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50052B1 - 통신 단말기 간에 컨텐츠를 전송하는 방법 및 상기 방법을채용한 통신 단말기 - Google Patents

통신 단말기 간에 컨텐츠를 전송하는 방법 및 상기 방법을채용한 통신 단말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50052B1
KR100650052B1 KR1020050092772A KR20050092772A KR100650052B1 KR 100650052 B1 KR100650052 B1 KR 100650052B1 KR 1020050092772 A KR1020050092772 A KR 1020050092772A KR 20050092772 A KR20050092772 A KR 20050092772A KR 100650052 B1 KR100650052 B1 KR 10065005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ent
communication terminal
drm
hash value
us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9277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지희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엘지텔레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엘지텔레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엘지텔레콤
Priority to KR102005009277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5005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5005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5005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1/00Security arrangements for protecting computers, components thereof, programs or data against unauthorised activity
    • G06F21/10Protecting distributed programs or content, e.g. vending or licensing of copyrighted material ; Digital rights management [DRM]
    • G06F21/12Protecting executable softwar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9/00Cryptographic mechanisms or cryptographic arrangements for secret or secure communications; Network security protocols
    • H04L9/32Cryptographic mechanisms or cryptographic arrangements for secret or secure communications; Network security protocols including means for verifying the identity or authority of a user of the system or for message authentication, e.g. authorization, entity authentication, data integrity or data verification, non-repudiation, key authentication or verification of credentials
    • H04L9/3263Cryptographic mechanisms or cryptographic arrangements for secret or secure communications; Network security protocols including means for verifying the identity or authority of a user of the system or for message authentication, e.g. authorization, entity authentication, data integrity or data verification, non-repudiation, key authentication or verification of credentials involving certificates, e.g. public key certificate [PKC] or attribute certificate [AC]; Public key infrastructure [PKI] arrang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Technology Law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ultimedia (AREA)
  • Information Transfer Between Computer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conomics (AREA)
  • Market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통신 단말기 간 컨텐츠를 전송하는 방법 및 상기 방법을 채용한 통신 단말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통신 단말기로부터 제2 통신 단말기로 소정의 컨텐츠를 전송하는 전송 요청을 입력 받아, 상기 컨텐츠를 제2 통신 단말기로 전송하고, 상기 컨텐츠에 대응하는 컨텐츠 DRM 정보를 변경하여 제2 통신 단말기에 전송함으로써 상기 제2 통신 단말기의 사용자가 상기 컨텐츠를 이용하도록 하는 통신 단말기 간에 컨텐츠를 전송하는 방법 및 상기 방법을 채용한 통신 단말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제1 통신 단말기는 제1 통신 단말기의 사용자로부터 제2 통신 단말기로 컨텐츠를 포함하는 컨텐츠 전송 요청을 입력 받아, 상기 컨텐츠를 제2 통신 단말기로 전송하고, 상기 컨텐츠에 대응하는 DRM 갱신 정보를 제2 통신 단말기로 전송하여 사용자의 컨텐츠 구입과 네트워크 접속에 따른 요금을 절감할 수 있다.
통신 단말기, 컨텐츠, 전송, DRM

Description

통신 단말기 간에 컨텐츠를 전송하는 방법 및 상기 방법을 채용한 통신 단말기{METHOD FOR TRANSMITTING CONTENTS BETWEEN COMMUNICATION TERMINALS AND COMMUNICATION TERMINAL OF ENABLING THE METHOD}
도 1은 종래의 통신 단말기에서 컨텐츠를 전송하는 방법의 과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통신 단말기 간의 네트워크 연결 관계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통신 단말기 간 컨텐츠를 전송하는 방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컨텐츠 저장부의 일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제1 통신 단말기에서 상기 컨텐츠 및 상기 컨텐츠 DRM 정보를 독출하여 상기 제2 통신 단말기로 전송하는 방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비밀키를 입력 받는 제2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일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DRM 갱신 정보를 입력 받은 사용자 인터 페이스의 일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통신 단말기의 내부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통신 단말기의 내부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800: 통신 단말기 801: 컨텐츠 저장부
802: 컨텐츠 전송 요청 수신부 803: 컨텐츠 제공부
804: DRM 갱신 관리부 805: DRM 갱신 정보 제공부
806: 사용자 인증부 807: 해시값 산출부
본 발명은 통신 단말기 간 컨텐츠를 전송하는 방법 및 상기 방법을 채용한 통신 단말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통신 단말기로부터 제2 통신 단말기로 소정의 컨텐츠를 전송하는 전송 요청을 입력 받아, 상기 컨텐츠를 제2 통신 단말기로 전송하고, 상기 컨텐츠에 대응하는 컨텐츠 DRM 정보를 변경하여 제2 통신 단말기에 전송함으로써 상기 제2 통신 단말기의 사용자가 상기 컨텐츠를 이용하도록 하는 통신 단말기 간에 컨텐츠를 전송하는 방법 및 상기 방법을 채용한 통신 단말기에 관한 것이다.
오늘날 통신 기술의 눈부신 발달은 통신 단말기(휴대기기)의 대중화를 급속히 촉진시켰고, 이제 대부분의 일반인들이 핸드폰, PDA 등의 통신 단말기를 항상 소지하고 있다.
이러한 통신 단말기에서 제공되는 서비스는 통신 기술의 발달 및 사용자들의 사용이 증가됨에 따라 기본적으로 제공되었던 음성 통화 서비스 및 문자 서비스에서 벗어나 보다 다양한 서비스(예를 들어, 게임, 무선 인터넷, 카메라 촬영, MP3 음악 제공 등)로 확대되었다. 또한, 통신 단말기에서 제공되는 무선 인터넷 서비스로 인해 사용자들은 다양한 종류의 컨텐츠를 다운로드 하여 상기 통신 단말기에 사용하고, 타(他) 통신 단말기의 사용자에게 선물로 상기 컨텐츠를 제공할 수 있게 되었다.
일반적으로 종래에 통신 단말기에서 타 통신 단말기로 컨텐츠를 전송하는 방법에 대하여 도 1을 참조하여 간략하게 설명한다.
제1 통신 단말기는 무선 인터넷 등을 통해 소정의 컨텐츠를 제공하는 컨텐츠 제공 서버에 접속(단계(101))한다. 컨텐츠 제공 서버는 상기 제1 통신 단말기의 사용자로부터 선택 입력된 소정의 컨텐츠에 대한 과금을 수행하고, 제1 통신 단말기로부터 제2 통신 단말기로 컨텐츠 전송 요청(단계(102))이 수신되는 경우, 상기 컨텐츠 제공 서버는 상기 컨텐츠와 연관하여 컨텐츠 전송 메시지를 제2 통신 단말기로 전송(단계(103))한다. 상기 제2 통신 단말기는 무선 인터넷을 통해 상기 컨텐츠 제공 서버에 접속(단계(104))하여 상기 컨텐츠를 다운로드(단계(105))한다.
상술한 종래의 컨텐츠 전송 방법은 컨텐츠 제공 서버를 통하여 컨텐츠를 전 송하기 때문에 컨텐츠 구입과 네트워크 접속에 따른 요금이 발생하게 되고, 다소 복잡한 절차를 거치므로 통신 단말기의 사용자가 컨텐츠를 전송함에 있어 불편함이 있었다.
또한, 통신 단말기에서 타 통신 단말기로 컨텐츠를 전송하는 종래의 다른 방법에 따르면 컨텐츠에 대응하는 DRM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컨텐츠를 전송하였다. 본 방법에 따르면, 제1 통신 단말기는 제1 통신 단말기에 저장하고 있는 컨텐츠를 제2 통신 단말기로 전송하고, 상기 컨텐츠에 대응하는 DRM 갱신 정보를 컨텐츠 제공 서버로 전송하며, 상기 컨텐츠 제공 서버는 상기 DRM 갱신 정보와 연관한 DRM 갱신 정보 메시지를 제2 통신 단말기로 전송한다. 제2 통신 단말기는 무선 인터넷을 통해 상기 컨텐츠 제공 서버에 접속하여 상기 DRM 갱신 정보를 다운로드 한다.
상기 DRM 정보는 컨텐츠에 대응하여 상기 컨텐츠를 사용할 수 있는 권한을 포함한다. 상기 DRM 갱신 정보는 상기 DRM 정보의 컨텐츠를 사용하는 권한의 일부를 포함한 DRM 정보로서, 상기 제1 통신 단말기는 제2 통신 단말기를 상기 DRM 갱신 정보를 전송하여 제2 통신 단말기가 상기 컨텐츠를 사용할 있는 권한을 부여하는 것이다.
그러나, 종래에 DRM을 이용하여 컨텐츠를 전송하는 방법 또한 제2 통신 단말기의 사용자에게 네트워크의 접속에 따른 요금이 청구된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제1 통신 단말기는 제1 통신 단말기의 사용자로부터 제2 통신 단말기로 컨 텐츠를 포함하는 컨텐츠 전송 요청을 입력 받아, 상기 컨텐츠를 제2 통신 단말기로 전송하고, 상기 컨텐츠에 대응하는 DRM 갱신 정보를 제2 통신 단말기로 전송하여 사용자의 컨텐츠 구입과 네트워크 접속에 따른 요금을 절감할 수 있도록 하는 통신 단말기 간에 컨텐츠를 전송하는 방법 및 상기 방법을 채용한 통신 단말기를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컨텐츠 전송에 따른 인증을 위하여 통신 단말기 간에 인증서를 송수신함으로써 상기 컨텐츠의 이용 권한을 확인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고, 상술한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제1 통신 단말기와 제2 통신 단말기 간에 컨텐츠를 전송하는 방법은, 상기 제1 통신 단말기에서, 하나 이상의 컨텐츠 및 상기 컨텐츠에 대응하는 컨텐츠 DRM 정보를 저장하는 컨텐츠 저장부를 유지하는 단계; 상기 제1 통신 단말기의 사용자로부터 제2 통신 단말기로 컨텐츠를 포함하는 컨텐츠 전송 요청을 입력 받는 단계; 상기 컨텐츠 저장부를 참조하여, 상기 컨텐츠 및 상기 컨텐츠에 대응하는 상기 컨텐츠 DRM 정보를 독출하고, 소정의 통신 모듈을 통하여 상기 독출된 컨텐츠 및 상기 컨텐츠 DRM 정보를 상기 제2 통신 단말기로 전송하는 단계; 상기 제2 통신 단말기로부터 확인 응답을 수신하는 경우, 상기 컨텐츠 DRM 정보와 연관하여 DRM 갱신 정보를 입력 받기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상기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 상기 사용자로부터 상기 컨텐츠 DRM 정보와 연관된 DRM 갱신 정보를 입력 받는 단계; 상기 입력된 DRM 갱신 정보를 상기 제2 통신 단말기로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컨텐츠 저장부를 참조하여, 상기 DRM 갱신 정보에 따라 상기 컨텐츠 DRM 정보를 갱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통신 단말기는, 하나 이상의 컨텐츠 및 상기 컨텐츠에 대응하는 컨텐츠 DRM 정보를 저장하는 컨텐츠 저장부; 상기 제1 통신 단말기의 사용자로부터 제2 통신 단말기로 컨텐츠를 포함하는 컨텐츠 전송 요청을 입력 받는 컨텐츠 전송 요청 수신부; 상기 컨텐츠 저장부를 참조하여, 상기 컨텐츠 및 상기 컨텐츠에 대응하는 상기 컨텐츠 DRM 정보를 독출하고, 소정의 통신 모듈을 통하여 독출된 컨텐츠 및 컨텐츠 DRM 정보를 상기 제2 통신 단말기로 전송하는 컨텐츠 제공부; 상기 제2 통신 단말기로부터 확인 응답을 수신하는 경우, 상기 컨텐츠 DRM 정보와 연관하여 DRM 갱신 정보를 입력 받기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상기 사용자에게 제공하고, 상기 사용자로부터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 상기 컨텐츠 DRM 정보와 연관된 DRM 갱신 정보를 입력 받는 DRM 갱신 관리부; 및 상기 입력된 DRM 갱신 정보를 상기 제2 통신 단말기로 전송하는 DRM 갱신 정보 제공부를 포함하고, 상기 DRM 갱신 관리부는 상기 컨텐츠 저장부를 참조하여, 상기 DRM 갱신 정보에 따라 상기 컨텐츠 DRM 정보를 갱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통신 단말기는, 상대방 통신 단말기로부터 상기 컨텐츠 및 상기 컨텐츠 DRM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상대방 통신 단말기로 확인 응답을 전송하는 컨텐츠 관리부; 및 상기 상대방 통신 단말기로부터 상기 DRM 갱신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DRM 갱신 정보에 따라 상기 컨텐츠 DRM 정보를 갱신하는 컨텐츠 DRM 관리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통신 단말기는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셀룰러폰, PCS(Personal Communication Service)폰, 핸드 헬드 PC(Hand-Held PC), CDMA-2000(1X, 3X)폰, WCDMA(Wideband CDMA)폰, 듀얼 밴드/듀얼 모드(Dual Band/Dual Mode)폰, GSM(Global Standard for Mobile)폰, MBS(Mobile Broadband System)폰, 노트북 컴퓨터, DEM(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폰 등을 포함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통신 단말기 간 컨텐츠를 전송하는 방법 및 상기 방법을 채용한 통신 단말기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통신 단말기 간의 네트워크 연결 관계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2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제1 통신 단말기(110)는 제1 통신 단말기(110)의 사용자로부터 제2 통신 단말기(120)로 컨텐츠를 포함하는 컨텐츠 전송 요청을 입력 받아, 소정의 통신 모듈을 통하여 제2 통신 단말기(120)로 상기 컨텐츠 및 상기 컨텐츠에 대응하는 컨텐츠 DRM 정보를 전송하고, 제2 통신 단말기(120)로부터 확인 응답을 수신하는 경우, 상기 컨텐츠 DRM 정보와 연관된 DRM 갱신 정보를 제1 통신 단말기(110)의 사용자로부터 입력 받아 제2 통신 단말기(120)로 전송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통신 단말기 간 컨텐츠를 전송하는 방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먼저, 단계(301)에서 상기 제1 통신 단말기는 하나 이상의 컨텐츠, 상기 컨텐츠에 대응하는 컨텐츠 DRM 정보를 저장하는 컨텐츠 저장부를 유지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컨텐츠 저장부의 일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컨텐츠 저장부(400)은 컨텐츠(401), 컨텐츠 DRM 정보(402)의 필드를 포함한다. 컨텐츠(401)는 제1 통신 단말기의 사용자가 소정의 컨텐츠 제공 서버로부터 컨텐츠 DRM 정보를 포함하는 컨텐츠를 다운로드 하여 제1 통신 단말기에 저장한 컨텐츠를 기록할 수 있다. 컨텐츠 DRM 정보(402)는 컨텐츠(401)에 대응하여 상기 컨텐츠의 권한 정보를 기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컨텐츠 "맞고"에 대응하는 상기 컨텐츠 DRM 정보로 "재생횟수: 10회, 재생기간: 2005. 6. ~ 2005. 7." 등을 기록할 수 있다.
단계(302)에서 상기 제1 통신 단말기의 사용자는 제2 통신 단말기로 컨텐츠를 포함하는 컨텐츠 전송 요청을 입력한다. 예를 들어, 상기 사용자는 제1 통신 단말기를 이용하여 컨텐츠 "맞고"를 제2 통신 단말기로 전송하는 컨텐츠 전송 요청을 입력할 수 있다.
단계(303)에서 상기 제1 통신 단말기는 상기 사용자로부터 상기 컨텐츠를 포함하는 컨텐츠 전송 요청을 입력을 수신한다.
단계(304)에서 상기 제1 통신 단말기는 상기 컨텐츠 전송 요청에 따라 상기 컨텐츠 저장부를 참조하여, 상기 컨텐츠 및 상기 컨텐츠에 대응하는 상기 컨텐츠 DRM 정보를 독출한다. 예를 들어, 상기 사용자로부터 상기 컨텐츠 전송 요청된 컨 텐츠가 "맞고"인 경우, 상기 제1 통신 단말기는 상기 컨텐츠 저장부를 참조하여, 상기 컨텐츠 "맞고" 및 상기 컨텐츠 "맞고"에 대응하는 컨텐츠 DRM 정보 "재생횟수: 10회, 재생기간: 2005. 6. ~ 2005. 7."을 독출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통신 단말기는 소정의 통신 모듈을 이용하여 상기 독출된 컨텐츠 및 컨텐츠 DRM 정보를 상기 제2 통신 단말기로 전송한다. 상기 통신 모듈은 소정의 데이터 송수신 케이블 수단, 블루투스 통신을 수행하는 블루투스 모듈, 또는 적외선 통신을 수행하는 IrDA 모듈, 인터넷 프로토콜을 이용하여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모바일 IP 모듈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단계(305)에서 상기 제2 통신 단말기는 상기 제1 통신 단말기로부터 상기 컨텐츠 및 상기 컨텐츠 DRM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컨텐츠 및 상기 컨텐츠 DRM 정보의 수신 확인에 대한 확인 응답(ACK)을 전송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라, 도 5 및 도 6을 참조하여, 상기 단계(304) 및 상기 단계(305)의 과정을 보다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제1 통신 단말기에서 상기 컨텐츠 및 상기 컨텐츠 DRM 정보를 독출하여 상기 제2 통신 단말기로 전송하는 방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단계(501)에서 상기 제1 통신 단말기는 상기 제1 통신 단말기의 사용자를 인증하는 제1 인증서를 제2 통신 단말기로 전송한다. 상기 제1 인증서는 소정의 공개키를 포함한다.
단계(502)에서 상기 제2 통신 단말기는 상기 제1 통신 단말기로부터 상기 공 개키를 포함하는 상기 제1 인증서를 수신하여 소정의 저장 수단에 저장하고, 상기 제1 통신 단말기로 상기 제2 통신 단말기의 제2 사용자를 인증하는 제2 인증서를 전송한다.
단계(503)에서 상기 제1 통신 단말기는 상기 제2 통신 단말기로부터 제2 인증서를 수신한다. 상기 제1 통신 단말기 및 제2 통신 단말기는 상기 인증서를 통해 통신 단말기 간 사용자 인증을 할 수 있다.
단계(504)에서 상기 제1 통신 단말기는 상기 컨텐츠 저장부를 참조하여, 상기 컨텐츠 및 상기 컨텐츠 DRM 정보를 독출한다.
단계(505)에서 상기 제1 통신 단말기는 소정의 해시(HASH) 함수를 이용하여 상기 독출된 컨텐츠의 해시값을 산출하고, 상기 산출된 해시값을 소정의 비밀키로 암호화한다. 상기 해시(HANSH) 함수는 컨텐츠를 전송함에 있어 에러를 검출하고, 암호화를 위한 목적으로 이용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1 통신 단말기는 상기 제1 통신 단말기의 사용자에게 상기 비밀키를 입력 받는 도 6과 같은 제2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하고, 상기 사용자로부터 상기 제2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하여 상기 비밀키를 입력 받을 수 있다. 상기 제1 통신 단말기는 상기 입력된 비밀키로 상기 해시값을 암호화 할 수 있다.
단계(506)에서 상기 제1 통신 단말기는 상기 컨텐츠, 상기 컨텐츠 DRM 정보 및 상기 암호화된 해시값을 상기 제2 통신 단말기로 전송한다.
단계(507)에서 상기 제2 통신 단말기는 상기 제1 통신 단말기로부터 상기 컨 텐츠, 상기 컨텐츠 DRM 정보 및 상기 해시값을 수신하고, 상기 저장 수단에 저장한다.
단계(508)에서 상기 제2 통신 단말기는 상기 저장 수단을 참조하여, 상기 제1 인증서에 포함된 상기 공개키를 독출하고, 상기 공개키를 이용하여 상기 수신된 해시값을 복호화한다. 즉, 상기 제2 통신 단말기는 상기 제1 인증서에 포함된 공개키를 이용하여 상기 수신된 해시값을 복호화 함으로써 상기 수신된 상기 컨텐츠, 상기 컨텐츠 DRM 정보 및 상기 해시값이 상기 제1 통신 단말기로부터 수신된 것임을 확인할 수 있다.
단계(509)에서 상기 제2 통신 단말기는 단계(505)에서 상기 제1 통신 단말기에서 이용한 상기 해시(HASH) 함수를 이용하여 상기 수신된 컨텐츠의 제2 해시값을 산출한다.
단계(510)에서 상기 제2 통신 단말기는 상기 복호화 된 해시값과 상기 제2 해시값을 비교하여 일치하는 경우, 상기 제1 통신 단말기로 확인 응답을 전송한다. 즉, 상기 제2 통신 단말기는 상기 복호화 된 해시값과 상기 제2 해시값을 비교하여 일치하는 경우, 상기 수신된 컨텐츠가 에러가 없는 것으로 간주하고, 정상적으로 컨텐츠가 수신되었음을 확인하는 확인 응답을 상기 제1 통신 단말기로 전송할 수 있다.
다시, 도 3을 참조하면, 단계(306)에서 상기 제1 통신 단말기는 상기 제2 통신 단말기로부터 확인 응답을 수신하는 경우, 상기 컨텐츠 DRM 정보와 연관하여 DRM 갱신 정보를 입력 받기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상기 사용자에게 제공한다.
단계(307)에서 상기 제1 통신 단말기의 사용자는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하여 상기 컨텐츠 DRM 정보와 연관된 DRM 갱신 정보를 입력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DRM 갱신 정보를 입력 받은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일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사용자는 상기 컨텐츠 DRM 정보에 연관하여 DRM 갱신 정보를 입력할 수 있다. 즉, 사용자가 컨텐츠 "맞고"에 대응하는 컨텐츠 DRM 정보 "재생 횟수: 10회, 재생 기간: 2005. 6. ~ 2005. 7."과 연관하여 DRM 갱신 정보를 입력하고자 하는 경우(도 7의 (a) 참조), "확인" 버튼을 푸쉬하고, "재생횟수: 3회, 재생 기간: 2005. 6."을 입력함으로써(도 7의 (b) 참조) 상기 컨텐츠 DRM 정보와 연관된 DRM 갱신 정보를 입력할 수 있다.
단계(308)에서 상기 제1 통신 단말기는 상기 사용자로부터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하여 상기 DRM 갱신 정보를 입력을 수신한다.
단계(309)에서 상기 제1 통신 단말기는 상기 입력된 DRM 갱신 정보를 상기 제2 통신 단말기로 전송한다. 일예로, 상기 제1 통신 단말기는 상기 컨텐츠 "맞고"에 대한 "재생횟수: 3회", "재생기간: 2005. 6."를 포함하는 DRM 갱신 정보를 상기 제2 통신 단말기로 전송한다.
단계(310)에서 상기 제2 통신 단말기는 상기 DRM 갱신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수신된 DRM 갱신 정보에 따라 상기 단계(305)에서 수신된 상기 컨텐츠 DRM 정보를 갱신한다. 일예로, 상기 제2 통신 단말기는 상기 단계(305)에서 수신된 컨텐츠 DRM 정보가 "재생 횟수: 10회, 재생 기간: 2005. 6. ~ 2005. 7."이고, 상기 수신된 DRM 갱신 정보가 "재생 횟수: 3회, 재생 기간: 2005. 6."인 경우, 상기 컨텐츠 DRM 정보를 "재생 횟수: 3회, 재생 기간: 2005. 6."로 갱신한다.
단계(311)에서 상기 제1 통신 단말기는 상기 컨텐츠 저장부를 참조하여, 상기 DRM 갱신 정보에 따라 상기 컨텐츠 DRM 정보를 갱신한다. 일예로, 상기 DRM 갱신 정보가 "재생 횟수: 3회, 재생 기간: 2005. 6."인 경우,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DRM 갱신 정보를 따라, 컨텐츠 저장부(400)에 저장된 컨텐츠(401) "맞고"에 대응하는 컨텐츠 DRM 정보(402) "재생 횟수: 10회, 재생 기간: 2005. 6. ~ 2005. 7."을 "재생 횟수: 7회, 재생 기간: 2005. 6. ~ 2005. 7."로 갱신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통신 단말기의 내부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8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통신 단말기(800)는 컨텐츠 저장부(801), 컨텐츠 전송 요청 수신부(802), 컨텐츠 제공부(803), DRM 갱신 관리부(804), DRM 갱신 정보 제공부(805), 사용자 인증부(806), 해시값 산출부(807)를 포함한다. 이하, 도 8을 참조하여 컨텐츠를 전송하기 위한 통신 단말기의 내부 구성의 일예를 상세히 설명하면 아래와 같다.
통신 단말기(800)의 컨텐츠 저장부(801)는 하나 이상의 컨텐츠, 상기 컨텐츠에 대응하는 컨텐츠 DRM 정보를 저장한다.
컨텐츠 전송 요청 수신부(802)는 사용자로부터 제2 통신 단말기로 컨텐츠를 포함하는 컨텐츠 전송 요청을 입력 받는다.
컨텐츠 제공부(803)는 컨텐츠 저장부(801)를 참조하여, 상기 컨텐츠 및 상기 컨텐츠에 대응하는 상기 컨텐츠 DRM 정보를 독출하고, 소정의 통신 모듈을 이용하여 상기 독출된 컨텐츠 및 컨텐츠 DRM 정보를 상기 제2 통신 단말기로 전송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컨텐츠 제공부(803)는 사용자 인증부(806) 및 해시값 산출부(807)을 포함한다.
사용자 인증부(806)는 상기 사용자를 인증하는 제1 인증서를 제2 통신 단말기로 전송하고, 상기 제2 통신 단말기로부터 상기 제2 통신 단말기의 제2 사용자를 인증하는 제2 인증서를 수신한다. 상기 제1 인증서는 소정의 공개키를 포함한다.
해시값 산출부(807)는 컨텐츠 저장부(801)를 참조하여, 상기 컨텐츠 및 상기 컨텐츠 DRM 정보를 독출하고, 소정의 해시(HASH) 함수를 이용하여 상기 독출된 컨텐츠의 해시값을 산출하고, 상기 산출된 해시값을 소정의 비밀키로 암호화한다. 또한, 컨텐츠 제공부(803)는 상기 암호화된 해시값을 더 포함하여 상기 제2 통신 단말기로 전송한다.
DRM 갱신 관리부(804)는 상기 제2 통신 단말기로부터 확인 응답을 수신하는 경우, 상기 컨텐츠 DRM 정보와 연관하여 DRM 갱신 정보를 입력 받기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상기 사용자에게 제공하고, 상기 사용자로부터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 상기 컨텐츠 DRM 정보와 연관된 DRM 갱신 정보를 입력 받는다.
DRM 갱신 정보 제공부(805)는 상기 입력된 DRM 갱신 정보를 상기 제2 통신 단말기로 전송한다.
DRM 갱신 관리부(804)는 상기 컨텐츠 저장부를 참조하여, 상기 DRM 갱신 정보에 따라 상기 컨텐츠 DRM 정보를 갱신한다.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통신 단말기의 내부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9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통신 단말기(900)는 컨텐츠 관리부(901), 컨텐츠 DRM 관리부(902), 사용자 인증부(903), 컨텐츠 저장부(904), 컨텐츠 무결성 관리부(905), 통신부(906)를 포함한다. 이하, 통신 단말기(900)는 컨텐츠를 수신하기 위한 통신 단말기의 내부 구성의 일예를 설명한 것이다. 또한, 후술하는 상대방 통신 단말기는 컨텐츠를 전송하는 통신 단말기를 의미하는 것이다.
컨텐츠 관리부(901)는 상대방 통신 단말기로부터 상기 컨텐츠 및 상기 컨텐츠 DRM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상대방 통신 단말기로 확인 응답을 전송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컨텐츠 관리부(901)는 사용자 인증부(903), 컨텐츠 저장부(904), 컨텐츠 무결성 관리부(905), 통신부(906)를 포함한다.
사용자 인증부(903)는 상기 상대방 통신 단말기로부터 상기 공개키를 포함하는 상기 제1 인증서를 수신하여 소정의 저장 수단에 저장하고, 상기 상대방 통신 단말기로 상기 제2 인증서를 전송한다.
컨텐츠 저장부(904)는 상기 상대방 통신 단말기로부터 상기 컨텐츠, 상기 컨텐츠 DRM 정보 및 상기 해시값을 수신하고, 상기 저장 수단에 저장한다.
컨텐츠 무결성 관리부(905)는 상기 저장 수단을 참조하여, 상기 제1 인증서에 포함된 상기 공개키를 독출하고, 상기 공개키를 이용하여 상기 해시값을 복호화하며, 상기 해시 함수를 이용하여 상기 수신된 컨텐츠의 제2 해시값을 산출하고 상기 복호화 된 해시값과 상기 제2 해시값을 비교하여 일치여부를 판단한다.
통신부(906)는 상기 판단 결과 일치하는 경우, 상기 상대방 통신 단말기로 확인 응답을 전송한다.
컨텐츠 DRM 관리부(902)는 상기 상대방 통신 단말기로부터 상기 DRM 갱신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DRM 갱신 정보에 따라 상기 컨텐츠 DRM 정보를 갱신한다.
본 발명에 따른 통신 단말기 간 컨텐츠를 전송하는 방법은 다양한 컴퓨터 수단을 통하여 수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명령 형태로 구현되어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매체에 기록되는 프로그램 명령은 본 발명을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들이거나 컴퓨터 소프트웨어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도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의 예에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magnetic media), CD-ROM, DVD와 같은 광기록 매체(optical media),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 media), 및 롬(ROM), 램(RAM),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프로그램 명령을 저장하고 수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가 포함된다. 상기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 데이터 구조 등을 지정하는 신호를 전송하는 반송파를 포함하는 광 또는 금속선, 도파관 등의 전송 매체일 수도 있다. 프로그램 명령의 예에는 컴파일러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해서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를 포함한다. 상기된 하드웨어 장치는 본 발명의 동작을 수행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모듈로서 작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 며, 그 역도 마찬가지이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상기의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제1 통신 단말기는 제1 통신 단말기의 사용자로부터 제2 통신 단말기로 컨텐츠를 포함하는 컨텐츠 전송 요청을 입력 받아, 상기 컨텐츠를 제2 통신 단말기로 전송하고, 상기 컨텐츠에 대응하는 DRM 갱신 정보를 제2 통신 단말기로 전송하여 사용자의 컨텐츠 구입과 네트워크 접속에 따른 요금을 절감할 수 있다.
또한, 또한, 본 발명은 컨텐츠 전송에 따른 인증을 위하여 통신 단말기 간에 인증서를 송수신함으로써 상기 컨텐츠의 이용 권한을 확인할 수 있다.

Claims (12)

  1. 제1 통신 단말기와 제2 통신 단말기 간에 컨텐츠를 전송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제1 통신 단말기에서,
    하나 이상의 컨텐츠 및 상기 컨텐츠에 대응하는 컨텐츠 DRM 정보를 저장하는 컨텐츠 저장부를 유지하는 단계;
    상기 제1 통신 단말기의 사용자로부터 제2 통신 단말기로 컨텐츠를 포함하는 컨텐츠 전송 요청을 입력 받는 단계;
    상기 컨텐츠 저장부를 참조하여, 상기 컨텐츠 및 상기 컨텐츠에 대응하는 상기 컨텐츠 DRM 정보를 독출하고, 소정의 통신 모듈을 통하여 상기 독출된 컨텐츠 및 컨텐츠 DRM 정보를 상기 제2 통신 단말기로 전송하는 단계;
    상기 제2 통신 단말기로부터 확인 응답을 수신하는 경우, 상기 컨텐츠 DRM 정보와 연관하여 DRM 갱신 정보를 입력 받기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상기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 상기 사용자로부터 상기 컨텐츠 DRM 정보와 연관된 DRM 갱신 정보를 입력 받는 단계;
    상기 입력된 DRM 갱신 정보를 상기 제2 통신 단말기로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컨텐츠 저장부를 참조하여, 상기 DRM 갱신 정보에 따라 상기 컨텐츠 DRM 정보를 갱신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단말기 간 컨텐츠 전송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통신 단말기에서,
    상기 제1 통신 단말기로부터 상기 컨텐츠 및 상기 컨텐츠 DRM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제1 통신 단말기로 확인 응답을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통신 단말기로부터 상기 DRM 갱신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DRM 갱신 정보에 따라 상기 컨텐츠 DRM 정보를 갱신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단말기 간 컨텐츠 전송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컨텐츠 저장부를 참조하여, 상기 컨텐츠 및 상기 컨텐츠 DRM 정보를 독출하여 상기 제2 통신 단말기로 전송하는 상기 단계는,
    상기 제1 통신 단말기의 사용자를 인증하는 제1 인증서를 제2 통신 단말기로 전송하는 단계 상기 제1 인증서는 소정의 공개키를 포함함 -;
    상기 제2 통신 단말기로부터 상기 제2 통신 단말기의 제2 사용자를 인증하는 제2 인증서를 수신하고, 상기 컨텐츠 저장부를 참조하여 상기 컨텐츠 및 상기 컨텐츠 DRM 정보를 독출하는 단계;
    소정의 해시(HASH) 함수를 이용하여 상기 독출된 컨텐츠의 해시값을 산출하고, 상기 산출된 해시값을 소정의 비밀키로 암호화하는 단계; 및
    상기 컨텐츠, 상기 컨텐츠 DRM 정보 및 상기 암호화된 해시값을 상기 제2 통 신 단말기로 전송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단말기 간 컨텐츠 전송 방법.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해시값을 소정의 비밀키로 암호화 하는 상기 단계는,
    상기 제1 통신 단말기의 사용자에게 비밀키를 입력 받는 제2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하고, 상기 사용자로부터 상기 비밀키를 입력 받는 단계; 및
    상기 해시값을 상기 입력된 비밀키로 암호화 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단말기 간 컨텐츠 전송 방법.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통신 단말기로부터 상기 컨텐츠 및 상기 컨텐츠 DRM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제1 통신 단말기로 상기 확인 응답을 전송하는 상기 단계는,
    상기 제1 통신 단말기로부터 상기 공개키를 포함하는 상기 제1 인증서를 수신하여 소정의 저장 수단에 저장하고, 상기 제1 통신 단말기로 상기 제2 인증서를 전송하는 단계;
    상기 제1 통신 단말기로부터 상기 컨텐츠, 상기 컨텐츠 DRM 정보 및 상기 해시값을 수신하고, 상기 저장 수단에 저장하는 단계;
    상기 저장 수단을 참조하여, 상기 제1 인증서에 포함된 상기 공개키를 독출하고, 상기 공개키를 이용하여 상기 해시값을 복호화하는 단계;
    상기 해시 함수를 이용하여 상기 수신된 컨텐츠의 제2 해시값을 산출하는 단계; 및
    상기 복호화 된 해시값과 상기 제2 해시값을 비교하여 일치하는 경우, 상기 제1 통신 단말기로 상기 확인 응답을 전송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단말기 간 컨텐츠 전송 방법.
  6.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통신 단말기로부터 상기 컨텐츠 및 상기 컨텐츠 DRM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제1 통신 단말기로 상기 확인 응답을 전송하는 상기 단계는,
    상기 제1 통신 단말기로부터 상기 공개키를 포함하는 상기 제1 인증서를 수신하여 소정의 저장 수단에 저장하고, 상기 제1 통신 단말기로 상기 제2 인증서를 전송하는 단계;
    상기 제1 통신 단말기로부터 상기 컨텐츠, 상기 컨텐츠 DRM 정보 및 상기 해시값을 수신하고, 상기 저장 수단에 저장하는 단계;
    상기 저장 수단을 참조하여, 상기 제1 인증서에 포함된 상기 공개키를 독출하고, 상기 공개키를 이용하여 상기 해시값을 복호화하는 단계;
    상기 해시 함수를 이용하여 상기 수신된 컨텐츠의 제2 해시값을 산출하는 단계; 및
    상기 복호화 된 해시값과 상기 제2 해시값을 비교하여 일치하는 경우, 상기 제1 통신 단말기로 상기 확인 응답을 전송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단말기 간 컨텐츠 전송 방법.
  7.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의 방법을 실행하기 위한 프로그램이 기록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에서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8. 컨텐츠 전송을 위한 통신 단말기에 있어서,
    하나 이상의 컨텐츠 및 상기 컨텐츠에 대응하는 컨텐츠 DRM 정보를 저장하는 컨텐츠 저장부;
    사용자로부터 제2 통신 단말기로 컨텐츠를 포함하는 컨텐츠 전송 요청을 입력 받는 컨텐츠 전송 요청 수신부;
    상기 컨텐츠 저장부를 참조하여, 상기 컨텐츠 및 상기 컨텐츠에 대응하는 상기 컨텐츠 DRM 정보를 독출하고, 소정의 통신 모듈을 통하여 상기 독출된 컨텐츠 및 컨텐츠 DRM 정보를 상기 제2 통신 단말기로 전송하는 컨텐츠 제공부;
    상기 제2 통신 단말기로부터 확인 응답을 수신하는 경우, 상기 컨텐츠 DRM 정보와 연관하여 DRM 갱신 정보를 입력 받기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상기 사용자에게 제공하고, 상기 사용자로부터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 상기 컨텐츠 DRM 정보와 연관된 DRM 갱신 정보를 입력 받는 DRM 갱신 관리부; 및
    상기 입력된 DRM 갱신 정보를 상기 제2 통신 단말기로 전송하는 DRM 갱신 정보 제공부
    를 포함하고,
    상기 DRM 갱신 관리부는 상기 컨텐츠 저장부를 참조하여, 상기 DRM 갱신 정보에 따라 상기 컨텐츠 DRM 정보를 갱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단말기.
  9. 제8항에 있어서,
    컨텐츠 제공부는,
    상기 사용자를 인증하는 제1 인증서 상기 제1 인증서는 소정의 공개키를 포함함 - 를 제2 통신 단말기로 전송하고, 상기 제2 통신 단말기로부터 상기 제2 통신 단말기의 제2 사용자를 인증하는 제2 인증서를 수신하는 사용자 인증부;
    상기 컨텐츠 저장부를 참조하여, 상기 컨텐츠 및 상기 컨텐츠 DRM 정보를 독출하고, 소정의 해시(HASH) 함수를 이용하여 상기 독출된 컨텐츠의 해시값을 산출하고, 상기 산출된 해시값을 소정의 비밀키로 암호화하는 해시값 산출부
    포함하고,
    상기 컨텐츠 제공부는 상기 암호화된 해시값을 더 포함하여 상기 제2 통신 단말기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단말기.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해시값을 소정의 비밀키로 암호화 하는 해시값 산출부는,
    상기 사용자에게 비밀키를 입력 받는 제2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하고, 상기 사용자로부터 상기 비밀키를 입력 받고, 상기 해시값을 상기 입력된 비밀키로 암호화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단말기.
  11. 컨텐츠 수신을 위한 통신 단말기에 있어서,
    상대방 통신 단말기로부터 상기 컨텐츠 및 상기 컨텐츠 DRM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상대방 통신 단말기로 확인 응답을 전송하는 컨텐츠 관리부; 및
    상기 상대방 통신 단말기로부터 상기 DRM 갱신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DRM 갱신 정보에 따라 상기 컨텐츠 DRM 정보를 갱신하는 컨텐츠 DRM 관리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단말기.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컨텐츠 관리부는,
    상기 상대방 통신 단말기로부터 상기 공개키를 포함하는 상기 제1 인증서를 수신하여 소정의 저장 수단에 저장하고, 상기 상대방 통신 단말기로 상기 제2 인증서를 전송하는 사용자 인증부;
    상기 상대방 통신 단말기로부터 상기 컨텐츠, 상기 컨텐츠 DRM 정보 및 상기 해시값을 수신하고, 상기 저장 수단에 저장하는 컨텐츠 저장부;
    상기 저장 수단을 참조하여, 상기 제1 인증서에 포함된 상기 공개키를 독출하고, 상기 공개키를 이용하여 상기 해시값을 복호화하고, 상기 해시 함수를 이용하여 상기 수신된 컨텐츠의 제2 해시값을 산출하는 컨텐츠 무결성 관리부; 및
    상기 복호화 된 해시값과 상기 제2 해시값을 비교하여 일치하는 경우, 상기 상대방 통신 단말기로 확인 응답을 전송하는 통신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단말기.
KR1020050092772A 2005-10-04 2005-10-04 통신 단말기 간에 컨텐츠를 전송하는 방법 및 상기 방법을채용한 통신 단말기 KR10065005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92772A KR100650052B1 (ko) 2005-10-04 2005-10-04 통신 단말기 간에 컨텐츠를 전송하는 방법 및 상기 방법을채용한 통신 단말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92772A KR100650052B1 (ko) 2005-10-04 2005-10-04 통신 단말기 간에 컨텐츠를 전송하는 방법 및 상기 방법을채용한 통신 단말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650052B1 true KR100650052B1 (ko) 2006-11-27

Family

ID=3771363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92772A KR100650052B1 (ko) 2005-10-04 2005-10-04 통신 단말기 간에 컨텐츠를 전송하는 방법 및 상기 방법을채용한 통신 단말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50052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23456B1 (ko) * 2007-02-23 2009-11-09 삼성전자주식회사 휴대용 단말기에서 디지털 저작권 관리 컨텐츠 관리 방법 및 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23456B1 (ko) * 2007-02-23 2009-11-09 삼성전자주식회사 휴대용 단말기에서 디지털 저작권 관리 컨텐츠 관리 방법 및 장치
US8752205B2 (en) 2007-02-23 2014-06-10 Samsung Electronics Co., Ltd Apparatus and method for managing digital rights management contents in portable terminal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482451B2 (ja) 暗号化されたユーザデータオブジェクトの伝送方法
RU2432691C2 (ru) Аппаратура и способ для передачи объекта прав из одного устройства другому устройству посредством сервера
US7526657B2 (en)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and program storage medium
EP1529371B1 (en) Monitoring of digital content provided from a content provider over a network
US6889212B1 (en) Method for enforcing a time limited software license in a mobile communication device
KR101129779B1 (ko) 라이센스 정보에 기초한 핸드셋들 간 애플리케이션들의 프로그램적 전송
EP2271140B1 (en) Robust and flexible Digital Rights Management (DRM) involving a tamper-resistant identity module
US7617158B2 (en) System and method for digital rights management of electronic content
JP5296066B2 (ja) コンテンツライセンス供与のための方法、システム及び装置
US20070288387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effecting the return of a rights management object
WO2021004392A1 (zh) 鉴权方法、设备及服务器
US20120210445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Verifying the Authenticity of a Remote Device
CA2778737C (en) Method and devices for managing permission requests to allow access to computing resource
CN1717111A (zh) 通过蜂窝网络的设备的安全证书登记
KR20090003422A (ko) 휴대단말의 콘텐츠 권리객체 획득 방법 및 장치
US20020083004A1 (en)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and program storage medium
KR100646350B1 (ko) 보안 플랫폼을 탑재한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보안 데이터를공유하는 방법
US20070155364A1 (en) Method and system for content based obligation enforcement in an electronic equipment
JP2004234200A (ja) 情報視聴システム
KR100650052B1 (ko) 통신 단말기 간에 컨텐츠를 전송하는 방법 및 상기 방법을채용한 통신 단말기
JP2009514322A (ja) 互いに異なるdrm方式を支援する端末機間にコンテンツを提供するdrmゲートウェイの動作方法およびこの方法が採用されたdrmゲートウェイ
KR100706085B1 (ko) 복수의 디바이스에 적용 가능한 drm 방법
KR20060006275A (ko) 이동통신 단말기의 비인증 디지털 음원 컨텐츠에 대한인증 방법
KR100646379B1 (ko) 보안 플랫폼에서 보안 데이터를 제어하는 방법 및 이동통신단말기
KR20060117786A (ko) Drm 기반의 멀티미디어 컨텐츠 서비스 방법 및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91022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016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021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11

Year of fee payment: 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