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45501B1 - 시비(살포)를 겸용한 보행관리기 부착형 부분경운 시비작업기 - Google Patents

시비(살포)를 겸용한 보행관리기 부착형 부분경운 시비작업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45501B1
KR100645501B1 KR1020060017400A KR20060017400A KR100645501B1 KR 100645501 B1 KR100645501 B1 KR 100645501B1 KR 1020060017400 A KR1020060017400 A KR 1020060017400A KR 20060017400 A KR20060017400 A KR 20060017400A KR 100645501 B1 KR100645501 B1 KR 10064550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upled
fertilizer
tilling
tillage
ax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1740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찬수
문덕용
권병철
이춘우
Original Assignee
문덕용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문덕용 filed Critical 문덕용
Priority to KR102006001740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4550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4550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4550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CPLANTING; SOWING; FERTILISING
    • A01C15/00Fertiliser distributors
    • A01C15/18Fertiliser distributors with endless chains, i.e. side transporting elements, e.g. auger or screw conveyors, swash plate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BSOIL WORKING IN AGRICULTURE OR FORESTRY;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AGRICULTURAL MACHINES OR IMPLEMENTS, IN GENERAL
    • A01B49/00Combined machines
    • A01B49/04Combinations of soil-working tools with non-soil-working tools, e.g. planting tools
    • A01B49/06Combinations of soil-working tools with non-soil-working tools, e.g. planting tools for sowing or fertilising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CPLANTING; SOWING; FERTILISING
    • A01C15/00Fertiliser distributors
    • A01C15/16Fertiliser distributors with means for pushing out the fertiliser, e.g. by a roller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MCATCHING, TRAPPING OR SCARING OF ANIMALS; APPARATUS FOR THE DESTRUCTION OF NOXIOUS ANIMALS OR NOXIOUS PLANTS
    • A01M7/00Special adaptations or arrangements of liquid-spraying apparatus for purposes covered by this subclass
    • A01M7/0025Mechanical sprayer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60/00Technologies relating to agriculture, livestock or agroalimentary industries

Abstract

본 발명은 시비(살포)를 겸용한 보행관리기 부착형 부분경운 시비 작업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구동수단(보행관리기 기관)에서 출력된 회전 구동력에 의해 전달부의 구동스프로켓에 전달된 회전력이 경운부에 전달되어 이와 연결된 경운날 조합을 회전시켜 경운작업을 하도록 하는 경운장치와, 구동수단의 회전출력을 구동차축으로부터 구동바퀴로 전달받아 구동기어로 차축부와 체인결합된 살포롤러 구동축을 회전운동시켜 비료, 제초제 및 기타 입제형 약제를 살포하는 시비(살포)장치와, 상기 경운 장치와 시비(살포)장치를 지지하도록 하여 기체의 밸런스를 유지하도록 구성되는 프레임과, 상기 프레임 일단부에 작업시 주행안전성과 경운 깊이를 조절할 수 있는 미륜장치로 구성되어, 고랑 경운과 동시에 관련된 입제형 약제 혹은 비료를 시비(살포)하여 경운작업과 시비(살포)작업을 동시에 실시할 수 있는 시비(살포)를 겸용한 보행관리기 부착형 부분경운 시비 작업기에 관한 것이다.
로터리, 시비(살포)작업기, 보행관리기, 경운장치, 살포장치, 호퍼

Description

시비(살포)를 겸용한 보행관리기 부착형 부분경운 시비 작업기{Fertilizer - soil incorporation band tiller for walking cultivator}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시비(살포)를 겸용한 보행관리기 부착형 부분경운 시비 작업기의 경운장치를 나타낸 개략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시비(살포)를 겸용한 보행관리기 부착형 부분경운 시비 작업기의 살포장치를 나타낸 개략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시비(살포)를 겸용한 보행관리기 부착형 부분경운 시비 작업기를 본기인 보행관리기에의 부착상태를 나타낸 개략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시비(살포)를 겸용한 보행관리기 부착형 부분경운 시비 작업기의 미륜장치를 나타낸 개략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시비(살포)를 겸용한 보행관리기 부착형 부분경운 시비 작업기의 경운날 조합을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시비(살포)를 겸용한 보행관리기 부착형 부분경운 시비 작업기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경운장치 2: 동력취출장치
3: 전달부 구동스프로켓 4: 전달부 피동스프로켓
6: 전달부 7: 동력 전달축
8: 경운부 구동스프로켓 9: 경운부 피동스프로켓
11: 경운부 12: 경운축
13: 경운날 14: 경운날 조합
20: 살포장치 22: 구동차축
23: 차축부 구동스프로켓 24: 차축부 피동스프로켓
26: 차축부 27: 살포롤러 구동축
30: 살포롤러 32: 호퍼부
40: 미륜장치 41: 미륜조절 핸들조합
44: 미륜지지대 조합 50: 프레임
본 발명은 시비(살포)를 겸용한 보행관리기 부착형 부분경운 시비 작업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구동수단(보행관리기 기관)에서 출력된 회전 구동력에 의해 전달부의 구동스프로켓에 전달된 회전력이 경운부에 전달되어 이와 연결된 경운날 조합을 회전시켜 경운작업을 하도록 하는 경운장치와, 구동수단의 회전출력을 구동차축으로부터 구동바퀴로 전달받아 구동기어로 차축부와 체인결합된 살포롤러 구동축을 회전운동시켜 비료, 제초제 및 기타 입제형 약제를 살포하는 시비(살포)장치와, 상기 경운 장치와 시비(살포)장치를 지지하도록 하여 기체의 밸런스 를 유지하도록 구성되는 프레임과, 상기 프레임 일단부에 작업시 주행안전성과 경운 깊이를 조절할 수 있는 미륜장치로 구성되어, 고랑 경운과 동시에 관련된 입제형 약제 혹은 비료를 시비(살포)하여 경운작업과 시비(살포)작업을 동시에 실시할 수 있는 시비(살포)를 겸용한 보행관리기 부착형 부분경운 시비 작업기에 관한 것이다.
현재 보행 관리기에는 작물별, 기능별로 구분되어 개발 보급된 약 40여 종 이상의 작업기가 있지만, 부분경운 시비 작업기는 아직까지 개발사례가 보고되지 않은 것으로 확인되었다.
특히, 전작 작물인 엽연초(담배), 고추, 배추, 마늘 그리고 양파 등 다양한 재배방식을 가진 이들 작물의 고랑작업에 적용이 가능하며, 포장에 비닐멀칭의 여부에 관계없이, 두둑과 고랑이 형성되는 모든 작물재배에 적용할 수 있는 작업기는 개발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상기 엽연초의 재배공정 중 육모 후 묘를 본포에 이식할 때 비닐 멀칭을 한 후 두둑에 구멍을 뚫고 육묘한 묘를 이식하는 절충 멀칭재배에서 묘를 이식한 후 고랑에 잡초를 제거하고 복토를 하기 위하여 현재는 호미나 괭이를 이용하여 경운작업을 하고, 일부지방의 경우 인력으로 구멍에 비료를 주입하는데 이때 이식한 묘의 구멍부분을 복토용 삽이나 괭이 및 다른 도구를 이용하여 다시 고랑의 흙으로 채우는 복토작업을 실시하기에, 작업능률이 많이 떨어지며 인력부족이 나타나고 있는 농촌실정에 비추어 원활한 작업이 이루어지지 않아 많은 노동력을 필요로 하고 시간적 경제적 손실이 컸다.
따라서 작업 중 인력에 의존하는 고랑의 흙과 비료를 미리 섞어줌으로써, 이후 작업공정인 두둑의 복토작업을 효과적으로 실시할 수 있도록 하여 작업능률 향상에 기여할 수 있으며, 입제형 제초제 및 토양소독제 살포 등과 같은 작업에도 활용할 수 있는 작업기의 개발이 절실히 요청되고 있는 실정이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구동수단에서 출력된 회전 구동력에 의해 전달부의 구동기어에 전달된 회전력이 경운부에 전달되어 이와 연결된 경운축을 회전시켜 경운작업을 하도록 하는 경운장치와, 구동수단의 회전출력을 구동차축으로부터 구동바퀴로 전달받아 구동기어로 차축부와 체인결합된 살포롤러 구동축을 회전운동시킴으로써 비료, 제초제 및 기타 입제형 약제를 살포하는 시비(살포)장치와, 상기 경운장치와 시비(살포)장치를 지지하도록 하여 기체의 밸런스를 유지하도록 구성되는 프레임과, 상기 프레임 일단부에 주행안정성과 경운 깊이를 조절할 수 있는 미륜장치를 포함하여 구성되게 함으로써, 고랑 경운과 동시에 관련된 입제형 약제 혹은 비료를 시비(살포)하여 경운작업과 시비(살포)작업을 동시에 실시할 수 있는 시비(살포)를 겸용한 보행관리기 부착형 부분경운 시비 작업기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은 구동수단에서 출력된 회전 구동력에 의해 구동차축이 회전하고, 동력취출장치에 회전력이 전달되되, 상기 동력취출장치와 동력전달 가능하게 결합되어 회전력을 부여받는 전달부 구동스프로켓이 전달부 피동스프로켓과 전, 후부에 체인결합되며 구성되는 전달부와, 상기 전달부와 일정간격 이격되어 형성되되, 경운부 구동스프로켓과 경운부 피동스프로켓이 전, 후부에 체인결합되어 구성되는 경운부와, 상기 전달부의 전달부 피동스프로켓과 상기 경운부의 경운부 구동스프로켓이 양단부에 결합되는 동력 전달축과, 다수개의 경운날을 사방으로 형성하는 경운날 조합과, 상기 경운부의 경운부 피동스프로켓과 상기 경운날 조합이 양단부에 결합되는 경운축으로 구성되는 경운장치와; 상기 구동차축과 결합되어 회전력을 부여받는 차축부 구동스프로켓이 차축부 피동스프로켓과 전, 후부에 체인결합되며 구성되는 차축부와, 회전을 하며 비료 및 약제를 시비(살포)하는 원통형 살포롤러를 내부에 형성하고 이 비료 및 약제를 투입, 배출하는 호퍼부가 상기 차축부 피동스프로켓과 일측이 연결되는 살포롤러 구동축의 타단에 결합되어 구성되는 살포장치; 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시비(살포)를 겸용한 보행관리기 부착형 부분경운 시비 작업기는 전작작물인 엽연초(담배), 고추, 배추, 마늘, 그리고 양파 등이 재배방식이 다양하지만 이들 전작작물의 고랑작업에 적용이 가능하며 포장에 비닐 멀칭의 여부에 관계없이, 두둑과 고랑이 형성되는 모든 작물재배에 적용할 수 있다.
상기 전작작물 중 두둑에 작물을 이식 후 북주기 작업시 고랑을 경운하여 북주기용 흙을 준비하거나, 적용 작물에 따라 차이가 있지만 작물 생육 초기 및 중기까지 고랑의 잡초 제거용 중경작업과 동시 혹은 별도로 고랑에 입제형 비료의 시비, 입제형 제초제, 토양 소독제 등의 살포에도 적용할 수 있다.
이들 주요 밭작물의 우리나라에서의 재배면적은 표 1과 같다.
The planted area of the main dry-field crops (Unit: ha)
Crop Red Papper Cabbage Garlic Onion Tabbaco
Planted area 74,471 51,801 44,941 16,773 25,796
표 1의 대상작물 중 특수작물에 속하는 작물인 엽연초의 경우 약 26,000ha의 면적에서 약 55,000톤이 생산되고 있으며, 경북, 충북, 전북 등의 순서로 재배면적이 많이 분포되고 있다.
우리 나라의 지역별 재배현황은 표 2와 같다.
The planted area of tabaco by province (Unit: ha)
Year Kwang-ju Kyong-gi Kang-won Chung-nam Chung-buk
39.6 686.3 1461.0 6403.4 3309.8
Year Chong-nam Kyong-buk Dae-jeon Kyong-nam Total
3475.7 2052.7 11.7 985.0 25,796.2
이 엽연초의 재배공정 중 육묘 후 묘를 본 포에 이식할 때 비닐멀칭을 한 후 두둑에 구멍을 뚫고 육묘한 묘를 이식하는 절충멀칭 재배에서 묘를 이식한 후 고 나서 고랑에 잡초를 제거하고 복토를 하기 위하여 현재는 호미나 괭이를 이용하여 경운작업을 실시하고, 일부 지방의 경우 인력으로 구멍에 비료를 주입하거나 인력으로 제초제 및 토양소독제를 살포한다. 또한, 이때 이식한 묘의 구멍부분을 복토용 삽이나, 호미, 괭이를 이용하여 다시 고랑의 흙으로 채우는 북주기 작업을 실시한다, 이 작업 중 인력에 의존하는 경운작업과 비료주입작업을 할 때 본 발명에 따른 시비(살포)를 겸용한 보행관리기 부착형 시비 작업기를 사용하여 고랑의 흙과 비료를 미리 섞어줌으로써 이후 작업공정인 두둑의 복토작업을 효과적으로 실시할 수 있고, 입제형 제초제 및 토양소독제 혹은 단독 비료 시비(살포)작업 등과 같은 작업에 적용할 수 있다.
이와 같은 특징을 갖는 본 발명은 그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통해 보다 명확히 설명될 수 있을 것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시비(살포)를 겸용한 보행관리기 부착형 부분경운 시비 작업기의 경운장치를 나타낸 개략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시비(살포)를 겸용한 보행관리기 부착형 부분경운 시비 작업기의 살포장치를 나타낸 개략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시비(살포)를 겸용한 보행관리기 부착형 부분경운 시비 작업기를 본기인 보행관리기에 부착된 상태를 나타낸 개략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시비(살포)를 겸용한 보행관리기 부착형 부분경운 시비 작업기의 미륜장치를 나타낸 개략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시비(살포)를 겸용한 보행관리기 부착형 부분경운 시비 작업기의 로터리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시비(살포)를 겸용한 보행관리기 부착형 부분경운 시비 작업기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시비(살포)를 겸용한 보행관리기 부착형 부분경운 시비 작업기(100)는 구동수단(52)에서 출력된 회전 구동력에 의해 구동차축(22)이 회전하고, 동력취출장치(2)에 회전력이 전달되어, 고랑 경운과 동시에 관련된 입제형 약제 혹은 비료를 시비(살포)하며 경운작업과 시비(살포)작업을 동시에 실시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며, 경운장치(1), 살포장치(20), 프레임(50), 미륜장치(40)를 포함한다.
상기 경운장치(1)는 크게 동력을 전달받는 전달부(6)와, 경운작업을 하는 경운날 조합(14)과, 상기 전달부(6)로부터 경운날 조합(14)으로 회전동력을 전달시켜주는 경운부(11)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경운장치(1)는 동력취출장치(2)로부터 부여받은 회전력을 전달부 구동스프로켓(3)이 전달부 피동스프로켓(4)에 체인(5)결합으로 회전력을 전달해주며, 상기 전달부 피동스프로켓(4)과 전달부 구동스프로켓(3)이 전, 후부에 체인(5)결합되어 전달부(6)를 형성한다.
또한, 경운부 구동스프로켓(8)은 경운부 피동스프로켓(9)과 전, 후부에 체인(10)으로 결합되어 경운부(11)를 구성되되, 상기 경운부 구동스프로켓(8)은 전달부(6)의 전달부 피동스프로켓(4)과 동력 전달축(7)의 양단부에 결합이 이루어져 상기 동력취출장치(2)로부터 부여받아 전달부 구동스프로켓(3)으로 전해진 회전력을 전달받는다.
상기 경운부(11)의 경운부 피동스프로켓(9)는 경운축(12)의 일측에 결합이 되고, 경운축(12)의 타측은 원통형상의 경운날 조합(14)에 관통결합되어 상기 전달부 구동스프로켓(3)이 전달받은 동력취출장치(2)의 회전력을 상기 경운날 조합(14)에 부여하게 된다.
상기 경운날 조합(14)은 다수개의 경운날(13)을 사방으로 형성함으로 인해 상기 경운날 조합(14)에 결합된 경운날(13)이 회전력을 얻어 경운작업을 할 수 있게 된다. 이때 경운축(12) 및 경운날(13)은 보행관리기용 중경제 초기의 것을 사용하였지만, 본 발명에 따른 시비(살포)를 겸용한 보행관리기 부착형 부분경운 시비 작업기(100)가 고랑용으로 경폭 자체에 제약을 받으므로 경폭을 200mm 로 하여 경운부(11)를 기준으로 우측방향으로 부착하였고, 경운날(13)은 기존의 중경 제초기날의 회전반경을 180mm로 축소시켜 총 7개를 부착하였다.
또한, 상기 전달부와 경운부는 구동 및 피동 스프로켓과 체인이 외부로부터의 충격방지 및 미관을 위해 관형상의 케이스에 포함되어 형성된다.
상기 살포장치(20)는 크게 구동바퀴(21)와 연결된 구동차축(22)의 회전구동력을 전달하는 차축부(26)와, 상기 차축부(26)의 회전동력을 전달받는 호퍼부(32)로 구성되는데, 구동수단(52)에서 구동차축(22)으로 전달된 회전력을 차축부 구동스프로켓(23)이 전달받되, 상기 차축부 구동스프로켓(23)은 차축부 피동스프로켓(24)과 전, 후부에서 체인(25)결합으로 구성되어 차축부(26)를 구성하며 차축부 피동스프로켓(24)에 회전력을 전달해준다.
회전력을 전달받은 상기 차축부 피동스프로켓(24)은 살포롤러 구동축(27)의 일단부와 결합되어 살포롤러 구동축(27)을 회전시킨다.
또한, 비료, 제초제 및 기타 입제형 약제가 투입되는 다수개의 6ℓ 용량의 호퍼(28)와, 상기 호퍼(28) 하단에 결합되며 몸체부(29)에 원통의 형상을 갖는 홈 롤러식 살포롤러(30)를 구비함으로써 상기 호퍼(28)로부터 유입된 비표, 제초제 및 기타 입제형 약제의 투입량을 조절할 수 있게 되는데 즉, 상기 살포롤러(30)는 차축부(26)의 차축부 피동스프로켓(24)이 전달한 회전력을 갖는 살포롤러 구동축(27)의 타단부와 결합함으로 인해 살포롤러(30)가 회전하게 되어 투입량을 조절할 수 있다. 살포량은 대상식물, 적용 약제 혹은 비료별, 작업별로 상이한 살포량에 대하여 살포롤러(30) 홈 수를 조절하여 호퍼(28)에서의 배출량을 조절할 수 있는 구조이며, 또한 속도 비례형으로 작업속도별 일정량의 살포가 가능하여 용도별로 적절하게 살포량을 조절할 수 있도록 관리기 구동바퀴(21)와 살포롤러(30)의 살포롤러 구동축(27)을 축간거리 660mm의 체인(25)으로 연결하여 구동바퀴(21)의 회전수에 비례하여 호퍼(28)의 살포롤러(30)가 회전하게 하였다.
또한, 상기 차축부는 구동 및 피동 스프로켓과 체인이 외부로부터의 충격방지 및 미관을 위해 관형상의 케이스에 포함되어 형성된다.
상기에 따른 살포량 시험은 두 개의 호퍼(28) 조합을 기준으로 본기인 보행관리기의 속도를 주변 속 1단, 2단 각각에서의 기관회전속도 3단계인 조속레버 위치 저, 중, 고에서 살포롤러(30)의 가로 홈 4개 열림과 8개 열림 기준 중에서 4개 열림을 기준으로 하였다. 살포롤러(30)의 조절 다이얼 회전수별 가로 홈의 열림량 크기 및 체적을 표 3에 나타내었다.
모든 시험에서 사용한 본기인 보행관리기는 공랭식 4 사이클 가솔린 엔진을 장착한, 엔진출력 4.13kw / 1,800rpm의 국내 업체에서 제작 공급한 것을 사용하였다.
표 4는 시험에 사용한 본기인 보행관리기의 주요 제원을 나타낸 것이다.
The opening quantity(mm) of cross groove of discharging roller by the revolution of adjustable dial
Revolutions of adju. dial 0.0 0.5 1.0 1.5 2.0 2.5 3.0 3.5 4.0 4.5
Opening quantity(mm) 1 2 3 4 5 6 7 8 9 10
Opening volume () 5.08 10.16 15.24 20.32 25.44 30.52 35.60 40.68 45.80 50.88
Specification of Walking cultivator
Item Unit Specification
Size(L×W×H) mm 1,530×1,110×735
Weight kg 110
Engine Rated power kw/rpm 4.125/1800
Max power kw/rpm 5.25/2000
Transmission speed ­ F: 6, R: 2
본기인 보행관리기의 작동조건에 따라 측정, 분석한 본 발명에 따른 시비(살포)를 겸용한 보행관리기 부착형 부분경운 시비 작업기(100)의 주요구성부인 동력취출장치(PTO)(2), 경운축(12), 구동바퀴(21), 살포롤러(30)의 구동수단 회전수별 회전수는 표 5와 같이 나타났다.
Revolution of the each rotative parts
Speed change stage Throttle Lever position PTO speed (rpm) Tillage shaft speed(rpm) Driving shaft speed(rpm) Roller speed (rpm)
F. 1 Low 570 228 11 13
Middle 700 285 14 17
High 830 335 16 20
F. 2 Low 570 228 20 23
Middle 700 285 24 29
High 830 335 28 34
더불어 상기 호퍼 몸체부(29) 하단에는 살포롤러(30)로 유입된 비료, 제초제 및 기타 입제형 약제를 지면에 배출할 수 있는 배출호스(31)가 결합되어 시비(살포)작업을 실시할 수 있게 되는데, 최종적으로 살포되는 약제나 비료의 낙하위치와 시비 및 경운작업에 유연하게 대처할 수 있도록 배출호스(31)는 투명 주름호스를 각 호퍼(28)당 1개씩 부착하여 작업수순에 따라 약제나 비료가 경운 직전에 줄뿌림과 같이 고랑에 낙하 살포되면, 바로 뒤에서 작동하는 경운날 조합(14)의 회전에 의해 이들이 흙과 함께 섞이도록 했으며, 배출호스(31)를 경운날 조합(14)의 앞쪽과 뒤쪽에 위치시킬 수 있는 구조로 하여 경운작업과 시비(살포)작업의 순서를 유연하게 변경할 수 있도록 하였다.
상기 프레임(50)은 관 형의 형상을 가지며, 상기 경운장치(1)와 살포장치(20)를 지지하는 것으로서, 일측이 상기 본기부(51)에 결합되되, 일측면은 상기 전달부(6)와 결합되고 길이방향 중단엔 상기 경운부(11)가 관통결합되며, 중단 상부면에 상기 호퍼부(32)가 결합되어 상기 경운장치(1)와 살포장치(20)를 지지하며 기체의 밸런스를 유지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미륜장치(40)는 프레임(50)의 일측에 결합하며 길이방향으로 원형형상을 갖는 미륜고정대(42)와, 상기 미륜고정대(42) 일측에 회전을 할 수 있는 미륜조절 핸들조합(41)과, 상기 미륜고정대(42) 일측에 상기 미륜조절 핸들조합(41)의 회전에 의해 길이방향으로 유동가능하며 상기 미륜고정대(42)에 일부가 입설된 미륜지지대 조합(44)이 형성되며, 상기 미륜지지대 조합(44) 일측에는 원형의 미륜(45)가 구성되어 이루어지며, 상기 미륜고정대(42) 중상단에 고정레버(43)를 형성하여 상기 미륜조절 핸들조합(41)으로 경심의 깊이를 조절한 위치를 고정할 수 있게 한 것으로, 미륜장치(40)의 미륜(45)를 고무바퀴형으로 사용하여 작업시 조향성과 기동성의 향상을 기하였다.
또한, 포장시험은 포장의 직선 10m 구간을 설정하여 본기인 보행관리기의 주 변속 레버 전진 1, 2단의 상태에서 조속레버의 위치를 저, 중, 고의 3단계로 조절하여 작업 주행시험을 각각 수회 실시하였다. 또한, 각 단계별 회행시간을 상기와 같은 방법으로 별도로 실시하여 전체적인 작업소요시간을 측정하였다.
표 6은 포장시험 결과를 나타낸 것이다.
Results of filed performance test
Speed change stage Throttle Lever position Engine speed(rpm) Turning time (sec/time) Working speed (m/s)
F. 1 Low 1320 12 0.18
Middle 1620 11 0.25
High 1920 9 0.28
F. 2 Low 1320 9 0.30
Middle 1620 7 0.43
High 1920 7 0.48
포장시험에서 실시한 작업 주행시험에서 본기인 보행관리기의 기관회전속도 1320, 1620, 1920rpm인 조속레버 저, 중, 고의 위치에서 나타난 작업속도 0.20 ∼ 0.40 ㎧에서 원활한 작업성능을 보였다. 또한, 전체적인 작업소요시간을 측정하기 위하여 각 고랑의 시작과 끝부분에서 실시한 회행소요 시간은 7∼12초/회로 측정되어 최대 5초의 차이를 보였는데 이는 포장조건, 작업속도의 차이에 기인한 것이었다.
표 7은 본 발명에 따른 시비(살포)를 겸용한 보행관리기 부착형 부분경운 시비 작업기(100)의 제원을 나타낸 것이다.
The specification of final prototype
Item Unit Specification
Size(L×W×H) mm 1300×410×865
Weight kg 55
Tilling device Tilling width mm 200
Tilling depth(max) mm 100
No. of Tillage blade EA 7
Power trasmitting method - Chaincase
Driving Method ­ Side driving
Application device No.of hopper EA 2
Capacity of hopper 6
Applicable shape ­ Granule type
Application rate g/min 84.1∼557.2
Working speed m/s 0.20∼0.40
Tire size ­ 3.00-8, 2PR
Working capacity hr/10a 0.93~0.48
이하에서는 상기와 같은 구성 및 구조를 갖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작용 및 원리를 설명하도록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시비(살포)를 겸용한 보행관리기 부착형 부분경운 시비 작업기(100)는 상기 구동수단(52)에서 야기된 회전력이 동력취출장치(2)와 구동차축(22)을 포함하는 구동바퀴(21)로 전달이 되면, 상기 동력취출장치(2)로 전달된 회전력이 전달부(6)의 전달부 구동스프로켓(3)에 전달이 되고, 이 회전력이 체인(5)을 통해 전달부 피동스프로켓(4)으로 이동하게 된다. 상기 전달부(6)의 전달부 피동스프로켓(4)으로 이동된 회전력은 동력 전달축(7)을 통해 경운부(11)의 경운부 구동스프로켓(8)으로 전달되며, 다시 경운부 구동스프로켓(8)은 체인(10)으로 경운부 피동스프로켓(9)에 회전력을 이동시키게 된다. 결국, 상기 경운부(11)의 경운부 피동스프로켓(9)으로 전달받은 회전력은 경운날(13)을 다수구비한 경운날 조합(14)을 경운축(12)을 통해 전달함으로써 상기 경운날 조합(14)의 회전에 의해 경운작업을 할 수 있게 된다.
또한, 구동차축(22)으로 분리된 회전력은 상기 차축부(26)의 차축부 구동스프로켓(23)에 전달이 되어, 상기 차축부 피동스프로켓(24)에까지 체인(25)으로 이동되며, 이동된 회전력은 상기 호퍼부(32)에 형성된 원통형의 살포롤러(30)에 상기 살포롤러 구동축(27)으로 결합이 된다. 상기 살포롤러(30)는 상단에 형성된 호퍼(28)에 투입된 약제 및 비료를 받아 살포롤러 구동축(27)으로 인해 회전하면서 배출량을 조절하여 상기 살포롤러(30)의 하단에 연결된 배출호스(31)로 배출하게 되어 살포작업을 할 수 있게 된다.
더불어, 상기 본기부(51)에 일측을 결합되되, 일측면은 상기 전달부(6)와 결합되고, 길이방향 중단엔 상기 경운부(11)가 관통결합되며, 중단 상부면에 상기 호퍼부(32)가 결합되어 상기 경운장치(1)와 살포장치(20)를 지지하며 기체의 밸런스를 유지하도록 프레임(50)이 구성되어 있으며, 경심의 깊이 조절을 위한 미륜장치(40)를 구비하여 원하는 깊이의 경운작업과 시비(살포)작업을 할 수 있게 된다.
즉, 상기 구동수단(52)에서 출력된 회전구동력이 구동차축(22)과 동력취출장치(2)로 분리되면서 동력취출장치(2)와 연결된 전달부(6), 경운부(11), 경운날 조합(14)과, 구동차축(22)과 연결된 차축부(26), 호퍼부(32)에 의해, 고랑 경운과 동시에 관련된 입제형 약제 혹은 비료를 살포하여 살포작업과 경운작업을 동시에 실시할 수 있는 것이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은 구동수단에서 출력된 회전 구동력에 의해 전달부의 전달부 구동스프로켓과 전달부 피동스프로켓에 전달된 회전력이 경운부의 경운부 구동스프로켓과 경운부 피동스프로켓에 전달되어 이와 연결된 경운축을 회전시켜 경운날 조합에 의한 경운작업을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구동수단의 회전출력을 구동차축으로 전달받아 구동차축과 체인결합된 차축부 구동스프로켓과 차축부 피동스프로켓에 의해 살포롤러 구동축을 회전운동시킴으로써 상기 살포롤러 구동축과 동시에 회전하는 살포롤러로 비료, 제초제 및 기타 입제형 약제의 양을 조절하며 배출하는 살포작업을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더불어 상기 경운장치와 살포장치를 지지하도록 하여 기체의 밸런스를 유지하도록 구성되는 프레임과, 상기 프레임 일단부에 작업시 안정성과 경운 깊이를 조절할 수 있는 미륜장치를 포함하여 구성되게 함으로써, 고랑 경운과 동시에 관련된 입제형 약제 혹은 비료를 살포하여 경운작업과 시비(살포)작업을 동시에 실시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3)

  1. 구동수단(52)에서 출력된 회전 구동력에 의해 구동차축(22)이 회전하고, 동력취출장치(2)에 회전력이 전달되되, 상기 동력취출장치(2)와 동력전달 가능하게 결합되어 회전력을 부여받는 전달부 구동스프로켓(3)이 전달부 피동스프로켓(4)과 전, 후부에 체인(5)결합되며 구성되는 전달부(6)와, 상기 전달부(6)와 일정간격 이격되어 형성되되, 경운부 구동스프로켓과 경운부 피동스프로켓(8, 9)이 전, 후부에 체인(10)결합되어 구성되는 경운부(11)와, 상기 전달부(6)의 전달부 피동스프로켓(4)과 상기 경운부(11)의 경운부 구동스프로켓(8)이 양단부에 결합되는 동력 전달축(7)과, 다수개의 경운날(13)을 사방으로 형성하는 경운날 조합(14)과, 상기 경운부(11)의 경운부 피동스프로켓(9)과 상기 경운날 조합(14)이 양단부에 결합되는 경운축(12)으로 구성되는 경운장치(1)와;
    상기 구동차축(22)과 결합되어 회전력을 부여받는 차축부 구동스프로켓(23)이 차축부 피동스프로켓(24)과 전, 후부에 체인(25)결합되며 구성되는 차축부(26)와, 회전을 하며 비료 및 약제를 살포하는 원통형 살포롤러(30)를 내부에 형성하고 이 비료 및 약제를 투입, 배출하는 호퍼부(32)가 상기 차축부 피동스프로켓(24)과 일측이 연결되는 살포롤러 구동축(27)의 타단에 결합되어 구성되는 살포장치(20);
    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비(살포)를 겸용한 보행관리기 부착형 부분경운 시비 작업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경운장치(1)와 살포장치(20)는,
    상기 구동수단(52)을 지지하는 본기부(51)에 일측이 결합되되, 일측면은 상기 전달부(6)와 결합되고, 길이방향 중단엔 상기 경운부(11)가 관통결합되며, 중단 상부면에 상기 호퍼부(32)가 결합되어 기체의 밸런스를 유지하는 프레임(50)으로 지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비(살포)를 겸용한 보행관리기 부착형 부분경운 시비 작업기.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50)의 일측에는 경심의 깊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길이방향으로 형성되는 미륜고정대(42)와, 상기 미륜고정대(42) 일단에 형성된 미륜조절 핸들조합(41)과, 상기 미륜고정대(42)에 일부가 입설되며 상기 미륜조절 핸들조합(41)의 회전에 의해 길이방향으로 유동가능한 미륜지지대 조합(44)과, 상기 미륜지지대 조합(44) 일단에 결합하는 미륜(45)로 구성되는 미륜장치(40)가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비(살포)를 겸용한 보행관리기 부착형 부분경운 시비 작업기.
KR1020060017400A 2006-02-22 2006-02-22 시비(살포)를 겸용한 보행관리기 부착형 부분경운 시비작업기 KR10064550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17400A KR100645501B1 (ko) 2006-02-22 2006-02-22 시비(살포)를 겸용한 보행관리기 부착형 부분경운 시비작업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17400A KR100645501B1 (ko) 2006-02-22 2006-02-22 시비(살포)를 겸용한 보행관리기 부착형 부분경운 시비작업기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60004922U Division KR200416303Y1 (ko) 2006-02-22 2006-02-22 시비(살포)를 겸용한 보행관리기 부착형 부분경운 시비작업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645501B1 true KR100645501B1 (ko) 2006-11-15

Family

ID=3765448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17400A KR100645501B1 (ko) 2006-02-22 2006-02-22 시비(살포)를 겸용한 보행관리기 부착형 부분경운 시비작업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45501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067749A (zh) * 2014-06-30 2014-10-01 泰州樱田农机制造有限公司 摆动式撒肥机
CN105766178A (zh) * 2014-12-24 2016-07-20 常有利 一种往复式精量撒肥装置
CN111448863A (zh) * 2020-04-08 2020-07-28 朱鹏 节约环保的智能农业系统及方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693121U (ko) 1979-12-20 1981-07-24
KR960015973U (ko) * 1994-11-09 1996-06-17 관리기용 로타리 파종기
KR970026492U (ko) * 1995-12-27 1997-07-24 아세아종합기계주식회사 승용관리기용 제초장치
JP2002272208A (ja) 2001-03-21 2002-09-24 Matsumoto:Kk 播種機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693121U (ko) 1979-12-20 1981-07-24
KR960015973U (ko) * 1994-11-09 1996-06-17 관리기용 로타리 파종기
KR970026492U (ko) * 1995-12-27 1997-07-24 아세아종합기계주식회사 승용관리기용 제초장치
JP2002272208A (ja) 2001-03-21 2002-09-24 Matsumoto:Kk 播種機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067749A (zh) * 2014-06-30 2014-10-01 泰州樱田农机制造有限公司 摆动式撒肥机
CN105766178A (zh) * 2014-12-24 2016-07-20 常有利 一种往复式精量撒肥装置
CN111448863A (zh) * 2020-04-08 2020-07-28 朱鹏 节约环保的智能农业系统及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240032448A1 (en) Tilling apparatus
US10687452B2 (en) Multifunctional implement for farming and gardening
CN107079638B (zh) 一种手推式自动间隔混合播种装置及其使用方法
CN103444317A (zh) 一种用于免耕播种的杂粮播种机
KR101347346B1 (ko) 파종 장치
ES2383446T3 (es) Un aparato y un método de cultivo utilizando caballones
KR100645501B1 (ko) 시비(살포)를 겸용한 보행관리기 부착형 부분경운 시비작업기
WO2013183988A2 (en) Dosing device
KR100740046B1 (ko) 유기질·부산물 퇴비의 두둑 줄 뿌림 장치
KR200416303Y1 (ko) 시비(살포)를 겸용한 보행관리기 부착형 부분경운 시비작업기
CN106385819B (zh) 玉米播种机
CN111758513B (zh) 一种玉米种植方法
Sitorus et al. Analysis of design combine transplanter power by hand tractor: Transmission system and furrow opener
Cooke et al. Placement of fertilizers for potatoes planted by machines
Ashoka et al. Performance evaluation of power drawn six row groundnut planter.
CN200973241Y (zh) 免耕半精量点播施肥机
RU2099915C1 (ru) Комбинированный агрегат
JPH02222605A (ja) 穴播き式施肥播種機
CN202145729U (zh) 一种具有粉碎土壤的水、旱两用整地播种机
JP7440843B2 (ja) 芝生メンテナンス機
KR20230121498A (ko) 송풍식 비료살포기가 장착된 다목적 농작업기
Monarca et al. The mechanized management of orchards in Central Italy
Revenko et al. Development of technological and technical requirements for two-pass technology of cultivation of grain crops
Singh et al. Manual on conservation agriculture and scale appropriate agricultural mechanization in smallholder systems conservation agriculture and scale appropriate agricultural mechanization in smallholder systems
JP2001069813A (ja) 播種用トラクタ及びこれに使用する播種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