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46976B1 - 케이블 체결시 무선감도 저하 방지기능을 가진 무선통신단말기 - Google Patents

케이블 체결시 무선감도 저하 방지기능을 가진 무선통신단말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46976B1
KR100646976B1 KR1020050086261A KR20050086261A KR100646976B1 KR 100646976 B1 KR100646976 B1 KR 100646976B1 KR 1020050086261 A KR1020050086261 A KR 1020050086261A KR 20050086261 A KR20050086261 A KR 20050086261A KR 100646976 B1 KR100646976 B1 KR 10064697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mmunication terminal
wireless communication
ground
gnd
cab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8626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은제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팬택앤큐리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팬택앤큐리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팬택앤큐리텔
Priority to KR102005008626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4697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4697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4697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6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 H04M1/0274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for an electrical connector modul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19Arrangements of transmitters, receivers, or complete sets to prevent eavesdropping, to attenuate local noise or to prevent undesired transmission; Mouthpieces or receivers specially adapted theref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Details Of Aerials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Abstract

1. 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
본 발명은, 케이블 체결시 무선감도 저하 방지기능을 가진 무선통신 단말기에 관한 것임.
2. 발명이 해결하려고 하는 기술적 과제
본 발명은, 무선통신 단말기에 데이터 통신을 하기 위하여 데이터 통신 케이블을 연결시키거나 충전을 위해 충전기 케이블을 연결시킴에 따라 안테나의 접지(GND)영역 변화로 인해 안테나 매칭이 변화되어 무선감도가 저하되는 경우, 접지(GND)분리부를 이용하여 안테나의 접지(GND)영역이 변경됨을 방지하여 무선감도가 저하되지 않도록 한, 케이블 체결시 무선감도 저하 방지기능을 가진 무선통신 단말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음.
3. 발명의 해결방법의 요지
본 발명은, 무선통신 단말기에 있어서, 상기 무선통신 단말기의 접지를 위한 무선통신 단말기 접지수단; 상기 무선통신 단말기와 케이블을 연결시키기 위한 커넥팅수단; 상기 커넥팅수단의 접지를 위한 커넥터 접지수단; 및 상기 무선통신 단말기 접지수단과 상기 커넥터 접지수단을 분리시키기 위한 접지분리수단을 포함한다.
4. 발명의 중요한 용도
본 발명은 휴대용 단말기 등에 이용됨.
접지(GND)분리부, 케이블, 무선통신 단말기, 접지(GND)영역, 무선감도 저하방지

Description

케이블 체결시 무선감도 저하 방지기능을 가진 무선통신 단말기{Wireless communication terminal for preventing deterioration of radio sensitivity in cable connection}
도 1 은 종래의 케이블 미체결시와 체결시의 안테나 입장에서 본 접지(GND)영역을 나타내는 일실시예 도면,
도 2a 는 본 발명에 따른 접지(GND)분리부를 이용하여 접지(GND)영역을 분리시켜 케이블 체결시 무선감도가 저하되는 것을 방지한 무선통신 단말기의 일실시예 도면,
도 2b 는 본 발명에 따른 접지(GND)분리부로 인덕터를 이용하여 접지(GND)영역을 분리시켜 케이블 체결시 무선감도가 저하되는 것을 방지한 무선통신 단말기의 일예시도,
도 2c 는 본 발명에 따른 접지(GND)분리부로 마이크로스트립라인을 이용하여 접지(GND)영역을 분리시켜 케이블 체결시 무선감도가 저하되는 것을 방지한 무선통신 단말기의 일예시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1 : 무선통신 단말기 12 : 충전 및 데이터 통신용 케이블
13 : 접지(GND)영역의 크기 14 : 변화된 접지(GND)영역의 크기
21 : 무선통신 단말기 접지(GND)부 22 : 접지(GND)분리부
23 : 커넥터 접지(GND)부 24 : 커넥터부
221 : 인덕터 222 : 마이크로스트립라인
25 : 분리된 접지((GND)영역의 크기
본 발명은 케이블 체결시 무선감도 저하 방지기능을 가진 무선통신 단말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무선통신 단말기에 데이터 통신을 하기 위하여 데이터 통신 케이블을 연결시키거나 충전을 위해 충전기 케이블을 연결시킴에 따라 안테나의 접지(GND)영역 변화로 인해 안테나 매칭이 변화되어 무선감도가 저하되는 경우, 접지(GND)분리부를 이용하여 안테나의 접지(GND)영역이 변경됨을 방지하여 무선감도가 저하되지 않도록 한, 케이블 체결시 무선감도 저하 방지기능을 가진 무선통신 단말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서 무선통신 단말기란 이동통신 단말기, 개인휴대통신 단말기(PCS), 개인 휴대 단말기(PDA), 스마트폰, 차세대 이동통신 단말기(IMT-2000), 무선 랜 단말기 등과 같이 개인이 휴대하면서 무선통신이 가능한 단말기를 말한다.
일반적으로, 현재 무선통신 단말기는 데이터 통신을 위해 데이터 통신 케이블을 무선통신 단말기 커넥터(예 : 카킷(carkit) 커넥터 등)에 연결하고, 충전을 위해 충전기 케이블을 무선통신 단말기 커넥터(예 : 카킷(carkit) 커넥터 등)에 연결한다.
이러한 케이블의 체결은 무선통신 단말기의 무선감도를 저하시키는데, 그 이유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일반적으로 케이블 미체결시의 안테나의 접지(GND)영역이 무선통신 단말기 크기 만한 영역으로 보이고, 그에 따라 안테나의 공진점을 원하는 대역에 매칭시킨 상태인데 반해, 무선통신 단말기에 케이블 체결로 인해 안테나의 접지(GND)영역이 케이블 길이에 비례해서 변경되어 안테나의 공진점을 이동시키게 됨에 따라 무선통신 단말기의 무선감도가 저하된다. 이에 대한 일예를 도 1a 를 참조하여 상세히 살펴보기로 한다.
도 1 은 종래의 케이블 미체결시와 체결시의 안테나 입장에서 본 접지(GND)영역을 나타내는 일실시예 도면이다.
도 1 에서 "11"은 무선통신 단말기, "12"는 데이터 통신 및 충전을 위한 케이블, "13"은 케이블 미체결시 안테나 입장에서 본 안테나의 접지(GND)영역, "14"는 케이블 체결시 안테나 입장에서 본 안테나의 접지(GND)영역을 각각 나타낸다.
즉, 케이블 미체결시의 안테나의 접지(GND)영역이 도 1 에 도시된 바와 같이, 무선통신 단말기 크기 만한 영역으로 보임에 따라 안테나의 공진점을 원하는 대역에 매칭시킨 상태인데 반해, 무선통신 단말기에 케이블 체결로 인해 안테나의 접지(GND)영역이 케이블 길이에 비례해서 변경되게 되어 안테나의 공진점을 이동시키게 된다. 이는 정재파비(VSWR : Voltage Standing Wave Ratio)가 특정 무선통신 단말기에서 실제 측정시에 30MHz 이상 저주파쪽으로 이동되고, 반사손실(RL : Return Loss) 또한 증가되는 원인이 된다. 특정 무선통신 단말기의 경우 DCS(Digital Cellular System)대역에서 무선감도가 3dB 이상 감소되고, 또한 방사전력이 3dB 이상 감소되는 문제점이 발생한다. 따라서, 약전계 지역에서 원활한 통화를 위해서는 이에 대한 대책이 필요하다.
본 발명은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제안된 것으로, 무선통신 단말기에 데이터 통신을 하기 위하여 데이터 통신 케이블을 연결시키거나 충전을 위해 충전기 케이블을 연결시킴에 따라 안테나의 접지(GND)영역 변화로 인해 안테나 매칭이 변화되어 무선감도가 저하되는 경우, 접지(GND)분리부를 이용하여 안테나의 접지(GND)영역이 변경됨을 방지하여 무선감도가 저하되지 않도록 한, 케이블 체결시 무선감도 저하 방지기능을 가진 무선통신 단말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 및 장점들은 하기의 설명에 의해서 이해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해 보다 분명하게 알게 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 및 장점들은 특허청구범위에 나타낸 수단 및 그 조합에 의해 실현될 수 있음을 쉽게 알 수 있을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장치는, 무선통신 단말기에 있어서, 상기 무선통신 단말기의 접지를 위한 무선통신 단말기 접지수단; 상기 무선통신 단말기와 케이블을 연결시키기 위한 커넥팅수단; 상기 커넥팅수단의 접지를 위한 커넥터 접지수단; 및 상기 무선통신 단말기 접지수단과 상기 커넥터 접지수단을 분리시키기 위한 접지분리수단을 포함한다.
상술한 목적, 특징, 및 장점은 첨부된 도면과 관련한 다음의 상세한 설명을 통하여 보다 분명해질 것이며, 그에 따라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과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하는 경우에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일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2a 는 본 발명에 따른 접지(GND)분리부를 이용하여 접지(GND)영역을 분리시켜 케이블 체결시 무선감도가 저하되는 것을 방지한 무선통신 단말기의 일실시예 도면이다.
도 2a 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접지(GND)분리부를 이용하여 접지(GND)영역을 분리시켜 케이블 체결시 무선감도가 저하되는 것을 방지한 무선통신 단말기는, 상기 무선통신 단말기(11)의 접지를 위한 무선통신 단말기 접지부(21), 상기 무선통신 단말기(11)와 데이터 통신을 위한 케이블(12) 또는 충전기 케이블 (12)을 상기 무선통신 단말기(11)와 연결시키기 위한 커넥터부(24), 상기 커넥터부(24)의 접지를 위한 커넥터 접지부(23), 및 상기 무선통신 단말기 접지부(21)와 상기 커넥터 접지부(23)를 분리시키기 위한 접지분리부(22)를 포함한다.
도 2a 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동작 원리를 좀 더 상세히 살펴보면, 무선통신 단말기(11)의 안테나에서 보는 접지(GND)영역(13)은 안테나가 사용하는 주파수에서의 접지(GND)영역을 말한다. 따라서, 도 2a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접지(GND)분리부(22)를 추가하여 고주파 교류신호가 케이블(12)단으로 흘러들어가지 않도록 차단함으로써, 케이블 연결시 안테나의 접지(GND)영역(13)이 변경되지 않게 하여 무선통신 단말기의 무선감도가 저하되지 않도록 한다.
상기 접지(GND)분리부(22)와 같은 역할을 하는 회로소자의 바람직한 일실시예로 도 2b 의 인덕터와 도 2c 의 마이크로스트립라인을 살펴보기로 한다. 하지만, 본 발명에 따른 접지(GND)분리부(22)가 인덕터나 마이크로스트립라인에 국한되는 것이 아님을 밝혀둔다.
도 2b 는 본 발명에 따른 접지(GND)분리부로 인덕터를 이용하여 접지(GND)영역을 분리시켜 케이블 체결시 무선감도가 저하되는 것을 방지한 무선통신 단말기의 일예시도이다.
도 2b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인덕터(221)를 무선통신 단말기 접지(GND)부(21)와 커넥터 접지(GND)부(23) 사이에 두어, 케이블(12) 체결시 무선통신 단말기(11)의 안테나의 접지(GND)영역(13)이 변경되는 것을 방지하여 무선통신 단말기의 무선감도가 저하되지 않도록 한다.
도 2c 는 본 발명에 따른 접지(GND)분리부로 마이크로스트립라인을 이용하여 접지(GND)영역을 분리시켜 케이블 체결시 무선감도가 저하되는 것을 방지한 무선통신 단말기의 일예시도이다.
도 2c 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마이크로스트립라인(222)을 무선통신 단말기 접지(GND)부(21)와 커넥터 접지(GND)부(23) 사이에 두어, 케이블(12) 체결시 무선통신 단말기(11)의 안테나의 접지(GND)영역이 변경되는 것을 방지하여 무선통신 단말기의 무선감도가 저하되지 않도록 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무선통신 단말기 접지(GND)부와 커넥터접지(GND)부 사이에 접지(GND)분리부(예 : 인덕터, 마이크로스트립라인 등)를 추가하고, 무선통신 단말기의 커넥터에 데이터 통신 및 충전을 위해 케이블을 체결하고, 전원을 온(ON)시킨다. 그에 따라 무선통신 단말기의 안테나 입장에서 본 접지(GND)영역의 크기가 케이블 미체결시와 동일하여 무선통신 단말기의 무선감도가 저하되지 않는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므로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은, 무선통신 단말기에 데이터 통신을 하기 위하여 데이터 통신 케이블을 연결시키거나 충전을 위해 충전기 케이블을 연결시킴에 따라 안 테나의 접지(GND)영역 변화로 인해 안테나 매칭이 변화되어 무선감도가 저하되는 경우, 접지(GND)분리부를 이용하여 안테나의 접지(GND)영역이 변경됨을 방지하여 무선감도가 저하되지 않도록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3)

  1. 무선통신 단말기에 있어서,
    상기 무선통신 단말기의 접지를 위한 무선통신 단말기 접지수단;
    상기 무선통신 단말기와 케이블을 연결시키기 위한 커넥팅수단;
    상기 커넥팅수단의 접지를 위한 커넥터 접지수단; 및
    상기 무선통신 단말기 접지수단과 상기 커넥터 접지수단을 분리시키기 위한 접지분리수단
    을 포함하는 케이블 체결시 무선감도 저하 방지기능을 가진 무선통신 단말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접지분리수단은,
    상기 무선통신 단말기 접지수단과 상기 커넥터 접지수단을 분리시키기 위한 마이크로스트립라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 체결시 무선감도 저하 방지기능을 가진 무선통신 단말기.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접지분리수단은,
    상기 무선통신 단말기 접지수단과 상기 커넥터 접지수단을 분리시키기 위한 인덕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 체결시 무선감도 저하 방지기능을 가진 무선통신 단말기.
KR1020050086261A 2005-09-15 2005-09-15 케이블 체결시 무선감도 저하 방지기능을 가진 무선통신단말기 KR10064697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86261A KR100646976B1 (ko) 2005-09-15 2005-09-15 케이블 체결시 무선감도 저하 방지기능을 가진 무선통신단말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86261A KR100646976B1 (ko) 2005-09-15 2005-09-15 케이블 체결시 무선감도 저하 방지기능을 가진 무선통신단말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646976B1 true KR100646976B1 (ko) 2006-11-23

Family

ID=3771273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86261A KR100646976B1 (ko) 2005-09-15 2005-09-15 케이블 체결시 무선감도 저하 방지기능을 가진 무선통신단말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46976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30095376A (ko) * 2012-02-20 2013-08-28 에스케이하이닉스 주식회사 집적회로 칩, 이를 포함하는 모바일 기기 및 이의 동작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30095376A (ko) * 2012-02-20 2013-08-28 에스케이하이닉스 주식회사 집적회로 칩, 이를 포함하는 모바일 기기 및 이의 동작방법
KR101896018B1 (ko) * 2012-02-20 2018-09-06 에스케이하이닉스 주식회사 집적회로 칩, 이를 포함하는 모바일 기기 및 이의 동작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819031B2 (en) Printed circuit board antenna and terminal
US5852421A (en) Dual-band antenna coupler for a portable radiotelephone
US7411557B2 (en) Antenna device and radio communication terminal
EP1484817A1 (en) Antenna
US10601114B2 (en) Multi-part radio apparatus
CN102804487B (zh) 包括环状天线的用于无线通信的装置
US6674411B2 (en) Antenna arrangement
KR20020026382A (ko) 안테나 장치
GB2396484A (en) Reducing coupling between different antennas
MXPA97009334A (es) Acoplador de antena para un radiotelefono portatil
US8405558B2 (en) Wireless device
US8493270B2 (en) Wireless device
US9509047B2 (en) Self-configurable resonance antenna
EP1881554A1 (en) Antenna and mobile terminal using the same
US20110128193A1 (en) Card device for wireless communication
JP2007068153A (ja) アンテナ装置および携帯無線機
CN105490025B (zh) 一种天线频段调整装置及其方法
EP1363358A1 (en) Microstrip dual band antenna
KR100905340B1 (ko) 안테나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무선 통신 장치
US7027778B2 (en) Radio frequency switching apparatus and mobile telecommunication terminal using the same
JPWO2007138670A1 (ja) Acアダプタ及び携帯端末装置
KR100646976B1 (ko) 케이블 체결시 무선감도 저하 방지기능을 가진 무선통신단말기
WO2004097978A1 (en) Ferrite loaded meander line loaded antenna
JPH07202774A (ja) 無線装置
KR19990054360A (ko) 인체의 영향을 최소화시키는 휴대용 전화기의 안테나 회로 및그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031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030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103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102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508

Year of fee payment: 11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