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48095B1 - 생태계 보호를 위한 호안시설물 설치구조 - Google Patents
생태계 보호를 위한 호안시설물 설치구조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0648095B1 KR100648095B1 KR1020060078202A KR20060078202A KR100648095B1 KR 100648095 B1 KR100648095 B1 KR 100648095B1 KR 1020060078202 A KR1020060078202 A KR 1020060078202A KR 20060078202 A KR20060078202 A KR 20060078202A KR 100648095 B1 KR100648095 B1 KR 100648095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block
- fastening
- hole
- revetment
- front side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3/00—Engineering works in connection with control or use of streams, rivers, coasts, or other marine sites; Sealings or joints for engineering works in general
- E02B3/04—Structures or apparatus for, or methods of, protecting banks, coasts, or harbours
- E02B3/12—Revetment of banks, dams, watercourses, or the like, e.g. the sea-floor
- E02B3/14—Preformed blocks or slabs for forming essentially continuous surfaces; Arrangements thereof
-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3/00—Engineering works in connection with control or use of streams, rivers, coasts, or other marine sites; Sealings or joints for engineering works in general
- E02B3/04—Structures or apparatus for, or methods of, protecting banks, coasts, or harbours
- E02B3/046—Artificial reef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Revetm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방측 평면에 소파블록 하단이 고정되는 소파블록공이 형성되고, 그 후방측에 관통되어 하부보강앙카의 상단이 고정되는 앙카공이 형성되며, 중심측 상부에는 앙카볼트가 고정되고, 내측하부로 안착요부가 형성된 기초블록과; 하단이 상기 기초블록의 안착요부에 안착되어 하면 전방측의 하단체결공을 통해 앙카볼트로 기초블록에 체결고정되고, 하부와 후방부로는 각각 연결공이 형성되며, 전방측에는 생태이동홀이 형성되고, 체결링에 의해 전방측에 다수개의 통공을 갖는 체결통이 안착고정되는 체결통요홈이 형성되되 체결통 내부에는 황토를 뭉쳐 고온으로 가열한 황토환과 정화숯과 기름종이가 각각 별도의 체결통에 삽입보관되며, 상단부에는 중심에 생태이동홀이 형성되고, 전방측에는 토사가 투입되어 수생식물이 식재되는 식재공이 형성되어 토사막이체결플레이트에 의해 생태이동홀은 연장되고 식재공과는 밀폐되며, 후방상단에 상단체결공이 형성되어 호안에서 상단체결공에 하단체결공이 체결고정되어 적층되는 사각관체인 호안블록과; 상기 호안블록의 후방측 연결공과 상측에 위치된 다른 호안블록의 하단측 연결공과 각각 관결합되어 연결시키는 연결파이프와; 최상측 호안블록의 상단체결공에 체결고정되는 체결공이 형성되고, 전방측으로 해수유입홈이 형성되며, 중심에는 해수유입홈과 연통되어 부력봉에 의해 상부체결판이 수직이동되고, 해수유입홈 상측에는 전방측으로 수평돌출되어 해수월류를 방지하는 해수차단용돌출부가 형성되며, 후방측에는 연결파이프 상단부와 직상부로 연통되어 해수역류시 역류차단막으로 폐쇄되고 스프링에 의해 개 방되는 연결통공이 형성되고, 연결통공 상부에는 이격되어 황토가 적재되는 황토적재홈이 형성되며, 황토적재홈 상부에 수도파이프에 연결된 수도밸브가 형성되어 적조발생시 연결통공을 통해 황토를 해양으로 배출시키는 상부체결블록을 구비하는 생태계 보호를 위한 호안시설물 설치구조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본 발명은 계단식으로 적층되는 호안블록 내측을 연결파이프로 연결시킴으로써 물고기의 이동공간과 물고기들의 산란처로 제공되는 생태이동통로를 제공하면서, 파랑에 의한 양압력을 감소시키며, 제방의 빗물의 배수를 유도하고, 적조시 황토유입통로를 제공하여 친환경적인 효과가 있다.
상부체결블록, 연결파이프, 호안블록, 기초블록
Description
도 1은 본 발명 실시 예인 생태계 보호를 위한 호안시설물 설치구조의 시공모습을 보인 측단면도,
도 2는 본 발명 실시 예인 생태계 보호를 위한 호안시설물 설치구조의 체결모습을 보인 분리사시도,
도 3은 본 발명 실시 예인 생태계 보호를 위한 호안시설물 설치구조인 체결통의 모습을 보인 분리사시도,
도 4는 종래 호안시설물의 구조를 보인 측단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상부체결블록 11 : 해수유입홈
12 : 부력봉 13 : 상부체결판
14 : 체결공 15 : 역류차단막
15a : 스프링 16 : 연결통공
17 : 황토적재홈 17a : 황토
18 : 수도밸브 18a : 수도파이프
19 : 해수차단용돌출부 20 : 호안블록
21 : 하단체결공 22 : 상단체결공
23,24 : 연결공 25,25a : 생태이동홀
26 : 식재공 26a : 수생식물
26b : 토사 27 : 체결통
27a : 통공 27b : 황토환
27c : 정화숯 27d : 기름종이
27e : 체결통요부 27f : 체결링
28 : 토사막이체결플레이트 28a : 생태이동홀
30 : 연결파이프 40 : 기초블록
41 : 안착요부 42 : 앙카볼트
43 : 앙카공 44 : 하부보강앙카
45 : 소파블록공 46 : 소파블록
본 발명은 생태계 보호를 위한 호안시설물 설치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계단식으로 적층되는 호안블록 내측을 연결파이프로 연결시킴으로써 물고기의 이동공간과 물고기들의 산란처로 제공되는 생태이동통로를 제공하면서, 파랑에 의한 양압력을 감소시키며, 제방의 빗물의 배수를 유도하고, 적조시 황토유입통로를 제공하여 친환경적인 생태계 보호를 위한 호안시설물 설치구조에 관한 것이 다.
일반적으로 하천 및 항만의 연안에 인접하여 설치되는 호안시설물은 도 4와 같이, 콘크리트 옹벽(101)을 설치하고 그 상부에 호안블록(100)을 설치하는 방식으로 구성된다.
그러나, 이러한 호안시설물에는 생태계를 보호하는 시설이 미흡하여 자연 생태계에 막대한 피해를 발생시키고 있는 실정이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계단식으로 적층되는 호안블록 내측을 연결파이프로 연결시킴으로써 물고기의 이동공간과 물고기들의 산란처로 제공되는 생태이동통로를 제공하면서, 파랑에 의한 양압력을 감소시키며, 제방 빗물의 배수를 유도하고, 적조시 황토유입통로를 제공하여 친환경적인 생태계 보호를 위한 호안시설물 설치구조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전방측 평면에 소파블록 하단이 고정되는 소파블록공이 형성되고, 그 후방측에 관통되어 하부보강앙카의 상단이 고정되는 앙카공이 형성되며, 중심측 상부에는 앙카볼트가 고정되고, 내측하부로 안착요부가 형성된 기초블록과;
하단이 상기 기초블록의 안착요부에 안착되어 하면 전방측의 하단체결공을 통해 앙카볼트로 기초블록에 체결고정되고, 하부와 후방부로는 각각 연결공이 형성되며, 전방측에는 생태이동홀이 형성되고, 체결링에 의해 전방측에 다수개의 통공 을 갖는 체결통이 안착고정되는 체결통요홈이 형성되되 체결통 내부에는 황토를 뭉쳐 고온으로 가열한 황토환과 정화숯과 기름종이가 각각 별도의 체결통에 삽입보관되며, 상단부에는 중심에 생태이동홀이 형성되고, 전방측에는 토사가 투입되어 수생식물이 식재되는 식재공이 형성되어 토사막이체결플레이트에 의해 생태이동홀은 연장되고 식재공과는 밀폐되며, 후방상단에 상단체결공이 형성되어 호안에서 상단체결공에 하단체결공이 체결고정되어 적층되는 사각관체인 호안블록과;
상기 호안블록의 후방측 연결공과 상측에 위치된 다른 호안블록의 하단측 연결공과 각각 관결합되어 연결시키는 연결파이프와;
최상측 호안블록의 상단체결공에 체결고정되는 체결공이 형성되고, 전방측으로 해수유입홈이 형성되며, 중심에는 해수유입홈과 연통되어 부력봉에 의해 상부체결판이 수직이동되고, 해수유입홈 상측에는 전방측으로 수평돌출되어 해수월류를 방지하는 해수차단용돌출부가 형성되며, 후방측에는 연결파이프 상단부와 직상부로 연통되어 해수역류시 역류차단막으로 폐쇄되고 스프링에 의해 개방되는 연결통공이 형성되고, 연결통공 상부에는 이격되어 황토가 적재되는 황토적재홈이 형성되며, 황토적재홈 상부에 수도파이프에 연결된 수도밸브가 형성되어 적조발생시 연결통공을 통해 황토를 해양으로 배출시키는 상부체결블록을 구비하는 특징이 있다.
이하, 본 발명을 첨부된 도면에 의해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 실시 예인 생태계 보호를 위한 호안시설물 설치구조의 시공모습을 보인 측단면도이고, 도 2는 본 발명 실시 예인 생태계 보호를 위한 호안시설물 설치구조의 체결모습을 보인 분리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 실시 예인 생태 계 보호를 위한 호안시설물 설치구조인 체결통의 모습을 보인 분리사시도이다.
참고로 본 고안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고안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될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였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고안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영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임은 물론이다.
본 발명의 생태계 보호를 위한 호안시설물 설치구조는, 해수 바닥면에 고정되는 기초블록(40)과, 기초블록(40) 상면에서 순차적으로 적층되는 호안블록(20)과, 호안블록(20)과 인접한 다른 호안블록(20)을 연결시키는 연결파이프(30)와, 최상측 호안블록(20) 상부에 위치되는 상부체결블록(10)으로 구성된다.
상기 기초블록(40)은 전방측 평면에 소파블록(46) 하단이 고정되는 소파블록공(45)이 형성되고, 그 후방측에 관통되어 하부보강앙카(44)의 상단이 고정되는 앙카공(43)이 형성되며, 중심측 상부에는 앙카볼트(42)가 고정되고, 내측하부로 안착요부(41)가 형성된다.
상기 연결파이프(30)는 상기 호안블록(20)의 후방측 연결공(24)과 상측에 위치된 다른 호안블록(20)의 하단측 연결공(23)과 각각 관결합되어 연결시키는 관체이다.
상기 호안블록(20)은 호안에서 상단체결공(22)에 하단체결공(21)이 체결고정 되어 적층되는 사각관체로, 하단이 상기 기초블록(40)의 안착요부(41)에 안착되어 하면 전방측의 하단체결공(21)을 통해 앙카볼트(42)로 기초블록(40) 상면에 체결고정되고, 하부와 후방부로는 각각 연결공(23,24)이 형성되며, 전방측에는 생태이동홀(25)이 형성되고, 체결링(27f)에 의해 전방측에 다수개의 통공(27a)을 갖는 체결통(27)이 안착고정되는 체결통요홈(27e)이 형성되되 체결통(27) 내부에는 황토를 뭉쳐 고온으로 가열한 황토환(27b)과 정화숯(27c)과 기름종이(27d)가 각각 별도의 체결통(27)에 삽입보관되며, 상단부에는 중심에 생태이동홀(25a)이 형성되고, 전방측에는 토사(26b)가 투입되어 수생식물(26a)이 식재되는 식재공(26)이 형성되어 생태이동홀(28a)을 갖는 토사막이체결플레이트(28)에 의해 생태이동홀(25a)은 연장되고 식재공(26)과는 밀폐되며, 후방상단에 상단체결공(22)이 형성된다.
상기 상부체결블록(10)은 최상측 호안블록(20)의 상단체결공(22)에 체결고정되는 체결공(14)이 형성되고, 전방측으로 해수유입홈(11)이 형성되며, 중심에는 해수유입홈(11)과 연통되어 부력봉(12)에 의해 상부체결판(13)이 수직이동되고, 해수유입홈(11) 상측에는 전방측으로 수평돌출되어 해수월류를 방지하는 해수차단용돌출부(19)가 형성되며, 후방측에는 연결파이프(30) 상단부와 직상부로 연통되어 해수역류시 역류차단막(15)으로 폐쇄되고 스프링(15a)에 의해 개방되는 연결통공(16)이 형성되고, 연결통공(16) 상부에는 이격되어 황토(17a)가 적재되는 황토적재홈(17)이 형성되며, 황토적재홈(17) 상부에 수도파이프(18a)에 연결된 수도밸브(18)가 형성되어 적조발생시 연결통공(16)을 통해 황토를 해양으로 배출시킨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은, 기초블록(40)의 소파블록(46)을 통해서 수중 내부파를 감소시키고, 하부보강앙카(44)에 의해서 기초블록(40)은 고정지지되며, 호안블록(20)의 생태이동홀(25,25a)을 통해 수중생물이 호안블록(20) 내부를 산란처로 활용하고 있게 된다.
또한, 연결파이프(30)에 의해서 연결된 호안블록(20)은 보다 활동성이 좋은 이동통로 및 산란처로 제공되는바, 이렇게 연통되는 연결파이프(30)로 인해서 생태이동통로로 이용되고, 파랑에 의한 양압력을 감소시키는 역할을 수행하며, 제바의 빗물을 배수하는 통로로 이용되고, 적조발생시 황토의 유입통로로 이용된다.
해수에 적조발생시에는 최상측 호안블록(2) 상측의 상부체결블록(10)의 황토적재홈(17)에 황토(17a)를 투입하여 수도파이프(18a)를 통해 수도밸브(18)를 개방시키면, 황토(17a)가 포함된 수돗물은 연결통공(16)을 통해서 연결파이프(30)를 거쳐 호안블록(20)으로 공급되어 생태이동홀(25,25a)을 통해서 해수의 적조를 감소시키게 된다.
또한, 호안블록(20)의 정면에 체결링(17f)에 의해 고정된 다수개의 체결통(17) 내부에는 황토환(17b)과, 정화숯(17c)과, 기름종이(27d)가 충전되어 통공(17a)을 통해 유입된 해수의 불순물을 정화시키게 된다.
해수의 수위가 높아지면 상부체결블록(10)의 해수유입홈(11) 내부로 해수가 유입되고 이에 부력봉(12)은 상부체결관(13)을 상부로 수직이동시키면서 보다 높은 수위에 대응할 수 있게 되며, 해수차단용돌출부(19)가 해수의 월류를 막게 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계단식으로 적층되는 호안블록 내측을 연결파이프로 연결시킴으로써 물고기의 이동공간과 물고기들의 산란처로 제공되는 생태이동통로를 제공하면서, 파랑에 의한 양압력을 감소시키며, 제방의 빗물의 배수를 유도하고, 적조시 황토유입통로를 제공하여 친환경적인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그와 같은 변경은 청구범위 기재의 범위 내에 있게 된다.
Claims (1)
- 전방측 평면에 소파블록 하단이 고정되는 소파블록공이 형성되고, 그 후방측에 관통되어 하부보강앙카의 상단이 고정되는 앙카공이 형성되며, 중심측 상부에는 앙카볼트가 고정되고, 내측하부로 안착요부가 형성된 기초블록과;하단이 상기 기초블록의 안착요부에 안착되어 하면 전방측의 하단체결공을 통해 앙카볼트로 기초블록에 체결고정되고, 하부와 후방부로는 각각 연결공이 형성되며, 전방측에는 생태이동홀이 형성되고, 체결링에 의해 전방측에 다수개의 통공을 갖는 체결통이 안착고정되는 체결통요홈이 형성되되 체결통 내부에는 황토를 뭉쳐 고온으로 가열한 황토환과 정화숯과 기름종이가 각각 별도의 체결통에 삽입보관되며, 상단부에는 중심에 생태이동홀이 형성되고, 전방측에는 토사가 투입되어 수생식물이 식재되는 식재공이 형성되어 토사막이체결플레이트에 의해 생태이동홀은 연장되고 식재공과는 밀폐되며, 후방상단에 상단체결공이 형성되어 호안에서 상단체결공에 하단체결공이 체결고정되어 적층되는 사각관체인 호안블록과;상기 호안블록의 후방측 연결공과 상측에 위치된 다른 호안블록의 하단측 연결공과 각각 관결합되어 연결시키는 연결파이프와;최상측 호안블록의 상단체결공에 체결고정되는 체결공이 형성되고, 전방측으로 해수유입홈이 형성되며, 중심에는 해수유입홈과 연통되어 부력봉에 의해 상부체결판이 수직이동되고, 해수유입홈 상측에는 전방측으로 수평돌출되어 해수월류를 방지하는 해수차단용돌출부가 형성되며, 후방측에는 연결파이프 상단부와 직상부로 연통되어 해수역류시 역류차단막으로 폐쇄되고 스프링에 의해 개방되는 연결통공이 형성되고, 연결통공 상부에는 이격되어 황토가 적재되는 황토적재홈이 형성되며, 황토적재홈 상부에 수도파이프에 연결된 수도밸브가 형성되어 적조발생시 연결통공을 통해 황토를 해양으로 배출시키는 상부체결블록을 구비하는 생태계 보호를 위한 호안시설물 설치구조.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60078202A KR100648095B1 (ko) | 2006-08-18 | 2006-08-18 | 생태계 보호를 위한 호안시설물 설치구조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60078202A KR100648095B1 (ko) | 2006-08-18 | 2006-08-18 | 생태계 보호를 위한 호안시설물 설치구조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0648095B1 true KR100648095B1 (ko) | 2006-11-24 |
Family
ID=3771303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60078202A KR100648095B1 (ko) | 2006-08-18 | 2006-08-18 | 생태계 보호를 위한 호안시설물 설치구조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0648095B1 (ko) |
Cited By (6)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722190B1 (ko) * | 2006-11-22 | 2007-05-29 | 동남이엔씨(주) | 친환경 하천제방 구조물 |
KR100770162B1 (ko) | 2007-08-13 | 2007-10-25 | (주)우주엔지니어링 | 환경보호 생태복원 식생블록 설치구조 |
KR100922626B1 (ko) | 2009-05-25 | 2009-10-21 | 주식회사 홍익기술단 | 경사 조정수단을 구비한 친환경 생태 이동통로 |
KR100993448B1 (ko) * | 2010-04-09 | 2010-11-10 | 장기웅 | 계단식 옹벽 녹지화용 친환경 화단 |
CN109252487A (zh) * | 2017-07-13 | 2019-01-22 | 中国科学院生态环境研究中心 | 一种用于生态恢复和防护的工字坝及其生态工法 |
CN114370030A (zh) * | 2022-01-05 | 2022-04-19 | 江苏省太湖水利规划设计研究院有限公司 | 一种组合式透水生态护岸 |
-
2006
- 2006-08-18 KR KR1020060078202A patent/KR100648095B1/ko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Cited By (6)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722190B1 (ko) * | 2006-11-22 | 2007-05-29 | 동남이엔씨(주) | 친환경 하천제방 구조물 |
KR100770162B1 (ko) | 2007-08-13 | 2007-10-25 | (주)우주엔지니어링 | 환경보호 생태복원 식생블록 설치구조 |
KR100922626B1 (ko) | 2009-05-25 | 2009-10-21 | 주식회사 홍익기술단 | 경사 조정수단을 구비한 친환경 생태 이동통로 |
KR100993448B1 (ko) * | 2010-04-09 | 2010-11-10 | 장기웅 | 계단식 옹벽 녹지화용 친환경 화단 |
CN109252487A (zh) * | 2017-07-13 | 2019-01-22 | 中国科学院生态环境研究中心 | 一种用于生态恢复和防护的工字坝及其生态工法 |
CN114370030A (zh) * | 2022-01-05 | 2022-04-19 | 江苏省太湖水利规划设计研究院有限公司 | 一种组合式透水生态护岸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0648095B1 (ko) | 생태계 보호를 위한 호안시설물 설치구조 | |
US20190112770A1 (en) | Lost sand collecting apparatus for preventing coastal erosion | |
CN101220584A (zh) | 带挡墙的斜坡式生态护岸 | |
KR100642573B1 (ko) | 하천 생태계 보호를 위한 호안시설물의 설치구조 | |
US8979427B2 (en) | Coastal recovery utilizing repositionable shoal module | |
KR20170113018A (ko) | 해안침식 방지용 파압 및 해빈류 완화 시스템 | |
JP6853931B1 (ja) | 河川の護岸用魚礁ブロック | |
CN108867758B (zh) | 一种码头沉箱取水装置及施工方法 | |
CN213952114U (zh) | 组合式生态护岸结构 | |
CN101023225B (zh) | 水下储水容器 | |
KR200361693Y1 (ko) | 친환경적인 호안시설물 | |
CN103526730A (zh) | 海底设置型铰链式闸门的系留钩 | |
KR100484414B1 (ko) | 생태계 보호용 호안시설물 | |
KR100523317B1 (ko) | 하천 생태계 보호를 위한 원통형 물고기 집 블록을 이용한제방축대 설치구조 | |
JP2006161371A (ja) | 懸垂式カーテンウォール遮水膜組立体とその設置方法 | |
KR102368917B1 (ko) | 부력조절이 가능한 콘크리트 폰툰을 이용한 해상 부유식 방파제 | |
KR100582471B1 (ko) | 유실방지를 위한 호안 피복블록구조 | |
KR200370048Y1 (ko) | 하천의 제방블럭 설치구조 | |
KR20070108838A (ko) | 조력발전 및 해양생태 보존을 위한 친환경 조류 서식장 | |
KR20040060899A (ko) | 친환경적인 호안시설물 | |
JP4229441B2 (ja) | 浮力調整可能な人工リーフ | |
JP2007308884A (ja) | 鉛直方向海水交換装置 | |
JPH11247159A (ja) | 擁護ブロック | |
CN112227306A (zh) | 组合式生态护岸结构 | |
KR101541000B1 (ko) | 연안침식 제어용 챔버형 인공리프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A302 |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 ||
N231 |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 ||
N231 |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21207 Year of fee payment: 7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31114 Year of fee payment: 8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