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48832B1 - 패킷 전송상태 확인 방법 - Google Patents

패킷 전송상태 확인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48832B1
KR100648832B1 KR1020050043872A KR20050043872A KR100648832B1 KR 100648832 B1 KR100648832 B1 KR 100648832B1 KR 1020050043872 A KR1020050043872 A KR 1020050043872A KR 20050043872 A KR20050043872 A KR 20050043872A KR 100648832 B1 KR100648832 B1 KR 10064883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cket
transmitting
receiving
receiving side
check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4387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장일순
이경석
유병한
Original Assignee
한국전자통신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전자통신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전자통신연구원
Priority to KR102005004387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4883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4883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4883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00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 H04L1/12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by using return channel
    • H04L1/16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by using return channel in which the return channel carries supervisory signals, e.g. repetition request signa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54Store-and-forward switching systems 
    • H04L12/56Packet switching system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24/00Supervisory, monitoring or testing arrangements
    • H04W24/10Scheduling measurement reports ; Arrangements for measurement repor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1. 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
본 발명은, 패킷 전송상태 확인 방법에 관한 것임.
2. 발명이 해결하려고 하는 기술적 과제
본 발명은, 송신측에서 현재의 패킷 송신상태가 송신측 트리거 조건을 만족시킴에 따라 응답요구 메시지를 수신측으로 전송하고, 수신측에서 현재의 패킷 수신상태가 수신측 트리거 조건을 만족시킴에 따라 송신측으로부터의 응답요구 메시지없이 응답 메시지를 송신측으로 전송함으로써, 신속하게 패킷의 전송상태를 확인하기 위한, 패킷 전송상태 확인 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음.
3. 발명의 해결방법의 요지
본 발명은, 송신측에서의 패킷 전송상태 확인 방법에 있어서, 수신측으로 패킷을 송신함에 따라 버퍼에 마지막 패킷이 남은 경우와, 재전송 버퍼에 마지막 패킷이 남은 경우와, 응답요구 메시지를 송신한 후 일정시간 내에 응답 메시지가 수신되지 않은 경우와 같은 송신측 트리거 조건을 만족시키는지 검사하는 검사단계; 상기 검사 결과, 현재 상태가 상기 송신측 트리거 조건을 만족시킴에 따라 응답요구 메시지를 수신측으로 전송하는 제 1 전송단계; 및 상기 수신측으로부터 상기 응답요구 메시지에 상응하는 응답 메시지를 수신하여 패킷의 전송상태를 확인하는 확인단계를 포함함.
4. 발명의 중요한 용도
본 발명은 무선통신 시스템 등에 이용됨.
패킷, 송신측 트리거 조건, 수신측 트리거 조건, 응답요구 메시지, 응답 메시지

Description

패킷 전송상태 확인 방법{Method for checking transceiving state of packet}
도 1 은 종래의 무선통신 시스템에서의 패킷 전송상태 확인 방법에 대한 일실시예 흐름도,
도 2 는 본 발명이 적용되는 무선통신 시스템의 일실시예 구성도,
도 3a 는 본 발명에 따른 무선통신 시스템의 송신측에서의 패킷 전송상태 확인 방법에 대한 일실시예 흐름도,
도 3b 는 본 발명에 따른 무선통신 시스템의 수신측에서의 패킷 전송상태 확인 방법에 대한 일실시예 흐름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1 : 기지국 31 : 무선통신 단말기
22,32 : 상위계층 23,33 : 제 2 계층
24, 34 : 물리계층
본 발명은 패킷 전송상태 확인 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송신측에서 현재의 패킷 송신상태가 송신측 트리거 조건을 만족시킴에 따라 응답요구 메시지를 수신측으로 전송하고, 수신측에서 현재의 패킷 수신상태가 수신측 트리거 조건을 만족시킴에 따라 송신측으로부터의 응답요구 메시지없이 응답 메시지를 송신측으로 전송하기 위한, 패킷 전송상태 확인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 무선통신 시스템은 기지국 및 무선통신 단말기 등을 포함하되, 상기 무선통신 단말기는 이동통신 단말기, PCS(Personal Communication Service) 단말기,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스마트폰, 차세대 이동통신(IMT-2000) 단말기, 무선랜 단말기 등과 같이 무선 통신을 통하여 음성, 문자 및 영상 데이터 등을 송/수신할 수 있는 휴대 가능한 무선통신 단말기를 말한다.
도 1을 참조하여 종래의 무선통신 시스템에서의 패킷 전송상태 확인 방법에 대해 살펴보기로 한다.
먼저, 송신측은 상위계층으로부터 전달받은 패킷을 수신측으로 전송한다(101).
이후, 전송한 패킷의 전송상태를 확인하기 위해 하기의 트리거 조건이 성립되면 응답요구 메시지(일예로, Poll 비트)를 수신측으로 전송한다(102). 이때, 송신측에서 Poll 비트를 수신측으로 전달하는 트리거 조건은 다음과 같은 경우가 존재한다.
1) 일정 개수의 PDU(Processing Data Unit)를 수신측으로 송신한 경우,
2) 일정 개수의 SDU(Source Data Unit)를 수신측으로 송신한 경우,
3) 일정 시간이 경과한 경우,
4) 버퍼에 마지막 PDU가 남은 경우,
5) 재전송 버퍼에 마지막 PDU가 남은 경우,
6) Poll을 보내고 일정시간 동안 응답이 없는 경우.
여기서, 버퍼에 마지막 PDU가 남은 경우, 재전송 버퍼에 마지막 PDU가 남은 경우 및 Poll을 보내고 일정시간 동안 응답이 없는 경우를 제외한 나머지 경우는, 수신측에서 송신측으로부터의 정보없이 확인할 수 있기 때문에 송신측에서 수신측으로 굳이 응답요구 메시지(Poll bit)를 전송할 필요가 없다.
또한, 상기 4), 5), 6)은 호가 해제되기 전 또는 무선 채널이 급격하게 변화하여 수신상태가 나빠지는 경우 발생하는데 그 빈도는 낮은 편이다.
이후, 수신측은 현재까지 받은 패킷의 수신상태 정보를 담은 응답 메시지(일예로, Poll ACK Message)를 생성하여 송신측으로 전송한다.
그러면, 송신측은 수신측으로부터 응답 메시지(Poll ACK Message)를 수신함에 따라 패킷의 전송상태를 확인한다(103, 104). 그리고, 수신측의 패킷 수신상태에 맞게 송신측 버퍼에서 송신이 완료된 패킷을 폐기한다.
이러한, 종래의 무선통신 시스템에서의 패킷 전송상태 확인 방법은, 송신측에서 수신측의 패킷 수신상태를 확인하기 위해 트리거 조건의 모든 경우에 있어서, 수신측으로 응답요구 메시지(Poll Bit)를 전송해야 하기 때문에 패킷의 전송상태 확인을 지연시켜 결과적으로 패킷의 전송 시간을 지연시키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 송신측에서 현재의 패킷 송신상태가 송신측 트리거 조건을 만족시킴에 따라 응답요구 메시지를 수신측으로 전송하고, 수신측에서 현재의 패킷 수신상태가 수신측 트리거 조건을 만족시킴에 따라 송신측으로부터의 응답요구 메시지없이 응답 메시지를 송신측으로 전송함으로써, 신속하게 패킷의 전송상태를 확인하기 위한, 패킷 전송상태 확인 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 및 장점들은 하기의 설명에 의해서 이해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해 보다 분명하게 알게 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 및 장점들은 특허 청구 범위에 나타낸 수단 및 그 조합에 의해 실현될 수 있음을 쉽게 알 수 있을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방법은, 송신측에서의 패킷 전송상태 확인 방법에 있어서, 수신측으로 패킷을 송신함에 따라 버퍼에 마지막 패킷이 남은 경우와, 재전송 버퍼에 마지막 패킷이 남은 경우와, 응답요구 메시지를 송신한 후 일정시간 내에 응답 메시지가 수신되지 않은 경우와 같은 송신측 트리거 조건을 만족시키는지 검사하는 검사단계; 상기 검사 결과, 현재 상태가 상기 송신측 트리거 조건을 만족시킴에 따라 응답요구 메시지를 수신측으로 전송하는 제 1 전송단계; 및 상기 수신측으로부터 상기 응답요구 메시지에 상응하는 응답 메시지를 수신하여 패킷의 전송상태를 확인하는 확인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방법은, 수신측에서의 패킷 전송상태 확인 방법에 있어서, 송신측으로부터 패킷을 수신함에 따라 응답 메시지의 전송 여부를 결정하기 위해 일정 개수의 패킷(PDU: Processing Data Unit 또는 SDU: Source Data Unit)을 수신한 경우와, 일정시간이 경과한 경우를 포함하는 수신측 트리거 조건을 검사하는 검사단계; 및 상기 검사 결과, 현재 상태가 상기 수신측 트리거 조건을 만족시킴에 따라 해당 응답 메시지를 송신측으로 전송하여 패킷의 전송상태를 확인하도록 하는 확인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목적, 특징 및 장점은 첨부된 도면과 관련한 다음의 상세한 설명을 통하여 보다 분명해 질 것이며, 그에 따라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과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일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2 는 본 발명이 적용되는 무선통신 시스템의 일실시예 구성도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이 적용되는 무선통신 시스템은, 기지국(Base Station)(21) 및 무선통신 단말기(Mobile Station)(31)를 포함한다. 이때, 상기 기지국(21) 및 무선통신 단말기(31)는 패킷의 송신과 수신 기능을 모두 구비 하고 있으므로, 그 설명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패킷을 수신하는 기능을 수행할 때는 수신측, 패킷을 송신하기 기능을 수행할 때는 송신측으로 명명한다.
또한, 상기 기지국(21) 및 무선통신 단말기(31)는 패킷 전송을 위한 버퍼와 패킷의 재전송을 위한 재전송 버퍼를 구비한다.
한편, 상기 기지국(21) 및 무선통신 단말기(31)의 제 2 계층(23,33)은 상위계층(22,32)으로부터 IP(Internet Protocol) 패킷을 전달받아 물리계층(24,34)에서 처리 가능한 크기로 조절한다. 이때, 하위계층으로 전달하는 데이터를 PDU라 하며, 수신측에서 PDU단위의 패킷을 정상적으로 결합할 수 있도록 PDU 마다 해당 SN(Sequence Number)가 붙는다.
도 3a 및 도 3b 는 본 발명에 따른 무선통신 시스템에서의 패킷 전송상태 확인 방법에 대한 일실시예 흐름도로서, 도 3a는 송신측에서의 패킷 전송상태 확인 방법에 대한 일실시예 흐름도이고, 도 3b는 수신측에서의 패킷 전송상태 확인 방법에 대한 일실시예 흐름도이다.
먼저, 상위계층으로부터 전달받은 패킷을 수신측으로 전송한다(301).
이후, 응답요구 메시지의 전송 여부를 결정하기 위한 송신측 트리거 조건을 검사한다(302). 이때, 상기 송신측 트리거 조건은 하기와 같다.
4) 버퍼에 마지막 PDU가 남은 경우,
5) 재전송 버퍼에 마지막 PDU가 남은 경우,
6) Poll을 보내고 일정시간 동안 응답이 없는 경우.
상기 검사 결과(302), 현재 상태가 상기 송신측 트리거 조건을 만족시킴에 따라 응답요구 메시지를 수신측으로 전송한다(303, 305).
그러면, 수신측은 응답요구 메시지에 상응하는 응답 메시지를 생성하여 송신측으로 전송한다.
반면, 상기 검사 결과(302), 현재 상태가 상기 송신측 트리거 조건을 만족시키지 않으면 응답요구 메시지를 수신측으로 전송하지 않는다(303, 304). 이때, 송신측은 송신한 패킷의 개수를 알고 있기 때문에 수신측으로부터 응답 메시지가 전송될 것을 예측하고 있다.
한편, 수신측은 송신측으로부터 패킷을 수신함에 따라(401), 응답 메시지의 전송 여부를 결정하기 위한 수신측 트리거 조건을 검사한다(402). 이때, 수신측 트리거 조건은 하기와 같다.
7) 일정 개수의 PDU를 수신한 경우,
8) 일정 개수의 SDU를 수신한 경우,
9) 일정 시간이 경과한 경우.
상기 검사 결과(402), 현재 상태가 상기 수신측 트리거 조건을 만족시킴에 따라 패킷의 수신상태 정보를 담은 응답 메시지를 생성하여 송신측으로 전송한다(403, 404).
이후, 송신측은 수신측으로부터 응답 메시지를 수신하여 패킷의 전송상태를 확인한다(306, 307).
본 발명에서 수신측에서 송신측의 응답요구 메시지(Poll Bit)없이 응답 메시지(Poll ACK Message)를 보내는 방식을 주기적인(Periodic) Poll 방식이라 하고, 송신측으로부터 응답요구 메시지를 전송받아 그에 상응하는 응답 메시지를 전송하는 방식을 사건적인(Event) Poll 방식이라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방법은 프로그램으로 구현되어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형태로 기록매체(씨디롬, 램, 롬, 플로피 디스크, 하드 디스크, 광자기 디스크 등)에 저장될 수 있다. 이러한 과정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으므로 더 이상 상세히 설명하지 않기로 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므로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은, 송신측에서 현재의 패킷 송신상태가 송신측 트리거 조건을 만족시킴에 따라 응답요구 메시지를 수신측으로 전송하고, 수신측에서 현재의 패킷 수신상태가 수신측 트리거 조건을 만족시킴에 따라 송신측으로부터의 응답요구 메시지없이 응답 메시지를 송신측으로 전송함으로써, 신속하게 패킷의 전송상태를 확인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버퍼에 마지막 PDU가 남은 경우, 재전송 버퍼에 마지막 PDU가 남은 경우 및 Poll을 보내고 일정 시간 동안 응답이 없는 경우를 제외한 경우에 poll을 전송할 필요가 없으며, 위 세가지의 경우 또한, 빈도가 자주 발생하는 경우가 아니므로(호가 해제되기 전 또는 무선 채널이 급격하게 변화하여 수신상태가 나빠지는 경우) 송신측에서 poll을 보내는 횟수를 상당히 감소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5)

  1. 송신측에서의 패킷 전송상태 확인 방법에 있어서,
    수신측으로 패킷을 송신함에 따라 버퍼에 마지막 패킷이 남은 경우와, 재전송 버퍼에 마지막 패킷이 남은 경우와, 응답요구 메시지를 송신한 후 일정시간 내에 응답 메시지가 수신되지 않은 경우를 포함하는 송신측 트리거 조건을 만족시키는지 검사하는 검사단계;
    상기 검사 결과, 현재 상태가 상기 송신측 트리거 조건을 만족시킴에 따라 응답요구 메시지를 수신측으로 전송하는 제 1 전송단계; 및
    상기 수신측으로부터 상기 응답요구 메시지에 상응하는 응답 메시지를 수신하여 패킷의 전송상태를 확인하는 확인단계
    를 포함하는 송신측에서의 패킷 전송상태 확인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확인 결과, 현재 상태가 상기 송신측 트리거 조건을 만족시키지 않아 응답요구 메시지를 전송하지 않은 경우에, 상기 수신측으로부터 응답 메시지가 수신되지 않으면 응답요구 메시지를 상기 수신측으로 전송하는 제 2 전송단계
    를 더 포함하는 송신측에서의 패킷 전송상태 확인 방법.
  3. 수신측에서의 패킷 전송상태 확인 방법에 있어서,
    송신측으로부터 패킷을 수신함에 따라 응답 메시지의 전송 여부를 결정하기 위해 일정 개수의 패킷(PDU: Processing Data Unit 또는 SDU: Source Data Unit)을 수신한 경우와, 일정시간이 경과한 경우를 포함하는 수신측 트리거 조건을 검사하는 검사단계; 및
    상기 검사 결과, 현재 상태가 상기 수신측 트리거 조건을 만족시킴에 따라 해당 응답 메시지를 송신측으로 전송하여 패킷의 전송상태를 확인하도록 하는 확인단계
    를 포함하는 수신측에서의 패킷 전송상태 확인 방법.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송신측으로부터 응답요구 메시지를 전송받음에 따라 해당 응답 메시지를 상기 송신측으로 전송하는 전송단계
    를 더 포함하는 수신측에서의 패킷 전송상태 확인 방법.
  5. 삭제
KR1020050043872A 2005-05-24 2005-05-24 패킷 전송상태 확인 방법 KR10064883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43872A KR100648832B1 (ko) 2005-05-24 2005-05-24 패킷 전송상태 확인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43872A KR100648832B1 (ko) 2005-05-24 2005-05-24 패킷 전송상태 확인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648832B1 true KR100648832B1 (ko) 2006-11-24

Family

ID=3771325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43872A KR100648832B1 (ko) 2005-05-24 2005-05-24 패킷 전송상태 확인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48832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2147777A (zh) * 2010-01-05 2011-08-10 索尼公司 访问控制装置、数据处理装置、访问控制方法和程序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18119A (ko) * 1997-08-26 1999-03-15 윤종용 비동기 시리얼 통신 방식에 따른 효율적인 데이터 전송방법
KR20030037863A (ko) * 2001-11-06 2003-05-16 엘지전자 주식회사 데이터 송수신 시 각 태스크 사이의 데이터 트래픽 제어방법
KR20050009247A (ko) * 2003-07-17 2005-01-24 인터디지탈 테크날러지 코포레이션 Wlan에서 원격 무선 자원 관리를 위한 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18119A (ko) * 1997-08-26 1999-03-15 윤종용 비동기 시리얼 통신 방식에 따른 효율적인 데이터 전송방법
KR20030037863A (ko) * 2001-11-06 2003-05-16 엘지전자 주식회사 데이터 송수신 시 각 태스크 사이의 데이터 트래픽 제어방법
KR20050009247A (ko) * 2003-07-17 2005-01-24 인터디지탈 테크날러지 코포레이션 Wlan에서 원격 무선 자원 관리를 위한 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2147777A (zh) * 2010-01-05 2011-08-10 索尼公司 访问控制装置、数据处理装置、访问控制方法和程序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675757B2 (ja) 複数のインターフェースを介するビデオストリーム
EP3413617B1 (en) Transmitting pdcp status report
KR101032909B1 (ko) 무선 통신 시스템 내에서 폴 기능을 트리거하는 방법 및 장치
US9565007B2 (en) Method of receiving a point-to-multipoint service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JP4562694B2 (ja) 再送制御方法及び装置
US20070064668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improving transmission delay of status report in a wireless communications system
CN102598774A (zh) 在无线通信系统中将数据分组的递送通信至用户设备的方法和装置
US20220286897A1 (en) Wireless communications apparatus and methods
CN101779489A (zh) 无线通信系统中在切换期间对数据的第二层隧道处理
US9900802B2 (en) Data transmission method and apparatus, base station, and user equipment
EP2410790A1 (en) Method, device and system for sending data packet
KR20080031770A (ko) 무선 통신 시스템 및 무선 기지국 및 무선 통신 제어 방법
CN111065120A (zh) 蜂窝网络上行链路ecn机制的增强方法、设备及介质
EP1751928B1 (en) Lossless radio link control entity (rlc) re-establishment avoiding service data unit (sdu) duplication
CN108886713B (zh) 一种数据传输方法、数据接收设备及数据发送设备
US20050066255A1 (en) Status report missing detection in a communication system
US20090067368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Selecting a Radio Access Technology for Communication
JP5124591B2 (ja) Ranにおける連続するデータユニットの表示の方法
CN112615701A (zh) 一种数据处理方法及装置
KR100648832B1 (ko) 패킷 전송상태 확인 방법
US7689223B1 (en) Method and system for delaying retransmission of data traffic to a wireless terminal
JP2008289080A (ja) 端末装置、ネットワーク装置およびデータ通信方法
JP2008289149A (ja) 無線通信システムにおいてデータ伝送状態をポーリングする方法及び装置
CN109729554B (zh) 上行增强数据传输方法、装置及用户设备
JP4769686B2 (ja) 移動無線端末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