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47627B1 - 유기전계 발광소자의 기판, 이를 이용한 유기전계발광소자 및 그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유기전계 발광소자의 기판, 이를 이용한 유기전계발광소자 및 그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47627B1
KR100647627B1 KR1020040088178A KR20040088178A KR100647627B1 KR 100647627 B1 KR100647627 B1 KR 100647627B1 KR 1020040088178 A KR1020040088178 A KR 1020040088178A KR 20040088178 A KR20040088178 A KR 20040088178A KR 100647627 B1 KR100647627 B1 KR 10064762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ght emitting
organic light
conductive film
sealant
substr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8817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60039121A (ko
Inventor
김선희
Original Assignee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4008817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47627B1/ko
Publication of KR2006003912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3912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4762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4762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0/00Organic light-emitting devices
    • H10K50/80Constructional details
    • H10K50/84Passivation; Containers; Encapsulations
    • H10K50/841Self-supporting sealing arrangement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0/00Organic light-emitting devices
    • H10K50/80Constructional details
    • H10K50/84Passivation; Containers; Encapsulations
    • H10K50/842Containers
    • H10K50/8428Vertical spacers, e.g. arranged between the sealing arrangement and the OLED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0/00Organic light-emitting devices
    • H10K50/80Constructional details
    • H10K50/84Passivation; Containers; Encapsulations
    • H10K50/846Passivation; Containers; Encapsulations comprising getter material or desiccant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0/00Organic light-emitting devices
    • H10K50/80Constructional details
    • H10K50/87Arrangements for heating or cooling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77/00Constructional details of devices covered by this subclass and not covered by groups H10K10/80, H10K30/80, H10K50/80 or H10K59/80
    • H10K77/10Substrates, e.g. flexible substrat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10/00Energy generation through renewable energy sources
    • Y02E10/50Photovoltaic [PV] energy
    • Y02E10/549Organic PV cell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Electroluminescent Light Sour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봉지부재상에 도전성 박막을 형성하여 흡습제 및 실링제 경화를 용이하게 하는 유기전계 발광소자용 기판 및 이를 이용한 유기전계 발광소자와 그의 제조방법을 개시한다.
본 발명의 유기전계 발광소자용 기판은 단일의 원판과; 상기 원판상에 배열되고, 각각 제1전극, 제2전극과 상기 제1전극 및 제2전극사이에 개재된 유기막층을 구비하는 다수의 유기발광부와; 밀봉제에 의해 상기 유기발광부를 각각 봉지하는 다수의 봉지수단과; 각 봉지수단의 상기 유기발광부에 대응하는 부분에 구비된 흡습제와; 상기 봉지수단의 내측 면중 상기 밀봉제에 대응하는 부분 및 상기 흡습제에 대응하는 부분중 적어도 하나에 형성된 도전막을 포함한다.
상기 도전막은 상기 봉지수단의 내측 면중 상기 밀봉제에 대응하는 부분에 형성되어, 상기 밀봉제를 경화시켜 주거나, 또는 상기 도전막은 봉지수단의 내측 면중 상기 흡습제에 대응하는 부분에 형성되어, 상기 흡습제를 경화시켜 주기 위한 것이다.

Description

유기전계 발광소자의 기판, 이를 이용한 유기전계 발광소자 및 그의 제조방법{Substrate for EL device and EL device and fabrication method thereof using the same}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유기전계 발광소자용 기판의 개략적인 사시도,
도 2a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유기전계 발광소자용 기판의 평면도,
도 2b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유기전계 발광소자의 단면도,
도 3a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유기전계 발광소자용 기판의 평면도,
도 3b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유기전계 발광소자의 단면도,
도 4a는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유기전계 발광소자용 기판의 평면도,
도 4b는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유기전계 발광소자의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유기전계 발광소자에 있어서, 전극과 도전막의 배열관계를 보여주는 평면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0 : 유기전계 발광소자용 기판 110 : 원판
120 : 애노드전극 125 : 애노드 전극단자부
130 : 유기막층 140 : 캐소드전극
14 : 캐소드 전극단자부 150 ; 봉지수단
160 : 흡습제 170, 171, 175 : 도전막
181, 185: 절단선 190 : 밀봉제
본 발명은 유기전계 발광소자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봉지부재의 내측 면에 경화용 도전막이 형성된 유기전계 발광소자용 기판과, 이를 이용한 유기전계 발광소자 및 그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유기전계 발광소자는 기판상에 서로 일정간격을 두고 일방향으로 배열되는 애노드전극과, 상기 애노드전극과 교차하도록 서로 일정간격을 두고 배열되는 캐소드전극 및 애노드전극과 캐소드전극사이에 개재된 유기발광층을 구비하며, 애노드전극과 캐소드전극에 제공되는 전압에 따라 두 전극사이의 유기발광층으로 광이 발광되는 자발광소자이다.
자발광소자인 유기전계 발광소자는 해상도와 내충격성이 우수하고 풀칼라를 구현할 수 있는 등의 장점을 가지고 있어서 표시소자로서 널리 이용되고 있다. 그러나, 유기전계 발광소자는 일정기간동안 구동하면 발광휘도 및 발광균일도 등과 같은 발광특성이 초기의 발광특성에 비하여 현저히 저하될 뿐만 아니라 수명이 짧은 단점을 가지고 있다.
유기전계 발광소자의 특성과 수명 저하의 원인중 하나는 유기막층에 흡착되 어 있는 수분 또는 결함부위나 가장자리를 통하여 소자내부로 침투하는 수분에 의해 유기막층과 전극간에 박리현상이 발생되고, 이로 인하여 발광되지 않는 부분이 발생되는 암점 불량이 발생되기 때문이다.
종래에는 수분이나 산소 등에 의한 소자의 특성저하 및 수명저하를 방지하기 위하여, 유기전계 발광소자가 형성된 기판 즉 어레이 기판을 밀봉제를 이용하여 봉지부재로 봉지시켜 주었다. 그러나, 기판이 봉지부재로 밀봉제에 의해 봉지된 유기전계 발광소자의 경우에도 외부로부터 침투하는 수분 및 산소 또는 유기막층에 흡착되어 있는 수분에 의해 소자의 특성이 저하되거나 또는 수명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한편, 소자의 특성 향상 및 수명을 연장시켜 주기 위하여 종래에는 유기전계 발광소자가 형성된 기판상에 전면적으로 보호막을 형성하거나 흡습제를 구비한 봉지기판으로 유기전계 발광소자가 형성된 기판을 밀봉제를 이용하여 봉지시켜 줌으로써, 산소 또는 수분에 의한 암점과 같은 불량을 방지하고자 하였다.
국내 공개특허 제2002-0034377호에는 애노드전극, 캐소드전극 및 두 전극사이에 유기발광층이 형성된 기판이 봉지기판과 접착제를 통해 접착되어 봉지되고, 상기 봉지기판의 내측면에 수분과 산소를 차단하기 위하여 흡습제를 함유한 봉지필름을 구비하는 유기전계 발광표시패널을 개시하였다. 상기 흡습제로는 CaO, BaO 등과 같은 금속산화물이나 실리카겔 등이 사용된다.
또한, 국내특허 제2002-0004470호에는 애노드전극, 캐소드전극 및 두 전극사이에 유기발광층이 형성된 기판상에 보호막을 전체적으로 형성하고 상기 유기발광 층을 봉지시켜 주기 위한 봉지기판에 흡습제를 구비하는 유기전계 발광소자가 개시되었다. 상기 흡습제로는 CaO, BaO, P2O5 등과 같은 금속산화물이 사용된다. 상기 보호막으로는 Al, Cu 등과 같은 금속물질이나 폴리에티렌 테레프탈레이트(PET, polyethylene terephthalate), 폴리부틸렌 테레프탈레이트(PBT, polybutylene terephthalate) 등이 사용된다.
상기 봉지기판과 어레이 기판을 밀봉제로 봉지시켜 주는 방법은 봉지기판과 어레이 기판을 밀봉제로 접착시켜 준 다음 열 또는 자외선을 조사하여 경화시켜 주었다. 한편, 봉지기판에 부착되는 흡습제로 경화성 흡습제를 사용하는 자외선, 또는 열을 이용하여 경화성 흡습제를 경화시켜 주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봉지부재의 내측 면에 도전막을 형성하여 흡습제 및 밀봉제 경화가 용이하도록 한 유기전계 발광소자용 기판과 이를 이용한 유기전계 발광소자 및 그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온도보상판을 구비하여 저온에서의 휘도저하 및 구동특성을 향상시켜 줄 수 있는 유기전계 발광소자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단일의 원판과; 상기 원판상에 배열되고, 각각 제1전극, 제2전극과 상기 제1전극 및 제2전극사이에 개재된 유기막층을 구비하는 다수의 유기발광부와; 밀봉제에 의해 상기 유기발광부를 각각 봉지하는 다수의 봉지수단과; 각 봉지수단의 상기 유기발광부에 대응하는 부분에 구비된 흡습제와; 상기 봉지수단의 내측 면중 상기 밀봉제에 대응하는 부분 및 상기 흡습제에 대응하는 부분중 적어도 하나에 형성된 도전막을 포함하는 유기전계 발광소자용 기판을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도전막은 상기 봉지수단의 내측 면중 상기 밀봉제에 대응하는 부분에 형성되어, 상기 밀봉제를 경화시켜 주거나, 또는 상기 도전막은 봉지수단의 내측 면중 상기 흡습제에 대응하는 부분에 형성되어, 상기 흡습제를 경화시켜 주기 위한 것이다.
상기 도전막은 상기 봉지수단의 내측 면중 상기 밀봉제에 대응하는 부분에 형성되고, 상기 밀봉제의 경화를 위한 제2도전패턴과, 상기 봉지수단의 내측 면중 상기 흡습제에 대응하는 부분에 형성되고, 상기 흡습제의 경화를 위한 제1도전패턴을 구비한다.
상기 밀봉제는 열경화성 밀봉제를 포함하고, 상기 흡습제는 열경화성 흡습제를 포함한다. 상기 도전막은 불투명 도전막 또는 투명도전막을 포함한다. 상기 원판은 투명한 유리기판 또는 플라스틱기판을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은 다수의 유기발광부를 구비하고, 각 유기발광부는 서로 교차하도록 배열되는 다수의 제1전극 및 제2전극과, 상기 제1전극과 제2전극사이에 개재된 유기막층을 구비하는 단일의 원판을 제공하는 단계와; 흡습제를 구비하고, 상기 흡습제에 대응하는 부분과 상기 유기발광부의 주변부에 대응하는 부분의 내측 면중 적어도 하나에 형성된 도전막패턴을 구비하는 다수의 봉지수단을 제공하는 단계와; 상기 원판의 상기 유기발광부의 주변부에 밀봉제를 도포하는 단계와; 상기 다수의 봉지수단을 상기 다수의 유기 발광부에 대응시켜 밀봉제로 원판에 부착시키는 단계와; 상기 흡습제와 상기 밀봉제중 적어도 하나를 경화시키는 단계를 구비하는 유기전계 발광소자용 기판을 제조하는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흡습제와 밀봉제를 경화시키는 방법은 상기 봉지수단의 내측면중 상기 흡습제에 대응하는 부분에 형성된 제1도전막패턴과 상기 유기발광부의 주변부에 대응하는 부분에 형성된 제2도전막패턴중 적어도 하나에 소정의 전압을 인가하여 경화시켜 준다. 상기 흡습제 경화와 밀봉제 경화는 상기 제1도전막패턴과 제2도전막패턴에 각각 서로 다른 전압 및 서로 동일한 전압중 하나를 개별적으로 인가하여 개별적으로 경화를 수행하거나 또는 상기 제1도전막패턴과 제2도전막패턴에 서로 동일한 전압 및 서로 다른 전압중 하나를 동시에 인가하여 동시에 경화를 수행한다.
또한, 본 발명은 기판과; 상기 기판상에 배열된 다수의 제1전극과, 상기 제1전극과 교차하도록 배열된 다수의 제2전극과, 상기 제1전극과 제2전극사이에 개재된 유기막층을 구비하는 유기발광부와; 밀봉제에 의해 상기 유기발광부를 봉지하는 봉지수단과; 상기 유기발광부에 대응하는 봉지수단에 구비된 흡습제와; 상기 봉지수단의 내측면중 상기 밀봉제에 대응하는 부분 또는 상기 흡습제에 대응하는 부분중 적어도 하나에 형성된 도전막을 포함하는 유기전계 발광소자를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도전막은 상기 봉지수단의 내측 면중 상기 밀봉제에 대응하는 부분에 형성되어, 상기 밀봉제를 경화시켜 주기 위한 도전막으로 작용하고, 또한 상기 도전막은 상기 봉지수단의 내측 면중 상기 밀봉제에 대응하는 부분에 형성되며, 온도보상회로에 연결되어 온도보상판으로 작용한다.
상기 도전막은 봉지수단의 내측 면중 상기 흡습제에 대응하는 부분에 형성되어, 상기 흡습제를 경화시켜 주기 위한 도전막으로 작용하고, 또한 상기 도전막은 상기 봉지수단의 내측 면중 상기 흡습제에 대응하는 부분에 형성되며, 온도보상회로에 연결되어 온도보상판으로 작용한다.
상기 도전막은 상기 봉지수단의 내측 면중 상기 밀봉제에 대응하는 부분에 형성되고, 상기 밀봉제의 경화를 위한 제2도전패턴과, 상기 봉지수단의 내측 면중 상기 흡습제에 대응하는 부분에 형성되고, 상기 흡습제의 경화를 위한 제1도전패턴을 구비하며, 상기 도전막은 온도보상회로에 연결되어 온도보상판으로도 작용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유기전계 발광소자용 기판의 부분 사시도를 도시한 것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유기전계 발광소자용 기판(100)은 단일의 큰 원판(mother board) (110)이 제공된다. 상기 원판(110)은 유리기판 또는 플라스틱기판 등을 포함한다. 상기 원판(110)은 다수의 유기발광부(도 5의 115)를 구비하고, 상기 유기발광부는 봉지수단(150)에 의해 봉지되어진다. 상기 봉지수단(150)은 유리기판, 플라스틱 기판 또는 메탈캡 등을 포함한다.
상기 원판(110)의 유기발광부에는 유기전계 발광소자(101)가 각각 배열된다. 상기 유기전계 발광소자(101)는 도 5에 도시된 바와같이 상기 원판(110)의 유기발광부(115)에 일방향으로 서로 일정간격을 두고 배열되는 애노드전극인 다수의 제1전극(120)과, 상기 제1전극(120)과 교차하도록 유기발광부(115)에 서로 일정간격을 두고 배열되는 캐소드전극인 다수의 제2전극(140)을 구비한다.
상기 제1전극(120)과 제2전극(140)사이에는 도 2b에 도시된 바와같이 유기발광층을 포함하는 유기막층(130)이 개재된다. 상기 유기막층(130)은 정공주입층, 정공수송층, 유기발광층, 전자주입층 및 전자수송층, 정공억제층으로부터 선택되는 유기막을 포함한다.
봉지수단(150)의 일측 가장자리에는 상기 제1전극(120)에 연결되어 제1전극(120)에 소정의 전압, 예를 들어 양의 전압을 제공하기 위한 다수의 제1전극단자부(125)가 인출되고, 봉지수단(150)의 타측 가장자리에는 상기 제2전극(140)에 연결되어 제2전극(140)에 소정의 전압, 예를 들어 음의 전압을 제공하기 위한 다수의 제2전극단자부(145)가 인출된다.
이때, 상기 제1전극단자부(125)와 제2전극단자부(145)는 후속의 테스트공정에서의 테스트를 위하여 통전되도록 연결구성된다. 통전된 제1전극단자부(125)와 제2전극단자부(145)는 후속의 절단공정에서 절단선(scribe line) (181), (185)을 따라 원판을 절단하여 유기전계 발광소자(101)가 개 별소자로 만들어질 때, 개별적으로 분리되어진다.
도 2a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유기전계 발광소자용 기판(100)의 평면 구조를 도시한 것이다. 도 2a에는 유기전계 발광소자용 기판(100)에 있어서, 흡습제 및 밀봉제와 도전막에 한정하여 부분적으로 도시하였다. 도 2b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유기전계 발광소자용 기판(100)에 배열된 다수의 유기전계 발광소자(101)중 하나의 유기전계 발광소자에 대한 단면구조를 도시한 것이다. 도 2b는 캐소드전극의 길이방향에서의 단면구조를 도시한 것이다.
도 2a 및 도 2b를 참조하면, 원판(110)의 유기발광부(115)상에 유기전계 발광소자(101)가 각각 배열된다. 유기전계 발광소자(101)는 다수의 애노드전극(120) 및 상기 애노드전극(120)과 교차하도록 다수의 캐소드전극(140) 그리고 상기 애노드전극(120)과 캐소드전극(140)사이에 개재된 유기발광층을 구비하는 유기막층(130)을 구비한다. 상기 애노드전극(120)은 애노드전극 단자부인 제1전극단자부(도 1의 125)에 연결되고, 상기 캐소드전극(140)은 캐소드전극 단자부인 제2전극단자부(145)에 연결된다.
상기 유기발광부(115)의 주변부(151)에는 밀봉제(190)가 구비되고, 상기 밀봉제(190)에 의해 봉지수단(150)으로 상기 유기발광부(115)를 봉지시켜 준다. 이때, 상기 봉지수단(150)의 내측 면에는 흡습제(160)가 구비된다.
또한, 유기전계 발광소자(101)는 상기 봉지수단(150)의 내측 면중 상기 흡습제(160)에 대응하는 부분에 상기 흡습제(160)를 경화시켜 주기위한 도전막(171)을 더 구비한다. 즉, 상기 도전막(171)은 상기 흡습제(160) 하부의 상기 봉지수단(150)의 내측 면상에 형성된다. 상기 도전막(171)은 흡습제(160)의 경화가 용이하도록 상기 흡습제(160)의 크기와 같거나 또는 큰 것이 바람직하고, 금속 또는 비금 속의 도전막을 포함한다.
상기 흡습제(160)로는 열경화성 흡습제가 사용되며, 열경화성 흡습제는 폴리실록산(polysiloxane), 폴리에테르(polyether)의 공중합체, 폴리올레핀(polyolefin) 또는 폴리에테르로부터 유도된 에폭시(epoxy), 폴리올레핀 또는 폴리에테르로부터 유도된 폴리우레탄(plyurethane), 폴리올레핀 또는 폴리에테르로부터 유도된 아크릴레이트(acrylate), 폴리올레핀 또는 폴리에테르로부터 메타크릴레이트(methacrylate), 폴리아미드(polyamid) 또는 이들의 혼합물이나 중합체 등이 있다. 또한, 상기 흡습제(160)로서 졸-겔(sol-gel) 공정을 이용한 나노스케일 하이브리드 폴리머가 사용된다.
상기 밀봉제(190)로는 열경화성 밀봉제를 포함한다. 열경화성 밀봉제로는 페놀(phenol)계, 에폭시계, 폴리우레탄계, 폴리에스테르계 접착제 등이 있다. 이외에 밀봉제(190)로서 열가소성 접착제, 자외선 경화성 접착제, 압력경화성 접착제 등 평판표시장치의 밀봉제로 사용되는 다양한 접착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도전막(171)은 금속 또는 비금속 등과 같은 다양한 도전막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도전막(171)은 유기전계 발광소자(101)가 상기 유기막층(130)의 발광층으로부터 발광되는 광이 기판(110) 방향으로 방출되는 배면발광구조의 경우에는 불투명금속 또는 투명도전막을 포함한다. 유기전계 발광소자(101)가 상기 유기막층(130)의 발광층으로부터 발광되는 광이 기판(110)과 반대방향 즉, 봉지수단(150) 쪽으로 방출되는 전면발광구조의 경우에는 상기 도전막(171)은 투명도전막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유기전계 발광소자(101)가 상기 기판(110)과 봉지수 단(160)으로 각각 방출되는 양면발광구조에서는 상기 도전막(171)은 투명도전막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3a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유기전계 발광소자용 기판(100)의 평면구조를 도시한 것이다. 도 3a에는 유기전계 발광소자용 기판(100)에 있어서, 흡습제 및 밀봉제와 도전막에 한정하여 부분적으로 도시하였다. 도 3b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유기전계 발광소자용 기판(100)에 배열된 다수의 유기전계 발광소자(101)중 하나의 유기전계 발광소자에 대한 단면구조를 도시한 것이다. 도 3b는 캐소드전극의 길이방향에서의 단면구조를 도시한 것이다.
도 3a 및 도 3b를 참조하면, 원판(100)의 유기발광부(115)상에 다수의 유기전계 발광소자(101)가 배열된다. 유기전계 발광소자(101)는 유기발광부(115)에 서로 교차하도록 배열된 다수의 애노드전극(120) 및 다수의 캐소드전극(140)과 이들 사이에 배열된 유기발광층을 구비하는 유기막층(130)이 형성된다. 상기 애노드전극(120)과 캐소드전극(140)은 각각 애노드전극 단자부인 제1전극단자부(도 1의 125)와 캐소드전극 단자부인 제2전극단자부(145)에 연결된다.
상기 유기발광부(115)는 내측 면에 흡습제(160)를 구비하는 봉지수단(150)으로 봉지된다. 원판(110)중 상기 유기발광부(115)의 주변부(151)에는 밀봉제(190)가 구비되고, 상기 밀봉제(190)에 의해 봉지수단(150)으로 상기 유기발광부(115)을 봉지시켜 준다.
또한, 상기 봉지수단(150)의 내측 면중 상기 밀봉제(190)에 대응하는 부분에는 상기 밀봉제(190)를 경화시켜 주기위한 도전막(175)을 구비한다. 즉, 상기 도전 막(175)은 상기 밀봉제(190)와 봉지수단(150)의 내측 면사이에 개재되어, 상기 유기발광부(115)를 둘러싸도록 형성된다.
그러므로, 상기 도전막(175)은 밀봉제(190)의 경화를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상기 밀봉제(190)의 폭과 동일한 폭을 같거나 또는 큰 폭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도전막(175)은 불투명 도전막 또는 투명 도전막을 포함하며, 금속 또는 비금속 등 다양한 도전막을 포함한다.
상기 흡습제(160)로는 열경화성 흡습제 또는 자외선 경화성 흡습제 등 평판표시장치의 흡습제로 사용되는 다양한 흡습제를 포함한다. 상기 밀봉제(190)로는 열경화성 밀봉제가 사용되며, 열경화성 밀봉제로는 열경화성 접착제 페널(phenol)계, 에폭시계, 폴리우레탄계, 폴리에스테르계 접착제가 있다.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유기전계 발광소자용 기판에서는, 상기 경화용 도전막(175)과 제2전극단자부(145)가 인접하여 배열되므로, 공정오차에 의한 도전막(175)과 제2전극단자부(145)간의 쇼트를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도전막(175)에 인접한 제2전극단자부(145)상에 절연막을 형성할 수도 있다.
도 4a는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유기전계 발광소자용 기판(100)의 평면구조를 도시한 것이다. 도 4a에는 유기전계 발광소자용 기판(100)에 있어서, 흡습제 및 밀봉제와 도전막에 한정하여 부분적으로 도시하였다. 도 4b는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유기전계 발광소자용 기판(100)에 배열된 다수의 유기전계 발광소자(101)중 하나의 유기전계 발광소자에 대한 단면구조를 도시한 것이다. 도 4b는 캐소드전극의 길이방향에서의 단면구조를 도시한 것이다.
도 4a 및 도 4b를 참조하면, 원판(100)의 유기발광부(115)상에 다수의 유기전계 발광소자(101)가 배열된다. 유기전계 발광소자(101)는 다수의 애노드전극(120) 및 다수의 캐소드전극(140)이 서로 교차하도록 배열되며, 상기 애노드전극(120)과 캐소드전극(140)사이에는 유기발광층을 구비하는 유기막층(130)이 형성된다. 상기 애노드전극(120)은 애노드전극 단자부인 제1전극단자부(도 1의 125)에 연결되고, 상기 캐소드전극(140)은 캐소드전극 단자부인 제2전극단자부(145)에 연결된다.
상기 유기발광부(115)의 주변부에는 밀봉제(sealant, 190)가 구비되고, 상기 밀봉제(190)에 의해 봉지수단(150)으로 상기 유기발광부(115)을 봉지시켜 준다. 이때, 상기 봉지수단(150)의 내측 면에는 흡습제(160)가 구비된다.
또한, 유기전계 발광소자(101)는 봉지수단(150)의 내측면에 도전막(170)을 더 구비한다. 상기 도전막(170)은 상기 봉지수단(150)의 내측 면중 상기 흡습제(160)에 대응하는 부분에 형성되어 상기 흡습제(160)를 경화시켜 주기위한 제1도전패턴(171)과, 상기 봉지수단(150)의 내측 면중 상기 밀봉제(190)에 대응하는 부분에 형성되어 상기 밀봉제(190)를 경화시켜 주기위한 제2도전패턴(175)을 구비한다.
즉, 상기 도전막(170)중 제1도전패턴(171)은 상기 흡습제(160) 하부의 상기 봉지수단(150)의 내측 면상에 형성된다. 그러므로, 상기 도전막(171)은 흡습제(160)의 경화가 용이하도록 상기 흡습제(160)의 크기와 같거나 또는 큰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도전막(175)은 상기 밀봉제(190)와 봉지수단(150)의 내측 면사이 에 개재되어, 상기 유기발광부(135)를 둘러싸도록 형성된다. 그러므로, 상기 도전막(175)은 밀봉제(190)의 경화를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상기 밀봉제(190)의 폭과 동일한 폭을 같거나 또는 큰 폭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흡습제(160)로는 열경화성 흡습제가 사용되며, 열경화성 흡습제는 폴리실록산(polysiloxane), 폴리에테르(polyether)의 공중합체, 폴리올레핀(polyolefin) 또는 폴리에테르로부터 유도된 에폭시(epoxy), 폴리올레핀 또는 폴리에테르로부터 유도된 폴리우레탄(plyurethane), 폴리올레핀 또는 폴리에테르로부터 유도된 아크릴레이트(acrylate), 폴리올레핀 또는 폴리에테르로부터 메타크릴레이트(methacrylate), 폴리아미드(polyamid) 또는 이들의 혼합물이나 중합체 등이 있다. 또한, 상기 흡습제(160)로서 졸-겔(sol-gel) 공정을 이용한 나노스케일 하이브리드 폴리머가 사용된다.
상기 밀봉제(190)로는 열경화성 밀봉제가 사용되며, 열경화성 밀봉제로는 페놀(phenol)계, 에폭시계, 폴리우레탄계, 폴리에스테르계 접착제를 포함한다.
상기 도전막(170)중 제1도전패턴(171)은 유기전계 발광소자(101)가 상기 유기막층(140)의 발광층으로부터 발광되는 광이 기판(110) 방향으로 방출되는 배면발광구조의 경우에는 불투명금속 또는 투명도전막을 포함한다. 유기전계 발광소자(101)가 상기 유기막층(140)의 발광층으로부터 발광되는 광이 기판(110)과 반대방향 즉, 봉지수단(150) 쪽으로 방출되는 전면발광구조의 경우에는 상기 도전막(170)은 투명도전막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유기전계 발광소자(101)가 상기 기판(110)과 봉지수단(150)으로 방출되는 양면발광구조에서는 상기 도전막(130)은 투명도전막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도전막(170)중 제2도전패턴(175)은 불투명 도전막 또는 투명 도전막을 포함한다. 상기 도전막(170)의 도전패턴(171), (175)은 금속 또는 비금속 등 다양한 도전막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도전막(170)의 제1도전패턴(171)과 제2도전패턴(175)은 서로 동일한 물질로 구성되거나 또는 서로 다른 물질로 구성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유기전계 발광소자용 기판에서는, 상기 밀봉제 경화용 제2도전패턴(175)과 제2전극단자부(145)가 인접하여 배열되므로, 공정오차에 의한 제2도전패턴(175)과 제2전극단자부(145)간의 쇼트를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도전막(175)에 인접한 제2전극단자부(145)상에 절연막을 형성할 수도 있다.
상기한 바와같은 구성을 갖는 본 발명의 유기전계 발광소자를 제작하는 방법을 도 2a 및 도 2b, 도 3a 및 도 3b 그리고 도 4a 및 도 4c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다수의 유기전계 발광소자를 제조하게 될 큰 원판(110)을 준비한다. 상기 원판(110)으로 유리기판 또는 플라스틱기판으로 된 기판을 사용한다. 상기 원판(110)은 다수의 유기발광부(115)를 구비하며, 상기 유기발광부(115)에는 다수의 유기전계 발광소자(101)가 각각 배열된다.
유기전계 발광소자(101)는 원판(110)상에 ITO막과 같은 투명도전막을 증착한 다음 사진식각법을 통해 패터닝하여 투명전극으로 된 애노드전극인 제1전극(120)을 형성하고, 제1전극(120)상에 진공증착법 등을 이용하여 유기막층(130)을 형성한 다 음 상기 제1전극(120)과 교차하도록 캐소드전극인 제2전극(140)을 진공증착법 또는 사진식각법을 통해 형성한다. 이때, 상기 제1전극(120)에 연결되는 제1전극단자부(125)와 제2전극(140)에 연결되는 제2전극단자부(145)는 제1전극(120)을 형성하는 공정중에 형성가능하다.
이어서, 내측 면에 흡습제(160)와 도전막(170)을 구비하는 봉지수단(150)을 준비한다. 상기 도전막(170)은 봉지수단(150)의 내측 면중 흡습제에 대응하는 부분에 형성된 제1도전패턴(171)과 유기발광부(115)의 주변부(151)에 대응하는 부분에 형성된 제2도전패턴(175)중 적어도 하나를 구비한다. 상기 흡습제(160)는 열경화성 흡습제를 포함한다.
상기 유기발광부(115)의 주변부(151)에 열 경화성 밀봉제(190)를 도포한 다음 상기 밀봉제(190)에 의해 상기 유기발광부(115)를 봉지수단(150)으로 부착시킨다. 따라서, 상기 봉지수단(150)은 유기발광부(115)의 주변부(151)의 밀봉제(190)에 의해 원판(110)과 접착되어 유기발광부(115)를 보호하게 된다. 이때, 상기 봉지수단(150)중 유기발광부(115)의 주변부(151)의 밀봉제(190)에 대응하는 내측 면에 제2도전패턴(175)이 형성되어 있다.
이어서, 상기 흡습제(160)와 밀봉제(190)를 경화시켜 준다. 따라서, 상기 흡습제(160)가 경화되고 밀봉제(190)가 경화되어 상기 봉지수단(150)으로 원판(110)의 유기발광부(115)를 밀봉시켜 주게 된다.
이때, 도 2a 및 도 2b 에 도시된 바와같이 도전막(170)의 제1도전패턴(171)과 제2도전패턴(175)중 적어도 제1도전패턴(171)에 소정의 전압을 인가하여 흡습제 (160)를 경화시켜 주거나 또는 도 3a 및 도 3b에 도시된 바와같이 도전막(170)의 제1도전패턴(171)와 제2도전패턴(175)중 제2도전패턴(175)에 소정의 전압을 인가하여 밀봉제(190)를 경화시켜 봉지수단(150)으로 원판(110)의 유기발광부(115)를 봉지시켜 준다.
또는, 도 4a 및 도 4b에 도시된 바와같이, 도전막(170)의 제1도전패턴(171)과 제2도전패턴(175)에 소정의 전압을 인가하여 흡습제(160)를 경화시켜 주고 밀봉제(190)를 경화시켜 원판(110)의 유기발광부(115)를 봉지수단(150)으로 봉지시켜 준다. 이때, 도전막(170)의 제1도전패턴(171)과 제2도전패턴(175)에는 서로 다른 전압 또는 동일한 전압이 개별적으로 순차 제공되거나 또는 서로 다른 전압 또는 동일한 전압을 동시에 제공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밀봉제(190) 경화용 제2도전패턴(175)에 소정의 전압을 인가하기 위하여, 전압인가용 전극단자부(179)가 제1전극단자부 및 제2전극단자부와 동일한 방법으로 봉지수단(150)의 일측에 형성된다.
도면상에는 도시되지 않았으나, 상기 흡습제(160) 경화용 제1도전패턴(171)에 소정의 전압을 인가하기 위하여, 전압인가용 전극단자부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전극단자부 및 제2전극단자부와 동일한 방법으로 봉지수단(150)의 일측에 형성된다.
이때, 도면상에는 도시되지 않았으나, 유기발광부(115)에 대응하는 봉지수단(150)의 내측면에는 상기 전압인가용 전극단자부(179)와 상기 제1도전패턴(171) 및 /또는 제2도전패턴(175)을 전기적으로 연결시켜 주기 위한 배선부를 구비할 수도 있다.
상기 흡습제(160) 또는 경화제(190)를 경화시켜 주기 위하여 제1도전패턴(171) 또는 제2도전패턴(175)에 인가되는 전압은 제1 또는 제2도전패턴(171), (175)의 저항값에 따라 달라지는데, 대략 1V 내지 20V 정도의 전압이 인가된다. 이때, 상기 도전패턴(171), (175)의 저항값은 도전막의 형태 및 물질에 따라 결정되어진다.
이어서, 경화공정을 수행한 다음 상기 절단선(181), (185)을 따라 원판(110)을 절단하여 유기전계 발광소자(101)를 제작한다. 이때, 도 1에서와 같이 상기 제1전극단자부(125)와 제2전극단자부(145)도 절단되어 통전된 형태에서 서로 분리되어진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밀봉제(190)와 흡습제(160)가 각각 열경화성 밀봉제와 열경화성 흡습제를 포함하여 도전패턴(171), (175)에 인가되는 전압에 의해 열경화시켜 주는 것을 예시하였으나, 이에 반드시 국한되는 것이 아니라 도전패턴(171), (175)에 소정의 전압을 제공하여 열경화하면서 동시에 자외선이나 압력 등으로 경화시켜 주는 것도 가능하다.
유기전계 발광소자를 제조한 다음 봉지수단(150)의 내측 면에 형성되어, 흡습제경화 또는 밀봉제 경화에 사용된 도전패턴(171), (175)은 온도보상회로의 단자부로 사용될 수도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유기전계 발광소자의 전극구조와 도전막패 턴과의 배열관계를 도시한 것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유기전계 발광소자(101)는 유기발광부(115)의 주변부(151)를 따라 형성되어 밀봉제 경화에 사용된 도전패턴(175)은 온도보상을 위한 신호, 예를 들어 소정의 전압이 인가되는 온도보상판으로 작용한다.
도면중 도면부호 200은 도전패턴(175)에 연결되는 온도보상회로를 나타낸다. 상기 온도보상회로(200)는 도면상에는 도시되지 않았으나 PCB 기판상에 배열되는 것으로서, 상기 도전패턴(175)이 온도보상회로(200)에 연결되는 것을 예시한 것이다.
이와 마찬가지로, 도면상에는 도시되지 않았으나, 제1도전패턴(171)도 상기 온도보상회로(200)에 연결되어 온도보상판으로 사용되고, 또한 제1도전패턴(171)과 제2도전패턴(175)에 동시에 온도보상회로(200)가 연결되어 온도보상판으로 사용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경화용 제1도전패턴(171), (175)에 경화용 전압을 인가하기 위한 전극단자부(179)를 상기 제1도전패턴(171), (175)이 온도보상판으로 사용되는 경우, 상기 전극단자부(179)에 온도보상회로(200)를 연결하여 온도보상용 전압을 인가하기 위한 전극단자부로 이용가능하다.
따라서, 상기한 바와 같은 구조를 갖는 유기전계 발광소자는 저온이나 극저온에서와 같이 동작이 불가능한 상태에서도 상기 도전패턴(171), (175)에 의해 정상적으로 동작이 가능하다. 상기 도전패턴(171), (175)을 온도보상회로(180)에 연결하면, 상온이나 고온에서는 전류가 흐르지 않게 되어 소자의 동작특성 및 소비전 력에는 영향을 미치지 않으며, 저온이나 극저온에서는 상기 도전패턴(171, 175)에 전압을 인가하여 온도를 상승시켜 줌으로써 온도를 보상하게 되고, 이에 따라 소자가 정상적으로 구동되고 휘도저하를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유기막층(130)으로부터 발광되는 광에 의한 열을 상기 도전막(130)을 통해 분산시켜 줌으로써, 소자의 수명을 향상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원판상에 경화를 위한 도전패턴을 2개 배열하는 것을 예시하였으나, 이에 반드시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효율적인 경화를 위하여 다양한 형태로 배열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서로 교차하도록 배열되는 제1전극과 제2전극사이에 유기막층이 개재된 유기발광소자에 한정하여 설명하였으나, 다양한 형태의 유기전계 발광소자에 적용가능하다.
상기한 바와같은 본 발명의 실시예는 유기전계 발광소자의 흡습제와 밀봉제를 경화시켜 주기 위한 도전막을 형성하는 것을 예시하였으나, 이에 반드시 국한되는 것이 아니라, 액정표시장치 등과 같은 평편표시장치에 적용하여 보다 간단하게 흡습제 및 밀봉제의 경화를 수행하도록 할 수 있다.
상기한 바와같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유기전계 발광소자를 제조하는 데 사용되는 원판에 흡습제 및 밀봉제의 경화를 위한 도전막을 배열하여, 간단하고 짧은 시간내에 경화를 수행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유기전계 발광소자는 봉지수단에 온도보상용 도전막을 구비하여, 저온이나 극저온과 같이 유기전계 발광소자가 정상적으로 동작하기 어려운 상황에서도 상기 온도보상용 도전막을 이용하여 온도를 보상하여 줌으로써 유기전계 발광소자를 정상적으로 동작시켜 줄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휘도저하를 방지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하기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Claims (27)

  1. 단일의 원판과;
    상기 원판상에 배열되고, 각각 제1전극, 제2전극과 상기 제1전극 및 제2전극사이에 개재된 유기막층을 구비하는 다수의 유기발광부와;
    밀봉제에 의해 상기 유기발광부를 각각 봉지하는 다수의 봉지수단과;
    각 봉지수단의 상기 유기발광부에 대응하는 부분에 구비된 흡습제와;
    상기 봉지수단의 내측 면중 상기 밀봉제에 대응하는 부분 및 상기 흡습제에 대응하는 부분중 적어도 하나에 형성된 도전막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전계 발광소자용 기판.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도전막은 상기 봉지수단의 내측 면중 상기 밀봉제에 대응하는 부분에 형성되며, 상기 밀봉제를 경화시켜 주기 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전계 발광소자용 기판.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밀봉제는 열경화성 밀봉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전계 발광소자용 기판.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도전막은 봉지수단의 내측 면중 상기 흡습제에 대응하는 부분에 형성되며, 상기 흡습제를 경화시켜 주기 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전계 발광소자용 기판.
  5.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흡습제는 열경화성 흡습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전계 발광소자용 기판.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도전막은 상기 봉지수단의 내측 면중 상기 밀봉제에 대응하는 부분에 형성되고, 상기 밀봉제의 경화를 위한 제2도전패턴과,
    상기 봉지수단의 내측 면중 상기 흡습제에 대응하는 부분에 형성되고, 상기 흡습제의 경화를 위한 제1도전패턴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전계 발광소자용 기판.
  7. 제1항 또는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밀봉제는 열경화성 밀봉제를 포함하고, 상기 흡습제는 열경화성 흡습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전계 발광소자용 기판.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도전막은 불투명 도전막 또는 투명도전막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전계 발광소자의 기판.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원판은 투명한 유리기판 또는 플라스틱기판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전계 발광소자용 기판.
  10. 다수의 유기발광부를 구비하고, 각 유기발광부는 서로 교차하도록 배열되는 다수의 제1전극 및 제2전극과, 상기 제1전극과 제2전극사이에 개재된 유기막층을 구비하는 단일의 원판을 제공하는 단계와;
    흡습제를 구비하고, 상기 흡습제에 대응하는 부분과 상기 유기발광부의 주변부에 대응하는 부분의 내측 면중 적어도 하나에 형성된 도전막패턴을 구비하는 다수의 봉지수단을 제공하는 단계와;
    상기 원판의 상기 유기발광부의 주변부에 밀봉제를 도포하는 단계와;
    상기 다수의 봉지수단을 상기 다수의 유기 발광부에 대응시켜 밀봉제로 원판에 부착시키는 단계와;
    상기 흡습제와 상기 밀봉제중 적어도 하나를 경화시키는 단계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전계 발광소자용 기판을 제조하는 방법.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밀봉제는 열경화성 밀봉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전계 발광소자용 기판을 제조하는 방법.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밀봉제를 경화시키는 방법은 상기 봉지수단의 내측면중 상기 유기발광부의 주변부에 대응하는 부분에 형성된 도전막패턴으로 소정의 전압을 인가하여 열경화시켜 주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전계 발광소자용 기판을 제조하는 방법.
  13.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흡습제는 열경화성 흡습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전계 발광소자용 기판을 제조하는 방법.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흡습제를 경화시키는 방법은 상기 봉지수단의 내측 면중 상기 흡습제에 대응하는 부분에 형성된 도전막패턴으로 소정의 전압을 인가하여 열경화시켜 주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전계 발광소자용 기판의 제조방법.
  15.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밀봉제는 열경화성 밀봉제를 포함하고, 상기 흡습제는 열경화성 흡습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전계 발광소자용 기판의 제조방법.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흡습제와 밀봉제를 경화시키는 방법은 상기 봉지수단의 내측면중 상기 흡습제에 대응하는 부분에 형성된 제1도전막패턴과 상기 유기발광부의 주변부에 대응하는 부분에 형성된 제2도전막패턴으로 소정의 전압을 인가하여 경화시켜 주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전계 발광소자용 기판의 제조방법.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흡습제 경화와 밀봉제 경화는 상기 제1도전막패턴과 제2도전막패턴에 각각 서로 다른 전압 및 서로 동일한 전압중 하나를 개별적으로 인가하여 개별적으로 경화를 수행하거나 또는 상기 제1도전막패턴과 제2도전막패턴에 서로 동일한 전 압 및 서로 다른 전압중 하나를 동시에 인가하여 동시에 경화를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전계 발광소자용 기판의 제조방법.
  18.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도전막은 불투명 도전막 또는 투명도전막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전계 발광소자용 기판의 제조방법.
  19. 기판과;
    상기 기판상에 배열된 다수의 제1전극과, 상기 제1전극과 교차하도록 배열된 다수의 제2전극과, 상기 제1전극과 제2전극사이에 개재된 유기막층을 구비하는 유기발광부와;
    밀봉제에 의해 상기 유기발광부를 봉지하는 봉지수단과;
    상기 유기발광부에 대응하는 봉지수단에 구비된 흡습제와;
    상기 봉지수단의 내측면중 상기 밀봉제에 대응하는 부분 또는 상기 흡습제에 대응하는 부분중 적어도 하나에 형성된 도전막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전계 발광소자.
  20.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도전막은 상기 봉지수단의 내측 면중 상기 밀봉제에 대응하는 부분에 형성되며, 상기 밀봉제를 경화시켜 주기 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전계 발광소자.
  21.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도전막은 상기 봉지수단의 내측 면중 상기 밀봉제에 대응하는 부분에 형성되며, 온도보상회로에 연결되어 온도보상판으로 작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전계 발광소자.
  22.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도전막은 봉지수단의 내측 면중 상기 흡습제에 대응하는 부분에 형성되며, 상기 흡습제를 경화시켜 주기 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전계 발광소자.
  23. 제22항에 있어서,
    상기 도전막은 상기 봉지수단의 내측 면중 상기 흡습제에 대응하는 부분에 형성되며, 온도보상회로에 연결되어 온도보상판으로 작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전계 발광소자.
  24.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도전막은 상기 봉지수단의 내측 면중 상기 밀봉제에 대응하는 부분에 형성되고, 상기 밀봉제의 경화를 위한 제2도전패턴과,
    상기 봉지수단의 내측 면중 상기 흡습제에 대응하는 부분에 형성되고, 상기 흡습제의 경화를 위한 제1도전패턴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전계 발광소자.
  25. 제24항에 있어서,
    상기 도전막은 상기 봉지수단의 내측 면중 상기 밀봉제에 대응하는 부분에 형성되고, 상기 밀봉제의 경화를 위한 제2도전패턴과,
    상기 봉지수단의 내측 면중 상기 흡습제에 대응하는 부분에 형성되고, 상기 흡습제의 경화를 위한 제1도전패턴을 구비하고,
    상기 제1도전패턴과 제2도전패턴은 온도보상회로에 연결되어 온도보상판으로 작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전계 발광소자.
  26.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도전막은 불투명 도전막 또는 투명도전막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전계 발광소자.
  27.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흡습제는 열경화성 흡습제를 포함하고, 상기 밀봉제는 열경화성 밀봉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전계 발광소자.
KR1020040088178A 2004-11-02 2004-11-02 유기전계 발광소자의 기판, 이를 이용한 유기전계발광소자 및 그의 제조방법 KR10064762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88178A KR100647627B1 (ko) 2004-11-02 2004-11-02 유기전계 발광소자의 기판, 이를 이용한 유기전계발광소자 및 그의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88178A KR100647627B1 (ko) 2004-11-02 2004-11-02 유기전계 발광소자의 기판, 이를 이용한 유기전계발광소자 및 그의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39121A KR20060039121A (ko) 2006-05-08
KR100647627B1 true KR100647627B1 (ko) 2006-11-23

Family

ID=3714645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88178A KR100647627B1 (ko) 2004-11-02 2004-11-02 유기전계 발광소자의 기판, 이를 이용한 유기전계발광소자 및 그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47627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16176B1 (ko) * 2015-12-21 2023-03-29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유기발광 표시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39121A (ko) 2006-05-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1814176B1 (en) Organic light-emitting display device and method for fabricating the same
KR100722118B1 (ko) 유기전계발광 표시 장치
US7893613B2 (en) Organic light-emitting display device having a frit seal and method for fabricating the same
EP1811589B1 (en)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and fabricating method of the same
US7825594B2 (en)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and fabricating method of the same
US6717052B2 (en) Housing structure with multiple sealing layers
KR101274785B1 (ko) 유기 전계 발광 표시 장치 및 이의 제조 방법
EP1814177B1 (en) Oganic light-emitting display device and method for fabricating the same
KR101274807B1 (ko) 유기 전계 발광 표시 장치 및 이의 제조 방법
EP1777748A2 (en)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and method of fabricating the same
US7749039B2 (en)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KR100669779B1 (ko) 평판표시장치용 시일재 패턴 이를 구비한 평판표시장치
CN102468323A (zh) 有机发光显示装置以及有机发光显示装置的制造方法
KR20080055243A (ko) 유기 발광 표시 장치 및 그 제조방법
JP2002280169A (ja) 有機el装置
KR20070078501A (ko) 레이저 조사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유기전계발광표시장치의 제조방법
US20030197475A1 (en) Flat-panel display,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and portable terminal
US8330053B2 (en) Optoelectronic device and method for producing an optoelectronic device
KR20130016245A (ko) 전기 장치 및 그의 제조 방법
KR100934155B1 (ko) 양면발광 유기전계 발광표시 장치
KR100647627B1 (ko) 유기전계 발광소자의 기판, 이를 이용한 유기전계발광소자 및 그의 제조방법
JP2002216949A (ja) 有機elディスプレイの封止方法及び封止構造
KR101183977B1 (ko) 유기 발광 다이오드 표시 소자의 전극 형성방법
JPH1145778A (ja) 有機エレクトロルミネッセンス素子およびその製造方法
KR100746985B1 (ko) 유기 전계 발광 소자의 봉지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102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031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030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