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49485B1 - 열전달이 향상되는 동시에 시공이 간편한 건식난방용온돌패널 - Google Patents

열전달이 향상되는 동시에 시공이 간편한 건식난방용온돌패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49485B1
KR100649485B1 KR1020040098073A KR20040098073A KR100649485B1 KR 100649485 B1 KR100649485 B1 KR 100649485B1 KR 1020040098073 A KR1020040098073 A KR 1020040098073A KR 20040098073 A KR20040098073 A KR 20040098073A KR 100649485 B1 KR100649485 B1 KR 10064948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t water
water pipe
heat transfer
heat dissipation
ondol pane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9807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60058992A (ko
Inventor
백상희
Original Assignee
대창기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창기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대창기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4009807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49485B1/ko
Publication of KR2006005899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5899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4948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4948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CSTRUCTURAL ELEMENTS; BUILDING MATERIALS
    • E04C2/00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 E04C2/44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characterised by the purpose
    • E04C2/52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characterised by the purpose with special adaptations for auxiliary purposes, e.g. serving for locating conduits
    • E04C2/521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characterised by the purpose with special adaptations for auxiliary purposes, e.g. serving for locating conduits serving for locating conduits; for ventilating, heating or cooling
    • E04C2/525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characterised by the purpose with special adaptations for auxiliary purposes, e.g. serving for locating conduits serving for locating conduits; for ventilating, heating or cooling for heating or cool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DDOMESTIC- OR SPACE-HEATING SYSTEMS, e.g. CENTRAL HEATING SYSTEMS; DOMESTIC HOT-WATER SUPPLY SYSTEMS; ELEMENTS OR COMPONENTS THEREFOR
    • F24D19/00Details
    • F24D19/02Arrangement of mountings or supports for radiators
    • F24D19/0203Types of supporting means
    • F24D19/0213Floor mounted supporting mea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DDOMESTIC- OR SPACE-HEATING SYSTEMS, e.g. CENTRAL HEATING SYSTEMS; DOMESTIC HOT-WATER SUPPLY SYSTEMS; ELEMENTS OR COMPONENTS THEREFOR
    • F24D3/00Hot-water central heating systems
    • F24D3/12Tube and panel arrangements for ceiling, wall, or underfloor heating
    • F24D3/122Details
    • F24D3/127Mechanical connections between panel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DDOMESTIC- OR SPACE-HEATING SYSTEMS, e.g. CENTRAL HEATING SYSTEMS; DOMESTIC HOT-WATER SUPPLY SYSTEMS; ELEMENTS OR COMPONENTS THEREFOR
    • F24D3/00Hot-water central heating systems
    • F24D3/12Tube and panel arrangements for ceiling, wall, or underfloor heating
    • F24D3/14Tube and panel arrangements for ceiling, wall, or underfloor heating incorporated in a ceiling, wall or floor
    • F24D3/141Tube mounting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F24D3/142Tube mountings specially adapted therefor integrated in prefab construction element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2290/00Specially adapted covering, lining or flooring ele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E04F2290/02Specially adapted covering, lining or flooring ele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accommodating service installations or utility lines, e.g. heating conduits, electrical lines, lighting devices or service outlets
    • E04F2290/023Specially adapted covering, lining or flooring ele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accommodating service installations or utility lines, e.g. heating conduits, electrical lines, lighting devices or service outlets for heat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rchitectur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Floor Finish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열전달이 향상되는 동시에 시공이 간편한 건식난방용 온돌패널에 관한 것이며, 그 목적은 열효율을 향상시키며, 규격화된 방열보드를 통해 작업의 효율성을 가져올 수 있는 열전달이 향상되는 동시에 시공이 간편한 건식난방용 온돌패널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은 상측의 바닥마감재로 열원공급수단을 통해 열전달을 수행하는 방열보드를 구성하는 건식용 온돌패널에 있어서,
상기 방열보드는 바닥베이스상에 설치되는 하판과, 상판이 적층되며 그 내측에는 '
Figure 112004055604907-pat00001
'형의 단면을 갖는 온수배관을 구성하고; 상기 하판의 상·하 양측면에는 온수배관의 '
Figure 112004055604907-pat00002
'형과 대응되어 온수배관이 억지끼움되어 설치 고정되는 설치홈을 다수 형성하되; 상·하 양측면에 형성된 설치홈의 개수를 상호 달리하여; 설치환경에 따라 하판의 양측면중 선택된 일측면에 온수배관을 설치한 후 그 상측으로 상판이 적층되도록 한 것 열전달이 향상되는 동시에 시공이 간편한 건식용 온돌패널에 관한 것을 그 기술적 요지로 한다.
온돌패널, 방열보드, 온수배관, 목분, 폴리프로필렌

Description

열전달이 향상되는 동시에 시공이 간편한 건식난방용 온돌패널 {A Korean floor heater panel for the dry heating that construction is convenient at the same time that a heat transmission improves}
도 1 은 본 발명에 따른 온돌패널의 단면 예시도
도 2 는 다른 실시예에 의한 온돌패널의 단면 예시도
도 3 은 본 발명이 적용되는 온돌패널의 설치 평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1) : 바닥베이스
(15) : 바닥마감재
(20) : 방열보드
(20a) : 설치홈
(21,21') : 하판
(22) : 상판
(25) : 온수배관
(20-1) : 상·하판부재
본 발명은 열전달이 향상되는 동시에 시공이 간편한 건식용 온돌패널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열전달면적을 넓혀 열효율을 향상시킬수 있도록 한 온수배관 및 이러한 온수배관의 설치변경이 용이한 방열보드를 구비하는 열전달이 향상되는 동시에 시공이 간편한 건식난방용 온돌패널에 관한 것이다.
통상 온돌공사는 습식과 건식의 두가지 방법이 있는데 시공시 장시간의 양생과정, 시공상의 복잡성과 유지보수문제, 또한 구조물의 하중 등의 이유로 인해 요즘은 건식용 온돌공사가 많이 이루어지고 있다.
이러한 건식난방용 온돌은 평탄화된 슬라브등의 바닥베이스상에 단열재와, 온수공급수단을 구비하는 방열체와, 상부마감재와, 바닥마감재가 적층된 구조를 이루게 된다.
하지만 상기와 같은 구조의 건식용 온돌구조에 있어서는 일정간격을 유지한채 병렬구조를 이루고 있는 온수공급수단은 원형의 온수파이프가 상호 일정간격을 유지한채 병렬구조를 이루고 있으며, 이로 인해 상측으로 열원이 공급되어야할 바닥마감재에서는 국부요소에만 열전달이 증가되어 냉점이 발생되는 등 열효율측면에 문제점이 남아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되는 것으로, 그 목적은 상부 바닥마감재측으로 향하는 열전달면적을 넓혀 열효율을 향상시킬수 있도록 한 온수배관 및 이러한 온수배관이 설치 삽입된 방열보드를 제공하며, 또한, 다양한 배관의 설치형태에 따라 이에 대응되어 설치변경이 자유로운 방열보드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와 같은 온수배관 및 방열보드를 통해 전체적인 온돌구조체의 하중저하 및 설치에 따른 제작효율을 향상할 수 있는 열전달이 향상되는 동시에 시공이 간편한 건식난방용 온돌패널을 제공함에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고 종래의 결점을 제거하기 위한 과제를 수행하는 본 발명은 하측으로 평탄화된 바닥베이스상에 설치되어 상측의 바닥마감재로 열원공급수단을 통해 열전달을 수행하는 방열보드를 구성하는 건식용 온돌패널에 있어서,
상기 방열보드는 바닥베이스상에 설치되는 하판과, 상판이 적층되며 그 내측에는 수직방향의 직경보다 수평방향의 직경이 큰 '
Figure 112004055604907-pat00003
'형의 단면을 갖는 온수배관을 구성하고; 상기 하판의 상·하 양측면에는 온수배관의 '
Figure 112004055604907-pat00004
'형과 대응되어 온수배관이 억지끼움되어 설치 고정되는 설치홈을 다수 형성하되; 상·하 양측면에 형성된 설치홈의 개수를 상호 달리하여; 설치환경에 따라 하판의 양측면중 선택된 일 측면에 온수배관을 설치한 후 그 상측으로 상판이 적층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방열보드를 구성하는 상판 및 하판은 각각 다수의 상판부재 및 하판부재가 외측둘레를 따라 형성된 걸림턱/걸림홈에 의해 평면적으로 결합되어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방열보드는 목분과 폴리프로필렌(PP)의 복합체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도면과 연계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 은 본 발명에 따른 온돌패널의 단면 예시도를, 도 2 는 다른 실시예에 의한 온돌패널의 단면 예시도를, 도 3 은 본 발명이 적용되는 온돌패널의 설치 평면도를 도시한 것으로,
콘크리트슬라브 등의 바닥베이스(10)상에서 체결볼트(미도시)에 의해 고정되어 열원공급수단을 통해 열전달을 수행하는 방열보드(20)와, 이 방열보드(20)상에 접착체등을 통해 마감처리되는 바닥마감재(15)로 구성되는 건식난방용 온돌패널에 있어서,
상기 방열보드(20)는 상판(22)과 하판(21) 및 열원공급수단으로 상기 상판(22)과 하판(21)의 내측에 삽입 위치되는 온수배관(25)으로 구성된다.
상기 온수배관(25)의 형상은 통상 원형의 수로를 갖는 온수배관과 달리 수직 방향의 직경보다 수평방향의 직경을 더 크게 형상한 '
Figure 112004055604907-pat00005
'형의 단면을 갖도록 압출성형된 것으로,
이는 원형단면을 갖는 온수배관이 수직방향으로의 열전달면적이 좁은 반면에 본 발명의 따른 '
Figure 112004055604907-pat00006
'형의 단면을 갖는 온수배관(25)은 상측에 위치되는 바닥마감재(15)측으로 보다 넓은 면적에 대해 열전달이 이루어지게 된다.
또한, 상기 하판(21)의 상면에는 '
Figure 112004055604907-pat00007
'형의 온수배관(25)이 끼워져 설치 고정되는 설치홈(20a)을 형성하며, 이 설치홈(20a)은 '
Figure 112004055604907-pat00008
'형의 온수배관(25)의 단면형상과 동일한 형상을 이루되, 온수배관(25)이 억지끼움결합되도록 내측의 수평방향 직경보다 입구측 개구부의 직경을 좁게 형성된다.
또한, 도 2 에서 보듯이, 이는 통상 일정 면적에 대해 등간격으로 병렬 설치되는 온수배관이 설치장소의 형태, 특히 중앙난방식 경우 열원이 분배되는 분배기측에서는 다량의 배관이 설치되어야 하며, 이러한 경우 상기와 같이 상면에 등간격의 설치홈(20a)을 갖는 하판(21)을 그대로 사용할 경우 별도의 배관설치홈을 추가로 형성하거나 혹은 교체해야하는 시공상의 불편함이 생기게 되었다.
즉, 본 발명은 상기 수직방향의 직경보다 수평방향의 직경을 더 크게 형상하여 단면이 '
Figure 112004055604907-pat00009
'형인 온수배관(25)이 등간격으로 끼워질 수 있도록 한 설치홈(20a)을 상측면 및 하측면에도 모두 형성하고 있다.
이때 상기 상측면과 하측면에 형성된 설치홈(20a)의 형상은 동일하나, 개수 및 간격차 등을 달리하여, 상기한 바와 같은 분배기측에 설치 구성될시 하판(21)을 구성하게 되는 하판부재의 설치홈(20a)이 형성된 양측면중 선택된 일측면이 상측을 향하게 하여, 설치난방환경 및 시공방법에 따라 선택적으로 사용하게 된다.
또한, 통상 방열보드는 일정한 난방공간에 설치시공시 다수의 방열보드부재가 평면적으로 끼워 맞춰지는 방식을 채택하여 시공상의 편의 및 국소부위에 대한 유지보수를 효과적을 이루도록 하게 된다.
즉, 방열보드(20)를 구성하고 있는 상판(22) 및 하판(21)은 다수의 상판부재 및 하판부재(20-1)가 구성되고, 상기 상판부재 및 하판부재(20-1)들의 외곽둘레에는 상호 결합 대응되는 걸림턱(22a) 및 걸림홈(22b)을 형성하며, 상기 다수의 상판부재 및 하판부재(20-1)들의 평면적인 결합을 통해 난방공간의 전체공간을 메우게 되는 상판(22)과 하판(21)을 구성하도록 하고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상기와 같은 구성의 온수배관(25)은 폴리에틸렌(HDPE,LDPE), 폴리프로필렌 공중합체(PP-C), 폴리부틸렌(PB), 폴리염화비닐(PVC) 등의 열가소성수지로 이루어져 있으며, 또는 통상 온수배관용의 엑셀파이프를 사용해도 무방하나, 특히, 가요성이 우수하고 열전도율이 우수한 성분의 수지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온수배관(25)을 사이에 두고 적층된 상·하판(22,21)은 목질과 플라스틱이 혼합된 복합재를 이용하여 인체에 해를 끼치지 않는 환경친화성 및 내 구성, 내열성의 향상을 가져올 수 있도록 하고 있다.
본 발명인은 상기와 같은 효과를 충족하기 위한 최대한의 목분과 폴리프로필렌(PP)이 썩힌 복합재를 사용하되, 상기 목분을 80%, 폴리프로필렌(PP)을 20%의 성분비로 된 것을 권장하고 있다.
상기와 같은 구성의 온수배관(25) 및 방열보드(20)를 구비하는 본 발명은 먼저 평탄화 작업된 콘크리트 슬라브 혹은 목조건물시 목조베이스판상(바닥베이스)에 설계시 난방공간의 구조형태 및 난방조건에 부합하도록 양측면에 상호 달리 형성된 설치홈(20a)을 갖는 하판(21')을 체결볼트(미도시)등을 통해 평면적으로 결합하되, 배관설치에 알맞게 고려된 선택된 일측면이 상측을 향하도록 결합 설치한 후, 상기 하판(21)의 상면에 형성된 '
Figure 112004055604907-pat00010
'형의 설치홈(20a)에 대응되는 '
Figure 112004055604907-pat00011
'형의 엑셀파이프(온수배관)를 설치홈(20a)에 억지끼움하여 설치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엑셀파이프가 전체적으로 설치시공된 후, 다시 다수의 상판부재들이 평면적으로 상호 맞물림된 상판(22)을 적층하여 방열보드(20)의 시공을 마무리 하게 된다. 이 후 상기 방열보드(20)의 상면에 장판등의 바닥마감재를 통해 마감공사를 수행하게 된다.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예인 온수배관은 '
Figure 112004055604907-pat00012
'형을 들어 설명하고 있으나, 이는 종래의 엑셀파이프의 원형을 벗어난 것, 예를 들어 타원형상 외 그와 같은 변경은 청구범위 기재의 범위 내에 있게 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상부 바닥마감재측으로 향하는 열전달면적을 높혀 열효율을 향상시키며, 압출성형에 의해 대량으로 제작되는 방열보드의 규격을 획일화하여, 이를 통한 설치 작업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종래에 비해 온수배관의 수직방향 직경이 줄어듬에 따라 이에 따른 방열보드의 두께를 줄일수 있어 신축공사 및 리모델링시 온돌의 전체적인 두께조절 시공이 가능하며, 이에 따른 온돌구조체의 하중저하 및 제작비를 줄일수 있으며, 또한 인체에 무해한 천연재료를 이용한 내구성 및 내열성을 충족할 수 있는 방열보드를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Claims (3)

  1. 하측으로 평탄화된 바닥베이스상에 설치되어 상측의 바닥마감재로 열원공급수단을 통해 열전달을 수행하는 방열보드를 구성하는 건식용 온돌패널에 있어서,
    상기 방열보드는 바닥베이스상에 설치되는 하판과, 상판이 적층되며 그 내측에는 수직방향의 직경보다 수평방향의 직경이 큰 '
    Figure 112004055604907-pat00013
    '형의 단면을 갖는 온수배관을 구성하고; 상기 하판의 상·하 양측면에는 온수배관의 '
    Figure 112004055604907-pat00014
    '형과 대응되어 온수배관이 억지끼움되어 설치 고정되는 설치홈을 다수 형성하되; 상·하 양측면에 형성된 설치홈의 개수를 상호 달리하여; 설치환경에 따라 하판의 양측면중 선택된 일측면에 온수배관을 설치한 후 그 상측으로 상판이 적층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전달이 향상되는 동시에 시공이 간편한 건식난방용 온돌패널.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방열보드를 구성하는 상판 및 하판은 각각 다수의 상판부재 및 하판부재가 외측둘레를 따라 형성된 걸림턱/걸림홈에 의해 평면적으로 결합되어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전달이 향상되는 동시에 시공이 간편한 건식난방용 온돌패널.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방열보드는 목분과 폴리프로필렌(PP)의 복합체로 구성하되, 목분이 80%, 폴리플로필린(PP) 20%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전달이 향상되는 동시에 시공이 간편한 건식난방용 온돌패널.
KR1020040098073A 2004-11-26 2004-11-26 열전달이 향상되는 동시에 시공이 간편한 건식난방용온돌패널 KR10064948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98073A KR100649485B1 (ko) 2004-11-26 2004-11-26 열전달이 향상되는 동시에 시공이 간편한 건식난방용온돌패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98073A KR100649485B1 (ko) 2004-11-26 2004-11-26 열전달이 향상되는 동시에 시공이 간편한 건식난방용온돌패널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58992A KR20060058992A (ko) 2006-06-01
KR100649485B1 true KR100649485B1 (ko) 2006-11-28

Family

ID=3715633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98073A KR100649485B1 (ko) 2004-11-26 2004-11-26 열전달이 향상되는 동시에 시공이 간편한 건식난방용온돌패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49485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097091A (ko) * 2006-08-23 2006-09-13 박순석 조립식 온수 판넬
KR101641866B1 (ko) * 2015-01-06 2016-07-22 왕병윤 석재와 원목을 이용한 구조의 원목마루
KR101616779B1 (ko) * 2015-01-06 2016-04-29 왕병윤 층간소음 저감구조의 원목마루
CN112822897B (zh) * 2020-12-30 2022-04-05 重庆凯歌电子股份有限公司 一种汽车仪表盘用电路板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58992A (ko) 2006-06-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60069169A (ko) 난방용 온수판넬
KR20140037701A (ko) 난방용 조립식 열전달패널
CN201581598U (zh) 地热实木地板的铺装结构
KR100649485B1 (ko) 열전달이 향상되는 동시에 시공이 간편한 건식난방용온돌패널
KR101284739B1 (ko) 온수장판
KR200387066Y1 (ko) 허니컴 구조를 이용한 온돌용 배관블록
DE102005041405B3 (de) Bodenelement zum Erstellen von Hohlraumböden mit Heizrohren einer Raumheizung oder mit Heiz- und Kühlrohren einer kombinierten Raumheizung und Raumkühlung
CN203821783U (zh) 便于稳固安装的地暖地板
KR101654126B1 (ko) 건축물 및 공동주택의 난방 바닥재 시공 방법
CN205560931U (zh) 一种楼面地暖
CN204693594U (zh) 一种地暖模块
CN100592023C (zh) 包括圆或椭圆形内流道加热板材的浮式结构供暖系统
CN104879817A (zh) 新型干式地暖系统
CN204678457U (zh) 新型干式地暖系统
US20210088226A1 (en) Thermal transfer panel system
KR102005051B1 (ko) 건식 온돌 바닥재
CN104964330A (zh) 新型干式地暖系统
IT202100009305A1 (it) Struttura di pannello radiante
CN203323217U (zh) 一种嵌入式地暖专用板
KR200417104Y1 (ko) 난방용 바닥재
KR100847798B1 (ko) 난방용 패널의 시공방법
KR101043091B1 (ko) 온돌 패널 시스템 및 이의 시공 방법
WO2008091070A1 (en) Heating structure using thermal insulating panel
CZ2006563A3 (cs) Modulová deska kolektoru podlahového vytápení a kolektor podlahového vytápení obsahující tuto desku
CN204678455U (zh) 新型干式地暖系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120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108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111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118

Year of fee payment: 10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