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48641B1 - 호신용 가스총 - Google Patents

호신용 가스총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48641B1
KR100648641B1 KR1020050051619A KR20050051619A KR100648641B1 KR 100648641 B1 KR100648641 B1 KR 100648641B1 KR 1020050051619 A KR1020050051619 A KR 1020050051619A KR 20050051619 A KR20050051619 A KR 20050051619A KR 100648641 B1 KR100648641 B1 KR 10064864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ear
gas
trigger
cam
main bod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5161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규환
Original Assignee
이규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규환 filed Critical 이규환
Priority to KR102005005161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4864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4864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4864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41WEAPONS
    • F41BWEAPONS FOR PROJECTING MISSILES WITHOUT USE OF EXPLOSIVE OR COMBUSTIBLE PROPELLANT CHARGE; WEAP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41B11/00Compressed-gas guns, e.g. air guns; Steam guns
    • F41B11/80Compressed-gas guns, e.g. air guns; Steam gun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urposes
    • F41B11/81Compressed-gas guns, e.g. air guns; Steam gun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urposes for ejecting powder, e.g. peppe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41WEAPONS
    • F41HARMOUR; ARMOURED TURRETS; ARMOURED OR ARMED VEHICLES; MEANS OF ATTACK OR DEFENCE, e.g. CAMOUFLAGE, IN GENERAL
    • F41H9/00Equipment for attack or defence by spreading flame, gas or smoke or leurres; Chemical warfare equipment
    • F41H9/10Hand-held or body-worn self-defence devices using repellant gases or chemica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oy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권총형 가스분사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하면, 내부에 최루가스가 고압으로 충진된 가스용기를 구비하는 한쌍의 가스통체와, 상기 가스통체의 후면에 충돌하여 가스를 분사시킬 수 있는 한쌍의 공이를 구비하는 가스분사기에 있어서; 손잡이 부분을 구비하고. 내부에 고정된 핀(41)을 구비하는 본체(30)와; 상기 핀이 삽입되는 일정길이를 전후방향 슬롯(54)을 구비하고, 사용자가 당길 수 있는 당김부(52)를 상기 핀 보다 하부의 위치에 구비하고, 상면에는 랙부분이 형성되어 있는 방아쇠(50); 상기 핀 보다 하부에서 본체 내에 설치되고, 상기 방아쇠를 전방으로 탄성지지하는 스프링(43)과; 상기 랙과 맞물리도록 본체 내부에 설치되는 제1기어(42)와; 상기 제1기어와 맞물리고, 일체로 성형된 캠(Cb)을 구비하며, 본체 내부에 설치된 제2기어(44); 상기 제2기어와 맞물리도록 본체 내부에 설치된 제3기어(46); 상기 제3기어와 맞물리고 일체로 성형된 캠(Ca)을 구비하며, 본체 내부에 설치되는 제4기어(48)를 포함한다. 상기 캠(Ca)과 캠(Cb)는 일정한 위상차를 구비하도록 설치된다.
가스분사기, 최루가스, 연속격발

Description

호신용 가스총{Tear gas spray gun}
도 1은 종래의 가스총의 사시도.
도 2는 종래의 가스총의 단면 예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가스총의 본체의 예시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가스총의 본체의 배면에서 본 예시 단면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30 ..... 본체 41 ..... 핀
42 ..... 제1기어 43 ..... 스프링
44 ..... 제2기어 46 ..... 제3기어
48 ..... 제4기어 50 ..... 방아쇠
52 ..... 당김부 Ca, Cb ..... 캠
본 고안은 호신용 가스총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본체에 장착된 한쌍의 가스용기를 연속적으로 격발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최루가스를 분사할 수 있는 가스총에 관한 것이다.
도 1 및 도 2에는 본 고안의 가스총에 대한 종래 기술이 도시되어 있으며, 이는 본 출원인이 출원하여 공고(공고번호 92-2488)된 기술 내용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가스총은, 본체(2)와 상기 본체에 장착되는 한쌍의 가스통체(7a,7b)로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가스통체(7a,7b)는 내부에 최루가스가 충진된 가스용기(9a,9b)를 구비하고 있다.
상기 가스통체(7a,7b)의 후면에는 오목한 암나사부(도시 생략)가 형성되어 있으며, 이러한 암나사부가 본체(2)의 전면에 형성되어 있는 볼록한 수나사부(2a)에 결합되는 것에 의하여, 상기 가스통체(7a,7b)가 본체(2)에 결합된다.
그리고 상기 본체(2)의 하부에 마련되는 손잡이부(4)의 전면에는 방아쇠(6)가 회동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상기 방아쇠(6)의 내부 후방에는 내부방아쇠(6a)가 설치되어 있다. 다음에는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종래의 가스총의 동작에 대하여 살펴보기로 한다.
사용자가 가스총을 사용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먼저 안전장치(12)를 풀어서 격발 가능한 상태로 해야 한다. 이러한 상태에서 상기 방아쇠(6)를 당기게 되면, 지지축(Ha)을 중심으로 회동하는 방아쇠의 상단부(6c)가 하부에 있는 공이(5b)를 먼저 밀게 된다.
이렇게 하여 하부의 가스통체(7b) 내부에 있는 가스용기(9b)가 터지게 되면 가스용기(9b)내부의 가스는 후방을 통하여 분출된 후 통로(9ba)를 통하여 가스통체(7b)의 내부로 유입되고, 이어서, 상기 가스통체(7b)의 전방에 있는 노즐공(7m)을 통하여 가스가 분사된다. 즉, 상기 가스용기(9b)의 후면을 막고 있는 막이, 후방 의 공기(5b)에 의하여 터지게 되면 상기 가스용기(9b) 내부의 최루가스는 가스통체(7b)의 후방 측면에 형성된 통로(9ba)을 통하여 상기 전방의 노즐공(7m)으로 안내된다. 이러한 가스통체(7b) 내부의 구성(가스의 분사경로 및 내부구성) 등은 상기 종래 기술에 의하여 공지된 것이어서 이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그리고 상기 방사쇠(6)에 의하여 하부의 가스통체(7b)에서 가스가 분사된 후, 연속하여 격발하는 경우에는 상기 방사쇠(6)를 더 후방으로 잡아당겨야 한다. 후방으로 당겨지는 방아쇠(6)는 내부방아쇠(6a)를 후방으로 밀게 된다. 상기 내부방아쇠(6a)가 후방으로 밀리게 되면, 지지축(Hb)을 중심으로 회동하는 내부방아쇠(6a)의 상단부(6d)가 상부의 공이(5a)를 전방으로 밀게 되고, 이러한 공이(5a)의 동작에 의하여 상부의 가스용기(9a)가 터지면서 최루가스가 가스통체(7b)의 전방의 노즐(7n)을 통하여 분사된다.
이와 같은 종래의 구조에 의하면 다음과 같은 단점이 지적된다.
먼저 한쌍의 가스통체(7a,7b)를 연속적으로 격발하여 가스를 분출시키기 위해서는, 상기 방아쇠를 잡아당긴 후, 다시 방아쇠를 이용하여 내부방아쇠를 잡아당겨야 한다. 따라서 사용자는 이중으로 방아쇠를 잡아당겨야 하기 때문에 실질적으로 조작하는데 힘이 들고 번거로운 단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한쌍의 가스용기를 구비하는 가스총에서 연속격발을 보다 원활하게 수행할 수 있는 가스총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의하면, 내부에 최루가스가 고압으로 충진된 가스용기를 구비하는 한쌍의 가스통체와, 상기 가스통체의 후면에 충돌하여 가스를 분사시킬 수 있는 한쌍의 공이를 구비하는 가스분사기에 있어서; 손잡이 부분을 구비하고. 내부에 고정된 핀을 구비하는 본체와; 상기 핀이 삽입되는 일정길이를 전후방향 슬롯을 구비하고, 사용자가 당길 수 있는 당김부를 상기 핀 보다 하부의 위치에 구비하고, 상면에는 랙부분이 형성되어 있는 방아쇠; 상기 핀 보다 하부에서 본체 내에 설치되고, 상기 방아쇠를 전방으로 탄성지지하는 탄성수단과; 상기 랙과 맞물리도록 본체 내부에 설치되는 제1기어와; 상기 제1기어와 맞물리고, 일체로 성형된 캠(Cb)을 구비하며, 본체 내부에 설치된 제2기어; 상기 제2기어와 맞물리도록 본체 내부에 설치된 제3기어; 상기 제3기어와 맞물리고 일체로 성형된 캠(Ca)을 구비하며, 본체 내부에 설치되는 제4기어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상기 캠(Ca)과 캠(Cb)는 일정한 위상차를 구비하도록 설치되는 것을 기술적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제2기어와 제4기어를 직접 맞물리게 하여, 기어의 수를 더욱 간단하게 하는 것도 가능하다.
다음에는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에 기초하면서 본 발명에 대하여 더욱 상세하게 살펴보기로 한다.
도 3에는 본 발명에 의한 가스총의 분해 상태를 측면측에서 본 단면도가 도시되어 있고, 그리고 도 4에는 본 발명에 의한 가스총을 후방에서 본 단면도가 도 시되어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가스총은, 방아쇠(50)를 구비하는 본체(30)와, 상기 본체의 상부에 장착되는 한쌍의 가스통체(6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가스통체(60)가 본체(30)에 장착되는 것은 종래와 동일하다. 즉, 상기 본체(30)의 상부에는 내주연에 암나사산이 형성된 한쌍의 장착부(22)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가스통체(60)의 후단에는 수나사산이 형성된 나사결합부(62)가 형성되어 있어서, 이들을 서로 나사결합시키는 것에 의하여, 상기 가스통체(60)가 본체(30)에 장착된다.
그리고 상기 본체(30)는 손잡이부(30)를 구비하고 있고, 본체(30)의 중간부분에는 방아쇠(50)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 방아쇠(50)의 전방하단부에는 사용가가 손가락으로 잡아당길 수 있는 당김부(52)가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방아쇠(50)의 대략 중간부분에는 전후방향으로 일정한 길이를 가지는 슬롯(54)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슬롯(54)에는 본체(30)에 고정된 핀(41)이 삽입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슬롯(54)의 상부에 해당하는 방아쇠의 상면에는 치형이 성형된 랙부분(58)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방아쇠(50)의 당김부(52)가 사용자에 의하여 당겨지면, 상기 방아쇠(50)는 상기 슬롯(54)의 길이에 해당하는 만큼 후방으로 후퇴하게 되는데, 상기 핀(41)은 원형단면을 가지고 상기 슬롯(54) 내부에 이동하게 결합되어 있고 상기 당김부(52)는 핀(41)의 하부에 위치하기 때문에, 상기 방아쇠(50)는 전체적으로 반시계방향으로 회동하면서 후방으로 일정간격 후퇴하게 된다. 따라서 이와 같이 방아쇠(50)가 당겨질 때, 상기 방아쇠(50)의 후단부가 상방으로 들리면서 이동하게 되어, 상기 랙부분(58)은 상방으로 들리면서 후술하는 제1기어(42)의 치 형과 긴밀하게 맞물리게 된다.
그리고 상기 방아쇠(50)의 후단하부(56)는 스프링(43)에 의하여 탄성지지되어 있다. 상기 스프링(43)은 실질적으로 상기 핀(41)의 하부에 위치하고 있기 때문에, 상기 스프링(43)이 방아쇠(50)를 가압하게 되면 상기 방아쇠(52)는 전방으로 일정간격(슬롯의 길이에 대응) 이동함과 동시에 전체적으로 시계방향으로 회동하게 된다. 즉 상기 스프링(43)이 방아쇠를 가압하게 되면 상기 방아쇠는 전방부분이 상방으로 들리면서 전방으로 이동하게 되고, 이 때에는 상기 랙부분(58)과 제1기어(42)의 간격이 멀어져서 서로 맞물린 상태가 해제된다. 도시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스프링(42)은 본체(40) 손잡이부(40)의 내부 중간부분 후단부에 형성된 리브(43)와, 방아쇠의 후단하부(56)에 형성된 돌기(56a)에 의하여 지지되고 있다.
그리고 상기 랙부분(58)의 상부에 해당하는 본체(30)의 내부에는 다수개의 기어(42,44,46,48)가 회동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으며, 서로 순차적으로 맞물려 연동할 수 있도록 설치되어 있다. 구체적으로 보면, 상기 랙부분(58)의 직상부에는 제1기어(42)가 설치되어 있고, 상기 제1기어(42)는 상기 랙부분(58)과 서로 맞물리도록 구성되어 있다.
상기 제1기어(42)의 상부에는 제2기어(44)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 제2기어(44)는, 일측면에 형성된 캠(Cb)를 구비하고 있다. 즉 상기 제2기어(44)는, 일측면에서 일체로 형성된 캠(Cb)을 구비하고 있으며, 이들은 캐스팅에 의하여 형성될 수 있고, 소정 이상의 강도를 구비하는 수지재로 사출 성형될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제2기어(44)의 상부에는 제3기어(46)가 서로 맞물리도록 설치되 어 있다. 여기서 상기 제3기어(46)와 상기 캠(Cb)는 서로 간섭되지 않도록 설치되어야 하는 것은 당연하다. 상기 제3기어(46)의 상부측에는 제4기어(48)가 맞물리는 상태로 회동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상기 제4기어(48)의 일측면에는 캠(Ca)가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캠(Ca)과 캠(Cb)는 일정한 위상차를 가지고 설치되어 있다. 예를 들면 도 3에서 상기 캠(Ca)는 수평방향(장축이 수평방향을 이루는 것을 의미한다)으로 설치되고, 캠(Cb)는 수직방향(장축이 수직방향을 이루는 것을 의미한다)으로 설치되어 있어서 90도의 위상차를 가지고 있다. 따라서 상기 캠(Ca)과 캠(Cb)은 실질적으로 소정의 위상차(예를 들면 45도)를 가지도록 설치되어야 하고, 이는 연속격발을 위한 것이다.
다음에는 상기 본체(30)에 장착되는 한쌍의 가스통체(60)에 대하여 살펴보기로 한다. 본 발명에서 채택하는 가스통체(60)는 상술한 바와 같이 실질적으로는 공지된 것이고, 공이(64)가 전방으로 전진함에 따라서 내부의 최루가스가 가스통제(60)의 전방에 형성된 노즐공(65)을 통하여 분사될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이다.
상기 가스통체(60)의 내부에는 고압의 최루가스가 내장된 가스용기(70)가 후단부에 설치되어 있다. 예를 들면 상기 가스용기(70)의 후단부는 소정의 격막으로 밀봉되어 내부의 가스를 소정의 고압상태로 유지하고 있으며, 가스용기(70)의 후단부는 나사결합 등으로 가스통체(60)의 후단부에 고정되어 있다. 상기 가스통체(60)의 후단부에는 캡(66)이 나사결합 등으로 결합되어 있고, 상기 가스용기(70)은 상기 캡(66)의 전방부분에 나사결합에 의하여 지지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캡(66) 에는 후단캡(62)이 나사결합되어 있고, 상기 후단캡(62)에는 공이(64)가 중심부분에 삽입되어 있다. 상기 공이(64)와 후단캡(62) 사이에는 밀폐를 위한 밀폐링(O)이 삽입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예를 들면 상기 가스용기(70)가 결합된 캡(66)의 외측면에는 구멍(66a)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구멍은 탄성이 있는 밀폐링(Oa)에 의하여 막혀져 있다. 따라서 상기 공기(64)가 전진하게 되면 상기 가스용기(70)의 후단부의 격막이 파손되고 내부에 있는 고압의 최루가스는 가스용기(70)의 후단부로 분출된다. 이렇게 분출되는 고압의 가스는 상기 밀폐링(Oa)을 외측으로 탄성 변형시키면서 상기 구멍(66a)을 통하여 가스통체(60)의 내부를 경유하여 전방의 노즐공(65)을 통하여 분사된다. 여기서 상기 노즐공(65)의 이면에도 소정의 강도를 가지는 노즐막(63)(테프론시트)가 장착되어 있는 바, 이러한 노즐막(63)은 가스의 압력에 의하여 찢어지면서, 최루가스는 전방으로 분사된다. 이와 같은 가스통체(60)는 실질적으로 공지되어 있는 것이다.
다음에는 본 발명의 가스총의 동작에 대하여 살펴보기로 한다.
사용자가 상기 본체(30)의 방아쇠(50)의 당김부(52)를 당기게 되면, 방아쇠(50)는 후방으로 이동하면서 반시계방향으로 일정구간(핀에 의하여 규제되는 구간만큼)회동하게 된다. 이 때 방아쇠(50) 상부에 형성된 랙부분(58)은 제1기어(42)와 맞물려 있어서 상기 제1기어(42)를 일정구간 회동시키게 된다. 이 때 상기 당김부(52)는 핀(41) 보다 하부에 위치하고 있기 때문에 상기 방아쇠(50)는 자체적으로 반시계방향으로 약간 회동하여 상기 랙부분(58)과 제1기어(42)는 완전히 맞물린 상태를 유지할 수 있어서, 상기 랙부분(58)과 제1기어(42)는 서로 맞물려서 연동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제1기어(42)는 제2기어(44)를 일정구간 회동시킨다. 여기서 상기 랙부분(58)에서 제4기어(48)까지의 운동방향(회전방향)이 도 3에 화살표로 도시되어 있다. 상기 제2기어(44)가 일정 구간 회동하면 그와 일체로 형성된 캠(Cb)가 일정방향으로 일정 구간 회동하게 된다. 상기 캠(Cb)의 일정 구간 회전(예를 들면 시계방향으로의 90도 회전)에 의하여, 상기 캠(Cb)은 하부에 있는 가스통체(70)의 공이(64)를 전방으로 밀게 된다. 상기 공이(64)가 전방으로 이동함에 따른 가스의 분출 과정은 상술한 바와 같다. 이와 같이 하여 예를 들면 하부에 위치하는 가스통체(70)에서 가스가 발사되면 사용자는 상기 방아쇠(50)를 놓게 된다. 그리고 하부의 캠(Cb)가 일정구간 회동하여 공이(64)를 전방으로 밀 수 있는 상태가 되면, 상부의 캠(Ca)도, 제3기어(46)를 통하여 전달되는 회전력에 의하여, 일정구간 회전하게 되고 상부의 공이(64)와의 접촉관계가 해제된다.
상기 방아쇠(50)가 자유상태가 되면, 스프링(43)에 의하여 방아쇠(50)는 앞으로 전진하게 된다. 이 때 상기 스프링(43)은 핀(41)의 하단부에 있기 때문에 상기 방아쇠(50)는 자체적으로 시계방향으로 일정구간 회전함과 동시에 전방으로 일정 구간(핀과 슬롯에 의하여 규제되는 길이만큼) 전진하게 된다. 이 때 상기 방사쇠(50)는 시계방향으로 약간 회전하게 되기 때문에 이 때 상기 랙부분(58)과 제1기어(42) 사이의 간격이 멀어 지게 되어 실질적으로 랙(58)의 전진에 따라 제1기어(42)의 맞물림 상태가 해제되거나 적어도 헛돌게 된다. 따라서 상기 방아쇠(50)는 당기기 직전의 상태로 돌아가게 된다. 이 때 상기 제1기어(42) 내지 제4기어(48)는 방아쇠(50)의 상술한 당김 동작에 의하여 일정 구간 회동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그리고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캠(Ca)과 캠(Cb)는 일정구간(도시한 실시예에 있어서는 90도) 위상차를 가지도록 조립되어 있기 때문에 실질적으로 하부에 위차하는 캠(Cb)가 공이(64)를 전방으로 밀수 있는 위치(캠이 수평상태로 배열되는 위치)에서는 상부에 위치하는 캠(Ca)는 공이를 밀 수 없는 상태이다.
상기 스프링(43)에 의하여 방아쇠(50)가 원위치로 복귀한 다음, 가스의 분출을 위하여 다시 방아쇠를 당기게 되면, 상기 랙(58)이 제1기어(42)를 일정 구간 회동시키게 되고, 따라서 제2기어(44)도 일정구간 회전한다. 이 때 상기 제2기어(44)와 일체로 성형된 캠(Cb)은 다시 90도 회전하여 공이(64)와의 접촉상태가 해제된다. 그리고 상기 제2기어(44)의 회전은 제3기어(46)를 통하여 제4기어(48)에 전달되고, 제4기어가 일정구간 회전하게 된다. 따라서 제4기어(48)와 일체로 성형된 캠(Ca)이 90도 회동하여 상부에 위치하는 가스통체(60)의 공이(64)를 전방으로 밀게 된다. 상기 상부의 공이(64)가 밀려서 상부의 가스통체(60)에서 가스가 분사되는 것은 상술한 바와 같다.
그리고 방아쇠(50)를 놓게 되면, 상술한 바와 같은 동작에 의하여, 방아쇠(50)는 전방으로 일정구간 이동함과 동시에 상기 랙부분(58)과 제1기어(42)의 맞물림 상태가 해제되면서 방아쇠(50)는 원래의 위치로 복귀하게 된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제2기어(44)에 성형된 캠(Cb)와 제4기어(48)에 성형된 캠(Ca)은 실질적으로 일정한 위상차를 가지고 있어서, 어느 일측의 캠이 공이(64)를 밀 수 있는 상태(캠의 장축부분이 수평상태)가 되면, 다른 하나의 캠은 공이(64)와의 접촉이 해제되는 상태(캠의 장축부분이 수직상태)가 된다. 그리고 방아쇠(50)를 놓게 되면 스프링(43)에 의하여 방아쇠(50)는 원래의 상태로 복귀하게 되는데, 이 때 핀(41)과 스프링(41)의 위치관계에 의하여 랙부분(58)과 제1기어(42)는 맞물린 상태가 해제되어 헛돌게 되기 때문에, 방아쇠(50)를 놓을 때는 상기 기어(42,44,46,48)는 회전하지 않도록 구성됨을 알 수 있다.
도 3에 도시한 상태에서는, 상부의 캠(Ca)이 공이(64)를 밀어서 상부의 가스통체(60)에서 가스가 분출될 수 있는 상태를 보이고 있다. 그리고 이러한 상태에서 다시 방아쇠(50)를 당기게 되면 상부의 캠(Ca)은 공이(64)와의 접촉이 해제되고, 하부의 캠(Cb)이 하부에 있는 가스통체(60)를 격발하기 위한 하부의 공이(64)와 접촉하면서 공이(64)를 밀어서 내부의 가스가 분출할 수 있는 상태가 되는 것이다.
그리고 도시한 실시예에 있어서는 4개의 기어(42,44,46,48)를 사용하고 있으나 이러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음은 자명하다. 예를 들면 상기 방아쇠(50)의 랙부분(58)에 제2기어(44)를 직접 맞물리도록 설치하는 것도 가능하고, 제2기어(44)에 제4기어(48)가 직접 맞물리도록 설치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러한 기어열에 대해서는 다른 많은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한 기본적인 기술적 사상의 범주 내에서 당업계의 통상의 기술자에게 있어서는 다른 많은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고, 본 발명은 첨부한 특허청구의 범위에 기초하여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이상과 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내부에 최루가스를 내장하는 한쌍의 가스통체가 설치되는 권총형상의 가스총의 격발이 보다 보다 원할하게 이루어질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즉, 방아쇠의 1차격발 후, 원위치된 방아쇠를 다시 잡아당기는 것에 의하여, 다른 하나의 가스통체의 가스를 분출시킬 수 있어서, 연속격발의 편의성을 더욱 증대시킬 수 있게 된다.

Claims (2)

  1. 내부에 최루가스가 고압으로 충진된 가스용기를 구비하는 한쌍의 가스통체와, 상기 가스통체의 후면에 충돌하여 가스를 분사시킬 수 있는 한쌍의 공이를 구비하는 가스분사기에 있어서;
    손잡이 부분을 구비하고. 내부에 고정된 핀을 구비하는 본체와;
    상기 핀이 삽입되는 일정길이를 전후방향 슬롯을 구비하고, 사용자가 당길 수 있는 당김부를 상기 핀 보다 하부의 위치에 구비하고, 상면에는 랙부분이 형성되어 있는 방아쇠;
    상기 핀 보다 하부에서 본체 내에 설치되고, 상기 방아쇠를 전방으로 탄성지지하는 탄성수단과;
    상기 랙과 맞물리도록 본체 내부에 설치되는 제1기어와;
    상기 제1기어와 맞물리고, 일체로 성형된 캠(Cb)을 구비하며, 본체 내부에 설치된 제2기어;
    상기 제2기어와 맞물리도록 본체 내부에 설치된 제3기어; 그리고
    상기 제3기어와 맞물리고 일체로 성형된 캠(Ca)을 구비하며, 본체 내부에 설치되는 제4기어를 포함하고;
    상기 캠(Ca)과 캠(Cb)는 일정한 위상차를 구비하면서, 교대로 공이를 전진시킬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스분사기.
  2. 내부에 최루가스가 고압으로 충진된 가스용기를 구비하는 한쌍의 가스통체와, 상기 가스통체의 후면에 충돌하여 가스를 분사시킬 수 있는 한쌍의 공이를 구비하는 가스분사기에 있어서;
    손잡이 부분을 구비하고. 내부에 고정된 핀을 구비하는 본체와;
    상기 핀이 삽입되는 일정길이를 전후방향 슬롯을 구비하고, 사용자가 당길 수 있는 당김부를 상기 핀 보다 하부의 위치에 구비하고, 상면에는 랙부분이 형성되어 있는 방아쇠;
    상기 핀 보다 하부에서 본체 내에 설치되고, 상기 방아쇠를 전방으로 탄성지지하는 탄성수단과;
    상기 랙부분과 맞물리고, 일체로 성형된 캠(Cb)을 구비하며, 본체 내부에 설치된 제1기어; 그리고
    상기 제1기어와 맞물리고 일체로 성형된 캠(Ca)을 구비하며, 본체 내부에 설치되는 제2기어를 포함하고;
    상기 캠(Ca)과 캠(Cb)는 일정한 위상차를 구비하도록 설치되어 교대로 공이를 전진시킬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스분사기.
KR1020050051619A 2005-06-15 2005-06-15 호신용 가스총 KR10064864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51619A KR100648641B1 (ko) 2005-06-15 2005-06-15 호신용 가스총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51619A KR100648641B1 (ko) 2005-06-15 2005-06-15 호신용 가스총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648641B1 true KR100648641B1 (ko) 2006-11-24

Family

ID=3771321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51619A KR100648641B1 (ko) 2005-06-15 2005-06-15 호신용 가스총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48641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09020137A1 (de) 2009-05-06 2010-07-22 Institut für Luft- und Kältetechnik gGmbH Verfahren und Vorrichtung zum zielgenauen Applizieren von in Flüssiggas gelösten Reizstoffen über größere Entfernungen
CN108759560A (zh) * 2018-08-08 2018-11-06 赵辉 一种液状与凝胶状双喷头催泪喷射器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233491A (ja) * 1996-04-04 1996-09-13 Western Aamusu:Kk 玩具ガス銃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233491A (ja) * 1996-04-04 1996-09-13 Western Aamusu:Kk 玩具ガス銃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09020137A1 (de) 2009-05-06 2010-07-22 Institut für Luft- und Kältetechnik gGmbH Verfahren und Vorrichtung zum zielgenauen Applizieren von in Flüssiggas gelösten Reizstoffen über größere Entfernungen
CN108759560A (zh) * 2018-08-08 2018-11-06 赵辉 一种液状与凝胶状双喷头催泪喷射器
CN108759560B (zh) * 2018-08-08 2023-08-15 江苏警官学院 一种液状与凝胶状双喷头催泪喷射器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05309B1 (ko) 액체분무기와 그 노즐바디
US8051848B2 (en) Toy gun
KR100648641B1 (ko) 호신용 가스총
JP2015500673A (ja) 便器パージング装置
JP6511385B2 (ja) トリガー式液体噴出器
KR20150137500A (ko) 액상분사장치
CN108473238B (zh) 扳机式液体喷出器
US4784293A (en) Toy water gun
JP6476056B2 (ja) トリガー式液体噴出器
KR101497632B1 (ko) 포장이 용이하면서 물의 분사세기가 조절가능한 물총
TWM525051U (zh) 灑水器
KR100946284B1 (ko) 물총완구
JP6491993B2 (ja) トリガー式液体噴出器
JP5283068B2 (ja) 噴射釦
JP3626422B2 (ja) 液体銃および液体弾
KR200367064Y1 (ko) 호신용 가스분사기
CN107883809B (zh) 旋转喷头以及具有该喷头的玩具水枪
JP6476060B2 (ja) トリガー式液体噴出器
JP2008037455A (ja) エアゾール容器用噴射装置
JP2019076671A (ja) 機能性シャワーヘッド及びそれに用いる添加剤モジュール
JP2019521051A (ja) 携帯用噴射装置
JP4818742B2 (ja) エアゾール容器用噴射機構
KR200158992Y1 (ko) 가스분사기
KR20170114674A (ko) 향 분사기의 분사노즐 결합용 분사캡 및 그 사용방법
CN215873073U (zh) 一种防堵料漏食结构及漏食玩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