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46607B1 - 건축물 내부 전기시설 보호구조 - Google Patents

건축물 내부 전기시설 보호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46607B1
KR100646607B1 KR1020060025942A KR20060025942A KR100646607B1 KR 100646607 B1 KR100646607 B1 KR 100646607B1 KR 1020060025942 A KR1020060025942 A KR 1020060025942A KR 20060025942 A KR20060025942 A KR 20060025942A KR 100646607 B1 KR100646607 B1 KR 10064660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se
switch
building
main housing
cov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2594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석순
Original Assignee
(주)공간에이엔앰건축사사무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공간에이엔앰건축사사무소 filed Critical (주)공간에이엔앰건축사사무소
Priority to KR102006002594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4660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4660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4660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3/00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protective tubing therefor in or on buildings, equivalent structures or vehicles
    • H02G3/02Details
    • H02G3/08Distribution boxes; Connection or junction boxes
    • H02G3/12Distribution boxes; Connection or junction boxes for flush mounting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3/00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protective tubing therefor in or on buildings, equivalent structures or vehicles
    • H02G3/22Installations of cables or lines through walls, floors or ceilings, e.g. into building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2200/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covered by H02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asings For Electric Apparatus (AREA)

Abstract

건축물의 내부에 설치되어 조명등을 온/오프시키는 전기스위치의 케이스가 외부의 충격이나 이물질 등에 의해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건축물 내부 전기시설 보호구조가 개시되어 있다. 건축물의 벽체에 구비되는 일정 크기의 설치홈에 매설되고, 직육면체의 메인하우징과 그 메인하우징의 외주면으로부터 외측으로 일정 길이가 연장된 후 일정 높이의 테두리를 형성하는 테두리부로 이루어지는 내장케이스; 상기 내장케이스를 구성하는 메인하우징의 외측면에 착설되는 내측덮개; 상기 내장케이스를 구성하는 테두리부의 전면을 덮도록 테두리부에 착설되고, 상기 테두리부의 상측에 회전가능하게 착설됨으로써 개폐동작을 하는 외측덮개; 상기 건축물의 벽체에 구비되는 설치홈의 내측 바닥면에 매설되는 매설너트; 그리고 상기 메인하우징의 내벽 중간에 형성되는 걸림턱에 착설되는 스위치몸체로 이루어지는 건축물 내부 전기시설 보호구조를 제공한다.
내장케이스, 스위치몸체, 내측덮개, 외측덮개

Description

건축물 내부 전기시설 보호구조{STRUCTURE FOR PROTECTING ELECTRIC SWITCH EQUIPMENT OF BUILDING}
도 1은 종래의 건축물 벽체에 설치되는 전기스위치의 구조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2는 종래의 벽체에 설치되는 전기스위치의 구조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분해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건축물 내부 전기시설 보호구조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분해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건축물 내부 전기시설 보호구조의 결합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건축물 내부 전기시설 보호구조가 설치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건축물 내부 전기시설 보호구조가 설치되어 사용되는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벽체 200 : 스위치케이스
210 : 내장케이스 212 : 메인하우징
214 : 테두리부 220 : 제1고정편
230 : 매설너트 240 : 스위치몸체
250 : 내측덮개 260 : 외측덮개
264 : 손잡이 270 : 볼트
본 발명은 건축물 내부 전기시설 보호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건축물의 내부에 설치되어 조명등을 온/오프시키는 전기스위치의 케이스가 외부의 충격이나 이물질 등에 의해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건축물 내부 전기시설 보호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가정이나 건물에는 사무실 또는 방마다 조명등이 설치되며, 이러한 조명등을 온/오프시키기 위한 전기스위치는 벽면에서 돌출되는 상태로 설치되어 있다. 이러한 전기스위치는 빈번하게 스위칭 동작이 실시되기 때문에 쉽게 주변부위가 더러워지고, 특히 어린이 등이 쉽게 접촉할 수 있어 불필요한 온/오프 동작을 함으로써 사고발생의 원이 될 수 있다.
도 1은 종래의 건축물 벽체에 설치되는 전기스위치의 구조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단면도이고, 도 2는 종래의 벽체에 설치되는 전기스위치의 구조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분해사시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건축물 벽체(10)에는 전등 및 외부 전원 공급부로 연결되는 전선(12)이 내설되는 파이프(14)가 내설되고, 상기 파이프(14)가 내설된 상태에서 작업자들은 전선(12)을 삽입하여 배선 작업을 하게 되며, 상기 벽체(10)의 일측에는 직육면체의 형상을 하는 일정 크기의 내장케이스(16)가 매설된다. 상기 내장케이스(16)에는 스위치몸체(18)가 내부에 착설되고, 상기 스위치몸체(18)가 내장케이스(16)에 착설된 상태에서 덮개(20)를 내장케이스(16)에 결합시킴으로써 스위치케이스(30)가 설치된다.
상기 덮개(20)에 구비되는 홀(24)을 통해 스위치(22)가 외부로 노출됨으로써 스위치(22)를 온/오프시킬 수 있다. 이러한 스위치케이스(30)에 구비되는 스위치(22)는 외부의 충격 및 화재 등의 경우에 보호될 수 없는 노출된 상태에 있는 문제점이 있다.
즉, 상기 덮개(20)와 스위치(22)는 불연재로 제작되어 설치되지만 화재시 고열로 인해 타버리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건축물의 내부에 설치되어 전등을 온/오프시키는 전기스위치의 케이스에 별도의 덮개를 설치함으로써 전기스위치의 케이스가 파손되거나 오작동 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건축물 내부 전기시설 보호구조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건축물의 벽체에 구비되는 일정 크기의 설치홈에 매설되고, 직육면체의 메인하우징과 그 메인하우징의 외주면으로부 터 외측으로 일정 길이가 연장된 후 일정 높이의 테두리를 형성하는 테두리부로 이루어지는 내장케이스; 상기 내장케이스를 구성하는 메인하우징의 외측면에 착설되는 내측덮개; 상기 내장케이스를 구성하는 테두리부의 전면을 덮도록 테두리부에 착설되고, 상기 테두리부의 상측에 회전가능하게 착설됨으로써 개폐동작을 하는 외측덮개; 상기 건축물의 벽체에 구비되는 설치홈의 내측 바닥면에 매설되는 매설너트; 그리고 상기 메인하우징의 내벽 중간에 형성되는 걸림턱에 착설되는 스위치몸체로 이루어지는 건축물 내부 전기시설 보호구조를 제공한다.
상기 내장케이스를 구성하는 테두리부의 양측 내측면의 상단부에는 각각 힌지홀이 구비되고, 상기 외측덮개의 양측면 상단부에는 각각 힌지가 외향을 향하도록 구비되어 외측덮개의 힌지가 테두리부의 상측에 구비된 힌지홀에 결합됨으로써 외측덮개가 힌지를 축으로 회전할 수 있으며, 상기 외측덮개의 외측 표면에는 손잡이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물 내부 전기시설 보호구조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건축물의 벽체에는 실내에 설치되는 전기시설을 온/오프시키는 스위치는 스위치케이스에 구비된다. 상기 스위치케이스는 스위치가 일체형으로 이루어진 스위치몸체가 내장케이스에 내설되고, 상기 내장케이스의 내측에는 내측덮개를 착설시켜 내측덮개에 의해 스위치몸체가 내장케이스에 고정되도록 한다, 상기 내측덮개가 내장케이스에 착설된 상태에서 외측덮개를 내장케이스의 외측에 형성되는 테두리부에 착설시킨다. 상기 외측덮개는 내장케이스에 착설된 상태에서 상측단에 구비되는 힌지를 축으로 회전동작을 할 수 있다. 상기 스위치케이스의 표면에 스위치가 노출되지 않도록 외측덮개를 착설시킴으로써 스위치케이스 및 스 위치를 외부의 충격으로부터 보호하게 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건축물 내부 전기시설 보호구조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분해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건축물 내부 전기시설 보호구조의 결합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고,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건축물 내부 전기시설 보호구조가 설치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고,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건축물 내부 전기시설 보호구조가 설치되어 사용되는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3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건축물의 벽체(100)에는 전기시설을 온/오프시키는 스위치(242)가 포함되는 스위치케이스(200)를 설치하기 위하여 일정한 크기의 설치홈을 구비시키고, 상기 설치홈에 육면체의 스위치케이스(200)를 일측면을 제외한 나머지 부분을 매설시켜 스위치(242)를 이용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스위치케이스(200)는 전면부가 오픈된 직육면체의 형상을 하는 내장케이스(210)와 그 내장케이스(210)의 전면부를 덮는 내측덮개(250)와 외측덮개(260)로 이루어지고, 상기 내장케이스(210)의 내부에는 스위치(242)를 포함하는 스위치몸체(240)가 착설된다.
상기 내장케이스(210)는 직육면체의 형상을 하는 메인하우징(212)과 그 메인하우징(212)의 전면 외주면으로부터 외측으로 일정 길이가 연장된 후 일정 높이를 갖는 테두리부(214)로 이루어진다.
즉, 상기 메인하우징(212)의 전면에는 메인하우징보다 넓은 면적과 작은 깊 이를 갖는 테두리부(214)가 구비된다. 상기 메인하우징(212)의 일측면에는 전선(282)이 삽설되는 파이프(280)가 결합 될 수 있도록 제1관통홀(218)이 구비되고, 상기 메인하우징(212)의 배면부에는 다수 개의 제2관통홀(272)이 구비된다. 상기 제2관통홀(272)은 벽체(100)에 매설되는 매설너트(230)에 대응하는 위치에 구비됨으로써 제2관통홀(272)을 통해 볼트(270)가 매설너트(230)에 나사결합되어 메인하우징(212)이 벽체(100)에 고정된다.
상기 메인하우징(212)의 내측 양측면 중간 위치에는 제1고정편(220)이 상호 대향하는 위치에 형성되고, 상기 메인하우징(212)의 내측에 내설되는 스위치몸체(240)의 양측면에도 제2고정편(244)이 착설된다.
상기 스위치몸체(240)의 제2고정편(244)이 제1고정편(220)에 밀착되도록 스위치몸체(240)를 메인하우징(212)의 내측에 위치시킨 후 제1고정편(220)과 제2고정편(244)을 볼트(270)를 이용하여 결합시킴으로써 스위치몸체(240)는 메인하우징(212)의 내측에 고정된다.
상기 메인하우징(212)에 내측에 스위치몸체(240)를 착설시킨 후 내측덮개(250)를 내장케이스(210)에 구비된 단턱(216)에 착설시킨다. 상기 스위치몸체(240)의 전면에는 스위치(242)가 돌출되도록 구비되고, 상기 내측덮개(250)에는 스위치홀(252)이 구비되어 스위치(242)가 스위치홀(252)에 끼워지도록 내측덮개(250)가 스위치몸체(240)의 전면에 밀착된다.
상기 메인하우징(212)의 전면에 형성되는 테두리부(214)는 메인하우징(212)보다 면적이 더 넓은 형상을 하므로 메인하우징(212)과 테두리부(214)의 결합부에 는 단턱(216)이 형성된다. 상기 메인하우징(212)과 테두리부(214)의 결합부에 형성되는 단턱(216)에 내측덮개(250)가 볼트(270)에 의해 착설됨으로써 내측덮개(250)는 스위치몸체(240)의 전면에 밀착되며, 상기 내측덮개(250)의 스위치홀(252)을 통해 스위치(242)가 전방으로 돌출된다.
상기 내장케이스(210)를 구성하는 테두리부(214)의 내측 양측벽의 상단부에는 각각 힌지홀(222)이 구비되고, 상기 힌지홀(222)에는 외측덮개(260)의 상단부 양측면에 구비된 힌지(262)가 결합된다.
상기 외측덮개(260)의 상단에 구비되는 힌지(262)가 테두리부(214)의 힌지홀(222)에 결합됨으로써 외측덮개(260)는 힌지(262)를 축으로 회전이 가능하게 된다. 상기 외측덮개(260)는 평상시에는 스위치케이스(200)의 전면을 덮은 상태를 유지함으로써 스위치(242)를 안전하게 관리하게 되고, 상기 스위치(242)를 사용할 경우에는 외측덮개(260)의 표면에 구비된 손잡이(264)를 이용하여 외측덮개(260)를 오픈시킨 상태에서 스위치(242)를 온/오프시키게 된다.
좀더 상세하게 설명하면, 건축물의 벽체(100)에 설치되어 실내에 설치되는 전기시설을 온/오프시키는 스위치(242)는 벽체(100)의 일측면에 구비되는 설치홈에 매설되는 스위치케이스(200)에 구비된다.
상기 스위치케이스(200)는 직육면체의 형상을 갖는 메인하우징(212)과 그 메인하우징(212)의 전면에 착설되는 테두리부(214)로 이루어지는 내장케이스(210)와, 상기 내장케이스(210)에 내설되는 스위치몸체(240)와, 상기 스위치몸체(240)의 전면에 밀착되도록 내장케이스(210)에 착설되는 내측덮개(250) 및 상기 내장케이스 (210)를 구성하는 테두리부(214)에 회전가능하게 힌지(262)에 의해 착설되는 외측덮개(260)로 이루어진다.
상기 내장케이스(210)를 설치홈에 착설시키기 위하여 설치홈의 내측벽면에는 다수 개의 매설너트(230)를 착설시키고, 상시 매설너트(230)에 내장케이스(210)를 구성하는 메인하우징(212)의 후면부가 볼트(270)에 의해 착설됨으로써 내장케이스(210)가 설치홈에 설치된다.
상기 메인하우징(212)의 상면에는 제1관통홀(218)이 구비되어 전기 배선용 파이프(280)가 결합되어 전선이 파이프(280)를 통해 메인하우징(212)의 내부에 착설되는 스위치몸체(240)에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스위치몸체(240)의 전면에 구비되는 스위치(242)는 내측덮개(250)에 구비되는 스위치홀(252)을 통해 전방을 향해 돌출되며, 상기 내측덮개(250)는 스위치몸체(240)의 전면에 밀착되는 상태로 내장케이스(210)의 단턱(216)에 착설되어 고정된다.
상기 내측덮개(250)가 착설된 상태에서 내장케이스(210)를 구성하는 테두리부(214)에 외측덮개(260)가 착설되며, 상기 외측덮개(260)는 상단에 구비되는 힌지(262)가 테두리부(214)의 상단부에 구비되는 힌지홀(222)에 결합됨으로써 외측덮개(260)는 회전동작을 통해 스위치케이스(200)를 개폐시키게 된다.
상기 외측덮개(260)의 외측 표면에 구비된 손잡이(264)로 외측덮개(260)를 개폐시키면서 스위치(242)를 온/오프시키게 되므로 스위치(242)를 어린 아기 등이 쉽게 접촉할 수 없으며, 외부의 충격 또는 화재로부터 스위치와 같은 내부 전기시설이 보호될 수 있다.
이상 설명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은 건축물의 벽체에는 실내에 설치되는 전기시설을 온/오프시키는 스위치는 스위치케이스에 구비되며, 상기 스위치케이스는 스위치가 일체형으로 이루어진 스위치몸체가 내장케이스에 내설되고, 상기 내장케이스의 내측에는 내측덮개를 착설시켜 내측덮개에 의해 스위치몸체가 내장케이스에 고정되도록 하며, 상기 내측덮개가 내장케이스에 착설된 상태에서 외측덮개를 내장케이스의 외측에 형성되는 테두리부에 착설시키고, 상기 외측덮개는 내장케이스에 착설된 상태에서 상측단에 구비되는 힌지를 축으로 회전동작을 할 수 있으며, 상기 스위치케이스의 표면에 스위치가 노출되지 않도록 외측덮개를 착설시킴으로써 스위치케이스 및 스위치를 외부의 충격 및 화재로부터 고열로 인한 손상을 받지 않는 상태를 유지시키게 되므로 화재시에도 내부전기시설이 그대로 타버리는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즉, 화재로 인해 내부전기시설이 불타는 문제점을 해결하고 그에 의해 전기 누전에 의한 안전사고를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를 가진다.

Claims (2)

  1. 건축물의 벽체(100)에 구비되는 일정 크기의 설치홈에 매설되고 직육면체의 메인하우징(212)과 그 메인하우징(212)의 외주면으로부터 외측으로 일정 길이가 연장된 후 일정 높이의 테두리를 형성시킨 테두리부(214)로 이루어지며, 내측에 단턱(216)이 형성되고 제1고정편(220)이 형성된 내장케이스(210);
    내장 케이스(210)에 삽입되고 제1고정편(220)에 제2고정편(244)이 볼트(270)가 체결되어 메인하우징(212)의 내벽 중간에 형성되는 단턱(216)에 착설되는 스위치몸체(240);
    내장케이스(210)를 구성하는 메인하우징(212)의 외측면에 착설되고 중앙과 모서리부에 각각 스위치홀(252)과 볼트홀이 형성된 내측덮개(250);
    내장케이스(250)를 구성하는 테두리부(214)의 전면을 덮도록 테두리부에 착설되는 외측덮개(260)는 테두리부의 상측에 회전가능하게 착설되고 하단에 손잡이(264)가 형성되어 개폐동작을 하며,
    벽체(100)에 구비되는 설치홈의 내측 바닥면에는 매설너트(230)가 매설되어 볼트(270)로 내장 케이스(210)를 고정시키고,
    내장케이스(210)에는 테두리부(214)의 양측 내측면의 상단부에 각각 힌지홀(222)이 구비되고 외측덮개(260)에는 양측면 상단부에 각각 힌지(262)가 외향을 향하도록 구비되어 외측덮개(260)의 힌지(262)가 테두리부(214)의 상측에 구비된 힌지홀(222)에 결합되어 외측덮개(260)가 힌지(262)를 축으로 회전작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물 내부 전기시설 보호구조.
  2. 삭제
KR1020060025942A 2006-03-22 2006-03-22 건축물 내부 전기시설 보호구조 KR10064660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25942A KR100646607B1 (ko) 2006-03-22 2006-03-22 건축물 내부 전기시설 보호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25942A KR100646607B1 (ko) 2006-03-22 2006-03-22 건축물 내부 전기시설 보호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646607B1 true KR100646607B1 (ko) 2006-11-23

Family

ID=3771263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25942A KR100646607B1 (ko) 2006-03-22 2006-03-22 건축물 내부 전기시설 보호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46607B1 (ko)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332330A (en) 1977-12-07 1982-06-01 Norris Industries, Inc. Electrical cut-in box
US4381063A (en) 1981-03-09 1983-04-26 Gte Products Corporation Weatherproof cover assembly for electrical wiring devices
US5955702A (en) 1997-10-23 1999-09-21 Grossman; M. Gary Electrical switch protective cover
KR20000018836A (ko) * 1998-09-05 2000-04-06 윤종용 튜너 회로 설계 방법
KR20010030363A (ko) * 1999-09-13 2001-04-16 무라타 야스타카 박막 다층체, 박막 커패시터, 및 그 제조 방법
US20030089710A1 (en) 2001-11-09 2003-05-15 Gates Clark H. Electrical box with recessed faceplate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332330A (en) 1977-12-07 1982-06-01 Norris Industries, Inc. Electrical cut-in box
US4381063A (en) 1981-03-09 1983-04-26 Gte Products Corporation Weatherproof cover assembly for electrical wiring devices
US5955702A (en) 1997-10-23 1999-09-21 Grossman; M. Gary Electrical switch protective cover
KR20000018836A (ko) * 1998-09-05 2000-04-06 윤종용 튜너 회로 설계 방법
KR20010030363A (ko) * 1999-09-13 2001-04-16 무라타 야스타카 박막 다층체, 박막 커패시터, 및 그 제조 방법
US20030089710A1 (en) 2001-11-09 2003-05-15 Gates Clark H. Electrical box with recessed faceplate

Non-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2001303630000 *
2020000018836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133531A (en) Weatherproof outlet cover
CA2525305C (en) Weatherproof cover and disconnect switch
CA2280218A1 (en) Weatherproof outlet cover
US11125402B2 (en) Wall pack light fixtures
GB2435554A (en) Watertight electric socket
KR102156593B1 (ko) 콘센트 보호함
KR100646607B1 (ko) 건축물 내부 전기시설 보호구조
CA2578661C (en) Exterior wall lamps
KR101334322B1 (ko) 수밀형 분배전반
KR100635936B1 (ko) 건축물 내부 벽체 안전 콘센트
US20090084601A1 (en) Weatherproof chamber for a receptacle with GFI capability
KR200435354Y1 (ko) 옥외용 파워서플라이 박스
KR20080002744U (ko) 콘센트 장치
KR100621363B1 (ko) 건축물 내부 전원스위치 보호용 케이스
KR200454912Y1 (ko) 가로등 누전차단기 방수함
KR101051152B1 (ko) 전력선 통신을 이용한 가로등 절연 시설물
KR20180043562A (ko) 콘센트 안전 커버
KR20120077132A (ko) 수분 유입을 방지할 수 있는 엔진룸 정션박스
RU2007141594A (ru) Предохранительное устройство для устанавливаемых заподлицо электрических механизмов
US20070189021A1 (en) Recessed lighting fixture
GB2154063A (en) A plug socket time switch
CN211981003U (zh) 一种插线板
CN211126538U (zh) 一种散热效果好的防火开关柜
CN208820296U (zh) 一种具有警示功能的配电箱
CN201490445U (zh) 插头插座防溅盒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106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015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601

Year of fee payment: 9

R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105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107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106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105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028

Year of fee payment: 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