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46108B1 - 호일 컷팅장치 - Google Patents

호일 컷팅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46108B1
KR100646108B1 KR1020050025781A KR20050025781A KR100646108B1 KR 100646108 B1 KR100646108 B1 KR 100646108B1 KR 1020050025781 A KR1020050025781 A KR 1020050025781A KR 20050025781 A KR20050025781 A KR 20050025781A KR 100646108 B1 KR100646108 B1 KR 10064610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oil
blade
cutting
gear
roll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2578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50035242A (ko
Inventor
전용범
Original Assignee
전용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전용범 filed Critical 전용범
Priority to KR102005002578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46108B1/ko
Publication of KR2005003524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3524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4610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4610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35/00Delivering articles from cutting or line-perforating machines; Article or web delivery apparatus incorporating cutting or line-perforating devices, e.g. adhesive tape dispensers
    • B65H35/04Delivering articles from cutting or line-perforating machines; Article or web delivery apparatus incorporating cutting or line-perforating devices, e.g. adhesive tape dispensers from or with transverse cutters or perforators
    • B65H35/06Delivering articles from cutting or line-perforating machines; Article or web delivery apparatus incorporating cutting or line-perforating devices, e.g. adhesive tape dispensers from or with transverse cutters or perforators from or with blade, e.g. shear-blade, cutters or perforat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16/00Unwinding, paying-out webs
    • B65H16/005Dispensers, i.e. machines for unwinding only parts of web rol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0/00Advancing webs
    • B65H20/02Advancing webs by friction roll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301/00Handling processes for sheets or webs
    • B65H2301/50Auxiliary process performed during handling process
    • B65H2301/51Modifying a characteristic of handled material
    • B65H2301/515Cutting handled material
    • B65H2301/5151Cutting handled material transversally to feeding direc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301/00Handling processes for sheets or webs
    • B65H2301/50Auxiliary process performed during handling process
    • B65H2301/51Modifying a characteristic of handled material
    • B65H2301/515Cutting handled material
    • B65H2301/5153Details of cutting means
    • B65H2301/51532Blade cutter, e.g. single blade cutt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701/00Handled material; Storage means
    • B65H2701/10Handled articles or webs
    • B65H2701/19Specific article or web
    • B65H2701/1944Wrapping or packing material

Landscapes

  • Perforating, Stamping-Out Or Severing By Means Other Than Cutt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롤상으로 감겨진 알루미늄 박의 호일 컷팅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일측에 인출구가 형성되어 있는 상하부 케이스의 내측에 호일의 축봉을 지지하는 받침구를 고정 형성하고, 받침구의 앞쪽에 호일을 잡아주면서 인출시키는 상하부롤러를 서로 접촉되도록 형성하며, 상하부 케이스의 출구측에는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호일을 컷팅하는 상하칼날을 형성하되, 칼날의 컷팅 동작시 호일이 일정길이 인출되도록 구성한 것으로,
호일의 컷팅후, 롤상의 호일이 손으로 잡아당기기 적당한 일정길이가 토출되어 다시 호일을 인출할 때 토출된 부분을 손으로 잡아당겨 호일을 용이하게 원하는 길이만큼 인출할 수 있고, 칼날의 상하 수직 움직임이 보장되어 호일 컷팅 동작에 대한 신뢰도를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 호일 컷팅장치에 관한 것이다.
호일, 상하부칼날, 상하부롤러, 일방향베어링, 작동기어, 평베어링,

Description

호일 컷팅장치{Cutting device}
도 1 은 본 발명의 호일 컷팅장치를 보인 사시도.
도 2 는 본 발명의 호일 컷팅장치를 보인 단면도.
도 3 은 본 발명에 적용된 상하부 칼날의 구성을 보인 사시도.
도 4 는 본 발명에 적용된 일방향베어링을 보인 측 단면도.
도 5 는 본 발명에 적용된 일방향 베어링을 보인 정단면도.
도 6 은 본 발명에 적용된 상하부롤러를 보인 측면도.
도 7 은 본 발명의 내부구조를 보인 평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상부케이스, 2: 하부케이스,
3: 인출구, 4: 호일,
5: 축봉, 6: 끼움부,
7: 받침구, 8: 끼움다리,
9: 하부롤러, 10: 상부롤러,
11: 엠보싱, 12: 축,
13: 일방향베어링, 14: 작동기어,
15: 하우징, 16,17: 핀홀,
18: 핀, 19: 톱니기어,
20: 가이더, 21: 평베어링,
22: 결합부, 23: 브라켓,
24: 상부칼날, 25: 손잡이프레임,
26: 컷팅레버, 27: 랙기어,
28: 하부칼날, 29: 안내날,
30: 표시부,
본 발명은 롤상으로 감겨진 알루미늄 박의 호일 컷팅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일측에 인출구가 형성되어 있는 상하부 케이스의 내측에 호일의 축봉을 지지하는 받침구를 고정 형성하고, 받침구의 앞쪽에 호일을 잡아주면서 인출시키는 상하부롤러를 서로 접촉되도록 형성하며, 상하부 케이스의 출구측에는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호일을 컷팅하는 상하칼날을 형성하되, 칼날의 컷팅 동작시 호일이 일정길이 인출되도록 구성한 것으로,
호일의 컷팅후, 롤상의 호일이 손으로 잡아당기기 적당한 일정길이가 토출되어 다시 호일을 인출할 때 토출된 부분을 손으로 잡아당겨 호일을 용이하게 원하는 길이만큼 인출할 수 있고, 칼날의 상하 수직 움직임이 보장되어 호일 컷팅 동작에 대한 신뢰도를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 호일 컷팅장치에 관한 것이다.
현재 각 가정이나 업소 등에서 다양하게 사용되는 알루미늄 재질로서 이루어진 얇은 박막 형태로 된 쿠킹 호일이 사용되고 있으며, 쿠킹호일은 음식물을 포장할 때 사용하거나 아니면 육류 구이시 호일을 팬 표면에 깔아서 구이용 등으로 사용하고 있다.
이러한 쿠킹호일은 대부분이 롤 형태로 감겨져 종이 케이스에 담겨져 있고, 호일을 원하는 길이로 절단하고자 할 때에는 호일을 일정길이 인출한 후 그 종이케이스의 일면에 형성되어 있는 톱니형의 절단날을 이용하여 호일을 절단 사용하고 있었다.
그러나, 종래에는 호일을 절단하기 위해서 반드시 한손으로 호일이 담겨진 종이 케이스를 손으로 들고 다른 한 손으로 호일을 원하는 길이만큼 인출시킨 후 호일을 절단하여 사용해야만 하므로 호일 인출 및 컷팅 작업이 번거로워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호일을 인출시킬 때 호일이 정확하게 어느 정도의 길이만큼 인출되었는지를 알 수 없어서 모든 작업을 눈대중으로 처리해야만 하므로, 모자라면 버리고 남으면 그대로 사용하기 때문에 호일의 낭비가 심해지는 문제점이 있었고,
호일을 일정횟수 만큼 절단해야만 할때 호일 몇 장을 컷팅했는지를 알 수 없어서 중간 중간에 절단된 호일을 세어가면서 절단해야만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은,
일측에 인출구가 형성되어 있는 상하부 케이스의 내측에 호일의 축봉을 지지하는 받침구를 설치하고, 받침구의 앞쪽에 호일을 잡아주면서 인출시키는 상하부롤러를 서로 접촉되도록 설치하며, 상하부 케이스의 출구측에는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호일을 컷팅하는 상하칼날을 설치하되, 칼날의 컷팅 동작시 호일이 일정길이가 토출되도록 구성하므로서,
호일의 컷팅후 호일이 손으로 잡아 당기기 적당하게 일정의 길이가 토출되고 다시 호일을 인출할 때 토출된 부분을 손으로 잡아당겨 호일을 용이하게 원하는 길이만큼 인출할 수 있고, 칼날의 상하 수직 움직임이 보장되어 호일 컷팅 동작에 대한 신뢰도를 향상시킬 수 있으며, 사용자가 가정에서 직접 엠보싱 가공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한 호일 컷팅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일측에 인출구가 형성되도록 서로 맞물려 결합되는 상하부 케이스를 구비하고, 호일의 축봉이 안착될 수 있도록 반구형상으로 형성된 받침구를 하부 케이스의 안쪽 바닥면에 지지되도록 설치한다.
상기 받침구의 앞쪽으로 호일의 이송을 위한 상부롤러와 하부롤러를 접촉회전이 가능하게 설치하고, 상기 상하부케이스의 인출구 측 양측에 가이더를 수직으로 세워 설치하며, 가이더 내에서 상하로 움직이는 평베어링을 가이더 내부에 내장시키되, 상기 가이더의 내측으로 결합되어 있는 결합부에 '
Figure 112005504000941-pat00001
' 형상의 브라켓을 결합한다.
이 브라켓의 저면에 상부칼날을 경사지게 결합하며, 상기 가이더의 하측에는 상기 상부칼날에 대응하는 하부칼날을 수평하게 형성하되, 이 하부칼날의 일측 끝단부를 상측으로 절곡시켜 상부칼날의 하강 이동을 안내하는 안내날을 설치한다.
상기 브라켓의 상부에는 컷팅레버가 끼워지기 위한 손잡이 프레임을 상향 돌출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상부롤러의 축상에 그 일측에 작동기어가 결합되어 있는 일방향베어링을 설치하고, 상기 평베어링의 내측으로 작동기어와 맞물리는 랙기어를 설치하여 호일의 절단을 위해 상부칼날이 하강하였다가 상승할 때 평베어링의 상승 움직임량이 랙기어와 작동기어 및 일방향베어링을 통해 축으로 전달되어 상부롤러가 일정각도 회전하면서 호일을 일정길이가 토출되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일방향베어링은 링형상으로 형성된 하우징의 내측에 톱니기어를 형성하고, 하우징의 내주면상에 접선방향으로 경사지게 제 1 핀홀을 형성하며, 상기 제 1 핀홀에 핀을 끼워서 하우징이 일방향으로 회전할 때에만 핀이 톱니기어에 걸리면서 동력이 축을 통해 상부롤러에 전달되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하우징의 내주면상에 제 1 핀홀에 대해 반대방향으로 경사진 제 2 핀홀을 형성하고, 상기 제 2 핀홀에 핀을 끼워 결합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상부롤러와 하부롤러의 표면에 엠보싱을 돌출 형성시켜 호일 인출시 호일에 엠보싱이 가공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 도 1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면부호 1 과 2 는 본 발명의 외형을 이루는 상부케이스와 하부케이스를 나타낸다.
상기 상하부케이스(1, 2)는 서로 맞물려 결합되며, 그 일측에는 호일(4)이 인출되기 위한 인출구(3)가 형성되고, 상기 상부케이스(1)는 내장되어있는 미도시된 판스프링의 탄성력에 의해 상측으로 개방될 수 있도록 형성된다.
상기 하부케이스(2)의 내측 하단부에는 복수개의 끼움부(6)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끼움부(6)에는 호일(4)에 끼워진 축봉(5)을 양측에서 받쳐주기 위한 반구형상의 받침구(7)의 끼움다리(8)가 끼워져 결합된다.
즉, 상기 받침구(7)의 끼움다리(8)가 끼움부(6)에 끼워진 상태로 세워져 설치되어 호일(4)에 끼워져 있는 축봉(5)의 양측을 지지하게 되는 것이며, 상기 받침구(7)에 의해 지지된 호일(4)은 회전하면서 호일(4)이 인출되게 된다.
그리고, 도 7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끼움부(6)의 내측으로 복수개의 끼움부(6a, 6b)를 횡방향으로 일정간격으로 더 형성하여 호일(4)의 폭에 따라 받침구(7)의 결합위치를 선택적으로 가변시킬 수 있도록 하였다.
한편, 상기 상하부케이스(1, 2)의 중간부분, 즉, 받침구(7)의 앞쪽에 위치하도록 하부롤러(9)와 상부롤러(10)를 서로 맞대어지게 형성하는데, 상기 상하부롤러(10, 9)의 사이로 호일(4)이 끼워져 인출되도록 하며, 상기 상부롤러(10)와 하부롤 러(9)의 표면에는 도 6 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수의 엠보싱(11)이 돌출 형성되어있어서 호일(4) 인출시 호일(4)에 엠보싱으로 성형되도록 하였다.
상기 상하부케이스(1, 2)의 인출구(3) 측 내측에는 상부칼날(24)과 하부칼날(28)을 설치하며, 이를 위해 상하부케이스(1, 2)의 인출구측 양단에 가이더(20)를 수직으로 설치한다.
상기 가이더(20)의 내부에는 상하 유동할 수 있도록 평베어링(21)을 형성하고, 이 평베어링(21)의 내측으로 별도의 결합부(22)를 돌출 형성하며, 상기 결합부(22)의 일면에는 '
Figure 112005504000941-pat00002
' 단면을 갖는 브라켓(23)을 볼트로서 결합하고, 상기 브라켓(23)의 하측부에 상부칼날(24)을 경사지게 결합한다.
상기 브라켓(23)의 상부면에는 손잡이 프레임(25)을 돌출 형성하고, 이 손잡이 프레임(25)에 사용자가 조작할 수 있는 컷팅레버(26)를 끼워 결합한다.
상기한 컷팅레버(26)는 상부케이스(1)의 상부로 노출되도록 하여 사용자가 누름작동시킬 수 있도록 하며, 상기 브라켓(23)은 리턴스프링의 복원력에 의해 하강하였다가 자동적으로 상승하여 원위치로 복귀한다.
그리고, 상기 가이더(20)의 하단부에는 상부칼날(24)에 대응하는 하부칼날(28)을 수평하게 결합하고, 이 하부칼날(28)의 일측 끝단부에는 안내날(29)을 상방향으로 절곡 형성하는데, 상기 안내날(29)의 일면이 경사지도록 형성하여 상부롤러(10)가 하강할때 상기 안내날(29)의 경사면에 밀착되면서 안내되어 하부칼날(28)과 교차할 수 있도록 하였다.
한편, 본 발명에는 상부칼날(24)이 하강하였다가 상승할 때 상부롤러(10)를 일방향으로 회전시켜 호일(4)이 일정거리 인출되도록 하는 기능을 갖고 있다.
이를 위해 상기 평베어링(21)의 배면으로는 일정길이의 랙기어(27)를 형성하고, 상기 랙기어(27)가 맞물리는 작동기어(14)가 구비된 일방향 베어링(13)을 상부롤러(10)의 축(12) 상에 형성한다.
상기 일방향 베어링(13)은 도 4 와 도 5 에 도시된 바와같이 도우넛 형상으로 형성된 하우징(15)의 내주면상에 접선방향으로 경사지게 형성된 다수의 제 1 핀홀(16)을 형성하고, 상기 제 1 핀홀(16) 내부에 핀(18)을 내장하며, 하우징(15)의 내측에는 축(12)에 끼워진 상태의 톱니기어(19)가 형성되어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하우징(15)의 일측으로는 랙기어(27)와 맞물리게 되는 작동기어(14)가 형성된다.
이에 따라서, 호일(4)의 컷팅을 위해 상부칼날(24)이 하강할때에는 랙기어(27)와 맞물려있는 작동기어(14)의 회전에 의해 일방향베어링(13)의 하우징(15)이 회전하더라도 핀(18)이 톱니기어(19)에 걸리지 않게 되므로 축(12)이 회전하지 않게 되는 것이며, 상부칼날(24)이 상승할 때에는 일방향베어링(13)의 하우징(15)이 역방향으로 회전하면서 핀(18)이 톱니기어(19)에 맞물리게 되므로 축(12)이 일방향으로 회전하게 되고, 이에 의해 상부롤러(10)가 일정각도 회전하면서 호일(4)을 일정길이를 토출시키게되는 것이다.
상기 작동에 의해 호일(4)을 절단한 후 자동적으로 일정길이의 호일(4)이 인출구(3) 밖으로 토출되게 되므로 사용자가 다음의 호일(4) 인출작업을 원활하게 수행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본 발명에 적용된 일방향베어링(13)의 하우징(15) 내주면 상에는 제 1 핀홀(16)과 반대방향으로 경사지게 복수개의 제 2 핀홀(17)을 형성하였다.
상기 제 2 핀홀(17)을 형성함에 따라 일방향베어링(13)이 적용되는 위치에 따라 원하는 핀홀(16,17)에 핀(18)을 삽입하여 동력 전달방향을 선택적으로 가변시킬 수 있게 되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상부케이스(1)의 일측에는 호일(4)의 인출길이 및 컷팅횟수 등을 표시하게 되는 표시부(30)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표시부(30)로는 호일(4)이 인출될 때 상부롤러(10) 또는 하부롤러(9)의 회전수등을 이용하여 인출길이를 측정하고, 그 측정길이를 표시하여 사용자가 어느 정도로 호일(4)을 인출했는지를 파악할 수 있도록 하며, 또한 컷팅을 위해 사용자가 컷팅레버(26)를 누를때마다 카운팅하여 사용자가 몇번 호일(4)을 절단했는지를 표시해주게 되는 것이며, 카운터는 모듈로 공급되므로 그 상세한 구성은 도시하지 않았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작용 및 효과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인출구(3)에 일정길이의 호일(4)이 토출된 상태에서, 사용자가 호일(4)을 원하는 길이만큼 인출한 상태에서 컷팅레버(26)를 눌러주게 되면, 브라켓(23)이 하강하면서 상부칼날(24)가 하부칼날(28)이 엇갈리면서 호일(4)을 절단하게 된다.
그리고, 브라켓(23)이 상측으로 이동하여 원위치로 복귀하게 되면, 랙기어(27)와 맞물려있는 작동기어(14)의 회전력이 일방향베어링(13) 내부의 톱니기어(19)로 전달되면서 축(12)이 회전하게 되며, 이에 의해 상부롤러(10)가 일정각도 회전하면서 일정길이의 호일(4)을 인출구(3)로 인출시키게 되는 것이다.
즉, 사용자가 호일(4)을 컷팅할때마다 일정길이의 호일(4)이 인출구(3)로 토출되므로 사용자가 다음 호일 인출작업을 원활하게 수행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또한, 호일(4)을 인출할 때에는 호일의 인출길이가 표시부(30)를 통해 표시되므로 사용자가 원하는 길이로 호일(4)을 인출하여 절단할 수 있게 되고, 또한 호일(4)을 한번 컷팅할 때마다 호일 컷팅횟수가 누적되어 표시부(30)를 통해 표시되므로 사용자가 몇 장의 호일을 절단했는지를 쉽게 파악할 수 있게 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일측에 인출구가 형성되어 있는 상하부 케이스의 내측에 호일의 축봉을 지지하는 받침구를 고정 형성하고, 받침구의 앞쪽에 호일을 잡아주면서 인출시키는 상하부롤러를 서로 접촉되도록 설치하며, 상하부 케이스의 출구측에는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호일을 컷팅하는 상하칼날을 설치하되, 칼날의 컷팅 동작시 호일이 일정길이 인출되도록 구성하므로서,
호일의 컷팅시 호일이 일정길이 토출되어 다음번 호일 사용시 호일을 용이하게 원하는 길이만큼 인출할 수 있고, 칼날의 상하 수직 움직임이 보장되어 호일 컷팅 동작에 대한 신뢰도를 향상시킬 수 있으며, 사용자가 가정에서 직접 엠보싱 가공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한 호일 컷팅장치를 제공하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Claims (5)

  1. 일측에 인출구(3)가 형성되도록 서로 맞물려 결합되는 상하부 케이스(1,2)를 구비하고, 호일(4)의 축봉(5)이 안착될 수 있도록 반구형상으로 형성된 받침구(7)를 하부 케이스(2)의 안쪽 바닥면에 지지되도록 설치하며, 상기 받침구(7)의 앞쪽으로 호일(4)의 이송을 위한 상부롤러(10)와 하부롤러(9)를 접촉회전이 가능하게 설치하고, 상기 상하부케이스(1, 2)의 인출구 측 양측에 가이더(20)를 수직으로 세워 형성하며, 가이더(20) 내에서 상하로 움직이는 평베어링(21)을 가이더(20) 내부에 내장시키되,
    상기 가이더(20)의 내측으로 결합되어 있는 결합부(22)에 '
    Figure 112006505195072-pat00003
    ' 형상의 브라켓(23)을 결합하고, 이 브라켓(23)의 저면에 상부칼날(24)을 경사지게 결합하며,상기 가이더(20)의 하측에는 상기 상부칼날(24)에 대응하는 하부칼날(28)을 수평하게 형성하되, 이 하부칼날(28)의 일측 끝단부를 상측으로 절곡시켜 상부칼날(24)의 하강 이동을 안내하는 안내날(29)을 형성하며,
    상기 브라켓(23)의 상부에는 컷팅레버(26)가 끼워지기 위한 손잡이 프레임(25)을 상향 돌출 형성하고,
    상기 상부롤러(10)의 축(12)상에 그 일측에 작동기어(14)가 결합되어 있는 일방향베어링(13)을 형성하고, 상기 평베어링(21)의 내측으로 작동기어(14)와 맞물리는 랙기어(27)를 형성하여 호일(4)의 절단을 위해 상부칼날(24)이 하강하였다가 상승할때 평베어링(21)의 상승 움직임량이 랙기어(27)와 작동기어(14) 및 일방향베어링(13)을 통해 축(12)으로 전달되어 상부롤러(10)가 일정각도 회전하면서 호일(4)을 일정길이 토출하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호일 컷팅장치.
  2. 삭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일방향베어링(13)은 링형상으로 형성된 하우징(15)의 내측에 톱니기어(19)를 형성하고, 하우징(15)의 내주면상에 접선방향으로 경사지게 제 1 핀홀(16)과 제 2 핀홀(17)을 형성하며, 상기 제 1 핀홀(16)과 제 2 핀홀(17)에 회전방향에 따라 선택적으로 핀(18)을 끼워서 하우징(15)이 일방향으로 회전할때에만 핀(18)이 톱니기어(19)에 걸리면서 동력이 축(12)을 통해 상부롤러(10)에 전달되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호일 컷팅장치.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롤러(10)와 하부롤러(9)의 표면에 엠보싱(11)을 돌출 형성시켜 인출되는 호일(4)이 엠보싱 가공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호일 컷팅장치.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받침구(7)의 끼움다리(8)가 끼워져 결합되는 복수개의 끼움부(6)(6a)(6b)를 하부케이스(2)의 양측에 복수열로 형성하여 호일(4)의 폭에 따라 선택하여 결합하므로 폭을 조절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호일 컷팅장치.
KR1020050025781A 2005-03-26 2005-03-26 호일 컷팅장치 KR10064610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25781A KR100646108B1 (ko) 2005-03-26 2005-03-26 호일 컷팅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25781A KR100646108B1 (ko) 2005-03-26 2005-03-26 호일 컷팅장치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5-0012374U Division KR200389927Y1 (ko) 2005-04-29 2005-04-29 호일 컷팅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35242A KR20050035242A (ko) 2005-04-15
KR100646108B1 true KR100646108B1 (ko) 2006-11-23

Family

ID=3723875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25781A KR100646108B1 (ko) 2005-03-26 2005-03-26 호일 컷팅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46108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52961B1 (ko) 2008-03-10 2010-04-15 최경림 이송테이프 자동 절단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353680A (zh) * 2021-05-12 2021-09-07 利辛县富亚纱网有限公司 一种纱网用辅助装置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350787U (ko) 1976-09-29 1978-04-28
US4676131A (en) 1985-04-05 1987-06-30 Steiner Company, Inc. Electric paper cabinet
JPS62113165U (ko) * 1985-12-28 1987-07-18
JPH01172554U (ko) * 1988-05-23 1989-12-07
KR20040004271A (ko) * 2003-12-08 2004-01-13 전용범 알루미늄 호일용 엠보싱가공 및 자동 절단 공급장치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350787U (ko) 1976-09-29 1978-04-28
US4676131A (en) 1985-04-05 1987-06-30 Steiner Company, Inc. Electric paper cabinet
JPS62113165U (ko) * 1985-12-28 1987-07-18
JPH01172554U (ko) * 1988-05-23 1989-12-07
KR20040004271A (ko) * 2003-12-08 2004-01-13 전용범 알루미늄 호일용 엠보싱가공 및 자동 절단 공급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52961B1 (ko) 2008-03-10 2010-04-15 최경림 이송테이프 자동 절단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35242A (ko) 2005-04-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1172209A (en) Paper towel dispenser with rack and gear drive
KR100646108B1 (ko) 호일 컷팅장치
KR101727706B1 (ko) 회전 절곡장치
CN110774794B (zh) 一种国际贸易实务用票据打孔装置
CN111702098B (zh) 一种不锈钢汤勺冲压机
KR20150080766A (ko) 꼬치 꽂이장치
KR200389927Y1 (ko) 호일 컷팅장치
US3276706A (en) Dispenser for roll materials
JP5841653B2 (ja) 上部駆動式搾汁機
KR20100011644U (ko) 주방기구의 승하강 장치
CN216230861U (zh) 一种金融统计用的练习钞压平装置
EP1249414A2 (en) Automated teller machine
CN212966229U (zh) 一种出卡机
CN215509532U (zh) 一种激光打孔装置
CN213474875U (zh) 一种无纺布生产用膜卷更换装置
CN211815112U (zh) 一种服装面料切割装置
EP2366316A1 (en) Paper roll with lateral control groove and dispenser suitable to use said roll
KR100395970B1 (ko) 두루마리 화장지 자동 판매기
CN209914995U (zh) 一种便于拆卸的清洗调味一体机
US2274155A (en) Towel cabinet
CN216609283U (zh) 一种导电的铝箔片材用切割装置
CN211909693U (zh) 一种防秸秆缠绕结构的收割机
CN215241326U (zh) 一种会计用财务票据打孔装置
KR200335094Y1 (ko) 알루미늄 호일용 엠보싱가공 및 자동 절단 공급장치
KR100499936B1 (ko) 알루미늄 호일용 엠보싱가공 및 자동 절단 공급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