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47664B1 - 평판 표시장치 및 그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평판 표시장치 및 그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47664B1
KR100647664B1 KR1020040098660A KR20040098660A KR100647664B1 KR 100647664 B1 KR100647664 B1 KR 100647664B1 KR 1020040098660 A KR1020040098660 A KR 1020040098660A KR 20040098660 A KR20040098660 A KR 20040098660A KR 100647664 B1 KR100647664 B1 KR 10064766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aling member
bonding
substrate
encapsulation
light emit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9866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60059538A (ko
Inventor
양남철
Original Assignee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4009866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47664B1/ko
Publication of KR2006005953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5953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4766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4766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0/00Organic light-emitting devices
    • H10K50/80Constructional details
    • H10K50/84Passivation; Containers; Encapsulation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0/00Organic light-emitting devices
    • H10K50/80Constructional details
    • H10K50/84Passivation; Containers; Encapsulations
    • H10K50/841Self-supporting sealing arrangement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0/00Organic light-emitting devices
    • H10K50/80Constructional details
    • H10K50/84Passivation; Containers; Encapsulations
    • H10K50/842Containers
    • H10K50/8423Metallic sealing arrangement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0/00Organic light-emitting devices
    • H10K50/80Constructional details
    • H10K50/84Passivation; Containers; Encapsulations
    • H10K50/842Containers
    • H10K50/8426Peripheral sealing arrangements, e.g. adhesives, sealant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0/00Organic light-emitting devices
    • H10K50/80Constructional details
    • H10K50/84Passivation; Containers; Encapsulations
    • H10K50/846Passivation; Containers; Encapsulations comprising getter material or desiccants

Abstract

본 발명은 플랙시블화했을 때 높은 접합 강도 및 밀봉특성을 나타내기 위한 것으로, 이를 위하여, 기판과, 상기 기판 상에 형성된 발광부와, 상기 기판 상에 접합되어 상기 발광부를 밀봉하는 밀봉부재와, 상기 기판과 밀봉부재의 접합된 부분에서 상기 기판 및 밀봉부재와 접합된 접합 필름을 포함하는 평판 표시장치 및 그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Description

평판 표시장치 및 그 제조방법{Flat display device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평판 표시장치의 분해 사시도,
도 2는 도 1의 Ⅰ-Ⅰ의 단면도,
도 3은 도 1의 화상 표시부의 일 예를 도시한 단면도,
도 4는 도 1의 화상 표시부의 다른 일 예를 도시한 단면도,
도 5는 도 1의 밀봉부재의 부분확대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평판 표시장치의 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평판 표시장치의 단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발광 소자 1: 기판
2: 발광부 3: 밀봉부재
31: 기지 필름 32: 보호층
4: 제1봉지부재 5: 제2봉지부재
6: FPC 71: 제1실런트
72: 제2실런트 73: 접착수단
8: 접합 필름
본 발명은 평판 표시장치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플렉시블 평판 표시장치에 적합한 밀봉 구조를 갖는 평판 표시장치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통상적으로 유기 전계 발광 표시장치, TFT-LCD 등과 같은 평판형 표시장치는 구동특성상 초박형화 및 플랙시블화가 가능하여 이에 대한 많은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다.
상기 평판형 표시장치가 박형화 및 연성을 갖도록 하기 위해서는 플랙시블한 기판을 사용하게 된다. 종래에는, 이러한 플랙시블한 기판으로서, 플라스틱재 기판을 주로 사용하였다.
그러나 평판형 표시장치들은 그 특성에 따라 유기막, 구동을 위한 박막 트렌지스터층, 전극층, 또는 배향막 등 매우 까다로운 공정조건을 거치게 되므로, 상기 플라스틱재의 기판을 이용하는 경우, 공정조건에 의해 기판이 변형되거나 기판 상에 형성되는 박막층들이 변형되며, 글라스재에 비해 강도도 떨어지는 문제가 있다.
그리고, 이러한 플랙시블한 평판 표시장치는 단순히 실런트를 이용해 가장자리를 밀봉하는 종래의 방식을 사용할 경우, 휘거나 했을 때에, 이 실런트가 도포되 어 있는 부분에 크랙이 발생하는 등의 문제가 있어, 실런트 접합 강도가 매우 높아야 한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플랙시블화했을 때 높은 접합 강도 및 밀봉특성을 나타낼 수 있는 평판 표시장치 및 그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데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기판과, 상기 기판 상에 형성된 발광부와, 상기 기판 상에 접합되어 상기 발광부를 밀봉하는 밀봉부재와, 상기 기판과 밀봉부재의 접합된 부분에서 상기 기판 및 밀봉부재와 접합된 접합 필름을 포함하는 평판 표시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또한, 서로 대향되고, 그 가장자리가 접합되는 제1,2봉지부재; 기판과, 상기 기판 상에 형성된 발광부와, 상기 기판 상에 접합되어 상기 발광부를 밀봉하는 밀봉부재를 구비한 것으로, 상기 제1봉지부재와 제2봉지부재 사이에 개재되는 발광 소자; 및 상기 제1봉지부재와 제2봉지부재의 접합된 부분에서 상기 제1봉지부재 및 제2봉지부재와 접합된 접합 필름;을 포함하는 평판 표시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또한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기판 상에 발광부를 형성하는 단계; 상기 발광부를 밀봉하도록 상기 기판 상에 밀봉부재를 접합하는 단계; 및 상기 기판과 밀봉부재의 접합된 부분에 접합 필름을 접합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평 판 표시장치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또한, 기판 상에 발광부를 형성한 후, 상기 발광부를 밀봉하도록 상기 기판 상에 밀봉부재를 접합해 발광 소자를 형성하는 단계; 제1봉지부재에 상기 발광 소자를 안착하는 단계; 제2봉지부재를 상기 발광 소자를 덮도록 상기 제1봉지부재 상에 배치하는 단계; 상기 제1봉지부재와 제2봉지부재의 가장자리를 서로 접합하는 단계; 및 상기 제1봉지부재와 제2봉지부재의 접합된 부분에 접합 필름을 접합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평판 표시장치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평판 표시장치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Ⅰ-Ⅰ의 단면도이다. 도 1 및 도 2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평판 표시장치는 유기 전계 발광 표시장치가 될 수 있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여 볼 때,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인 유기 전계 발광 표시장치는 발광 소자(10)와, 발광 소자(10)의 적어도 가장자리에 접합되는 접합 필름(8)을 갖는다.
상기 발광 소자(10)는 기판(1)과, 기판(1) 상에 형성된 유기 전계 발광 소자를 포함하는 발광부(2)와, 이 발광부(2)가 외기에 대해 밀봉되도록 상기 기판(1) 상에 접합된 밀봉 부재(3)를 구비한다.
발광부(2)는 유기 전계 발광 소자를 포함하는 것으로, 소정의 화상을 구현하는 영역이 된다.
이 발광부(2)에 구비되는 유기 전계 발광 소자는 다양한 형태의 것이 적용될 수 있는 데, 즉, 단순 매트릭스 타입의 수동 구동형(Passive Matrix: PM) 유기 전계 발광 소자이건, 박막 트랜지스터층을 구비한 능동 구동형(Active Matrix: AM) 유기 전계 발광 소자이건 모두 적용될 수 있다.
먼저, 도 3에는 수동 구동형(PM type) 유기 전계 발광 소자의 일 예를 도시한 것으로, 기판(1) 상에 제 1 전극층(21)이 스트라이프 패턴으로 형성되고, 이 제 1 전극층(21)의 상부로 유기층(23) 및 제 2 전극층(24)이 순차로 형성된다. 상기 제 1 전극층(21)의 각 라인 사이에는 절연층(22)이 더 개재될 수 있으며, 상기 제 2 전극층(24)은 상기 제 1 전극층(21)의 패턴과 직교하는 패턴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유기층(23)은 저분자 또는 고분자 유기층이 사용될 수 있는 데, 저분자 유기층을 사용할 경우 홀 주입층(HIL: Hole Injection Layer), 홀 수송층(HTL: Hole Transport Layer), 유기 발광층(EML: Emission Layer), 전자 수송층(ETL: Electron Transport Layer), 전자 주입층(EIL: Electron Injection Layer) 등이 단일 혹은 복합의 구조로 적층되어 형성될 수 있으며, 사용 가능한 유기 재료도 구리 프탈로시아닌(CuPc: copper phthalocyanine), N,N-디(나프탈렌-1-일)-N,N'-디페닐-벤지딘 (N,N'-Di(naphthalene-1-yl)-N,N'-diphenyl-benzidine: NPB) , 트리스-8-하이드록시퀴놀린 알루미늄(tris-8-hydroxyquinoline aluminum)(Alq3) 등을 비롯해 다양하게 적용 가능하다. 이들 저분자 유기층은 진공증착의 방법으로 형성된다.
고분자 유기층의 경우에는 대개 홀 수송층(HTL) 및 발광층(EML)으로 구비된 구조를 가질 수 있으며, 이 때, 상기 홀 수송층으로 PEDOT를 사용하고, 발광층으로 PPV(Poly-Phenylenevinylene)계 및 폴리플루오렌(Polyfluorene)계 등 고분자 유기물질을 사용하며, 이를 스크린 인쇄나 잉크젯 인쇄방법 등으로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제 1 전극층(21)은 애노우드 전극의 기능을 하고, 상기 제 2 전극층(24)은 캐소오드 전극의 기능을 한다. 물론, 이들 제 1 전극층(21)과 제 2 전극층(24)의 극성은 반대로 되어도 무방하다.
배면 발광형일 경우, 상기 제 1 전극층(21)은 투명 전극인 ITO로 구비될 수 있다. 전면 발명형일 경우, 상기 제 2 전극층(24)이 투명 전극으로 구비될 수 있다. 이 때, 상기 제 2 전극층(24)은 Mg-Ag 등의 금속에 의해 얇은 반투과성 박막을 형성한 후, 그 위로 투명한 ITO를 증착하여 형성할 수 있다.
도 4에는 능동 구동형(AM type) 유기 전계 발광 소자의 일 예를 도시하였다. 도 1 및 도 2에서 발광부(2)의 각 화소들은 도 4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은 TFT 구조와 자발광 소자인 EL소자를 갖는다.
상기 TFT는 반드시 도 4에 도시된 구조로만 가능한 것은 아니며, 그 수와 구조는 다양하게 변형 가능하다. 이러한 능동 구동형 유기 전계 발광 소자를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4에서 볼 수 있듯이, 기판(1)상에 전술한 TFT가 구비된다.
상기 TFT는 기판(1) 상에 형성된 활성층(12)과, 이 활성층(12)의 상부에 형성된 게이트 절연막(13)과, 게이트 절연막(13) 상부의 게이트 전극(14)을 갖는다.
상기 게이트 전극(14)의 상부로는 층간 절연막(inter-insulator:15)이 형성 되고, 컨택 홀을 통해 소스 전극(16)과 드레인 전극(17)이 각각 활성층(12)의 소스 영역 및 드레인 영역에 접하도록 형성된다.
소스 및 드레인 전극(16)(17) 상부로는 절연물질로 이루어진 패시베이션막(18)이 형성되고, 이 패시베이션 막(18)의 상부에는 화소정의막(19)이 형성되어 있다. 패시베이션막(18)은 단층 혹은 다층구조로 형성될 수도 있다.
비록 도면으로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상기 TFT에는 적어도 하나의 커패시터가 연결된다.
한편, 상기 드레인 전극(17)에 유기 전계 발광 소자의 애노우드 전극이 되는 제 1 전극층(21)에 연결된다. 상기 제 1 전극층(21)은 패시베이션 막(18)의 상부에 형성되어 있고, 그 상부로는 절연성 화소정의막(19)이 형성되어 있으며, 이 화소정의막(19)에 소정의 개구부를 형성한 후, 유기 전계 발광 소자를 형성한다.
상기 유기 전계 발광 소자는 전류의 흐름에 따라 적, 녹, 청색의 빛을 발광하여 소정의 화상 정보를 표시하는 것으로, TFT의 드레인 전극(17)에 연결되어 이로부터 플러스 전원을 공급받는 제 1 전극층(21)과, 전체 화소를 덮도록 구비되어 마이너스 전원을 공급하는 제 2 전극층(24), 및 이들 제 1 전극층(21)과 제 2 전극층(24)의 사이에 배치되어 발광하는 유기층(23)으로 구성된다.
상기 제 1 전극층(21)은 반사형 전극으로 사용될 수 있는 데, Ag, Mg, Al, Pt, Pd, Au, Ni, Nd, Ir, Cr, 및 이들의 화합물 등으로 반사막을 형성한 후, 그 위에 ITO, IZO, ZnO, 또는 In2O3를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제 2 전극층(24)은 투명 전극으로 구비될 수 있는데, 일함수가 작은 금 속 즉, Li, Ca, LiF/Ca, LiF/Al, Al, Mg, 및 이들의 화합물이 유기층(23)을 향하도록 증착한 후, 그 위에 ITO, IZO, ZnO, 또는 In2O3 등의 투명 전극 형성용 물질로 보조 전극층이나 버스 전극 라인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제 2 전극층(24)은 반드시 전면 증착될 필요는 없으며, 다양한 패턴으로 형성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상기 제 1 전극층(21)과 제 2 전극층(24)은 서로 위치가 반대로 적층될 수도 있음은 전술한 바와 같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은 TFT 구조 및 유기 전계 발광 소자의 구조는 반드시 위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다양한 구조의 실시예가 적용 가능하다.
한편, 상기 발광부(2)가 형성되는 기판(1)은 투명 혹은 불투명일 수 있다. 기판(1)이 투명할 경우에는 빛이 상기 발광부(2)로부터 기판(1) 및/또는 밀봉부재(3)의 방향으로 발광하게 되고, 상기 기판(1)이 불투명할 경우에는 빛이 상기 발광부(2)로부터 밀봉부재(3)의 방향으로 발광하게 된다.
상기 발광부(2)는 밀봉 부재(3)에 의해 밀봉되는 데,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밀봉 부재(3)도 투명 혹은 불투명일 수 있다. 기판(1)이 투명할 경우에는 밀봉부재(3)를 투명 및 불투명 부재를 모두 사용이 가능하고, 기판(1)이 불투명할 경우에는 밀봉부재(3)를 투명 부재로만 사용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기판(1) 및/또는 밀봉부재(3)는 플렉시블하게 구비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기판(1)과 밀봉부재(3)로는 플라스틱재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한 데, 물론 이에 한정되지 않고, 얇게 형성된 글라스재, 및 금속재도 사용될 수 있다.
그런데, 기판(1)과 밀봉부재(3)로 플라스틱재를 사용하는 경우, 수분 및 공기의 침투를 차단하는 보호층을 더 구비하도록 할 수 있다.
도 5는 보호층(32)을 갖는 밀봉부재(3)의 일 예를 도시한 것으로, 내측면에 보호층(32)이 형성된 기지 필름(31)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기지 필름(31)으로 플라스틱 필름이 사용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보호층(32)은 투명한 차단 물질이 사용될 수 있는 데,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빛이 나오는 방향을 고려하여 불투명할 수도 있다. 이 보호층(32)은 무기물층(321)을 적어도 한 층 이상 포함하고 있는 데, 무기물층(321)으로는 메탈 옥사이드(metal oxide), 메탈 나이트라이드(metal nitride), 메탈 카바이드(metal carbide), 메탈 옥시나이트라이드(metal oxynitride) 및 이들의 화합물이 사용될 수 있다. 메탈 옥사이드로는 실리카, 알루미나, 티타니아, 인듐 옥사이드(Indium Oxide), 틴 옥사이드(Tin Oxide), 인듐 틴 옥사이드(Indium Tin Oxide), 및 이들의 화합물이 사용될 수 있다. 메탈 나이트라이드로는 알루미늄 나이트라이드(aluminium nitride), 실리콘 나이트라이드(silicon nitride) 및 이들의 화합물이 사용될 수 있다. 메탈 카바이드로는 실리콘 카바이드가 사용될 수 있으며, 메탈 옥시나이트라이드로는 실리콘 옥시나이트라이드가 사용될 수 있다. 무기물층(421)으로는 이 밖에도 실리콘이 사용될 수도 있고, 실리콘 및 메탈 각각의 세라믹 유도체가 사용될 수도 있다. 뿐만 아니라, DLC(diamond-like carbon) 등 수분 및 산소의 침투를 차단할 수 있는 어떠한 무기물도 사용 가능하다.
한편, 이러한 무기물층(321)은 증착에 의해 성막될 수 있는 데, 이렇게 무기물층(321)을 증착할 경우에는 무기물층(321)에 구비되어 있는 공극이 그대로 자라나게 되는 한계가 있다. 따라서, 이러한 공극이 같은 위치에서 계속하여 성장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무기물층(321) 외에 별도로 폴리머층(322)을 더 구비토록 한다. 이 폴리머층(322)은 오가닉 폴리머(organic polymer), 인오가닉 폴리머(inorganic polymer), 오가노메탈릭 폴리머(organometallic polymer), 및 하이브리드 오가닉/인오가닉 폴리머(hybrid organic/inorganic polymer) 등이 사용될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아크릴 수지가 사용될 수 있다.
이 보호층(32)은 도 5에서 볼 수 있는 것처럼 반드시 기지 필름(31)의 내측면에 형성될 필요는 없으며, 외측에도 동일하게 형성될 수 있다.
또한, 기판(1)에도 이러한 밀봉부재(3)와 동일한 구조의 보호층이 형성될 수 있다. 물론, 기판(1)에는 다른 형태의 보호층이 구비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상기 밀봉부재(3)는 상기 기판(1) 상에 그 가장자리가 제1실런트(71)에 의해 접합된다. 이 제1실런트(71)는 열경화성 및/또는 자외선경화성 접착제가 사용될 수 있고, 프릿 글라스(frit glass)재가 사용될 수도 있다.
그리고, 비록 도면으로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상기 기판(1)과 밀봉부재(3)의 사이의 공간에는 흡습제가 더 구비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흡습제는 산소 및 수분을 흡수하는 물질로서, 산화 바륨, 및/또는 산화 칼슘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이 밖에도 다공성 산화물로 형성될 수 있다. 다공성 산화물은 다공성 실리카, 수화 비정질 알루미나 또는 이들의 화합물일 수 있으며, 이 때, 상기 수화 비정질 알루미 나의 구체적인 예로서, 뵈마이트(bohemite: AlOOH) 및 바이어라이트(bayerite: Al(OH)3) 중 적어도 하나가 될 수 있다. 이 외에도 상기 흡습제로는 산소 및 수분을 흡수하는 물질이면 어떠한 것이든 적용 가능하다.
한편, 상기 기판(1)의 일단에는 상기 발광부(2)에 전기적으로 연결된 단자들(미도시)이 노출되어 있는 데, 이 단자들에 FPC(6: Flexible Printed Circuit-board)가 접합되어 있다. 이 FPC(6)는 상기 발광부(2)에 전원을 공급하고, 각종 신호를 공급하기 위해 외부 전자 소자들과 연결되어 있다.
이렇게 발광 소자(10)를 형성한 후에는, 접합 필름(8)을 상기 기판(1)과 밀봉부재(3)의 접합된 부분에 접합한다. 이 접합 필름(8)은 기판(1)과 밀봉부재(3)가 결합되어 있는 부분에 덧대는 방식으로 접합되는 데, 이에 따라, 기판(1)과 밀봉부재(3)간의 접합 강도를 더욱 높일 수 있고, 밀봉부재(3)의 밀봉효과도 높일 수 있다.
이러한 접합 필름(8)은 기판(1) 및/또는 밀봉부재(3)가 글라스재나 금속재로 구비될 경우에는 접착제에 의해 기판(1) 및 밀봉부재(3)에 접합될 수 있다. 이 경우에는, 상기 접합 필름(8)은 연성 플라스틱재 뿐 아니라, 얇은 금속 호일도 가능하다.
상기 기판(1) 및/또는 밀봉부재(3)가 플라스틱재일 경우, 상기 접합 필름(8)을 열압착에 의해 기판(1) 및 밀봉부재(3)에 접합할 수 있다. 이 때에는, 상기 접합 필름(8)은 연성 플라스틱재를 사용할 수 있는 데, 캐스티드 폴리프로필렌(CPP: Casted Poly-propylene)과 같이, 가열 압착 시 기판(1) 및 밀봉부재(3)에 공히 접 합 가능한 재질을 사용할 수 있다. 열압착의 경우에는, 도 2에서 볼 수 있듯이, 접합 필름(8)에 히팅을 한 상태에서, 별도의 프레스(9)를 이용해 접합 필름(8)을 가압할 수 있다. 이 때, 기판(1) 및/또는 밀봉부재(3)에 열을 가하여 재질을 어느 정도 연하게 한 후, 접합 필름(8)을 가열 압착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다른 일 실시예를 도시한 단면도로, 상기 발광 소자(10)를 서로 대향되고 가장자리가 접합되는 제1,2봉지부재(4)(5) 사이에 개재시킨 것이다.
즉, 전술한 바와 같은 발광 소자(10)를 제1봉지부재(4)에 안착시킨 후, 제2봉지부재(5)로 덮어, 제1봉지부재(4)와 제2봉지부재(5)를 서로 접합시키는 것이다.
이 때, 제1봉지부재(4)에는 별도의 접착 수단(73)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발광 소자(10)의 기판(1)은 이 접착 수단(73)에 접합되어 제1봉지부재(4)에 안착될 수 있다. 이 접착 수단(73)은 열경화성 및/또는 자외선 경화성 접착제가 될 수 있으며, 양면 접착 테이프도 사용 가능하다. 그리고, 이 접착 수단(73)에는 전술한 흡습제가 포함되어 있을 수 있다. 물론, 이 접착 수단(73) 대신 흡습제나 흡습 테이프와 같은 흡습수단만을 형성하여도 무방하다. 이 접착 수단(73)은 반드시 제1봉지부재(4)의 전면에 형성될 필요는 없으며, 발광부(2)의 바깥쪽 위치에 위치할 수도 있다. 이 경우에는 발광부(2)로부터의 빛이 접착 수단(73)을 통과하지 않기 때문에, 제1봉지부재(4)를 투명한 재질로 하여, 제1봉지부재(4)의 외측에서도 화상 관찰이 가능하도록 할 수 있다.
제1봉지부재(4)와 제2봉지부재(5)는, 그 가장자리를 따라, 제2실런트(72)가 개재되어 접합된다. 이 제2실런트(72)는 열경화성 및/또는 자외선경화성 접착제가 사용될 수 있고, 프릿 글라스(frit glass)재가 사용될 수도 있다.
제2실런트(72)는 제1봉지부재(4) 및 제2봉지부재(5)에 모두 도포된 후 접합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1봉지부재(4)와 제2봉지부재(5)는 플렉시블하게 구비될 수 있는 데, 이들, 제1 및 제2봉지부재(4)(5)도 전술한 기판(1) 및 밀봉부재(3)와 같이, 보호층이 형성된 플라스틱재 기지 필름을 사용할 수 있다.
다만, 이 경우, 상기 기판(1)과 밀봉부재(3)는 플라스틱재 외에, 글라스재 및 금속재 등 다양한 재질로 사용할 수 있고, 플라스틱재의 경우에도 굳이 보호층을 반드시 형성할 필요는 없다.
이렇게 제1 및 제2봉지부재(4)(5)를 보호층을 갖는 플라스틱재 기지 필름으로 사용할 경우에는 별도의 공정에서 보호층을 형성하면 되므로, 공정이 간단해지며, 보호층 형성 공정 또한 단순해질 수 있다. 또한, 제1 및 제2봉지부재(4)(5)가 과도하게 절곡되지 않으므로, 보호층의 무기물층이 손상될 염려도 없게 되어, 수분 및 외기 차단 효과를 더욱 높일 수 있다.
상기와 같은 제1 및 제2봉지부재(4)(5)의 구조는 이 외에도 다양하게 적용 가능하다.
상기 제1봉지부재(4)와 제2봉지부재(5)는 투명 또는 반투명이 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나, 발광부(2)로부터의 빛이 기판(1)을 투과해 발광할 경우에는, 상기 제1봉지부재(4)는 투명 또는 반투명이 되도록 구비되어야 하나, 제2봉 지부재(5)는 불투명이어도 무방하다. 따라서, 이 경우에는 제2봉지부재(5)를 플렉시블한 금속재로 형성하여도 무방하다.
발광부(2)로부터의 빛이 밀봉부재(3)를 투과해 발광할 경우에는, 상기 제2봉지부재(5)만 투명 또는 반투명이 되도록 구비되어야 하나, 제1봉지부재(4)는 불투명이어도 무방하다. 따라서, 이 경우에는 제1봉지부재(4)를 전술한 바와 같이 금속 호일의 기지 필름을 갖도록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제1봉지부재(4)와 제2봉지부재(5)를 접합할 때에 그 내부가 진공상태가 되도록 하거나, 불활성 가스가 채워지도록 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제1봉지부재(4)와 제2봉지부재(5)를 접합할 때에 이를 소정의 진공 분위기가 유지되는 챔버 내에서 행해, 제1봉지부재(4)와 제2봉지부재(5)의 사이 공간이 진공분위기가 되도록 할 수 있으며, 위 챔버 내에 불활성 가스를 주입한 상태에서 공정을 진행해, 제1봉지부재(4)와 제2봉지부재(5)의 사이 공간에 불활성 가스가 채워져 있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이는 다음 방법으로 진행할 수도 있다.
먼저, 상기 제1봉지부재(4) 및 제2봉지부재(5)의 가장자리에 제2실런트(72)를 도포한 후에, 제1봉지부재(4)와 제2봉지부재(5)의 가장자리 중 적어도 일부가 개구되도록 접합한다. 그 후, 이들 제1 및 제2봉지부재(4)(5)의 사이 공간을 배기하고, 이 상태에서, 위 개구된 부분을 접합한다. 이 경우, 접합공정을 두 번 행해야 하는 단점이 있으나, 공정을 보다 수월하게 진행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불활성 가스를 채워넣는 경우도 마찬가지로, 제1봉지부재(4)와 제2봉지부재 (5)의 가장자리 중 적어도 일부가 개구되도록 한 후, 위 공간에 불활성 가스를 집어넣고, 개구된 부분을 접합하여 행할 수 있다.
한편, 도 6에서 볼 수 있듯이, 상기 발광 소자(10)를 제1 및 제2봉지부재(4)(5)로 봉지한 후에, 접합 필름(8)을 상기 제1 및 제2봉지부재(4)(5)의 접합된 부분에 접합한다. 이 접합 필름(8)은 제1 및 제2봉지부재(4)(5)가 결합되어 있는 부분에 덧대는 방식으로 접합되는 데, 이에 따라, 제1 및 제2봉지부재(4)(5)간의 접합 강도를 더욱 높일 수 있고, 밀봉효과도 높일 수 있다.
이러한 접합 필름(8)은 제1 및 제2봉지부재(4)(5) 중 어느 하나가 글라스재나 금속재로 구비될 경우에는 접착제에 의해 제1 및 제2봉지부재(4)(5)에 접합될 수 있다. 이 경우에는, 상기 접합 필름(8)은 연성 플라스틱재 뿐 아니라, 얇은 금속 호일도 가능하다.
상기 제1 및 제2봉지부재(4)(5)가 플라스틱재일 경우, 상기 접합 필름(8)을 열압착에 의해 제1 및 제2봉지부재(4)(5)에 접합할 수 있다. 이 때에는, 상기 접합 필름(8)은 전술한 바와 같이, 연성 플라스틱재를 사용할 수 있는 데, 캐스티드 폴리프로필렌(CPP: Casted Poly-propylene)과 같이, 가열 압착 시 제1 및 제2봉지부재(4)(5)에 공히 접합 가능한 재질을 사용할 수 있다. 열압착의 경우에는, 전술한 도 2와 같이, 접합 필름(8)에 히팅을 한 상태에서, 별도의 프레스(9)를 이용해 접합 필름(8)을 가압할 수 있다. 이 때, 제1 및 제2봉지부재(4)(5)에 열을 가하여 재질을 어느 정도 연하게 한 후, 접합 필름(8)을 가열 압착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밀봉부재(3)는 전술한 실시예에서와 같이, 판상 부재 로 형성된 것 뿐 아니라, 도 7에서 볼 수 있듯이, 필름상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상기 필름상의 밀봉부재(3)는 적어도 하나의 무기물층과 적어도 하나의 폴리머층으로 구비될 수 있는 데, 이는 전술한 플라스틱 필름 상에 구비되는 보호층과 동일하게 형성할 수 있다. 이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필름상의 밀봉부재(3)를 형성하는 무기물층으로서, 투명한 차단 물질이 사용될 수 있는 데,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 무기물층으로는 메탈 옥사이드(metal oxide), 메탈 나이트라이드(metal nitride), 메탈 카바이드(metal carbide), 메탈 옥시나이트라이드(metal oxynitride) 및 이들의 화합물이 사용될 수 있다. 메탈 옥사이드로는 실리카, 알루미나, 티타니아, 인듐 옥사이드(Indium Oxide), 틴 옥사이드(Tin Oxide), 인듐 틴 옥사이드(Indium Tin Oxide), 및 이들의 화합물이 사용될 수 있다. 메탈 나이트라이드로는 알루미늄 나이트라이드(aluminium nitride), 실리콘 나이트라이드(silicon nitride) 및 이들의 화합물이 사용될 수 있다. 메탈 카바이드로는 실리콘 카바이드가 사용될 수 있으며, 메탈 옥시나이트라이드로는 실리콘 옥시나이트라이드가 사용될 수 있다. 무기물층으로는 이 밖에도 실리콘이 사용될 수도 있고, 실리콘 및 메탈 각각의 세라믹 유도체가 사용될 수도 있다. 뿐만 아니라, DLC(diamond-like carbon) 등 수분 및 산소의 침투를 차단할 수 있는 어떠한 무기물도 사용 가능하다.
이러한 무기물층 외에 별도로 폴리머층을 더 구비토록 한다. 이 폴리머층은 오가닉 폴리머(organic polymer), 인오가닉 폴리머(inorganic polymer), 오가노메탈릭 폴리머(organometallic polymer), 및 하이브리드 오가닉/인오가닉 폴리머 (hybrid organic/inorganic polymer)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필름상의 밀봉부재(3)의 구조는 이 외에도 다양하게 적용 가능하다. 본 발명에 있어 상기 밀봉부재(3)는 초박형을 구현하기 위하여 박막으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전술한 무기물층 및 폴리머층의 구조 외에도 박막의 대향 필름을 형성할 수 있는 것이면 어떠한 것이라도 적용 가능하다.
이상 설명한 본 발명은 반드시 유기 전계 발광 표시장치에만 적용될 것은 아니며, 액정 표시장치, 무기 전계 발광 표시장치, 및 전자 방출 표시장치 등 다양한 평판 표시장치에 그대로 적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상기한 바와 같이 이루어진 본 발명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첫째, 초박형이고 플렉시블한 평판 표시장치의 제조 공정을 간단하게 할 수 있다.
둘째, 내투습성, 및 내투기성을 높이면서도 플렉시블화가 가능하다.
셋째, 접합 필름의 접합으로 인해 접합 강도를 더욱 높이고, 밀봉특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일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하였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실시예의 변형이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Claims (34)

  1. 기판;
    상기 기판 상에 형성된 발광부;
    상기 기판 상에 접합되어 상기 발광부를 밀봉하는 밀봉부재; 및
    상기 기판과 밀봉부재의 접합된 부분에서 상기 기판 및 밀봉부재와 접합된 접합 필름;을 포함하고,
    상기 접합 필름은 상기 기판과 밀봉부재의 접합된 부분의 적어도 일부를 덮도록 구비된 평판 표시장치.
  2. 삭제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접합 필름과 상기 기판 및 밀봉부재의 사이에 접착제가 개재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평판 표시장치.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접합 필름은 상기 기판 및 밀봉부재에 열압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평판 표시장치.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접합 필름은 플라스틱재로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평판 표시장치.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기판 및 밀봉부재 중 적어도 하나는 플라스틱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평판 표시장치.
  7. 서로 대향되고, 그 가장자리가 접합되는 제1,2봉지부재;
    기판과, 상기 기판 상에 형성된 발광부와, 상기 기판 상에 접합되어 상기 발광부를 밀봉하는 밀봉부재를 구비한 것으로, 상기 제1봉지부재와 제2봉지부재 사이에 개재되는 발광 소자; 및
    상기 제1봉지부재와 제2봉지부재의 접합된 부분에서 상기 제1봉지부재 및 제2봉지부재와 접합된 접합 필름;을 포함하는 평판 표시장치.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접합 필름은 상기 제1봉지부재와 제2봉지부재의 접합된 부분의 적어도 일부를 덮도록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평판 표시장치.
  9.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접합 필름과 상기 제1봉지부재 및 제2봉지부재의 사이에 접착제가 개재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평판 표시장치.
  10.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접합 필름은 상기 제1봉지부재 및 제2봉지부재에 열압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평판 표시장치.
  11.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접합 필름은 플라스틱재로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평판 표시장치.
  12.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제1봉지부재 및 제2봉지부재 중 적어도 하나는 무기물층을 포함하는 플라스틱필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평판 표시장치.
  13.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무기물층은 실리콘, 메탈 옥사이드(metal oxide), 메탈 나이트라이드(metal nitride), 메탈 카바이드(metal carbide), 메탈 옥시나이트라이드(metal oxynitride), 실리콘의 세라믹 유도체, 메탈의 세라믹 유도체, DLC(diamond-like carbon) 및 이들의 화합물 중 적어도 하나로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평판 표시장치.
  14.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플라스틱 필름은 폴리머층을 더 포함하고, 상기 폴리머층은 오가닉 폴리머(organic polymer), 인오가닉 폴리머(inorganic polymer), 오가노메탈릭 폴리머(organometallic polymer), 및 하이브리드 오가닉/인오가닉 폴리머(hybrid organic/inorganic polymer) 중 적어도 하나로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평판 표시장치.
  15. 제 7항 내지 제 1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봉지부재 및 제2봉지부재 중 적어도 하나는 플렉시블하도록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평판 표시장치.
  16. 제 7항 내지 제 1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봉지부재 및 제2봉지부재 중 적어도 하나와, 상기 발광소자의 사이에는 접착 수단이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평판 표시장치.
  17. 삭제
  18. 제 7항 내지 제 1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기판은 글라스재, 플라스틱재, 또는 금속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평판 표시장치.
  19. 제 7항 내지 제 1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밀봉부재는 판상으로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평판 표시장치.
  20. 제 7항 내지 제 1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밀봉부재는 필름상으로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평판 표시장치.
  21. 기판 상에 발광부를 형성하는 단계;
    상기 발광부를 밀봉하도록 상기 기판 상에 밀봉부재를 접합하는 단계; 및
    상기 기판과 밀봉부재의 접합된 부분에 접합 필름을 접합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접합 필름을 접합하는 단계는,
    상기 접합 필름을 상기 기판과 밀봉부재의 접합된 부분의 적어도 일부를 덮도록 접합하는 단계인 평판 표시장치의 제조방법.
  22. 삭제
  23. 제 21항에 있어서,
    상기 접합 필름을 접합하는 단계는,
    상기 접합 필름을 상기 기판 및 밀봉부재의 접합된 부분에 접착제로 접합하는 단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평판 표시장치의 제조방법.
  24. 제 21항에 있어서,
    상기 접합 필름을 접합하는 단계는,
    상기 접합 필름을 상기 기판 및 밀봉부재의 접합된 부분에 위치하도록 한 후, 상기 접합 필름을 상기 기판 및 밀봉부재에 열압착하는 단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평판 표시장치의 제조방법.
  25. 기판 상에 발광부를 형성한 후, 상기 발광부를 밀봉하도록 상기 기판 상에 밀봉부재를 접합해 발광 소자를 형성하는 단계;
    제1봉지부재에 상기 발광 소자를 안착하는 단계;
    제2봉지부재를 상기 발광 소자를 덮도록 상기 제1봉지부재 상에 배치하는 단계;
    상기 제1봉지부재와 제2봉지부재의 가장자리를 서로 접합하는 단계; 및
    상기 제1봉지부재와 제2봉지부재의 접합된 부분에 접합 필름을 접합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평판 표시장치의 제조방법.
  26. 제 25항에 있어서,
    상기 접합 필름을 접합하는 단계는,
    상기 접합 필름을 상기 제1봉지부재와 제2봉지부재의 접합된 부분의 적어도 일부를 덮도록 접합하는 단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평판 표시장치의 제조방법.
  27. 제 25항에 있어서,
    상기 접합 필름을 접합하는 단계는,
    상기 접합 필름을 상기 제1봉지부재와 제2봉지부재의 접합된 부분에 접착제로 접합하는 단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평판 표시장치의 제조방법.
  28. 제 25항에 있어서,
    상기 접합 필름을 접합하는 단계는,
    상기 접합 필름을 상기 제1봉지부재와 제2봉지부재의 접합된 부분에 위치하도록 한 후, 상기 접합 필름을 상기 제1 및 제2봉지부재에 열압착하는 단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평판 표시장치의 제조방법.
  29. 제 25항에 있어서,
    상기 제1봉지부재와 제2봉지부재의 가장자리를 서로 접합하는 단계는,
    상기 제1봉지부재 및 제2봉지부재의 가장자리에 접착제를 도포하는 단계;
    상기 제1봉지부재와 제2봉지부재의 가장자리 중 적어도 일부가 개구되도록 서로 접합하는 단계;
    상기 제1봉지부재와 제2봉지부재의 사이 공간을 배기하는 단계; 및
    상기 제1봉지부재와 제2봉지부재의 가장자리 중 개구된 부분을 서로 접합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평판 표시장치의 제조방법.
  30. 제 25항에 있어서,
    상기 제1봉지부재와 제2봉지부재의 가장자리를 서로 접합하는 단계는,
    상기 제1봉지부재 및 제2봉지부재의 가장자리에 접착제를 도포하는 단계;
    상기 제1봉지부재와 제2봉지부재의 가장자리 중 적어도 일부가 개구되도록 서로 접합하는 단계;
    상기 제1봉지부재와 제2봉지부재의 사이 공간에 불활성 가스를 주입하는 단계; 및
    상기 제1봉지부재와 제2봉지부재의 가장자리 중 개구된 부분을 서로 접합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평판 표시장치의 제조방법.
  31. 제 25항에 있어서,
    상기 제1봉지부재와 제2봉지부재의 가장자리를 서로 접합하는 단계는,
    상기 제1봉지부재 및 제2봉지부재의 가장자리에 접착제를 도포하는 단계;
    상기 제1봉지부재와 제2봉지부재의 사이 공간이 진공분위기가 되도록 하는 단계; 및
    상기 접착제가 도포된 제1봉지부재와 제2봉지부재의 가장자리를 서로 접합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평판 표시장치의 제조방법.
  32. 제 25항에 있어서,
    상기 제1봉지부재와 제2봉지부재의 가장자리를 서로 접합하는 단계는,
    상기 제1봉지부재 및 제2봉지부재의 가장자리에 접착제를 도포하는 단계;
    상기 제1봉지부재와 제2봉지부재의 사이 공간이 불활성 가스 분위기가 되도록 하는 단계; 및
    상기 접착제가 도포된 제1봉지부재와 제2봉지부재의 가장자리를 서로 접합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평판 표시장치의 제조방법.
  33. 제 25항에 있어서,
    상기 제1봉지부재에 상기 발광 소자를 안착하는 단계 이전에,
    상기 제1봉지부재의 상기 발광 소자가 안착될 면에 접착수단을 형성하는 단계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평판 표시장치의 제조방법.
  34. 제 25항에 있어서,
    상기 제1봉지부재에 상기 발광 소자를 안착하는 단계 이전에,
    상기 제1봉지부재의 상기 발광 소자가 안착될 면에 흡습수단을 형성하는 단계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평판 표시장치의 제조방법.
KR1020040098660A 2004-11-29 2004-11-29 평판 표시장치 및 그 제조방법 KR10064766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98660A KR100647664B1 (ko) 2004-11-29 2004-11-29 평판 표시장치 및 그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98660A KR100647664B1 (ko) 2004-11-29 2004-11-29 평판 표시장치 및 그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59538A KR20060059538A (ko) 2006-06-02
KR100647664B1 true KR100647664B1 (ko) 2006-11-23

Family

ID=3715672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98660A KR100647664B1 (ko) 2004-11-29 2004-11-29 평판 표시장치 및 그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47664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22359B1 (ko) * 2008-02-14 2009-10-19 삼성모바일디스플레이주식회사 유기발광 표시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59538A (ko) 2006-06-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227134B2 (ja) 平板表示装置の製造方法、平板表示装置、及び平板表示装置のパネル
US7777415B2 (en) Sealed, flexible flat panel display
KR100603345B1 (ko) 평판 표시장치의 제조방법, 평판 표시장치, 및 평판표시장치의 패널
KR101089487B1 (ko) 자체 발광 패널의 제조 방법
KR101097326B1 (ko) 평판 디스플레이 장치 및 유기 발광 디스플레이 장치
US20070114909A1 (en) Method of manufacturing flat panel display device, flat panel display device, and panel of flat panel display device
US9147858B2 (en) Flat panel display apparatus and organic light-emitting display apparatus
JP4886804B2 (ja) フリットシーリングシステム及びそれを利用した有機発光ディスプレイ装置の製造方法
US7355344B2 (en) Flat panel display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KR101124557B1 (ko) 플렉시블 디스플레이 기판을 활용한 유기전계 발광장치
KR20080090945A (ko) 평판 디스플레이 장치 및 유기 발광 디스플레이 장치
KR100647664B1 (ko) 평판 표시장치 및 그 제조방법
KR100637181B1 (ko) 평판 표시장치 및 그 제조방법
KR100670256B1 (ko) 평판 표시장치 및 그 제조방법
KR100637182B1 (ko) 평판 표시장치 및 그 제조방법
JP2007250251A (ja) 光デバイス、および光デバイスの製造方法
KR100637183B1 (ko) 평판 표시장치 및 그 제조방법
KR100683715B1 (ko) 평판 표시장치 및 그 제조방법
KR100592280B1 (ko) 평판 표시장치의 제조방법, 및 평판 표시장치
KR100603351B1 (ko) 유기 전계 발광 표시장치
KR101493411B1 (ko) 유기 발광 디스플레이 장치
KR100637195B1 (ko) 전계 발광 디스플레이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102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031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030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030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101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101

Year of fee payment: 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