E 삼성 TV POWER ON/OFF 삼성 TV의 전원 ON/OFF
0x3F 삼성 TV 음량증가 삼성 TV의 음량증가
0x40 삼성 TV 음량감소 삼성 TV의 음량감소
... ... ... ...
0x15F 삼성 TV MBC 채널 삼성 TV의 MBC 채널선택
상기 서비스요청코드값 영역은 VOD, 온라인 쇼핑 등 인터넷 망을 통한 제반 서비스에 있어서 상품 또는 서비스를 선택하기 위한 디지털 코드값을 포함하며, 이 의 바람직한 예는 표 4와 같다. 각각 하나의 상품과 서비스에는 인터넷으로 접속가능한 URL(Uniform Resource Locator)이 배정되며, 사용자는 상기 배정된 URL로 원하는 상품 또는 서비스 및 서비스 회사에 인터넷 망을 통하여 접속하여 상품에 대한 상세 정보 및 구매 등과 VOD의 다운로드 등을 할 수 있게 된다.
<표 4> 서비스요청코드값 영역
디지털 코드 요청 서비스 설명
0x160 상품 URL 각각의 상품 URL로 인터넷 접속
... ... ...
0x33E 상품 URL 각각의 상품 URL로 인터넷 접속
0x33F 서비스 URL 각각의 서비스 또는 서비스 회사 URL로 인터넷 접속
... ... ...
0xFFF 서비스 URL 각각의 서비스 또는 서비스 회사 URL로 인터넷 접속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리모트 컨트롤 시스템의 동작순서를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먼저, 사용자는 인쇄물(2) 상의 디지털 코드(3)를 스캔이나 촬영 등을 통하여 이미지 센서(4)로 입력하면, 상기 이미지 센서(4)는 이를 디지털신호로 변환하여 제어코드변환 프로세서(5)로 전달한다(S200).
그러면, 제어코드변환 프로세서(5)는 이를 고유의 디지털 코드로 복원하고, 이 디지털 코드에 해당하는 피제어기기 기능제어정보와 적외선신호로의 전송을 위한 이진코딩 방식을 메모리(6)에서 읽어낸다(S201).
그리고, 제어코드변환 프로세서(5)는 상기 기능제어정보에 포함된 기능제어코드 값을 상기 이진코딩 방식을 이용하여 전송신호로 변조하고 신호전송유닛(7)을 통하여 해당 피제어기기로 전송한다(S202). 이 때, 상기 전송신호는 적외선 통신 또는 블루투스 규약에 따르는 무선 통신에 의하여 전송된다.
또한, 메모리(6)에는 각 디지털 코드에 해당하는 피제어기기의 기능제어코드, 기능제어코드 길이, 적외선 신호의 전송을 위한 이진코딩 방식코드, 피제어기기 유형, 버튼매핑 디지털코드 등의 여러 매핑 테이블이 저장되며, 이는 갱신되거나 추가될 수 있다.
먼저, 각 디지털 코드에 대응하는 기능제어정보를 저장하는 피제어기기 기능제어정보 매핑 테이블을 메모리(6)에 두고, 읽혀진 해당 디지털 코드에 대응하는 기능제어정보를 상기 피제어기기 기능제어정보 매핑 테이블로부터 찾아낸다. 상기 피제어기기 기능제어정보 매핑 테이블은 디지털 코드(3)의 피제어기기 제어코드값 영역에 해당되는 디지털 코드들이 포함되므로, 앞서 설명한 바 있는 피제어기기 제어코드 영역 테이블(표 3 참조)에 해당된다. 이의 바람직한 예를 아래 표 5에 들며, 표 3의 피제어기기 제어코드 영역 테이블과 디지털 코드가 일치한다.
<표 5> 피제어기기 제어코드 매핑 테이블
디지털 코드 피제어기기 유형코드 이진코딩 방식코드 기능제어코드 길이 기능제어 코드 값 버튼매핑코드
0x20 0x01 0x01 3 0x30, 0x2F, 0x3E 0x02
0x21 0x05 0x03 2 0x7F, 0x02 -
0x22 0x09 0x01 3 0x50, 0x40, 0x20 0x03
0x23 0x04 0x02 4 0x44, 0x32, 0x3A, 0xFE 0x02
... ... ... ... ... ...
0x15F 0x01 0x01 2 0x41, 0x42 -
예를 들어, 이미지 센서부(4)에서 읽혀진 디지털 코드값이 "0x20"이라면, 제어코드변환 프로세서(5)는 메모리(6)에 저장되어있는 표 5를 참조하여 먼저 상기 디지털 코드값에 매핑되는 피제어기기 유형코드가 "0x01"임을 읽어내고, 후술하는 표 7의 피제어기기 유형의 매핑 테이블로부터 상기 "0x01"에 해당하는 피제어기기 유형이 "TV"임을 읽어내어 "TV"를 동작표시창(9)에 표시하게 된다. 그리고, 연속하 여 표 5를 참조하여 상기 디지털 코드값 "0x20"으로부터 적외선 전송방식을 정하는 이진코딩 방식코드값이 "0x01", 기능제어코드값이 "0x30, 0x2F, 0x3E", 그리고 상기 기능제어코드의 길이는 "3"임을 인식하게 된다. 표 3의 피제어기기 제어코드 영역 테이블을 참조하면, 상기 기능제어코드값은 "NEC VTR의 전원 ON/OFF"를 의미한다. 또한, 후술하는 실시예 2에서 설명하겠지만, 리모콘 컨트롤러의 각 버튼에 기능이 기설정된 경우에는 해당되는 버튼매핑코드가 부여되어진다.
또 다른 예로서, 읽혀진 디지털 코드값이 "0x15F"인 경우, 표 5에 의하여 이진코딩 방식코드값은 "0x01", 기능제어코드값은 "0x41, 0x42", 상기 기능제어코드의 길이는 "2"로 인식한다. 이 때, 상기 기능제어코드값은 표 3에 의하여 "삼성 TV의 MBC 채널선택"을 의미한다. 즉, 이를 이용하여 상기 "0x15F"인 디지털 코드값을 예를 들어 MBC 로고, 그림 등의 인쇄물에 투명 또는 반투명하게 인쇄하여놓고 이를 단지 스캔하기만 하면, 상기와 같은 기능을 한번에 제어할 수 있게 된다. 채널이 11번인 MBC 채널을 선택하기 위해서는 종래의 리모트 컨트롤에 의하면 "1"의 버튼을 2번 눌러야했으나, 본 발명에 의하면 단지 앞서와 같이 한번의 스캔만으로 MBC 채널을 선택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표 5의 이진코딩 방식코드에 대응하여 적외선 신호의 전송방식을 정하도록 하기 위한 이진코딩 방식코드의 매핑 테이블이 메모리(6)에 저장되며, 이의 바람직한 예는 표 6과 같다.
<표 6> 이진코딩 방식코드의 매핑 테이블
이진코딩 방식코드 적외선 전송방식
0x01 NEC 방식
0x02 RC5 방식
0x03 ZENITH 방식
0x04 MITSUBISHI 방식
... ...
즉, 앞의 예와 같이 디지털 코드값이 "0x20"이고 이에 대응하는 이진코딩 방식코드값이 "0x01"이라면, 제어코드변환 프로세서(5)는 표 6으로부터 적외선 송신방법을 "NEC 방식"을 선택하여 이 방식에 의하여 상기 기능제어코드값을 변조하여 전송하게 된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리모트 컨트롤 시스템에 있어서 선택되는 피제어기기 유형을 동작표시창(9)에 표시하여 사용자로 하여금 자신이 현재 제어하는 피제어기기 유형을 시각적으로 확인할 수 있도록 한다. 이의 바람직한 예는 표 7과 같고, 예를 들어, 읽혀진 디지털 코드값이 "0x02"이라면, 동작표시창(10)에는 "VTR"라 표시된다. 또한, 여러 대의 동일한 유형의 피제어기기를 설정하는 경우에는 표시되는 피제어기기 유형에 숫자를 결합하여 구분하도록 할 수도 있다.
<표 7> 피제어기기 유형의 매핑 테이블
디지털 코드 피제어기기 유형
0x01 TV
0x02 VTR
0x03 DVD PLAYER
0x04 TWOWAY TV SET TOP BOX
0x05 HOME THEATER
0x06 AIR CONDITION
0x07 AUDIO PLAYER
0x08 위성수신 SET TOP BOX
0x09 지역수신 SET TOP BOX
0x0A 기타
또한, 본 발명에 의한 리모트 컨트롤 시스템에 있어서는 일단 상기와 같이 이미지 센서(4)로 읽은 디지털 코드에 따라 해당 기능과 송신방법이 설정되면, 이 를 리모트 컨트롤러(15) 상의 각 버튼(10 ~ 13)의 기능으로 설정함으로써 차후 사용자가 리모트 컨트롤러(15)를 사용 시 해당 버튼만을 눌러 해당되는 기능을 수행하도록 하여 편의를 도모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버튼 매핑 테이블이 메모리(6)에 설정되어 저장되며, 이의 바람직한 예를 표 8에 나타낸다. 즉, 읽혀진 디지털 코드값이 "0x01" 및 "0x02"라면 설정된 피제어기기를 표시하는 기능이 모드버튼(10)에 부여되고 해당 피제어기기의 전원을 On/Off 제어할 수 있는 기능이 전원버튼(11)에 부여되어 설정된다.
<표 8> 버튼 매핑 테이블
디지털 코드 버튼 설명
0x01 MODE 피제어기기 설정
0x02 POWER 전원의 ON/OFF 제어
0x03 UP 각 설정값(예: 채널+)
0x04 LEFT 각 설정값(예: 볼륨-)
0x05 RIGHT 각 설정값(예: 볼륨+)
0x06 DOWN 각 설정값(예: 채널-)
0x07 ENTER 각 설정값(예: 실행)
또한, 본 발명에서는 피제어기기의 제어정보를 추가하기 위한 설정모드를 지시하는 디지털 코드(3)는 인쇄되는 각 디지털 코드값의 인쇄순서를 부여하며, 이는 도 3에 나타낸다.
즉, 상기 디지털 코드(3)의 인쇄순서는 자기설정코드값 영역의 디지털 코드(21: 표 2 참조), 피제어기기 유형을 정하는 디지털 코드(22: 표 7 참조), 피제어기기 제어코드를 정하는 디지털 코드(23: 표 5 참조), 버튼 매핑을 위한 디지털 코드(24: 표 8 참조),자기설정코드값 영역의 디지털 코드(25: 표 2 참조)로 된다.
이 때, 자기설정코드값 영역의 디지털 코드(21, 25)가 각각 최초와 최후에 위치하는 것은 아래 실시예 2에서 설명하겠지만, 리모트 컨트롤 시스템의 메모리(6)에 설정되어 저장되어 있지 아니한 기능을 추가할 경우를 위한 것이다. 즉, 만약 인쇄된 디지털 코드가 자기설정코드값 영역의 "0x01"이 최초로 인쇄되어 인식된다면(표 2 참조), 디지털 코드의 할당이 시작되고, 그 뒤를 따라 차례대로 인쇄된 피제어기기 유형을 정하는 디지털 코드(22), 피제어기기 제어코드를 정하는 디지털 코드(23), 버튼에 기능을 부여하는 디지털 코드(24)에 따라 제어기능이 학습되어 설정 및 저장되며, 마지막으로 인쇄된 자기설정코드값 영역의 "0x02"가 인식됨으로써 디지털 코드의 할당이 종료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다만, 본 발명이 하술하는 실시예는 본 발명의 전반적인 이해를 돕기 위하여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로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본 실시예에서는 본 발명에 의한 리모트 컨트롤 시스템을 이용하여 인쇄물 상의 디지털 코드를 스캔하여 해당 제어기기를 동작시키는 방법을 도 4a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4a 및 도 4b는 본 발명에 의한 리모트 컨트롤 시스템의 동작을 설명하는 흐름도이다.
먼저 사용자는 인쇄물(2) 상의 투명 또는 반투명하게 인쇄된 디지털 코드(3)가 포함된 임의의 이미지를 스캔하면, 이미지 센서(4)는 이를 제어코드변환 프로세서(5)로 보내고, 제어코드변환 프로세서(5)는 이를 일련의 디지털 코드로 복원한다(S400).
이때, 자기설정코드값 영역의 디지털 코드가 인식되지 않는다면(S401), 제어코드변환 프로세서(5)는 메모리(6)에 저장되어 있는 피제어기기 제어코드 매핑 테이블(표 5 참조)로부터 상기 복원된 디지털 코드에 매핑되는 피제어기기 유형코드를 읽어낸 후, 메모리(6)에 저장되어 있는 피제어기기 유형의 매핑 테이블(표 7 참조)로부터 상기 유형코드에 해당하는 피제어기기 유형을 읽어내어 이를 동작표시창(9)에 표시한다(S403). 또한, 마찬가지로 피제어기기 제어코드 매핑 테이블(표 5 참조)로부터 상기 복원된 디지털 코드에 매핑되는 기능제어코드 값, 기능제어코드 길이, 적외선 송신방법을 위한 이진방식코드를 읽어내고, 이진코딩 방식코드의 매핑 테이블(표 6 참조)로부터 상기 이진방식코드에 매핑되는 적외선 전송방식을 읽어낸 후(S404), 상기 기능제어코드 값을 상기 기능제어코드 길이만큼 반복하여 상기 적외선 송신방법으로 변조 및 증폭하여 신호전송유닛(7)을 통하여 해당 제어기기로 전송하여 제어한다(S405). 이 경우 자기설정코드값 영역에 해당하는 디지털 코드(21)가 당초에 존재하지 않으므로, 버튼에 기능을 부여하는 디지털 코드(24)와 디지털 코드의 할당종료를 지시하는 자기설정코드값 영역의 디지털 코드(25)는 당연히 인쇄되지 않아 인식되지 아니한다. 그리고, 앞서 자기설정코드값 영역의 디지털 코드가 인식된 경우에는(S401), 후술하는 실시예 2에서의 설정모드로 전환되어 실행된다(S). 또한, 상기 복원된 디지털 코드가 메모리(6)에 저장된 피제어기기 제어코드 매핑 테이블(표 5 참조)에 존재하지 않는 경우에는(S402), 후술하는 실시예 3에서의 인터넷 접속모드로 전환되어 실행된다(I).
[실시예 2]
본 실시예에서는 본 발명에 의한 리모트 컨트롤 시스템의 버튼에 기능을 추가하는 방법을 앞서와 마찬가지로 도 4b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이로써 사용자는 추후 별도의 스캔동작 없이도 리모트 컨트롤러의 해당 버튼을 눌러 피제어기기를 제어할 수 있게 된다.
이 경우, 실시예 1과는 달리 인쇄물(2) 상의 디지털 코드(3)가 자기설정코드값 영역으로서 디지털 코드 할당의 시작을 지시하는 디지털 코드(21)를 포함하고 있는 상태이다. 즉, 앞서 설명하였듯이 일련의 디지털 코드의 순서는 자기설정코드값 영역의 디지털 코드가 존재한다면, 자기설정코드값 영역의 디지털 코드(21), 피제어기기 유형을 정하는 디지털 코드(22), 피제어기기 제어코드를 정하는 디지털 코드(23), 버튼에 기능을 부여하는 디지털 코드(24), 자기설정코드값 영역의 디지털 코드(25)순으로 차례대로 인쇄되어 인식된다.
먼저, 인쇄된 디지털 코드(3)를 스캔하여 일련의 디지털 코드로 복원하는 과정은 실시예 1과 동일하다(S400). 그리고, 만약 자기설정코드값 영역의 디지털 코드가 인식된다면(S401), 제어코드변환 프로세서(5)는 설정모드로 전환한 후(S406), 최초의 디지털 코드값이 "0x01"이라면(S407), 디지털 코드의 할당을 시작하게 된다. 이어서, 피제어기기 유형을 정하는 디지털 코드에 따라 해당 피제어기기를 메모리(6)에 저장된 피제어기기 유형의 매핑 테이블(표 7 참조)에서 읽어내어 동작표시창(9)에 표시함과 동시에 이를 버퍼에 임시 저장하고(S408), 피제어기기 제어코드를 정하는 디지털 코드에 따라 기능제어코드 값과 기능제어코드 길이, 적외선 송신방법(표 5, 6 참조)을 메모리(6)로부터 읽어들임과 동시에 이를 버퍼에 임시 저장한다(S409). 그리고, 버튼 매핑을 위한 디지털 코드를 인식하고 이에 따라 해당 버튼에 기능을 부여하여 이 역시 버퍼에 임시 저장한다(S410). 그리고, 인식되는 디지털 코드값이 표 2의 "0x02"라면(S411), 이에 따라 디지털 코드의 할당을 종료하고 상기 버퍼에 임시 저장되어있던 값들을 메모리(6)에 추가 또는 갱신하여 저장함과 동시에 완료되었음을 동작표시창(9)과 음향으로 표시하고(S412) 종료한다. 또한, 앞서 상기 디지털 코드값이 "0x01"이 아니라면(S407), 이어서 상기 디지털 코드값이 디지털 코드 할당 또는 조정종료를 지시하는 디지털 코드값도 아님을 검사한다(S413). 만일 그렇다면, 디지털 코드가 잘못 인식되었거나 또는 잘못 인쇄된 것이므로, "ERROR"를 동작표시창(9)에 표시한다(S414). 만일 그렇지 않다면, 자기설정코드값 영역 테이블(표 2 참조)에서의 나머지 디지털 코드값, 즉 "리모트 컨트롤의 LED 밝기조정", "리모트 컨트롤의 동작음량조정" 등의 자체 환경설정을 지시하는 디지털 코드값이므로, 환경설정을 동작표시창(9)에 표시하고(S415) 상기 디지털 코드값에 매핑되는 표 2의 제어명령에 따라 환경설정을 하며 이를 버퍼에 임시 저장한다(S416). 그리고, 조정종료를 지시하는 디지털 코드값이 인식될 때(S417), 상기 버퍼에 임시 저장되어있던 값들을 메모리(6)에 저장하고 완료되었음을 동작표시창(9)과 음향으로 표시하고(S412) 종료한다.
[실시예 3]
본 실시예는 본 발명에 의한 리모트 컨트롤 시스템에 있어서 디지털 코드에 해당되는 URL로 인터넷 접속하여 VOD 등을 다운받아 디지털 TV로 시청하는 것에 관한 것이다. 즉, 인쇄물(2) 상에 앞서 설명한 표 4의 서비스요청코드 영역에 해당하 는 디지털 코드를 리모트 컨트롤러(15)로 스캔하여 디지털 코드를 복원한 후 이를 디지털 TV 셋탑박스로 전송하면, 상기 디지털 코드에 해당되는 URL로 인터넷 접속하여 VOD 등을 다운받아 시청이 가능하게 된다. 이와 같이 본 실시예는 양방향 디지털 TV에 사용이 가능하다.
도 5a는 양방향 디지털 TV 셋탑박스에 적용한 본 발명에 의한 리모트 컨트롤 시스템의 개략 구조도이고, 도 5b는 그 흐름도이다. 본 실시예는 도 4a와 도 5a 및 도5b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먼저, 인쇄물(2) 상에 인쇄된 디지털 코드를 스캔 및 복원한 후, 자기설정코드가 없으면 피제어기기 유형코드를 인식하여 동작표시창(9)에 표시하는 것은 실시예 1과 동일하다(S400 ~ S402). 그 다음, 인식된 피제어기기 제어코드가 메모리(6)에 저장되어있는 피제어기기 제어코드 매핑 테이블(표 5 참조)에 존재하지 않는다면(S403), 제어코드변환 프로세서(5)는 상기 디지털 코드값에 사전에 정해진 캐리어 코드(예: x0FF)를 결합시키고(S500), 역시 사전에 정해진 이진코딩 방식을 이용하여 전송신호로 변조 및 증폭하고 해당 디지털 TV 셋탑박스로 전송하도록 한다(S501). 이 때, 상기 캐리어 코드 및 이진코딩 방식은 디지털 TV 셋탑박스의 제조사와 사전에 협의하여 결정한다. 이와 같이 전송된 제어신호는 양방향 디지털 TV 셋탑박스(30) 내의 신호수신유닛(39)에 의해 수신되어 다시 기능제어코드로 복원된 후, O/S(Operating System: 35)의 리모트 컨트롤 드라이버(38)로 입력된다(S502). 리모트 컨트롤 드라이버(38)는 상기 기능제어코드를 기기제어 프로세서(36) 및 응용프로그램실행 프로세서(37)로 분배하는 기능을 수행하며, 캐리 어 코드가 결합된 기능제어코드는 상기 캐리어 코드를 삭제한 후 응용프로그램실행 프로세서(37)로 입력된다(S503). 물론, 메모리(6)의 피제어기기 제어코드 매핑 테이블(표 5 참조)에 존재하는 일반적인 기능제어코드는 기기제어 프로세서(36)로 입력하여 양방향 디지털 TV 셋탑박스(30)를 제어하게 된다. 그러면, 응용프로그램실행 프로세서(37)는 메모리(40)로부터 상기 기능제어코드와 매핑된 URL을 읽어들이고, 상기 URL로 인터넷 망을 통하여 디지털 TV 서비스서버(32)로부터 해당 데이터인 VOD 등을 다운로드하여 이를 디지털 TV로 전송한다(S504). 따라서 본 실시예에 의하면, 사용자는 전단지 등의 인쇄물(2) 상에 인쇄된 디지털 코드를 스캔함으로써 인터넷 망에서 원하는 VOD 등을 다운받아 디지털 TV로 시청할 수 있게 된다.
[실시예 4]
본 실시예에 있어서는 본 발명에 의한 리모트 컨트롤 시스템을 MP3 플레이어의 제어에 적용한 것이다. 즉, 텍스트만으로 구성된 인쇄물과 이에 해당되는 음향을 출력하는 기존의 MP3 플레이어에 있어서는 해당 텍스트와 관련한 음향위치의 정확한 위치검색이 곤란하여 원하는 위치를 바로 찾거나 반복 청취하는 등의 작업이 곤란하다는 문제점을 가진다. 그러나, 각 구간마다 디지털 코드가 포함되는 텍스트를 사용하여 MP3 플레이어에서 상기 디지털 코드를 인식하게 하면, 각 음향 데이터 구간마다의 정확한 위치검색이 가능하게 된다. 이는 특히 가사를 제공하는 MP3 플레이어의 사용에 유용하다.
도 6a는 가사를 제공하는 통상적인 MP3 음향 데이터의 개략 구조도이고, 도 6b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디지털 코드가 포함된 MP3 음향 데이터의 개략 구 조도이며, 도 6c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디지털 코드가 포함된 인쇄물의 구성예를 나타낸다. 그리고, 도 7은 통상적인 MP3 플레이어의 개략 구조도이다.
도 6a와 같이 가사를 제공하는 통상적인 MP3 플레이어에서는 각 TIME 1, TIME 2...TIME N에 해당하는 시간에 도달되면 이에 해당되는 각 텍스트 TEXT 1, TEXT 2...TEXT N를 표시장치(44)로 출력하게 된다. 그러나, 본 실시예에 있어서는 도 6b와 같이 상기 TEXT 1, TEXT 2...TEXT N을 디지털 코드 1, 디지털 코드 2...디지털 코드 N으로 대체한 구조의 음향 데이터를 사용하므로, 먼저 도 6c와 같이 인쇄물의 여러 지점에 각 위치를 표시하는 투명 또는 반투명한 디지털 코드를 인쇄하여 놓고 이를 본 발명에 의한 리모트 컨트롤 시스템으로 인식하면, 각 특정 TIME마다 고유의 디지털 코드가 부여되어 원하는 정확한 위치의 검색이 가능해진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MP3 플레이어에 적용한 리모트 컨트롤 시스템의 동작 흐름도를 나타내며, 이를 참조하여 본 실시예의 동작을 설명한다.
먼저, 사용자는 본 발명에 의한 리모트 컨트롤러(15)를 MP3 플레이어(50)의 외부입출력장치(47)를 통하여 USB(Universal Serial Bus)로 직접 연결한다(S800). 그리고, 도 6c와 같이 각 구간별로 해당 디지털 코드가 포함된 텍스트를 리모트 컨트롤러(15)의 스캐너(14)로 스캔하면(S801), 이미지센서(4)를 통하여 제어코드변환 프로세서(5)가 상기 디지털 코드를 복원하여 이를 MP3 플레이어(50)의 외부입출력장치(47)로 전송한다(S802). 프로세서(45)는 이를 인식하여 플래쉬 메모리(46)의 해당 음향 파일의 뒷부분에 위치한 도 6b와 같은 텍스트 영역에서 디지털 코드와 일치되는 레코드를 읽어들인다(S803). 그리고, 해당 레코드의 TIME 값을 바탕으로 하여 지시받은 해당 음향 데이터의 위치로 이동하고, 상기 음향파일을 MP3 디코더(43)를 통하여 스피커(42)로 출력한다(S804). 이로써, 사용자는 자신이 원하는 정확한 위치의 음향 데이터로 손쉽게 액세스할 수 있게 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배포된 인쇄물 상에 인쇄된 디지털 코드를 단지 스캔하는 작업만에 의하여 여러 종류의 전자기기를 제어 가능하게 되어, 이로써 여러 제조사별, 제품별 리모트 컨트롤러를 통합하여 하나의 리모트 컨트롤러로 사용할 수 있게 되고, 또한 리모트 컨트롤러에 부착된 다기능 버튼 등이 필요없게 되어 사용이 편리해진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디지털 TV와 초고속 인터넷을 연결하는 셋탑박스로 구성되는 양방향 디지털 TV 환경에 있어서 여러 업자들이 배포한 인쇄물 상에 인쇄된 디지털 코드를 단지 스캔하는 작업만에 의하여 해당 URL로 인터넷 접속을 함으로써 여러 상품광고나 프로그램 등의 VOD를 다운받아 디지털 TV로 시청하며 구매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리모트 컨트롤러(15)를 MP3 플레이어(50)에 USB로 연결하여 제어함으로써 음향 데이터의 각 구간마다의 정확한 위치검색이 가능하게되어 손쉽게 원하는 위치를 바로 찾거나 반복 청취하는 등의 작업이 가능하다.
아울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는 예시의 목적을 위해 개시된 것이며, 해당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나 본 발명의 사상과 범위 안에서 다양한 수정, 변경, 부가 등이 가능할 것이고, 이러한 수정, 변경, 부가 등은 특허청 구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보아야 한다.

Claims (19)

  1. 인쇄된 디지털 코드를 스캔하여 피제어기기를 제어하는 리모트 컨트롤 시스템에 있어서,
    인쇄된 디지털 코드와;
    상기 디지털 코드를 인식하여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는 센서부와;
    상기 디지털 코드에 매핑되는 제어코드가 저장되며 상기 제어코드는 피제어기기의 기능제어에 대한 코드값과 전송방식에 대한 코드값을 포함하는 메모리와;
    상기 디지털 신호를 입력받아 고유의 디지털 코드값으로 복원하고 상기 메모리로부터 이에 대응하는 상기 제어코드를 추출하여 전송신호로 변조하는 프로세서와;
    상기 전송신호를 해당 피제어기기로 전송하는 신호전송부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모트 컨트롤 시스템.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디지털 코드값의 범위는
    피제어기기에 대한 제어기능의 추가 설정과 상기 리모트 컨트롤 시스템의 환경설정을 위한 자기설정코드값 영역과;
    피제어기기를 제어하기 위한 피제어기기 제어코드값 영역과;
    인터넷 망에 접속하기 위한 서비스요청코드값 영역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모트 컨트롤 시스템.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디지털 코드값의 범위는 현재 제어하고 있는 피제어기기를 표시하기 위한 피제어기기 유형코드값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모트 컨트롤 시스템.
  4. 제 2항 또는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디지털 코드값의 범위는 추가 설정된 피제어기기의 제어기능을 상기 리모트 컨트롤 시스템의 버튼에 매핑하기 위한 버튼매핑코드값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모트 컨트롤 시스템.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디지털 코드는 자기설정코드값과, 피제어기기 유형코드값과, 피제어기기 제어코드값과, 버튼매핑코드값과, 자기설정코드값으로 구성되며 소정의 순서대로 인쇄되어 인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모트 컨트롤 시스템.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메모리는
    상기 디지털 코드값과 매핑되는 피제어기기에 대한 기능제어코드값, 기능제어코드길이, 전송방식코드를 포함하는 매핑 테이블과;
    상기 전송방식코드에 매핑되는 신호의 전송방식 유형을 포함하는 매핑 테이블과;
    상기 디지털 코드값에 매핑되는 피제어기기 유형을 포함하는 매핑 테이블과;
    상기 디지털 코드값에 매핑되는 상기 리모트 컨트롤 시스템의 버튼유형을 포 함하는 매핑 테이블을 각각 저장하며, 상기 매핑 테이블들은 추가되어 갱신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모트 컨트롤 시스템.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전송신호는 적외선 통신, USB 통신 또는 블루투스 규약에 따르는 무선 통신 중의 적어도 어느 하나에 의하여 전송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모트 컨트롤 시스템.
  8. 인쇄된 디지털 코드를 스캔하여 피제어기기를 제어하는 리모트 컨트롤 시스템의 리모트 컨트롤 방법에 있어서,
    상기 인쇄된 디지털 코드를 센서를 통하여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고 이를 프로세서로 입력하는 단계와;
    상기 프로세서가 상기 디지털 신호를 고유의 디지털 코드로 복원하고 메모리로부터 상기 디지털 코드에 매핑되는 기능제어에 대한 코드값과 전송방식에 대한 코드값을 포함한 제어코드를 읽어내는 단계와;
    상기 프로세서가 상기 제어코드를 전송신호로 변조하여 신호전송유닛을 통하여 상기 피제어기기로 전송하는 단계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모트 컨트롤 방법.
  9. 인쇄된 디지털 코드를 인식하여 피제어기기를 제어하는 리모트 컨트롤 시스템의 리모트 컨트롤 방법에 있어서,
    상기 인쇄된 디지털 코드를 인식하여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고 이를 일련의 디지털 코드값으로 복원하는 제 1단계와;
    상기 일련의 디지털 코드값에서 자기설정에 대한 코드값의 존재를 조회하는 제 2단계와;
    자기설정에 대한 코드값이 존재하지 않는다면, 상기 일련의 디지털 코드값에 매핑되는 제어코드를 읽어내어 전송신호로 변조하고, 이를 해당 피제어기기로 전송하여 제어하는 제 3단계와;
    자기설정에 대한 코드값이 존재한다면, 상기 일련의 디지털 코드값으로부터 상기 리모트 컨트롤 시스템의 피제어기기에 대한 제어기능의 추가 설정과 자체 환경설정을 실행하는 제 4단계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모트 컨트롤 방법.
  10.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제 3단계는
    상기 일련의 디지털 코드값에 따라 이에 매핑되는 피제어기기 유형을 읽어내어 표시하는 단계와;
    상기 일련의 디지털 코드값에 따라 이에 매핑되는 기능제어코드값, 기능제어코드길이, 이진코딩방식코드를 읽어내는 단계와;
    상기 이진코딩방식코드에 따라 이에 매핑되는 전송방식을 읽어내고, 상기 전송방식에 따라 상기 기능제어코드값을 상기 기능제어코드길이만큼 반복하여 변조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모트 컨트롤 방법.
  11.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제 4단계는
    최초의 디지털 코드값이 디지털 코드의 할당을 시작하는 코드임을 조회하는 제 5단계와;
    디지털 코드의 할당을 시작하는 코드라면, 상기 일련의 디지털 코드로부터 피제어기기에 대한 제어기능을 추가하여 상기 리모트 컨트롤 시스템의 버튼에 상기 제어기능을 설정하여 저장하는 제 6단계와;
    디지털 코드의 할당을 시작하는 코드가 아니라면, 상기 리모트 컨트롤 시스템의 자체 환경설정을 실행하여 저장하는 제 7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모트 컨트롤 방법.
  12.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제 6단계는
    상기 일련의 디지털 코드값에 따라 이에 매핑되는 피제어기기 유형을 읽어내어 표시하고 임시 저장하는 단계와;
    상기 일련의 디지털 코드값에 따라 이에 매핑되는 기능제어코드값, 기능제어코드길이, 이진코딩방식코드를 읽어내고 임시 저장하는 단계와;
    상기 일련의 디지털 코드값에 따라 이에 매핑되는 버튼에 상기 추가된 제어기능을 설정하고 임시 저장하는 단계와;
    디지털 코드의 할당을 종료하는 디지털 코드가 인식되면, 상기 임시 저장된 데이터를 저장하고 종료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모트 컨트롤 방법.
  13.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제 7단계는
    환경설정임을 표시하는 단계와;
    상기 일련의 디지털 코드값에 존재하는 환경설정코드에 따라 상기 리모트 컨트롤 시스템의 환경설정을 실행하고 이를 임시 저장하는 단계와;
    디지털 코드의 할당을 종료하는 디지털 코드가 인식되면, 상기 임시 저장된 데이터를 저장하고 종료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모트 컨트롤 방법.
  14. 인쇄된 디지털 코드를 인식하여 피제어기기를 제어하는 리모트 컨트롤 시스템의 리모트 컨트롤 방법에 있어서,
    상기 인쇄된 디지털 코드를 인식하여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고 이를 일련의 디지털 코드값으로 복원하는 단계와;
    상기 디지털 코드값에 매핑되는 제어코드가 없다면, 이에 캐리어 코드를 결합하고 일정한 전송방식으로 변조한 전송신호를 전송하는 단계와;
    상기 전송신호를 수신받아 이로부터 제어코드를 복원하고 상기 제어코드에 결합된 상기 캐리어 코드를 삭제하는 단계와;
    상기 제어코드에 매핑되는 URL을 읽어내고, 상기 URL로 인터넷 망에 접속하여 데이터를 다운로드하는 단계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모트 컨트롤 방법.
  15. 제 14항에 있어서, 상기 캐리어 코드 및 상기 전송방식 각각은 상기 피제어기기에 따라 미리 정해진 임의의 방식으로 세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모트 컨트롤 방법.
  16. 인쇄물 상의 적어도 하나 이상의 지점에 인쇄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디지털 코드를 인식하여 피제어기기를 제어하는 리모트 컨트롤 시스템의 리모트 컨트롤 방법에 있어서,
    상기 인쇄된 디지털 코드를 인식하여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고 이를 일련의 디지털 코드값으로 복원하는 단계와;
    상기 디지털 코드값을 전송하는 단계와;
    저장된 임의의 파일로부터 상기 수신된 디지털 코드값에 매핑되는 위치의 데이터를 찾아내어 읽어내는 단계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모트 컨트롤 방법.
  17. 제 16항에 있어서, 상기 파일은 적어도 하나 이상의 디지털 코드값이 해당 위치에 따라 각각 부여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상기 데이터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모트 컨트롤 방법.
  18. 인쇄물 상의 적어도 하나 이상의 지점에 인쇄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디지털 코드를 인식함으로써 음향을 출력하는 음향기기를 제어하는 리모트 컨트롤 시스템의 리모트 컨트롤 방법에 있어서,
    상기 인쇄된 디지털 코드를 스캔하여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고 이를 일련의 디지털 코드값으로 복원하는 단계와;
    상기 디지털 코드값을 상기 음향기기로 전송하는 단계와;
    상기 음향기기 내에 저장되며, 적어도 하나 이상의 디지털 코드값이 적어도 하나 이상의 해당 시간데이터와 결합되는 텍스트 영역과 음향데이터 영역으로 구성되는 임의의 음향파일에서 상기 디지털 코드와 일치되는 상기 시간데이터를 읽어내는 단계와;
    상기 시간데이터에 해당되는 상기 음향데이터로 이동하여 이를 출력하는 단계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모트 컨트롤 방법.
  19. 제 8항 내지 제 18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전송은 적외선 통신, USB 통신 또는 블루투스 규약에 따르는 무선 통신 중의 적어도 어느 하나에 의하여 실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모트 컨트롤 방법.
KR1020040090996A 2004-11-09 2004-11-09 디지털 코드를 이용한 리모트 컨트롤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0650128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90996A KR100650128B1 (ko) 2004-11-09 2004-11-09 디지털 코드를 이용한 리모트 컨트롤 시스템 및 그 방법
PCT/KR2005/003765 WO2006052074A1 (en) 2004-11-09 2005-11-08 Remote control system using digital codes and the method thereof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90996A KR100650128B1 (ko) 2004-11-09 2004-11-09 디지털 코드를 이용한 리모트 컨트롤 시스템 및 그 방법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4-0031698U Division KR200374344Y1 (ko) 2004-11-09 2004-11-09 디지털 코드를 이용한 리모트 컨트롤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42355A KR20060042355A (ko) 2006-05-12
KR100650128B1 true KR100650128B1 (ko) 2006-11-27

Family

ID=3633671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90996A KR100650128B1 (ko) 2004-11-09 2004-11-09 디지털 코드를 이용한 리모트 컨트롤 시스템 및 그 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0650128B1 (ko)
WO (1) WO2006052074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94637B1 (ko) 2008-04-16 2009-04-24 주식회사 이씨오 업무처리 시스템에서 동작 바 코드를 이용한 효율적인 운영시스템 및 그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2333676A1 (en) * 2009-12-10 2011-06-15 Deutsche Telekom AG Method for information retrieval in a communication network
US9451311B2 (en) 2010-12-20 2016-09-20 Ricoh Company, Ltd. Generic remote controller
KR101676388B1 (ko) * 2015-06-08 2016-11-15 재단법인 실감교류인체감응솔루션연구단 메뉴 디바이스를 이용하는 원격기기 제어 시스템 및 방법
CN112217854A (zh) * 2019-07-12 2021-01-12 南京机器岛智能科技有限公司 一种支持云端快速响应的点读系统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472678A (en) * 1987-09-14 1989-03-17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Character string write device
KR20000028449A (ko) * 1998-10-31 2000-05-25 전주범 방송 수신기의 채널 선택 장치
US6498567B1 (en) * 1999-12-20 2002-12-24 Xerox Corporation Generic handheld remote control device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94637B1 (ko) 2008-04-16 2009-04-24 주식회사 이씨오 업무처리 시스템에서 동작 바 코드를 이용한 효율적인 운영시스템 및 그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06052074A1 (en) 2006-05-18
KR20060042355A (ko) 2006-05-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215746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setting programmable features of an appliance
US8811580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setting programmable features of an automotive appliance
US5767919A (en) Remote control method and video apparatus for performing the same
US6483906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setting programmable features of an appliance
US20010019367A1 (en) Control system
EP1717776A2 (en) Display apparatus and method for providing control function of an universal remote control
US10616636B2 (en) Setting integrated remote controller of display device
EP2161947B1 (en) Input device of apparatus using dot pattern
JP2002535770A (ja) 機械器具のプログラマブル機能を設定する方法および装置
KR20160012027A (ko) 원격제어장치 및 그의 동작 방법
KR100732839B1 (ko) 디지털 코드가 기록된 매체 및 이를 이용한 전자기기의원격 제어 장치 및 디지털 코드 인식/실행 장치
KR100650128B1 (ko) 디지털 코드를 이용한 리모트 컨트롤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0374344Y1 (ko) 디지털 코드를 이용한 리모트 컨트롤 시스템
CN111968360A (zh) 一种电子产品遥控功能定制方法及系统
CN102215362B (zh) 投影仪及图像显示方法
KR20200102861A (ko)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의 동작 방법
JP4665285B2 (ja) 遠隔制御機器及び遠隔制御方法
KR19980071518A (ko) 비디오 및/또는 오디오 장치에서 그래픽 디스플레이에 의해 유용한 정보를 제어하기 위한 시스템
US11974004B2 (en) Display device and operating method thereof
KR20040037898A (ko) 화면 비율 제어 장치 및 방법과 그에 적합한 리모콘
EP1111913A1 (en) Equipment control system
KR20240044943A (ko) 투명 디스플레이 장치
KR20190019766A (ko)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의 동작 방법
KR20070117777A (ko) Ocr 기능을 이용하여 epg를 생성하는 이동통신단말기및 그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O035 Opposition [patent]: request for opposition
O035 Opposition [patent]: request for opposition
O132 Decision on opposition [patent]
O132 Decision on opposition [patent]
O132 Decision on opposition [patent]
O074 Maintenance of registration after opposition [patent]: final registration of opposition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