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47947B1 - 근접장 광 기록 재생 장치 - Google Patents

근접장 광 기록 재생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47947B1
KR100647947B1 KR1020040109750A KR20040109750A KR100647947B1 KR 100647947 B1 KR100647947 B1 KR 100647947B1 KR 1020040109750 A KR1020040109750 A KR 1020040109750A KR 20040109750 A KR20040109750 A KR 20040109750A KR 100647947 B1 KR100647947 B1 KR 10064794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ens
movable
actuator
movable part
coi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10975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60070924A (ko
Inventor
홍삼열
박진무
최인호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4010975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47947B1/ko
Publication of KR2006007092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7092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4794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4794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7/00Recording or reproducing by optical means, e.g. recording using a thermal beam of optical radiation by modifying optical properties or the physical structure, reproducing using an optical beam at lower power by sensing optical properties; Record carriers therefor
    • G11B7/12Heads, e.g. forming of the optical beam spot or modulation of the optical beam
    • G11B7/135Means for guiding the beam from the source to the record carrier or from the record carrier to the detector
    • G11B7/1372Lenses
    • G11B7/1378Separate aberration correction lenses; Cylindrical lenses to generate astigmatism; Beam expander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7/00Recording or reproducing by optical means, e.g. recording using a thermal beam of optical radiation by modifying optical properties or the physical structure, reproducing using an optical beam at lower power by sensing optical properties; Record carriers therefor
    • G11B7/08Disposition or mounting of heads or light sources relatively to record carriers
    • G11B7/09Disposition or mounting of heads or light sources relatively to record carriers with provision for moving the light beam or focus plane for the purpose of maintaining alignment of the light beam relative to the record carrier during transducing operation, e.g. to compensate for surface irregularities of the latter or for track following
    • G11B7/0925Electromechanical actuators for lens positioning
    • G11B7/093Electromechanical actuators for lens positioning for focusing and tracking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7/00Recording or reproducing by optical means, e.g. recording using a thermal beam of optical radiation by modifying optical properties or the physical structure, reproducing using an optical beam at lower power by sensing optical properties; Record carriers therefor
    • G11B7/08Disposition or mounting of heads or light sources relatively to record carriers
    • G11B7/09Disposition or mounting of heads or light sources relatively to record carriers with provision for moving the light beam or focus plane for the purpose of maintaining alignment of the light beam relative to the record carrier during transducing operation, e.g. to compensate for surface irregularities of the latter or for track following
    • G11B7/0925Electromechanical actuators for lens positioning
    • G11B7/0932Details of sprung support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7/00Recording or reproducing by optical means, e.g. recording using a thermal beam of optical radiation by modifying optical properties or the physical structure, reproducing using an optical beam at lower power by sensing optical properties; Record carriers therefor
    • G11B7/08Disposition or mounting of heads or light sources relatively to record carriers
    • G11B7/09Disposition or mounting of heads or light sources relatively to record carriers with provision for moving the light beam or focus plane for the purpose of maintaining alignment of the light beam relative to the record carrier during transducing operation, e.g. to compensate for surface irregularities of the latter or for track following
    • G11B7/0925Electromechanical actuators for lens positioning
    • G11B7/0933Details of stationary part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7/00Recording or reproducing by optical means, e.g. recording using a thermal beam of optical radiation by modifying optical properties or the physical structure, reproducing using an optical beam at lower power by sensing optical properties; Record carriers therefor
    • G11B7/08Disposition or mounting of heads or light sources relatively to record carriers
    • G11B7/09Disposition or mounting of heads or light sources relatively to record carriers with provision for moving the light beam or focus plane for the purpose of maintaining alignment of the light beam relative to the record carrier during transducing operation, e.g. to compensate for surface irregularities of the latter or for track following
    • G11B7/0925Electromechanical actuators for lens positioning
    • G11B7/0935Details of the moving part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7/00Recording or reproducing by optical means, e.g. recording using a thermal beam of optical radiation by modifying optical properties or the physical structure, reproducing using an optical beam at lower power by sensing optical properties; Record carriers therefor
    • G11B7/12Heads, e.g. forming of the optical beam spot or modulation of the optical beam
    • G11B7/135Means for guiding the beam from the source to the record carrier or from the record carrier to the detector
    • G11B7/1387Means for guiding the beam from the source to the record carrier or from the record carrier to the detector using the near-field effect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7/00Recording or reproducing by optical means, e.g. recording using a thermal beam of optical radiation by modifying optical properties or the physical structure, reproducing using an optical beam at lower power by sensing optical properties; Record carriers therefor
    • G11B7/12Heads, e.g. forming of the optical beam spot or modulation of the optical beam
    • G11B7/135Means for guiding the beam from the source to the record carrier or from the record carrier to the detector
    • G11B7/1372Lenses
    • G11B2007/13727Compound lenses, i.e. two or more lenses co-operating to perform a function, e.g. compound objective lens including a solid immersion lens, positive and negative lenses either bonded together or with adjustable spacing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Optical Head (AREA)
  • Optical Recording Or Reproduc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근접장 광 기록 재생 장치에 있어서, 특히 광 경로 상에 빔 익스팬더의 어느 한 렌즈를 광 축 방향으로 가동시켜 줄 수 있도록 한 것으로, 본 발명 실시 예에 따른 근접장 광 기록 재생 장치는, 광 경로 상에서 빔의 수렴각 또는 발산각을 조절하기 위해 제 1렌즈 및 제 2렌즈로 구성된 빔 익스팬더를 구비하고, 상기 빔 익스팬더의 어느 한 렌즈가 취부되는 가동부 및 상기 가동부를 전자기력에 의해 광 축 방향으로 가동시키는 자기회로를 포함하며, 상기 가동부의 가동에 따라 상기 제 1렌즈 및 제 2렌즈 사이의 거리를 조절하여 디스크에 맺히는 빔의 수렴각 또는 발산각을 조절하는 구면수차 보상 액츄에이터를 제공함으로써, 빔의 초점 거리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함에 있다.
구면수차, 1축 액츄에이터, 가동부, 전자기력

Description

근접장 광 기록 재생 장치{Optical recording and reading apparatus for near field}
도 1은 종래 슬레드 방식의 광 픽업 액츄에이터를 나타낸 구성도.
도 2는 종래 스윙암 방식의 광 픽업 액츄에이터를 나타낸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 실시 예에 따른 근접장 광 기록 재생 장치를 나타낸 구성도.
도 4는 도 3에서 빔의 수렴각을 조절한 예를 나타낸 도면.
도 5는 도 3에서 빔의 발산각을 조절한 예를 나타낸 도면.
도 6은 도 3에 적용되는 구면수차 보상 액츄에이터의 제 1실시 예를 나타낸 결합 사시도.
도 7은 도 6의 분해 사시도.
도 8은 도 6에 도시된 구면수차 보상 액츄에이터의 자기회로 구성도.
도 9는 도 3에 적용되는 구면수차 보상 액츄에이터의 제 2실시 예를 나타낸 결합 사시도.
도 10은 도 9의 분해 사시도.
도 11은 도 3에 적용되는 구면수차 보상 액츄에이터의 제 3실시 예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50...송수신광부 160...빔 익스팬더
161...제 1렌즈 162...제 2렌즈
170,200,300,400...구면수차 보상 액츄에이터
180...광 경로 전환수단 190...대물렌즈
210,310,410...가동부 211,301,401...제 2렌즈
212,311,411...코일 213...자성철편
220,320,420...베이스 프레임 221,323,423...요크
222,331,431...마그네트 340...판 스프링부
본 발명은 근접장 광 기록 재생 장치에 있어서, 특히 광 경로 상에 구성되는 빔 익스팬더의 일부 렌즈(오목 렌즈 또는 볼록렌즈)를 구면수차 보상용 액츄에이터를 이용하여 전자기력에 의해 광 축 방향 가동시켜 줌으로써, 빔의 발산각 또는 수렴각을 조절할 수 있도록 하는 근접장 광 기록 재생 장치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종래 슬레드 방식의 광 디스크 드라이브용 액츄에이터를 나타낸 평면도 및 측면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대물렌즈(101)가 중심부에 취부되고 외주면으로 트랙킹 및 포커싱을 위한 코일(105,106)이 권선된 가동부(lens holder 또는 moving part)(102)와, 상기 가동부(102)의 코일(105,106)에 대향하여 베이스(base)에 설치된 마그네트(magnet,103) 및 요크(Yoke,104)와, 상기 가동부(102)의 상, 하 측면에 일단이 고정되어 이를 지지하는 상, 하 복수개의 와이어 서스펜션(wire suspension,107)과, 상기 가동부(102)의 일측에 마련되어 와이어 서스펜션(107)의 타단이 고정된 프레임(109)으로 구성된다. 도면부호 108은 고정기판으로서, 가동부(102)의 상, 하부에 형성되어 와이어 서스펜션(107)의 일단이 납땜되어 고정된다.
상기와 같은 종래 광 픽업 엑츄에이터에 대하여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을 참조하면, 대물렌즈(101)는 가동부(102)의 중심부에 취부되고, 포커싱을 위해 상기 가동부(102)의 각 모서리 부위에 포커싱 코일(105)이 권선되고, 트랙킹을 위해 가동부(102)의 좌/우 측면 중심부에 트랙킹 코일(106)이 권선된다.
그리고, 상기 코일(105,106)과 대향하는 위치인 상기 가동부(102)의 좌, 우측으로는 강자성체 재질의 구조물인 복수개의 요크(104)가 돌출되며 요크 전면에 마그네트(103)를 각각 고정하게 된다. 그 요크(104)는 픽업 베이스(미도시)와 일체화 수단에 의해 일체화되게 된다.
가동부(102)의 상, 하부 측면 중심부에는 고정기판(108)이 결합되어 있으며, 각 고정기판(108)에는 2개가 평행한 와이어 서스펜션(107)의 일단이 납땜되고, 상기 와이어 서스펜션(107)의 타단은 프레임(109)의 댐퍼(damper, 미도시)를 통해서 고정된다.
여기서, 프레임(109) 내부에는 강성을 갖는 와이어 서스펜션(107)을 감쇠특성을 갖도록 하기 위해 댐퍼(미도시)가 결합되고, 외측으로 메인 기판(미도시)이 결합되어 상기 와이어 서스펜션(107)의 타단이 납땜 고정되도록 한다.
상기의 가동부(102)는 와이어 서스펜션(107)에 의해 부상되어 있으며, 이 와이어 서스펜션(107) 각각으로 전류가 공급된다.
상기 구조에서, 가동부(102)의 양측면 중심부에 부착된 트랙킹 코일(106)은 서로 적당한 방향으로 감겨있어 이에 전류가 흐를 때 정해진 방향으로 자속을 발생시키고, 이는 고정되어 있는 마그네트(103)와 전자기력에 의해서 반발력 및 척력이 발생시키게 된다. 이러한 반발력 및 척력에 의해서 가동부(102)의 움직임이 트랙킹 방향(전, 후)으로 움직임으로써, 트랙킹 오차를 보정하기 위한 트랙킹 서보가 동작한다.
그리고, 포커싱 코일(105)은 트랙킹 코일과는 다르게 수평 방향으로 권선되어, 전류가 흐를 때 자속의 방향이 상, 하 방향으로 발생하여, 고정된 마그네트의 자속과 전자기적으로 작용하여 코일에 수직방향으로 힘을 발생하게 됨으로써, 가동부(102)가 포커싱 방향(상, 하)으로 움직이게 되어 이를 보정하기 위한 포커싱 서보가 동작하게 된다.
이와 같은 가동부(102)의 외주 면에 코일(105,106)이 감겨져 가동부(102)와 함께 코일이 이동하는 것을 무빙(moving) 코일 방식이라고 하며, 이와는 반대로 가동부의 외주 면에 마그네트가 부착되어 가동부와 함께 마그네트가 이동하는 것을 무빙 마그네트 방식이라고 한다. 이때의 마그네트와 코일에 의한 무빙방식은 플레 밍 왼손 법칙의 로렌츠 힘을 이용하고 있다.
이러한 슬레드 방식의 광 픽업 액츄에이터는 와이어 서스펜션에 의한 지지 구조로서, 가동부와 지지 구조의 크기가 줄어듦에 따라서 조립과정에서 작은 외력에도 와이어 서스펜션이나 렌즈 홀더 자체에 변형이 발생하기 쉬우므로 구동 특성이 쉽게 악화될 수 있다. 또한 크기가 작아짐에 따라서 외부의 충격에 대해서 지지 구조가 약하다는 단점이 있다.
이를 극복하기 위해서 슬레드 형의 액츄에이터 대신 스윙암 방식의 액츄에이터를 채택하고 있다. 이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다.
도 2는 종래 스윙암 방식의 광 픽업 액츄에이터(120)를 나타낸 구성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스윙암 방식의 광 픽업 액츄에이터(120)는 일측으로 현가부(suspension, 122)와 코일 지지부(123)가 결합되고, 베이스(도시되지 않음)에 꽂아 세운 회동축(124)에 의해서 회동 가능하게 지지받는 액츄에이터 아암(121)과, 상기 회동축(124)에 대하여 상기 슬라이더(128)와 반대측에 위치하는 코일지지부(123)에 VCM(Voice Coil Motor)을 구성하는 평판 코일(125)과, 베이스에 고정된 하측 고정자 마그네트 유지판(126) 및 상기 평판 코일(125)의 하측에 위치한 고정자 마그네트(127)와, 상기 현가부(122)의 선단에 설치되어 공기동압에 의해 디스크(130)에 대해 부상된 상태로 디스크의 트랙을 스캔하는 슬라이더(128)와, 상기 현가부에 구성된 송수신광부(140)로 구성된다.
상기와 같은 종래 근접장 광 기록 재생장치에 대하여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스윙암 방식의 광 픽업 액츄에이터(120)에 대해 도 2를 참조하면, 액츄에이터 아암(121)은 현가부(122)와 코일 지지부(123)가 일체로 형성되고 베이스에 꽂아 세운 회동축(124)에 의해서 회동 가능하게 지지되어, 후술하는 VCM(Voice Coil Motor)에 의해서 화살표 'J' 또는 'K' 방향으로 구동한다.
상기 현가부(122)의 선단에는 슬라이더(128)가 유지되고, 상기 슬라이더(128)에는 판독용, 기록용의 각각의 대물렌즈 및 대향렌즈(이하 픽업렌즈, 129)에 의해 디스크 트랙을 스캔하게 된다.
액츄에이터 아암(121)이 회전 중인 디스크의 기록면 상에 위치할 때 슬라이더(128)는 디스크(130)의 기록면 위를 비행하여, 부상형 헤드(OFH : Optical Flying Head)가 소정의 간격을 유지하며 기록면과 대향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즉, 현가부(122)에 연결된 부상형 헤드가 공기 베어링 효과에 의해서 디스크와 대물렌즈의 간격을 일정하게 유지시켜 준다.
액츄에이터 아암(121)에는 상기와 같이 현가부(122)의 선단에 슬라이더(128)가 유지되어 있지만, 회동축(124)에 대하여 상기 슬라이더(128)와 반대측에 위치하는 코일 지지부(123)에는 VCM을 구성하는 평판 코일(flat coil, 125)을 설치하고, 베이스에 고정자 마그네트(127)를 설치한다.
상기 베이스(base)에 고정된 하측 고정자 마그네트 유지판(126)은 평판 코일(125)의 아래쪽에서 고정자 마그네트(127)를 유지한다. 고정자 마그네트(127)와 평판 코일(125)로 VCM을 구성하고, 이러한 VCM과 액츄에이터 아암(121)으로 액츄에이터(120)가 가동된다.
그러면, 평판 코일(125)에 어느 한 방향으로 전류를 흘리면 평판 코일(125)은 고정자 마그네트(127)와의 사이에서 전자기적 작용이 생기는 관계로 좌측으로 회동 방향의 힘을 얻기 때문에 액츄에이터 아암(121)은 시계 방향으로 회동력을 얻는다. 반대로 평판 코일에 다른 방향으로 전류를 흘리면 평판 코일과 고정자 마그네트(127)와의 사이에서 전자기적 작용이 생기는 관계로 우측으로 회동 방향의 힘을 얻기 때문에 액츄에이터 아암(121)은 시계 반대 방향으로 회동력을 얻는다.
그러면, 액츄에이터 아암(121)이 왕복 회전 운동을 함에 따라 슬라이더(128)는 공기 동압에 의해 디스크(130)에 대해 부상된 채로 트랙킹하며, 상기 슬라이더(128)에 설치된 픽업렌즈(129)가 디스크(130)의 트랙을 스캔할 수 있도록 해 준다.
그리고, 송수신광부(140)는 현가부(121)와 함께 회동하면서, 레이저 빔을 발생시켜 부상형 헤드 방향으로 전달해 주고, 또 부상형 헤드에 의해 반사되는 반사 광빔을 광 검출 방향으로 전환시켜 준다.
이를 위해서, 송수신광부는 레이저 다이오드, 그레이팅(grating), 콜리메이터 렌즈(collimator lens) , 편광판(polarizer), 서보 및 홀로그램 소자(SERVO HOE) 등이 집적된 광학 모듈이다. 이러한 송수신광부(140)는 레이저 다이오드(Laser diode)의 레이저 빔을 투과시켰다가 다시 반사되는 반사광빔을 광학신호로 읽어 서보할 수 있게 된다.
이러한 스윙암 방식의 광 픽업 액츄에이터는 상대적으로 얇으면서도 외력과 충격에 강한 광 픽업으로 구성된다. 그러나 구조적 특성 때문에 수직 방향(포커싱) 구동이 불가능한 단점이 있다.
따라서, 스윙암 방식의 액츄에이터를 광 디스크에 적용하고자 할 때에는 주로 하드 디스크의 슬라이더와 같은 부상형 광 헤드를 사용하여 포커싱 문제를 해결하려고 하였다. 즉, 공기 베어링에 의해서 일정한 높이로 부상하는 부상형 광헤드(OFH)를 적용하여 디스크와 렌즈간의 간격을 서보없이 일정하게 유지하려고 한다.
이와 같은 두 방식 모두, 소비자의 요망에 의해 소형화하여 휴대의 편의를 높이고자 하면서 외부 입자에 의한 오염과 충격에 의해서 렌즈와 디스크가 충돌하는 문제를 해결해야 한다. 이를 위해서 디스크를 보호하는 보호층(cover layer)을 적용하게 되는데, 이 보호층이 포커싱 오차와 구면수차가 발생할 정도의 두께 편차가 있으며, 또한 광 디스크 기판으로 사용하는 플라스틱 재질의 기판에 필요적으로 나타나는 기판의 힘으로 인해서도 상기 포커싱 오차와 구면수차가 발생할 수 있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의 제 1목적은 디스크 보호층의 두께 편차와 플리스틱 기판의 휨에 따라 발생되는 포커싱 오차와 구면수차를 보상할 수 있는 근접장 광기록 재생 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제 2목적은 송수신광부와 대물렌즈 사이의 광 경로 상에 빔 익스팬더를 설치하고, 상기 빔 익스팬더를 구성하는 오목렌즈 및 볼록렌즈 중 어느 하 나의 렌즈가 구면수차 보상 액츄에이터에 취부되고 광 축 방향으로 가동됨으로써, 빔 익스팬더의 렌즈간의 거리를 조정할 수 있어, 레이저 빔을 수렴시키거나 발산시켜 주어 초점 거리를 조정하여 줄 수 있도록 한 근접장 광기록 재생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한 목적 달성을 위한 본 발명에 따른 근접장 광 기록 재생 장치는,
근접장 광 기록 재생 장치에 있어서,
레이저빔을 광 경로 상에 출사하고, 디스크로부터 반사된 반사광 빔을 수광하는 송수신광부와'
상기 레이저빔의 경로를 대물렌즈 방향으로 변환해 주는 광 경로 전환수단과;
상기 송수신광부와 광 경로 전환수단 사이의 광 경로 상에서, 빔의 수렴각 또는 발산각을 조절하기 위해 제 1렌즈 및 제 2렌즈를 포함하는 빔 익스팬더와;
상기 빔 익스팬더의 어느 한 렌즈가 취부되는 가동부 및 상기 가동부를 전자기력에 의해 광 축 방향으로 가동시키는 자기회로를 포함하며, 상기 가동부의 가동에 따라 상기 제 1렌즈 및 제 2렌즈 사이의 거리를 조절하여 디스크에 맺히는 빔의 수렴각 또는 발산각을 조절하는 구면수차 보상 액츄에이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구면수차 보상 액츄에이터는, 상기 빔 익스팬더의 제 1렌 즈 또는 제 2렌즈가 취부되며 광 축 방향으로 가동하는 가동부와, 상기 가동부 외측으로 상기 가동부를 가동시켜 주기 위해 전자기력을 발생시키는 코일, 마그네트, 요크를 포함하는 자기회로와, 중심부에 삽입되는 가동부의 가동을 가이드하고 그 외측에서 마그네트 및 요크를 지지하는 베이스 프레임과, 상기 베이스 프레임의 전/후 측면에 고정되며 상기 가동부의 가동에 따른 소정의 탄성 반발력을 제공하는 판 스프링부를 포함하는 구면수차 보상 액츄에이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가동부는 원통형으로 형성되며, 그 외주변에 코일과 마그네트가 대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가동부는 직사각형으로 형성되며, 그 외주변에 코일과 마그네트가 대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가동부의 외주변에 코일이 권선되고, 상기 가동부의 좌/우측에서 상기 코일에 대향하도록 상기 가동부의 외주변 형상과 대응하는 형상으로 마그네트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판 스프링부는 가동부를 지지하기 위해 상기 가동부의 양단에 결합되는 가동편과, 베이스 프레임의 외측면에 지지되는 지지편과, 상기 가동편 및 지지편 사이에 일정 형상으로 상기 가동부의 가동에 따라 소정의 탄성력을 전달하는 탄성편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탄성편은 가동편과 지지편 사이에서 상기 가동부의 가동에 따라 신장 또는 압축될 수 있는 "ㄹ" 또는 "S"자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탄성편은 가동편을 중심으로 상/하/좌/우 대칭되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근접장 광 기록 재생 장치를 나타낸 구성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레이저 다이오드에 의해 발생되는 빔을 광 경로 상에 출사하고 디스크로부터의 반사광 빔을 전기적 신호로 검출하는 송수신광부(150)와, 제 1렌즈 및 제 2렌즈로 구성되며 제 1 및 제 2렌즈간의 거리에 따라 빔의 발산각 또는 수렴각을 조정하기 위한 빔 익스팬더(Beam expander), 상기 빔 확장기의 특정 렌즈(제 1렌즈 또는 제2렌즈)를 취부하며 광 축 방향으로 가동하여 상기 제 1 및 제2렌즈간의 거리를 조정시켜 주는 구면수차 보상 액츄에이터(170)와, 상기 빔 익스팬더를 투과하는 렌즈의 광 경로를 전환시켜 주는 광 경로 전환수단(180)과, 상기 광 경로 전환수단(180)에 의해 입사된 광을 디스크(191)에 집광하며 디스크로부터 반사되는 반사광 빔을 다시 역으로 전달하는 대물렌즈(190)를 포함하는 구성이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 실시 예에 따른 근접장 광 기록 재생 장치에 대하여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스크(191)는 플라스틱 기판(substrate) 위에 적어도 하나의 기록층(recording layer)이 구성되고, 상기 기록층을 보호하기 위한 보호층(cover layer)이 코팅되어 있게 된다.
상기 기록층을 보호하고 있는 보호층의 두께 편차, 포커싱 오차, 구면수차를 보상하기 위해 송수신광부(150)와 대물렌즈(190) 사이에 빔 익스팬더(160) 및 구면수차 보상 액츄에이터(170)를 구성하게 된다.
상기 디스크(191)의 보호층 두께 편차, 포커싱과 구면수차 보상을 위해 광 경로 상에 빔 익스팬더(160)를 구비하게 되는데, 상기 빔 익스팬더(160)는 제 1렌즈(161)와 제 2렌즈(162)의 조합으로 이루어지는데, 예를 들면 제 1렌즈(161)는 오목 렌즈이며, 제 2렌즈(162)는 볼록렌즈로 구성된다.
그리고, 빔 익스팬더(160)의 제 1 렌즈(161) 및 제 2렌즈(162) 중 하나의 렌즈는 고정되고 다른 하나의 렌즈는 가동되게 된다.
이를 위해, 구면수차 보상 액츄에이터(170)는 상기 빔 익스팬더(160)의 어느 한 렌즈 예를 들면, 제2렌즈(162)를 취부하고 광 축 방향으로 가동하게 된다. 상기 구면수차 보상 액츄에이터(170)가 광 축 방향으로 가동됨에 따라 빔 익스팬더(160)의 제 2렌즈(162)는 광 축 방향에 해당하는 전/후 방향으로 가동되면서, 제 1렌즈(161)와 제 2렌즈(162) 사이의 거리가 달라지게 된다. 이에 따라 빔 익스팬더(160)의 제 1렌즈(161) 및 제 2렌즈(162)를 투과하는 레이저 빔이 광 디스크 상에서 수렴되거나 발산되게 된다.
그리고, 송수신광부(150)는 BOU(Base Optical Unit)로서, 레이저 다이오드(LD), 그레이팅(Grating), 콜리메이터 렌즈(collimator lens), 편광판(polarizer), 서보(servo), 홀로그램 소자(HOE), 광 검출기(PD) 등을 포함하며, 레이저 다이오드로부터 발생되는 레이저 빔을 방출하고, 반사되는 반사광 빔을 전기신호로 변환하고, 상기 구면수차 보상 액츄에이터(170)를 제어하기 위한 서보 신호를 발생하게 된다.
광 경로 전환수단(180)은 레이저 빔의 경로를 디스크 방향 즉, 대물렌즈 방향으로 전환시켜 준다. 광 경로 전환 수단(180)은 예를 들면 반사 미러로 구성된다.
송수신광부(150)에서 발생되는 레이저 빔은 빔 익스팬더(160)의 제 1렌즈(161) 및 제 2렌즈(162)를 차례로 경유하면서 광 경로 전환수단(180)에 의해 빔의 경로가 디스크 방향으로 전환된다. 상기 전환된 빔은 대물렌즈(190)에 입사되며 디스크(191)에 집광됨으로써, 데이터를 기록 또는 재생시켜 줄 수 있다. 상기 디스크(191)로부터 반사되는 반사광 빔은 다시 역 경로에 위치한 대물렌즈(190), 광경로 전환수단(180), 빔 익스팬더(160)을 거쳐 송수신광부(150)에 입력된다.
이때, 송수신광부(150)의 광 검출기는 반사광 빔을 전기적 신호로 변환하여 빔의 수렴 정도를 체크하여, 상기 구면수차 보상 액츄에이터(170)를 광 축 방향의 전 또는 후 방향으로 소정 거리 정도를 가동시켜 줌으로써, 빔 익스팬더(160)의 제 1렌즈(161)와 제 2렌즈(162) 사이의 거리를 조정함으로써, 디스크(191)에 집광되는 빔의 수렴각 또는 발산각을 제어하게 된다.
예를 들면, 도 4는 디스크의 보호층이 얇아진 경우로서, 대물렌즈(190)와 디스크 기록층 사이의 거리가 짧아지므로, 빔의 초점 거리도 짧게 만들어 주게 된다. 이를 위해서, 구면수차 보상 액츄에이터(170)를 광 축 방향의 후 방향 즉, 렌즈(161,162)간의 거리가 멀어지도록 가동시켜 준다. 이때, 빔 익스팬더(160)의 제 1렌즈(161)와 제 2렌즈(162)의 거리(L1)는 초기 거리(L) 보다 가동거리(M1) 만 큼 넓어지게 된다. 이에 따라 빔 익스팬더(160)의 제 1 및 제 2렌즈(161,162) 간의 거리가 멀어짐에 따라 이를 통과하는 빔에 의해 디스크에 집광되는 빔을 수렴시켜 준다.
도 5는 디스크의 보호층이 두꺼워진 경우로서, 대물렌즈(190)와 디스크 기록층 사이의 거리가 멀어지므로, 빔의 초점 거리도 멀어지게 만들어 주게 된다. 이를 위해서 구면수차 보상 액츄에이터(170)를 광 축 방향의 전 방향 즉, 렌즈(161,162)간의 거리가 가까워지도록 가동시켜 준다. 이때, 빔 익스팬더(160)의 제 1렌즈(161)와 제 2렌즈(162)의 거리(L2)는 초기 거리(L)보다 가동거리(M2) 만큼 가까워지게 된다. 이에 따라 빔 익스팬더(160)의 제 1 및 제 2렌즈(161,162)간의 거리가 가까워짐에 따라 이를 통과하는 빔에 의해 디스크에 집광되는 빔을 발산시켜 준다.
이러한 구면수차 보상 액츄에이터(170)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제 1실시 예]
도 6 및 도 7은 본 발명의 제 1실시 예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구면수차 보상 액츄에이터의 사시도이고, 도 7은 도 6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6 및 도 7을 참조하면, 빔을 수렴 또는 발산시켜 주기 위한 렌즈(211)가 취부되며 광 축 방향으로 가동하는 가동부(210)와; 상기 가동부(210)의 좌/우측에 구비된 코일(212) 및 마그네트(222), 요크(221)와, 상기 가동부(210)의 광 축 방향 으로의 가동을 가이드하는 샤프트 가이드 홈(223) 및 샤프트(224)와, 상기 샤프트(224)의 양단을 지지하는 베이스 프레임(220)과, 상기 가동부의 좌/우측 코일의 저면과 대향하는 마그네트(230)를 요크(221) 내면에 부착시킨 구성이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 실시 예에 따른 근접장 광 기록 재생 장치에 대하여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BD급 이상의 광학 시스템은 사용 광원의 파장이 짧아 디스크의 보호층(DISK COVER LAYER)의 편차에 의해 구면 수차 허용치가 벗어나거나, 저장밀도 증가를 위해 듀얼 레이어 디스크를 사용하면서 각 레이어의 편차에 의해 구면수차가 발생하게 된다. 이러한 구면수차를 보상해주기 위해 광 축상의 광학소자를 이동시켜 주어야 하는 1축 구동 서보 시스템이 요구된다.
이를 위해, 도 6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광 축상에 설치되는 구면수차 보상 액츄에이터는 1축 액츄에이터로서 광 축 방향으로 직선운동을 하게 되며, 이를 위해 가동부(210) 및 자기회로, 샤프트(224), 베이스 프레임(220)을 포함한다.
상기 가동부(210)는 중심부의 형성된 빔 통과공(210a)으로 렌즈(211)가 안착되며, 좌/우측으로 가동부(210)의 가동을 위한 자기회로를 구비하고, 가동을 가이드하는 샤프트(224)가 광 축 방향으로 설치된다. 여기서, 상기 렌즈(211)는 빔 익스팬더(BEAM EXPANDER)의 오목렌즈 및 볼록렌즈 중 어느 하나의 렌즈가 장착되며, 상기 렌즈(211)를 광 축 방향으로 가동시켜 줌으로써 렌즈 간의 거리를 조절하여 빔을 발산 또는 수렴시켜 준다.
상기 샤프트(224)는 가동부(210)의 광 축 방향의 움직임을 가이드하기 위해 두 개의 샤프트(224)를 렌즈 높이 방향 중심 및 렌즈 기준 대칭이 되도록 좌우에 배치하게 된다.
그리고, 자기회로는 코일(212) 및 마그네트(222), 요크(221)로 구성되며, 가동부(210)를 가동하는 구동력을 발생한다. 이를 위해, 상기 가동부(210)의 좌/우측면에 코일(212)이 부착되며, 이에 대향하는 위치에 마그네트(222)가 요크(221) 내면에 부착, 고정된다.
여기서, 도 8과 같이 상기 마그네트(222)는 축 방향으로 2극(S:N)이 설치되는데, 단극성 2개로 하거나 단일개의 2극성 마그네트로 설치할 수도 있다. 그리고, 마그네트(222)의 극성 경계에 코일(221) 중심이 대향되게 설치된다. 이러한 코일(212) 및 마그네트(222)는 상호간에 발생되는 힘은 로렌츠 힘의 방향을 광 축 방향으로 하여 렌즈(211)를 구동하게 된다.
그리고, 요크(221)는 자석의 극대화를 위해 "U" 자형 요크 플레이트의 양단에 절곡되고 직립된 요크 내면으로 마그네트(222)가 부착된다.
그리고, 베이스 프레임(220)은 전체 액츄에이터를 지지 및 고정시켜 주기 위해, 샤프트(224) 및 요크(221)를 지지한다. 이를 위해, 베이스 프레임 후면에 요크 고정돌기(226)를 내측으로 돌출시켜 요크의 배면에 형성된 고정 홈(221a)이 끼워지도록 하며, 또 내부에 요크 유동 방지부(227)를 형성하여 내부로 끼워지는 요크(221)의 상/하/좌/우 유동을 방지하게 된다.
이러한 가동부(210)의 가동을 가이드하기 위한 샤프트(224)는 그 중심부가 가동부(210)의 좌/우측에 축 방향으로 형성된 샤프트 가이드 홈(223)에 삽입되고, 샤프트(224)의 양단은 베이스 프레임(220)의 전/후 측면에 형성된 샤프트 고정 홈(225)으로 안착되므로, 상기 가동부(210)가 자기회로에 의해 가동될 때, 샤프트(224)를 따라 전/후 방향(광 축 방향)으로 이동된다.
이의 동작을 설명하면, 구면수차 보상 액츄에이터는 광 축 상에서 렌즈(211)를 취부하고 광 축 방향으로 이동하게 되므로 초점 거리를 조절할 수 있게 해 준다.
이러한 액츄에이터의 코일(212)에 전류가 인가되면 코일(212)과 이에 대향하는 마그네트(222) 사이에 전자기력이 발생되고, 발생되는 전자기력은 코일(212) 및 가동부(210)를 축 방향으로 이동시켜 준다. 이때 가동부(210)는 샤프트(224) 및 샤프트 가이드홈(223a, 223b)을 따라 이동하게 된다. 이때 코일(212)에 인가되는 전류의 방향에 따라 전 방향 또는 후 방향으로 이동하게 된다.
또한, 가동부(210)의 양측면 중심 위치에 자성철편(213)이 각각 안착된다. 이러한 자성철편(213)은 가동부(210)의 양측 면에 형성된 탄성 스프링으로서, "ㄷ"자형 철편 고정홈(214)에 각각 안착되며 마그네트(222)의 극성(222a,222b) 경계에 대향함으로써, 가동부에 복원력을 제공하게 된다.
또한 상기 자성철편(213)은 가동부(210)의 좌/우측에 고정된 마그네트(222)의 극성 경계(S:N)에 위치하게 된다. 이는 자석의 극 사이에 가장 높은 자기 밀도가 형성되어 자성철편(213)이 극성 사이에 위치하고자 하는 잠재 에너지의 안정점 특성(stable point of potential energy, 자기 스프링)에 의한 것으로, 자성철편(213)이 극성 사이에서 벗어나게 되면 다시 원 상태로 복귀하려는 복원력 이 발생하게 된다.
이에 따라 상기 자성철편(213)은 별도의 조립 지그없이 철편 고정홈(214)에 삽입후 접착만으로 고정이 가능하게 된다. 또 철편 고정홈(214)을 소정 깊이로 하여, 자기 스프링의 강성 값을 조절할 때 가동부(210)의 수정 없이도 자성철편(213)의 두께만으로 변화시킬 수 있다.
따라서, 코일(212)과 마그네트(222)에 의해 발생되는 전자기력과 자기 복원력 간의 차이에 의해 가동부(210)는 특정 지점에서 고정될 수 있다. 즉, 자성철편(213)의 두께 및 사이즈, 마그네트(222)와의 거리만을 조정하면 감도 및 해상도를 변화시킬 수 있다.
한편, 가동부(210)의 좌/우에서 샤프트(224)를 가이드하는 샤프트 가이드홈(223: 223a,223b)은 서로 다른 형상으로 형성된다. 즉, 가동부(210)의 일측 가이드 홈(223a)은 사각형으로 하여 상하/좌우 방향 가이드가 가능하며, 타측 가이드홈(223b)은 원형 또는 장공으로 처리하여 상하 방향으로 가이드해 준다. 이로써, 구동 중 발생할 수 있는 가동부(210)의 틸트로 인해 샤프트(224)와 가동부(210) 사이의 마찰력 상승시에도 구동이 자유롭도록 자유도를 해제하였다.
또한, 샤프트(224)는 미끄럼 특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외부에 teflon 재질로 코팅하였으며, 샤프트(224)와 면 접촉하고 있는 가동부(210)의 재질 역시 미끄럼 특성이 우수한 PPS(Poly Phenylene sulfide) 계통을 사용하였다.
상기와 같은 구면수차 보상 및 포커싱 보정을 위한 액츄에이터를 광 경로 상에 설치함으로써, 빔 익스팬더의 렌즈를 움직여 렌즈(오목 및 볼록렌즈) 간의 거리 를 조정하여 줌으로써 레이저 짐을 수렴(CONVERGENT RAY)시키거나 발산(DIVERGENT RAY)시켜 주어 초점 거리를 조정하고 구면수차를 보상해 준다.
그러나, 제 1실시 예는 다음과 같은 문제가 있다. 첫 번째는 샤프트에 의해 가동부를 지지하는 방식으로서 가동부의 기동을 한 방향으로 제한하고 있으며, 두 번째, 가동부의 크기를 소형화함에 따라서 감소된 구동력에 비해 상대적으로 마찰력의 비중이 커지게 되어 마찰 문제가 커지게 된다. 세 번째는 샤프트의 코팅을 감안하고 제작 가능한 축의 최소 지름의 한계 등을 고려해야 하는 문제가 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판 스프링에 의한 지지 구조를 갖는 구면수차 보상 액츄에이터에 대하여 제 2실시 예를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제 2실시 예]
도 9 및 도 10은 본 발명의 제 2실시 예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구면수차 보상 액츄에이터의 결합 사시도이고, 도 10은 도 9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9 및 도 10을 참조하면, 빔의 수렴 또는 발산 제어를 위한 빔 익스팬더의 일부 렌즈를 취부하고 광 축 방향으로 가동되는 가동부(310), 전자기력을 발생하기 위한 자기회로로서 코일(311), 마그네트(331) 및 요크(333)와, 상기 가동부(310)가 중심부에 취부되고 그 외측으로 마그네트(331) 및 요크(333)가 장착되는 베이스 프레임(320)과, 상기 가동부(310)의 전/후 양단에 삽입되고 상기 베이스 프레임(320)의 좌/우 양측에 고정되어 상기 가동부(310)의 가동에 대해 소정의 탄성력을 제공 하는 판 스프링부(340)를 포함하는 구성이다.
상기 가동부(310)는 원통형으로 내부에 빔 익스팬더의 일부 렌즈(예; 볼록렌즈)가 취부되고 외부에는 코일(311)이 권선되며, 전/후 양단에는 스프링 고정수단으로서 가동편 지지리브(314) 및 스프링 결착부(315)가 형성된 구조이다.
상기 베이스 프레임(320)은 중심부에 상기 가동부(310)가 자유롭게 이동 가능하도록 가이드하는 가동부 가이드 홈(321)이 형성되고, 좌/우측으로 상기 마그네트(331) 및 요크(333)가 수납되는 홈(332)이 형성되며, 좌/우 외측면에는 판 스프링부(340)의 양단을 지지하기 위한 지지편 고정홈(324)을 형성시킨 구성이다.
상기 판 스프링부(340)는 상기 가동부(310)를 지지하기 위하여 가동부(310)의 중심 양단에 조립되어 지지하는 가동편(342)과, 상기 가동부(310)의 가동 거리를 향상시키고 상기 가동부(310)에 복원력을 제공하기 위한 탄성편(344)과, 상기 탄성편(344)을 베이스 프레임(320)의 좌/우에 고정시켜 주기 위한 지지편(345)을 포함하는 구성이다.
또한, 상기 판 스프링부(340)는 전도성 재질로 선택되어 상기 가동부(320)의 코일(311)에 전원을 공급하는 선로 또는 단자 역할을 하게 된다.
이러한 본 발명의 제 2실시 예에 대하여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9 및 도 10을 참조하면, 구면수차 보상 액츄에이터(300)는 가동부(310), 베이스 프레임(320), 자기회로, 판 스프링부(340)를 포함하게 된다.
상기 가동부(310)는 원통형 몸체(312)의 외주변에 코일(311)이 권선되며, 상 기 몸체 일측에 빔 익스팬더의 일부 렌즈(예: 볼록렌즈)(301)가 취부된 경통(313)이 돌출되게 설치되고, 몸체 양측으로 판 스프링부(340)가 장착되는 가동편 지지 리브(314) 및 스프링 결착부(315)가 형성된다.
이러한 가동부(310)는 베이스 프레임(320)의 중심부에 형성된 가동부 가이드 홈(321)으로 삽입됨으로써, 가동부(310)를 광 축(Y 축) 방향으로 위치시켜 주게 된다. 이때, 베이스 프레임(320)의 전/후에 판 스프링부(340)를 장착하여 상기 가동부(310)를 지지하여 주게 된다.
상기 가동부(310) 및 베이스 프레임(320)의 양측에는 설치되는 판 스프링부(340)는 가동편(342), 탄성편(344), 지지편(345)으로 구성되며, 상기 가동편(342)은 가동부(310)에 고정되며, 탄성편(344)은 가동편(342)과 지지편(345) 사이에 소정의 탄성력을 제공해 주며, 지지편(345)은 베이스 프레임(320)의 좌/우측에 각각 고정된다.
여기서, 상기 판 스프링부(340)의 가동편(342)이 그 중심부에 가공된 가이드 구멍(341)을 통해 가동부(310)의 경통(313)을 통과된 후 가동편 결착부(315)에 위치하고 가동편 지지 리브(314)를 밀착됨으로써, 가동편(342)이 가동부(310)에 조립 또는 부착되게 된다. 다른 실시 예로서 판 스프링부(340)의 가동편(342)을 경통(313)을 나사 방식으로 체결토록 함으로써 조립시켜 줄 수 있다. 상기 경통은 가동부 내부에 렌즈를 조립할 경우 별도로 필요치 않게 된다.
상기 가동편(342)은 상/하부에 회동제한돌기(343)가 돌출됨으로써, 광 축 방향으로 상기 가동부(310)와 함께 회동할 때 가동부(310)의 중심 상/하단에 형성된 가동편 멈춤홈(323)에 걸려 더 이상 가동부(310)가 광 축 방향의 전 또는 후로 이동되는 것을 제한해 준다.
상기 판 스프링부(340)의 지지편(345)은 베이스 프레임(320)의 좌/우측에 형성된 지지편 고정홈(324)에 결착되므로, 부착부재 등을 이용하여 부착되어 고정된다.
상기 판 스프링부(340)의 탄성편(344)은 가동편(342) 및 지지편(345) 사이에 연결되며 탄성력을 주기 위해 요철 형상으로 형성된다. 예를 들면, 탄성편(344)은 "ㄹ" 또는 "∑" 또는 "S" 또는 "H"형상 등 다양하게 형성될 수 있으며 또 상하 및 좌우 방향으로 대칭되어, 광 축 방향으로의 탄성 복원력을 줄 수 있으면 된다.
또한 가동부(310)의 양단에 각각 설치된 판 스프링부(340)는 코일(311)에 전원을 공급해 주는 선로 또는 단자로 기능하도록 전도성 재질로 구성해 준다.
상기 베이스 프레임(320)은 중심부에 형성된 가동부 가이드 홈(311)으로 가동부(310)가 삽입되고 판 스프링부(340)가 결합되면, 좌/우측으로 마그네트 및 요크 결합홈(312)이 형성되며, 이에 마그네트(331) 및 요크(333)를 결합시켜 준다.
여기서, 마그네트(331)는 원통형 가동부(310)의 외주변에 권선된 코일(311) 권선 형상과 각각 대향되며, 그 대향 면적을 극대화하기 위해 가동부 외주변의 곡면과 동일한 곡면(332)으로 형성된다. 또 마그네트(331)의 배면은 요크(333) 내면에 부착된다. 그리고, 상기 마그네트(331)는 영구자석으로 구성된다.
이에 따라 베이스 프레임(320)의 좌/우에 마그네트(331) 및 요크(333)가 고정되며, 앞/뒤에 판 스프링부(340)의 소정의 탄성력을 갖고 중심의 가동부(310)에 고정됨으로써, 가동부(310)의 가동에 대해 판 스프링부(340)가 소정의 탄성 복원력을 제공해 준다.
이러한 구면수차 보상 액츄에이터의 동작에 대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베이스 프레임(320)의 중심부에 설치된 가동부(310)는 판 스프링부(340)에 의해 부상된 상태로 지지됨으로써, 베이스 프레임(320)의 중심부에서 광 축 방향으로 가동하게 된다.
이를 위해, 상기 가동부(310)의 코일(311)에 일정 방향 및 소정 크기의 전류를 흘려주면, 상기 코일(311)과 마그네트(331) 사이에 발생되는 전 자기력에 의해 상기 가동부(310)가 앞/ 뒤 방향으로 가동하게 된다. 이에 따라 가동부(310)에 취부된 빔 익스팬더의 일부 렌즈(예 : 볼록렌즈)를 조정하게 되므로, 빔 익스팬더의 오목렌즈와 볼록 렌즈 사이의 거리가 조정됨으로써, 빔의 수렴 또는 발산시켜 주어 빔의 구면 수차 또는 파면수차, 그리고 포커싱을 조절할 수 있게 된다.
이때, 상기 가동부(310)가 전/후 방향으로 이동하게 됨에 따라 탄성 스프링부(340)의 탄성편(344)은 늘어나거나 줄어드는 변형을 통해서, 가동부(310)의 가동 거리를 넓혀줄 수 있으며, 또 가동부(310)의 가동에 따른 복원력을 제공해 준다.
즉, 가동부(310)의 전/후 또는 좌/우 또는 상/하 방향의 힘에 대해 판 스프링이 자유도를 주고 또 복원력을 제공해 줌으로써, 가동부(310)의 가동 거리 및 자유도를 확장시켜 줄 수 있다.
그리고, 가동부(310)와 함께 판스프링부(340)의 가동편(342)이 가동될 때, 상기 가동편(342)의 상/하부에 돌출된 회동 제한 돌기(343)가 베이스 프레임(320) 의 가동편 멈춤홈(323)에 걸리게 됨으로써, 가동부(310)가 앞 방향 또는 뒤 방향으로 더 이상 이동되는 것을 제한하게 된다.
이러한 제 2실시 예는 가동부(310)를 원통형으로 설치함으로써, 마그네트(331)를 곡면 처리하여야 하는 문제가 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가동부(310)를 사각형 구조로 제조하고 마그네트(331)를 사각형으로 제작하여 설치할 수 있다.
[제 3실시 예]
도 11은 본 발명의 제 3 실시 예로서, 제 2실시 예로부터 변형된 액츄에이터(400)이다.
도 11을 참조하면, 코일(411)이 권선된 직육면체 형상의 가동부(410)와, 상기 가동부(410)를 가이드하기 위해 지지하는 베이스 프레임(420)과, 상기 가동부(410)의 둘레면에 권선된 코일(411)과 대향하며 베이스 프레임(420)에 고정된 마그네트(431) 및 요크(433)와, 상기 베이스 프레임(420) 및 가동부(410)의 양단에 결합되어 상기 가동부(410)에 소정의 탄성을 전달하는 판 스프링부(440)를 포함하는 구성이다.
여기서, 상기 가동부(410)는 직육면체 형상으로 형성되며 외측면에 코일(411)이 권선됨으로써, 가동부(410)의 코일(411) 권선 측면과 대향하는 마그네트(431)를 사각형 구조로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코일(411)은 다른 예로서 가동부(410)의 좌/우 측면에 보빈에 의해 각각 권선된 형태로 부착되어 마그네트(431)와 각각 대향되게 설치할 수도 있으며, 마그네트(431)를 각 측면의 코일(411)에 대향하여 단극 또는 다극으로 구성할 수도 있다.
상기 가동부(410)는 일측에 빔 익스팬더의 일부 렌즈(예: 볼록렌즈)를 취부하고, 베이스 프레임(420)의 중심부에 사각형 형상의 가이드 홈(421)에 삽입된다. 이때, 상기 가동부(410)의 양단의 가동편 지지 리브(414) 및 가동편 결착부(415)에 판 스프링부(440)의 가동편(442)을 각각 장착시킨 후, 접착 부재로 부착시키거나 조립시켜 준다.
또 판 스프링부(440)의 중심이 가동부(410)에 고정되면, 판 스프링부(440)의 좌/우측 단에 형성된 지지편(445)을 베이스 프레임(420)에 고정시켜 주기 위해 접착부재 등으로 부착시켜 준다. 이에 따라 판 스프링부(440)의 가동편(442)은 가동부(410)와 함께 가동되게, 지지편(445)은 베이스 프레임(420)에 고정되게 설치된다.
이러한 가동부(410)에 권선된 코일(411)에 전류를 흘려주면, 상기 코일(411)과 마그네트(431) 사이의 전 자기력에 의해 가동부(410)가 광 축 방향인 전/후 방향으로 가동하게 됨으로써, 상기 가동부(410)에 취부된 빔 익스팬더의 일부 렌즈(예: 볼록렌즈)를 이동시켜 주어 빔 익스팬더의 복수개 렌즈(오목렌즈 및 볼록렌즈) 사이의 거리를 조정할 수 있어, 빔을 수렴 또는 발산시켜 줄 수 있다.
이제까지 본 발명에 대하여 그 바람직한 실시 예를 중심으로 살펴보았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본질적 기술 범위 내에서 상기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과 다른 형태의 실시 예들을 구현할 수 있 을 것이다. 여기서 본 발명의 본질적 기술범위는 특허청구범위에 나타나 있으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차이점은 본 발명에 포함된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근접장 광 기록 재생 장치에 의하면, 광 디스크 드라이브의 크기를 작게 만들어 휴대성을 높임에 따라서, 환경적 영향을 줄이기 위한 보호층을 적용할 때 생기는 보호층 두께 편차와 소형화된 플라스틱 디스크 기판의 휨에 따라서 발생되는 포커싱 오차와 구면수차를 보상할 수 있는 효과가 있으며, 광 디스크 드라이브의 초 소형화를 이룰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8)

  1. 레이저 다이오드로부터 발생되는 레이저빔을 광 경로 상에 출사하고, 기록매체로부터 반사된 반사광 빔을 수광하는 송수신광부;
    상기 송수신광부와 기록매체 사이의 광 경로 상에 위치하여, 빔의 수렴각 또는 발산각을 제어하는 빔 익스팬더; 및
    상기 빔 익스팬더가 빔의 수렴각 또는 발산각을 제어할 수 있도록, 상기 빔 익스팬더가 광 경로 상의 축 방향으로 가동되도록 하는 액츄에이터;가 포함되고,
    상기 액츄에이터에는 상기 빔 익스팬더가 취부되는 가동부와, 상기 가동부가 가동되도록 하는 자기회로와, 상기 가동부의 가동을 상기 광 경로 상의 축 방향으로 가이드하는 샤프트가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근접장 광 기록 재생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빔 익스팬더는 제1렌즈와 제2렌즈가 구비되어 상기 제1렌즈와 제2렌즈의 거리에 따라 빔의 수렴각 또는 발산각이 조절되도록 형성되고,
    상기 액츄에이터는 상기 가동부가 상기 제1렌즈 또는 제2렌즈를 취부하여, 상기 제1렌즈와 제2렌즈 간의 거리를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근접장 광 기록 재생장치.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제1렌즈와 제2렌즈는 볼록렌즈와 오목렌즈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근접장 광 기록 재생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자기회로는 상기 가동부의 외주면에 권선되는 코일과, 상기 가동부의 좌측과 우측에서 상기 코일에 대향하도록 형성되는 마그네트가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근접장 광 기록 재생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액츄에이터에는 상기 샤프트를 지지하는 프레임과, 상기 가동부의 가동에 따른 소정의 탄성력을 제공하는 탄성 부재가 더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근접장 광 기록 재생장치.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 부재는 상기 가동부의 전방 또는 후방의 중심부에 삽입되는 가동편과, 상기 프레임의 양 측면에 고정되는 지지편과, 상기 가동편 및 지지편 사이에서 상기 가동부의 가동에 따라 소정의 탄성력을 제공하는 탄성편으로 이루어지는 판 스프링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근접장 광 기록 재생장치.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편은 상기 가동편을 중심으로 대칭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근접장 광 기록 재생장치.
  8. 광 경로의 축 방향과 평행하게 형성되는 샤프트;
    상기 샤프트에 의해 이동이 가이드 되고, 소정의 렌즈가 취부되는 가동부;
    상기 가동부의 외주변에 권선되는 코일; 및
    상기 가동부의 좌측과 우측에서 상기 코일에 대향되는 마그네트;가 포함된고,
    상기 가동부는 상기 코일에 전류가 인가됨에 따라 발생하는 전자기력에 의해 상기 광 경로 상의 축 방향으로 이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츄에이터.
KR1020040109750A 2004-12-21 2004-12-21 근접장 광 기록 재생 장치 KR10064794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109750A KR100647947B1 (ko) 2004-12-21 2004-12-21 근접장 광 기록 재생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109750A KR100647947B1 (ko) 2004-12-21 2004-12-21 근접장 광 기록 재생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70924A KR20060070924A (ko) 2006-06-26
KR100647947B1 true KR100647947B1 (ko) 2006-11-23

Family

ID=3716449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109750A KR100647947B1 (ko) 2004-12-21 2004-12-21 근접장 광 기록 재생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47947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22099B1 (ko) * 2005-02-04 2011-03-17 엘지전자 주식회사 광픽업의 구면수차 보정장치
KR101236723B1 (ko) * 2011-03-25 2013-02-25 노명재 레이저 다이오드 광원을 갖는 프로젝션용 조명 광학계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242963A (ja) * 1999-02-19 2000-09-08 Fujitsu Ltd 光情報記憶装置および光学ヘッド
KR20020082681A (ko) * 2001-04-25 2002-10-31 엘지전자 주식회사 근접장 광기록시스템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242963A (ja) * 1999-02-19 2000-09-08 Fujitsu Ltd 光情報記憶装置および光学ヘッド
KR20020082681A (ko) * 2001-04-25 2002-10-31 엘지전자 주식회사 근접장 광기록시스템

Non-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1020020082681
12242963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70924A (ko) 2006-06-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372785B2 (en) Spherical aberration compensation actuator and optical pickup system
US20050188394A1 (en) Optical pick-up apparatus with lenses
KR100647947B1 (ko) 근접장 광 기록 재생 장치
KR20010094007A (ko) 광 픽업 엑츄에이터
US7349295B2 (en) Optical head device
KR100656641B1 (ko) 광 픽업 시스템
KR100569915B1 (ko) 광 디스크 드라이브 장치
US7272840B2 (en) Objective lens driving apparatus used with an optical pickup
US7239461B2 (en) Objective lens drive device
KR100361498B1 (ko) 틸팅 구동이 가능한 액츄에이터의 지지구조
JP3694924B2 (ja) 対物レンズ駆動装置及びこれを用いた記録再生装置
KR100656640B1 (ko) 광 기록 재생 장치 및 방법
US8000183B2 (en) Object lens actuator, optical pickup and optical disk drive
KR100518872B1 (ko) 광 픽업 시스템
KR100569922B1 (ko) 광 디스크 드라이브 장치
JPS6076039A (ja) 対物レンズ駆動装置
KR100569921B1 (ko) 광 디스크 드라이브 장치
KR100690595B1 (ko) 광픽업용 엑츄에이터
KR100569920B1 (ko) 광 디스크 드라이브 장치
KR100569932B1 (ko) 광 픽업 액츄에이터 장치
KR100569919B1 (ko) 광 디스크 드라이브 장치
JPH05266503A (ja) 光学ヘッド
KR950012204B1 (ko) 광픽업용 엑츄에이터
JP2004139645A (ja) 光ピックアップ及びディスクドライブ装置
JP3609209B2 (ja) 対物レンズ駆動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