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43189B1 - 휴대용 단말기의 한글 입력 자판 - Google Patents

휴대용 단말기의 한글 입력 자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43189B1
KR100643189B1 KR1020050029673A KR20050029673A KR100643189B1 KR 100643189 B1 KR100643189 B1 KR 100643189B1 KR 1020050029673 A KR1020050029673 A KR 1020050029673A KR 20050029673 A KR20050029673 A KR 20050029673A KR 100643189 B1 KR100643189 B1 KR 10064318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angul
input
double
consonants
vowel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2967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60106491A (ko
Inventor
김명호
Original Assignee
김명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명호 filed Critical 김명호
Priority to KR102005002967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43189B1/ko
Publication of KR2006010649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10649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4318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4318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23Construction or mounting of dials or of equivalent devices; Means for facilitating the use thereof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2Input arrangements using manually operated switches, e.g. using keyboards or dials
    • G06F3/023Arrangements for converting discrete items of information into a coded form, e.g. arrangements for interpreting keyboard generated codes as alphanumeric codes, operand codes or instruction codes
    • G06F3/0233Character input method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Input From Keyboards Or The Like (AREA)
  • Document Processing Apparatu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휴대용 단말기의 한글 입력 자판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한글의 자음 및 모음에 관한 세종대왕의 한글 창제 원리에 입각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한 휴대용 단말기의 한글 입력 자판은, 한글 자음의 기본 기호로서 'ㄱ','ㄴ', 'ㅁ', 'ㅅ', 'ㅇ'이 각각 배치되고, 한글 모음의 기본 기호로서 'ㅗ,ㅜ', 'ㅡ', 'ㅏ,ㅓ', 'ㅣ'가 각각 배치되고, 이중 자음과 이중 모음을 입력하기 위한 '이중 키'를 구비한다.

Description

휴대용 단말기의 한글 입력 자판{Korean alphabet input board for Mobile terminal}
도 1a 내지 도 1d는 종래 기술에 의한 휴대용 단말기의 한글 입력 자판의 도면들이다.
도 2a 및 도2b는 본 발명의 전제가 되는 한글 창제 원리에 입각한 손가락 한글 배우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휴대용 단말기의 한글 입력 자판의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의한 휴대용 단말기의 한글 입력 자판의 도면이다.
본 발명은 휴대용 단말기의 한글 입력 자판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한글의 자음 및 모음에 관한 세종대왕의 한글 창제 원리에 입각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1a 내지 도 1d는 종래 기술에 의한 휴대용 단말기의 한글 입력 자판의 도 면들이다. 도 1a 내지 도 1d에서 보이는 바와 같이 종래 기술에 의한 휴대용 단말기의 한글 입력 자판들은 한글의 자음 및 모음을 기재할 때에 모양이 유사한 정도 또는 획을 추가하여 구성될 수 있는가의 여부에 따라서 배치한 것이다.
공통적으로 몇 개의 대표적인 자음과 모음을 배열하고, 배열된 자음과 모음에 획을 추가하는 등의 기능으로 원하는 자음 또는 모음을 입력하거나, 하나의 키에 복수개의 자음 또는 모음을 배열하여 해당 키를 한 번 누르면 첫 번째로 기재된 자음 또는 모음이 입력되고, 해당 키를 다시 한 번 누르면 두 번째로 기재된 자음 또는 모음이 입력되는 방식으로 구현되기도 한다.
그러나, 위와 같은 종래의 한글 입력 자판들은 모두 한글의 창제 원리를 정확히 반영하지 못하는 것으로서 단순히 사용자가 입력할 때의 편리함을 추구하여 구성된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종래의 한글 입력 자판이 한글의 창제 원리를 반영하지 못하는 점을 개선하여, 세종대왕의 한글 창제 원리가 반영된 한글 입력 자판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구성을 설명하기에 앞서, 먼저 세종대왕의 한글 창제 원리를 설명한다. 본 발명은 한글 창제 원리를 반영한 한글 입력 자판이므로, 한글 창제 원리는 본 발명의 전제가 되는 것이다.
따라서, 이하에서는 한글 창제 원리에 대하여 먼저 설명하기로 한다.
한글은 지구상에 유일하게 "말소리에 들어있는 자연의 이치"에 뿌리를 둔 소리 문자로, 1443년에 세종대왕이 창제하셨다. 이하에서 항목을 나누어서 한글의 창제 원리에 대하여 살펴보겠다.
1. 자음과 모음의 구별
한글에서는 24개의 기호의 모양이 자음 기호(즉, ㄱ, ㅋ, ㄴ, ㄷ, ㅌ, ㅁ, ㅂ, ㅍ, ㅅ, ㅈ, ㅊ, ㅇ, ㅎ, ㄹ)와 모음 기호(즉, ㅡ, ㅣ, ㅗ, ㅜ, ㅏ, ㅓ, ㅛ, ㅠ, ㅑ, ㅕ)로 구분되어 있다. 참고로, 영어의 알파벳에서는 26개의 기호의 모양으로 구성되는데, 이들은 자음 기호와 모음 기호가 모양으로 구분되지 않고 순서 역시 자음 기호와 모음 기호가 섞여 있다. 한글을 배우는 사람은 'ㄱ'이라는 기호를 자음 기호(즉, ㄱ, ㅋ, ㄴ, ㄷ, ㅌ, ㅁ, ㅂ, ㅍ, ㅅ, ㅈ, ㅊ, ㅇ, ㅎ, ㄹ)중의 하나로 인식하고, 'ㅡ'라는 기호는 모음 기호(즉, ㅡ, ㅣ, ㅗ, ㅜ, ㅏ, ㅓ, ㅛ, ㅠ, ㅑ, ㅕ)중의 하나로 인식하게 된다. 이와 같이 한글에서 기호의 집단을 두 가지로 나누어서 인식하는 것은 문자를 식별하는 기능에서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하는 것이다. 이러한 기능은 문자를 배우는 초기 단계에서 기호 식별 효율을 증대시키는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한다.
2. 모음
영국의 음성학자 다니엘 존스에 따르면 사람의 말소리에는 1차적으로 8개의 기본 모음이 있다고 한다. 이 중에서 비슷한 소리를 제외하면 8개 중에서 기본 모음은, 'i', 'a', 'o', 'u' 으로 4개가 된다. 알파벳의 모음 기호로는, 'a', 'e', 'i', 'o', 'u'의 5개가 있다. 이 중에서 기본 모음이 아닌 'e'를 제외하면 'a', 'i', 'o', 'u'의 4개가 된다.
한글의 경우 기본 모음은 1443년 한글 창제 당시에는 '·', 'ㅡ', 'ㅣ', 'ㅗ', 'ㅜ', 'ㅏ','ㅓ' 로 7개였다. 이 중에서 '·' 소리는 'ㅏ' 소리와 합쳐져서 지금은 '·' 기호는 사용되지 않는다. 한편 한글의 'ㅡ'에 대응하는 기호는 영어 알파벳에도 없고 발음기호에도 존재하지 않는다. 'ㅡ'소리는 혀가 중간에 있는 중설 중모음으로서 세종대왕은 모음이 중요하다고 강조하였고, 모음 중에서 가장 기본이 되는 소리를 'ㅡ'라고 정하였다. 이와 같이 말소리 중에서 기본이 되는 모음들, 또 그 모음들 중에서 가장 기본인 모음이 바로 'ㅡ'인 것이다.
말소리 중에서 가장 기본이 된다는 것은 모든 말소리 중에서 어느 한쪽으로 치우치지 않는 가운데 소리이며 그 소리를 발음하기가 가장 쉽고 가장 힘이 덜 들고 또 자주 내는 소리라는 것이다.
알파벳의 모음 기호 a, e, i, o, u 는 이들 기호들을 구별해서 인식할 수 있는 모양의 체계가 없다, 그러나 한글의 모음 기호를 보면, 가장 기본인 소리 'ㅡ'는 가로줄이다. 이 가로줄은 평면을 상하로 나누는 기호이다. 다음으로 'ㅣ'는 세로줄이다. 세로줄은 평면을 좌우로 나누는 기호이다.
이 두 기호는 평면에 나타낼 수 있는 모든 기호들 중에 가장 단순하고 가장 기본적인 기호이다. 이 기호가 주는 식별 기능은 하나의 평면을 둘로 나누는 것이다. 이러한 인식은 사람이 자연 현상을 인식하는 데서 비롯한다고 하겠다, 자연에서 우리는 하루를 낮과 밤의 둘로 나누어 인식한다. 이를 개념으로 만들어 표현하면 하나인 태극이 둘인 양과 음이 된다는 것이다. 하나의 평면을 상하로 나누는 가 로줄 'ㅡ'와 좌우로 나누는 세로줄 'ㅣ'는 하나를 둘로 나눈다는 공통점으로 가로와 세로의 짝을 이룬다.
다음으로 'ㅗ'와 'ㅜ'는 상하로 대칭을 이루는 모양이며, 입술을 오무려 소리를 내는 것으로 짝을 이룬다. 'ㅏ'와 'ㅓ'는 좌우로 대칭을 이루는 모양이며 입술을 벌려 소리를 내는 것으로 짝을 이룬다.
일반적으로 기호가 간결할수록 기호들 간의 식별 기능이 낮다고 말한다. 그것은 기호 모양들 간에 아무런 관계가 없는 경우 그렇다고 할 수 있다. 그러나, 한글의 기본 모음인 위 6개의 기호 모양들은 위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그 관계가 눈으로 명확하게 인식될 수 있으므로 식별 기능이 높다. 이와 같이 한글의 모음 기호는 모양으로 체계를 이루고 있을 뿐만 아니라 그 모양이 또한 소리의 체계를 나타내고 있는 것이다.
3. 자음
알파벳의 자음 기호는 21개이다. 이들 사이에 체계를 찾아보면, b와 d가 대칭을 이루지만, 이들의 대문자인 B와 D는 대칭이 아니다. p와 q가 대칭을 이루지만 이들의 대문자인 P와 Q는 대칭이 아니다. 이들 모양들 사이에 어떠한 체계를 찾기 어렵다. 이들은 단지 각기 모양이 다른 21개의 기호들일 뿐이다.
한글에서 사용되는 자음 기호는 모두 19개이다. 이들은 모양에 의한 체계를 이루고 있어서 6가지로 나누어진다. ㄱ, ㅋ, ㄲ은 ㄱ계열, ㄴ, ㄷ, ㅌ, ㄸ은 ㄴ계열, ㅁ,ㅂ,ㅍ,ㅃ은 ㅁ계열, ㅅ,ㅈ,ㅊ,ㅆ,ㅉ은 ㅅ계열, ㅇ,ㅎ은 ㅇ계열, ㄹ은 혼자이다. 혼자인 ㄹ을 제외하면 공유하는 모양은 ㄱ,ㄴ,ㅁ,ㅅ,ㅇ 5가지이고, 이 기본 기호들 중에 두개씩 나란히 쓴 것이 ㄲ,ㄸ,ㅃ,ㅆ,ㅉ이며 나머지는 이 기본 기호에 가로줄을 하나 또는 두개 더한 것들이다. 이것이 바로 한글 자음 기호의 모양 체계이다.
이제 ㄲ,ㄸ,ㅃ,ㅆ,ㅉ을 제외하면 한글의 자음은 14개가 되는데, 이들 기호에 모음 'ㅏ'를 붙여서 발음을 하여 보면, 가카/나다타/마바파/사자차/아하/라로 각 계열별로 조음 기관에서의 조음 위치가 같음을 알 수 있다.
예를 들어서, '나다타'를 계속 발음하면서 스스로 살펴보면 혀끝이 위 잇몸에 닿았다가 떨어지기를 반복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또한 '마바파'는 입술이 합했다가 열리는 것을 알 수 있다. 더 상세하게 살펴보면, '나다타'의 소리의 세기가 다른 것을 알 수 있고, 이 세가지 자음 소리 중에서'나'가 가장 부드럽게 소리나고 '나'보다 조금 더 센 소리가 '다' 그 다음에 '다'보다 더 세게 나는 소리가 '타'임을 알 수 있다. 이렇게 가장 부드러운 소리의 기호가 기본 기호이고 소리가 세질수록 획을 하나씩 더한 것이다.
말 소리의 중심인 모음이 가장 중요한 자연 현상인 하루가 둘로 나누어져 낮과 밤이 되는 이치를 따르는 것이라면 자음은 두번째로 중요한 자연의 현상인 한 해가 계절로 나누어지는 이치를 따른 것이다. 한해의 시작이 봄이듯이 봄인 '가'소리는 어금니가 있는 입 안쪽에서 혀가 목구멍을 막는 소리이고, 여름인 '나'소리는 혀가 위 잇몸에 닿는 소리이고, 여름이 끝날 무렵인 '마' 소리는 입술이 합쳐진 소리이고, 가을인 '사'소리는 혀가 단단한 이에 닿는 소리이고, 겨울인 '아'소리는 입의 가장 안쪽인 목구멍에서 나는 소리이다. 이렇게 자음을 만드는 위치가 입 안 쪽 -> 밖으로 위 잇몸 -> 가장 바깥쪽인 입술 -> 다시 안쪽으로 들어와서 이-> 가장 안쪽인 목구멍의 순서로 원을 그리며 순환하는 것은 계절이 원을 그리며 순환하는 것과 같은 이치이다.
알파벳의 자음 기호는 각기 다른 음소들인 것에서 그친다. 한글의 자음 기호들은 음소에서 더 나아가서 체계를 이룬다. 기호의 모양에 의해 이루어진 체계는 동시에 소리를 나타내는 체계이다.
정리하면, 한글은 낮과 밤의 체계 음소인 모음 기호와 함께 자음 기호도 계절의 체계 음소를 이루고 있기 때문에 이 두 개의 체계가 어울러져 있는 한글은 "체계 음소 문자"인 것이다.
본 발명은 위와 같은 한글 창제 원리를 반영한 휴대용 단말기의 한글 입력 자판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한글 창제 원리를 반영한 휴대용 단말기의 한글 입력 자판을 설명하기에 앞서, 본 발명의 전제가 되는 한글 창제 원리에 입각한 손가락 한글 배우기를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전제가 되는 한글 창제 원리에 입각한 손가락 한글 배우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손가락 한글 배우기는 위에서 설명한 한글 창제 원리를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하여 종국에 한글 창제 원리가 반영된 휴대용 단말기 입력 자판을 사용할 수 있도록 한다. 도 2를 보면, 오른손 마디에 기본 모음 기호 6개를 배치하고, 왼손 마디에 자음 기호 14개를 배치한다.
위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ㅡ'는 모음의 기본이다. 따라서, 오른손 마디의 가운데 손가락의 가운데 마디에 배치한다. 'ㅣ'는 엄지에 배치한다. 'ㅣ' 소리가 날 때가 혀가 펴지고 소리가 알아서 입을 열기가 편하다. 그렇기 때문에 대부분의 복모음과 이중 모음들은 'ㅣ'를 더해서 만든다. 'ㅣ'가 놓인 엄지의 끝마디는 'ㅣ'소리의 역할이 그러한 것과 같이 다른 모든 손가락의 마디와 맞출 수 있다. 다음에 'ㅗ'와 'ㅜ'가 짝을 이루고, 'ㅏ'와 'ㅓ'가 짝을 이룬다. 이렇게 해서 기본 모음으로부터 더 많은 모음 기호들을 만드는 과정을 엄지 끝마디로 다른 손가락 마디를 짚어가면서 확인할 수 있다.
다음에 왼손 아래 다섯 마디에 기본 자음 기호 5개를 배치한다. 그리고 위 마디로 올라가면서 획을 더한 것이다. 한편, 'ㄹ'은 두 소리로 쓰인다. 영어의 'l' 소리일 경우에는 헛소리 'ㄴ'과 가깝고 'r'소리인 경우에는 목구멍 소리인 'ㅎ'와 가깝다. 'ㄹ'를 제외하고 보면 자음은 손가락 수와 같이 5종류이고, 하나의 손가락에 있는 자음의 소리는 같은 계열이다. 아래 마디에서 위로 올라갈수록 획이 더해지고 동시에 소리가 거세진다.
이제 자음 기호와 모음 기호를 합쳐서 음절을 만든다. 왼손 바닥을 펴놓고 오른손 마디를 왼손 마디에 가져다댄다. 왼손 'ㄴ'마디에 오른손 'ㅏ'마디를 가져다 대면 '나'라는 음절이 된다. 이렇게 두 손을 사용하면 손이 둘이듯이 음소가 모음과 자음 둘로 이루어져 있음을 알 수 있고, 오른손으로는 모음 기호의 체계와 모음 기호를 만든 원리를 알 수 있고, 왼손으로는 자음 기호의 체계와 자음 기호를 만든 원리를 알 수 있다.
도2에서 도시된 바와 같은, 한글 창제 원리에 입각한 손가락 한글 배우기가 익숙하여 지면, 본 발명에 의한 한글 입력 자판을 용이하게 이용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휴대용 단말기의 한글 입력 자판의 도면이다. 본 발명에 의한 휴대용 단말기의 한글 입력 자판은 도2에서 왼손에 배치된 자음의 기본 기호인 'ㄱ','ㄴ', 'ㅁ', 'ㅅ', 'ㅇ'를 배치하고, 도2에서 오른손에 배치된 모음의 기본 기호인 'ㅗ,ㅜ', 'ㅡ', 'ㅏ,ㅓ', 'ㅣ'를 배치하고, 이중 자음과 이중 모음을 입력하기 위한 '이중 키'를 배치한다.
도2를 참조하여, 도3에 도시된 한글 입력 자판을 이용한 한글 입력을 살펴보면, 예를 들어서 도2를 자음의 기본 기호인 'ㅁ' 입력키는 한 번 누르면 'ㅁ', 두번 누르면 'ㅂ', 세번 누르면 'ㅍ'이 입력된다. 또한, 모음의 기본 기호인 'ㅗ,ㅜ' 입력키는 한 번 누르면 'ㅗ', 두번 누르면 'ㅜ'가 입력된다.
이중 자음 및 이중 모음의 입력의 예를 살펴보면, "쪄"를 입력하고자 하는 경우, 'ㅅ' 입력키를 두 번 누르면 'ㅈ'가 되고, '이중 키'를 누르면 'ㅉ'가 된다. 그 다음에 'ㅏ,ㅓ'키를 두번 누르면 'ㅓ'가 되고, '이중 키'를 누르면 "쪄"가 완성된다.
도 3에 도시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휴대용 단말기의 한글 입력 자판과 도1a 및 도1b에 도시된 한글 입력 자판의 가장 큰 차이점은 본 발명에서는 자음인 'ㄹ'에 관한 입력키가 따로 존재하지 않는다는 것이다. 본 발명의 전제가 되는 한글 창제 원리에 따른 손가락 배우기를 설명하는 도 2에서 보면, 'ㄹ'은 기본 자음 'ㅇ'의 연장선에 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에서 'ㅇ'입력키는 'ㅇ', 'ㅎ' 뿐만 아니라, 'ㄹ'를 입력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위에서 설명한 도3에 도시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는 '이중 키'가 이중자음의 입력과, 이중 모음(즉, ㅛ,ㅠ,ㅑ,ㅕ) 입력의 두 가지 기능을 모두 수행하는 경우이다.
아래에서 설명할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는 '이중 키'를 구분하여 이중 자음 입력키와 이중 모음 입력 키로 구분한 것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의한 휴대용 단말기의 한글 입력 자판의 도면이다.
도 4에서 보이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는, '이중 키'가 이중 자음 입력키와 이중 모음의 입력 키로 구분되어 있다.
아래의 표1은, 본 발명에 의한 한글 입력 자판에 의하여 이중 자음을 포함한 자음 기호 19개를 입력하는 방법을 설명하는 것이다.
Figure 112005018592903-pat00001
아래의 표2는, 본 발명에 의한 한글 입력 자판에 의하여 이중 모음을 포함한 모음 기호 21개를 입력하는 방법을 설명하는 것이다.
Figure 112005018592903-pat00002
이상에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한글 창제 원리를 반영한 한글 입력 자판을 제공한다.

Claims (4)

  1. 한글 자음의 기본 기호로서 'ㄱ','ㄴ', 'ㅁ', 'ㅅ', 'ㅇ'의 각 입력 키가 배치되되, 'ㄱ' 입력 키는 1회 눌러지는 경우 'ㄱ', 2회 눌러지는 경우 'ㅋ'가 입력되고, 'ㄴ' 입력 키는 1회 눌러지는 경우 'ㄴ', 2회 눌러지는 경우 'ㄷ', 3회 눌러지는 경우 'ㅌ'이 입력되고, 'ㅁ' 입력 키는 1회 눌러지는 경우 'ㅁ', 2회 눌러지는 경우 'ㅂ', 3회 눌러지는 경우 'ㅍ'이 입력되고, 'ㅅ' 입력 키는 1회 눌러지는 경우 'ㅅ', 2회 눌러지는 경우 'ㅈ', 3회 눌러지는 경우 'ㅊ'이 입력되고, 'ㅇ' 입력 키는 1회 눌러지는 경우 'ㅇ', 2회 눌러지는 경우 'ㅎ' 및 3회 눌러지는 경우 'ㄹ'이 입력되고,
    한글 모음의 기본 기호로서 'ㅗ,ㅜ', 'ㅡ', 'ㅏ,ㅓ', 'ㅣ'의 각 입력 키가 배치되되, 'ㅗ,ㅜ' 입력 키는 1회 눌러지는 경우 'ㅗ', 2회 눌러지는 경우 'ㅜ'이 입력되고, 'ㅓ,ㅏ' 입력 키는 1회 눌러지는 경우 'ㅏ', 2회 눌러지는 경우 'ㅓ'이 입력되고,
    이중 자음과 이중 모음을 입력하기 위한 '이중 키'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단말기의 한글 입력 자판.
  2. 삭제
  3. 삭제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이중 키'는 이중 모음을 입력하기 위한 '이중 모음 입력키'와 이중 자음을 입력하기 위한 '이중 자음 입력키'로 구분되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단말기의 한글 입력 자판.
KR1020050029673A 2005-04-08 2005-04-08 휴대용 단말기의 한글 입력 자판 KR10064318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29673A KR100643189B1 (ko) 2005-04-08 2005-04-08 휴대용 단말기의 한글 입력 자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29673A KR100643189B1 (ko) 2005-04-08 2005-04-08 휴대용 단말기의 한글 입력 자판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106491A KR20060106491A (ko) 2006-10-12
KR100643189B1 true KR100643189B1 (ko) 2006-11-10

Family

ID=3762720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29673A KR100643189B1 (ko) 2005-04-08 2005-04-08 휴대용 단말기의 한글 입력 자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43189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27868B1 (ko) * 2010-06-30 2012-03-16 조성대 멀티터칭을 위한 한손 한글자판배열 및 입력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106491A (ko) 2006-10-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Sohn Woleaian reference grammar
Mielke The emergence of distinctive features
KR100867668B1 (ko) 중국어 표기문자로서의 한글 입력장치 및 그 입력방법
Zuckermann Cultural hybridity: Multisourced neologization in'reinvented'languages and in languages with'phono-logographic'script
Sandler The emergence of the phonetic and phonological features in sign language
KR100643189B1 (ko) 휴대용 단말기의 한글 입력 자판
Tsantsanoglou The memoirs of a lady from Samos
Chrisomalis The cognitive and cultural foundations of numbers
MacMahon The effects of sound patterning in poetry: A cognitive pragmatic approach
KR100888878B1 (ko) 키보드 및 입력 방법
Neijt The interfaces of writing and grammar
KR100982086B1 (ko) 휴대단말기 등을 위한 태국어용 키패드어레이
KR101129687B1 (ko) 속기 겸용 영문 키보드
KR200202828Y1 (ko) 8버튼식 한글 입력단추
HEITNER ICONS OF THE ALPHABET: Letter Names, Phonetic Notation and the Phonology and Orthography Of... English
CN100375947C (zh) 30键认知码汉字输入方法
KR200308403Y1 (ko) “투 버튼 (two button)” 한글 모음 입력 휴대폰
KR20020093727A (ko) 이동식 단말기의 글자형태식 한글입력방법
Coiro Sufficient and Free: The Poetry of Paradise Lost
CN1125393C (zh) 利用计算机键盘汉字编码输入方法
CN107992207A (zh) 新型华字掌上电脑液晶键盘及字母与汉字拼音两笔输入法
CN100456214C (zh) 汉语文档快速录入处理技术及其键盘
CN107908291A (zh) 新型华字微型电脑本键盘及字母与汉字拼音两笔输入法
KR20040045255A (ko) “투 버튼 (two button)” 한글 모음 입력 휴대폰
Ilia The Georgian Dactyl Alphabet Tama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921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926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